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360A -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360A
KR20230022360A KR1020210104004A KR20210104004A KR20230022360A KR 20230022360 A KR20230022360 A KR 20230022360A KR 1020210104004 A KR1020210104004 A KR 1020210104004A KR 20210104004 A KR20210104004 A KR 20210104004A KR 20230022360 A KR20230022360 A KR 20230022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frame
curved
flat frame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948B1 (ko
Inventor
김학현
황보우
김명기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21010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48B1/ko
Priority to PCT/KR2022/095113 priority patent/WO2023014209A1/ko
Publication of KR2023002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는: 평판 프레임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 이송 롤러부의 배출측에 배치되는 절곡 리테이너; 평판 프레임을 절곡 리테이너 측으로 가압하여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절곡 롤러부; 및 절곡 롤러부의 배출측에 배치되고,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을 형성하는 벤딩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CURVED FRAME BENDING APPARATUS FOR CURVED DISPLAY AND CURVED FRAME MANUFACTURING METHOD FOR CURVED DISPLAY}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부와 롤벤딩이 동일 공정에서 성형되고, 곡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면이 오목한 곡면을 가짐으로써 화면 양끝의 영상이 매우 선명한 특징을 보이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생산되고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는 데에는 곡면 디스플레이의 화면 크기를 결정하고 화면 외곽을 보호하기 위한 곡면 프레임의 제작 또한 중요하다.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곡면 프레임의 경우, 플랜지가 휘어지거나 울지 않고 일정한 곡률을 갖는 것이 제품 품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판상의 프레임을 곡면 프레임으로 가공한 다음 바(bar) 형태의 플랜지를 곡면 프레임의 곡률에 맞게 절단한 후, 이를 곡면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용접하여 접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용접 공정을 통해서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플랜지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벤딩 공정 후 추가적인 용접 공정을 진행함에 따라, 제작 공정이 복합하고 제작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등의 품질 및 공정 상의 여러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2216호(2014. 12. 12 공고, 발명의 명칭: 플랜지를 구성한 TV 디스플레이용 곡면프레임 밴딩가공금형 및 밴딩가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지부와 롤벤딩이 동일 공정에서 성형되고, 곡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는: 평판 프레임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 상기 이송 롤러부의 배출측에 배치되는 절곡 리테이너; 상기 평판 프레임을 상기 절곡 리테이너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절곡 롤러부; 및 상기 절곡 롤러부의 배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을 형성하는 벤딩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 리테이너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절곡 서포터부; 및 상기 절곡 롤러부와 함께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 서포터부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절곡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유입측이 상기 절곡 서포터부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절곡 롤러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세워지는 제1절곡 가이드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절곡 서포터부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유입측이 상기 절곡 서포터부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절곡 롤러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세워지며, 상기 절곡 슬릿부가 형성되는 제1절곡 가이드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절곡 서포터부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 롤러부는,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와 상기 제2절곡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1절곡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 롤러부는, 상기 절곡 리테이너에서 상기 평판 프레임이 인입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이 절곡되도록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2절곡 롤러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 롤러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절곡 샤프트부; 및 상기 제1절곡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절곡 디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 롤러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1벤딩 롤러부; 상기 제1벤딩 롤러부와 함께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2벤딩 롤러부; 상기 평판 프레임의 유입측에 배치되는 제3벤딩 롤러부; 및 곡면 프레임의 배출측에 배치되는 제4벤딩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 롤러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3벤딩 롤러부와 상기 제4벤딩 롤러부의 상측 외주면을 잇는 접선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 롤러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벤딩 샤프트부; 및 상기 제1벤딩 샤프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평판 프레임이 곡면으로 벤딩되도록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벤딩 디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 롤러부는 상기 제1벤딩 샤프트부를 상기 제2벤딩 롤러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벤딩 샤프트부에 연결되는 제1벤딩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상기 제1벤딩 디스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에지부가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제1수직 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벤딩 롤러부에는 상기 제1수직 벤딩부에 대향되도록 제2수직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상기 제1벤딩 디스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에지부가 경사지도록 제1벤딩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벤딩 롤러부에는 상기 제1벤딩 테이퍼부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상기 제1벤딩 디스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에지부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제1벤딩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벤딩 롤러부에는 상기 제1벤딩 라운드부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라운드부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부가 절곡될 부분에 절곡라인부를 형성하는 절곡라인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이송 롤러부에 평판 프레임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이송 롤러부가 절곡 리테이너와 절곡 롤러부 사이에 상기 평판 프레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절곡 롤러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을 상기 절곡 리테이너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곡 롤러부가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상기 평판 프레임을 벤딩 롤러부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벤딩 롤러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 롤러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을 상기 절곡 리테이너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절곡 롤러부와 상기 절곡 리테이너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이 상기 절곡 가이드부의 절곡 슬릿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롤러부에 상기 평판 프레임이 공급되는 단계 이전에, 절곡라인 형성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절곡라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리테이너와 절곡 롤러부가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벤딩 롤러부가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을 형성하므로, 하나의 공정을 통해 곡면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 프레임의 양측에 플랜지부를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곡면 프레임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곡면 프레임의 제조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곡면 프레임을 다양한 곡률 및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의 하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리테이너와 절곡 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리테이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리테이너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의 절곡 리테이너와 절곡 롤러부에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평면 프레임과 절곡라인 형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의 하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100)는 이송 롤러부(110), 절곡 리테이너(120), 절곡 롤러부(130) 및 벤딩 롤러부(140)를 포함한다.
평판 프레임(10a)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평판 프레임(10a)의 내측은 곡면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도록 개구된다. 평판 프레임(10a)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송 롤러부(110), 절곡 리테이너(120), 절곡 롤러부(130) 및 벤딩 롤러부(140)는 구동부(104)에 연결된다. 구동부(104)는 기어나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미도시)에 의해 이송 롤러부(110), 절곡 리테이너(120), 절곡 롤러부(130) 및 벤딩 롤러부(1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송 롤러부(110)는 평판 프레임(10a)을 이송한다. 이송 롤러부(110)의 양측은 플레이트부(1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 롤러부(110)는 제1이송 롤러부(111)와, 제1이송 롤러부(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이송 롤러부(115)를 포함한다. 제1이송 롤러부(111)와 제2이송 롤러부(11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평판 프레임(10a)을 이송한다. 제1이송 롤러부(111)와 제2이송 롤러부(115)의 외측면은 고무재질이나 우레탄과 같은 내마모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송 롤러부(111)는 제1이송 탄성부(112)에 의해 제2이송 롤러부(115) 측으로 가압되고, 제2이송 롤러부(115)는 제2이송 탄성부(116)에 의해 제1이송 롤러부(111) 측으로 가압된다. 제1이송 탄성부(112)는 제1이송 롤러부(111)의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제2이송 탄성부(116)는 제2이송 롤러부(115)의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송 롤러부(111)와 제2이송 롤러부(115)가 제1이송 탄성부(112)와 제2이송 탄성부(116)에 의해 평판 프레임(10a)을 탄성 가압하면서 이송할 수 있다.
절곡 리테이너(120)는 이송 롤러부(110)의 배출측에 배치된다. 절곡 리테이너(120)부는 이송 롤러부(110)에서 공급되는 평판 프레임(10a)의 하측을 지지한다. 절곡 리테이너(120)부는 전체적으로 사각판 또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 롤러부(130)는 평판 프레임(10a)을 절곡 리테이너(120) 측으로 가압하여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에 플랜지부(12)를 형성한다. 절록 롤러부가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면,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리테이너(120)에 의해 절곡 플랜지부(12)가 형성된다. 절곡 플랜지부(12)는 곡면 디스플레이(미도시)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벤딩 롤러부(140)는 절곡 롤러부(130)의 배출측에 배치되고,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10)을 형성한다. 벤딩 롤러부(140)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된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여 일정한 곡률로 벤딩한다.
절곡 리테이너(120)와 절곡 롤러부(130)가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에 플랜지부(12)를 형성하고, 벤딩 롤러부(140)가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10)을 형성하므로, 하나의 공정을 통해 곡면 프레임(1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곡면 프레임(10)의 양측에 플랜지부(12)를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곡면 프레임(10)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곡면 프레임(10)의 제조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곡면 프레임(10)을 다양한 곡률 및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고, 플랜지부(12)의 높이를 10mm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리테이너와 절곡 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리테이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절곡 리테이너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의 절곡 리테이너와 절곡 롤러부에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절곡 리테이너(120)는 절곡 서포터부(121)와 절곡 가이드부(123)를 포함한다.
절곡 서포터부(121)는 평판 프레임(10a)의 하측을 지지한다. 절곡 서포터부(121)는 평판 프레임(10a)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평판 프레임(10a)은 절곡 서포터부(121)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 절곡 가이드부(123)는 절곡 롤러부(130)와 함께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을 가압하여 플랜지부(12)를 형성하도록 절곡 서포터부(121)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절곡 가이드부(123)는 절곡 서포터부(121)의 양측에 밴드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절곡 롤러부(130)가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면,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가이드부(123)에 의해 절곡됨에 따라 플랜지부(12)가 형성된다.
절곡 가이드부(123)는 제1절곡 가이드부(124)와 제2절곡 가이드부(125)를 포함한다.
제1절곡 가이드부(124)는 평판 프레임(10a)의 유입측이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절곡 롤러부(130)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된다(도 9 참조). 이때, 제1절곡 가이드부(124)의 유입측 단부는 절곡 서포터부(121)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절곡 가이드부(124)의 절곡 롤러부(130)측 단부는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한 각도로 형성된다.
제2절곡 가이드부(125)는 플랜지부(12)를 가이드하도록 제1절곡 가이드부(124)에 연결되고, 절곡 서포터부(121)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절곡 가이드부(125)는 플랜지부(12)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곡 롤러부(130)가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면,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제1절곡 가이드부(124)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부드럽게 세워지고, 제2절곡 가이드부(125)에 의해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하게 절곡된다.
절곡 가이드부(123)는 제1절곡 가이드부(124)와 제2절곡 가이드부(125)를 포함한다.
제1절곡 가이드부(124)는 평판 프레임(10a)의 유입측이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절곡 롤러부(130)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세워지며,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절곡 슬릿부(124a)가 형성된다(도 10 참조). 이때, 제1절곡 가이드부(124)의 유입측 단부는 절곡 서포터부(121)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절곡 가이드부(124)의 절곡 롤러부(130)측 단부는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한 각도로 형성된다.
제2절곡 가이드부(125)는 플랜지부(12)를 가이드하도록 제1절곡 가이드부(124)에 연결되고, 절곡 서포터부(121)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절곡 가이드부(125)에 절곡 슬릿부(124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절곡 가이드부(125)는 내부에 절곡 슬릿부(124a)가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부(12)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곡 가이드부(123)에는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절곡 슬릿부(124a)가 형성된다. 절곡 슬릿부(124a)는 절곡 가이드부(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절곡 롤러부(130)가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면,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슬릿부(124a)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절곡된다.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슬릿부(124a)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면,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슬릿부(124a)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하게 절곡된다. 또한, 제1절곡 가이드부(124)는 유입측이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절곡 롤러부(130)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부드럽게 세워지고,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제2절곡 가이드부(125)에서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하게 절곡됨에 따라 플랜지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 롤러부(130)는 제1절곡 가이드부(124)와 제2절곡 가이드부(125)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에 플랜지부(12)가 형성되도록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는 제1절곡 롤러부(131)를 포함한다.
제1절곡 롤러부(131)는 제1절곡 샤프트부(132)와 복수의 제1절곡 디스크부(133)를 포함한다.
제1절곡 샤프트부(132)는 평판 프레임(10a)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절곡 샤프트부(132)는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1절곡 샤프트부(132)의 양측은 플레이트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제1절곡 디스크부(133)는 제1절곡 샤프트부(132)에 결합되고,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여 플랜지부(12)를 형성한다. 복수의 제1절곡 디스크부(133)는 제1절곡 샤프트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복수의 제1절곡 디스크부(133)가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므로,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제1절곡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되면서 절곡된다.
제1절곡 샤프트부(132)의 외측면에는 제1절곡 샤프트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속리브(132a)가 형성되고, 제1절곡 디스크부(133)의 내부에는 구속리브(132a)가 삽입되도록 구속홈부(134)가 형성된다. 제1절곡 디스크부(133)에는 구속리브(132a)에 결합부재(134b)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부(134a)가 형성된다. 삽입홈부(134a)는 구속 디스크부마다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34b)로는 결합핀이나 결합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구속리브(132a)는 제1절곡 디스크부(133)가 제1절곡 샤프트부(132)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결합부재는 제1절곡 디스크부(133) 제1절곡 샤프트부(1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절곡 롤러부(131)는 제1절곡 샤프트부(132)를 절곡 리테이너(120) 측으로 가압하도록 제1절곡 샤프트부(132)에 연결되는 제1절곡 탄성부(135)를 더 포함한다. 제1절곡 탄성부(135)는 제1절곡 롤러부(131)의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씩 설치될 수 있다. 제1절곡 롤러부(131)가 제1절곡 탄성부(135)에 의해 평판 프레임(10a)을 탄성 가압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절곡 롤러부(130)는 절곡 리테이너(120)에서 평판 프레임(10a)이 인입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제1절곡 가이드부(124)에 의해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되도록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는 제2절곡 롤러부(137)를 더 포함한다.
소형의 곡면 프레임(10)을 제작하기 위해 절곡 리테이너(120)가 작고 짧게 형성되는 경우, 제2절곡 롤러부(137)는 절곡 리테이너(120)에 1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대형의 곡면 프레임(10)을 제작하기 위해 절곡 리테이너(120)가 크고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제2절곡 롤러부(137)는 절곡 리테이너(120)에 2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절곡 롤러부(137)는 제2절곡 샤프트부(138)와 복수의 제1절곡 디스크부(139)를 포함한다. 제2절곡 샤프트부(138)의 양측은 제2절곡 탄성부(138a)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제2절곡 롤러부(137)은 제1절곡 롤러부(131)와 설치 위치가 다를 뿐 그 구조는 상술한 제1절곡 롤러부(1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벤딩 롤러부(140)는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는 제1벤딩 롤러부(141)와, 제1벤딩 롤러부(141)와 함께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는 제2벤딩 롤러부(145)와, 평판 프레임(10a)의 유입측에 배치되는 제3벤딩 롤러부(147)와, 곡면 프레임(10)의 배출측에 배치되는 제4벤딩 롤러부(149)를 포함한다. 제1벤딩 롤러부(141), 제2벤딩 롤러부(145), 제3벤딩 롤러부(147) 및 제4벤딩 롤러부(149)는 절곡 롤러부(13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벤딩 롤러부(141)와 제2벤딩 롤러부(145)는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3벤딩 롤러부(147)와 제4벤딩 롤러부(149)는 설치 높이와, 제2벤딩 롤러부(145)와의 간격에 따라 곡면 프레임(10)의 곡률을 결정한다.
제1벤딩 롤러부(141)는 평판 프레임(10a)의 상측을 가압하고, 제2벤딩 롤러부(145)는 평판 프레임(10a)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벤딩 롤러부(141)와 제2벤딩 롤러부(145)는 곡면 프레임(10)의 플랜지부(12)를 가압함에 의해 플랜지부(12)가 곡면 프레임(10)의 곡률과 동일하게 벤딩되도록 한다. 또한, 제1벤딩 롤러부(141)와 제2벤딩 롤러부(145)가 플랜지부(12)를 지지하면서 플랜지부(12)를 가압하므로, 플랜지부(12)가 벤딩될 때에 플랜지부(12)가 휘거나 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벤딩 롤러부(147)와 제4벤딩 롤러부(149)는 설치 높이와 제2롤러부와의 간격에 따라 곡면 프레임(10)의 곡률을 결정하므로, 다양한 곡률의 곡면 프레임(10)을 제작할 수 있다.
제1벤딩 롤러부(141)의 하단부는 제3벤딩 롤러부(147)와 제4벤딩 롤러부(149)의 상측 외주면을 잇는 접선(L)보다 아래에 위치된다(도 5 참조). 따라서, 제1벤딩 롤러부(141)와 제2벤딩 롤러부(145)가 곡면 프레임(10)을 가압하면서 이동시킬 때에 곡면 프레임(10)이 제3벤딩 롤러부(147)와 제4벤딩 롤러부(149)에 의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될 수 있다.
제1벤딩 롤러부(141)는 제1벤딩 샤프트부(142)와 복수의 제1벤딩 디스크부(143)를 포함한다.
제1벤딩 샤프트부(142)는 평판 프레임(10a)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복수의 제1벤딩 디스크부(143)는 제1벤딩 샤프트부(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평판 프레임(10a)이 곡면으로 벤딩되도록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고, 플랜지부(12)가 삽입된다. 제1벤딩 디스크부(143)와 제1벤딩 디스크부(143)의 결합 구조는 상기한 제1절곡 샤프트부(132)와 제1절곡 디스크부(133)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의 플랜지부(12)는 제1벤딩 샤프트부(142)의 양측에서 1번째 및 2번째 제1벤딩 디스크부(143) 사이에 끼워진다.
제1벤딩 롤러부(141)는 제1벤딩 샤프트부(142)를 제2벤딩 롤러부(145) 측으로 가압하도록 제1벤딩 샤프트부(142)에 연결되는 제1벤딩 탄성부(144)를 더 포함한다. 제1벤딩 탄성부(144)는 제1벤딩 롤러부(141)의 양측에 적어도 2개 이상씩 설치될 수 있다. 제1벤딩 롤러부(141)가 제1벤딩 탄성부(144)에 의해 곡면 프레임(10)을 탄성 가압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에는 플랜지부(12)의 에지부(13)가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제1수직 벤딩부(143a)가 형성되고, 제2벤딩 롤러부(145)에는 제1수직 벤딩부(143a)에 대향되도록 제2수직 벤딩부(145a)가 형성된다.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에서 플랜지부(12)의 에지부(13)가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에는 플랜지부(12)의 에지부(14)가 경사지도록 제1벤딩 테이퍼부(143b)가 형성되고, 제2벤딩 롤러부(145)에는 제1벤딩 테이퍼부(143b)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테이퍼부(145b)가 형성된다.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에서 플랜지부(12)의 에지부(14)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벤딩 롤러부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에는 플랜지부(12)의 에지부(15)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제1벤딩 라운드부(143c)가 형성되고, 제2벤딩 롤러부(145)에는 제1벤딩 라운드부(143c)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라운드부(145c)가 형성된다.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에서 플랜지부(12)의 에지부(15)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와 제2벤딩 롤러부(145)의 형태를 변경함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플랜지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의 설계 자유도를 현저히 향상시키고, 다양한 디자인에 맞게 곡면 프레임(1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에서 평면 프레임과 절곡라인 형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100)는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에 플랜지부(12)가 절곡될 부분에 절곡라인부(11)를 형성하는 절곡라인 형성부(150)를 더 포함한다. 절곡라인 형성부(150)는 이송 롤러부(110)에 평판 프레임(10a)이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절곡라인 형성부(150)로는 펀치부나 레이저 커팅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절곡라인부(11)는 평판 프레임(10a)을 관통하는 점선홀이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곡라인부(11)는 평판 프레임(10a)을 관통하지 않도록 직선홈 형태 또는 점선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평판 프레임(10a)이 이송 롤러부(110)에 공급되기 이전에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에 절곡라인부(11)가 형성되므로, 평판 프레임(10a)의 플랜지부(12)가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송 롤러부(110)에 평판 프레임(10a)이 공급된다(S11). 평판 프레임(10a)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절곡라인부(11)가 양측에 형성되지 않은 평판 프레임(10a)이 이송 롤러부(1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송 롤러부(110)에 평판 프레임(10a)이 공급기 이전에, 절곡라인 형성부(150)가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에 절곡라인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라인부(11)가 양측에 형성된 평판 프레임(10a)이 이송 롤러부(1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송 롤러부(110)가 절곡 리테이너(120)와 절곡 롤러부(130) 사이에 평판 프레임(10a)을 공급한다(S12). 이때, 평판 프레임(10a)에는 플랜지부(12)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절곡 롤러부(130)가 평판 프레임(10a)을 절곡 리테이너(120)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에 플랜지부(12)를 형성한다(S13). 이때,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가이드부(123)의 절곡 슬릿부(12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됨에 따라 플랜지부(12)를 형성한다. 즉,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슬릿부(124a)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면,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절곡 슬릿부(124a)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하게 절곡된다. 또한, 제1절곡 가이드부(124)는 유입측이 절곡 서포터부(121)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절곡 롤러부(130)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세워지므로, 평판 프레임(10a)의 양측이 부드럽게 세워지면서 절곡됨에 따라 플랜지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 롤러부(130)가 플랜지부(12)가 형성된 평판 프레임(10a)을 벤딩 롤러부(140)에 공급한다(S14). 이때, 평판 프레임(10a)은 절곡 리테이너(120)의 상측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 또한, 평판 프레임(10a)의 플랜지부(12)는 절곡 리테이너(120)의 절곡 가이드부(123)에 의해 지지된다.
벤딩 롤러부(140)가 평판 프레임(10a)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10)을 형성한다(S15). 제1벤딩 롤러부(141)는 평판 프레임(10a)의 상측을 가압하고, 제2벤딩 롤러부(145)는 평판 프레임(10a)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벤딩 롤러부(141)와 제2벤딩 롤러부(145)는 곡면 프레임(10)의 플랜지부(12)를 가압함에 의해 플랜지부(12)가 곡면 프레임(10)의 곡률과 동일하게 벤딩되도록 한다. 또한, 제1벤딩 롤러부(141)와 제2벤딩 롤러부(145)가 플랜지부(12)를 지지하면서 플랜지부(12)를 가압하므로, 플랜지부(12)가 벤딩될 때에 플랜지부(12)가 휘거나 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벤딩 롤러부(147)와 제4벤딩 롤러부(149)는 설치 높이와, 제2벤딩 롤러부(145)와의 간격에 따라 곡면 프레임(10)의 곡률을 결정하므로, 다양한 곡률의 곡면 프레임(1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에는 플랜지부(12)의 에지부(13)가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제1수직 벤딩부(143a)가 형성되고, 제2벤딩 롤러부(145)에는 제1수직 벤딩부(143a)에 대향되도록 제2수직 벤딩부(145a)가 형성된다(도 13 참조).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에서 플랜지부(12)의 에지부(13)가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에는 플랜지부(12)의 에지부(14)가 경사지도록 제1벤딩 테이퍼부(143b)가 형성되고, 제2벤딩 롤러부(145)에는 제1벤딩 테이퍼부(143b)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테이퍼부(145b)가 형성된다(도 15 참조).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에서 플랜지부(12)의 에지부(14)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에는 플랜지부(12)의 에지부(15)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제1벤딩 라운드부(143c)가 형성되고, 제2벤딩 롤러부(145)에는 제1벤딩 라운드부(143c)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라운드부(145c)가 형성된다(도 17 참조).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에서 플랜지부(12)의 에지부(15)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제1벤딩 디스크부(143)와 제2벤딩 롤러부(145)의 형태를 변경함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플랜지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프레임(10)의 설계 자유도를 현저히 향상시키고, 다양한 디자인에 맞게 곡면 프레임(1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a: 평판 프레임 10: 곡면 프레임
11: 절곡라인부 12: 플랜지부
13,14,15: 에지부 100: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02: 플레이트부 104: 구동부
110: 이송 롤러부 111: 제1이송 롤러부
112: 제1이송 탄성부 115: 제2이송 롤러부
116: 제2이송 탄성부 120: 절곡 리테이너
121: 절곡 서포터부 123: 절곡 가이드부
124: 제1절곡 가이드부 124a: 절곡 슬릿부
125: 제2절곡 가이드부 130: 절곡 롤러부
131: 제1절곡 롤러부 132: 제1절곡 샤프트부
133: 제1절곡 디스크부 134: 구속홈부
134a: 삽입홈부 134b: 결합부재
135: 절곡 탄성부 137: 제2절곡 롤러부
138: 제2절곡 샤프트부 139: 제2절곡 디스크부
140: 벤딩 롤러부 141: 제1벤딩 롤러부
142: 제1벤딩 샤프트부 143: 제1벤딩 디스크부
143a: 제1수직 벤딩부 143b: 제1벤딩 테이퍼부
143c: 제1벤딩 라운드부 144: 제1벤딩 탄성부
145: 제2벤딩 롤러부 145a: 제2수직 벤딩부
145b: 제2벤딩 테이퍼부 145c: 제2벤딩 라운드부
147: 제3벤딩 롤러부 149: 제4벤딩 롤러부
150: 절곡라인 형성부

Claims (19)

  1. 평판 프레임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
    상기 이송 롤러부의 배출측에 배치되는 절곡 리테이너;
    상기 평판 프레임을 상기 절곡 리테이너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절곡 롤러부; 및
    상기 절곡 롤러부의 배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을 형성하는 벤딩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리테이너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절곡 서포터부; 및
    상기 절곡 롤러부와 함께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 서포터부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절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유입측이 상기 절곡 서포터부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절곡 롤러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세워지는 제1절곡 가이드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절곡 서포터부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유입측이 상기 절곡 서포터부와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절곡 롤러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세워지며, 상기 절곡 슬릿부가 형성되는 제1절곡 가이드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절곡 서포터부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밴딩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롤러부는,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와 상기 제2절곡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1절곡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밴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롤러부는,
    상기 절곡 리테이너에서 상기 평판 프레임이 인입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절곡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이 절곡되도록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2절곡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밴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 롤러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절곡 샤프트부; 및
    상기 제1절곡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절곡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롤러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1벤딩 롤러부;
    상기 제1벤딩 롤러부와 함께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는 제2벤딩 롤러부;
    상기 평판 프레임의 유입측에 배치되는 제3벤딩 롤러부; 및
    곡면 프레임의 배출측에 배치되는 제4벤딩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딩 롤러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3벤딩 롤러부와 상기 제4벤딩 롤러부의 상측 외주면을 잇는 접선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딩 롤러부는,
    상기 평판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벤딩 샤프트부; 및
    상기 제1벤딩 샤프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평판 프레임이 곡면으로 벤딩되도록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벤딩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딩 롤러부는 상기 제1벤딩 샤프트부를 상기 제2벤딩 롤러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벤딩 샤프트부에 연결되는 제1벤딩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상기 제1벤딩 디스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에지부가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제1수직 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벤딩 롤러부에는 상기 제1수직 벤딩부에 대향되도록 제2수직 벤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상기 제1벤딩 디스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에지부가 경사지도록 제1벤딩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벤딩 롤러부에는 상기 제1벤딩 테이퍼부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상기 제1벤딩 디스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에지부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제1벤딩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벤딩 롤러부에는 상기 제1벤딩 라운드부에 대향되도록 제2벤딩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부가 절곡될 부분에 절곡라인부를 형성하는 절곡라인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16. 이송 롤러부에 평판 프레임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이송 롤러부가 절곡 리테이너와 절곡 롤러부 사이에 상기 평판 프레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절곡 롤러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을 상기 절곡 리테이너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곡 롤러부가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상기 평판 프레임을 벤딩 롤러부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벤딩 롤러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을 가압하여 곡면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롤러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을 상기 절곡 리테이너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절곡 롤러부와 상기 절곡 리테이너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이 상기 절곡 가이드부의 절곡 슬릿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부에 상기 평판 프레임이 공급되는 단계 이전에,
    절곡라인 형성부가 상기 평판 프레임의 양측에 절곡라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0210104004A 2021-08-06 2021-08-06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52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004A KR102528948B1 (ko) 2021-08-06 2021-08-06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PCT/KR2022/095113 WO2023014209A1 (ko) 2021-08-06 2022-07-22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004A KR102528948B1 (ko) 2021-08-06 2021-08-06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60A true KR20230022360A (ko) 2023-02-15
KR102528948B1 KR102528948B1 (ko) 2023-05-09

Family

ID=8515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004A KR102528948B1 (ko) 2021-08-06 2021-08-06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8948B1 (ko)
WO (1) WO20230142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942B1 (ko) * 2023-05-26 2023-10-25 (주)대한이엔지 롤 밴딩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0266B2 (ja) * 1993-09-30 1998-05-28 倉本工業株式会社 テーパー曲げ加工装置
KR20040090054A (ko) * 2003-04-16 2004-10-22 대신하이테크 주식회사 원통형유니트 제조장치 및 그 물건
KR101034079B1 (ko) * 2010-12-08 2011-05-13 오혜영 열교환기용 팬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32092B1 (ko) * 2014-05-27 2014-08-21 주식회사 피디에스 롤러 타입 패널 절곡 장치
KR20160126916A (ko) * 2015-04-22 2016-11-02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 포장용 외주링 성형장치
KR101983681B1 (ko) * 2019-03-15 2019-06-03 (주) 선호엔지니어링 레이저를 이용한 철판 가공 방법
KR20210099729A (ko) * 2020-02-05 2021-08-13 김명기 분할 롤 벤딩 장치, 롤 벤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곡면 프레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0266B2 (ja) * 1993-09-30 1998-05-28 倉本工業株式会社 テーパー曲げ加工装置
KR20040090054A (ko) * 2003-04-16 2004-10-22 대신하이테크 주식회사 원통형유니트 제조장치 및 그 물건
KR101034079B1 (ko) * 2010-12-08 2011-05-13 오혜영 열교환기용 팬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32092B1 (ko) * 2014-05-27 2014-08-21 주식회사 피디에스 롤러 타입 패널 절곡 장치
KR20160126916A (ko) * 2015-04-22 2016-11-02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 포장용 외주링 성형장치
KR101983681B1 (ko) * 2019-03-15 2019-06-03 (주) 선호엔지니어링 레이저를 이용한 철판 가공 방법
KR20210099729A (ko) * 2020-02-05 2021-08-13 김명기 분할 롤 벤딩 장치, 롤 벤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곡면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942B1 (ko) * 2023-05-26 2023-10-25 (주)대한이엔지 롤 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948B1 (ko) 2023-05-09
WO2023014209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948B1 (ko)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 벤딩장치 및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프레임의 제조방법
CN101175680B (zh) 模块化的无间断带式传送装置及其弯曲支撑结构
JP2011036916A (ja) 連続して四角形の管を成形するための線形物形状可変装置
CN100461032C (zh) 定影装置
US6308551B1 (en) Apparatus for bending cutting blade
USRE35844E (en) Paper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249224B1 (ko) 진단 시약지용 스트립 절단 장치
JP4440649B2 (ja) 連続的に変化可能な変速機のためのプッシュベルトのための連結要素を形成する工程
US20200010276A1 (en)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pply device
JP4922895B2 (ja) 樹脂プーリ及び媒体搬送装置
US20020006107A1 (en) Shutter for disc cartridge
CN209792343U (zh) 折弯装置
JP4387492B2 (ja) 針布を備えたフラットバーから成る回転フラットを有するカードに設ける装置
KR102037403B1 (ko) 지폐 계수기용 어퍼가이드 롤러구조
KR101263117B1 (ko)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KR100916600B1 (ko) 프레임 접합장치 및 그 방법
EP0774436B1 (en) An installation for processing a web of plastic material
DE19901091C2 (de) Bandrollgang zum Transportieren von stabförmigen Werkstücken
KR102461703B1 (ko) 프레스 벤딩장치
CN218880288U (zh) 绣框及电脑绣花机
JPH01205821A (ja) 冷間ロール成形装置
CN219648816U (zh) 一种切割钢条引导机构
CN221047148U (zh) 一种用于钢片走料限位及异物改善装置
KR102398760B1 (ko) 회전 가능한 펀치를 구비하는 금형어셈블리
US5417360A (en) Feeding of offset, collated 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