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290A - 포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포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290A
KR20220162290A KR1020210070580A KR20210070580A KR20220162290A KR 20220162290 A KR20220162290 A KR 20220162290A KR 1020210070580 A KR1020210070580 A KR 1020210070580A KR 20210070580 A KR20210070580 A KR 20210070580A KR 20220162290 A KR20220162290 A KR 2022016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ylinder
stack
sucti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315B1 (ko
Inventor
김진만
윤행근
안예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엔
안예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엔, 안예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엔
Priority to KR102021007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3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4Pressing or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65H2301/423245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the pile lying on a stationary support, i.e. the separator moving according to the decreasing height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2Suction grippers being reciprocated in a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매가 적층된 포대 스택에서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하나씩 이송하는 포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매의 포대가 적층된 포대 스택이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 유닛과,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포대 스택으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포대가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 유닛, 및 제1 컨베이어 유닛과 제2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컨베이어 유닛을 통해 이송된 포대 스택으로부터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제2 컨베이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분리 유닛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대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for paper bag}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매가 적층된 포대 스택에서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하나씩 이송하는 포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 설탕, 시멘트, 비료, 사료, 화학제품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포대는 제품을 장시간 보존하기 위해 방수성을 갖는 포대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수성 포대는 통상 폴리에틸렌(PE)으로 직조된 원단, 폴리프로필렌(PP)으로 직조된 원단, 크라프트지(Kraft pape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합지하여 이루어진 기본 원단으로 성형 가공하여 통 형태의 외피로 제작한 후에, 외피 내부에 통 형태의 합성수지 필름(방수성 필름)을 내입한 후 외피 내부의 상부 둘레에 작업자가 접착제를 도포하여 외피와 내피가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결합 고정되게 하여 방수성 포대를 제작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작 방법은 작업자가 외피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내피를 접착 결합시키는 수제작 방식이며, 따라서 제품의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지대기로부터 공급되는 롤지를 합지한 후 튜브 형태로 만들고, 이것을 절단기에 의해 양단이 개구된 일정 크기의 포대로 절단한 후, 절단된 튜브 형태의 포대를 적재대에 적재하고, 이 적재대를 재봉기까지 운반하도록 구성된 제대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매수의 포대를 한 묶음으로 적층하여 적재하게 되는데, 재봉기에서는 포대를 하나씩 재봉하게 되므로, 한 묶음으로 적층된 포대 스택에서 포대를 하나씩 재봉기로 이송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는 흡착패드를 이용하여 포대 스택에서 포대를 하나씩 분리하여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2매 이상의 포대가 겹쳐서 함께 이송됨에 따라 재봉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대의 규격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흡착패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포대 규격에 따른 복수 개의 흡착패드 사이 간격 조절이 불가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포대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흡착패드 유닛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 매가 적층된 포대 스택에서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하나씩 이송할 수 있는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대의 낱개 분리시 포대 스택으로부터 2매 이상의 포대가 겹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대의 규격에 따라 복수 개의 흡착패드 사이 간격 조절이 가능한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 리프트에 대한 메인 리프트의 상승시, 보조 리프트 후단의 실린더바가 후진하여 메인 리프트에 적재된 포대 스택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매의 포대가 적층된 포대 스택이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대 스택으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포대가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을 통해 이송된 포대 스택으로부터 상기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분리 유닛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리 유닛 어셈블리는, 상기 포대 스택의 포대를 흡착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으로 이송하는 석션 유닛; 상기 석션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닛; 및 상기 포대 스택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포대 스택의 후단을 지지하는 정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석션 유닛은, 상기 실린더 유닛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는 흡착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흡착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흡착부 블록과, 상기 흡착부 블록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실린더와, 상기 흡착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석션 유닛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흡착패드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흡착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는 전방 흡착패드와 후방 흡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포대 흡착시 상기 전방 흡착패드와 상기 후방 흡착패드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포대를 흡착하여 들어올린 이후에 나머지 하나가 포대를 흡착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 유닛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실린더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프레임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석션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 형성되는 정렬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정렬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렬부 프레임과, 상기 정렬부 프레임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실린더와, 상기 정렬부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렬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실린더바와, 상기 실린더바에 결합되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포대 스택을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의 후단까지 들어올리는 메인 리프트와, 상기 메인 리프트의 하강시 상기 포대 스택을 임시로 지지하는 보조 리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리프트의 상승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가 결합된 실린더바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메인 리프트가 상기 포대 스택을 지지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이송장치에 의하면, 복수 매의 포대가 적층된 포대 스택에서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하나씩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이송장치에 의하면, 포대의 낱개 분리시 포대 스택으로부터 2매 이상의 포대가 겹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이송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흡착패드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포대 스택을 낱개로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대 이송장치에 의하면, 실린더바에 의해 포대 스택의 후단을 나란히 정렬할 수 있으며, 메인 리프트 상승시에는 실린더바가 후진함으로써 메인 리프트에 적재된 포대 스택과 실린더바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대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컨베이어 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컨베이어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프트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유닛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프트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대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대 이송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포대 스택(10)이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 유닛(300)과, 베이스 프레임(20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낱개로 분리된 포대가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 유닛(400)과, 제1 컨베이어 유닛(300)과 제2 컨베이어 유닛(400) 사이에 설치되며 포대 스택(10)으로부터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제2 컨베이어 유닛(400)으로 전달하는 분리 유닛 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200)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이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컨베이어 유닛(3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도면상 좌측) 상부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컨베이어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유닛(3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1 컨베이어 벨트(310)와 제1-2 컨베이어 벨트(320)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베이스 프레임(200)의 후단부(도면상 좌측)에 제1 종동축(311)이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제1 종동축(31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제1 종동축(311)과 나란히 제1-1 구동축(31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1 구동축(312)은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제1-1 구동모터(313)에 의해 회전하며, 제1-1 컨베이어 벨트(310)는 제1-1 구동모터(313) 작동시 제1-1 구동축(312)에 결합된 제1-1 구동풀리(314)와 제1 종동축(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종동풀리(315) 사이를 순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1 구동축(312)에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1-1 구동풀리(314)가 결합되고, 제1 종동축(311)에는 복수 개의 제1-1 구동풀리(314)와 대향하여 복수 개의 제1 종동풀리(3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1 구동축(312)과 제1 종동축(311)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1-1 컨베이어 벨트(310)가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1 구동축(312)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제1-1 구동축(312)과 나란히 제1-2 구동축(32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2 구동축(321)은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제1-2 구동모터(322)에 의해 회전하며, 제1-2 컨베이어 벨트(320)는 제1-2 구동모터(322) 작동시 제1-2 구동축(321)에 결합된 제1-2 구동풀리(323)와 제1-1 구동축(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종동풀리(324) 사이를 순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종동풀리(324)는 제1-1 구동축(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1 구동풀리(314)와 교대로 설치될 수 있다. 제1-2 구동축(321)에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1-2 구동풀리(323)가 결합되고, 제1-1 구동축(312)에는 복수 개의 제1-2 구동풀리(323)와 대향하여 복수 개의 제2 종동풀리(3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1 구동축(312)과 제1-2 구동축(321)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1-2 컨베이어 벨트(320)가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제1-1 컨베이어 벨트(310) 위에 복수 매의 포대가 적층된 포대 스택(10)을 올려놓으면, 제1-1 컨베이어 벨트(310)와 제1-2 컨베이어 벨트(320)를 차례로 거쳐 포대 스택(10)이 베이스 프레임(200)의 후방(도면상 좌측)에서 전방(도면상 우측)으로 이송된다. 필요에 따라, 제1-1 구동모터(313)와 제1-2 구동모터(322)의 회전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제1-1 컨베이어 벨트(310)와 제1-2 컨베이어 벨트(320)의 이송 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컨베이어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컨베이어 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타측(도면상 우측) 상부에 제1 컨베이어 유닛(3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분리 유닛 어셈블리(600)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포대를 전달받아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으로 하나씩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에는 예컨대 재봉기(미도시)가 설치되어 낱개로 하나씩 이송되는 포대의 일측을 재봉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 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440)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제2 컨베이어 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는 제2 종동축(410)과, 제2 종동축(410)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제2 종동축(410)과 나란히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420)에 의해 축회전하는 제2 구동축(430)과, 제2 종동축(410)과 제2 구동축(430) 사이를 순환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종동축(4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3 종동풀리(450)가 결합되고, 제2 구동축(430)에는 복수 개의 제3 종동풀리(450)와 대향하여 복수 개의 제2 구동풀리(460)가 결합된다. 제2 컨베이어 벨트(440)는 상호 대향하는 제3 종동풀리(450)와 제2 구동풀리(460)를 각각 연결하며, 이에 따라 제2 종동축(410)과 제2 구동축(43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2 컨베이어 벨트(440)가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종동축(410)의 전방 상부에는 복수 개의 회전롤러(470)가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결합된 제1 회전축(480)이 제2 종동축(410)과 나란히 설치되며, 제2 구동축(430)의 상부에는 제1 회전축(480)과 나란히 제2 회전축(490)이 설치된다. 제2 회전축(490)은 전술한 제2 구동모터(42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490)에 결합된 복수 개의 구동풀리와 제1 회전축(480)의 회전롤러(470)는 탄성로프(미도시)로 연결되어, 제2 회전축(490) 회전시 제1 회전축(480)의 회전롤러(470)도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회전축(480)은 소정 각도 축회전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480)의 축회전시 제2 컨베이어 벨트(440)로 진입한 포대의 상측을 회전롤러(470)가 지지하여, 포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440)와 함께 포대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리프트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컨베이어 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타측(도면상 우측) 상부에 제1 컨베이어 유닛(3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메인 리프트(500)는 제1 컨베이어 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된 포대 스택(10)을 제2 컨베이어 유닛(400)까지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리프트(500)는 양단에 각각 리프트 블록(510)이 결합되는 지지바(520)와, 지지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인 리프트바(530)를 포함한다. 리프트 블록(510)의 하부에는 승강모터(540)에 의해 회전하며 제3 구동풀리(550)가 결합된 제3 구동축(560)이 설치되며, 리프트 블록(510)의 상부에는 제4 종동풀리(5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 구동풀리(550)와 리프트 블록(510) 및 제4 종동풀리(570)가 체인 등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승강모터(540) 작동시 리프트 블록(510)이 견인되어 지지바(520) 및 메인 리프트바(530)가 함께 승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메인 리프트바(530)가 복수 개의 제1-2 컨베이어 벨트(320) 사이에 배치되며, 따라서 제1-1 컨베이어 벨트(310)를 거쳐 제1-2 컨베이어 벨트(320)로 이송된 포대 스택(10)은 메인 리프트바(530)의 상승시 메인 리프트바(530)에 실려서 상승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유닛 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정면도이다.
제1 컨베이어 유닛(300)으로부터 메인 리프트(500)로 전달된 포대 스택(10)은, 분리 유닛 어셈블리(600)에 의해 낱개의 포대로 분리되어 제2 컨베이어 유닛(400)의 제2 컨베이어 벨트(440)로 전달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유닛 어셈블리(600)는, 포대 스택(10)의 포대를 낱개로 분리 흡착하여 제2 컨베이어 유닛(400)으로 이송하는 석션 유닛(700)과, 석션 유닛(7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닛(800)과, 포대의 낱개 분리 과정 동안 포대 스택(10)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유닛(9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석션 유닛(700)은 후술하는 실린더 유닛(800)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는 흡착부 가이드레일(710)과,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흡착부 블록(720)과, 흡착부 블록(72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실린더(721)와, 흡착실린더(721)에 의해 승강하는 복수 개의 흡착패드(725)를 포함한다.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은 흡착부 블록(7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실린더 유닛(800)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의 상측에는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흡착부 블록(720)이 결합되며, 각각의 흡착부 블록(720)은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흡착부 블록(720)에는 흡착실린더(721)와 흡착부 가이드바(722) 및 흡착로드(723)가 각각 수직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유닛(800)의 로드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 쌍의 흡착부 블록(720)의 경우, 흡착실린더(721)의 전방에 한 쌍의 흡착부 가이드바(722)가 수직하게 결합되고, 흡착실린더(721)의 후방에는 흡착로드(723)가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흡착부 블록(720)의 경우, 흡착실린더(721)의 후방에 한 쌍의 흡착부 가이드바(722)가 수직하게 결합되고, 흡착실린더(721)의 전방에는 흡착로드(723)가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착실린더(721)의 로드 하단과 흡착부 가이드바(722)의 하단에 흡착패드 지지플레이트(724)가 결합된다. 흡착로드(723)는 흡착패드 지지플레이트(724)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흡착로드(723)의 하단에는 흡착패드(725)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흡착실린더(721)의 승강 작동시 흡착패드 지지플레이트(724)에 결합된 흡착로드(723)가 흡착패드(725)와 함께 승강하게 되며, 이때 흡착부 가이드바(722)는 흡착패드 지지플레이트(724)의 승강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을 따라 각각의 흡착부 블록(72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대의 규격에 따라 복수 개의 흡착패드(725)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포대의 규격이 작은 경우에는 흡착패드(725)들 간의 간격을 작게 설정할 수 있으며, 포대의 규격이 큰 경우에는 흡착패드(725)들 간의 거리를 멀게 하여 안정적으로 포대가 흡착되게끔 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 프레임(200)의 측면 상단부를 관통하여 제1 가이드 프레임(730)이 결합되며, 제1 가이드 프레임(730)에는 제1 가이드 프레임(7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740)이 설치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740)은 제1-1 컨베이어 벨트(310)의 상부에서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프레임(740)에는 전술한 흡착패드(725)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750)가 설치된다. 또한, 진공펌프(750)와 흡착패드(725)는 진공파이프(760)로 연결되며, 흡착패드(725)는 진공펌프(750)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포대를 흡착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 유닛(800)은 석션 유닛(7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석션 유닛(7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실린더 유닛(800)은 흡착패드(725)에 흡착된 포대를 제2 컨베이어 벨트(440)로 넘겨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포대의 규격에 따라 흡착패드(725)의 흡착지점을 달리할 수도 있다. 또한, 실린더 유닛(800)은 제2 컨베이어 벨트(440)로 포대 전달시 복수 매의 포대가 겹쳐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실린더 유닛(800)은, 전술한 제1 가이드 프레임(7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1 컨베이어 벨트(310)의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실린더 프레임(810)과, 실린더 프레임(810)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단부가 석션 유닛(7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송실린더(8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실린더(820)는 예컨대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에 의해 로드가 전후 방향 이동하는 모터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에어 또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실린더(820)의 로드는 전술한 석션 유닛(700)의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에 결합되며, 이송실린더(820)의 작동에 의해 흡착패드(725)를 포함하는 석션 유닛(70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린더 프레임(810)이 제1 가이드 프레임(730)을 따라 이동 가능함에 따라, 필요시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실린더 프레임(810)과 함께 이송실린더(820) 및 석션 유닛(700)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정렬 유닛(900)은 메인 리프트(50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의 후단을 지지하여 가지런히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정렬 유닛(900)은 제1-1 컨베이어 벨트(310)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정렬부 가이드레일(910)과, 정렬부 가이드레일(91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렬부 프레임(920)과, 정렬부 프레임(920)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실린더(930)와, 정렬부 프레임(920)의 전방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정렬실린더(93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실린더바(940)와, 실린더바(940)에 결합되는 프레스 플레이트(950)를 포함한다.
이때, 실린더바(940)는 메인 리프트(50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의 후단을 지지하며, 원반 형태의 프레스 플레이트(950)는 포대 스택(10)의 상측면을 가압 지지하여, 석션 유닛(700)에 의한 포대 흡착시 포대 스택(10)이 흐트러지지 않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정렬실린더(930)는 메인 리프트(500) 상승시 실린더바(940)가 메인 리프트(50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에 걸리지 않도록 실린더바(940)를 후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메인 리프트(500)의 상승이 완료된 후에는 메인 리프트(50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의 후단을 가압하도록 실린더바(940)를 전진시켜, 포대 스택(10)이 나란히 정렬되게끔 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프레스 플레이트(950)는 포대 스택(10)으로부터 포대를 낱개로 분리할 때, 2매 이상의 포대가 겹쳐서 분리되어 제2 컨베이어 유닛(400)으로 함께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하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흡착패드(725)에 의한 포대 흡착시 2매 이상의 포대가 함께 겹쳐서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을 기준으로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의 전방에 배치되는 흡착패드(이하, '전방 흡착패드')와, 흡착부 가이드레일(7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흡착패드(이하, '후방 흡착패드')가 순차적으로 포대를 흡착하게 된다.
예컨대, 후방 흡착패드(725)가 먼저 포대를 흡착하여 들어올린 후, 전방 흡착패드(725)가 포대를 흡착하여 들어올린다. 이때, 후방 흡착패드(725)에 이어서 전방 흡착패드(725)가 포대를 흡착하기 전에, 포대를 흡착한 후방 흡착패드(725)가 이송실린더(820)에 의해 뒤쪽으로 약간 후진한다. 포대 스택(10)의 후단을 실린더바(940)와 프레스 플레이트(950)가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후방 흡착패드(725)에 흡착된 포대는 뒤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위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며, 이때 아래쪽 포대와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포대 겹침 현상이 방지된다. 이어서 전방 흡착패드(725)가 포대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면, 전방 흡착패드(725)와 후방 흡착패드(725) 사이에 1매의 포대가 위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로 들어 올려지며, 이송실린더(820)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한 포대는 흡착패드(725)의 진공압이 제거되면서 제2 컨베이어 벨트(440)로 넘겨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리프트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분리 유닛 어셈블리(600)에 의해, 메인 리프트(50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에서 일정량의 포대가 낱개로 분리되어 제2 컨베이어 벨트(440)로 넘겨지면, 제1-1 컨베이어 벨트(310)와 제1-2 컨베이어 벨트(320)를 통해 포대 스택(10)이 보충된다. 이때, 메인 리프트(500)는 하강하여 보충되는 포대 스택(10)을 받아오게 되는데, 보조 리프트(1000)는 메인 리프트(500)의 하강시 메인 리프트(500)에 적재되어 있던 포대 스택(10)을 임시로 지지함으로써, 메인 리프트(500)가 내려가 있는 동안 포대의 낱개 분리 작업이 계속 수행되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보조 리프트(1000)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에 상하로 이격하여 베이스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프레임(1100)과, 제2 가이드 프레임(11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1200)과, 이동블록(1200)의 양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체인(1300) 등의 동력전달부재와,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체인(1300)을 견인하는 제3 구동모터(1310)와, 제3 구동모터(131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 스포라켓(1320)과, 제2 가이드 프레임(1100)의 전후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종동 스포라켓(1330)을 포함한다.
이동블록(1200)에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리프트 프레임(1210)이 결합되며, 보조 리프트 프레임(1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보조 리프트바(1220)가 결합된다.
또한, 이동블록(1200)의 일측에는 보조 리프트바(122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리프트 실린더(1230)가 설치되며, 리프트 실린더(1230)의 작동에 의해 보조 리프트 프레임(1210)과 함께 보조 리프트바(1220)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보조 리프트(1000)에 의한 포대 스택(10) 지지시, 제3 구동모터(1310)의 작동에 의해 보조 리프트바(1220)가 전방의 메인 리프트(500)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보조 리프트바(1220)는 아래쪽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있는 상태이다. 복수 개의 보조 리프트바(1220)는 복수 개의 메인 리프트바(530) 사이로 들어가며, 리프트 실린더(1230)의 작동에 의해 상향 회동하여 메인 리프트바(530)에 적재되어 있던 포대 스택(10)을 메인 리프트바(530) 대신 지지하게 된다. 보조 리프트바(1220)에 의해 포대 스택(10)이 지지되면, 메인 리프트바(530)는 제1-2 컨베이어 벨트(320) 사이로 하강하여, 제1-1 컨베이어 벨트(310)로부터 제1-2 컨베이어 벨트(320)로 이송되는 포대 스택(10)을 받을 준비를 하게 된다.
제1-1 컨베이어 벨트(310)로부터 제1-2 컨베이어 벨트(320)로 포대 스택(10)이 이송되면, 메인 리프트(500)가 상승하며, 이때 메인 리프트바(530)에는 보충된 포대 스택(10)이 적재된다. 메인 리프트(500)의 상승시, 메인 리프트바(53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이 실린더바(940)에 걸리지 않도록, 정렬실린더(930)에 의해 실린더바(940)가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한다. 이후, 메인 리프트(500)의 상승이 완료되면, 정렬실린더(930)에 의해 실린더바(94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며, 이때 메인 리프트(50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의 후단이 나란히 정렬되고, 보조 리프트(1000)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빠지게 된다.
이후, 메인 리프트바(530)에 적재된 포대 스택(10)으로부터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제2 컨베이어 벨트(440)로 넘기는 작업이 계속 수행되며, 남은 포대 스택(10)의 양이 어느 정도 줄어들면, 보조 리프트(1000)가 메인 리프트(500)의 자리를 교대하고, 메인 리프트(500)는 포대 스택(10)의 보충을 위해 하강하는 동작이 되풀이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포대 스택 100 : 포대 이송장치
200 : 베이스 프레임 300 : 제1 컨베이어 유닛
310 : 제1-1 컨베이어 벨트 320 : 제1-2 컨베이어 벨트
400 : 제2 컨베이어 유닛 440 : 제2 컨베이어 벨트
470 : 회전롤러 500 : 메인 리프트
530 : 메인 리프트바 540 : 승강모터
600 : 분리 유닛 어셈블리 700 : 석션 유닛
725 : 흡착패드 750 : 진공펌프
800 : 실린더 유닛 820 : 이송실린더
900 : 정렬 유닛 940 : 실린더바
950 : 프레스 플레이트 1000 : 보조 리프트
1220 : 보조 리프트바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매의 포대가 적층된 포대 스택이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대 스택으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포대가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을 통해 이송된 포대 스택으로부터 상기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분리 유닛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포대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 어셈블리는,
    상기 포대 스택의 포대를 흡착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으로 이송하는 석션 유닛;
    상기 석션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닛; 및
    상기 포대 스택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포대 스택의 후단을 지지하는 정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석션 유닛은,
    상기 실린더 유닛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는 흡착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흡착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흡착부 블록과, 상기 흡착부 블록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실린더와, 상기 흡착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이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석션 유닛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흡착패드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이송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착패드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는 전방 흡착패드와 후방 흡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포대 흡착시 상기 전방 흡착패드와 상기 후방 흡착패드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포대를 흡착하여 들어올린 이후에 나머지 하나가 포대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이송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유닛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실린더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프레임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석션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이송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 형성되는 정렬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정렬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렬부 프레임과, 상기 정렬부 프레임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실린더와, 상기 정렬부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렬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실린더바와, 상기 실린더바에 결합되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이송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포대 스택을 상기 제2 컨베이어 유닛의 후단까지 들어올리는 메인 리프트와, 상기 메인 리프트의 하강시 상기 포대 스택을 임시로 지지하는 보조 리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리프트의 상승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가 결합된 실린더바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메인 리프트가 상기 포대 스택을 지지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이송장치.

KR1020210070580A 2021-06-01 2021-06-01 포대 이송장치 KR10251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80A KR102517315B1 (ko) 2021-06-01 2021-06-01 포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80A KR102517315B1 (ko) 2021-06-01 2021-06-01 포대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90A true KR20220162290A (ko) 2022-12-08
KR102517315B1 KR102517315B1 (ko) 2023-04-03

Family

ID=8443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580A KR102517315B1 (ko) 2021-06-01 2021-06-01 포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3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273A (ko) * 2008-09-19 2010-03-29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115978B1 (ko) * 2010-05-22 2012-02-13 평 산 문 피딩 장치
KR101445795B1 (ko) * 2012-06-15 2014-10-06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101740946B1 (ko) * 2015-10-15 2017-05-30 이대엽 포대 인쇄장치
KR101862470B1 (ko) * 2016-10-01 2018-05-29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2075058B1 (ko) * 2018-09-28 2020-03-03 신용섭 포장용 포대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273A (ko) * 2008-09-19 2010-03-29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115978B1 (ko) * 2010-05-22 2012-02-13 평 산 문 피딩 장치
KR101445795B1 (ko) * 2012-06-15 2014-10-06 김재수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101740946B1 (ko) * 2015-10-15 2017-05-30 이대엽 포대 인쇄장치
KR101862470B1 (ko) * 2016-10-01 2018-05-29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2075058B1 (ko) * 2018-09-28 2020-03-03 신용섭 포장용 포대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315B1 (ko)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1725B (zh) 一种非覆膜制袋包装机
KR101185804B1 (ko)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
CN108382650B (zh) 抓取式装袋机
CN110803365A (zh) 一种用于保护片生产加工的自动组装设备
CN211544190U (zh) 一种用于保护片生产加工的自动组装设备
KR102517315B1 (ko) 포대 이송장치
CN207903311U (zh) 一种包装袋缝边机的运输装置
CN103320983B (zh) 双筋圆筒柔性集装袋底袋缝纫装置
JP2009096484A (ja) 製品抑えベルト装置
CN110356619B (zh) 纸包平口袋自动装袋机及其装袋方法
CN212830975U (zh) 一种封包机的自动搬运系统
CN211996457U (zh) 缝制品折叠机的夹取机构
CN210364552U (zh) 显微镜玻璃载片自动分料机
KR102134452B1 (ko) 제대기 및 이를 이용한 포대 제작방법
KR102365568B1 (ko) 포대 연속 급대장치
JPH07237601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CN220130553U (zh) 服装折叠机
JPH0214251B2 (ko)
KR102314715B1 (ko) 인쇄물의 스택 번들링 장치 및 방법
CN220147780U (zh) 一种用于改质剂的打包机
CN218142455U (zh) 一种自适应袋传送机构
CN110155398B (zh) 一种具有多层切角组件的底封式塑封机
CN212291988U (zh) 一种物料包自动顺序拆垛装置
CN215040774U (zh) 一种生产缓冲充气袋的双边同步缝纫装置
CN214356905U (zh) 一种袜子腰包机成形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