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808A -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808A
KR20230018808A KR1020210100756A KR20210100756A KR20230018808A KR 20230018808 A KR20230018808 A KR 20230018808A KR 1020210100756 A KR1020210100756 A KR 1020210100756A KR 20210100756 A KR20210100756 A KR 20210100756A KR 20230018808 A KR20230018808 A KR 2023001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tower
column
scaff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151B1 (ko
Inventor
심영섭
이정석
이승우
허용석
황지웅
Original Assignee
심영섭
이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섭, 이정석 filed Critical 심영섭
Priority to KR102021010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1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2Scaffold feet, e.g. with arrangements for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들; 상기 멀티파이프 기둥들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각각 기둥들에 설치되며, 각각 출입구가 구비되는 발판들; 및 상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발판들 중 아래쪽 발판과 위쪽 발판의 출입구를 연결하는 사다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파이프 기둥은,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연결유닛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가 높은 시설물에 대한 부품설치, 점검, 수리 등의 작업을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TOWER TYPE WORKING STAND HAVING MULTI-PIPE COLUMN}
본 발명은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발전기, 대형 보일러와 같이 높이를 갖는 시설물의 아래 부분이나 측면에 부품을 설치하거나 부품들을 점검 및 수리를 할 때 두 개의 직선형 사다리의 상단을 연결한 A자형 사다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A자형 사다리를 사용하게 될 경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부분이 너무 협소하여 작업 위치를 바꿀 때마다 작업자가 작업하던 A자형 사다리에서 내려와 A자형 사다리의 위치를 이동시킨 다음 다시 사다리에 올라가 작업하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여 높이가 높을 경우 쉽게 사다리가 넘어지게 되는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111597호(2007. 11. 22.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이라 함)에는 파이프인 네 개의 비계기둥들과 그 네 개의 비계기둥들의 상단에 발판이 결합된 건축용 비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일정 높이의 시설물에 대하여 작업자가 발판 영역을 이동하면서 점검 및 수리 작업이 가능하나, 높이가 높은 시설물에 대한 점검 및 수리 작업을 하기 위하여 비계기둥의 높이를 높이게 될 경우 비계기둥의 구조적 안정성 저하로 휘어지거나 넘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높은 시설물에 대한 부품설치, 점검, 수리 등의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들; 상기 멀티파이프 기둥들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각각 멀티파이프 기둥들에 설치되며, 각각 출입구가 구비되는 발판들; 및 상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발판들 중 아래쪽 발판과 위쪽 발판의 출입구를 연결하는 사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파이프 기둥은,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연결유닛들을 포함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가 제공된다.
상기 발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발판들은 위에서 볼 때 두 개의 발판들의 출입구가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기둥파이프들은 네 개이며, 상기 네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은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연결유닛은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이 각각 관통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들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는 단위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단위 기둥파이프가 관통 삽입되는 파이프결합부와, 상기 파이프결합부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 돌출되어 상기 단위연결관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돌출부들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연결돌출부들의 사잇각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창살형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들을 포함하며, 멀티파이프 기둥이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 파이프연결유닛들을 포함하게 되므로 수직 구조물이 견고하고 멀티파이프 기둥의 지지면적을 극대화하면서 무게를 가볍게 하여 높이가 높을 경우에도 안정성을 높이면서 설치가 수월하게 된다.
본 발명은 멀티파이프 기둥들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발판들이 위치하되 각각 멀티파이프 기둥들에 설치되며 그 발판들에 각각 출입구가 구비되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발판들 중 아래쪽 발판과 위쪽 발판의 출입구를 연결하는 사다리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위로 이동하기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높이가 높은 시설물에 대한 부품설치, 점검, 수리 등의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부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일실시예는, 멀티파이프 기둥(10)들, 발판(20)들, 사다리(30)를 포함한다.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네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은 사각형의 네 개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은 다섯 개 또는 여섯 개가 될 수도 있다.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이 다섯 개일 경우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은 오각형의 다섯 개 각 꼭지점들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이 여섯 개일 경우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은 육각형의 여섯 개 각 꼭지점들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이 네 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멀티파이프 기둥(10)의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파이프 기둥(10)은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들과, 그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들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연결유닛(12)들을 포함한다.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은 일예로, 네 개이며, 그 네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은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은 세 개 또는 다섯 개가 될 수도 있다. 단위 기둥파이프(11)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기둥파이프(11)는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사각 파이프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단위 기둥파이프(11)가 원형 파이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이프연결유닛(12)의 일예로, 파이프연결유닛(12)은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이 각각 관통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들과, 그 연결부재(1)들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연결부재(1)들을 연결하는 단위연결관(2)을 포함한다. 연결부재(1)의 일예로, 연결부재(1)는 단위 기둥파이프(11)가 관통 삽입되는 파이프결합부(3)와, 그 파이프결합부(3)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 돌출되어 단위연결관(2)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돌출부(4)들을 포함한다. 파이프결합부(3)는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이 단위 기둥파이프(11)의 외경과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내주면에 원형 홈들이 형성된다. 연결돌출부(4)는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경이 단위연결관(2)의 내경과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반원홈들이 형성된다. 연결돌출부(4)는 두 개이며 그 두 개의 연결돌출부(4)는 서로 사잇각이 90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연결유닛(12)은 네 개의 연결부재(1)들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연결부재(1)가 단위연결관(2)에 의해 연결되되, 한 개 연결부재(1)의 한 개 연결돌출부(4)가 단위연결관(2)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삽입되고 다른 한 개 연결부재(1)의 한 개 연결돌출부(4)가 단위연결관(2)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에 삽입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단위연결관(2)의 양쪽 단부를 각각 가압하여 연결돌출부(4)의 반원홈들에 단위연결관(2)의 단부 일부분이 압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연결유닛(12)의 네 개의 연결부재(1)들에 각각 단위 기둥파이프(11)이 관통 결합된다.
단위 기둥파이프(11)들에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의 휨을 방지하는 연결판(미도시)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판은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또한 파이프연결유닛(1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단위 기둥파이프(11)들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판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부와, 그 판부에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이 각각 관통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통구멍들을 포함한다. 단위 기둥파이프(11)들과 연결판은 용접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의 각 하단에 기둥바닥판이 연결될 수도 있다.이때, 단위 기둥파이프(11)들의 각 하단은 기둥바닥판에 의해 지지된다.
발판(20)들은 멀티파이프 기둥(10)들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각각 멀티파이프 기둥(10)들에 설치되며, 각각 출입구가 구비된다. 발판(20)의 일예로, 발판(20)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지지봉(21)들과, 그 두 개의 지지봉(21)들에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위발판(22)들을 포함하되, 한쪽 끝에 위치하는 단위발판(22)에 출입구(23)가 구비된다. 단위발판(22)의 일예로, 단위발판(22)은 사각프레임(7)과, 그 사각프레임(7)에 일렬로 배열되는 지지판(8)들과, 사각프레임(7)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걸림대(9)를 포함한다.
한 개 지지봉(21)의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들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한 개 지지봉(21)의 양단부가 다른 두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에 각각 연결되어 두 개의 지지봉(21)이 평행하게 위치하며, 단위발판(22)의 양쪽 걸림대(9)들이 두 개의 지지봉(21)에 각각 걸쳐진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발판(20)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다.
멀티파이프 기둥(10)들에 설치된 발판(20)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발판(20)들은 위에서 볼 때 두 개의 발판(20)들의 출입구(23)가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20)이 인접한 상측으로 멀티파이프 기둥(10)들에 각각 파이프연결유닛(12)이 위치하며, 그 파이프연결유닛(12)들은 서로 연결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유닛(12)들은 한 개의 연결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파이프의 한쪽 단부가 한 개의 파이프연결유닛(12)를 구성하는 단위연결관(2)에 연결되고 연결파이프의 다른 한쪽 단부가 다른 한 개의 파이프연결유닛(12)를 구성하는 단위연결관(2)에 연결된다. 파이프연결유닛(12)들이 네 개인 경우 연결파이프가 네 개가 된다.
사다리(30)는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발판(20)들 중 아래쪽 발판(20)과 위쪽 발판(20)의 출입구(23)를 연결한다. 또한, 사다리(30)는 멀티파이프 기둥(10)들에 설치되는 발판(20)들 중 맨아래 위치하는 발판(20)과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30)가 구비되며, 그 사다리(30)의 상단은 발판(20)의 출입구(23)에 연결된다. 발판(20)에 출입구(23)를 개폐하는 창살형 도어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멀티파이프 기둥(10)들에 설치되는 발판(20)들 중 맨위쪽 발판(20)의 위쪽에 복수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을 연결하는 난간(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간(50)은 네 개의 단위난간(51)들로 구성되며, 그 네 개의 단위난간(51)들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10)들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하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발판(20)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10)들 사이에 가새(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새(60)의 한쪽 단은 한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10)에 연결되되, 상측 발판(20)과 인접하도록 연결되고, 가새(60)의 다른 한쪽 단은 다른 한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10)에 연결되되, 하측 발판(20)과 인접하도록 연결된다. 가새(60)가 멀티파이프 기둥(10)에 연결시 멀티파이프 기둥(10)에 연결된 파이프연결유닛(12)에 연결되되, 파이프연결유닛(12)을 구성하는 단위연결관(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작업대는 작업 영역 폭이 좁고 높은 시설물의 측면이나 아래 부분에 부품설치, 점검, 수리 등의 작업을 작업자가 하기 위하여 시설물에 인접하거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작업자는 사다리(30)들과 발판(20)들을 통해 위로 이동하며, 맨위쪽에 위치한 발판(20)에서 시설물에 부품 설치, 시설물 점검 및 수리 등의 작업을 작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10)들을 포함하며, 멀티파이프 기둥(10)이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11)들, 파이프연결유닛(12)들을 포함하게 되므로 수직 구조물이 견고하고 멀티파이프 기둥(10)의 지지면적을 극대화하면서 무게를 가볍게 하여 높이가 높을 경우에도 안정성을 높이면서 설치가 수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파이프 기둥(10)들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발판(20)들이 위치하되 각각 멀티파이프 기둥(10)들에 설치되며 그 발판(20)들에 각각 출입구(23)가 구비되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발판(20)들 중 아래쪽 발판(20)과 위쪽 발판(20)의 출입구(23)를 연결하는 사다리(30)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위로 이동하기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높이가 높은 시설물에 대한 부품 설치, 점검, 수리 등의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0; 멀티파이프 기둥 11; 단위 기둥파이프
12; 파이프연결유닛 20; 발판
30; 사다리

Claims (6)

  1.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멀티파이프 기둥들;
    상기 멀티파이프 기둥들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각각 기둥들에 설치되며, 각각 출입구가 구비되는 발판들; 및
    상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발판들 중 아래쪽 발판과 위쪽 발판의 출입구를 연결하는 사다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파이프 기둥은,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연결유닛들을 포함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발판들은 위에서 볼 때 두 개의 발판들의 출입구가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둥파이프들은 네 개이며, 상기 네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은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유닛은 복수 개의 단위 기둥파이프들이 각각 관통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들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는 단위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단위 기둥파이프가 관통 삽입되는 파이프결합부와, 상기 파이프결합부의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 돌출되어 상기 단위연결관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출부들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연결돌출부들의 사잇각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창살형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KR1020210100756A 2021-07-30 2021-07-30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KR10260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56A KR102601151B1 (ko) 2021-07-30 2021-07-30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56A KR102601151B1 (ko) 2021-07-30 2021-07-30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808A true KR20230018808A (ko) 2023-02-07
KR102601151B1 KR102601151B1 (ko) 2023-11-10

Family

ID=8525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756A KR102601151B1 (ko) 2021-07-30 2021-07-30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93Y1 (ko) * 2000-01-25 2000-07-15 이인배 조립식 가설대
JP2007092515A (ja) * 2005-09-05 2007-04-12 Shigeki Nakamura 管継手
CN112609966A (zh) * 2020-12-17 2021-04-06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简易格构柱叠合板体系构筑超厚混凝土顶板的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93Y1 (ko) * 2000-01-25 2000-07-15 이인배 조립식 가설대
JP2007092515A (ja) * 2005-09-05 2007-04-12 Shigeki Nakamura 管継手
CN112609966A (zh) * 2020-12-17 2021-04-06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简易格构柱叠合板体系构筑超厚混凝土顶板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151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24568U (zh) 脚手架
KR101289048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CN204163364U (zh) 一种电梯井支模和操作钢平台
JP6021604B2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0862737B1 (ko)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20230018808A (ko)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JP2011074725A (ja) 階段ベランダ工事用足場
JP2015229852A (ja)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立設工法及び装置
JP2010090633A (ja) 筒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組立式作業足場
JP6889630B2 (ja)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JP5971878B1 (ja) 骨組構造物用構造材及びこれを用いた骨組構造物
KR102395174B1 (ko) 계단형 작업대
JP2009209543A (ja) 足場板とこれを用いた単管足場構造
JP3121964U (ja) 作業用の架台及び足場
RU23899U1 (ru) Строительные леса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иагональных и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связей несущих рам строительных лесов
CN217557590U (zh) 一种用于深基坑钢围檩及钢支撑架设的操作平台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JPH06248794A (ja) 大型組立式移動足場
JP2012127106A (ja) 高層構造物の近傍に存在している下部設備の養生施設と、下部設備の養生施設の構築方法
CN213837623U (zh) 一种多用途组合式脚手架
CN105464355A (zh) 一种用于曲面建筑外窗安装的操作平台
KR200276904Y1 (ko) 교량 점검용 교각 점검대 구조
JP3638761B2 (ja) H形枠組み足場
AU2010101120A4 (en) Scaffolding system
AU2014215948A1 (en) Cantilever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