KR20050054921A - 저알부민 상태의 개선제 - Google Patents

저알부민 상태의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921A
KR20050054921A KR1020057002626A KR20057002626A KR20050054921A KR 20050054921 A KR20050054921 A KR 20050054921A KR 1020057002626 A KR1020057002626 A KR 1020057002626A KR 20057002626 A KR20057002626 A KR 20057002626A KR 20050054921 A KR20050054921 A KR 20050054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ine
liver
composition
hepatic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2739B1 (ko
Inventor
스스무 사또미
히데유끼 도이
마사히로 친
히로미찌 고마쯔
히로시 고가
Original Assignee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발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간질환치료 또는 개선용 약제 또는 식품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약물치료법 보다도 적은 부작용으로, 간염, 간부전 등의 간질화의 치료 및 상기 간질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구토, 복통, 복수 등의 증상 및 이상 혹은 합병증 (간성 뇌증을 제외함) 을 개선, 완화, 회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간질환 치료제 {Remedy for hepatopathy}
본 발명은, 발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치료 또는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급성간염, 간부전, 만성간염, 간경변 등의 간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효과를 갖는 발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의약 혹은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부터, 간부전, 간경변 등의 간질환에 대하여, 다양한 아미노산 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아미노레반 (등록상표), 모리헤파민 (등록상표), 아미노레반 (등록상표) EN, 헤판 (등록상표) ED, 리벡트 (등록상표) 과립 등의 아미노산 제제가, 간경변, 간부전 등의 간질환에 수반되는 간성 뇌증 및 저알부민혈증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아민산 제제는, 이들 간질환을 직접, 치료, 개선한다기 보다도, 간질환에 의한 영양장해의 개선, 즉, 혈장아미노산의 불균형의 시정에 의한 질소대사의 개선 및 혈중 암모니아값의 저하 등을 기대하여 사용된다. 또 이들 제제는 아미노산의 혼합물이고, 단일한 아미노산이 이들 간질환을 개선한다는 것도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일본 특허공보 소 57-29446 호에는, L-발린이 주입액으로서, 단독으로 간성 뇌증치료에 유용하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나, 간성 뇌증은 간질환의 악화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합병증의 하나로, 혈중에 증가한 암모니아 등의 중독성 물질이 중추신경계를 장해하고, 다양한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간질환과는 상이한 것이다. 또 상기 공보에는 간질환 자체를 직접 치료 또는 개선하는 것은 시사되어 있지 않다. 사실, 간성 뇌증의 치료에는, 락투로스 등 혈중 암모니아 저하제 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고, 간질환 치료제를 간성 뇌증의 치료에 이용한 증예가 없는 것도, 본 발명이 해당 공보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없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앞서 발린이 간장해·간경변 등의 간장을 절제한 후의 간세포를 재생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특허출원에 이르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67628 호 참조). 상기 공보에는, 발린이 간세포의 재생에 효과가 있다는 내용의 기재는 있으나, 발린이 간염, 간경변 등의 간질환 자체에 효과가 있는 것은 개시되지 않고, 시사되지 않고 있다.
한편, 만성간염, 간경변 등의 치료약으로서 몇가지의 약제가 알려져 있으나, 유효성 및 안전성 면에서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들 간질환에, 미노파겐 C 등의 글리틸리틴 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장내에서 불활성화되므로 주로 주사제로서 사용되고 있고, 경구투여로의 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또, 그 부작용으로서, 그 알도스테론양 작용에 의거한 혈압상승, 저칼륨혈증, 나트륨저류에 의한 수분저류 경향 등이 보고되고 있고, 특히 복수(腹水) 등을 갖는 중도 간장해시 혹은 장기투여시에 문제가 되고 있다.
또 일본특허공보 소 57-29446 호에서, 단독의 아미노산으로서 L -발린이 간성 뇌증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린이 숙신산 사이클의 일원인 스크시닐코엔팀 A 로 분해됨으로 인한 암모니아 농도의 강하에 의거한 것으로, 조직의 암모니아 농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는 간성 뇌증에만 적응되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간성 뇌증은 간장 자체의 질환이 아니라, 간질환의 악화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합병증의 하나이고, 따라서, 해당 공보에는 간질환 자체를 직접 치료 또는 개선한다는 것은 시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유효성이 높고, 안전성면에서도 문제가 없는 주사뿐 아니라 경구투여로도 유효한 간질환의 치료약에 대하여 예의검토하여 왔으나, 이번에, 아미노산의 일종인 발린이,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형태로, 경구 혹은 비경구 투여에 있어서, 간부전,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 등의 간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개선작용을 가지고, 안전성면에서도 문제가 없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린의 간질환에 대한 효과는, 후기 실시예에 나타내듯이 간질환 동물모델 및 간질환 환자에 있어서 확인할 수 있다. 급성간염 및 간부전에 관해서는, 갈락토사민 및 사염화탄소 등의 약물성 급성간장해 모델 및 90 % 간절제 간부전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만성간염·간경변에 관해서는, 사염화탄소 등의 약물유발성 만성간장해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이들 모델에 있어서, 발린은 유효하였다. 또, 만성간염환자에 경구 등에 의하여 투여되었을 때, 발린은 간기능 (GOT, GPT, 혈소판 등)을 개선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것으로부터, 발린은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에 있어서 간질환용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린은, 시판품, 합성품, 그밖의 제법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 D 체, L 체, DL 체의 어느것도 사용가능하지만, 특히 L 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린은,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부전, 간경변 등의 다양한 간질화의 치료 또는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특히 급성간염, 간부전 등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간염으로서는, A 형, B 형, C 형, D 형, E 형 등의 간염바이러스에 의하여 야기되는 급성 및 만성간염을 들 수 있다. 또 간부전으로서는, 급성간부전 및 만성간부전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린은 이들 간염 및 간부전 등의 질환에 의하여 나타나는 다양한 병증 및 이상 혹은 암모니아 농도에 영향받지 않는 합병증, 예컨대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구토, 복통, 복수 및 흉수 등의 개선, 완화, 회복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들고 있는 합병증에는, 암모니아 농도에 영향받는 간성 뇌증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간질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생체에 투여할 경우는, 경구로 혹은 직장내, 피하, 수강내,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경피 등의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혹은 정맥내에 투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발린을 생체에 투여할 경우, 발린은 적당한 제형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정제, 산제, 과립제, 세립제, 환제, 캅셀제, 트로치제, 츄어블(chewable)제, 액제, 에멀젼제, 현탁제, 좌제, 시럽제, 로션제, 연고제, 파프제 등의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제형으로 제제화하는데는 약학상 허용되는 적당한 담체, 부형제, 첨가제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질환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정맥내 투여할 때 바람직한 제형은 액제이고, 액제를 조제하려면, 예컨대 정제수, 생리식염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트리아세틴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같은 제제에는 또한 방부제, 습윤제, 에멀젼화제, 분산제, 안정제와 같은 보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 현탁제로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세립제, 트로치제, 츄어블제 등의 고형제제를 조제하려면, 예컨대 중탄산나트륨, 탄산칼슘, 전분, 자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담체,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글리세린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통상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프탈레이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메틸공중합체 등의 장용성 물질의 유기용매 혹은 수중용액을 분사하여, 장용성 피막을 형성하고, 장용성 제제로서 제제화할 수도 있다. 약학상 허용할 수 있는 담체에는, 그밖에 통상,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보조제, 방향제, 안정제 혹은 방부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간질m환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고칼로리 수액제와 같은 수액제제와 병용하여 사용하거나, 발린을 다른 수액제제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간질환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간기능 개선용 식품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식품 및 음료 등에 발린을 직접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발린을 껌, 캔디, 젤리, 구미(gummi), 쿠키, 비스켓, 쵸코렛 등의 과자류, 쥬스 등의 청량음료,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 아이스크림, 햄 등의 농산가공품, 어묵, 팡빙 등의 수산가공품, 메밀국수, 우동 등의 면류, 빵, 케이크 등의 밀가루 가공품, 통조림 또는 소금, 후추, 설탕, 인공감미료 등의 조미식품 등에 직접 첨가하거나, 또는 발린을 이들 식품의 가공단계에서 혼합하여, 가공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간기능 개선용의 특정보건용 의약품으로서도 응용가능하다. 발린을 식품에 첨가, 혼합할때는, 발린을 분말, 과립, 세립 등의 고형상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액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발린을 식품가공할때는, 통상의 식품가공방법에 의거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질환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또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다른 아미노산의 혼합제제와는 달리,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간질환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포함하지 않는, 즉 실질적으로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지 않는 것이고, 종래부터 염려되어 왔던 유효성 및 안전성의 과제를 해소하는 우수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간질환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의약으로서 사용할 경우는, 급성간염, 간부전, 만성간염, 간경변 등의 간질환 환자에 이용되고, 그 투여량은, 환자의 성별, 체형, 체질, 연령, 증상 혹은 투여제형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발린을 유효성분으로서 1 일당 0.1 ∼ 300 g, 바람직하게는 1 ∼ 100 g 의 범위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투여회수는, 환자의 증상 혹은 투여제형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1 일 1 내지 수회가 적당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을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급성간장해에 대한 작용
1) 실험방법
8 ∼ 9 주령의 250 g 전후의 Crj:Donryu 계 수컷 래트를 사용한다. 실험 동안은 래트용 사료 MF (오리엔탈 코오보샤 제조)와 물을 자유 섭취시킨다. D-Galactosamine·HCl (D-갈락토사민염산염; 시그마사 제조) 은 생리식염수로 용해하고, 1N-NaOH 로 pH 7.0 으로 조정후, D-Galactosamine (이하,「갈락토사민」이라고 함) 100 ㎎/㎖ 용액으로서 사용한다. 사염화탄소 (와꼬쥰야꾸고오교 제조)는 올리브유 (와꼬쥰야꾸고오교 제조) 로 50 % (v/v) 용액으로서 사용한다. 12 시간의 절식후, 래트에 갈락토사민을 10 ㎖/㎏ 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 또는 사염화탄소용액을 4 ㎖/㎏ 의 용량으로 피하투여함으로써 간장해를 야기시킨다. 그 후 바로 에테르마취하에서 우경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중심정맥내에 유치(留置) 한다. 중심정맥 카테터는 피하를 통하여 견갑골 사이로 빼고, Harness 장착후, protective coil 을 거쳐, Swivel (Bio-Cannula, Biomedica 사 제조) 에 접속한다. 래트를 대사케이지로 옮겨, 무마취·무구속하에서 실험을 실시한다. 실험액은 펌프에 의한 투여속도를 100 ㎖/㎏/일 로 설정하여 지속투여한다. 실험액의 투여기간은 1 ∼ 4 일로 하고, 실험액군으로서는, 락트산 링거액 (라크텍 (등록상표), 오오츠까세이야꾸 제조) 군 (콘트롤군) 및 발린군 (락트산 링거액에 L-발린을 첨가하고, L-발린 농도를 16.88 g/l 로 한다. L-Val 군) 으로 한다. 또, 무처치군 (Non-treat, Nt 군) 도 설정한다. 실험액 투여종료후, 에테르 마취하에 복부 대동맥에서 채혈후 부검하여 간을 채취한다.
2) 결과
a) 갈락토사민유발 급성간장해 래트 모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갈락토사민 투여에 의하여, 래트에 간장해가 발생하였으나, L-발린을 투여함으로써 그것이 개선되었다. 또, Fischer 비 (BCAA (Val, Leu, Ile)/AAA (Phe, Tyr, Trp)) 도 개선되었다.
갈락토사민 유발 급성 간장해 래트 모델에 대한 효과 (실험액 투여 1 일)
TP(g/dl) Alb(g/dl) GOT(IU/l) GPT(IU/l) LDH(IU/l) Fisher비BCAA/AAA
NT 군(n=6) 5.6±0.1 2.7±0.1 136.0±52.8 69.5±19.0 813.0±310.5 2.63±0.16
콘트롤군(n=5) 4.6±0.2 ** 2.4±0.1** 1461.8±721.5** 938.6±523.2** 2213.0±1050.7** 2.23±0.26*
L-Val군(n=6) 4.9±0.3**,## 2.5±0.1 760.2±215.4*,## 415.7±180.8*## 973.7±362.0## 6.42±0.40**,##
mean ±SD, *,**: 각각, NT 군에 대하여, p〈 0.05, p〈 0.01 에서 유의함. #,##: 각각, 콘트롤군에 대하여, p〈 0.05, p〈 0.01 에서 유의함 (Student's T test).
b) 사염화탄소유발 급성간장해 래트 모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하여, 래트에 간장해가 발생하였으나, L-발린을 투여함으로써 그것이 개선되었다. 또, Fischer 비 (BCAA (Val, Leu, Ile)/AAA(Phe, Tyr, Trp)) 도 개선되었다.
사염화탄소 유발 급성 간장해 래트 모델에 대한 효과 (실험액 투여 2 일)
TP(g/dl) Alb(g/dl) GOT(IU/l) GPT(IU/l) LDH(IU/l) Fisher비BCAA/AAA
NT 군(n=10) 5.5±0.3 2.9±0.1 112.9±30.3 59.9±18.9 928.8±316.3 3.47±0.39
콘트롤군(n=14) 4.8±0.5 ** 2.3±0.2** 5485.3±3277.6** 3010.6±1770.6** 5320.3±9495.1** 1.21±1.07**
L-Val군(n=14) 5.1±0.4*,# 2.4±0.2**,# 3241.9±2567.2**,# 1951.2±1730.9** 3040.1±4163.3** 4.32±1.74##
mean ±SD, *,**: 각각, NT 군에 대하여, p〈 0.05, p〈 0.01 에서 유의함. #,##: 각각, 콘트롤군에 대하여, p〈 0.05, p〈 0.01 에서 유의함 (Student's T test).
실험예 2: 간부전에 대한 작용
1) 실험방법
8 ∼ 9 주령의 250 g 전후의 Crj:Donryu 계 수컷 래트를 사용한다. 실험중은 래트용 사료 MF (오리엔탈코오보 제조) 와 물을 자유 섭취시킨다. 12 시간의 절식후, 에테르 마취하에서 우경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중심정맥내에 유치시킨다. 계속해서 Gaub 등의 방법 (J. Gaub 등, Hepatology, 4, 902-904, 1984 년) 에 따라서, 90 % 간절제를 시행한다. 중심정맥 카테터는 피하를 통하여 견갑골 사이로 빼고, Harness 장착후, protective coil 을 거쳐, Swivel (Bio-Cannula, Biomedica) 에 접속한다. 래트를 대사케이지에 옮겨, 무마취 ·무구속하에서 실험을 행한다. 실험액은 펌프에 의한 투여속도를 100 ㎖/㎏/일 로 설정하여 지속투여한다. 그리고, 간절제 직후에 20 % 글루코스용액을 3 ㎖ 피하투여하고, 간절제후 3 일간은 10 % 글루코스용액을 음수시키고, 그후에는 수도물을 음수시킨다. 실험액의 투여기간은 4 일간 또는 6 일간으로 한다. 실험액군으로서는, 락트산 링거액 (락텍 (등록상표), 오오츠카세이야꾸 제조) 군 (콘트롤군) 및 발린군 (락트산 링거액에 L-발린을 첨가하고, L -발린농도를 16.88 g/l 로 한다. L-Val 군) 으로 한다. 또, 무처치군 (Non-treat 군, NT 군) 도 설정한다. 실험액 투여종료후에, 에테르 마취하에 복부 대동맥에서 채혈후 부검하여, 간을 채취한다.
2) 결과
a) 90 % 간절제 간부전 래트 모델에서의 생존율에 대한 효과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90 % 간절제에 의하여, 래트에 간부전상태가 야기되어, 6 일간 관찰에 있어서 약 반수에 사망예가 나타난다. 한편, L-발린의 6 일간 투여에 의하여 생존율은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90 % 간절제 간부전 래트 모델에서의 생존율에 대한 효과 (실험액 투여 6 일)
동물수 생존수 사망수 생존율 검정(Fisher의 직접확율계산법)
콘트롤군 20 10 10 50% p〈0.01
L-Val 군 20 19 1 95%
b) 90 % 간절제 간부전 래트 모델에 대한 효과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90 % 간절제에 의하여, 래트에 간부전 상태가 발생하였으나, L-발린을 투여함으로써 그것이 개선되었다. 또, Fischer 비 (BCAA (Val, Leu,Ile)/AAA (Phe, Tyr, Trp)) 도 개선되었다.
90 % 간절제 간부전 래트 모델에 대한 효과 (실험액 투여 4 일)
TP(g/dl) Alb(g/dl) GOT(IU/l) GPT(IU/l) Fisher비(BCAA/AAA)
NT 군(n=5) 5.6±0.3 2.6±0.1 159.0±35.1 86.2±25.6 3.56±0.33
콘트롤군(n=9) 2.8±0.8 ** 1.5±0.3** 549.9±335.4** 168.0±82.5** 0.78±0.27**
L-Val군(n=10) 3.6±0.5**,# 1.8±0.2**,# 402.3±302.4** 134.9±76.3** 3.33±1.11##
mean ±SD, *,**: 각각, NT 군에 대하여, p〈 0.05, p〈 0.01 에서 유의함. #,##: 각각, 콘트롤군에 대하여, p〈 0.05, p〈 0.01 에서 유의함 (Student's T test).
실시예 3: 만성간장해에 대한 작용
1) 실험방법
8 ∼ 9 주령의 Crj:Donryu 계 수컷 래트를 사용한다. 실험중은 래트용 사료 MF (오리엔탈 코오보샤 제조) 와 물을 자유 섭취시킨다. 사염화탄소 (와꼬쥰야꾸고오교 제조) 는 올리브유 (와꼬쥰야꾸고오교 제조) 로 50 % (v/v) 용액으로서 사용하고, 1 회 2 ㎖/㎏ 의 투여량으로, 주 2 회 14 주 (28 회) 래트에 피하투여하여 만성 간장해 모델을 작성한다. 14 주간의 실험중에는 실험사료를 공급하고, 콘트롤군에는 래트용 사료 MF 를 사용하여, L-Val 군에는 래트용 사료 MF 에 3% 중량의 L-발린을 첨가한 사료를 공급한다. 또 무처치군 (Non-treat 군, NT 군) 도 설정한다. 14 주간의 실험종료후, 에테르 마취하에서 복부 대동맥에 의하여 채혈후 부검하여 간을 채취한다.
2) 결과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사염화탄소의 14 주간 투여에 의하여, 래트에 만성 간장해가 야기되고, 사망예도 나타났다. 한편, L-발린을 14 주간 먹이에 섞어 투여함으로써 간장해 상태가 개선되었다.
사염화탄소유발 만성 간장해 래트 모델에 대한 효과
동물수 생존수 사망수 복수저류(예수) 흉수저류(예수) a)Fisher비BCAA/AAA
NT 군 10 10 0 0 0 1.78±0.13
콘트롤군 10 6 4 $$8 $5 1.15±0.5
L-Val 군 10 10 0 $$1 $0 3.17±0.96**,##
$,$$: 각각 p〈 0.05 및 p〈 0.01 에서 유의함 (Fischer의 직접확률계산법).
a) mean ±SD, **: NT 군에 대하여, p〈 0.01 에서 유의함, ##: 콘트롤군에 대하여, p〈 0.01 에서 유의함 (Student's T test).
실시예 4: C 형 만성간염환자에 대한 L-발린의 경구투여의 효과
C 형 만성간염 환자 (여성) 에게, L-발린 1 회 1 그램을 1 일 3 회 경구적으로 복용시켰다. 본 환자는, L-발린 복용전의 4 개월간의 GOT 및 GPT 의 평균치 (mean ±SD; 매월 1 회, 계 4 회 검사한 평균치) 는, 각각 89.0 ±21.9 IU/1 및 91.5 ±23.1 IU/1 이었으나, 복용 개시 다음달부터 4 개월간의 GOT 및 GPT 의 평균치 (mean ±SD; 매월 1 회, 계 4 회 검사한 평균치) 는, 각각 68.3 ±20.4 IU/l 및 73.0 ±24.3 IU/l 이 되고, 각각 유의하게 (p〈 0.05, t 검정) 저하되어 있었다. 또 혈소판에 관해서도 개선효과가 나타나고, L-발린 복용전 6 개월간의 혈소판의 평균치 (mean ±SD; 1 또는 2 개월에 1 회, 계 4 회 검사한 평균치) 는, 15.7 ±1.7 (×104) 이었으나, 복용개시 다음달부터 4 개월간의 혈소판의 평균치 (mean ±SD; 매월 1 회, 계 4 회 검사한 평균치) 는, 20.4 ±0.9 (×104) 가 되고, 유의하게 (p〈 0.01, t 검정) 증가되어 있었다. 이와같이, L-발린은 만성간염 환자에 있어서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약물치료법보다도 부작용이 적고, 급성간염, 간부전, 만성간염, 간경변 등의 간질화의 치료 및 해당 간장 질환에 의하여 발생되는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구토, 복통, 복수 등의 증상 및 이상 혹은 합병증 (간성뇌증을 제외함) 을 개선, 완화, 회복할 수 있는 우수한 간질환치료 또는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이다.

Claims (7)

  1. 발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2. 발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발린 이외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기능성 식품인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발린이 L-발린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주사제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액제제인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경구제제인 조성물.
KR1020057002626A 1997-09-30 1998-09-30 저알부민 상태의 개선제 KR100562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579397 1997-09-30
JPJP-P-1997-00265793 1997-09-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441A Division KR20010030820A (ko) 1997-09-30 1998-09-30 간질환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921A true KR20050054921A (ko) 2005-06-10
KR100562739B1 KR100562739B1 (ko) 2006-03-20

Family

ID=174221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626A KR100562739B1 (ko) 1997-09-30 1998-09-30 저알부민 상태의 개선제
KR1020007003441A KR20010030820A (ko) 1997-09-30 1998-09-30 간질환 치료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441A KR20010030820A (ko) 1997-09-30 1998-09-30 간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2) EP1714649A3 (ko)
KR (2) KR100562739B1 (ko)
CN (1) CN1149988C (ko)
AT (1) ATE336241T1 (ko)
AU (1) AU9280298A (ko)
CA (1) CA2305206A1 (ko)
DE (1) DE69835609T2 (ko)
HK (1) HK1033275A1 (ko)
TW (1) TW473387B (ko)
WO (1) WO1999016433A1 (ko)
ZA (1) ZA988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0771B1 (en) 1999-08-23 2003-12-09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Remedies for liver regeneration of transplanted liver
TWI266614B (en) 2000-10-13 2006-11-21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s comprising valine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WO2003063853A1 (fr) * 2002-01-31 2003-08-07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Compositions de reduction de la graisse mesenterique
JP5720569B2 (ja) * 2009-06-24 2015-05-20 味の素株式会社 核酸アナログの活性増強剤
JOP20190146A1 (ar) 2016-12-19 2019-06-18 Axcella Health Inc تركيبات حمض أميني وطرق لمعالجة أمراض الكبد
IL296055A (en) 2017-08-14 2022-10-01 Axcella Health Inc Amino aci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AR115585A1 (es) 2018-06-20 2021-02-03 Axcella Health Inc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el tratamiento de la infiltración de grasa en múscul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374A (en) * 1979-11-08 1981-06-09 Jun Sawada Food composition for hepatic insufficiency
JPS61186320A (ja) * 1985-02-12 1986-08-20 Morishita Seiyaku Kk アミノ酸製剤
JP2618653B2 (ja) * 1987-09-22 1997-06-11 ルセル森下株式会社 肝性脳症患者用アミノ酸製剤
EP0605742A4 (en) * 1992-06-26 1996-01-03 Nonna Dmitrievna Kislyakova Agent with adaptogenic activity.
AU2629895A (en) * 1994-06-23 1996-01-19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Therapeutic agent for liver re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8168A (zh) 2000-12-27
ATE336241T1 (de) 2006-09-15
AU9280298A (en) 1999-04-23
ZA988924B (en) 1999-03-30
EP1025844B1 (en) 2006-08-16
EP1025844A1 (en) 2000-08-09
KR100562739B1 (ko) 2006-03-20
EP1025844A4 (en) 2002-10-02
DE69835609T2 (de) 2007-08-09
KR20010030820A (ko) 2001-04-16
HK1033275A1 (en) 2001-08-24
EP1714649A2 (en) 2006-10-25
DE69835609D1 (de) 2006-09-28
WO1999016433A1 (fr) 1999-04-08
TW473387B (en) 2002-01-21
CA2305206A1 (en) 1999-04-08
EP1714649A3 (en) 2007-09-05
CN1149988C (zh)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872B1 (ko)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074661B2 (ja) 肝癌発生・進展抑制剤
HU217543B (hu) Eljárás perifériás neuropátia kezelésére és megelőzésére alkalmas gyógyászati 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valamint inzulinszerű növekedési faktor I-et és kemoterápiás szert tartalmazó gyógyászati készítmények
US20170151200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ies
WO2012142413A2 (en) Nitrit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3906716B2 (ja) 耐糖能異常用薬剤
KR100562739B1 (ko) 저알부민 상태의 개선제
WO2008001494A1 (fr) Agent pharmaceutique destiné à la prévention de la fatigue et/ou à la récupération en cas de fatigue
US3557292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with combinations of l-3,4-dihydroxyphenylalanine and a hydrazine
US20040022827A1 (en) Remedy for hepatopathy
JP6044667B2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JP3712539B2 (ja) 肝疾患治療剤
US4259353A (en) Infusion solutions for the treatment of hepatic encephalopathy and method of using them
JPH07233070A (ja) 疲労改善剤
JPH07118150A (ja) 分枝鎖アミノ酸を有効成分とする、呈味の調整された経口投与薬
RU2709501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арентерального капе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KR20220004956A (ko) 근육 경련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규소와 마그네슘의 조합물
JPH04342528A (ja) アルコール代謝およびアセトアルデヒド代謝促進剤
CN105412057B (zh) 一种治疗能量代谢障碍或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JPH01221316A (ja) 脳循環代謝改善剤
WO2022004788A1 (ja) 代謝異常を伴う疾患又は症候群における筋力低下症状の改善剤又は予防剤
JPH0769877A (ja) 分枝鎖アミノ酸を有効成分とする経口投与薬
WO1996011681A1 (fr) Antidiarrheique therapeutique et preventif
WO2012144619A1 (ja) 経口投与用慢性肝疾患治療剤
JP2002284683A (ja) 食欲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