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557B1 -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 Google Patents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57B1
KR102654557B1 KR1020230175360A KR20230175360A KR102654557B1 KR 102654557 B1 KR102654557 B1 KR 102654557B1 KR 1020230175360 A KR1020230175360 A KR 1020230175360A KR 20230175360 A KR20230175360 A KR 20230175360A KR 102654557 B1 KR102654557 B1 KR 10265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nufacturing
yarn
parts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용
Original Assignee
박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용 filed Critical 박규용
Priority to KR102023017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35Amines having an amino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organometall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selenium or tellurium atoms
    • D06M13/51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 D06M13/513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with at least one carbon-silicon bon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8Synthetic fibre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26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를 제조하는 폴리프로필렌 사 제조 단계(S100); 탄화섬유를 제조하는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와 탄화섬유를 혼합하여 혼합사를 제조하는 혼합사 제조 단계(S300); 상기 혼합사에 2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2차 코팅 단계(S400); 및 상기 2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합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환기성이 좋아 습기가 없고 피부에 공기를 유통시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며 냉감성, 항균성 및 위생성 등을 제공하고 불쾌한 냄새없이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FABRIC FOR GOLF WEAR AND FUNCTIONAL FABRIC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성이 좋아 습기가 없고 피부에 공기를 유통시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며 냉감성, 항균성 및 위생성 등을 제공하고 불쾌한 냄새없이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섬유 업계의 트랜드 추세는 박지화 및 경량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경량박지제품은 스포츠웨어 시장에서 큰 붐을 이루고 있다. 스포츠웨어 시장은 우수한 고발색성, 반발탄력성, 강도의 특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하여 골프웨어용, 바람막이용, 다운프루프용, 등산용, 각종 스포츠제품으로 용도전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신체에서 땀이 날때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발산한다 운동복이나 여름의류의 경우, 땀이 날때 수분에 의해 과도하게 밀착된 원단은 신체 활동에 방해가 되어 불쾌감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피부와의 밀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 흡한속건사를 이용한 직편물, 상전이 물질을 이용한 냉감소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통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14651호에서는 위사와 경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용해사를 혼합하여 직조된 원단을 만든 후, 위사와 경사에 혼합된 용해사를 정련에 의해 용해하여 위사와 경사의 교차점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공기구멍이 형성된 원단을 제공하여 통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의해서 공기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반복 제직된 용해사의 제거시 사각구멍의 크기가 한계가 있고, 세탁 등의 문제로 인해 사각 구멍의 형태의 손상 및 필링현상이 발생되어 원단의 가치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78343호(2016년 11월 15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040402호(2019년 10월 29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511790호(2023년 03월 15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기성이 좋아 습기가 없고 피부에 공기를 유통시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며 냉감성, 항균성 및 위생성 등을 제공하고 불쾌한 냄새없이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를 제조하는 폴리프로필렌 사 제조 단계(S100); 탄화섬유를 제조하는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와 탄화섬유를 혼합하여 혼합사를 제조하는 혼합사 제조 단계(S300); 상기 혼합사에 2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2차 코팅 단계(S400); 및 상기 2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합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에서 상기 탄화섬유는, 아크릴 사를 준비하고, 상기 아크릴 사에 탄소섬유를 혼용하여 혼용사를 제조하며, 상기 혼용사에 1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1차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를 탄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탄화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에서 상기 1차 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80 내지 120 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5 내지 10 중량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3 내지 7 중량부, 대나무 숯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1 내지 5 중량부, 그래핀 1 내지 3 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15 중량부, 경화제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정제수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을 개시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환기성이 좋아 습기가 없고 피부에 공기를 유통시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며 냉감성, 항균성 및 위생성 등을 제공하고 불쾌한 냄새없이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사 제조 단계(S100),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 혼합사 제조 단계(S300), 2차 코팅 단계(S400) 및 원단 제조 단계(S500)를 포함한다.
1. 폴리프로필렌 사 제조 단계(S100)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 제조 단계(S10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내지 99 중량%와 안료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고,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압출은 65 내지 85kg/cm2의 압력으로 실시할 수 있고, 상기 방사는 노즐압력 130 내지 170kg/cm2, 방사온도 180 내지 220℃, 방사속도 2,500 내지 3,500 m/min으로 실시하여 미연신사를 수득할 수 있고, 상기 연신은 3 내지 4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 컴파운딩하여 얻은 수지 칩과 안료 칩을 혼합 및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얻어질 수 있는데, 상기 칩은 80 내지 90℃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시킨 것일 수 있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 지수가 13 내지 17g/10min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이 100,000 내지 200,000g/mol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원사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는 수분 함량이 약 0.01%로서, 수분 함량이 약 0.4%인 폴리에스테르, 수분 함량이 약 4.5%인 나일론, 수분 함량이 약 8.0%인 코튼 등에 비해 수분 함량이 매우 낮아 땀과 수분을 머금지 않고 바로 배출하는 특징 등으로 우수한 흡한속건성 및 내곰팡이성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는 정전기 발생이 낮고 태워도 다이옥신 등의 독소가 없고, 강산성, 강알칼리성 등에 뛰어난 내약품성, 방오성을 가지며, 아토피 피부에 대해 자극이 거의 없는 친환경 소재이다.
2.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
상기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는 탄화섬유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에서 상기 탄화섬유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탄화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화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아크릴 사를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사는 85~95wt%의 아크릴로니트릴, 6~10wt%의 비닐아세테이트 및 0.1 내지 1.0 wt%의 나트륨메타크릴설포네이트의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크릴 사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또는 에틸, 메타 아크릴산 및 술폰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사는 높은 열수축 응력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사는 0.1 내지 0.3 g/d의 열수축 응력, 20 내지 30%의 수축율 및 30 내지 40%의 고열 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사는 250 내지 350kg/mm2의 영률과 35 내지 45g/d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아크릴 사에 탄소섬유를 혼용하여 혼용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용사는 상기 아크릴 사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탄소섬유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아크릴 사에 탄소섬유를 혼용함으로써, 난연성, 내구성, 단열성, 내열성 및 절연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carbon fiber)는 강철보다 5분의 1 가볍지만, 강도는 10배 이상에 달한다. 이에 따라, 탄소섬유는 우주항공, 스포츠, 자동차, 교량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고강도 구조재 소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탄소섬유는 자동차, 우주항공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고급화로 인하여, 차세대 소재로 본격적인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친환경적, 저에너지 소비형 미래 자동차를 지향함에 따라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분야에서는 향후 문제시 되는 자동차 배기가스 관련 환경규제는 물론, 보다 경량화된 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자동차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구조적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탄소섬유 강화 복합체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는 전구체 섬유를 불융화시키기 위해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을 가하여 산화 및 안정화시키는 산화/안정화 공정, 산화/안정화된 섬유를 고온의 온도에서 탄화시키는 탄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그리고 후속하여 흑연화 공정을 거치기도 한다. 이때, 탄소섬유의 전구체 섬유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 polyacrylonitrile), 피치(pitch), 레이온(rayon), 리그닌(lignin) 및 폴리에틸렌 등이 있다. 이중에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섬유는 50% 이상의 높은 탄소 수율과 높은 융점을 지니기 때문에 다른 전구체에 비하여 고성능의 탄소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최적의 전구체이다. 이에 따라, 현재의 대부분의 탄소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섬유로부터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섬유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탄소섬유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혼용사에 1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1차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혼용사에 1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1차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항균성, 내구성 등의 물성을 강화할 수 있는데, 상기 1차 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대나무 숯 분말, 일라이트 분말, 그래핀, 나노세라믹 입자, 경화제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80 내지 120 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5 내지 10 중량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3 내지 7 중량부, 대나무 숯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1 내지 5 중량부, 그래핀 1 내지 3 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15 중량부, 경화제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정제수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바인더 수지로 기능할 수 있는데, 상기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경화 시 도막 표면상에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공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상기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중량평균분자량(Mw)이 상기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경화시 도막의 내화학성, 가공성, 저장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교형의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300의 하이드록실기(-OH)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0 내지 30㎎KOH/g의 산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산가가 30㎎KOH/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의 내화학성이 저하되고, 10㎎KOH/g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가교 결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는 무기화합물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열화에 의한 변색이 적고,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분자 수지와의 결합을 통해 부식인자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는 내수성, 내화학성, 내염수성과 같은 화학적 특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접착력과 방수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숯 분말은 대나무 숯을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대나무 숯은 일반 숯에 비해 무기물 함량이 2배 가량 많으며, 특히 흡착제로 이용되고 있는 실리카겔의 주성분인 규산이 일반 숯에 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탈취제로 사용된다.
또한, 대나무 숯은 수돗물을 부드럽게 하고, 미량의 염소이온의 발생으로 소독효과가 인정되어 입욕제로 사용되며, 고온탄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매우 높고 전자파 차폐효능이 인정되며 음이온 발생효과가 있어 건강제품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대나무 숯은 죽재를 400℃ 이상의 고온처리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생성 후 일정기간 무균상태로 유지되며, 무기물만이 극소량 함유되고 무기물의 약 60%가 칼슘, 칼륨 등의 알칼리 성분이기 때문에 강한 알칼리성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대나무 숯은 표면적이 큰 다공질체로 되어 있고 유기물 함유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대나무숯 내로 침입하더라도 증식하지 못하고, 산성을 선호하는 미생물의 증식이 대나무숯의 알칼리성으로 인해 억제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일라이트 분말은 일라이트(illite)를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일라이트(illite)는 대표적인 천연 점토 광물질로써 다공성 운모 미네랄로 정의되며 얇은 판상(sheel)의 구조로 요곡성과 탄성을 가지고 있어 탄성과 흡착성이 다른 광물보다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일라이트(illite) 광물의 주 성분은 모공속의 노폐물 및 과일 피지를 제거하는 산화규소(SiO2) 57.5%, 혈액순환을 촉진 작용을 하는 산화알루미늄(Al2O3) 23.3%, 콜라겐 결합작용을 하는 산화철(Fe2O3) 6.76%, 해독작용, 스트레스 억제 및해소 작용을 하는 산화칼슘(C2O) 0.1%, 삼투압 조절 및 수분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산화나트륨(Na2O) 1.21%, 산화마그네슘(MgO) 0.38%, 산화칼륨(K2O) 6.43%, 이산화티타늄(TiO2), MnO, Li, Cr, Zn, Sr 등 4.32%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라이트의 주요 기능으로는 물속의 부유물질을 흡착하고, 음이온을 띠기 때문에 양이온의 부유 미립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 침전을 유발하여, 물의 정화기능, 특정 방사성물질에 대한 흡착/분해 능력이 뛰어나고, 물/토양/대기 중에서 각종 중금속 및 유독가스를 흡착 탈취 분해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면역을 증강시키며, 수중에서 다량의 용존산소를 발산하며, 물 분자를 활성화하고, 일라이트 자체에서 음이온을 다량 발생하고, 40℃에서 93%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바이러스/박테리아/곰팡이 등의 정균 작용, 피부에 묻어있는 각종 중금속/유기물질/독성물질 등을 흡착 분해하고, 탄성이 좋고 덩어리지지 않으므로 부착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그래핀은 강도, 열전도율, 전자이동도, 소취성 및 항균성 등 여러 가지 특징이 현존하는 물질 중 가장 뛰어난 소재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전지, 자동차, 및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관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전략적 핵심소재로 인식되어, 그래핀을 상용화하기 위한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즉,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sp2 혼성으로 육각형 벌집 모양의 격자구조를 이루는 2차원 구조의 탄소 동소체로서, 단층 그래핀의 두께는 탄소원자 1개의 두께인 0.2 내지 0.3nm이다. 그래핀은 높은 전기전도성과 비표면적을 가지므로 슈퍼캐패시터, 센서, 배터리, 액추에이터 용도의 전극(전극 활물질), 터치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고효율 태양전지, 방열필름, 코팅 재료, 바닷물 담수화 필터, 이차전지용 전극, 초고속 충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는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등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는 평균 입경이 500 내지 1,500nm인 나노세라믹 입자가 사용되고,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코팅액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는 글리세린, p-톨루엔술폰산 모노하이드레이트(PTSA, ptoluenesulfonic acid monohydrate), 몰포린(Morpholine),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및 무수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코팅액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용해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코팅액 조성물이 적정한 제형, 점도, 경도 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를 탄화하여 탄화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탄화는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를 1,000 내지 2,000℃가 유지되는 탄화실에서 진행될 수 있고, 탄화 과정에서 배출되는 질소 또는 수소와 같은 기체가 진공 펌프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탄화는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를 롤러에 감고 다른 롤러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가 탄화실을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는 다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의 연화점을 기준으로 예비 소성이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탄화섬유를 제조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혼합사 제조 단계(S300)
상기 혼합사 제조 단계(S300)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와 탄화섬유를 혼합하여 혼합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사 제조 단계(S300)에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와 탄화섬유를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4. 2차 코팅 단계(S400)
상기 2차 코팅 단계(S400)는 상기 혼합사에 2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 코팅 단계(S400)에서 상기 2차 코팅층은 미세먼지 등이 쉽게 부착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항균성, 탈취성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2차 코팅액 조성물은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열전도성 고분자,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폴리실록산, 정제수 및 경화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코팅액 조성물은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 40 내지 60 중량부,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80 내지 320 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180 내지 220 중량부, 열전도성 고분자 1 내지 10 중량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3 내지 7 중량부, 폴리실록산 2 내지 8 중량부, 정제수 50 내지 100 중량부 및 경화제 40 내지 6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는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가 가진 음전하가 미세먼지의 음전하와 반발하여 미세먼지가 원단에 부착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는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는 지름이 10㎛ 이하인 입자상 물질을 의미하며,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먼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박테리아 배양을 통해 직접 셀룰로오스 미세섬유를 합성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를 의미한다. 각종 목재 유래의 크래프트(craft) 종이 또는 아황산 펄프, 이들을 고압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나 밀(mill) 등으로 분쇄한 분말 셀룰로오스, 혹은 이들을 산 가수분해 등의 화학 처리에 의해 정제한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말, 이외에, 케나프, 삼, 벼, 바카스, 대나무 등의 식물 유래의 셀룰로오스와는 구분된다.
상기 박테리아에는, 예를 들어, Acetobacter속, Rhizibium속 및 Agrobacterium속이 포함되고, 박테리아 배양을 위한 영양원이 포함된 배지 안에서 배양하면 배양액의 계면에 박테리아 셀룰로오스가 형성된다. 배양 방법은 정치배양법(Static cultivation)과 진탕배양법(Agitated cultivation)이 있다. 정치배양법은, 먼저 박테리아를 배지에 이식한 후, 플라스크에서 대략 10일 동안 선반 등에 그대로 놓아두며 배양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인 진탕배양법은 액체 배지를 통해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계속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면서 배양하는 방법이다. 상기 박테리아 배양에 의하지 않고,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바이오셀룰로오스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이오셀룰로오스는 3차원 네트워크를 가지며, 높은 결정화도(84~89%)를 가지며, 충분한 공극을 가진다. 바이오셀룰로오스의 길이는 수~수십 마이크로미터이고, 일정한, 즉 고른 길이 분포도의 직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바이오셀룰로오스(이지코스텍, 미타공원단)와 차아염소산 나트륨 및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N-옥시 라디칼(이하, TEMPO) 촉매를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100g 증류수에 10mg TEMPO 촉매를 녹인 후, 5g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넣고 8g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넣은 후 상온에서 pH를 12로 유지하면서 20시간 교반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가 물에 분산된 미세섬유 형태로 제조할 수 잇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분산체를 정제 및 세척과정을 통해 조제 후, 25℃ 온도에서 보관함으로써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는 미세섬유를 포함하는데, 상기 미세섬유는 직경이 50 내지 150nm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수지(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으로 땅 속에서 6개월 이내에 100% 분해가 되는 친환경적인 재료이고, 상기 PBAT 수지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1,4-부탄디올, 아디픽산 및 테레프탈산을 축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PBAT 수지로는 이러한 일반적 방법으로 직접 합성한 것을 사용하거나, 이미 상용화된 수지, 예를 들어, 상술한 상품명 ECOPLEX(바스프)이나, PBG7070(삼성정밀화학) 등으로 상용화된 PBAT 수지 입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BAT 수지는 150,000 내지 4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PBAT 수지가 이러한 분자량의 범위를 가짐에 따라, 상기 PBAT 수지와 폴리실록산, PMMA 수지 조성물 등 다른 재료들과의 상용성 및 가공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고, 비교적 높은 분자량에 따라 보다 향상된 물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는 에틸렌과 초산 비닐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로 통상 EVA로 칭하는 고분자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초산비닐 단량체의 함량이 낮은 경우는 보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이 내충격성, 내스트레스 크래킹성의 물성이 우수하고, 초산 비닐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향상된 접착성을 가지므로 접착제 또는 핫멜트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수지로서 투명성, 유연성, 저온 취성 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매우 친환경적인 수지인데, 예를 들어,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용융지수 400, 초산비닐 함량 28%, 유리전이온도 -28.6℃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44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41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15 중량%의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비스페놀-A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옥텐 고무(EO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는 그라파이트(graphit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는 자외선 차단물질로 사용될 수 있고, 10 내지 1000nm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자외선 흡수가 크고 적외선 반사가 좋아 자외선 뿐만 아니라 적외선 차단 효과도 있으며, 자외선을 산란시켜 차단하는데,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자외선에 분해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유기물을 분해하는 광촉매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우수한 발수력을 제공함으로써, 원단 표면에 대한 우수한 발수성 및 발수내구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의 [화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방향족 유기기, 아크릴레이트류 유기기, 에폭시류 유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수소원자, 황화수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아크릴레이트류 유기기, 에폭시류 유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n은 폴리실록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g/mol 내지 100,000g/mol로 되게 하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실록산은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3:7 내지 7:3이 되도록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코팅액을 구성하는 조성물들을 분산, 용해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글리세린, p-톨루엔술폰산 모노하이드레이트(PTSA, ptoluenesulfonic acid monohydrate), 몰포린(Morpholine),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및 무수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5. 원단 제조 단계(S500)
상기 원단 제조 단계(S600)는 상기 2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합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단 제조 단계(S500)에서 상기 원단은 상기 2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합사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십자 모양으로 교착하도록 엮어 제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2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합사의 제직은 상기 혼합사가 인접하도록 등간격으로 배치하거나, 상기 혼합사를 꼬아 엮음으로써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원단 제조 단계(S500)에서 원단은 경사용 원사 및 위사용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것으로,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98 중량%와 안료 2 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용융 압출한 후 노즐방사하여 다수 가닥의 미연신사를 수득하고,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냉각한 후 복수개의 연신 롤러에 공급하여 연신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하였고, 상기 압출은 75kg/cm2의 압력으로 실시하였고, 상기 방사는 노즐압력 150kg/cm2, 방사온도 200℃, 방사속도 3,000 m/min으로 실시하여 미연신사를 수득하였으며, 상기 연신은 3.5의 연신비로 연신하였다.
다음으로, 아크릴 사를 준비하였고, 상기 아크릴 사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탄소섬유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용하여 혼용사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혼용사에 1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1차 코팅층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1차 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7 중량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5 중량부, 대나무 숯 분말 15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3 중량부, 그래핀 2 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10 중량부, 경화제 30 중량부 및 정제수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었다.
이어서,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를 탄화하여 탄화섬유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와 탄화섬유를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사를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사에 2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2차 코팅액 조성물은 바이오셀룰로오스 수분산체 50 중량부,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00 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200 중량부, 열전도성 고분자 5 중량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5 중량부, 폴리실록산 5 중량부, 정제수 75 중량부 및 경화제 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었다.
이어서, 상기 2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합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폴리프로필렌 원단을 준비하였고, 이를 비교예에 따른 원단으로 사용하였다.
1. 자외선 차단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원단을 KS K 0850:2014 시험법으로 자외선 차단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기기: UV-VIS-NIR Spectrophotometer(Lambda 1050, PerkinElmer, 미국)
파장범위: UV-R (290~400 ㎚) / UV-A (315~400 ㎚) / UV-B (290~315 ㎚)
파장간격: 5㎚
구분 UV-R UV-A UV-B
실시예 87.5% 87.7% 88.1%
비교예 53.2% 54.8% 54.2%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와 같이 제조된 원단은 UV-R, UV-A, UV-B의 자외선 차단율이 각각 53.2%, 54.8%, 54.2%이었으나,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원단은 UV-R, UV-A, UV-B의 자외선 차단율이 각각 87.5%, 87.7%, 88.1%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2. 관능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원단의 표면질감, 먼지오염여부, 기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의류 관련 생산자 및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표면질감 먼지오염여부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1 8.2 8.2
비교예 5.7 5.8 5.7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은 비교예에 따른 원단에 비해, 표면질감, 먼지오염여부 및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항균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원단을 이용하여 사용균주 Escherichia coil ATCC 25922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을 이용하여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료 구분 초기농도 48시간 후 농도(CFU/40p)
대장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450 785
실시예 450 205
녹동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360 550
실시예 360 195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원단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균이 증가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른 원단은 세균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원단은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농도의 단위 중 CFU는 Colony Forming Unit를 의미하며 40p는 0.04mL를 의미한다.
4. 탈취 시험
300cc의 삼각 플라스크에 하기에 기재된 농도를 나타내는 암모니아 악취원을 넣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을 절단하여 원단 시편을 각각 20g씩 넣고 시험액을 각각 5cc씩 첨가 및 밀폐한 후 방치하였고, 이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악취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탈취 시험으로, 28% 암모니아수를 4배 부피의 물에 희석하여 희석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희석액 0.15cc를 넣어 암모니아 농도가 160ppm이 되도록 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암모니아 소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비교예
3분 후 89 148
5분 후 74 140
10분 후 57 133
30분 후 43 129
60분 후 27 123
상기 [표 5]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원단은 우수한 탈취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함량 조사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에 대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시험조건은 하기와 같다.
시험조건 및 참고사항
1. 시료 준비 : 원단 시편(5cm × 5cm)
2. 시료 전처리 : 2시간, 65℃
3. 시료 처리
3.1 테들러 백 크기 : 3L
3.2 질소 주입량 : 3L
3.3 흡착제 : Tenax TA(VOCs), DNPH catridge(Aldehyde)
3.4 시료 채취량
3.4.1 Aldehyde : 1.5L 3.4.2 VOCs : 1L
4. 분석조건(VOCs)
4.1 ATD(Turbomatrix manufactured by Perkin Elmer, USA)
4.1.1 튜브 탈착 온도 : 280℃ 4.1.2 탈착 시간 : 15분
4.1.3 탈착 최고 온도 : 280℃ 4.1.4 탈착 최저 온도 : -30℃
4.2 GC/MS
4.2.1 이동가스 : 헬륨
4.2.2 컬럼온도 : 40℃(2분)→7℃/분→220℃(25분)→7℃/분→280℃(5분)
4.2.3 컬럼 : HP-1, 60m × 0.32mm
5. 분석조건 (Aldehyde)
5.1 HPLC
5.1.1 컬럼 : C18 (150mm × 4.6mm ID) 5.1.2 컬럼온도 : 40℃
5.1.3 이동상 : A : Water/THF(8:2,V:V), B : Acetonitrile
5.1.4 기울기 용리 : 0→25min, B 20→60%, 25→40min, B 20% Hold
5.1.5 유량: 1.5 mL/min 5.1.6 측정 파장: 360nm 5.1.7 주입량 : 20㎕
<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 ; 단위 ㎍/㎥ >
구분 실시예
Benzene 10 미만
Toluene 10 미만
Xylene 10 미만
Formaldehyde 10 미만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원단은 Benzene, Toluene, Xylene, Formaldehyde의 함량이 10㎍/㎥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원단은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친환경적임을 알 수 있다.
6. 냉감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원단을 이용하여 냉감성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조건: 하기의 순서대로 냉감성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실험실 온도 : (20±1)℃
2) 실험실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원단의 온도가 같아지도록 안정화하였다.
3) 500W의 전구(형광등)를 원단과 25cm 떨어진 거리에서 점등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원단의 냉감성을 유도하였다.
4) 총 시간은 60분으로 하였고, 10분 간격으로 촬영하였다.
5)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원단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원단의 표면 온도(℃)
시간(분) 실시예 비교예
0 20.5 20.5
10 20.7 23.8
20 21.1 25.9
30 21.8 29.5
40 22.4 32.8
50 22.8 33.9
60 23.2 37.2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원단의 표면 온도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사를 제조하는 폴리프로필렌 사 제조 단계(S100);
    탄화섬유를 제조하는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
    상기 폴리프로필렌 사와 탄화섬유를 혼합하여 혼합사를 제조하는 혼합사 제조 단계(S300);
    상기 혼합사에 2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2차 코팅 단계(S400); 및
    상기 2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합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 단계(S500)를 포함하되,
    상기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에서 상기 탄화섬유는, 아크릴 사를 준비하고, 상기 아크릴 사에 탄소섬유를 혼용하여 혼용사를 제조하며, 상기 혼용사에 1차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1차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혼용사를 탄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탄화섬유가 사용되고,
    상기 탄화섬유 제조 단계(S200)에서 상기 1차 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80 내지 120 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5 내지 10 중량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3 내지 7 중량부, 대나무 숯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1 내지 5 중량부, 그래핀 1 내지 3 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15 중량부, 경화제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정제수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
KR1020230175360A 2023-12-06 2023-12-06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KR10265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360A KR102654557B1 (ko) 2023-12-06 2023-12-06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360A KR102654557B1 (ko) 2023-12-06 2023-12-06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557B1 true KR102654557B1 (ko) 2024-04-05

Family

ID=9071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5360A KR102654557B1 (ko) 2023-12-06 2023-12-06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5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7159A (ja) * 2007-11-27 2009-06-11 Kuraray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繊維製のシート状繊維構造体
KR101678343B1 (ko) 2016-06-29 2016-11-21 (주)진우섬유 복합기능성 원단의 코팅방법
KR101966554B1 (ko) * 2017-10-25 2019-04-05 주식회사 신흥 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조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KR102040402B1 (ko) 2018-07-03 2019-11-04 김은숙 뛰어난 통기성과 흡습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JP2020130910A (ja) * 2019-02-26 2020-08-31 東洋紡株式会社 衣類
KR20220130868A (ko) * 2021-03-19 2022-09-27 메리디안글로벌 주식회사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7159A (ja) * 2007-11-27 2009-06-11 Kuraray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繊維製のシート状繊維構造体
KR101678343B1 (ko) 2016-06-29 2016-11-21 (주)진우섬유 복합기능성 원단의 코팅방법
KR101966554B1 (ko) * 2017-10-25 2019-04-05 주식회사 신흥 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조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KR102040402B1 (ko) 2018-07-03 2019-11-04 김은숙 뛰어난 통기성과 흡습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JP2020130910A (ja) * 2019-02-26 2020-08-31 東洋紡株式会社 衣類
KR20220130868A (ko) * 2021-03-19 2022-09-27 메리디안글로벌 주식회사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1790B1 (ko) 2021-03-19 2023-03-20 메리디안글로벌 주식회사 다기능성 친환경 의복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pichai et al. Review of the recent developments in all-cellulose nanocomposit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Gashti et al. UV radiation induced flame retardant cellulose fiber by using polyvinylphosphonic acid/carbon nanotube composite coating
Joshi et al. Nanotechnology–a new route to high-performance functional textiles
CN101629335B (zh) 一种抗紫外、抗菌、阻燃涤纶纤维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603634A (zh) 生态保暖棉及其制造工艺
US10689501B2 (en) Composite polyester material, composite polyester fiber,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2001779B1 (ko)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 방법
CN110219071A (zh) 一种抗菌阻燃涤纶丝的生产工艺
Li et al. Recent progress in flax fiber-based functional composites
Tang et al. Multifunctional sandwich-like composite film based on superhydrophobic MXene for self-cleaning, photodynamic and antimicrobial applications
Attia et al. Rational strategy for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coatings for achieving high fire safety, antibacterial, UV protect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functions of textile fabrics
Zhong et al. Titanium dioxide/quaternary phosphonium salts/polyacrylonitrile composite nanofibrous membranes with high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ultraviolet resistance efficiency
KR102654557B1 (ko) 골프웨어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Wu et al. Textile fabrics containing recycl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oyster shells, and silica aerogels with superior heat insulation, water resistance,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KR102466308B1 (ko) 가구용 직물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54347B1 (ko)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원단
TWI337632B (ko)
CN214563531U (zh) 一种吸湿排汗针织印花面料
Wu et al.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ity of nanocomposite mats containing polyester, seashell, and silica aerogel using an electrospinning fabrication approach
KR102505931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자원 재생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El-Gabry et al. Functional finishes of acrylic fibers using different technologies
Khyum et al. Innovations in nonwoven textiles
Ratna et al. Textile applications of carbon nano tube
Cabello-Alvarado et al. Polymer Composites: Smart Synthetic Fibers Approach in Energy and Environmental Care
Pandit Advanced applications of green materials in tex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