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147A -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147A
KR20220132147A KR1020210037054A KR20210037054A KR20220132147A KR 20220132147 A KR20220132147 A KR 20220132147A KR 1020210037054 A KR1020210037054 A KR 1020210037054A KR 20210037054 A KR20210037054 A KR 20210037054A KR 20220132147 A KR20220132147 A KR 2022013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ut surface
transfer
transfer lin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520B1 (ko
Inventor
정대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씨
Priority to KR1020210037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5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24B31/02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with additional oscill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2C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의 버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보관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시키는 회전정렬부(30)와, 회전정렬부(30)에 의해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절단면(110)이 하부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다수의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부(40)와,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된 상태에서 트레이(45)에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에 진동마찰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절단면(110)의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50)로 구성되어 제조된 건전지캔(100)이 자동으로 정렬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절단면(110)에 진동마찰이 전달되게 하여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의 버가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AUTOMATIC DEBURRING APPARATUS OF BATTERY CAN}
본 발명은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건전지캔의 개방단부인 절단면의 버(burr)를 진동마찰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건전지캔의 자동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전지의 케이스로 사용되는 건전지캔은 평판 형태의 원재료를 성형하고 그 개방단의 끝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캔 본체를 프레스장치에 의해 성형하면서 트리밍 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캔 제품을 판재에서 절단하게 되며, 이때 절단된 건전지캔의 절단면에 버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버는 후단의 초경코팅단계를 위해 제거해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프레스 성형된 다수의 원통형 캔을 바렐 타입 등의 세정기로 세정하여 버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건전지캔 간에 서로 부딪히면서 변형이 발생되어 버가 쉽게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39968호,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된 건전지캔의 절단면에 발생되는 버가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건전지캔의 자동 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의 버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보관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시키는 회전정렬부(30)와, 회전정렬부(30)에 의해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절단면(110)이 하부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다수의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부(40)와,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된 상태에서 트레이(45)에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에 진동마찰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절단면(110)의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된 건전지캔이 자동으로 정렬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절단면에 진동마찰이 전달되게 하여 건전지캔의 절단면의 버가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의 전체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부(10)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정렬부(30)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장치(37)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재부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전지캔의 공급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는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의 버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보관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시키는 회전정렬부(30)와, 회전정렬부(30)에 의해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절단면(110)이 하부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다수의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부(40)와,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된 상태에서 트레이(45)에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에 진동마찰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절단면(110)의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50)로 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공급부(10)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급부(10)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보관박스(11) 내에 쌓여있는 건전지캔(100)을 이송라인(20)을 통해 차례대로 이송시키기 위해 보관박스(11) 내에서 서로 높이가 다르게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고정부(12)와, 고정부(12)와 상하로 슬라이딩작동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면서 건전지캔(100)을 단계적으로 상부로 밀어올려 이송라인(20)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13)와, 승강부(13)가 고정설치되어 다수의 승강부(13)를 일괄적으로 상부로 밀어올리기 위한 승강부재(14)로 구성된다.
보관박스(11) 내에는 다수의 건전지캔(100)이 무질서하게 쌓여있는 상태이며, 이를 상부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밀어올려 보관박스(11)의 최상단 측면에 설치된 이송라인(20)까지 이동시켜 다음고정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2)는 보관박스(11) 내에 고정설치된 상태이며 계단식으로 서로 높이가 다르게 다수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13)는 고정부(12)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부(12)를 따라 지지된 상태에서 건전지캔(100)을 하나씩 밀어올려 계단식으로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최하단의 승강부(13)에 의해 건전지캔(100)을 밀어올려 다음 단계까지 상승시킨 후 이를 반복함으로써 건전기캔이 한칸씩 밀려 올라가면서 이송라인(20)에 하나씩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공급부(10)를 통해 이송라인(20)에 공급된 건전지캔(100)은 절단면(110)의 버제거를 위해 원통형의 건전지캔(100)의 개방된 방향이 이송방향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회전정렬부(30)를 통해 정렬시키게 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정렬부(30)는 이송라인(20)을 통해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끼워지는 수용홈(32)이 형성되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수용홈(32)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건전지캔(100)을 좌우측으로 분리배출시키는 회전체(31)와, 수용홈(32)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에 맞게 회전체(31)의 정역회전방향을 제어하기 하기 위해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5)와, 감지센서(35)에 의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 감지시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회전체(31)가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을 배출시키는 정방향배출로(33)와, 감지센서(35)에 의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 감지시 반대로 위치한 경우 회전체(31)가 타측으로 회전하면서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을 배출시켜 건전지캔(100)의 방향이 이송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역방향배출로(34)와, 역방향배출로(34)를 통해 배출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이 절단면(110)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정방향배출로(33)를 통해 합류되도록 하는 이송방향전환로(36)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31)는 이송라인(20)을 통해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의 공급방향에 따라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을 좌우측으로 분리하여 배출시켜 건전지캔(100)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정렬시키게 된다.
이때, 건전지캔(100)이 수용홈(32)에 위치한 상태에서 감지센서(35)에 의해 건전지캔(100)의 공급방향을 감지하게 되며, 이송된 건전지캔(100)의 전방이 절단면(110)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회전체(31)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에 따라 회전체(31)에 의해 건전지캔(100)을 좌우측으로 분리하게 된다.
회전체(31)의 정역회전에 의해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이 좌우측으로 분리 배출되며,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인 절단면(110)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이송된 건전지캔(100)은 정방향배출로(33)로 배출되고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후방인 경우에는 절단면(110)이 전방으로 놓이도록 역방향배출로(34)로 배출되도록 한다.
정방향배출로(33)로 배출된 건전지캔(100)은 이송방향이 정방향임에 따라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며, 역방향배출로(34)로 배출된 건전지캔(100)은 이송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바꾸어 정방향배출로(33)로 합류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역방향배출로(34)로 배출된 건전지캔(100)은 180°로 회전시켜 이송방향을 바꾸기 위해 이송방향전환로(36)를 통해 반호형상으로 이송되면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이송방향전환로(36)를 이송벨트로 이루어져 상부에 놓인 건전지캔(100)이 호형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호형상으로 회전하는 이송방향전환로(36)를 따라 건전지캔(100)이 회전하여 이송되면서 공급방향의 전후방 방향이 180°변환되어 다시 정방향배출로(33)로 이송됨에 따라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인 전방으로 향하도록 정렬되는 것이다.
회전정렬부(30)를 통해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정렬된 후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고, 이때 건전지캔(100)은 한줄로 차례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후단에 설치된 트레이(45)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이 보관되는 형태임에 따라 한줄로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양갈래로 이송되도록 분배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이송라인(20) 상에는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양갈래로 분배되어 이송되도록 분배장치(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장치(37)는 한줄로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후단에 설치된 2개의 이송라인(20)을 통해 각각 분배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을 2개의 이송라인(20)으로 분배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좌우로 회전하면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을 바꿔주게 된다.
즉, 한줄로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분배장치(37)에 의해 두줄로 이송되게 함으로써 트레이(45)에 한 쌍씩 이송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배장치(37)를 통해 두줄로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은 절단면(110)이 하부로 향하도록 적재부(40)를 통해 수직으로 회전시켜 준비된 트레이(45)에 차례대로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적재부(40)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적재부(40)는 회전벨트(42)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회전이송시키는 회전이송부재(41)와,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낙하하는 과정에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벗어나지 않도록 터널형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곡선이송부(43)와,
수직방향으로 배출되는 건전지캔(100)의 배출상태를 제어하는 배출제한부재(44)와,
수직방향으로 한 쌍씩 배출되는 건전지캔(100)이 끼워져 보관되는 트레이(45)와,
곡선이송부(43)를 통해 배출되는 건전지캔(100)의 배출타이밍에 맞게 트레이(45)를 이송시켜 트레이(45) 전체에 건전지캔(100)이 차례대로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레일(46)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이송부재(41)는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하부로 방향이 전환되어 최종 배출되도록 하며, 회전벨트(42)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이송부재(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이송라인(20)과, 곡선이송부(43)에 의해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하부로 향한상태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곡선이송부(43)는 터널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배출되는 건전지캔(100)이 이탈하지 않고 직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수직방향으로 배출되는 건전지캔(100)은 배출제한부재(44)에 의해 배출이 관리되며, 하부에 트레이(45)가 위치하여 건전지캔(100)이 끼워지는 과정에서는 배출제한부재(44)가 열려져 있는 상태가 되고, 트레이(45)에 건전지캔(100)이 모두 끼워진 후에는 더이상 건전지캔(100)이 배출되지 않도록 배출제한부재(44)가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배출제한부재(44)가 열려져 건전지캔(100)이 수직방향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트레이(45)에 한 쌍의 건전지캔(100)이 차례대로 끼워져 배출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5)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레일(46)에 의해 트레이(45)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트레이(45) 전체에 건전지캔(100)이 끼워져 보관될 수 있게 된다.
트레이(45)에 건전지캔(100)이 끼워져 보관된 상태에서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은 하부를 향하게 되며, 절단면(110)이 트레이(45)의 바닥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진동부(50)에 의한 진동으로 절단면(110)과 트레이(45)의 바닥면이 마찰되면서 절단면(110)의 버를 제거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진동부(50)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진동부(50)는 트레이(45)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진동모터(51)와, 진동모터(51)에 설치되어 빠르게 전후진작동하는 진동샤프트(52)와, 트레이(45)에 고정설치되어 진동샤프트(52)가 부딪혀 트레이(45)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는 진동마찰면(53)과, 진동마찰면(53)과 트레이(45)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샤프트(52)의 진동에 의해 수축, 확장되는 스프링(54)과, 진동마찰면(53)과 고정설치되어 진동마찰면(53)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스프링(54)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전후진작동함으로써 트레이(45)에 보관된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과 트레이(45)의 바닥면이 마찰되어 절단면(110)의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판(47)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모터(51)는 설치된 진동샤프트(52)가 빠른 속도로 전후진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샤프트(52)가 진동마찰면(53)에 빠르게 부딪혀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며, 진동마찰면(53)에 설치된 스프링(54)에 의한 탄성으로 진동마찰면(53) 및 진동마찰면(53)과 고정설치된 진동판(47)이 빠르게 전후진 작동하게 된다.
건전지캔(100)이 끼워져 보관된 트레이(45)에는 스프링(54)에 의해 완충작용으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의 진동판(47)이 진동함에 따라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과 트레이(45)의 바닥면인 진동판(47)과 서로 마찰되면서 버가 제거되는 것이다.
즉,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과 진동판(47)이 진동마찰에 의해 서로 마찰되면서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에 남아 있는 버가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버가 제거된 건전지캔(100)은 이송부(미도시)에 의해 트레이(45)에서 별도의 보관장소로 이송하여 보관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공급부 (11)-- 보관박스
(12)-- 고정부 (13)-- 승강부
(14)-- 승강부재
(20)-- 이송라인
(30)-- 회전정렬부 (31)-- 회전체
(32)-- 수용홈 (33)-- 정방향배출로
(34)-- 역방향배출로 (35)-- 감지센서
(36)-- 이송방향전환로 (37)-- 분배장치
(40)-- 적재부 (41)-- 회전이송부재
(42)-- 회전벨트 (43)-- 곡선이송부
(44)-- 배출제한부재 (45)-- 트레이
(46)-- 이송레일 (47)-- 진동판
(50)-- 진동부 (51)-- 진동모터
(52)-- 진동샤프트 (53)-- 진동마찰면
(54)-- 스프링
(100)-- 건전지캔 (110)-- 절단면(110)

Claims (5)

  1.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에 있어서,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의 버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보관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시키는 회전정렬부(30)와,
    회전정렬부(30)에 의해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절단면(110)이 하부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다수의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부(40)와,
    건전지캔(100)이 트레이(45)에 보관된 상태에서 트레이(45)에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건전지캔(100)의 절단면(110)에 진동마찰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절단면(110)의 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부(10)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보관박스(11) 내에 쌓여있는 건전지캔(100)을 이송라인(20)을 통해 차례대로 이송시키기 위해 보관박스(11) 내에서 서로 높이가 다르게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고정부(12)와,
    고정부(12)와 상하로 슬라이딩작동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면서 건전지캔(100)을 단계적으로 상부로 밀어올려 이송라인(20)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13)와,
    승강부(13)가 고정설치되어 다수의 승강부(13)를 일괄적으로 상부로 밀어올리기 위한 승강부재(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정렬부(30)는 이송라인(20)을 통해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끼워지는 수용홈(32)이 형성되어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수용홈(32)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건전지캔(100)을 좌우측으로 분리배출시키는 회전체(31)와,
    수용홈(32)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에 맞게 회전체(31)의 정역회전방향을 제어하기 하기 위해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5)와,
    감지센서(35)에 의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 감지시 절단면(110)이 이송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회전체(31)가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을 배출시키는 정방향배출로(33)와,
    감지센서(35)에 의한 건전지캔(100)의 이송방향 감지시 반대로 위치한 경우 회전체(31)가 타측으로 회전하면서 수용홈(32)에 위치한 건전지캔(100)을 배출시켜 건전지캔(100)의 방향이 이송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역방향배출로(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이송라인(20) 상에는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양갈래로 분배되어 이송되도록 분배장치(3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재부(40)는 회전벨트(42)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회전이송시키는 회전이송부재(41)와, 이송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건전지캔(100)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낙하하는 과정에서 건전지캔(100)이 이송라인(20)을 벗어나지 않도록 터널형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곡선이송부(43)와,
    수직방향으로 배출되는 건전지캔(100)의 배출상태를 제어하는 배출제한부재(44)와,
    곡선이송부(43)를 통해 배출되는 건전지캔(100)의 배출타이밍에 맞게 트레이(45)를 이송시켜 트레이(45) 전체에 건전지캔(100)이 차례대로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레일(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KR1020210037054A 2021-03-23 2021-03-23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KR10248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54A KR102485520B1 (ko) 2021-03-23 2021-03-23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54A KR102485520B1 (ko) 2021-03-23 2021-03-23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147A true KR20220132147A (ko) 2022-09-30
KR102485520B1 KR102485520B1 (ko) 2023-01-09

Family

ID=8345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054A KR102485520B1 (ko) 2021-03-23 2021-03-23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5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608A (ko) * 1995-12-20 1997-07-31 배순훈 건전지용 크리닝장치의 결합구조
JP2000033544A (ja) * 1998-07-17 2000-02-02 Amada Eng Center Co Ltd バリ取り機
JP2002137823A (ja) * 2000-11-01 2002-05-14 Maeda Seikan Kk 鉄筋の自動供給装置及び自動切断装置
KR100739968B1 (ko) 2006-02-16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9034811A (ja) * 2017-08-14 2019-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整列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608A (ko) * 1995-12-20 1997-07-31 배순훈 건전지용 크리닝장치의 결합구조
KR0158397B1 (ko) * 1995-12-20 1998-12-15 배순훈 건전지용 크리닝장치의 결합구조
JP2000033544A (ja) * 1998-07-17 2000-02-02 Amada Eng Center Co Ltd バリ取り機
JP2002137823A (ja) * 2000-11-01 2002-05-14 Maeda Seikan Kk 鉄筋の自動供給装置及び自動切断装置
KR100739968B1 (ko) 2006-02-16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9034811A (ja) * 2017-08-14 2019-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整列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520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4459A (en) Parison unscrambler
JP4503245B2 (ja) 実質的平行六面体形製品のための貯蔵ユニット
CN110121325B (zh) 药物供给器
AU2016405226B2 (en) Fish-supply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TR201815702T4 (tr) Preformları beslemek için sistem.
EP28838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orienting objects
JP2002029516A (ja) ブリスタリング装置においてブリスタバンド上で余った製品を回収する装置
US6851920B2 (en) Method for stacking parts comprising thermoplastic plastic,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EP0675789B1 (en) System for dosed conveying and selecting of cylindrical pellets for moulding apparatus for lead frames
KR20220132147A (ko) 건전지캔의 버 자동제거장치
JPH07315574A (ja) ピッキング装置
US7503154B2 (en) Device for feeding articles, in particular corks, to a pick-up station
CN116281026A (zh) 一种自动分料装置及自动分料系统
JP3589355B2 (ja) 物品供給方法及び物品供給装置
CN210655052U (zh) 一种纽扣式电容套管机的上料系统
US3233718A (en) Bottle discharge apparatus
JPH0826598A (ja) ボビンを収納し個別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1020771A (ja) 物品整列装置
CN110809555B (zh) 用于管理单元分类模块的方法和装置
US2837199A (en) Bottle feed mechanism for washing machines
JP2021060960A (ja) コイン送出装置およびコイン処理装置
CA2384400A1 (en) System for conveying a selected product to a collection compartment in automatic vending machines
JPH10202201A (ja) 物品仕分け用の突き出し装置
JP6615560B2 (ja) 均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JP2014024623A (ja) ワークの分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