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474A - 전자기계식 록킹 기능을 갖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 구동 장치, 및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계식 록킹 기능을 갖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 구동 장치, 및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474A
KR20230009474A KR1020227043268A KR20227043268A KR20230009474A KR 20230009474 A KR20230009474 A KR 20230009474A KR 1020227043268 A KR1020227043268 A KR 1020227043268A KR 20227043268 A KR20227043268 A KR 20227043268A KR 20230009474 A KR20230009474 A KR 2023000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ck
monostable
opener
operating system
actu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그렙
옌스 뮐하우젠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00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2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pawls or wheels
    • F16H63/3433Details of latch mechanisms, e.g. for keeping pawls out of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 F16H63/347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using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5Supply of electric power, e.g. batteries for back up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83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hydraulic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차량용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모터 차량의 주차 록(3)이 활성화된 록킹 위치와 상기 모터 차량의 상기 주차 록(3)가 비활성화된 언록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작동 요소(2); 상기 작동 요소(2)를 상기 언록킹 위치에 형상 맞춤 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설계된 록킹 요소(4); 및 상기 록킹 요소(4)에 조정 효과를 갖는 전기 작동기(5)를 포함하며, 자율 전원(6)을 갖는 전류 회로(7)가 상기 전기 작동기(5)에 연결되고, 쌍안정(bistable) 스위치(8)와 상기 쌍안정 스위치(8)에 대해 직렬로 배열된 단안정(monostable) 오프너(9)는 상기 전류 회로(7)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상기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을 포함하는 구동 장치(15) 및 상기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을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계식 록킹 기능을 갖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 구동 장치, 및 작동 방법
본 발명은 모터 차량의 주차 록이 활성화된/모터 차량의 출력 구성 요소가 회전에 대해 록된 록킹 위치와 주차 록이 비활성화된/출력 구성 요소의 회전이 해제된 언록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작동 요소와, 그 언록킹 위치에 작동 요소를 확실하게 고정/유지하도록 설계된 록킹 요소 및 록킹 요소에 조정 효과를 갖는 전기 작동기를 갖는, 모터 차량용, 바람직하게는 모터 하이브리드 또는 순수 전기 모터 차량용 주차 록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을 갖는 모터 차량용 구동 장치와 이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은 선행 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출원 DE 10 2017 102 804 A1호는 장치와 주차 록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특히, 록킹 요소 및 쌍안정(bistable) 주차 록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연결을 갖는 다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은 독일 특허출원 DE 10 2006 049 639 A1호, DE 10 2007 006 354 A1호, DE 10 2006 053 762 A1호 및 DE 10 2008 011 898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이러한 설계들을 통해, 주차 록 작동 시스템에 의해 주차 록이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이 원칙적으로 보장되지만, 모터 차량이 차량 전기 시스템이 꺼져 있거나 충분히 충전되지 않은 운송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없으며, 주차 록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수단으로 모터 차량이 모터 차량의 차량 전기 시스템의 충전 상태와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자율(제1) 전원을 갖는 전류 회로가 전기 작동기에 연결되고 쌍안정 스위치와 쌍안정 스위치에 직렬로 배열된 단안정(monostable) 오프너가 전류 회로에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단안정 오프너는 주차 록이 모터 차량이 운행 중일 때 통상적인 방식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하고 그 자동 폐쇄 기능을 보장한다. 쌍안정 스위치를 사용하면, 모터 차량이 운송 중일 때 주차 록을 안정적으로 개방/언록할 수도 있다. 차량 전기 시스템에서 결합 해제된 전기 작동기용 자율 전류 회로는 독립형 방식으로 운행될 수 있어, 주차 록은 차량 전기 시스템의 전압과는 관계없이 운송 중에 언록될 수 있다.
더 유리한 실시형태가 종속 청구항으로 청구되어 있고,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전류 회로에 외부 전원에 대한 연결을 위한 연결 요소가 장착되어있는 경우에도 유리하다. 연결 요소는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주차 록을 작동하고 모든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주차 록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터 차량의 내부/승객 격실 안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록킹 요소에 수동 조작용 기계식 버튼이 제공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이는 전기 에너지 없이도 주차 록의 안정적인 제어, 특히 주차 록의 수동 폐쇄가 가능하다.
단안정 오프너가 그 스프링 지지 기본 위치에서 폐쇄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도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전류 회로는 차량 전기 시스템의 전압과 관계없이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 요소가 작동 요소가 작동될 때, 주차 록의 개방 위치에서 자동으로 록되거나 및/또는 기본 위치에서 작동 요소에 대해 눌려질 수 있도록 스프링 부하(spring-loaded)되는 경우에도 유리하다. 따라서, 시스템의 휴지 위치에서, 록킹 요소는 작동 요소가 해당 변위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유지되도록 한다.
작동 요소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 결과,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주차 록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과 차량 전기 시스템에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고 쌍안정 스위치와 단안정 오프너를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제어 유닛을 갖는 모터 차량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단안정 오프너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제1 서브 회로가 단안정 오프너에 대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의 직접 결합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연결은 가능한 가장 간단한 수단으로 구현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단안정 오프너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제1 서브 회로는 제어 장치 및/또는 단안정 클로저를 통해 단안정 오프너에 대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의 간접 결합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유리하다. 그 결과, 상이한 조작 상태의 안정적 조작성을 야기한다.
또한, 제어 유닛의 제2 서브 회로가 전기 작동기에 직접 연결되면,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작동성은 더욱 단순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적어도 하나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조작 상태에서, 쌍안정 스위치가 폐쇄되고 단안정 오프너가 개방되어, 전류 회로가 차단되고 록킹 요소가 작동 요소와 형상 맞춤 방식으로 계합되며, 작동 요소는 그 언록킹 위치에서 고정되고, 차량 전기 시스템의 전압이 0 또는 특정 한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제2 조작 상태에서, 단안정 오프너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전류 회로가 폐쇄되고, 전기 작동기는 록킹 요소와 작동 요소 사이의 형상 맞춤이 해체됨에 따라 구동되어, 작동 요소가 그 록킹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조작 상태의(에서 진행하는) 경우, 스위치는 쌍안정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운송 상태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계식 록킹 기능을 갖는 주차 록 모듈(주차 록 작동 시스템) 및 그것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이 구현된다. 정상 P 기능(정상적으로 활성화된 주차 록)은 개방된 주차 록의 전원 차단 가능성에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쌍안정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오프너를 통해 실제 주차 록 작동기의 유지 요소(록 요소)를 개방하여 작동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제안된다. 쌍안정 스위치가 폐쇄되면, 작동기는 정전이 발생하거나 주차 록이 작동되어야 할 경우에도 여분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이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또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기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록킹 요소가 그 언록킹 위치에 작동 요소를 고정한다,
도 2는 록킹 요소를 조정하는 전기 작동기가 이제 차량 전기 시스템을 통해 작동되어 주차 록에 작용하는 작동 요소가 해제되는, 도 1과 유사한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전기 작동기는 이제 단일 전류 회로에 연결되고, 시스템은 주차 록이 활성화된 휴지 위치에 있다,
도 4는 전류 회로에 수용된 단안정 오프너가 차량 전기 시스템을 통해 개방되는 제1 조작 상태인 도 3의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작동 요소는 그 언록킹 위치로 이동되어, 록킹 요소가 작동 요소에 확실하게 계합된다,
도 5는 도 3의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작동 요소는 도 4와 비교하여 유압을 받지 않지만, 록킹 요소에 의해 록킹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3의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은 전류 회로가 폐쇄되고 전원이 공급된 작동기가 결과적으로 작동 요소와 형상 맞춤 방식으로 고정된 위치로부터 록킹 요소를 이동시키는 제2 조작 상태에 있어, 작동 요소가 록킹 위치로 독립적으로 도달한다,
도 7은 도 3의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작동기는 이제 다시 도 6의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외부 전원을 통해 연결 요소에 의해 활성화된다,
도 8은 도 3의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록킹 요소는 기계식 버튼에 의해 언록된다,
도 9는 운송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 3의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쌍안정 스위치는 개방되고 동시에 작동 요소가 그의 언록킹 위치에서 눌려지고 록킹 요소가 작동 요소에 계합되는 방식으로 차량 전기 시스템을 통해 활성화된다,
도 10은 도 9와 유사한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작동 요소는 도 9와 비교하여 유압을 받지 않지만, 록킹 위치로 다시 이동하기 전에 록킹 위치에 의해 방지되어, 록킹 요소가 방전된(제1) 전원 또는 공급 부족 차량 전기 시스템의 경우 그 언록킹 위치에서 작동 요소를 유지한다,
도 11은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차량 전기 시스템은 단안정 클로저의 삽입으로 오프너를 제어하지 않고, 차량 전기 시스템의 제어 유닛을 통해 제어한다, 및
도 12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은 단안정 오프너로 직접 연결된다.
도면들은 본질적으로 단지 개략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이해만을 위해서 의도된 것이다.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이한 특징을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모터 차량의 구동 장치(15)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은 주차 록(3)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되어, 그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에서 주차 록(3)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은 위치가 표시된 주차 록(3)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주차 록(3)에 직접 작용하는 작동 요소(2)를 갖는다. 작동 요소(2)는 유압식으로 조작/작동된다. 작동 요소(2)는 이 실시형태에서 (유압 실린더(26)를 형성하기 위해) 통합 피스톤(28)을 갖는 푸시 로드(27)로서 구현된다.
또한, 작동 요소(2)는 리턴 스프링(24)에 의해 스프링 부하되어, 무압 상태에서 기본 위치를 취하고 주차 록(3)의 록킹 위치에 해당하는 변위를 위해 해제되는 것을 도 2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요소(2)는 록킹 방식으로 자동으로 구현된다. 작동 요소(2)의 이 록킹 위치는 도 2에서 알 수 있지만, 작동 요소(2)의 언록킹 위치는 주차 록(3)이 비활성된 도 1에서 구현되었다.
록킹 요소(4)는 그 언록킹 위치에서 작동 요소(2)를 록킹하기 위해 제공된다. 핀으로서 구현되는 록킹 요소(4)는 작동 요소(2)의 리세스(25)/그루브에서 확실한 계합을 위해 준비되었다. 록킹 요소(4)는 정렬되고 작동 요소(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록킹 요소(4)는 바이어싱 스프링(21)에 의해 작동 요소(2)의 (반경) 외측(23)을 향해 편향된다. 따라서, 록킹 요소(4)는 기본 위치/휴지 위치에서 작동 요소(2) 또는 그 외측(23)에 대해 눌려진다.
언록킹 위치에 해당하는 작동 요소(2)의 해당 축 위치에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록킹 요소(4)는 이렇게 작동 요소(2)에 형상 맞춤 방식으로 자동으로 계합하고, 리턴 스프링(2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록킹 위치로 자동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전기 작동기(5)는 록킹 요소(4)를 그 기본 위치에서 도 2에 따라 작동 요소(2)와 접촉하지 않는 제2 위치/강제 위치로 이동/변위하기 위해 제공된다. 작동기(5)는 선형 작동기로서 구현되며, 여기서는 전기 리프팅 자석의 형태로 구현된다. 작동기(5)는 바이어싱 스프링(21)에 대해 록킹 요소(4)를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록킹 요소(4)에 설계되고 결합된다.
작동기(5)는 자율 전류 회로(7)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류 회로(7)에 그 자신(제1)의 전원(6)과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8, 9)가 제공된다. 제1 스위치(8)는 쌍안정 스위치(8)로서 구현되고 이하에서 이와 같이 지칭되는 반면, 제2 스위치(9)는 단안정 오프너(9)로서 구현되고 이하에서 이와 같이 지칭된다.
따라서, 쌍안정 스위치(8)는 두 개의 상이한 스위칭 위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 안정적이다. 단안정 오프너(9)는 그 폐쇄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따라서, 단안정 오프너(9)를 구동할 때의 강제 위치는 그 개방 위치에 해당한다.
전류 회로(7)의 두 개의 스위치(8, 9)를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 (8, 9)는 차량 전기 시스템(16)의 해당 서브 회로(13, 22)에 연결된다. 차량 전기 시스템(16)은 도 1에서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 및 제어 유닛(17)의 제어 장치(19)로 볼 수 있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단안정 오프너(9)는 제어 유닛(19)를 통해 차례로 제어되는 단안정 클로저(20)을 통해 간접적으로 작동된다. 단안정 클로저(20)는 그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따라서, 단안정 클로저(20)를 구동할 때의 강제 위치는 그 폐쇄 위치에 해당한다.
도 1에서 구현된 단안정 클로저(20)의 개방 위치(기본 위치)에서, 결과적으로 단안정 오프너(9)는 활성화되지 않고 그 폐쇄 위치에 있다. 단안정 클로저(20)가 제어 유닛(19)에 의해 작동되고, 그에 따라 전류가 공급되면, 단안정 클로저(20)는 폐쇄되고 단안정 오프너(9)는 개방된다. 따라서, 단안정 클로저(20)는 단안정 오프너(9)를 제어하기 위해 구현되는 차량 전기 시스템(16)의 제1 서브 회로(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데 사용된다.
쌍안정 스위치(8)는 차량 전기 시스템(16)의 추가(제3) 서브 회로(22)를 통해 연결/작동될 수 있고 도 1의 개방 위치를 갖는다. 쌍안정 스위치(8)는 이러한 제3 서브 회로(22)를 적절하게 작동시킴으로써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또한, 차량 전기 시스템(16)의 제2 서브 회로(14)는 작동기(5)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 작동기(5)는 또한 전류 회로(7)에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에서, 작동기(5)는 이러한 제2 서브 회로(14)/차량 전기 시스템(16)을 통해서도 작동된다.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에서 함께 또는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요소(10) 및 기존 버튼(12)은 도 1 및 도 2에도 도시되어 있다. 연결 요소(10)는 모터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 전원(11)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동기(5)는 또한 이 연결 요소(10)을 통해 및 제1 전원(6) 및 차량 전기 시스템(16)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기계적/수동 조작 버튼(12)이 존재한다. 버튼(12)은 기계적으로 록킹 요소(4)에 직접 결합되며, 따라서 외부로부터 록킹 요소(4)의 수동 조작을 허용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의 다양한 조작 상태를 특히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추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되고 기능하므로, 간결함을 위해 차이점만 이하에 설명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의 휴지 위치/기본 위치에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전기 시스템(16)에 대한 작동기(5)의 직접적인 결합이 없다. 이에 따라, 작동기(5)는 전류 회로(7)를 통해 또는 선택적 연결 요소(10)를 통해서만 작동될 수 있다.
도 3에서, 주차 록(3)이 활성화되고 작동 요소(2)가 결과적으로 그 록킹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가 먼저 실현된다. 록킹 요소(4)는 그 기본 위치로 눌려지고 작동 요소(2)의 외측(23)과 접촉되지만, 작동 요소(2)와 확실하게 계합하지 않는다.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 형태의 제1 전원(6) 및 제2 전원은 모두 활성화되지 않았으므로, 단안정 클로저(20)가 개방되고 단안정 오프너(9)가 폐쇄된다. 쌍안정 스위치(8)는 그 개방위치에 있다.
도 4 및 도 5는 모터 차량의 구동 상태 중 정상(제1) 조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주차 록(3)은 먼저 해제된다. 이를 위해, 작동 요소(2)는 유압력에 의해 그 록킹 위치에서 언록킹 위치로 가압되며, 언록킹 위치에 도달될 때 작동 요소(2)와 록킹 요소(4)의 자동 록킹/랫칭(latching)이 발생한다. 따라서, 작동 요소(2)의 언록킹 위치에서, 록킹 요소(4)는 리세스(25)/작동 요소(2)와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계합한다. 작동 요소(2)의 일부에 대한 이후의 갱신된 압력 감소 후에, 도 5에 따라, 작동 요소(2)는 언록킹 위치에서 록킹 요소(4)에 의해 지지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과 제1 전류(6) 모두 충분한 충전 상태/전압 값을 갖는다. 단안정 클로저(20)가 활성화되어 폐쇄되므로, 전류 회로(7)는 단안정 오프너(9)의 활성화/개방에 의해 개방된다. 쌍안정 스위치(8)가 그 폐쇄 위치에 있어, 차량 전기 시스템 전압이 강하 하는 경우 주차 록(3)의 자동 폐쇄가 가능하도록 한다.
차량 전기 시스템(16)의 전압이 0 또는 특정 한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제2 조작 상태에서 주차 록(3)의 자동 폐쇄 과정은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차량 전기 시스템 전압의 강하로 인해 단안정 오프너(9)가 자동으로 폐쇄되면, 전류 회로(7)가 폐쇄되고 작동기(5)가 제1 전원(6)에 의해 구동되어, 록킹 요소(4)는 작동 요소(2)와의 확실한 록킹에서 해제된다. 이후, 작동 요소(2)는 그 록킹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도 7 및 도 8은 연결 요소(10)와 버튼(12)의 기능을 다시 더 자세하게 도시한다. 이에 따라,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이 방전될 때와 제1 전원(6)이 방전될 때 모두 작동기(5)를 연결 요소(10)에 연결하고 외부 전원(11)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여, 록킹 요소(4)와 작동 요소(2) 사이의 형상 맞춤이 제거된다. 또한, 버튼(12)으로 직접 록킹 요소(4)를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모터 차량이 구현되는 해당 운송 상태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쌍안정 스위치(8)는 먼저 차량 전기 시스템(16)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제1 조작 상태에서 시작하여 개방 위치로 스위칭된다 (도 9). 따라서, 전류 회로(7)은 개방되어 있고 작동기(5)는 비활성화 된다; 록킹 요소(4)는 주차 록(3)이 개방되어 있을 때 형상 ?춤 방식으로 작동 요소(2)를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과 제1 전원(6)이 모두 완전히 방전된 경우에도 여전히 차량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다음으로, 도 11은 본질적으로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하는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안정 클로저(20)가 생략되고 제어 유닛(19)은 제1 서브 회로(13)를 통해 단안정 오프너(9)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단안정 오프너(9)는 제어 유닛(19)를 통해 직접 작동된다.
도 12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을 단안정 오프너(9)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편리하고 및 이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을 통해 직접 단안정 오프너(9)를 조작시키는 것이 편리하고 및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이 켜지고 충분히 충전된 상태에서 개방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록킹 요소(4) (예를 들어, 핀, 후크, 파울(pawl))이 주차 록(3)의 작동 요소(2)를 가로지르도록 제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작동 요소(2)의 해당 리세스(25) (횡방향 그루브, 선택적 돌기, 일반적으로 형상 맞춤)에서 전기기계식 선형 작동기(5) (예: 리프팅 자석)에 의해 수동적으로 (예: 스프링 부하되어) 전기적으로 계합 해제될 수 있다. 형상 맞춤 요소(25)의 위치는 록킹 요소(4)가 계합되자마자 주차 록(3)이 리턴 스프링(24)의 힘에 대항하여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차량의 전류 공급 회로의 차량 전기 시스템 이외에, 주차 록 조작의 작동은 임의의 전자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 주차 록(3)을 위한 별도(여분)의 회로(7)를 포함한다. 따라서, 두 개의 배터리 (제1 전원(6) 및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으로도 지칭됨) 및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은 전압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작동은 세 개의 전기 스위치(8, 9, 20)(예: 릴레이/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구현된다.
제1 변형예에서, (작동 요소(2)를 언록하여 주차 록(3)을 폐쇄하기 위한) 직류 공급을 위한 전류 회로(7)는 여분의 배터리(제1 전원(6)), 단안정 오프너(9) 및 쌍안정 스위치(8)를 통해 작동한다. 쌍안정 스위치(8)는 차량 전기 시스템 배터리(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 및 주차 록 제어 유닛(19)을 통해 작동된다.
단안정 오프너(9)의 작동은 차량 전기 시스템 배터리 및 차량 전기 시스템 배터리 및 주차 록 제어 장치를 통해 작동되는 단안정 클로저(20)를 통해 발생한다.
정상 주행의 경우 스위치(8)가 폐쇄되거나 폐쇄된 상태로 스위칭된다 (안정적). 주차 록(3)을 개방하기 위해, 클로저(20)는 먼저 주차 록 제어 장치(19)를 통해 폐쇄된다. 따라서, 오프너(9)를 작동하기 위한 전류 회로(13)가 폐쇄되어 오프너(9)가 개방된다. 따라서, 선형 작동기(5)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 회로(7)가 개방된다. 주차 록(3)이 이제 유압식으로 개방되면, 유지 요소(록킹 요소(4)라고도 함)는 스프링 부하 하에서 치합할 수 있다 (선형 액추에이터(5)에 의해 개방 상태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
주차 록(3)은 이제 록킹 요소(4)에 의해 개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주차 록 작동 실린더(26)의 압력은 이제 주차 록(3)을 개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5).
정상-P 기능: 차량 전기 시스템(16)이 고장난 경우(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으로부터 전류가 흐르지 않음) 클로저(20)가 개방되고; 오프너(9)의 전류 회로(13)가 개방되어 폐쇄된다. 오프너(9)가 폐쇄된 경우, 전류 회로(7)가 여분의 배터리(제1 전원(6))을 통해 선형 작동기(5)에 대해 폐쇄되어 있어, 록킹 요소(4)를 계합 해제함으로써, 주차 록(3)을 폐쇄한다 (도 6).
정기적 폐쇄 과정도 같은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로저(20)로의 전류 공급은 주차 록 제어 유닛(19)에 의해 능동적으로 차단된다 (도 6).
선형 작동기(5)(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 평행한 외부(예를 들어, 12V) 전원(11)을 위한 연결 옵션(10)을 제공하는 것이 선택적으로 제안된다. 차량의 모든 배터리가 완전히 고장난 경우, 외부 전원(11)은 록킹 요소(4)를 당겨서 주차 록(3)을 폐쇄할 수 있게 한다 (도 7).
또한, 주차 록(3)은 록킹 요소(4)를 직접 계합 해제하는 옵션인 수동적으로 조작되는 버튼(12)에 의해 단지 기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도 8).
운송 모드(차량의 모든 전원의 충전 상태와는 관계없는 개방 주차 록(3))는 쌍안정 스위치(8)을 개방함으로써 작동된다. 이는 선형 작동기(5)를 작동하기 위한 전류 회로(7)를 차단하여, 모든 존재하는 다른 버튼 및 모든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관계없이 전류가 선형 작동기(5)로 유동할 수 없게 한다 (도 9),
주차 록(3)은 이제 유압식으로 개방되어, 록킹 요소(4)는 주차 록(3)과 계합하여 수동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어떤 배터리가 충전되었는지 또는 어떤 순서로 고장났는지에 관계없이, 주차 록(3)은 개방 상태로 유지되며 차량은 자유롭게 굴러갈 수 있다 (도 10).
제2의 확장된 변형예(도 1 및 도 2)는 배터리(제1 전원(6)) 뿐만 아니라 배터리(차량 전원(18))에 의해서도 주차 록(3)을 폐쇄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차량 전원(18))과 주차 록 제어 유닛(19)에 선형 작동기(5)를 연결하는 추가 회로(14)가 제공된다. 따라서, 주차 록을 개방하는 것과 관련된 중복된 상태도 구현될 수 있다. 모든 다른 상태는 유지된다.
다른 두 변형예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 (8, 9)(릴레이)만 필요하다. 제1 추가 변형예(도 11)에서, 오프너(9)는 차량 전기 시스템 배터리(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 및 전기 제어 유닛(19)를 통해 직접 공급된다.
제2 추가 변형예(도 12)에서, 오프너(9)는 차량 전기 시스템 배터리를 통해서만 공급되며 더 이상 전기 제어(19)를 통해 능동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이는 주차 록(3)의 능동적 폐쇄가 차량 전기 시스템 배터리, 전기 컨트롤러(19) 및 선형 작동기(5)를 통해 전류 회로(7)에 의해 언록킹되는 것을 위한 선형 액추에이터(5)의 작동을 통해 직접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1 주차 록 작동 시스템
2 작동 요소
3 주차 록
4 록킹 요소
5 작동기
6 제1 전원
7 전류 회로
8 쌍안정 스위치
9 단안정 스위치
10 연결 요소
11 외부 전원
12 버튼
13 제1 서브 회로
14 제2 서브 회로
15 구동 장치
16 차량 전기 시스템
17 제어 유닛
18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
19 제어 장치
20 단안정 클로저
21 바이어싱 스프링
22 제3 서브 회로
23 외측
24 리턴 스프링
25 리세스
26 압력 실린더
27 푸시 로드
28 피스톤

Claims (10)

  1. 모터 차량의 주차 록(3)이 활성화된 록킹 위치와 상기 모터 차량의 상기 주차 록(3)이 비활성화된 언록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작동 요소(2)를 갖고, 상기 작동 요소(2)를 그 언록킹 위치에 형상 맞춤 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설계된 록킹 요소(4)를 갖고; 그리고 상기 록킹 요소(4)에 조정 효과를 갖는 전기 작동기(5)를 갖는, 모터 차량용 주차 록 작동 시스템(1)으로서, 자율 전원(6)을 갖는 전류 회로(7)가 상기 전기 작동기(5)에 연결되고, 쌍안정(bistable) 스위치(8)와 상기 쌍안정 스위치(8)에 대해 직렬로 배열된 단안정(monostable) 오프너(9)가 상기 전류 회로(7)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회로(7)에는 외부 전원(1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요소(4)에는 수동 작동을 위한 기계식 버튼(1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 오프너(9)는 그 스프링 지지 기본 위치에서 폐쇄되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요소(4)는 상기 작동 요소(2)가 작동될 때, 상기 주차 록(3)의 개방 위치에서 자동으로 잠기고 및/또는 기본 위치에서 상기 작동 요소(2)에 대해 눌려질 수 있도록 스프링 부하(spring-loaded)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1).
  6. 모터 차량용 구동 장치(15)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시스템(1) 및 제어부(17)에 연결된 상기 쌍안정 스위치(8) 및 상기 단안정 오프너(9)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6)에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는, 구동 장치(15).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 오프너(9)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7)의 제1 서브 회로(13)는 상기 단안정 오프너(9)에 대한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의 직접 결합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어부(19) 및/또는 단안정 클로저(20)를 통해 상기 단안정 오프너(9)에 대한 상기 차량 전기 시스템 전원(18)의 간접 결합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5).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의 제2 서브 회로(14)는 또한 상기 전기 작동기(5)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5).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차 록 작동 장치(1)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조작 상태에서, 상기 쌍안정 스위치(8)가 폐쇄되고 상기 단안정 오프너(9)가 개방되어, 상기 전류 회로(7)가 차단되고 상기 록킹 요소(4)가 상기 작동 요소(2)와 형상 맞춤 방식으로 계합되며, 상기 작동 요소(2)는 그 언록킹 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차량 전기 시스템(16)의 전압이 0 또는 특정 한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제2 조작 상태에서, 상기 단안정 오프너(9)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상기 전류 회로(7)가 폐쇄되고, 상기 전기 작동기(5)는 상기 록킹 요소(4)와 상기 작동 요소(2) 사이의 형상 맞춤이 해체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작동 요소(2)가 그 록킹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스위치(8)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 조작 상태에서 운송 상태로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43268A 2020-06-29 2021-06-08 전자기계식 록킹 기능을 갖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 구동 장치, 및 작동 방법 KR20230009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6983.3A DE102020116983B4 (de) 2020-06-29 2020-06-29 Parksperrenbetätigungssystem mit elektromechanischer Arretierfunktion; Antriebsvorrichtung; sowie Ansteuerungsverfahren
DE102020116983.3 2020-06-29
PCT/DE2021/100490 WO2022002300A1 (de) 2020-06-29 2021-06-08 Parksperrenbetätigungssystem mit elektromechanischer arretierfunktion; antriebsvorrichtung; sowie ansteuerungs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474A true KR20230009474A (ko) 2023-01-17

Family

ID=7684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268A KR20230009474A (ko) 2020-06-29 2021-06-08 전자기계식 록킹 기능을 갖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 구동 장치, 및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65596B2 (ko)
KR (1) KR20230009474A (ko)
CN (1) CN115777045A (ko)
DE (1) DE102020116983B4 (ko)
WO (1) WO20220023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7991C2 (de) 1991-08-23 1997-07-03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arksperre für automatische Getriebe von Kraftfahrzeugen
DE10136425B4 (de) 2001-07-26 2009-10-01 Daimler A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Parksperre
DE102006053762A1 (de) 2005-12-03 2007-06-0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Parksperre
US7490528B2 (en) 2006-02-13 2009-0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ark inhibit assembly for an electric transmission range selection system
DE102006049639B4 (de) 2006-10-20 2017-04-27 Audi Ag Parksperr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r Aktivierung und Deaktivierung einer Parksperrvorrichtung
DE102008011898A1 (de) 2008-02-29 2009-09-03 Daimler Ag Schaltvorrichtung
DE102011105068A1 (de) * 2011-06-21 2012-07-05 Daimler Ag Kraftfahrzeugparksperrenvorrichtung mit zumindest einem Verriegelungselement
DE102015214037B4 (de) * 2015-07-24 2022-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sperre
DE102017102804B4 (de) 2017-02-13 2019-03-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
JP2019056408A (ja) * 2017-09-20 2019-04-11 株式会社Subaru シフト制御装置
DE102018203166A1 (de) * 2018-03-02 2019-09-05 Zf Friedrichshafen Ag Parksperre in einem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JP6725615B2 (ja) * 2018-09-21 2020-07-22 株式会社Subaru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BE1026782B1 (nl) * 2018-10-29 2020-06-15 Punch Powertrain Nv Hydraulisch systeem voor een voertuigtransmissie
US11136009B2 (en) * 2019-12-31 2021-10-05 Robert Bosch Gmbh Park lock system with added safety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16983B4 (de) 2022-03-17
WO2022002300A1 (de) 2022-01-06
DE102020116983A1 (de) 2021-12-30
CN115777045A (zh) 2023-03-10
US11965596B2 (en) 2024-04-23
US20230243421A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3852B2 (en) Brake system for a vehicle train and tractor therewith
US8678160B2 (en) Control element for a parking lock
US7650978B2 (en) Actuator device for actuating a locking mechanism
US6371536B1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JP2003262064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
JP2002536568A (ja) 電気的な閉扉補助手段と開扉補助手段とを備えた自動車ドアロック機構またはこれに類するもの
JP2004505225A (ja) 特に自動車変速機におけるパーキング・ロック
GB2474846A (en) Latch system comprising key barrel operably coupled to latch via a clutch mechanism
US20200095809A1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a power release mechanism and motor control system
CN115605693A (zh) 液压驻车锁致动模块
CN105593446B (zh) 能电操作的机动车门锁
US10577841B2 (en) Electric motor vehicle lock having a spring accumulator
KR20230009474A (ko) 전자기계식 록킹 기능을 갖는 주차 록 작동 시스템, 구동 장치, 및 작동 방법
CN112135758B (zh) 用于控制电动气动驻车制动回路的电子装置、车辆的驻车制动系统和用于控制电动气动驻车制动回路的方法
CN111795022B (zh) 工业车辆的液压驱动装置
CN115769007A (zh) 用于重置驻车锁操作系统的方法和驻车锁操作系统
KR20050047959A (ko) 자동변속차량의 인터록 장치
CN115917188A (zh) 驻车锁操作系统
KR20240008366A (ko) 차량 플랩을 완전히 전기식으로 개방하기 위한 장치
CN117429517A (zh) 用于闭锁并且释放机动车的充能接头的装置
CN115552087A (zh) 用于机动车上锁系统的运行的控制组件
KR100198080B1 (ko) 버스의 도어개폐 제어회로
JP200610788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200035634A (ko) Tmed 자동변속기 솔레노이드 고장 시 대체 제어방법
JPS6268987A (ja) 車両用折戸開閉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