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293A -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293A
KR20220150293A KR1020227029795A KR20227029795A KR20220150293A KR 20220150293 A KR20220150293 A KR 20220150293A KR 1020227029795 A KR1020227029795 A KR 1020227029795A KR 20227029795 A KR20227029795 A KR 20227029795A KR 20220150293 A KR20220150293 A KR 2022015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water
corrosion fatigue
evaporation tub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즈유키 사카이
가즈요시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56Boiler cleaning control devices, e.g. for ascertaining proper duration of boiler blow-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4Ion-selective electro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10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C02F5/14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4/00Inhibiting incrustation in apparatus for heating liquids for physical or chemical purposes
    • C23F14/02Inhibiting incrustation in apparatus for heating liquids for physical or chemical purposes by chem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025Devices and methods for diminishing corrosion, e.g. by preventing cooling beneath the dew poi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1Sulfu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2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9SO4-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10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부식 환경이나 스케일의 존재에 의한 반복적인 응력이 관련된 보일러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보일러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억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각각 10 mg/L 이하로 관리하는,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보일러의 보급수를 이온 교환 장치, 역침투막 장치 또는 전기 탈이온 장치로 탈염 처리하거나, 혹은, 보일러 복수의 회수율을 높임으로써,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본 발명은,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부식 환경이나 스케일의 존재에 의한 반복적인 응력이 관련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압 보일러 시장에서는 전열 면적이 10 ∼ 40 m2 인 것이 많고, 특히 헤더와 기수 분리기 및, 증발관만으로 구성되는 컴팩트한 다관식 특수 순환 보일러 (이후, 「소형 관류 보일러」라고 칭한다.) 가 압도적인 셰어를 자랑하고 있다. 소형 관류 보일러는 보일러를 복수 대 설치하는 다관 설치로 운용되는 경우가 많고, 증기의 요구량에 따라 기동 및 정지를 다수회 반복하여 운전된다. 또 순환비가 2 이하이고, 특히 증발관 하부에 급수되기 때문에, 하부 근방은 pH 가 낮고, 용존 산소도 높은 점에서 부식이 발생하기 쉽다. 이 부식 환경과, 보일러의 기동 및 정지에 의한 온도 변동으로 발생하는 반복 응력에 의한 부식 피로로 증발관에 균열이 발생하고, 누수에 이르는 케이스가 산견된다.
이와 같은 부식 피로는, 종래의 보일러에 대한 급수 (이하, 보일러 급수라고도 한다) 의 수처리만으로는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최단 3 년 정도로 증발관에 균열이 발생하여 누수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다.
보일러 급수의 수질 관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스케일 성분이 보일러 급수에 혼입되어, 보일러 내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케이스도 자주 보인다. 특히 보일러의 전열면에 대한 스케일의 부착은, 전열 저해를 일으키고, 보일러의 열 효율의 저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연료비의 증가로도 이어진다. 이 때문에, 보일러에서는, 부식 피로의 방지에 더하여, 스케일 부착의 방지도 요구된다.
종래, 부식을 억제하는 기술이나 스케일 부착을 억제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각각 보고가 이루어져 있었다.
예를 들어, 부식의 억제에는, 하기 (1) ∼ (3) 등을 대책으로서 들 수 있다.
(1) 보일러의 증기 발생부 내의 물 (이후, 보일러수) 의 pH 를 관리 기준값의 상한으로 유지한다.
(2) 탈산소제의 농도를 관리 기준값보다 조금 높게 유지한다.
(3) 관저 (罐底) 블로는 운전 종료 직후가 아니라 기동 직전에 실시하여 고농도의 산소의 혼입이나 저 pH 화를 억제한다.
스케일의 억제에는, 하기 (1) ∼ (3) 등을 대책으로서 들 수 있다.
(1) 보일러 급수의 역침투막 처리 또는 연화 처리를 실시한다.
(2)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스케일 분산제나 청관제를 첨가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3) 스케일 성분의 배제를 위한 보일러수의 블로 관리를 실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745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2991호
보일러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는, 종래의 부식 억제 방법으로는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자가 부식 피로의 원인을 탐구한 결과, 증발관과 같은 전열 부하가 높은 부위에 스케일이 부착되면, 증발관의 관벽 온도가 상승하고, 보일러의 기동 및 정지에 따라 증발관이 신축되는 결과, 응력이 커져 부식 피로에 의해 증발관이 파열되어, 누수에 이르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자는, 보일러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는, 부식 환경뿐만 아니라, 스케일의 존재도 크게 관련되어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부식 환경이나 스케일의 존재에 의한 반복적인 응력이 관련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낮게 관리 함으로써, 부식이 충분히 억제되어,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본 발명자는, 나아가 보일러수에 스케일 분산제를 존재시켜 스케일 부착을 억제함으로써,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하를 요지로 한다.
[1] 보일러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억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각각 10 mg/L 이하로 관리하는,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2] 상기 보일러 급수에 사용하는 원수를 이온 교환 장치, 역침투막 장치 또는 전기 탈이온 장치로 탈염 처리하거나, 혹은, 상기 보일러의 보일러 복수의 회수율을 높임으로써, 상기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관리하는, [1] 에 기재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3] 상기 보일러수에 스케일 분산제를 존재시키는, [1] 또는 [2] 에 기재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4] 상기 스케일 분산제가,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 170,000 의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 100,000 의 폴리메타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폴리(메트)아크릴산 화합물인, [3] 에 기재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5] 상기 보일러수에 있어서의 상기 스케일 분산제의 농도가 1 ∼ 1,000 mg/L 인, [3] 또는 [4] 에 기재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6] 상기 보일러가 소형 관류 보일러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식 환경이나 스케일의 존재에 의한 반복적인 응력에 의한 보일러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보일러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시험예 I 에 있어서의 시험 대상 보일러수계의 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은, 그 보일러수, 즉, 보일러의 증기 발생부 내의 물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각각 10 mg/L 이하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식성의 염화물 이온 및 황산 이온 (이하, 이들을 「부식성 이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농도를 각각 10 mg/L 이하로 관리 함으로써, 부식 피로의 기점이 되는 증발관의 부식을 억제하여 부식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일러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는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각각 1.0 mg/L 이하가 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일러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보일러 급수에 사용하는 원수를 이온 교환 장치 (다상탑 방식, 혼상탑 방식 등의 이온 교환 장치), 역침투막 장치 또는 전기 탈이온 장치로 탈염 처리하거나, 혹은, 보일러의 보일러 복수의 회수율을 높이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의 2 개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채용해도 된다.
원수 수질이 변동되는 경우에는, 역침투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처리 후의 보급수도 수질 변동되기 쉽기 때문에, 전기 탈이온 장치의 병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일러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는, 예를 들어, 보일러 급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를,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보일러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의 상한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관리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일러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와 함께, 실리카 농도도 상기 보일러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의 상한 이하 (예를 들어, 10 mg/L 이하) 로 관리하는 것이,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여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억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실리카 농도에 대해서도, 상기 부식성 이온 농도와 동일하게, 이온 교환 장치, 역침투막 장치, 또는 전기 탈이온 장치에 의한 처리나, 복수 회수율의 제어에 의해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보일러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를 억제한 다음, 보일러수에 스케일 분산제를 존재시켜 증발관에 있어서의 스케일 부착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부식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스케일 분산제는, 수계 시스템에 반입된 경도 성분의 스케일화를 억제하거나, 이미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거나 하는 것이다. 스케일 분산제로는, 인산삼나트륨이나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등의 인산염, 폴리아크릴산 및/또는 그 염, 폴리메타크릴산 및/또는 그 염, 아크릴산과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공중합물 및/또는 그 염 등의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스케일 분산제는, 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 170,000 인 폴리아크릴산 및/또는 그 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 100,000 인 폴리메타크릴산 및/또는 그 염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화합물이다. 폴리아크릴산 및/또는 그 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0을 초과하고 17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00 을 초과하고 120,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메타크릴산 및/또는 그 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을 초과하고 10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0 을 초과하고 80,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스케일 분산제를 사용하는 경우, 스케일 분산제는, 보일러수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고, 스케일 분산제를 첨가하는 장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스케일 분산제는, 보일러의 급수계 (급수 라인), 보급수계 (보급수 라인), 보일러수, 복수계 (복수 라인) 를 포함하는 보일러수계 중 적어도 1 개 지점에 첨가하면 된다. 스케일 분산제는, 예를 들어, 보일러 급수 배관, 급수 탱크, 보급수 배관, 보급수 탱크, 복수 배관, 복수 탱크 중 어느 것에 첨가해도 되고, 이들의 2 개 지점 이상에서 첨가해도 된다.
보일러수계에 스케일 분산제를 첨가하는 경우, 그 첨가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보일러 급수의 수질 (용존 산소 농도, 부식성 염류 농도), 보일러의 운전 조건에 의한 스케일화 경향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다. 약품 비용을 억제한 데다가, 충분한 스케일 억제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폴리머계의 스케일 분산제이면, 보일러 급수 중의 농도로 1 ∼ 1,000 mg/L, 특히 10 ∼ 500 mg/L 가 되는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일러수에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경우, 이온 교환수의 수질로는, 전기 전도율로 1 mS/m 이하, 특히 0.5 mS/m 이하, 특히 0.1 mS/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전도율이 상기 상한 이하가 되도록 염류가 제거된 것이면, 증발관에 있어서의 부식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억제하여 부식 피로의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보일러수계에서는, 스케일 억제를 위해, 보일러 급수에, 원수를 연화기로 연화 처리한 연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연화 처리만으로는, 카티온 성분이 제거될 뿐으로, 부식성 염류를 제거할 수는 없어,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증발관의 부식 피로가 발생하기 쉬운 관점에서, 증기압이 4 ㎫ 이하인 보일러가 바람직하고, 증기압이 2 ㎫ 이하인 저압 보일러가 보다 바람직하다. 저압 보일러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소형 관류 보일러를 들 수 있다. 소형 관류 보일러의 증기압은, 예를 들어 1 ㎫ 이하이다.
소형 관류 보일러의 종류에는, 환형 관체와 각형 관체가 있다. 환형 관체란, 중앙부에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부에 버너를 배치하고 있는 관체이다. 각형 관체란, 연소실이 없고, 수관 측면에 인접하여 가스 버너를 배치하고 있는 관체이다.
환형 관체보다 각형 관체 쪽이 증발관의 부식 피로가 보다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관리함으로써, 나아가서는 스케일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각형의 소형 관류 보일러여도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각형 관체에서 부식 피로가 보다 발생하기 쉬운 이유는, 각형 관체는, 환형 관체보다 구조상 열부하가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증발관의 신전이 일어나기 쉽고, 부식을 기점으로 한, 부식 피로가 보다 발생하기 쉽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든다.
이하에 있어서, 염화물 이온, 황산 이온, 실리카 농도는, 「JIS B8224 보일러의 급수 및 보일러수 시험 방법」에 준하여 미리 분석하였다.
[실험예 1]
부식 피로 시험에 의해 염류가 부식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시험액은 연수를 상정하고, 염화물 이온, 황산 이온, 실리카를 포함하는 수질로 하였다.
먼저 사용한 시험편에서의 파단 조건을 구하기 위해, 이하의 준비를 실시하였다.
재질 STB340 의 시험편을 원호상 피로 시험용으로 가공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행부와 R 부 (원호부) 를 갖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평행부 및 R 부를 #800 연마하였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대기 중에 있어서의 인장 시험을 실시한 결과, 탄성역 최대 하중에 대응하는 응력은 220 ㎫ 로 구해졌다. 이 값을 부식 피로 시험의 최대 응력으로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시험편을 부식 피로 시험 장치의 축에 설치하고, 시험편이 침지되도록 고정된 비커 내에 시험액 1 L 를 따라, 시험편이 완전히 잠기도록 하였다.
시험액은 이온 교환수에, 특급 시약의 염화물 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48 % 가성 소다, 3 호 규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하기 시험액 조성 및 pH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시험액의 온도는 85 ℃ 로 조정하였다.
다음으로, 비커 내의 용존 산소 농도가 표 1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산소 가스를 연속적으로 비커 내에 공급하고, 순환 라인 상에 설치한 용존 산소계를 보면서 용존 산소 농도가 일정해지도록 가스의 공급량을 컨트롤하였다.
용존 산소 농도가 일정해지면, 시험 시간 96 시간을 목표로 최대 응력을 220 ㎫ 로 설정하고, 부식 피로 시험 장치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부식 피로 시험의 조건>
시험편 : STB340 으로 제조한 원호상 피로 시험편 (ASTM E466-96 참고)
시험편의 전처리 : 평행부 및 R 부를 #800 마무리
제어 : 하중 제어
파형 : 정현파
최대 응력 : 220 ㎫
주파수 : 4.0 Hz
시험 기간 : 최대 96 시간
시험액 온도 : 85 ℃
시험액 조성 : 염화물 이온, 황산 이온 및 실리카 농도는 표 1 과 같이 하였다.
No.1 에서는, 연수 급수이고 각 물질을 각각 10 mg/L 로 하였을 때, 증기 발생기 내에서 10 배 농축된 것으로 상정하고, 각각 100 mg/L 로 하였다.
No.2 에서는, 연수 급수이고 복수 회수율이 90 %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 상정되는 수질로 하였다.
No.3 에서는, 이온 교환수의 급수이고, 농축 50 배 이상을 상정되는 수질로 하였다. 이온 교환수에서는, 염류보다 실리카는 미량 리크되기 쉽기 때문에 실리카 농도만 10 mg/L 로 하였다.
시험액 pH : 11.0
시험액 용존 산소 농도 : 8.0 mg/L
시험액량 : 1 L
<결과>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고찰>
표 1 로부터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부식성 이온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시험편의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인장 횟수가 오르고, 각 부식성 이온 농도가 10 mg/L 이하에서는, 시험편이 파단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 부식성 이온 농도가 1 mg/L 이하에서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부식성 이온 농도가 낮아지면, 시험편의 표면에서의 부식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거나, 혹은 미소 균열 내에서의 부식의 진행이 억제된 것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시험예 I]
<실시예 I-1 ∼ 5, 비교예 I-1 ∼ 3>
도 1 에 나타내는 보일러수계에 있어서, 보일러 급수의 부식성 이온 농도 및 스케일 분산제의 첨가의 유무와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상황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이 보일러수계에서는, 원수를 이온 교환 장치 또는 연화기 (1) 로 처리한 물이, 급수 탱크 (2) 를 경유하여 보일러 (4) 에 급수되고, 보일러 (4) 에서 발생한 복수가 급수 탱크 (2) 로 되돌려진다. 용존 산소 농도는 급수 탱크 (2) 의 출구 직후에 측정하였다. 스케일 분산제, 및 가성계의 pH 조정제를 보일러 (3) 의 앞쪽의 급수 라인에 주입하였다.
이 보일러수계에서는, 부식성 이온 농도의 관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운전 개시부터 8 년 이내에 부식 피로로 증발관에 균열이 발생하여, 누설되는 사고가 일어났었다.
대상 보일러의 사양은 이하와 같다.
대상 보일러 : 소형 관류 보일러
운전 압력 : 1.0 ㎫ 이하
급수 종류 : 연수, 연수 + 복수, 이온 교환수, 이온 교환수 + 복수 중 어느 것.
보일러수 수질 : pH = 11.0 ∼ 11.8
전기 전도율 = 50 ∼ 400 mS/m
용존 산소 농도 = 8.0 mg/L
염화물 이온, 황산 이온, 및 실리카 농도는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스케일 분산제 : 하기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PANa), 폴리메타크릴산나트륨 (PMNa) 또는 정인산염을 사용하였다. 첨가량은 보일러수 중에서 폴리머는 순분으로서 30 mg/L, 정인산염은 인산 이온으로서 30 mg/L 로 하였다.
PANa (4,000) :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PANa (60,000) : 중량 평균 분자량 60,000 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PMNa (10,000) :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 의 폴리메타크릴산나트륨
정인산염 : 정인산의 나트륨염
조사 대상의 보일러관수 : 559 관
<결과>
운전 기간은 8 년간으로 하였다. 8 년간의 운전 기간 내의 증발관의 균열 발생수와 균열 발생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고찰>
표 2 로부터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부식 피로의 발생은, 부식성 이온 농도가 높고, 또한 스케일 분산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비교예 I-1) 가 가장 많았다.
스케일 분산제의 첨가가 없는 경우에서는, 각 부식성 이온 농도가 1 mg/L 로 낮은 실시예 I-1 은, 각 부식성 이온 농도가 80 ∼ 100 mg/L 로 높은 비교예 I-1 에 비해, 부식이 억제되고, 인장 응력이 증가되기 어려워, 부식 피로의 발생이 억제된 것으로 추측된다. 각 부식성 이온 농도가 1 mg/L 이고 스케일 분산제를 사용한 실시예 I-2 ∼ 5 에서는, 스케일 부착이 거의 없고, 균열의 발생은 적었다. 이것은 스케일 부착에 의한 인장 응력이 낮게 억제된 것과, 염류 농도가 낮음으로써 부식에 의한 피로의 발생, 진전이 일어나기 어려운 환경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부식 피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증발관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케일 부착의 발생도 억제함으로써 가일층의 효과가 발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20년 3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0-043295 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1 : 이온 교환 장치 또는 연화기
2 : 급수 탱크
3 : 보일러

Claims (6)

  1. 보일러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를 억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각각 10 mg/L 이하로 관리하는,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급수에 사용하는 원수를 이온 교환 장치, 역침투막 장치 또는 전기 탈이온 장치로 탈염 처리하거나, 혹은, 상기 보일러의 보일러 복수의 회수율을 높임으로써, 상기 보일러수의 염화물 이온 농도 및 황산 이온 농도를 관리하는,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수에 스케일 분산제를 존재시키는,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분산제가,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 170,000 의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 100,000 의 폴리메타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폴리(메트)아크릴산 화합물인,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수에 있어서의 상기 스케일 분산제의 농도가 1 ∼ 1,000 mg/L 인,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가 소형 관류 보일러인,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KR1020227029795A 2020-03-12 2020-09-02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KR20220150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3295A JP7050840B2 (ja) 2020-03-12 2020-03-12 ボイラにおける蒸発管の腐食疲労の抑制方法
JPJP-P-2020-043295 2020-03-12
PCT/JP2020/033205 WO2021181723A1 (ja) 2020-03-12 2020-09-02 ボイラにおける蒸発管の腐食疲労の抑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293A true KR20220150293A (ko) 2022-11-10

Family

ID=7767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795A KR20220150293A (ko) 2020-03-12 2020-09-02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94476A1 (ko)
EP (1) EP4119843A4 (ko)
JP (1) JP7050840B2 (ko)
KR (1) KR20220150293A (ko)
CN (1) CN115280068A (ko)
BR (1) BR112022017247A2 (ko)
CA (1) CA3169757C (ko)
WO (1) WO202118172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2991A (ja) 2015-06-30 2017-01-19 栗田工業株式会社 ボイラ用水処理装置及びボイラの運転方法
JP2017074550A (ja) 2015-10-14 2017-04-20 栗田工業株式会社 ボイラ給水用水処理装置及びボイラ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0617B2 (ja) * 2000-08-07 2010-12-15 オルガノ株式会社 陰イオン交換樹脂の性能評価方法及び装置並びに復水脱塩装置
JP5013064B2 (ja) * 2006-12-26 2012-08-29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給水用補給水の供給方法
JP5082661B2 (ja) * 2007-08-06 2012-11-28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システム
JP6120475B2 (ja) 2008-08-05 2017-04-26 栗田工業株式会社 ボイラ水処理剤及び水処理方法
JP5925593B2 (ja) 2012-05-17 2016-05-25 オルガノ株式会社 金属防食剤およびボイラ水系の処理方法
JP2015068631A (ja) * 2013-10-01 2015-04-13 伯東株式会社 ボイラ防食用液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ボイラ防食方法
JP2019065357A (ja) * 2017-10-02 2019-04-25 三浦工業株式会社 水処理剤及びボイラ水管の腐食抑制方法
CN208918783U (zh) 2018-08-22 2019-05-31 北京同方生态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钢厂的带温度调节的空压机余热回收装置
JP7155482B2 (ja) 2018-09-13 2022-10-19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2991A (ja) 2015-06-30 2017-01-19 栗田工業株式会社 ボイラ用水処理装置及びボイラの運転方法
JP2017074550A (ja) 2015-10-14 2017-04-20 栗田工業株式会社 ボイラ給水用水処理装置及びボイラ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69757A1 (en) 2021-09-16
US20230094476A1 (en) 2023-03-30
EP4119843A1 (en) 2023-01-18
CA3169757C (en) 2023-08-22
WO2021181723A1 (ja) 2021-09-16
BR112022017247A2 (pt) 2022-10-18
CN115280068A (zh) 2022-11-01
TW202134188A (zh) 2021-09-16
EP4119843A4 (en) 2023-10-11
JP7050840B2 (ja) 2022-04-08
JP2021143793A (ja)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74427A (ja) 水処理剤および水処理方法
WO2015122264A1 (ja) 蒸気発生設備のスケール除去方法及びスケール除去剤
WO2014162992A1 (ja) 蒸気発生設備のスケール除去方法
JP2014036912A (ja) 水系におけるシリカ系スケールの防止方法及びスケール防止剤、並びにシリカ系スケールを抑制するとともに金属の腐食を抑制する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剤
KR20110083683A (ko) 수성 매질에서 부식 억제 방법
WO2020198982A1 (en) Dispersant composition, method for controlling, preventing and/or reducing formation of inorganic scale and deposits, and use of composition
JP2010181118A (ja) 蒸気発生プラントの水処理方法
KR20220148181A (ko)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KR100689569B1 (ko) 가압경수로의 증기발생기를 세척하는 방법
KR20220150293A (ko) 보일러에 있어서의 증발관의 부식 피로의 억제 방법
US20080163832A1 (en) Boiler Apparatus
JP4110768B2 (ja) ボイラ用水処理剤
JP2013194256A (ja) 防食方法
TWI833990B (zh) 鍋爐中的蒸發管的腐蝕疲勞的抑制方法
JP5900064B2 (ja) エコノマイザを有するボイラの水処理方法
TWI836139B (zh) 鍋爐中的蒸發管的腐蝕疲勞的抑制方法
JP5691697B2 (ja) 蒸気発生設備の水処理方法
WO2024084874A1 (ja) ボイラの運転方法
JP2015174040A (ja) 蒸気発生設備の水処理方法
JP4467046B2 (ja) 金属腐食抑制剤
JP2012148206A (ja) ボイラ水のpH調整剤及びボイラの運転方法
JP2013068341A (ja) ボイラにおけるエコノマイザの防食方法
JP2007017056A (ja) 反応器の熱交換装置の腐食抑制方法
JP2003160889A (ja) 水処理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