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521A -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521A
KR20230051521A KR1020237007449A KR20237007449A KR20230051521A KR 20230051521 A KR20230051521 A KR 20230051521A KR 1020237007449 A KR1020237007449 A KR 1020237007449A KR 20237007449 A KR20237007449 A KR 20237007449A KR 20230051521 A KR20230051521 A KR 20230051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iol
posterior
platform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클라크
아이만 나세리
프랑크 브로디
Original Assignee
롱 브릿지 메디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 브릿지 메디컬, 인크. filed Critical 롱 브릿지 메디컬,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5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02Corrective lenses for use in addition to the natural lenses of the eyes or for pseudo-phakic eyes
    • A61F2/161Posterior chamber lenses for use in addition to the natural lenses of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Surrounding o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02Separable from intraocular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17Angular shapes
    • A61F2230/0019Angular shapes rectang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수정체 낭의 전안부, 홍채, 및 공막을 갖는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 디바이스는 전방 대향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 구멍을 획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후방 플랫폼을 포함한다.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안내 렌즈와 후방 플랫폼의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한다. 디바이스는 후방 플랫폼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이식 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홍채 후방의 안구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관련 도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미국 가출원 제63/063,110호; 2020년 10월 8일자로 출원된 제63/089,241호; 2020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제63/129,448호; 및 2021년 5월 3일자로 출원된 제63/183,488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20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미국 출원 제16/988,519호에 관한 것으로, 이 출원은 2020년 4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17,423호 및 2020년 7월 17일자로 출원된 63/053,450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전반적으로 안과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안과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IOL)의 이식은 안내 렌즈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안구 내에 지지부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소대(zonules)(가는 실과 같은 구조)에 의해 현수된 자연 수정체 낭을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렌즈 지지부는 수술(전안부(anterior segment) 또는 후안부(posterior segment) 수술) 시간 동안 또는 유리체강내 주입과 같은 다른 안구 절차로부터 의인성으로(iatrogenically) 손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방 피막이 영향을 받고, 따라서 수정체 낭에 IOL을 확실하게 배치하지 못한다.
후방 피막 파열로 인한 후방 피막 지지부의 부재를 극복하기 위해, 외과의는 IOL 햅틱이 섬모 고랑(ciliary sulcus)을 향해 지향된 상태에서 전방 피막의 상단에 IOL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IOL은 이 위치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해 많은 문제가 도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기 또는 표면 윤곽이 전방 피막과 홍채 사이에 배치하기에 이상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IOL 옵틱 또는 햅틱은 포도막염(Uveitis), 녹내장(Glaucoma), 전방출혈(Hyphema)(UGH) 증후군을 비롯한 부적절한 합병증을 초래하는 홍채 또는 섬모체의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원피스 IOL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그에 따라 통상적으로 이 시나리오에서는 3피스 IOL이 사용된다. 그러나, 사각형 에지 옵틱이 있는 3피스 IOL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홍채 마찰, 염증, 색소 방출, 및 녹내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원환체, 다초점, 삼중초점, 및 확장된 초점 심도 렌즈는 원피스 설계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들 기술은 후방 피막 파열 후 환자에게 안전하게 이식될 수 없다.
특별한 조작(예를 들어, 옵틱 캡처)을 수행하지 않는 한, 고랑에 배치된 IOL은 편심되어 시력 감소와 광시증(photopsias)을 유발하여, 흔히 추가 수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문제는 편심된 IOL이 홍채, 섬모체 또는 망막으로 침식되어 영구적인 시력 손실 위험이 있는 경우 악화될 수 있다.
후방 피막 지지부가 없는 경우에 2차 IOL 배치의 관리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현재 유일한 FDA 승인 해결책은 전방 챔버 IOL(anterior chamber IOL)(ACIOL)의 배치이다. ACIOL은 홍채 전방에 위치하는 능력이 있는 더 큰 렌즈이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이들 렌즈는 UGH 증후군 뿐만 아니라 내피 세포 손실 및 각막 대상부전을 야기할 수 있고, 그 결과 많은 환자에게는 사용이 금지된다. 홍채 봉합 IOL과 같은 다른 오프라벨 기술이 채용될 수 있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어렵고 녹내장을 유발하는 홍채 색소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섬(islets)이 있는 공막 봉합 IOL은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회전 위험이 있으며, 봉합의 내구성이 제한되어 봉합 파손 및 수정체 아탈구의 사례를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모든 기술은 외과의가 환자에게 바람직한 렌즈 대신에 대체 렌즈 유형을 사용하도록 강제한다. 마지막으로, 초기 유리체 절제술/수정체 절제술 동안 종종 렌즈 계산이 부적절하지만 추가 수술을 피하려는 바람이 있기 때문에, 타이밍 결정이 중요하고, 그에 따라 준최적 렌즈가 자주 이식된다.
양태에서, 수정체 낭의 전안부, 홍채, 및 공막을 갖는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전방 대향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 구멍을 획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후방 플랫폼을 포함한다.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안내 렌즈와 후방 플랫폼의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한다. 디바이스는 후방 플랫폼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이식 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홍채 후방의 안구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전방 개구를 획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전방 개구의 치수를 좁히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차양으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시각화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 시각화 피처는 안구의 동공을 통해 직접 시각화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좁아지는 전방 개구의 치수는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라 전방 개구의 최중앙 에지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거리는 적어도 약 5.0 mm 내지 최대 약 7.0 mm일 수 있다. 거리는 중앙 구멍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사용 동안,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차양의 외부 표면은 디바이스의 이식 시 안내 렌즈로부터 홍채를 보호하기 위해 매끄러운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차양의 내부 표면은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안내 렌즈를 위치시킬 때 안내 렌즈의 햅틱에 반대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후방 플랫폼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안정화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안정화 피처는 후방 플랫폼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디바이스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은 시각 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돕기 위해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관통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방 플랫폼은 실질적으로 비원형인 외주 및 실질적으로 원형인 내주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고 한 쌍의 긴 측면과 한 쌍의 짧은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는 4개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긴 측면이 짧은 측면과 조우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될 수 있다. 후방 플랫폼은 평면 내에 놓일 수 있고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은 후방 플랫폼의 평면 내에 놓인다. 후방 플랫폼은 평면 내에 놓일 수 있고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은 플랫폼의 평면 전방에 놓인다.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의 전방에서 돌출할 수 있다.
수정체 낭의 전안부는 안구의 Z-축을 따라 디바이스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후방 플랫폼은 중앙 구멍 주변에 하나 이상의 절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플랫폼은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안내 렌즈의 중앙 옵틱을 지지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절결부는 안내 렌즈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이식될 때 안내 렌즈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피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인공 안내 렌즈를 안구에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 및 인공 안내 렌즈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안내 렌즈는 원피스 안내 렌즈 또는 멀티피스 안내 렌즈일 수 있다. 원피스 안내 렌즈는 단초점, 원환체, 다초점, 확장된 초점 심도, 또는 수용 안내 렌즈일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안구에 이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홍채 후방의 디바이스를 안구의 후방 챔버로 삽입하는 단계; 및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아래에 위치되고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항하여 위치되도록 후방 플랫폼에 대해 원피스 안내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안내 렌즈의 햅틱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안구의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를 공막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에서 인공 안내 렌즈(IOL)를 지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을 갖는 후방 플랫폼; 후방 플랫폼을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 - 렌즈 지지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중앙 구멍;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양 -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고, 차양은 차양의 내부 표면과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함 -; 및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디바이스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연장 구조는 안구에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기 위해 후방 챔버 내에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갖는다. 방법은,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지 않고 후방 플랫폼의 후방 대향 표면이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안부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안구에서 홍채 후방에 배치하는 단계; 안구의 동공 후방에 중앙 구멍을 위치시키기 위해 반경방향 연장 구조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IOL의 광학 부분을 중앙 구멍 위에 그리고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목형 부분 내에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개구를 생성하고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IOL)를 이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갖는 본체 부분 및 렌즈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렌즈 지지 구조는 중앙 개구의 주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렌즈 지지 표면, 및 렌즈 지지 표면 전방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망막을 향한다. 방법은 본체 부분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안구의 후방 챔버 내에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및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정화 피처를 포함한다. 방법은, 삽입 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안구에 그리고 안구의 홍채 후방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중앙 개구를 안구의 동공 후방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복수의 구조 각각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후방 챔버의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수정체 낭에 대한 디바이스의 고정을 돕기 위해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있는 개구를 통해 복수의 안정화 피처 각각을 삽입하는 단계; IOL을 안구에 삽입하는 단계; IOL의 광학 부분을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렌즈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렌즈 지지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호 관련된 양태에서,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IOL)를 이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갖는 본체 부분을 포함하고, 렌즈 지지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망막을 향한다. 본체 부분은 중앙 개구의 주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렌즈 지지 표면, 및 렌즈 지지 표면 전방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및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피처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삽입 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안구에 그리고 안구의 홍채 후방에 삽입하는 단계; 수정체 낭에 대해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고정하고 안구의 동공 후방에 중앙 개구를 위치시키기 위해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있는 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피처를 삽입하는 단계; IOL을 안구에 삽입하는 단계; IOL의 광학 부분을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렌즈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본체 부분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시각 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돕기 위해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안구의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에서,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조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조합으로 임의로 포함될 수 있다. 조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대한 더 많은 세부 사항은 첨부 도면과 아래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들 및 다른 양태는 이제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도면은 절대적으로 또는 상대적으로 실척으로 작성되지 않고,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피처 및 요소의 상대적인 배치는 예시 명확성을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도 1a는 디바이스 구현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내부에 전개된 안내 렌즈(IOL)를 갖는 도 1a의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c 및 도 1d는 도 1b 디바이스의 상면도이고;
도 1e 및 도 1f는 도 1a 및 도 1b의 디바이스의 추가 도면이며;
도 2a는 IOL을 지지하기 위해 안구 내에 전개된 도 1b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에서와 같이 이식된 안구의 상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디바이스 구현예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5a는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현예의 상면도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디바이스의 다른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범퍼 및 후방 안정화 피처를 통합하는 디바이스의 구현예의 상면도,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d는 안구 내에 위치되고 동공을 통해 시각화되는 도 6a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6e는 안구에 이식된 도 6a의 디바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7은 회전 방지 고정 아암 또는 테더를 갖는 디바이스의 구현예의 부분 상면도를 도시하며;
도 8a 내지 도 8c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사시도이고;
도 8d 및 도 8e는 안내 렌즈를 지지하는 도 8a의 디바이스의 각각 저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8f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측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10a는 전방 안정화 피처를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이고;
도 10b는 안구에 이식된 도 10a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0c는 전방 안정화 피처를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이고;
도 10d는 안구에 이식된 도 10c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a 내지 도 11f는 IO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양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를 도시하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IO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양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를 도시하며;
도 13a 내지 도 13e는 IO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차양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를 도시하고;
도 14는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는 편향된 아암을 갖는 디바이스가 이식된 안구의 상면도를 도시하며;
도 15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범퍼 및 복수의 경공막 고정 아암을 갖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6a는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에 결합된 고정 발판의 단부도이며;
도 16b는 도 16a의 고정 아암의 측면도이고;
도 16c는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에 결합된 고정 발판의 단부도이며;
도 17은 발판 외부화를 고정하는 동안 후방 드리프트를 방지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전방으로 편향시키도록 설계된 직선형 선단 고정 아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8a는 복수의 경공막 고정 아암을 통합하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를 도시하며;
도 18b 및 도 18c는 각각 복수의 경공막 고정 아암과 후방 안정화 피처를 통합하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상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8d는 복수의 경공막 고정 아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범퍼, 및 후방 안정화 피처를 통합하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8e는 복수의 경공막 고정 아암을 통합하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8f는 라인 F-F를 따라 취한 도 18e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8g는 라인 G-G를 따라 취한 도 18e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8h는 안구에 이식된 도 18g의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8i 내지 도 18j는 복수의 경공막 고정 아암을 통합하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상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9a 및 도 19b는 디바이스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0a 내지 도 20d는 보강재를 통합하는 상호 관련된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실척으로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전반적으로 안과 분야, 보다 상세하게는 "낭 내" 이식이 바람직하지 않을 때 안내 렌즈(IOL) 또는 다른 안과용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인공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안과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 수정체의 제거에 의해 유발되는 무수정체증(aphakia)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치료는 자연 수정체의 수정체 낭 내에 IOL을 배치하는 것이다. 내부 챔버를 생성하는 전방 구성요소 및 후방 구성요소를 갖는 수정체 낭은 소대에 의해 지지되어, IOL 지지부를 위한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통상적인 IOL은 옵틱 및 안구 내에 옵틱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햅틱을 포함한다. IOL의 설계는 대부분 IOL이 안구에 이식될 수 있는 위치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다초점, 원환체, 및 수용 IOL과 같은 원피스 IOL은 때때로 외과의 및 환자 모두에 의해 선호된다. 이들 프리미엄 렌즈는 햅틱 에지의 날카로운 기하형상과 더 큰 전방-후방 햅틱 두께로 인해 통상적으로 고랑 내 이식에 적합하지 않아, 홍채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인열된 또는 결손된 전방 또는 후방 피막 또는 소대로 인해, 낭 내 이식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안구의 후방 챔버에 이식되고 전방 피막 위에 고정되어 다양한 햅틱 및 광학 설계를 갖는 모든 설계의 IOL(원피스 또는 멀티피스 IOL)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신뢰할 수 있는 굴절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IOL 배향을 유지함으로써 원환체 IOL을 수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홍채, 전방 챔버 각도, 또는 각막의 손상 위험을 크게 감소시키는 후안부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홍채 및 각막의 후방 이식은 각막 손상, 홍채 출혈 및 녹내장의 위험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ACIOL, 홍채 봉합 렌즈, 또는 공막 봉합 렌즈와 같은 현재 기술이나 섬모 고랑에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IOL을 배치하는 것에 비교하여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외과의 및 환자에게 IOL 옵션의 전체 범위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안구 내에서 IOL(110)을 지지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a는 IOL(110)을 위치시키기 전에 디바이스(2100)의 사시도이다. 도 1b 내지 도 1d는 IOL(110)을 디바이스(2100)에 위치시킨 후에 디바이스(2100)를 도시한다. 도 2a는 안구의 모델 및 IOL(110)을 지지하기 위해 전개된 디바이스(2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투명한 것으로 예시된 홍채(10)를 통해 보는 안구를 예시한다. 도 2b는 또한 각막(5), 섬모체(15), 공막(20), 섬모 고랑(25), 및 홍채(10)를 통해 중앙에 획정된 동공(30)을 도시한다. 디바이스(2100)는 수정체 낭 절개부(40) 위의 후방 챔버 내에서 수정체 낭 전안부(35)와 홍채(10) 사이에서 수정체 낭의 전안부(35)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수정체 낭 절개부(40)는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생성된 개구이다. 디바이스(2100)의 일부 구현예에서 수정체 낭의 전안부(35)가 부분적으로 인열될 수 있지만 수정체 낭 전안부(35)는 온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디바이스(2100)는, 전방 수정체 낭(35)에 대해 위치하기 위한 후방 렌즈 지지 구조 또는 플랫폼(2105), 플랫폼(2105)의 일부 위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차양(2110), 및 디바이스의 본체 부분에 결합되고 안구 조직과의 비관통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또는 범퍼(2114)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은 IOL(110)을 지지하고 이식 시 후방 챔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정체 낭의 전안부(35)는 후방 플랫폼(2105)을 위한 Z-축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차양(2110)은 플랫폼(2105)과 함께 플랫폼(2105)에 대해 IOL(110)을 위치시키고 고정하는 것을 돕는 동시에 홍채와 같은 주변 안구 조직이 IOL(110)과의 손상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체 부분을 형성한다. 차양(2110)에 의해 덮이지 않는 IOL(110)의 부분이라도 디바이스(2100)의 최전방 표면(즉, 차양(2110)의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해 오목형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범퍼(2114)는 플랫폼(2105)의 주연부 근방에 위치되고 디바이스(2100)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섬모체(15) 또는 섬모 고랑(25)와 같은 섬모 안구 조직과 비외상적으로 접촉하여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범퍼(2114)는 또한 Z-평면에서 회전 방지 기능을 제공하고 및/또는 Z-평면 내에서 변위를 방지하여 디바이스의 중앙 양태와 안구의 시각 축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안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중심화 및 고정을 안정화하고 제공하기 위해 전방 피막과 같은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디바이스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도 5a, 도 8a 내지 도 8f, 도 9a 및 도 9b, 및 도 10a 내지 도 10d의 안정화 피처(2138) 참조). 안정화 피처(2138)는 피막의 전안부에서 수정체 낭 절개부와 맞물릴 수 있다. 디바이스는 수정체 낭 외부의 수정체 낭 절개부 전방 또는 수정체 낭 내부의 수정체 낭 절개부 후방에 IOL(110)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구현예 각각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IOL(110)은 통상적으로 중앙 옵틱(112) 및 옵틱(112)에 각각 결합된 2개의 햅틱(114)을 포함한다. 디바이스(2100)는 멀티피스 IOL, 원피스 IOL, 및 플레이트 설계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래 설계 중 임의의 것을 갖는 IOL(110)을 수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IOL(110)의 햅틱(114)은 다양한 구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햅틱(114)은 C-루프, J-루프, 수정된 J-루프, 또는 다른 햅틱과 같은 종래의 개루프 햅틱일 수 있다. 원피스 IOL은 종래의 3피스 IOL과 유사한 개루프 햅틱을 가질 수 있다. 원피스 IOL은 모노블록 플레이트 스타일의 햅틱을 통합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2100)가 한 가지 유형의 IOL(예를 들어, 멀티피스 IOL 또는 원피스 IOL)과 함께 도시되는 경우, 다른 유형의 IOL이 디바이스와 정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시 도 1a와 관련하여, 디바이스(2100)의 후방 렌즈 지지 구조 또는 플랫폼(2105)은 플랫폼(2105)이 사용 중일 때 안구의 전방을 향해 지향되는 전방 대향 렌즈 지지 표면 및 플랫폼(2105)이 사용 중일 때 수정체 낭에 대해 안구의 후방을 향해 지향되는 후방 대향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은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은 IOL(110)이 사용 동안 위치될 수 있는 안정적인 플랫폼을 형성하는 표면(전방 대향 표면 또는 후방 대향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은 수정체 낭을 대신할 수 있고 안구 내에서 IOL(110)의 유효 렌즈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의 기하학적 및 기계적 기능은 사용 시 IOL(11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비대칭성 안구 또는 비대칭성 수술 절차의 경우에 IOL(110)의 중심화를 돕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은 IOL을 위한 인공 전방 피막 지지부 및 자연 전방 피막을 재현하는 안구의 안정적인 플랫폼 구조를 제공한다. 후방 플랫폼(2105)은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평면형일 수 있다. 전방 대향 표면과 후방 대향 표면 사이의 후방 플랫폼(2105)의 두께는 여전히 IOL에 대한 충분한 지지를 제공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두께는 약 0.02 mm 내지 1.5 mm, 또는 약 0.5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은 약 0.2 mm일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의 두께는 0.2 mm보다 얇을 수 있고 여전히 IOL을 위한 충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후방 플랫폼(2105)은 두께가 0.2 mm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후방 플랫폼을 보강하고 왜곡을 제한하기 위해 더 강성인 재료로 보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방 플랫폼(2105)은 증가된 두께(예를 들어, 약 0.50 mm 내지 최대 약 1.0 mm) 및 인장 및/또는 압축 하에 배치될 때에도 디바이스의 왜곡을 제한하기에 충분한 재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지지 구조의 증가된 강성은 이식 후 IOL을 더 쉽게 삽입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방 플랫폼(2105)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2115)의 후프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2100)에 IOL을 이식할 때 IOL이 우발적으로 구멍(2115)을 통과할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IOL의 왜곡 및 디바이스를 통과할 위험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보강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여전히 도 1a 내지 도 1d와 관련하여, 후방 플랫폼(2105)은 후방 플랫폼(2105)의 전체 형상을 획정하는 외부 영역(2111) 및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후방 대향 표면까지 후방 플랫폼(2105)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개구 또는 구멍(2115)을 획정하는 내부 벽(2109)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은 일단 디바이스(2100)의 후방 플랫폼(2105) 상에 위치되면 IOL의 광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이 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구멍(2115)을 통과하고 IOL의 광축을 통해 나아가 망막을 향한다. 디바이스는 IOL(110)을 동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중앙 구멍(2115)은 후방 플랫폼(2105)에 대체로 링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후방 플랫폼(2105)은 그 내주 및 외주 표면 모두에서 형상이 원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후방 플랫폼(2105)의 내부 벽(2109)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거나 균일하고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을 형성하는 원주를 가질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은 형상이 원형일 수 있지만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둥근 직사각형, 또는 난형, 타원형, 둥근 삼각형, 또는 다른 기하학적 또는 자유 형태 형상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비원형 형상 중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영역(2111)의 비원형 형상은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포함한다. 복수의 로브는 중앙 구멍(2115)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오목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플랫폼(2105)은 외부 영역(2111)과 내부 벽(2109) 사이의 폭이 원주 둘레에서 달라질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의 형상 및 안구 내 디바이스(2100)의 상호 작용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외주 표면의 비원형 형상은 한 쌍의 짧은 측면(2107)과 한 쌍의 긴 측면(2108)을 갖는 둥근 직사각형일 수 있다.
IOL(110)은 중앙 구멍(2115) 위의 후방 플랫폼(2105)에 대해 위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중앙 구멍(2115)을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A)이 IOL(110)의 옵틱(112)을 통해 연장된다(도 1b 참조). 광은 구멍(2115) 뿐만 아니라 후방 플랫폼(2105) 상에 위치된 IOL(11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IOL이 후방 플랫폼(2105)에 대해 위치되면 중앙 구멍(2115)은 IOL(110)의 광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일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은 IOL(110)이 후방 챔버로 떨어지지 않고 IOL의 옵틱(112)이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지지되게 하도록 크기 설정된 직경을 갖는다. 중앙 구멍(2115)의 직경은 후방 플랫폼(2105)이 IOL(110)의 옵틱(112)과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광이 망막을 향해 나아갈 때 임의의 광학적 교란 없이 디바이스를 통과하게 한다. 구멍(2115)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IOL 유형에 대해 보편적이도록 설계된다. 종래의 IOL은 통상적으로 외경이 6 mm인 옵틱을 갖지만 이 크기는 IO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직경이 5.0 mm 미만에서 약 4.0 mm, 바람직하게는 약 4.75 mm인 중앙 구멍(2115)이 일부 IOL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직경이 5.0 mm 내지 약 6.0 mm인 중앙 구멍(2115)은 디바이스가 임의의 종래의 햅틱-안정화된 IOL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거의 보편적이도록 대부분의 IOL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구멍(2115)의 최소 내경은 약 4.0 mm 초과, 약 4.5 mm 초과, 약 5.0 mm 초과, 약 5.5 mm 초과, 약 6.0 mm 초과, 약 6.5 mm 초과, 약 7.0 mm 이하, 약 8.0 mm 이하, 약 9.0 mm 이하, 약 10 mm 이하, 약 15 mm 이하 및 그 사이의 임의의 범위일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의 내경은 약 4 mm 내지 약 8 mm, 또는 약 4 mm 내지 최대 6 mm일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의 내경은 일반적인 IOL 옵틱(112)의 외경, 예를 들어 적어도 약 5.5 mm 또는 6.0 mm에 근접할 수 있다.
구멍 직경은 이식 시 IOL이 우발적으로 구멍(2115)을 통과할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특정 후프 강도를 유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더 작은 구멍 직경은 더 큰 구멍 직경에 비교하여 후프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 강성인 IOL 하우징은 장력 및/또는 압축 하에 위치될 때 구멍(2115)의 왜곡을 제한한다. IOL 하우징의 증가된 강성은 또한 안구에 고정한 후 IOL을 더 쉽게 삽입하게 할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은 IOL 직경보다 작을 필요가 없다. 중앙 구멍(2115)이 IOL 옵틱(1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경우, 후방 플랫폼(2105)은, 플랫폼(2105)이 IOL 옵틱을 지지하고 IOL(110)이 중앙 구멍(2115)을 통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 구멍(2115)의 내경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중앙 구멍(2115)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IOL의 옵틱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첨판은 플랫폼(2105)의 내부 벽(2109)에 대해 내향 돌출되어 중앙 구멍(2115)의 개구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첨판은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옵틱을 지지할 수 있거나 옵틱이 첨판의 후방 대향 표면으로 나아가고 이에 의해 지지되도록 편향될 수 있다. IOL(110)의 햅틱(114)은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에 남을 수 있고 IOL(110)의 옵틱(112)은 첨판의 후방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됨으로써 IOL(110)의 Z-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첨판은 전체 두께 또는 부분 두께일 수 있다. 즉, 첨판은 플랫폼(2105)만큼 두꺼울 수 있거나 플랫폼(2105)보다 얇을 수 있다. 첨판은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첨판은 또한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IOL(110)의 옵틱(112)은 중앙 구멍(2115) 및 첨판의 전방 대향 표면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첨판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첨판은 플랫폼(2105)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첨판은 중앙 구멍(2115)의 내경보다 좁은 내경을 획정할 수 있다. 첨판의 더 좁은 내경은 약 4.0 mm 내지 6.0 mm, 또는 약 5.0 mm 내지 5.5 mm, 또는 약 5.0 mm일 수 있다. 각각의 첨판은 약 0.10 mm 내지 0.50 mm, 또는 약 0.15 mm 내지 약 0.35 mm, 또는 약 0.25 mm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은 플랫폼(2105)이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 광학 구멍을 갖도록 후방 플랫폼(2105)을 통해 연장되는 유일한 구멍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후방 플랫폼(2105)은 중앙 구멍(2115)에 추가하여 전체 두께 개구를 통합한다. 이들 추가적인 개구는 IOL(110)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표면적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그 전체 벌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불연속적인 후방 표면을 디바이스(2100)에 대해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불연속 후방 표면은 후방 플랫폼(2105)을 통한 하나 이상의 절결부(2144)를 포함할 수 있다(도 8a 내지 도 8e 참조). 다른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후방 지지부(2105)를 갖지 않고 대신에 Z-평면을 따라 중앙 옵틱(112)을 지지하기 위해 전방 수정체 낭에 의존한다(도 9a 및 도 9b 참조). 각각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후방 플랫폼(2105)(불연속 표면을 갖든 연속 표면을 갖든)은 내주(2109)에 의해 획정된 중앙 구멍(2115)을 갖지 않는다. 중실형 후방 플랫폼(2105)은 유리체 손실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실형 후방 플랫폼(2105)은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 평면형 광학 표면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후방 플랫폼(2105)은 굴절 또는 광 필터링 광학 특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은 전방 피막(35)(도 2a 참조)에 대해 놓이도록 구성된다.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마찰을 증가시키고 이식 후 전방 피막(35)에 대한 디바이스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텍스쳐화될 수 있다. 증가된 마찰은 전방 피막(35)에 대한 디바이스(2100)의 측방향 및/또는 회전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OL(110)은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해 위치된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디바이스(2100)의 전방 표면과 홍채(10)의 후방 표면 사이에 제한된 공간이 있을 수 있다. 홍채 손상 또는 동공 차단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IOL(110)은 후방 플랫폼(2105)의 평면 상에 또는 그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은 외과의가 디바이스(2100)에 대한 IOL(110)의 이식을 위해 "옵틱 캡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IOL(110)의 옵틱(112)은 중앙 구멍(2115)을 통해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측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통과하는 반면, IOL(110)의 햅틱(114)은 후방 플랫폼(2105)의 실질적으로 전방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기술은 IOL(110)의 확실한 고정을 제공하여 수술 후 X, Y 또는 Z축에서 드리프트할 수 없도록 하고 렌즈 전방 공간의 벌크를 감소시킨다. 이 기술은 추가로 IOL이 홍채(10)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완화하여 "정사각형 에지" IOL 설계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외과의는 효과적인 렌즈 위치의 선택을 제공하여 IOL 도수 수정에 가요성을 추가하였다. 이 기술은 또한 IOL 회전을 제한하여 난시 교정(원환체) IOL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굴절 위치의 예측 가능성을 개선시키면서 옵틱을 고정하면 수술 전 렌즈 선택 계산이 보다 정확하게 된다.
옵틱 캡처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멍(2115)은 일반적인 IOL 옵틱 직경과 유사한 직경, 예를 들어 5.5 mm 또는 6.0 mm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과의는 IOL(110)이 구멍(2115)을 쉽게 통과하도록 광축에 평행한 힘으로 또는 IOL(110)을 약간 기울여서 IOL(110)을 구멍(2115)을 통과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2100)는 IOL(110)이 구멍(2115)을 통과하게 하도록 구멍(2115)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확대되도록 하는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플랫폼(2105)은 중앙 구멍(2115)을 획정하는 내부 벽(2109)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벽(2109)은 플랫폼(2105)이 링의 말단 단부 사이에 간극을 갖는 분할-링을 형성하도록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구멍(2115)의 내경은 링의 말단 단부가 서로를 향해 위치되는 지 또는 벌어지는 지의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중앙 구멍(2115)을 획정하는 내부 벽(2109)은 불연속적일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구멍(2115)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내부 벽(2109)에 하나 이상의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슬릿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벽(2109)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길이(예를 들어, 0.25 mm-2.0 mm)를 가질 수 있어, 플랫폼(2105)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고 중앙 구멍(2115)의 유효 직경을 팽창시켜 옵틱(112)이 유연한 렌즈 플랫폼(2105)를 통과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2100)는 플랫폼(2105)에 몰딩된 하나 이상의 편향 가능한 플랩을 통합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단일 편향 가능한 플랩보다 많이, 예를 들어 외과의에 의해 충분한 힘이 부여될 때 IOL(110)이 구멍(2115)을 통과하도록 편향되는 2 내지 40개의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벽(2109)은 외과의에 의해 부여된 충분한 힘 하에서 IOL(110)이 통과하도록 편향시키고 허용하는 브러시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플랫폼(2105)의 단면 두께 프로파일은 구멍(2115)을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은 내부 벽(2109) 근방의 플랫폼(2105)의 내주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위치될 때 전방-후방으로 측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2105)의 최중심 부분(즉, 내부 벽(2109))은 IOL(110)이 구멍(2115)을 통과하게 하고 충분한 힘 하에 위치될 때 내부 벽(2109)을 편향시키는 감소된 두께로 인해 더 큰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슬릿, 플랩 또는 감소된 두께로 인한 내부 벽(2109) 근방의 더 큰 가요성에도 불구하고, 플랫폼(2105)은 플랫폼(2105)의 전방 표면에 놓이는 IOL(110)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랫폼(2105) 후방에 있는 IOL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다시 도 1a 및 도 1b와 관련하여,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은 외부 영역(21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2112)에 결합될 수 있다. 측벽(2112)은 하나 이상의 차양(2110)을 형성하는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만곡될 수 있다. 차양(2110)은 측벽(2112)과 조합하여 전방 대향 렌즈 지지 표면 전방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2104)를 획정하는 본체 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IOL(110)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 부분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210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2100)는, 삽입 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홍채 후방의 안구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은 중앙 개구(2115)를 안구의 동공 후방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후방 챔버의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 후, IOL(110)은 안구에 삽입되고 IOL(110)의 옵틱(112)이 후방 플랫폼(2105)의 중앙 구멍(2115) 위에 그리고 플랫폼(2105)의 렌즈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옵틱(112)의 후방 대향 표면의 주연부 영역은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IOL(110)의 각각의 햅틱(114)은 실질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 구멍(2115)의 대향 측면 상의 각각의 리세스(2104)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반면, IOL(110)의 옵틱(112)의 대부분은 리세스(2104) 외부에 남아 있고 디바이스(2100)의 전방 개구(2127)(도 1b 참조)를 통해 노출되어 IOL(110)을 디바이스(2100)에 고정시킨다.
세장형 전방 개구(2127)는 차양(2110) 및/또는 측벽(2112) 사이의 공간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전방 개구(2127)는, IOL(110)이 차양(2110) 후방에 유지되도록 리세스(2104) 내에서 차양(2110) 아래에 IOL(110)의 햅틱(114)의 적어도 일부를 여전히 캡처할 수 있으면서 모든 IOL 유형(원피스, 3피스, 플레이트 등)의 용이한 통과 및 이식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클 수 있다. 측벽(2112)은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리세스(2104)에 높이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돌출되어 차양(2110) 아래에서 그리고 리세스(2104)로 햅틱(114)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외과의가 환자가 선호하는 원피스 IOL을 이식하게 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원피스 안내 렌즈는 단초점, 원환체, 다초점, 확장된 초점 심도, 및 수용 안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리세스(2104)의 크기 및 디바이스(2100)의 두께는 전방 피막에 대해 디바이스를 위치시킬 때 디바이스와 홍채의 후방면 사이의 접촉을 완화하도록 최소화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100)는 차양(2110)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까지의 두께가 약 0.3 mm 내지 약 2.0 mm일 수 있다. 디바이스의 이러한 전방-후방 두께는 차양(2110)과 홍채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접촉을 피하기 위해 최소화되며, 차양(2110)과 측벽(2112)의 매끄러운 외부 표면 기하형상 및 둥근 에지는 접촉 시 홍채 외상을 방지한다.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과 차양(2110)의 내부 대향 표면 사이의 리세스(2104)의 높이는 적어도 약 0.65 mm, 적어도 약 0.70 mm, 적어도 약 0.75 mm, 최대 약 1.00 mm일 수 있다. 리세스(2104)의 높이는 IOL이 디바이스에 대해 조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후방 플랫폼(2105)은 약 0.20 mm인 두께 및 약 0.65 mm인 리세스 높이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후방 플랫폼(2105)은 약 0.50 mm인 두께 및 약 0.75 mm인 리세스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더 두꺼운 후방 플랫폼(2105)에도 불구하고, 리세스(2104)의 높이는 더 클 수 있다.
차양(2110)은 일단 IOL(110)이 디바이스(2100) 상에 위치되면 IOL(110)의 잠재적 외상성 표면을 덮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L(110)의 햅틱(114) 또는 IOL(110)의 햅틱(114)과 옵틱(112) 사이의 결합부(115), 특히 수정체 낭 내부에 완전히 이식되도록 설계된 것은 안구 조직에 외상성인 재료로 형성되거나 안구 조직에 외상성인 표면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카롭거나 정사각형인 IOL의 에지는 홍채와 같은 섬세한 안구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차양(2110)은 홍채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IOL(110)의 적어도 이들 표면을 덮도록 설계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차양(2110)은 동공을 통해 디바이스의 전방 시각화를 허용하기 위해 다른 것보다 더 중앙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수술 중 동공 직경은 IOL 이식 중에 예측할 수 없으며 수술 중 변경될 수 있다. 차양(2110)의 중앙 돌출 시각화 피처(2117)는 이식 후 IOL의 옵틱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동공을 통해 디바이스(2100)를 직접 시각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중앙 돌출 피처는 전방 개구(2127)의 내경,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른 내경을 좁힌다. 디바이스(2100)의 대향 측면에 있는 차양(2110)은 적어도 약 7.0 mm 내지 약 5.0 mm, 바람직하게는 약 6.0 mm인 최중심 에지 사이의 거리를 획정할 수 있다. IOL을 이식하는 동안 디바이스(2100)의 직접 시각화는 IOL이 디바이스 내에 적절하게 고정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디바이스의 전방 시각화 피처는 도 18e 내지 도 18j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플랫폼(2105)의 주연부 둘레로 연장되는 단일 측벽(2112)을 갖고 중앙 구멍(2115) 둘레에서 360도 연장되는 단일 차양(2110)을 형성하여 IOL(110)의 햅틱(114) 뿐만 아니라 옵틱(112)의 에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복수의 측벽(2112)에 의해 플랫폼(2105)에 결합된 복수의 차양(2110)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100)는 플랫폼(2105)의 제1 짧은 측면(2107)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하는 제1 차양(2110) 및 플랫폼(2105)의 대향 짧은 측면(2107)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하는 제2 차양(2110)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차양(2110)은 차양(2110)과 측벽(2112)의 집합적 표면적이 중앙 구멍(2115) 둘레에서 360도 미만이 되도록 중앙 구멍(2115) 둘레에 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차양(2110)은 IOL의 각각의 햅틱(114)의 일부만을 덮을 수 있고 옵틱(112)의 에지는 노출된 상태로 남게 된다. 차양(2110)은 바람직하게는 IOL(110)의 옵틱 부분(112)을 오버행하지 않고, 그에 따라 세장형 전방 개구(2127)가 옵틱 부분(112)의 직경보다 훨씬 더 크다. 이는 IOL(110)의 중앙 옵틱 부분(112)의 직경에 접근하는 후방 플랫폼(2105)의 더 작은 중앙 구멍(2115)과 대조적이다. 전방 개구(2127)는 일반적으로 중앙 구멍(2115)보다 상당히 크다. 차양(2110)이 하나 이상의 시각화 피처(2117)를 통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차양(2110)에 의해 획정된 전방 개구(2127)는 중앙 구멍(2115)보다 클 수 있다(도 1e, 도 3, 도 15, 도 18a, 도 18i 및 기타 참조).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구현예는 차양(2110)의 위치에서 양쪽 긴 측면(2108) 및 양쪽 짧은 측면(2107)을 따라 플랫폼(2105)의 전체 주연부 둘레로 연장되는 단일 측벽(2112)을 갖는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대향하는 차양(2110)은 전방 개구(2127)를 획정하는 후방 플랫폼(2105) 둘레에 완전한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측면(2108)을 따라 서로 완전히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측벽(2112)은 플랫폼(2105)의 전체 주연부 둘레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제1 측벽(2112)은 차양(2110)에 연결하기 위해 플랫폼(2105)의 짧은 측면(2107)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고, 제2 측벽(2112)은 각각의 차양(2110)에 연결하기 위해 플랫폼(2105)의 대향 짧은 측면(2107)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차양(2110) 사이의 공간에 있는 전방 개구(2127)는 연속적인 개구(2127)를 형성하는 벽에 의해 모든 측면에서 경계를 이루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OL(110)을 리세스(2104)로 삽입하기 위한 개구(2127)가 존재한다.
긴 측면(2108)은 비교적 직선형이거나 만곡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긴 측면(2108)은 긴 측면(2108)의 중간 근방에서 내향 만곡하는 만입부(2113)를 통합할 수 있다(도 19a 및 도 19b 참조). 만입부(2113)는 범퍼(2114)의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만입부(2113)는 범퍼의 외향 곡률 반경을 미러링하는 내향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어 위에서 볼 때 각각의 긴 측면(2108)에 전체 S자형 곡률을 제공한다. 긴 측면(2108) 상의 측벽(2112)의 만입부(2113)는 섀시에 모래시계 형상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차양(2110)이 후방 플랫폼(2105)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하는 거리는 비대칭성이다. 예를 들어, 제1 차양(2110) 또는 차양(2110)의 제1 부분은 각각의 측벽(2112)으로부터 멀어지게 제1 거리만큼 돌출할 수 있다. 제2 차양(2110) 또는 차양(2110)의 제2 부분은 측벽(2112)으로부터 멀어지게 제1 거리와 상이한 제2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IOL(110)의 선단 햅틱(114) 또는 후단 햅틱(114)의 보다 용이한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선단 햅틱(114)은 더 큰 차양(2110) 아래에 먼저 삽입될 수 있고 후단 햅틱(114)은 더 작은 차양(2110) 아래에 두 번째로 삽입될 수 있다. 차양(2110)(및 임의로 측벽(2112))에 의해 획정된 전방 개구(2127)는 다른 것에 비교하여 IOL의 특정 부분을 특정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비대칭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차양(2110)은 또한 각각의 렌즈 삽입에 대한 가요성을 개선하기 위해 슬릿 또는 브러시형 구조와 같은 단절부 또는 불연속부를 가질 수 있다.
IOL(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 리세스(2104)는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측벽(2112)의 내부 표면, 및 차양(2110)의 내부 표면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각각의 리세스(2104)의 높이 또는 체적은 햅틱(114) 중 각각의 하나 또는 하나의 햅틱(114)의 적어도 일부를 전방-후방 두께 뿐만 아니라 중앙 구멍(2115)의 중심축(CA)으로부터 떨어진 깊이 또는 거리 모두에서 수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측벽(2112)의 내부 표면은 추가적으로 햅틱(114)을 위한 지지 표면의 역할을 할 수 있고 IOL(110)을 디바이스(2100)에 센터링하는 것을 돕기 위해 햅틱에 역압을 제공할 수 있다. 차양(2110)은 햅틱(114)의 전방 Z-축 이동을 제한하고 IOL(110)을 디바이스(2100)에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원피스 IOL을 비롯한 IOL의 안정적인 고정은 엄격한 중심화 공차를 요구하는 IOL(예를 들어, 원환체, 다초점 렌즈, 확장된 초점 심도(extended depth of focus)(EDOF) IOL, 및 수용 IOL)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측벽(2112) 및 차양(2110)은 다양한 햅틱 설계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호 길이를 갖는다.
차양(2110)과 후방 플랫폼(2105) 사이의 리세스(2104)의 크기(예를 들어, 높이)는 차양(2110)을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일부 구현예에서 IOL 햅틱(114)의 전방-후방 두께보다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더 좁거나 짧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과 차양(2110)의 내부 대향 표면 사이의 리세스 높이는 약 0.65 mm 내지 약 0.75 mm일 수 있다. 이 높이는 일정할 필요가 없다. 차양(2110)의 제1 영역은 동일한 차양(2110)의 다른 영역(예를 들어, 햅틱(114)의 말단 단부를 덮는 영역)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더 높은 차양(2110)의 제1 영역은 IOL 결합부(예를 들어, 결합부 커버(2130))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더 넓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더 낮은 차양(2110)의 제2 영역은 더 좁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차양(2110)에 의해 생성된 더 좁은 공간은 공간 내에서 IOL 햅틱(114)을 압축할 수 있고 햅틱(114)의 말단 단부를 햅틱(114)이 달성하기 위해 달리 편향된 것보다 더 후방 위치를 향해 압박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방 플랫폼(2105)은 IOL 옵틱(112)이 후방 플랫폼(2105)에 의해 지지될 때 IOL(110)의 햅틱(114)과 정렬하도록 배열된 주변 절결부(2144)를 포함할 수 있다(도 8a 내지 도 8e 참조). 절결부(2144)는 IOL 햅틱(114)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어 햅틱이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의 레벨 아래 절결부(2144) 내로 가라앉게 한다. 도 8f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차양(2110) 및/또는 측벽(2112)의 벽 두께는 균일하거나 불균일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차양(2110) 및/또는 측벽(2112)은 각각 약 0.35 mm의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차양(2110) 및/또는 측벽(2112)을 형성하는 재료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불연속 재료는 여전히 IOL(110)을 위한 보호 및/또는 지지 표면을 제공하면서 디바이스(2100)의 전체 벌크를 최소화하는 스캐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은 형상이 긴 측면(2108)을 획정하는 장축 및 짧은 측면(2107)을 획정하는 단축을 갖는 실질적으로 비원형(예를 들어, 직사각형, 타원형, 난형, 모래시계형, 자유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내주 또는 내부 벽(2109)은 원형 중앙 구멍(2115)을 획정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차양(2110)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2104)는 IOL(110) 햅틱(114)의 스팬이 리세스(210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장축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 영역(2111)의 비원형 형상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로브를 갖는 둥근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차양(2110)은 대체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할 수 있다. 배향에 무관하게, 차양(2110), 측벽(2112), 및 후방 플랫폼(2105)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2104)의 스팬은 그 사이에 IOL 햅틱(114)의 스팬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IOL은 차양(2110) 아래 및 측벽(2112) 사이의 리세스(210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대향 측벽(2112) 사이의 직경은 IOL 삽입에 충분하다. IOL은 통상적으로 절첩 가능하므로 제1 및 제2 차양(2110) 사이의 직경은 광범위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다른 구현예에서, 플랫폼(2105)은 너무 넓어서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이 디바이스(2100)의 측벽(2112)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놓이는 절결부(2144)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2100)의 측벽(2112)이 후방 플랫폼(2105)의 형상과 상이한 제1 형상을 디바이스(2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2112)은 디바이스(2100)에 대해 다각형 형상을 생성할 수 있고 후방 플랫폼(2105)은 대체로 환형일 수 있다(도 8c 참조).
리세스(2104)의 스팬이 IOL 햅틱(114)의 스팬을 수용할 수 있지만, 리세스의 스팬은 IOL 햅틱(114)의 스팬에 비교하여 약간 작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햅틱(114)은 측벽(2112)의 내부 지지 표면에 의해 약간의 압축 하에 위치된다. IOL(110)은 햅틱(11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되도록 디바이스(2100)에 대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햅틱(114)이 너무 타이트한 끼워맞춤으로 인해 심하게 굴곡되면, IOL(110)의 옵틱(112)이 왜곡될 수 있다. 너무 느슨한 끼워맞춤으로 인해 햅틱(114)이 측벽(2112)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 IOL(110)의 옵틱(112)은 디바이스에 대해 안정적이지 않아 디바이스(2100)로부터 이동되고 및/또는 떨어질 수 있다. 도 1e 및 도 1f는 IOL(110)을 수용하기 위한 디바이스(2100)의 치수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리세스(2105)는, 예를 들어 Z-축 내의 두께 양태로서, 이식 중에 디바이스(2100)에 대한 IOL 회전을 위한 흔들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호 길이로서, 또는 홍채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햅틱 에지를 숨기기 위한 커버리지 정도를 제공하는 폭으로서 IOL(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차양(2110)의 내부 표면과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사이의 리세스(2104)의 깊이(도 1e에서 화살표 A)는 약 0.15 mm 내지 약 1.50 mm일 수 있다. 단축(도 1f의 화살표 B)을 따라 측벽(2112) 사이의 플랫폼(2105)을 가로지르는 폭은 약 6.0 내지 약 11.0일 수 있다. 대향 리세스(2104) 사이의 스팬(도 1f의 화살표 C)은 약 8.0 mm 내지 약 12.5 mm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플랫폼의 길이는 약 10.2 mm이고, 폭은 약 7.0 mm, 깊이는 약 0.60 mm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른 플랫폼은 약 9.2 mm의 외부 길이와 약 8.5 mm인 동일한 축을 따른 내부 길이를 가질 수 있어 측벽의 두께는 약 0.7 mm이 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장축을 따른 플랫폼은 약 11 mm로 증가될 수 있고 동일한 축을 따른 내부 길이는 약 9.8 mm로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측벽은 약 1.2 mm로 두꺼워진다. 증가된 공동 길이는 증가된 측벽 두께와 조합되어 증가된 디바이스의 전체 길이를 제공하는, IOL이 조작될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평면부(pars plana), 따라서 섬모체의 정점 후방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섬모체 정점의 평면에 있는 디바이스가 너무 넓더라도, 더 큰 IOL 하우징을 이식할 수 있는 공간이 여전히 있을 수 있다(도 18h 참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옵틱 캡처 기술용으로도 구성된다. IOL(110)의 햅틱(114)이 디바이스(2100)의 최후방 표면의 전방에 유지되는 동안 IOL(110)의 옵틱(112)이 디바이스(2100)의 최후방 표면의 후방으로 압박되도록 IOL(110)이 디바이스(2100)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IOL(110)의 햅틱(114)은, IOL(110)의 옵틱(112)의 적어도 일부가 플랫폼(2105)의 구멍(2115)을 통해 디바이스(2100)의 후방측으로 압박될 수 있으면서 디바이스(2100)의 리세스(210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햅틱(114)이 디바이스(2100)의 최후방 표면의 전방에 유지되도록 구멍(2115)을 통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동안 IOL 옵틱의 에지는 디바이스(2100)의 최후방 표면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개구(2127)는 후방 플랫폼(2105)의 중앙 구멍(21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또한 도 3은 더 큰 전방 개구(2127)를 통해 가시적인 후방 플랫폼(2105)을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2115)을 예시한다. 중앙 구멍(2115)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방 개구(2127)는 원형일 필요는 없다. 도 3은 원형인 중앙 구멍(2115) 및 실질적으로 난형인 전방 개구(2127)를 도시한다. 도 1c는 원형 중앙 구멍(2115) 및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전방 개구(2127)를 도시한다. 전방 개구(2127)는 임의의 다양한 기하학적 또는 자유 형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방 개구(2127)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IOL(110)의 선택된 영역 위로 연장되어 해당 영역을 덮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통합할 수 있다. 전방 개구(2127)는 또한 동공이 수술 도중 크기가 좁아지더라도 이식 동안 동공을 통해 디바이스(2100)를 직접 시각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앙 연장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중앙 연장 피처는 전방 개구(2127)의 원주 둘레에 약 7 mm 미만 내지 약 5 mm, 바람직하게는 약 6 mm인 적어도 하나의 더 좁은 직경을 획정하도록 돌출할 수 있다. 중앙 연장 피처는 도 18e 내지 도 18j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전방 개구(2127)는 IOL이 제위치로 조작될 수 있고 리세스(2104)가 있는 위치로 완전히 펴질 수 있도록 약 6 mm보다 클 수 있다. 전방 개구(2127)의 직경은 6 mm 초과 내지 최대 약 8 mm일 수 있다. 도 1c는 화살표 A를 따라 측벽(2112) 사이의 폭과 화살표 C를 따라 차양(2110) 사이의 길이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전방 개구(2127)를 예시한다. 폭과 길이는 약 5 mm 내지 약 10 mm일 수 있다.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2127)의 경우, 길이가 폭보다 크다. 도 1c의 화살표 B에 따른 치수도 5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치수가 전체적으로 5 mm인 시나리오의 경우, 측벽(2112) 및 차양(2110)은 전방 피막을 모방하고 전방 개구(2127)는 수정체 낭 절개부를 모방하며 IOL(110)의 중앙 옵틱(112)만이 전방 개구(2127)를 통해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개구(2127)는 도 1c의 화살표 A를 따른 폭이 약 6.25 mm이고, 도 1c의 화살표 C를 따른 길이가 약 7.5 mm이며, 도 1c의 화살표 B를 가로지르는 치수가 약 8.0 mm가 되도록 이것보다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개구(2127)는 전체적으로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차양(2110)은 IOL(110)의 햅틱(114)의 외주 영역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전방 개구(2127)의 이러한 큰 크기는 디바이스(2100)가 거의 보편적으로 다양한 IOL 중 임의의 것을 수용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IOL(1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이러한 큰 크기는 또한 수정체 낭 전방에 이식될 때 덮는 것을 선호할 수 있는 전방 개구(2127)를 통해 노출된 IOL(110)의 특정 부분을 남길 수 있다. 도 5a는 한 쌍의 차양(2110) 및 한 쌍의 결합부 커버(2130)에 의해 획정된 전방 개구(2127)를 갖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모래시계 형상을 갖고 차양(2110)은 직사각형의 각각의 짧은 측면(2107)에서 측벽(2112)으로부터 후방 플랫폼(2105) 위로 돌출한다. 제1 결합부 커버(2130)는 제1 긴 측면(2108)이 제1 짧은 측면(2107)과 조우하는 곳 근방의 측벽(2112)으로부터 돌출하는 디바이스의 제1 코너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 커버(2130)는 반대쪽 긴 측면(2108)이 반대쪽 짧은 측면(2107)과 조우하는 곳 근방의 반대쪽 측벽(2112)으로부터 돌출하는 디바이스의 반대쪽 코너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결합부 커버(2130)가 햅틱(114) 및/또는 결합부(115)의 1차 힌지 지점 위치 위의 측벽(2112)으로부터 연장되어 햅틱(114)이 IOL(110)의 옵틱(112)에 연결되는 것을 보장한다. 결합부 커버(2130)의 존재는 전방 개구(2127)에 자유 형태 형상을 제공한다. 전방 개구(2127)는 도 5a의 화살표 B를 따라 더 큰 개구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도 5a의 화살표 D를 따라 더 작은 개구 치수를 가질 수 있다. IOL(110)은 화살표 B를 따라 더 큰 개구 치수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 제1 배향을 따라 전방 개구(2127)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IOL(110)은, 햅틱 결합부(115)가 결합부 커버(2130)에 의해 덮이는 것을 보장하고 플랫폼(2105)에 대한 IOL(110)의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일단 전방 개구(2127)를 통해 위치되면 화살표 D를 향한 거리만큼 중심축(CA) 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다. 결합부 커버(2130)의 존재에 의해 차양(2110)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고 전방 개구(2127)의 크기가 최대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2100)는 본체 부분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화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 연장 구조 또는 범퍼(2114)는 디바이스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제공하여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를 돕고 후방 챔버와 같은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는 것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이 수정체 낭의 전안부(34)에 맞접하여 수정체 낭이 디바이스(2100)에 대한 Z-축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식되도록 구성된다(도 2a 참조). 범퍼(2114)는 디바이스(2100)에 대한 X-축 및 Y-축 지지부를 제공하고 Z 평면 내에서 디바이스(21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디바이스로부터 외향 연장될 수 있다. 섬모체(15)는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고 수직축은 수평축보다 평균 0.5 mm 더 길다.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디바이스(2100)는 유사하게 원형 또는 타원형 섬모체에 중심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2100)와 섬모체(15) 사이의 360도 접촉을 획득하기 위한 형상의 일치는 염증 또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수성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범퍼(2114)는 섬모체(15) 또는 섬모 고랑(25)과의 360도 접촉 없이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를 제공하기 위해 플랫폼(2105)의 주연부를 넘어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실질적으로 비원형 기하형상을 갖는 외주 표면을 갖는다. 플랫폼(2105)은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모래시계인 외부 영역(2111)을 가질 수 있다. 범퍼(2114)는 플랫폼(2105)의 외주를 넘어 외향 연장되어 이 비원형 기하형상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직사각형 본체 부분의 각각의 코너에 위치되고 360도 미만을 따라 섬모체(15) 및/또는 섬모 고랑(25)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2100)의 비원형 외부 기하형상은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을 따라 안구 조직과 360도 접촉하지 않고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형상은 범퍼(2114)와 안구 조직(예를 들어, 섬모체 또는 수정체 낭) 사이에 충분한 접촉을 제공하여 염증 및 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IOL(110)의 중심화 및 지지를 도울 수 있다.
범퍼(2114)는 본체 부분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고 각각의 코너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4개의 범퍼(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각각의 짧은 측면(2107) 또는 각각의 긴 측면(2108)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단지 2개의 범퍼(211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디바이스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단일 범퍼(2114) 또는 디바이스(2100)의 주연부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다른 개수의 범퍼(2114)를 통합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1, 2, 3, 4개 또는 그 이상을 비롯하여 임의의 개수의 범퍼(2114)를 통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범퍼(2114)의 형상은 약 12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도인 안구 조직과의 접촉을 허용한다. 각각의 범퍼(2114)와 이웃한 안구 조직 사이의 접촉은 범퍼 구성 및 환자 해부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범퍼(2114)는 약 5도 내지 약 10도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 30도 미만인 안구 조직과의 접촉을 이룰 수 있다. 범퍼(2114)가 더 많은 디바이스는 범퍼(2114)가 더 적은 디바이스보다 안구 조직 접촉 정도가 더 클 수 있다. 범퍼(2114)와 안구 조직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하면 염증의 위험 또는 수성 생산 손상이 크게 감소된다. 부분적으로 범퍼(2114)에 의해 제공되는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은 디바이스(2100)와 환자의 특정 치수와 정확히 일치할 필요 없이 중심화를 제공하는 섬모체 사이의 부드러운 접촉을 허용한다. 범퍼(2114)의 곡률 반경은 섬모체 돌기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범퍼(2114)는 계산 가능한 범위에 걸쳐서가 아니라 1개 또는 2개 또는 3개 또는 4개의 별개의 지점에서 섬모체 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시, 디바이스(2100)의 실질적으로 비원형 형상의 외주 표면은 이들 별개의 지점에서 섬모체 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의 범퍼(2114)는 근방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일단 이식되면 안구 조직(예를 들어, 섬모체)과의 접촉을 피한다. 이 배열은 범퍼(2114)가 디바이스의 중심화에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2100)가 한 방향으로 너무 멀리 위치되는 경우, 이웃한 범퍼(2114)는 이식 동안 섬모체에 맞접하여 디바이스(2100)를 섬모체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하고 디바이스(2100)를 더 중앙 정렬로 촉진시킬 수 있다. 일단 이식되면, 디바이스의 범퍼(2114)는 안구 조직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고 안구 조직(예를 들어, 섬모체)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범퍼(2114)는 중앙 구멍(2115)을 통해 연장되는 디바이스(2100)의 중심축(CA)을 안구의 시각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할 수 있고 후방 플랫폼(2105)의 평면형 표면이 안구의 Z-평면(수직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안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중심축(CA)은 안구의 시각 축과 완벽하게 정렬(일치)될 필요는 없다.
범퍼(2114)는 관통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불연속적이거나 단절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범퍼(2114)는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원환체 또는 링의 일부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범퍼(2114)는 디바이스(2100)의 후방 플랫폼(2105) 또는 측벽(2112)에 결합되어 이들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외향 돌출할 수 있다. 각각의 범퍼(2114)의 양 단부는 디바이스(2100)에 결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범퍼(2114)의 한쪽 단부만이 디바이스(2100)에 결합되어 각각의 범퍼(2114)에 C자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범퍼(2114)는 폐루프, 개루프, 플레이트, 켈만, 및 관통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거나 갖지 않는 임의의 다양한 햅틱 유형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섬모체 및/또는 섬모 고랑과의 접촉으로 인해 중심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최대 외경을 디바이스(2100)에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방 플랫폼(2105)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원환체 형상의 피처이다. 범퍼(2114)는 본체 부분의 영역으로부터, 예를 들어 측벽(2112)으로부터,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으로부터, 또는 디바이스의 다른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및 제2 단부(2132, 2134), 및 단부(2132, 2134)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영역(2136)을 가질 수 있다(도 1f 참조). 각각의 범퍼(2114)는 약 1.10 mm 내지 약 1.0 mm인 반경방향 단면 및 약 0.1 mm 내지 약 1.0 mm, 또는 약 0.2 mm 내지 약 0.4 mm인 축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축방향 단면은 범퍼(2114)가 섬모 고랑 내에 삽입되게 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각각의 범퍼(2114)가 본체 부분의 그 측벽(2112)을 넘어 돌출하는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범퍼(2114)는 측벽(211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범퍼(2114)의 중간 영역(2136)의 내부 표면까지 측정된 내경(ID)을 가질 수 있다. 내경은 약 0.25 mm 내지 약 3.0 mm일 수 있다. 각각의 범퍼(2114)는 측벽(211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범퍼(2114)의 중간 영역(2136)의 외부 표면까지 측정된 외경(OD)을 가질 수 있다. 외경은 범퍼(2114)에 의해 생성된 디바이스(21000)의 최대 외경을 정의할 수 있다. 이 최대 외경은 약 12.5 mm 내지 약 16.0 mm 또는 9.0 mm 내지 약 13.0 mm일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후방 챔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범퍼(2114)는 사용 동안 섬모 고랑 내에 위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일부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디바이스가 시각 축 둘레에 센터링될 때 섬모 고랑 내에 삽입하도록 크기 설정된 최대 외경을 정의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시각 축 둘레에 센터링될 때 섬모 고랑의 외부에 유지되도록 크기 설정된 최대 외경을 정의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주연부로부터 돌출하는 범퍼(2114)는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섬모 조직에 맞접하거나 약간 접촉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범퍼(2114)는 또한 잠재적으로 디바이스의 중심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퍼(2114)는 얇고 상대적으로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어, 중심화에 도움이 되지만 디바이스(2100)가 안구에 이식되는 동안 섬모 고랑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구현예에서, 짧은 측면(2107) 상의 범퍼(2114)의 외부 표면과 반대쪽 짧은 측면(2107) 상의 범퍼(2114)의 외부 표면 사이의 디바이스(2100)의 길이(도 1f의 화살표 L)는 약 6 mm 내지 약 12 mm일 수 있다. 긴 측면(2108) 상의 범퍼(2114)의 외부 표면과 반대쪽 긴 측면(2108) 상의 범퍼(2114)의 외부 표면 사이의 디바이스(2100)의 폭(도 1f의 화살표 W)은 약 7 mm 내지 약 14 mm일 수 있다. 범퍼(2114)는 디바이스(2100)의 측벽(2112) 또는 후방 플랫폼(2105)보다는 범퍼(2114)가 중심화를 제공하고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섬모 조직과 접촉하게 하는 거리만큼 외향 돌출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후방 플랫폼(2105), 측벽(2112), 및 차양(2110)에 의해 형성된 본체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섬모체(15)에 맞접하지 않고 섬모체(15)에 의해 획정된 공간 내에 실질적으로 남아 있는 동안, 섬모 고랑(25)으로 범퍼(2114)의 돌출을 예시한다.
범퍼(2114)는 접촉 시 인접한 안구 조직으로부터 멀어지게 디바이스(2100)를 압박할 수 있다. 범퍼의 불연속성(즉, 원환체의 내경에 의해 획정된 내부 체적)은 외경이 재료의 중실 피스에 비교하여 안구 조직에 맞접할 때 더 높은 정도의 가요성 및 스프링을 범퍼(2114)에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섬모 구조와 접촉할 때 약간 변형되거나 약간 내향으로 접힐 수 있다. 범퍼(2114)의 변형은 일시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범퍼(2114)가 그 원래 형상으로 복귀함으로써 디바이스(2100)를 안구 조직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안구 내의 중앙식 위치를 향해 다시 압박한다. 범퍼의 압축은 디바이스(2100)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디바이스(2100)의 나머지 부분이 적절한 IOL 캡처, 중심화, 틸트 등을 제공하는 동안 범퍼(2114) 중 하나 이상이 압축될 수 있다.
범퍼(2114)는 근방에 위치되도록 디바이스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충분히 멀어지게 돌출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일단 디바이스(2100)가 이식되면 섬모 구조와 접촉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피한다. 범퍼(2114)는 안구 내에 디바이스(2100)를 위치하는 동안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식 동안 중앙 구멍(2115)과 안구의 시각 축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Z-평면 내에서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정사각형 에지가 없는 원환체 또는 둥근 링 형상으로 인한 범퍼(2114)의 매끄럽고 볼록한 외부 표면은 또한 안구 조직과 범퍼(2114) 사이의 접촉이 비외상성임을 보장한다. 범퍼(2114)는 홍채와의 상호 작용을 제한하여 유착 및 각도 폐쇄를 피하기 위해 전방-후방(즉, 축방향 단면)으로 최소 두께를 갖는다.
도 4a 및 도 4b는 디바이스(2100) 및 IOL(110)을 홍채의 후방에 유지하기 위해 전방 편향으로 경사진 범퍼(2114)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범퍼(2114)는 디바이스(2100)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원환체 형상의 피처일 수 있다. 범퍼(2114)의 제1 및 제2 단부(2132, 2134)는, 약간 전방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범퍼(2114)의 중간 부분(2136)보다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범퍼(2114)의 중간 부분(2136)은 안구 조직과 접촉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약간의 전방 편향으로 인해 디바이스(2100)의 나머지 부분이 더 후방 방향으로 압박되게 하여 홍채 접촉 및 마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디바이스(2100)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거나, 각각의 범퍼(2114)의 중간 부분이 차양(2110)에 의해 형성된 디바이스(2100)의 전방 표면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범퍼(2114) 중 하나 이상이 범퍼(2114)의 각도로 인해 압축될 때 후방으로 구동될 수 있다. 추가로, 범퍼(2114)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안구에 대한 디바이스(210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섬모체 돌기 또는 섬모 고랑과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피처를 통합하거나 텍스처화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본체 부분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2104), 후방 플랫폼(2105)에 의해 형성된 본체 부분, 측벽(2112), 및 차양(2110)에 대해 후방으로 또는 전방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2138)를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내지 도 6e, 도 8a 내지 도 8f, 도 9a 내지 도 9b, 도 18b 내지 도 18d 및 도 19a 및 도 19b는 리세스(2104) 후방에 위치된 후방 안정화 피처(2138)를 갖는 디바이스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리세스(2104) 전방에 위치된 전방 안정화 피처(2138)를 갖는 디바이스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현예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안정화 피처(2138)는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할 수 있고, 수정체 낭 절개부(40) 둘레의 수정체 낭의 전안부(35)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공간(2142)을 획정하는 후방 대향 표면(2140)을 따라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디바이스(2100)의 나머지 부분이 Z-축 지지부를 제공하는 수정체 낭의 전방에 놓이는 동안 전방 피막(3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안정화 피처(2138)는 일단 디바이스가 이식되면 디바이스(2100)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피막(35)의 수정체 낭 절개부(40)와 맞물릴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수정체 낭(35)에 대한 디바이스(2100)의 중심축(CA)을 정렬하여 안구의 시각 축에 대해 디바이스(2100)와 맞물린 IOL(110)의 옵틱(112)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장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개루프, 폐루프, 플레이트, 날개, 연속적인 난형 피처, 가요성 손가락형 돌출부, 또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 피처(2138)는,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이 수정체 낭(35)의 전방 외부 표면에 대해 고정되도록 수정체 낭 절개부(40)를 통해 삽입하고 수정체 낭(35)의 전안부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수정체 낭 절개부(4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돌출 표면 및 디바이스(2100)가 수정체 낭(35)에 대해 전방으로 활주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변 돌출 표면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정화 피처(2138)에 대해 임의의 다양한 구조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구현예에서, 안정화 피처(2138)는 제1 부분(2116) 및 제1 부분(2116)에 결합되고 제1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제2 부분(2118)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2116)은 중앙 구멍(2115)을 획정하는 후방 플랫폼(2105)의 내부 벽(2109)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부분(2116)은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후방 대향 표면(2140)과 제2 부분(2118) 사이의 공간(2142)의 크기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부분(2116)이 돌출하는 거리는 수정체 낭의 전방 피막(35)이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과 제2 부분(2118) 사이에 삽입되게 하여 수정체 낭 절개부(40)가 제1 부분(2116)에 맞물리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제1 부분(2116)은 전방 수정체 낭 절개부(40)를 통과하고 절개부와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외경을 획정하는 링 형상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부분(2116)은 완전히 링 형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부분(2116)은 중앙 구멍(2115)의 대향 측면에 또는 중앙 구멍 둘레에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도 5b 및 도 5c,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8a 내지 도 8f 참조).
제1 부분(2116)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안정화 피처(2138)의 제2 부분(2118)은 제1 부분(2116)에 의해 획정된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정의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부분(2116)은 수정체 낭 절개부(40) 내에서 연장되어 절개부에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 설정된다. 제2 부분(2118)은 수정체 낭 내부(또는 완전한 피막이 없는 시나리오에서 수정체 낭의 전안부 후방)에서 그리고 전방 피막(35)의 내부 표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크기 설정된다. 따라서, 수정체 낭의 전방 피막(35)은 수정체 낭 후방에 위치된 제2 부분(2118)과 수정체 낭 전방에 위치된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부분(2118)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외향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일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의 제2 부분(2118)은 함께 대향 측면에서 후방 플랫폼(2105)을 넘어 일정 거리만큼 외향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2 부분(2118)은 내부 벽(2109)과 외부 영역(2111)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고서, 그에 따라 각각의 제2 부분(2118)은 대향 측면에서 외부 영역(2111)을 넘어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다(도 5a 참조). 안정화 피처(2138)는 디바이스(2100)의 단축을 따른 후방 플랫폼(2105)의 스팬보다 큰 디바이스(2100)의 단축을 따른 스팬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2 부분(2118)은 적어도 2개의 영역에서 후방 플랫폼(2105)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하지만, 제2 부분(2118)은 하나,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뿐만 아니라 플랫폼(2105)의 전체 주연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및 디바이스(2100))은 둥근 직사각형, 난형, 타원형, 삼각형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이 긴 측면(2108) 및 짧은 측면(2107)을 갖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또는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부분(2118)은 각각의 긴 측면(2108)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2개의 날개를 형성할 수 있다. 외향 돌출하는 제2 부분(2118)은 긴 측면(2108) 상의 만입부(2113) 아래에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만입부(2113)에 의해 제공되는 모래시계 윤곽은 안정화 피처(2138)가 특정 최소 직경에서 디바이스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고 특정 최소 반경방향 거리를 연장시키지만, 여전히 상면도로부터 볼 수 있게 유지된다(도 19a 및 도 19b 참조). 제2 부분(2118)이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거리는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의 삽입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지만 낭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후방 플랫폼(2105)이 3개의 로브 또는 각도 및 3개의 측면을 갖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부분(2118)은 로브 사이의 둥근 직사각형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3개의 날개를 형성할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이 원형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부분(2118)은, 외향 돌출하는 완전한 타원형 또는 원형 플랜지를 형성하고 전방 피막에 대해 360도 지지 및 안정화를 제공하는 원의 전체 원주를 따라 외향 돌출할 수 있다. 이들은 주연부 형상과 날개형 돌출부의 조합의 몇 가지 예이다. 다른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안정화 피처(2138)의 상대 위치는 제2 부분(2118)의 스팬이 디바이스(2100)의 단축을 따르거나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르도록 달라질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안정화 피처(2138)는 본체 부분의 2개의 긴 측면(2108)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도록 위치되고 수정체 낭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안정화 피처(2138)는 제2 부분(2118)에 의해 형성된 날개가 IOL(110)의 햅틱(114)이 삽입되는 대향 리세스(2104)에 수직하거나 직교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대향 리세스(2104)가 디바이스(2100)의 짧은 측면(2107)에 위치되는 경우, 안정화 피처(2138)의 대향 날개는 디바이스(2100)의 긴 측면(2108)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정화 피처(2138)의 날개는 전방 피막(35)과 맞물림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다양한 배향으로 디바이스(2100) 둘레에 배열될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의 주연부로부터 돌출하는 제2 부분(2118)의 외부 치수는 난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른 자유 형태 형상을 비롯하여 임의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치수는 또한 다른 치수를 따라 만곡되거나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2118)은 제1 부분(2116)의 전방-후방 길이와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후방 플랫폼(2105)에 평행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도 5b 참조). 대안적으로, 안정화 피처(2138)의 제2 부분(2118)은 또한 디바이스(2100)에 후방 편향을 제공하는 전방 피막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각도 또는 곡률 또는 외부 융기를 가질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플랫폼(2105)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이들 날개 내에 단절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정체 낭 내부에 위치된 제2 부분(2118)은 날개의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 또는 단절부는 또한 제2 부분(2118)의 외주 근방에 하나 이상의 만입부 또는 홈 또는 다른 표면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취급 중에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점탄성 물질과 같은 유체가 낭 내부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안정화 피처(2138)는 디바이스(2100)를 센터링하기 위해 수정체 낭 절개부(40)와 맞물릴 수 있다. 수정체 낭 절개부(40)는 직경이 약 4 mm 내지 약 7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6 mm일 수 있다. 제1 부분(2116)은 적어도 중앙 구멍(2115)의 직경만큼 크고 수정체 낭 절개부(40)에 비교하여 약간 더 큰 거리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특대 치수는 낭에 대한 디바이스(2100)의 개선된 고정을 위해 약간의 양의 장력 하에 수정체 낭 절개부(40)를 배치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수정체 낭 절개부는 약 5.5 mm이고 제1 부분(2116)에 의해 정의된 외경은 완전히 환형이든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든 약 6.0 mm일 수 있다. 다른 크기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은 수정체 낭의 전방 피막(35)의 외부 표면에 맞접할 수 있고, 안정화 피처(2138)의 제1 부분(2116)은 수정체 낭 절개부(40)와 맞물릴 수 있으며, 안정화 피처(2138)의 제2 부분(2118)은 낭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수정체 낭의 전방 피막(35)의 내부 표면에 맞접할 수 있다. Z-축 지지부는 수정체 낭의 전방 피막(35)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는 안정화 피처(2138)와 수정체 낭 절개부(40)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중심화를 위해 섬모체 돌기 또는 섬모 고랑과 맞물리거나 접촉할 필요가 없다. IOL(110)은 디바이스(2100)를 보강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체 낭 절개부-맞물림 피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복수의 범퍼(2114) 및 안정화 피처(2138)를 갖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후방 플랫폼(2105)은 4개의 범퍼(2114)를 갖는 둥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은 직사각형의 코너 근방에서 플랫폼(2105)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된다. 안정화 피처(2138)의 제2 부분(2118)의 날개는 범퍼(2114) 사이의 긴 측면(2108)으로부터 외향 연장된다. 이 구현예에서, 제2 부분(2118)의 날개는 원형 또는 난형인 형상을 갖지만, 임의의 다양한 형상이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b는 디바이스(2100)의 후방측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범퍼(2114)는, 전체 범퍼(2114)가 일반적으로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에 평행한 단일 평면 내에 있도록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한다. 범퍼(2114)는, 중간 부분(2136)이 단부(2132, 2134)보다 더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범퍼(2114) 단부(2132, 2134)는 또한 측벽(2112)의 보다 후방 영역에 결합된다. 범퍼(2114) 단부(2132, 2134)는 또한 측벽(2112)의 보다 전방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구현예는 또한 각각의 범퍼(2114)가 직사각형 본체 부분의 코너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4개의 범퍼(2114)를 갖는다. 디바이스는, 제1 단부(2132)가 제1 긴 측면(2108) 근방의 측벽(2112)에 결합되고 제2 단부(2134)가 대향 긴 측면(2108) 근방의 측벽(2112)에 결합되어 중간 부분(2136)이 전체 짧은 측면(2107) 둘레에서 연장되도록 직사각형의 짧은 단부(2107) 위에서 외향 돌출하는 2개의 범퍼(2114)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b 및 도 6c는 날개(2118)의 평면이 범퍼(2114)의 평면의 후방에 있도록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으로부터 후방으로 안정화 피처(2138)가 돌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는 안정화 피처(2138)의 날개(2118)가 수정체 낭의 전안부(35)의 후방에 위치되게 하는 반면 범퍼(2114)는 섬모 고랑(25) 내에 삽입될 수 있다(도 6e 참조). 날개(2118)와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대향 표면(2140) 사이의 공간(2142)은 전안부(35)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정체 낭 절개부(40)는 안정화 피처(2138)의 제1 부분(2116)을 둘러싼다. 도 6e는 결손되는 수정체 낭의 후안부를 도시한다. IOL(110)은 IOL용 부분 렌즈 하우징을 형성하는 본체 부분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IOL(110)의 옵틱(112)은, IOL(110)의 옵틱(112)이 중앙 구멍(2115)을 덮도록 측벽(2112) 사이에 그리고 후방 플랫폼(2105)의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해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의 후방 표면(2140), 안정화 피처(2138), 및 중앙 구멍(2115)을 덮는 IOL(110)은 후방 챔버와 유리체 사이에 장벽을 생성할 수 있다. 차양(2110)의 전방 대향 표면은 홍채(10)의 후방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차양(2110)은 홍채(10)와 접촉하지 않지만, 차양(2110)의 매끄러운 외부 표면은 접촉하는 경우 홍채(10)가 손상 또는 자극을 경험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결합부 커버(2130)는 IOL(110)의 옵틱(112)과 결합부(115)를 형성하여 이 영역이 홍채(1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햅틱(114)의 추가적인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2100)는 안정화 피처의 임의의 조합을 통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섬모 구조를 향해 연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범퍼(2114) 및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보다 후방으로 배열된 안정화 피처(2138)를 포함한다(도 6a 내지 도 6e, 도 8a 내지 도 8f, 및 도 9a 및 도 9b 참조). 다른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임의의 안정화 피처(2138) 없이 복수의 범퍼(2114)만을 포함한다(도 1a 내지 도 1f, 도 2a 및 도 2b, 도 3 및 도 4a 및 도 4b 참조).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디바이스의 본체가 수정체 낭 절개부의 전방에 안착되는 동안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본체에 대해 보다 후방으로 배열된 범퍼(2114) 및 안정화 피처(2138)를 포함하지 않는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또 다른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디바이스의 본체가 수정체 낭 절개부의 후방에 안착되는 동안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본체에 대해 보다 전방으로 배열된 범퍼(2114) 및 안정화 피처(2138)를 포함하지 않는다(도 10a 내지 도 10d 참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중 일부는 대부분의 디바이스가 수정체 낭 전방에 위치되고 낭의 전안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디바이스는 여전히 낭의 전안부(예를 들어, 수정체 낭 절개부)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대부분의 디바이스가 수정체 낭 내에 위치되는 상태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안정화 피처는 디바이스(2100)가 낭의 전안부에 대해 또는 그에 비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낭 및/또는 섬모 고랑에 대한 확실한 위치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안구의 Z-평면(수직 평면) 내에서 시야 축을 중심으로 한 디바이스(21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테더(2120)(본 명세서에서 고정 아암이라고도 지칭됨)를 더 통합할 수 있다. 도 7은 측벽(2112)으로부터 돌출하는 테더(2120)를 통합하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테더(2120)는 디바이스(2100)의 짧은 측면(2107), 긴 측면(2108), 또는 디바이스의 코너 또는 그 근방만을 비롯하여 디바이스(2100) 상의 다양한 위치 중 임의의 위치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테더(2120)는 강성 간격 요소로서 거동하게 하는 강성 및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강성이거나 스프링 힘을 인가할 수 있는 테더(2120)는 인접한 조직의 침투 또는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더(2120)는, 테더(2120)가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를 구동하지 않고 IOL 위치가 환자의 공막 직경에 의해 좌우되지 않도록 매우 가요성이다.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너무 많은 반대 힘을 인가하지 않고 회전을 제한하도록 후방 안정화 피처(2138) 및 테더(2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테더(21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2020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6/988,51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화된 앵커(2125)를 사용하여 경공막 고정되는 1개, 2개, 3개의 테더 또는 고정 아암을 통합할 수 있고, 상기 출원은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테더(2120)는 홍채 또는 안구의 다른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방지 테더(2120)는, 디바이스가 시각 축 둘레의 최소량의 회전이 심각한 왜곡을 초래하는 원환체 IOL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테더(2120)는 디바이스를 안정화시키는 인공 소대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안구 내에 위치시키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장력 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2120) 각각은 복수의 측면 중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 중 하나 이상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2103)과 그 말단 단부(210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다. 직선형 고정 아암 또는 선단 고정 아암(2120)은 단일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멀어지는 임의의 굽힘부 또는 만곡부 없이 시작점과 말단 단부 사이의 단일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도 7 참조). 직선형 고정 아암은 지지 구조 외부 벽의 외주 표면에 직교하여 연장될 수 있다. 직선형 고정 아암(들)의 길이방향 축(L)은 외부 벽의 외주 표면에 직교하여 위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의 전방 대향 표면의 평면과 직선형 고정 아암(들)의 길이방향 축(L)은 지지 구조의 후방 대향 표면의 평면 및 길이방향 축(L)과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아암(2120)을 갖는 디바이스(2100)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는 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e, 도 14, 도 15, 도 16a 내지 도 16c, 도 17, 도 18a 내지 도 18d, 도 18e 내지 도 18h, 및 도 18i 내지 도 18j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8a는 중앙 구멍(2115) 및 주변 절결부(2144)가 있는 후방 플랫폼(2105)을 갖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8e는 IOL(110)이 신체 내부에 위치된 도 8a의 디바이스(2100)를 도시하고, 도 8d는 디바이스(2100)의 후방측 및 IOL(110)의 주변 절결부(2144) 및 햅틱(114)의 상대적 배열을 도시한다. 주변 절결부(2144)는 디바이스의 벌크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전방-후방의 전체 두께 감소를 허용한다. 디바이스(2100)는 수정체 낭 전방에서 안구의 후방 챔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전방-후방 두께는 디바이스(2100)가 홍채의 후방 표면과 상호 작용하는 지의 여부에 중요하다. 디바이스(2100)의 전방-후방 두께를 최소화하면 디바이스(2100)와 홍채 사이의 상호 작용이 제한된다. 후방 플랫폼(2105)은 2개의 주변 절결부(2144)를 가질 수 있는데, 하나의 절결부(2144)는 디바이스(2100)의 제1 짧은 측면(2107)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2 절결부(2144)는 반대쪽의 제2 짧은 측면(2107)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 배열은 IOL(110)이 디바이스(2100) 내에 위치될 때 IOL 햅틱(114)의 위치 아래에 각각의 절결부(2144)를 위치시킨다. 각각의 절결부(2144)는 절결부(2144)의 길이가 대략 짧은 측면(2107)의 길이인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상대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결부(2144)는 짧은 측면(2107)과 제1 긴 측면(2108)이 조우하는 디바이스의 코너로부터 짧은 측면(2107)이 반대쪽 긴 측면(2108)과 조우하는 다른 코너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절결부(2144)의 폭은 절결부(2144)의 폭이 제1 코너에서 더 넓고 반대쪽 코너에서 더 좁도록 그 길이를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절결부(2144)는 IOL 결합부가 놓이는 디바이스의 코너에서 더 넓고 햅틱의 단부가 놓이는 디바이스의 코너에서 더 좁을 수 있다. 절결부(2144)의 형상은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벽(2111) 및 측벽(2112)의 후방 대향 표면에 의해 정의된다. 외부 벽(211)은 절결부(2144)의 제1 측면을 정의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측벽(2112)의 후방 대향 표면은 절결부(2144)의 반대쪽 측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절결부(2144)의 전체 형상은 IOL 햅틱(114)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절결부(2144)의 더 좁은 단부는 햅틱(114)의 말단 단부 영역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는 반면 절결부(2144)의 더 넓은 단부는 햅틱(114)이 옵틱(112)에 결합하는 곳 근방에 있을 수 있다(도 8d 참조). 절결부(2144)는 가요성 IOL 햅틱(114)의 말단 단부 영역이, 예를 들어 차양(2110)에 의해 절결부(2144)의 영역을 향해 후방 방향으로 압박되게 한다. 절결부(2144)의 존재는 중앙 구멍(2115)을 형성하는 원형 내부 벽(2109)과 함께 후방 플랫폼(2105)에 대한 환형 형상을 생성하는 후방 플랫폼(2105)에 대해 만곡된 외부 벽(2111)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절결부(2144)는 너무 넓어서 후방 플랫폼(2105)의 외부 영역(2111)이 디바이스의 측벽(2112)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놓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2100)의 측벽(2112)이 제1 형상을 갖고 디바이스(2100)의 후방 플랫폼(2105)이 상이한 제2 형상을 갖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2112)은 디바이스(2100)에 대해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생성할 수 있고 후방 플랫폼(2105)은 형상이 대체로 환형이다. 도 8d는 디바이스(2100)의 측벽(2112)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생성하는 반면 절결부(2144)에 의해 생성된 후방 플랫폼(2105)의 형상은 보다 환형인 것을 도시한다. 도 8b 및 도 8c는 디바이스(2100)의 다른 구현예를 예시한다. 절결부(2144)는 도 8d의 절결부(2144)에 비해 크기가 더 커서 보다 환형 형상의 후방 플랫폼(2105)을 생성한다. 햅틱(114)을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2144)의 전체 크기에 무관하게, 후방 플랫폼(2105)은 중앙 옵틱(112)을 지지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후방 지지부(2105)를 갖지 않고 대신에 중앙 옵틱(112)을 지지하기 위해 전방 수정체 낭을 사용한다. 도 9a 및 도 9b는 디바이스(2100)의 전방 대향 표면을 형성하는 차양(2110)을 형성하기 위해 내향 만곡되는 측벽(2112)을 갖는 디바이스(2100)를 도시한다. 차양(2110)은 측벽(2112)과 조합하여 IOL(110)이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내부 오목형 영역을 정의하는 본체 부분을 생성한다. 본체 부분은 주변 안구 조직을 보호하면서 디바이스(2100) 내에 IOL(110)을 위치하고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디바이스(2100)는 수정체 낭 절개부 위의 후방 챔버 내에서 수정체 낭 전안부와 홍채 사이에서 수정체 낭의 전안부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현예에서 수정체 낭 전안부는 바람직하게는 온전하다. 수정체 낭의 전안부는 차양(2110) 후방에 위치된 IOL을 위한 Z-축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범퍼(2114)는 측벽(2112)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섬모체 또는 섬모 고랑과 같은 섬모 안구 조직과 비외상적으로 접촉하여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 및 회전 방지를 제공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측벽(2112)의 후방 대향 표면은 IOL을 위한 부분적 쉘을 형성하는 디바이스(2100)의 후방 표면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구현예에서와 같이, 디바이스(2100)는 디바이스(2100)의 본체가 수정체 낭 절개부 전방에 유지되고 안정화 피처(2138)가 수정체 낭 절개부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이식될 수 있다. 범퍼(2114)는 측벽(2112)으로부터 섬모 고랑을 향해 외향 연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에는 후방 플랫폼(2105)이 없기 때문에, IOL의 후방 대향 표면은 디바이스(2100)의 후방 단부에 노출된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IOL은, 예를 들어 안구에 이식된 디바이스(2100) 내에 위치될 때 수정체 낭의 전안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IOL의 전방 대향 표면은 디바이스(2100)의 차양(2110) 및 결합부 커버(21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임으로써 IOL(110)의 임의의 정사각형 에지로부터 홍채를 보호한다. 안정화 피처(2138)는 디바이스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측방향 연장 부분(2118)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가 에지에 위치될 때, 수정체 낭 절개부의 에지는 부분(2118) 위로 연장되어 수정체 낭 절개부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 본체의 나머지 부분은 수정체 낭 절개부의 전방에 남을 수 있다. 측벽(2112) 및 차양(2110)에 의해 획정된 리세스 내에 위치된 IOL은, 안정화 피처(2138)의 측방향 돌출부(2118)가 수정체 낭 절개부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안에도 수정체 낭의 전안부에 의해 Z-평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본체의 크기와 형상은 디바이스(2100)가 수정체 낭 절개부를 통해 낭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로, 측벽(2112) 사이의 거리는 햅틱(114)의 스팬을 수용한다. 햅틱(114)은 또한 측벽(2112)의 내부 지지 표면에 의해 약간의 압축력 하에 위치되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IOL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수정체 낭 절개부의 전방에 남아 있는 동안 수정체 낭 절개부의 후방에서 안구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다른 구현예와 같은 디바이스(2100)는 고정 및 안정화를 위해 수정체 낭 절개부와 맞물릴 수 있지만, 대부분의 디바이스(및 따라서 디바이스의 리세스 내에 위치된 IOL)는 수정체 낭 절개부(40) 후방에서 수정체 낭 내에 위치된다. 이 이식 방법은 홍채 상호 작용의 위험을 제거한다.
디바이스(2100)는 수정체 낭 절개부와의 맞물림이 디바이스(2100)의 형상과 배향을 크게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통합할 수 있다. 보강재는 디바이스가 왜곡을 피하면서 확실한 고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안구, 예를 들어 수정체 낭 절개부와 맞물릴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수정체 낭에 의해 인가되는 압축력과 일치하거나 이를 초과하도록 보강될 수 있다. 수정체 낭에 의해 인가되는 압축력은 수정체 낭 절개부의 직경, 및 따라서 수정체 낭 절개부와 맞물리는 디바이스 부분의 직경에 따라 달라진다. 수정체 낭에 의해 인가되는 압축력은 또한 수정체 낭 절개부의 직경, 형상, 및 기계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수정체 낭 절개부의 직경, 형상, 및 기계적 특성이 추정될 수 있지만 정확하게 예측될 수는 없다. 따라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응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바람직하다. 디바이스(2100)의 전방 및/또는 후방 표면은 디바이스(2100)에 대한 낭의 힘으로 인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재료로 두꺼워지고 및/또는 보강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측벽(2112) 및/또는 코너는 굴곡을 제한하기 위해 두꺼워지고 및/또는 보강될 수 있다. 보강 링은 디바이스가 수정체 낭 절개부와 접경하는 곳 근방에 통합될 수 있다. 보강 링은 차양(2110), 측벽(2112), 또는 후방 플랫폼(2105)과 같은 디바이스의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보다 더 강성인 니티놀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일체형 또는 매립 재료일 수 있다. 이 재료는, 약간의 보강을 제공하는 동시에,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작은 절개부를 통해 삽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요성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다양한 유형의 보강재(145)를 통합하는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0a는 링(2145) 형상인 디바이스의 후방 플랫폼(2105)에 통합된 보강재를 예시한다. 보강 링(2145)은 구멍(2115)을 둘러쌀 수 있고 이 영역에서 플랫폼(2105)의 재료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더 큰 후프 강도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2차 재료를 매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0b는 하나 이상의 절결부(2144)의 존재로 인해 불연속 표면을 갖는 후방 플랫폼(2105)의 보강 링(2145)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결부(2144)는 디바이스의 벌크 및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안구에 더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절결부(2144)는 디바이스의 후프 강도를 감소시켜 수정체 낭의 힘으로 인해 왜곡에 더 취약하게 될 수 있다. 불연속적 후방 플랫폼(2105) 내의 보강 링(2145)(예를 들어, 플랫폼(2105)의 재료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폴리머 또는 재료를 매립) 또는 불연속적 후방 플랫폼(2105)의 재료 특성을 변경하는 것(예를 들어, 플랫폼의 전방-후방 두께)은, 절결부(2144)가 디바이스를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충분한 가요성을 보장하면서 수정체 낭에 대한 디바이스의 추가 후프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c는 긴 측면(2108)을 보강하는 측벽(2112)을 따른 하나 이상의 세장형 빔(2145) 형태의 보강재의 또 다른 구성을 예시한다. 도 20d는 보강 링(2145)이 범퍼(2114) 근방의 코너를 따라 보강 빔(2145)과 조합하여 구멍(2115)을 둘러싸는 다른 구현예를 예시한다. 작은 절개부를 통해 디바이스를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디바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임의의 다양한 보강 형상 및 배열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디바이스(2100)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안정화 피처(2138)를 통합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디바이스(2100)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고, 수정체 낭 절개부(40) 둘레의 수정체 낭의 전안부(35)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공간(2142)을 획정하도록 측방향 외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디바이스(2100)의 나머지 부분이 수정체 낭 절개부(40)의 후방에 놓이는 동안 전방 피막(35)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안정화 피처(2138)는 수정체 낭(35)에 대한 디바이스(2100)의 중심축(CA)을 정렬하여 안구의 시각 축에 대해 디바이스(2100)와 맞물린 IOL(110)의 옵틱(112)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장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지만, 이 구현예를 위한 안정화 피처(2138)는 일단 디바이스(2100)가 안구 내에 위치되면 수정체 낭 절개부를 쉽게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 안정화 피처(2138)는 개루프, 폐루프, 날개, 플레이트, 연속적인 난형 피처, 가요성 손가락형 돌출부, 또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3피스 IOL의 햅틱과 유사하게 섬모 고랑으로 연장되는 햅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디바이스의 전방 대향 표면(즉, 차양(2110))이 수정체 낭(35)의 후방 대향 내부 표면에 맞접하는 동안 섬모 고랑과 맞물리도록 측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수정체 낭 절개부(40)의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개루프를 포함하는 안정화 피처(2138)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정화 피처(2138)는 섬모 고랑으로 또는 적어도 전방 피막의 상단을 따른 거리만큼 연장되는 두께가 약 0.5 mm 미만인 햅틱의 형태일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또한 전방 피막의 후방에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전방 피막 위에 놓일 수 있다. 도 10c 내지 도 10d는, 디바이스의 전방 대향 표면(즉, 차양(2110))이 수정체 낭(35)의 후방 대향 내부 표면에 맞접하는 동안 수정체 낭(35)의 전방 표면과 맞물리도록 측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수정체 낭 절개부(40)의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측방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안정화 피처(2138)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0a 및 도 10c에 도시된 안정화 피처(2138)의 각각의 구현예는 제1 부분(2116) 및 제1 부분(2116)에 결합되고 제1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제2 부분(2118)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2116)은 구멍(2127)를 획정하는 차양(2110)의 에지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부분(2116)은 차양(2110)의 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차양(2110)과 제2 부분(2118) 사이의 공간(2142)의 크기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부분(2116)이 돌출하는 거리는 수정체 낭의 전방 피막(35)이 차양(2110)과 제2 부분(2118) 사이에 삽입되게 하여 수정체 낭 절개부(40)가 제1 부분(2116)에 맞물리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제1 부분(2116)은 전방 수정체 낭 절개부(40)를 통과하고 절개부와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외경을 획정하는 링 형상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부분(2116)은 완전히 링 형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부분(2116)은 구멍(2127)의 반대쪽에 또는 그 둘레에 배열되는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은 고양이 눈 수정체 낭 절개부를 갖는 전통적인 광학 캡처와 유사하게 단 2개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다. 맞물림은, 예를 들어 측면당 약 2 mm에서 최대 약 6 mm까지 호에 걸쳐 확산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는 약 4 mm 내지 약 7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6 mm의 다양한 크기의 수정체 낭 절개부와 양립 가능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안정화 피처(2138)와 수정체 낭 절개부(40) 사이의 맞물림은 안구에서 디바이스(2100), 및 따라서 디바이스(2100)와 맞물린 IOL의 병진, 축방향, 및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부분(2118)은 일단 디바이스가 이식되면 수정체 낭 절개부를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
일단 디바이스(2100)가 수정체 낭 절개부에 대해 고정되고 안정화되면, IOL(110)은 차양(2110) 후방의 리세스(2104) 내에 배열되도록 수정체 낭 절개부 및 전방 개구(2127)를 통과할 수 있다. 수술 중 IOL(110)이 디바이스(2100)의 후방으로 나아가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양(2110)과 후방 플랫폼(2105) 사이의 리세스(2104)의 깊이는 수정체 낭 절개부의 전방에 위치된 디바이스의 구현예에 대해 설명된 리세스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추가로, 중앙 구멍(2115)은 수정체 낭 절개부의 전방에 위치된 디바이스의 다른 구현예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구멍(2115)은 IOL(110)이 중앙 구멍(2115)의 후방으로 나아갈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약 4.5 mm 내지 최대 약 5.0 mm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후방 플랫폼(2105)의 적어도 일부는 이 후방 표면의 후프 강도를 증가시키고 IOL(110)이 중앙 구멍(2115)을 우발적으로 통과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강되거나 두꺼워질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구멍(2127) 및 수정체 낭 절개부를 통한 IOL(110)의 용이한 삽입을 허용하고 디바이스(2100) 후방의 중앙 구멍(2115)을 통한 IOL(110)의 용이한 통과를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수정체 낭 절개부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본체를 포함하는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피처는, 수정체 낭 절개부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본체를 갖는 디바이스 실시예를 비롯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임의의 다른 구현예에서 임의의 다양한 조합으로 통합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은 비외상적으로 외부화되고 그 기하형상 및 기계적 특성 단독에 의해, 즉 봉합사 또는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설계되는 경공막 고정 아암일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주변 단부(본 명세서에서 말단 단부 또는 말단 부분이라고도 지칭됨)에 있는 외부화된 부분 또는 앵커(2125)(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정 발판 또는 발판이라고도 지칭됨)는 결막하에 안착되어 아암(2120)을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결막은 외부화 후에 제거되고 재형성될 수 있다. 이식용 기구는 결막하 배치 뿐만 아니라 결막횡단 배치도 허용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앵커(2125)는 안정하게 유지되고 안구로 재진입하지 않으며 결막을 최소로 침식시키기 위해 견고하지만 낮은 프로파일의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100)의 고정 아암(2120)은 수술 전에 디바이스의 쉬운 시각화 및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 중 적어도 하나는 휴지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비평면형인 기하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그 후 이식 절차 동안 그리고, 예를 들어 장력 상태로 배치될 때 평면형 구성으로 조작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지지 구조(2105)의 주연부 둘레에 대칭적으로 또는 등거리로 배열된 3개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한다. 고정 아암(2120)은 렌즈 지지 구조(2105)를 센터링하고 장기간의 안정성을 위해 충분한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는 단일 고정 아암(212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은 렌즈 지지 구조의 주연부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3개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한다. 고정 아암(2120)은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거나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는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또한 단지 2개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고정 아암(2120)은 이식되고 경공막 고정될 때 동일한 반대 장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아암(2120)은 하나의 고정 아암(2120)이 장력 상태로 있고 다른 고정 아암(2120)이 강성 간격 요소로서 기능하는 강성과 길이를 갖도록 비대칭일 수 있다. 강성이거나 스프링 힘을 인가할 수 있는 고정 요소는 인접한 조직의 침투 또는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장된 고정 요소는 일단 배치된 재료의 약간의 신장 또는 팽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정 아암(2120)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고정 아암이 전방 돌출 만곡부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내향 편향된 구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안구 조직과 맞물릴 때 회전에 저항하는 패들형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또한 3개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고정 아암(2120)은 안구의 Z-평면(수직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정해진 고정 평면을 디바이스(2100)에 제공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을 동일한 반대 장력에 놓는 방식으로 설계 및 전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은 강성 간격 요소로서 거동할 수 있는 강성 및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0개, 1개, 2개 또는 모두 3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은 내향 편향 설계로 제조되거나 디바이스의 중심 또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3a 내지 도 13e 참조).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2120)은 지지 구조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이식 전에 절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의 적어도 하나, 그러나 전체보다 적은 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편향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적어도 2개, 그러나 전체보다 적은 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편향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든 고정 아암(2120)은 편향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3개의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고, 3개의 고정 아암 중 2개의 고정 아암은 가요성이고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제3 고정 아암은 다른 2개보다 덜 가요성이며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된다. 각각의 고정 아암의 절첩된 구성은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를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고정 아암(들)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평면형이 아닌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동안 렌즈 지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편면형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일단 이식되고 경공막 고정되면, 내향 편향된 아암은 절첩된 내향 편향된 구성으로부터 펴지거나 펼쳐질(펴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2개의 고정 아암(2120)은 내향 편향 기하형상을 갖고 제3 고정 아암(2120)은 증가된 단면적 - 그 강성을 증가시킴 - 을 갖는다. 내향 편향 고정 아암(2120)은 렌즈 지지 구조(2105)를 갖는 아암의 시작점과 그 말단 단부 사이에 굽힘부를 통합할 수 있다. 2개의 굽힘된 고정 아암(2120)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휴식 상태에서 그리고 이식 전에,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지지 구조로부터 펼쳐진 구성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지지 구조로부터 절첩된 구성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식 전 휴지 상태에서,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하나는 펼쳐진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고정 아암 중 적어도 2개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식 후,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각각의 아암이 펼쳐질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지지 구조(2105)에서의 시작 부분(2103) 및 무봉합 경공막 고정을 위해 비외상성 앵커(2125)에 결합된 말단 단부 부분(2102)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2125)의 경공막 고정 전에, 복수의 고정 아암(2120) 중 하나(최대 모든 고정 아암(2120))는 그 시작 부분(2103)과 그 말단 단부(2102) 사이에서 만곡되어 안구의 동공(30)(도 14 참조)을 통해 만곡된 고정 아암(2120)의 적어도 일부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굽힘부(B)(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3a 내지 도 13e 참조)를 형성하는 만곡된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2125)의 경공막 고정 후, 복수의 고정 아암(2120) 각각은 안구의 Z-평면에 대해 지지 구조를 정렬하기 위해 시작 부분과 말단 단부 사이에서 인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2105)는 안내 렌즈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구조(2105)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2115)은 중앙 구멍(2115) 및 지지 구조(2105)에 의해 지지되는 IOL 모두를 통한 광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만곡된 고정 아암(2120)은, 말단 단부(2102) 및/또는 그 비외상성 앵커(2125)와 같은 아암(2120)의 일부가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예를 들어, 지지 구조(2105)의 상부 표면 및/또는 중앙 구멍(2115)의 영역 위에) 위치되도록 전방으로 만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만곡된 고정 아암(들)(2120)은, 말단 단부(2102) 및/또는 그 비외상성 앵커(2125)와 같은 아암(2120)의 일부가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예를 들어, 지지 구조(2105)의 하부 표면 및/또는 중앙 구멍(2115)의 영역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후방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e는 고정 아암(2120)이 휴지 상태이고 이식 전인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3개의 고정 아암(2120) 중 2개는 휴지 상태에서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도록 내향 만곡된다. 아암(2120)은 지지 구조(2105)에서의 그 시작점(2103)으로부터와 같이 지지 구조(2105)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외향 연장되고 아암(2120)의 시작점(2103)과 말단 단부(2102) 사이에 만곡부를 형성하는 선회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든다. 아암(2120)의 만곡부는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가 자신의 시작 부분(2103)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암(2120)은,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가 아암의 시작 부분(2103)의 전방에 또는 아암의 시작 부분(2103)에 가까운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도록 전방 방향으로 만곡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아암(2120)은,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가 아암의 시작 부분(2103)의 후방에 또는 아암의 시작 부분(2103)에 가까운 지지 구조(2105)의 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위치되도록 후방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만곡된 고정 아암(2120)의 앵커(2125)는 지지 구조의 제1 평면(예를 들어, 안구의 Z-평면)으로부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제2 평면은 아암(2120)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만곡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제1 평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을 수 있다. 만곡부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평면(예를 들어, Z-평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예를 들어, X-평면) 방향일 수 있다. 확장된 동공(성인 또는 소아 환자에 따라 다름)은 약 8 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만곡부는, 불투명 홍채에 의한 직접적인 시각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확장된 동공의 직경, 예를 들어 약 3 mm 내지 최대 약 7.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 mm 내에서 볼 수 있는 제2 평면에서 원의 직경 내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고정 아암(2120)의 앵커(2125)를 위치시킨다. 만곡된 고정 아암(2120) 각각의 앵커(2125)는 디바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예를 들어 약 1.5 mm, 2.0 mm, 2.5 mm, 3.0 mm, 디바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약 3.5 mm 이하, 또는 약 4.0 mm 이하에 위치될 수 있다. 만곡된 아암(2120)은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는 디바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이 직경 또는 이 거리 내에 말단 단부 부분(2102) 및/또는 앵커(2125)를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3개의 고정 아암(2120) 중 제3 고정 아암은 휴지 상태에서 직선형 또는 펼쳐진 구성으로 편향된다. 제3 아암(2120)은 지지 구조(2105)에서의 그 시작점(2103)으로부터 직교하여 외향 연장되어 선회부 또는 굽힘부를 만들지 않는다. 오히려, 전체 제3 아암(2120)은 완전히 직선형이고 실질적으로 단일 축을 따라 연장된다. 휴지 상태에서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2개의 고정 아암은, 이제 예를 들어 외부화되는 경공막 앵커를 통해 아암(2120)을 인장시킴으로써 펼쳐진 구성이 된다.
디바이스(2100)는 고정 아암(2120)이 없거나 고정 아암(2120)이 휴지 상태에서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되지 않더라도 동공을 통해 직접 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100)는 이식 동안 사용자에 의해 시각화될 수 있는 차양(2110)(도 18e 내지 도 18h 또는 도 18i 내지 도 18j 참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앙 돌출 피처(2117)를 통합할 수 있다. 피처(2117)는 중앙 구멍(2115)의 중심을 향해 충분히, 예를 들어 중심으로부터 적어도 약 2.5 mm 내지 약 3 mm 돌출하여 이식 절차 동안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디바이스(2100)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균일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아암(2120)은, 예를 들어 서로 90도인 3개의 고정 아암(2120)을 이용하여 비균일 분포로 배향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고정 아암(2120) 중 2개는 서로 180도가 되어 반대 장력을 제공하고; 제3 고정 아암(2120)은 주로 디바이스(2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하중 상태에 있을 때 재료의 연신율의 함수인 스프링 힘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개루프 햅틱 또는 코일 스프링은 실질적으로 고정된 길이를 갖는 재료의 굽힘으로 인해 제공되는 스프링 힘을 가질 수 있다. 일단 안구에 고정된 고정 아암(2120)은 인장 응력 및 재료 연신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약 15 mm 내지 약 16 mm의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약 7.5 mm 내지 8.0 mm의 반경에 걸쳐 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기능을 위한 작동 가능한 장력 범위를 갖는다. 예로서, 디바이스는 일단 이식되면 제1 장력량(X 장력)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제1 장력량은 최소 허용 가능한 직경의 장력량이다. 다시 말해서, 디바이스는 기능을 위해 최소량의 장력 상태로 있지만, 더 큰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더 큰 장력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15 mm 및 16 mm 연장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 아암(2120)의 예에서, 각각의 힘 전달 아암은 제1 장력(X) 상태 그리고 적어도 제2 장력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장력은 제1 장력(X)에 장력 거리(예를 들어, 장력 0.5 mm)를 더한 합일 수 있다. 고정 아암은 각각의 연장 비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차등 장력을 견딜 수 있다. 예를 더 설명하기 위해, 이 구현예에서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의 길이가 약 4 mm인 경우, 제2 장력(X 장력 + 0.5 mm 장력)은 15 mm 직경에서 기능하고 또한 최대 16 mm 직경까지 기능하기 위해 연신율이 12.5% 증가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고정 아암(2120)의 길이가 2 mm인 경우, 제2 장력(X 장력 + 0.5 mm 장력)은 15 mm 직경에서 기능하고 또한 최대 16 mm 직경까지 기능하기 위해 연신율이 25% 증가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고정 아암의 길이가 약 6 mm인 경우, 제2 장력(X 장력 + 0.5 mm 장력)은 15 mm 직경에서 기능하고 또한 최대 16 mm 직경까지 기능하기 위해 연신율이 6.25% 증가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감소된 스프링 힘은, 안구 조직에 대한 앵커의 장력이 외과의가 평가하기 어려운 변수 - 안구의 고유 치수 및 절개부의 특정 위치 - 에 덜 의존하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안전성 및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추가로, 고정 아암의 길이(예를 들어, 약 2 mm 내지 6 mm)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의 내향 만곡부(전방 또는 후방으로)는 수술 동안 외과의가 아암을 찾아 고정하기 위한 접근 및 시각화를 개선한다. 디바이스는 약 15 mm 내지 약 20 mm, 바람직하게는 약 16.50 mm 내지 최대 약 18.00 mm인 이완된 고정 직경(Dd)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원의 반경은 중앙 구멍(2115)의 중심으로부터 직선 고정 아암(2120)의 앵커(2125)의 내부 대향 표면까지 측정된다(도 18e 참조).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발판 또는 앵커(2125)는 고정 아암(2120)의 외부 말단에 결합되거나 그 외부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앵커(2125)는 외과의에 의해 쉽게 외부화되고 디바이스의 유효 수명에 걸쳐 디바이스의 장력을 안정화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2125)는 일반적으로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결막 침식 및 눈꺼풀 자극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기하형상(예를 들어, 둥근)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단부는 렌즈 지지 구조(2105)를 고정하고 구심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공막(20)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앵커(2125)를 가질 수 있다. 앵커(2125)의 기하형상은 외과의가 미국 특허 제10,973,624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앵커 추출을 위한 올가미 디바이스를 비롯하여, 겸자, 투관침, 올가미, 또는 다른 수술 도구를 사용하여 공막(20)의 천자 또는 절개부를 통해 앵커(2125)를 통과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앵커(2125)는 네일 헤드, T-바아, 다중 갈래 형상, 또는 제1 방향으로 공막(20)을 우선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아암(2120)이 디바이스의 수명을 통해 예상되는 장력 상태로 배치될 때 외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삽입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하형상과 유사한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2125)는 디바이스(2100)의 유효 수명에 걸쳐 눈꺼풀 또는 결막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프로파일 및 기하형상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기하형상은 매끄러운, 둥근 및/또는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최소 두께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앵커(2125)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거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길이에 걸쳐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앵커(2125)는 용이하게 외부화되고 외부화 이후의 재-내부화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앵커는 안과용 도구(예를 들어, 23, 25 또는 27 게이지)를 사용하여 파지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안과용 도구로 파지하기에 이상적인 기하형상이 반드시 견고한 고정에 이상적이지는 않을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두께, 폭 및/또는 높이의 변동을 갖는 앵커(2125)의 추가적인 기하형상을 예시한다. 앵커(2125)는 중심 부분(1255) 및 중심 부분의 주연부에 하나 이상의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부분(1255)은 앵커(2125)가 삽입된 상처(공막 절개) 위에 놓이도록 배열될 수 있고,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은 상처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중심 부분(1255)은 주연부에서 파지 가능한 부분(1257)에 비교하여 증가된 두께, 높이, 및/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중심 부분(1255)의 증가된 두께, 높이, 및/또는 폭은 상처 위의 영역에 벌크를 추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 아암 상의 장력이 상처를 통해 앵커(2125)를 뒤로 당길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앵커(2125)의 중심 부분(1255)은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두께(Tg)보다 큰 아암(2120)의 길이방향 축(L)을 따른 두께(Tc)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Tc)는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두께(Tg)의 약 1.2배 내지 5.0배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중심 부분(1255)은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폭 또는 높이의 약 1.2 내지 5.0배인 폭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벌크가 더 큰 영역의 기하형상은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과 관련된 인장력 하에서 변형을 저지하도록 설계된다. 벌크가 더 큰 중심 부분(1255)은 외부화 동안 부착되는 아암(2120)의 말단 단부 위로 절첩하도록 내향으로 접힐 수 있다. 아암(2120)이 장력 상태로 배치되면, 벌크가 더 큰 중심 부분(1255)은 아암(2120)의 말단 단부로부터 그 자신 위로 절첩될 수 없으며, 이는 외부화된 앵커(2125)가 상처를 통해 뒤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중심 부분(1255)은 더 큰 벌크에도 불구하고 상처를 통해 제1 방향으로(안구로부터 외향으로) 당겨질 수 있지만, 그 더 큰 벌크 때문에 상처를 통해 제2 반대 방향으로(안구를 향해 내향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은, 예를 들어 중심 부분(1255)에 비교하여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의 파지를 개선하는 난형, 직사각형, 별 모양 패턴, 또는 기타 형상 또는 기하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은 중심 부분(1255)로부터 연장되는 얇고 좁은 탭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앵커(2125)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형태에 무관하게 앵커를 파지하게 하도록 1, 2, 3, 4, 5, 6개 또는 그 이상의 파지 가능한 부분(125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단일 앵커(2125)보다 많이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3개의 고정 아암(2120)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은 말단 단부 상의 제1 앵커(2125) 및 제1 앵커(2125) 내부에 위치된 제2 앵커(2125)를 갖는다. 제2 앵커(2125)는 원심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렌즈 지지 구조(2105)를 추가로 고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앵커(2125)는 제2 앵커(2125)가 또한 디바이스(2100)를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공막(20)을 통해 외부화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고정 아암(2120)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앵커(2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앵커(2125)는 그 길이를 따라 균등하게 이격된 2, 3, 4, 5개 또는 그 이상의 앵커(2125)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과의는 디바이스(2100)를 센터링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많은 앵커(2125)를 외부화할 수 있다. 공막(20)에 가장 가까운 외부 앵커(2125) 주변의 고정 아암(2120) 및 앵커(2125)의 과잉 재료는 트리밍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 아암의 앵커(2125) 등과 같은 디바이스로부터 재료를 트리밍하면 환자의 안구에 즉각적으로 맞춤화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이 공막을 통해 외부화되는 복수의 앵커(2125)를 갖는 경우와 같은 일부 상황에서, 앵커링 기능을 수행하는 앵커(2125) 주변의 추가 앵커(2125)(또한 아암(2120)의 섹션)는 아암(212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 아암(2120)당 복수의 앵커(2125)는 외과의가 수술 중에 디바이스(2100)를 환자의 안구에 대해 크기 설정하게 할 수 있다. 공막을 통해 외부화된 고정 아암(들)(2120)의 외부 부분 및/또는 앵커(2125)의 트리밍은 고정 아암(2120)의 길이가 즉각적으로 맞춤화되거나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외과의는 또한 특정 이식 절차를 위해 복수의 고정 아암(2120) 중 하나만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외과의는 디바이스를 안구에 이식하기 전에 불필요한 아암(2120)을 트리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의는 이식 전에 굽힘된 아암을 트리밍하도록 결정하여 공막에 대한 테더링을 위해 직선형 아암만을 남겨 둘 수 있다.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는 복수의 고정 아암(2120)을 갖는다. 디바이스(2100)가 안구에 이식되고 고정 아암(2120) 중 적어도 일부가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의 안정화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면, 안정화에 필요하지 않은 나머지 고정 아암(2120) 중 하나 이상이 디바이스(2100)로부터 트리밍되어 안구에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2100)는 고정 아암(2120)의 길이 뿐만 아니라 고정 아암의 수를 이식 절차 동안 실시간으로 맞춤화할 수 있다.
단일 고정 아암(들)(2120) 상의 2개의 앵커(2125)는 내부 앵커(2125)가 최외측 앵커(2125)보다 더 좁은 상이한 외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단일 고정 아암(2120) 상의 복수의 앵커(2125)는 또한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고 그 크기가 달라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앵커(2125)는 또한 제1 방향으로 공막을 통한 통과를 개선하지만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공막을 통한 통과를 손상시키는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2125)는 정사각형 에지를 통합할 수 있다. 그러나, 앵커(2125)는 외향 방향으로 공막을 통한 통과를 돕는 내부 대향 표면 상의 정사각형 에지 및 외부 대향 표면 상의 매끄러운 테이퍼진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안구 벽으로 연장되는 고정 아암(2120)은 주변 홍채(10), 윤부(limbus) 및 공막(20)에 의해 시야로부터 차단될 수 있으므로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아암(2120) 중 하나 이상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내향 편향되고, 그에 따라 동공을 통해 직접 시각화될 수 있다(도 14 참조).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초기에 지지 구조(2105)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외향 연장될 수 있고, 그 후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또는 앵커(2125)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 아암(2120), 지지 구조(2105), 또는 지지 구조(2105)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211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도록 전방으로(또는 후방으로) 만곡되거나 절첩될 수 있다. 굽힘된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즉, 말단 단부 및/또는 앵커(2125))는 확장된 동공을 통해 더 쉽게 시각화될 수 있고 시각화는 불투명 홍채(10)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도 14 참조). 이러한 내향(구심) 편향은 또한 굽힘된 고정 아암(2120)이 디바이스 이식 동안 안전하게 파지되고 조작될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2100)의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절첩된 구성을 향한 내향 편향을 가질 수 있거나 고정 아암(2120)의 선택만이 내향 편향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둘, 최대 모든 고정 아암(2120) 미만).
고정 아암(2120)은 또한 렌즈 지지 구조(2105)와의 그 시작점과 말단 앵커(2125) 사이에 굽힘부 또는 만곡부를 통합하도록 몰딩될 수 있다(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e, 및 도 15 참조). 굽힘된 고정 아암(들)(2120)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2120) 중 하나 이상은 반경방향 및 구심 방향으로 렌즈 지지 구조(2105)와의 그 시작점으로부터 90도 내지 270도 굽힘될 수 있다. 따라서, 굽힘된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놓인다. 안구에 위치되기 전에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복수의 고정 아암(2120) 중 적어도 제1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20)는 렌즈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2103)과 굽힘된 아암을 형성하는 그 말단 단부(2102) 사이에 굽힘부(B)를 통합할 수 있다. 굽힘된 아암은 렌즈 지지 구조(2105)에 직교하는 그 시작점으로부터 적어도 제1 거리만큼 연장할 수 있다. 이어서, 굽힘된 아암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평면으로부터 적어도 또 다른 거리만큼 상향(전방으로) 만곡될 수 있다. 굽힘된 아암(2120)은 그 후 그 시작점을 향해 또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뒤로 만곡될 수 있다. 이는 굽힘된 아암(2120)의 말단 단부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아암(2120)의 만곡부 또는 굽힘부는 중심축(CA)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아암의 시작점(2103) 및 말단 단부(2102) 모두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될 수 있다. 경공막 앵커(2125) 및/또는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부분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또는 그 전방에 위치되거나 중앙 구멍(211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굽힘된 아암(들)(2120)은 적어도 일정 거리만큼 렌즈 지지 구조(2105)의 평면으로부터 하향(후방으로) 만곡될 수 있고 경공막 앵커(2125) 또는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부분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또는 그 후방에 및/또는 중앙 구멍(2115)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또는 그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아암(2120)이 전방으로 만곡되든 후방으로 만곡되든)은 굽힘된 고정 아암(2120) 및/또는 그 앵커(2125)의 말단 단부와 같은 굽힘된 고정 아암(2120)의 적어도 일부가 동공을 통해 시각화되게 하여 불투명한 홍채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고정 아암(2120) 중 단하나의 아암(2120), 고정 아암(2120) 중 2개의 아암(2120), 또는 모든 고정 아암(2120)이 만곡부를 통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아암(2120) 중 어느 것도 만곡부를 통합할 수 없다(도 18i 내지 도 18j 참조).
디바이스가 위치되고 안구 내에 고정되면, 고정 아암(2120)은 굽힘된 아암이 그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쳐지고 더 이상 굽힘되지 않도록 장력 상태로 배치된다. 아암(2120)의 말단 단부는 굽힘된 고정 아암을 직선형 또는 펼쳐진 구성으로 압박하기 위해 아암(2120)이 절첩된 구성에 있는 휴지 상태로부터 압박된다.
절첩된 구성의 굽힘부(B)는 곡률 반경을 갖는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굽힘부일 수 있거나 아암(2120)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별개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굽힘될 수 있다. 굽힘부는 렌즈 지지 구조(2105)에 과도한 응력을 부여하지 않고 여전히 상대적으로 쉽게 펴지거나 펼쳐진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으면서 전방으로 너무 멀리 돌출하는 것을 피하기에 충분히 단단할 수 있다. 내향 편향된 기하형상은 내부 만곡부(전방 대향측)에서 약 0.10 mm 내지 약 2.5 mm의 곡률 반경과 외부 만곡부(후방 대향측)에서 약 0.6 mm 내지 약 3.0 mm의 곡률 반경인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구현예에서,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는 간극(G)을 형성하는 렌즈 지지 구조(2105)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도 13d 내지 도 13e 참조). 간극(G)은 약 0.2 mm 내지 최대 약 2.5 mm일 수 있다. 구현예에서, 편향된 고정 아암(2120)은 180도의 전체 반경으로 만곡되고 렌즈 지지 구조(2105) 및 편향된 고정 아암이 약 1.25 mm만큼 이격되도록 내부 만곡부에서 약 0.63 mm의 곡률 반경이고 외부 만곡부에서 약 1.13 mm의 곡률 반경인 내향 편향된 기하형상을 갖는다. 만곡부의 시작점(렌즈 지지 구조(2105)와의 시작점(2103) 근방) 및 만곡부의 종점(경공막 앵커(2125)에서 말단(2102) 근방)은 만곡부가 고정 아암(2120)의 길이에 걸쳐 변경되도록 복수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편향된 고정 아암(2120)의 만곡부는 내부 만곡부에서 약 0.15 mm 내지 약 2 mm의 평균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굽힘된 고정 아암(2120)은, 이식 후 및 공막 벽에 고정되기 전에, 응력을 받지 않은(휴지) 상태에 있을 때 동공을 통해 볼 수 있다(도 14 참조). 이러한 가시성은 외과의가 앵커(2125)를 쉽게 맞물리게 한다. 외과의가 고정 아암(2120) 또는 앵커(2125)의 본체를 파지하여 고정 아암(2120)을 맞물릴 때, 외과의는 고정 아암(2120)을 렌즈 지지 구조(2105)와 실질적으로 평면에 두는 방식으로 휴지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펼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아암(2120)은 전개된 상태에서 재료에 저장된 응력이 디바이스 기능을 손상시키는 방식으로 렌즈 지지 구조(2105)에 비틀림력 또는 인장력을 부여하지 않도록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들)(2120)은 그 렌즈 지지 시작점으로부터 접선 방향 및 구심 방향으로 90-270도 선회부를 갖도록 몰딩될 수 있다. 고정 아암(들)(2120)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기하형상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이러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재료 또는 변형 가능한 힌지를 통합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고정 아암(2120)이 렌즈 지지 구조(2105)와의 그 시작점을 향해 뒤로 180도 굽힘될 때, 고정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각각의 고정 아암(2120)은 굽힘부를 가질 수 있거나 고정 아암(2120)의 선택만이 굽힘부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둘, 최대 모든 고정 아암(2120) 미만). 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e는 고정 아암(2120) 중 2개가 굽힘부(B)를 갖고 하나의 고정 아암이 렌즈 지지 구조(2105)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음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고정 아암(2120) 중 하나 이상은 휴지 상태에서 비평면형 기하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고, 디바이스(2100)가 이식되면, 단 앵커(2125)의 외부화 전에 동공을 통해 고정 아암(2120)의 적어도 일부를 쉽게 볼 수 있게 하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 아암(2120)은 사용자에 의해 더 쉽게 파지되고 조작될 수 있어 무봉합 고정을 위해 펼쳐진 구성으로 압박될 수 있다. 휴지 상태에서 편향을 갖도록 제조되거나 휴지 상태에서 만곡되거나 굽힘되도록 제조된 고정 아암(2120)은 디바이스(2100)가 안구 밖에 있고 이식 준비가 되었을 때 해당 형상을 갖는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정 아암(2120)은 안구(예를 들어, 후방 챔버) 내에 이식한 후, 단 앵커의 고정 전에 만곡된, 절첩된 또는 굽힘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은, 안구 외부에서 제1 형상을 갖고, 안구 내에 이식되기 전의 아암(2120)의 형상과 상이한 만곡된 형상을 안구 내에 이식 시 취하며, 앵커(2125)의 외부화 시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부분(2103)과 말단 단부(2102) 사이의 길이를 따라 굽힘부를 갖는) 절첩되거나 만곡된 형상을 향한 편향을 갖는 고정 아암(2120)은, 동공을 통해 시각화되고, 파지되고, 수동으로 펼쳐지고 및/또는 신장되어 아암(2120)의 앵커(2125)를 경공막 고정시킬 수 있다. 만곡부, 굽힘부 또는 절첩부의 구성 및/또는 곡률 반경 뿐만 아니라 만곡부, 굽힘부 또는 절첩부의 방향 배향은 고정 아암(212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앵커(2125) 및/또는 앵커(2125)에 결합된 말단 단부)가 환자의 동공,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확장된 동공의 직경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 한 다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는 고정 아암(2120)의 적어도 일부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그 외부 영역(2111)의 반경방향 내향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암(2120)의 부분이 외부 영역(2111)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이 부분은 중앙 개구(2115)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A) 배향으로 외부 영역(2111) 위에 있지 않은 외부 영역(2111)에 인접한 위치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연장된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외부 영역(2111)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부분은 외부 영역(2111)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외부 영역(2111)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 부분은 외부 영역(2111)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 위치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외부 영역(2111)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부분은 중앙 개구(2115) 위에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부분 사이의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중앙 개구(2115)를 획정하는 내부 벽(2109)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은 중앙 구멍(2115)의 중심과 동축일 수 있다.
고정 아암의 일부(예를 들어, 말단 단부(2102) 및/또는 앵커(2125))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일부 위에 그리고 동시에 또한 중앙 개구(2115)의 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2125)는 앵커(2125)의 적어도 일부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고 앵커(2125)의 다른 부분이 중앙 개구(211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만곡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고정 아암(2120)은 디바이스의 실제 중심 또는 중심축(CA) 또는 중앙 구멍(2115)의 중심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디바이스의 내부 또는 중심 부분을 향해 만곡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중심은 중앙 구멍(2115)에 의해 형성된 원의 중심이다(중앙 구멍(2115)이 원형인 경우).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은 전방-후방 방향(즉, 상단-하단 방향)으로 해당 원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중앙 구멍(2115)이 실질적으로 비원형인 경우, 디바이스의 중심은 전방-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A)을 따른 중앙 구멍(2115)의 대칭 중심이다.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심 또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향해 연장되도록 절첩되거나 만곡된 구성으로 편향된 고정 아암은, 아암의 앵커를 통한 축이 실제 중심과 교차하거나 디바이스의 중심축(CA)과 교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내향 편향된 고정 아암과 관련하여 "중심을 향해" 또는 "중심축을 향해"는,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멀어지게 일반적으로 외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와 달리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가 디바이스의 일부를 향해 일반적으로 내향 방향으로 뒤로 연장되도록 만곡부를 갖는 아암을 포함한다. 만곡된 고정 아암은 디바이스의 임의의 중심 부분을 향해 편향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실제 중심을 직접 가리킬 필요는 없다. 만곡된 고정 아암은 실제 중심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뒤로 연장되는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는 렌즈 지지 구조(2105) 및 3개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고정 아암(2120a, 2120b)은 굽힘부(B)가 아암의 시작점(2103)과 말단 단부(2102) 사이에 존재하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다. 제3 고정 아암(2120c)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고 단일 축(L)을 따라 렌즈 지지 구조(2105)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도록 그 시작점(2103)과 그 말단 단부(2102) 사이에 굽힘부(B)를 갖지 않는다. 각각의 고정 아암(2120a, 2120b)의 앵커(2125)는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뒤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a, 2120b)의 앵커(2125)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적어도 제1 부분 및/또는 중앙 개구(211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적어도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앵커(2125)가 아암의 시작점(2103)과 아암의 말단 단부(2102) 사이의 굽힘부(B)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방향을 예시하는 축이 각각의 아암(2120a, 2120b)의 앵커(2125)를 통해 작성될 수 있다. 아암의 축은 중심축(CA)과 교차할 수 있지만 교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아암은 앵커가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뒤로 돌출하는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될 수 있지만, 중심축(CA) 또는 디바이스의 실제 중심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할 필요는 없다.
고정 아암이 "절첩된" 또는 "굽힘된" 또는 "만곡된" 것으로 설명되거나 "절첩된" 또는 "굽힘된" 또는 "만곡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 축에 대한 고정 아암의 각도는 점진적이고 균일하게 변경될 수 있거나, 각도가 형성되도록 더 날카롭게 또는 급격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고정 아암이 제1 축을 따라 지지 구조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디바이스의 중심 부분을 향해 뒤로 지지 구조의 평면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되는 휴지 상태에서 또는 이식 전에 고정 아암의 내향 편향을 설명할 수 있다. 이식 시 디바이스의 지지 구조는 안구의 Z-평면(수직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구성된다. 절첩된 구성은 (예를 들어, 횡방향 평면 내에서) 지지 구조의 이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고정 아암이 만곡되어, 고정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의 전방에(예를 들어, 자체, 렌즈 지지 구조, 및/또는 중앙 개구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기하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고정 아암 부분들이 서로 겹쳐 있고 또한 서로 접촉하고 있음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아암의 부분들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그 거리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을 따른다. 또한, 절첩된 구성은 주름지거나 날카롭게 경사진 절첩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 절첩된 구성은 지지 구조에서 고정 아암의 시작점과 고정 아암의 말단 단부 사이에 곡률 반경이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은 또한 렌즈 지지 구조의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기보다는 렌즈 지지 구조의 평면 내에서 만곡되는 고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2120a, 2120b)의 앵커(2125)는 앵커(2125)가 렌즈 지지 구조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유지되도록 아암의 굽힘부(B)로부터 내향 돌출할 수 있다. 앵커(2125)가 아암의 시작점(2103)과 아암의 말단 단부(2102) 사이의 굽힘부(B)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방향을 예시하는 축이 각각의 굽힘된 아암(2120a, 2120b)의 앵커(2125)를 통해 작성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고정 아암(2120a, 2120b)은 디바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앵커(2125)를 갖는다. 아암(2120)의 축은 중심축(CA)과 교차할 수 있지만 교차할 필요는 없다.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아암(2120)의 일부는 지지 구조(2105)의 외부 영역(2111) 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2105)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되는 아암(2120)의 부분은 중앙 개구(2115)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그 위에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경방향 내향"은 동일한 평면 내를 의미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아암(2120)의 부분은 지지 구조의 평면과 상이한 평면 내에서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위치된다. 고정 아암(2120)의 부분(예를 들어, 앵커(2125) 및/또는 말단 단부(2102))은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외주에 대해 중앙인 직경에서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중앙 개구(2115)를 통해 전방-후방으로 연장되는 디바이스의 중심축(CA)에 대해 렌즈 지지 구조의 부분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일부가 렌즈 지지 구조의 일부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고정 아암(2120)의 일부는 또한 렌즈 지지 구조(2105)에 의해 획정된 중앙 개구(2115) 위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암(2120)의 일부가 디바이스(2100)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그 자체, 렌즈 지지 구조(2105), 및/또는 중앙 개구(2115))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아암(2120)의 일부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해당 부분과 공간이 중첩될 수 있고 망막에 대한 특정 방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는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공간의 중첩을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간 중첩이 망막에 대해 일반적으로 전방 방향에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부분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부분은 사용 동안 망막에 대해 그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된 아암(2120)은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 "위" 또는 "중첩"으로서만 언급될 수 있지만, 사용 동안 망막에 대해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 "아래" 또는 그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단순화를 위해, 각각의 대안은 본 개시내용 전체에 걸쳐 각각의 사례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아암은 부분이 일반적으로 중심축(CA)을 따라 디바이스 위로 아치형이 되도록 디바이스의 전방 대향 부분 위에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만곡될 수 있다. 아암은 부분이 일반적으로 중심축(CA)을 따라 디바이스 아래로 아치형이 되도록 디바이스의 후방 대향 부분 위에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만곡될 수 있다. 아암은 동일한 평면 내에 아암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도록 만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의 전방 대향 부분 위 또는 후방 대향 부분 위에도 없다.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확장된 동공을 통해 보이도록 고정 아암의 임의의 다양한 구성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메커니즘은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된 굽힘된 고정 아암(2120)이 직선형 구성을 취하도록 펴지는 것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아암은 기계적, 전자기적 및/또는 열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정 아암(2120)은 아암의 단일 축을 따라 기계적으로 펼쳐질 수 있다. 휴지 상태의 고정 아암(2120)은 굽힘부를 갖거나 만곡되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2120)은 아암(2120)이 단일 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다. 아암(2120)은 그 시작 부분(2103)과 그 말단 단부 부분(2102) 사이에서 렌즈 지지 구조로부터 외향으로 직교하여 단일 축을 따라 연장된다. 절첩된 구성에서 아암(2120)의 길이는 시작 부분(2103)과 말단 단부(2102) 사이에서 더 짧을 수 있어, 아암(2120)의 앵커(2125)는 펼쳐진 구성일 때보다 더 작은 직경 내에서 더 중앙에 위치된다. 일단 디바이스가 안구 내에 이식되면, 단 앵커(2125)의 외부화 전에, 아암(2120)은 아암이 외부화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외향으로 텔레스코핑될 수 있다. 텔레스코핑에 의한 기계적 펼침은 펼쳐질 때 더 긴 길이를 제공하거나 절첩될 때 더 짧은 길이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위로 활주되는 아암(2120)의 내포된 구성요소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텔레스코핑에 의한 기계적 펼침은 또한 동공을 통해 시각화하기 위해 더 짧은 길이 동안 자체적으로 절첩되고 외부화 중에 더 긴 길이 동안 자체적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 단일 탄성 구성요소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정 아암(2120)은 열적으로 펼쳐지거나 절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2120)은 실온에서 제1 형상(절첩되거나 직선형)일 수 있고 체온 또는 그 근방(35℃로 가열됨)에서 제2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화학적 수단(예를 들어, 수화 작용) 또는 기계적 수단(제한적 피처를 절단)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탄성 또는 비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2120)은 비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을 제공하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차원 형상은 C자형, Z자형, S자형, 또는 다른 3차원 형상을 비롯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공막 조직에 과도한 힘을 부여하지 않으면서 IOL(110)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최적의 설계는 다양한 크기의 안구에서 그리고 다양한 위치의 절개부로 두 파라미터를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작동 가능한 장력과 안정성을 가질 것이다. 고정 아암 설계를 수정하는 한 가지 수단은 스프링과 같은 구조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들은 J-루프, C-루프, 폐루프, 켈만 햅틱(Kellman Haptic), 플레이트 햅틱 또는 IOL에 공통적인 기타 햅틱 설계와 같은 전통적인 압축 기반 햅틱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2100)는 단순한 선형 탄성 코드와 같은 장력 기반 햅틱을 통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력 설계는 고정 아암(2120)의 인장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V자형, Z자형 또는 S자형 피처로 수정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공막을 통해 한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게 하는 텍스처 또는 피처를 가질 수 있지만, 고정 아암(2120)이 미끄러질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저항이 있다. 텍스처 또는 피처는 재료 자체에 의해 제공되거나 고정 아암(2120)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2120)은 미늘이 있고 외부 구조에 통합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늘형 내부 구조는 일반적으로 미늘과 관련된 날카로운 에지를 숨기면서 미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성 엘라스토머 구조에 매립된 강성 플라스틱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메모리를 갖고 가단성이 아닌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가요성 재료는 폴리우레탄, 소수성 아크릴, 친수성 아크릴, 나일론, 폴리이미드, PVDF, 천연 폴리이소프렌, 시스-1,4-폴리이소프렌 천연 고무(NR),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 구타페르카, 합성 폴리이소프렌(이소프렌 고무용 IR), 폴리부타디엔(부타디엔 고무용 BR) 클로로프렌 고무(CR),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베이프렌 등, 부틸 고무(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IIR), 할로겐화 부틸 고무(클로로 부틸 고무: CIIR, 브로모 부틸 고무: BII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SBR), 부나 N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HNBR) 테르반 및 제트폴이라고도 명명되는 니트릴 고무(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NBR), EPM(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EPDM 고무(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엔 성분의 삼원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ECO), 폴리아크릴 고무(ACM, ABR), 실리콘 고무(SI, Q, VMQ), 플루오르실리콘 고무(FVMQ), 플루오르엘라스토머(FKM 및 FEPM) 비톤, 테크노플론(Tecnoflon), 플루오렐(Fluorel), 아플라스(Aflas) 및 Dai-El, 퍼를루오로엘라스토머(FFKM) 테크노플론 PFR, 칼레즈(Kalrez), 켐라즈(Chemraz), 퍼플러(Perlast),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CSM), (히팔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레실린 및 엘라스틴, 폴리설파이드 고무, 및 엘라스토핀을 비롯하여 다양한 엘라스토머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아암(2120)은 형성된 형상으로부터 굴곡될 수 있지만, 형성된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기억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가요성 고정 아암(2120)은 그 절첩된 구성으로부터 굴곡되거나 펼쳐질 수 있지만, 어떤 종류의 앵커링 고정 없이 유지되는 상이한 형상으로 압박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가요성 고정 아암(2120) 중 하나 이상은 굽힘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은 지지 구조(2105)와의 그 시작점(2103)으로부터 앵커(2125) 근방의 말단 단부(2102)까지 180도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2120)은 디바이스가 휴지 상태에 있고 아암(2120)이 절첩된 구성을 향해 편향되도록 아암(2120)에 힘이 인가되지 않을 때 이러한 굽힘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편향되지 않은 상태의 아암(2120)이 굽힘된다. 굽힘된 고정 아암(2120)은, 전체 아암(2120)이 연장되어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직선형으로 위치되도록 직선 형상 또는 펼쳐진 구성을 취하기 위해 이 굽힘된 형상으로부터 굴곡될 수 있다. 직선 형태로 굴곡될 때, 아암(2120)은 굽힘된 형상 또는 절첩된 구성으로 되돌아가도록 편향된다. 고정 아암(2120)에 인가되는 굴곡력이 해제되면, 아암(2120)은 휴지 굽힘된 형상으로 복귀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 시, 고정 아암(2120)은 경공막 고정되고 앵커(2125)는 공막 외부에 위치된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에 위치된다. 아암(2120)은 직선 형상을 유지하도록 인장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고정 아암(2120)은 고정 아암(2120)이 굽힘되거나 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가단성인 재료로 형성되거나 그 재료를 통합할 수 있다. 가단성 고정 아암(2120)은 금, 은, 백금, 스테인리스강, 니티놀, 니켈, 티타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PVDF, 폴리이미드, 아세탈 및 PEEK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등급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재료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식 절차 동안 디바이스(2100)로부터 절단 및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은 약 1000 MPa 미만, 또는 약 500 MPa 미만, 또는 약 250 MPa 미만, 또는 약 100 MPa 미만, 또는 약 50 MPa 미만, 또는 약 25 MPa 미만인 영률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은 약 20 MPa 미만,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약 1.0 MPa의 영률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은 지지 구조(2105)를 고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 힘 또는 미늘 또는 기타 고정 햅틱이 제공할 수 있는 보다 강성의 침투력을 갖기 보다는 지지 구조(2105)를 고정하도록 장력 상태로 설계되기 때문에 매우 연성이고 매우 적은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정 아암(2120)은 각각 약 2 mm 내지 약 6 mm인 시작점(2103)과 말단 단부(2102)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아암(2120) 각각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공막을 통해 연장되는 고정 아암(2120)의 길이는 아암(2120)이 연장되는 상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소화되는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앵커(2125)가 위치되는 말단 단부(2120) 근방의 고정 아암의 경공막 부분의 최대 폭은 약 2.0 mm 이하, 약 1.5 mm 이하, 약 1.0 mm 이하, 0.75 mm 이하, 0.50 mm 이하일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e는 내향 편향을 갖는 2개의 고정 아암(2120a, 2120b) 및 내향 편향을 갖지 않고 직선형인 제3 고정 아암(2120c)을 갖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추가로, 제3 고정 아암(2120c)은 다른 고정 아암(2120a, 2120b)보다 덜 가요성으로 만드는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고정 아암(2120c)은 다른 2개의 고정 아암(2120a, 2120b)보다 더 넓고 더 높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는 시작점(2103)과 말단 단부(2102) 사이의 영역을 통합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 및 도 17은 더 넓은 고정 아암(2120)의 영역을 도시한다. 도 16b는 말단 단부(2102) 근방의 아암(2120)의 폭(W1)이 아암(2120)의 말단 단부(2102)로부터 떨어진 아암(2120)의 폭(W2)보다 더 작을 수 있음을 예시한다. 말단 단부(2102)로부터 떨어진 아암(2120)의 폭(W2)은 어느 정도의 벌크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말단 단부(2102) 근방의 폭(W1)은 아암(2120)의 경공막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아암(2120a, 2120b, 2120c)은 수술 절차 동안 한 번에 하나씩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단 고정 아암(2120c)은 직선형 구성일 수 있고 후단 고정 아암(2120a, 2120b)은 만곡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중량은 디바이스(2100)가 망막을 향해 후방으로 틸트되도록 제1 이식된 또는 선단 고정 아암(2120c)이 외부화 후에 굽힘되게 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외과의는 더 후방 위치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망막 근방의 도구 조작으로 인해 수술 중 조직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선단 고정 아암(2120c)은 후방 드리프트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및/또는 기하학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선단 고정 아암(2120c)은 이러한 변형에 저항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재료는 선단 고정 아암(2120c)의 앵커(2125)의 외부화 후에 디바이스를 캔틸레버식으로 만들 수 있는 임의의 임플란트 등급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적절한 재료는 PMMA, 강성 실리콘, 나일론, 친수성 및 소수성 아크릴, PEEK, 폴리이미드,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니티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체 선단 고정 아암(2120c) 또는 선단 고정 아암(2120c)의 단지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더 강성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선단 고정 아암(2120c)은 더 강성의 재료가 매립된 더 연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선단 고정 아암(2120c)은 지지 구조(2105)에서의 그 시작점(2103)과 앵커(2125)에 결합되는 그 말단 단부(2102) 사이에 기계적 보강 영역(1205)을 포함할 수 있다(도 17 참조). 영역(1205)은 고정 아암(2120c)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플라스틱의 강성 섹션을 더 연성의 재료에 매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7은 지지 구조와의 그 시작점(2103) 근방의 아암의 두께(화살표 O)와 비교하여 기계적 보강 영역(1205)에서의 증가된 두께(화살표 T)를 도시한다. 영역(1205)은 지지부(2105)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예를 들어 앵커(2125)에 가깝거나 인접하게 이격될 수 있다. 영역(1205)은, 고정 아암(2120)의 앵커(2125)를 외부화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디바이스(2100)가 후방으로 드리프트할 가능성을 특히 감소시키도록 설계된 증가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암(2120)은 후방 방향으로의 편향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테이퍼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테이퍼진 기하형상은 발판 앵커(2125) 근방에서 가장 얇을 수 있고 중앙에서 두꺼워질 수 있다. 고정의 후방 표면은 안구에 대해 전방으로 디바이스를 편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의 후방 표면과 상처의 접촉 각도는 고정 아암(2120)의 후방 편향의 실질적인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디바이스(2100)를 편향시킬 수 있다. 추가 벌크는 디바이스의 편향과 망막에 대한 근접도를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원형 중앙 구멍(2115) 및 비원형 외주(2111)를 갖는 디바이스(2100)의 또 다른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의 비원형 외주(2111)는 2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긴 측면(2108)과 2개의 실질적으로 둥근 짧은 측면 또는 로브(2107)를 갖는 둥근 직사각형 형상이다. 차양(2110)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2104)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직사각형의 장축을 따라 대체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고 IOL(110) 햅틱(114)의 스팬을 수용하도록 이격된다. 예를 들어, 차양(2110)은 둥근 직사각형의 짧은 측면에 있는(즉, 로브(2107)의 위치에서)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전방 대향 표면 위로 돌출되어 긴 측면(2108)을 따라 리세스(2104) 내에 그 사이의 IOL(110)의 스팬을 수용할 수 있다(도 12c 참조).
3개의 고정 아암(2120)이 렌즈 지지 구조(2105)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아암(2120a, 2120b)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다. 하나의 고정 아암(2120c)은, 앵커(2125)에 결합된 그 말단 단부(2102)가 구멍(2115)의 중심축(CA)으로부터 멀어지게 외향 돌출하도록 렌즈 지지 구조(2105)에 대해 직교하여 단일 축을 따라 연장되는 선단 고정 아암일 수 있다. 선단 고정 아암(2120c)은 로브(2107)의 위치에서 렌즈 지지 구조(2105)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고정 아암(2120a, 2120b)은 선단 고정 아암의 로브(2107)로부터 떨어져, 예를 들어 대향 측면(2108)에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반대쪽 로브(2107)는 아암(2120a, 2120b) 사이에서 외향 돌출된다(도 12a 및 도 12b 참조).
도 15는 차양(2110)을 갖는 디바이스(2100)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2100)는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2100)의 중심화를 돕기 위해 복수의 범퍼(2114)를 추가로 통합한다. 디바이스(2100)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4개의 범퍼(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2114)는 실질적으로 링 형상이거나 C자형을 갖는 불완전한 링일 수 있다. 링 형상 범퍼(2114)는 렌즈 지지 구조(2105)에 모두 결합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C자형 범퍼(2114)는 렌즈 지지 구조(2105)에 결합된 일단부 및 렌즈 지지 구조(2105)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형상이나 구성에 무관하게, 범퍼(2114)는 디바이스(2100)를 인접한 안구 조직으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범퍼(2114)는 섬모 구조와 접촉할 때 약간 변형될 수 있다. 변형은 일시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범퍼가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여 디바이스(2100)를 안구 내의 중앙식 위치를 향해 다시 압박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구현예와 같이, 디바이스(2100)는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 아암(2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범퍼(2114)는 일단 디바이스(2100)가 이식되면 섬모 구조와 접촉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한다. 범퍼(2114)는 고정 아암(2120)의 외부화 동안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범퍼(2114)는 렌즈 지지 구조(2105)의 외주(2111)로부터 충분히 멀어지게 돌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범퍼(2114)는 섬모체(15)에 대해 및/또는 섬모 고랑(25) 내에서 맞접하여 Z-평면 내에서의 변위를 방지하고 고정 동안 안구의 시각 축에 대한 중앙 구멍(2115)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한다.
IOL이 광학적 정렬로 유지되도록 안구에 이식되고 별개의 IOL을 지지, 안정화 또는 달리 맞물리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현예가 본 명세서에 예시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임의의 합리적인 조합으로 다양한 피처 중 임의의 것을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f, 도 2a 및 도 2b, 도 3, 도 4a 및 도 4b의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범퍼(2114)를 통합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 및/또는 후방 안정화 피처(2138)를 통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디바이스가 후방 안정화 피처(2138)를 갖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경우, 이들 디바이스는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 및/또는 범퍼(2114)를 통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 및 또한 도 8a 내지 도 8f 및 도 9a 및 도 9b의 디바이스는 범퍼(2114) 및 후방 안정화 피처(2138) 모두를 갖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이들 디바이스는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 아암(2120)을 통합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도 11a 내지 도 11f,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e,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디바이스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피처의 임의의 조합은 다양한 기능적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임의의 개수의 조합으로 디바이스와 조합될 수 있다.
도 18a는 후방 플랫폼(2105) 및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섀시를 형성하는 차양(2110)을 도시하는 디바이스(2100)의 상호 관련된 구현예를 도시한다. 섀시는 선단 단부(2101)와 테이퍼진 후단 단부(2106)를 갖는다. 후단 고정 아암(2120a, 2120b) 사이의 섀시의 후단 단부(2106)는 선단 고정 아암(2120c) 근방의 섀시의 선단 단부(2101)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섀시의 후단 단부(2106)는 섀시의 선단 단부(2101)의 폭보다 적어도 약 0.2 mm, 약 0.3 mm, 약 0.4 mm, 약 0.5 mm, 약 1.0 mm, 약 1.5 mm, 약 2.0 mm 더 좁을 수 있다.
도 18b 내지 도 18c는 후방 안정화 피처(2138)를 추가로 통합하는 복수의 고정 아암(2120)(그 중 하나 이상은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음)을 통합하는 도 18a의 디바이스(2100)의 상면도 및 사시도를 각각 예시한다. 도 18d는 복수의 고정 아암(2120)(그 중 하나 이상이 절첩된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음) 및 복수의 범퍼(2114)를 추가로 통합하는 후방 안정화 피처(2138)를 통합하는 도 18b 및 도 18c의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일단 안구에 고정되면 고정 아암(2120)은 디바이스에 대해 위치된 IOL의 옵틱을 손상시킬 수 있는 힘을 디바이스에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플랫폼(2105), 차양(2110), 측벽(2112), 또는 디바이스(2100)의 다른 부분, 특히 IOL용 하우징을 형성하는 부분은 고정 아암(2120)의 장력에 따라 왜곡될 수 있다. 디바이스 왜곡은 IOL로 전달되어 옵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고정 아암(2120)의 장력으로 인한 것이든 또는 안구에 의해 디바이스(2100)에 인가된 힘으로 인한 것이든 디바이스에 인가되는 힘으로 인한 왜곡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도 20a 내지 도 20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후프 강도를 증가시키고 왜곡에 저항하기 위해 보강 재료(들)를 통합할 수 있으며, 이는 보강되는 디바이스 영역의 재료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하나 이상의 영역의 재료 두께는 추가 보강 재료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증가된 후프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증가될 수도 있다. 도 18e 내지 도 18h는 복수의 고정 아암(2120)을 통합하는 디바이스(2100)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후방 플랫폼(2105) 및 측벽(2112)은 디바이스의 이들 영역의 재료 두께 증가로 인해 보강된다. 도 18f는 후방 플랫폼(2105)의 증가된 단면 두께(예를 들어, 약 0.50 mm) 및 측벽(2112)의 증가된 두께(예를 들어, 약 0.35 mm 내지 최대 약 0.60 mm 또는 최대 약 1.5 mm)를 도시하는 화살표 F-F를 따라 취한 도 18e의 디바이스(2100)의 단면도이다. 증가된 재료 두께에 의해 제공되는 렌즈 지지 구조의 증가된 강성은 이식 후 IOL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증가된 재료 두께는 후방 플랫폼(2105)을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2115)의 후프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2100)에 IOL을 이식할 때 IOL이 우발적으로 구멍(2115)을 통과할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중앙 구멍(2115)의 직경(Da)은 또한 후방 플랫폼(2105)의 후프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구멍(2115)은 IOL의 옵틱을 간섭하지 않도록 약 5.0 mm 미만 내지 약 4.0 mm, 바람직하게는 약 4.75 mm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멍 크기 단독으로 또는 후방 플랫폼 두께 및/또는 측벽 두께와 조합하여 인장된 고정 아암에 의해 달리 유발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왜곡에 저항할 수 있다. 구멍 직경은 또한 크기 뿐만 아니라 구멍(2115)의 증가된 후프 강도로 인해 이식 시 IOL이 구멍(2115)을 우발적으로 통과할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더 작은 구멍 직경은 더 큰 구멍 직경에 비교하여 후프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 강성인 IOL 하우징은 장력 및/또는 압축 하에 위치될 때 구멍(2115)의 왜곡을 제한한다. IOL 하우징의 증가된 강성은 또한 안구에 고정한 후 IOL을 더 쉽게 삽입하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더 두꺼운 측벽(2112)은 IOL이 내부에서 조작될 수 있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리세스(2104) 내에서 IOL 조작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른 외부 길이는 더 두꺼운 측벽(2112)을 수용하고 IOL 삽입 및 조작을 위해 동일한 축을 따라 리세스의 내부 길이를 제공하도록 증가될 수 있다(도 18g 참조).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른 후방 플랫폼(2105)은 약 9.2 mm의 외부 길이(Le) 및 측벽의 두께가 약 0.7 mm가 되도록 약 8.5 mm인 동일한 축을 따른 내부 길이(Li)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100)에 추가 보강을 제공하기 위해, 측벽 단면 두께는 약 1.2 mm로 증가될 수 있다. 장축을 따른 플랫폼은 약 11 mm로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축을 따른 내부 길이(Li)는 약 9.8 mm가 된다. 증가된 공동 길이는 증가된 측벽 두께와 조합되어 증가된 디바이스의 외부 길이(Le)를 제공하는, IOL이 조작될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더 긴 디바이스는 평면부, 따라서 섬모체 정점 후방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섬모체 정점의 평면에 있는 디바이스가 너무 넓더라도, 더 큰 IOL 하우징을 이식할 수 있는 공간이 여전히 있을 수 있다(도 18h 참조). 단축 폭은 더 두꺼운 측벽(2112)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도 18f 참조). 디바이스의 단축을 따른 후방 플랫폼(2105)은 약 6.60 mm의 외부 폭(We) 및 측벽(2112)의 두께가 약 0.7 mm가 되도록 약 6.60 mm인 동일한 축을 따른 내부 폭(Wi)을 가질 수 있다. 측벽(2112) 단면 두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2 mm로 증가될 수 있다. 단축을 따른 플랫폼(2105)은 약 7.4 mm로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축을 따른 내부 폭(Wi)은 약 6.2 mm가 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안구 내에서 IOL을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안구에서 중심화 또는 고정을 위해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수술 시간 동안 또는 이전 수술의 후기 합병증으로서 의인성으로 손상된 렌즈 지지로 인해 수정체 낭 지지가 부족한 경우에도 디바이스를 안구에 고정하고 센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수정체 낭 지지가 있든 없든, 이식하는 동안 디바이스를 시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만곡된 또는 편향된 고정 아암(2120)은 아암(2120)이 더 쉽게 파지될 수 있도록 동공을 통해 디바이스의 직접적인 시각화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는 안구 내에서 디바이스의 외부화 및 고정 동안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고정 아암(2120)이 없더라도 동공을 통해 직접 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2100)의 전방 기하형상은 동공을 통한 전방 시각화를 개선하도록 수정된다. 예를 들어, 전방 차양(2110)은 다른 부분보다 내향 또는 더 중앙으로(예를 들어, 중앙 구멍(2115)을 통해 연장되는 중심축을 향해) 돌출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양(2110)의 중앙 돌출 부분은 홍채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고 확장된 동공을 통해 전방으로 가시적이다. 차양(2110)의 기하형상은 IOL의 옵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이식되는 IOL에 대해 가시적일 수 있다. 이는 IOL이 디바이스(2100)의 리세스(2104) 내에 적절하게 고정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술 후 렌즈 탈구는 IOL 햅틱이 디바이스(2100) 전방인 위치에 남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렌즈 위치의 불확실성은 외과의가 디바이스 및/또는 조직을 조작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렌즈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수술 시간과 조직 외상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공을 통한 디바이스(2100)의 직접적인 시각화는, 특히 수술 중 동공 직경이 수술 동안 감소하는 경우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킨다.
도 18e 및 또한 도 18i 내지 도 18j는 중앙 돌출 시각화 피처(2117)를 갖는 전방 차양(2110)의 예를 예시한다. 시각화 피처(들)(2117)는 이식 후 IOL의 옵틱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디바이스(2100)의 직접적인 시각화를 허용하기 위해 중앙으로 돌출할 수 있다. 시각화 피처(2117)는 중앙 구멍(2115)의 중심축을 향해 충분히, 예를 들어 중심축으로부터 적어도 약 2.5 mm 내지 약 3 mm 떨어져서 돌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식 절차 동안 피처(2117)가 동공을 통해 보일 수 있다. 중앙 돌출 시각화 피처(2117)는 전방 개구(2127)의 내부 치수,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른 전방 개구(2127)의 거리(Dl)를 좁힐 수 있는 반면(도 18h 및 도 18h 참조), 전방 개구(2127)의 전체 치수는 내부 리세스(2104)에 접근하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된다. 대향하는 차양의 시각화 피처(2117)에 의해 형성된 전방 개구(2127)의 최중앙 에지 사이의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른 거리(Dl)는 적어도 약 7.0 mm 내지 약 5.0 mm, 바람직하게는 약 6.0 mm일 수 있다. 이 거리(Dl)는 중앙 구멍(2115)의 직경(Da)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중앙 구멍(2115)의 직경(Da)은 약 4.75 mm일 수 있고 시각화 피처(2117) 사이의 거리(Dl)는 약 5.00 mm, 약 5.25 mm, 약 5.50 mm, 약 5.75 mm, 약 6.00 mm, 최대 약 7.00 mm일 수 있다. 따라서, 차양(2110)이 하나 이상의 시각화 피처(2117)를 통합하는 경우에도, 피처(2117)에 의해 정의되는 전방 개구(2127)의 치수는 중앙 구멍(2115)의 직경(Da)보다 클 수 있다.
도 18e에 도시된 피처(2117)는 선단 고정 아암(2120c)으로부터 중앙으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이 아암 근방의 차양(2110)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짧은 측면(2107)이 긴 측면(2108)과 조우하는 디바이스(2100)의 코너 근방의 차양(2110)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보다 크다. 따라서, 한 쌍의 피처(2117)는 디바이스의 짧은 측면(2107)에 위치될 수 있고 장축을 따라 돌출할 수 있다. 시각화 피처(2117)는 대안적으로 디바이스의 긴 측면(2108)에 위치되고 단축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즉, 도면에 도시된 것에 대해 90도 회전됨). 시각화 피처(2117)는, 디바이스가 안구에 위치될 때 홍채 프린지 후방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충분히 내향 연장되는 한 디바이스의 전방 영역의 주연부 둘레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별개의 시각화 피처(2117)는 플랫폼(2105) 전방 리세스(2104) 내의 전방 개구(2127)를 통해 IOL을 위치시키는 사용자의 능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전방 시각화를 제공하는 전체 원주 둘레에서 전방 개구(2127)를 좁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또한 디바이스(2100)에 대해 IOL(110)을 위치하기 위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시각적 마커를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커는 후방 플랫폼(2105), 디바이스의 전방 대향 표면, 차양(2110), 측벽(2112), 또는 디바이스(2100)의 다른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마커는 디바이스(2100)에 대한 원환체 렌즈의 정렬 및 이식을 도울 수 있다. 마커는 디바이스 및/또는 디바이스(2100)에 대한 IOL(110)의 위치의 수술 중 평가를 허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2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UBM과 같은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동안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실리콘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각화 마커는 마커가 가시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위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커는 IOL(110)의 이식 전에 디바이스의 정확한 평면이 달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커는 적절한 배향을 달성하기 위해 IOL(110)의 상대 위치를 조작자에게 알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마커는 디바이스(2100)에 대해 원환체 IOL(110)을 정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겸자 또는 다른 일반적인 안과용 기구를 사용하여 각막 또는 공막 절개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안내 렌즈 주입기와 유사한 주입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삽입될 수 있다. 주입기는 외과의에게 디바이스의 부분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디바이스가 펴지게 한다. 대안적으로, 주입기는 수술 오류의 위험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전체 디바이스를 전방 또는 후방 챔버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기는 디바이스가 "우측이 위로" 삽입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주입기는 이식 중 홍채, 내피, 피막, 또는 소대 손상의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IOL(110)은 안구 내에 이식하기 전에 또는 안구 내에 이식한 후에 디바이스(2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IOL(110)은 디바이스(2100)로부터 제거되고 수술 후에 교체될 수 있다.
IOL(110)은 디바이스(2100)에 대해 위치되어 적절한 배향 및 옵틱을 위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210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IOL(110)은 디바이스(2100)로부터 회수 가능하다. 이는 IOL(110)이 디바이스(2100)의 다른 후속 이식을 위해 제거되고 교환될 수 있게 한다. 일부 환자는 적절한 시력에 대해 잘못된 도수를 갖는 것으로 판명된 IOL(110)을 이식 절차 중에 받을 수 있다. 다른 환자는 다초점 렌즈 IOL(110)을 받고 시각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을 나중에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환자의 굴절은 시간 경과에 따라 계속 드리프트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시나리오에서, 환자는 새로운 IOL을 원할 수 있다. 표준적인 경우, 렌즈 둘레에서 낭 섬유화를 경험하는 많은 IOL이 수정체 낭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IOL 교환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디바이스(2100)는 이미 이식된 IOL(110)의 쉽고 복잡하지 않은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제조를 위한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이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다른 적절한 재료가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디바이스는 측벽, 후방 플랫폼, 범퍼 또는 안정화 피처, 및/또는 테더에 필요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임플란트 등급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디바이스에 채용될 수 있는 재료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플루오로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 폴리올레핀, 나일론, PVDF, PMMA, 폴리이미드, 니티놀, 티타늄, 스테인리스강, 또는 기타 임플란트 등급 재료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는 기하학적으로 함께 정합되거나, 화학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용접되거나, 오버몰딩되거나, 캡슐화되거나, 여러 재료를 조합하기 위해 기타 수단을 이용하는 재료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주어진 디바이스 요소는 여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PVDF, 폴리이미드, PMMA, 폴리우레탄,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 또는 고경도 실리콘과 같은 안과용 용례에 공통적인 비탄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이식 동안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탄성 재료를 통합하거나 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PVDF, 폴리이미드, PMMA, 폴리우레탄,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 또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연성 엘라스토머 재료가 매립되거나 코팅된 고경도 실리콘과 같은 반강성 또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재료는 기계적 보강 및/또는 시각화 증가를 위해 PEG, HEMA, NVP, 콜라겐 또는 기타 친수성 생체적합성 코팅,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고어텍스, PVDF, 테플론, 니티놀, 스테인리스강, 은, 금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다양한 적절한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이음매가 없고 중단되지 않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사출 또는 압축 몰딩에 의해 모놀리식 또는 일체형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재료의 다양한 조합 중 임의의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특정 구현예는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실행되거나 다른 공지된 방법 및 구성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 설명에서, 구현예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 치수 및 프로세스와 같은 수많은 특정 세부 사항이 기재된다. 다른 경우에, 널리 알려진 프로세스 및 제조 기술은 설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특별히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실시예", "일 구현예", "구현예" 등에 대한 언급은 설명된 특정 피처, 구조, 구성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일 구현예, "구현예" 등의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구현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정 피처, 구조, 구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임의의 다양한 피처를 통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하나의 구현예의 요소 또는 피처는 대안적으로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다른 구현예의 요소 또는 피처와 조합하여 통합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다양한 조합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더라도 이들 각각의 조합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안구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이식될 필요는 없다. 다양한 디바이스는 다양한 여러 방법에 따라 그리고 다양한 여러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식, 위치 및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는 이식 전, 이식 중 및 이식 후 언제든지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가 어떻게 이식되고 위치될 수 있는 지에 대한 몇 가지 대표적인 설명이 제공되지만, 간결함을 위해 각각의 이식 또는 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방법의 명시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설명 전반에 걸쳐 상대적인 용어의 사용은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 또는 배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위"는 기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근위"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상부", "하부", "상단", "하단", "전면", "측면" 및 "후면" 뿐만 아니라 "전방", "후방", "미부", "머리쪽" 등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상대적인 기준 프레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중 임의의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배향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단어 "약"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특정 값과 합리적으로 유사하다고 고려할 특정 값을 포함하는 값의 범위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약은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한 측정값을 사용하여 표준 편차 이내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약은 특정된 값의 +/-10%까지 확장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약은 특정된 값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청구되는 범위 또는 청구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오히려 특정 실시예에 특정한 피처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피처는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역으로, 단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피처는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다수의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피처가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고 심지어 초기에 그렇게 청구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피처가 일부 경우에 조합에서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유사하게, 작업이 도면에 특정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작업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예시된 모든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몇 가지 예와 구현예만이 개시된다. 설명된 예 및 구현예와 다른 구현예에 대한 변형, 수정 및 개선이 개시된 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의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문구는 요소 또는 피처의 연결 목록 다음에 나타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요소 또는 피처의 목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사용되는 문맥에 의해 달리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문구는 나열된 요소 또는 피처의 임의의 것을 개별적으로 의미하도록 또는 기재된 요소 또는 피처의 임의의 것을 다른 기재된 요소 또는 피처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A와 B 중 적어도 하나", "A와 B 중 하나 이상" 및 "A 및/또는 B"라는 문구는 각각 "A 단독, B 단독, 또는 A 및 B 함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3개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에 대해서도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및/또는 C"라는 문구는 각각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함께, A 및 C 함께, B 및 C 함께, 또는 A 및 B 및 C 함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위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에 기초하여"라는 용어의 사용은 기재되지 않은 피처 또는 요소가 또한 허용될 수 있도록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P 실시예들
P 실시예 1. 수정체 낭의 전안부를 갖는 안구에서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중앙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내부 벽을 포함하는 후방 플랫폼으로서, 디바이스가 안구의 후방 챔버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후방 플랫폼; 및 차양과 후방 플랫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을 포함하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경공막 고정 없이 후방 챔버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 P 실시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안내 렌즈의 주연부 또는 안내 렌즈의 하나 이상의 햅틱과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3. P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4. P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의 외부 표면은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이식할 때 안내 렌즈로부터 홍채를 보호하기 위해 매끄러운 기하형상을 갖는, 디바이스.
P 실시예 5. P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의 내부 표면은 디바이스 상에 안내 렌즈를 위치시킬 때 안내 렌즈의 햅틱에 반대 압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6. P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며, 안내 렌즈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P 실시예 7. P 실시예 6에 있어서, 안내 렌즈는 원피스 안내 렌즈 또는 멀티피스 안내 렌즈인, 시스템.
P 실시예 8. P 실시예 6 또는 7에 있어서, 원피스 안내 렌즈는 단초점, 원환체, 다초점, 확장된 초점 심도, 및 수용 안내 렌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시스템.
P 실시예 9. P 실시예 1 내지 8의 디바이스를 이식하는 방법이며, 디바이스를 안구의 후방 챔버에 삽입하는 단계; 및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아래에 위치되도록 후방 플랫폼에 대해 원피스 안내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 실시예 10. P 실시예 9에 있어서, 안내 렌즈의 햅틱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아래에 위치되는, 방법.
P 실시예 11. P 실시예 9 또는 10에 있어서, 안구의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를 공막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 실시예 12. P 실시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대체로 링 형상인, 디바이스.
P 실시예 13. P 실시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14. P 실시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중심화를 위해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관통 접촉을 제공하는 후방 플랫폼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범퍼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15. P 실시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실질적으로 비원형인 외주 및 실질적으로 원형인 내주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16. P 실시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주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한 쌍의 긴 측면과 한 쌍의 짧은 측면을 갖는, 디바이스.
P 실시예 17. P 실시예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범퍼는 4개의 범퍼를 포함하고, 4개의 범퍼 각각은 긴 측면이 짧은 측면과 조우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18. P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안정화 피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19. P 실시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후방 안정화 피처는 후방 플랫폼의 후방 대향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0. P 실시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중심화를 위해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관통 접촉을 제공하는 후방 플랫폼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복수의 범퍼를 포함하고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안정화 피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1. P 실시예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정체 낭의 전안부는 안구의 Z-축을 따라 디바이스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2. 안구에서 인공 안내 렌즈(IOL)를 지지하기 위한 방법이며,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을 갖는 후방 플랫폼; 후방 플랫폼을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 - 렌즈 지지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중앙 구멍;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양 -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고, 차양은 차양의 내부 표면과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함 -; 및 디바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범퍼를 포함하고, 범퍼는 안구에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기 위해 후방 챔버 내에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갖는, 단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지 않고 후방 플랫폼의 후방 대향 표면이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안부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안구에서 홍채 후방에 배치하는 단계; 안구의 동공 후방에 중앙 구멍을 위치시키기 위해 범퍼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IOL의 광학 부분을 중앙 구멍 위에 그리고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목형 부분 내에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 실시예 23.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IOL)를 이식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 및 렌즈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본체 부분으로서, 상기 렌즈 지지 구조는 상기 중앙 개구의 주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렌즈 지지 표면, 및 상기 렌즈 지지 표면 전방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상기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본체 부분; 상기 본체 부분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상기 안구의 후방 챔버 내에 상기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및 상기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정화 피처를 포함하는, 단계; 삽입 후, 상기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상기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상기 안구에 그리고 상기 안구의 홍채 후방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중앙 개구를 상기 안구의 동공 후방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구조 각각의 상기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후방 챔버의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수정체 낭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의 고정을 돕기 위해 상기 수정체 낭의 상기 전방 벽에 있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안정화 피처 각각을 삽입하는 단계; IOL을 상기 안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IOL의 광학 부분을 상기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형 렌즈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 지지 구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상기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 실시예 24. 수정체 낭의 전안부를 갖는 안구에서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중앙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하는 내부 벽을 포함하는 후방 플랫폼으로서, 디바이스가 안구의 후방 챔버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옵틱 및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후방 플랫폼; 및 차양과 후방 플랫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을 포함하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경공막 고정 없이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5. P 실시예 24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중앙 구멍 주변에 하나 이상의 절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6. P 실시예 24 또는 25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안내 렌즈의 중앙 옵틱을 지지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며 하나 이상의 절결부는 안내 렌즈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이식될 때 안내 렌즈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7. P 실시예 24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8. P 실시예 24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29. P 실시예 24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디바이스.
P 실시예 30.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IOL)를 이식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 부분으로서,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가 상기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상기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고, 상기 본체 부분은 상기 중앙 개구의 주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렌즈 지지 표면, 및 상기 렌즈 지지 표면 전방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본체 부분; 및 상기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피처를 포함하는, 단계; 삽입 후, 상기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상기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상기 안구에 그리고 상기 안구의 홍채 후방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수정체 낭에 대해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고정하고 상기 안구의 동공 후방에 상기 중앙 개구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수정체 낭의 상기 전방 벽에 있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피처를 삽입하는 단계; IOL을 상기 안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IOL의 광학 부분을 상기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상기 렌즈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상기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 실시예 31. P 실시예 30에 있어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 부분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상기 안구 내에 상기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포함하며, 방법은 시각 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안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돕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의 상기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안구의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Claims (36)

  1. 수정체 낭의 전안부, 홍채, 및 공막을 갖는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이식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전방 대향 표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앙 구멍을 획정하는 내부 벽을 포함하는 후방 플랫폼으로서,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안내 렌즈와 후방 플랫폼의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후방 플랫폼; 및
    후방 플랫폼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을 포함하고,
    디바이스는 이식 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홍채 후방의 안구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전방 개구를 획정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전방 개구의 치수를 좁히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차양으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시각화 피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 시, 시각화 피처는 안구의 동공을 통해 직접 시각화되는,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는 세장형 형상을 갖고, 좁아지는 전방 개구의 치수는 디바이스의 장축을 따라 전방 개구의 최중앙 에지 사이의 거리인,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거리는 적어도 약 5.0 mm 내지 최대 약 7.0 mm인,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거리는 중앙 구멍의 직경보다 큰,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 동안,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의 외부 표면은 디바이스의 이식 시 안내 렌즈로부터 홍채를 보호하기 위해 매끄러운 기하형상을 갖는,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의 내부 표면은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안내 렌즈를 위치시킬 때 안내 렌즈의 햅틱에 반대 압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후방 플랫폼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방 안정화 피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후방 안정화 피처는 후방 플랫폼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디바이스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포함하고,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안구 내에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포함하며,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은 시각 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돕기 위해 안구의 섬모 조직과의 비관통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실질적으로 비원형인 외주 및 실질적으로 원형인 내주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외주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한 쌍의 긴 측면과 한 쌍의 짧은 측면을 갖는,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는 4개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포함하고, 4개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긴 측면이 짧은 측면과 조우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디바이스.
  18. 제14항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평면 내에 놓이고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은 후방 플랫폼의 평면 내에 놓이는, 디바이스.
  19. 제14항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평면 내에 놓이고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은 플랫폼의 평면 전방에 놓이는,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의 전방에서 돌출되는, 디바이스.
  21. 제1항에 있어서, 수정체 낭의 전안부는 안구의 Z-축을 따라 디바이스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22. 제1항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중앙 구멍 주변에 하나 이상의 절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후방 플랫폼은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상에 안내 렌즈의 중앙 옵틱을 지지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며 하나 이상의 절결부는 안내 렌즈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이식될 때 안내 렌즈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는, 디바이스.
  24. 제1항에 있어서, 수정체 낭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디바이스.
  26. 제2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정화 피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디바이스.
  27. 제1항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며, 안내 렌즈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안내 렌즈는 원피스 안내 렌즈 또는 멀티피스 안내 렌즈인,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원피스 안내 렌즈는 단초점, 원환체, 다초점, 확장된 초점 심도, 및 수용 안내 렌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시스템.
  30. 제1항의 디바이스를 이식하는 방법이며,
    홍채 후방의 디바이스를 안구의 후방 챔버로 삽입하는 단계; 및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아래에 위치되고 안내 렌즈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 대향 표면에 대항하여 위치되도록 후방 플랫폼에 대해 원피스 안내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안내 렌즈의 햅틱은 적어도 하나의 차양 아래에 위치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안구의 후방 챔버에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를 공막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IOL)를 지지하기 위한 방법이며,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전방 대향 표면 및 후방 대향 표면을 갖는 후방 플랫폼;
    후방 플랫폼을 통해 연장되는 중앙 구멍으로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가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중앙 구멍;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양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차양은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고, 차양은 차양의 내부 표면과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양; 및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디바이스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연장 구조는 안구에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기 위해 후방 챔버 내에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갖는, 단계;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지 않고 후방 플랫폼의 후방 대향 표면이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안부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안구에서 홍채 후방에 배치하는 단계;
    안구의 동공 후방에 중앙 구멍을 위치시키기 위해 반경방향 연장 구조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IOL의 광학 부분을 중앙 구멍 위에 그리고 후방 플랫폼의 전방 대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목형 부분 내에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IOL)를 이식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 및 렌즈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본체 부분으로서, 상기 렌즈 지지 구조는 상기 중앙 개구의 주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렌즈 지지 표면, 및 상기 렌즈 지지 표면 전방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상기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는, 본체 부분;
    상기 본체 부분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상기 안구의 후방 챔버 내에 상기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및
    상기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정화 피처를 포함하는, 단계;
    삽입 후, 상기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상기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상기 안구에 그리고 상기 안구의 홍채 후방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중앙 개구를 상기 안구의 동공 후방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구조 각각의 상기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후방 챔버의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수정체 낭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의 고정을 돕기 위해 상기 수정체 낭의 상기 전방 벽에 있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안정화 피처 각각을 삽입하는 단계;
    IOL을 상기 안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IOL의 광학 부분을 상기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형 렌즈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 지지 구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상기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안구에 인공 안내 렌즈(IOL)를 이식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안구의 수정체 낭의 전방 벽에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구에 삽입하기 위한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 부분으로서,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가 상기 안구에 이식될 때, 광은 상기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망막을 향하고,
    상기 본체 부분은 상기 중앙 개구의 주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렌즈 지지 표면, 및 상기 렌즈 지지 표면 전방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본체 부분; 및
    상기 렌즈 지지 구조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피처를 포함하는, 단계;
    삽입 후, 상기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도 상기 안구의 공막과 접촉하게 놓이지 않도록,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상기 안구에 그리고 상기 안구의 홍채 후방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수정체 낭에 대해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를 고정하고 상기 안구의 동공 후방에 상기 중앙 개구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수정체 낭의 상기 전방 벽에 있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피처를 삽입하는 단계;
    IOL을 상기 안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IOL의 광학 부분을 상기 중앙 개구 위에 그리고 상기 렌즈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전방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IOL을 상기 렌즈 지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상기 IOL의 햅틱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 부분에 결합된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은 상기 안구 내에 상기 디바이스를 무봉합 위치하기 위한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포함하며, 방법은 시각 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안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중심화를 돕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 구조 각각의 상기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을 안구의 고랑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07449A 2020-08-07 2021-08-06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KR202300515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63110P 2020-08-07 2020-08-07
US63/063,110 2020-08-07
US202063089241P 2020-10-08 2020-10-08
US63/089,241 2020-10-08
US202063129448P 2020-12-22 2020-12-22
US63/129,448 2020-12-22
US202163183488P 2021-05-03 2021-05-03
US63/183,488 2021-05-03
PCT/US2021/045015 WO2022032143A1 (en) 2020-08-07 2021-08-06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521A true KR20230051521A (ko) 2023-04-18

Family

ID=8011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449A KR20230051521A (ko) 2020-08-07 2021-08-06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4192394A1 (ko)
JP (1) JP2023537047A (ko)
KR (1) KR20230051521A (ko)
CN (1) CN116249502A (ko)
AU (1) AU2021322289A1 (ko)
BR (1) BR112023002203A2 (ko)
CA (1) CA3188684A1 (ko)
MX (1) MX2023001495A (ko)
WO (1) WO20220321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4035B2 (en) * 2010-03-16 2015-05-19 Mor Research Applications Lt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ssembly
AU2015236131B2 (en) * 2014-03-28 2019-05-30 Forsight Vision6,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9358103B1 (en) * 2015-02-10 2016-06-07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70049560A1 (en) * 2015-08-21 2017-02-23 Scott A. Cherne Intraocular Lens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49502A (zh) 2023-06-09
BR112023002203A2 (pt) 2023-03-14
AU2021322289A1 (en) 2023-03-02
JP2023537047A (ja) 2023-08-30
WO2022032143A1 (en) 2022-02-10
EP4192394A1 (en) 2023-06-14
MX2023001495A (es) 2023-04-14
CA3188684A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393B1 (ko) 안구내 이식 조직
US7806930B2 (en) Device for attachment to a capsule in an eye
US20030187501A1 (en) Intraocular lenses with a groove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posterior capsule
US20240033072A1 (en)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JPH0514580B2 (ko)
JP2000504612A (ja) 近視矯正用眼内インプラント
US20240074847A1 (en)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JPH0548696B2 (ko)
WO2016159910A1 (en) Intraocular lens comprising anchor-winged haptic
US10751167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systems and intraocular lens focusers
US20200237501A1 (en) Intraocular lens
KR20230051521A (ko)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US71756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on utilizing a cornea-supported artificial intraocular lens
US20240180691A1 (en) Ocular implant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11759311B2 (en) Exchangeable lens platform
WO2022155491A1 (en) Delivery devices for implantation of intraocular lens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WO2024107942A1 (en) Ocular implant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20230181310A1 (en) Capsular prosthesis for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ol) fix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