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003B1 - 발 관절 서포터 - Google Patents

발 관절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003B1
KR101555003B1 KR1020127018167A KR20127018167A KR101555003B1 KR 101555003 B1 KR101555003 B1 KR 101555003B1 KR 1020127018167 A KR1020127018167 A KR 1020127018167A KR 20127018167 A KR20127018167 A KR 20127018167A KR 101555003 B1 KR101555003 B1 KR 10155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wearer
letter
foot joint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226A (ko
Inventor
가즈히코 마쓰오
히데후미 고가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이이다쿠쓰시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이이다쿠쓰시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ank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plantar arch)를 밀어올리고, 내측 세로 아치의 형성을 서포트하여, 착용자의 보행성을 높일 수 있는 데 더하여, 발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하퇴삼두근(下腿三頭筋; 장딴지)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또한 아킬레스건, 하퇴삼두근 및 발 관절 외측[인대(靭帶)]의 동통(疼痛)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발 관절 서포터를 제공한다. 발 관절 서포터(10)는, 착용자의 종아리에 통형 편지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1 앵커부(anchor section)(2)와, 착용자의 발등 및 발바닥에 통형 편지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2 앵커부(3)와,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 사이에서의, 발부(11) 및 보디부(12)로서 편성(編成)되고, 착용자의 거퇴관절(距腿關節)을 지지하는 피겨 에이트부(figure eight section)(4)를 구비하고, 발부(11)가 착용자의 발등에 대응하는 발등부(11a)와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부(4a)로 이루어지고,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발바닥부(4a)의 신축 저항이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발등부(11a)의 신축 저항보다 크다.

Description

발 관절 서포터{FOOT JOINT SUPPORTER}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일상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발 관절 서포터(foot joint support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하퇴삼두근(下腿三頭筋; 장딴지)의 피로를 감소하고, 또한 아킬레스건, 하퇴삼두근 및 발 관절 외측[인대(靭帶)]의 동통(疼痛)을 완화시킬 수 있는 테이핑(taping) 기능을 구비하는 발 관절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말 또는 통형의 하지용(下肢用) 서포터는, 발부, 발목부, 및 장딴지부를 덮는 양말 또는 통형의 하지용 서포터로서, 종골(踵骨; calcaneal bone) 및/또는 입방골(立方骨; cuboid bone)에 대응하는 발바닥부로부터 발목부 측면까지를 덮는 부분에 신축성의 보강부를 일체로 설치하고, 장착 시에 발목부로부터 장딴지부로 순차적으로 압박(壓迫) 압력이 작아지는 압박 압력 분포를 설정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07―332469호 공보
종래의 양말 또는 통형의 하지용 서포터는, 발 아치(foot arch) 보강부가 발 아치를 압박 가능하도록 발부 주위를 덮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발 아치는 족근골(足筋骨) 아치이며, 발 아치 보강부가 중족골(中足骨) 아치를 압박 가능하도록 발부 주위를 덮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종래의 양말 또는 통형의 하지용 서포터는, 스포츠 중의 퍼포먼스 업, 하지의 부어오름의 예방이나 경감 등의 피로 경감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며, 착용자의 발뒤꿈치로부터 엄지로 중심(重心)이 이동하는 이상적(理想的)인 체중 이동(3점 보행)에 있어서, 체중 지지에 중요한 외측 세로 아치 및 내측 세로 아치의 형성을 서포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plantar arch)를 밀어올리고, 내측 세로 아치의 형성을 서포트하여, 착용자의 보행성을 높일 수 있는 테이핑 기능을 구비하는 발 관절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에 있어서는, 통형 편지(筒形編地; tubular knitted fabric)의 일단을 주회(周回)하여 편성(編成)되고, 착용자의 복사뼈 근방의 경골(脛骨; 정강뼈) 및 종아리뼈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회하고, 착용자의 종아리에 상기 통형 편지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1 앵커부(anchor section)와, 통형 편지의 타단을 주회하여 편성되고, 착용자의 중족지절관절(中足趾節關節; metatarsophalangeal joint) 근방의 제1 중족골(中足骨), 제2 중족골, 제3 중족골, 제4 중족골 및 제5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회하고, 착용자의 발등 및 발바닥에 상기 통형 편지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2 앵커부와, 통형 편지의 제1 앵커부 및 제2 앵커부 사이에서의, 착용자의 발뒤꿈치 및 발끝(tiptoe)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발부 및 보디부(body section)로서 편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거퇴관절(距腿關節)을 지지하는 피겨 에이트부(figure eight section)와,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발뒤꿈치부 성형부를 구비하고, 피겨 에이트부에서의 발부가, 착용자의 발등에 대응하는 발등부와,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고, 발뒤꿈치 성형부로부터 제2 앵커부까지에 의해 편성되는 발바닥부로 이루어지고,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발바닥부 전체의 신축 저항이,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발등부의 신축 저항보다 큰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를 밀어올리고, 내측 세로 아치의 형성을 서포트하여, 착용자의 보행성을 높일 수 있는 데 더하여, 발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하퇴삼두근의 피로를 감소하고, 또한 아킬레스건, 하퇴삼두근 및 발 관절 외측(인대)의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배면도이며, (c)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평면도이며, (f)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저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다른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며, (b)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배면도이며, (c)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평면도이며, (f)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저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며, (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c)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입각기(立脚期; stance phase)의 초기에서의 장딴지근(gastrocnemius)에 의한 충격 흡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입각기의 중기에서의 하퇴삼두근에 의한 종아리 전방 제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c)는 입각기의 후기에서의 하퇴삼두근에 의한 추진력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d)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에서의 신장율의 측정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3차원 동작 해석에 의한 발 관절 각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3차원 동작 해석에 의한 발 관절 모멘트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3차원 동작 해석에 의한 발 관절 각도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최대 배굴(背屈; 발 관절의 발바닥 방향으로의 운동) 각도의 비교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3차원 동작 해석에 의한 발 관절 모멘트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저굴(底屈; plantar flexion) 모멘트의 비교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a)에 나타낸 비교 범위에서의 각 피험자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도 7의 (b)에 나타낸 비교 범위에서의 각 피험자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의 (a)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배면도이며, (c)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평면도이며, (f)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저면도이다.
도 11의 (a)는 제3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배면도이며, (c)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평면도이며, (f)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저면도이다.
도 12의 (a)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제3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발 관절 서포터(10)는, 양말편기[예를 들면, 로나티사 제작의 편물 기계종(침수: 256개)]에 의해 환편(丸編)으로 편성되는 통형 편지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인체 표면에 밀착되어 착용자의 발 관절을 보조하는 서포터이다.
발 관절 서포터(10)는, 표사(表絲), 배사(背絲) 및 고무사를 편사(編絲)로 하고, 평편(平編; plain stitch), 리브편(rib stitch), 턱편(tuck stitch), 플로우팅편(floating stitch) 또는 파일편(pile stitch) 등으로 편성되어 이루어지는 신축성이 있는 편지인 베이스 직물부(base fabric section)(1)에 대하여, 상이한 편성을 행함으로써, 테이핑 기능 등의 원하는 기능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베이스 직물부(1)는,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발뒤꿈치 성형 부분이며, 평편에 의해 편성되어 이루어지는 편지(이하, 평편지라고 함)이다.
또한, 발 관절 서포터(10)는, 통형 편지의 일단[상단(10a]을 주회하여 편성되고, 착용자의 복사뼈 근방의 경골 및 종아리뼈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회하고, 착용자의 종아리에 발 관절 서포터(10)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1 앵커부(2)와, 통형 편지의 타단[하단(10b)]을 주회하여 편성되고, 착용자의 중족지절관절 근방의 제1 중족골, 제2 중족골, 제3 중족골, 제4 중족골 및 제5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회하고, 착용자의 발등 및 발바닥에 발 관절 서포터(10)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2 앵커부(3)를 구비한다.
이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는, 발 관절 서포터(10)(통형 편지)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베이스 직물부(1)의 신축 저항보다 크게 편성되어 있다. 즉, 소재에 신장을 주지 않은 상태로부터 일정한 신장을 준 경우의 장력을 F로 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베이스 직물부(1)의 장력을 FH1으로 하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제1 앵커부(2)의 장력을 FH2로 하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제2 앵커부(3)의 장력을 FH3로 한 경우에,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가 베이스 직물부(1)와 비교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 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한, FH2≒FH3>FH1이라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를, 모스편(moss stitch)으로 편성된 편지(이하, 모스편지라고 함)로 함으로써, 평편지의 베이스 직물부(1)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신축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모스편지란, 코스 방향 및 웨일(wale) 방향으로, 평편과 턱[어떤 코스에서 루프(loop)를 탈출시키지 않고, 그 후의 코스에서 복수 루프를 탈출시키는 조직(組織)]이 교호적(交互的)으로, 또는 수코스마다 표현되는 편지이다. 그러므로,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에는, 평편과 턱을 병용함으로써, 편지의 표면에 융기나 오픈워크편(openwork stitch)을 만들 수 있어, 모스와 같은 메시 패턴이 표현된다.
이와 같이, 제1 앵커부(2)는, 착용자의 종아리를 주회하여 편성되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베이스 직물부(1)의 신축 저항보다 큰 것에 의해, 착용자의 종아리에 발 관절 서포터(10)를 고정시키고, 발 관절의 배굴 시에서의 발 관절 서포터(10)의 상단(10a)의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부(2)는, 후술하는 피겨 에이트부(4)가 연결되고, 이 피겨 에이트부(4)의 앵커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제2 앵커부(3)는, 착용자의 발등 및 발바닥을 주회하여 편성되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베이스 직물부(1)의 신축 저항보다 큰 것에 의해, 착용자의 발등 및 발바닥에 발 관절 서포터(10)를 고정시키고, 발 관절의 배굴 시에서의 발 관절 서포터(10)의 하단(10b)의 밀려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앵커부(3)는, 후술하는 피겨 에이트부(4)가 연결되고, 이 피겨 에이트부(4)의 앵커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에 의한 착용자의 종아리 및 발등 및 발바닥에 대한 체결력을 너무 강하게 하면, 종아리 및 발등 및 발바닥에서의 혈류 저해가 생기게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게 한다. 특히, 이 불쾌감은, 발등 및 발바닥에 비하여, 종아리에 있어서 현저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10)는, 제2 앵커부(3)에 대하여, 착용자의 인체 표면에 접촉하는 제1 앵커부(2)의 면적을 넓혀, 제1 앵커부(2)에 의한 인체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또한 제1 앵커부(2)의 일부에 있어서 밀도를 조정[예를 들면, 제2 앵커부(3)에 대하여 체결력을 10% 정도 작게]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완화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10)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 적절한 체결력을 가지도록, FH3>FH2>FH1이라는 대소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겨 에이트부(4)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 사이에서의, 착용자의 발뒤꿈치 및 발끝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발부(11) 및 보디부(12)로서 편성되어, 착용자의 거퇴관절을 지지한다. 또한, 피겨 에이트부(4)는, 착용자의 종아리 측에서의 제1 앵커부(2)에 의해 걸려져 있고 착용자의 발측에서의 제2 앵커부(3)에 의해 걸려져 있다.
이 피겨 에이트부(4)는, 착용자의 거퇴관절을 감싸넣고, 관절 적합성을 도모하여, 발 관절을 안정시켜, 보행 시에서의 착용자의 발목의 변위를 억제(heel locking)하여, 내반염좌(內反捻挫)의 방지나 한쪽 발로 설 때의 불안정성 등을 해소하여, 착용자에 의한 안정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각기[보행 중 발이 접지(接地)되어 있는 기간]의 중기[도 4의 (b)]로부터 후기[도 4의 (c)]에 있어서는, 하퇴삼두근의 기능이 주요하다.
그러므로, 피겨 에이트부(4)는, 착용자의 종골로부터 아킬레스건에 대한 테이핑 기능에 의해, 발 관절의 배굴 제동을 행하고, 입각기의 중기로부터 후기에 걸친 종아리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고, 또한 입각기의 후기로부터의 내딛고 발을 뗄 때(보행에서의 추진력)의 보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피겨 에이트부(4)는, 발 관절의 배굴 제동을 보조함으로써, 착용자의 중심(重心)을 발끝 방향(tiptoe direction)으로 유도하여, 착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피겨 에이트부(4)는, 착용자의 발 관절을 안정시켜, 입각기의 초기[도 4의 (a)에서의 지면(바닥)]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보조를 행할 수 있다.
특히, 피겨 에이트부(4)에서의 발부(11)는, 착용자의 발등에 대응하는 발등부(11a)와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부(4a)로 이루어지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발바닥부(4a)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발등부(11a)의 신축 저항보다 크게 편성되어 있다.
또한, 피겨 에이트부(4)에서의 발등부(11a)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제2 앵커부(3) 측에서 편성을 상이하게 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상기 편성을 상이하게 한 영역의 신축 저항을, 발등부(11a)에서의 다른 영역의 신축 저항보다 작게 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완충부(4c)를 구비한다.
또한, 피겨 에이트부(4)에서의 보디부(12)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정면측에서 편성을 상이하게 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상기 편성을 상이하게 한 영역의 신축 저항을, 보디부(12)에서의 다른 영역의 신축 저항보다 작게 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제2 완충부(4d)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등부(11a)에서의 다른 영역과 보디부(12)에서의 다른 영역은, 연속된 편지이며[이하, 지지부(4b)라고 함)], 2×1의 턱편과 플레이팅편(plating stitch)을 병용한 편지(이하, 2턱편·플레이팅 편지라고 함)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바닥부(4a)를 1×1의 턱편과 플레이팅편을 병용한 편지(이하, 1턱편·플레이팅 편지라고 함)로 하고, 제1 완충부(4c) 및 제2 완충부(4d)를 2×1의 턱편에 의해 편성하여 이루어지는 편지(이하, 2턱편지라고 함)로 하고 있다.
여기서, 턱편지란, 생지를 편성할 때, 일시 어떤 루프를 만들지 않고, 다음의 코스를 편성할 때 함께 루프를 만드는 편지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밀도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지지부(4b), 제1 완충부(4c) 및 제2 완충부(4d)의 편지로서 턱하는 횟수를 2회로 하고, 발바닥부(4a)의 편지로서 턱하는 횟수를 1회로 하고 있지만, 원하는 신축 저항의 차이를 얻을 수 있다면, 이 횟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턱편·플레이팅 편지에서는, 턱편의 지편사(地編絲) 외에 다른 편사[예를 들면, 울리나일론사(wooly nylon yarn)]를 첨가하여 실을 공급함으로써,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발바닥부(4a) 및 지지부(4b)의 신축을 적당히 억제하고 있다. 즉, 턱편·플레이팅 편지에서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의 신장이 주위 방향 H의 신장과 비교하여 작게 편성되어 있다. 또한, 턱편·플레이팅 편지에서는, 발바닥부(4a) 및 지지부(4b)와 다른 영역과의 경계에 있어서 다른 편사를 커팅하고 있다[커팅 보스(cutting boss)].
이와 같이, 발바닥부(4a)를 1턱편·플레이팅 편지로 하고, 지지부(4b)를 2턱편·플레이팅 편지로 하고, 제1 완충부(4c)를 2턱편지로 함으로써, 발등부(11a)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발바닥부(4a)의 신축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b)를 2턱편·플레이팅 편지로 하고, 제2 완충부(4d)를 2턱편지로 함으로써, 보디부(12)에서의 지지부(4b)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2 완충부(4d)의 신축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지지부(4b)의 장력을 FL4b로 하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1 완충부(4c)의 장력을 FL4c로 하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2 완충부(4d)의 장력을 FL4d로 한 경우에, 지지부(4b)가 제1 완충부(4c) 및 제2 완충부(4d)와 비교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 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한, FL4b>FL4c≒FL4d라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또한,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발바닥부(4a)의 장력을 FL4a로 한 경우에, 발바닥부(4a)가 발등부(11a)와 비교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 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한, FL4a>FL4b>FL4c라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발바닥부(4a)는, 코스 방향의 신장을 없앰으로써, 착용자의 내측 세로 아치[종골, 거골(距骨; talus), 주상골(舟狀骨; navicular bone), 제1 설상골(楔狀骨; cuneiform bone), 제1 중족골 및 지골(趾骨; phalanx)을 구성골(構成骨)로 하는 아치])의 형성을 서포트하여,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를 밀어올릴 수 있어, 착용자가 걷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부(4c)는, 발등부(11a)에서의 지지부(4b)에 대한 제2 앵커부(3) 측의 체결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발바닥부(4a)에 의한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를 밀어올리는 힘을, 발바닥부(4a)에 대하여 연직(鉛直) 위쪽이 아니고, 제2 앵커부(3) 측의 경사 위쪽으로 작용시켜, 착용자의 발끝이 지면에 대하여 예각(銳角)으로 착지하는 것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보행 시의 걸려서 넘어질 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완충부(4d)는, 보디부(12)의 정면측에서의 지지부(4b)에 대한 체결력이 약해지고, 제1 앵커부(2) 측에서 지지부(4b)가 통형 편지를 주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피겨 에이트부(4)에 의한 발목의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아킬레스건에 대한 고정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완충부(4c) 및 제2 완충부(4d)를 2턱편지로서 있지만, 통기성이 좋고 또한 신축력이 작은 편조직인 메시편으로 편성된 편지[이하, 메시 편지(mesh stitch knitted fabric)라고 함]라도 된다. 이로써, 제1 완충부(4c) 및 제2 완충부(4d)는, 이들에 인접하는 지지부(4b) 및 발바닥부(4a)와의 편지의 강약의 콘트라스트를 강조하여, 피겨 에이트부(4)에 의한 테이핑 효과를 보다 실감하게 할 수 있다.
박편부(薄編部)(4e)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정면측에서의 피겨 에이트부(4)의 보디부(12)와 발부(11)와의 경계 근방에서, 다른 편사를 공급하지 않는 지편사로 이루어지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로 연장되는 영역이며, 지지부(4b)에서의 편지의 두께에 대하여, 두께를 얇게 한 편지이다.
그리고, 지지부(4b)는, 2턱편·플레이팅 편지로 이루어지는 편지이므로, 통상의 양말과 비교하여 편지가 두껍게 되어, 발 관절 서포터(10)의 굴곡 부분(착용자의 발목의 정면측)에 있어서 원활하게 굴곡되지 않아, 주름이 발생한다. 이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래, 발 관절 서포터(10)의 굴곡 부분 전체의 편지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발 관절 서포터(10)의 굴곡 부분 전체의 편지를 얇게 하면, 피겨 에이트부(4)에 의한 발목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박편부(4e)는, 지지부(4b)의 일부에 주위 방향 H로 연장되는 영역으로 함으로써, 피겨 에이트부(4)에 의한 발목의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발 관절 서포터(10)의 굴곡 부분에 생기는 주름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는, 2개의 박편부(4e)를 길이 방향 L로 병설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발 관절 서포터(10)의 굴곡 부분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면, 이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박편부(4e)는, 메시 편지로 함으로써, 평편지의 베이스 직물부(1)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신축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메시 편지란, 생지를 편성할 때, 일시 어떤 루프를 만들지 않고, 다음의 코스를 편성할 때 함께 루프를 만들어, 메시 형태의 편에 의해 양호하게 신장되는 편지이다.
특히, 박편부(4e)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박편부(4e)의 장력을 FL4e로 한 경우에, 박편부(4e)가 베이스 직물부(1)와 비교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 약한 체결력을 갖도록 한, FL1>FL4e라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10)는, 전술한 각각의 부위의 편지에 의해,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1 완충부(4c) 및 제2 완충부(4d)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2 앵커부(3)의 신축 저항보다 크다. 또한,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2 앵커부(3)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1 앵커부(2)의 신축 저항보다 크다. 또한,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1 앵커부(2)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베이스 직물부(1)의 신축 저항보다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10)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장력 F에 있어서, 다음 식(1)에 나타낸 대소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단, 다음 식(1)에 있어서, FL4c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1 완충부(4c)의 장력이며, FL4d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2 완충부(4d)의 장력이며, FL2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1 앵커부(2)의 장력이며, FL3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2 앵커부(3)의 장력이다.
〔수식 1〕
FL4a>FL4b>FL4c≒FL4d>FL3>FL2>FL1>FL4e ··· (1)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평편, 모스편, 턱편 및 메시편에 사용되는 지편사로서, 굵기 70 데니어의 나일론사이며, 편사 2개로 이루어지는 표사와, 굵기 30 데니어의 나일론사이며, 편사 2개로 이루어지는 배사와, 굵기 26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의 심사(芯絲)에 굵기 40 데니어의 나일론의 권사(卷絲)를 2개 감은 커버링 사(DCY: double covered yarn)인 고무사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사로서는, 면, 모[캐시미어, 램(lamb), 앙골라 등], 견 또는 삼 등의 천연 섬유, 아크릴 등의 화학 섬유, 또는 땀 흡수, 빠른 건조 또는 체온 조정 기능을 가지는 소재 등을, 발 관절 서포터(10)의 비용 또는 착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사로서는, 에스테르 또는 FTY(filament twisted yarn), 또는 항균, 방취 또는 악취 제거 소재를, 발 관절 서포터(10)의 비용 또는 착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턱편·플레이팅 편지[발바닥부(4a) 및 2턱편·플레이팅 편지[지지부(4b)]에서의 울리나일론사(패턴사; pattern yarn)는, 굵기 100 데니어의 편사 2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술한 편사 및 편지에 따라 제작한 발 관절 서포터(10)의 각각의 부위(도 5 참조)에 대하여, 스트렛치 테스터[인장(引張) 하중: 4kg]에 의해, 신장율[잡아늘였을 때의 길이(신장 치수)와 원래의 길이(원래의 치수)와의 차이의, 원래의 길이에 대한 백분율]를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55792331-pct00001
그리고, 표 1에서의 신장율은, 값이 클수록 편지가 신장되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전술한 식(1)에서의 장력 F는, 값이 클수록 편지가 신장되기 어려운(체결력이 큰) 것을 나타내므로, 신장율의 대소 관계를 나타내는 부등호(inequality sign)와 장력 F의 대소 관계를 나타내는 부등호와는 반대로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10)의 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설명한다.
제1 실험에서는, 피험자[26세 정상 남성, 사지(四肢)에 환자의 과거 병력 없음]의 우측 발목에, 발 관절 서포터(10)를 착용시켰을 경우(이하, 착용 시라고 함)와 착용시키지 않은 경우(이하, 비착용 시라고 함)에 있어서, 자유 보행을 10회 시행시켜, 3차원 동작 해석에 의해, 발 관절의 각도 변화 및 발 관절 모멘트를 비교했다. 그리고, 3차원 동작 해석에는, VICON사 제작의 3차원 동작 분석 시스템 「VICON MX」를 사용하였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 시에서의 발 관절의 각도는, 비착용 시에서의 발 관절의 각도와 비교하여, 입각기의 대략 전체 기간에 있어서 의미가 있게 증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6의 (a)에 나타낸 2점 쇄선의 기간 A에 있어서, 착용 시에서의 배굴 각도가 증대하고 있고, 착용자는 배굴 방향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에 기울여 걸 수 있어, 착용자의 근육(하퇴삼두근)을 보조하는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 시의 발 관절 모멘트는, 비착용 시의 발 관절 모멘트와 비교하여, 입각기의 초기에 있어서, 배굴 모멘트가 증대하고 있고, 발 관절 서포터(10)에 의한 지면(바닥)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 다. 또한, 착용 시의 발 관절 모멘트는, 비착용 시의 발 관절 모멘트와 비교하여, 입각기의 후기에 있어서, 저굴 모멘트가 증대하고 있고, 발 관절 서포터(10)에 의한 내딛고 발을 뗄 때(보행에서의 추진력)의 작용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발 관절 서포터(10)는, 착용자의 발 관절 모멘트를 증대시킴으로써, 착용자의 보행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하퇴삼두근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험에서는, 3명의 피험자(정상 성인 남성, 평균 연령 29 ± 3.6세, 평균 신장 169.7 ± 4.9cm, 평균 체중 64.3 ± 11.9kg)의 우측 발목에, 발 관절 서포터(10)를 착용시킨 경우(착용 시)와 착용시키지 않은 경우(비착용 시)에 있어서, 자유 보행을 10회 시행시켜, 3차원 동작 해석에 의해, 발 관절의 최대 배굴 각도 및 발 관절 저굴 모멘트를 비교했다.
발 관절의 최대 배굴 각도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는, 입각기의 중기로부터 후기까지의 사이[도 7의 (a)에 나타낸 2점 쇄선으로 에워싸인 범위]에서의, 각 피험자의 발 관절의 최대 배굴 각도를 측정한 결과이며, 아래 표 2 및 도 8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55792331-pct00002
표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피험자에 있어서, 발 관절 서포터(10)의 착용 시는, 비착용 시와 비교하여, 발 관절의 최대 배굴 각도가 작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발 관절 서포터(10)는, 착용자에서의 발 관절의 최대 배굴 각도를 제어(배굴 제동)하고, 착용자는 배굴 방향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에 기울어 걸 수 있어, 스타트의 힘원(power source)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 관절 저굴 모멘트에서의 측정 결과는, 입각기의 후기[도 7의 (b)에 나타낸 2점 쇄선으로 에워싸인 범위]에서의, 각 피험자의 발 관절 저굴 모멘트의 적분값을, 각 피험자의 체중으로 정규화한 결과이며, 아래 표 3 및 도 9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55792331-pct00003
표 3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피험자에 있어서, 발 관절 서포터(10)의 착용 시는, 비착용 시와 비교하여, 발 관절 저굴 모멘트(추진력 작용)가 크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발 관절 서포터(10)는, 입각기의 초기에서의 충격 흡수 및 입각기의 중기로부터 후기에 걸친 추진력에 기여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내외반(內外反); varus and valgus]의 제동에 의해 발 관절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 관절 서포터(10)는, 착용자의 발 관절을 보조함으로써, 아킬레스건의 동통, 하퇴삼두근의 피로 및 동통, 및 발 관절 외측(인대)의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도 10의 (a)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배면도이며, (c)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평면도이며, (f)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저면도이다. 도 12의 (a)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 및 도 12의 (a)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피겨 에이트부(4)는, 발 관절 서포터(10)에서의 보디부(12)와 베이스 직물부(1)(발뒤꿈치 성형부)와의 경계에 편성되는 제3 완충부(4f)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3 완충부(4f)는,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신축 저항이,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베이스 직물부(1)(발뒤꿈치 성형부)의 신축 저항보다 크고,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지지부(4b)[제3 완충부(4f)에 인접하는 피겨 에이트부(4)의 다른 편지]의 신축 저항보다 작게 편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 완충부(4f)를 2턱편지로 하고, 지지부(4b)를 2턱편·플레이팅 편지로 함으로써, 지지부(4b)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3 완충부(4f)의 신축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3 완충부(4f)를 메시 편지로 해도 된다.
즉,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3 완충부(4f)의 장력을 FL4f로 한 경우에, 제3 완충부(4f)가 지지부(4b)와 비교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 약한 체결력을 갖도록 한, FL4b>FL4f라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또한, 제3 완충부(4f)를 2턱편지로 하고, 베이스 직물부(1)(발뒤꿈치 성형부)를 평편지로 함으로써, 베이스 직물부(1)(발뒤꿈치 성형부)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3 완충부(4f)의 신축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3 완충부(4f)가 베이스 직물부(1)(발뒤꿈치 성형부)과 비교하여, 발 관절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 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한, FL4f>FL1이라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부(4b)에 제3 완충부(4f)를 새롭게 설치하는 곳만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곳이며, 후술하는 제3 완충부(4f)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완충부(4f)는, 착용자의 아킬레스건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보디부(12)의 배면측에서의 지지부(4b)에 의한 체결력이 미치지 않는 편지로 되고, 피겨 에이트부(4)에 의한 발목의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아킬레스건에 대한 고정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도 11의 (a)는 제3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배면도이며, (c)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며, (d)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우측면도이며, (e)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평면도이며, (f)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발 관절 서포터의 저면도이다. 도 12의 (b)는 제3 실시예에 관한 발 관절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 및 도 12의 (b)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홀 앵커부(hole anchor section)(5)는, 착용자의 발뒤꿈치 하면에 상당하는 부위에 대략 원형 형상의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홀 앵커부(5)는, 발뒤꿈치 성형부[베이스 직물부(1)]가 되는 통형 편지에 커팅부를 형성하여 재단(裁斷) 에지를 통형 편지의 내측으로 접어 미싱에 의해 봉제(縫製)하고 있지만, 통형 편지를 재단하지 않고 편성해도 된다. 특히, 홀 앵커부(5)를 구성하는 봉제 부분은, 신축성이 높은 재봉실을 사용하여, 미싱의 땀수를 증가시켜, 유연한 벨로즈(bellows)로 하여,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주어지는 압압력(押壓力)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홀 앵커부(5)는,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노출시킴으로써, 착용자의 발 관절에 대하여 발 관절 서포터(10)를 위치결정하고, 또한 발 관절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의 회전 이동이나 길이 방향 L의 평행 이동을 억제하여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 앵커부(5)는,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발뒤꿈치에 의해 패드(pad)를 구성하고, 상기 패드가 착용자의 발바닥의 탄성력을 향상시켜, 지면(바닥)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발뒤꿈치 하면에 상당하는 부위에 대략 원형 형상의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노출시키는 홀 앵커부를 구비하는 곳만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곳이며, 홀 앵커부(5)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베이스 직물부(발뒤꿈치 성형부)
2: 제1 앵커부
3: 제2 앵커부
4: 피겨 에이트부
4a: 발바닥부
4b: 지지부
4c: 제1 완충부
4d: 제2 완충부
4e: 박편부
4f: 제3 완충부
5: 홀 앵커부
10: 발 관절 서포터
10a: 상단
10b: 하단
11: 발부
11a: 발등부
12: 보디부

Claims (9)

  1. 환편(丸編)으로 편성(編成)되는 통형 편지(筒形編地; tubular knitted fabric)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인체 표면에 밀착되어 발 관절을 보조하는 발 관절 서포터(foot joint supporter)에 있어서,
    상기 통형 편지의 일단을 주회(周回)하여 편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복사뼈 근방의 경골(脛骨; 정강뼈) 및 종아리뼈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회하고, 상기 착용자의 종아리에 상기 통형 편지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1 앵커부(anchor section);
    상기 통형 편지의 타단을 주회하여 편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중족지절관절(中足趾節關節; metatarsophalangeal joint) 근방의 제1 중족골(中足骨), 제2 중족골, 제3 중족골, 제4 중족골 및 제5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회하고, 상기 착용자의 발등 및 발바닥에 상기 통형 편지를 체결 장착시키는 제2 앵커부;
    상기 통형 편지의 제1 앵커부 및 제2 앵커부 사이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발부 및 보디부(body section)로서 편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거퇴관절(距腿關節)을 지지하는 피겨 에이트부(figure eight section);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발뒤꿈치부 성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겨 에이트부에서의 상기 발부는, 상기 착용자의 발등에 대응하는 발등부와,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고, 상기 통형 편지의 반주분(半周分)의 연속 또한 공통의 편지에 의해 편성되는 발바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발바닥부의 전체의 신축 저항은,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발등부의 신축 저항보다 큰,
    발 관절 서포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겨 에이트부(figure eight section)에서의 상기 발등부는, 상기 제2 앵커부 측에서 편성을 상이하게 하여,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편성을 상이하게 한 영역의 신축 저항을, 상기 발등부에서의 다른 영역의 신축 저항보다 작게 한 제1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발 관절 서포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겨 에이트부에서의 상기 보디부는, 상기 통형 편지의 정면측에서 편성을 상이하게 하여,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편성을 상이하게 한 영역의 신축 저항을, 상기 보디부에서의 다른 영역의 신축 저항보다 작게 한 제2 완충부를 구비하는, 발 관절 서포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겨 에이트부에서의 상기 보디부와 상기 발뒤꿈치 성형부와의 경계에 편성되는 제3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3 완충부의 신축 저항은,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발뒤꿈치 성형부의 신축 저항보다 크고,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3 완충부에 인접하는 상기 피겨 에이트부의 다른 편지의 신축 저항보다 작은, 발 관절 서포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겨 에이트부는, 지편사(地編絲)에 다른 편사를 첨가하여 공급하여,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의 신장이 주위 방향의 신장과 비교하여 작게 편성되고,
    상기 통형 편지의 정면측에서의 상기 피겨 에이트부의 상기 보디부와 상기 발부와의 경계 근방에서, 상기 다른 편사를 공급하지 않는 지편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편지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편부(薄編部)를 포함하는, 발 관절 서포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겨 에이트부는, 지편사에 다른 편사를 첨가하여 공급하여, 상기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의 신장이 주위 방향의 신장과 비교하여 작게 편성되고,
    상기 통형 편지의 정면측에서의 상기 피겨 에이트부의 상기 보디부와 상기 발부와의 경계 근방에서, 상기 다른 편사를 공급하지 않는 지편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편지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편부를 포함하는, 발 관절 서포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메시 편지(mesh stitch knitted fabric)인, 발 관절 서포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는 메시 편지인, 발 관절 서포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 성형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노출시키는 홀 앵커부(hole anchor section)를 구비하는, 발 관절 서포터.
KR1020127018167A 2010-01-22 2011-01-24 발 관절 서포터 KR101555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2511 2010-01-22
JPJP-P-2010-012511 2010-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226A KR20120113226A (ko) 2012-10-12
KR101555003B1 true KR101555003B1 (ko) 2015-09-22

Family

ID=4430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167A KR101555003B1 (ko) 2010-01-22 2011-01-24 발 관절 서포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92200B2 (ko)
EP (1) EP2526793B1 (ko)
JP (1) JP5704572B2 (ko)
KR (1) KR101555003B1 (ko)
CN (1) CN102711535B (ko)
ES (1) ES2929793T3 (ko)
HK (1) HK1172519A1 (ko)
PL (1) PL2526793T3 (ko)
TW (1) TWI549616B (ko)
WO (1) WO2011090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526A (ja) * 2010-12-01 2012-06-21 Molten Corp 足関節サポーター
JP6031325B2 (ja) * 2012-10-29 2016-11-24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くつ下
USD752334S1 (en) * 2013-09-12 2016-03-29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Sock with arch support
JP5956695B2 (ja) * 2014-05-29 2016-07-27 有限会社Opti 足関節サポーター
USD776913S1 (en) * 2015-10-15 2017-01-24 Acushnet Company Sock
DE202015105707U1 (de) * 2015-10-27 2017-01-30 Birkenstock Sales GmbH Socke mit Stimulationselementen
US11076974B2 (en) * 2016-04-01 2021-08-03 Ing Source, Inc.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JP6052753B1 (ja) * 2016-05-19 2016-12-27 株式会社トレステック 筒状包帯
JP6667830B2 (ja) * 2016-10-03 2020-03-18 岡本株式会社 筒状編地、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靴下
US10799414B1 (en) * 2016-10-20 2020-10-13 Ing Source, Inc.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GB2556873B (en) * 2016-10-28 2021-11-17 Neo G Ltd Foot sleeve
JP6284256B1 (ja) * 2017-11-20 2018-02-28 西垣靴下株式会社 靴下
JP7217912B2 (ja) * 2018-01-12 2023-02-06 モディアクリエイト株式会社 靴下型サポーター
IT201900009978A1 (it) * 2019-06-25 2020-12-25 Calzificio Pinelli Srl Calza allenante al mantenimento in punta del piede e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del relativo manufatto tubolare.
KR102544788B1 (ko) 2020-12-29 2023-06-16 동원에스엔티주식회사 발목 압박양말
US11882886B2 (en) * 2020-12-31 2024-01-30 Nike, Inc. Athletic sock
US20230329358A1 (en) * 2022-04-19 2023-10-19 Corey W. Hutchinson Foot and Ankle Compression and Support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366B2 (ja) 1992-01-17 2000-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2重化アナログ出力装置
JP2008031615A (ja) 2006-06-27 2008-02-14 Advancing:Kk フート・ウェア及びソックス
JP2008050744A (ja) 2006-07-26 2008-03-06 Okamoto Kk 靴下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1786A (en) * 1931-06-23 Stocking for varicose veins
US3386270A (en) * 1966-04-18 1968-06-04 Alamance Ind Inc Man's support sock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4149274A (en) * 1978-10-10 1979-04-17 Alba-Waldensian, Incorporated Anti-slip hosiery article and method
JPS63106703A (ja) 1986-10-24 1988-05-11 Nikon Corp 光学素子
JPH0351289Y2 (ko) * 1986-12-26 1991-11-01
JP4026029B2 (ja) * 1998-01-29 2007-12-26 株式会社デイエム商会 足首用サポーター
US6092397A (en) * 1999-01-04 2000-07-25 Sockwise Inc Sock for the long-legged person
JP2003227005A (ja) * 2002-01-31 2003-08-15 Mizuno Corp ソックス
JP3090366U (ja) * 2002-05-30 2002-12-06 株式会社マルエーニット サポーターおよびサポーター状踵保護靴下
JP3090737U (ja) * 2002-06-14 2002-12-26 株式会社ユニバル テーピングソックス
JP2006063483A (ja) * 2004-08-27 2006-03-09 Yoshinori Shibata プロテクターおよびスポーツ用ストッキング
DE102004058959A1 (de) * 2004-12-08 2006-06-14 Falke Kg Gestrickter Strumpf
KR100639035B1 (ko) * 2005-03-30 2006-10-26 이선용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JP3113253U (ja) * 2005-06-02 2005-09-02 ワシオ株式会社 靴下
TWM284675U (en) * 2005-08-24 2006-01-01 Hung-Yu Shie Structure of knitting
DE202006001381U1 (de) * 2006-01-27 2006-06-22 X-Technology Swiss Gmbh Socke
DE202006001379U1 (de) * 2006-01-27 2006-06-22 X-Technology Swiss Gmbh Socke
DE202006003245U1 (de) * 2006-02-27 2007-08-02 Thuasne Deutschland Gmbh & Co. Kg Sprunggelenkbandage
US20070283483A1 (en) * 2006-03-23 2007-12-13 Jacober Alan M Therapeutic sock for diabetics
JP2007332469A (ja) 2006-06-12 2007-12-27 Alcare Co Ltd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FR2912879B1 (fr) * 2007-02-22 2010-02-26 Olympia Dispositif textile de protection corporelle
CN201048565Y (zh) * 2007-05-11 2008-04-23 翁荣弟 一种足球专用袜
US7552603B2 (en) * 2007-06-21 2009-06-30 Dahlgren Footwear, Inc. Channeled moisture management sock
JP5102611B2 (ja) * 2007-12-27 2012-12-19 岡本株式会社 靴下
JP2009179907A (ja) * 2008-01-31 2009-08-13 Asahi Sports Kk 足サポート用靴下の製造方法および足サポート用靴下
JP5255897B2 (ja) 2008-05-12 2013-08-07 岡本株式会社 靴下
USD613491S1 (en) * 2009-04-30 2010-04-13 Kayser-Roth Corporation S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366B2 (ja) 1992-01-17 2000-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2重化アナログ出力装置
JP2008031615A (ja) 2006-06-27 2008-02-14 Advancing:Kk フート・ウェア及びソックス
JP2008050744A (ja) 2006-07-26 2008-03-06 Okamoto Kk 靴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1403A (en) 2011-12-01
JPWO2011090193A1 (ja) 2013-05-23
HK1172519A1 (en) 2013-04-26
TWI549616B (zh) 2016-09-21
PL2526793T3 (pl) 2023-01-16
JP5704572B2 (ja) 2015-04-22
US9192200B2 (en) 2015-11-24
CN102711535A (zh) 2012-10-03
US20120283611A1 (en) 2012-11-08
EP2526793B1 (en) 2022-09-14
CN102711535B (zh) 2015-02-25
EP2526793A4 (en) 2014-01-15
WO2011090193A1 (ja) 2011-07-28
EP2526793A1 (en) 2012-11-28
KR20120113226A (ko) 2012-10-12
ES2929793T3 (es)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003B1 (ko) 발 관절 서포터
JP5165122B2 (ja) フートウェア
US10398584B2 (en) Ankle supporter
KR101642852B1 (ko) 하퇴용 서포터
US7757518B2 (en) Sock
KR101261697B1 (ko) 발 변형에 수반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
US5185000A (en) Ankle joint bandage
US10799414B1 (en)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US20090005717A1 (en) Ankle Joint Bandage
JP2007332469A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JP2007332470A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WO2010004966A1 (ja) 靴下類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00981A (ja) 靴下
JP7217912B2 (ja) 靴下型サポーター
JP3165090U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JP2013185263A (ja) 整形外科靴下
TWI737089B (zh) 襪子
JP6699976B2 (ja) 運動用のウェア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1256501A (ja) スポーツ用サポーター
KR102462175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JP7397259B2 (ja) 矯正用靴下、及び、足矯正用サポータ
EP2555719A1 (en) A device for providing support of a foot and use of said device
JP2013027657A (ja) 足用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