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117B1 -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117B1
KR101263117B1 KR1020110085871A KR20110085871A KR101263117B1 KR 101263117 B1 KR101263117 B1 KR 101263117B1 KR 1020110085871 A KR1020110085871 A KR 1020110085871A KR 20110085871 A KR20110085871 A KR 20110085871A KR 101263117 B1 KR101263117 B1 KR 10126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ndering
mold
upper mold
lower mol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880A (ko
Inventor
최상우
손현성
구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8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1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협력하여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도록 이송되는 소재를 블랭크로 가공하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어, 소재의 가공 시 소재로부터 최종적으로 절단되는 절단부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형성하는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의 후방 경로에 배치되도록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고,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수단; 및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어, 최종 제품에 형성되는 홀을 가공하는 홀 가공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블랭킹 공정의 후공정인 레이저 커팅 공정에서 수행하는 홀 가공공정을 블랭킹 공정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블랭킹 금형조립체를 제작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품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Blanking mold assembly for hot press forming}
본 발명은 블랭킹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커팅공정에서 여러 개의 홀을 제거하는 커팅 공정을 블랭킹 공정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랭킹(Blanking) 금형은 최종제품의 외곽 라인에 마진(Margine)을 더한 형태의 시트(Sheet) 상태로 가공되어 열간 프레스 성형(HPF) 공정으로 공급된다. 즉, 언코일러(Uncoiler)에서 공급된 스트립은 블랭킹 공정에서 일정한 피치(Pitch) 만큼 수 회에 걸쳐 피딩되며, 매 피치마다 금형이 타발하게 되면 1매 단위의 블랭크가 생산된다.
이와 같이 연속 생산된 블랭크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으로 이송되어 900℃ 이상으로 일정시간 가열한 후 냉각하여 고강도강으로서의 열간 프레스 성형 제품이 되며, 이 후에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품화된다.
상기 레이저 커팅 공정에서 레이저 빔을 통해 전달되는 열이 성형된 반제품에 오랜 시간 전달되면 제품 내부의 잔류응력이 풀리면서 제품이 뒤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제품이 박판일 경우에 더 심하게 나타나며 절단해야 할 홀의 개수 등이 많아 가공길이가 길어질 경우에 뒤틀림이 더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체 공정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공정이 레이저 커팅 공정이며, 이는 제품 외부의 불필요한 부위(Scrap)를 제거하는 트리밍(Trimming) 공정과 제품 내부의 여러 개의 홀을 제거하는 커팅 공정에서 소요되는 많은 시간에 기인한다. 따라서, 전체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레이저 커팅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랭킹 공정에서 이송되는 소재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간 프레스 성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레이저 커팅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호 협력하여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도록 이송되는 소재를 블랭크로 가공하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어, 상기 소재의 가공 시 소재로부터 최종적으로 절단되는 절단부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형성하는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의 후방 경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수단; 및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어, 최종 제품에 형성되는 홀을 가공하는 홀 가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가공유닛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 가공펀치; 및 상기 홀 가공펀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홀 가공펀치가 삽입되는 홀 가공홈이 형성되는 홀 가공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 가공펀치 및 홀 가공다이는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이송되는 소재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가공하는 펀칭 부재가 구비되는 펀칭 다이; 및 상기 펀칭 다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펀칭 부재가 삽입되는 버튼홀이 형성되는 버튼 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행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소재의 가공 시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되어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사행방지유닛; 및 상기 사행방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 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사행방지부재 대응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사행방지부재; 및 상기 사행방지부재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사행방지부재의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에의 결합 후 상기 사행방지부재를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행방지부재는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에의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을 통해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에 사행방지수단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소재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랭킹 공정의 후공정인 레이저 커팅 공정에서 수행하는 홀 가공공정을 블랭킹 공정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블랭킹 금형조립체를 제작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품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의 상부 금형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의 하부 금형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의 상부 금형의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의 하부 금형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블랭킹 금형조립체는 상부 금형(10), 하부 금형(20),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 사행방지수단(40), 및 홀 가공유닛(5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블랭킹 금형조립체로 이송되는 소재는 피딩유닛(미도시)에 의해 소정 피치만큼 상부 금형(10) 및 하부 금형(20)의 사이로 이송될 수 있다.
상,하부 금형(10,20)은 상호 협력하여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도록 이송되는 소재를 가공한다. 이를 위해, 상,하부 금형(10,20) 중 어느 하나 또는 상,하부 금형(10,20)가 함께 승강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하부 금형(10,20)에는 이송되는 소재의 일부분을 절단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절단부재(12,22)는 이송되는 소재를 분할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소재의 이송 경로를 따라서 다수개가 구비되며, 소정 피치로 수회 이송되는 소재가 상,하부 금형(10,20)을 통과하면서 절단부재(12,22)에 의해 절단되어 최종 블랭크(Blank)로 가공된다. 또한, 절단부재(12,22)는 상,하부 금형(10,20)에 고정볼트(13,23)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부 금형(10)에는 이송되는 소재의 절단 시 소재를 가압 고정시키는 상부패널(14)이 고정볼트(15)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부패널(14)에 대응되게 하부 금형(20)에는 소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4)가 설치된다. 즉, 상부 금형(10)이 하강하여 소재를 절단하는 경우 상부패널(14)은 소재의 상면에 접촉하여 소재를 가압하고, 지지부재(24)는 소재의 하면에 접촉하여 소재를 지지한다.
한편, 지지부재(24)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연결되어 상부패널(14)에 의해 소재가 가압되는 경우 하강하여 소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재(24)는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송되는 소재는 지지부재(24)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된다.
그리고, 하부 금형(20)의 하류 측에는 가공된 소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26)가 설치된다.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은 이송되는 소재의 가공시 소재로부터 최종적으로 절단되는 절단부에 사행방지 보조부(미도시)를 형성하도록 상,하부 금형(10,2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은 소재의 이송 경로 상에서 상류 측, 즉 전단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은 소재가 상,하부 금형(10,20) 사이로 유입되는 입구 측에 배치된다.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은 크게 펀칭 다이(32)와 버튼 다이(36)를 포함한다.
펀칭 다이(32)는 상,하부 금형(10,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소재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가공한다. 이를 위해 펀칭 다이(32)에는 펀칭 부재(33)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펀칭 다이(32)는 상부 금형(10)에 고정볼트(34)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한, 버튼 다이(36)는 펀칭 다이(3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하부 금형(10,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펀칭 다이(32)와 협력하여 이송되는 소재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가공한다. 이를 위해 버튼 다이(36)에는 펀칭 부재(33)가 삽입되는 버튼홀(37)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다이(36)는 상부 금형(20)에 고정볼트(38)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펀칭 다이(32)와 버튼 다이(36)는 소재의 양측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부 금형(10,20)에 2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사행방지 보조부는 소재의 가공시 소재로부터 최종적으로 절단되는 부분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행방지 보조부가 소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로부터 가공되는 블랭크(Blank)의 형상에 따라 형성위치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사행방지수단(40)은 소재의 이송 경로에서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하부 금형(10,20)에 구비되며,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를 통해 이송되는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행방지수단(40)은 상,하부 금형(10,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소재의 가공시 사행방지 보조부에 결합되어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유닛(42)과, 사행방지유닛(4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하부 금형(10,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를 포함한다.
사행방지유닛(42)은 몸체(42a), 사행방지부재(42b) 및 탄성부재(42c)를 포함한다.
몸체(42a)는 상,하부 금형(10,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42a)는 고정볼트(44)에 의해 상부 금형(10)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사행방지부재(42b)는 몸체(42a)로부터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부 금형(10)의 하강 시 사행방지부재(42b)는 하부 금형(20)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에 삽입된다. 즉, 상부 금형(10)이 하부 금형(20)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되면, 사행방지부재(42b)는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를 관통하여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에 삽입된다.
사행방지부재(42b)는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와의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행방지부재(42b)는 상부측이 하부측보다 단면적이 넓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행방지부재(42b)가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 시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만약에 소재가 소정 각도 틀어지더라도 사행방지부재(42b)의 끝단부가 사행방지 보조부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사행방지부재(42b)가 사행방지 보조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후 사행방지부재(42b)가 계속하여 하강되면 소정 각도 틀어진 소재가 사행방지부재(42b)에 의해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행방지부재(42b)에 의해 소재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하부 금형(10,20)에 구비되는 절단부재(12,22)에 의해 소재를 절단하는 경우에 소재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2c)는 사행방지부재(42b)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몸체(42a)에 구비되어 사행방지부재(42b)의 사행방지 보조부에의 결합 후 사행방지부재(42b)를 사행방지 보조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재(42c)는 사행방지부재(42b)가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 시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재를 하부 금형(20)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부 금형(10)의 상승 시 사행방지부재(42b)는 사행방지 보조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탄성부재(42c)로는 코일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는 하부 금형(20)에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금형(10)의 하강 시 사행방지부재(42b)는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를 관통하여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에 삽입된다.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는 고정볼트(48)에 의해 하부 금형(2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사행방지수단(40)은 소재의 이송 경로를 따라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소재의 가공을 위해 소재가 다수의 피치로 이동되는 경우 소재의 각 피치에 대응되도록 사행방지수단(40)이 소재의 이송 경로를 따라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를 통해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에 사행방지수단(40)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42b)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소재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재의 폭에 관계없이 소재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형성하여 사행방지부재(42b)를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소재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재의 폭 편차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금형(10,20) 중 어느 하나에 홀 가공유닛(50)이 구비된다.
홀 가공유닛(50)은 상부 금형(10)에 구비된 홀 가공펀치(52)를 포함한다. 홀 가공펀치(52)는 홀 가공다이(54)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부 금형(10)의 하강 시 홀 가공홈(55)에 삽입되어 소재에 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홀을 형성하는 가공을 블랭킹 공정이 아닌 레이저 커팅 공정에서 수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블랭킹 공정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레이저 커팅 공정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되어 제품 생산성이 증가하고 제품의 제조원가도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홀 가공펀치(52)에 대응되는 홀 가공홈(55)은 하부 금형(20)에 구비된 홀 가공다이(54)에 형성된다. 상부 금형(10)이 하부 금형(20)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되면, 홀 가공펀치(52)는 소재를 관통하여 홀 가공홈(55)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과 사행방지수단(40)에 의해 소재가 사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홀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홀 가공펀치(52) 및 이에 대응되는 홀 가공다이(54)는 최종 제품의 형상 품질에 따라 홀 가공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상,하부 금형(10,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소재가 블랭킹 금형조립체의 전단에 배치되는 피딩유닛(미도시)에 의해 상,하부 금형(10,20)의 사이로 이송된다. 이때, 소재의 끝단부는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을 통과하도록 제1 피치만큼 이송된다.
이후, 상부 금형(10)이 하강한다. 상부 금형(10)의 하강에 따라 펀칭부재(33)에 의해 소재에는 사행방지 보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소재에 사행방지 보조부가 형성되면 상부 금형(10)은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피딩유닛에 의해 소재가 제2 피치만큼 이송된다. 이때, 소재는 사행방지 보조부가 하부 금형(20)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의 상부에 위치할 때까지 이송된다.
이후, 상부 금형(10)이 다시 하강하고, 사행방지부재(42b)는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를 관통하여 하부 금형(20)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 대응부(46)에 삽입된다.
이때, 홀 가공펀치(52)는 홀 가공다이(54)에 형성된 홀 가공홈(55)에 삽입되면서 소재에 홀을 가공하게 된다. 또한,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30)은 소재의 후단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더 형성한다.
한편, 이송되는 소재(S)가 소정 각도 틀어져서 이송되더라도, 사행방지부재(42b)의 끝단부가 사행방지 보조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사행방지부재(42b)는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될 수 있고, 이후 사행방지부재(42b)에 의해 소정 각도 틀어진 소재가 정상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소재가 이송되는 경우 소재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금형(20)의 상승이 완료되면, 피딩유닛에 의해 소재는 다시 제3 피치만큼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벨트(26)에 안착된 소재는 레이저 커팅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품화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상부 금형 12 : 절단부재
14 : 상부패널 20 : 하부 금형
22 : 절단부재 24 : 지지부재
26 : 이송벨트 30 :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
32 : 펀칭 다이 33 : 펀칭 부재
36 : 버튼 다이 37 : 버튼홀
40 : 사행방지수단 42 : 사행방지유닛
42a : 몸체 42b : 사행방지부재
42c : 탄성부재 46 : 사행방지부재 대응부
50 : 홀 가공유닛 52 : 홀 가공펀치
54 : 홀 가공다이 55 : 홀 가공홈

Claims (7)

  1. 상호 협력하여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도록 이송되는 소재를 블랭크로 가공하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어, 상기 소재의 가공 시 소재로부터 최종적으로 절단되는 절단부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형성하는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의 후방 경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수단; 및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구비되어, 최종 제품에 형성되는 홀을 가공하는 홀 가공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 형성유닛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이송되는 소재에 사행방지 보조부를 가공하는 펀칭 부재가 구비되는 펀칭 다이; 및
    상기 펀칭 다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펀칭 부재가 삽입되는 버튼홀이 형성되는 버튼 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가공유닛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홀 가공펀치; 및
    상기 홀 가공펀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홀 가공펀치가 삽입되는 홀 가공홈이 형성되는 홀 가공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가공펀치 및 홀 가공다이는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소재의 가공 시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에 삽입되어 소재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사행방지유닛; 및
    상기 사행방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사행방지부재 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유닛은,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사행방지부재 대응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사행방지부재; 및
    상기 사행방지부재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사행방지부재의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에의 결합 후 상기 사행방지부재를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부재는 상기 사행방지 보조부에의 결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KR1020110085871A 2011-08-26 2011-08-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KR10126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871A KR101263117B1 (ko) 2011-08-26 2011-08-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871A KR101263117B1 (ko) 2011-08-26 2011-08-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880A KR20130022880A (ko) 2013-03-07
KR101263117B1 true KR101263117B1 (ko) 2013-05-15

Family

ID=4817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871A KR101263117B1 (ko) 2011-08-26 2011-08-26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790B1 (ko) * 2013-09-12 2014-09-12 유승국 진단 키트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진단 키트
CN104438554B (zh) * 2014-10-30 2017-02-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厚板连续落料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2154A (ja) * 2002-08-26 2004-03-18 Metoo Kakefu:Kk パンチ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2154A (ja) * 2002-08-26 2004-03-18 Metoo Kakefu:Kk パンチ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880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3280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 시트용 시트 백 프레임의 상부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상부 브라켓
JP5898411B2 (ja) インサートカラーの成形方法
US11161166B2 (en) Forging method and forging apparatus
CN106001264A (zh) 一种金属板材弯折件的制造方法、制品及专用弯折模具
US20170120319A1 (en) Continuous punch apparatus
JP7368295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
JP2014161878A (ja) プレス型のスクラップ排出装置
CN105798152A (zh) 摄像头护罩的加工模具
KR101263117B1 (ko)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US200902553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ing-Shaped Member
CN105798140A (zh) 插片的加工模具
KR101915289B1 (ko) 자동차 차체용 블랭킹 전단 금형장치
JP5628628B2 (ja) ブランキングプレス方法及びその装置
JP7394006B2 (ja) 順送プレス装置およ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
CN105798142A (zh) 保持架的加工模具
CN112404235A (zh) 一种异形汽车支架的落料成型模具及其排样方法
JP5796526B2 (ja) 打ち抜き加工装置および打ち抜き加工方法
KR100655456B1 (ko) 링크부재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CN211938607U (zh) 一种刀口间隙可调节的落料模
JP7409940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
CN105798147A (zh) 取暖器的连接支架的加工模具
CN105798165A (zh) 电动车控制器的固定架的加工模具
KR20160145934A (ko) 차량의 프레임 구성용 체결 하우징의 제조방법
CN105798158A (zh) 汽车座椅的连接支架的加工模具
CN105798161A (zh) 洗衣机的箱体插板的加工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