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697A -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 Google Patents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697A
KR20220156697A KR1020210064070A KR20210064070A KR20220156697A KR 20220156697 A KR20220156697 A KR 20220156697A KR 1020210064070 A KR1020210064070 A KR 1020210064070A KR 20210064070 A KR20210064070 A KR 20210064070A KR 20220156697 A KR20220156697 A KR 2022015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ed
garnish
seaweed
prepared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180B1 (ko
Inventor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이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2021006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7Farinaceous granules for dressing meat, fi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65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involving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as an intermediate ste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제품에 사용된 식품재료별 특성차이로 인해 제조된 김부각 중에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증식되거나, 저장 또는 유통 과정에서 김부각 내에 미생물이나 세균 등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완성된 제품의 품질 저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면서도 안전하게 조리된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대한 유해요소가 제거되고, 식감이 우수하면서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다양한 풍미를 갖는 김부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Kimbugak manufacturing method using various food ingredients and Kimbugak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품에 사용된 식품재료별 특성차이로 인해 김부각 중에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증식되거나, 저장 또는 유통 과정에서 김부각 내에 미생물이나 세균 등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완성된 제품의 품질 저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에 관한 것이다.
김부각은 우리나라의 전통식품으로서, 김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를 김의 표면에 부착시킨 후, 그 전체를 튀겨서 만드는 식품이며, 연령대에 관계없이 선호도가 높은 식품이다.
김은 맛과 영양성분이 뛰어난 식품으로 한국, 일본 등에서 특히 선호되는 식품이며, 김을 기초 원료로 사용하고 여러 가지 식품재료를 부착하여 튀겨내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김부각은 김 자체의 특성과 부착된 식품재료의 맛과 성분이 융합된 우수한 식품으로서 간식 또는 부식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품이다.
김부각은 찹쌀을 적정한 점도로 반죽하여 끓인 뒤 김의 표면에 발라서 건조시킨 후 튀겨낸 것인데, 찹쌀풀을 바르는 과정에서 찹쌀풀에 다양한 식품재료를 포함시키거나, 찹쌀풀이 발라진 김에 다양한 식품재료를 뿌려 부착한 후 건조시켜서 기름에 튀기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김부각은 위와 같이 선호도가 높은 식품이어서,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 많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제10-1856471호(2018.05.03. 등록)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이 선행기술은 종래의 김부각에서 형상변형을 야기시켰던 주요 원인인 찹쌀풀이나 식용풀을 그대로 사용하고, 또 튀김공정을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김부각의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고, 김부각의 모양을 일정하게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면서도 부드럽고 바삭한 식감을 가지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료김과 기름에 튀길 때 팝핑이 일어나는 식자재로 만든 중간시트와 기름에 튀겨질 수 있는 식자재로 만든 식용풀을 마련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서 마련된 중간시트의 위아래 양면에 상기 식용풀을 도포하고, 상기 식용풀이 도포된 상기 중간시트의 위아래 양면에 원료김을 접합하여 김부각의 반제품을 성형하는 접합성형단계; 상기 접합성형단계에서 얻어진 반제품을 압착하여 원료김과 중간시트 사이에 개재된 식용풀이 원료김과 중간시트 사이에 고르게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에서 얻어진 압착품을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 형성하여 칩을 형성하는 칩 형성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칩들을 튀겨서 원료김 사이에 개재된 식용풀이 튀겨지면서 중간시트가 팝핑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튀김단계;를 거쳐 김부각을 제조하며, 이 과정에서 옥수수풀, 밀가루풀, 감자풀 중의 어느 하나의 식용풀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선행기술인 국내 등록특허 제10-2142063호(2020.07.31. 등록)는 ‘김 부각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으로, 기호도를 개선할 수 있는 최적화된 김 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김 2장을 겹쳐서 김 재료를 준비하는 김 재료 준비단계;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찹쌀가루 24 내지 26 중량부와 새우분말 1.5 내지 2.5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찹쌀풀을 제조하는 찹쌀풀 제조단계; 상기 김 재료의 표면에 상기 찹쌀풀을 도포하는 찹쌀풀 도포 단계; 상기 찹쌀풀이 도포된 김 재료에 깨를 뿌리는 고명 추가 단계; 및 상기 고명이 추가된 찹쌀풀이 도포된 김 재료를 60℃ 내지 80℃에서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한 1차 건조과정 및 1차 건조과정을 수행한 김 재료를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고온 건조하는 2차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등의 방법으로 김부각을 제조하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963691호(2019.03.25. 등록)는 오븐 구이 단계를 통해, 종래의 튀긴 김부각보다 칼로리 함량과 지방 함량을 낮추고, 눅눅하지 않고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도록 하고, 찹쌀풀 제조단계에서 찹쌀에 오일을 투입하여 가열하고 냉각함으로써, 찹쌀의 칼로리를 낮추어 김부각의 전체 칼로리를 낮춤으로서 칼로리 부담을 덜어주고, 고명 준비단계에서 오븐에 구워진 고명에 올리고당으로 외면을 발라 코팅함으로써, 고명이 외부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 흡수를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여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김부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7182호(2004.07.30. 공개)는 ‘김치맛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김부각’이라는 명칭의 발명이며, 김부각의 제조 시 김과 김을 찹쌀풀로 부착하는 과정에서 김치 분쇄물 또는 동결건조된 김치 분쇄물을 김과 김 사이에 찹쌀풀과 함께 도포시켜 김치맛을 갖게 하는 김부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선행기술들은 김부각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면서 식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우수한 외관, 질감 및 식감을 갖도록 하여 김부각에 대한 기호도를 개선하거나, 김치맛을 갖는 김부각을 제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들과는 달리, 다양한 종류의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면서도, 식품재료의 형태 또는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고, 유통 또는 저장단계에서 김부각이 부패되거나 변질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김부각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국내 등록특허 제10-1856471호(2018.05.03. 등록) - 국내 등록특허 제10-2142063호(2020.07.31. 등록) - 국내 등록특허 제10-1963691호(2019.03.25. 등록)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7182호(2004.07.30. 공개)
김부각의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김과 찹쌀을 적정한 점도로 반죽하여 끓인 후 김에 발라서 건조한 뒤 튀겨내는 방법이 사용되며, 찹쌀풀을 바르는 과정에서 참쌀풀에 다양한 종류의 식품재료를 추가하거나, 찹쌀풀이 발라진 김에 다양한 식품재료를 부착하거나 뿌려서 일정 시간 건조한 다음, 그 전체를 튀겨서 김부각을 만드는 방법이 사용된다.
찹쌀풀에 다양한 형태 또는 종류의 식품재료를 추가하여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에는 다양한 맛과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지만,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튀겨지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서 다양한 결과물이 나타나게 된다. 즉, 식품재료를 튀김에 있어서, 김의 기준에 맞춰서 식품재료를 튀길지, 발라진 찹살풀에 맞춰서 튀겨야 할지 또는 찹쌀풀 내부에 추가되는 식품재료에 맞춰서 튀겨야 할지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식품재료를 튀기는 경우가 많다. 즉, 객관적이지 않은 기준에 근거하여 식품재료를 튀겨서 사용할 경우, 식품재료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미완성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제대로 조리되지 않은 식품재료가 김부각의 원료로 사용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김부각의 제조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식품재료 중에서 먼저 타는 식품재료 즉, 낮은 튀김 온도에서 열에 의해 산화되는 재료에 맞춰서 조리(튀김)를 하게 되는데, 그 결과 식품재료의 특성에 따라서 그 내부의 원료가 충분히 조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식품재료가 충분히 가열되는 등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김부각의 원료로 사용될 경우에는 제조된 김부각이 다양한 생물학적 위해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충분히 익혀지거나 조리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식품재료는 일반 세균, 대장균군,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장출혈성대장균, 살모넬라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클리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등과 같은 미생물이나 세균 등 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김부각의 주재료인 김 및 찹쌀가루와, 부재료가 되는 야채, 어류, 육류, 견과류 등 여러 가지 식품재료는 익는 온도 또는 조리 온도가 서로 달라서,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충분히 제어되지 않을 경우, 제조된 제품의 유통기한도 통합적으로 표기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식품재료들 사이에 익는 온도(조리 온도)가 서로 달라서 위와 같은 위해요소가 올바른 상태로 통제되지 않는 채 유통망을 통해 상온에서 유통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재료에 의해서도 다양한 형태의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생물학적 유해요소 중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장출혈성 대장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위해요소가 들어있는 식품재료가 포함된 김부각 제품을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소비자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와 같은 문제들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건강에 안전하면서 유통 및 저장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김부각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품재료들을 각 재료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조건으로 튀겨서 튀김고명을 만든 후, 그 튀김고명을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제어된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튀겨서 제조된 튀김고명을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김부각 제조 후에는 김과 튀김고명이 비슷한 식감을 갖게 되어 입안에서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김부각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식품재료별 특성에 맞추어 튀겨진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제조 후의 식품재료와 김 및 찹쌀(접칙물) 부분이 비슷한 강도를 지니도록 하여, 섭취시 치아에 작용하는 교합력의 차리를 줄여서 치아손상을 방지하는 김부각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적정한 공극이 생성된 튀김고명을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김과 찹쌀과 튀김고명 사이의 부착력을 높여서, 소비자의 섭취시는 물론, 가공 또는 유통성이 우수하여 만족도가 높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튀김고명을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것을 핵심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튀김고명은 식품재료 자체를 튀겨서 만들거나 또는 식품재료를 추출물, 과립, 분말 등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서 찹쌀가루 등과 반죽하여 튀긴 후(1차 튀김과정), 튀겨진 식품재료 또는 식품재료 혼합물을 적정 크기의 조각, 분말, 과립 등의 형태로 만든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만든 튀김고명을 참쌀풀을 바른 김의 표면(단면, 양면)에 뿌려서 건조한 후에, 건조된 전체 재료를 튀기는 단계(2차 튀김과정)를 거쳐서 김부각을 완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부각제조에 사용되는 튀김고명은 다음의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첫째 방법은, 각각의 식품재료 자체를 각 재료별 적정 온도에서 튀긴 후(1차 튀김과정), 튀겨진 식품재료를 절단기 또는 분쇄기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을 만드는 방법이다.
둘째 방법은, 먼저 튀김고명에 사용할 식품재료를 분말, 추출물 또는 과립 등의 형태로 만든 후, 이들을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 점성이 있는 반죽에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든 다음, 반죽물과 함께 식품재료를 튀겨내고(1차 튀김과정), 튀겨진 반죽물을 절단기 또는 분쇄기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을 만드는 방법이다.
셋째 방법은, 튀김고명에 사용할 식품재료를 적정 크기로 절단한 후, 이들을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 점성이 있는 반죽에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든 다음, 반죽물과 함께 식품재료를 튀겨내고(1차 튀김과정), 튀겨진 반죽물을 절단기 또는 분쇄기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을 만드는 방법이다.
넷째 방법은, 튀김고명에 사용되는 식품재료 중에서 특정 식품재료에만 적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작은 크기의 멸치나 뱅어 등과 같이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1차 조리할 수 있는 식품재료를 대상으로 적용되는 것이며, 수분함향이 10~30% 정도로 건조된 작은 크기의 어류를 대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식품재료를 직접 가열 처리함으로서, 그 조직이 기름에 튀겨진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태로 변화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이 방법에서는 식품재료를 기름에 튀기는 1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는 대신,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가열하며, 그 처리 결과는 앞에서 설명한 다른 조리방법에서 1차 튀김과정을 수행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된다. 이 방법에서 이루어지는 위 과정은 1차 튀김 유사과정이라고 칭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4가지 방법에서는 각각 1차 튀김과정 또는 1차 튀김 유사과정을 거치면서 1차 튀김고명(튀김고명1)이 제조되며, 제조된 튀김고명1을 절단 또는 분쇄하여 2차 튀김고명(완성된 튀김고명 - 튀김고명2)을 제조하게 된다.
튀김고명2가 제조된 후에는 김의 표면에 찹쌀풀 등의 식용접착물을 고르게 도포하고, 튀김고명2를 식용접착물에 부착시킨 후, 튀김고명2가 부착된 전체 재료를 건조시키고, 건조가 이루어진 후에 전체 재료에 대한 튀김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체 재료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튀김과정을 2차 튀김과정이라고 하며, 2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김부각이 제조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다양한 식품재료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튀김고명을 찹쌀풀이 도포된 김에 뿌려 김부각을 제조할 때, 제품 공정상 김부각이 튀겨지는 시간과 온도에 맞출 수 있어서 제품공정의 동일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튀김고명은 식품위생법상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대부분이 제거되어 있어서, 전체 재료를 튀겨서 김부각을 제조할 때 김부각 자체의 적정 온도와 시간에 맞추어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튀김고명의 제조시 1차 튀김과정에서 80~90% 정도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위해요소의 80~90%가 1차 튀김과정에서 제거되게 된다. 그 후 전체 재료를 다시 튀기는 2차 튀김과정에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조리 또는 익힘이 이루어져서, 본 발명의 전체 과정을 거쳐 제조된 김부각 제품은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튀김고명은 그 자체에 공극이 생성되어 있어서, 김의 표면에 도포된 찹쌀풀이 튀김고명의 공극 사이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어서 튀김고명이 김의 표면에 더 잘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 김부각에 들어가는 식품의 주, 부재료들이 모두 비슷한 형태로 튀겨질 수 있어서, 김부각 섭취 시 전체적으로 비슷한 강도를 갖게 되어, 식감이 부드러워지고 씹는 과정에서 이물감이 감소되며, 치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튀김고명을 제조할 때 식품재료의 추출물, 과립, 분말 등을 찹쌀 반죽 등에 넣어서 반죽하여 만들거나 또는 식품재료 자체를 튀겨서 튀김고명을 만들기 때문에, 튀김고명을 만들기가 용이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조리방법 1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에 관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조리방법 2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에 관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조리방법 3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에 관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조리방법 4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에 관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조리방법 2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식품재료별 특성(수분 함량, 조직의 밀도, 튀김 소요시간 등) 차이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중에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증식되거나, 저장 또는 유통 과정에서 김부각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부각의 제조에 소요되는 식품재료를 1차 및 2차 튀김과정, 즉, 2단계의 튀김과정를 거치면서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에 해당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며, 도1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부각용 김을 준비한다. 김부각은 김을 기본 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김부각의 제조에는 다양한 종류의 김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일반 김이나 파래김 또는 돌김과 같이 상대적으로 재질이 단단한 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참쌀풀 등의 식용접착물을 도포하기 어려울 정도로 너무 얇거나 빈공간이 많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한 대부분의 김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4가지 조리방법에 의해 튀김고명을 제조한 후, 그 튀김고명을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게 되는데, 각 조리방법에 있어서 김을 준비하는 내용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조리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김을 준비하는 단계 S100은 모든 조리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므로, 이하의 각 조리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단계 S1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튀김고명을 제조한다. 튀김고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김부각의 제조에 있어서 핵심적 요소가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중요 요소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튀김고명은 식품재료별로 각각 별도로 제조하게 된다. 김부각용 튀김고명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식품재료는 감자, 당근, 파, 파푸리카 등과 같은 야채류와, 멸치, 새우, 오징어 등의 해산물과, 한우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와, 호두, 땅콩, 아몬드, 잣, 피스타지오 등과 같은 견과류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야채류와 같은 식품재료들을 건조하여 튀김고명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지역 특산물 중에서 영양성분이 높고 풍미가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튀김고명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다양한 식품재료 중에서 직접 튀길 수 있는 것과, 식품재료의 추출물 또는 분말 등과 같이 반죽물과 함께 반죽하여 사용하는 것, 또는 식품재료 자체를 반죽물에 혼합하여 튀겨낼 수 있는 것 등과 같이, 다양한 식품재료를 그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튀김고명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튀김고명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식품재료의 종류에 따라 튀기는 온도와 시간이 달라져야 한다. 부피가 작고 얇은 야채 경우에는 160℃ 정도에서 20초 내지 1분 정도의 빠른 시간에 튀겨야 하고, 더 부피가 있는 야채의 경우에는 동일 온도에서 1 내지 2분 동안 튀기고, 고구마, 연근, 가지 등과 같이 수분이 적은 야채는 170℃ 정도에서 2~3분 동안 튀겨야 하며, 어류의 경우에는 180℃에서 3~4분 정도 튀겨내고, 소고기 닭고기 등과 같은 육류는 3분 이상 10분 정도의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튀겨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식품재료를 튀길 경우, 튀겨진 식품재료는 대부분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며(80% 내지 90% 이상 익혀지게 됨), 그 내부도 전체적으로 상당부분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조리된 식품재료는 이후에 진행되는 2차 튀김과정을 거치면서 나머지 부분까지 모두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최종 김부각은 식품재료별로 조직이 비슷한 강도를 갖게 되어, 섭취시 씹는 과정에서 이물감이 감소되어 식감이 좋아지고, 재료별 강도가 유사해져서 치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이 재료별 특성에 맞추어 각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충분히 튀겨낸(1차 투김) 후, 최종 단계에서 전체 재료에 대한 튀김과정을 한 번 더 수행(2차 튀김)함으로써, 식품재료의 내부에 있는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모두 제거되게 된다.
한편, 앞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튀김고명을 4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고 기재한 바 있다. 즉, 튀김고명은 위와 같이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되, 식품재료 자체를 튀겨서 제조(조리방법 1)하거나 또는 식품재료를 분말, 추출물 또는 과립 등의 형태로 가공한 후에, 가공된 재료를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반죽과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함께 튀겨서 제조(조리방법 2)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녹차분말, 검은콩분말, 귀리분말, 카레가루, 자색고구마분말, 당근분말, 비트분말, 미역분말, 다시마분말, 강황분말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의 분말을 반죽과 혼합하여 튀김고명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식품재료 자체를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반죽과 혼합한 후, 식품재료와 혼합물을 함께 튀겨서 튀김고명을 제조(조리방법 3)할 수 있고,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식품재료를 간접 가열 처리하여 튀김고명을 제조(조리방법 4)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은 각 조리방법에 따른 제조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1에는 조리방법 1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고, 도2에는 조리방법 2에 따른 단계, 도3에는 조리방법 3에 따른 단계, 도4에는 조리방법 4에 따른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리방법 1 내지 4는 김부각의 중간 제조물인 튀김고명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며, 튀김고명 제조 이후의 단계는 모든 방법에서 동일하다.
첫째, 조리방법 1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김부각 제조용 김을 준비한(단계 S100) 이후에, 조리방법 1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의 첫 단계는 튀김고명의 원료로 사용할 식품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단계 S11)에서부터 시작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튀김고명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S11은 최종 제조할 김부각의 특성 또는 용도에 따라 선택된 각 식품재료를 구입/획득 및 세척하고, 필요시 건조하여 식품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의 1차 튀김과정에서 재료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단계 S12는 전단계에서 준비한 각 식품재료들을 직접 튀기는 1차 튀김과정이 수행되는 단계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식품재료별로 적정한 튀김 온도 및 시간이 있으므로, 이 단계에서는 사용 대상 여러 식품재료들을 각각 적정한 튀김 온도 및 시간으로 튀겨내는 1차 튀김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계 S12은 사용대상 식품재료들을 직접 튀겨내어 1차 튀김고명 즉,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튀김고명1은 튀김고명의 제조과정 중에서 1차적으로 제조된 것을 말하며, 1차 튀김과정을 수행한 결과 즉, 단계 S12를 거쳐서 제조된 결과물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인 단계 S200은 앞의 1차 튀김과정인 단계 S12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을 절단기 또는 분쇄기 등을 사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거나 분쇄하여 튀김고명2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튀김고명2는 김의 표면에 도포되는 찹쌀풀(식용접착물)에 잘 접착되면서 동시에 취식 시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는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야 한다. 튀김고명2의 크기(길이와 두께)는 1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하고, 1mm 이상 5mm 이하의 크기로 잘라내거나 분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어린이를 위한 간식용으로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에는 1mm 이상 3mm 이하의 크기로 만들 수도 있다.
단계 S200의 수행결과 제조되는 결과물인 튀김고명2는 이후 단계에서 김의 표면에 도포된 찹쌀풀에 뿌려져서 부착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찹쌀풀 또는 식용접착물은 실제적으로는 동일한 것이며, 찹쌀풀은 식용접착물을 대표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단계 S300은 김의 표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통상의 김부각 제조에 사용되는 찹쌀풀을 김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그 다음 단계에서 그 위에 뿌려지는 튀김고명2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찹쌀풀은 찹쌀 가루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지만, 필요시에는 찹쌀가루와 전분, 녹말 등을 혼합하여 만든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찹쌀풀에 전분 또는 녹말 등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여 찹쌀풀이라고 칭한다. 단계 S300에서 찹쌀풀은 김의 양측 표면 중 한쪽에만 도포하거나 또는 양쪽에 모두 도포할 수도 있다.
단계 S400은 단계 S200에서 절단 또는 분쇄하여 제조된 튀김고명2를 단계 S300에서 김의 표면에 도포된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뿌려진 튀김고명2가 보다 잘 부착되도록 그 상부를 가볍게 눌러 줄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400에서는 튀김고명2 외에 참깨, 검은참깨 등과 같이 김부각의 맛과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를 분쇄된 튀김고명2와 함께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킬 수도 있다.
단계 S500은 앞의 단계들을 거치면서 그 표면에 튀김고명2가 부착된 김을 포함한 전체 재료(최종가공 직전의 전체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의 건조는 다음 단계인 2차 튀김과정에서 김부각의 내부까지 고르게 튀겨질 수 있는 적정수준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단계 S600은 앞의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전체 재료를 튀겨내어 김부각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튀김과정은 앞의 단계 S12에서 수행되는 1차 튀김과정과 구분하여 2차 튀김과정이라 한다. 2차 튀김과정은 앞의 단계에서 제조된 전체 재료(김, 참쌀풀 및 튀김고명)가 함께 튀겨지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거쳐 제조된 김부각은 즉시 섭취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단계 S600은 실질적으로 김부각의 제조가 완성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통상적인 튀김 온도인 180℃ 내외의 온도에서 전체 재료를 튀길 수 있으며, 7초 이상 20초 이내의 시간 동안 또는 10초 내외의 시간 동안 전체 재료를 튀겨서 김부각을 완성하게 된다.
단계 S700은 단계 S600에서 제조된 김부각의 상태를 검사하고, 제품의 용도에 맞추어 절단하여 포장하는 과정이다. 이 중에서 절단과정은 넓게 제조된 김부각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위하여 그 절차가 생략될 수도 있다.
둘째, 조리방법 2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리방법 2에서는 도2와 같이 단계 S21부터 단계 S24 및 단계 S200을 거쳐 튀김고명을 제조하게 되며, 조리방법 1에 비해 단계 S22와 단계 S23이 더 수행되는 차이가 있다.
조리방법 2의 단계 S21에서는 조리방법 1의 단계 S1과 유사하게 튀김고명을 제조하기 위한 식품재료를 준비한다. 또한, 그에 더하여 이후의 단계 S23에서 사용할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반죽물의 재료를 더 준비한다.
조리방법 2의 단계 S22는 단계 S21에서 준비된 식품재료를 과립,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가공하여 제조하는 단계이다. 식품재료를 직접 튀겨내서 튀김고명을 제조하는 조리방법 1과는 달리, 조리방법 2에서는 식품재료를 바로 튀기지 않고, 과립, 분말 또는 추출물 형태의 가공품(식품재료 가공품)을 제조하여 사용한다. 단계 S22에서 식품재료 가공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그로인해 조리방법 2에 의해 튀김고명을 제조할 경우, 제조과정이 길어지고 제조비용도 증가할 수 있다. 단계 S22는 직접 튀겨내기 어려운 식품재료, 또는 영양성분은 우수하나 재료가 직접 포함될 경우 어린이들이 섭취를 꺼리게 되는 당근이나 강황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 유용한 단계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분말 또는 추출물 등은 기름에 튀기기 곤란한 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할 때에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신선한 파와 같은 경우에는 수분이 많아서 오래 튀겨야 하는 등 튀김과정에 적합하지 않은데, 파에서 액체추출물을 추출하거나 또는 분말로 제조하여 반죽에 섞을 경우, 용이하게 튀김고명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리방법 2에 따른 방법으로 튀김고명을 제조하기 위하여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들을 위와 같은 형태로 직접 제조,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미리 가공되어 있는 제품(식품재료 가공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튀김고명용 식품재료 가공품을 구매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은 조리방법 2의 다른 실시예가 된다.
즉, 조리방법 2에서는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과립,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직접 가공하여 제조하는 단계 S22가 수행되며, 조리방법 2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과립,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제조되어 있는 식품재료 가공품을 구매하게 되는데, 이 단계는 단계 S22와 달리 단계 S22-1이라고 한다. 단계 S22-1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5에서와 같이, 조리방법 2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식품재료 가공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튀김고명 제조의 첫 단계인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도 튀김고명용 식품재료와 반죽물 재료를 모두 준비하는 조리방법 2의 단계 S21과는 달리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의 반죽물 재료만을 준비한다. 이 단계는 단계 S21과 구분하여 단계 S21-1이라고 한다. 한편, 조리방법 2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21-1과 S22-1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조리방법 2와 조리방법 2의 다른 실시예는 위와 같이 그 수행되는 내용에 일부 차이가 있으나, 그 결과 얻어지는 결과물은 서로 동일하며, 단계 S22와 단계 S22-1 이후에는 동일한 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조리방법 2의 단계 S23에서는 앞의 단계 S22에서 제조 또는 구입한 식품재료 가공품을 반죽물에 투입하고 고르게 반죽되도록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분말, 추출물 또는 과립 등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식품재료 가공품을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반죽에 혼합하여 식품재료 반죽물을 만들게 된다.
다음 단계인 단계 S24는 반죽물과 혼합되어 있는 식품재료 반죽물을 튀겨내는 1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단계 S24 역시 1차 튀김과정인 점에서 조리방법 1의 단계 S12와 유사하다. 그러나 식품재료를 직접 튀겨서 사용하는 조리방법 1과는 달리, 조리방법 2에서는 식품재료 가공품이 반죽된 반죽물을 튀겨내는 과정을 수행하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즉, 단계 S24에서는 식품재료 가공품이 혼합되어 있는 반죽물을 튀겨내는 것이어서, 반죽물의 특성에 맞추어 튀김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조리방법 2에 있어서, 단계 S24 즉, 1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면 튀김고명1이 제조된다. 앞의 제조방법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튀김고명1은 튀김고명의 제조과정에서 1차적으로 제조된 것이며, 1차 튀김과정 수행의 결과물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방법 1의 단계 S12 및 조리방법 2의 단계 S24를 수행하여 얻는 결과물을 동일하게 튀김고명1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명칭은 동일하지만 그 결과물의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차이가 있다. 즉, 조리방법 1의 단계 S12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은 식품재료 그 자체를 튀겨내어 제조한 것인 반면, 조리방법 2의 단계 S24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은 식품재료 가공품이 혼합되어 있는 반죽물을 튀겨서 제조한 것이기 때문이다.
조리방법 2에서 1차 튀김과정(단계 S24)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 S200에서는 조리방법 1의 단계 S200과 동일한 내용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이 단계에서는 앞의 단계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을 분쇄기 등을 사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잘라내거나 분쇄하여 튀김고명2를 제조하게 된다. 조리방법 2에 의해 제조된 튀김고명2의 경우에도 김의 표면에 도포된 찹쌀풀에 잘 접착되면서 동시에 취식 시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는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야 한다. 이때 절단 또는 분쇄되는 튀김고명2의 크기(길이와 두께)는 제조방법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조립방법 2에 있어서, 단계 S200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 S300 내지 단계 S700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은 조리방법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셋째, 조리방법 3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3은 조리방법 3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는데, 조리방법 3의 단계 S31에서는 조리방법 1의 단계 S11과 동일하게 다양한 식품재료 중에서 선택된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구입/획득 및 세척하고, 필요시 건조하여 준비한다.
튀김고명에 사용될 식품재료를 과립, 분말 또는 추출물 형태로 가공한 식품재료 가공품을 사용하고, 그것을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재료와 혼합하여 만든 반죽물을 튀겨서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조리방법 2와는 달리, 조리방법 3에서는 튀김고명용 식품재료 그 자체를 점성이 있는 반죽물 재료와 혼합하여 식품재료 반죽물을 만들고, 그 식품재료 반죽물을 튀겨서 튀김고명1을 제조한다,
즉, 조리방법 3에서는 식품재료 자체를 반죽물에 혼합하여 식품재료 반죽물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이때 사용되는 식품재료가 찹쌀가루 등과 용이하게 반죽될 수 있으면서 이후의 튀김과정 수행에 무리가 없는 적정한 크기가 되도록 절단하는 등의 준비를 하여야 한다.
조리방법 3에서는 단계 S32에서 그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단계를 식품재료 절단 등 전처리 단계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감자나 고구마 또는 당근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길이가 5cm 이하이고 두께는 5mm 내외의 크기로 절단하는 등의 전처리를 하여야 한다.
조리방법 3은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그대로 사용하여 반죽하고, 그것을 튀겨서 1차 튀김고명을 제조한다는 점에서 조리방법 2와는 차이가 있으며, 여타 과정들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조리방법 3의 단계 S34부터 단계 S700까지의 과정은 조리방법 2와 동일하며, 조리방법 3에서도 김부각의 제조를 위하여 1차 및 2차 튀김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넷째, 조리방법 4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4는 조리방법 4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는데, 조리방법 4는 전체적으로는 조리방법 1과 유사한 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것이다.
조리방법 1과 조리방법 4의 차이는 단계 S12와 S42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이 다른 점에 있다. 즉, 조리방법 1의 단계 S12에서는 튀김고명 제조용 식품재료 그 자체를 직접 튀겨서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반면, 조리방법 4의 단계 S42에서는 튀김방법이 아닌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튀김고명1을 제조하게 된다.
조리방법 4는 튀김고명용 식품재료 중에서 특정한 재료만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도 조리방법 1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조리방법 4는 건조된 어류 중 작은 멸치나 뱅어와 같이 크기가 작으면서 두께가 얇은 어류를 사용하여 튀김고명을 제조할 경우에 유용한 방법이다.
조리방법 4에서는 위와 같은 식품재료를 전자레인지에서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되, 각 재료별 특성에 따라 적정한 시간 동안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는 과정인 단계 S42를 수행한다. 단계 S42의 과정을 수행할 경우, 위와 같이 선택된 특정 식품재료는 조리방법 1 내지 3에서 1차 튀김과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튀김고명1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과정을 거쳐 얻은 결과물도 튀김고명1이라고 칭한다.
조리방법 4에 있어서 단계 S42를 제외한 여타 과정은 조리방법 1과 동일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김부각을 제조하는 본 발명에서는 특히, 식품재료별로 적정한 온도 및 시간에 따라 튀긴(1차 튀김과정) 재료를 사용하여 튀김고명1을 제조하고, 튀김고명1을 적정한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2로 만든 후, 튀김고명2를 김의 표면에 부착한 다음 재차 튀겨서(2차 튀김과정) 김부각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기대될 수 있다.
먼저,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김부각에서 발생하기 쉬운, 유해성 미생물이나 세균 등과 같은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고, 유통 및 보관 등의 과정에서 김부각 제품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1차 튀김과정을 거치면서 그 자체에 공극이 생성되어 있는 튀김고명을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김의 표면에 도포된 찹쌀풀이 튀김고명의 공극 사이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어서, 튀김고명이 김의 표면에 더 잘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 김부각에 사용되는 식품의 주, 부재료들이 모두 비슷한 형태로 튀겨질 수 있어서, 김부각 섭취 시 재료들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강도를 갖게 되어, 식감이 부드러워지고 씹는 과정에서 이물감이 감소되며, 치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할 경우,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어서, 김부각을 섭취하는 소비자가 영양성분을 고르게 섭취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당근이나 강황과 같이 어린이들이 섭취를 꺼리는 식품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사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할 경우, 김부각을 섭취하면서 자연스럽게 당근이나 강황 등의 영양성분을 함께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대한 유해요소가 제거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면서 식감이 우수하고 다양한 풍미를 갖는 김부각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특별한 기술적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유사하거나 균등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김부각 제조용 김을 준비하는 단계 S100과,
    다양한 식품재료 중에서 선택된 식품재료를 구입/획득 및 세척하고, 필요시 건조하여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S11과,
    상기 단계 S11에서 준비한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각 식품재료별로 적정한 튀김 온도와 시간으로 튀겨내어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1차 튀김과정을 수행는 단계 S12와,
    상기 단계 S12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을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2를 제조하는 단계 S200과,
    상기 단계 S100에서 준비한 김의 표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단계 S300과,
    상기 단계 S200에서 제조된 튀김고명2를 상기 단계 S300에서 도포한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키는 단계 S400과,
    상기 단계 S400에서 그 표면에 튀김고명2가 부착된 전체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S500과,
    상기 단계 S500에서 건조된 전체 재료를 튀겨서 김부각을 완성하는 2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S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2. 김부각 제조용 김을 준비하는 단계 S100과,
    다양한 식품재료 중에서 선택된 식품재료를 구입/획득 및 세척하고, 필요시 건조하여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준비하고,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의 반죽물 재료를 더 준비하는 단계 S21과,
    상기 단계 S21에서 준비한 식품재료를 과립,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이루어진 식품재료 가공품을 제조하는 단계 S22와,
    상기 단계 S22에서 제조한 식품재료 가공품을 반죽물 재료에 투입하고 고르게 반죽하여 식품재료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S23과,
    상기 단계 S23에서 제조된 식품재료 반죽물을 적정한 튀김 온도와 시간으로 튀겨내어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1차 튀김과정을 수행는 단계 S24와,
    상기 단계 S24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을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2를 제조하는 단계 S200과,
    상기 단계 S100에서 준비한 김의 표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단계 S300과,
    상기 단계 S200에서 제조된 튀김고명2를 상기 단계 S300에서 도포한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키는 단계 S400과,
    상기 단계 S400에서 그 표면에 튀김고명2가 부착된 전체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S500과,
    상기 단계 S500에서 건조된 전체 재료를 튀겨서 김부각을 완성하는 2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S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3. 김부각 제조용 김을 준비하는 단계 S100과,
    다양한 식품재료 중에서 선택된 식품재료를 구입/획득 및 세척하고, 필요시 건조하여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준비하고,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의 반죽물 재료를 더 준비하여 준비하는 단계 S31과,
    상기 단계 S31에서 준비한 식품재료를 적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등의 전처리를 하는 단계 S32와,
    상기 단계 S32에서 전처리된 식품재료를 반죽물 재료에 투입하고 고르게 반죽하여 식품재료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S33과,
    상기 단계 S33에서 제조된 식품재료 반죽물을 적정한 튀김 온도와 시간으로 튀겨내어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1차 튀김과정을 수행는 단계 S34와,
    상기 단계 S34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을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2를 제조하는 단계 S200과,
    상기 단계 S100에서 준비한 김의 표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단계 S300과,
    상기 단계 S200에서 제조된 튀김고명2를 상기 단계 S300에서 도포한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키는 단계 S400과,
    상기 단계 S400에서 그 표면에 튀김고명2가 부착된 전체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S500과,
    상기 단계 S500에서 건조된 전체 재료를 튀겨서 김부각을 완성하는 2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S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4. 김부각 제조용 김을 준비하는 단계 S100과,
    다양한 식품재료 중에서 선택된 식품재료를 구입/획득 및 세척하고, 필요시 건조하여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S41과,
    상기 단계 S41에서 준비한 식품재료를 전자레인지에서 각 식품재료별로 적정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1차 튀김 유사과정을 수행는 단계 S42와,
    상기 단계 S42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을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2를 제조하는 단계 S200과,
    상기 단계 S100에서 준비한 김의 표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단계 S300과,
    상기 단계 S200에서 제조된 튀김고명2를 상기 단계 S300에서 도포한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키는 단계 S400과,
    상기 단계 S400에서 그 표면에 튀김고명2가 부착된 전체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S500과,
    상기 단계 S500에서 건조된 전체 재료를 튀겨서 김부각을 완성하는 2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S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5. 김부각 제조용 김을 준비하는 단계 S100과,
    찹쌀가루, 녹말, 전분 등의 반죽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S21-1과,
    다양한 식품재료 중에서 선택된 튀김고명용 식품재료를 과립,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가공한 식품재료 가공품을 구입하는 단계 S22-1과,
    상기 단계 S22-1에서 구입한 식품재료 가공품을 상기 단계 S21-1에서 준비한 반죽물 재료와 고르게 반죽하여 식품재료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S23과,
    상기 단계 S23에서 제조된 식품재료 반죽물을 적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튀겨내어 튀김고명1을 제조하는 1차 튀김과정을 수행는 단계 S24와,
    상기 단계 S24에서 제조된 튀김고명1을 일정 범위의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튀김고명2를 제조하는 단계 S200과,
    상기 단계 S100에서 준비한 김의 표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단계 S300과,
    상기 단계 S200에서 제조된 튀김고명2를 상기 단계 S300에서 도포한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키는 단계 S400과,
    상기 단계 S400에서 그 표면에 튀김고명2가 부착된 전체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S500과,
    상기 단계 S500에서 건조된 전체 재료를 튀겨서 김부각을 완성하는 2차 튀김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S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00에서 상기 튀김고명1을 절단 또는 분쇄하는 크기는 1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00에서 상기 튀김고명1을 절단 또는 분쇄하는 크기는 1mm 이상 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400에서 튀김고명2를 찹쌀풀 위에 뿌려서 부착시킴에 있어서 튀김고명2와 참깨 또는 검은참깨를 함께 뿌려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9.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600에서 제조된 김부각의 상태를 검사하고, 제품의 용도에 맞추어 절단 및 포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KR1020210064070A 2021-05-18 2021-05-18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KR102621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70A KR102621180B1 (ko) 2021-05-18 2021-05-18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70A KR102621180B1 (ko) 2021-05-18 2021-05-18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697A true KR20220156697A (ko) 2022-11-28
KR102621180B1 KR102621180B1 (ko) 2024-01-04

Family

ID=8423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070A KR102621180B1 (ko) 2021-05-18 2021-05-18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8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182A (ko)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담양한과명진식품 김치맛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만들어진 김부각
KR100699225B1 (ko) * 2006-04-29 2007-03-23 최순옥 김을 주재로 포함하는 스낵
KR101750247B1 (ko) * 2015-08-03 2017-07-11 대한민국 자반형 마른김을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5724A (ko) * 2016-01-15 2017-07-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매생이김 부각의 제조방법
KR101856471B1 (ko) 2016-07-12 2018-05-10 김태선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180103330A (ko) * 2017-03-09 2018-09-19 나연이 김부각 제조 방법
KR101927193B1 (ko) * 2016-11-23 2018-12-11 서민프레시 농업회사법인(주) 식용곤충을 포함하는 부각의 제조방법
KR20200043745A (ko) * 2018-10-18 2020-04-28 이혁렬 김부각 제조장치
KR102142063B1 (ko) 2019-02-14 2020-08-06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김 부각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182A (ko)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담양한과명진식품 김치맛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만들어진 김부각
KR100699225B1 (ko) * 2006-04-29 2007-03-23 최순옥 김을 주재로 포함하는 스낵
KR101750247B1 (ko) * 2015-08-03 2017-07-11 대한민국 자반형 마른김을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5724A (ko) * 2016-01-15 2017-07-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매생이김 부각의 제조방법
KR101856471B1 (ko) 2016-07-12 2018-05-10 김태선 김부각의 제조방법
KR101927193B1 (ko) * 2016-11-23 2018-12-11 서민프레시 농업회사법인(주) 식용곤충을 포함하는 부각의 제조방법
KR20180103330A (ko) * 2017-03-09 2018-09-19 나연이 김부각 제조 방법
KR101963691B1 (ko) 2017-03-09 2019-03-29 나연이 김부각 제조 방법
KR20200043745A (ko) * 2018-10-18 2020-04-28 이혁렬 김부각 제조장치
KR102142063B1 (ko) 2019-02-14 2020-08-06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김 부각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180B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364B1 (ko) 해초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KR101909529B1 (ko) 사과빵의 제조방법
KR102609411B1 (ko) 고추장아찌 양념을 이용한 김밥 및 그 제조방법
US4925697A (en) Process for products from sweet potato
KR20210026754A (ko) 함박스테이크 제조방법
KR101382916B1 (ko) 백년초 호두 찐빵 및 그 제조방법
KR102621180B1 (ko) 다양한 식품재료를 사용한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US4946703A (en) Processes for products from true yam
KR101993589B1 (ko) 스트로이젤을 묻힌 튀김의 제조 방법
KR102290792B1 (ko) 귤 찐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귤 찐빵
KR101477987B1 (ko) 호떡 및 호떡의 제조방법
KR102638943B1 (ko)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KR101943876B1 (ko) 귀리를 포함하는 떡갈비 제조방법
KR20210038067A (ko) 2단 숙성 밤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밤빵
KR101828046B1 (ko) 흑우안심 메밀전병 말이 즉석구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우안심 메밀전병 말이 즉석구이
KR101724192B1 (ko) 돼지감자를 이용한 돈까스 제조방법
KR20190114159A (ko) 꽃게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594703B1 (ko) 누룽지 고로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2231A (ko) 웰빙 씬 피자도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피자
KR102593944B1 (ko) 튀김 순대 제조 방법
KR102384686B1 (ko) 약과 쿠키 및 그 제조방법
KR102514240B1 (ko) 해산물을 이용한 햄버그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KR102242393B1 (ko) 버섯과 생감자를 이용한 부꾸미 제조방법
KR101938483B1 (ko) 구운 떡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