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785B1 -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785B1
KR102322785B1 KR1020210058120A KR20210058120A KR102322785B1 KR 102322785 B1 KR102322785 B1 KR 102322785B1 KR 1020210058120 A KR1020210058120 A KR 1020210058120A KR 20210058120 A KR20210058120 A KR 20210058120A KR 102322785 B1 KR102322785 B1 KR 10232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door
flap
shroud
air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헌수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도어 설치공이 구비된 슈라우드 바디; 및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하는 에어 플랩 도어;를 포함한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는, 일단부가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하는 플랩 본체; 및 상기 플랩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인근에 배치되며, 상기 플랩 본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상기 플랩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랩 본체보다 먼저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접촉되며, 상기 플랩 본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굽힘 탄성 변형되며, 상기 압력이 미리 특정된 값 보다 낮아진 경우 탄성 복원되는 셀프 댐핑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Cooling fan shroud apparatus for vehicle provided with self damping structure of air flap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냉각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슈라우드 장치에 설치되는 에어 플랩 도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구동원인 엔진은 내연 기관으로서 연소에 의해 고온의 열이 발생한다. 엔진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엔진 블록을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엔진 블록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라디에이터에 의해 냉각된다. 라디에이터는 일종의 열교환기로서 냉각수와 공기 간 열교환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한다.
한편,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는 냉매에 의한 냉각 사이클이 포함된다. 냉각 사이클은 컴프레셔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공기와 순환시켜 액상의 냉매로 냉각하는 컨덴서를 포함한다. 컨덴서는 냉매와 공기 간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다.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와 컨덴서가 모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에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 장치가 구비된다. 냉각팬 장치는 일반적으로 모터에 의해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전동식 냉각팬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외기의 조건이나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냉각팬 장치를 가변적으로 구동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 정차할 때는 냉각팬 장치를 고속으로 작동시켜 라디에이터나 컨덴서에서 공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자연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라디에이터에 공급되기 때문에 굳이 냉각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고속 주행 중 라디에이터나 컨덴서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슈라우드 장치에 에어 플랩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플랩 도어는 주행풍과 냉각 팬 작동여부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와 같은 에어 플랩 도어의 설치 구조의 일 예가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5736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에어 플랩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과정에서 에어 플랩 도어와 슈라우드 바디가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예어 플랩 도어는 복수 설치되는 데 약간의 시차를 두고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히는 경우,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이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001 JP2004-257362 A (2004.09.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 플랩 도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냉각팬용 슈라우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도어 설치공이 구비된 슈라우드 바디; 및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하는 에어 플랩 도어;를 포함한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는,
일단부가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하는 플랩 본체; 및
상기 플랩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인근에 배치되며, 상기 플랩 본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상기 플랩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랩 본체보다 먼저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접촉되며, 상기 플랩 본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굽힘 탄성 변형되며, 상기 압력이 미리 특정된 값 보다 낮아진 경우 탄성 복원되는 셀프 댐핑편;을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셀프 댐핑편과 상기 슈라우드 바디가 최초 접촉되는 위치는 상기 셀프 댐핑편의 길이의 1/2 이상 상기 셀프 댐핑편의 자유단부 쪽으로 편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프 댐핑편은 상기 플랩 본체의 좌우측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프 댐핑편은 상기 플랩 본체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프 댐핑편과 상기 플랩 본체 사이의 슬릿형 공간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된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셀프 댐핑편이 상기 슈라우드 바디와 최초로 접촉하는 부위를 최초 접촉부라 정의할 때,
상기 최초 접촉부의 이동 변위(D)는 1.0mm 내지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에어 플랩 도어에 구비된 셀프 댐핑편이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히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에어 플랩 도어와 슈라우드 바디의 급격한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에어 플랩 도어의 작동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라우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슈라우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설치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플랩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Ⅴ - Ⅴ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공기압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Ⅷ - 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라우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슈라우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설치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플랩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Ⅴ - Ⅴ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공기압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Ⅷ - 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10, 이하 "슈라우드 장치"라 함)는 차량용 냉각팬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팬(200)과 그 냉각팬(200)의 구동을 위한 모터(100)가 설치되는 보호 구조물이다.
상기 슈라우드 장치(10)는 슈라우드 바디(20)와, 도어 설치공(22)과, 에어 플랩 도어(50)를 포함한다.
상기 슈라우드 바디(2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의 내부에는 냉각팬(20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냉각팬(200)이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냉각팬(200)을 보호하는 팬 보호부(40)가 구비된다. 상기 팬 보호부(40)는 원형의 테두리로부터 그 원형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 다수의 막대 형상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보호부(40)는 슈라우드 허브(30)에 연결된다. 슈라우드 허브(30)는 냉각팬(200) 구동을 위한 모터(100)가 장착되는 부위다. 상기 슈라우드 바디(20)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에 구비된 구멍이다.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후술하는 에어 플랩 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예컨대, 사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설치공(22)은 직사각형 형태의 구멍으로서 상기 슈라우드 바디(2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판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에 결합된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개폐하는 구조물이므로, 상기 도어 설치공(22)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 플랩 도어(50)는 힌지축(24)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플랩 본체(52)와, 셀프 댐핑편(54)을 포함한다.
상기 플랩 본체(52)는 판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플랩 본체(52)는 일단부가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플랩 본체(52)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판상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플랩 본체(52)는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개폐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플랩 본체(52)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인근에 배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플랩 본체(52)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된다. 즉,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일단부는 상기 플랩 본체(5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타단부는 자유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플랩 본체(52)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랩 본체(52)보다 먼저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플랩 본체(5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굽힘 탄성 변형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압력이 미리 특정된 값 보다 낮아진 경우 탄성 복원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과 상기 슈라우드 바디(20)가 최초 접촉되는 위치는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길이의 1/2 이상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자유단부 쪽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슈라우드 바디(20)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최초 접촉부(55)가 구비된다. 상기 최초 접촉부(55)의 이동 거리를 D라 정의한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플랩 본체(52)의 좌우측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 예에서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상기 플랩 본체(52)의 각각 좌우 양측 테두리를 따라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프 댐핑편(5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랩 본체(52)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프 댐핑편(54)과 상기 플랩 본체(52) 사이에는 슬릿형 공간(56)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형 공간(56)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접촉되는 상기 도어 설치공(22)의 테두리 부위가 상기 슬릿형 공간(56)과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프 댐핑편의 길이(L)는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최초 접촉부(55) 간 최단 거리로 정의한다.
상기 셀프 댐핑편의 길이(L)는 상기 셀프 댐핑편(54)이 플랩 본체(52)의 가로 길이나 세로 길이와 연관성을 가진다. 상기 셀프 댐핑편의 길이(L)는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배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배치 예를 2가지 제시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프 댐핑편(54)이 플랩 본체(52)의 좌우측 테두리를 따라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프 댐핑편은 상기 플랩 본체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와 최초 접촉부의 이동 변위(D)는 1.0mm 내지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초 접촉부의 이동 변위(D)는 상기 최초 접촉부(55)가 상기 슈라우드 바디(20)와 최초로 접촉된 순간부터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까지 상기 최초 접촉부(55)가 이동한 직선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최초 접촉부의 이동 변위(D)가 1.0mm 미만인 경우,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완충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소음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최초 접촉부의 이동 변위(D)가 2.5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폐쇄 상태가 불완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에어 플랩 도어(50)가 닫히는 과정에서 에어 플랩 도어(50)가 없는 구조에 비하여 발생 소음이 7dB 정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3dB 정도의 소음 감소가 있는 경우 사람이 느끼는 소음은 2배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7dB 정도의 소음 감소는 종래에 비하여 4배 이상 감소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현저한 소음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슈라우드 장치(10)를 구성하는 에어 플랩 도어(5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함에 따라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제, 차량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차량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압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는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셀프 댐핑편(54)의 최초 접촉부(55)가 슈라우드 바디(20)에 접촉된다. 계속하여 차량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의 전방과 후방 간 공기의 유동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플랩 본체(52)가 슈라우드 바디(20) 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셀프 댐핑편(54)이 굽힘 탄성 변형 되면서 부드럽게 상기 플랩 본체(52)가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폐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랩 본체(52)가 도어 설치공(22)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슬릿형 공간(56)은 슈라우드 바디(20)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설치공(22)을 통한 공기의 유동은 완전히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는, 에어 플랩 도어에 구비된 셀프 댐핑편이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히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에어 플랩 도어와 슈라우드 바디의 급격한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에어 플랩 도어의 작동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슈라우드 장치
20 : 슈라우드 바디
22 : 도어 설치공
24 : 힌지축
30 : 슈라우드 허브
40 : 팬 보호부
50 : 에어 플랩 도어
52 : 플랩 본체
54 : 셀프 댐핑편
55 : 최초 접촉부
56 : 슬릿형 공간
100 : 모터
200 : 냉각팬
D : 최초 접촉부의 이동 변위
L : 셀프 댐핑편의 길이

Claims (6)

  1. 도어 설치공이 구비된 슈라우드 바디; 및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하는 에어 플랩 도어;를 포함한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는,
    일단부가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 설치공을 개폐하는 플랩 본체; 및
    상기 플랩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인근에 배치되며, 상기 플랩 본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상기 플랩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랩 본체보다 먼저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접촉되며, 상기 플랩 본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굽힘 탄성 변형되며, 상기 압력이 미리 특정된 값 보다 낮아진 경우 탄성 복원되는 셀프 댐핑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댐핑편과 상기 슈라우드 바디가 최초 접촉되는 위치는 상기 셀프 댐핑편의 길이의 1/2 이상 상기 셀프 댐핑편의 자유단부 쪽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댐핑편은 상기 플랩 본체의 좌우측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댐핑편은 상기 플랩 본체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댐핑편과 상기 플랩 본체 사이의 슬릿형 공간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슈라우드 바디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된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셀프 댐핑편이 상기 슈라우드 바디와 최초로 접촉하는 부위를 최초 접촉부라 정의할 때,
    상기 최초 접촉부의 이동 변위(D)는 1.0mm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20210058120A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232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20A KR102322785B1 (ko)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20A KR102322785B1 (ko)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785B1 true KR102322785B1 (ko) 2021-11-09

Family

ID=7861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20A KR102322785B1 (ko) 2021-05-04 2021-05-04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7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806A (ja) * 1997-10-16 1999-04-27 Aisin Seiki Co Ltd 車両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JP2004257362A (ja) 2003-02-27 2004-09-16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プ構造
KR20060004176A (ko) * 2004-07-08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댐퍼 구조
JP2008291664A (ja) * 2007-05-22 2008-12-04 Nissan Motor Co Ltd 冷却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パー構造
JP6697220B2 (ja) * 2014-01-20 2020-05-20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フラップ装置
KR102234339B1 (ko) * 2015-02-06 2021-04-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팬 슈라우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806A (ja) * 1997-10-16 1999-04-27 Aisin Seiki Co Ltd 車両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JP2004257362A (ja) 2003-02-27 2004-09-16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プ構造
KR20060004176A (ko) * 2004-07-08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댐퍼 구조
JP2008291664A (ja) * 2007-05-22 2008-12-04 Nissan Motor Co Ltd 冷却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パー構造
JP6697220B2 (ja) * 2014-01-20 2020-05-20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フラップ装置
KR102234339B1 (ko) * 2015-02-06 2021-04-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팬 슈라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484B1 (en) Grille shutter device
JP4678500B2 (ja) 車両用可動グリルシャッタ装置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20190143804A1 (en) Charge air shutter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322785B1 (ko) 에어 플랩 도어의 자체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2310969B1 (ko) 에어 플랩 도어의 충격 흡수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GB2566743A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flow within a vehicle, a vehicle and a method
JP3937624B2 (ja) 車両用冷却装置
KR100736981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JP6932832B1 (ja) フラップドア
KR102299409B1 (ko)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20220150759A (ko) 에어 플랩 도어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냉각팬 슈라우드 장치
KR101576889B1 (ko) 보행자 보호형 액티브 에어 플랩
JP7358820B2 (ja) 車両のシャッタ装置
US20190226772A1 (en) Cooling module supporting structure
CN217396159U (zh) 制热组件的散热系统和车辆
KR20200110944A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20230084648A1 (en) Air flap having mixed-type door structure
KR20020046043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그릴
JP7182657B2 (ja) 車両
JP2002332844A (ja) 車両用冷却装置
CN111267605B (zh) 一种发动机舱引流结构
KR101042149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CN116262438A (zh) 车辆用活动风门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