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512A -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512A
KR20230012512A KR1020227041715A KR20227041715A KR20230012512A KR 20230012512 A KR20230012512 A KR 20230012512A KR 1020227041715 A KR1020227041715 A KR 1020227041715A KR 20227041715 A KR20227041715 A KR 20227041715A KR 20230012512 A KR20230012512 A KR 2023001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fixation
arm
arms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클라크
아이만 나세리
프랑크 브로디
주안 유진 주니어 데
Original Assignee
롱 브릿지 메디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 브릿지 메디컬, 인크. filed Critical 롱 브릿지 메디컬,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1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5Implant having one or more holes, e.g. for nutrient transport, for facilitating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64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for manual insertion during surgery, e.g. forceps-lik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94Capsular bag sprea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Surrounding o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02Separable from intraocular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05Having means on lens to reduce overall dimension of lens for insertion into small incision
    • A61F2002/169051Segmented zones
    • A61F2002/169053Segments f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9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plate-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6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circ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는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는, 중앙 구멍을 갖는 렌즈 지지 구조; 및 렌즈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을 포함한다. 관련 도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6/988,519호의 연속 출원이며, 또한 2020년 4월 29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17,423호 및 2020년 7월 17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53,450호에 대한 35 U.S.C. §119(e)에 따른 우선권의 이점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전반적으로 안과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안과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IOL)의 이식은 안내 렌즈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안구 내에 지지부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소대(zonules)(가는 실과 같은 구조)에 의해 현수된 자연 수정체 낭을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이들 지지 구조는 거짓비늘(pseudoexfoliation) 증후군, 마판(Marfan) 증후군, 또는 바일-메르케사니(Weill-Marchesani) 증후군과 같은 내인성 요인, 또는 트라우마와 같은 외인성 요인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렌즈 지지부는 수술(전안부(anterior segment) 또는 후안부(posterior segment) 수술) 시간 동안 또는 이전 수술의 후기 합병증으로서, 예를 들어, 피막 포경(capsular phimosis))에 의해 의인성으로(iatrogenically) 손상될 수 있다.
피막 또는 소대 지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2차 IOL 배치의 관리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현재 유일한 FDA 승인 해결책은 전방 챔버 IOL(anterior chamber IOL)(ACIOL)의 배치이다. ACIOL은 홍채 전방에 위치하는 능력이 있는 더 큰 렌즈이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이들 렌즈는 포도막염-녹내장-전방출혈(Uveitis-Glaucoma-Hyphema)(UGH) 증후군 뿐만 아니라 내피 세포 손실 및 각막 대상부전을 야기할 수 있고, 그 결과 많은 환자에게는 사용이 금지된다. 수정된 피막 장력 링(Cionni 또는 Ahmed)은 부분적으로 약화된 피막에 봉합된 공막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오프라벨(off-label)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당한 피막 또는 소대 손상의 경우, 이러한 자연 지지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가 고정되어야 한다. 홍채 봉합 IOL과 같은 다른 오프라벨 기술이 채용될 수 있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어렵고 녹내장을 유발하는 홍채 색소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섬(islets)이 있는 공막 봉합 IOL은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회전 위험이 있으며, 봉합의 내구성을 알 지 못하고; 파손 및 렌즈 아탈구 사례가 보고되었다. 또한, 이러한 모든 기술은 외과의가 환자에게 바람직한 렌즈 대신에 대체 렌즈 유형을 사용하도록 강제한다. 마지막으로, 초기 유리체 절제술/수정체 절제술 동안 종종 렌즈 계산이 부적절하지만 환자에게는 추가적인 후안부 수술을 받지 않으려는 바람이 있기 때문에, 타이밍 결정이 중요하고, 그에 따라 이상적이지 않은 렌즈가 자주 이식된다.
일 양태에서,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가 설명되며, 이 디바이스는, 외주 표면, 전방 대향 표면, 후방 대향 표면, 및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에서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중앙 구멍을 갖는 지지 구조를 포함하며, 단일 구멍은 연속적인 내주를 갖는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장력 상태로 배치되어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고정 아암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은 무봉합 공막 고정을 위해 경공막 앵커(trans-scleral anchor)에 결합된 말단 단부를 갖는다.
경공막 앵커는 비외상적으로 외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공막 앵커는 공막 외부 및 결막 내부에 위치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비평면형일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은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 및 제2 고정 아암은 각각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제3 고정 아암은 제1 및 제2 고정 아암의 단면적에 비교하여 증가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3 고정 아암의 증가된 단면적은 제1 고정 아암 또는 제2 고정 아암의 강성에 비교하여 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의 외주 표면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전방 대향 표면은 사용 동안 안내 렌즈가 배치되는 안정적인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 연속적인 내주는 균일한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외주 표면은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 시,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을 따라 섬모체(ciliary body)와 360도 접촉하지 않고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시, 지지 구조의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은 섬모체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거나 120도 미만을 따라 섬모체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 시, 지지 구조의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은 3개의 별개의 지점에서 섬모체 돌기(ciliary processes)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 구조의 외주 표면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오목한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로브는 지지 구조에 실질적으로 둥근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3개의 볼록한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볼록한 로브는 Z-평면에서 회전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시, 3개의 볼록한 로브는 섬모체와 비침투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중앙 구멍을 획정하는 내부 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중앙 구멍을 향해 테이퍼지는 후방 대향 표면까지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 단부에 경공막 앵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앵커를 그 길이를 따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 경공막 앵커는 공막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공막 앵커는 삽입 동안 제1 방향으로 공막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제2 반대 방향으로 공막을 통해 당기는 것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복수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굽힘된 고정 아암을 형성하는 경공막 앵커에 결합된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할 수 있다. 굽힘부는 반경방향 및 구심 방향으로 시작점으로부터 90도와 270도 사이일 수 있다. 굽힘부는 지지 구조와의 시작점으로부터 180도일 수 있다. 휴지 상태에 있을 때, 굽힘된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는 지지 구조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놓일 수 있고, 경공막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굽힘된 고정 아암은 말단 단부가 지지 구조의 평면에 접근하도록 굽힘된 고정 아암의 펴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재료 또는 변형 가능한 힌지를 통합할 수 있다. 2개의 고정 아암은 가요성이고 내향 편향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고정 아암은 2개의 고정 아암보다 덜 가요성일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의 경공막 앵커는 공막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공막 앵커는 중심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주변 파지 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부분은 앵커가 이식 시 외부화되는 상처 위에 놓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중심 부분은 파지 가능한 부분에 비교하여 증가된 두께, 높이, 및/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기계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기계적 보강은 이식 시 디바이스를 전방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인공적으로 구성된 고랑 내에 안내 렌즈를 배치하기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인공 소대 고정을 갖는 전방 피막 디바이스를 이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제1 평면에 놓이는 지지 구조를 갖는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지지 구조는 외주 표면, 전방 대향 표면, 후방 대향 표면, 및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에서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중앙 구멍을 갖는다. 단일 구멍은 연속적인 내주를 갖는다. 디바이스는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에 결합된 3개의 고정 아암을 갖는다.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무봉합 공막 고정을 위해 경공막 앵커에 결합된 말단 단부를 갖는다. 휴지 상태에 있을 때,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제1 굽힘된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한다. 제1 굽힘된 아암의 말단 단부는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놓인다.
제1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중앙 구멍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제2 굽힘된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할 수 있다. 제2 굽힘된 아암의 말단 단부는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제2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중앙 구멍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제3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직선형 고정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 사이에서 직선형일 수 있다. 직선형 고정 아암은 제1 및 제2 굽힘된 아암보다 덜 가요성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굽힘된 아암은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제1 평면에 놓이는 지지 구조를 갖는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지지 구조는 외주 표면, 전방 대향 표면, 후방 대향 표면, 및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에서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중앙 구멍을 포함한다. 단일 구멍은 원주를 갖는 내주 표면을 갖는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장력 상태로 배치되어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한다.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무봉합 공막 고정을 위해 경공막 앵커에 결합된 말단 단부를 갖는다. 내주 표면은 균일한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을 형성하고 외주 표면은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을 형성한다.
외주 표면의 비원형 형상은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오목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복수의 측면 중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원주 둘레에서 달라지는, 외주 표면과 내주 표면 사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복수의 로브가 외향 돌출되는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지지 구조의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은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내주 표면 및 외주 표면은, 내주 표면이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하고 외주 표면이 디바이스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하도록 볼록할 수 있다.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후방 대향 표면까지의 지지 구조의 두께는 약 0.15 mm 내지 약 1.5 mm일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전방 대향 표면에 리세스를 통합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를 통합할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로의 이식을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갖는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는 인공 안내 렌즈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안구 내에 이식된 후, 디바이스와 인공 안내 렌즈는 개구와 인공 안내 렌즈 모두를 통해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한다.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지지 구조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지지 구조로부터 절첩된 구성으로 연장된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이식 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 각각이 펼쳐진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후방 챔버 내에 디바이스의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한 비외상성 원위 앵커 부분을 포함한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을 갖는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온전한 수정체 낭이 결여된 안구의 후방 챔버로의 이식을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복수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은 지지 구조에 시작 부분을 갖고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비외상성 앵커에 결합된 말단 단부 부분을 갖는다. 앵커의 경공막 고정 전에, 복수의 고정 아암은 안구의 동공을 통해 만곡된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그 시작 부분과 그 말단 단부 사이에서 만곡되는 만곡된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의 경공막 고정 후,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은 안구의 Z-평면에 대해 지지 구조를 정렬하기 위해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인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안내 렌즈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중앙 구멍은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중앙 구멍 및 안내 렌즈 모두를 통한 광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곡된 고정 아암은 전방으로 만곡될 수 있고 그 비외상성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만곡된 고정 아암은 후방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그 비외상성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로 디바이스를 이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디바이스를 후방 챔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 및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갖는 렌즈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렌즈 지지 구조에 결합된 시작 부분 및 앵커를 포함하는 말단 부분을 갖는다. 후방 챔버로의 삽입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절첩된 구성은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시작 부분, 굽힘부, 절첩부 또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중심 부분, 및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와 중앙 개구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된 말단 부분의 앵커를 포함한다. 방법은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파지하고 공막의 제1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1 부분 위에서 앵커를 외부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2 고정 아암의 앵커를 파지하고, 제2 고정 아암의 절첩된 구성을 펼치며, 공막의 제2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2 부분 위에서 제2 고정 아암의 앵커를 외부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제3 고정 아암의 앵커를 파지하고, 제3 고정 아암을 인장시키며 공막의 제3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3 부분 위에서 제3 고정 아암의 앵커를 외부화하여 안구의 후방 챔버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안구 내에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갖는 렌즈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이식된 경우, 광이 중앙 개구를 통해 망막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렌즈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그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시작 부분 및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의 경공막 고정을 위한 앵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갖는다.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말단 부분의 앵커를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게 위치시키는 시작 부분과 말단 부분 사이의 굽힘부를 통합하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된 앵커는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전방에 있을 수 있다.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전방에 있을 수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 위에 그리고 렌즈 지지 구조의 전방에 있을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그리고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위치된 앵커는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중앙 개구 아래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후방에 있을 수 있다.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 아래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후방에 있을 수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 아래에 그리고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에 있을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시작 부분 위 또는 아래에서 절첩된 말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은 시작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배치할 때 그러나 앵커의 경공막 고정 전에 안구의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디바이스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중심축은 중앙 개구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된다. 거리는 약 4.0 mm 이하일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앙 개구를 향해 뒤로 돌출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앵커는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대체로 링 형상일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외주와 내주를 더 가질 수 있다. 중앙 개구는 내주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는 실질적으로 비원형일 수 있고 내주는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외주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는 중앙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로브의 제1 수치 카운트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제2 수치 카운트와 동일할 수 있다.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에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인접한 로브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로브는 3개의 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은 3개의 고정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로브는 렌즈 지지 구조에 실질적으로 둥근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식될 때,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는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침투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의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모든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단면적에 비교하여 더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어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강성에 비해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의 증가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안내 렌즈의 주연부 또는 안내 렌즈의 하나 이상의 햅틱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하형상은 렌즈 지지 구조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리세스, 채널 또는 홈일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경공막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고정 아암의 펴짐을 용이하게 하는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의 경공막 고정 후,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펼쳐진 구성으로 인장되어 안구의 Z-평면에 대해 렌즈 지지 구조를 정렬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는 가요성일 수 있으며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제3 고정 아암은 3개의 가요성 고정 아암 중 2개보다 덜 가요성일 수 있으며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모두는 장력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의 각각의 절첩된 구성은 말단 부분을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이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동안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형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안구 내에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내주 표면을 갖는 렌즈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이식될 때, 광이 중앙 개구를 통해 망막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한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렌즈 지지 구조에 결합된 시작 부분 및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의 경공막 고정을 위한 앵커를 갖는 말단 부분을 갖는다.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절첩된 구성은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시작 부분과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 및 중앙 개구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된 말단 부분의 앵커, 및 시작 부분과 말단 부분 사이의 굽힘부를 포함한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중앙 개구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있을 수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있을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중앙 개구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있을 수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있을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시작 부분 위 또는 아래에서 절첩된 말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은 시작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배치할 때 그러나 앵커의 경공막 고정 전에 안구의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디바이스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중심축은 중앙 개구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된다. 거리는 약 4.0 mm 이하일 수 있다.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앙 개구를 향해 뒤로 돌출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앵커는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대체로 링 형상일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외주와 내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주는 실질적으로 비원형일 수 있고 내주는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중앙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하는 외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로브의 제1 수치 카운트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제2 수치 카운트와 동일할 수 있다.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에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인접한 로브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로브는 3개의 로브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은 3개의 고정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로브는 렌즈 지지 구조에 실질적으로 둥근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식될 때,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는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침투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의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모든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단면적에 비교하여 더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어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강성에 비해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의 증가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는 안내 렌즈의 주연부 또는 안내 렌즈의 하나 이상의 햅틱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하형상은 렌즈 지지 구조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리세스, 채널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경공막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고정 아암의 펴짐을 용이하게 하는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의 경공막 고정 후,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펼쳐진 구성으로 인장되어 안구의 Z-평면에 대해 렌즈 지지 구조를 정렬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는 가요성일 수 있으며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제3 고정 아암은 3개의 가요성 고정 아암 중 2개보다 덜 가요성일 수 있으며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모두는 장력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의 각각의 절첩된 구성은 말단 부분을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이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는 동안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형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조합으로 임의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첨부 도면과 아래 설명에서 설명된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들 및 다른 양태는 이제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도면은 절대적으로 또는 상대적으로 실척으로 작성되지 않고,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피처 및 요소의 상대적인 배치는 예시 명확성을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도 1은 디바이스의 구현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IOL을 지지하는 안구에 전개된 도 1의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3은 IOL을 지지하기 위해 전개된 도 1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IOL을 지지하는 안구 내에 이식된 도 1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옵틱 캡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바이스가 어떻게 슬릿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선과 함께 도 1의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옵틱 캡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렌즈 지지 구조에 플랩이 일체화된 도 1의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도시하며;
도 7a 및 도 7b는 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설계의 다양한 구현을 도시하고;
도 8a 내지 도 8c는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에 결합된 고정 발판의 또 다른 구현을 도시하며;
도 9는 각각의 고정 아암에 다수의 앵커를 갖는 디바이스의 구현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0 및 도 11은 고정 아암 중 2개가 만곡되고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내향 편향되며 하나의 고정 아암이 직선형인 IOL을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구현의 사시도 및 상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도 12는 2개의 고정 아암이 만곡되고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내향 편향되며 하나의 고정 아암이 직선형이고 다른 고정 아암보다 더 강성이 되게 하는 기하형상을 갖는 IOL을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구현을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의 디바이스가 이식된 안구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4a 및 도 14b는 공막 절개 부위의 식별 및 마킹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막 절개 가이드 도구의 다양한 구현을 도시하고;
도 15a 내지 도 15d는 공막 절개 가이드 도구의 또 다른 구현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며;
도 15e 내지 도 15g는 각막 위에 위치된 도 15a 내지 도 15d의 공막 절개 가이드 도구를 도시하고;
도 15h 내지 도 15i는 십자선을 갖는 도 15a 내지 도 15d의 공막 절개 가이드 도구를 도시하며;
도 16a 내지 도 16d는 도 15a 내지 도 15d의 공막 절개 가이드 도구의 추가 도면을 도시하고;
도 17a 및 도 17b는 발판 외부화를 고정하는 동안 후방 드리프트를 방지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전방으로 편향시키도록 설계된 직선형 선단 고정 아암을 도시하며;
도 17c 내지 도 17d는 선단 고정 아암 둘레에 루핑되고 고정 발판을 외부화하는 데 사용되는 올가미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도 17e는 도 17d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8a 및 도 18b는 발판을 조작하고 외부화하는 데 사용되는 올가미 디바이스의 추가 구현을 도시하고;
도 18c 내지 도 18d는 발판을 조작하고 외부화하는 데 사용되는 올가미 디바이스의 추가 구현을 도시하며;
도 19a는 이식 전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을 도시하는데,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돌출부 및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을 갖고;
도 19b 내지 도 19c는 이식 후에 도 19a의 디바이스를 도시하는데, IOL이 중앙 구멍 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고정 아암은 인장되어 있으며;
도 20a는 이식 전에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을 도시하는데,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의 전방 대향 표면 내의 리세스 및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을 갖고;
도 20b는 이식 후에 도 20a의 디바이스를 도시하는데, IOL이 중앙 구멍 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고정 아암이 인장되어 있으며;
도 20c는 중앙 구멍을 둘러싸는 리세스에 대해 위치된 IOL 옵틱의 주연부를 도시하는 도 20b의 디바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21a 및 도 21b는 확대된 중앙 구멍과 복수의 첨판을 통합한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을 도시하며;
도 22a는 아암이 내향 만곡되어 앵커가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 및 중앙 개구의 일부의 전방에 위치되고 그와 중첩되도록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고정 아암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을 도시하고;
도 22b는 아암이 내향 만곡되어 앵커가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그와 중첩되도록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고정 아암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을 도시하며;
도 23a 및 도 23b는 아암이 내향 만곡되어 앵커가 렌즈 지지 구조의 평면 내에 유지되도록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고정 아암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을 도시하고;
도 24a 내지 도 24f는 IO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양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을 도시하며;
도 25a 내지 도 25c는 IO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양을 갖는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을 도시하고;
도 26a 내지 도 26e는 IO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양을 갖는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을 도시하며;
도 27은 IO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양을 갖는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을 도시하고;
본 명세서의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실척으로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전반적으로 안과 분야, 보다 상세하게는 소대 및 피막 지지부가 손상되었을 때 안내 렌즈(IOL) 또는 다른 안과용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인공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안과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 수정체의 제거에 의해 유발되는 무수정체증(aphakia)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치료는 자연 수정체의 수정체 낭 내에 IOL을 배치하는 것이다. 전방 구성요소 및 후방 구성요소를 갖고 그에 따라 내부 챔버를 생성하는 수정체 낭은 소대에 의해 지지되어 IOL 지지부를 위한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 수정체 낭의 후방 양태가 무능하거나 백내장 수술 중에 파열되어, IOL을 위치시키기 위한 보다 안정적인 플랫폼이 필요하다. 수정체 낭의 전방 양태 및 그 관련 소대가 온전한 경우, IOL은 전방 피막과 홍채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위치는 "고랑"이라고 지칭된다. 백내장 수술 사례의 또 다른 서브세트에서는, 전방 피막이 무능하거나, 소대가 무능하여, 고랑 배치를 안전하지 않거나 불가능하게 만든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이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인공 소대 고정을 이용하여 인공 전방 피막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안구에 고정된 안정적인 플랫폼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인공적으로 구성된 고랑 내에 IOL을 배치할 수 있게 하는 자연 전방 피막 및 소대 장치를 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지지/위치 설정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홍채 전방에 배치된 전방 챔버 안내 렌즈는 안구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라 각막 대상부전, 녹내장 및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홍채에 봉합된 렌즈는 기술적으로 이식하기 어렵고 홍채 마찰로 인해 출혈과 녹내장의 위험이 있다. 렌즈를 공막에 봉합할 수도 있는 데, 이 또한 기술적으로 어렵다. 일부 경우에, 봉합사 침식/파손으로 인해 추가 수술이 필요하고 잠재적으로 눈이 멀게 되는 감염의 위험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봉합사 파손의 위험을 제거하는 무봉합 방식으로 이식될 수 있다. 무봉합 경공막 고정 방법은 봉합사가 느슨해지거나 파단될 우려 없이 더 용이한 배치 및 안전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디바이스는 IOL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우려 없이 공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신뢰할 수 있는 굴절 결과를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홍채, 각도 또는 각막의 손상 위험을 크게 감소시키는 후안부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홍채 및 각막의 후방 이식은 각막 손상, 홍채 출혈 및 녹내장의 위험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ACIOL, 홍채 봉합 렌즈, 또는 공막 봉합 렌즈와 같은 현재 기술에 비교하여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매우 다양한 안내 렌즈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선택한 렌즈는 수술 시 또는 나중에 이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자연 수정체 낭을 복제하고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이식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인공 소대 고정을 이용하여 인공 전방 피막을 생성하여, 수정체 낭의 전방 구성요소 및/또는 자연 수정체의 소대가 무능한 경우 발판 또는 안정적인 플랫폼 구조 및 인공적으로 구성된 고랑을 제공할 수 있다. 공막 지지/고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고정 아암이 외부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디바이스(100)의 구현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0)는, IOL(110)이 위에, 맞대어 또는 내부에 지지될 수 있는 렌즈 지지 구조(105), 중앙 개구 또는 구멍(115), 및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구멍(115)은 디바이스(100)가 환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디바이스(100)에 위치된 IOL(110) 뿐만 아니라 구멍(115)을 통해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구멍(115)의 크기는 광이 임의의 광학적 교란 없이 디바이스를 통과하게 한다. 광은 디바이스를 통해 망막을 향해 나아갈 수 있으며 IOL의 옵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은 안구 내에 디바이스(100)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킬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외주(111) 및 내주(109)를 포함할 수 있고 중앙 구멍(115)은 내주(109)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대체로 링 형상일 수 있지만, 렌즈 지지 구조(105)의 외주(111)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형일 필요는 없다.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111)는 내주(109)가 실질적으로 원형인 경우 실질적으로 비원형일 수 있다.
도 1은 렌즈 지지 구조(105), 중앙 구멍(115), 및 고정 아암(120)을 도시하는 디바이스(100)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IOL(110)을 지지하도록 전개된 디바이스(100)의 3/4 뷰와 함께 안구의 모델을 도시한다(홍채는 투명하게 예시됨). 렌즈 지지 구조(105)는 최적의 이식 동안 IOL(110)에 대한 지지 역할을 하고 이식 동안 후방 챔버로 떨어지는 IOL(110)에 대한 가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특히 전방 양태 및 관련 소대가 무능하여 IOL의 고랑 배치를 안전하지 않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자연 수정체의 수정체 낭을 대신할 수 있다. 만족할 만한 수정체 낭이 없는 환자 내에 렌즈 지지 구조(105)를 배치하면 전방 피막 디바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인공적으로 구성된 고랑 내에 안내 렌즈를 배치하기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으로서 렌즈 지지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인공 소대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안구의 모델 및 IOL(110)을 지지하기 위해 전개된 디바이스(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옵틱 캡처 기술을 사용하여 IOL을 지지하기 위해 렌즈가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안구의 모델을 도시한다. 도 4는 각막(5), 홍채(10), 섬모체(15), 공막(20), 섬모 고랑(25), 및 홍채(10)를 통해 중앙에 획정된 동공(30)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에서, 지지 구조(105)는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평면형일 수 있다. 지지 구조(105)는, 구조(105)가 사용 중일 때 안구의 전방을 향해 지향되는 전방 대향 표면(1210) 및 구조(105)가 사용 중일 때 안구의 후방을 향해 지향되는 후방 대향 표면(1215)을 가질 수 있다(도 17e 참조). 평면형 지지 구조(105)는 IOL이 위치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평면형 전방 및 후방 표면은 그에 대해 IOL을 유지하기 위한 임의의 돌출부, 채널 또는 캡처 구성요소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105)는 IOL이 그에 대해 위치되도록 수정체 낭의 인공 전안부를 생성할 수 있지만 내부 표면 내에 IOL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IOL은 사용 동안 지지 구조(105)의 외부에 완전히 남아 있을 수 있고, 지지 구조(105)의 실질적으로 평면형 표면 이외에 돌출부, 오버행 또는 IOL에 대해 위치된 다른 표면은 없다. 따라서,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 각각은 표면 위의 임의의 돌출부 또는 오버행이 없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평면형 표면일 수 있다.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 각각은 또한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115) 이외에 임의의 만입부, 홈, 디봇, 또는 개구가 없을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지지 구조(105)는 중앙 구멍(115)을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구멍(115)을 획정하는 테이퍼형 에지 또는 내부 벽(109)은 구멍(115)으로부터 떨어진 지지 구조의 전방-후방 두께보다 작은 전방-후방 두께를 갖는다.
다른 구현에서, 지지 구조(105)는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통합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중앙 구멍(115) 근방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상향 돌출하는 복수의 포스트(106)를 갖는 지지 구조(105)의 구현을 예시한다. 복수의 포스트(106)는, 구멍(115) 위에 IOL을 위치시킬 때 IOL의 옵틱을 둘러싸도록 중앙 구멍(115)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도 19b 내지 도 19c 참조). 포스트(106)는, 지지 구조(105)에 대한 IOL의 병진 및/또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IOL이 포스트(106)에 의해 수용되고 센터링되도록 옵틱의 주연부에 대해 맞접하거나 인접하게 놓일 수 있다. 포스트(106)는 또한 옵틱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IOL 햅틱의 영역과 맞물리도록 전방 대향 표면(또는 후방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포스트(106)는 보편적으로 대부분의 IOL 설계를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지지 구조(105)는 임의로 또는 추가로 IOL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는 리세스를 전방 대향 표면 또는 후방 대향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할 수 있다(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도 20a 내지 도 20c 참조). 리세스는, 예를 들어 2020년 4월 30일자로 공개된 PCT 공개 제WO 2020/086312호(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됨)에 설명된 바와 같이 IOL 및/또는 IOL 햅틱을 수용하기 위한 중앙 내향 홈일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전방 대향 표면 내에 리세스(104)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105)를 갖는 디바이스(100)의 또 다른 구현을 예시한다. 리세스(104)는 립에 대해 IOL의 옵틱의 주연부와 맞물리고 이를 지지하도록 크기 설정된 중앙 구멍(115)을 둘러싸는 립을 형성할 수 있다(도 20c 참조). 지지 구조(105)의 중앙 6.0-7.0 mm 부분에 있는 리세스(104)는 옵틱의 병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리세스(104)는 지지 구조(105)와 IOL의 계면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목한 접시형 섹션을 추가로 통합할 수 있다. 리세스(104)는 디바이스의 시각 축 또는 중심축(CA) 둘레의 회전 움직임을 추가로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5f, 도 25a 내지 도 25c, 및 도 26a 내지 도 26e는 내부에 IOL이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를 통합한 디바이스의 추가 구현을 예시하며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지지 구조(105)가 오목한 지의 여부 및/또는 그 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통합하는 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지지 구조(105)의 전방-후방 두께는 홍채(10)에 충돌하는 것을 피하도록 최소화된다.
지지 구조(105)는 전방 대향 표면(1210) 및/또는 후방 대향 표면(1215) 내에 또는 상에 하나 이상의 표면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지지 구조(105)가 이식 동안 디바이스(100)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방 대향 표면(1210) 상의 표면 피처(118)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표면 피처(118)는 이식 동안 디바이스(100)의 조작을 돕기 위해 겸자 또는 다른 이식 도구와 맞물릴 수 있다.
중앙 구멍(115)은 전방 대향 표면(1210)으로부터 후방 대향 표면(1215)까지 지지 구조(105)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지 구조(105)는 중앙 구멍(115)을 획정하는 내주 표면을 갖는 내부 벽(109) 및 지지 구조(105)의 전체 형상을 획정하는 외주 표면을 갖는 외부 벽(111)을 더 포함한다(도 1 및 또한 17e 참조). 이는 렌즈 지지 구조(105)에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환형 렌즈 지지 구조(105)는 그 내주 및 외주 표면 모두에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내주 표면은 원주를 가질 수 있고 균일한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 외주 표면은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주 표면의 비원형 형상은 복수의 측면(108)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107)를 포함한다. 복수의 로브(107)는 중앙 구멍(115)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108)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오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디바이스는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장력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렌즈 지지 구조(105)에 결합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한다. 3개의 고정 아암(120) 각각은 복수의 측면(108) 중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지지 구조(105)는 원주 둘레에서 달라지는, 외주 표면과 내주 표면 사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중앙 구멍(115)은 디바이스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부 구현에서, 지지 구조(105)는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IOL은 지지 구조(105)의 전방 대향 표면(또는 후방 대향 표면) 상에 안착하지만, 중앙 구멍(115)에 의해 유지되거나 수용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지지 구조(105)는 대체로 평면형이지만, 지지 구조(105)의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안착된 IOL이 리세스(104)에 의해 형성된 립과 맞물리도록 중앙 구멍(115)을 둘러싸는 리세스(104)를 포함한다(도 20c 참조). 지지 구조(및 따라서 중앙 구멍(115))는 최소화된 전방-후방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대향 표면(1210)과 후방 대향 표면(1215) 사이의 지지 구조(105)의 두께는 약 0.15 mm 내지 1.5 mm, 또는 약 0.5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지지 구조(105)의 두께는 0.15 mm보다 얇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장력 상태에 있는 고정 아암(120)으로 인해 여전히 IOL을 위한 충분한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구멍(115)을 획정하는 내주 표면 또는 내부 벽(109)은 매끄럽고 임의의 오목부, 홈, 채널 또는 다른 표면 피처가 없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내주 표면 또는 내부 벽(109)은 볼록하고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돌출되며, 외주 표면 또는 외부 벽(111)이 또한 볼록하며 디바이스의 중심축(CA)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다. 내부 및 외부 벽(109, 111)에 의해 형성된 볼록한 내주 및 외주 표면은 한 쌍의 둥근 막대를 형성하는 중앙 구멍(115)의 중심에 걸쳐 취했을 때 지지 구조(105)에 대한 단면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전방 대향 표면(1210) 및 후방 대향 표면(1215)은, 내부 벽(109)의 내주 표면이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돌출하는 단일의 좁은 리지 또는 지점(1230)으로서 형상화되도록 중앙 구멍(115)을 향해 각각 테이퍼진다(도 17e 참조).
중앙 구멍(115)은 또한 지지부(105)가 그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구멍만을 갖도록 지지부(105)를 통해 연장되는 유일한 구멍일 수 있다. 구멍(115)의 내경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IOL 유형에 대해 보편적이도록 설계된다. 구멍(115)은 지지부(105)가 IOL의 옵틱과 실질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종래의 IOL은 통상적으로 외경이 6 mm인 옵틱을 갖지만 이 크기는 IO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5.0 mm 미만에서 약 4.0 mm까지인 중앙 구멍(115) 내경을 갖는 디바이스가 일부 IOL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5.0 mm 내지 약 6.0 mm인 중앙 구멍(115) 내경을 갖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임의의 종래의 햅틱-안정화된 IOL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거의 보편적이도록 대부분의 IOL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구멍(115)의 최소 내경은 약 4.0 mm 초과, 약 4.5 mm 초과, 약 5.0 mm 초과, 약 5.5 mm 초과, 약 6.0 mm 초과, 약 6.5 mm 초과, 약 7.0 mm 이하, 약 8.0 mm 이하, 약 9.0 mm 이하, 약 10 mm 이하 및 그 사이의 임의의 범위일 수 있다.
구멍(115)의 내경은 IOL 옵틱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대부분의 IOL 옵틱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앙 구멍(115)을 갖는 디바이스(100)의 구현을 예시한다. 디바이스(100)는 IOL의 옵틱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첨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첨판(126)은 중앙 구멍(115)의 개구 내에서 연장되도록 내향 돌출될 수 있다. 첨판(126)은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옵틱을 지지할 수 있거나 옵틱이 첨판(126)의 후방 대향 표면으로 나아가고 이에 의해 지지되도록 편향될 수 있다. IOL의 햅틱은 지지부(105)의 전방 대향 표면에 남을 수 있고 IOL의 옵틱은 첨판(126)의 후방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됨으로써 IOL의 Z-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첨판(126)은 전체 두께 또는 부분 두께일 수 있다. 즉, 첨판(126)은 지지 구조(105)만큼 두꺼울 수 있거나 지지 구조(105)보다 얇을 수 있다. 첨판(126)은 지지부(105)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도 21a 참조). 첨판(126)은 또한 지지부(105)의 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도 21b 참조). 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IOL의 옵틱은 중앙 구멍(115) 및 첨판(126)의 전방 대향 표면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첨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서, 디바이스(100)는 3개의 첨판(126) 및 3개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한다. 3개의 첨판(126) 각각은, 각각의 첨판(126)이 고정 아암(120) 중 각각의 고정 아암의 시작점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지지부(105)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의 굽힘된 고정 아암(120a, 120b)이 그 각각의 첨판(126) 위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도록 지지 구조(105)에서의 그 시작점으로부터 만곡되는 것을 도시한다. 첨판(126)은 중앙 구멍(115)의 내경보다 좁은 내경을 획정할 수 있다. 첨판(126)의 더 좁은 내경은 약 4.0 mm 내지 6.0 mm, 또는 약 5.0 mm 내지 5.5 mm, 또는 약 5.0 mm일 수 있다. 각각의 첨판(126)은 약 0.10 mm 내지 0.50 mm, 또는 약 0.15 mm 내지 약 0.35 mm, 또는 약 0.25 mm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120) 중 하나 이상은 지지 구조(105)와의 그 시작점과 그 말단 단부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다. 직선형 고정 아암 또는 선단 고정 아암(120)은 단일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멀어지는 임의의 굽힘부 또는 만곡부 없이 시작점(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의 단일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도 17a 및 도 17b 참조). 직선형 고정 아암(들)(120)은 지지 구조(105) 외부 벽(111)의 외주 표면에 직교하여 연장될 수 있다. 직선형 고정 아암(들)(120)의 길이방향 축(L)은 외부 벽(111)의 외주 표면에 직교하여 위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105)의 전방 대향 표면(1210)의 평면과 직선형 고정 아암(들)(120)의 길이방향 축(L)은 지지 구조의 후방 대향 표면(1210)의 평면 및 길이방향 축(L)과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은 비외상적으로 외부화되고 그 기하형상 및 기계적 특성 단독에 의해, 즉 봉합사 또는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설계되는 경공막 고정 아암일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의 주변 단부(본 명세서에서 말단 단부 또는 말단 부분이라고도 지칭됨)에 있는 외부화된 부분 또는 앵커(125)(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정 발판 또는 발판이라고도 지칭됨)는 결막하에 안착되어 아암(120)을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의 앵커(125)는 안정하게 유지되고 안구로 재진입하지 않으며 결막을 최소로 침식시키기 위해 견고하지만 낮은 프로파일의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고정 아암(120)은 수술 전에 디바이스의 쉬운 시각화 및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 중 적어도 하나는 휴지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비평면형인 기하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그 후 이식 절차 동안 그리고, 예를 들어 장력 상태로 배치될 때 평면형 구성으로 조작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디바이스(100)는 지지 구조(105)의 주연부 둘레에 대칭적으로 또는 등거리로 배열된 3개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한다. 고정 아암(120)은 렌즈 지지 구조(105)를 센터링하고 장기간의 안정성을 위해 충분한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이는 단일 고정 아암(12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은 렌즈 지지 구조의 주연부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3개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한다. 고정 아암(120)은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거나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는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단지 2개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고정 아암(120)은 이식되고 경공막 고정될 때 동일한 반대 장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아암(120)은 하나의 고정 아암(120)이 장력 상태로 있고 다른 고정 아암(120)이 강성 간격 요소로서 기능하는 강성과 길이를 갖도록 비대칭일 수 있다. 강성이거나 스프링 힘을 인가할 수 있는 고정 요소는 인접한 조직의 침투 또는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장된 고정 요소는 일단 배치된 재료의 약간의 신장 또는 팽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정 아암(120)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고정 아암이 전방 돌출 만곡부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내향 편향된 구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안구 조직과 맞물릴 때 회전에 저항하는 패들형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3개 이상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120)은 안구의 Z-평면(수직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정해진 고정 평면을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각각의 고정 아암(120)을 동일한 반대 장력에 놓는 방식으로 설계 및 전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은 강성 간격 요소로서 거동할 수 있는 강성 및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0개, 1개, 2개 또는 모두 3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 아암(120)은 내향 편향 설계로 제조되거나 디바이스의 중심 또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도 10 내지 도 13, 도 17b 내지 도 17e, 도 19a, 도 20a, 도 21a 및 도 21b, 도 22a 및 도 22b, 도 23a 및 도 23b, 도 24a 내지 도 24f, 도 25a 내지 도 25c 및 도 26a 내지 도 26e 참조).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120)은 지지 구조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의 적어도 하나, 그러나 전체보다 적은 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편향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적어도 2개, 그러나 전체보다 적은 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편향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모든 고정 아암(120)은 편향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고,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의 고정 아암은 가요성이고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제3 고정 아암은 다른 2개보다 덜 가요성이며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각각의 고정 아암의 절첩된 구성은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를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고정 아암(들)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평면형이 아닌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동안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형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일단 이식되고 경공막 고정되면, 내향 편향된 아암은 절첩된 내향 편향된 구성으로부터 펴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2개의 고정 아암(120)은 내향 편향 기하형상을 갖고 제3 고정 아암(120)은 증가된 단면적 - 그 강성을 증가시킴 - 을 갖는다. 내향 편향 고정 아암(120)은 렌즈 지지 구조(105)를 갖는 아암의 시작점과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할 수 있다. 2개의 굽힘된 고정 아암(120)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구현에서,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지지 구조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지지 구조로부터 절첩된 구성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식 후,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각각의 아암이 펼쳐질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지지 구조(105)에서의 시작 부분(103) 및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비외상성 앵커(125)에 결합된 말단 단부 부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125)의 경공막 고정 전에, 복수의 고정 아암(120) 중 하나(최대 모든 고정 아암(120))는 그 시작 부분(103)과 그 말단 단부(102) 사이에서 만곡되어 안구의 동공(30)(도 13 참조)을 통해 만곡된 고정 아암(120)의 적어도 일부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굽힘부(B)(도 22a 및 도 22b 참조)를 형성하는 만곡된 고정 아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125)의 경공막 고정 후, 복수의 고정 아암(120) 각각은 안구의 Z-평면에 대해 지지 구조를 정렬하기 위해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인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105)는 안내 렌즈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구조(105)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115)은 중앙 구멍(115) 및 지지 구조(105)에 의해 지지되는 IOL 모두를 통한 광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만곡된 고정 아암(120)은, 말단 단부(102) 및/또는 그 비외상성 앵커(125)와 같은 아암(120)의 일부가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예를 들어, 지지 구조(105)의 상부 표면 및/또는 중앙 구멍(115)의 영역 위에) 위치되도록 전방으로 만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만곡된 고정 아암(들)(120)은, 말단 단부(102) 및/또는 그 비외상성 앵커(125)와 같은 아암(120)의 일부가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예를 들어, 지지 구조(105)의 하부 표면 및/또는 중앙 구멍(115)의 영역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후방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19a 및 또한 도 20a는 이식 전 디바이스의 구현을 예시한다. 도 19b 내지 도 19c 및 또한 도 20b 내지 도 20c는 이식 후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3개의 고정 아암(120) 중 2개는 휴지 상태에서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도록 내향 만곡된다. 아암(120)은 지지 구조(105)에서의 그 시작점(103)으로부터와 같이 지지 구조(105)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외향 연장되고 아암(120)의 시작점(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에 만곡부를 형성하는 선회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을 만든다. 아암(120)의 만곡부는 아암(120)의 말단 단부(102)가 자신의 시작 부분(103)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아암(120)은, 아암(120)의 말단 단부(102)가 아암의 시작 부분(103)의 전방에 또는 아암의 시작 부분(103)에 가까운 지지 구조(105)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도록 전방 방향으로 만곡된다. 다른 구현에서, 아암(120)은, 아암(120)의 말단 단부(102)가 아암의 시작 부분(103)의 후방에 또는 아암의 시작 부분(103)에 가까운 지지 구조(105)의 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위치되도록 후방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구현에서, 만곡된 고정 아암(120)의 앵커(125)는 지지 구조의 제1 평면(예를 들어, 안구의 Z-평면)으로부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제2 평면은 아암(120)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만곡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제1 평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을 수 있다. 만곡부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평면(예를 들어, Z-평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예를 들어, X-평면) 방향일 수 있다. 확장된 동공(성인 또는 소아 환자에 따라 다름)은 약 8 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만곡부는, 불투명 홍채에 의한 시각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확장된 동공의 직경, 예를 들어 약 3 mm 내지 약 7.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 mm 내에서 볼 수 있는 제2 평면에서 원의 직경 내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고정 아암(120)의 앵커(125)를 위치시킨다. 만곡된 고정 아암(120) 각각의 앵커(125)는 디바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예를 들어 약 1.5 mm, 2.0 mm, 2.5 mm, 3.0 mm, 디바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약 3.5 mm 이하, 또는 약 4.0 mm 이하에 위치될 수 있다. 만곡된 아암(120)은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는 디바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이 직경 또는 이 거리 내에 말단 단부 부분(102) 및/또는 앵커(125)를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3개의 고정 아암(120) 중 제3 고정 아암은 휴지 상태에서 직선형 또는 펼쳐진 구성으로 편향된다. 제3 아암(120)은 지지 구조(105)에서의 그 시작점(103)으로부터 직교하여 외향 연장되어 선회부 또는 굽힘부를 만들지 않는다. 오히려, 전체 제3 아암(120)은 완전히 직선형이고 실질적으로 단일 축을 따라 연장된다. 휴지 상태에서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2개의 고정 아암은, 이제 예를 들어 외부화되는 경공막 앵커를 통해 아암(120)을 인장시킴으로써 펼쳐진 구성이 된다.
고정 아암(120)은 디바이스(100)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균일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아암(120)은, 예를 들어 서로 90도인 3개의 고정 아암(120)을 이용하여 비균일 분포로 배향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고정 아암(120) 중 2개는 서로 180도가 되어 반대 장력을 제공하고; 제3 고정 아암(120)은 주로 디바이스(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IOL(110)이 사용 동안 배치될 수 있는 안정적인 플랫폼을 형성하는 표면(전방 대향 표면(1210) 또는 후방 대향 표면(1215))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수정체 낭, 특히 낭의 후방 및/또는 전방 양태가 파열되거나 달리 무능한 낭을 대신할 수 있다. 그 기하학적 및 기계적 기능은 사용 시 IOL(11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비대칭성 안구 또는 비대칭성 수술 절차의 경우에 IOL(110)의 중심화를 돕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가 IOL을 위한 인공 전방 피막 지지부를 제공하는 경우, 고정 아암(120)은 인공 소대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IOL의 배치를 허용하는 자연 전방 피막 및 소대 장치를 재현하는 안구에 고정된 안정적인 플랫폼 구조를 제공한다. 렌즈 지지 구조(105)의 기하형상 및 기계적 특성은 고정 아암(120)이 의도한 대로 기능하게 하고 또한 고정 아암(120)에 의해 부여될 수 있는 임의의 비틀림 또는 인장력을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 및 렌즈 지지 구조(105)는 적절하게 고정된 디바이스(100)가 환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중앙 구멍(115)을 위치시키도록 설계된다. 외과의는 렌즈 지지 구조(105)를 통해 IOL(110)을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환자에게 필요한 굴절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
섬모체는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고 수직축은 수평축보다 평균 0.5 mm 더 길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100)의 중심화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의 섬모체와 접경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렌즈 지지 구조(105)는 유사하게 원형 또는 타원형 섬모체에 중심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지지 구조(105)와 섬모체 사이의 360도 접촉 및 형상의 일치는 염증 또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수성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렌즈 지지 구조(105)는 중앙 구멍(115)을 획정하는 균일하고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의 내부 벽(109)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내주 및 실질적으로 비원형 기하형상을 갖는 렌즈 지지 구조(105)(도 1 참조)를 제공하는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부 벽(111)을 형성하는 외주 표면을 갖는다. 렌즈 지지 구조(105)의 비원형 외부 기하형상은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을 따라 섬모체와 360도 접촉하지 않고 디바이스(100)의 중심화를 제공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의 형상은 렌즈 지지 구조(105)와 섬모체 사이에 충분한 접촉을 제공하여 염증 및 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IOL(110)의 중심화 및 지지를 돕는다. 일부 구현에서, 렌즈 지지 구조(105)의 형상은 약 12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5도, 또는 1 내지 20도인 섬모체와의 접촉을 허용한다. 접촉을 120도 이하로 제한하면 염증 위험이나 수성 생산 손상이 크게 감소된다. 실질적으로 비원형 또는 타원형 렌즈 지지 구조(105)는 디바이스(100)와 환자의 특정 치수와 정확히 일치할 필요 없이 중심화를 제공하는 섬모체 사이의 부드러운 접촉을 허용한다. 렌즈 지지 구조(105)의 곡률 반경은 섬모체 돌기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지지 구조(105)는 계산 가능한 범위에 걸쳐서가 아니라 3개의 별개의 지점에서 섬모체 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시, 렌즈 지지 구조(105)의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은 이들 3개의 별개의 지점에서 섬모체 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디바이스(100)의 로브(107)는 근방에 위치되지만, 각각의 고정 아암(120)이 이식되고 장력 상태로 배치되면 안구 조직(예를 들어, 섬모체)과의 접촉을 피한다. 이 배열은 로브(107)가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돕고 다른 아암(120)에 대해 하나의 아암(120)이 과도하게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고정 아암(120)이 앵커(125)의 외부화 동안 극단적으로 당겨지면, 그 고정 아암(120)의 양쪽에 있는 이웃한 로브(107)는 이식 동안 섬모체에 대해 맞접하여 지지 구조(105)를 섬모체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하고 디바이스(100)를 더 중앙 정렬로 촉진시킨다. 일단 이식되면, 디바이스의 로브(107)는 안구 조직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고 안구 조직(예를 들어, 섬모체)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장된 고정 아암(120)은 지지 구조(105)를 그 주연부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당길 수 있다. 지지 구조(105) 둘레에 인가된 장력은 중앙 구멍(115)을 통해 연장되는 디바이스(100)의 중심축(CA)을 안구의 시각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할 수 있고 지지 구조(105)의 평면형 표면이 안구의 Z-평면(수직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안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중심축(CA)은 안구의 시각 축과 완벽하게 정렬(일치)될 필요는 없다.
렌즈 지지 구조(105)의 비원형 외부 벽(111)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오목한 복수의 측면(108)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는(즉, 볼록한 방식으로) 복수의 로브(1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볼록한 로브와 오목한 또는 평탄한 측면의 교번적인 패턴을 갖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외부 벽(111)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렌즈 지지 구조(105)는 3개의 볼록 로브(107) 또는 3개의 평탄하거나 약간 오목한 측면(108) 사이에서 돌출하는 둥근 코너를 포함하여 렌즈 지지 구조(105)에 삼각형 또는 둥근 삼각형 형상(도 1 참조)을 제공할 수 있다. 로브(107)는 중앙 구멍(115)과 안구의 시각 축(도 4 참조)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Z-평면에서 회전 방지 기능을 제공하고 및/또는 Z-평면 내에서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섬모체(15)에 대해 및/또는 섬모 고랑(25) 내에 범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아암(120)은 측면(108)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로브(107)는 복수의 고정 아암(120) 사이에서 외향 돌출한다. 고정 아암(120) 각각은 로브(107)가 외향 돌출하는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지지 구조(105)는 중앙 구멍(115)을 획정하는 원형 내부 벽(109)을 가질 수 있다. 중앙 구멍(115)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107)는 내부 벽(108)과 외부 벽(111) 사이의 중앙 구멍(115)의 평면에서 다양한 두께를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측면(108)의 위치에서 내부 벽(108)과 외부 벽(111)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105)의 두께는 로브(107)의 위치에서 내부 벽(108)과 외부 벽(111)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두께보다 작다. 렌즈 지지 구조(105)의 둥근 코너를 형성하는 로브(107)의 수는 렌즈 지지 구조에 둥근 삼각형, 둥근 직사각형, 둥근 오각형, 둥근 육각형, 트레포일(trefoil), 쿼트포일(quatrefoil), 친퀘포일(cinquefoil) 등을 비롯하여 임의의 다양한 비원형 형상을 제공하도록 달라질 수 있다. 이들 비원형 기하형상의 돌출부 또는 코너는 섬모체와 같은 섬모 조직과 부드러운 비침투 접촉을 제공하도록 둥글게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중심화 보조를 위해 평면부 또는 공막 벽을 이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디바이스(100)는 섬모체 돌기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로브(107)는 렌즈 지지 구조(105)에 실질적으로 둥근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로브(107)의 제1 수치 카운트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120)의 제2 수치 카운트와 동일할 수 있으며, 각각의 로브(107)는 인접한 고정 아암(120) 사이에 이격되어 있다. 로브(107)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120) 각각은 인접한 로브(107)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105)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하중 상태에 있을 때 재료의 연신율의 함수인 스프링 힘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개루프 햅틱 또는 코일 스프링은 실질적으로 고정된 길이를 갖는 재료의 굽힘으로 인해 제공되는 스프링 힘을 가질 수 있다. 일단 안구에 고정된 고정 아암(120)은 인장 응력 및 재료 연신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약 15 mm 내지 약 16 mm의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약 7.5 mm 내지 8.0 mm의 반경에 걸쳐 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기능을 위한 작동 가능한 장력 범위를 갖는다. 예로서, 디바이스는 일단 이식되면 제1 장력량(X 장력)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제1 장력량은 최소 허용 가능한 직경의 장력량이다. 다시 말해서, 디바이스는 기능을 위해 최소량의 장력 상태로 있지만, 더 큰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더 큰 장력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15 mm 및 16 mm 연장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 아암(120)의 예에서, 각각의 힘 전달 아암은 제1 장력(X) 상태 그리고 적어도 제2 장력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장력은 제1 장력(X)에 장력 거리(예를 들어, 장력 0.5 mm)를 더한 합일 수 있다. 고정 아암은 각각의 연장 비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차등 장력을 견딜 수 있다. 예를 더 설명하기 위해, 이 구현에서 각각의 고정 아암(120)의 길이가 약 4 mm인 경우, 제2 장력(X 장력 + 0.5 mm 장력)은 15 mm 직경에서 기능하고 또한 최대 16 mm 직경까지 기능하기 위해 연신율이 12.5% 증가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고정 아암(120)의 길이가 2 mm인 경우, 제2 장력(X 장력 + 0.5 mm 장력)은 15 mm 직경에서 기능하고 또한 최대 16 mm 직경까지 기능하기 위해 연신율이 25% 증가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고정 아암의 길이가 약 6 mm인 경우, 제2 장력(X 장력 + 0.5 mm 장력)은 15 mm 직경에서 기능하고 또한 최대 16 mm 직경까지 기능하기 위해 연신율이 6.25% 증가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의 감소된 스프링 힘은, 안구 조직에 대한 앵커의 장력이 외과의가 평가하기 어려운 변수 - 안구의 고유 치수 및 절개부의 특정 위치 - 에 덜 의존하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안전성 및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추가로, 고정 아암의 길이(예를 들어, 약 2 mm 내지 6 mm)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의 내향 만곡부(전방 또는 후방으로)는 수술 동안 외과의가 아암을 찾아 고정하기 위한 접근 및 시각화를 개선한다.
단지 1개, 2개 또는 3개의 고정 아암(120)이 맞물리는 경우, IOL(110)이 디바이스(100)와 섬모체 돌기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섬모체와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하도록 설계된 렌즈 지지 구조(105)는 또한 수술 동안 후방 챔버로 IOL(110)을 잃어버릴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외과의가 디바이스(100)에 의해 지지되는 IOL(110)의 이식을 위해 "옵틱 캡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IOL(110)의 옵틱(112)은 디바이스(100)의 중앙 구멍(115)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통과하는 반면 IOL(110)의 햅틱(114)은 디바이스(100)의 실질적으로 전방에 남아 있다(도 3 참조). 이 기술은 IOL(110)의 확실한 고정을 제공하여 수술 후 X, Y 또는 Z 축에서 드리프트할 수 없도록 하고 렌즈 전방 공간의 벌크를 감소시킨다. 이 기술은 추가로 IOL이 홍채(10)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완화하여 "정사각형 에지" IOL 설계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외과의는 효과적인 렌즈 위치의 선택을 제공하여 IOL 도수 수정에 가요성을 추가하였다. 이 기술은 또한 IOL 회전을 제한하여 난시 교정 IOL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어떤 상황에서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전방 표면과 홍채(10)의 후방 표면 사이에 제한된 공간이 있을 수 있다. 홍채 손상 또는 동공 차단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IOL(110)을 렌즈 지지 구조(105)의 평면 상에 또는 그 후방에 고정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굴절 위치의 예측 가능성을 개선시키면서 옵틱을 고정하면 수술 전 렌즈 선택 계산이 보다 정확하게 된다.
옵틱 캡처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렌즈 지지 구조(105)는 외과의가 디바이스(100)의 구멍(115)을 통해 IOL(110)을 통과시키게 할 수 있다. 구멍(115)은 일반적인 IOL 옵틱 직경과 유사한 직경, 예를 들어 적어도 5.5 mm 또는 6.0 mm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과의는 IOL(110)이 구멍(115)을 쉽게 통과하도록 광축에 평행한 힘으로 또는 IOL(110)을 약간 기울여서 IOL(110)을 구멍(115)을 통과시킬 수 있다. 구멍(115)은 5 mm 초과, 예를 들어 5.5 mm, 6.0 mm, 6.5 mm, 7.0 mm, 7.5 mm, 8.0 mm, 8.5 mm, 9.0 mm, 9.5 mm 및 10.0 mm 및 약 15 mm 이하와 그 사이 임의의 값인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0)는 IOL(110)이 구멍(115)을 통과하게 하도록 구멍(115)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확대되도록 하는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지지부(105)는 지지 구조(105)가 링의 말단 단부 사이에 간극을 갖는 분할-링을 형성하도록 불연속적인 외주 벽 및 내주 벽을 가질 수 있다. 이 구현에서, 구멍(115)의 내경은 링의 말단 단부가 서로를 향해 압축되는 지 또는 벌어지는 지의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외주 벽은 완전한 링 형상이거나 원주가 연속적일 수 있고 구멍(115)을 획정하는 내주 벽은 불연속적이거나 연속적일 수 있다. 단일 구멍은 임의의 간극, 홈 또는 채널 없이 연속적인 내주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구멍은 불연속적인 내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구멍(115)을 획정하는 내부 벽(109)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113)을 갖는 디바이스(100)의 구현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00)는 단일 슬릿(113)보다 많이, 예를 들어 구멍(115)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내부 벽(109)에 2 내지 40개의 슬릿(11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3)은 바람직하게는 구멍(115)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0.25 mm-2.0 mm 연장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지지 구조(105)의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IOL(110)은 유연한 렌즈 지지 구조(105)를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0)는 렌즈 지지 구조(105)에 몰딩된 하나 이상의 편향 가능한 플랩(116)을 통합할 수 있다(도 6 참조). 디바이스(100)는 단일 편향 가능한 플랩(116)보다 많이, 예를 들어 외과의에 의해 부여된 충분한 힘 하에서 IOL(110)이 구멍(115)을 통과하도록 편향시키고 허용하는 2 내지 40개의 플랩(116)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벽(109)은 외과의에 의해 부여된 충분한 힘 하에서 IOL(110)이 통과하도록 편향시키고 허용하는 브러시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렌즈 지지 구조(105)의 단면 두께 프로파일은 구멍(115)을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외부 벽(111) 근방의 렌즈 지지 구조(105)의 외주는 내부 벽(109) 근방의 렌즈 지지 구조(105)의 내주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위치할 때 전방-후방으로 측정된 두께)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렌즈 지지 구조(105)의 최중심 부분(즉, 내부 벽(109))은 IOL(110)이 구멍(115)을 통과하게 하고 충분한 힘 하에 배치될 때 내부 벽(109)을 편향시키는 감소된 두께로 인해 더 큰 가요성을 가질 것이다. 슬릿(113), 플랩(116) 또는 감소된 두께로 인한 내부 벽(109) 근방의 더 큰 가요성에도 불구하고, 렌즈 지지 구조(105)는 렌즈 지지부(105)의 전방 표면 상에 놓이는 IOL(110)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렌즈 지지부(105)의 후방에 있는 IOL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도 7a 및 도 7b는 말단 발판 또는 앵커(125)를 갖는 다양한 고정 아암(120)을 예시한다. 앵커(125)는 고정 아암(120)의 외부 말단에 결합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이들 기하형상은 외과의에 의해 쉽게 외부화되고 유효 수명에 걸쳐 디바이스의 장력을 안정화하도록 설계된다. 앵커(125)는 일반적으로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결막 침식 및 눈꺼풀 자극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기하형상(예를 들어, 둥근)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의 말단 단부는 렌즈 지지 구조(105)를 고정하고 구심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공막(20)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앵커(125)를 가질 수 있다. 앵커(125)의 기하형상은 외과의가 겸자, 투관침 또는 다른 수술 도구를 사용하여 공막(20)의 천자 또는 절개부를 통해 앵커(125)를 통과시킬 수 있게 한다. 앵커 추출을 위한 올가미 디바이스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앵커(125)는 네일 헤드, T-바아, 다중 갈래 형상, 또는 제1 방향으로 공막(20)을 우선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아암(120)이 디바이스의 수명을 통해 예상되는 장력 상태로 배치될 때 외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삽입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하형상과 유사한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125)는 디바이스(100)의 유효 수명에 걸쳐 눈꺼풀 또는 결막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프로파일 및 기하형상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기하형상은 매끄러운, 둥근 및/또는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최소 두께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앵커(125)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거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길이에 걸쳐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앵커(125)는 용이하게 외부화되고 외부화 이후의 재-내부화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앵커는 안과용 도구(예를 들어, 23, 25 또는 27 게이지)를 사용하여 파지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안과용 도구로 파지하기에 이상적인 기하형상이 반드시 견고한 고정에 이상적이지는 않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두께, 폭 및/또는 높이의 변동을 갖는 앵커(125)의 추가적인 기하형상을 예시한다. 앵커(125)는 중심 부분(1255) 및 중심 부분의 주연부에 하나 이상의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부분(1255)은 앵커(125)가 삽입된 상처(공막 절개) 위에 놓이도록 배열될 수 있고,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은 상처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중심 부분(1255)은 주연부에서 파지 가능한 부분(1257)에 비교하여 증가된 두께, 높이, 및/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중심 부분(1255)의 증가된 두께, 높이, 및/또는 폭은 상처 위의 영역에 벌크를 추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 아암 상의 장력이 상처를 통해 앵커(125)를 뒤로 당길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앵커(125)의 중심 부분(1255)은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두께(Tg)보다 큰 아암(120)의 길이방향 축(L)을 따른 두께(Tc)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Tc)는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두께(Tg)의 약 1.2배 내지 5.0배일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중심 부분(1255)은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폭 또는 높이의 약 1.2 내지 5.0배인 폭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벌크가 더 큰 영역의 기하형상은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과 관련된 인장력 하에서 변형을 저지하도록 설계된다. 벌크가 더 큰 중심 부분(1255)은 외부화 동안 부착되는 아암(120)의 말단 단부 위로 절첩하도록 내향으로 접힐 수 있다. 아암(120)이 장력 상태로 배치되면, 벌크가 더 큰 중심 부분(1255)은 아암(120)의 말단 단부로부터 그 자신 위로 절첩될 수 없으며, 이는 외부화된 앵커(125)가 상처를 통해 뒤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중심 부분(1255)은 더 큰 벌크에도 불구하고 상처를 통해 제1 방향으로(안구로부터 외향으로) 당겨질 수 있지만, 그 더 큰 벌크 때문에 상처를 통해 제2 반대 방향으로(안구를 향해 내향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은, 예를 들어 중심 부분(1255)에 비교하여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파지를 개선하는 난형, 직사각형, 별 모양 패턴, 또는 기타 형상 또는 기하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은 중심 부분(1255)로부터 연장되는 얇고 좁은 탭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앵커(125)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형태에 무관하게 앵커를 파지하게 하도록 1, 2, 3, 4, 5, 6개 또는 그 이상의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단일 앵커(125)보다 많이 가질 수 있다. 도 9는 3개의 고정 아암(120)을 갖는 디바이스(100)의 구현을 예시하며, 각각의 고정 아암은 말단 단부 상의 제1 앵커(125a) 및 제1 앵커(125a) 내부에 위치된 제2 앵커(125b)를 갖는다. 제2 앵커(125b)는 원심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렌즈 지지 구조(105)를 추가로 고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앵커(125b)는 제2 앵커(125b)가 또한 디바이스(100)를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공막(20)을 통해 외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과의는 제2 앵커(125b)(예를 들어, 제1 앵커(125a)) 주변에 위치된 고정 아암(120)의 임의의 재료를 트리밍할 수 있는 옵션을 갖는다. 이 다중 앵커 시스템은 외과의가 수술 중에 디바이스(100)를 환자의 안구에 대해 크기 설정하게 한다.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고정 아암(120)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앵커(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앵커(125)는 그 길이를 따라 균등하게 이격된 2, 3, 4, 5개 또는 그 이상의 앵커(1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이 공막을 통해 외부화됨에 따라, 고정 아암(120)의 길이는 또한 외부화되는 앵커(125)의 수에 따라 "맞춤화"될 수 있다. 외과의는 디바이스(100)를 센터링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많은 앵커(125)를 외부화할 수 있다. 공막(20)에 가장 가까운 외부 앵커(125) 주변의 고정 아암(120) 및 앵커(125)의 과잉 재료는 트리밍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상이한 외부 치수를 갖는 2개의 앵커(125a, 125b)를 예시하는데, 내부 앵커(125b)는 최외측 앵커(125a)보다 좁다. 복수의 앵커(125)는 또한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고 그 크기가 다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앵커(125)는 또한 제1 방향으로 공막을 통한 통과를 개선하지만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공막을 통한 통과를 손상시키는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앵커(125)의 정사각형 에지를 예시한다. 그러나, 앵커(125)는 외향 방향으로 공막을 통한 통과를 돕는 내부 대향 표면 상의 정사각형 에지 및 외부 대향 표면 상의 매끄러운 테이퍼진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안구 벽으로 연장되는 고정 아암(120)은 주변 홍채(10), 윤부(limbus) 및 공막(20)에 의해 시야로부터 차단될 수 있으므로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아암(120) 중 하나 이상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내향 편향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초기에 지지 구조(105)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외향 연장될 수 있고, 그 후 고정 아암(120)의 말단 단부가 고정 아암(120), 지지 구조(105), 또는 지지 구조(105)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11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도록 전방으로(또는 후방으로) 만곡되거나 절첩될 수 있다. 굽힘된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즉, 말단 단부 및/또는 앵커(125))는 확장된 동공을 통해 더 쉽게 시각화될 수 있고 시각화는 불투명 홍채(10)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도 13 참조). 이러한 내향(구심) 편향은 또한 굽힘된 고정 아암(120)이 디바이스 이식 동안 안전하게 파지되고 조작될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100)의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절첩된 구성을 향한 내향 편향을 가질 수 있거나 고정 아암(120)의 선택만이 내향 편향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둘, 최대 모든 고정 아암(120) 미만).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수동 조작을 사용하여 내향 편향 및 내향 편향 설정 없이 생산될 수 있다. 조작은 제조업자 또는 외과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조작의 목표는 이식하는 동안 확장된 동공을 통해 쉽게 시각화될 수 있도록 고정 아암(120)의 적어도 일부를 일시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조작은 2개 이상의 고정 아암(120)을 함께 봉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봉합사는 일단 외과의가 안구 내에서 고정 아암(120)을 개별적으로 조작할 준비가 되면 제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 구조는 고정 아암(120)의 시각화를 돕는 방식으로 고정 아암(120)이 렌즈 지지 구조(105)와 일시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중앙 구멍(115)를 획정하는 내부 벽(109)이 고정 아암(120)을 내향 편향된 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노치(117)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각각의 노치(117)의 형상은 노치(117) 내에 고정 아암(들)(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 아암(120)의 형상에 상보적이다. 제조업자 또는 외과의는 고정 아암(120)을 노치(117) 내로 절첩하거나 비틀거나 달리 조작할 수 있다. 안구에 삽입한 후, 외과의는 노치(117)로부터 고정 아암(120)을 맞물림 해제하고 공막을 통해 고정 아암(120)을 외부화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노치(117)는 도 9에서 내경 또는 내부 벽(109) 상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노치(117)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주변 표면(예를 들어, 외부 벽(111)), 전방 표면, 또는 후방 표면을 비롯하여 디바이스(100)의 다른 표면 상에 있을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또한 렌즈 지지 구조(105)와의 그 시작점과 말단 앵커(125) 사이에 굽힘부 또는 만곡부를 통합하도록 몰딩될 수 있다(도 10 내지 도 12, 도 17b 내지 도 17e, 도 19a, 도 20a, 도 21a 및 도 21b, 도 22a 및 도 22b, 도 23a 및 도 23b, 도 24a 내지 도 24f, 도 25a 내지 도 25c, 도 26a 내지 도 26e 및 도 27 참조). 굽힘된 고정 아암(들)(120)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120) 중 하나 이상은 반경방향 및 구심 방향으로 렌즈 지지 구조(105)와의 그 시작점으로부터 90도 내지 270도 굽힘될 수 있다. 따라서, 굽힘된 고정 아암(120)의 말단 단부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놓인다. 안구에 위치되기 전에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복수의 고정 아암(120)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120)의 말단 단부는 렌즈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굽힘된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할 수 있다. 굽힘된 아암은 렌즈 지지 구조(105)에 직교하는 그 시작점으로부터 적어도 제1 거리만큼 연장할 수 있다. 굽힘된 아암은 렌즈 지지 구조(105)의 평면으로부터 적어도 또 다른 거리만큼 상향(전방으로) 만곡될 수 있다. 굽힘된 아암(120)은 그 후 그 시작점을 향해 또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뒤로 만곡될 수 있다. 이는 굽힘된 아암(120)의 말단 단부가 렌즈 지지 구조(105)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아암(120)의 만곡부 또는 굽힘부는 중심축(CA)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아암의 시작점(103) 및 말단 단부(102) 모두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될 수 있다. 경공막 앵커(125) 및/또는 고정 아암(120)의 말단 부분은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또는 그 전방에 위치되거나 중앙 구멍(11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굽힘된 아암(들)(120)은 적어도 일정 거리만큼 렌즈 지지 구조(105)의 평면으로부터 하향(후방으로) 만곡될 수 있고 경공막 앵커(125) 또는 고정 아암(120)의 말단 부분은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또는 그 후방에 및/또는 중앙 구멍(115)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또는 그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아암(120)이 전방으로 만곡되든 후방으로 만곡되든)은 굽힘된 고정 아암(120) 및/또는 그 앵커(125)의 말단 단부와 같은 굽힘된 고정 아암(120)의 적어도 일부가 동공을 통해 시각화되게 하여 불투명한 홍채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고정 아암(120) 중 단하나의 아암(120), 고정 아암(120) 중 2개의 아암(120), 또는 모든 고정 아암(120)이 만곡부를 통합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위치되고 안구 내에 고정되면, 고정 아암(120)은 굽힘된 아암이 그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쳐지고 더 이상 굽힘되지 않도록 장력 상태로 배치된다. 아암(120)의 말단 단부는 굽힘된 고정 아암을 직선형 또는 펼쳐진 구성으로 압박하기 위해 아암(120)이 절첩된 구성에 있는 휴지 상태로부터 압박된다.
절첩된 구성의 굽힘부는 곡률 반경을 갖는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굽힘부일 수 있거나 아암(120)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별개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굽힘될 수 있다. 굽힘부는 렌즈 지지 구조(105)에 과도한 응력을 부여하지 않고 여전히 상대적으로 쉽게 펴지거나 펼쳐진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으면서 전방으로 너무 멀리 돌출하는 것을 피하기에 충분히 단단할 수 있다. 내향 편향된 기하형상은 내부 만곡부(전방 대향측)에서 약 0.10 mm 내지 약 2.5 mm의 곡률 반경과 외부 만곡부(후방 대향측)에서 약 0.6 mm 내지 약 3.0 mm의 곡률 반경인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구현에서,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는 간극(G)을 형성하는 렌즈 지지 구조(105)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도 17b 참조). 간극(G)은 약 0.2 mm 내지 최대 약 2.5 mm일 수 있다. 구현에서, 편향된 고정 아암(120)은 180도의 전체 반경으로 만곡되고 렌즈 지지 구조(105) 및 편향된 고정 아암이 약 1.25 mm만큼 이격되도록 내부 만곡부에서 약 0.63 mm의 곡률 반경이고 외부 만곡부에서 약 1.13 mm의 곡률 반경인 내향 편향된 기하형상을 갖는다. 만곡부의 시작점(렌즈 지지 구조(105)와의 시작점(103) 근방) 및 만곡부의 종점(경공막 앵커(125)에서 말단(102) 근방)은 만곡부가 고정 아암(120)의 길이에 걸쳐 변경되도록 복수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편향된 고정 아암(120)의 만곡부는 내부 만곡부에서 약 0.15 mm 내지 약 2 mm의 평균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굽힘된 고정 아암(120)은, 이식 후 및 공막 벽에 고정되기 전에, 응력을 받지 않은(휴지) 상태에 있을 때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다(도 13 참조). 이러한 가시성은 외과의가 앵커(125)를 쉽게 맞물리게 한다. 외과의가 고정 아암(120) 또는 앵커(125)의 본체를 파지하여 고정 아암(120)을 맞물릴 때, 외과의는 고정 아암(120)을 렌즈 지지 구조(105)와 실질적으로 평면에 두는 방식으로 휴지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아암(120)은 전개된 상태에서 재료에 저장된 응력이 디바이스 기능을 손상시키는 방식으로 렌즈 지지 구조(105)에 비틀림력 또는 인장력을 부여하지 않도록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들)(120)은 그 렌즈 지지 시작점으로부터 접선 방향 및 구심 방향으로 90-270도 선회부를 갖도록 몰딩될 수 있다(도 23a 및 도 23b 참조). 고정 아암(들)(120)은 렌즈 지지 구조(105)의 기하형상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이러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재료 또는 변형 가능한 힌지를 통합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고정 아암(120)이 렌즈 지지 구조(105)와의 그 시작점을 향해 뒤로 180도 굽힘될 때, 고정 아암(120)의 말단 단부(102)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굽힘부를 가질 수 있거나 고정 아암(120)의 선택만이 굽힘부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둘, 최대 모든 고정 아암(120) 미만). 도 10 및 도 11은 고정 아암(120)중 2개가 굽힘부를 갖고 하나의 고정 아암이 렌즈 지지 구조(105)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음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고정 아암(120) 중 하나 이상은 휴지 상태에서 비평면형 기하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고, 디바이스(100)가 이식되면, 단 앵커(125)의 외부화 전에 동공을 통해 고정 아암(120)의 적어도 일부를 쉽게 볼 수 있게 하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 아암(120)은 사용자에 의해 더 쉽게 파지되고 조작될 수 있어 무봉합 고정을 위해 펼쳐진 구성으로 압박될 수 있다. 휴지 상태에서 편향을 갖도록 제조되거나 휴지 상태에서 만곡되거나 굽힘되도록 제조된 고정 아암(120)은 디바이스(100)가 안구 밖에 있고 이식 준비가 되었을 때 해당 형상을 갖는 고정 아암(120)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고정 아암(120)은 안구(예를 들어, 후방 챔버) 내에 이식한 후, 단 앵커의 고정 전에 만곡된, 절첩된 또는 굽힘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은, 안구 외부에서 제1 형상을 갖고, 안구 내에 이식되기 전의 아암(120)의 형상과 상이한 만곡된 형상을 안구 내에 이식 시 취하며, 앵커(125)의 외부화 시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부분(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의 길이를 따라 굽힘부를 갖는) 절첩되거나 만곡된 형상을 향한 편향을 갖는 고정 아암(120)은, 동공을 통해 시각화되고, 파지되고, 수동으로 펼쳐지고 및/또는 신장되어 아암(120)의 앵커(125)를 경공막 고정시킬 수 있다. 만곡부, 굽힘부 또는 절첩부의 구성 및/또는 곡률 반경 뿐만 아니라 만곡부, 굽힘부 또는 절첩부의 방향 배향은 고정 아암(12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앵커(125) 및/또는 앵커(125)에 결합된 말단 단부)가 환자의 동공,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확장된 동공의 직경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 한 다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이는 고정 아암(120)의 적어도 일부가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그 외부 벽(111)의 반경방향 내향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암(120)의 부분이 외부 벽(111)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이 부분은 중앙 개구(115)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A) 배향으로 외부 벽(111) 위에 있지 않은 외부 벽(111)에 인접한 위치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연장된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외부 벽(111)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부분은 외부 벽(111)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외부 벽(111)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 부분은 외부 벽(111)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 위치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외부 벽(111)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부분은 중앙 개구(115)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중앙 개구(115)를 획정하는 내부 벽(109)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고정 아암의 일부(예를 들어, 말단 단부 및/또는 앵커(125))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일부 위에 그리고 동시에 또한 중앙 개구(115)의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125)는 앵커(125)의 적어도 일부가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고 앵커(125)의 다른 부분이 중앙 개구(11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만곡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고정 아암(120)은 디바이스의 실제 중심 또는 중심축(CA)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디바이스의 내부 또는 중심 부분을 향해 만곡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중심은 중앙 구멍(115)에 의해 형성된 원의 중심이다(중앙 구멍(115)이 원형인 경우).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은 전방-후방 방향(즉, 상단-하단 방향)으로 해당 원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중앙 구멍(115)이 실질적으로 비원형인 경우, 디바이스의 중심은 전방-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A)을 따른 중앙 구멍(115)의 대칭 중심이다.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심 또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연장되도록 절첩되거나 만곡된 구성으로 편향된 고정 아암은, 아암의 앵커를 통한 축이 실제 중심과 교차하거나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교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과 관련하여 "중심을 향해" 또는 "중심축을 향해"는,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멀어지게 일반적으로 외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와 달리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가 디바이스의 일부를 향해 일반적으로 내향 방향으로 뒤로 연장되도록 만곡부를 갖는 아암을 포함한다. 만곡된 고정 아암은 디바이스의 임의의 중심 부분을 향해 편향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실제 중심을 직접 가리킬 필요는 없다. 만곡된 고정 아암은 실제 중심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와 도 23a 및 도 23b는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뒤로 연장되는 디바이스의 구현을 예시한다. 도 22a는 렌즈 지지 구조(105) 및 3개의 고정 아암(120)을 갖는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2개의 고정 아암(120a, 120b)은 굽힘부(B)가 아암의 시작점(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에 존재하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된다. 제3 고정 아암(120c)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고 단일 축을 따라 렌즈 지지 구조(105)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도록 그 시작점(103)과 그 말단 단부(102) 사이에 굽힘부(B)를 갖지 않는다. 각각의 고정 아암(120a, 120b)의 앵커(125)는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뒤로 돌출된다. 고정 아암(120a, 120b)의 앵커(125)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적어도 제1 부분 및/또는 중앙 개구(11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적어도 제2 부분을 갖는다(도 22a 참조). 앵커(125)가 아암의 시작점(103)과 아암의 말단 단부(102) 사이의 굽힘부(B)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방향을 예시하는 축이 각각의 아암(120a, 120b)의 앵커(125)를 통해 작성될 수 있다. 축(L1)과 축(L2)은 중심축(CA)과 교차하지 않는다. 도 22b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된 2개의 고정 아암(120a, 120b)을 갖는 유사한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각각의 고정 아암은 아암(120a, 120b)의 시작점(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에 굽힘부(B)를 갖는다. 각각의 고정 아암(120a, 120b)의 앵커(125)는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뒤로 연장된다. 축(L1)과 축(L2)은 중심축(CA)과 교차한다. 따라서, 아암은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뒤로 돌출하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지만, 중심축(CA) 또는 디바이스의 실제 중심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할 필요는 없다.
고정 아암이 "절첩된" 또는 "굽힘된" 또는 "만곡된" 것으로 설명되거나 "절첩된" 또는 "굽힘된" 또는 "만곡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 축에 대한 고정 아암의 각도는 점진적이고 균일하게 변경될 수 있거나, 각도가 형성되도록 더 날카롭게 또는 급격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고정 아암이 제1 축을 따라 지지 구조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디바이스의 중심 부분을 향해 뒤로 지지 구조의 평면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되는 휴지 상태에서 또는 이식 전에 고정 아암의 내향 편향을 설명할 수 있다. 이식 시 디바이스의 지지 구조는 안구의 Z-평면(수직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구성된다. 절첩된 구성은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예를 들어, 횡방향 평면 내에서) 지지 구조의 이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고정 아암이 만곡되어,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의 전방에(예를 들어, 자체, 렌즈 지지 구조, 및/또는 중앙 개구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고정 아암 부분들이 서로 겹쳐 있고 또한 서로 접촉하고 있음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아암의 부분들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그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따른다. 또한, 절첩된 구성은 주름지거나 날카롭게 경사진 절첩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 절첩된 구성은 지지 구조에서 고정 아암의 시작점과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 사이에 곡률 반경이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또한 렌즈 지지 구조의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기보다는 렌즈 지지 구조의 평면 내에서 만곡되는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렌즈 지지 구조(105) 및 3개의 고정 아암(120)을 갖는 디바이스(100)의 또 다른 구현을 예시한다. 2개의 고정 아암(120a, 120b)은 굽힘부(B)가 아암의 시작점(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에 존재하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된다. 제3 고정 아암(120c)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고 축을 따라 렌즈 지지 구조(105)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도록 그 시작점(103)과 그 말단 단부(102) 사이에 굽힘부(B)를 갖지 않는다. 직선형 고정 아암(120c)의 앵커(125)는 아암의 축을 따라 디바이스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외향 돌출되어 있다. 이와 달리, 각각의 고정 아암(120a, 120b)의 앵커(125)는 아암의 굽힘부(B)로부터 내향 돌출되어 있다. 앵커(125)는 렌즈 지지 구조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유지된다(도 23b 참조). 앵커(125)가 아암의 시작점(103)과 아암의 말단 단부(102) 사이의 굽힘부(B)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방향을 예시하는 축이 각각의 굽힘된 아암(120a, 120b)의 앵커(125)를 통해 작성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고정 아암(120a, 120b)은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앵커(125)를 갖는다. 축(L1 및 L2)은 중심축(CA)과 교차할 수 있지만 반드시 교차할 필요는 없다. 도 23a에 도시된 축(L1) 및 축(L2)은 중심을 향해 연장되지만 중심축(CA)과 교차하지 않는다.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아암(120)의 일부는 지지 구조(105)의 외부 벽(110) 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아암(120)의 부분은 중앙 개구(115)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그 위에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경방향 내향"은 동일한 평면 내를 의미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아암(120)의 부분은 지지 구조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 내에서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위치된다. 고정 아암(120)의 부분(예를 들어, 앵커(125) 및/또는 말단 단부(102))은 렌즈 지지 구조(105)의 외주에 대해 중앙인 직경에서 렌즈 지지 구조(105)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중앙 개구(115)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에 대해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의 일부가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고정 아암(120)의 일부는 또한 렌즈 지지 구조(105)에 의해 획정된 중앙 개구(115) 위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암(120)의 일부가 디바이스(100)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그 자체, 렌즈 지지 구조(105), 및/또는 중앙 개구(115))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아암(120)의 일부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해당 부분과 공간이 중첩될 수 있고 망막에 대한 특정 방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는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공간의 중첩을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간 중첩이 망막에 대해 일반적으로 전방 방향에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부분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부분은 사용 동안 망막에 대해 그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된 아암(120)은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 "위" 또는 "중첩"으로서만 언급될 수 있지만, 사용 동안 망막에 대해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 "아래" 또는 그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단순화를 위해, 각각의 대안은 본 개시내용 전체에 걸쳐 각각의 사례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아암은 부분이 일반적으로 중심축(CA)을 따라 디바이스 위로 아치형이 되도록 디바이스의 전방 대향 부분 위에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만곡될 수 있다. 아암은 부분이 일반적으로 중심축(CA)을 따라 디바이스 아래로 아치형이 되도록 디바이스의 후방 대향 부분 위에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만곡될 수 있다. 아암은 동일한 평면 내에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만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의 전방 대향 부분 위 또는 후방 대향 부분 위에도 없다.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확장된 동공을 통해 보이도록 고정 아암의 임의의 다양한 구성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메커니즘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굽힘된 고정 아암(120)이 직선형 구성을 취하도록 펴지는 것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아암은 기계적, 전자기적 및/또는 열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고정 아암(120)은 아암의 단일 축을 따라 기계적으로 펼쳐질 수 있다. 휴지 상태의 고정 아암(120)은 굽힘부를 갖거나 만곡되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120)은 아암(120)이 단일 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다. 아암(120)은 그 시작 부분(103)과 그 말단 단부 부분(102) 사이에서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외향으로 직교하여 단일 축을 따라 연장된다. 절첩된 구성에서 아암(120)의 길이는 시작 부분(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에서 더 짧을 수 있어, 아암(120)의 앵커(125)는 펼쳐진 구성일 때보다 더 작은 직경 내에서 더 중앙에 위치된다. 일단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이식되면, 단 앵커(125)의 외부화 전에, 아암(120)은 아암이 외부화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외향으로 텔레스코핑될 수 있다. 텔레스코핑에 의한 기계적 펼침은 펼쳐질 때 더 긴 길이를 제공하거나 절첩될 때 더 짧은 길이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위로 활주되는 아암(120)의 내포된 구성요소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텔레스코핑에 의한 기계적 펼침은 또한 동공을 통해 시각화하기 위해 더 짧은 길이 동안 자체적으로 절첩되고 외부화 중에 더 긴 길이 동안 자체적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 단일 탄성 구성요소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고정 아암(120)은 펼쳐지거나 열적으로 절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120)은 실온에서 제1 형상(절첩되거나 직선형)일 수 있고 체온 또는 그 근방(35°C로 가열됨)에서 제2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화학적 수단(예를 들어, 수화 작용) 또는 기계적 수단(제한적 피처를 절단)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탄성 또는 비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120)은 비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을 제공하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차원 형상은 C자형, Z자형, S자형, 또는 다른 3차원 형상을 비롯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공막 조직에 과도한 힘을 부여하지 않으면서 IOL(110)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최적의 설계는 다양한 크기의 안구에서 그리고 다양한 위치의 절개부로 두 파라미터를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작동 가능한 장력과 안정성을 가질 것이다. 고정 아암 설계를 수정하는 한 가지 수단은 스프링과 같은 구조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들은 J-루프, C-루프, 폐루프, 켈만 햅틱(Kellman Haptic), 플레이트 햅틱 또는 IOL에 공통적인 기타 햅틱 설계와 같은 전통적인 압축 기반 햅틱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0)는 단순한 선형 탄성 코드와 같은 장력 기반 햅틱을 통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력 설계는 고정 아암(120)의 인장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V자형, Z자형 또는 S자형 피처로 수정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공막을 통해 한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게 하는 텍스처 또는 피처를 가질 수 있지만, 고정 아암(120)이 미끄러질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저항이 있다. 텍스처 또는 피처는 재료 자체에 의해 제공되거나 고정 아암(120)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120)은 미늘이 있고 외부 구조에 통합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늘형 내부 구조는 일반적으로 미늘과 관련된 날카로운 에지를 숨기면서 미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성 엘라스토머 구조에 임베딩된 강성 플라스틱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메모리를 갖고 가단성이 아닌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의 가요성 재료는 폴리우레탄, 소수성 아크릴, 친수성 아크릴, 나일론, 폴리이미드, PVDF, 천연 폴리이소프렌, 시스-1,4-폴리이소프렌 천연 고무(NR),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 구타페르카, 합성 폴리이소프렌(이소프렌 고무용 IR), 폴리부타디엔(부타디엔 고무용 BR) 클로로프렌 고무(CR),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베이프렌 등, 부틸 고무(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IIR), 할로겐화 부틸 고무(클로로 부틸 고무: CIIR, 브로모 부틸 고무: BII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SBR), 부나 N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HNBR) 테르반 및 제트폴이라고도 명명되는 니트릴 고무(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NBR), EPM(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EPDM 고무(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엔 성분의 삼원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ECO), 폴리아크릴 고무(ACM, ABR), 실리콘 고무(SI, Q, VMQ), 플루오르실리콘 고무(FVMQ), 플루오르엘라스토머(FKM 및 FEPM) 비톤, 테크노플론(Tecnoflon), 플루오렐(Fluorel), 아플라스(Aflas) 및 Dai-El, 퍼를루오로엘라스토머(FFKM) 테크노플론 PFR, 칼레즈(Kalrez), 켐라즈(Chemraz), 퍼플러(Perlast),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CSM), (히팔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레실린 및 엘라스틴, 폴리설파이드 고무, 및 엘라스토핀을 비롯하여 다양한 엘라스토머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아암(120)은 형성된 형상으로부터 굴곡될 수 있지만, 형성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기억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가요성 고정 아암(120)은 그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굴곡되거나 펼쳐질 수 있지만, 어떤 종류의 앵커링 고정 없이 유지되는 상이한 형상으로 압박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가요성 고정 아암(120) 중 하나 이상은 굽힘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은 지지 구조(105)와의 그 시작점(103)으로부터 앵커(125) 근방의 말단 단부(102)까지 180도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120)은 디바이스가 휴지 상태에 있고 아암(120)이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도록 아암(120)에 힘이 인가되지 않을 때 이러한 굽힘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편향되지 않은 상태의 아암(120)이 굽힘된다. 굽힘된 고정 아암(120)은, 전체 아암(120)이 연장되어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직선형으로 위치되도록 직선 형상 또는 펼쳐진 구성을 취하기 위해 이 굽힘된 형상으로부터 굴곡될 수 있다. 직선 형태로 굴곡될 때, 아암(120)은 굽힘된 형상 또는 절첩된 구성으로 되돌아가도록 편향된다. 고정 아암(120)에 인가되는 굴곡력이 해제되면, 아암(120)은 휴지 굽힘된 형상으로 복귀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 시, 고정 아암(120)은 경공막 고정되고 앵커(125)는 공막 외부에 위치된 아암(120)의 말단 단부(102)에 위치된다. 아암(120)은 직선 형상을 유지하도록 인장된다.
다른 구현에서, 고정 아암(120)은 고정 아암(120)이 굽힘되거나 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가단성인 재료로 형성되거나 그 재료를 통합할 수 있다. 가단성 고정 아암(120)은 금, 은, 백금, 스테인리스강, 니티놀, 니켈, 티타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PVDF, 폴리이미드, 아세탈 및 PEEK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등급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은 약 1000 MPa 미만, 또는 약 500 MPa 미만, 또는 약 250 MPa 미만, 또는 약 100 MPa 미만, 또는 약 50 MPa 미만, 또는 약 25 MPa 미만인 영률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120)은 약 20 MPa 미만,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약 1.0 MPa의 영률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지지 구조(105)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힘 또는 미늘 또는 기타 고정 햅틱이 제공할 수 있는 보다 강성의 침투력을 갖기 보다는 지지 구조(105)를 고정하도록 장력 상태로 설계되기 때문에 매우 연성이고 매우 적은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고정 아암(120)은 각각 약 2 mm 내지 약 6 mm인 시작점(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120) 각각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막을 통해 연장되는 고정 아암(120)의 길이는 아암(120)이 연장되는 상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소화되는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앵커(125)가 위치되는 말단 단부(120) 근방의 고정 아암의 경공막 부분의 최대 폭은 약 2.0 mm 이하, 약 1.5 mm 이하, 약 1.0 mm 이하, 0.75 mm 이하, 0.50 mm 이하일 수 있다.
도 12는 또한 내향 편향을 갖는 2개의 고정 아암(120a, 120b) 및 내향 편향을 갖지 않고 직선형인 제3 고정 아암(120c)을 갖는 디바이스(100)의 구현을 도시한다. 추가로, 제3 고정 아암(120c)은 다른 고정 아암(120a, 120b)보다 덜 가요성으로 만드는 기하형상을 갖는다. 제3 고정 아암(120c)은 다른 2개의 고정 아암(120a, 120b)보다 더 넓고 더 높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는 시작점(103)과 말단 단부(102) 사이의 영역을 통합할 수 있다. 도 8b는 또한 더 넓은 고정 아암(120)의 영역을 도시한다. 말단 단부(102) 근방의 아암(120)의 폭(W1)은 아암(120)의 말단 단부(102)로부터 떨어진 아암(120)의 폭(W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말단 단부(102)로부터 떨어진 아암(120)의 폭(W2)은 어느 정도의 벌크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말단 단부(102) 근방의 폭(W1)은 아암(120)의 경공막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120a, 120b, 120c)은 수술 절차 동안 한 번에 하나씩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단 고정 아암(120c)은 직선형 구성일 수 있고 후단 고정 아암(120a, 120b)은 만곡될 수 있다(도 17a 내지 도 17d 참조). 디바이스의 중량은 디바이스(100)가 망막을 향해 후방으로 틸트되도록 제1 이식된 또는 선단 고정 아암(120c)이 외부화 후에 굽힘되게 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외과 외과의는 더 후방 위치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망막 근방의 도구 조작으로 인해 수술 중 조직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선단 고정 아암(120c)은 후방 드리프트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및/또는 기하학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선단 고정 아암(120c)은 이러한 변형에 저항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재료는 선단 고정 아암(120c)의 앵커(125)의 외부화 후에 디바이스를 캔틸레버식으로 만들 수 있는 임의의 임플란트 등급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적절한 재료는 PMMA, 강성 실리콘, 나일론, 친수성 및 소수성 아크릴, PEEK, 폴리이미드,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니티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체 선단 고정 아암(120c) 또는 선단 고정 아암(120c)의 단지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더 강성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선단 고정 아암(120c)은 더 강성의 재료가 임베딩된 더 연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구현에서, 선단 고정 아암(120c)은 지지 구조(105)에서의 그 시작점(103)과 앵커(125)에 결합되는 그 말단 단부(102) 사이에 기계적 보강 영역(1205)을 포함할 수 있다(도 17a 참조). 영역(1205)은 고정 아암(120c)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플라스틱의 강성 섹션을 더 연성의 재료에 임베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7a는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103) 근방의 아암의 두께(화살표 O)와 비교하여 기계적 보강 영역(1205)에서의 증가된 두께(화살표 T)를 도시한다. 영역(1205)은 지지부(105)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예를 들어 앵커(125)에 가깝거나 인접하게 이격될 수 있다. 영역(1205)은, 고정 아암(120)의 앵커(125)를 외부화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디바이스(100)가 후방으로 드리프트할 가능성을 특히 감소시키도록 설계된 증가된 두께(도 17a 내지 도 17d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120)은 후방 방향으로의 편향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테이퍼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테이퍼진 기하형상은 발판 앵커(125) 근방에서 가장 얇을 수 있고 중앙에서 두꺼워질 수 있다. 고정의 후방 표면은 안구에 대해 전방으로 디바이스를 편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의 후방 표면과 상처의 접촉 각도는 고정 아암(120)의 후방 편향의 실질적인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디바이스(100)를 편향시킬 수 있다. 추가 벌크는 디바이스의 편향과 망막에 대한 근접도를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경공막 고정 아암(120) 및/또는 앵커(125)는 고정 아암의 크기 설정 또는 고정을 돕는 광반응성 또는 수소반응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의 일부를 팽윤시키거나 수축시킴으로써, 고정 아암의 길이를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조절하기 위해 고정 아암의 기하형상을 확장시키거나 수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아암의 외부화 후에 앵커를 확장시킴으로써, 앵커가 미끄러질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확실한 고정을 제공하는 데 더 효과적이 된다.
고정 아암의 크로스 앵커는 약간의 저항을 갖고 고정 아암(120)을 따라 활주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을 수술 중에 조절함으로써, 외과의는 주어진 환자에 대해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를 크기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크기 설정은 유효 렌즈 위치의 미끄러짐 및 변조 위험을 감소시킨다. 고정 아암(120)이 적절한 장력으로 설정되면, 과잉 재료는 트리밍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재충전 가능한 약물 전달 디바이스를 비롯하여 약물 전달 디바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하형상을 포함하거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결막하 공간에서 접근 가능한 견고하게 고정된 디바이스는 후안부 및 전안부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치료제의 예는 안압을 낮추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약물(녹내장 약제), 스테로이드, 생물학적 약제, 예컨대 항-혈관 내피 성장 인자(항-VEGF), 유전자 요법,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화학 요법,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특히 안구 또는 전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IOL 햅틱(114)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IOL 햅틱(114)은 고랑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 자체 내에 햅틱 고정을 위한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구조는 IOL 햅틱(114)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는 렌즈 지지 구조(105)의 내부 벽(109) 상의 하나 이상의 포켓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은 IOL 햅틱(114)을 제자리에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는 슬롯 또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IOL 햅틱(114)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햅틱 기하형상은 IOL 햅틱(114)이 고정 아암(120) 중 하나 이상 둘레에 랩핑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또한 IOL 햅틱(114)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임의의 햅틱 설계 및 임의의 옵틱 설계를 갖는 임의의 형태의 안내 렌즈(110)를 호스팅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렌즈 지지 구조(105)와 정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기하형상을 갖는 특정 IOL 설계에 맞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설계는 특히 렌즈 교환이 가능하도록 적합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굴절 교정을 제공하는 일체형 렌즈(110)로 제조될 수 있다. 교정은 단초점, 확장된 초점 심도, 수용, 조명 조절 가능한, 멀티피스/교환 가능한 또는 다초점 IOL 옵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일체형 설계 뿐만 아니라 멀티피스 설계를 비롯하여 임의의 다양한 종래 설계를 갖는 IOL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IOL(110)은 중심 옵틱(112) 및 2개의 햅틱(114)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9b 내지 도 19c, 도 20b 및 도 20c, 도 24b, 도 24c, 도 24f, 도 25b, 도 25c, 도 26b, 도 26c, 및 도 26e 참조). 햅틱(114)은 C-루프, J-루프, 수정된 J-루프, 또는 다른 햅틱과 같은 종래의 개루프 햅틱일 수 있다. IOL(110)은 디바이스의 중앙 개구(115) 위(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중앙 개구(115)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A)이 IOL(110)의 옵틱(112)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IOL(110)의 햅틱(114)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렌즈 지지 구조(105)로부터 상향 또는 전방으로(또는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 렌즈 지지 구조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일체형 IOL은 종래의 3피스 IOL과 유사한 개루프 햅틱을 가질 수 있다. 일체형 IOL은 모노블록 플레이트 스타일의 햅틱을 통합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가 한 가지 유형의 IOL(예를 들어, 도 19b 내지 도 19c 및 도 20b 내지 도 20c에 도시된 멀티피스 IOL 또는 도 24b, 도 24c, 도 24f, 도 25b, 도 25c, 도 26b, 도 26c 및 도 26e에 도시된 일체형 IOL)과 함께 도시되는 경우, 및 26E), 다른 유형의 IOL이 디바이스와 정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일체형 설계 뿐만 아니라 멀티피스를 비롯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임의의 유형의 IOL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IOL의 햅틱은 다양한 구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105)는 IOL의 주연부 또는 IOL의 하나 이상의 햅틱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하형상은 렌즈 지지 구조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리세스, 채널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f, 도 25a 내지 도 25c, 및 도 26a 내지 도 26e는 IOL의 적어도 일부가 디바이스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덮이도록 IOL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현을 예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f는 렌즈 지지 구조(2105), 중앙 구멍(2115), 및 복수의 고정 아암(2120)을 갖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을 예시한다. 중앙 구멍(2115)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내주 또는 내부 벽(2109)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은 원형일 수 있지만,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외주 또는 외부 벽(2111)은 비원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외주는 원형, 비원형, 난형, 타원형, 둥근 직사각형(도 25a 내지 도 25c), 둥근 삼각형(도 26a 내지 도 26e)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2105)는, 예를 들어 자연 수정체의 수정체 낭을 대신하여 IOL(110)을 지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IOL(1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2104)가 형성되도록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첨판 또는 차양(2126)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104)는 중앙 구멍(21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고 햅틱(114)과 같은 IOL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도 24b, 도 24c 및 도 24f는 디바이스(2100)와 맞물린 IOL(110)을 도시한다. IOL(110)의 옵틱(112)은 중앙 개구(2115) 위에 위치되고 옵틱(112)의 후방 대향 표면의 주연부 영역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해 위치된다. IOL(110)의 각각의 햅틱(114)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리세스(2104) 내에 위치될 수 있고 IOL(110)의 옵틱(112)의 대부분은 리세스(2104) 외부에 남아 있다. 리세스(2104)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및 돌출된 첨판 또는 차양(2126)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과 차양(2126)의 후방 대향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2104)의 체적은 전방-후방의 깊이 뿐만 아니라 개구(2115)의 중심축(CA)으로부터의 거리 모두에서 햅틱(114) 각각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차양(2126)은 매끄러운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단 디바이스(2100) 상에 위치되면 IOL의 임의의 날카로운 에지로부터 홍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추가로, 차양(2126)의 중앙 대향 표면(디바이스(2100)의 중심축(CA)을 향해 대향됨)은 추가로 햅틱(114)이 맞접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 표면은 햅틱에 반대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IOL(110)을 디바이스(2100)에 센터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차양(2126)은 또한 햅틱(114)의 Z-축 이동을 제한하고 IOL(110)을 디바이스(2100)에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체형 IOL을 비롯한 IOL의 안정적인 고정은 엄격한 중심화 공차를 요구하는 IOL(예를 들어, 토릭, 다초점 렌즈, 확장된 초점 심도(extended depth of focus)(EDOF) IOL, 및 수용 IOL)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IOL(110)은 안구 내에 이식하기 전에 또는 안구 내에 이식한 후에 디바이스(2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IOL(110)은 디바이스(2100)로부터 제거되고 수술 후에 교체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f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실질적으로 난형 형상인 외주(2111)를 갖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을 예시한다. 따라서, 내주(2109)는 원형 중앙 구멍(2115)을 획정할 수 있고 외주(2111)는 비원형 형상을 획정할 수 있다. 차양(2126)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2104)는 IOL(110) 햅틱(114)의 스팬이 리세스(210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장축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원형 중앙 구멍(2115) 및 비원형 외주(2111)를 갖는 디바이스(2100)의 또 다른 구현을 예시한다. 도 25a 내지 도 25c의 비원형 외주(2111)는 2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세장형 측면(2108)과 2개의 실질적으로 둥근 짧은 측면 또는 로브(2107)를 갖는 둥근 직사각형 형상이다. 차양(2126)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2104)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직사각형의 장축을 따라 대체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고 IOL(110) 햅틱(114)의 스팬을 수용하도록 이격된다. 예를 들어, 차양(2126)은 둥근 직사각형의 짧은 측면에 있는(즉, 로브(2107)의 위치에서)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되어 긴 측면(2108)을 따라 리세스(2104) 내에 그 사이의 IOL의 스팬을 수용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2120)이 렌즈 지지 구조(2105)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a, 2120b)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다. 하나의 고정 아암(2120c)은, 앵커(2125)에 결합된 그 말단 단부(2102)가 구멍(2115)의 중심축(CA)으로부터 멀어지게 외향 돌출하도록 렌즈 지지 구조(2105)에 대해 직교하여 단일 축을 따라 연장되는 선단 고정 아암일 수 있다. 선단 고정 아암(2120c)은 로브(2107)의 위치에서 렌즈 지지 구조(2105)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고정 아암(2120a, 2120b)은 선단 고정 아암의 로브(2107)로부터 떨어져, 예를 들어 대향 측면(2108)에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반대쪽 로브(2107)는 아암(2120a, 2120b) 사이에서 외향 돌출된다(도 25a 및 도 25b 참조).
도 26a 내지 도 26e는 원형 중앙 구멍(2115) 및 비원형 외주(2111)를 갖는 디바이스(2100)의 또 다른 구현을 예시한다. 외주(2111)의 비원형 형상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면(2108)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2107)를 갖는 둥근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2120) 각각은 복수의 측면(2108) 중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될 수 있다. 차양(2126)은 대체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할 수 있다. 제1 차양(2126)은, 예를 들어 선단 고정 아암(2120c)의 시작점(2103) 근방의 측면(2108)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차양(2126)은 다른 2개의 고정 아암(2120a, 2120b) 사이의 로브(2107)에 위치될 수 있다(도 26a 내지 도 26b 참조). 차양(2126)의 서로에 대한 배열은, 제1 차양(2126)이 선단 고정 아암(2120c)의 시작점(2103)에 인접한 로브(2107)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차양(2126)이 만곡된 고정 아암(2120a, 2102b) 중 하나의 시작점(2103) 근방의 측면(2108)에 위치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배향에 무관하게, 차양(2126)과 렌즈 지지 구조(2105)에 의해 획정된 리세스(2104)의 스팬은 그 사이에 IOL 햅틱(114)의 스팬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도 26c 참조).
중앙 개구(2115)는, 옵틱(112)이 그 직경(예를 들어, 약 4 mm 내지 최대 약 6 mm)을 통해 미끄러지지 않고 IOL의 옵틱(112)이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IOL은 차양(2126) 아래의 리세스(210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대향 차양(2126) 사이의 직경은 IOL 삽입에 충분하다. IOL은 통상적으로 절첩 가능하므로 제1 및 제2 차양(2126) 사이의 직경은 광범위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대향 차양(2126)은 측면(2108)을 따라 서로 완전히 연결된다(도 24c 참조). 대향 차양(2126)은 상부 구멍(2127)을 획정하는 렌즈 지지 구조(2105) 위에 완전한 돌출 표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측면(2108)을 따른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멍(2127)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중앙 구멍(21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구멍(2127)은 IOL이 제위치로 조작될 수 있고 리세스(2104)가 있는 위치로 완전히 펴질 수 있도록 약 6 mm보다 클 수 있다. 상부 구멍(2127)의 직경은 6 mm 초과 내지 최대 약 8 mm일 수 있다.
도 27은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를 돕기 위해 복수의 범퍼(2119)를 추가로 통합하는 차양(2126)을 갖는 디바이스(2100)의 상호 관련된 구현을 도시한다. 디바이스(2100)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4개의 범퍼(2119)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2119)는 실질적으로 링 형상이거나 C자형을 갖는 불완전한 링일 수 있다. 링형 범퍼(2119)는 렌즈 지지 구조(2105)에 모두 결합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C자형 범퍼(2119)는 렌즈 지지 구조(2105)에 결합된 일단부 및 렌즈 지지 구조(2105)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형상이나 구성에 무관하게, 범퍼(2119)는 디바이스(2100)를 인접한 안구 조직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범퍼(2119)는 섬모 구조와 접촉할 때 약간 변형될 수 있다. 변형은 일시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범퍼가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여 디바이스(2100)를 안구 내의 중앙식 위치를 향해 다시 압박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구현과 같이, 디바이스(2100)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범퍼(2119)는 일단 디바이스(2100)가 이식되면 섬모 구조와 접촉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한다. 범퍼(2119)는 고정 아암(2120)의 외부화 동안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범퍼(2119)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외주(2111)로부터 충분히 멀어지게 돌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섬모체(15)에 대해 및/또는 섬모 고랑(25) 내에서 맞접하여 Z-평면 내에서의 변위를 방지하고 고정 동안 중앙 구멍(2115)과 안구의 시각 축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한다.
고정 아암(120)이 안구 내부로부터 외부화될 수 있도록 바늘 또는 가이드 와이어(봉합사가 있거나 없는)가 말단 발판 또는 앵커(125)에 몰딩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바늘 또는 가이드 와이어는 디바이스(100)의 본체를 안구에 삽입하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서 외부화될 수 있다. 일단 외과의가 바늘 또는 가이드 와이어의 위치에 만족하면, 디바이스(100)는 안구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각각의 고정 아암(120)은 중심화 및 z-축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절차로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일단 디바이스(100)가 적절하게 고정되면, 외과의는 제자리에 앵커(125)를 남기고 디바이스(100)로부터 봉합사 및/또는 바늘을 트리밍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정된 날카로운 팁의 겸자/집게가 주요 각막 상처(렌즈 고정 디바이스의 삽입에 사용된)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이후에 고정 아암(120)과 맞물리도록 사용되고 외부화될 수 있다. 이는 공막 절개를 생성하고 고정 아암 앵커(125)를 외부화하기 위한 단일 패스를 가능하게 한다.
디바이스(100)는 겸자 또는 다른 일반적인 안과용 기구를 사용하여 각막 또는 공막 절개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안내 렌즈 주입기와 유사한 주입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삽입될 수 있다. 주입기는 고정 아암(120)을 외과의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디바이스(100)가 펴지게 한다. 대안적으로, 주입기는 수술 오류의 위험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전체 디바이스(100)를 전방 또는 후방 챔버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기는 디바이스(100)가 "우측이 위로" 삽입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주입기는 이식 중 홍채(10), 내피, 피막, 또는 소대 손상의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100)는 안정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 IOL(110)의 배치를 위한 수정체 낭의 인공 전방 양태로서 작용한다. 렌즈 지지 구조(105)의 신뢰할 수 있는 중심화 및 축방향 위치는 디바이스(100)의 최적 기능을 위해 중요하다. 일부 구현에서, 가이드 시스템은 공막 절개 부위를 정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시스템은 수술 중 토릭 마커 및 수술 전 토릭 기포 마커와 유사한 피처를 채용할 수 있다. 올바른 자오선 위치를 마킹하는 것에 추가하여, 마커는 윤부에 대해 절개부를 정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공막 절개를 위한 허용 가능한 위치는 윤부의 후방 및 거상연(ora serrota)의 전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인간의 안구에서, 공막 절개는 윤부의 약 0.1 mm에서 약 4 mm 후방에 대략 배치될 수 있다. 약 0.1 mm 내지 약 4 mm(z 축) 또는 약 1.5 mm 내지 약 4 mm의 윤부에 대한 전방/후방 공막 절개 부위를 변경함으로써, 고정 아암 장력을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직경의 마커/디바이스 쌍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최적 크기 및 위치가 가이드/마킹 시스템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 및 도 15a 내지 도 15i는 디바이스(100)의 고정 아암(120)의 삽입을 위한 공막 절개 부위의 식별 및 마킹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마킹 피처(1005)를 통합하는 예시적인 공막 절개 가이드 도구(1000)를 예시한다. 도구(1000)는 핸들(1010)의 원위 단부 영역(1015)으로부터 돌출하는 3개의 마킹 피처(1005)를 통합할 수 있다. 핸들(1010)은 제1 축(A)을 따라 연장할 수 있고 원위 단부 영역(1015)은 제1 축(A)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마킹 피처(1005)는 피처(1005)가 제1 축(A)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경사진 원위 단부 영역(1015)의 원위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구(1000)의 원위 단부 영역(1015)은 삼각대(1020)의 각각의 프롱(1025)으로부터 돌출된 피처(1005)를 갖는 삼각대(1020)를 형성할 수 있다(도 14a 참조). 도구(1000)의 원위 단부 영역(1015)은 링(1030)을 포함할 수 있고 마킹 피처(1005)는 링(1030)의 원위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도 14b 참조). 링(1030)은 센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외과의는 윤부, 동공 또는 백색 대 백색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킹 피처(1005)는 공막 절개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접촉점을 생성할 수 있다. 마킹 피처(1005)에 의해 제공되는 도구(1000)의 접촉점은 디바이스(100)의 고정을 위해 요구되는 공막 절개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마킹 피처(10005)는 링(1030)(또는 삼각대(1020))으로부터 외향으로의 거리 뿐만 아니라 원위 거리만큼 돌출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교하여 링(1030)에 대해 마킹 피처(1005)로부터 더 큰 스탠드오프를 통합하는 도구(1000)의 구현을 도시한다. 마킹 피처(1005)는 약 1 mm 내지 약 10 mm 또는 약 3 mm 내지 약 6 mm의 스탠드오프를 제공하는 링(1030)에서의 시작점과 최원위 팁(1035)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구(1000)는 검경, 투관침, 또는 수술 동안 안구의 표면에 있을 수 있는 다른 기구와 같은 안과용 기구와의 상호 작용을 피한다. 일부 구현에서, 링(1030)은 센터링을 위해 십자선(1040)을 추가로 통합할 수 있다(도 15h 내지 도 15i 참조). 각각의 마킹 피처(1005)의 최원위 팁(1035)과 링(1030) 사이의 거리는 링(1030)(또는 존재하는 경우 십자선(1040))이 사용 동안 각막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높은 스탠드오프를 제공한다(도 15e 내지 도 15g 참조).
링(1030)의 내경은 약 5 mm 내지 약 15 mm일 수 있다(도 16a 참조). 도구(1000)의 최원위 팁(1035)에 의해 획정된 전체 직경은 약 11 mm 내지 약 18 mm, 또는 약 13 mm 내지 약 17 mm일 수 있다(도 16b 참조). 마킹 피처(1005)는 링(1030)의 원주 둘레에 대칭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마킹 피처(1005)가 있는 경우, 각각의 마킹 피처는 서로로부터 약 120도 원주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마킹 피처(1005)는, 최원위 팁(1035)이, 예컨대 만입부를 생성함으로써 공막을 마킹하기에 적절한 대체로 날카로운 지점을 형성하도록 최원위 팁(1035)으로 이어지는 베벨 또는 이중 베벨을 통합할 수 있다(도 16a 내지 도 16d 참조). 최원위 팁(1035)의 지점을 생성하기 위한 베벨은 약 0.15 mm 내지 약 1.5 mm인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최원위 팁(1035)은, 최원위 팁(1035)이 마킹 피처(1005)의 최외측 범위로부터 오프셋되도록 링(1030)의 중심을 향해 내향 경사질 수 있다(도 16d 참조). 마킹 피처(1005)의 최외측 범위에 대한 팁(1035)의 오프셋은 약 0.15 mm 내지 약 1.5 mm인 최외측 범위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다. 각각의 마킹 피처(1005)는 약 3 mm 내지 약 10 mm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최원위 팁(1035)으로 이어지는 경사진 부분은 이 길이의 0.15 mm 내지 약 1.5 mm일 수 있다. 팁(1035)은 공막에 마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날카롭게 될 필요는 없다. 팁(1035)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뭉툭하고 여전히 공막을 마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뭉툭하든 날카롭든 팁(1035)은 공막에 별개의 시각적 마커를 적용하거나 복수의 만입부를 생성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공막을 마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팁(1035)의 하부 단부는 팁(1035)으로부터 공막으로 전달될 수 있는 양의 잉크 또는 다른 시각적으로 적절한 재료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앵커(125)의 외부화는 안과에서 사용되는 표준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7c 내지 도 17d는 앵커(125)의 외부화를 위한 올가미 디바이스(200)를 예시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발판 또는 앵커(125)는 공막 절개(예를 들어, 23, 25 또는 27 게이지 공막 절개)를 통해 외부화되도록 설계된다. 올가미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의 앵커(125) 및/또는 고정 아암(120)을 파지하고 해제하여 경공막 고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올가미 디바이스(200)는 크기가 확대되고 축소되도록 구성된 조절 가능한 루프(205)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205)는 앵커(125)의 일부 또는 전체를 지나갈 수 있다. 루프(205)는 루프(205)의 개방부가 감소하여 앵커 및/또는 고정 아암과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조여질 수 있다. 외과의는 고정 아암/앵커를 둘러싸는 최소화된 루프(205)를 갖는 디바이스(200)를 사용하여 앵커(125)에 대한 파지를 잃을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앵커(125)를 외부화할 수 있다. 앵커(125)의 외부화 시, 루프(20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개방되어 루프(205)의 개방 영역을 확대하여 앵커(125)를 해제할 수 있다.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구성에서, 루프(205)는 약 1.5 mm 내지 약 10.0 mm의 내주를 가질 수 있다. 폐쇄된 캡처 구성에서, 루프(205)의 내주는 약 0.25 mm 내지 약 2.5 mm일 수 있다. 올가미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100)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루프가 앵커(125) 및/또는 고정 아암(120)을 비외상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가미 디바이스(200)는 날카로운 코너를 가질 수 없다. 루프(205)의 재료는 루프(205)가 비외상적으로 아암(120)을 캡처하고 큰 원주 구성에서 작은 원주 구성으로 그리고 다시 큰 원주 구성으로 반복적으로 천이하게 하는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루프(205)의 재료는 고정 아암(120) 또는 앵커(125)와의 비외상적 상호 작용으로 타이트한 파지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 아암(120) 또는 앵커(125)를 파지하는 동안 루프(205)는 외부화 프로세스 동안 상당한 정도로 변형될 수 있다. 올가미 디바이스(200)의 적어도 일부는 굽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가미 디바이스(200)는 원위 단부 영역 근방에 굽힘부를 갖거나 인체공학적 필요에 맞게 사용 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굽힘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루프(205)는 전체 곡률 반경을 갖는 와이어형 구조일 수 있다. 와이어형 구조는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니티놀 또는 기타 금속과 같은 강성 재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형 구조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고어텍스, 폴리이미드, PMMA 또는 기타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루프(205)의 와이어형 구조는 가요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 SIBS 또는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다른 엘라스토머 폴리머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올가미 디바이스(200)는 또한 공막 절개를 만들고 및/또는 IOL 파지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올가미 디바이스(200)의 구현을 도시한다. 루프(205) 또는 다른 올가미 피처는 디바이스의 내부 루멘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내부 루멘으로부터의 개구는 도 17c 및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에 있을 수 있다. 내부 루멘으로부터의 개구는 또한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측벽을 통해 원위 단부의 근위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도 18c 및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로운 팁이 루프(205)가 루멘을 빠져나가는 오리피스의 원위측으로 연장되도록 스웨이징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원위 팁(210)의 날카로운 에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올가미 재료 및 디바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 피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의 날카로운 원위 팁(210)은 루멘을 갖고 원위 팁(210)을 넘어 연장되도록 구성된 외장 또는 다른 요소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 외장은 루프(205)가 고정될 수 있는 비외상성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공 팁(210)은 루프(205)가 작동되는 개구(215)로부터의 거리, 예를 들어 개구(215)로부터 약 0.2 mm 내지 10 mm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공막 절개를 만들기에 적절한 원위 팁(210)을 통합할 수 있다. 원위 팁(210)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코어링 투관침 팁 또는 도 18c 및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방 베벨 바늘 캐뉼러 팁과 같은 다양한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위 팁(210)의 기하형상은 베벨, 3면 투관침, 원추형, 다이아몬드형, 펜슬 포인트, 스웨이징형, 스카이브형 또는 기타 뾰족한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에서, 앵커(125)는 겸자 유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외부화될 수 있다. 겸자는 직선형이거나 경사질 수 있다. 겸자 디바이스는 로킹 피처를 통합하여 외과의의 파지를 개선시킬 수 있다. 외부화를 위한 겸자 디바이스는 비틀림, 압착, 활주, 일단 맞물린 겸자의 운동 범위를 감소시키는 메커니즘을 비롯하여 임의의 다양한 기계적 운동을 통해 로킹으로부터 로킹 해제로 또는 그 반대로 천이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로킹 겸자는 제한된 형태로 로킹된 2개의 파지면을 갖는다. 다른 구현에서, 겸자는 제한된 형태로 로킹될 수 있는 3개 또는 4개의 파지면을 갖는다. 로킹되거나 제한된 형태는 또한 외부화 절차를 돕는 외장 내에 앵커(125)를 둘러쌀 수 있다. 앵커(125)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은 상처를 통해 삽입될 때 앵커와 공막 사이의 간섭을 제한할 수 있다. 외장은 안구 조직과 최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외부화 동안 최외측 표면을 획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의 최외측 표면은 둥근(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난형 등)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외장은 또한 외부화 동안 조직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외장은 외부화 동안 그 형상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도록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이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 챔버로의 삽입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고정 아암의 시작 부분, 말단 단부 부분의 앵커가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와 중앙 개구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굽힘부, 절첩부 또는 만곡부를 갖는 고정 아암의 중심 부분을 포함한다. 디바이스가 후방 챔버에 삽입되면, 절첩된 구성의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동공을 통해 시각화될 수 있다. 직선형 고정 아암의 앵커는 공막의 제1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1 부분 위에서 파지되고 외부화될 수 있다. 만곡된 고정 아암의 앵커는 공막의 제2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2 부분 위에서 파지되고, 펼쳐지며, 외부화될 수 있다. 그 후, 고정 아암 중 제3 고정 아암이 공막의 제3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3 부분 위에서 파지되고, 인장되며, 외부화되어 안구의 후방 챔버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제조를 위한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이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다른 적절한 재료가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디바이스(100)는 렌즈 지지 구조(105), 고정 아암(120), 및 앵커(125)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임플란트 등급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디바이스에 채용될 수 있는 재료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플루오로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 폴리올레핀, 나일론, PVDF, PMMA, 폴리이미드, 니티놀, 티타늄, 스테인리스강, 또는 기타 임플란트 등급 재료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는 기하학적으로 함께 정합되거나, 화학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용접되거나, 오버몰딩되거나, 캡슐화되거나, 여러 재료를 조합하기 위해 기타 수단을 이용하는 재료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주어진 디바이스 요소는 여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PVDF, 폴리이미드, PMMA, 폴리우레탄,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 또는 고경도 실리콘과 같은 안과용 용례에 공통적인 비탄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아암(120)은 이식 동안 고정 아암(12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탄성 재료를 통합하거나 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고정 아암(120)은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PVDF, 폴리이미드, PMMA, 폴리우레탄,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 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연성 엘라스토머 재료가 임베딩되거나 코팅된 고경도 실리콘과 같은 반강성 또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특정 구현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실행되거나 다른 공지된 방법 및 구성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 설명에서, 구현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 치수 및 프로세스와 같은 수많은 특정 세부 사항이 기재된다. 다른 경우에, 널리 알려진 프로세스 및 제조 기술은 설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특별히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실시예", "일 구현", "구현" 등에 대한 언급은 설명된 특정 피처, 구조, 구성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구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일 구현, "구현" 등의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구현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정 피처, 구조, 구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임의의 다양한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하나의 구현의 요소 또는 피처는 대안적으로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다른 구현의 요소 또는 피처와 조합하여 통합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다양한 조합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더라도 이들 각각의 조합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안구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이식될 필요는 없다. 다양한 디바이스는 다양한 여러 방법에 따라 그리고 다양한 여러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식, 위치 및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는 이식 전, 이식 중 및 이식 후 언제든지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가 어떻게 이식되고 위치될 수 있는 지에 대한 몇 가지 대표적인 설명이 제공되지만, 간결함을 위해 각각의 이식 또는 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방법의 명시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설명 전반에 걸쳐 상대적인 용어의 사용은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 또는 배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위"는 기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근위"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상부", "하부", "상단", "하단", "전면", "측면" 및 "후면" 뿐만 아니라 "전방", "후방", "미부", "머리쪽" 등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상대적인 기준 프레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구현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배향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많은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청구되는 범위 또는 청구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오히려 특정 실시예에 특정한 피처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피처는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역으로, 단일 실시예의 문맥에서 설명된 다양한 피처는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다수의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피처가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고 심지어 초기에 그렇게 청구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피처가 일부 경우에 조합에서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유사하게, 작업이 도면에 특정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작업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예시된 모든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몇 가지 예와 구현만이 개시된다. 설명된 예 및 구현과 다른 구현에 대한 변형, 수정 및 개선이 개시된 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의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문구는 요소 또는 피처의 연결 목록 다음에 나타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요소 또는 피처의 목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사용되는 문맥에 의해 달리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문구는 나열된 요소 또는 피처의 임의의 것을 개별적으로 의미하도록 또는 기재된 요소 또는 피처의 임의의 것을 다른 기재된 요소 또는 피처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A와 B 중 적어도 하나", "A와 B 중 하나 이상" 및 "A 및/또는 B"라는 문구는 각각 "A 단독, B 단독, 또는 A 및 B 함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3개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에 대해서도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및/또는 C"라는 문구는 각각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함께, A 및 C 함께, B 및 C 함께, 또는 A 및 B 및 C 함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위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에 기초하여"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기재되지 않은 피처 또는 요소가 또한 허용될 수 있도록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40)

  1.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는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외주 표면, 전방 대향 표면, 후방 대향 표면, 및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에서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중앙 구멍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 - 단일 구멍은 연속적인 내주를 가짐 -; 및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장력 상태로 배치되어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은 무봉합 공막 고정을 위해 경공막 앵커에 결합된 말단 단부를 갖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경공막 앵커는 비외상적으로 외부화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경공막 앵커는 공막 외부 및 결막 내부에 위치 가능한,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비평면형인,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은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 및 제2 고정 아암은 각각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중 제3 고정 아암은 제1 및 제2 고정 아암의 단면적에 비교하여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제3 고정 아암의 증가된 단면적은 제1 고정 아암 또는 제2 고정 아암의 강성에 비교하여 그 강성을 증가시키는, 디바이스.
  10. 제5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의 외주 표면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전방 대향 표면은 사용 동안 안내 렌즈가 배치되는 안정적인 플랫폼을 형성하는,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내주는 균일한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을 형성하고, 외주 표면은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을 형성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 시,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을 따라 섬모체와 360도 접촉하지 않고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사용 시, 지지 구조의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은 섬모체와의 접촉을 피하거나 120도 미만을 따라 섬모체와 접촉하는,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사용 시, 지지 구조의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은 3개의 별개의 지점에서 섬모체 돌기와 접촉하는,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의 외주 표면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오목한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브는 지지 구조에 실질적으로 둥근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3개의 볼록한 로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3개의 볼록한 로브는 Z-평면에서 회전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사용 시, 3개의 볼록한 로브는 섬모체와 비침투 접촉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20.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중앙 구멍을 획정하는 내부 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1.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중앙 구멍을 향해 테이퍼지는 후방 대향 표면까지의 두께를 갖는, 디바이스.
  2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 단부에 경공막 앵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앵커를 그 길이를 따라 포함하는, 디바이스.
  23.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시, 경공막 앵커는 공막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경공막 앵커는 삽입 동안 제1 방향으로 공막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제2 반대 방향으로 공막을 통해 당기는 것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기하형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5. 제23항에 있어서,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복수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굽힘된 고정 아암을 형성하는 경공막 앵커에 결합된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하는,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굽힘부는 반경방향 및 구심 방향으로 시작점으로부터 90도와 270도 사이인, 디바이스.
  27. 제25항에 있어서, 굽힘부는 지지 구조와의 시작점으로부터 180도인, 디바이스.
  28. 제25항에 있어서, 휴지 상태에 있을 때, 굽힘된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는 지지 구조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놓이고, 경공막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굽힘된 고정 아암은 말단 단부가 지지 구조의 평면에 접근하도록 굽힘된 고정 아암의 펴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재료 또는 변형 가능한 힌지를 통합하는, 디바이스.
  30. 제25항에 있어서, 2개의 고정 아암은 가요성이고 내향 편향을 가지며 제3 고정 아암은 2개의 고정 아암보다 덜 가요성인, 디바이스.
  3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의 경공막 앵커는 공막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경공막 앵커는 중심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주변 파지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중심 부분은 앵커가 이식 시 외부화되는 상처 위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중심 부분은 파지 가능한 부분에 비교하여 증가된 두께, 높이, 및/또는 폭을 갖는, 디바이스.
  3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기계적으로 보강되는, 디바이스.
  35. 제34항에 있어서, 기계적 보강은 이식 시 디바이스를 전방으로 편향시키는, 디바이스.
  36. 인공적으로 구성된 고랑 내에 안내 렌즈를 배치하기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인공 소대 고정을 갖는 전방 피막 디바이스를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는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실질적으로 제1 평면에 놓이는 지지 구조로서, 지지 구조는 외주 표면, 전방 대향 표면, 후방 대향 표면, 및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에서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중앙 구멍을 포함하고, 단일 구멍은 연속적인 내주를 갖는, 지지 구조; 및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무봉합 공막 고정을 위해 경공막 앵커에 결합된 말단 단부를 갖고,
    휴지 상태에 있을 때,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제1 굽힘된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하며, 제1 굽힘된 아암의 말단 단부는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놓이는, 디바이스.
  38. 제37항에 있어서, 제1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39. 제37항에 있어서,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중앙 구멍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40. 제37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제2 굽힘된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하며, 제2 굽힘된 아암의 말단 단부는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놓이는, 디바이스.
  41. 제40항에 있어서, 제2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42. 제40항에 있어서, 제2 굽힘된 아암의 경공막 앵커는 중앙 구멍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43. 제40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중 제3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과 직선형 고정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 사이에서 직선형이고, 직선형 고정 아암은 제1 및 제2 굽힘된 아암보다 덜 가요성인, 디바이스.
  44. 제4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굽힘된 아암은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45.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는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실질적으로 제1 평면에 놓이는 지지 구조로서, 지지 구조는 외주 표면, 전방 대향 표면, 후방 대향 표면, 및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에서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중앙 구멍을 포함하고, 단일 구멍은 원주를 갖는 내주 표면을 갖는, 지지 구조; 및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장력 상태로 배치되어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무봉합 공막 고정을 위해 경공막 앵커에 결합된 말단 단부를 갖고,
    내주 표면은 균일한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을 형성하고 외주 표면은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을 형성하는, 디바이스.
  46. 제45항에 있어서, 외주 표면의 비원형 형상은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47. 제46항에 있어서, 복수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오목한, 디바이스.
  48. 제46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복수의 측면 중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디바이스.
  49. 제45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원주 둘레에서 달라지는, 외주 표면과 내주 표면 사이의 폭을 갖는, 디바이스.
  50. 제46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복수의 로브가 외향 돌출되는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갖는, 디바이스.
  51. 제45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의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은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테이퍼지는, 디바이스.
  52. 제45항에 있어서, 내주 표면 및 외주 표면은, 내주 표면이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하고 외주 표면이 디바이스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하도록 볼록한, 디바이스.
  53. 제45항에 있어서,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후방 대향 표면까지의 지지 구조의 두께는 약 0.15 mm 내지 약 1.5 mm인, 디바이스.
  54. 제45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디바이스.
  55. 제45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전방 대향 표면에 리세스를 통합하는, 디바이스.
  56. 제45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를 통합하는, 디바이스.
  57.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로의 이식을 위한 디바이스이며,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로서, 지지 구조는 인공 안내 렌즈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안구 내에 이식된 후, 디바이스와 인공 안내 렌즈는 개구와 인공 안내 렌즈 모두를 통해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구조;
    지지 구조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지지 구조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지지 구조로부터 절첩된 구성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이식 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 각각이 펼쳐지며, 또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후방 챔버 내에 디바이스의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한 비외상성 원위 앵커 부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8.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로의 이식을 위한 디바이스이며,
    지지 구조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 및
    복수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은 지지 구조에서의 시작 부분 및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비외상성 앵커에 결합된 말단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앵커의 경공막 고정 전에, 복수의 고정 아암은 안구의 동공을 통해 만곡된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그 시작 부분과 그 말단 단부 사이에서 만곡되는 만곡된 고정 아암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9. 제58항에 있어서, 앵커의 경공막 고정 후, 복수의 고정 아암 각각은 안구의 Z-평면에 대해 지지 구조를 정렬하기 위해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인장되는, 디바이스.
  60. 제59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는 안내 렌즈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중앙 구멍은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중앙 구멍 및 안내 렌즈 모두를 통한 광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61. 제58항에 있어서, 만곡된 고정 아암은 전방으로 만곡되고 그 비외상성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62. 제58항에 있어서, 만곡된 고정 아암은 후방으로 만곡되고 그 비외상성 앵커는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63. 온전한 수정체 낭이 없는 안구의 후방 챔버로 디바이스를 이식하는 방법이며,
    디바이스를 후방 챔버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갖는 렌즈 지지 구조;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렌즈 지지 구조에 결합된 시작 부분 및 앵커를 포함하는 말단 부분을 갖고;
    후방 챔버로의 삽입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며, 절첩된 구성은,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시작 부분,
    굽힘부, 절첩부 또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중심 부분, 및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와 중앙 개구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된 말단 부분의 앵커를 포함하는, 단계;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파지하고 공막의 제1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1 부분 위에서 앵커를 외부화하는 단계;
    제2 고정 아암의 앵커를 파지하고, 제2 고정 아암의 절첩된 구성을 펼치며, 공막의 제2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2 부분 위에서 제2 고정 아암의 앵커를 외부화하는 단계; 및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제3 고정 아암의 앵커를 파지하고, 제3 고정 아암을 인장시키며 공막의 제3 부분을 통해 그리고 제3 부분 위에서 제3 고정 아암의 앵커를 외부화하여 안구의 후방 챔버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4. 안구 내에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는 디바이스이며,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 구조로서,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이식된 경우, 광이 중앙 개구를 통해 망막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렌즈 지지 구조; 및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렌즈 지지 구조에 결합되고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시작 부분 및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의 경공막 고정을 위한 앵커를 포함하는 말단 부분을 포함하며;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말단 부분의 앵커를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게 위치시키는 시작 부분과 말단 부분 사이의 굽힘부를 통합하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65. 제64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전방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66. 제65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된 앵커는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전방에 있는, 디바이스.
  67. 제65항에 있어서,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전방에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 위에 그리고 렌즈 지지 구조의 전방에 있는, 디바이스.
  68. 제64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그리고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69. 제68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위치된 앵커는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중앙 개구 아래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후방에 있는, 디바이스.
  70. 제68항에 있어서,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 아래에 그리고 중앙 개구의 후방에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 아래에 그리고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에 있는, 디바이스.
  71. 제64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시작 부분 위 또는 아래에서 절첩된 말단 부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72. 제64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은 시작 부분과 중첩되는, 디바이스.
  73. 제64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배치할 때 그러나 앵커의 경공막 고정 전에 안구의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는, 디바이스.
  74. 제64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디바이스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되며, 중심축은 중앙 개구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고, 거리는 약 4.0 mm 이하인, 디바이스.
  75. 제64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앙 개구를 향해 뒤로 돌출하도록 만곡되는, 디바이스.
  76. 제64항에 있어서, 앵커는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구성되는, 디바이스.
  77. 제64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대체로 링 형상인, 디바이스.
  78. 제64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외주와 내주를 더 포함하고, 중앙 개구는 내주에 의해 한정되며,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는 실질적으로 비원형이고, 내주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디바이스.
  79. 제64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외주를 포함하고, 외주는 중앙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80. 제79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브의 제1 수치 카운트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제2 수치 카운트와 동일하고,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에서 이격되는, 디바이스.
  81. 제80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인접한 로브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되는, 디바이스.
  82. 제80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브는 3개의 로브로 구성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은 3개의 고정 아암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83. 제79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브는 렌즈 지지 구조에 실질적으로 둥근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84. 제83항에 있어서, 이식될 때,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는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침투 접촉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85. 제64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의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86. 제64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모든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87. 제64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88. 제87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단면적에 비교하여 더 큰 단면적을 가져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강성에 비해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의 증가된 강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89. 제64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표면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90. 제64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안내 렌즈의 주연부 또는 안내 렌즈의 하나 이상의 햅틱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기하형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91. 제90항에 있어서, 기하형상은 렌즈 지지 구조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리세스, 채널 또는 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92. 제64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경공막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고정 아암의 펴짐을 용이하게 하는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93. 제64항에 있어서, 앵커의 경공막 고정 후,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펼쳐진 구성으로 인장되어 안구의 Z-평면에 대해 렌즈 지지 구조를 정렬하는, 디바이스.
  94. 제64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는 가요성이며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제3 고정 아암은 3개의 가요성 고정 아암 중 2개보다 덜 가요성이며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95. 제94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모두는 장력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96. 제94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의 각각의 절첩된 구성은 말단 부분을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편향시키는, 디바이스.
  97. 제64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이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동안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형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98. 안구 내에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는 디바이스이며,
    중앙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내주 표면을 포함하는 렌즈 지지 구조로서,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이식된 경우, 광이 중앙 개구를 통해 망막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렌즈 지지 구조; 및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렌즈 지지 구조에 결합된 시작 부분 및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의 경공막 고정을 위한 앵커를 포함하는 말단 부분을 포함하며;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절첩된 구성은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시작 부분과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 및 중앙 개구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된 말단 부분의 앵커, 및 시작 부분과 말단 부분 사이의 굽힘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99.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100.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중앙 개구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101. 제98항에 있어서,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그리고 부분의 전방에 있는, 디바이스.
  102.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103.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안구 내에 위치될 때 그리고 공막 고정 전에, 망막에 대한 중앙 개구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104. 제98항에 있어서, 앵커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중앙 개구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있고 앵커의 적어도 제2 부분은 망막에 대한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아래에 그리고 부분의 후방에 있는, 디바이스.
  105.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시작 부분 위 또는 아래에서 절첩된 말단 부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06.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은 시작 부분과 중첩되는, 디바이스.
  107.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배치할 때 그러나 앵커의 경공막 고정 전에 안구의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는, 디바이스.
  108.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앵커는 디바이스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되며, 중심축은 중앙 개구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고, 거리는 약 4.0 mm 이하인, 디바이스.
  109. 제98항에 있어서, 절첩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말단 부분의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앙 개구를 향해 뒤로 돌출하도록 만곡되는, 디바이스.
  110. 제98항에 있어서, 앵커는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구성되는, 디바이스.
  111. 제98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대체로 링 형상인, 디바이스.
  112. 제98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외주를 더 포함하고,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는 실질적으로 비원형이고, 내주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디바이스.
  113. 제98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외주를 더 포함하고, 외주는 중앙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14. 제113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브의 제1 수치 카운트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제2 수치 카운트와 동일하고,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에서 이격되는, 디바이스.
  115. 제114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브는 인접한 고정 아암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각각은 인접한 로브 사이의 렌즈 지지 구조의 외주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이격되는, 디바이스.
  116. 제114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브는 3개의 로브로 구성되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은 3개의 고정 아암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17. 제113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브는 렌즈 지지 구조에 실질적으로 둥근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18. 제117항에 있어서, 이식될 때, 적어도 3개의 볼록한 로브는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침투 접촉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19. 제98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의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120. 제98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의 모든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121. 제98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이식 전에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122. 제12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은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단면적에 비교하여 더 큰 단면적을 가져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의 강성에 비해 적어도 제2 고정 아암의 증가된 강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23. 제98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표면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24. 제98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구조는 안내 렌즈의 주연부 또는 안내 렌즈의 하나 이상의 햅틱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기하형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25. 제124항에 있어서, 기하형상은 렌즈 지지 구조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리세스, 채널 또는 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26. 제98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경공막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고정 아암의 펴짐을 용이하게 하는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7. 제98항에 있어서, 앵커의 경공막 고정 후,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은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펼쳐진 구성으로 인장되어 안구의 Z-평면에 대해 렌즈 지지 구조를 정렬하는, 디바이스.
  128. 제98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는 가요성이며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제3 고정 아암은 3개의 가요성 고정 아암 중 2개보다 덜 가요성이며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129. 제128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모두는 장력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30. 제128항에 있어서,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의 각각의 절첩된 구성은 말단 부분을 디바이스의 중심축을 향해 편향시키는, 디바이스.
  131. 제98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아암이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동안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형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디바이스.
  132. 제45항에 있어서, 전방 대향 표면의 전방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지지 구조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차양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33. 제13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 디바이스.
  134. 제13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양은 안내 렌즈의 에지로부터 안구의 홍채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매끄러운 기하형상을 갖는, 디바이스.
  135. 제13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양은 안내 렌즈의 햅틱에 반대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앙 대향 표면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36. 제132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은 복수의 로브를 포함하고 삼각형, 난형 또는 직사각형인, 디바이스.
  137. 제132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은 복수의 로브를 포함하고 직사각형이며 외주 표면은 한 쌍의 짧은 측면과 한 쌍의 긴 측면을 획정하는, 디바이스.
  138. 제13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양은 한 쌍의 짧은 측면 근방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차양을 포함하고, 안내 렌즈는 한 쌍의 햅틱을 갖는 일체형 안내 렌즈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차양은 제1 및 제2 차양 사이의 햅틱의 스팬을 수용하는, 디바이스.
  139. 제13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차양은 연장부에 의해 한 쌍의 세장형 측면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상부 구멍을 획정하는, 디바이스.
  140. 제139항에 있어서, 상부 구멍은 직경을 갖고 중앙 구멍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 구멍의 직경은 지지 구조의 중앙 구멍의 직경보다 큰, 디바이스.
KR1020227041715A 2020-04-29 2021-04-28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KR20230012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7423P 2020-04-29 2020-04-29
US63/017,423 2020-04-29
US202063053450P 2020-07-17 2020-07-17
US63/053,450 2020-07-17
US16/988,519 2020-08-07
US16/988,519 US11759309B2 (en) 2020-04-29 2020-08-07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PCT/US2021/029605 WO2021222383A1 (en) 2020-04-29 2021-04-28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512A true KR20230012512A (ko) 2023-01-26

Family

ID=7539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715A KR20230012512A (ko) 2020-04-29 2021-04-28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11759309B2 (ko)
EP (1) EP4142648A1 (ko)
JP (1) JP2023523846A (ko)
KR (1) KR20230012512A (ko)
CN (1) CN115697248A (ko)
AU (1) AU2021264521A1 (ko)
BR (1) BR112022021908A2 (ko)
CA (1) CA3181412A1 (ko)
MX (1) MX2022013531A (ko)
WO (1) WO2021222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19968A1 (es) * 2020-09-14 2022-01-26 Jose Antonio Arrieta Dispositivo de anclaje escleral para soporte de lente intraocular y métodos quirúrgicos de inserción del dispositivo
WO2022155491A1 (en) * 2021-01-14 2022-07-21 Long Bridge Medical, Inc. Delivery devices for implantation of intraocular lens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FR3134308A1 (fr) * 2022-04-12 2023-10-13 Pierre-André DUVAL Dispositif intraoculaire prévu pour être implanté dans un œil d’une personne

Family Cites Families (2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500A (en) 1916-02-12 1919-04-03 Sidney Mitchell Davison Improvements in Submarine Signal Sound Receiving Apparatus.
US3673616A (en) 1970-01-16 1972-07-04 Svyatoslav Nikolaevich Fedorov Artificial anterior chamber lens
US3866249A (en) 1974-03-07 1975-02-18 Leonard Flom Posterior chamber artificial intraocular lens
US3922728A (en) 1974-08-15 1975-12-02 Krasnov Mikhail M Artificial crystalline lens
US3925825A (en) 1975-01-24 1975-12-16 American Optical Corp Supporting system for artificial intraocular lens
US3986214A (en) 1975-11-26 1976-10-19 Krasnov Mikhail M Surgical method of fixation of artificial eye lenses
US4014049A (en) 1976-04-07 1977-03-29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Artificial intraocular lens and supporting system therefor
US4073014A (en) 1976-05-28 1978-02-14 Stanley Poler Intra-ocular lens
US4262370A (en) 1976-08-04 1981-04-21 Bausch & Lomb Incorporated Sutureless intraocular lens
US4168547A (en) 1977-04-01 1979-09-25 Medicinska Akademia Anterior-chamber lens-carrier
US4110848A (en) 1977-05-06 1978-09-05 Ronald P. Jensen Intraocular lens for implantation into the posterior chamber of a human eye
US4190049A (en) 1977-08-08 1980-02-26 Hager Clarence L Posterior lens implant tool
US4215440A (en) 1978-09-25 1980-08-05 Worst Jan G F Intraocular lens
US4254511A (en) 1979-07-25 1981-03-10 Heyer-Schulte Corporation Intraocular lens with noncircular eye engaging retention means
US4242762A (en) 1979-07-25 1981-01-06 Tennant Jerald L Posterior encapsuled implant lens
US4298996A (en) 1980-07-23 1981-11-10 Barnet Ronald W Magnetic retention system for intraocular lens
AU7644481A (en) 1981-09-18 1983-04-08 Clayman, Henry Mark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transplant device
US5776191A (en) 1982-02-05 1998-07-07 Staar Surgical Company Fixation system for intraocular lens structures
US4437194A (en) 1982-02-25 1984-03-20 Optical Radiation Corp. Intraocular lens assembly
US5507805A (en) 1982-05-03 1996-04-16 American Cyanamid Company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retaining in place
US4476591A (en) 1982-10-07 1984-10-16 Arnott Eric J Lens implants for insertion in the human eye
US4617023A (en) 1983-05-02 1986-10-14 Peyman Gholam A Intraocular lenses with openable haptic loops
US4629460A (en) 1984-06-25 1986-12-16 Dyer Robert L Intraocular lens
US4576607A (en) 1984-07-13 1986-03-18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es
US4585457A (en) 1985-05-16 1986-04-29 Kalb Irvin M Inflatable intraocular lens
US4737322A (en) 1985-09-27 1988-04-12 Staar Surgical Company Intraocular lens structure with polyimide haptic portion and methods for fabrication
US4718905A (en) 1986-08-13 1988-01-12 Freeman Jerre M Haptic element using ion beam implantation for an intraocular lens
US4790847A (en) 1987-05-26 1988-12-13 Woods Randall L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eye focusing capabilities
FR2631228B1 (fr) 1988-05-11 1990-08-10 Domilens Laboratoires Implant intra-oculaire de chambre anterieure
US4878910A (en) 1988-06-13 1989-11-07 Koziol Jeffrey E Intraocular lens assembly
US4932971A (en) 1989-06-05 1990-06-12 Kelman Charles D Clip-on optic assembly
US5336262A (en) 1989-12-26 1994-08-09 Chu Milton W Intraocular lens with haptics for scleral fixation and method for using it
US5026396A (en) 1990-05-07 1991-06-25 Darin John J Two-piece intraocular lens
US5258025A (en) 1990-11-21 1993-11-02 Fedorov Svjatoslav N Corrective intraocular lens
US5152787A (en) 1990-12-19 1992-10-06 Eastman Kodak Company Intraocular gradient-index lenses used in eye implantation
EP0507292B1 (en) 1991-04-04 1997-07-02 Menicon Co., Ltd. Device for inhibiting aftercataract
US5222981A (en) 1991-08-15 1993-06-29 Werblin Research & Development Corp. Multi-component intraocular lens
US5466233A (en) 1994-04-25 1995-11-14 Escalon Ophthalmics, Inc. Tack for intraocular drug delivery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moving same
US5628795A (en) 1995-03-15 1997-05-13 Langerman David W Spare parts for use in ophthalmic surgical procedures
JP2000503867A (ja) 1996-01-26 2000-04-04 ビジョ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リミテッド・パートナーシップ 主眼内レンズおよび補助眼内レンズシステム
US5628798A (en) 1996-03-18 1997-05-13 Harry C. Eggleston Adjustable and removable intraocular lens implant
US20040148022A1 (en) 1996-03-18 2004-07-29 Eggleston Harry C. Modular intraocular implant
US5752960A (en) 1996-05-31 1998-05-19 Nallakrishnan; Ravi Intraocular lens insertion forceps
IL121417A0 (en) 1997-07-28 1998-01-04 Israel Henry M Intraocular ring
US6488707B1 (en) 1997-08-20 2002-12-03 Thinoptx, Inc. Method of implanting a deformable intraocular corrective lens
CN2328346Y (zh) 1998-01-23 1999-07-14 蒲剑 捆绑植入式四袢后房型人工晶体
US5843184A (en) 1998-01-26 1998-12-01 Cionni; Robert J. Endocapsular tension ring and method of implanting same
FR2778093B1 (fr) 1998-05-04 2000-06-16 Khalil Hanna Implant intraoculaire
FR2784287B1 (fr) 1998-10-13 2000-12-08 Georges Baikoff Segment d'expansion sclerale
US6228115B1 (en) 1998-11-05 2001-05-08 Bausch & Lomb Surgical, Inc. Intraocular lenses with improved axial stability
WO2000030566A1 (en) 1998-11-20 2000-06-02 Staar Surgical Company, Inc.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implant device, and packaging therefor
US6264693B1 (en) 1998-12-11 2001-07-24 Bausch & Lomb Surgical, Inc. Air abrasive texturing process for intraocular implants
US20030158560A1 (en) 1999-03-22 2003-08-21 Valdemar Portney Corrective intraocular lens system, intraocular lenses, and lens handling and installation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installation method
US6488708B2 (en) 1999-04-09 2002-12-03 Faezeh Sarfarazi Open chamber, elliptical,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US7662179B2 (en) 1999-04-09 2010-02-16 Sarfarazi Faezeh M Haptics for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US6616692B1 (en) 1999-04-30 2003-09-09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combinations
US6342058B1 (en) 1999-05-14 2002-01-29 Valdemar Portney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 and instrument for attaching same to an iris
US6152959A (en) 1999-05-14 2000-11-28 Portney; Valdemar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
US6685741B2 (en) 1999-07-29 2004-02-03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es
US6261321B1 (en) 1999-09-01 2001-07-17 Robert E. Kellan Phakic or aphakic intraocular lens assembly
US20020087210A1 (en) 1999-09-02 2002-07-04 Donald Carrol Stenger Intraocular
US6299641B1 (en) 1999-09-10 2001-10-09 Randall Woods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eye accommodating capabilities
US6193750B1 (en) 1999-10-15 2001-02-27 Medevec Licensing, B.V. Collars for lens loops
US6767363B1 (en) 1999-11-05 2004-07-27 Bausch & Lomb Surgical, Inc. Accommodating positive and neg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US20050085907A1 (en) 2000-02-16 2005-04-21 Humanoptics Ag Intraocular implant and an artificial lens device
US6797004B1 (en) 2000-03-02 2004-09-28 Advanced Medical Optics, Inc. Holders for intraocular lenses
US6551354B1 (en) 2000-03-09 2003-04-2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162927B2 (en) 2000-03-21 2012-04-24 Gholam A. Peyma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EP1138282A1 (en) 2000-03-30 2001-10-04 Charles D. Kelman, M.D. Intraocular lens assembly
US6398809B1 (en) 2000-04-12 2002-06-04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AU2001280026A1 (en) 2000-07-28 2002-02-13 Kiyoshi Okada Intraocular lenses with reduced complications
US7462194B1 (en) 2000-08-04 2008-12-09 Blake Larry W Two part “L”-shaped phakic IOL
US20020072796A1 (en) 2000-12-11 2002-06-13 Hoffmann Laurent G.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es
US6558420B2 (en) 2000-12-12 2003-05-06 Bausch & Lomb Incorporated Durable flexible attachment components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486140B2 (en) 2001-01-30 2013-07-16 Timothy R. Willis Refractive intraocular implant lens and method
US20020103535A1 (en) 2001-01-31 2002-08-01 Valdemar Portney Intraocular lens for double-fold implantation
US6443985B1 (en) 2001-08-27 2002-09-03 Randall Woods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eye accommodating capabilities
US20030055499A1 (en) 2001-09-14 2003-03-20 Nguyen Tuan Anh Low profile intraocular lenses
FR2831423B1 (fr) 2001-10-31 2004-10-15 Bausch & Lomb Lentilles intraoculaires munies de rebords anguleux afin d'eviter une opacification capsulaire posterieure
US20070123982A1 (en) 2001-11-06 2007-05-31 Judith Yablonski Intra-ocular lens
US7763069B2 (en) 2002-01-14 2010-07-27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outer support structure
WO2003059196A2 (en) 2002-01-14 2003-07-24 Advanced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elongated suspension structure
US8048155B2 (en) 2002-02-02 2011-11-01 Powervision, Inc. Intraocular implant devices
US7179292B2 (en) 2002-03-15 2007-02-20 Ophtec B.V. Intraocular lens for implantation in an eye and instrument and methods for insertion of such a lens
US20030187505A1 (en) 2002-03-29 2003-10-02 Xiugao Liao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textured haptics
US6966913B2 (en) 2002-05-22 2005-11-22 Israel Henry M Intraocular ring
US6972033B2 (en) 2002-08-26 2005-12-06 Advanced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ssembly with multi-functional capsular bag ring
US7875270B2 (en) 2002-09-17 2011-01-25 Abbott Medical Optics Inc. Treatment solu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by selectively inducing detachment and/or death of lens epithelial cells
US20040082995A1 (en) 2002-10-25 2004-04-29 Randall Woods Telescopic intraocular lens implant for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US20040082993A1 (en) 2002-10-25 2004-04-29 Randall Woods Capsular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a refractive liquid therein
US7125422B2 (en) 2002-10-25 2006-10-24 Quest Vision Technology,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FR2849592B1 (fr) 2003-01-08 2005-03-25 Ioltechnologie Production Anneau capsulaire, procede de fabrication d'un anneau capsulaire et ensemble anneau capsulaire et lentille intraoculaire
US6616691B1 (en) 2003-01-10 2003-09-09 Alcon, In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TE421303T1 (de) 2003-05-20 2009-02-15 Hermeking Heino Dr Fixierring zur endo- oder extrakapsulären prothetischen rekonstruktion im vorderabschnittsbereich des menschlichen auges
US7223288B2 (en) 2003-05-21 2007-05-29 Alcon, In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20040249455A1 (en) 2003-06-09 2004-12-09 Tran Son Trung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US20040260395A1 (en) 2003-06-19 2004-12-23 Boxer Wachler Brian S. Ophthalmological zonular stretch segment for treating presbyopia
US6960231B2 (en) 2003-07-14 2005-11-01 Alcon, Inc. Intraocular lens system
US7553327B2 (en) 2003-12-04 2009-06-30 The Nice Trust, A Trust Of The Isle Of Man Accommodating 360 degree sharp edge optic plate haptic lens
EP1696831B1 (en) 2003-12-05 2014-01-15 Innolene LLC Method of producing a refractive ocular lens
US20050131535A1 (en) 2003-12-15 2005-06-16 Randall Woods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posterior bendable optic
US7311194B2 (en) 2003-12-29 2007-12-25 Bausch & Lomb Incorporated Lens mounting fixture for accommodating IOL
NL1025622C2 (nl) 2004-03-03 2005-09-07 Accolens Internat B V Twee tezamen een lens vormende optische elementen met variabele optische sterkte voor gebruik als intra-oculaire lens.
US7597678B2 (en) 2004-07-09 2009-10-06 Brown David C Apparatus and methods for isolating lens capsule fluids
US7569048B2 (en) 2004-07-09 2009-08-04 Brown David C Apparatus and methods for isolating lens capsule fluids
US20080086208A1 (en) 2004-08-24 2008-04-10 Nordan T Lee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Adaptable Haptics
US7806930B2 (en) 2004-08-27 2010-10-05 Brown David C Device for attachment to a capsule in an eye
US7806929B2 (en) 2004-08-27 2010-10-05 Brown David C Intracapsular pseudophakic device
US7300464B2 (en) 2004-09-30 2007-11-27 Alcon, Inc. Intraocular lens
US7569073B2 (en) 2004-12-29 2009-08-04 Bausch & Lomb Incorporated Small incision intraocular lens with anti-PCO feature
WO2006103674A2 (en) 2005-03-30 2006-10-05 Nulens Lt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iol) assemblies, and discrete components therfor
US7354451B2 (en) 2005-05-02 2008-04-08 Koch Paul S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KR20080065579A (ko) 2005-07-01 2008-07-14 비젼 멤브레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정 가능한 지지부를 구비한 접을 수 있는 안 내부 렌즈
US20070010881A1 (en) 2005-07-11 2007-01-11 Alcon, Inc. Intraocular lens system
US20070016293A1 (en) 2005-07-18 2007-01-18 Alcon, In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US20070027541A1 (en) 2005-07-26 2007-02-01 Visioncare Ophthalmic Technologies Inc. Intraocular devices and methods for implantation thereof
US20070032868A1 (en) 2005-08-08 2007-02-08 Randall Woods Capsular shape-restoring device
US20070168028A1 (en) 2006-01-18 2007-07-19 Alcon Manufacturing, Ltd.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US8377125B2 (en) 2006-04-05 2013-02-19 Anew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accommodation
US20120330415A1 (en) 2011-06-23 2012-12-27 Anew Optics, Inc. Haptic devices for intraocular lens
US20070260308A1 (en) 2006-05-02 2007-11-08 Alcon, In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WO2008023379A2 (en) 2006-08-25 2008-02-28 Nulens Ltd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kit
US8888845B2 (en) 2006-10-20 2014-11-18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WO2008079671A1 (en) 2006-12-22 2008-07-03 Bausch & Lomb Incorporated Multi-element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WO2008077795A2 (en) 2006-12-22 2008-07-03 Amo Groningen Bv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lens system and frame therefor
US9398949B2 (en) 2007-01-29 2016-07-26 Emmetropia, Inc. Intraocular lens system
CA2679897A1 (en) 2007-03-05 2008-09-12 Nulens Ltd Unitary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iols) and discrete base members for use therewith
KR100843454B1 (ko)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KR100807939B1 (ko) 2007-03-08 2008-02-28 박경진 안구내렌즈 조립체
KR101494921B1 (ko) 2007-05-29 2015-02-24 스티븐 제이. 델 햅틱판을 구비한 조절성 인공 수정체
US8956408B2 (en) 2007-07-23 2015-02-17 Powervision, Inc. Lens delivery system
RU2367380C2 (ru) 2007-11-01 2009-09-20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Марухненко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для фиксации в цилиарную борозду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CA2701510C (en) 2007-11-14 2016-05-10 Alcon, In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US8480734B2 (en) 2007-12-27 2013-07-09 Anew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accommodation
WO2010035139A2 (en) 2008-09-29 2010-04-01 Sifi Diagnostic Spa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implanting customized biometric intraocular lens
US8043372B2 (en) 2008-10-14 2011-10-25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and capsular ring
EP2337524A4 (en) 2008-10-15 2012-05-02 Novartis Ag AKKOMMODING INTRAOCULAR LENS
JP2012512668A (ja) 2008-11-19 2012-06-07 リフォーカス 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能力を改良するために1つ又は複数の強膜プロテーゼを備えた、人工眼内レンズ、変造された生来の水晶体、又は再充填された生来の水晶体嚢
US20100131059A1 (en) 2008-11-26 2010-05-27 Anew Optics, Inc. Intraocular lens optic
US20110313522A1 (en) 2008-11-26 2011-12-22 Anew Optics, Inc. Pseudophak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10010405B2 (en) 2008-11-26 2018-07-03 Anew Aol Technologies, Inc. Haptic devices for intraocular lens
US20120303119A1 (en) 2008-11-26 2012-11-29 Anew Optics, Inc. Capsular opacification blocking lens
RU86462U1 (ru) 2009-05-14 2009-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высокотехнологич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Заднекамерная эластичная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для коррекции афакии
ES2970433T3 (es) 2009-08-13 2024-05-28 Acufocus Inc Método de fabricación de implantes intraoculares con máscara y lentes
US20110071628A1 (en) 2009-09-24 2011-03-24 Rainbow Medical Ltd.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10085886B2 (en) 2010-01-08 2018-10-02 Optimedic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eye tissue and intraocular lenses
ES2368984B1 (es) 2010-02-19 2012-10-08 Luis Olcina Portilla Lente intraocular acomodativa.
US9034035B2 (en) 2010-03-16 2015-05-19 Mor Research Applications Lt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ssembly
US9039762B2 (en) 2010-03-23 2015-05-26 Novartis Ag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ing trapezoidal phase shift
US8821166B2 (en) 2010-04-09 2014-09-02 Frontier Vision Co., Ltd. Artificial lens for cataract surgery practice
WO2011146929A2 (en) 2010-05-21 2011-11-24 Anew Optics, Inc. Pseudophak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9220590B2 (en) 2010-06-10 2015-12-29 Z Lens, Ll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mproving accommodation
WO2011154972A1 (en) 2010-06-10 2011-12-15 Ram Srikanth Mirlay Hinged intraocular lens (iol) and pendulum intraocular lens (iol) with multi optics assembly
US20110313521A1 (en) 2010-06-21 2011-12-22 Angelopoulos Robert D Intraocular rin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736732B2 (en) 2010-06-21 2020-08-11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with longitudinally rigid plate haptic
RU2440076C1 (ru) 2010-06-25 2012-01-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ю и социальному развитию" (ГОУ ВПО РГМУ Росздрава) Способ транссклеральной фиксации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при отсутствии капсульной поддержки
CN103025271A (zh) * 2010-08-15 2013-04-03 纽镜有限公司 分离的预组装的整体的aiol组合件和包括同样组合件的aiol组件
US20120290086A1 (en) 2010-11-03 2012-11-15 Microsurgical Technology, Inc. Intraocular capsular tension rings
CN102090942B (zh) 2011-02-17 2013-11-06 史晓春 用襻丝做眼内固定的人工虹膜
CN102090946B (zh) 2011-02-17 2012-10-03 郝燕生 用襻丝做眼内固定的人工晶体囊袋
US9427493B2 (en) 2011-03-07 2016-08-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Shape memory polymer intraocular lenses
US20190076236A1 (en) 2011-09-14 2019-03-14 Gabor B. Scharioth Intraocular Lens for Implantation in a Ciliary Sulcus of an Eye
US11364108B2 (en) 2011-09-14 2022-06-21 Investmed Kft. Intraocular lens for implantation in a ciliary sulcus of an eye
JP5398089B2 (ja) 2011-12-16 2014-01-29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眼内レンズ
JP5383782B2 (ja) 2011-12-16 2014-01-08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眼内レンズ
US9364316B1 (en) 2012-01-24 2016-06-14 Clarvista Medical, Inc. Modular intraocular lens designs, tools and methods
CA2861865C (en) 2012-01-24 2020-12-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Modular intraocular lens designs and methods
US10080648B2 (en) 2012-01-24 2018-09-25 Clarvista Medical, Inc. Modular intraocular lens designs, tools and methods
US8900300B1 (en) 2012-02-22 2014-12-02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bag and method of inserting the same
US8945215B2 (en) 2012-05-10 2015-02-03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a compressible inner structure
US9364318B2 (en) 2012-05-10 2016-06-14 Z Lens, Llc Accommodative-dis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DE102012016892A1 (de) 2012-08-24 2014-02-27 Be Innovative Gmbh Intraokularlinse, insbesondere Ziliarintraokularlinse
US20140094908A1 (en) 2012-09-19 2014-04-03 Roger Zaldivar Intraocular lens and method
US20140121768A1 (en) 2012-10-31 2014-05-01 Novartis Ag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ciliary body activation
JP5475087B1 (ja) 2012-11-01 2014-04-16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眼内移植物、眼内移植物セット、眼内レンズ
AU2013363510B2 (en) 2012-12-21 2017-03-02 Alcon Inc. Curvature changing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EP2945571B1 (en) 2013-02-28 2018-04-25 HONIGSBAUM, Richard F. Tensioning rings for anterior capsules and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es for use therewith
EP3782584B1 (en) 2013-06-03 2023-07-12 Alcon Inc. Modular intraocular lens designs
US20140371852A1 (en) * 2013-06-16 2014-12-18 Eli Aharoni Scleral fixation bag
US20140371851A1 (en) 2013-06-16 2014-12-18 Eli Aharoni Haptics for intraocular devices
RU2018121034A (ru) 2013-07-29 2019-03-05 Окулентис Холдинг Б. В. Структура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WO2015026226A1 (en) 2013-08-20 2015-02-26 Oculentis Holding B.V. Intraocular lens assembly
US10201415B2 (en) 2013-11-04 2019-02-12 Visionc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and insertion of an intraocular lens into the eye of a patient
US9615916B2 (en) 2013-12-30 2017-04-11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US9629710B2 (en) 2014-03-21 2017-04-25 Carl Zeiss Meditec Ag Intraocular lens having an optical and a haptic part, method for making an intraocular lens and method for implanting an intraocular lens into an eye
US10285805B2 (en) 2014-03-28 2019-05-14 Forsight Labs, Ll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9326845B2 (en) 2014-04-24 2016-05-03 Chukyo Medical Co., Inc. Intraocular implant, intraocular implant set and intraocular lens
US9445891B2 (en) 2014-04-24 2016-09-20 Chukyo Medical Co., Inc. Intraocular lens
US9333072B2 (en) 2014-04-29 2016-05-10 Chukyo Medical Co., Inc. Intraocular lens
US10004591B2 (en) 2014-04-29 2018-06-26 Chukyo Medical Co., Inc. Intraocular lens
JP6573973B2 (ja) 2014-06-19 2019-09-11 オメガ オフサルミックス エルエルシーOmega Ophthalmics Llc 人工カプセル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798671B1 (ja) 2014-06-20 2015-10-21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眼内レンズ
KR101555298B1 (ko) 2014-07-04 2015-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수정체낭
EP3171821B1 (en) 2014-07-24 2020-03-18 Anew IOL Technologies, Inc. Haptic devices for intraocular lens
US10299910B2 (en) 2014-09-22 2019-05-28 Kevin J. Cady Intraocular pseudophakic contact lens with mechanism for securing by anterior leaflet of capsular wall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20160128828A1 (en) 2014-11-09 2016-05-12 Rajesh Dalvi Exocapsular device and method for lens stabilization
US9358103B1 (en) 2015-02-10 2016-06-07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067015B1 (en) 2015-03-10 2018-06-06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Photochemically induced engagement of intraocular implants
FR3033694A1 (fr) 2015-03-17 2016-09-23 Pierre Coulon Implant de sulcus oculaire
WO2016159910A1 (en) 2015-04-01 2016-10-06 Karadag Remzi Intraocular lens comprising anchor-winged haptic
WO2016182520A1 (en) 2015-05-12 2016-11-17 Karadag Remzi Anchor-winged haptic tip apparatus for intraocular lenses
CN204698755U (zh) 2015-05-18 2015-10-14 爱博诺德(苏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固定人工晶状体的人工虹膜
JP6023283B1 (ja) 2015-07-27 2016-11-09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眼内装着物及び眼内装着物の保持部材
US20170049560A1 (en) 2015-08-21 2017-02-23 Scott A. Cherne Intraocular Lens Holder
US9681945B2 (en) 2015-09-15 2017-06-20 Mohsen Shahinpoor Double accommodating intraocular accordion lens
CA2928918A1 (en) 2015-09-24 2017-03-24 Visioncare Ophthalmic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an intraocular lens for subsequent insertion into the eye of a patient
JP6023378B1 (ja) 2016-04-18 2016-11-09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眼内レンズ及び眼内レンズのハプティック
US11045309B2 (en) 2016-05-05 2021-06-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Intraocular lens designs for improved stability
EP4147674A1 (en) 2016-06-06 2023-03-15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
WO2017212352A1 (en) 2016-06-06 2017-12-14 Amol Kadu An intra-ocular implant to properly hold an artificial intra-ocular lens in an eye
DE202016105208U1 (de) 2016-09-19 2016-11-28 Asatur Nickolay Hovsepyan Künstliche Kapseltasche zur Befestigung einer pc IOL an der Iriswurzel
US10575943B2 (en) 2016-10-07 2020-03-03 Ronald William Ingram Vision corr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 intraocular lens enclosed in an inner capsulated bag
AU2017345731B2 (en) 2016-10-21 2019-10-24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7340450B2 (ja) 2016-10-28 2023-09-07 フォーサイト ビジョン6,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節性眼内レンズおよびインプラントの方法
US11826244B2 (en) * 2017-02-13 2023-11-28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Artificial lens capsule
US10548713B2 (en) 2017-05-24 2020-02-04 Visioncare, Inc. Intraocular lens including scleral engagement portion
WO2019050925A1 (en) 2017-09-05 2019-03-1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IMPLANTABLE LENS CAPSULE FOR INTRAOCULAR LENS INSERTION
US11103343B2 (en) 2017-09-27 2021-08-31 Alcon Inc. Intraocular lenses having open-loop haptic structures
EP3700466A4 (en) 2017-10-25 2021-08-11 Stabilens Pty Ltd INTRAOCULAR LENS
WO2019094768A1 (en) 2017-11-10 2019-05-16 Kraff Manus Intraocular lens
ES1200835Y (es) 2017-11-14 2018-02-28 Palomino Munoz Antonio Soporte para lente intraocular en camara posterior
DE102017221476A1 (de) 2017-11-29 2019-05-29 AMIPLANT GmbH Anordnung zur Implantation in den Sulcus Ciliaris
AU2019249216A1 (en) 2018-04-06 2020-10-01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801388A1 (en) 2018-06-07 2021-04-14 Akkolens International B.V. Rotational stable intraocular lens anchored in asymmetrical capsulorhexis
CN112689486A (zh) 2018-07-23 2021-04-20 科罗拉多大学董事会法人团体 用于药物递送的眼科装置
WO2020086312A1 (en) 2018-10-23 2020-04-3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Intraocular artificial lens capsule
US20210353406A1 (en) 2018-10-23 2021-11-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ccommodative Functionality for Artificial Capsule Platform
CN116327427A (zh) 2019-04-09 2023-06-27 爱尔康公司 原位可调人工晶状体
DE102019115408B3 (de) 2019-06-06 2020-09-03 Carl Zeiss Meditec Ag Intraokularlinse
US20220000605A1 (en) 2020-04-29 2022-01-06 Long Bridge Medical, Inc.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74847A1 (en) 2024-03-07
AU2021264521A1 (en) 2022-12-01
US20210338417A1 (en) 2021-11-04
US11759309B2 (en) 2023-09-19
MX2022013531A (es) 2023-02-01
EP4142648A1 (en) 2023-03-08
BR112022021908A2 (pt) 2023-01-17
US20240074846A1 (en) 2024-03-07
CN115697248A (zh) 2023-02-03
WO2021222383A1 (en) 2021-11-04
CA3181412A1 (en) 2021-11-04
US20210338416A1 (en) 2021-11-04
JP2023523846A (ja) 2023-06-07
US10973624B1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2512A (ko)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US58556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rneal curvature using a solid filled corneal ring
US7455691B2 (en) Intraocular and intracorneal refractive lenses
US11273028B2 (en) Scleral prosthesis for treating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8337550B2 (en) Scleral prosthesis for treating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20220211487A1 (en) Delivery devices for implantation of intraocular lens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20240180691A1 (en) Ocular implant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CN210170229U (zh) 巩膜固定型人工晶状体及其锁扣
WO2022155491A1 (en) Delivery devices for implantation of intraocular lens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20230051521A (ko)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EP3468513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trabecular meshwork extension
WO2024107942A1 (en) Ocular implant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11759311B2 (en) Exchangeable lens platform
CN115666463A (zh) 瞳孔扩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