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786A -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786A
KR20230002786A KR1020227040035A KR20227040035A KR20230002786A KR 20230002786 A KR20230002786 A KR 20230002786A KR 1020227040035 A KR1020227040035 A KR 1020227040035A KR 20227040035 A KR20227040035 A KR 20227040035A KR 20230002786 A KR20230002786 A KR 2023000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ut
inches
sole
ballast
club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캘빈 에스 왕
알렉스 지 우드워드
에릭 제이 모랄레스
Original Assignee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23000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63B53/0412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63B53/0475Heads iron-type with one or more enclosed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2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63B2053/0479Wedge-type clubs, details thereof

Abstract

본원에서는 솔 및 솔의 전방 부분 내의 응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밸러스트를 갖는 중공 바디 아이언-타입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구성에서, 골프 클럽 헤드는 응력를 완화하기 위한 밸러스트 언더컷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밸러스트 언더컷은, 페이스 두께의 추가 감소를 위해, 페이스 솔 접합부 근처의 캐스케이딩 솔(cascading sole)과 같은 추가 응력 완화 특징과 결합된다.

Description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본원은 2020년 4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3/013,341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본원에 참조로 합체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골프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 바디 아이언의 개선된 성능 특성을 위한 플렉스 구조(flexure structures) 및 플렉스 구조를 갖는 중공 바디 아이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공 바디 아이언은 이상적으로는, 임팩트 중에, 다이빙 보드처럼 작동하여 뒤쪽으로 구부러진다. 클럽 디자인에서, 중공 바디 아이언이 다이빙 보드 또는 스프링처럼 거동하는 정도는 피크 응력 값에 의해 구속된다. 전통적인 골프 클럽이 최대 응력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페이스(face)와 솔(sole)이 두꺼워져 클럽은 더 단단하게 만들어진다. 전통적인 골프 클럽의 강성은 클럽 헤드의 다이빙 보드 또는 스프링 거동의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당업계에는, 임팩트 시 클럽으로부터 공으로의 에너지 전달을 개선하기 위해 페이스에 대한 변형의 한계를 확장하는 구조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조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바디 클럽 헤드의 토우 단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단면선 I-I를 따른 도 1의 중공 바디 클럽 헤드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중공 바디 클럽 헤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내부 캐비티(internal cavity)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선 II-II과 유사한 단면선을 따른, 도 1의 중공 바디 클럽과 유사한 중공 바디 클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중공 바디 클럽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선 I-I와 유사한 단면선을 따른, 종래 기술의 중공 바디 클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선 I-I와 유사한 단면선을 따른, 도 1의 중공 바디 클럽과 유사한 중공 바디 클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기재된 다양한 언더컷 실시예에 대한 mph로 측정된 7번 아이언의 공 속도의 비교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에 기재된 다양한 언더컷 실시예에 대한 도 7의 7번 아이언의 수직 런치 앵글(launch angle)의 비교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에 기재된 다양한 언더컷 실시예에 대한 rpm 단위의 도 7의 7번 아이언의 스핀 속도(spin rate)의 비교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언더컷 실시예에 대한 피칭 웨지(pitching wedge)의 수직 런치 앵글의 비교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에 기재된 다양한 언더컷 실시예에 대한 도 10의 피칭 웨지의 스핀 속도의 비교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언더컷 실시예에 대한 mph로 측정된 도 11의 피칭 웨지의 공 속도의 비교 그래프를 도시한다.
설명의 간략화 및 명확성을 위해, 도면은 일반적인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공지된 특징과 기술의 설명 및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내 요소는 반드시 비율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 증진을 돕기 위해 도면 내 일부 요소의 크기는 다른 요소에 대해 과장될 수 있다. 다른 도면에서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중의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사용되는 경우 유사한 요소의 구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특정의 순차적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실시예가 예컨대, 예시되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본원에 설명되지 않은 순서로 동작 가능하도록 적절한 상황하에서 상호교환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포함하다", "구비하다"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의 용어들은 포괄적 내포를 커버하도록 의도된 것이어서,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물품, 디바이스 또는 장치는 반드시 해당 요소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물품,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부", "바닥", "위", "아래" 등의 용어들은 사용되는 경우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반드시 영구적인 상대 위치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예시되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본원에 설명되지 않은 순서로 동작 가능하도록 적절한 상황하에서 상호교환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커플", "커플링된", "커플링하다", "커플링" 등의 용어는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하며, 전기적으로, 기계적으로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2개 이상의 요소를 연결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중공 바디 골프 클럽(이하 "중공 바디" 또는 "중공 바디 아이언" 또는 "아이언-타입 골프 클럽 헤드" 또는 "골프 클럽 헤드")의 "로프트(loft)" 또는 "로프트 각도"라는 용어는 임의의 적절한 로프트 앤 라이 머신(loft and lie machine)으로 측정한 클럽 페이스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지칭한다. 로프트 평면은 기하학적 중심에서 타격면(strikeface)에 접한다. 로프트 각도는 지면과 로프트 평면 사이에서 측정된다. 로프트 각도는 지면과 로프트 평면 사이에서 측정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의 로프트 각도는 약 50도 미만, 약 49도 미만, 약 48도 미만, 약 47도 미만, 약 46도 미만, 약 45도 미만, 약 44도 미만, 약 43도 미만, 약 42도 미만, 약 41도 미만, 약 40도 미만, 약 39도 미만, 약 38도 미만, 약 37도 미만, 약 36도 미만, 약 35도 미만, 약 34도 미만, 약 33도 미만, 약 32도 미만, 약 31도 미만, 약 30도 미만, 약 29도 미만, 약 28도 미만, 약 27도 미만, 약 26도 미만, 약 25도 미만, 약 24도 미만, 약 23도 미만, 약 22도 미만, 약 21도 미만, 약 20도 미만, 약 19도 미만, 약 18도 미만, 또는 약 17도 미만이다. 또한, 많은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의 로프트 각도는 약 16도 초과, 약 17도 초과, 약 18도 초과, 약 19도 초과, 약 20도 초과, 약 21도 초과, 약 22도 초과, 약 23도 초과, 약 24도 초과, 약 25도 초과, 약 26도 초과, 약 27도 초과, 약 28도 초과, 약 29도 초과, 약 30도 초과, 약 31도 초과, 약 32도 초과, 약 33도 초과, 약 34도 초과, 약 35도 초과, 약 36도 초과, 약 37도 초과, 또는 약 38도 초과이다.
설명
본 개시는 솔과, 솔의 전방 부분 내에서 응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밸러스트를 구비하는 개선된 중공 아이언-타입 골프 클럽 헤드(이하 "중공 바디" 또는 "중공 바디 아이언" 또는 "아이언-타입 골프 클럽 헤드" 또는 "골프 클럽 헤드")를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제1 구성에서, 골프 클럽 헤드는 응력를 완화하기 위한 밸러스트 언더컷(ballast undercut)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밸러스트 언더컷은, 페이스 두께의 추가 감소를 위해, 페이스 솔 접합부 근처의 캐스케이딩 솔(cascading sole)과 같은 추가 응력 완화 특징과 결합된다.
중공 바디는 타격면, 타격면 반대편의 후방 부분, 힐 부분, 힐 부분 반대편의 토우 부분, 솔, 및 내부 캐비티를 규정하는 상단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부분은 후방 부분으로부터 내부 캐비티 내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밸러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는 골프 클럽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내부 구성요소이다. 밸러스트는 솔의 내부 표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기하 형상(geometr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러스트는 상단면, 전방면, 및 언더컷 영역으로서 규정된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토우 측 단면에서 볼 때, 페이스에 대한 바닥면의 오목한 기하형상에 의해 언더컷이 형성된다. 언더컷은 솔의 더 얇은 전방 부분이 밸러스트 아래에서 연장할 수 있게 한다. 솔의 내면과 직각으로 만나는 전면과 반대의 바닥 언더컷면을 포함하는 밸러스트는, (1) 페이스와 밸러스트 사이에서 솔을 따라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2) 변형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솔의 부분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언더컷을 포함하는 중공 바디 아이언은 언더컷이 없는 중공 아이언과 비교하여 얇아지는 범위가 더 큰 솔 및 페이스 기하 형상을 포함한다.
중공 바디 아이언의 솔은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의 두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방 부분은 변형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타격면에 인접한 솔의 얇은 영역을 규정한다. 솔의 후방 부분은 변형 에너지를 저장하지 않는, 바디의 후방 부분에 인접한 솔의 영역을 나타낸다. 즉, 솔(132)의 전방 부분은 스프링으로서 거동하는 솔(110)의 부분이다. 밸러스트 언더컷의 결과로 더 얇은 페이스와 확장된 전방 솔 부분을 구비한 중공 바디 아이언은 언더컷이 없는 클럽의 페이스 및 전방 솔 부분보다 더 많은 변형 에너지(즉, 포텐셜 에너지)를 저장한다. 결과적으로, 언더컷은 (언더컷이 없는 골프 클럽과 비교하여) 클럽 바디와 골프 공 사이의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전달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에너지 전달은, 전방 솔 부분이 언더컷 외에 캐스케이드도 포함하는 경우, 중공 바디 아이언에서 더 향상될 수 있다. 캐스케이딩 솔은 페이스 솔 접합부 근처의 솔의 전방 부분에서의 응력의 흐름을 개선하는 반면, 언더컷은 밸러스트 근처의 응력의 흐름을 개선한다. 따라서, 언더컷의 적용 및/또는 언더컷 및 캐스케이딩 솔의 조합된 적용에 의해, 3-8% 더 얇은 페이스를 허용할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는 달성할 수 없었던 더 얇은 페이스는 비행 궤적과 비거리를 향상시킨다.
I.언더컷
도면 중 도 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응력 완화 솔(110), 및 언더컷(102)을 갖는 밸러스트(114)를 구비한 아이언-타입 골프 클럽 헤드(100) 외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골프 클럽 헤드(100)는 내부 캐비티(104)을 갖는 중공 바디 구조를 포함한다. 골프 클럽 헤드(100)의 중공 바디 구조는 타격면(106), 타격면(106) 반대편의 후방 부분(108), 힐 부분(103), 힐 부분(103) 반대편의 토우 부분(105), 솔(110), 및 솔(110) 반대편의 상단 레일(112)에 의해 추가로 규정된다.
도 2a는 단면선 I-I를 따른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100)의 힐 절취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골프 클럽 헤드(100)의 내부 캐비티(104) 및 응력 완화 특징을 도시한다. 후방 부분(108)은 내부 캐비티(104) 내에 위치된 밸러스트(114)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114)는 골프 클럽 헤드(100)에서 최적의 CG(무게 중심) 위치설정에 필요한 일체형 가중 요소(integral weighting element)이다. 밸러스트(114)는, 솔(110)로부터 수직으로 후방 부분(108)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솔(110)을 따라 힐로부터 토우 방향(heel to toe direction)으로 연장하는 중실 구조체이다. 솔(132)의 전방 부분은 타격면(106)과 밸러스트(114) 사이에 규정된다.
계속해서 도 2b를 참조하면, 밸러스트(114)는 상단면(116), 전방면(118), 및 바닥면(120)을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20)은 언더컷(102)을 갖는 언더컷 영역(128)을 규정하는 릴리프를 생성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밸러스트(114)의 언더컷 영역(128)은 솔(110)의 내부 표면(122)에 인접한 밸러스트(114)로부터 제거된 재료의 언더컷 영역(128)으로서 검토될 수 있다. 언더컷 영역(128)은 언더컷(102) 및 언더컷 천이부(undercut transition)(141)를 포함한다. 언더컷 영역(128)은 밸러스트(114)의 힐로부터 토우 길이(124)에 걸쳐 힐로부터 토우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더컷(102)은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100)의 힐 부분(103)과 토우 부분 사이의 클럽 헤드(100) 내부에 중심에 위치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102)은 밸러스트(114) 아래에서 연장하여, 솔(110)의 전방 부분(132)이 페이스와 밸러스트(114)의 언더컷(102)/바닥면(120) 사이에 경계를 이룬다. 솔(110)의 전방 부분(132)은 언더컷(즉, 타격면과 밸러스트의 전방면 사이에 규정된 전방 부분)이 없는 골프 클럽 헤드와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언더컷(102)은 솔의 전방 부분(132)에서의 응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임팩트 시 에너지를 다시 공에 전달하기 위한 더 큰 스프링(즉, 솔의 전방 부분)을 만들어낸다.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로 도시된 밸러스트(114) 및 언더컷(102)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114)는 상단면(116), 전방면(118), 및 바닥면(120)을 포함한다. 밸러스트(114)는 후방 부분(108)의 내부 표면을 따라 솔(106)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바닥면(124)은 전방면(118)으로부터 후방 부분(108)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하여, 힐부터 토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언더컷(102)을 규정하는 윤곽 형성된 기하형상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2b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밸러스트 바닥면(120)은 밸러스트 바닥면(120)과 솔(110)의 내부 표면(122) 사이의 접합부로서 규정된 언더컷 접합부(130)를 더 포함한다. 언더컷 접합부(130)는 언더컷(102)을 규정하는 밸러스트 바닥면(120)의 최후방 지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솔의 전방 부분(132)은 언더컷(102)이 없는 중공 바디 아이언에서의 타격면(106)과 전방면(118)보다는 오히려 타격면(106)과 언더컷 접합부(130) 사이에 규정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언더컷(102)은 4개의 파라미터, 즉 언더컷 깊이(134), 언더컷 높이(136), 언더컷 길이(138), 언더컷 솔 두께(123)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밸러스트 바닥면(120)은 언더컷(102)이 언더컷 바닥 가장자리(139)와 언더컷 상단 가장자리(137) 사이에 규정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언더컷 깊이는 밸러스트 전방 평면(20)과 언더컷 접합부(130)(즉, 언더컷의 최후방 지점)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된다. 언더컷 높이(136)는 언더컷 상단 가장자리(137)와 언더컷 바닥 가장자리(139)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규정된다. 언더컷 길이는 언더컷 토우 단부(133)와 언더컷 힐 단부(135) 사이에서 지면(10)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마지막으로, 언더컷 솔 두께(123)는 솔(121)의 외부 표면과 솔(121)의 내부 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된다. 제1 실시예에서, 언더컷(102)은 0.065인치의 깊이(134), 0.083인치의 높이(136), 1.16인치의 길이를 갖는다.
밸러스트 전방 평면(20)과 언더컷 접합부(130) 사이의 언더컷 깊이(134)는 0.010인치 내지 0.100인치의 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언더컷 깊이(134)는 0.010인치, 0.015인치, 0.020인치, 0.025인치, 0.030인치, 0.035인치, 0.040인치, 0.045인치, 0.050인치, 0.055인치, 0.060인치, 0.065인치, 0.070인치, 0.075인치, 0.080인치, 0.085인치, 0.090인치, 0.095인치 또는 0.100인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언더컷 페이스 깊이(131)가 타격면(106)의 내부 표면과 언더컷 접합부(130)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페이스로부터의 언더컷 깊이는 0.200인치 내지 0.500인치 범위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로부터의 언더컷 깊이는 0.200인치, 0.220인치, 0.240인치, 0.260인치, 0.280인치, 0.300인치, 0.320인치, 0.340인치, 0.360인치, 0.380인치, 0.400인치, 0.420인치, 0.440인치, 0.460인치, 0.480인치 또는 0.500인치일 수 있다.
언더컷 바닥 가장자리(137)와 언더컷 상단 가장자리(139) 사이에서 측정된 언더컷 높이(136)는 0.030인치 내지 0.200인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컷 높이(136)는 0.030인치 내지 0.040인치, 0.040인치 내지 0.050인치, 0.050인치 내지 0.060인치, 0.060인치 내지 0.070인치, 0.070인치 내지 0.080인치, 0.080인치 내지 0.090인치, 0.090인치 내지 0.100인치, 0.100인치 내지 0.110인치, 0.110인치 내지 0.120 인치, 0.120인치 내지 0.130인치, 0.130인치 내지 0.140인치, 0.140인치 내지 0.150인치, 0.150인치 내지 0.160인치, 0.160인치 내지 0.170인치, 0.170인치 내지 0.180인치, 0.180인치 내지 0.190인치 또는 0.190인치 내지 0.200인치의 범위이다.
도 3은 언더컷 힐 단부(135)로부터 언더컷 토우 단부(132)로 연장하는 언더컷 길이(138)를 노출시키도록 타격면(106)이 제거된 골프 클럽(1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컷 길이(138)는 0.5인치 내지 3.0인치의 범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언더컷 길이는 0.50인치 내지 0.75인치, 0.75인치 내지 1.00인치, 1.00인치 내지 1.25인치, 1.25인치 내지 1.50인치, 1.50인치 내지 1.75인치, 1.75인치 내지 2.00인치, 2.00인치 내지 2.25인치, 2.25인치 내지 2.50인치, 2.50인치 내지 2.75인치 또는 2.75인치 내지 3.00인치의 범위이다. 도 3은 밸러스트 힐 단부(125)로부터 밸러스트 토우 단부(127)까지 측정될 수 있는 밸러스트 길이(124)를 추가로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러스트 길이(124)는 1.0인치 내지 3.0인치의 범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 길이(124)는 1.2인치, 1.4인치, 1.6인치, 1.8인치, 2.0인치, 2.2인치, 2.4인치, 2.6인치, 2.8인치, 또는 3.0인치이다.
언더컷 힐 단부와 토우 단부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 언더컷 길이(138)는 언더컷(102)을 포함하는 밸러스트(114)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밸러스트 길이(124)의 백분율을 추가로 규정할 수 있다. 언더컷(102)을 포함하는 아이언-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실시예에서, 언더컷(102)은 임팩트 하중을 받는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백분율 밸러스트 길이는 언더컷 길이(138)를 밸러스트 길이(124)로 나눈 값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컷 백분율 밸러스트 길이는 20% 내지 100% 범위이다. 언더컷의 길이는 밸러스트 길이의 10% 내지 밸러스트 길이와 동일한 길이(즉, 100%)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분율 밸러스트 길이는 20%, 25%, 30%,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95%이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천이부 높이(142)는 솔(122)의 내부 표면과 전방면 하부 가장자리(140)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규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천이부 높이(142)는 0.150인치 내지 0.300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천이부 높이는 0.150인치 내지 0.160인치, 0.160인치 내지 0.170인치, 0.170인치 내지 0.180인치, 0.180인치 내지 0.190인치, 0.190인치 내지 0.200인치, 0.200인치 내지 0.210인치, 0.210인치 내지 0.220인치, 0.220인치 내지 0.230인치, 0.230인치 내지 0.240인치, 0.240인치 내지 0.250인치, 0.250인치 내지 0.260인치, 0.260인치 내지 0.270인치, 0.270인치 내지 0.280인치, 0.280인치 내지 0.290인치, 또는 0.290인치 내지 0.300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천이부 높이는 0.185인치이다. 천이부 높이(142) 및 윤곽이 있는 프로파일을 갖는 언더컷 천이부(141)는 언더컷(102)이 밸러스트 전방면(118)으로 원활하게 천이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원활한 천이는 언더컷(102)과 밸러스트(114)를 통한 응력의 균일한 흐름을 촉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언더컷(102) 및 언더컷 영역(128)은 언더컷이 없는 아이언-타입 골프 클럽 헤드와 비교할 때, 제거된 밸러스트 재료의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언더컷 체적(146)이 언더컷 영역(128)의 표면(146)과 밸러스트 전방 평면(20)에 의해 규정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언더컷 영역의 표면(146) 및 밸러스트 전방 평면(20)은 0.018 입방인치의 언더컷 체적(146)을 규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언더컷 체적은 0.018입방인치 내지 0.050입방인치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언더컷 체적(146)은 0.018입방인치, 0.020입방인치, 0.022입방인치, 0.024입방인치, 0.026입방인치, 0.028입방인치, 0.030입방인치, 0.032입방인치, 0.034입방인치, 0.036입방인치, 0.038입방인치, 0.040입방인치, 0.042입방인치, 0.044입방인치, 0.046입방인치, 0.048입방인치 또는 0.050입방인치일 수 있다. 언더컷 체적(146)은 언더컷 영역(128)에 의해 밸러스트(114)로부터 제거된 질량을 계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질량은 언더컷 체적(146)에 밸러스트(114)의 재료 밀도를 곱하여 계산된다. 예를 들어, 언더컷 체적 범위는 0.018입방인치에서 0.030입방인치이다. 언더컷 체적은 0.018입방인치, 0.020입방인치, 0.022입방인치, 0.024입방인치, 0.026입방인치, 0.028입방인치 또는 0.030입방인치일 수 있다. 6.0g/cm3 내지 7.75g/cm3 범위의 재료 밀도 또는 1.75g 내지 2.40g의 질량 범위의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밸러스트로부터 제거된 재료의 양. 밸러스트(114)로부터로부터 6.0g/cm3, 6.5g/cm3, 7.0g/cm3, 또는 7.75g/cm3의 재료 밀도 또는 1.75g, 2.0g, 2.20g, 2.32g 또는 2.40g의 질량의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밸러스트로부터 제거된 재료의 양.
타격면(106)으로부터 밸러스트(114)로 연장하는 솔(110)의 전방 부분(132)은 골프 공에 대한 골프 클럽 헤드(100)의 임팩트 응답에 영향을 미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접합부(130)는 밸러스트 전방면(118)보다 타격면(106)으로부터 더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언더컷 접합부의 타격면(106)으로부터의 추가 거리는, 전방 솔 부분의 일부가 (언더컷(102)이 없는 전통적인 골프 클럽 헤드와 비교하여) 밸러스트(114) 아래에서 연장하도록 솔(110)의 더 얇은 전방 부분(132)이 (전체 전후방 솔 폭(front-to-rear sole width)에 대해) 효과적으로 신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방 솔 길이는 언더컷 접합부(130)와 페이스 평면(130)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길이의 효과적인 증가는 6% 내지 12% 범위이다. 예를 들어, 언더컷(102)은 전방 솔 부분(132)의 길이를 6% 내지 7%, 7% 내지 8%, 8% 내지 9%, 9% 내지 10%, 및 11% 내지 12% 증가시킬 수 있다. 솔(110)의 얇아진 전방 부분(132)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골프 클럽 헤드(100)에서 피크 응력 값을 감소시킨다. 언더컷(102)은 강성 연결부로 거동하기 보다는 타격면(106)과 밸러스트(114) 사이의 솔(110)의 전방 부분(132)이 임팩트 하중 하에서 더 크게 편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이스-솔 천이부(126)에서 응력을 완화시킨다. 전방 솔(132) 길이의 언더컷의 효과적인 증가는 솔의 전방 부분(132) 내에서 1000psi 내지 2000psi의 응력 감소를 위해 임팩트 하중이 분산되는 총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언더컷(102)은 전방 솔 부분(132) 내의 응력 집중을 이중으로 감소시키고 전방 솔 부분(132)의 굽힘/스프링 효과를 증대시킨다. 추가로, 언더컷(102)은 타격면(106) 내의 피크 응력 값을 2000psi 내지 3500psi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언더컷은 타격면에서의 피크 응력 값을 2000psi 내지 2100psi, 2100psi 내지 2200psi, 2200psi 내지 2300psi, 2300psi 내지 2400psi, 2400psi 내지 2500psi, 2500psi 내지 2600psi, 2600psi 내지 2700psi, 2700psi 내지 2800psi, 2800psi 내지 2900psi, 2900psi 내지 3000psi, 3100psi 내지 3200psi, 3200psi 내지 3300psi, 3300psi 내지 3400psi, 또는 3400psi 내지 3500psi 감소시킨다.
단독으로, 솔(110) 및 타격면(106)에서의 응력의 상기 감소는 골프 클럽 헤드(100)의 개선된 마모 수명으로 해석될 수 있다. 환언하면, 언더컷(102)이 있는 밸러스트(114)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100)는 언더컷이 없는 전통적인 골프 클럽 헤드보다 더 많이 타격될 수 있고 더 오래 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컷(102)을 포함하는 중공 바디 골프 클럽은 50히트(hits), 100히트, 150히트, 200히트, 250히트 또는 300히트의 실패 횟수 증가를 가질 수 있다. 주기적으로 하중을 받는 골프 클럽의 피로 파괴는 재료에 작은 균열이 형성되는 피크 응력 위치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한다. 균열은 다음에는 응력을 증폭시킨다. 따라서, 피크 응력이 감소된 골프 클럽 헤드(100)는 더 느린 속도로 균열 성장 및 궁극적인 피로 파괴를 경험한다.
대안적으로, 밸러스트(114) 및 언더컷(102)에 의해 달성된 응력 감소는 클럽 성능 및 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컷(102)을 갖는 밸러스트(114)는 얇아진 타격면(106)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언더컷(102)이 없는 골프 클럽 헤드의 타격면이 페이스-솔 천이부(face-to-sole transition)에서 피크 응력 레벨에 의해 구속되는 정도. 다시 말해서, 더 얇은 페이스로 기존 골프 클럽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없는데, 더 얇은 페이스로부터 추가된 응력으로 인해 임계 K 값을 초과하는 피크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골프 클럽 헤드(100)는 응력 감소를 위한 언더컷(102)을 갖는 밸러스트(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타격면(106)은 솔-페이스 천이부에서 임계 K 값을 초과하여 피크 응력 값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얇아질 수 있다.
얇기 감소(thinness reduction)는 페이스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컷 클럽의 페이스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이 페이스 영역의 두께는 0.080 내지 0.150인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페이스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페이스의 두께는 0.150인치, 0.140인치, 0.130인치, 0.120인치, 0.110인치, 0.100인치, 0.090인치, 또는 0.080인치일 수 있다. 언더컷 아이언 클럽의 페이스의 주변 토우 영역(perimeter toe region)에서, 페이스의 두께는 0.050 내지 0.090인치 범위일 수 있다. 주변 토우 영역에서 페이스의 두께는 0.050인치, 0.060인치, 0.065인치, 0.070인치, 0.071인치, 0.074인치, 0.076인치, 0.077인치, 0.079인치, 0.080인치, 0.082인치, 0.084인치, 0,086인치, 0.088인치 또는 0.090인치 일 수 있다. 언더컷 아이언 클럽의 힐 주변 단부에서 페이스의 두께는 0.045인치 내지 0.090인치 범위일 수 있다. 힐 주변 단부에서 페이스의 두께는 0.045인치, 0.050인치, 0.055인치, 0.060인치, 0.065인치, 0.070인치, 0.075인치, 0.080인치, 0.085인치, 또는 0.090인치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언더컷(102)을 갖는 밸러스트(114)는 페이스 두께를 0.003인치 감소시킨다. 다른 예에서, 언더컷(102)은 타격면(106)이 0.004인치, 0.005인치, 0.006인치, 0.007인치, 0.007인치, 0.008인치, 0.009인치, 또는 0.010인치 얇아지게 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미 얇은 타격면(106)에서, 이러한 감소는 대략 6%의 얇아짐 또는 0.5mph 내지 0.7mph의 공 속도 증가와 동등하다. 일부 예에서, 언더컷(102)은 타격면이 언더컷이 없는 골프 클럽 헤드의 타격면보다 3 내지 8% 더 얇아지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타격면(106)은 3% 더 얇아지고, 4% 더 얇아지고, 5% 더 얇아지고, 6% 더 얇아지고, 7% 더 얇아지거나, 또는 8% 더 얇아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언더컷 영역(128)은 밸러스트(114)로부터 제거된 질량을 나타내는 체적(146)을 갖는다. 밸러스트(114)는 골프 클럽 헤드(100)에 대한 무게 중심(CG)을 제어하기 위한 질량 패드로서 기능하여, 언더컷(102)은 클럽 헤드 무게 중심(CG)을 변경할 수 있다. 무게 중심(CG)은 타격면(106)의 기하학적 중심(126)에 대해 규정될 수 있다. 타격면(118)의 기하학적 중심(126)은 USGA의 골프 클럽헤드의 유연성 측정 절차(USGA-TPX3004, Rev. 1.0.0, 2008년 5월 1일)의 섹션 6.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http:// /www.usga.org/equipment/testing/protocols/ Procedure-For-Measuring-The-Flexibility-Of-A-Golf-Club-Head/) ("유연성 절차"). 전후방향 무게 중심(CG) 깊이(front-rear CG depth)(144)는 기하학적 중심(126)과 무게 중심(CG) 사이의 수평 거리로서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방향 무게 중심(CG) 깊이(144)는 0.080 내지 0.110인치 범위일 수 있다. 전후방향 무게 중심(CG) 깊이는 0.080인치, 0.082인치, 0.084인치, 0.086인치, 0.088인치, 0.090인치, 0.092인치, 0.094인치, 0.096인치, 0.098인치, 0.100인치, 0.105인치, 또는 0.110인치일 수 있다.
전후방향 무게 중심(CG) 위치에 대한 언더컷 페이스 깊이(146)의 비율은 3.0 내지 5.5로 제한된다. 예컨대, 상기 페이스 깊이 비율은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또는 5.0일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언더컷(102)은 무게 중심(CG) 위치가 손상될 정도로 밸러스트로부터 재료를 제거하지 않으면서 전방 솔 부분(132) 내의 피크 응력을 개선한다.
또한, 무게 중심(CG) 위치 때문에 언더컷은 클럽의 전체 MOI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호 직교하는 축(즉, x축, y축 및 z축)을 통해 무게 중심(CG)에서 좌표계가 규정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y-축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10)에 수직하게 상단 레일(112)로부터 솔(110)까지 헤드 무게 중심(CG)을 통해 연장한다. x-축은 힐(103)로부터 토우(105)까지 그리고 y-축에 수직으로 헤드 무게 중심(CG)을 통해 연장한다. z-축은 타격면(106)으로부터 후방 부분(108)까지 그리고 x-축 및 y-축에 수직으로 헤드 무게 중심(CG)을 통해 연장한다.
관성 모멘트는 x축 Ixx(즉, 상단 레일-솔 관성 모멘트(top rail-to-sole moment of inertia))을 중심으로, y축 Iyy (즉, 힐-토우 관성 모멘트)을 중심으로 그리고 z축(즉, 타격면-후방)을 중심으로 존재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는 95g·in2 내지 130g·in2의 상단 레일-솔 관성 모멘트 Ixx를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는 약 95g·in2 보다 큰, 약 98g·in2 보다 큰, 약 100g·in2 보다 큰, 약 102g·in2 보다 큰, 약 103g·in2 보다 큰, 약 104g·in2 보다 큰, 약 105g·in2 보다 큰, 약 106g·in2 보다 큰, 약 110g·in2 보다 큰, 약 115g·in2 보다 큰, 약 g·in2 보다 큰, 약 125g·in2 보다 큰, 약 130g·in2 보다 큰, 약 135g·in2 보다 큰, 약 140g·in2 보다 큰, 약 6750g·in2 보다 큰 또는 약 145g·in2 보다 큰 상단 레일-솔 관성 모멘트 Ixx를 포함한다. 또한, 많은 실시예에서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는 약 350g·in2 보다 큰, 약 36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37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38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39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0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1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20g·in2 보다 클 수 있는 또는 약 430g·in2 보다 클 수 있는, 힐-토우 관성 모멘트 Iyy를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는 350g·in2 내지 420g·in2의 힐-토우 관성 모멘트 Iyy를 포함한다. 또한, 언더컷이 있는 클럽 헤드는 약 400g·in2 보다 큰, 약 410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2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3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4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5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60g·in2 보다 클 수 있는, 약 470g·in2 보다 클 수 있는 또는 약 480g·in2 보다 클 수 있는, 타격면-후방 관성 모멘트 Izz를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는 400g·in2 내지 450g·in2 범위일 수 있는 타격면-후방 관성 모멘트 Izz를 포함한다. 골프 클럽 헤드의 언더컷은 언더컷이 없는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한 Ixx, Iyy 및 Izz 축의 관성 모멘트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다.
II.언더컷 및 캐스케이딩 솔
도 4a는 밸러스트(214), 언더컷(202), 및 솔(210)의 캐스케이딩 전방 부분(232)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골프 클럽 헤드(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골프 클럽 헤드(200)는 골프 클럽 헤드(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언더컷(202)을 통해 효과적으로 신장된 솔(210)의 얇은 전방 부분(232)을 포함한다. 골프 클럽 헤드(200)는 타격면(206), 타격면(206) 반대편의 후방 부분(208), 힐 부분(203), 힐 부분(203) 반대편의 토우 부분(205), 솔(210), 및 솔(210) 반대편의 상단 레일(212)에 의해 추가로 규정된다. 함께, 이들 구성요소는 내부 캐비티(204)가 있는 중공 바디 클럽을 규정한다. 후방 부분(206)은 내부 캐비티(204) 내에 위치된 밸러스트(214)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214)는 상단면(216), 전방면(218), 및 바닥면(220)을 포함한다. 밸러스트 바닥면(220)은 밸러스트 바닥면(120)과 유사하다. 윤곽이 형성된 바닥면(220)은 후방 부분(208)을 향해 만입되어 언더컷(202)을 생성한다.
도 4b는 도 4에 도시된 밸러스트(214) 및 솔(210)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솔(210)의 전방 부분(232)은 밸러스트(214)의 언더컷(202)으로부터 타격면(206)까지 연장한다. 솔의 전방 부분(232)은 내부 영역(260) 및 캐스케이딩 영역(262)을 더 포함한다. 캐스케이딩 영역(262)은 타격면(206)의 내부 표면과 솔(210)의 내부 표면 사이에 내부 반경 천이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캐스케이딩 영역(262)은 적어도 2개의 두께 계층 또는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 구조(tiered structure)는 전방 솔 부분(132)을 연속적으로 얇게 만들어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스케이딩 영역(262)은 2, 3, 4, 5, 6, 또는 7개의 계층을 갖는 내부 반경 천이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b를 참조하면, 캐스케이딩 영역(262)은 제1 계층(266), 제2 계층(268), 및 제1 계층(266)과 제2 계층(268) 사이의 계층 천이부(270)를 포함한다. 전방 솔 부분(232)의 캐스케이딩 영역(262)은 솔의 외부 표면(221)과 솔의 내부 표면(222)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두께는 캐스케이딩 영역(262)에 걸쳐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제1 계층(266)은 제1 계층(266) 내의 솔의 외부 표면(221)과 내부 표면(222)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규정되는 제1 두께(272)를 가질 수 있다. 제2 계층(268)은 솔의 외부 표면(221)과 내부 표면(222)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제2 계층(268) 내에 규정된 제2 두께(274)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두께(272)는 제2 두께(274)보다 커서, 캐스케이딩 영역(262)의 전체 두께는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감소한다. 제1 두께(272) 및/또는 제2 두께(274)는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계층 길이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두께(272) 및/또는 제2 두께(274)는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계층 길이에 걸쳐 두께가 감소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캐스케이딩 영역은 제1 계층(266), 제2 계층(268), 제3 계층(미도시), 및 제1 계층(266)과 제2 계층(268) 사이의 제1 계층 천이부(270), 및 제2 계층과 제3 계층 사이의 제2 계층 천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3개의 계층을 갖는 전방 솔 영역의 캐스케이딩 영역은 솔의 외부 표면과 솔의 내부 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그 두께는 캐스케이딩 영역에 걸쳐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감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계층은 제1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계층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계층은 제3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계층 두께처럼) 제3 계층 두께는 솔의 외부 표면과 솔의 내부 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더 크고, 차례로, 제2 두께는 제3 두께보다 더 커서, 캐스케이딩 영역(262)의 전체 두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감소한다. 제1 두께 및/또는 제2 두께 및/또는 제3 두께는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계층 길이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두께 및/또는 제2 두께 및/또는 제3 두께는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계층 길이에 걸쳐 두께가 감소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제1 계층의 후방 가장자리와 제2 계층의 전방 가장자리 사이의 계층 천이부(270)는 제1 두께(272)와 제2 두께(274) 사이의 캐스케이딩 영역 두께를 지속적으로(steadily) 감소시키도록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의 계층 천이부(즉, 제1 계층과 제2 계층 사이의 제1 천이부, 제2 계층과 제3 계층 사이의 제2 천이부)가 있는 캐스케이딩 영역에서, 이들 천이부는 제1 두께, 제2 두께 및 제3 두께(또는 제1 계층, 제2 계층 및 제3 계층) 사이의 캐스케이딩 영역 두께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4b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계층 천이부(270)는 인접한 제1 계층(266)과 제2 계층(268) 사이에서 45도 미만의 각도로 선형으로 기울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층 천이부(270)는 10도 내지 45도 미만의 범위의 각도로 선형으로 기울어진다. 선형 기울어짐은 5도 내지 10도, 10도 내지 15도, 15도 내지 20도, 20도 내지 25도, 25도 내지 30도, 30도 내지 40도, 또는 40도 내지 45도에서 점진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계층 천이부(270)는 더 가파르고 계단과 더 유사할 수 있다. 예컨대, 천이부는 45도 내지 50도, 50도 내지 55도, 55도 내지 60도, 60도 내지 65도, 또는 65도 내지 70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솔 부분(232)은 캐스케이딩 영역(262)과 밸러스트 언더컷(202) 사이에 내부 영역(260)을 더 포함한다. 균일한 내부 영역(260)은 또한 솔(221)의 외부 표면과 솔(222)의 내부 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규정되는 내부 두께(276)를 포함한다. 내부 두께(276)는 인접 계층의 두께, 또는 캐스케이딩 영역(262) 내의 최종 계층의 두께보다 작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두께(276)는 제2 두께(274)보다 작다.
계속해서 도 4b를 참조하면, 전방 솔 부분(232)의 내부 영역(260)은 언더컷(202)을 포함하는 밸러스트(214)에 의해 효과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밸러스트(214)는 밸러스트(114)의 기하 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다. 밸러스트 바닥면은 언더컷(202), 언더컷 천이부(241), 및 언더컷 접합부(230)를 포함하는 언더컷 영역(228)을 규정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영역(260)은 언더컷(20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언더컷 영역(228)은 언더컷(202) 및 언더컷 영역(228)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언더컷 영역(228)은 또한 전방 솔 부분(232) 내의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고, 전방 솔 부분(232)의 굽힘/스프링 효과를 증대시킨다.
많은 실시예에서, 캐스케이딩 솔(262) 및 언더컷(202)으로부터의 성능 향상은 복합적이다. 환언하면, 중공 바디 클럽(202)과 같이, 캐스케이딩 영역 및 언더컷(202)을 모두 갖는 골프 클럽 헤드는 캐스케이딩 영역 또는 언더컷 중 하나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보다 피크 응력의 감소가 더 크다. 전방 솔 부분(232) 내의 피크 응력의 감소는 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수정에 대한 영역의 허용도(tolerance)를 증대시킨다. 구체적으로, 언더컷(202)에 의해 규정되고 캐스케이딩 영역을 포함하는 전방 솔 영역(232)을 포함하는 중공 바디 클럽(200)은 (언더컷 및 캐스케이딩 솔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없는 중공 바디 클럽과 비교하여) 더 얇은 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공 속도와 비거리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컷(202) 및 캐스케이딩 솔(242)은 솔(232)의 전방 부분을 보다 반응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강성을 유지하기 보다는, 전방 부분(232)은 얇게 될 수 있어, 전방 부분(232)은 임팩트 하중 하에서 스프링처럼 거동한다. 이는 골프 클럽 헤드(200)가 스윙 에너지를 골프 공으로 전달하는 데 보다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솔의 전방 부분(232)의 평균 두께 감소를 통한 공 속도의 궁극적인 증가는 페이스-솔 천이부(226)에서의 응력 감소의 결과이다. 언더컷과 캐스케이딩 솔은 함께 작동하여 전방 부분(232)에서의 응력의 흐름을 개선함으로써, 임팩트 시 응력 집중 수준을 감소시킨다.
예 1: 중공 바디 아이언의 언더컷 연구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밸러스트 및 언더컷은 클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골프 클럽 헤드에 단독으로 그리고 캐스케이딩 솔과 같은 다른 특징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예에서는, 언더컷이 없는 골프 클럽 헤드(골프 클럽 A, 이하 "클럽 A"),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골프 클럽 B, 이하 "클럽 B"), 언더컷이 없고 캐스케이딩 솔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골프 클럽 C, 이하 "클럽 C"), 언더컷 및 캐스케이딩 솔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골프 클럽 D, 이하 "클럽 D")를 비교하여, 언더컷(102)에 의한 성능 향상을 연구하였다. FEA(유한 요소 분석)를 이용하여 성능 향상을 측정하고 분석했다. 특히, FEA는 전방 부분 내의 피크 응력 값을 측정하는 데 이용하였다. 피크 응력을 경험하는 측정된 표면적과 함께 평균 피크 응력을 이용하여 각 클럽이 임팩트 에너지를 다시 공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잠재성을 결정했다. 평균 피크 응력의 감소는 페이스 얇아짐 및 솔 얇아짐을 통한 잠재적인 성능 향상 및 개선된 내구성에 대한 지표 역할을 한다.
동일한 전체 질량, 재료 구조 및 로프트 각도를 갖는 클럽 A, B, C 및 D 각각의 예는 실질적으로 유사했다. 각 클럽의 임팩트 하중은 105mph에서 시뮬레이션하였다. 클럽 각각의 예는 상기한 고유의 내부 캐비티 구성을 포함한다. 솔의 전방 부분 내에서 타격면과 밸러스트 사이의 평균 피크 응력을 각 예에 대해 계산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예에 대해 평균 피크 응력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예에 대해 타격면에서의 평균 피크 응력을 계산했다. 표 1은 이하에서 논의되는 각각의 클럽 예에 대한 피크 페이스 응력, 전방 솔 부분의 피크 응력 및 솔의 전방 부분 내의 피크 응력 면적을 보여준다. 응력 값은 페이스와 솔의 얇아짐을 통해 언더컷이 클럽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었다. 클럽 A는 클럽 B와 비교하였다. 클럽 C는 클럽 D와 비교하였다. 컨트롤 클럽 헤드는 클럽 헤드 예와 유사하지만 응력 해소 특징은 없다.
피크 페이스 응력 피크 전방 솔 응력
클럽 A 218469psi 158169psi
예 1: 217117psi 156858psi
예 2: 213311psi 155419psi
예 3: 209851psi 154689psi
클럽 A
클럽 A는 모든 응력 완화 특징이 없는 종래 기술의 골프 클럽 헤드를 대표하며 도 5와 유사했다. 전통적인 중공 바디 골프 클럽 헤드의 대표로서 클럽 A는, 언더컷이 없고 캐스케이딩 솔이 없는 밸러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언더컷이 없으면 솔의 전방 부분과 밸러스트가 거의 직각으로 만났다. 마찬가지로, 캐스케이딩 솔이 없으면, 타격면이 솔의 전방 부분으로 원활하게 천이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EA 해석을 이용하여 Club A의 타격면 내 최대 응력 값을 계산했다. 105mph 임팩트 하중 하에서, 타격면의 최대 응력은 218469psi였다. 동일한 임팩트 하중 하에서, 타격면의 전방 부분은 157440psi의 최대 응력을 나타냈다.
클럽 B
클럽 B는 언더컷 응력 해소 특징이 있는 중공 바디 골프 클럽 헤드를 대표하였다. 중공 바디 Club B는 Club A와 유사하지만, Club B는 응력 해소 특징으로서 언더컷을 포함했다. 언더컷은 직각으로 만나는 대신 솔의 전방 부분이 밸러스트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도록 했다. 예 1의 언더컷은 0.065인치의 깊이, 0.083인치의 높이, 0.185인치의 언더컷 천이부 높이 및 1.16인치를 포함하였다.
피크 페이스 응력, 피크 전방 솔 응력 및 피크 응력 면적에 대한 값은 FEA 분석 및 105mph에서 골프 공의 시뮬레이션된 충격으로 결정하였다. 피크 페이스 응력은 217117psi이고 피크 전방 솔 응력은 156257psi였다. 클럽 A와 비교할 때, 언더컷은 타격면 내의 피크 응력을 1352psi 감소시켰고 솔의 전방 부분 내의 피크 응력을 1183psi 감소시켰다. 이 클럽은 밸러스트와 언더컷이 타격면과 솔의 전방 부분이 더 많은 스트레인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클럽 B가 향상된 내구성과 임팩트 하중에 대한 향상된 스프링 응답을 나타냈어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럽 C
중공 바디 Club C는 캐스케이드만 있는 솔의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클럽 헤드를 대표했다. 클럽 C는 클럽 A 및 B와 유사했지만 응력 해소의 단일 형태로서 캐스케이딩 솔을 포함하였다. 페이스로부터 솔로의 천이부는 제1 계층, 제2 계층 및 제1 계층과 제2 계층 사이의 계층 천이부를 포함하였다. 제1 계층은 제1 계층 두께 및 제1 계층 두께보다 작은 제2 계층 두께를 갖고 있었다. 계층 천이부는 제1 계층 두께를 제2 계층 두께로 점진적으로 천이시키도록 경사졌다. 이 예는 언더컷을 포함하지 않았고, 솔의 전방 부분과 밸러스트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만났다.
다시 표 1을 참조하면, 예 2의 중공 바디 골프 클럽 헤드는 213311psi의 피크 페이스 응력 또는 타격면 내에서 5158psi의 피크 응력 감소를 나타내었다. 예 2의 클럽은 154742psi(제곱인치당 파운드)의 피크 전방 솔 응력 또는 2698psi의 피크 전방 솔 응력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 예는 캐스케이딩 솔이 임팩트 하중 하에서 개선된 내구성 및 스프링 응답성을 위해 스트레인 에너지 저장 증대를 통해 응력을 감소시켰음을 보여주었다.
클럽 D
클럽 D(도 6 참조)는 타격면과 전방 솔 부분에 대한 응력 완화를 위한 두 가지 형태로서 언더컷과 캐스케이딩 솔을 포함한다. 밸러스트는 언더컷을 포함하여, 밸러스트 아래의 전방 솔 부분을 효과적으로 신장시켰다. 캐스케이딩 솔은 제1 계층, 제2 계층, 제1 계층과 제2 계층 사이의 계층 천이부를 포함하였다. 제1 계층은 제1 계층 두께를 포함하고 제2 계층은 제1 계층 두께보다 작은 제2 계층 두께를 포함하였다. 계층 천이부는 제1 계층 두께를 제2 계층 두께로 점진적으로 천이시키도록 경사졌다.
클럽 D는 105mph에서의 시뮬레이션한 공 임팩트 하에서 FEA 분석을 하였다. 피크 페이스 응력은 209851psi이었으며, 타격면에서의 피크 응력 감소는 8618psi였다. 즉, 클럽 D는 타격면 내에서 피크 응력이 4% 감소했다. 전방 솔 부분의 피크 응력은 154689psi였다. 전방 솔 부분은 Club A로부터 3480psi의 피크 응력 감소 또는 2.2%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 예는 언더컷과 캐스케이딩 솔이 함께 작용하여 피크 응력을 감소시켰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예는 솔의 전방 부분이 피로 파괴에 도달하지 않으면서 추가 하중을 견딜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 예는 전방 솔 부분의 하중 능력에 맞게 페이스와 솔을 얇게 함으로써 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각 클럽 헤드에서 전방 솔 부분의 피크 응력은 솔과 페이스 두께를 조정할 수 있는 잠재성과 그에 따른 공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전방 솔 부분의 피크 응력을 전방 솔 부분의 임계 K 항복 응력 값과 비교했다. 타격면과 솔이 두꺼워져야 함을 나타내는 응력은 내부 캐비티 구성이 공 속도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신호였다. 타격면과 솔이 얇아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응력은 내부 캐비티 구성이 공 속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신호였다.
Club A와 Club B를 156ksi의 임계 K 값에 대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언더컷이 없는 클럽 A의 피크 응력은 158169psi였다. 이 피크 응력 값은 156ksi를 초과하지 않는 응력 값을 달성하기 위해 솔과 페이스는 약 2.5% 두꺼워져야 함을 시사한다. 두꺼워진 페이스와 솔은 공 속도를 저하시키는 내부 캐비티 구성을 나타낸다. 언더컷을 포함하는 클럽 B는 전방 솔 부분의 피크 응력을 개선했다. 클럽 B의 최대 응력은 156868psi였다. 클럽 B의 더 낮은 피크 응력은 클럽 B가 클럽 A의 솔과 페이스보다 솔과 페이스를 덜 두껍게 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수정 후 클럽 B와 언더컷이 언더컷이 없는 클럽 A보다 더 나은 공 속도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유사하게, Club C와 Club D를 156ksi의 동일한 임계 K 값에 대해 서로 비교하였다. 캐스케이딩 솔이 있고 언더컷이 없는 Club C의 피크 응력은 155416psi였다. 임계 K 응력보다 약간 작은 피크 응력을 갖는 클럽 C는 공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저하시키기 위한 수정이 필요하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약간 더 낮은 피크 응력은 Club C의 캐스케이딩 솔이 내구성을 증가시켰음을 나타낸다. 클럽 D는 캐스케이딩 솔과 함께 언더컷을 포함했으며, 154689psi의 피크 응력을 나타내었다. 클럽 D는 언더컷이 피크 응력을 추가로 감소시켰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응력 감소는 클럽 D가 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얇아지는 것을 견딜 수 있는 페이스와 솔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Club A와 Club B의 비교와 Club C와 Club D의 비교는 언더컷이 솔의 전방 부분 내에서 피크 응력을 감소시켰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언더컷이 중공 바디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되어 페이스와 솔을 얇게 하기 위해 응력 감소를 활용함으로써 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예 2: 언더컷이 있는 클럽 성능
제2 예에서, 언더컷의 성능 이점을 연구하기 위해 실제 클럽의 플레이어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이 예에서, 언더컷이 포함된 7번 아이언을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과 비교하였다. 언더컷이 있는 7번 아이언의 솔과 페이스를 최적화하고 두께를 줄였다. 각 골프 클럽에서 700개 이상의 샷을 촬영하여 공 속도, 런치 앵글 및 스핀 속도를 분석했다.
도 7은 언더컷이 있는 7번 아이언과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의 평균 공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언더컷이 있는 아이언의 평균 공 속도는 119.7mph였다. 언더컷이 없는 아이언의 평균 공 속도는 118.7mph였다. 도 8은 언더컷이 있는 7번 아이언과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의 평균 수직 런치 앵글을 비교한 것이다. 데이터에 따르면 언더컷이 있는 7번 아이언과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의 런치 앵글이 실질적으로 비슷했다. 도 9는 언더컷이 있는 동일한 7번 아이언과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의 평균 스핀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의 평균 스핀 속도는 6079.9rpm였다. 언더컷이 있는 7번 아이언은 5990.6rpm으로 평균 스핀이 감소했다.
마지막으로, 언더컷이 있는 7번 아이언의 스탯 면적(stat area)(데이터는 미도시)을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과 비교했다. 스탯 면적 데이터는 직선 샷으로부터의 좌우 편차에 따른 샷 거리를 플롯팅하여 각 골프 클럽 헤드의 일관성을 결정하는 데에 이용하였다. 언더컷이 없는 7번 아이언은 거리 편차가 20m, 언더컷이 있는 7번 아이언은 거리 편차가 14m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언더컷 7번 아이언이 더 일관된 거리의 샷을 생성했다.
예 2의 플레이어 결과는 언더컷의 성능 이점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에 따르면, 언더컷이 7번 아이언과 같은 낮은 로프트 골프 클럽 헤드에서 스핀을 감소시키고 공 속도를 향상시켜 거리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로프트 골프 클럽에서 감소된 스핀은 더 길고 낮은 로프트 골프 클럽에 대한 기대와 거리 요구 때문에 선호되었다. 이 예는 또한 언더컷이 있는 아이언의 더 타이트한 스탯 면적을 강조하였고 언더컷 아이언이 거리에 대해 더 일관되게 수행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예 3: 언더컷을 이용한 습한 상태 성능 및 건조 상태 성능
제3 예에서, 다양한 잔디 조건에서 언더컷의 성능 이점을 연구하는 데에 실제 클럽의 플레이어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이 예에서, 언더컷을 포함하는 피칭 웨지(pitching wedge)를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언더컷이 없는 피칭과 비교하였다. 각각의 골프 클럽을 습한 상태와 건조한 상태에서 타격하여 평균 런치 앵글, 스핀 속도, 공 속도 값을 측정하였다.
도 10은 습한 상태 및 건조한 상태 모두에서, 언더컷이 있는 웨지와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런치 앵글을 비교한 것이다. 언더컷이 있는 웨지는 건조한 상태에서 평균 런치 앵글이 24.0도, 습한 상태에서 평균 런치 앵글이 24.5도였다. 언더컷이 없는 웨지는 건조한 상태에서 평균 런치 앵글이 23.6도, 습한 상태에서 평균 런치 앵글이 25.1도였다. 따라서, 언더컷이 있는 웨지와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런치 앵글은 습한 상태에서 비슷했다.
도 11은 습한 상태 및 건조한 상태 모두에서, 언더컷이 있는 동일한 웨지와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스핀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언더컷이 있는 웨지는 건조한 상태에서 평균 스핀 속도가 8617rpm(분당 회전 수), 습한 상태에서 평균 스핀 속도가 8031rpm이었다. 언더컷이 없는 웨지는 습한 상태에서 평균 회전 속도가 8310rpm, 회전 속도가 7144rpm이었다. 따라서, 언더컷이 있는 웨지는 스핀 속도를 증가시켜 습한 상태 및 건조한 상태 모두에서 언더컷 웨지에 대해 더 나은 잔디 상호 작용을 나타내었다.
도 12는 언더컷이 있는 웨지와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공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언더컷이 있는 웨지는 건조한 상태에서 평균 공 속도가 97.3mph(시간당 마일), 습한 조건에서 평균 공 속도가 96.9mph이었다. 언더컷이 없는 웨지는 건조한 상태에서 평균 공 속도가 97.4mph, 습한 조건에서 평균 공 속도가 96.9mph이었다. 언더컷이 있는 웨지와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공 속도는 습한 상태와 건조한 상태 모두에서 비슷했다.
위의 데이터는 언더컷이 있는 피칭 웨지가 언더컷이 없는 웨지보다 다양한 잔디 조건에서 더 일관되게 수행하였음을 보여준다. 언더컷이 있는 웨지의 런치 앵글은 습한 상태와 건조한 상태 사이에서 0.5도 변한 반면,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런치 앵글은 1.5도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런치 앵글은 언더컷이 있는 웨지보다 3배 이상 변동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유사하게, 언더컷이 있는 웨지에서 나오는 볼의 스핀 속도는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스핀 속도보다 더 일관되었다. 스핀 속도는 언더컷이 있는 웨지의 경우 건조한 상태와 습한 상태 사이에서 단지 586 rpm 변동한 반면, 언더컷이 없는 웨지의 경우 건조한 상태 및 습한 상태 사이에서 스핀 속도는 1166 rpm 변동하였다. 웨지-타입 골프 클럽의 목적은 날씨 상태에 관계없이 그린에서 일관되게 공을 전달하는 것이므로, 언더컷 웨지의 습한 상태와 건조한 상태에서의 일관된 스핀 속도가 선호되었다. 언더컷이 있거나 없는 웨지의 공 속도는 실질적으로 유사했다.
골프 규칙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예컨대, 골프 표준 협회 및/또는 관리 단체에 의해 새로운 규정이 채택되거나 또는 오래된 규칙이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음), 본원에서 설명한 방법, 장치 및/또는 제품에 관련된 골프 장비는 임의의 특정 시점에서 골프 규칙에 부합하거나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설명한 방법, 장치 및/또는 제품에 관련된 골프 장비는 부합하거나 부합하지 않은 골프 장비로서 광고, 판매 목적으로 제공 및/또는 판매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한 방법, 장치 및/또는 제품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순서의 작용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작용은 다른 시간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둘 이상의 작용은 순차적으로, 동시에 또는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둘 이상의 작용이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작용이 전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원에서 설명한 장치, 방법 및 제품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다양한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추가로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따르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내에서 공지되고 관례적인 시행 내에 있는, 본 개시로부터의 그러한 이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개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0)

  1.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 캐비티를 규정하는 중공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바디는,
    타격면;
    힐 부분;
    상기 힐 솔 반대편의 토우 부분;
    전방 솔 부분 및 후방 솔 부분을 포함하는 솔;
    실질적으로 상기 힐 영역으로부터 토우 영역까지 연장하는 중실 밸러스트(solid ballast)로서, 중실 밸러스트 영역은 밸러스트 상단면, 밸러스트 전방면, 및 밸러스트 바닥면을 포함하는 중실 밸러스트;
    상단 레일; 및
    상기 상단 레일과 상기 솔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내부 캐비티의 상기 타격면과는 반대측에서 연장하는 후방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 바닥면은 언더컷을 규정하도록 상기 후방 부분을 향해 윤곽이 형성되고,
    상기 언더컷은,
    바닥 가장자리;
    상단 가장자리;
    언더컷 접합부;
    힐 단부;
    토우 단부;
    0.300인치의, 페이스 평면과 언더컷 접합부 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된 페이스 깊이;
    0.080인치 내지 0.090인치의, 상기 언더컷 바닥 가장자리와 상기 언더컷 상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 언더컷 높이; 및
    0.018입방인치의 언더컷 체적
    을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은 상기 전방 솔 부분에서의 응력을 1000psi 내지 2000psi만큼 완화하도록 구성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은 상기 힐 단부와 상기 토우 단부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 언더컷 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 길이는 1.00인치 내지 1.25인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은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은 상기 전방 부분의 길이를 7% 내지 8% 연장하도록 0.065인치의 깊이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캐스케이딩 솔(cascading sole)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스케이딩 솔은 상기 타격면으로부터 상기 솔까지의 내부 천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천이 영역은, 제1 두께를 포함하는 제1 계층(tier), 상기 제1 두께와는 상이한 제2 두께를 포함하는 제2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과 상기 제2 계층 사이의 계층 천이 영역(tier transition region)을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천이 영역은 제3 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천이 영역은 45도 미만의 각도로 선형으로 경사지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천이 영역은 10도 내지 45도 미만의 범위의 각도로 선형으로 경사지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 전방 평면과 상기 언더컷 접합부 사이의 언더컷 깊이는 0.010인치 내지 0.100인치의 범위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면의 내부 표면과 상기 언더컷 접합부 사이에서 수직으로 측정된 언더컷 페이스 깊이는 0.200인치 내지 0.500인치의 범위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0. 제1항에 있어서, 무게 중심(CG) 깊이는 0.096인치이고, Ixx로부터의 MOI Ixx 범위는 95g·cm2 내지 130g·cm2 범위일 수 있고, 힐-토우 관성 모멘트 Iyy는 350g·cm2 내지 420g·cm2 범위일 수 있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KR1020227040035A 2020-04-21 2021-04-21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KR20230002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3341P 2020-04-21 2020-04-21
US63/013,341 2020-04-21
PCT/US2021/028502 WO2021216788A1 (en) 2020-04-21 2021-04-21 Golf club heads with internal undercu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786A true KR20230002786A (ko) 2023-01-05

Family

ID=7808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035A KR20230002786A (ko) 2020-04-21 2021-04-21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58373B2 (ko)
EP (1) EP4139010A4 (ko)
JP (1) JP2023522941A (ko)
KR (1) KR20230002786A (ko)
GB (2) GB2608974B (ko)
WO (1) WO2021216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0772S1 (en) * 2019-12-16 2021-09-14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
KR20230002786A (ko) * 2020-04-21 2023-01-05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USD947970S1 (en) * 2020-07-08 2022-04-0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TWI824953B (zh) * 2021-01-22 2023-12-01 美商卡斯登製造公司 具有l形打擊面板和動態高擊特徵的高爾夫球桿頭
WO2024040084A1 (en) * 2022-08-15 2024-02-22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l-shaped faceplate and weight pad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2040A (en) 1958-10-15 1961-12-05 Allied Chem Process for n-alkylation of indoles
JP3399896B2 (ja) * 2000-01-28 2003-04-21 美津濃株式会社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2143356A (ja) * 2000-11-07 2002-05-21 Mizuno Corp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6849005B2 (en) 2002-01-22 2005-02-01 Rife Guerin Dubose Iron type golf club
US6852041B1 (en) 2003-07-23 2005-02-08 Fu Sheng Industrial Co., Ltd. Golf club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083531B2 (en) 2004-07-29 2006-08-01 Callaway Golf Company Iron-type golf club
US7247811B2 (en) 2005-09-14 2007-07-24 Nelson Precision Casting Co., Ltd. Plasma welding method for a golf club head
JP2008080095A (ja) * 2006-08-31 2008-04-10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731604B2 (en) 2006-10-31 2010-06-08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iron head
JP5172438B2 (ja) 2007-04-09 2013-03-27 株式会社遠藤製作所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
US7662051B2 (en) * 2007-09-11 2010-02-16 Cindy Rhodes Golf head
JP2009066265A (ja) * 2007-09-14 2009-04-02 Seiki Chin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353785B2 (en) 2009-04-23 2013-01-1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8088025B2 (en) * 2009-07-29 2012-01-03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8282506B1 (en) 2009-09-18 2012-10-09 Callaway Golf Company Iron-type golf club head with rear cavity with undercut
US8475293B2 (en) * 2010-09-13 2013-07-02 Acushnet Company Iron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performance
JP2012065803A (ja) * 2010-09-22 2012-04-05 Sri Sports Ltd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211451B1 (en) * 2012-04-19 2015-12-15 Callaway Golf Company Weighted golf club head
US9586105B1 (en) * 2012-04-19 2017-03-07 Callaway Golf Company Weighted golf club head
US9044653B2 (en) 2012-06-08 2015-06-02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Iron type golf club head
US8821313B1 (en) * 2012-09-14 2014-09-02 Callaway Golf Company Iron-type golf club head
US9802089B2 (en) * 2013-03-15 2017-10-31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Iron type golf club head and set
JP5850586B2 (ja) 2013-09-11 2016-02-03 美津濃株式会社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
US9937395B2 (en) * 2013-11-12 2018-04-10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9492722B2 (en) * 2013-11-12 2016-11-1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20180236325A1 (en) * 2014-02-20 2018-08-23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20180236323A9 (en) * 2014-02-20 2018-08-23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11235211B2 (en) * 2014-02-20 2022-02-01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10478684B2 (en) * 2014-02-20 2019-11-19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10596425B2 (en) 2014-02-20 2020-03-24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9533201B2 (en) * 2014-08-25 2017-01-03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10729948B2 (en) * 2014-02-20 2020-08-04 Parsond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10874921B2 (en) * 2014-02-20 2020-12-29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9764208B1 (en) * 2016-05-31 2017-09-19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JP6405710B2 (ja) 2014-05-29 2018-10-1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60045792A1 (en) * 2014-08-15 2016-02-18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US11185747B2 (en) * 2014-10-24 2021-11-30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open back cavity
US11027177B2 (en) * 2014-10-24 2021-06-0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s with energy storage characteristics
TWI581835B (zh) * 2014-10-24 2017-05-11 卡斯登製造公司 具有能量儲存特性的高爾夫球桿頭及其製作方法
GB2569402B (en) * 2015-01-05 2019-09-11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JP5852756B1 (ja) * 2015-02-26 2016-02-0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071291B2 (en) * 2015-05-11 2018-09-1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irons with sealed undercut
US9675852B2 (en) * 2015-07-29 2017-06-13 Callaway Golf Company Iron-type golf club head
JP6693175B2 (ja) 2016-02-29 2020-05-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300352B2 (en) * 2016-03-01 2019-05-2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Iron-type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WO2017197242A1 (en) 2016-05-12 2017-11-1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having a detached faceplate
US10821338B2 (en) 2016-07-26 2020-11-03 Acushnet Company Striking face deflection structures in a golf club
US11202946B2 (en) * 2016-07-26 2021-12-21 Acushnet Company Golf club having a damping element for ball speed control
US10220272B2 (en) * 2016-08-31 2019-03-05 Acushnet Company Iron golf club with badge
US20180056146A1 (en) * 2016-08-31 2018-03-01 Acushnet Company Iron golf club with badge
US10543409B2 (en) 2016-12-29 2020-01-28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10625126B2 (en) * 2016-12-29 2020-04-21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JP7138413B2 (ja) * 2017-04-14 2022-09-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335375B2 (ja) * 2017-08-01 2018-05-30 キャラウェイ・ゴルフ・カンパニ 重り付き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039965B1 (en) * 2017-11-22 2018-08-07 Callaway Golf Company Iron-type golf club head with damping features
US10413789B1 (en) * 2017-11-22 2019-09-17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face damping and stress-reduction features
US20190275390A1 (en) * 2017-12-06 2019-09-12 Acushnet Company Multi-material golf club head
US10166444B1 (en) 2017-12-29 2019-01-01 Acushnet Company Golf club with removable face
TWI671100B (zh) * 2018-07-27 2019-09-11 明安國際企業股份有限公司 低重心高爾夫球桿頭
WO2020077279A1 (en) 2018-10-12 2020-04-1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Iron-type golf club head with flex structure
JP6645569B1 (ja) * 2018-12-27 2020-02-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135486B2 (en) 2019-03-01 2021-10-0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US11458374B2 (en) * 2019-05-10 2022-10-04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11406882B2 (en) * 2019-05-10 2022-08-0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Iron-type golf club head
KR20230002786A (ko) * 2020-04-21 2023-01-05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2941A (ja) 2023-06-01
GB202216073D0 (en) 2022-12-14
EP4139010A1 (en) 2023-03-01
US20230023428A1 (en) 2023-01-26
GB2608974B (en) 2024-03-20
US20210322839A1 (en) 2021-10-21
GB2608974A (en) 2023-01-18
GB202400984D0 (en) 2024-03-13
WO2021216788A1 (en) 2021-10-28
US11458373B2 (en) 2022-10-04
EP4139010A4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2786A (ko) 내부 언더컷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JP6923550B2 (ja) フェースプレートの変形を制限するためのサポート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795102B2 (en) Iron-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with a wide sole
JP3748797B2 (ja) マルチ半径フェースを備えた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938736B2 (en) Set of golf clubs
US20100331097A1 (en) Iron-type golf clubs
US5738596A (en) Iron-type golf clubhead
US20060025234A1 (en) Golf club head weight adjustment member
US20020013180A1 (en) Wood club head
US20110034272A1 (en) Golf club head with localized grooves and reinforcement
JP2004008345A (ja) ゴルフクラブ
US10252121B2 (en) Golf club heads with face deflection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US11235208B2 (en) Golf club head
US11717730B2 (en) Golf club heads with energy storage characteristics
JP200016708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2033001A (ja) 改善されたアイアンタイプ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1231896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925840B2 (en) Golf club head
US11666805B2 (en) Golf club head
JP3641173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5073780A (ja)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及び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20230277904A1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168998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JPWO2020006310A5 (ko)
JP426254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