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759A -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759A
KR20220150759A KR1020210058119A KR20210058119A KR20220150759A KR 20220150759 A KR20220150759 A KR 20220150759A KR 1020210058119 A KR1020210058119 A KR 1020210058119A KR 20210058119 A KR20210058119 A KR 20210058119A KR 20220150759 A KR20220150759 A KR 2022015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ap
flap door
cooling fan
hin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065B1 (ko
Inventor
심헌수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0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팬과 그 냉각팬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설치되는 슈라우드 장치로서, 판상의 슈라우드 바디;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형성된 도어 설치공; 및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판상의 에어 플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방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고정된 봉상의 힌지축;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힌지 결합부; 상기 힌지 결합부에 형성되며 특정 방향이 개방되며 종단면이 원호 일부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힌지 수용홈; 및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오목하게 절개된 홈부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Cooling fan shroud apparatus for vehicle provided with improvoed assembly structure of air flap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냉각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슈라우드 장치에 설치되는 에어 플랩 도의 조립성이 개선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구동원인 엔진은 내연 기관으로서 연소에 의해 고온의 열이 발생한다. 엔진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엔진 블록을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엔진 블록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라디에이터에 의해 냉각된다. 라디에이터는 일종의 열교환기로서 냉각수와 공기 간 열교환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한다.
한편,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는 냉매에 의한 냉각 사이클이 포함된다. 냉각 사이클은 컴프레셔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공기와 순환시켜 액상의 냉매로 냉각하는 컨덴서를 포함한다. 컨덴서는 냉매와 공기 간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다.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와 컨덴서가 모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에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 장치가 구비된다. 냉각팬 장치는 일반적으로 모터에 의해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전동식 냉각팬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외기의 조건이나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냉각팬 장치를 가변적으로 구동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 정차할 때는 냉각팬 장치를 고속으로 작동시켜 라디에이터나 컨덴서에서 공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자연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라디에이터에 공급되기 때문에 굳이 냉각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고속 주행 중 라디에이터나 컨덴서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슈라우드 장치에 에어 플랩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플랩 도어는 주행풍과 냉각 팬 작동 여부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와 같은 에어 플랩 도어의 설치 구조의 일 예가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5736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공개특허에 개시된 에어 플랩 도어는 힌지축의 양단부를 슈라우드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 일본공개특허에 개시된 구조는 힌지축의 양쪽 단부의 조립 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힌지축의 일단부를 먼저 슈라우드 바디에 조립하고 순차적으로 힌지축의 타단부를 슈라우드 바디에 조립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힌지축을 슈라우드 바디에 조립하는 공정에서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001 JP2004-257362 A (2004.09.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슈라우드 장치에 포함된 에어 플랩 도어의 설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팬과 그 냉각팬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설치되는 슈라우드 장치로서,
판상의 슈라우드 바디;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형성된 도어 설치공; 및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판상의 에어 플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방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고정된 봉상의 힌지축;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힌지 결합부;
상기 힌지 결합부에 형성되며 특정 방향이 개방되며 종단면이 원호 일부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힌지 수용홈; 및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오목하게 절개된 홈부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에 조립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상부 테두리의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수용홈의 전방 개방된 부위의 테두리는 종단면 상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단 테두리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슈라우드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최대 개방 위치를 한정하는 개방 스토퍼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상기 힌지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용 비드 구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최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수용홈의 개방부가 수평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슈라우드 바디에 에어 플랩 도어가 설치되며, 그 에어 플랩 도어의 힌지 결합부는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방향과 힌지 수용홈의 조립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힌지 조립부가 한 방향에서 동시에 조립될 수 있어서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힌지 결합부의 위치가 에어 플랩 도어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힌지축의 길이를 짧게 유지할 수 있어서 재료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힌지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용 비드 구조물이 형성된 경우 예기치 않게 힌지 결합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가 포함된 차량용 냉각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각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슈라우드 장치의 에어 플랩 도어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플랩 도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Ⅴ - Ⅴ 선 단면도로서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에어 플랩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 부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가 포함된 차량용 냉각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각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슈라우드 장치의 에어 플랩 도어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플랩 도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Ⅴ - Ⅴ 선 단면도로서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에어 플랩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10, 이하 "슈라우드 장치"라 함)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팬(200)과 그 냉각팬(200)의 구동을 위한 모터(100)가 설치되는 보호 구조물이다.
상기 슈라우드 장치(10)는 슈라우드 바디(20)와, 도어 설치공(22)과, 에어 플랩 도어(50)와, 힌지축(24)과, 가이드 홈부(26)와, 힌지 결합부(52)와, 힌지 수용홈(54)과, 개방 스토퍼(28)를 포함한다.
상기 슈라우드 바디(2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의 내부에는 냉각팬(20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냉각팬(200)이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냉각팬(200)을 보호하는 팬 보호부(40)가 구비된다. 상기 팬 보호부(40)는 원형의 테두리로부터 그 원형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 다수의 막대 형상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보호부(40)는 슈라우드 허브(30)에 연결된다. 슈라우드 허브(30)는 냉각팬(200) 구동을 위한 모터(100)가 장착되는 부위다. 상기 슈라우드 바디(20)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에 형성된 구멍이다.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후술하는 에어 플랩 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예컨대, 사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직사각형 형태의 구멍으로서 상기 슈라우드 바디(2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판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개폐하는 구조물이므로, 상기 도어 설치공(22)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4)은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에 고정된 봉상의 부재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축(24)은 상기 도어 설치공(22)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힌지축(24)은 가로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힌지축(24)의 종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24)은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4)의 양단부 부근에는 가이드 홈부(2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부(26)는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홈부(26)는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의 일부가 오목하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24)은 상기 가이드 홈부(26)의 중심부를 횡단한다. 상기 가이드 홈부(26)는 후술하는 에어 플랩 도어(50)에 구비된 힌지 결합부(52)와 슈라우드 바디(2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에어 플랩 도어(50)가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 홈부(26)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24)의 양단부 부위에 배치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52)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에 구비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52)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52)는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52)는 상기 힌지축(24)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52)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물로서, 내부에 힌지 수용홈(54)이 구비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결합부(52)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상부 테두리의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은 상기 힌지 결합부(52)에 형성된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은 특정 방향이 개방된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의 종단면은 원호의 일부 형태를 구성한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은 상기 힌지축(24)의 길이 방향으로는 양방이 개방된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은 종단면 상에서 특정한 방향이 개방된 구조이다. 즉, 상기 힌지 결합부(52)와 상기 힌지 수용홈(54)은 전체적으로 상기 힌지축(24)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힌지축(24)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축(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52)의 외주면은 원통의 외면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의 개방 부위의 테두리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의 단면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의 개방 부위가 부드러운 곡선 형태의 단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힌지축(24)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힌지축(24)이 힌지 수용홈(54)과의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힌지 수용홈(54)의 개방부위의 크기는 힌지축(24)의 외경 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최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수용홈(54)의 개방부가 수평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24)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후술하는 개방 스토퍼(28)에 접촉된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에어 플랩 도어(50)를 힌지축(24)에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상기 힌지 수용홈의 개방부가 수직 방향과 이루는 각도(θ)가 40°≤θ≤50°범위일 경우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을 상기 힌지축(24)에 조립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개방 스토퍼(28)는 상기 도어 설치공(22)의 상단 테두리의 상방에 배치 된다. 상기 개방 스토퍼(28)는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 스토퍼(28)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최대 개방 위치를 한정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상기 개방 스토퍼(28)에 걸림으로써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최대 개방 위치가 한정 된다.
상기 힌지 결합부(52)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24)에 조립된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상기 힌지 결합부(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용 비드 구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 구조물은 상기 힌지 결합부(52)의 강성을 보강하여 예기치 않게 상기 힌지 결합부(52)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슈라우드 장치(10)에서 에어 플랩 도어(50)를 슈라우드 바디(20)에 조립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플랩 도어(50)가 슈라우드 바디(20)와 분리된 상태로부터 서술을 시작한다. 에어 플랩 도어(50)를 슈라우드 바디(20)에 조립하기 위해, 에어 플랩 도어(50)를 도어 설치공(22)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접근 시킨다. 에어 플랩 도어(50)의 힌지 결합부(52)가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 결합부(52)를 힌지축(24)에 결합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결합부(52)를 상기 가이드 홈부(26)를 가로지르는 힌지축(24)에 접근시킨다. 힌지 수용홈(54)의 개방부 테두리에 힌지축(24)이 접촉된 상태에서, 힌지 결합부(52)를 후방으로 순간적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힌지 수용홈(54)의 개방부는 가압된 외력에 의해 약간 탄성 변형이 되면서, 힌지축(24)이 힌지 수용홈(54) 내부에 결합된다. 힌지축(24)이 힌지 수용홈(54)의 내부에 수용되면, 힌지 수용홈(54)의 개방 부위는 탄성복원되어 힌지축(24)이 힌지 수용홈(5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힌지축(24)은 힌지 수용홈(54)의 내벽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슈라우드 장치(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주행풍이 작용한다. 주행풍에 의한 공기는 에어 플랩 도어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에어 플랩 도어(50)의 상부는 힌지축(24)에 의해 힌지 수용홈(54)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에어 플랩 도어(50)의 하부가 공기압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에어 플랩 도어(50)는 힌지축(24)을 중심으로 공기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 플랩 도어(50)는 열리게 된다. 에어 플랩 도어(50)의 최대 개방 위치는 에어 플랩 도어(50)가 개방 스토퍼(28)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슈라우드 바디에 에어 플랩 도어가 설치되며, 그 에어 플랩 도어의 힌지 결합부는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방향과 힌지 수용홈의 조립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힌지 조립부가 한 방향에서 동시에 조립될 수 있어서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힌지 결합부의 위치가 에어 플랩 도어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힌지축의 길이를 짧게 유지할 수 있어서 재료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힌지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용 비드 구조물이 형성된 경우 예기치 않게 힌지 결합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슈라우드 장치
20 : 슈라우드 바디
22 : 도어 설치공
24 : 힌지축
26 : 가이드 홈부
28 : 개방 스토퍼
30 : 슈라우드 허브
40 : 팬 보호부
50 : 에어 플랩 도어
52 : 힌지 결합부
54 : 힌지 수용홈
100 : 모터
200 : 냉각팬

Claims (6)

  1.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팬과 그 냉각팬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설치되는 슈라우드 장치로서,
    판상의 슈라우드 바디;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형성된 도어 설치공; 및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판상의 에어 플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방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고정된 봉상의 힌지축;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힌지 결합부;
    상기 힌지 결합부에 형성되며 특정 방향이 개방되며 종단면이 원호 일부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힌지 수용홈; 및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오목하게 절개된 홈부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상부 테두리의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용홈의 전방 개방된 부위의 테두리는 종단면 상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설치공의 상단 테두리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슈라우드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최대 개방 위치를 한정하는 개방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상기 힌지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용 비드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최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수용홈의 개방부가 수평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20210058119A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2531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19A KR102531065B1 (ko)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19A KR102531065B1 (ko)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759A true KR20220150759A (ko) 2022-11-11
KR102531065B1 KR102531065B1 (ko) 2023-05-11

Family

ID=8404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19A KR102531065B1 (ko)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0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6228A (en) * 1996-09-06 2000-08-22 Siemens Electric Limited Fan shroud air door assembly
JP2004257362A (ja) 2003-02-27 2004-09-16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プ構造
KR20090027305A (ko) * 2007-09-12 2009-03-1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엔진 냉각용 팬 쉬라우드
US20140086722A1 (en) * 2012-09-21 2014-03-27 Robert Bosch Gmbh Ram air flap system
KR20150013467A (ko) * 2012-04-26 2015-02-05 스팔 오토모티브 에스.알.엘. 시라우드
WO2016037754A1 (fr) * 2014-09-08 2016-03-17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assemblage d'un groupe moto-ventilateur muni d'au moins un volet mobile, et groupe moto-ventilateur associé
KR20170025127A (ko) * 2015-08-27 2017-03-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팬 슈라우드
US20190070952A1 (en) * 2017-05-15 2019-03-07 Polaris Industries Inc. Three-wheeled vehicl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6228A (en) * 1996-09-06 2000-08-22 Siemens Electric Limited Fan shroud air door assembly
JP2004257362A (ja) 2003-02-27 2004-09-16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プ構造
KR20090027305A (ko) * 2007-09-12 2009-03-1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엔진 냉각용 팬 쉬라우드
KR20150013467A (ko) * 2012-04-26 2015-02-05 스팔 오토모티브 에스.알.엘. 시라우드
US20140086722A1 (en) * 2012-09-21 2014-03-27 Robert Bosch Gmbh Ram air flap system
WO2016037754A1 (fr) * 2014-09-08 2016-03-17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assemblage d'un groupe moto-ventilateur muni d'au moins un volet mobile, et groupe moto-ventilateur associé
KR20170025127A (ko) * 2015-08-27 2017-03-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팬 슈라우드
US20190070952A1 (en) * 2017-05-15 2019-03-07 Polaris Industries Inc. Three-wheel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065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739B2 (en) Movable grille shutter for vehicle
US8919470B2 (en) Grille shutter device
US8118124B2 (en) Fail-safe air flap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10814717B2 (en) Air guiding unit and cooling module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11951824B2 (en) Shutter device for vehicle
KR20160096955A (ko) 차량용 팬 슈라우드
JP3724978B2 (ja) ダブルダンパー装置
KR102531065B1 (ko)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2299409B1 (ko)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20140014511A (ko) 자동차의 에어플랩 장치
KR101714381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322785B1 (ko)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159597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5426895B2 (ja) 車両用ラジエータユニット
WO2021019954A1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805715B1 (ko) 자동차의 에어플랩 장치
KR102587614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20230084648A1 (en) Air flap having mixed-type door structure
KR102635820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0907522B1 (ko) 공조유니트의 에어필터 커버
CN217396159U (zh) 制热组件的散热系统和车辆
US20230182563A1 (en) Active air flap system for vehicle
KR101497327B1 (ko) 팬 쉬라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