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04A -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04A
KR20230001304A KR1020210084026A KR20210084026A KR20230001304A KR 20230001304 A KR20230001304 A KR 20230001304A KR 1020210084026 A KR1020210084026 A KR 1020210084026A KR 20210084026 A KR20210084026 A KR 20210084026A KR 20230001304 A KR20230001304 A KR 2023000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unit
capsule
kiosk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071B1 (ko
Inventor
송일섭
송성은
Original Assignee
송일섭
송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일섭, 송성은 filed Critical 송일섭
Priority to KR102021008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0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커피캡슐을 가지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따라 이송되도록 구비된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 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맞게 공급되도록 하는 키오스크부;를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다수개의 커피캡슐을 가지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따라 이송되도록 구비된 공급부와, 공급부에 결합되어 커피캡슐 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커피캡슐이 필요에 맞게 공급되도록 하는 키오스크부가 구비됨으로써, 커피캡슐을 무인으로 결재하여 원하는 커피캡슐을 구매하여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맞는 커피캡슐을 선택하여 구매와 결재를 완료하게 하고 관리자는 상품의 재고파악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의 이용 편의성을 높여 매출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리자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기존의 커피카페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임대료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Coffee capsul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캡슐이 필요에 알맞게 공급되도록 하는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상 및 사회생활이 진보 발전하여 손쉽게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원두커피가 개별 포장된 커피캡슐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필요에 맞게 커피캡슐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최근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 곳곳에서 무인화 시설들이 증가하고 있고 현재는 CCTV, 통신장치, 경보장치, 화재감지장치와 같은 감시, 경보, 감지장치의 발달로 인해 과거에 비해 훨씬 효율적으로 무인화 시설을 구비할 수 있는 기술수준이 되었다.
이에 따라 필요에 맞게 커피캡슐을 무인으로 결재하여 필요에 맞게 커피캡슐을 구매하여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1279호 (고안의 명칭 :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본 발명은 필요에 맞는 커피캡슐을 선택하고 키오스크를 통해 커피캡슐을 무인으로 결재하여 원하는 커피캡슐을 구매하여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커피캡슐을 가지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따라 이송되도록 구비된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 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맞게 공급되도록 하는 키오스크부;를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커피캡슐이 저장된 캡슐저장부와, 상기 캡슐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캡슐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저장부는, 상기 캡슐이송부와 결합되는 저장본체부와, 상기 저장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다수개로 전방에서 상하로 수납되는 다수개의 카트리지부와, 다수개의 상기 카트리지부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을 지지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저장부는, 상기 지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커피캡슐을 내리고자 사용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캡슐이송부는, 상기 커피캡슐 저장부와 결합되는 캡슐이송본체부와, 상기 캡슐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캡슐이송본체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이송프레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품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상부 키오스크부와, 상기 상부 키오스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입구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하부 키오스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키오스크부는,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와 결합되는 상부 키오스크 본체부와,
상부 키오스크 본체부에 설치되는 사용자에게 구매 가능한 상기 커피캡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커피캡슐에 대한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결재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는, 상기 커피캡슐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상기 입구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제1키오스크부와, 상기 제1키오스크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결제완료를 전달받은 후에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제2키오스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키오스크부는, 제1키오스크본체와, 상기 제1키오스크본체 내부의 입구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상기 입구로 이송된 상기 커피캡슐이 보관되는 보관부와, 상기 보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결제완료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2키오스크부로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도록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는, 상기 제1키오스크부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상기 제1키오스크부로 이동하는 상기 커피캡슐의 개수를 인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캡슐이송부는, 외부에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커피캡슐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캡슐이송부는, 상기 캡슐이송본체부의 전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외곽테두리부와, 외곽테두리부의 내부에 한 쌍으로 결합되는 내곽테두리부와, 상기 내곽테두리부의 내측에 격자형상으로 구비된 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의 사이에 커피캡슐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다수개의 커피캡슐을 가지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따라 이송되도록 구비된 공급부와, 공급부에 결합되어 커피캡슐 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커피캡슐이 필요에 맞게 공급되도록 하는 키오스크부가 구비됨으로써, 커피캡슐을 무인으로 결재하여 원하는 커피캡슐을 구매하여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맞는 커피캡슐을 선택하여 구매와 결재를 완료하게 하고 관리자는 커피캡슐의 재고파악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의 이용 편의성을 높여 매출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리자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기존의 커피카페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임대료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캡슐저장부의 좌측면도로서, 사용자가 작동부를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하부키오스크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 키오스크부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결재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트리지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커피캡슐이 저장된 카트리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100)는 공급부(110), 키오스크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다수개의 커피캡슐(113d)을 가지며, 상기 커피캡슐(113d)이 필요에 따라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11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키오스크부(120)는 상기 공급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113d)의 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미도시)를 제공하며 상기 커피캡슐(113d)이 필요에 맞게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키오스크부(120)는 한 쌍의 상기 공급부(110) 사이에 결합된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1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커피캡슐(113d)이 필요에 따라 공급되기 위한 상기 공급부(110)와 상기 커피캡슐(113d)을 구매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키오스크부(120)의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첫 번째로 상기 공급부(1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캡슐저장부(111), 캡슐이송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저장부(111)는 다수개의 상기 커피캡슐(113d)이 저장되고 상기 캡슐이송부(112)와 결합되는 저장본체부(111a)와, 상기 저장본체부(111a)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113d)이 다수개로 전방에서 상하로 수납되는 다수개의 카트리지부(111b)와, 다수개의 상기 카트리지부(111b)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다수개의 상기 커피캡슐(113d)을 지지하는 지지결합부(111c)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저장본체부(111a)는, 좌우 폭이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본체부(111a)에 설치되는 상기 카트리지부(111b) 역시 다양한 개수로 상기 저장본체부(111a)에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결합부(111c)는 다수개의 상기 커피캡슐(113d)을 지지하도록 하기에 상기 커피캡슐(113d)이 다량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슐저장부(111)는 상기 지지결합부(111c)에 결합되어 사용자(140)가 상기 커피캡슐(113d)을 내리고자 사용하는 작동부(111d)를 더 포함한다.
즉, 이에 따라 사용자(140)가 상기 작동부(111d)를 당길 시에 상기 지지결합부(111c)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부(111b)로부터 다수개의 상기 커피캡슐(113d)이 하나씩 원하는 만큼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부(111b)는, 베이스플레이트(111e)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e)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111i)과, 상기 한 쌍의 측벽(111i)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e)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e)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111h)와, 상기 한 쌍의 측벽(111i)의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1h)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1h)와의 사이에 상기 커피캡슐(113d)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11f)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커피캡슐(113d)은 테두리가 상기 가이드홈(111f)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한 쌍의 리브(111g) 사이로 상기 커피캡슐(113d)이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외부에서 사람이 상기 커피캡슐(113d)이 상기 카트리지부(111b)에 적층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피캡슐(113d)의 테두리가 상기 가이드홈(111f)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사람이 상기 커피캡슐(113d)을 잡고 전방으로 빼낼 수는 없다.
상기 캡슐이송부(112)는 상기 캡슐저장부(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140)가 상기 작동부(111d)를 당길 시에 상기 카트리지부(111b)로부터 상기 커피캡슐(113d)이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캡슐이송부(112)는 상기 캡슐저장부(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슐이송본체부(113)와, 상기 캡슐저장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캡슐이송본체부(113)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피캡슐(113d)이 이송되는 이송프레임부재(1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송프레임부재(114)는 상기 캡슐저장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캡슐이송본체부(113) 내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111d)를 당길 시에 상기 카트리지부(111b)로부터 상기 커피캡슐(113d)이 이송되도록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와,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의 반대 측 상기 캡슐저장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캡슐이송본체부(113) 내부로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113d)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제2이송프레임부재(11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는 상기 커피캡슐(113d)이 이송되는 거리가 상기 제2이송프레임부재(114b)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114)는 상기 캡슐이송본체부(113) 내부의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이송프레임부재(114b)와 이격되는 제3이송프레임부재(114c)와, 상기 제3이송프레임부재(114c)와 연결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와 이격되고 상기 캡슐이송본체부(113) 내부의 상기 제2이송프레임부재(114b)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4이송프레임부재(114d)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이송프레임부재(114c)와, 상기 제4이송프레임부재(114d) 사이의 거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상기 캡슐이송부(112) 내부에 상기 이송프레임부재(114)가 구비되기에 상기 캡슐저장부(111)로부터 사용자(140)의 상기 작동부(111d)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커피캡슐(113d)이 상기 캡슐이송부(112)를 통해 필요에 맞게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캡슐이송부(112)는 상기 캡슐이송본체부(113)의 전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외곽테두리부(113a)와, 상기 외곽테두리부(113a)의 내부에 한 쌍으로 결합되는 내곽테두리부(113b)와, 상기 외곽테두리부(113a)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곽테두리부(113b)와 접하도록 구비된 격자형상의 리브(113c)를 더 포함하고 외부에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114)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커피캡슐(113d)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커피캡슐(113d)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114)를 통해 유동 시 외관에서 사용자가 확인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상기 키오스크부(1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키오스크부(120)는 상부 키오스크부(121), 하부 키오스크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키오스크부(121)는 상기 커피캡슐(113d)에 대한 정보 제공과 결재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키오스크부(121)는,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122)와 결합되는 상부 키오스크 본체부(121a)와, 상기 상부 키오스크본체부(121a)에 설치되는 사용자(140)에게 구매 가능한 상기 커피캡슐(113d)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커피캡슐(113d)에 대한 정보 중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기 커피캡슐(113d)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커피캡슐(113d)을 결재하도록 하는 결제수단(130)을 선택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121b)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21b)를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결재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121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1b)는 사용자(140)에게 구매 가능한 상기 커피캡슐(113d)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커피캡슐(113d) 정보 중 사용자(140)에게 구매하고자 하는 상기 커피캡슐(113d)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한 상기 커피캡슐(113d)을 결재할 수 있는 상기 결제수단(130)을 선택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GUI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재수단(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 등을 통한 방법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키오스크부(122)는 상기 상부 키오스크부(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입구(123)가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와 연결되어 사용자(140)가 상기 작동부(111d)를 당길 시에 상기 카트리지부(111b)로부터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를 통해 상기 커피캡슐(113d)이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키오스크부(122)는 사용자(140)가 상기 커피캡슐(113d) 선택 후 상기 작동부(111d)를 당겨서 상기 커피캡슐(113d)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를 통해 상기 입구(123)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제1키오스크부(124)와, 상기 제1키오스크부(124)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결제완료를 전달받은 후에 상기 커피캡슐(113d)이 이송되는 제2키오스크부(12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키오스크부(124)는, 상기 제2키오스크부(125)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키오스크본체(124a)와, 상기 제1키오스크본체(124a) 내부의 상기 입구(123)가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와 연결되고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를 통해 상기 입구(123)로 이송된 상기 커피캡슐(113d)이 보관되는 보관부(124b)와, 상기 보관부(124b)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결제완료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2키오스크부(125)로 상기 커피캡슐(113d)이 이송되도록 하는 승하강수단(124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122)는 상기 제2키오스크부(125)에 구비되는 결제된 건에 대한 영수증을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지류발급부(125a)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21b)에서 선택한 상기 커피캡슐(113d)이 상기 결재수단(130)을 통해 결제되도록 하기 위한 결제수단인식부(125b)와, 상기 지류발급부(125a)와 상기 결재수단인식부(125b)로부터 하측 중앙에 이격되어 결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승하강 수단(124c)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보관부(124b)에 설치된 상기 커피캡슐(113d)을 사용자(140)가 외부로 취출하도록 하는 취출부(125c)를 더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140)가 상기 결재수단(130)으로 상기 제2키오스크부(125)에 구비된 상기 결제수단인식부(125b)를 통해 상기 결제수단(130)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21b)에서 선택한 상기 커피캡슐(113d)의 결제처리를 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결제수단(130)으로 상기 결제수단인식부(125b)를 통해 결제처리를 하게 한 이후 상기 지류발급부(125a)를 통해 결제된 건에 대한 영수증을 출력 받을 수 있고 상기 취출부(125c)를 통해 상기 승하강 수단(124c) 작동으로 이송된 상기 보관부에 설치된 상기 커피캡슐(113d)을 꺼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122)는 상기 제1키오스크부(124) 내부의 상기 입구(123)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를 통해 상기 제1키오스크부(124)로 이동하는 상기 커피캡슐(113d)의 개수를 인지하는 센서부(12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26)는 포터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커피캡슐(113d)의 재고파악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122)는 상기 상부키오스크부과 접하는 상단 중앙부(127)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기에 사용자(140)가 결재하기 이전에 상기 제1이송프레임부재(114a)를 통해 상기 입구(123)로 유동된 상기 커피캡슐(113d)의 유무를 확인 또한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캡슐 자동판매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에 맞는 상기 커피캡슐(113d)을 선택하여 구매와 결재를 완료하게 하고 관리자는 상기 커피캡슐(113d)의 재고파악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의 이용 편의성을 높여 매출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리자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기존의 커피카페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임대료도 절약할 수 있다.
100 : 커피캡슐 자동판매기 110 : 공급부
111 : 캡슐저장부 111a: 저장본체부
111b: 카트리지부 111c: 지지결합부
111d: 작동부 111e: 베이스플레이트
111f: 가이드홈 111g: 리브
111h: 돌출부 111i: 측벽
112 : 캡슐이송부 113 : 캡슐이송본체부
113a: 외곽테두리부 113b: 내곽테두리부
113c: 리브 113d: 커피캡슐
114 : 이송프레임부재 114a: 제1이송프레임부재
114b: 제2이송프레임부재 114c: 제3이송프레임부재
114d: 제4이송프레임부재 120 : 키오스크부
121 : 상부키오스크부 121a: 상부키오스크본체부
121b: 디스플레이부 121c: 제어부
122 : 하부키오스크부 123 : 입구
124 : 제1키오스크부 124a: 제1키오스크본체
124b: 보관부 124c: 승하강수단
125 : 제2키오스크부 125a: 지류발급부
125b: 결제수단인식부 125c: 취출부
126 : 센서부 127 : 상단중앙부
130 : 결제수단 140 : 사용자

Claims (13)

  1. 다수개의 커피캡슐을 가지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따라 이송되도록 구비된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 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커피캡슐이 필요에 맞게 공급되도록 하는 키오스크부;를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커피캡슐이 저장된 캡슐저장부와,
    상기 캡슐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캡슐이송부를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슐저장부는,
    상기 캡슐이송부와 결합되는 저장본체부와,
    상기 저장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다수개로 전방에서 상하로 수납되는 다수개의 카트리지부와,
    다수개의 상기 카트리지부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피캡슐을 지지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슐저장부는,
    상기 지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커피캡슐을 내리고자 사용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송부는,
    상기 커피캡슐 저장부와 결합되는 캡슐이송본체부와,
    상기 캡슐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캡슐이송본체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이송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판매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품정보 제공과 결제를 수행하고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상부 키오스크부와,
    상기 상부 키오스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입구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하부 키오스크부를 포함하는 커피캡슐 자동 판매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키오스크부는,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와 결합되는 상부 키오스크 본체부와,
    상부 키오스크 본체부에 설치되는 사용자에게 구매 가능한 상기 커피캡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커피캡슐에 대한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결재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커피캡슐 자동 판매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는,
    상기 커피캡슐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상기 입구로 이송되어 저장되는 제1키오스크부와,
    상기 제1키오스크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결제완료를 전달받은 후에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는 제2키오스크부를 포함하는 커피캡슐 자동 판매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키오스크부는,
    제1키오스크본체와,
    상기 제1키오스크본체 내부의 입구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상기 입구로 이송된 상기 커피캡슐이 보관되는 보관부와,
    상기 보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결제완료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2키오스크부로 상기 커피캡슐이 이송되도록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커피캡슐 자동 판매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키오스크부는,
    상기 제1키오스크부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상기 제1키오스크부로 이동하는 상기 커피캡슐의 개수를 인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송부는, 외부에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커피캡슐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커피캡슐 자동 판매기.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송부는,
    상기 캡슐이송본체부의 전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외곽테두리부와,
    외곽테두리부의 내부에 한 쌍으로 결합되는 내곽테두리부와,
    상기 내곽테두리부의 내측에 격자형상으로 구비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커피캡슐 자동 판매기.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의 사이에 커피캡슐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커피캡슐 자동판매기.
KR1020210084026A 2021-06-28 2021-06-28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KR10256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26A KR102561071B1 (ko) 2021-06-28 2021-06-28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26A KR102561071B1 (ko) 2021-06-28 2021-06-28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04A true KR20230001304A (ko) 2023-01-04
KR102561071B1 KR102561071B1 (ko) 2023-07-28

Family

ID=8492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026A KR102561071B1 (ko) 2021-06-28 2021-06-28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0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05B1 (ko) * 2013-12-17 2014-07-14 영덕해운 주식회사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20160148776A (ko) * 2015-06-16 2016-12-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
KR20170108204A (ko) *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띠에 의한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102057206B1 (ko) * 2019-01-18 2019-12-18 이승호 벤딩머신화 된 무인상품판매점 시스템
KR200491279Y1 (ko) 2019-11-27 2020-03-12 석천정보통신(주)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05B1 (ko) * 2013-12-17 2014-07-14 영덕해운 주식회사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20160148776A (ko) * 2015-06-16 2016-12-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
KR20170108204A (ko) *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띠에 의한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102057206B1 (ko) * 2019-01-18 2019-12-18 이승호 벤딩머신화 된 무인상품판매점 시스템
KR200491279Y1 (ko) 2019-11-27 2020-03-12 석천정보통신(주)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071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2014B2 (ja) Posシステム
US9984525B2 (en) Automated vending inventory management apparatuses and method
JP5811295B1 (ja) 精算処理ユニット集合体及び精算処理ユニット集合体用の架台
JP2014052722A (ja) 貨幣入金装置および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装置
KR20190019453A (ko) 화장품 판매를 위한 자동 결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무인 매장 운영 시스템
KR102561071B1 (ko)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JP5863401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CN107067586A (zh) 硬币存储装置
JP2017207956A (ja) 金銭処理装置
JP6378537B2 (ja) 硬貨回収用部材及び回収用部材付き硬貨処理装置
JP2010044558A (ja) 貨幣入出金処理システム
JP2015148930A (ja) 自動販売機、自動販売システムおよび自動販売方法
JP7118395B2 (ja) 精算装置及び精算装置を備えた商品販売処理システム
JP2017138987A (ja) 決済装置
JP2012050754A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5933282B2 (ja) 貨幣処理装置
JP6749769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入出金機
JP2017084300A (ja) 精算装置
KR20110138520A (ko) 모듈형 자동발매기
JP2016149115A (ja) 精算処理機集合体
US9685047B2 (en) Self-service lottery machine
JP7330558B2 (ja) 精算装置及び精算装置を備えた商品販売処理システム
JP4112913B2 (ja) 自動販売機
JP6975548B2 (ja) 賞品払出装置
JP2016151848A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