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84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684A
KR20230016684A KR1020227045993A KR20227045993A KR20230016684A KR 20230016684 A KR20230016684 A KR 20230016684A KR 1020227045993 A KR1020227045993 A KR 1020227045993A KR 20227045993 A KR20227045993 A KR 20227045993A KR 20230016684 A KR20230016684 A KR 2023001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tate
protection chamber
vehicle sea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키 이토
유타카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01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60R2021/207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in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와 차실의 루프나 내장품 사이의 간격이 좁아도 팽창 전개 시에 에어백이 루프나 내장품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대한 보호 성능을 발휘 가능하도록 한다.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의 두부(12a)와 측방부를 일체적으로 덮는 에어백(22)과 인플레이터(3)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21)이다. 에어백(22)은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12)의 두부(12a)를 덮는 두부 보호 챔버(2cb)와 승차인(12)의 측방부를 덮는 측부 보호 챔버(2ca)를 가지고, 차량용 시트(9)의 등받이부(9a)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부를 경유하여 다른쪽 측부에 걸쳐 예를 들어,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수납된다. 상기 등받이부(9a)에 대한 상기 에어백(22)의 설치 단(22c)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에 상기 에어백(22)의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의 외주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부가 되접음부(22a)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의 충돌 시나 횡전 시에 승차인의 두부와 어깨부, 상완부, 흉부의 측방부를 일체적으로 보호함과 함께,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 부위에 추가로 복부와 허리부의 측방부까지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원에 있어서 '상', '상방'이란 정규 상태에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부 방향을, '하', '하방'이란 동일 상태의 승차인의 발 밑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 '전방'이란 정규 상태에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정면 방향을, '후', '후방'이란 동일 상태의 승차인의 배면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좌', '좌측'이란 정규 상태에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좌측 방향을, '우', '우측'이란 동일 상태의 승차인의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최근에, 예를 들어 차량의 충돌 시나 횡전 시에 차량용 시트의 수납부로부터 팽창 전개하는 후드 형상(셸 형상)의 에어백에 의해, 승차인의 두부와 승차인의 어깨부, 상완부, 흉부의 측방부를 일체적으로 덮어 승차인을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이러한 종류의 에어백 장치(1)의 에어백(2)은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팽창 에어백(2)을 펼쳐 평탄한 면에 평평하게 놓은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보다도 좌우 방향이 긴 형상이며, 동일한 두 장의 시트(2a, 2b)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외주부와 좌우 방향의 중심부를 봉합하여 봉제부(4, 5)를 설치함으로써 봉제부(5)의 좌우에 동일한 형상의 팽창 가능한 챔버(2c)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의 챔버(2c)는 봉제부(6)에서 내부를 봉합함으로써 에어백(2)의 좌우 각각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측부 보호 챔버(2ca)와, 에어백(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두부 보호 챔버(2cb)로 구획하고 있다.
도 9의 에어백(2)에서는 봉제부(6)의 일단 측을 상기 외주부의 봉제부(4)와 연속시키지 않음으로써 측부 보호 챔버(2ca)와 두부 보호 챔버(2cb) 사이에 통기구(7)를 형성하고 있다. 이 통기구(7)는 측부 보호 챔버(2ca)의 팽창이 완료했을 때, 측부 보호 챔버(2ca)로부터 두부 보호 챔버(2cb)에 가스를 흐르게 하고, 두부 보호 챔버(2cb)로의 가스 공급을 보충한다.
상기 에어백(2)은 예를 들어 상기 좌우의 챔버(2c)에 각각 인플레이터(3)의 삽입부(2d)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의 챔버(2c)에 각각의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스를 공급하며 좌우의 챔버(2c)가 유체적으로 독립하여 팽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에어백(2)에서는 상기 삽입부(2d)에 대략 Y자 형상의 가스 가이드(8)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가스 가이드(8)는 인플레이터(3)를 삽입하는 입구(8a)와, 인플레이터(3)로부터 분출한 가스를 측부 보호 챔버(2ca)에 안내하는 제1 출구(8b)와, 두부 보호 챔버(2cb)에 안내하는 제2 출구(8c)를 가지고 있다. 제1 출구(8b)와 제2 출구(8c)의 단면적은 측부 보호 챔버(2ca)와 두부 보호 챔버(2cb)에 공급하는 가스량에 의해 적절히 결정한다.
상기 에어백(2)은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9)의 등받이부(9a)를 지지하는 프레임(9b)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부를 경유하여 다른쪽 측부에 걸쳐 예를 들어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수납된다. 구체적으로는, 두부 보호 챔버(2cb)는 상기 등받이부(9a)의 상부에 수납되고 측부 보호 챔버(2ca)는 상기 등받이부(9a)의 좌우 측부의 서로 이간한 대향 위치에 수납된다. 또한 등받이부(9a)의 상부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9a)와 헤드레스트(9c)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차량용 시트(9)의 경우에는 헤드레스트(9c)의 상부를 의미한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19-14477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특허공개2018-83554호 공보
그런데 최근 자동차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백(2)을 수납한 차량용 시트(9)와 차실 루프나 내장품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2)을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히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등받이부(9a)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수납 상태에서, 도 12(a) ~ 도 1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2)이 팽창 전개하는 과정에서 에어백(2)이 차실의 루프(10)나 내장품(11)과 간섭할 우려가 있다(도 12(c), 도 12(d) 참조). 이와 같이 팽창 전개 시에 에어백(2)이 차실의 루프(10)나 내장품(11)과 간섭한 경우 에어백(2)의 팽창 전개 방향이 변화하고, 초기 보호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승차인(12)을 적당하게 보호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에어백을 단순히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에 수납한 경우, 팽창 전개 시에 루프나 내장품과 간섭하여 팽창 전개 방향이 변화하고 초기 보호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차량용 시트와 차실의 루프나 내장품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도, 팽창 전개 시에 에어백이 루프나 내장품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대한 보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부와 측방부를 일체적으로 덮도록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이다.
상기 에어백은 팽창 전개가 완료한 팽창 완료 상태에 있어서 승차인의 정수리부로부터 측두부를 덮는 두부 보호 챔버와, 승차인의 측방부를 덮는 측부 보호 챔버를 가짐과 함께,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 또는 벨로스(bellows) 형상으로 접은 상태에서,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부를 경유하여 다른쪽 측부에 걸쳐 수납되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대한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설치 단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에 부가 되접음부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부 보호 챔버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수납되고 측부 보호 챔버는 상기 등받이부의 좌우 측부의 서로 이간한 대향 위치에 수납된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란 등받이부와 헤드레스트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차량용 시트의 경우는 헤드레스트의 상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부에 대한 상기 감은 상태 또는 접은 상태의 에어백의 설치 단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의 일부에 부가 되접음부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 중 롤링 형상으로 감기거나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힌 부분의 적어도 후측의 일부분을 덮도록 설치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여기서 '후측의 일부분'이란 착석한 승차인과는 반대측의 일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표면 근방으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상기 반대측의 외주 부분의 형상을 따라 상부 근방까지 연장하고, 상기 상부 근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되접힌 되접음부를 개재하여 상기 외주 부분의 나머지 부분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의 표면 근방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부가 되접음부가 팽창 전개하여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을 결정하는 안내벽을 형성하므로 이후에 팽창 전개하는 두부 보호 챔버나 측부 보호 챔버는 루프나 내장품과 간섭하지 않고 기대한 보호 성능을 발휘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가 되접음부가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외주 부분 중 상기 착석한 승차인과는 반대측의 외주 부분을 덮는 것은, 착석한 승차인 측을 덮는 경우,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을 결정하는 안내벽의 역할을 발휘하도록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은 상태의 에어백의 정수리 부분도 더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의 착석한 승차인과는 반대측의 외주 부분에 더하여, 에어백의 정수리 부분도 더 덮는 길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을 결정하는 안내벽으로서의 효과가 향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의 상기 정수리 부분을 거쳐 상기 정수리 부분으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착석한 승차인 측의 상부의 일부분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의 상기 정수리 부분을 거쳐 상기 정수리 부분으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착석한 승차인 측의 상부의 일부분도 덮는 길이를 가진다면 더욱 확실하게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적어도 두부 보호 챔버에 상당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주로 간섭하는 부분은 차실 내의 루프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부가 되접음부가 팽창 전개하여 안내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안내벽을, 상기 안내벽에 의해 인도되어 두부 보호 챔버나, 측부 보호 챔버가 루프나 내장품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해 둠으로써, 이후에 팽창 전개하는 상기 챔버는 루프나 내장품과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대한 보호 성능을 발휘 가능하고 승차인을 적당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에어백의 제1 실시예를 평탄한 면에 평평하게 놓은 미팽창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두부 보호 챔버를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2와 동일한 상태에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2와 동일한 상태로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팽창 전개 개시 직후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팽창 전개 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팽창 전개 중기의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팽창 전개 후기의 사시도이다.
도 5(E)는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팽창 전개 완료 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2와 동일한 상태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에어백의 제5 실시예를 평탄한 면에 평평하게 놓은 미팽창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제5 실시예의 팽창 전개 완료 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승차인의 두부와 승차인의 어깨부, 상완부, 흉부의 측방부를 일체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을 평평하게 놓고 펼친 전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에어백 장치를 설치한 차량용 시트를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본 도이며, (a)는 헤드레스트가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에 별도 설치되어 있는 것, (b)는 헤드레스트가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9의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에어백의 두부 보호 챔버를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a)는 도 9의 에어백 장치의 팽창 전개 개시 직후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9의 에어백 장치의 팽창 전개 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12(c)는 도 9의 에어백 장치의 팽창 전개 중기의 사시도이다.
도 12(d)는 도 9의 에어백 장치의 팽창 전개 후기의 사시도이다.
도 12(e)는 도 9의 에어백 장치의 팽창 전개 완료 시의 사시도이다.
에어백을 단순히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은 상태로 하여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에 수납한 경우, 팽창 전개 시에 루프나 내장품과 간섭하여 기대한 보호 성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의 에어백의, 상기 등받이부에 대한 설치 단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에,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착석한 승차인과는 반대측의 외주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부가 되접음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21)는 차량의 충돌 시나 횡전 시에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의 두부(12a)와 예를 들어 어깨부(12b), 상완부(12c), 흉부(12d)의 측방부를 덮도록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22)과, 상기 에어백(22)의 내부에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3)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백(22)은 그 좌우에 대칭인 동일한 형상의 챔버(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챔버(2c)는 팽창 전개가 완료한 팽창 완료 상태에 있어서 승차인(12)의 두부(12a)(구체적으로는 정수리부로부터 측면 두부)를 덮는 두부 보호 챔버(2cb)와, 승차인(12)의 측방부를 덮는 측부 보호 챔버(2c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챔버(2c), 측부 보호 챔버(2ca) 및 두부 보호 챔버(2cb)에 대하여 '챔버'란 내부 공간 뿐만 아니라 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를 포함하는 주머니체를 의미한다.
차량용 시트(9)는 시트 쿠션(9d)과 등받이부(9a)를 구비하고 있고 등받이부(9a)는 그 상부에 헤드레스트(9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 쿠션(9d) 및 상기 등받이부(9a)는 프레임(9b)(도 10을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22)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의 에어백(22)은 먼저 도 9에서 설명한 에어백(2)과 이하의 부분이 특히 상이하다.
- 인플레이터(3)의 설치 위치를 에어백(22)의 좌우 양측의 하부로 한 점.
- 예를 들어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의 에어백(22)의, 차량용 시트(9)의 등받이부(9a)에 대한 설치 단(22c)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의 일부에 부가 되접음부(22a)를 설치한 점.
- 좌우 방향 중앙부의 봉제부(5)에 통기구(24)를 설치하여 좌우의 챔버(2c)를 연통시키고 있는 점.
에어백(22)은 도 1에 나타내는 평평하게 놓은 상태에 있어서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롤링 형상으로 감거나 또는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벨로스 형상으로 접음으로써 전후 방향의 치수가 짧아지고 등받이부(9a)에 수납될 때의 수납 상태가 된다. 에어백(22)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9)의 등받이부(9a)를 지지하는 프레임(9b)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부를 경유하여 다른쪽 측부에 걸쳐, 예를 들어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수납된다. 이때 측부 보호 챔버(2cb)는 등받이부(9)의 좌우 양측부의 서로 이간한 대향 위치에, 두부 보호 챔버(2ca)는 등받이부(9)의 상부에 각각 수납된다. 부가 되접음부(22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상태에서 등받이부(9a)에 대한 에어백(22)의 설치 단(22c)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롤링 형상으로 감은 에어백(22)을 등받이부(9a)에 수납할 시, 부가 되접음부(22a)로 에어백(22)의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의 외주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한다. 설치 단(22c)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구(13)에 의해 등받이부(9a)를 지지하는 프레임(9b)에 고정된다. 부가 되접음부(22a)의 설치 단(22c)은 등받이부(9a)의 표면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부가 되접음부(22a)는 그 전후 방향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수납 상태의 에어백(22)의 외주 부분 중 어느 부분을 덮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부가 되접음부(22a)는 수납 상태의 에어백(22) 중 롤링 형상으로 감기거나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힌 부분의 적어도 후측의 일부분을 덮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가 되접음부(22a)는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의 에어백(22)의 외주 부분 중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대략 반주(半周)를 덮고 있다. 부가 되접음부(22a)는 수납 형태의 에어백(22)의 후측의 외주 부분의 형상을 따라 정수리 부분(22b) 근방까지 연장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3에서는, 부가 되접음부(22a)는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의 에어백(22)의 외주 부분 중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정수리 부분(22b)까지를 덮고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4에서는, 부가 되접음부(22a)는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의 에어백(22)의 외주 부분 중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정수리 부분(22b)을 거쳐 착석한 승차인(12) 측까지도 덮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 ~ 도 4에서는 도면 우측에 승차인(12)이 착석하고 있으며 도면 좌측이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이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21)는 충돌이나 횡전 등에 의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고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스가 분출한 경우, 에어백(22)은 도 5(a) ~ 도 5(E)에 나타내는 순서대로 팽창하여 전개한다.
분출한 가스는 가스 가이드(8)를 통하여 부가 되접음부(22a)와 측부 보호 챔버(2ca)에 안내되고 이에 의해 부가 되접음부(22a)와 측부 보호 챔버(2ca)가 팽창 전개한다. 이때 측부 보호 챔버(2ca)보다도 부가 되접음부(22a)가 먼저 팽창 전개하도록 가스 가이드(8)의 제1 출구(8b)와 제2 출구(8c)의 단면적을 결정해둔다. 혹은, 구체적인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2 출구(8c)가 부가 되접음부(22a)에 한층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도록 가스 가이드(8)의 두부 보호 챔버(2c) 내의 제2 출구(8c) 측이 부가 되접음부(22a) 근방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팽창 전개한 부가 되접음부(22a)는 예를 들어 두부 보호 챔버(2cb)의 팽창 전개 방향을 결정하는 안내벽(23)을 형성한다(도 5(b)를 참조).
상기 부가 되접음부(22a)를 팽창하여 전개시킨 상기 가스는 이어서 두부 보호 챔버(2cb)에 안내되고 두부 보호 챔버(2cb)를 팽창하여 전개시킨다.
이 두부 보호 챔버(2cb)의 팽창 전개 시,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에어백(22)의 경우는, 두부 보호 챔버(2cb)는 상기 안내벽(23)에 안내되므로 차실 내의 루프(10)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도 5(c) ~ 도 5(E)를 참조).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21)는 먼저 부가 되접음부(22a)가 팽창 전개하여 에어백(22)의 팽창 전개 방향을 결정하는 안내벽(23)을 형성한다. 따라서 부가 되접음부(22a) 후에 팽창 전개하는 두부 보호 챔버(2cb)는 루프(11)와 간섭하지 않고 기대한 보호 성능을 발휘 가능하다. 또한 부가 되접음부(22a)와 대략 동일한 시기에 팽창 전개하는 측부 보호 챔버(2ca)와 내장품(12)의 간섭도 억제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21)는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에어백(22)을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차량용 시트(9)의 등받이부(9a)에 수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벨로스 형상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9a)에 수납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6에서는 상기 부가 되접음부(22a)는 예를 들어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을 정수리 부분(22b)까지 덮도록 연장한 다음 되접고, 상기 등받이부(9a)의 상부 표면 근방에 도달하도록 하방을 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벨로스 형상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9a)에 수납하는 경우에도 상기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와 마찬가지로 에어백(22)의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만을 덮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에어백(22)의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정수리 부분(22b)을 거쳐 차량용 시트(9)에 착석한 승차인(12) 측까지도 덮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에어백(22)의 변형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의 에어백(22)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롤링 형상으로 감은 수납 형태에 있어서 부가 되접음부(22a)가 등받이부(9a)를 지지하는 프레임(9b)에 대한 설치 단 측(22c)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 중 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의 외주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는 점은 도 1의 에어백(22)과 동일하다.
수납 상태의 에어백(22)은 롤링 형상으로 감긴 상태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힌 상태의 주 전개부와, 상기 주 전개부의 단부부터 차량용 시트(9)에 대한 설치 단(22c)까지, 상기 주 전개부의 적어도 후측(착석한 승차인(12)과는 반대측)을 덮도록 연장하는 부가 되접음부(22a)를 가지고 있다. 상기 주 전개부에는 팽창 완료 상태에 있어서 승차인(12)의 두부(12a)를 덮는 두부 보호 챔버(2cb)와 승차인(12)의 측방부를 덮는 측부 보호 챔버(2ca)가 포함된다. 에어백(22)은 도 7에 나타내는 평평하게 놓은 상태에 있어서 부가 되접음부(22a)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수납 상태의 에어백(22)의 외주 부분 중 부가 되접음부(22a)로 덮는 범위를 결정 가능하다.
도 7의 에어백(22)에서는 가스 가이드(8)의 제1 출구(8b)가 측부 보호 챔버(2ca)에 면하고 있는 점은 동일하지만 가스 가이드(8)의 제2 출구(8c)는 두부 보호 챔버(2cb)가 아니라 부가 되접음부(22a)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 도 1의 에어백(22)과 상이하다. 그리고 부가 되접음부(22a)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 출구(8c)의 단면적을 측부 보호 챔버(2ca)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출구(8b)의 단면적보다도 넓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7의 에어백(22)에서는 팽창 전개가 개시된 초기 단계에서 부가 되접음부(22a)가 확실하게 안내벽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하고, 그 후에 두부 보호 챔버(2cb)가 팽창 전개하여 측부 보호 챔버(2ca)와 함께 승차인(12)을 적확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7의 에어백(22)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 전개가 완료한 상태가 될 때까지의 사이에, 두부 보호 챔버(2cb)가 차실의 루프와 간섭하지 않으며 측부 보호 챔버(2ca)가 차실의 내장품과 간섭하는 일도 없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에어백(2)에서는 좌우 방향의 중심부의 봉제부(5)에는 통기구(24)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도 8에 있어서 (9d)는 시트 쿠션을, (14)는 시트 벨트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있다면 실시형태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즉, 이상에서 서술한 에어백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두부 보호 챔버(2cb)의 팽창 전개에 앞서 팽창 전개하는 부가 되접음부(22a)를 설치하고 있는데, 측부 보호 챔버(2ca)의 팽창 전개에 앞서 팽창 전개하는 부가 되접음부(22a)를 한층 더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 도 7에 나타낸 에어백(22)은 가스 가이드(8)를 설치하고 있는데 인플레이터(3)의 가스가 부가 되접음부(22a)를 지나 측부 보호 챔버(2ca)나 두부 보호 챔버(2cb)에 확실하게 인도하는 것이라면 가스 가이드(8)는 없어도 된다.
또한 도 1 ~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착석한 승차인이 차량 전방을 향하는 시트에 에어백 장치(21)를 설치하고 있는데 착석한 승차인이 차량 후방을 향하는 시트에 에어백 장치(21)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시트(9)는 자동 운전의 차량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 ~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승차인(12)의 두부(12a)와, 승차인(12)의 어깨부(12b), 상완부(12c), 흉부(12d)의 측방부를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22)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승차인(12)의 두부(12a)와 승차인(12)의 어깨부(12b), 상완부(12c), 흉부(12d)에 더해 승차인(12)의 복부와 허리부의 측방부까지를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도 1, 도 7에서 설명한 에어백(22)은 두 장의 시트를 봉제하여 형성하고 있는데 이른바 '원피스 위빙(one-piece weaving)'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2ca 측부 보호 챔버
2cb 두부 보호 챔버
3 인플레이터
9 차량용 시트
9a 등받이부
12 승차인
12a 두부
21 에어백 장치
22 에어백
22a 부가 되접음부
22b 정수리 부분
22c 설치 단

Claims (5)

  1.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부와 측방부를 일체적으로 덮도록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은,
    팽창 전개가 완료한 팽창 완료 상태에 있어서 승차인의 두부를 덮는 두부 보호 챔버와 승차인의 측방부를 덮은 측부 보호 챔버를 가짐과 함께,
    롤링 형상으로 감은 상태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은 상태에서,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의 한쪽 측부로부터 상부를 경유하여 다른쪽 측부에 걸쳐 수납되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대한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설치 단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주 부분에 부가 되접음부를 가지고,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 중 롤링 형상으로 감기거나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힌 부분의 적어도 후측의 일부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표면 근방으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후측의 외주 부분의 형상을 따라 상부 근방까지 연장하고, 상기 상부 근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되접혀 상기 등받이부의 표면 근방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정수리 부분도 더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상기 정수리 부분을 거쳐 상기 정수리 부분으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수납 상태의 에어백의 전방 측의 상부의 일부분도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되접음부는 적어도 상기 두부 보호 챔버에 상당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227045993A 2020-05-28 2021-04-28 에어백 장치 KR20230016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93217 2020-05-28
JPJP-P-2020-093217 2020-05-28
PCT/JP2021/017050 WO2021241126A1 (ja) 2020-05-28 2021-04-28 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684A true KR20230016684A (ko) 2023-02-02

Family

ID=7874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93A KR20230016684A (ko) 2020-05-28 2021-04-28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02419A1 (ko)
EP (1) EP4159552A4 (ko)
JP (1) JP7427780B2 (ko)
KR (1) KR20230016684A (ko)
CN (1) CN115667021A (ko)
WO (1) WO2021241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009622A1 (ko) * 2020-07-07 2022-01-13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554A (ko) 2017-01-13 2018-07-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시스템
KR20190014477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은이 버섯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3232B2 (en) * 2001-11-26 2007-01-16 Nihon Plast Co., Ltd. Curtain airbag and its folding method and system
JP4336073B2 (ja) * 2001-12-10 2009-09-3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2007091177A (ja) * 2005-09-30 2007-04-12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の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搭載したエアバッグ装置
JP4221017B2 (ja) * 2006-08-31 2009-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DE102009042594B4 (de) * 2009-05-29 2020-07-23 Autoliv Development Ab Fahrzeugsitz mit einer in oder an der Rückenlehne montierten Seitengassack-Einheit
JP2016203945A (ja) * 2015-04-28 2016-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399004B2 (ja) * 2016-01-20 2018-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624023B2 (ja) 2016-11-24 2019-12-25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657356B2 (ja) 2018-10-31 2020-03-04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WO2021070592A1 (ja) * 2019-10-11 2021-04-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554A (ko) 2017-01-13 2018-07-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시스템
KR20190014477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은이 버섯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2419A1 (en) 2023-06-29
JP7427780B2 (ja) 2024-02-05
EP4159552A1 (en) 2023-04-05
CN115667021A (zh) 2023-01-31
EP4159552A4 (en) 2024-05-08
WO2021241126A1 (ja) 2021-12-02
JPWO2021241126A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3392B2 (ja) 乗員保護装置
JP6380340B2 (ja) 乗員保護装置
US7350811B2 (en) Side airbag apparatus
JP442006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4434193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02880B2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748294B2 (ja) 乗員保護装置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JP6789606B2 (ja) 乗員保護装置
JP6940627B2 (ja) 乗員保護装置
JP709381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050847A (ja) 側突エアバッグ装置
JP7192725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16684A (ko) 에어백 장치
JP6517659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5550382B2 (ja) エアバッグ
JP51048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22154365A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2111674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4180278A1 (en) Airbag device
WO2023282021A1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23282019A1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23282017A1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31982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22164279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