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569A - 하지 교정구 - Google Patents

하지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569A
KR20220160569A KR1020227032201A KR20227032201A KR20220160569A KR 20220160569 A KR20220160569 A KR 20220160569A KR 1020227032201 A KR1020227032201 A KR 1020227032201A KR 20227032201 A KR20227032201 A KR 20227032201A KR 20220160569 A KR20220160569 A KR 20220160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ower extremity
fabric strip
foot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오 첸
사토시 야마다
히데토시 스즈키
고지 오하타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61F5/0113Drop-foot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Abstract

하지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또한, 장착은 용이하고, 장착 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게다가,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되고,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교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는,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직물대 A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는 직물대 A2 및 적어도 하나의 직물대 B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대 B는, 적어도 일부가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고, 상기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직물대B 의 길이 방향 단부의 한쪽을 상기 직물대 A1에, 다른 한쪽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는 30° 내지 90°이고, 상기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5% 이상 50% 이하인 하지 교정구이다.

Description

하지 교정구
본 발명은, 하지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뇌졸중 편마비, 소아마비 등의 장해, 혹은, 그 밖의 장해로, 하지의 기능 저하나 손실에 의해, 하지의 근육이나 관절을 자력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을 위한, 첨족, 하수족 등의 변형 방지, 기능 개선, 일상의 동작 향상을 목적으로 한 하지 교정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하지 교정구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고정식의 것이 주류이고, 환부에 대한 고정력, 교정력이 우수하다.
또한, 유연한 소재를 사용한 하지 교정구도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발의 움직임을 봉쇄하는 일 없이, 발끝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발의 교정용 장구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발에 장착되는 제1 장 착체와, 사람의 대퇴에 장착되는 제2 장착체와, 그 양자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고무 밴드 등의 신축체를 포함하고, 이 신축체를 확대하도록 하여 장착하면, 그 신축체가 구비하는 탄성력이, 제1 장착체와 제2 장착체를 접근하게 작용하고, 그 결과, 발은, 종아리 전방면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발끝은,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고 하는 기술이다. 또한, 가압력은, 어느 정도의 발의 움직임은 가능하고, 발끝을 낮추는 기능이 손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압력에 저항하여 자력으로 발끝을 낮출 수 있다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313553호 공보
그러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경질, 또는 반경질의 딱딱한 소재를 사용한 고정식의 하지 교정구는, 상기 하지 교정구를 장착한 때에, 피부에 대한 접촉에 의한 위화감, 신체를 움직이게 할 때, 딱딱한 부분이 닿는 것에 의한 통증이나 겉보기의 나쁨, 하지 교정구를 장착하는 발의 구두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좌우 동일한 사이즈의 구두를 신을 수 없는 등, 환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인 고통을 수반한다. 또한, 개조자에게서도 착탈성의 나쁨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자택 내에서 상기 하지 교정구를 장착하여 보행하면, 단단한 소재의 부분이 바닥이나 내벽 등에 닿아, 문질러지거나 하여, 어느 측에도 흠집이 생기는 등, 손괴되어 버리는 점에서, 옥 내에서는 상기 하지 교정구를 장착하지 않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하지 교정용 장구는, 2개의 장착체를, 신축체에 의해 근접함으로써 작용시키고 있고, 2개의 장착체의 착용과 신축체의 장착에 수고가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축체는 고무 밴드로 대표되는 탄성적으로 신축하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고, 그 가압력은, 발끝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뿐이기 때문에, 족부를 원래의 정상 위치로의 유도 및 보유 지지할 수 없고, 원하는 교정 효과 또는 기능 개선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하지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또한, 장착은 용이하고, 장착 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게다가,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되고,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 구성을 갖는다.
(1) 하지 교정구이며,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직물대 A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는 직물대 A2 및 적어도 하나의 직물대 B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대 B는, 적어도 일부가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고, 상기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직물대 B의 길이 방향 단부의 한쪽을 상기 직물대 A1에, 다른 한쪽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는 30° 내지 90°이고, 상기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5% 이상 50% 이하인 하지 교정구.
(2) 상기 직물대 B는 길이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인 (1)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3) 상기 직물대 A1, 직물대 A2 및 직물대 B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4) 상기 직물대 A1, 직물대 A2 및 직물대 B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1) 내지 (3)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5) 상기 하지 교정구가 하나 이상의 직물대 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물대 C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직물대 C는, 상기 제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상기 직물대 C의 길이 방향 단부의 한쪽을 상기 직물대 A1에, 다른 한쪽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6) 상기 직물대 B와 상기 직물대 C의 내각도는 30° 내지 80°인 (5)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7) 상기 직물대 C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8) 상기 직물대 C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5)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9) 상기 직물대 A1, A2, B, C의 하중 100N/5cm 시 신장률을 각각 A1E, A2E, BE, CE로 할 때, A1E≥CE≥BE, 또한 A2E≥CE≥BE인 (5) 내지 (8)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10)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 및 A2의 인체에 대한 착압이 각각 1hPa 내지 20hPa인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11) 상기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1% 이상 10% 이하인 (1)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12) 상기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0.5% 내지 15%이고, 또한 상기 하중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이 20% 이하인 (1) 내지 (11)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13) 상기 직물 중 적어도 하나가, 길이 방향의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80% 내지 100%인 (1) 내지 (12)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14) 상기 하지 교정구는 적어도 무릎에서 족부까지 덮는 레그 웨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1) 내지 (13)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15) 상기 하지 교정구는 첨족 교정용 및 하수족 교정용에서 선택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1) 내지 (1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하지 교정구.
본 발명에 따르면, 하지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또한, 장착은 용이하고, 장착 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게다가,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되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교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교정구는, 족부의 변형 방지, 기능 개선, 일상 생활의 동작 향상을 목적으로 한 치료용, 갱생용의 하지 장구와 같은 장구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적용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직물대를 연결시킨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 중 파선의 타원으로 도시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직물대 C를 사용한 하지 교정구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 중 파선의 타원으로 도시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직물대 B가 길이 조정 기구를 구비한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교정구는,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직물대 A1과,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는 직물대 A2와, 적어도 하나의 직물대 B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대 B는, 적어도 일부가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고, 상기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에 사용하는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5% 이상 50% 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표현을 하면, 직물대의 하중 100N/5cm의 신장률이, 경위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상기 직물대 A1, A2, B, 직물대 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물대 C도 포함하여 전체에 있어서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경위 방향의 양쪽에서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상기 직물대를 사용하는 경우, 경 방향, 위 방향 어느 방향을 직물대 길이 방향(혹은 폭 방향)으로 해도 상관없다. 경 방향 또는 위 방향 중 어느 한쪽만이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의 위 방향이 상기 범위를 충족하도록 설계하고, 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것은, 안정된 품질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직물대를 연결시킨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중 파선의 타원으로 도시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은 오른발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지만, 왼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직물대 A1」 등, 특별한 기재를 하지 않고 단순히 「직물대」라고 표기하는 경우에는, 직물대 A1, A2, B의 어느 것(후술하는 직물대 C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직물대 A1, A2, B, C의 어느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상기 직물대 A1(1), 직물대 A2(2)는, 상기 직물대 B(3)와 연결하고, 상기 하지 교정구를 장착 시에 상기 직물대 B(3)에 의한 원하는 교정력에 대하여, 어긋남, 파열, 과도한 신장 등, 교정력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고, 상기 직물대 B(3)에 의한 교정력을 유지시키는 지지점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직물대 A1(1)은,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이고, 통상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주회하도록 포위한다. 이것은,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라면 복사뼈가, 무릎부라면 장딴지의 최대 직경을 갖는 중앙부가, 장착 시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A1(1) 아래로의 밀어 내림에 대하여 걸림으로써 방지하고, 상기 직물대 A1(1)이 지지점으로서 기능하고, 교정력이 안정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무릎부란, 장딴지 상부로부터 슬와, 슬상까지를 포함하고,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고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주회하도록 포위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복사뼈란 경골(9) 및 비골(10)의 중앙에서 하단 부분을 포함하는 족부를 말하고, 발목부와는 거골(8) 종골(7)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족부를 말한다.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고는 복사뼈 및/또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주회하도록 포위하고 있으면 된다.
상기 직물대 A1(1)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고, 사이즈, 착압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대 A2(2)는,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는 것이며, 통상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주회하도록 한다. 상기 직물대 A2(2)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고, 사이즈, 착압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 A2의 인체에 대한 착압은, 각각 1hPa 내지 20Pa가 바람직하고, 1hPa 내지 15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 A2의 인체에 대한 착압을 상기한 범위로 함으로써, 착압이 너무 높고, 혈류가 저해되어, 울혈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하지 교정구를 쾌적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직물대 B(3)는, 적어도 일부가 제5 중족골(5) 또는 입방골(6)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5 중족골(5) 또는 입방골(6)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한다. 직물대 B는, 제5 중족골(5) 부근에서 직물대 A2(2)와 연결하도록 해도 되고, 입방골(6)로부터 발바닥측의 중족골을 덮도록 발바닥을 경유하여 제1 중족골(4)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도중인 발바닥측의 중족골 부근에서 상기 직물대 A2(2)에 연결해도 된다.
상기 직물대 B의 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B에 의한 원하는 교정력을 발현시키면서, 또한 족관절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시키기 위해서,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B와 상기 직물대 A1의 연결 부분의 내각도는, 30° 내지 90°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12)는, 상기 하지 교정구를 교정이 필요한 한쪽 발에 착용할 때, 상기 직물대 A1(1)의 중심선과 상기 직물대 B(3)의 중심선에 의해 이루는 각도이고, 그중 90° 이하의 각도를 말한다. 상기 중심선은 도 2 중,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내각도가 30°보다 작아지면, 장착 시에 있어서의 직물대 B에 의한 원하는 교정력을 발현시킬 수 없고, 또한, 교정이 필요한 족관절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도 없고, 하지 교정구로서의 교정 기능이 부적합하다.
상기에 있어서 족관절이란, 발목의 관절로, 경골(9), 비골(10), 거골(8)이 조합되어, 관절에 존재하는 인대에 의해 보강되고, 발목을 상하로 피하거나, 좌우를 향하거나 하는 운동을 담당하는 관절이다.
첨족은, 족관절의 변형의 일종으로, 발끝 서기와 같은 양태에서 발목이 연장된 상태로 되고, 자유롭게 기본으로 돌아가지 않고, 입위 시, 보행 시에 발뒤꿈치가 밑바닥에 닿지 않거나, 닿기 어려워지는 증상이다. 또한 족관절 그 자체의 변형 유무에 관계없이, 아킬레스건의 구축이나 종아리 삼두근 등 하지에 존재하는 근육의 구축에 의해, 발끝을 아래로 향시키는 힘이 발생해 버려, 발이 정상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 혹은 복귀하기 어려운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때, 또한 족관절이 내반하여, 소위 내반의 상태로 되는 경우도 많다. 이것은 소위 내반첨족이라고 불리는 증상이다.
하수족의 경우에는, 하지에 존재하는 근육의 저하에 의해, 발을 등을 구부리게 하는 기능이 없어지고, 발끝이 아래로 향한 채의 증상이다. 하수족의 증상이 그대로의 상태에서 장기에 걸치면, 증상이 고정해 버려, 첨족의 증상이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들 첨족이나 하수족의 증상을 나타내면, 세워진 상태에서 발뒤꿈치가 붙지 않는, 혹은 닿기 어려운, 보행 시에, 지면에서 이격된 발을 착지시킬 때, 발뒤꿈치로부터 착지할 수 없는, 혹은 착지하기 어려운, 발끝측 혹은 족부 외측으로부터 착지해 버리는, 혹은 보행 시에 발끝을 문지르면서 걷게 되는 등등, 일상 생활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에 대하여, 족관절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시킴으로써, 첨족, 하수족 등과 같은 족부의 변형이나 보행 등의 기능 저하의 원인으로 되어 있는 움직이게 하기 어려움에 대하여, 가능한 한 정상적인 움직임에 근접하도록, 족부의 상태나 움직임을 교정함으로써 상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첨족, 하수족의 증상이 아니어도, 상병 등에 의해 족관절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교정함으로써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첨족의 전형 예의 하나인 내반첨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킬렌스건이나, 종아리 삼두근 등 하지에 존재하는 근육의 구축에 의해, 혹은 이상한 근육 긴장 등에 의해, 발끝이 내측을 향하는(소위 내반) 증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 적어도 일부가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놓아지는 상기 직물대 B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내측을 향해 버리는 바, 족부를 원래의 정상 위치로 유도시키는 교정력을 발휘한다. 이 교정력은 내반첨족에 특히 유용하지만, 그 이외의 발목 부분의 불안정성에 대해서도 물론 유효하다.
상기 직물대 B와 상기 직물대 A로의 연결 방법은, 원하는 방향의 교정력을 충족하는 한은,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봉틀 등에 의한 꿰매기, 스냅 버튼, 면 패스너, 버클, 캔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직물대 B는,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0.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원하는 교정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이다.
상기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상기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에 있어서의 신장 변화율은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으로서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직물대(상기 직물대 A1, A2, B, C)의 하중 100N/5cm 시 신장률을 각각 A1E, A2E, BE로 할 때, A1E≥BE, 또한 A2E≥BE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옷감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점에서 효율적인 것에서, A1E=A2E=B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대하여 =는 엄밀하게 동일할 필요는 없고, A1E≥BE, 또한 A2E≥BE는 유지하지만, BE에 대하여, A1E, A2E가 대략 10% 이내이면 된다.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본 하지 교정구를 장착하여 동작할 때에, 착용자의 족부가 가하는 힘에 대하여, 원래의 교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이 적절하게 작용함으로써, 적절한 교정 위치가 유지되어, 기능 회복, 일상의 보행 동작 향상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장기적으로 동작한 경우에 있어서도, 형태 무너지기 어렵고, 초기의 성능을 장기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고,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직물대 A 및 상기 직물대 B 이외의 직물대 C를 배치해도 된다. 상기 직물대 C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물대 C는, 적어도 일부가 제1 중족골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상기 직물대 C의 길이 방향 단부의 한쪽을 상기 직물대 A1에, 다른 한쪽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높은 효과를 발휘시키는 점에서는, 상기 직물대 A1이 적어도 무릎부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직물대 C가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직물대 A1과 연결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직물대 C를 사용한 하지 교정구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 중 파선의 타원으로 도시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면은 오른발이지만, 왼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이것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직물대 C(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족골(4)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고, 당해 족부로부터 발등에 걸쳐서 외측부에서 아킬레스건을 포함하는 발목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걸쳐서 덮도록 배치해도 되고, 또한, 당해 족부로부터 발등에 걸쳐서 외측부에서 아킬레스건을 포함하는 발목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걸쳐서 덮고, 경골(9)을 포함하는 종아리부(11)로부터 무릎부에 걸쳐서 덮도록 배치해도 된다. 도 3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별도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중족골(4)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어 발바닥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종골(7)의 외측으로부터 아킬레스건을 포함하는 발목부의 내측에 걸쳐서 덮도록 배치해도 되고, 또한, 상기 제1 중족골(4)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어 발바닥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종골(7)의 외측으로부터 아킬레스건을 포함하는 발목부의 내측에 걸쳐서 덮음과 함께 경골(9)을 포함하는 종아리부(11)로부터 무릎부에 걸쳐서 덮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렇게 배치하여, 후술하는 내각도를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의 앞 절반이 과잉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후자의 배치는, 모지구(엄지손가락)로부터 착지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직물대(상기 직물대 A1, A2, B, C)의 하중 100N/5cm 시 신장률을 각각 A1E, A2E, BE, CE로 할 때, A1E≥CE≥BE, 또한 A2E≥CE≥BE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차가지의 옷감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점에서 효율적인 점에서, A1E=A2E=CE=B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는 엄밀하게 동일할 필요는 없고, A1E≥CE≥BE, 또한 A2E≥CE≥BE는 유지하지만, BE에 대하여, A1E, A2E, CE가 각각 대략 10% 이내이면 된다.
이렇게 연결하면, 상기 직물대 C는 상기 직물대 B와 통상 교차하거나, 일부에서 겹치거나, 접하게 된다(이 부분을 총칭하여 「접하는 부분」이라고 칭함).
상기 직물대 C를 사용하는 경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C(13)와 상기 직물대 B(3)의 내각도(14)는, 30° 내지 80°가 바람직하고, 35° 내지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대 B와 상기 직물대 C의 내각도(14)는, 상기 하지 교정구를 교정이 필요한 한쪽 발에 착용할 때, 상기 직물대 B(3)와 상기 직물대 C(13)의 각각의 중심선에 의해 이루는 각도 중, 90° 이하의 각도이다. 상기 중심선은, 도 4 중 직물대 B의 중심선(15), 직물대 C의 중심선(16)으로서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내각도가 30° 이상임으로써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C에 의한 원하는 교정력을 효율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고, 또한, 교정이 필요한 족관절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쉽고, 하지 교정구로서의 교정 기능이 우수하다.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C와 상기 직물대 B의 연결 부분의 내각도를 상기한 범위로 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동작 시에 장착자의 족부가 불안정되고,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의 앞 절반이 과잉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혹은, 직물대 B의 내반을 억제하는 교정력이 과잉으로 작용하여, 상기 족부의 앞 절반이 과잉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경우에 있어서, 그 과잉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고, 적절한 교정 위치가 유지되어, 기능 회복, 일상의 보행 동작 향상에 보다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대 C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 각각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또한 상기 직물대 B와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연결은, 통상 상기 직물대 B, C가 접하는 부분에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직물대 C와 상기 직물대 B의 연결 부분의 내각도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장착 용이함이 보다 한층 개선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대 C와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 및 상기 직물대 B에 대한 연결 방법은, 하지 교정구를 장착 시에 있어서의 원하는 교정 효과를 충족하는 한은,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봉틀 등에 의한 꿰매 붙이기, 면 패스너, 스냅 버튼 등이 사용된다.
상기 직물대의 직 조직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충족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직, 능직, 주자직이나, 이들의 조직을 조합한 이중직 등의 조직을, 적어도 1종 이상,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은 신축성을 갖고,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경 방향 및 위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이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물대의 모두가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은, 상기 직물대 A1, A2, B, C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경위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이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직물대의 모두가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경위 방향의 양쪽에서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상기 직물을 직물대에 사용하는 경우, 경 방향, 위 방향 어느 방향을 직물대 길이 방향(혹은 폭 방향)으로 해도 상관없다. 경 방향 또는 위 방향 중 어느 한쪽만이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직물의 위 방향이 상기 범위를 충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안정된 품질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신장률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직물대가 동작의 강도에 따라서 신장하므로, 족부를 과도하게 고정하지 않고, 적절하게 신장하고, 족부와 하지 교정구의 마찰이 저감되어, 동작 시에 있어서의 족부의 요동이나, 교정력이 작용할 때에 일어나는, 직물대가 덮는 부위에 대한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이 보다 좋아지고, 장착 시의 통증이나 위화감이 억제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게다가, 동작 시에, 장착자가 가하는 힘을 상기 직물대가 수용함으로써, 근육을 움직이게 하기 쉬워져,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동작은, 어떤 응력의 범위 내이면, 직물대가 적절하게 신장하고, 동작에 추종하면서, 족부에 대한 교정력을 발휘하고, 동작이 어느 응력의 범위를 초과하면, 직물대가 동작에 추종하지 않고 족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적절한 교정 범위 내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직물대에 사용되는 실의 형태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충족하는 한 단섬유, 장섬유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실의 재질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충족하는 한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등의 한정은 없고, 각종 섬유가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면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울, 견 등의 천연 섬유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은, 이들의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류 이상을 동시에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실에 신축 소재인 탄성 섬유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하는 탄성 섬유로서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치수 안정성이나 고탄성의 신축성이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대에 사용하는 섬유의 섬도로서는, 30 데시텍스 내지 15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섬유와 그 밖의 섬유(비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탄성 섬유의 섬도는 50 데시텍스 내지 15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156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섬유인 비탄성 섬유의 섬도로서는, 30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데시텍스 내지 500 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대로 사용하는 실의 일부에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 섬유를 사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직물이 갖는 치수 안정성과, 탄성 섬유가 갖는 신축성이나 신장 후의 양호한 회복성을 구비하고, 족관절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고정력, 교정력이나 치수 안정성, 동작에 대한 추종성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하는 탄성 섬유의 사용 비율은 원하는 특성이 얻어지는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경사 또는 위사 전체로서, 또는 직물 전체로서, 30중량% 내지 70중량% 정도이다.
또한, 상기 직물대에 있어서, 탄성 섬유 이외의 섬유인 그 밖의 섬유(비탄성사)를 사용하는 경우, 그 크림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그 신장률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에 비탄성 섬유를 사용하고, 그 크림프율을 5% 이상 30% 이하로 하면, 원하는 신장성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이다.
또한,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한쪽에 탄성 섬유와 비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비탄성 섬유의 크림프율을 5% 이상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탄성 섬유가 신장할 때에 비탄성 섬유도 크림프율에 따라서 추종하고, 또한 탄성 섬유에 의한 과도한 신장을 멈출 수 있다.
그 경우의 탄성 섬유의 크림프율도 원하는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0%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대의 직밀도는 경사 밀도, 위사 밀도에 있어서, 각각 20개/inch(2.54cm) 내지 150개/inch(2.54cm)인 것이 바람직하고, 30개/inch(2.54cm) 내지 100개/inch(2.54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의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반복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8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내지 100%가 더욱 바람직하고, 90%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이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물대의 모두가 상기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복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동작 시에, 장착자의 족부가 가하는 힘에 대하여, 원래의 교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이 적절하게 작용함으로써, 적절한 교정 위치가 유지되어, 기능 회복, 일상의 보행 동작 향상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게다가,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고,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직물대는,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10% 이상 30% 이하의 크림프율을 갖는 비탄성 섬유를 포함하고, 다른 쪽의 적어도 일부가 0% 이상 5% 이하의 크림프율을 갖는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평직물이다. 또한, 직밀도는 경사 밀도, 위사 밀도에 있어서, 30개/inch(2.54cm) 내지 100개/inch(2.54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도는, 비탄성 섬유에서 50 데시텍스 내지 500 데시텍스, 탄성 섬유에서 156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는, 상기 직물대 A1 또는/및 상기 직물대 A2에, 착용 시에 긴장 체결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장 체결력을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동작할 때, 상기 직물대 A1 또는/및 상기 직물대 A2가 소정의 위치에서 어긋나는, 벗어나는 등이라고 하는 일이 없고, 상기 직물대 A1에 있어서는,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안정적으로 덮고,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직물대 A2에 있어서는, 족부의 중족골 또는 입법골을 안정적으로 덮고,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직물대 A1, A2에 있어서는, 상기 직물대 B가 교정력을 발현하는 지지체로서, 적합하게 작용한다. 상기 조정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벨트, 훅, 면 패스너, 버튼, 버클, 캔 등,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는,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란, 상기 하지 교정구를 탈착할 때에 개구부를 넓히도록 개폐하거나, 개구하고 있지 않은 장소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기구이다. 개폐 가능한 기구를 마련하는 장소로서는, 교정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착탈이 용이해지는 장소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직물대 A1, 상기 직물대 A2, 상기 직물대 B 및 그것들의 연결부의 어느 장소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개폐 가능한 기구를 마련하는 장소는 1 이상이면 된다.
특히, 상기 직물대 B는 길이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조정 기구로서는, 상기 직물대 A2와 상기 직물대 B의 연결부 부근에서, 상기 직물대 B를 상측 방향으로 인장하도록 할 수 있는 기구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직물대 B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착용자에 있어서의 내반첨족 등의 증상에 맞춘 교정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길이를 조정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B를 상측 방향으로 인장하는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편마비 환자가 한쪽 손으로 장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교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편마비 환자의 일반적인 증상으로서, 어느 쪽인가 한쪽의 반신에 있어서 한쪽 손과 한쪽 발이 마비 상태로 되어 있는 것, 마비 상태가 아닌 한쪽 손의 동작 중, 인장하는 동작을 가장 하기 쉬운 것이 있다. 그것을 전제로 하면, 장착 시에, 특히 내반첨족 등의 이상한 발의 위치를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시키면서,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를 장착할 때에, 상기 직물대 B를 상측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길이를 조정하면, 교정력의 조정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직물대 B와 상기 직물대 A2를 연결할 때, 직물대측에 구멍부를 마련하고, 거기에 상기 직물대 B를 통하여 절첩하고, 인장하여 멈춤으로써,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기구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직물대 B를 2 이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직물대 A2와의 연결측의 상기 직물대 B를 연결부에서 인장하여 상기 직물대 A1과의 연결측의 상기 직물대 B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기구 2)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 1에 있어서는, 연결부에 상기 직물대 A2에 마련한 구멍부나 캔 등을 사용하여, 거기에 상기 직물대 B를 통과시키고, 접어서 상기 직물대 B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B에 면 패스너, 그 밖의 고정구로 고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기구 2에 있어서는, 상기 직물대 B를 2개의 부재 b1, b2로 구성하고, 부재 b1을 상기 직물대 A1과 연결하고, 부재 b2를 상기 직물대 A2와 연결함과 함께, 부재 b1, b2 양자를 연결할 때에 b2를 인장해서 b1과 고정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b1과 b2를 고정할 때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캔에 통과시켜서 접고, 면 패스너로 고정하는 방법, 래더 로크, 버클 등의 고정구로 연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구 2를 사용하는 경우의, 연결부는, 발등 위 또는 적어도 발목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구 1, 2와 같은 길이 조정 기구는, 말할 필요도 없이, 개폐 가능한 기구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족부의 변형이 강한 장착자나, 고령의 장착자 등이, 혼자 착탈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개조자에 있어서도 착탈 작업이 경감되어, 사용이 기피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개폐 가능한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선 패스너, 면 패스너 등의 패스너, 스냅 버튼, 태크 버튼 등의 버튼 등,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아리부의 측면에 있어서, 패스너에 의한 개폐구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한층 간단하게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는, 상기 직물대에 있어서, 원하는 교정력, 착탈성 등의 특성을 충족하는 한, 적어도 무릎으로부터 족부까지 덮는 레그 웨어와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사용해도 되고, 직물대와 레그 웨어가 일부에서 연결되어 있어도 되지만, 상기 직물대와 상기 레그 웨어가 연결되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대 A1에 있어서는, 무릎 등 무릎부의 전방부 혹은 발목부의 전방부를 덮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레그 웨어와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물대 B에 있어서는, 경골을 포함하는 종아리부를 덮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레그 웨어와 연결시키는 것이, 착탈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의 양쪽을 행해도 된다.
상기 직물대와 상기 레그 웨어가 연결되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착용 시에 각 직물대를 원하는 양태로 배치하기 쉽고, 또한 그것을 위한 손이 많이 가지 않고, 일반 의료와 같이 착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착자, 개조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본 발명의 하지 교정구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장착자의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한 연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제, 접착 등,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지 장구는, 지속적 사용의 관점에서, 금속이나 경질 수지의 프레임, 모노코크 등을 포함하지 않는 장구, 소위 연성 장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각종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섬도, 필라멘트 수
섬도는, JIS L 1013: 2010 8.3.1 정량 섬도(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필라멘트 수는, JIS L 1013: 2010 8.4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2)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에 대하여, 50mm×300mm의 시험편을 거쳐, 위 방향으로 각각 5매씩 채취하였다. 자동 기록 장치 구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잡기 간격을 200mm로 하고, 시험편의 느슨해짐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잡기에 고정하였다.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하중 150N에 도달할 때까지 신장하고, 측정을 실시하여 얻은 하중 변형 곡선에 기초하여, 100N 시의 변위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신장률 L(%)을 구하여, 5매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신장률L(%)=(L1/L)×100
L: 잡기 간격(mm)
L1: 100N까지 신장한 때의 변위(mm)
(3)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에 대하여 50mm×300mm의 시험편을 거쳐, 위 방향으로 각각 5매씩 채취하였다. 자동 기록 장치 구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잡기 간격을 200mm로 하고, 시험편의 느슨해짐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잡기에 고정하였다.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150N까지 신장하고, 측정을 실시하여 얻은 하중 변형 곡선에 기초하여, 20N 시의 변위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신장률LA(%)을 구하여, 5매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신장률 LA(%)=(La1/La)×100
La: 잡기 간격(mm)
La1: 20N까지 신장한 때의 변위(mm)
(4)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
직물대 B에 사용하는 직물에 대하여, 50mm×300mm의 시험편을 거쳐, 위 방향으로 각각 5매씩 채취하였다. 자동 기록 장치 구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잡기 간격을 200m(Lb)로서 표시를 붙이고, 시험편의 느슨해짐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잡기에 고정하였다.
시험편의 하중을 1N으로부터 50N까지 증대시킨 후, 상기 하중을 50N으로부터 1N까지 저감시키는 조작을 1세트로 하고, 이것을 1000회 반복하는 사이클 시험을 실시하고, 사이클 속도는 1회/1초로 한다. 상기 조작의 1세트째 50N까지 신장한 때의 잡기 간격(Lb1) 및 1000세트째 50N까지 신장한 때의 잡기 간격(Lb2)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신장 변화율 LB(%)를 구하여, 5매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신장 변화율 LB(%)=[(Lb2-Lb1)/Lb]×100
(5)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
직물대 B에 사용하는 직물에 대하여, 50mm×300mm의 시험편을 거쳐, 위 방향으로 각각 5매씩 채취하였다. 자동 기록 장치 구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잡기 간격을 200mm로 하고, 시험편의 느슨해짐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잡기에 고정하였다.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150N까지 신장하고, 측정을 실시하여 얻은 하중 변형 곡선에 기초하여, 50N 시의 변위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신장률 LC(%)를 구하여, 5매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신장률 LC(%)=[(Lc1-Lc)/Lc]×100
Lc: 잡기 간격(mm)
Lc1: 50N까지 신장한 때의 변위(mm)
(6) 신장 회복률
50mm×300mm의 시험편을 거쳐, 위 방향으로 각각 5매씩 채취하였다. 자동 기록 장치 구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잡기 간격을 200m(Ld)로서 표시를 붙이고, 시험편의 느슨해짐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잡기에 고정하였다.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100N까지 신장하여, 1분 방치한 후, 동일한 속도로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시키고, 3분간 방치한다. 이 조작을 50회 반복한 후, 하중을 제거하고, 3분간 방치한 후, 시험편의 느슨해짐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표시 사이의 길이(Ld1)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신장 회복률LD(%)을 구하여, 5매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신장률 LD(%)=[Ld-(Ld1-Ld)/Ld]×100
(7) 직물대 A1과 직물대 B의 내각도의 측정 방법:
제작한 하지 교정구를 교정이 필요한 한쪽 발에 착용할 때, 직물대 A1과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양단 접선에 의한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90° 이하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8) 직물대 B와 직물대 C의 내각도의 측정 방법:
제작한 하지 교정구를 교정이 필요한 한쪽 발에 착용할 때, 직물대 B와 직물대 C의 길이 방향의 양단 접선에 의한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90° 이하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9) 착용 평가:
제작한 하지 교정구를 교정이 필요한 한쪽 발에 착용하여, 1시간 보행한 상태에서, 배굴 교정, 내반 교정, 교정력, 압박감, 마찰의 5항목을 평가하였다. 배굴 교정, 내반 교정은 착용자의 보행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평가하고, 교정력, 압박감, 마찰의 평가는 착용자에 의한 관능 평가에서 실시하고, ◎, ○,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A. 배굴 교정
◎: 보행 유각기 중, 발이 배굴하고, 착지 시에 발뒤꿈치가 발끝보다 먼저 지면에 닿도록 걷는다.
○: 보행 유각기 중, 발이 배굴하고, 착지 시에 발뒤꿈치와 발끝이 동시에 지면에 닿도록 걷는다.
×: 보행 유각기 중, 발이 배굴할 수 없고, 착지 시에 발끝이 지면에 걸려서 걷는다.
B. 내반 교정
◎: 보행 중에 발의 내반이 없고, 착지 시에 발바닥의 외연과 내연도 지면에 닿도록 걷는다.
○: 보행 중에 발의 내반이 약간 있고, 착지 시에 발바닥의 외연과 내연도 지면에 닿도록 걷는다.
×: 보행 중에 발의 내반을 교정할 수 없게 되고, 착지 시에 발바닥의 외연이 지면에 닿도록 걷고, 보행이 불안정해진다.
C. 교정력
◎: 교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주력한 때에, 직물대가 약간 추종한다.
○: 교정된 상태가 강하게 유지되고, 주력해도 직물대가 변화하지 않는다.
×: 교정된 상태의 유지가 약하고, 주력하면 직물대가 추종한다.
D. 압박감
◎: 보행 중에 직물대가 덮는 부분에서 위화감은 있지만, 신경쓰이지 않는다.
○: 보행 중에 직물대가 덮는 부분에서 압박감을 느끼지만, 통증은 없다.
×: 보행 중에 직물대가 덮는 부분에서 압박감을 강하게 느끼고, 통증이 있다.
E. 마찰
◎: 보행 중에 직물대의 주변에서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 보행 중에 직물대 B의 주변에서 통증은 느끼지 않지만 스친 것과 같은 위화감이 있다.
×: 보행 중에 직물대의 주변에서 피부와 스쳐서 통증을 느낀다.
(10) 직밀도
JIS L 1096: 2010 8.6.1(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평평한 받침대 상에 두고, 부자연스러운 주름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다른 5군데에 대해서 1inch(2.54cm) 사이에 존재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개수를 세어,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1) 크림프율
직물로부터 발출한 경사 및 위사에 대해서, JIS L1096: 2010 8.7(B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20개의 실에 대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12) 착압
하지 교정구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직물대 A1 및 A2의 인체에 대한 착압을, 각각 에이엠테크노사제 에어 팩식 도착압 측정기 AMI3037-10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직물대 A1은 무릎 뒤의 부분에서 측정하고, 직물대 A2는 중족골을 포함하는 발등부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레그 웨어에 54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탄성 섬유로서 156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섬유의 2종류의 섬유를 교편한 트리코트 편지를 사용하였다.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에는, 경사로서, 비탄성사인 167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위사로서, 탄성사인 700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하이트렐"(등록 상표)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 39개/inch(2.54cm), 위사 밀도 43개/inch(2.54cm)의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직물을 180℃의 온도에서 2분간, 열처리를 행하여, 경사 밀도 45개/inch(2.54cm), 위사 밀도 46개/inch(2.54cm)의 직물을 얻었다. 경사, 위사의 크림프율은 각각 20%, 3%였다.
얻어진 직물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경 방향 2%, 위 방향 8%이며,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경 방향 1%, 위 방향 2%이며,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경 방향 92%, 위 방향 93%였다. 상기 얻어진 직물의 위 방향을 직물대의 길이 방향으로서 설정하고,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3%이며, 해당 하중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이 12%였다.
레그 웨어는, 한쪽 발의 족부로부터 무릎부까지를 덮는 속스 형상으로 하고, 상기 직물대 A1은, 슬와를 포함하는 무릎부를, 무릎의 주위 방향과 상기 얻어진 직물의 위 방향이 정렬되도록 덮고, 상기 직물대 A2는,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도록, 주회시킨다. 그때, 발의 폭 방향과 상기 얻어진 직물의 위 방향이 정렬되도록 하였다. 상기 직물대 B는, 직물의 위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하고, 그 한쪽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연결하였다. 그 연결부는, 상기 직물대 A2의 제5 중족골측의 입법골을 포함하는 족부 부근에서 행하고, 상기 직물대 B는 입법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도록 경골을 포함하는 종아리부의 전방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유하여, 직물대 A1까지 연신하고,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를 45°와 같이 형성하여 상기 직물대 A1과 연결하였다. 상기 직물대 A1, A2 모두 인체에 대한 착압이 15hPa인 것처럼 조정하였다. 직물대 B는, 장착자가 장착하고, 세워진 상태에서 발뒤꿈치가 접지한 상태에서,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조정하였다.
상기 직물대 A1에 있어서는, 무릎을 포함하는 무릎부를 덮는 부분의 일부를, 상기 직물대 B에 있어서는, 경골을 포함하는 종아리부의 전방부를 덮는 부분의 일부를, 레그 웨어와 재봉틀에 의한 꿰매 붙이기로 연결시키고, 상기 직물대 A2에 있어서는, 상기 직물대 B와 일체화로서 재봉틀 봉제로 연결하고, 상기 직물대 A1에 있어서, 주위 방향(길이 방향)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있어서는, 면 패스너로 배접하고, 중족골 B를 포함하는 족부를 덮도록 주회시켜, 레그 웨어와의 접촉면을 면 패스너에 의해 접착시킴으로써, 원하는 긴장 체결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면 패스너로 배접한 직물대 A2의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은, 폭 방향 1.5%, 길이 방향 6%,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0.5%, 길이 방향 1.5%이며,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폭 방향 94%, 길이 방향 94%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에 교정하고,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의 내반이 없었다. 또한, 착지할 때에는,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하여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서 앞으로 나아가,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었다. 또한, 발을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교정력, 고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하지와 하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변형한 때의 회복도 충분하였다. 본 하지 교정구는, 그것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본 하지 교정구를 자택에서 장착자가 장착할 때에 있어서, 바닥을 손상하지 않고 편안하게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장착자가 본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신발을 신은 바, 발의 사이즈대로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속스 모양이기 때문에 착탈도 간편하고,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였다.
[실시예 2]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를 65°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에 교정하고,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의 내반이 없었다. 착지할 때에는,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하여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서 앞으로 나아가,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었다. 또한, 발을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교정력, 고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하지와 하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변형한 때의 회복도 충분하였다. 본 하지 교정구는, 그것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본 하지 교정구를 장착자가 자택에서 장착할 때에 있어서, 바닥을 손상하지 않고 편안하게 신을 수 있었다. 또한 본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신반을 신은 바, 발의 사이즈대로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속스 모양이기 때문에 착탈도 간편하고,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였다.
[실시예 3]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를 85°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의 교정할 수 있었다.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의 내반은 약간 있지만, 착지할 때에는,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하여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서 앞으로 나아가,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었다. 발을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교정력, 고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하지와 하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변형한 때의 회복도 충분하였다. 본 하지 교정구는, 그것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장착자가 본 하지 교정구를 자택에서 장착할 때에 있어서, 바닥을 손상하지 않고 편안하게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장착자가 본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신발을 신은 바, 발의 사이즈대로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속스 모양이기 때문에 착탈도 간편하고,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얻어진 직물의 경 방향을 직물대의 길이 방향으로서 설정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직물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1.7%이며, 해당 하중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직물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이 9%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하고,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의 내반이 없었다. 또한, 착지할 때에는,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하여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서 앞으로 나아가,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었다. 발을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교정력, 고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하지와 하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변형한 때의 회복도 충분하였다. 본 하지 교정구는, 그것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장착자가 본 하지 교정구를 자택에서 장착할 때에 있어서, 바닥을 손상하지 않고 편안하게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장착자가 본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신발을 신은 바, 발의 사이즈대로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속스 모양이기 때문에 착탈도 간편하고,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의 하지 교정구에, 상기 직물대 C를 추가하고, 상기 직물대 C는, 길이 방향의 일단을 상기 직물대 A2와 연결하였다. 연결 개소는 상기 직물대 A2의 제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 부근으로 하였다. 상기 직물대 C는 이 제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고, 발바닥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발뒤꿈치의 외측으로부터 아킬레스건을 포함하는 발목부의 내측에 걸쳐서 덮고, 경골을 포함하는 종아리부로부터 무릎부에 걸쳐서 덮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직물대 B의 경골을 포함하는 종아리부를 덮는 부분의 일부가 상기 직물대 C와 교차하였다. 그 교차한 부분은 재봉틀로 연결하고,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B와 상기 직물대 C의 내각도를 45°와 같이 형성하여 상기 직물대 A1과 연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상기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1.7%이며, 해당 하중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이 9%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에 교정하고,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의 내반이 없었다. 착지할 때에는,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하여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서 앞으로 나아가,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었다. 발을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교정력, 고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하지와 하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변형한 때의 회복도 충분하였다. 본 하지 교정구는, 그것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본 하지 교정구를 자택에서 장착할 때에 있어서, 장착자는 바닥을 손상하지 않고 편안하게 신을 수 있었다. 장착자가 본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신발을 신은 바, 발의 사이즈대로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속스 모양이기 때문에 착탈도 간편하고,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였다. 또한, 직물대 C를 가함으로써, 착용자의 보행 시에 있어서, 전경골근의 기능 저하에 의한 체간 전 경사가 개선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하지 교정구의 상기 직물대 B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재 b1(탄성 직대 B(b1)(17)), b2(탄성 직대 B(b2)(18))로 구성하고, 부재 b1을 직물대 A1과 연결하고, 부재 b2를 직물대 A2와 연결함과 함께, 부재 b1, b2 양자를 연결할 때에 b2를 인장해서 b1과 고정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로 하고, b1과 b2를 고정할 때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캔(19)에 통과시켜서 접고, 면 패스너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하지 교정구를 제작하였다. 직물대 B는, 장착자가 장착 후에, 세워진 상태에서 발뒤꿈치가 접지한 상태에서,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조정하고, 착용 시험을 행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에 교정하고,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의 내반이 없었다. 착지할 때에는, 발뒤꿈치가 먼저 착지하여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서 앞으로 나아가,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었다. 발을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교정력, 고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하지와 하지 교정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변형한 때의 회복도 충분하였다. 본 하지 교정구는, 그것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본 하지 교정구를 자택에서 장착할 때에 있어서, 장착자는 바닥을 손상하지 않고 편안하게 신을 수 있었다. 장착자가 본 하지 교정구를 착용하여 구두를 신은 바, 발의 사이즈대로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속스 모양이기 때문에 착탈도 간편하고,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A2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였다. 나아가, 직물대 B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착용자에 있어서의 내반첨족 등의 증상에 맞춘 교정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편마비 환자가 한층 한쪽 손으로 장착하기 쉬운 것이었다.
[비교예 1]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를 20°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가 낮고,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없었다.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이 내반하여 저굴하고, 착지할 때에는, 발끝이 먼저 착지해 버려,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려고 하면, 하지의 균형이 깨져 버려,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없기 때문에,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기능이 인정되지 않고,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2]
레그 웨어에 54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탄성 섬유로서 156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섬유의 2종류의 섬유를 교편한 트리코트 편지를 사용하였다.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에는, 경사와 위사 모두, 80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탄성사인 8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섬유 "라이크라"(등록 상표)를 조합한 합연사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 41개/inch(2.54cm), 위사 밀도 43개/inch(2.54cm)의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직물을 130℃의 온도에서 2분간, 열처리를 행하고, 경사 밀도 45개/inch(2.54cm), 위사 밀도 46개/inch(2.54cm)의 직물을 얻었다. 경사, 위사의 크림프율은 각각 5%, 3%였다. 얻어진 직물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경 방향 45%, 위 방향 47%이며,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경 방향 15%, 위 방향 17%이며,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경 방향 70%, 위 방향 72%였다. 상기 얻어진 직물의 위 방향을 직물대의 길이 방향으로서 설정하고,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35%이며, 해당 하중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이 30%였다.
또한, 면 패스너로 배접한 직물대 A2의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은, 폭 방향 39%, 길이 방향 40%,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12%, 길이 방향 15%이며,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폭 방향 72%, 길이 방향 75%였다.
직물대에 상기 직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가 낮고,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없었다.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이 내반하여 저굴하고, 착지할 때에는, 발끝이 먼저 착지해 버려,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려고 하면, 하지의 균형이 깨져 버려,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기능이 인정되지 않고,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3]
레그 웨어에 54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탄성 섬유로서 156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섬유 "라이크라"(등록 상표)의 2종류의 섬유를 교편한 트리코트 편지를 사용하였다.
직물대에 사용하는 직물에는, 경사와 위사 모두, 비탄성사인 167 데시텍스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 43개/inch(2.54cm), 위사 밀도 45개/inch(2.54cm)의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직물을 130℃의 온도에서 2분간, 열처리를 행하고, 경사 밀도 45개/inch(2.54cm), 위사 밀도 46개/inch(2.54cm)의 직물을 얻었다. 경사, 위사의 크림프율은 각각 2%, 3%였다. 얻어진 직물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경 방향 0.5%, 위 방향 0.6%이며,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경 방향 0.05%, 위 방향 0.07%이며,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경 방향 94%, 위 방향 95%였다. 상기 얻어진 직물의 위 방향을 직물대의 길이 방향으로서 설정하고,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0.1%이며, 해당 하중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직물대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이 10%였다.
또한, 면 패스너로 배접한 직물대 A2의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은, 폭 방향 0.2%, 길이 방향 0.4%,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0.04%, 길이 방향 0.05%이며,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폭 방향 95%, 길이 방향 96%였다.
비교예 1의 직물대 대신에 상기 직물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마찰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가 낮고,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없었다.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이 내반하여 저굴하고, 착지할 때에는, 발끝이 먼저 착지해 버려,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려고 하면, 하지의 균형이 깨져 버려,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이 하지 교정구는,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기능이 인정되지 않았다. 상기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과도하게 낮고, 동작 시에 상기 직물대 B는 발의 동작에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이 과도하게 강해져 버려, 동작 시에 일어나는 발과 하지 교정구의 마찰에 대하여 통증이 있었다. 또한, 비탄성사인 폴리에스테르가 변형한 때에, 변형 전의 형상으로 회복되지 않고, 지속적인 사용에는 불충분하고,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직물대 A1, A2, B에 사용하는 직물 대신에 시판하고 있는 고무 밴드를 사용한 것과,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 대체의 고무 밴드와 상기 직물대 B 대체의 고무 밴드의 내각도를 20°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직물대의 신장률이 높고,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이 내반하여 저굴하고, 착지할 때에는, 발끝이 먼저 착지해 버려,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려고 하면, 하지의 균형이 깨져 버려,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없기 때문에,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기능이 인정되지 않고,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5]
직물대에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하이트렐"(등록 상표)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한 것과,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를 20°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가 낮고,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없었다.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이 내반하여 저굴하고, 착지할 때에는, 발끝이 먼저 착지해 버려,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려고 하면, 하지의 균형이 깨져 버려,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없기 때문에,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기능이 인정되지 않고,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직물대 A1의 위치를 장딴지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의 위치에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또한, 하지 교정구로서, 장착 시에 상기 직물대 A1의 위치가 아래로 눌려 내려가고, 교정력의 지지점으로서 기능하지 않고,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이 내반하여 저굴하고, 착지할 때에는, 발끝이 먼저 착지해 버려,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려고 하면, 하지의 균형이 깨져 버려, 장착자는 안정적으로 걸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기능이 인정되지 않고,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직물대 A1, A2, B에 사용하는 직물 대신에 시판하고 있는 고무 밴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속스 타입의 하지 교정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하지 교정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바, 배굴 교정은 ×, 내반 교정은 ×, 교정력은 ×, 압박감은 ◎, 스침은 ◎로 되었다. 하지 교정구로서, 고무 밴드의 신장률이 높고, 교정이 필요한 발을 정상 위치로 교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보행 유각기에, 족관절이 내반하여 저굴하고, 착지할 때에는, 발끝이 먼저 착지해 버려, 발끝에서 뒤로 차 올라가려고 하면, 하지의 균형이 깨져 버려, 안정적으로 걸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발의 변형이나 보행 기능 개선에 필요한 기능이 인정되지 않고, 부적합하였다.
Figure pct00001
1: 직물대 A1
2: 직물대 A2
3: 직물대 B
4: 제1 중족골
5: 제5 중족골
6: 입방골
7: 종골
8: 거골
9: 경골
10: 비골
11: 종아리부
12: 직물대 A1과 직물대 B의 내각도
13: 직물대 C
14: 직물대 B와 직물대 C의 내각도
15: 직물대 B의 중심선
16: 직물대 C의 중심선
17: 탄성 직대 B(b1)
18: 탄성 직대 B(b2)
19: 캔

Claims (15)

  1. 하지 교정구이며, 복사뼈를 포함하는 발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무릎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직물대 A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는 직물대 A2 및 적어도 하나의 직물대 B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대 B는, 적어도 일부가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고, 상기 제5 중족골 또는 입방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직물대 B의 길이 방향 단부의 한쪽을 상기 직물대 A1에, 다른 한쪽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과 상기 직물대 B의 내각도는 30° 내지 90°이고, 상기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 10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5% 이상 50% 이하인 하지 교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B는 길이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인 하지 교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A1, 직물대 A2 및 직물대 B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하지 교정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A1, 직물대 A2 및 직물대 B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하지 교정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교정구가 하나 이상의 직물대 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물대 C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직물대 C는, 상기 제1 중족골을 포함하는 족부로부터 발목부 및/또는 무릎부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상기 직물대 C의 길이 방향 단부의 한쪽을 상기 직물대 A1에, 다른 한쪽의 단부를 상기 직물대 A2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하지 교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B와 상기 직물대 C의 내각도는 30° 내지 80°인 하지 교정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C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하지 교정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C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섬유를 포함하는 하지 교정구.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A1, A2, B, C의 하중 100N/5cm 시 신장률을 각각 A1E, A2E, BE, CE로 할 때, A1E≥CE≥BE, 또한 A2E≥CE≥BE인 하지 교정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교정구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직물대 A1 및 A2의 인체에 대한 착압이 각각 1hPa 내지 20hPa인 하지 교정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 20N/5cm 시의 신장률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0.1% 이상 10% 이하인 하지 교정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하중 50N/5cm 시의 신장률이 0.5% 내지 15%이고, 또한 상기 하중에 있어서의 신장과 복원을 1000회 반복한 후, 직물대 B의 길이 방향의 신장 변화율이 20% 이하인 하지 교정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 중 적어도 하나가, 길이 방향의 하중 100N/5cm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에서 80% 내지 100%인 하지 교정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교정구는 적어도 무릎에서 족부까지 덮는 레그 웨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하지 교정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교정구는 첨족 교정용 및 하수족 교정용에서 선택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하지 교정구.
KR1020227032201A 2020-03-31 2021-02-01 하지 교정구 KR20220160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1721 2020-03-31
JP2020061721 2020-03-31
PCT/JP2021/003534 WO2021199648A1 (ja) 2020-03-31 2021-02-01 下肢矯正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569A true KR20220160569A (ko) 2022-12-06

Family

ID=7792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201A KR20220160569A (ko) 2020-03-31 2021-02-01 하지 교정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149197A1 (ko)
EP (1) EP4129262A4 (ko)
JP (1) JP7420139B2 (ko)
KR (1) KR20220160569A (ko)
CN (1) CN115335022A (ko)
AU (1) AU2021249727A1 (ko)
CA (1) CA3176925A1 (ko)
WO (1) WO20211996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53A (ja) 1996-05-27 1997-12-09 Hiroshi Okumura 足の矯正用装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969A (en) * 1992-10-16 1993-11-02 Mance Cornelius J Ankle foot dorsiflexor/supporter
US5860423A (en) * 1996-12-06 1999-01-19 Thompson; Terry Ankle-foot orthosis
GB2375962A (en) * 2001-06-01 2002-12-04 Ingham Linda Orthopaedic device
US7115105B2 (en) * 2002-04-29 2006-10-03 Cropper Dean E Ankle control system
JP4181934B2 (ja) * 2003-07-11 2008-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膝部用粘着部材
IES20090678A2 (en) * 2009-09-08 2012-03-14 Stephen Stewart An orthopaedic hosiery item
FR2999417B1 (fr) * 2012-12-14 2015-02-06 Benoit Causse Dispositif orthopedique pour un membre inferieur humain et chaussure equipee d'un tel dispositif
EA032887B1 (ru) 2014-03-03 2019-07-31 Кова Компани,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ки колена
US10966852B2 (en) 2018-02-15 2021-04-06 Noriomi TSUNODA Heel ankle suppor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53A (ja) 1996-05-27 1997-12-09 Hiroshi Okumura 足の矯正用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20139B2 (ja) 2024-01-23
WO2021199648A1 (ja) 2021-10-07
EP4129262A1 (en) 2023-02-08
JPWO2021199648A1 (ko) 2021-10-07
AU2021249727A1 (en) 2022-11-17
US20230149197A1 (en) 2023-05-18
EP4129262A4 (en) 2024-05-08
CN115335022A (zh) 2022-11-11
CA3176925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518B2 (en) Sock
KR101555003B1 (ko) 발 관절 서포터
CN106061440B (zh) 护膝及膝关节保护方法
US20220047005A1 (en) Dynamic Socks and Associated Methods
EA033765B1 (ru) Бандаж голеностопного сустава
JP2018201846A (ja) 下肢用サポータ
US1548711A (en) Leg and foot developer
JP5548949B2 (ja) 矯正ストラ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足矯正具
JP5223144B2 (ja) 足関節装具
KR20220160569A (ko) 하지 교정구
JP7217912B2 (ja) 靴下型サポーター
JP2018011903A (ja) 下肢用サポータ
JP3165090U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JP2019081986A (ja) 衣服
TWI737089B (zh) 襪子
WO2021029325A1 (ja) 矯正具
KR200351861Y1 (ko)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JP6699976B2 (ja) 運動用のウェア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7187499B2 (ja) 衣類
CN209473709U (zh) 一种人体脚底穴位按摩联合被动踝关节训练鞋
EP2555719A1 (en) A device for providing support of a foot and use of said device
JP2021195649A (ja) 下肢装着用製品
JP2013027657A (ja) 足用矯正具
JP2023077783A (ja) インナーウェア
JP2021037021A (ja) 内反フィットルームシュー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