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868A -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868A
KR20220130868A KR1020210035644A KR20210035644A KR20220130868A KR 20220130868 A KR20220130868 A KR 20220130868A KR 1020210035644 A KR1020210035644 A KR 1020210035644A KR 20210035644 A KR20210035644 A KR 20210035644A KR 20220130868 A KR20220130868 A KR 20220130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pigmen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790B1 (ko
Inventor
황성수
Original Assignee
메리디안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디안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리디안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7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의복 원단은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외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면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9 중량%와 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외부면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7 내지 9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4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탄소 복합체 8 내지 10 중량부, 무기나노입자 2 내지 4 중량부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의복 원단은 흡한속건성과 착용감이 우수하고, 경량성, 보온성, 냉감성, 자외선 차단성, 내곰팡이성, 내약품성, 열전도성, 벌키성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FABRIC FOR EC0-FRIENDLY MULTIFUNCTIONAL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며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기존의 의류 개념을 뛰어 넘어서 인체를 더욱 편안하게 하고 쾌적하게 하면서 외관상 심미적 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의류가 요구되고 있으며, 의류 업계에서도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따라 더욱 향상된 기능의 고부가가치 상품을 출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품으로 가장 먼저 발전한 것은 스포츠, 레져 웨어 분야의 흡한속건성 섬유가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항균 방취 섬유, 건강 미용 섬유, 인체 및 자연친화적 섬유 등이 있다.
흡한속건성 섬유의 경우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땀 등의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 및 건조시키는 기능을 갖는 섬유로서, 수분 함량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원착사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고기능성 속건성 제품은 맑은 날씨에는 그 기능을 발휘하지만 흐린 날씨나 비오는 날씨에는 원단 표면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넓게 퍼져 있어서 오히려 불쾌한 착용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KR 10-2020-0145413 A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원에는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외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면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9 중량%와 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 것이고, 상기 외부면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7 내지 9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4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탄소 복합체 8 내지 10 중량부, 무기나노입자 2 내지 4 중량부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 것이고,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각각 5 내지 6 : 3 내지 4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는 에틸렌 성분 20 내지 25 중량%와 프로필렌 성분 75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복합체는 50 내지 100 ㎛의 길이 및 100 내지 200 nm의 직경을 갖는 탄소나노튜브와 30 내지 35 ㎛의 길이 및 5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탄소섬유를 각각 2 내지 3 : 1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은, 실리카, 게르마늄 및 이산화티타늄을 각각 1 내지 2 : 3 내지 5 : 2 내지 3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는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의 제조방법으로, (1)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9 중량%와 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단계; (3)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7 내지 9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4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탄소 복합체 8 내지 10 중량부, 무기나노입자 2 내지 4 중량부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단계; 및 (5) 상기 (2)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와 상기 (4)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를 양면 환편기에 공급하여 2중층을 갖는 의복 원단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2)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는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4)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는 외부면을 형성하는 것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의복 원단은 흡한속건성과 착용감이 우수하고, 경량성, 보온성, 냉감성, 자외선 차단성, 내곰팡이성, 내약품성, 열전도성, 벌키성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층 의복 원단의 수분 배출, 증발 및 보온성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층 의복 원단과 일반 코튼 원단을 물에 담궈 경량성 및 비중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각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은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외부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면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9 중량%와 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외부면은 복합수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7 내지 9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4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탄소 복합체 8 내지 10 중량부, 무기나노입자 2 내지 4 중량부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원단은 내의, 잠옷, 양말, 평상복, 수영복, 등산복, 골프 웨어 등 각종 스포츠 웨어, 아웃도어용 웨어 등의 다양한 의복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1) 피부 접촉면 형성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원착사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착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9 중량%와 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고,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공정을 통해 얻어진다.
상기 압출은 60 내지 80 kg/cm2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사는 노즐압력 120 내지 160 kg/cm2, 방사온도 190 내지 290 ℃, 방사속도 2,000 내지 4,000 m/min으로 실시하여 미연신사를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신은 2.5 내지 4.0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착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 컴파운딩하여 얻은 수지 칩과 안료 칩을 혼합 및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칩은 70 내지 9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 지수가 10 내지 15 g/10min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이 100,000 내지 250,000 g/mol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원착사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원착사는 수분 함량이 약 0.01%로서, 수분 함량이 약 0.4%인 폴리에스테르, 수분 함량이 약 4.5%인 나일론, 수분 함량이 약 8.0%인 코튼 등에 비해 수분 함량이 매우 낮아 땀과 수분을 머금지 않고 바로 배출하는 특징 등으로 우수한 흡한속건성 및 내곰팡이성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착사는 정전기 발생이 낮고 태워도 다이옥신 등의 독소가 없고, 강산성, 강알칼리성 등에 뛰어난 내약품성, 방오성을 가지며, 아토피 피부에 대해 자극이 거의 없는 친환경 소재이다.
다음으로, (2) 외부면 형성을 위한 복합수지 원착사를 제조한다.
상기 복합수지 원착사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7 내지 9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4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탄소 복합체 8 내지 10 중량부, 무기나노입자 2 내지 4 중량부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고,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공정을 통해 얻어진다.
상기 압출은 80 내지 90 kg/cm2의 압력으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사는 노즐압력 150 내지 180 kg/cm2, 방사온도 190 내지 290 ℃, 방사속도 3,000 내지 5,000 m/min으로 실시하여 미연신사를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신은 2.5 내지 4.0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수지 원착사는 고분자 수지를 용융 컴파운딩하여 얻은 수지 칩, 폴리에틸렌글리콜, 스테아린산칼슘, 탄산칼슘, 탄소복합체 및 무기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보강용 칩 및 안료 칩을 제조한 후 상기 수지 칩, 보강용 칩 및 안료 칩을 혼합 및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칩은 70 내지 9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주사슬에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예시로서,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 가능한 단일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예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 1,5-, 2,6- 또는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비스(p-카르복시페닐)메탄,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도데칸디오산 등;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의 예시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족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데카메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시클로헥산디올 등; 분자량 400 내지 6,000의 장쇄 글리콜,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1,3-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는 에틸렌 성분 20 내지 25 중량%와 프로필렌 성분 75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복합수지 원착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에틸렌 성분이 20 중량% 미만이 되면 신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는 반결정성 폴리머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성을 가진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수산기의 치환도가 2.2 내지 2.8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000 내지 55,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용융 온도가 230 내지 250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85 내지 195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카프릴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라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팔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스테아레이트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각각 5 내지 6 : 3 내지 4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분자 구조 및 물성이 제각기 다른 특성을 활용하여 흡한속건성 원단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벌키성, 경량성, 내약품성, 내열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마스터 배치의 분산성을 개선하여 복합수지 원착사의 기능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의복 원단의 신축성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스테아린산칼슘과 탄산칼슘은 통기성 및 난연성을 부여하여 친환경 기능성 의복 원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탄소 복합체는 50 내지 100 ㎛의 길이 및 100 내지 200 nm의 직경을 갖는 탄소나노튜브와 30 내지 35 ㎛의 길이 및 5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탄소섬유를 각각 2 내지 3 : 1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섬유는 탄소나노튜브에 의해 형성된 매트릭스 구조물에 분산되어 우수한 벌키성 및 열전도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섬유의 길이와 직경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고분자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벌키형의 복합 구조를 갖는 원착사를 제조하기 어렵다. 또한, 탄소섬유 함량이 탄소나노튜브 함량에 비해 너무 높으면 벌키성이 떨어지고 신축성 및 착용감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탄소섬유는 2 내지 3 : 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은, 실리카, 게르마늄 및 이산화티타늄을 각각 1 내지 2 : 3 내지 5 : 2 내지 3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5 ㎛ 이하, 0.01 내지 5 ㎛ 또는 0.1 내지 1 ㎛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 복합체와 무기나노입자는 고분자 수지를 바인더로 복합 구조를 형성하여 복합수지 원착사에 벌키성, 보온성, 냉감성, 열전도성, 경량성, 자외선 차단성, 내약품성 및 내곰팡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원착사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수지 원착사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항균제, 탈취제, 형광 증백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를 마스터 배치에 더 첨가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3)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착사와 복합수지 원착사를 이용한 2중층의 원단을 제조한다.
상기 2중층의 원단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착사와 상기 복합수지 원착사를 양면 환편기에 공급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착사는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합수지 원착사는 외부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2중층의 원단은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우수하고, 경량성, 보온성, 냉감성, 자외선 차단성, 내곰팡이성, 내약품성, 열전도성, 벌키성 등 다기능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층 의복 원단의 수분 배출, 증발 및 보온성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2중층의 원단은 피부 접촉면에는 수분에는 거의 없고 외부면에만 수분을 보유하여 수분이나 땀을 신속하게 배출 및 증발시키고 방수, 발수 기능성을 가지며, 우수한 보온성 및 냉감성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2중층의 원단은 복합수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 외부면을 통해 종래 흐린 날씨나 비오는 날씨에는 불쾌한 착용감을 주는 속건성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여 날씨와 무관하게 쾌적한 착용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층 의복 원단과 일반 코튼 원단을 물에 담궈 경량성 및 비중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2중층의 원단은 다른 소재의 원단과 비교해 보면 두께가 동일한 원단이라 하더라도 최소 20% 이상의 가벼운 경량 특성을 제공한다. 물에 뜰 정도로 가볍지만 보온성 및 냉감성 또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한편, 일반적으로 230 gsm 이상의 중량을 갖는 원단은 우수한 UV 차단 특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중량이 가벼워질수록 UV 차단 특성은 나빠져 화학재를 사용하여 UV 차단 특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중층의 원단은 약 120 gsm의 중량으로 얇은 소재의 여름용 의복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별한 화학재를 쓰지 않아도 우수한 UV 차단 특성을 제공하여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외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면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9 중량%와 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 것이고,
    상기 외부면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7 내지 9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4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탄소 복합체 8 내지 10 중량부, 무기나노입자 2 내지 4 중량부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방사하여 얻은 원착사로부터 형성된 것이고,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복합체는 50 내지 100 ㎛의 길이 및 100 내지 200 nm의 직경을 갖는 탄소나노튜브와 30 내지 35 ㎛의 길이 및 5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탄소섬유를 각각 2 내지 3 : 1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은, 실리카, 게르마늄 및 이산화티타늄을 각각 1 내지 2 : 3 내지 5 : 2 내지 3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의 제조방법으로,
    (1)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9 중량%와 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단계;
    (3)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7 내지 9 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4 내지 6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탄소 복합체 8 내지 10 중량부, 무기나노입자 2 내지 4 중량부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단계; 및
    (5) 상기 (2)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와 상기 (4)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를 양면 환편기에 공급하여 2중층을 갖는 의복 원단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2)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는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4) 단계에서 연신하여 얻은 원착사는 외부면을 형성하는 것인, 흡한속건성 및 착용감이 개선된 2중층의 의복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210035644A 2021-03-19 2021-03-19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644A KR102511790B1 (ko) 2021-03-19 2021-03-19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644A KR102511790B1 (ko) 2021-03-19 2021-03-19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868A true KR20220130868A (ko) 2022-09-27
KR102511790B1 KR102511790B1 (ko) 2023-03-20

Family

ID=8345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644A KR102511790B1 (ko) 2021-03-19 2021-03-19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57B1 (ko) * 2023-12-06 2024-04-05 박규용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327A (ko) * 1991-11-23 1993-06-24 레인홀트 찰라츠, 롤란트 빌티 커플링 부재를 구비한 촉전지 및 이 축전지용의 충전장치
JP2006161182A (ja) * 2004-12-02 2006-06-22 Mitsubishi Rayon Co Ltd 織編物
KR100844922B1 (ko) * 2007-04-16 2008-07-11 (주)동국가연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흡한속건성 직편물
KR20110078426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효성 유동층 cnt를 적용한 폴리아미드 전도성 복합사 제조 방법
JP2012505975A (ja) * 2008-10-17 2012-03-08 インビスタ テクノロジーズ エス エイ アール エル 2成分スパンデックス
JP2019143274A (ja) * 2018-02-23 2019-08-29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布帛及びそれを用いた衣類
KR20200145413A (ko) 2019-06-21 2020-12-30 경은산업 (주)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광폭 염색원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327A (ko) * 1991-11-23 1993-06-24 레인홀트 찰라츠, 롤란트 빌티 커플링 부재를 구비한 촉전지 및 이 축전지용의 충전장치
JP2006161182A (ja) * 2004-12-02 2006-06-22 Mitsubishi Rayon Co Ltd 織編物
KR100844922B1 (ko) * 2007-04-16 2008-07-11 (주)동국가연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흡한속건성 직편물
JP2012505975A (ja) * 2008-10-17 2012-03-08 インビスタ テクノロジーズ エス エイ アール エル 2成分スパンデックス
KR20110078426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효성 유동층 cnt를 적용한 폴리아미드 전도성 복합사 제조 방법
JP2019143274A (ja) * 2018-02-23 2019-08-29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布帛及びそれを用いた衣類
KR20200145413A (ko) 2019-06-21 2020-12-30 경은산업 (주)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광폭 염색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57B1 (ko) * 2023-12-06 2024-04-05 박규용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790B1 (ko) 202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1742B (zh) 芯鞘複合纖維、含有同芯鞘複合纖維的假撚加工紗及其製造方法以及包含這些纖維的織編物
CN112064168B (zh) 一种发热抗起球面料
KR102511790B1 (ko)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529175U (zh) 一种新型吸湿透气有色涤纶长丝
JP4859916B2 (ja) 導電性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93223A (ja) 吸熱性複合繊維
JP4704197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
JP2000234217A (ja) 原着ポリエステル繊維
JP4321232B2 (ja) 軽量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4581428B2 (ja) 遮光性に優れる軽量ブレンド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製品
JP2016113714A (ja) 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JP2007070467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
JP5124323B2 (ja) 人工毛髪
WO2016163260A1 (ja) ポリエステル人工毛髪用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頭飾製品
KR102155959B1 (ko)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이형단면사를 이용한 광발열 충전재
JP2003064558A (ja) 快適性編物
JP2007126785A (ja) 繊維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2000008226A (ja) 吸放湿性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および繊維構造物
JP4635534B2 (ja) 芯鞘複合フィラメント糸、それを用いた布帛、中空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10747B1 (ko) 복합섬유 및 그 제품
JPH03213535A (ja) 織編物
KR101964699B1 (ko) 흡습발열 및 신축성이 우수한 장단 복합사
JP4367117B2 (ja) 軽量性に優れた中空ブレンド繊維
JPH01234420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の製造法
JP2006077353A (ja) 芯鞘複合フィラメント糸、それを用いた布帛、中空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