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79Y1 -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79Y1
KR200491279Y1 KR2020190004785U KR20190004785U KR200491279Y1 KR 200491279 Y1 KR200491279 Y1 KR 200491279Y1 KR 2020190004785 U KR2020190004785 U KR 2020190004785U KR 20190004785 U KR20190004785 U KR 20190004785U KR 200491279 Y1 KR200491279 Y1 KR 200491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apsules
coffee
vending machine
hel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원
양승국
Original Assignee
석천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천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석천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2020190004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가 개시된다. 모터에 의해 나선형 이송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선형 이송대 상의 캡슐이 전진하며 배출되도록 하는 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는,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내부에 마련되되,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상호 분리되기 위한 세로막과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을 가지는 중앙 분리대; 및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외부에 마련되되,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다른 레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세로막과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을 가지는 좌우측 분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은, 구매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나선형 이송대가 회전함에 따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피치마다 두 개의 커피 캡슐이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자동판매기 내에 커피 캡슐이 공간효율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에 필요한 회전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한 후 회귀하도록 함으로써 커피 캡슐에 대한 배출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for coffee capsule}
본 고안은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 내에 커피 캡슐이 공간효율적으로 보관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경우 세계에서 6번째로 커피를 많이 마시는 나라로서, 한국의 원두 소비량은 약 15만톤이며 이는 세계 평균치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커피 산업도 성장을 거듭하여 국내의 커피 산업의 규모는 약 7조원으로 추정되며, 5년 뒤에는 약 9조원의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커피 산업의 성장은 이러한 정량적인 성장 뿐만 아니라, 스페셜티 커피의 성장, 홈카페의 등장, 새로운 수익 모델로의 진화 등 정성적인 성장도 동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동판매기를 통해서도 고품질의 캡슐 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나선형 이송대를 활용하는 자동판매기는, 나선형의 코일 형태를 가지는 이송대가 회전하고 이송대의 각 피치 사이에 삽입된 물품이 이송대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한 피치씩 앞으로 나아가면서 가장 앞쪽에 위치한 물품이 배출구로 배출되는 원리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나선형 이송대는, 하나의 피치 마다 하나의 물품이 보관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 간 여유 공간이 지나치게 많아, 자동판매기 내에 보관될 수 있는 물품의 양이 제한적이고, 이에 따라, 자동판매기 내에 보관되어야 할 물품을 자주 공급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간효율성만을 추구하여 피치 간 간격이 줄어들도록 이송대를 마련하게 되면, 배출되어야 할 물품이 이송대 사이에 끼어 배출되지 않거나 한 번에 두 개씩 배출되는 등 비정상적으로 배출되어 자동판매기의 고장 문제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서 커피 캡슐을 배출시킬 때, 공간효율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물품 배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5946호(자동판매기의 제품투출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판매기 내에 커피 캡슐이 공간효율적으로 보관되어 자동판매기 내의 보관 물품인 커피 캡슐에 대한 공급 주기를 신장시켜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하고 커피 캡슐에 대한 배출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고장 문제나 비정상 배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는, 모터에 의해 나선형 이송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선형 이송대 상의 캡슐이 전진하며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내부에 마련되되,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상호 분리되기 위한 세로막과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을 가지는 중앙 분리대; 및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외부에 마련되되,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다른 레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세로막과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을 가지는 좌우측 분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은, 구매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나선형 이송대가 회전함에 따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이송대는, 상기 중앙 분리대의 가로막과 상기 좌우측 분리대의 가로막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 마련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나선형 이송대로 전달되도록 상기 모터 및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일단과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마련되되 두 개의 걸림홈을 가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외주연에서 상기 걸림홈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캡슐이 전진함에 따라 상기 나선형 이송대와 상기 좌우측 분리대 간의 공간이 상기 캡슐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상기 캡슐이 배출되는 순간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정회전 중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걸림홈을 감지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걸림홈을 지날 때까지 추가로 정회전한 후 상기 걸림홈으로 다시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배출이 보장되도록 하고, 추가로 정회전할 때, 다음번 걸림홈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감지되지 않는 범위까지만 추가로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정량 배출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는, 상기 나선형 이송대가 복수의 레일마다 각각 배치된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일의 하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서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나선형 이송대가 복수의 레일마다 각각 배치된 경우, 특정 레일의 상기 좌우측 분리대의 세로막은 인접한 레일의 상기 좌우측 분리대로 공용되며, 상기 공용되는 세로막은 상기 커피 캡슐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피치마다 두 개의 커피 캡슐이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자동판매기 내에 커피 캡슐이 공간효율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에 필요한 회전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한 후 회귀하도록 함으로써 커피 캡슐에 대한 배출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장치에 커피 캡슐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걸림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다수의 레일을 포함하여 레일마다 다양한 종류의 커피 캡슐을 보관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며, 구매자가 결제를 한 후 기호에 맞는 캡슐을 선택할 시, 캡슐을 이용해 커피를 제조하여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캡슐 자체를 배출구로 배출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커피 캡슐을 구매한 뒤,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주변에 위치한 커피 캡슐용 커피 머신에서 커피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내부의 레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층마다 복수의 레일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수의 레일(도시된 예에서는 총 4개의 레일)이 하나의 이송장치를 구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내부에는 이송장치가 층별로 마련되어 복수의 이송장치들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층별로 혹은 레일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커피 캡슐이 보관되어 구매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송장치가 다층으로 구성된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서 하나의 층에 위치하는 이송장치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나선형 이송대(110), 모터(120), 리미트 스위치(130) 및 하우징(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나선형 이송대(110)는 회전을 하며 나선의 각 피치마다 보관된 커피 캡슐이 앞쪽으로 전진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의 앞쪽이란 모터(120)가 위치한 반대쪽을 의미하며 배출구로 낙하되기 위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나선형 이송대(110)는 모터(120)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을 기반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120)는 하우징(140)의 뒷쪽에 마련되어 전원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회전함으로써 모터(120)에 연결된 나선형 이송대(110)가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리미트 스위치(130)는 모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120)의 회전이 정지되어야 하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즉, 구매자가 적정 금액을 투입하는 등의 결제를 수행한 뒤, 구매하고자 하는 커피 캡슐에 대응되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버튼에 대응되는 커피 캡슐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해당 커피 캡슐이 위치한 레일의 나선형 이송대(110)가 회전하며 나선형 이송대(110) 상의 커피 캡슐이 전진하게 되는데, 모터(12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커피 캡슐이 정량 배출되지 않고 초과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미트 스위치(130)는 하나의 커피 캡슐만이 정량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적정한 위치에서 모터(120)가 회전 후 멈추도록 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게 된다.
리미트 스위치(13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4를 참고하기로 한다.
하우징(140)은 이송장치를 커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가 층별로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하우징(140)은 이송장치의 개수에 맞게 복수로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40)은 복수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서는 하나의 하우징(140)이 네 개의 레일을 커버하고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러한 하우징(140)는 전술한 나선형 이송대(110), 모터(120) 및 리미트 스위치(130) 뿐만 아니라 후술할 회전축, 걸림부, 중앙 분리대 및 좌우측 분리대가 레일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네 개의 레일의 하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140)은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서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나선형 이송대(110), 모터(120) 및 리미트 스위치(130) 뿐만 아니라 후술할 회전축, 걸림부, 중앙 분리대 및 좌우측 분리대가 부착 또는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140)은,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내부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앞쪽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커피 캡슐을 보충해야 할 판매자는 손을 깊숙히 넣는 등의 어려운 동작을 거치지 않고서도 커피 캡슐을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경우, 전원이 하우징(140)의 후면에 위치해 있다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120) 및 리미트 스위치(130)의 전기선은, 하우징(140)이 인출될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히 긴 길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기선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40)의 후면에서 절곡가능한 지지대를 따라 고정된 채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40)이 인출될 경우에는 지지대가 펴지면서 지지대에 고정된 전기선이 함께 펴지게 되고, 하우징(140)이 삽입될 경우에는 지지대가 접혀지면서 지지대에 고정된 전기선도 함게 접혀질 수 있게 되어, 전기선의 늘어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전력의 공급 유지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나선형으로 된 이송대는 하나의 피치에 하나의 물품이 적재되어 이송대의 회전에 따라 피치가 전진하면서 물품이 전지하여 배출되게 되며, 이를 위해 하나의 물품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이송대가 한 바퀴를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하나의 피치 마다 하나의 물품이 보관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 간 여유 공간이 지나치게 많아, 자동판매기 내에 보관될 수 있는 물품의 양이 제한적이고, 이에 따라, 자동판매기 내에 보관되어야 할 물품을 자주 공급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는 곧 인건비 및 유지비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는 하나의 레일 내에 좌우측으로 커피 캡슐이 분리되어 보관되도록 하고, 나선형 이송대(110)가 반바퀴를 전후하여 하나의 캡슐이 배출되도록 하며,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도 2는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장치에 커피 캡슐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캡슐(C)은 나선형 이송대(110)의 한 피치마다 좌우로 두 개씩 마련되게 되며, 이에 따라 나선형 이송대(110)가 한 바퀴를 돌지 않고 반바퀴 회전을 전후하여 하나의 커피 캡슐(C)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커피 캡슐(C)을 좌우로 배치하되, 좌측 제일 앞쪽 커피 캡슐과 좌측 두번째 커피 캡슐의 사이에 우측 제일 앞쪽 커피 캡슐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효율이 극대화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에서 커피 캡슐(C)이 레일 내에 안착되고 다른 레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4를 참고하기로 한다.
도 3은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걸림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 내의 레일에는 회전축(150), 걸림부(160), 중앙 분리대(170) 및 좌우측 분리대(180)가 구비된다.
회전축(150)은 나선형 이송대(110)의 일단과 고정결합된 상태로 마련되고, 하우징(140) 내부에 마련되되 하우징(140) 외부의 모터(1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모터(120)의 회전력이 나선형 이송대(110)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축(150)의 외주연에는 두 개의 걸림홈을 가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60)가 마련된다.
걸림부(160)는 모터(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50)이 회전하면서 함께 회전하며, 걸림홈이 마련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130)가 걸림홈에 걸림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걸림부(160)의 걸림홈은 커피 캡슐(C)이 전진함에 따라 나선형 이송대(110)와 좌우측 분리대(180) 간의 공간이 커피 캡슐(C)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커피 캡슐(C)이 배출되는 순간에, 리미트 스위치(130)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계되게 된다.
이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130)는 걸림부(160)의 걸림홈을 인지하는 순간을 커피 캡슐(C)이 배출되는 순간으로 인지하고, 모터(120)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 회전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매한 정량만이 배출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모터(120)는 구매자의 구매 버튼이 눌려짐을 인지하여 커피 캡슐(C)이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정회전을 하는 중 리미트 스위치(130)가 걸림부(160)의 걸림홈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즉시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리미트 스위치(130)가 걸림부(160)의 걸림홈을 지날 때까지 추가로 정회전한 후 걸림홈으로 다시 역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커피 캡슐(C)의 사이즈 오차, 모터(120)의 회전력 오차 등 경우에 따라 커피 캡슐(C)이 미처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한 것으로서, 걸림홈을 감지한 즉시 정회전을 멈추지 않고 조금 더 정회전한 후 다시 역회전함으로써, 커피 캡슐(C)의 배출이 온전히 보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배출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로 정회전하는 경우에도, 너무 많은 추가 정회전을 하여 다음 번 걸림홈이 감지될 정도까지 정회전하게 되면 하나의 커피 캡슐(C)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커피 캡슐(C)이 배출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가로 정회전할 때, 다음번 걸림홈이 리미트 스위치(130)에 감지되지 않는 수준까지만 추가로 정회전함으로써, 커피 캡슐(C)의 정량 배출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160)가 두 개의 걸림홈을 갖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 이송대(110)가 반 바퀴를 전후로 회전할 때 하 개의 커피 캡슐(C)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걸림홈은 걸림부(160)에서 180도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걸림홈이 걸림부(160)에서 180도의 간격을 배치되게 된다면, 좌측 첫번째 캡슐과 좌측 두번째 캡슐, 그리고 우측 첫번째 캡슐의 각 중심은 정확히 정삼각형을 이루는 경우라고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좌측 캡슐들은 첫번째부터 마지막까지 일렬로 배치되겟지만, 우측 캡슐은 좌측 캡슐들의 배치에 따라 생기는 공간에 배치되어 전반적으로 지그재그의 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그재그의 배치는 나선형 이송대(110)의 형상에 의해 좌우되게 된다. 만약 나선형 이송대(110)의 피치가 너무 짧다면 우측 첫번째 캡슐은 좌측 첫번째 캡슐에 더 가깝게 위치할 것이고, 만약 나선형 이송대(110)의 피치가 너무 길다면 우측 첫번째 캡슐은 좌측 두번째 캡슐에 더 가깝게 위치할 것이며, 만약 나선형 이송대(110)의 피치가 적정하다면 우측 첫번째 캡슐에서 좌측 첫번째 캡슐 간의 거리는 좌측 두번째 캡슐 간의 거리와 동일하여 세 캡슐이 정삼각형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걸림부(160)의 걸림홈은 나선형 이송대(110)의 형상에 따라 맞춤형 설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즉, 나선형 이송대(110)의 피치가 너무 짧다면, 좌측 첫번째 캡슐부터 우측 첫번째 캡슐까지의 거리는 걸림홈 간의 짧은 부분의 호 길이에 대응되고 우측 첫번째 캡슐부터 좌측 두번째 캡슐까지의 거리는 걸림홈 간의 긴 부분의 호 길이에 대응될 것이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다고 할 것이다.
또한, 나선형 이송대(110)의 피치가 너무 길다면, 좌측 첫번째 캡슐부터 우측 첫번째 캡슐까지의 거리는 걸림홈 간의 긴 부분의 호 길이에 대응되고 우측 첫번째 캡슐부터 좌측 두번째 캡슐까지의 거리는 걸림홈 간의 짧은 부분의 호 길이에 대응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나선형 이송대(110)의 피치가 적정하다면, 걸림부(160)의 걸림홈은 정확히 18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중앙 분리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ㅗ'자형 또는 '+'자형으로 형성된 채로 나선형 이송대(110)의 내부에 마련되게 된다.
중앙 분리대(170)는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상호 분리되기 위한 세로막(171)과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175)을 가진다.
이와 같은 세로막(17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은 상호 뒤엉키거나 반 피치를 전후하여 하나의 커피 캡슐(C)이 배출되지 않는 등 고장의 문제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세로막(171)은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되, 커피 캡슐(C)의 최상단까지 올라온 상태가 아닌 커피 캡슐(C)의 높이의 절반 정도만 올라온 상태로 마련되어, 커피 캡슐(C)이 보관된 상태의 공간 효율성이 극대화되도록 하게 된다.
즉, 커피 캡슐(C)의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관계로, 좌측 첫번째 캡슐과 좌측 두번째 캡슐의 사이의 공간에 우측 첫번째 캡슐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므로, 만약, 세로막(171)이 커피 캡슐(C)의 최상단까지 올라온다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공간 효율화가 도모되지 않게 된다.
가로막(175)은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각각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로막(175)은 다른 구성이 없는 상태에서는 커피 캡슐(C)이 안착되지 않도록 커피 캡슐(C)의 무게 중심을 지지하지는 못하도록 마련된다.
즉, 중앙 분리대(170)의 가로막(175)은 좌우측 분리대(180)의 가로막(185)과 함께 사용되어 비로소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각각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고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이 구현되는 이유는 중앙 분리대(170)의 가로막(175)과 좌우측 분리대(180)의 가로막(185) 사이에 나선형 이송대(110)가 위치되기 때문이다.
즉, 나선형 이송대(110)의 내부에 중앙 분리대(170)가 위치하고 나선형 이송대(110)의 외부에 좌우측 분리대(180)가 마련됨에 따라, 커피 캡슐(C)은 중앙 분리대(170)의 가로막(175)으로부터 일부 무게를 지탱하고 좌우측 분리대(180)의 가로막(185)으로부터 일부 무게를 지탱함으로써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고 안착되게 된다.
한편, 좌우측 분리대(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ㅓ'자형 또는 'ㅏ'자형 또는 '+'자형으로 형성된 채로 나선형 이송대(110)의 외부에 마련되게 된다.
좌우측 분리대(180)는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다른 레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세로막(181)과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185)을 가진다.
이와 같은 세로막(18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어느 한 레일의 캡슐과 인접한 다른 레일의 캡슐은 상호 뒤엉키거나 반 피치를 전후하여 하나의 커피 캡슐(C)이 배출되지 않는 등 고장의 문제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세로막(181)은 어느 한 레일의 캡슐과 인접한 다른 레일의 캡슐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되, 중앙 분리대(170)의 세로막(171)과 달리 커피 캡슐(C)의 최상단까지 올라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앙 분리대(170)의 세로막(171)은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을 분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은 하나의 나선형 이송대(110)를 공유하므로, 전진과 후진을 함께 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 효율성을 위해 좌측 첫번째 캡슐과 좌측 두번째 캡슐의 사이의 공간에 우측 첫번째 캡슐이 위치되도록 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좌우측 분리대(180)의 세로막(181)은 레일 간의 분리, 즉, 좌측 레일의 캡슐과 우측 레일의 캡슐을 분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좌측 레일의 캡슐과 우측 캡슐은 하나의 나선형 이송대(110)를 공유하지 않으므로, 전진과 후진을 함께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공간 효율성을 도모하게 된다면,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 중 하나가 전진하면, 좌측 레일의 캡슐과 우측 레일의 캡슐이 서로 부딛치며 캡슐이 파손되거나 예기치 못한 움직임을 갖는 등 고장의 원인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세로막(181)은 중앙 분리대(170)의 세로막(171)과 달리 커피 캡슐(C)의 최상단까지 올라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는 어느 한 레일의 세로막(181)이 인전합 다른 레일의 세로막(181)으로도 사용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레일의 세로막(181) 다른 레일의 세로막으로 쓰여지지 않고 각각 별도의 세로막을 구비하고 있다면, 그 세로막 사이에 이미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세로막(181)의 높이가 높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좌우측 분리대(180)의 가로막(18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170)의 가로막(175)과 함께 사용되어 비로소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각각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고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이 구현되는 이유는 중앙 분리대(170)의 가로막(175)과 좌우측 분리대(180)의 가로막(185) 사이에 나선형 이송대(110)가 위치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나선형 이송대 120 : 모터
130 : 리미트 스위치 140 : 하우징
150 : 회전축 160 : 걸림부
170 : 중앙 분리대 171 : 세로막
175 : 가로막 180 : 좌우측 분리대
181 : 세로막 185 : 가로막
C : 캡슐

Claims (5)

  1. 모터에 의해 나선형 이송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선형 이송대 상의 캡슐이 전진하며 배출되도록 하는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내부에 마련되되, 좌측 캡슐과 우측 캡슐이 상호 분리되기 위한 세로막과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을 가지는 중앙 분리대; 및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외부에 마련되되,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다른 레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세로막과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로막을 가지는 좌우측 분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캡슐과 상기 우측 캡슐은, 구매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나선형 이송대가 회전함에 따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출되며,
    상기 나선형 이송대는,
    상기 중앙 분리대의 가로막과 상기 좌우측 분리대의 가로막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 마련되어 회전되고,
    상기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나선형 이송대로 전달되도록 상기 모터 및 상기 나선형 이송대의 일단과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마련되되 두 개의 걸림홈을 가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외주연에서 상기 걸림홈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캡슐이 전진함에 따라 상기 나선형 이송대와 상기 좌우측 분리대 간의 공간이 상기 캡슐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상기 캡슐이 배출되는 순간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회전 중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걸림홈을 감지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걸림홈을 지날 때까지 추가로 정회전한 후 상기 걸림홈으로 다시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배출이 보장되도록 하고,
    추가로 정회전할 때, 다음번 걸림홈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감지되지 않는 범위까지만 추가로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정량 배출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이송대가 복수의 레일마다 각각 배치된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일의 하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에서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나선형 이송대가 복수의 레일마다 각각 배치된 경우, 특정 레일의 상기 좌우측 분리대의 세로막은 인접한 레일의 상기 좌우측 분리대로 공용되며, 상기 공용되는 세로막은 상기 커피 캡슐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KR2020190004785U 2019-11-27 2019-11-27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KR200491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85U KR200491279Y1 (ko) 2019-11-27 2019-11-27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85U KR200491279Y1 (ko) 2019-11-27 2019-11-27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79Y1 true KR200491279Y1 (ko) 2020-03-12

Family

ID=6976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85U KR200491279Y1 (ko) 2019-11-27 2019-11-27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04A (ko) 2021-06-28 2023-01-04 송일섭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4239A1 (en) * 2002-10-04 2004-06-03 Black Talbert James Vending machine dispensing system
KR200385946Y1 (ko) 2005-03-24 2005-06-03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자동판매기의 제품투출장치
US20110068116A1 (en) * 2005-10-14 2011-03-24 Ardern John P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KR20160081149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
KR20180078645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용 스파이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4239A1 (en) * 2002-10-04 2004-06-03 Black Talbert James Vending machine dispensing system
KR200385946Y1 (ko) 2005-03-24 2005-06-03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자동판매기의 제품투출장치
US20110068116A1 (en) * 2005-10-14 2011-03-24 Ardern John P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KR20160081149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
KR20180078645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용 스파이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04A (ko) 2021-06-28 2023-01-04 송일섭 커피 캡슐 자동 판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4374B2 (ja) カプセル供給装置
KR200491279Y1 (ko) 커피 캡슐용 자동판매기
ES2267515T3 (es) Aparato dispensador y metodo para utilizar el mismo.
CN110121325A (zh) 药物供给器
CN101859456B (zh) 自助快餐贩卖机
CN106781020A (zh) 商品贩售/配送设备
CN108140279A (zh) 饮料自动售货机中的杯子分配设备
EP2106727A1 (e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of orientable capsules for hot beverages
CN107157418A (zh) 收纳装置、洗碗机及餐具收纳方法
CN209746690U (zh) 一种旋转盘储落料装置及自动售卖机
CN211044376U (zh) 一种可自动出货的货架及自动售货机
CN110520852A (zh) 用于从嵌套物品特别是杯盖的堆叠件分配物品的装置
EP2911124B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articles having regular shape
EP2535878B1 (en) Product vending machine
CN110910573B (zh) 组合式售货装置和自动售卖机
CN209149446U (zh) 一种旋转出货仓、货道和售货设备
KR101806458B1 (ko) 자동판매기
KR100746584B1 (ko) 자동판매기
ITMI20101912A1 (it) Sistema di alimentazione di capsule, contenenti un prodotto alimentare per produrre una bevanda o simile, particolarmente per distributori automatici
CN218768273U (zh) 一种转动式自动售货机
CN221378677U (zh) 一种升降式电池销售柜
ITMI20111580A1 (it) Apparecchiatura per la distribuzione di bevande in bicchiere
CN214752055U (zh) 一种自助售货机货道的出货结构
CN218273523U (zh) 一种自动售币机
JP5565052B2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