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875A - 무광택 pe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 Google Patents

무광택 pe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875A
KR20220145875A KR1020227033032A KR20227033032A KR20220145875A KR 20220145875 A KR20220145875 A KR 20220145875A KR 1020227033032 A KR1020227033032 A KR 1020227033032A KR 20227033032 A KR20227033032 A KR 20227033032A KR 20220145875 A KR20220145875 A KR 2022014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e
layer
resin
parts
master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 리
씨안보 후앙
난뱌오 예
리 리
빈 왕
핑쑤 천
Original Assignee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1Thermoplastic elastome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5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1/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첨가하고 테이프 캐스팅의 기술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 표면이 균일하고 미세해지도록 하며 우수한 무광택 성능 및 열밀봉 성능을 갖는 무광택 PE 재료를 제공한다. 무광택층의 단층 매트 값(matte value)이 80 % 이상에 도달할 수 있고, 열밀봉 온도가 120~135 ℃이며, 열밀봉 강도가 높아 기존의 포장재 관련 표준 규격 성능을 만족시키며, 플라스틱 필름 연포장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광택 PE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본 발명은 연포장 재료(flexible packaging materials)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광택(matting) PE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에 관한 것이다.
포장 품질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무광택 폴리에틸렌(PE) 재료가 점점 더 주목을 받고 있다. 무광택 필름은 저광택 및 난반사 무광택 효과가 있는 포장용 필름이다. 무광택 PE 필름은 시각적 표현 효과가 우수하여 제품 포장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고, PP, PET 및 NY 등과 같은 일반적인 무광택 필름 재료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특징이 있으며, 응용 전망이 좋다. 일반적인 PE 가공 및 성형 공정에는 인플레이션법, 주조법, 이축 연신법이 있으며, 그 중 주조법은 용융 주조와 ?칭을 통해 무연신, 무배향 플랫 필름(flat film)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인플레이션법에 비해 빠른 생산 속도, 높은 생산량 및 균일한 두께가 특징이다.
상품이 포장, 운송, 저장 및 소비 과정에서 일정한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장하고 상품이 깨지거나 누출되지 않도록 보장하며 상품을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밀봉 부위가 충분한 강도와 밀봉 성능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포장재의 열밀봉 성능을 일정하게 요구하고 있다. 열밀봉 강도는 포장재의 다양한 종합적인 물리적 및 기계적 성능을 반영하며 포장재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열밀봉 강도가 높을수록 밀봉이 단단하고, 운송 및 보관 과정에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보존성이 우수하다.
시장에 나와 있는 기존의 무광택 PE 제품은 주로 Borealis(Borouge)의 블로운 필름 등급 바이모달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품의 블로운 필름 성형, 단일한 원재료 및 제품, 낮은 생산 효율성으로 시장 독점을 형성하였다. 주조 무광택 PE 포장재와 관련된 제품 및 기술은 현재 시장에서 매우 드물며 우수한 열밀봉 성능, 무광택 및 필름 표면의 균일성 및 미세도를 고려할 수 있는 제품이 없다.
중국 특허 CN107351474A는 일축 연신 및 고속 인쇄용 무광택 PE 필름 및 이의 생산 공정을 개시하였는 바, 무광택 PE 필름은 코로나층, 중간층 및 열밀봉층을 포함하며 모두 블로운 필름 등급 바이모달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FB2230 및 FB1520을 사용하고, 단층 무광택이 제한되어 다층 공압출이 필요하며, 원재료가 제한되고, 재료 비용이 높으며, 제품이 단일하다.
중국 특허 CN110305402A는 열밀봉층, 중간층 및 코로나층을 포함하는 무광택 주조 PE 필름 및 이의 생산 공정을 개시하였는 바, 주로 열밀봉층에 주조 PE 전용 무광택 마스터배치(등급: MF5050E)를 사용하는 동시에 비호환성 PP와 PE에 의해 형성된 블렌드 결정화 시스템을 통해 무광택 작용을 일으키고, 상기 무광택 PE 필름은 그라비아 및 플렉소 고속 인쇄에 적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갖지만, 헤이즈가 65 % 미만으로 이상적인 무광택 효과에 도달할 수 없으며, 그 제조에는 특정 원료의 사용이 필요하여 원료가 제한적이다.
중국 특허 CN108314818A는 무광택 주조 PE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였는 바, 제조된 주조 PE 필름은 내층, 중층, 외층의 3층 구조로, 각 층에 일정 비율의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우수한 무광택성을 갖는 동시에 우수한 인장강도, 내천공성 및 난연성을 갖도록 하지만, 열밀봉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표면이 균일하고 미세하며, 우수한 무광택 성능과 열밀봉 성능을 동시에 갖는 무광택 PE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무광택 PE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구현된다.
무광택 PE 재료는 무광택층, 기재층 및 코로나층을 포함하되,
상기 무광택층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25~75부의 PP 수지, 30~70부의 HDPE 수지, 4~34부의 상용화제 및 0~5부의 보조제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화제는 중량 백분율을 기준으로 80~100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0~20 %의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상용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95~100부의 LLDPE 수지 및 0~5부의 보조제를 포함하고;
상기 코로나층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30~70부의 LLDPE 수지, 30~70부의 LDPE 수지 및 0~5부의 보조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광택 PE 재료의 두께는 48~52 μm이고, 상기 무광택층:기재층:코로나층의 두께 비율은 1~2:2~3:1~2이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고무(EPDM),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비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블록 비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OBC) 및 프로필렌계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Vistamaxx)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상용화제는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말레산 무수물(PE-g-MA) 및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말레산 무수물(PP-g-MA)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용화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중량 백분율은 80~90 %이고, 상용화제에서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상용화제의 중량 백분율은 10~20 %이다.
PP 수지는 단일중합 PP 및 공중합 PP를 포함하고; 공중합 PP는 2원 랜덤 공중합 PP 및 3원 랜덤 공중합 PP를 포함하며, 상기 공중합 PP의 용융 지수(MFI)는 230 ℃ 및 2.16 kg에서 6~11 g/10min이고, 열밀봉 온도는 114~165 ℃이며; 바람직하게는, 용융 지수(MFI)는 230 ℃ 및 2.16 kg에서 8~10 g/10min이고, 열밀봉 온도는 116~125 ℃이다.
HDPE 수지는 고점도 압출 등급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용융 지수(MFI)는 190 ℃ 및 2.16 kg에서 0.01~2 g/10min이며, 수평균 분자량은 25000~60000이고, 분자량 분포는 3~6이며; 바람직하게는, 용융 지수(MFI)는 190 ℃ 및 2.16 kg에서 0.05~1 g/10min이고, 수평균 분자량은 35000~50000이며, 분자량 분포는 4~5이다.
본 발명은 각 층의 가공 조건 및 수요에 따라 보조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보조제는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슬립제를 포함하며; 첨가량은 0~5부이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장애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인산염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고; 대전방지제는 4차 암모늄염계 대전방지제를 포함하고; 슬립제는 에루카미드 슬립제, 올레오아미드 슬립제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제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LLDPE 수지 및 LDPE 수지의 용융 지수(MFI)는 190 ℃ 및 2.16 kg에서 1.0~3.0 g/10min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광택 PE 재료의 제조 방법은,
배합비에 따라 HDPE 수지와 상용화제를 블렌딩하여 블렌드 1을 얻고, PP 수지와 보조제를 블렌딩하여 블렌드 2를 얻으며, 블렌드 1과 블렌드 2를 다시 블렌딩하여 블렌더에 넣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무광택층 마스터배치를 얻는 무광택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단계 (1);
배합비에 따라 LLDPE 수지와 보조제를 블렌딩하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기재층 마스터배치를 얻는 기재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단계 (2);
배합비에 따라 LLDPE 수지, LDPE 수지 및 보조제를 고속 믹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코로나층 마스터배치를 얻는 코로나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단계 (3); 및
펠레타이징하여 얻은 상기 무광택층 마스터배치, 기재층 마스터배치, 코로나층 마스터배치를 주조기의 무광택층 배럴, 기재층 배럴, 코로나층 배럴에 각각 넣은 다음, 설정된 유량 측정에 따라 분배기에 의해 분배하며, 무광택층 마스터배치를 기재층 마스터배치 및 코로나층 마스터배치와 함께 3개의 압출기의 공급구로 흡입시키고, 압출, 냉각, 두께 측정, 코로나 및 견인 와인딩 시스템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설정된 공정에서 무광택 PE 필름 재료로 주조 및 공압출하는 단계 (4)를 포함한다.
단계 (4)에서 상기 압출기는 단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고, 압출기의 스크류의 길이와 직경 비율은 29~36이며; 주조 및 공압출의 온도는 150~24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광택 PE 재료는 플라스틱 필름 연포장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은 3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첨가하여 필름 표면의 균일성, 무광택 성능 및 열밀봉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제조된 무광택 PE 필름 재료는 필름 표면이 균일하고 미세하며, 우수한 무광택 성능 및 열밀봉 성능을 갖는다.
(2) 본 발명의 무광택층의 단층 매트 값(matte value)이 80 % 이상에 도달할 수 있어 비용이 더 적절하고, 열밀봉 온도가 120~135 ℃이고 열밀봉 강도가 높아 기존의 포장재 관련 표준 규격을 만족시키며, 원재료를 구하기 싶고 재료 선택의 범위가 넓어 업계에서 Borealis의 FB2230 및 FB1520 수지의 독점을 깰 수 있다.
(3) 본 발명은 무광택 PE 포장재의 테이프 캐스팅의 기술적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무광택 PE 재료 분야의 공백을 채우고, 기술 지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후 제품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여 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무광택 PE 필름 재료의 필름 표면의 SEM 이미지이다.
도 2은 비교예 1에 따른 무광택 PE 필름 재료의 필름 표면의 SEM 이미지이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와 결부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지만, 본 발명을 어떠한 형태로든 제한하지 않는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개선을 진행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원료 및 시약은 모두 시판되고 있는 것이다.
PP 수지 1: 2원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MFI(230 ℃/2.16 kg): 8.5 g/10min, 열밀봉 온도: 116 ℃
PP 수지 2: 2원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MFI(230 ℃/2.16 kg): 11 g/10min, 열밀봉 온도: 135 ℃
HDPE 수지 1: 고점도 압출 등급 고밀도 폴리에틸렌, MFI(190 ℃/2.16 kg): 0.04 g/10min, 수평균 분자량: 53820, 분자량 분포: 5.5;
HDPE 수지 2: 고점도 압출 등급 고밀도 폴리에틸렌, MFI(190 ℃/2.16 kg): 1 g/10min, 수평균 분자량: 42180, 분자량 분포: 4.5;
LLDPE 수지: MFI(190 ℃/2.16 kg): 2.0 g/10min;
LDPE 수지: MFI(190 ℃/2.16 kg): 2.0 g/10min;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비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프로필렌계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Vistamaxx);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고무(EPDM);
블록 비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OBC);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상용화제: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말레산 무수물(PE-g-MA);
복합 산화방지제: 장애 페놀 산화방지제 1010과 아인산염 산화방지제 168을 2:1로 혼합한 혼합물;
복합 보조제: 복합 산화방지제, 4차 암모늄염 대전방지제 및 에루카미드 슬립제를 3:3:4로 혼합한 혼합물;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의 무광택 PE 재료의 제조 방법: (표 1~3의 각 성분의 배합비에 따라 제조함)
(1) 무광택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배합비에 따라 HDPE 수지와 상용화제를 블렌딩하여 블렌드 1을 얻고, PP 수지와 복합 산화방지제를 블렌딩하여 블렌드 2를 얻으며, 블렌드 1과 블렌드 2를 다시 블렌딩하여 블렌더에 넣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무광택층 마스터배치를 얻고;
(2) 기재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배합비에 따라 LLDPE 수지와 복합 산화방지제를 블렌딩하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기재층 마스터배치를 얻으며;
(3) 코로나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배합비에 따라 LLDPE 수지, LDPE 수지 및 보조제를 고속 믹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코로나층 마스터배치를 얻고;
(4) 펠레타이징하여 얻은 상기 무광택층 마스터배치, 기재층 마스터배치, 코로나층 마스터배치를 주조기의 무광택층 배럴, 기재층 배럴, 코로나층 배럴에 각각 넣은 다음, 설정된 유량 측정에 따라 분배기에 의해 분배하며, 무광택층 마스터배치를 기재층 마스터배치 및 코로나층 마스터배치와 함께 3개의 압출기의 공급구로 흡입시키고, 압출, 냉각, 두께 측정, 코로나 및 견인 와인딩 시스템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설정된 공정에서 무광택 PE 필름 재료로 주조 및 공압출하였다. 제조된 무광택 PE 필름 재료의 두께는 48 μm이고, 무광택층:기재층:코로나층의 비율은 1:2:1이다. 주조 및 공압출의 설정 온도는 공급구 섹션에서 다이 헤드까지 순차적으로 150 ℃, 230 ℃, 230 ℃, 230 ℃, 230 ℃, 230 ℃, 240 ℃, 240 ℃이다.
각 성능의 테스트 방법:
헤이즈 값 테스트: 표준 ASTM D1003-13을 참조하여 플라스틱 필름 재료의 헤이즈 값을 측정하고;
열밀봉 온도 테스트: 표준 ASTM F2029-2016을 참조하여 플라스틱 필름 재료의 열밀봉 온도(2 kg, 0.8 s)를 측정하되, 샘플 크기는 100mmХ15mmХ0.4mm이며;
열밀봉 강도 테스트: 표준 YBB00122003-2015를 참조하여 플라스틱 필름 재료의 열밀봉 강도(2 kg, 0.8 s)를 측정하되, 샘플 크기는 100mmХ15mmХ0.4mm이고;
제품 외관: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제품의 필름 표면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6의 각 성분의 배합비(중량부 기준) 및 제품의 각 성능 테스트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무광택층 PP 수지 1 49 49 49 49 49 49
HDPE 수지 2 30 30 30 30 30 30
POE 19.5
Vistamaxx 19.5
SEBS 19.5
EPDM 19.5
OBC 19.5
EVA 19.5
PE-g-MA 1 1 1 1 1 1
복합 산화방지제 0.5 0.5 0.5 0.5 0.5 0.5
기재층 LLDPE 수지 99.5 99.5 99.5 99.5 99.5 99.5
복합 산화방지제 0.5 0.5 0.5 0.5 0.5 0.5
코로나층 LLDPE 수지 50 50 50 50 50 50
LDPE 수지 49.3 49.3 49.3 49.3 49.3 49.3
복합 보조제 0.7 0.7 0.7 0.7 0.7 0.7
두께(48 μm)/무광택층:기재층:코로나층의 비율 1:2:1 1:2:1 1:2:1 1:2:1 1:2:1 1:2:1
헤이즈(%) 81.3 82.1 82.4 81.2 82.5 80.7
열밀봉 온도(℃) 131 134 124 132 127 128
열밀봉 강도(N) 13.6 11.7 13.3 12.3 13.9 14.2
실시예 7~10의 각 성분의 배합비(중량부 기준) 및 제품의 각 성능 테스트 결과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무광택층 PP 수지 1 55 40 49
PP 수지 2 49
HDPE 수지 2 35 30 30
HDPE 수지 1 30
POE 19.5 18
Vistamaxx 27.5
SEBS 8.5
EPDM
OBC
EVA
PE-g-MA 1 1 2 2.5
복합 산화방지제 0.5 0.5 0.5 0.5
기재층 LLDPE 수지 99.5 99.5 99.5 99.5
복합 산화방지제 0.5 0.5 0.5 0.5
코로나층 LLDPE 수지 50 50 50 50
LDPE 수지 49.3 49.3 49.3 49.3
복합 보조제 0.7 0.7 0.7 0.7
두께(48 μm)/무광택층:기재층:코로나층의 비율 1:2:1 1:2:1 1:2:1 1:2:1
헤이즈(%) 80.9 80.4 81.0 83.2
열밀봉 온도(℃) 132 131 123 129
열밀봉 강도(N) 10.8 10.6 10.9 13.9
비교예 1~4의 각 성분의 배합비(중량부 기준) 및 제품의 각 성능 테스트 결과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무광택층 PP 수지 1 49 49 49
HDPE 수지 2 30 30 30
POE
Vistamaxx
SEBS 13.5
EPDM
OBC
EVA
PE-g-MA 1 7
복합 산화방지제 0.5 0.5 0.5
기재층 LLDPE 수지 99.5 99.5 99.5
복합 산화방지제 0.5 0.5 0.5
코로나층 LLDPE 수지 50 50 50
LDPE 수지 49.3 49.3 49.3
복합 보조제 0.7 0.7 0.7
두께(48 μm)/무광택층:기재층:코로나층의 비율 1:2:1 1:2:1 1:2:1
헤이즈(%) 72.3 72.3 76.3
열밀봉 온도(℃) 138 140 128
열밀봉 강도(N) 9.7 8.9 9.8
실시예 1~10의 무광택 PE 필름 재료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필름 표면이 균일하고 미세하였고,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필름 표면을 관찰한 결과, 실시예 1의 무광택 PE 필름(도 1)과 비교예 1의 무광택 PE 필름(도 2)을 비교하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첨가된 무광택 PE 필름의 필름 표면이 훨씬 더 균일하고 미세하였다.
실시예 1~6과 비교예 1~3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첨가된 실시예 1~6의 헤이즈 및 열밀봉 강도는 현저히 높고, 열밀봉 온도는 낮은데, 이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첨가가 재료의 열밀봉 성능에 대해 긍정적인 작용을 일으키고, 열밀봉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열밀봉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료의 무광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용화제 PE-g-MA가 열밀봉, 무광택 및 균일성 등에 대해 상승 작용이 있음을 설명한다.

Claims (12)

  1. 무광택(matting) PE 재료로서,
    무광택층(matting layer), 기재층(substrate layer) 및 코로나층(corona layer)을 포함하되,
    상기 무광택층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25~75부의 PP 수지, 30~70부의 HDPE 수지, 4~34부의 상용화제(compatibilizer) 및 0~5부의 보조제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화제는 중량 백분율을 기준으로 80~100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0~20 %의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상용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95~100부의 LLDPE 수지 및 0~5부의 보조제를 포함하고;
    상기 코로나층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30~70부의 LLDPE 수지, 30~70부의 LDPE 수지 및 0~5부의 보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택 PE 재료의 두께는 48~52 μm이고, 상기 무광택층:기재층:코로나층의 두께 비율은 1~2:2~3: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중량 백분율은 80~90 %이고, 상기 상용화제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상용화제의 중량 백분율은 10~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고무(EPDM),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비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블록 비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OBC) 및 프로필렌계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Vistamaxx)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상용화제는 폴리에틸렌 그래프트 말레산 무수물(PE-g-MA) 및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말레산 무수물(PP-g-MA)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 수지는 단일중합 PP 및 공중합 PP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 PP는 2원 랜덤 공중합 PP 및 3원 랜덤 공중합 PP를 포함하며;
    상기 공중합 PP의 용융 지수(MFI)는 230 ℃ 및 2.16 kg에서 6~11 g/10min이고, 열밀봉 온도는 114~165 ℃이며;
    바람직하게는, 용융 지수(MFI)는 230 ℃ 및 2.16 kg에서 8~10 g/10min이고, 열밀봉 온도는 116~1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PE 수지는 고점도 압출 등급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용융 지수(MFI)는 190 ℃ 및 2.16 kg에서 0.01~2 g/10min이며, 수평균 분자량은 25000~60000이고, 분자량 분포는 3~6이며;
    바람직하게는, 용융 지수(MFI)는 190 ℃ 및 2.16 kg에서 0.05~1 g/10min이고, 수평균 분자량은 35000~50000이며, 분자량 분포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LDPE 수지 및 LDPE 수지의 용융 지수(MFI)는 190 ℃ 및 2.16 kg에서 1.0~3.0 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는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또는 슬립제 중 하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광택 PE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배합비에 따라 HDPE 수지와 상용화제를 블렌딩하여 블렌드 1을 얻고, PP 수지와 보조제를 블렌딩하여 블렌드 2를 얻으며, 블렌드 1과 블렌드 2를 다시 블렌딩하여 블렌더에 넣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무광택층 마스터배치를 얻는 무광택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단계 (1);
    배합비에 따라 LLDPE 수지와 보조제를 블렌딩하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기재층 마스터배치를 얻는 기재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단계 (2);
    배합비에 따라 LLDPE 수지, LDPE 수지 및 보조제를 고속 믹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압출 및 펠레타이징하여 코로나층 마스터배치를 얻는 코로나층 마스터배치의 제조 단계 (3); 및
    펠레타이징하여 얻은 상기 무광택층 마스터배치, 기재층 마스터배치, 코로나층 마스터배치를 주조기의 무광택층 배럴, 기재층 배럴, 코로나층 배럴에 각각 넣은 다음, 설정된 유량 측정에 따라 분배기에 의해 분배하며, 무광택층 마스터배치를 기재층 마스터배치 및 코로나층 마스터배치와 함께 3개의 압출기의 공급구로 흡입시키고, 압출, 냉각, 두께 측정, 코로나 및 견인 와인딩 시스템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설정된 공정에서 무광택 PE 필름 재료로 주조 및 공압출하는 단계 (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압출기는 단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고, 상기 압출기의 스크류의 길이와 직경 비율은 29~36이며;
    상기 주조 및 공압출의 온도는 150~2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광택 PE 재료의 응용으로서,
    플라스틱 필름 연포장 분야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PE 재료의 응용.
KR1020227033032A 2020-02-24 2020-11-19 무광택 pe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KR20220145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111814.8 2020-02-24
CN202010111814.8A CN111361248B (zh) 2020-02-24 2020-02-24 一种消光pe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PCT/CN2020/130126 WO2021169428A1 (zh) 2020-02-24 2020-11-19 一种消光pe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875A true KR20220145875A (ko) 2022-10-31

Family

ID=7120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032A KR20220145875A (ko) 2020-02-24 2020-11-19 무광택 pe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45875A (ko)
CN (1) CN111361248B (ko)
WO (1) WO2021169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1248B (zh) * 2020-02-24 2021-11-0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光pe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745556A (zh) * 2020-12-10 2021-05-0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雾度pe吹膜消光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778641B (zh) * 2020-12-30 2022-10-0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哑光无声胶带消光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93882B (zh) * 2021-12-17 2022-07-15 广东德冠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聚丙烯薄膜及其制备方法和热复合片材
CN114044982B (zh) * 2021-12-25 2024-03-08 昆山禾振瑞新复合材料有限公司 高性能聚丙烯消光母粒及消光薄膜
CN114933787A (zh) * 2022-06-01 2022-08-23 宁波金富亮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哑光pet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536929B (zh) * 2022-10-27 2023-12-08 广东美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雾度hdpe消光母粒及其制备方法
CN117048157B (zh) * 2023-08-01 2024-05-28 青岛伟东包装有限公司 一种食品塑料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6463A1 (en) * 2009-09-29 2011-03-3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atte resin film
CN103497422A (zh) * 2013-09-16 2014-01-08 苏州康斯坦普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双向拉伸聚丙烯薄膜用消光母料及其生产工艺
CN103665540B (zh) * 2013-11-04 2016-08-17 惠州新大都合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消光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263058B (zh) * 2016-12-30 2020-04-1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bopp消光膜及其制备方法
CN110305402B (zh) * 2019-06-03 2021-11-12 黄山永新股份有限公司 一种消光流延pe膜及其生产工艺
CN111361248B (zh) * 2020-02-24 2021-11-0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光pe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9428A1 (zh) 2021-09-02
CN111361248B (zh) 2021-11-02
CN111361248A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5875A (ko) 무광택 pe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응용
CN114621523B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796636B2 (ja) 樹脂組成物
EP2331321B1 (en) Polyolefin composition
WO2005028553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CN103524882A (zh) 一种具有无光特性的聚烯烃树脂组合物
US5534351A (en) Laminar articles made from blends of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s and olefin polymers
CN112405935B (zh) 锂离子电池用哑光黑色聚酰胺薄膜及其黑色母粒和制备方法
JP2016196589A (ja) 高濃度アンチブロッキング剤マスターバッチ樹脂組成物
JP7176358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20180036102A (ko) 폴리프로필렌계 고함량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조성물
US20230022818A1 (en) Multilayer films for packaging rubber bales
JP2017105174A (ja) 多層フィルム
CN112111122A (zh) 耐分解ps导电母料
JP7176366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020033399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023016206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15401971B (zh) 一种阻燃膜及其制备方法
KR20180029351A (ko) 폴리프로필렌 복합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JP749094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無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CN115139609B (zh) 用于聚丙烯杯、碗、盒热封且界面易揭的聚乙烯薄膜
CN110370764B (zh) 一种pe基材膜及其制备方法
JP7253331B2 (ja) 熱可塑化デンプン/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の成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6748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JP3566404B2 (ja) 結晶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