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924B1 -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924B1
KR100860924B1 KR1020070060449A KR20070060449A KR100860924B1 KR 100860924 B1 KR100860924 B1 KR 100860924B1 KR 1020070060449 A KR1020070060449 A KR 1020070060449A KR 20070060449 A KR20070060449 A KR 20070060449A KR 100860924 B1 KR100860924 B1 KR 10086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er
case
vehicl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희동
Original Assignee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9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comprising additional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를 비롯한 차량에 대한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발기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어 토출되도록 케이스 내부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각 부위별 온도가 균일하고, 3개의 온도조절댐퍼를 상호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 선택에 따라 공기 흐름을 정확하게 유도하여 냉난방 효율이 우수하며, 송풍기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하여 송풍기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고, 팽창밸브를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팽창밸브의 교체 보수가 용이하며, 히터파이프의 고정 및 밀봉을 강화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케이스 덮개에는 진동 방지를 위한 보강수단이 형성된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트랙터, 공기조화장치, 천정형, 증발기, 케이스

Description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Rooftop Type HVAC System for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랙터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파이프 고정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 2 및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도조절댐퍼의 동작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및 케이스 덮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흡입구
120: 토출구 130: 제 1 공기유로
140: 제 2 공기유로 200: 증발기
300: 히터 320: 히터파이프 고정부
400: 송풍기 410: 구동모터
420: 송풍팬 500: 방향전환댐퍼
600: 온도조절댐퍼 600': 링크부재
700: 케이스 덮개 800: 와이어링
본 발명은 트랙터를 비롯한 차량에 대한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어 토출되도록 케이스 내부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각 부위별 온도가 균일하고, 3개의 온도조절댐퍼를 상호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 선택에 따라 공기 흐름을 정확하게 유도하여 냉난방 효율이 우수하며, 송풍기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하여 송풍기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고, 팽창밸브를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팽창밸브의 교체 보수가 용이하며, 히터파이프의 고정 및 밀봉을 강화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케이스 덮개에는 진동 방지를 위한 보강수단이 형성된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냉방하거나 난방하기 위한 공기조 화 장치(HVAC System)가 설치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중장비와 같은 특수 차량이나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 등에도 이러한 공기조화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장비 및 트랙터 등에는 차량의 구조상 차량의 천정에 공기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방식의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랙터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 및 케이스 덮개(미도시)와,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20), 히터(30), 온도조절댐퍼(60) 및 방향전환댐퍼(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는 구동모터(41)와 송풍팬(4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40)가 별도의 송풍기 케이스(43) 내부에 위치하여 별도로 부착되고,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전방에 증발기(20)가 장착되고 증발기(20)의 후방에 히터(30)가 장착된다. 이때, 히터(30)의 전방 즉, 증발기(20)와 히터(30)의 사이에는 온도조절댐퍼(60)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온도조절댐퍼(60)는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고 온도조절댐퍼(60)의 회전각 조절에 따라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토출구(12) 및 히터(3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된다. 토출구(12)는 차창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터 덕트(12b) 및 차량 실내 환기 및 온도 조절을 위한 벤틸레이터 덕트(12a)와 연통되며, 토출구(12)에는 이와 같은 디프로스터 덕트(12b) 및 벤틸레이터 덕트(12a)로 각각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 개폐되는 방향전환댐퍼(5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공기조화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송풍기(4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0)를 통과한다. 증발기(20)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와 함께 하나의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것으로서 증발기(2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20)를 통과하며 열교환되어 냉각되며, 이러한 냉각된 공기가 토출구(12)를 통해 디프로스터 덕트(12b) 및 벤틸레이터 덕트(12a)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가 냉각된다. 이때, 온도조절댐퍼(60)의 동작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30)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냉각된 상태로 직접 토출구(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히터(30) 전방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온도조절댐퍼(60)가 히터(30) 전방을 개방하고 토출구(12)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30)를 통과하며 히터(30)와 열교환되어 가열된다. 히터(30)를 통과한 공기는 마찬가지로 토출구(12)로 유입되며 디프로스터 덕트(12b) 및 벤틸레이터 덕트(12a)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가 난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댐퍼(60)가 중간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 즉,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일부는 히터(30) 측으로 일부는 토출구(12) 측으로 유입되도록 회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와 히터(30)를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가 혼합되고 이러한 각각의 공기량에 따라 온 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온도조절댐퍼(6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히터(3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됨으로써 토출구(12)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구(12)에 장착된 방향전환댐퍼(50)의 동작에 따라 온도 조절된 공기가 디프로스터 덕트(12b) 및 벤틸레이터 덕트(12a)로 각각 분산 토출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댐퍼(60)가 중간 상태로 회전하고 방향전환댐퍼(50)가 중간 상태로 회전한 경우 증발기(20) 및 히터(30)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히터(30)를 통과한 후 토출구(12)로 유입되고 일부는 직접 토출구(12)로 유입되는데 이때 방향전환댐퍼(50)가 중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히터(30)를 통과한 가열공기와 증발기(20)를 통과한 냉각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못하고 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공기는 디프로스터 덕트(12b) 측으로 냉각공기는 벤틸레이터 덕트(12a) 측으로 각각 분리 토출된다. 즉, 가열공기와 냉각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케이스(10)의 내부 구조상 디프로스터 덕트(12b)로는 가열공기가 주로 토출되고 벤틸레이터 덕트(12a)로는 냉각공기가 주로 토출되며, 이에 따라 차량 실내의 각 부위별 공기의 토출 온도가 상이하고 적절한 온도 조절효과가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10) 내부에는 온도조절댐퍼(6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쇠(61)가 부착되어 있고 히터(30)의 전방에 구비된 좌우측 온도조절댐퍼(60)는 각각 이러한 걸림쇠(61)를 통해 회전각이 제한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댐퍼(60)의 회전각 및 케이스(10)의 내부 구조상 양측의 걸림쇠(61)는 상 호 이격되게 부착되며, 따라서 온도조절댐퍼(60)가 히터(30) 측으로 공기 유입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도 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양측 걸림쇠(61)의 사이 공간을 통해 히터(30) 측으로 유입된 후 토출구(12)로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공기흐름 경로에 따라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는 경우에도 증발기(20)를 통한 냉각공기가 히터(30)를 통과한 가열공기와 토출구(12)에서 혼합되어 그 냉각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는 송풍기(40)가 별도로 구비되어 볼트 결합 등을 통해 케이스(10)에 부착되는 형태이므로 송풍기(40)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결합부위에서 더욱 증가하여 소음 발생 및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으며, 냉동사이클을 이루며 증발기(20)에 냉매파이프(22)로 연결된 팽창밸브(21)가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팽창밸브(21)의 교체 및 보수시에 케이스(10)를 분해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히터(30)에 연결되며 케이스(10) 측면을 관통하는 히터파이프(31)는 단순히 실링부재(32)를 통해 케이스(10) 측면에 형성된 실링홈(미도시)에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냉각수가 흘러가는 히터파이프(31)의 압력 유동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여 고정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증발기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어 토출되도록 케이스 내부 공기유로를 형 성하여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각 부위별 온도가 균일하고, 3개의 온도조절댐퍼를 상호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 선택에 따라 공기 흐름을 정확하게 유도하여 냉난방 효율이 우수하며, 송풍기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하여 송풍기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고, 팽창밸브를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팽창밸브의 교체 보수가 용이하며, 히터파이프의 고정 및 밀봉을 강화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케이스 덮개에는 진동 방지를 위한 보강수단이 형성된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풍기(400)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디프로스터 덕트(120b) 및 벤틸레이터 덕트(120a)와 연통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0)가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송풍기(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하는 증발기(200); 상기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하는 히터(300); 상기 히터(300)의 전방 좌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120) 및 상기 히터(300) 측으로 각각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는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상기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를 통해 상기 히터(30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는 중앙 온도조절댐퍼(630); 상기 토출구(120)에 구비되어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120b) 및 상기 벤틸레이터 덕트(120a)로 각각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회전 개폐되는 방향전환댐퍼(5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7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00)로부터 상기 토출구(120)로 향하도록 형성된 제 1 공기유로(130)와 상기 히터(300)로부터 상기 제 1 공기유로(130)의 중간부위로 향하도록 형성된 제 2 공기유로(1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기유로(130,140)를 흐르는 공기는 공기혼합부(150)에서 혼합된 상태로 상기 토출구(120)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파이프 고정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 2 및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흡입구(110) 및 토출구(120)가 형성된 케이스(100) 및 케이스 덮개(700)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증발기(200), 히터(300), 온도조절댐퍼(600) 및 방향전환댐퍼(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100)의 전방 측에는 구동모터(410) 및 송풍팬(420)을 포함하는 송풍기(400)가 구비되고, 송풍팬(420)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구(11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된다. 송풍기(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송풍기(400)의 후방 측에는 증발기(200)가 구비되고, 증발기(200)의 후방 측에는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히터(300)가 구비된다. 이때, 히터(300)의 전방 즉, 증발기(200)와 히터(300)의 사이에는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히터(300) 및 토출구(12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개폐되는 온도조절댐퍼(600)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스(100) 내부에는 온도조절댐퍼(6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200)로부터 토출구(120)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제 1 공기유로(130)와,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300)를 통과하고 히터(300)로부터 토출구(120)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제 2 공기유로(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공기유로(130)와 제 2 공기유로(140)가 연결되는 제 1 공기유로(130)의 중간 부위에는 제 1 및 제 2 공기유로(130,140)를 흐르는 공기가 혼합되는 공기혼합부(150)가 형성된다. 즉, 제 2 공기유로(140)는 직접 토출구(120) 측으로 향하도록 유로가 형성되지 않고 제 1 공기유로(130)의 중간부위로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공기유로(130,140)를 흐르는 공기가 토출구(120)로 유입되기 전 공기혼합부(150)에서 충분히 혼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공기유로(130,140)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 1 및 제 2 공기유로(130,140)를 흐르는 공기가 공기혼합부(150)에서 더욱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유로(130)는 히터(300)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공기유로(140)는 케이스(100)의 외부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공기유로(140)에는, 상기 히터(300)의 중앙측에서 좌우측으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부가 상기 히터(300) 측으로 돌출되는 중앙돌출부(141)와, 상기 공기혼합부(150)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중앙돌출부(141)의 좌우측에 각각 상기 히터(300) 측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부가 돌출되는 좌우돌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공기유로(130)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의 회전축(611,621) 부위에서 상기 히터(300) 측으로의 공기 유입을 막고 상기 공기혼합부(150)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에어가이드(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온도조절댐퍼(600)가 중간상태에 있는 경우,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일부는 제 1 공기유로(130)를 따라서 흐르고 일부는 제 2 공기유로(140)를 따라 흐르며 공기혼합부(150)에서 서로 혼합되며 토출구(120)로 유입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증발기(200)를 통과한 냉각공기와 히터(300)를 통과한 가열공기가 이와 같이 혼합된 상태로 토출구(120)에 구비된 방 향전환댐퍼(500)에 의해 디프로스터 덕트(120b) 및 벤틸레이터 덕트(120a)로 분산 토출되므로, 차량 실내의 각 부위에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차량 실내의 온도 조절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3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온도조절댐퍼(600)는 좌측, 우측 및 중앙 온도조절댐퍼(610,620,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히터(300)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300)의 전방으로부터 토출구(120) 및 히터(30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회전 개폐되는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와, 이러한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를 통해 히터(300)의 전방으로부터 히터(30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회전 개폐되는 중앙 온도조절댐퍼(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0) 내부에는 각각의 온도조절댐퍼(610,620,630)의 회전각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쇠(640)가 히터(300) 전방의 양측에 부착되고 각각의 온도조절댐퍼(610,620,630)는 걸림쇠(640)에 의해 회전각이 제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온도조절댐퍼(600)가 히터(30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 즉, 양측 걸림쇠(64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는 경우에 히터(300)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냉방 효율이 증가한다. 또한, 좌측, 우측 및 중앙 온도조절댐퍼(610,620,630)는 링크부재(600')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후에 살펴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전방 양측에 2개의 송풍기(400)가 구비되고, 이때 케이스(100)는 송풍기(40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송풍기(400)를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송풍기(400)가 2개 구비됨으로써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송풍량이 증가하여 공기조화 장치의 용량이 증가하고, 또한 송풍기(400)가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송풍기(400)의 별도 부착 부위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흡수 및 방지된다. 이때, 송풍기(400)의 장착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400)는 하나의 구동모터(410)와 구동모터(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4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송풍팬(420)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송풍기(400)는 증발기(2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송풍팬(420)이 마주보도록 상호 이격되게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측 송풍기(400) 사이로 흡입구(110)가 형성되어 송풍량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송풍기(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하나의 구동모터(410)와 구동모터(410)의 양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410)에 의해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2개의 송풍팬(420)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송풍기(400)가 증발기(200)의 전방에 하나 구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흡입구(110)가 송풍기(400)의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송풍량이 증대된다.
또한, 증발기(200)에 냉매파이프(220)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밸브(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장착됨으로써 팽창밸브(210)의 수리 및 교환시 교체작업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내부에 차량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히터파이프(310)는 히터(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케이스(100) 측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때 히터파이프(310)는 히터파이프 고정부(320)에 의해 케이스(100)에 고정 및 밀봉되며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파이프 고정부(320)는 케이스(100)의 측벽(100a)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벽(321)과, 케이스(100)의 측벽(100a)에 형성된 실링홈(322)과, 고정벽(321)에 형성된 고정홈(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히터파이프(310)가 고정홈(323)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되고 히터파이프(310) 외주면에 실링부재(311)가 삽입된 상태로 실링홈(322)에 삽입되어 케이스(100)와 밀봉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히터파이프(310)의 내부 압력 유동에 따라 발생하는 히터파이프(310)의 진동은 이러한 고정홈(323)에 의한 고정 구조에 의해 방지되어 히터파이프(310)의 밀봉 및 고정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때, 고정벽(321)에 형성되는 고정홈(323)의 직경은 실링홈(3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히터파이프(310)가 억지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도록 히터파이프(31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도조절댐퍼의 동작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300)의 전방에는 상호 연동하도록 링크부재(600')로 연결된 좌측, 우측 및 중앙 온도조절댐퍼(610,620,630)가 구비되는데,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는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고 중앙 온도조절댐퍼(63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는 각각의 회전축(611,621)이 일측단부에 위치하고 중앙 온도조절댐퍼(630)는 회전축(631)이 중앙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회전축(611,621,631)에는 각각 회전축(611,621,631)과 동일 회전하는 각각의 링크플레이트(612,622,632)가 결합되고, 이러한 각 링크플레이트(612,622,632)의 회전축(611,621,631) 반대측에는 각 링크플레이트(612,622,632)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바(650,660)가 장착된다. 우측 링크플레이트(622)의 회전축(621) 반대측에는 이러한 전체 링크 구조를 상호 연동하며 구동하도록 메인연결바(670)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인연결바(670)가 동작하게 되면 우측 링크플레이트(622)가 회전하고 우측 링크플레이트(622)에 제 2 연결바(660)로 연결된 중앙 링크플레이트(632)가 회전하며 또한 중앙 링크플레이트(632)에 제 1 연결바(650)로 연결된 좌측 링크플레이트(612)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각 링크플레이트(612,622,632)가 회전하면 이러한 각 링크플레이트(612,622,632)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각각의 온도조절댐퍼(610,620,6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방식에 의해 증발기(200)로부터 히터(30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된다.
도 5a는 히터(300) 측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중 앙 온도조절댐퍼(630)가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를 차단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 즉, 걸림쇠(640)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도 5b는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일부는 히터(300) 측으로 일부는 제 1 공기유로(130)를 따라 토출구(120) 측으로 유입되도록 온도조절댐퍼(600)가 중간 상태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메인연결바(670)가 우측으로 소정 범위 이동함에 따라 각 링크플레이트(612,622,632)가 회전하며 좌측, 우측 및 중앙 온도조절댐퍼(610,620,630)가 모두 소정 범위 회전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중앙 온도조절댐퍼(630)가 소정 범위 회전한 상태이므로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 공간으로 일정량의 공기가 히터(300) 측으로 유입된다. 도 5c는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제 1 공기유로(130) 측으로의 흐름을 차단하고 모두 히터(300) 측으로 유입되도록 회전한 상태의 도면으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연결바(670)의 우측 이동에 따라 각 온도조절댐퍼(610,620,630)가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중앙 온도조절댐퍼(630) 또한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함으로써 원활하게 히터(300) 측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온도조절댐퍼(610,620,630)를 링크부재(600')로 연결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에 중앙 온도조절댐퍼(630)를 구비하여 링크부재(600')에 의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선택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냉난방 효율 및 성능이 우수한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온도조절댐퍼(630)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된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및 케이스 덮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덮개(700)는 케이스(100)의 상부에 결합하고, 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송풍기(400)를 감싸며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 덮개(700)는 증발기(200)를 감싸는 부위에 요철 형상의 리브(7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송풍기(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2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의 유동이 발생하여 송풍기(400)와 증발기(200) 사이에서 진동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진동에 대한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리브(7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팬(420)의 고속 회전에 따른 진동을 감소할 수 있도록 케이스 덮개(700)는 송풍팬(420)을 감싸는 부위의 일측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7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별도의 보강플레이트(720)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보강플레이트(720)의 상부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와이어링(800)을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링홈(7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링(800)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고 와이어링(800)의 정리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어 토출되도록 케이스 내부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각 부위별 온도가 균일하고, 3개의 온도조절댐퍼를 상호 연동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 선택에 따라 공기 흐름을 정확하게 유도하여 냉난방 효율이 우수하며, 송풍기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하여 송풍기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고, 팽창밸브를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팽창밸브의 교체 보수가 용이하며, 히터파이프의 고정 및 밀봉을 강화하고 케이스 덮개에는 진동 방지를 위한 보강수단이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송풍기(400)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디프로스터 덕트(120b) 및 벤틸레이터 덕트(120a)와 연통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0)가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송풍기(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하는 증발기(200);
    상기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하는 히터(300);
    상기 히터(300)의 전방 좌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120) 및 상기 히터(300) 측으로 각각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일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는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상기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 사이를 통해 상기 히터(30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는 중앙 온도조절댐퍼(630);
    상기 토출구(120)에 구비되어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120b) 및 상기 벤틸레이터 덕트(120a)로 각각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회전 개폐되는 방향전환댐퍼(5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700)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00)로부터 상기 토출구(120)로 향하도록 형성된 제 1 공기유로(130)와 상기 히터(300)로부터 상기 제 1 공기유로(130)의 중간부위로 향하도록 형성된 제 2 공기유로(140)가 형성되고, 상 기 제 1 및 제 2 공기유로(130,140)를 흐르는 공기는 공기혼합부(150)에서 혼합된 상태로 상기 토출구(120)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온도조절댐퍼(610), 우측 온도조절댐퍼(620) 및 중앙 온도조절댐퍼(630)는 링크부재(600')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유로(140)에는, 상기 히터(300)의 중앙측에서 좌우측으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부가 상기 히터(300) 측으로 돌출되는 중앙돌출부(141)와, 상기 공기혼합부(150)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중앙돌출부(141)의 좌우측에 각각 상기 히터(300) 측으로 돌출되는 좌우돌출부(1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유로(130)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온도조절댐퍼(610,620)의 회전축(611,621) 부위에서 상기 히터(300) 측으로의 공기 유입을 막고 상기 공기혼합부(150)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에어가이드(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0)에 냉매파이프(220)로 연결되는 팽창밸브(210)는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일측에 히터파이프 고정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파이프 고정부(3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측벽(100a) 내측에 형성된 고정벽(321);
    상기 케이스(100)의 측벽(100a)에 형성된 실링홈(322); 및
    상기 고정벽(321)에 형성된 고정홈(323)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300)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00) 측면을 관통하는 히터파이프(310)는 상기 고정홈(323)에 끼워맞춤되고 실링부재(311)와 함께 상기 실링홈(322)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 및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송풍기(40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송풍기(400)를 감싸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400)는 구동모터(410) 및 상기 구동모터(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송풍팬(420)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증발기(2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송풍팬(420)이 마주보도록 상호 이격되게 2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400)는 구동모터(410) 및 상기 구동모터(4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에 의해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2개의 송풍팬(420)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덮개(700)는 상기 증발기(200)를 감싸는 부위에 리브(7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덮개(700)는 상기 송풍팬(420)을 감싸는 부위의 일측면에 보강플레이트(7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720)에는 와이어링(800)이 삽입 고정되는 와이어링홈(7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KR1020070060449A 2007-06-20 2007-06-20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KR10086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49A KR100860924B1 (ko) 2007-06-20 2007-06-20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49A KR100860924B1 (ko) 2007-06-20 2007-06-20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924B1 true KR100860924B1 (ko) 2008-09-29

Family

ID=4002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449A KR100860924B1 (ko) 2007-06-20 2007-06-20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9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68B1 (ko) * 2010-03-15 2012-06-01 갑을오토텍(주) 지게차용 공기조화장치
WO2017090943A1 (ko) * 2015-11-27 2017-06-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난방 모듈
EP2969673B1 (en) * 2013-04-28 2020-03-18 BYD Company Limited Defrost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11315601A (zh) * 2017-11-10 2020-06-19 韦巴斯托股份公司 用于车辆的超低型廓hvac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67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20060053225A (ko) * 2004-10-21 2006-05-1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67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20060053225A (ko) * 2004-10-21 2006-05-1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68B1 (ko) * 2010-03-15 2012-06-01 갑을오토텍(주) 지게차용 공기조화장치
EP2969673B1 (en) * 2013-04-28 2020-03-18 BYD Company Limited Defrost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WO2017090943A1 (ko) * 2015-11-27 2017-06-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난방 모듈
US10486488B2 (en) 2015-11-27 2019-11-26 Hanon Systems Compact air conditioning module for performing cooling and heating through a single module
DE112016005426B4 (de) 2015-11-27 2022-12-22 Hanon Systems Klimaanlagenmodul
CN111315601A (zh) * 2017-11-10 2020-06-19 韦巴斯托股份公司 用于车辆的超低型廓hvac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530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4350054B2 (ja) 運転キャビン構造
JPH087252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1779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457942B1 (ko) 차량공조장치
KR100860924B1 (ko) 차량용 천정형 공기조화 장치
WO2017046985A1 (ja) 送風装置
JP432623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10103506A (ko) 지게차용 공기조화장치
JP4755931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空気取入構造
KR1026260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81247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466532B2 (ja) 空調装置
JP200826544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15157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CN219063594U (zh) 空调器
JP481247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1301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815425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JP6783082B2 (ja)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60122880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JP202316002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188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56029B1 (ko) 세미-센터 타입 공기조화장치용 공기조화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