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441A -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 Google Patents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441A
KR20220147441A KR1020210054618A KR20210054618A KR20220147441A KR 20220147441 A KR20220147441 A KR 20220147441A KR 1020210054618 A KR1020210054618 A KR 1020210054618A KR 20210054618 A KR20210054618 A KR 20210054618A KR 20220147441 A KR20220147441 A KR 20220147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freshwater fish
enzyme
extract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환
손용휘
김종철
황정규
심두보
추호진
강영미
박두현
이중현
하영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주)정옥
경상국립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주)정옥, 경상국립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5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441A/ko
Publication of KR2022014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5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8Glutam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2Gly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미노산 중 피로회복 및 정신건강에 유용한 글루타믹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이 다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 및 녹차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은, 민물어류를 끓는 물에 8 내지 12분 동안 데친 후 -80 ℃의 초저온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는 제1단계; 상기 초저온냉동고에 보관된 민물어류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쇄원료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0.01 중량부, 효소 0.03 중량부 및 증류수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녹차효소상온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45 내지 5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녹차효소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상기 녹차효소추출물을 90 내지 100℃의 항온수조(water bath)에 30분 동안 담가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는 제5단계; 상기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녹차효소추출물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MANUFACTURING METHOD FOR MIXTURE EXTRACTION OF FRESHWATER FISH AND GREEN TEA WITH AMINO ACID AND MIXTURE EXTRACTION FOR RELEASING STRESS WITH FRESHWATER FISH AND GREEN TEA}
본 발명은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미노산 중 피로회복 및 정신건강에 유용한 글루타믹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이 다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 및 녹차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사회 및 기술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 국민의 10% 이상이 우울감을 경험하고 70% 이상이 스트레스를 느끼며 생활하는 등 정신적 스트레스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스트레스에 의한 국내 생산성 감소비용이 연간 4.9조원 이상에 달하며, 더불어 스트레스 관리 산업 국내 시장 규모는 2010년에 이미 연간 1조원 이상을 넘어섰다.
스트레스란 외적 혹은 내적 요구가 유기체의 능력 범위를 넘어설 때 발생하는 적응 과정으로써 제거해야할 대상이 아닌 항상성 조절 대상이며, 원인이 다양하고 화학요법을 통한 증상의 임시 제거 방법은 또 다른 생리적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식문화 개념에서의 새로운 극복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의 과잉적인 자극과 이로 인한 생체대사의 불균형과 정동장애를 유발하여 생체이상 또는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된다.
한편, 민물어류의 경우 75% 이상이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단백질이 17~18%로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민물어류 중 단백질 함량이 높고 그 중에서도 피로회복 및 정신건강에 유용한 글루타믹 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을 다량 함유할 수 있는 민물어류를 선출하고, 민물어류에 녹차를 혼합한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4476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민물어류 중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특히 피로회복 및 정신건강에 유용한 글루타믹 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의 함량이 높은 민물어류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소를 통한 생물전환 기술이 적용되어 민물어류의 아미노산의 함량을 증가시킨 추출물 제조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민물어류와 녹차의 혼합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은,
민물어류를 끓는 물에 8 내지 12분 동안 데친 후 -80 ℃의 초저온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는 제1단계;
상기 초저온냉동고에 보관된 민물어류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쇄원료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0.01 중량부, 효소 0.03 중량부 및 증류수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녹차효소상온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45 내지 5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녹차효소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상기 녹차효소추출물을 90 내지 100℃의 항온수조(water bath)에 30분 동안 담가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는 제5단계;
상기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녹차효소추출물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민물어류 중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특히 피로회복 및 정신건강에 유용한 글루타믹 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의 함량이 높은 민물어류의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소를 통한 생물전환 기술이 적용되어 민물어류의 아미노산의 함량을 증가시킨 추출물 제조방법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민물어류와 녹차의 혼합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 및 녹차 혼합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단계(S10)에서 민물어류를 데친 후, 초저온냉동고에 보관 후 사진 및 제2단계(S20)에서 분쇄원료 제조 후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4단계(S40)에서 녹차효소추출물 제조 후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민물어류는 가물치, 붕어 및 잉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물치(Channa argus)는 등목어목 가물치과에 속하는 대형 민물고기의 일종으로 도랑과 하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물고기이다. ‘향약집성방’에는 가물치가 산모나 여성에 좋은 물고기라하여 ‘가모치’라고 적고 있다. ‘본초도경’에는 임신 중에 부종이 있을 때 효험이 있다하니 임신 중독증 초기에 손발의 부종에 사용한다. ‘본초강목’에는 가물치와 동과 그리고 파의 흰뿌리를 넣고 곰탕을 끓여 먹으면, ‘신농본초경소’에는 백추, 복령, 귤피, 생강피를 넣고 끓여 먹으면 붓기를 내린다고 한다. 가물치는 보혈 식품으로 질 좋은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고 소화도 잘 된다. 특히 칼슘이 다른 생선보다 월등히 많아 산후에 빈혈이 있고 기운이 없는 산모가 몸조리를 하기 위하여 가물치를 푹 고아서 그 즙을 짜서 먹으면 좋다. 또한,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알라닌 및 아르기닌 등 다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잉어(Cyprinus carpio)는 잉어목 잉어과로 몸은 길고 옆으로 납작하여 비늘은 크고 기왓장처럼 배열되었다. 머리는 원뿔 모양이고 주둥이는 둥글며 입수염은 2쌍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를 편하게 해주고 설사를 할 때 효과가 있다. 또한, 임신 중 태아를 안정시켜 주고 산모의 젖이 잘 나오게 한다. 각종 수종 병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다. ‘본초강목’에는 잉어는 무독하여 임신 부종 및 태반을 튼튼하게 해주는 음식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방약합편’에는 그 맛이 달아서 위장에 좋고 부기를 내리고 기를 아래로 내리게 하여 태기를 안정시키는데 으뜸이라고 한다. 잉어의 맛을 도구는 주성분은 10여종의 유리아미노산인데 glutamic acid와 glycine 및 histidine이 풍부하다.
붕어(Carassisus auratus)는 잉어목, 잉어과, 붕어속에 속하는 민물어류로 우리나라를 비록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 어종이다. ‘본초강목’에는 “여러생선이 모두 화(火)에 속하지만, 오직 붕어는 토(土)에 속하기 때문에 비위를 고르게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한다”라고 적혀 있다. ‘동의보감’에는 위를 다스리고 오장을 이롭게 하여 속을 조절하고 기운이 떨어지는 것을 막으며 설사를 멈추게 할 뿐 아니라, 붕어의 알은 간의 기력을 더해준다고 한다. ‘임원십육지’에는 기운을 돋게하고 보양의 효능이 있으며, 허약함을 보하고 기운을 증강시키며, 내장을 조절하여 소화기능을 증진시키며, 양기를 증강시킨다고 한다. 유리아미노산 중 히스티딘과 타우린 함량이 많으며, 정미성분 중 inosine mono phosphate (IMP)가 많고, 무기질 중 칼슘, 철분, 인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후조리로 많이 이용되는 가물치, 잉어 및 붕어 포함한 각종 민물어류를 국립수산과학원의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성분을 비교해본 결과 단백질 함량이 가물치, 붕어, 잉어 및 쏘가리 순으로 높아 4종류의 민물어류에 대한 글리신(Glycine) 및 글루타믹에시드(Glutamic acid) 함량 데이터를 분석 비교하였다.
한편, 녹차는 최근 건강음료 시품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세계 10대 건강식품 중에 하나이다. 세계 음료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녹차는 현재 각 국에서 널리 음용되고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과 웰빙 문화의 영향으로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녹차는 다당류,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E 등과 같은 다양한 유용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녹차의 고유성분들에 의한 여러 가지 약리효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카테킨류의 효과에 의한 보고가 많다. 녹차의 카테킨 함량은 차의 품종, 생육시기, 채엽 부위, 피복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지나 차엽 중에 10~18% 정도 함유되어 있다. 카테킨류에 의한 항산화, 혈압강화, 암 발생 억제, HIV역전사효소 억제, 콜레스테롤 재흡수 억제, 혈당강화, 항균, 충치예방 및 구취제거 작용 등의 여러 가지 약리적 효능이 계속적으로 밝혀짐에 따라 새로운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카테킨 성분 중 하나인 EGCG (Epigalocatechingalate)는 다른 성분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비타민 C보다는 20배, 비타민 E보다는 30배 강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일반 화장품의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인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을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래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제1단계(S10)는 민물어류를 끓는 물에 8 내지 12분 동안 데친 후 -80 ℃의 초저온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다.
상기 민물어류를 8 분 미만으로 데치는 경우 상기 초저온냉동고에서 보관 시 상기 민물어류의 육질이 부스러질 수 있고, 12분을 초과하여 데치는 경우 아래 단계에서 추출 후 아미노산 함량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80 ℃ 미만의 온도에서 보관하거나 24시간 미만으로 보관하는 경우 조건에 따른 효율이 차이가 없고, -80 ℃를 초과하여 보관하거나 24시간을 초과하여 보관하는 경우 아래 단계에서 분쇄가 어려우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단계(S20)는 상기 초저온냉동고에 보관된 민물어류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쇄원료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3단계(S30)는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0.01 중량부, 효소 0.03 중량부 및 증류수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녹차효소상온혼합물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는 Alcalese 2.4L. Favourzyme 500MG 및 Neutrase 0.8L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lcalese 2.4L. Favourzyme 500MG 및 Neutrase 0.8L는 동량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녹차 0.0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낮아지고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녹차 0.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아미노산 함량이 낮아져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효소 0.03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 추출 수율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효소 0.0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추출 수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증류수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 추출물의 아미노산 함량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증류수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추출 수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4단계(S40)는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45 내지 5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녹차효소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4단계(S40)에서 추출 시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100 내지 120rpm으로 추출하여 녹차효소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45 ℃ 미만에서 수행하거나 6 시간 미만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추출 된 녹차효소추출물의 수율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55 ℃ 초과하거나 6 시간을 초과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추출 된 녹차효소추출물의 아미노한 함량이 나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5단계(S50)는 상기 녹차효소추출물을 90 내지 100℃의 항온수조(water bath)에 30분 동안 담가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다.
상기 제5단계(S50)에서 9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하거나 30분 미만으로 수행하는 경우 효소 불활성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0℃를 초과한 온도에서 수행하거나 30분을 초과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녹차효소추출물이 변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6단계(S60)는 상기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녹차효소추출물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한 후 4℃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는 본 발명인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실험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1. 실험 재료
본 발명에서 사용된 민물어류(가물치, 잉어, 붕어)는 ㈜정옥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민물어류를 끓는 물에 10분간 데치기를 거친 후 초저온냉동고(SANYO MDF-U53V Stand, -80℃)에서 24시간 보관 후 동결건조(FD 8518)를 실시하고 분쇄(Foss 1093)하여 가물치, 잉어 및 붕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 제1실시예 : 상온 추출물(Room temperature extract, RE)은 시료 50 g에 10배수의 용매(증류수)를 첨가하였다.
· 제2실시예 : 녹차 상온 추출물은(Green tea Room temperature extract, GRE) 시료 50 g에 가루녹차 0.5 g(원료 대비 1%)을 넣고 10배수의 용매(증류수)를 첨가하였다.
· 제3실시예 : 효소 상온 추출물은(Enzyme Room temperature extract, ERE) 시료 50 g에 효소 3종(Alcalese 2.4L. Favourzyme 500MG, Neutrase 0.8L)을 각 0.5 g(원료대비 1%)을 넣고 10배수의 용매(증류수)를 첨가하였다.
· 제4실시예 : 녹차 효소 상온 추출물은(Green tea Enzyme Room temperature extract, GERE)는 시료 50 g에 녹차 0.5 g, 효소 3종(Alcalese 2.4L. Favourzyme 500MG, Neutrase 0.8L)을 각 0.5 g을 넣고 10배수의 용매(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이들 추출물은 shaking incubator(IS-971R, JS Research Ich, Gongju-si, Korea)에서 110 rpm, 50℃에서 6시간 추출하고, 효소 상온 추출물(ERE)과 녹차 효소 상온 추출물(GERE)은 95℃ Water bath(JSEB-60T, JS Research Ich, Gongju-si, Korea)에 담근 후 30분 동안 효소 불활성화를 시켰다. 이후 모든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한 후 4℃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1) 아미노산 함량
시료 0.3 g에 증류수 10 mL을 첨가하여 Shaking Incubator(Shaking Incubator SI-600R, Lab. Companion, Jeio Tech, Korea)에 넣고 200 rpm으로 24시간동안 방치하였다. 10%의 5-Sulfosalicylic acid dihydrate 1 mL를 첨가한 후 4 ℃ 냉장고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켰다. 4,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40 ℃ 이하에서 감압농축기(Rotary evporator, EYELA N-1100V-W, JAPAN)를 이용하여 농축 시킨 후 sample dilution buffer를 5 mL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0.45 Membrance filter로 여과하여 120 uL를 아미노산분석기(Sykam S7130 Aminoacid reagent organiger, Germany)로 분석하였고, UV/VIS detector 400 nm(1.00 AU)와 570 nm(1.00 AU)로 검출하였다.
2)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분석
민물어류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분석은 증류수 9 mL에 민물어류 시료 용액 1 mL를 넣고 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 1 mL를 첨가 및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7% 탄산나트륨(Na2CO3)용액 10 mL를 반응용액에 넣고, 이를 다시 혼합한 후 4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암반응시킨 후 흡광도(760 nm)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는 gallic acid (Sigma-Aldrich Co.)를 이용하여 시료와 같은 방법으로 작성된 검량선으로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계산하였고, 이를 gallic acid equivalents (mg GAE/g extract)로 나타냈다.
3) ABTS 및 DPPH 라디칼을 이용한 소거 활성 측정
2.5 mM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와 150 mM 염화나트륨(NaCl)이 포함된 100 mM 인산 완충액(pH 7.4)에 혼합한 후 70 ℃ water bath에서 30분 동안 반응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냉각하였다. 이를 PFFL 0.45 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4 ℃에서 24 시간 동안 냉장보관 후 사용하였다. ABTS 라디칼 용액은 증류수로 희석하여 흡광도(734 nm) 값이 0.70 ± 0.02가 나오도록 조절하였다. 시료용액 20 μL에 흡광도 값이 조정된 ABTS 라디칼 용액 980 μL 혼합하여 37 ℃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반응용액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은 80% 메탄올에 용해한 0.1 mM DPPH를 517 nm에서 흡광도 값이 1.00 ± 0.02가 나오도록 80% 메탄올에 희석해 사용하였다. 시료용액 0.05 mL에 흡광도 값을 맞춘 DPPH 용액 1.4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미량원소 및 중금속 분석
미량원소 분석(식품의 기준 및 규격(고시번호 제2020-114호, 고시일 2020-11-26))은 아래 표 1에 따라 수행되었다.
품질지표 실험방법
미량
원소
칼슘(Ca) 제8. 일반시험법 2. 식품성분시험법 2.2. 미량영양성분시험법 2.2.1. 무기질 2.2.1.2.칼슘
철(Fe) 제8. 일반시험법 2. 식품성분시험법 2.2. 미량영양성분시험법 2.2.1. 무기질 2.2.1.4.철
나트륨(Na) 제8. 일반시험법 2. 식품성분시험법 2.2. 미량영양성분시험법 2.2.1. 무기질 2.2.1.6.나트륨
칼륨(K) 제8. 일반시험법 2. 식품성분시험법 2.2. 미량영양성분시험법 2.2.1. 무기질 2.2.1.7.칼륨
아연(Zn) 제8. 일반시험법 2. 식품성분시험법 2.2. 미량영양성분시험법 2.2.1. 무기질 2.2.1.8.아연
마그네슘(Mg) 제8. 일반시험법 2. 식품성분시험법 2.2. 미량영양성분시험법 2.2.1. 무기질 2.2.1.15.마그네슘
중금속(식품의 기준 및 규격(고시번호 제2020-114호, 고시일 2020-11-26))은 아래 표 2에 따라 수행되었다.
품질지표 실험방법
중금속 납(Pb) 제9. 식품 중 유해물질 시험법 1.중금속 1.2.납
카드뮴(Cd) 제9. 식품 중 유해물질 시험법 1.중금속 1.3.카드뮴
비소(As) 제9. 식품 중 유해물질 시험법 1.중금속 1.4.비소
3. 결과
1) 동결 건조 후 수율
가물치, 잉어 및 붕어를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6단계(S60)을 수행 한 후 추출 시 무게 및 동결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고 수율을 확인하였다.
분류 시료명 추출시 무게(g) 동결건조후 무게(g) 수율(%)
가물치 제1실시예 50.3201 17.7 35.2
제2실시예 50.2792 17.0 33.8
제3실시예 50.1327 30.5 60.8
제4실시예 50.0893 36.5 72.9
잉어 제1실시예 50.3633 17.9 35.5
제2실시예 50.0378 17.6 35.2
제3실시예 50.3033 41.0 81.5
제4실시예 50.4420 40.2 79.7
붕어 제1실시예 50.2318 15.1 30.1
제2실시예 50.3104 13.37 26.6
제3실시예 50.2517 35.9 71.4
제4실시예 50.0111 33.4 66.8
2) 가물치의 유리마노산 분석 결과
가물치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후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글루타믹 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의 함량 및 전체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하였다.
Name
(단 위 : mg/100g 건중량)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phospho-L-serine 24.73 15.98 95.09 88.41
Taurine 3579.64 1946.70 1507.41 1543.02
phosphoethanolamine - - - -
Urea - - -
L-Aspartic acid 51.57 35.63 29.01 252.25
L-Threonine 159.45 91.32 464.82 514.41
L-Serine 132.05 65.73 108.69 418.82
Asparagine - - - 617.47
L-Glutamic acid 200.51 95.50 - 407.82
Theanine - - - -
a-Aminoadipic acid - - 219.35 737.36
Glycine 817.17 476.63 442.23 465.88
L-Alanine 969.44 277.77 514.94 650.38
Citruline - - - -
a-aminobutyric acid - - 106.71 -
Valine 96.11 46.66 802.41 872.17
Cystine - - 324.99 -
Methionine 48.00 - 805.84 912.03
L-Isoleucine 71.44 38.47 1168.40 1001.45
L-Leucine 113.53 62.54 2704.65 2506.04
L-Tyrosine 116.27 - 428.41 520.30
Phenylalanine - 48.15 - 2527.05
b-alanine - - 2456.71 -
b-Aminoisobutyric Acid - - 683.50 748.95
r-Aminobutyric Acid 23.10 17.61 212.06 245.03
Histidine 248.73 130.82 305.65 373.09
1-Methyl-histidine - - 44.25 -
3-Methyl-histidine 68.17 34.14 42.84 52.35
Carnosine - - 253.82 264.30
Tryptophan - - 78.57 78.07
Ornithine - - 294.21 317.56
Lysine 201.87 118.77 1405.06 1512.25
Ammomonia - - - -
Arginine 99.64 80.05 1059.27 1375.81
Hydroxyproline 72.03 59.08 24.94 56.49
Proline 117.43 45.50 95.46 211.13
total 7,210.88 3,687.05 16,679.29 19,269.89
3) 잉어의 유리마노산 분석 결과
잉어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후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글루타믹 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의 함량 및 전체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하였다.
Name
(단 위 : mg/100g 건중량)
잉어1 잉어2 잉어3 잉어4
phospho-L-serine 22.89 22.32 72.64 78.19
Taurine 1077.93 950.81 377.61 416.18
phosphoethanolamine 28.60 27.47 - -
Urea - - - -
L-Aspartic acid 64.45 - 250.28 163.38
L-Threonine 159.29 118.38 685.98 495.45
L-Serine 174.63 - 578.69 393.64
Asparagine - - 1019.05 669.92
L-Glutamic acid 311.62 - 517.83 384.85
Theanine - - - -
a-Aminoadipic acid - - 261.59 247.07
Glycine 574.74 395.20 293.08 255.64
L-Alanine 445.99 326.85 781.10 546.44
Citruline - - - -
a-aminobutyric acid - - 109.78 -
Valine 172.38 117.73 1306.20 920.60
Cystine - - 328.73 316.48
Methionine 115.96 105.31 1146.02 838.58
L-Isoleucine 130.02 91.42 1126.54 1481.93
L-Leucine 243.37 164.79 3433.90 3354.54
L-Tyrosine 117.48 - 508.89 342.36
Phenylalanine 154.03 98.99 2369.17 2218.26
b-alanine - - - --
b-Aminoisobutyric Acid - - 489.94 567.30
r-Aminobutyric Acid 35.46 41.50 848.31 958.26
Histidine 2061.64 1884.34 1058.47 1056.52
1-Methyl-histidine - - - 28.76
3-Methyl-histidine - - - -
Carnosine - - 274.29 316.19
Tryptophan - - 115.84 97.25
Ornithine - - 147.32 186.85
Lysine 404.96 446.39 1929.95 1476.60
Ammomonia - - - -
Arginine 177.56 136.42 1393.04 1116.41
Hydroxyproline 8.82 4.90 2.00 3.48
Proline 118.84 27.96 267.68 669.80
total 6,600.66 4,960.78 21,693.92 19,600.93
4) 붕어의 유리마노산 분석 결과
붕어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후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글루타믹 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의 함량 및 전체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하였다.
Name
(단 위 : mg/100g 건중량)
붕어1 붕어2 붕어3 붕어4
phospho-L-serine 31.33 96.38 103.07 121.74
Taurine 1554.01 2088.57 601.18 703.00
phosphoethanolamine - - - -
Urea - - - -
L-Aspartic acid 158.50 248.34 468.29 464.26
L-Threonine 180.15 248.37 1012.97 1027.52
L-Serine 222.58 314.71 849.33 904.78
Asparagine - 133.00 1289.02 1361.60
L-Glutamic acid 302.00 462.41 918.38 909.48
Theanine - - - -
a-Aminoadipic acid - - 306.88 324.02
Glycine 648.36 899.45 418.29 478.56
L-Alanine 398.75 561.62 1137.38 1112.44
Citruline - - - -
a-aminobutyric acid - - 114.62 147.34
Valine 203.68 281.93 1736.03 1836.90
Cystine - - - -
Methionine 32.29 77.68 1121.20 1372.21
L-Isoleucine 167.90 244.13 2174.24 2158.69
L-Leucine 237.90 350.08 4649.88 5131.91
L-Tyrosine 129.47 154.39 729.66 733.81
Phenylalanine 110.64 206.45 2635.22 2637.43
b-alanine - - - -
b-Aminoisobutyric Acid - - 457.58 419.09
r-Aminobutyric Acid 81.69 113.44 13.58 18.03
Histidine 681.76 952.78 750.90 746.84
1-Methyl-histidine - - 103.15 117.82
3-Methyl-histidine - - - -
Carnosine - - 193.56 179.62
Tryptophan - - 141.03 160.92
Ornithine - - 177.56 147.44
Lysine 552.19 746.44 2432.79 2399.40
Ammomonia - - - -
Arginine 152.44 249.78 1596.95 1716.99
Hydroxyproline 1.91 1.95 11.01 9.42
Proline 157.84 221.43 314.47 329.67
total 6,005.39 8,653.33 26,458.22 27,670.93
5) 항산화 분석 결과(폴리페놀)
가물치, 잉어 및 붕어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후 폴리페놀에 대한 항산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 Name 폴리페놀
(10,000ppm)
( mg GAE / g )
폴리페놀
(5,000ppm)
( mg GAE / g )
폴리페놀
(2,500ppm)
( mg GAE / g )
가물치 제1실시예 70.630 ± 2.206 35.850 ± 1.193 7.011 ± 0.331
제2실시예 83.521 ± 7.920 39.824 ± 0.659 10.189 ± 0.758
제3실시예 188.681 ± ..701 92.321 ± 1.426 49.799 ± 0.499
제4실시예 205.923 ± 2.746 111.060 ± 1.618 54.649 ± 0.509
잉어 제1실시예 62.611 ± 1.033 36.559 ± 0.824 16.137 ± 0.102
제2실시예 62.372 ± 0.862 30.026 ± 0.627 10.193 ± 0.877
제3실시예 195.228 ± 3.775 102.704 ± 0.974 51.943 ± 0.410
제4실시예 199.432 ± 2.698 104.201 ± 1.007 53.484 ± 1.081
붕어 제1실시예 107.611 ± 3.640 52.262 ± 1.176 17.962 ± 0.472
제2실시예 122.612 ± 1.602 61.738 ± 0.706 21.017 ± 0.555
제3실시예 206.239 ± 3.601 106.616 ± 1.074 53.303 ± 0.286
제4실시예 218.585 ± 3.167 114.971 ± 0.565 57.954 ± 0.713
6) 항산화 분석 결과(DPPH)
가물치, 잉어 및 붕어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후 DPPH에 대한 항산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 Name DPPH
(10,000ppm)
( % )
DPPH
(5,000ppm)
( % )
DPPH
(2,500ppm)
( % )
Vit C 250 ppm 75.133
가물치 제1실시예 10.642 ± 3.228 4.084 ± 1.594 5.573 ± 0.633
제2실시예 12.779 ± 6.513 6.326 ± 0.518 5.285 ± 0.633
제3실시예 8.407 ± 2.444 6.153 ± 0.577 3.058 ± 0.648
제4실시예 8.841 ± 0.490 7.071 ± 1.044 5.040 ± 3.588
잉어 제1실시예 6.688 ± 5.588 3.623 ± 3.464 0.396 ± 1.160
제2실시예 5.811 ± 4.937 5.220 ± 3.173 2.723 ± 0.202
제3실시예 8.688 ± 0.178 8.047 ± 1.482 2.861 ± 0.900
제4실시예 8.595 ± 0.412 8.803 ± 1.044 2.912 ± 0.558
붕어 제1실시예 3.607 ± 4.869 3.337 ± 5.098 2.091 ± 1.107
제2실시예 1.519 ± 3.899 5.879 ± 7.333 1.348 ± 0.454
제3실시예 8.247 ± 0.947 7.804 ± 0.474 2.584 ± 2.799
제4실시예 9.076 ± 4.094 8.140 ± 1.065 3.656 ± 1.195
7) 항산화 분석 결과(ABTS)
가물치, 잉어 및 붕어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후 ABTS에 대한 항산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 Name DPPH
(10,000ppm)
( % )
DPPH
(5,000ppm)
( % )
DPPH
(2,500ppm)
( % )
Vit C 250 ppm 78.472
가물치 제1실시예 55.402 ± 1.798 33.728 ± 1.615 16.674 ± 2.530
제2실시예 59.568 ± 1.468 38.984 ± 2.425 18.191 ± 1.887
제3실시예 92.812 ± 0.151 85.076 ± 0.067 63.002 ± 0.762
제4실시예 93.645 ± 0.194 85.475 ± 0.394 71.190 ± 0.710
잉어 제1실시예 60.210 ± 1.476 36.625 ± 0.084 22.563 ± 1.987
제2실시예 58.476 ± 1.645 64.536 ± 0.904 22.277 ± 1.701
제3실시예 93.429 ± 0.170 87.169 ± 0.128 64.646 ± 0.509
제4실시예 92.886 ± 0.173 86.872 ± 0.135 68.744 ± 0.436
붕어 제1실시예 59.304 ± 1.593 39.231 ± 1.536 35.005 ± 1.870
제2실시예 65.971 ± 1.501 45.244 ± 1.495 20.603 ± 1.294
제3실시예 93.295 ± 0.186 86.535 ± 0.080 81.983 ± 0.112
제4실시예 93.914 ± 0.123 87.860 ± 0.125 74.000 ± 0.891
8)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분석
분류 Samples
(단위 : mg/kg)
Pb(납)
(mg/kg)
Cd(카드뮴)
(mg/kg)
As(비소)
(mg/kg)
가물치 제1실시예 0 0 0
제2실시예 0 0 0
제3실시예 0 0 0
제4실시예 0 0 0
잉어 제1실시예 0 0 0
제2실시예 0 0 0
제3실시예 0 0 0
제4실시예 0 0 0
붕어 제1실시예 0 0 0
제2실시예 0 0 0
제3실시예 0 0 0
제4실시예 0 0 0
9) 미량원소 (나트륨, 칼슘, 철, 칼륨, 마그네슘, 아연) 분석
분류 Samples
(단위 : mg/kg)
Na(나트륨)
(mg/kg)
Ca(칼슘)
(mg/kg)
Fe(철)
(mg/kg)
K(칼륨)
(mg/kg)
Mg(마그네슘)
(mg/kg)
Zn(아연)
(mg/kg)
가물치 제1실시예 4,499 983.4 0 40,770 1,616 1.701
제2실시예 4,719 1,099 0 42,910 1,826 4.049
제3실시예 10,020 575.0 0 15,560 962.6 7.583
제4실시예 8,676 580.3 0 16,300 995.2 8.009
잉어 제1실시예 7,009 892.9 7.314 48,450 2,082 9.740
제2실시예 6,364 912.7 5.215 46,010 2,003 16.13
제3실시예 9,903 557.9 8.432 16,120 1,054 21.02
제4실시예 9,918 536.0 0 17,100 1,109 22.08
붕어 제1실시예 6,146 1,918 0 29,210 1,830 8.020
제2실시예 5,888 1,764 0 27,690 1,813 10.22
제3실시예 14,180 1,653 4.441 12,420 1,095 10.92
제4실시예 13,900 1,639 0 12,100 1,154 9.608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민물어류 중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특히 피로회복 및 정신건강에 유용한 글루타믹 에시드(L-glutamic acid) 및 글리신(Glycine)의 함량이 높은 민물어류의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소를 통한 생물전환 기술이 적용되어 민물어류의 아미노산의 함량을 증가시킨 추출물 제조방법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민물어류와 녹차의 혼합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 및 녹차 혼합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민물어류를 끓는 물에 8 내지 12분 동안 데친 후 -80 ℃의 초저온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는 제1단계
S20. 상기 초저온냉동고에 보관된 민물어류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쇄원료를 제조하는 제2단계
S30.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0.01 중량부, 효소 0.03 중량부 및 증류수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녹차효소상온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S40.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45 내지 5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녹차효소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S50. 상기 녹차효소추출물을 90 내지 100℃의 항온수조(water bath)에 30분 동안 담가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는 제5단계
S60. 상기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녹차효소추출물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는 제6단계

Claims (5)

  1. 민물어류를 끓는 물에 8 내지 12분 동안 데친 후 -80 ℃의 초저온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는 제1단계;
    상기 초저온냉동고에 보관된 민물어류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쇄원료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분쇄원료 1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0.01 중량부, 효소 0.03 중량부 및 증류수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녹차효소상온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45 내지 5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녹차효소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상기 녹차효소추출물을 90 내지 100℃의 항온수조(water bath)에 30분 동안 담가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는 제5단계;
    상기 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녹차효소추출물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민물어류는 가물치, 잉어 및 붕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Alcalese 2.4L. Favourzyme 500MG 및 Neutrase 0.8L이며,
    상기 Alcalese 2.4L. Favourzyme 500MG 및 Neutrase 0.8L는 동량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추출 시,
    상기 녹차효소혼합물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100 내지 120rpm으로 추출하여 녹차효소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기능성 식품.
KR1020210054618A 2021-04-27 2021-04-27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KR20220147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18A KR20220147441A (ko) 2021-04-27 2021-04-27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18A KR20220147441A (ko) 2021-04-27 2021-04-27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41A true KR20220147441A (ko) 2022-11-03

Family

ID=8404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18A KR20220147441A (ko) 2021-04-27 2021-04-27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74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766A (ko) 2020-04-21 2020-04-29 한국식품연구원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766A (ko) 2020-04-21 2020-04-29 한국식품연구원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4518B (zh) 一种油桃天然保鲜剂及应用
CN105685316B (zh) 一种藤茶菊花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Nwaoguikpe et al. Phytochemical and biochemical compositions of African walnut (Tetracarpidium conophorum)
KR101793933B1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892B1 (ko) 황금된장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황금된장
CN109123461A (zh) 一种低盐肉制品及其加工方法
KR101347912B1 (ko) 전복과 김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소스의 제조 방법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7441A (ko)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된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용 민물어류와 녹차 혼합 추출물
Lee et al.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ipa palm (Nypa fruticans Wurmb) Flower stalk
KR101322279B1 (ko)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72794B1 (ko) 다슬기 효소 분해물 및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고령친화 다슬기 녹차 겔 제조 방법
C Innocent-Ukachi et al. Quality evaluation of tea brewed from blends of soursop (Annona muricata) and moringa (Moringa oleifera) leaves
KR101648211B1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CN113243477A (zh) 用于防止饮料褐变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216599B1 (ko)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녹차추출물 함유 다슬기 추출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슬기 추출 분말
KR101314055B1 (ko) 헛개나무를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CN111264625A (zh) 具有抗氧化功效的湖北海棠叶豆浆饮料及其制备方法
Tzanakis et al. 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quince, pomegranate, bitter orange and almond-leaved pear methanolic extracts
KR102240426B1 (ko)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다슬기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슬기 추출물
KR100775639B1 (ko) 국화 추출물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및 그 된장
KR20160039724A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고추장
KR100541065B1 (ko) 밤 속껍질을 원료로 한 음료
KR102294393B1 (ko) 항산화 효능이 있고, 기호성이 향상된 식물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Piayura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loe vera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