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144A - 피부의 외관 및 재생을 개선시키는 신규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 Google Patents

피부의 외관 및 재생을 개선시키는 신규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144A
KR20220130144A KR1020227026362A KR20227026362A KR20220130144A KR 20220130144 A KR20220130144 A KR 20220130144A KR 1020227026362 A KR1020227026362 A KR 1020227026362A KR 20227026362 A KR20227026362 A KR 20227026362A KR 20220130144 A KR20220130144 A KR 2022013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group
derivative
peptide derivativ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우구슈티누스 바더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씨 리제니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씨 리제니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에스씨 리제니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sme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피부의 미용 치료를 위해 설계된 신규한 자연-유래 및 합성 활성 펩티드 또는 펩티드-유래 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 제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활성제는 건강한 피부를 복원, 촉진 및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 미세환경을 조정하고 피부 줄기 세포 거동을 조정함으로써 노화 또는 손상된 피부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치유하고 재생하고 개선시키는 줄기 세포 인자를 포함하는 상기 피부 효과제의 조합 또는 세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피부의 외관 및 재생을 개선시키는 신규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본 발명은 인간 피부의 미용 치료를 위해 설계된 신규한 자연-유래 및 합성 활성 펩티드 또는 펩티드-유래 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 제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활성제는 건강한 피부를 복원, 촉진 및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 세포의 회복 및 재생을 촉발하여, 상승 작용 또는 원치 않는 효과의 상호 경감에 의해 노화 또는 손상된 피부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치유하고 개선시키는 줄기 세포 인자를 포함하는 상기 피부 효과제의 조합 또는 세트를 개시한다. 이러한 제제 및 인자의 신규한 세트는 본 발명에 따라 "촉발 인자 복합체" 로서 지정된다.
피부 항상성 및 상처 치유
인간 피부는 외부 세계에 대한 신체의 주요 장벽 중 하나이며, 지속적으로 해로운 공격에 노출된다. 피부 상태의 지속적인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생물학은 다양한 재생 메커니즘을 개발하였다. 항상성 상태에서 피부 상피 내 세포의 지속적 턴오버는 표면에서 오래된 세포의 배출 (shedding) 및 손실물을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세포의 보상 생성을 수반한다. 외상 (상처), 방사선 조사, 화학적 손상 또는 염증과 같은 더 심한 공격시, 피부에서의 손상 신호의 축적은 정교한 선천적 복구 프로그램의 증가를 일으킨다. 항상성 세포 턴오버 및 전용 복구 프로그램 모두에서,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는 피부 유지의 핵심 실행자로서 역할한다. 두 경우 모두, 이들은 궁극적으로 새로운 세포를 제공하여 오래되고 손실된 세포를 대체한다. 전형적으로 전용 복구 프로그램은 4 개 단계를 따른다: (I) 지혈 (개방된 상처의 경우), (II) 염증, (III) 증식 및 (IV) 조직 리모델링. 두 과정, 항상성 세포 턴오버 및 전용 복구 프로그램 (그의 하위 단계 포함) 은 엄격하게 규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항상성 및 전용 복구 프로그램 모두에서 새로운 세포의 생성 제한 실패에 의한 세포 증식의 오조절은 암 개시를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충분한 새로운 세포를 제공하지 못하면, 재생 과정이 느려지고 피부 장벽 기능이 손상된다. 마찬가지로, 염증을 제한하거나 정지시키지 못하면, 만성 염증 질환, 국소 조직 변성, 줄기 세포 풀 (pool) 고갈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손상 공격에 적절하게 깊은 염증 반응을 증가시키지 못하면, 완전한 재생 능력의 발휘 실패를 초래하여, 동등하게 피부 장벽 기능을 손상시키고 기회 감염의 위험이 있다. 조직 리모델링 수준에서, 이 단계를 거치지 못하면 피부 부속기 및 차선의 세포외 매트릭스 조성물의 손실과 같은 손상된 기능성을 갖는 임시 조직이 피부에 남는다. 반대로, 조직 리모델링 단계을 종결하지 못하면, 동등하게 부정확한 세포외 매트릭스 조성물이 초래되고 섬유증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는 피부 유지 및 복구 프로그램의 정돈된 실행을 조정하기 위한 정교한 메커니즘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추가적인 복잡성은 조직 재생이 항상 미리 결정된 단계의 순서를 갖는 선형 경로가 아니라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매우 큰 상처, 노화 또는 지속적 공격 및 재생 능력의 관련 고갈에 의해 선천적 복구 메커니즘이 압도될 때, 기능적 복구가 손상되고, 궁극적으로 흉터를 수반하는 '손상-통제'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줄기 세포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는 새로운 세포를 제공함으로써 피부 치유에 기여한다. 상이한 줄기 세포 집단은 피부 구획에 따라 기능적 피부 세포를 발생시킨다. 표피는 피부의 최외각 층이며 항상성에서의 세포 턴오버 및 상처발생시 재상피화 둘 모두는 대부분 표피-상주 줄기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표피 표면의 벌크는 모낭간 상피 (IFE) 에 의해 덮이며; 피부 상피의 다른 상피 구조는 모낭 및 땀샘을 포함한다. 상이한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 집단은 피부 상피 내 고유 틈새에 존재한다: IFE 에서의 줄기 세포 (Itg2αhigh, Itg1αhigh), IFE 에서의 전구체 (Inv+, Lgr6+), 누두부에서의 줄기 세포 (Lrig1+), 피지선 도관에서의 줄기 세포 (Gata6+), 지협 및 피지선에서의 줄기 세포 (Lrig1+, Lgr6+, Blimp1+, Plet1+), 및 군살에서의 줄기 세포 (K15+, K19+, Lgr5+, CD34+, Sox9+, Tcf3+) (Dekoninck & Blanpain, 2019, Nature Cell Biology, 21(1), 18-24.). 이러한 모든 세포는 상처에서 일시적인 IFE 상피 세포 보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피부-상주 간엽 줄기 세포 (MSC) (Crigler et al., 2007, The FASEB Journal, 21(9), 2050-2063) 및 조혈 줄기 세포 (HSC) (Fan et al., 2006, Experimental Hematology, 34(5), 672-679) 둘 모두는 추가적으로 어느 정도 상피 재생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이들 공급원 중에서 IFE 줄기 세포 및 전구체는 상처발생시 단기 및 장기 복구 둘 모두의 가장 큰 상피 세포 기여자이다 (Blanpain & Fuchs, 2014, Science, 344(6189)). MSC 는 모낭의 모유두 (DP) 및 연결 조직 피복 (CTS) 의 한정된 틈새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Lau, Paus, Tiede, Day, & Bayat, 2009, Experimental Dermatology, 18(11), 921-933). 더욱이, 진피 및 표피 구획은 서로 단리되는 것이 아니라 소통하고 협동한다. 예를 들어, MSC 는 각질형성세포 및 그의 전구세포와 파라크린 분비 루프에 관여하여, 재상피화를 자극한다 (Lau et al., 2009).
중간엽 줄기 세포 (MSC) 는 피부 항상성, 세포 턴오버, ECM 역학 및 조직 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MSC 는 중간엽 세포 풀을 보충하고, ECM 단백질 침착 및 분해에 관여하고,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의해 조직 역학을 조절한다. MSC 의 다양한 서브클래스는 피부의 상이한 틈새에 존재한다 (Hu, Borrelli, Lorenz, Longaker, & Wan, 2018, Stem Cells International, 2018, 1-13.). 이들은 모낭 (HF)-상주 세포, 예컨대 진피 초세포 (dermal sheath cell) 및 진피 유두 세포 (dermal papilla cell), 진피 내 모낭 간 MSC, 하피 내 혈관구조-관련 혈관주위세포 및 지방-유래 MSC 를 포함한다. 더욱이, 혈관구조로부터 피부로 침투하는 주로 골수-유래된 MSC 의 기여가 보고된 바 있다. 줄기 세포는 자가-재생 능력 및 기능적 세포 유형으로의 분화 능력에 의해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보통의 섬유아세포는 형태학적으로 MSC 와 구별할 수 없고 (다능성) 줄기 세포의 규정 기준을 형식적으로 충족하므로, 줄기 세포 상태와 관련되는 MSC/섬유아세포의 과거 구분은 논쟁 중에 있다 ( Soundararajan & Kannan , 2018,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Wiley - Liss Inc, December 1). 형식적인 분류에 관계없이, 피부 항상성, ECM 역학 및 상처 치유에서 섬유아세포의 역할은 잘 확립되어 있다 ( Rognoni & Watt, 2018, Trends in Cell Biology, 28(9), 709- 7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엽 표현형 다양성은 유두 (상부 진피) 및 망상 (하부 진피) 섬유아세포와 같은 진피층-관련 계통에 의해 더욱 정교해진다 ( Driskell et al., 2013, Nature, 504(7479), 277- 281). 유두 계통은 '재생-촉진 (pro-regeneration)' 표현형을 가지며 모낭의 형성에 요구되는 한편, 망상 계통은 신속한 상처 봉합에 요구되지만 또한 '흉터-촉진 (pro-scarring)' 방식으로 섬유증-관련 ECM 침착에 기여한다. 중간엽 세포 이질성은 또한 분자 수준에서 연구되어왔고 ( Philippeos et al., 2018,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38(4), 811-825; Vaculik et al., 2012,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32(3 PART 1), 563-574), 더 상세한 계통 관계가 최근에 검토되었다 (Lynch & Watt, 2018).
더욱이, 중간엽 세포에서 미세환경 (진피 층)-관련 표현형 다양성에 추가로, 세포-고유 이질성이 또한 존재하며 재생 거동의 지배적인 결정요인이다. 한 가지 주요 인자는 Engrailed-1 (En-1) 상태이다 ( Jiang et al., 2018, Nature Cell Biology, 20(4), 422-431; Rinkevich et al., 2015, Science, 348(6232)). En-1-음성 섬유아세포 (ENF) 는 배아 발생 동안 흉터 없는 상처 치유를 매개한다. 그러나, 배아 발생 후 ENF 수가 감소하고 En-1 양성 섬유아세포 (EPF) 가 우성 계통으로 나타나 흉터 형성을 촉진한다.
노화 피부의 속성
노화 피부에서, 세포 대체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장벽 기능 및 기계적 보호가 손상되며, 상처 치유 및 면역 반응이 지연되고, 체온조절이 손상되며, 땀 및 피지 생성이 감소한다 ( Farage , Miller, & Maibach , 2010, Textbook of Aging Skin, 1-1220). 감소된 세포 턴오버 비율은 거칠기, 지연된 상처 치유 및 불균일한 색소침착을 초래한다. 노인은 젊고 건강한 개인보다 건조한 피부로 고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는 각질층에서 지질 및 천연 보습 인자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피지선의 감소된 기능을 기반으로 하며, 이로써 층판상 이중층을 감소시키고 물 보유 능력을 저하시킨다. 피부 노화는 또한 진피층에서의 세포외 매트릭스 (ECM) 의 광범위한 리모델링, 피부 섬유아세포의 노쇠,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MMP) 의 극적인 상향조절 및 콜라겐 생성의 감소를 수반한다. 콜라겐, 탄성 섬유 및 다른 ECM 단백질의 결과적인 일반적 부족 및 단편화는 주름 및 이완성 피부로서 나타나는 인장 강도의 손실을 초래한다. 더욱이, 진피 유두의 편평화는 블리스터 형성 및 이로 인한 감염의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
손상된 피부 재생 및 흉터는 신호전달 분자 패턴과 상관관계가 있다
생물학적 과정은 세포 및 분자 수준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준으로 조절된다.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는 생물학적 의사 결정을 위해 내부 상태 및 외부 신호를 통합한다. 마찬가지로, 생리학적 피부 항상성 및 재생은 정의된 장소에서 정의된 시간에 작용하는 정의된 신호전달 분자 세트에 의해 지배된다.
촉발 인자에 의한 피부 재생 향상
대부분의 부위에 대해 기능성 피부를 유지하는 능력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항상성 및 자가 복구 메커니즘은 완벽하지 않다. 이는, 예를 들어 매우 큰 상처의 발생, 복구 능력의 만성 활성화-촉발된 고갈, 노화, 후생적 저하, 또는 또 다른 급성 또는 만성 질환 또는 스트레스 인자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선천적 조절계의 단점은 외부 조정에 의해 완화되거나 심지어 극복될 수 있다. 기능적 복구가 목적인 경우, 외부 조정은 전형적으로 조절 교착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접근방식을 필요로 한다. 결국, 이는 종종 다수의 조절 허브를 표적으로 하는 다분적 접근방식을 규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개입은 종종 "1-개체-1-표적 (one-entity-one-target)" 전략을 포함하고 따라서 제한된 효능을 갖는다. 더욱이, 단기간 개선은 종종 조절 교착 상태의 극복과 상관관계가 없으며, 이에 따라 단기간 조정에 대한 지속적인 의존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항염증 약물은 조절 교착 상태를 극복하거나 기능적 회복을 허용하지 않고 염증을 제한함으로써 큰 단기간 완화를 제공한다. 따라서 약물이 회수되면 염증은 종종 다시 급증한다.
외부 줄기 세포를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피부에 공급하는 것에 의존하는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활용하기 위한 기존의 노력은 제한된 성공을 나타내었다.
EPOR-CD131 작용제 펩티드-지질 복합체 및 접합체는 혈관완화제와 함께 사용될 때 초기에 명쾌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WO 2018/086732, 미국 특허 10,456,346). 이들 제제는 단기간 적용에서 화장 제형에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장기간 투여 동안 덜 바람직하거나 심지어 유해한 것으로 밝혀졌다.
발명의 개요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 피부의 재생 및 유지에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효과적인 단일한 신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래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제제는 SEQ ID NO: 1 - 19 에 의해 제시되는 펩티드 서열/식을 특징으로 하며, 하기 섹션에서 보다 상세히 기재된다.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의 재생 또는 외관을 촉발시키거나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를 자극하고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및 펩티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 (A) 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Z1 은 상기 펩티드의 조직 침투 및/또는 기저막 투과를 감소시키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부착된 운반체 모이어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Z1 은 8 - 60 kDa, 바람직하게는 20 - 4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이다.
3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의 재생 또는 외관을 촉발시키거나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는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작용제이고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및 펩티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 (B) 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부착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Z2 는 5 - 42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5 - 25 개의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이고, 예를 들어 Z2 는 미리스톨릴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SEQ ID NO: 5 또는 6 에 의해 제시되는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작용제는 적용 동안,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서열 내 메티오닌 잔기의 공기 산화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은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의 적절한 양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길항제는 SEQ ID NO: 5 또는 6 에 의해 제시되는 작용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정하거나 감쇠시키거나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길항제는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다:
Figure pct00003
또는
Figure pct00004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의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SEQ ID NO: 10 또는 17 에 의해 제시되는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는 적용 동안,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서열 내 메티오닌 잔기의 공기 산화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활성화된다.
상기 작용제의 서열에서 메티오닌 잔기의 공기 산소에 의한 산화에 의한 상기 EPOR/CD131 작용제 및/또는 길항제의 활성의 조정은 본 발명의 추가의 중요한 발견이다.
4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의 재생 또는 외관을 촉발시키거나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는 인간 TGF-β3 의 변이체이고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및 펩티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 (C) 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여기서, X 는 K 또는 E 이고, Z3 은 C-말단에 부착된 당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Z3 은 트레할로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 유도체의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15 내지 50 개의 단량체 단위,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개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다량체 또는 중합체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레할로오스 유도체 단량체 단위 예컨대 4,6-O-(4-비닐벤질리덴)-α,α-D-트레할로오스 또는 Q-6-데옥시-트레할로오스 (Q-6doTh) 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TGF-β3 펩티드 서열 SEQ ID No. 7 및 8 의 C-말단에서의 Z3 의 부착으로 SEQ ID NO: 9 의 펩티드 유도체가 생성되면, 화장 제형 및 각각의 피부에의 적용에 중요한 생성 융합 분자의 보다 장기간 안정성을 야기한다.
따라서, TGF-β3 융합 펩티드: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여기서, X 는 K 또는 E 이고, n 은 15 - 50 의 정수임) 는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낸다.
SEQ ID NO: 1-19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은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는 적용 동안 방출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리포좀 또는 세라마이드 구조 내에 임의로 캡슐화되거나 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각각의 펩티드는 상기 및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기재되는 피부의 미용 치료에 단독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미용 피부 적용을 위한 소위 촉발 인자 복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및 하기에 명시된 바와 같은 상이한 군 (A), (B) 및 (C) 에서 각각 선택된 2 개 또는 3 개의 펩티드의 조합이 훨씬 더 효과적이고, 각각의 단일 제제만을 함유하는 제형과 비교하여 화장 제형의 피부 치료 효능 및 장기간 안정성에 대해 상승작용적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5 의 및 중요한 핵심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및 하기 언급된 군 (A)(B)(C)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상이한 군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의 국소 미용 적용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제의 세트 또는 촉발 인자 복합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I) 군 (A)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B)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1 촉발 인자 복합체;
(II) 군 (A)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C)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2 촉발 인자 복합체;
(III) 군 (B)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C)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3 촉발 인자 복합체; 및
(IV) 군 (A)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군 (B)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군 (C) 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4 촉발 인자 복합체
를 제공한다.
각각의 촉발 인자 복합체는 군 (A) 또는 (B) 또는 (C)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단일 펩티드 성분을 포함하는 각각의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에 비해 개선된 피부 치료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가장 효과적이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것은 군 (A)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군 (B)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군 (C)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촉발 인자 복합체 (IV) 이다.
보다 상세하게, 하기를 포함하는 촉발 인자 복합체가 바람직하다:
(i)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 (A) 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09
(ii)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 (A) 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10
(iii)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 (A) 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여기서, Z1, Z2, Z3 및 X 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또한, 언급된 촉발 인자 복합체 뿐만 아니라 군 (A)(B) 또는 (C) 중 어느 하나의 단일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미용 및 피부 치료 적용에 효과적인 추가의 제제 및/또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SEQ ID No: 10 및 17 을 갖는 길항체의 선택적 존재 외에 -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화장 제형은 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a) 콜라겐 유형 3-유래 매트리킨 활성을 이끌어내며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13
및/또는
(b) CD26/Dpp4 억제를 이끌어내며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14
(여기서, Z2 는 미리스톨릴과 같은 5 - 42 개 탄소 원자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이고, G - K 는 G (글리신) 의 카르복시 기와 K (리신) 의 엡실론 아미노 기 사이의 이소펩티드 결합을 나타내고, K[Z2] 는 K 의 엡실론 아미노 작용기와 지방산 Z2 (예컨대 미리스톨릴) 의 카르복시 작용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나타냄), 유리하고 개선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종합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발견에 관해 구속력이 없는 것으로 명백히 간주될 가정된 일반적인 작용 방식을 고려하여, 하기와 같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단일 펩티드 제제 뿐만 아니라 신규한 촉발 인자 복합체, 즉 신체가 다수의 조절 교착을 극복함으로써 그의 선천적인 재생 능력을 더 큰 잠재력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신규한 펩티드 및/또는 화학적 개체의 몇몇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촉발 인자 복합체의 제 1 주요 특징은 광범위한 적용 스펙트럼을 수반하는 다양한 공격 및 피부 상태에 대한 적합성이다.
본 발명의 촉발 인자 복합체의 제 2 주요 특징은, 치유 과정이 단일-제제 조정을 위해 이를 규정할 것임에 따라, 모든 그의 성분이 시간 및 공간 모두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적용되기보다는 하나의 제형으로 함께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촉발 인자 복합체에 의해 발휘된 조절이 국부적 미세환경과 협력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촉발 인자 복합체의 주어진 서브세트의 활성은 시기적절할 때에만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촉발 인자 복합체의 주어진 서브세트의 효능은 치유 과정의 주어진 중간 단계에서 요구된다. 촉발 인자 복합체의 분자의 이러한 서브세트는 항상 활성이며, 즉 그의 효능이 요구되기 전에, 이러한 경우에, 그리고 심지어 그의 효능이 요구된 후에도 항상 활성이다. 그러나, 촉발 인자 복합체는 활성의 효능으로의 변환을 통제하는 4 가지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첫째로, 이는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손상-관련 분자 패턴, 신경세포적으로 방출된 분자, ECM-분자 및 매트리킨을 포함하는 국소적 시기-특이적 피부 상태 신호와의 세포외 및 세포내 신호 전달 공동-작동 및 조정을 포함한다. 둘째로, 이는 적용된 촉발 인자 복합체, 예를 들어 세포 표면 수용체 발현을 통한 세포 능력, 즉 수용성을 포함한다. 셋째로, 이는 세포 상태에 따라 동일한 자극에 대한 상황적 세포 반응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특히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 분화 상태와 상관관계가 있는 후생유전적 상태에 관한 것이며, 이는 결국 공간 및 시간의 미세환경 모두와 상관관계가 있다. 넷째로, 프로테아제 활성, pH 및 산화 잠재력의 국소 미세환경은 활성 성분의 국소 이용가능성 및 활성을 조절한다.
촉발 인자 복합체의 세 번째 주요 특징은 공격 부재시의 비간섭이다. 이것은 피부 상태 "A" 에 맞서는 촉발 인자 복합체의 서브세트가 상태 "B" 에 의해 영향 받은 피부 또는 건강한 피부에 적용될 때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촉발 인자 복합체는 세포 거동을 유도하기 위해 선천적인 신호 전달 경로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촉발 인자 복합체의 분자는 재생 세포 프로그램을 향하여 줄기 세포 거동을 조종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세포 거동을 결정하는 선천적인 세포 신호전달 경로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피부 복구, 피부 회춘, 천연 피부 광, 주름 감소, 피부의 항노화, 및 건조하고 칙칙하고 파열되기 쉬운 피부의 방지 및 개선을 포함하는, 인간 피부의 국소 미용 치료를 위한 상기 화장 제형 및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용어 "펩티드" 는 본 발명에 따라 아미드 결합에 의해 함께 공유적으로 연결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임의의 펩티드를 의미하고, 용어 "펩티드" 는 달리 폴리펩티드로서 지정된 펩티드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용어 "펩티드 유도체" 는 본 발명에 따라 아미드 결합에 의해 함께 공유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5 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임의의 화학 분자를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펩티드는 비-펩티드 모이어티에 공유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비-펩티드 모이어티는 지방족, 방향족, 호모시클릭, 헤테로시클릭,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모이어티와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기 화학 잔기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특히, 상기 비-펩티드 모이어티는 지방산, 트레할로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유도체 함유 올리고머/중합체, 및 통상적인 약학적 담체,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 는 세포질 내의 β-카테닌의 축적 및 그의 궁극적인 핵 내로의 전좌로 TCF/LEF 패밀리에 속하는 전사 인자의 전사 공동활성화제로서 작용하게 하는 Wnt 경로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 는 하나 이상의 EPO 수용체 서브유닛 (EPOR) 및 하나 이상의 분화 클러스터 131 단백질 (CD131) 을 포함하는, 조직-보호성 EPO 수용체를 의미한다. 분화 클러스터 131 단백질은 또한 사이토카인 수용체 공통 서브유닛 β (CSF2RB) 또는 인터류킨-3 수용체 공통 β 서브유닛 (IL3RB) 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매트리킨" 은 세포외 매트릭스 (ECM) 단백질의 단편화로부터 기원하며 특정 수용체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상기 매트리킨은 피부 조직에서의 세포외 매트릭스 물질 합성 및 조직 재생을 자극하고 조정하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촉발 인자 복합체" 는 인간 피부가 피부 미세환경을 조정하고 줄기 세포 거동을 조정함으로써 더 큰 정도로 그의 선천적 재생 능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펩티드, 펩티드 유도체 및/또는 다른 화학적 개체의 세트를 의미한다.
아미노산 코드: 펩티드 서열의 개시를 위해, 통상적인 한 문자 아미노산 코드가 본원에서 사용된다. 명확성을 위해, A 는 알라닌, C 는 시스테인, D 는 아스파르트산, E 는 글루탐산, F 는 페닐알라닌, G 는 글리신, H 는 히스티딘, I 는 이소류신, K 는 리신, L 은 류신, M 은 메티오닌, N 은 아스파라긴, P 는 프롤린, Q 는 글루타민, R 은 아르기닌, S 는 세린, T 는 트레오닌, V 는 발린, W 는 트립토판, Y 는 티로신을 나타낸다.
TGF 베타 3 모듈
TGF 베타 신호전달은 피부 항상성 및 재생의 주 조절제이다 (Gilbert, Vickaryous, & Viloria-Petit, 2016). 모든 TGF 베타 동형 (TGF 베타 1, TGF 베타 2, TGF 베타 3) 은 상처 치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간단히 말해, 상이한 동형은 자연적 대응물로서 역할한다. TGF 베타 1 및 2 는 염증 세포의 이동 및 활성화, 과립화 조직 형성 및 섬유아세포에서 근섬유아세포로의 전이를 촉진함으로써, 흉터 형성을 촉진한다. 대조적으로, TGF 베타 3 은 염증 과정, 손상-관련 ECM 리모델링을 약화시키고 근섬유아세포 표현형을 제한한다. 더욱이, TGF 베타 3 의 적용은 피부의 대규모 손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미세 손상 또는 환경적으로 스트레스 받은 피부에서 재생-촉진에 대한 세포 거동을 조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체내 TGF 베타 작용은 복잡하고, 재조합 TGF 베타 3 을 투여하는 것은 TGF 베타 3 약물 Juvista 의 임상 III 상 연구의 실패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지 않는다 ( Gunter & MacHens , 2012, European Surgical Research, 49(1), 16-23).
그러나, 본 발명은 미용 적용을 위해 건강한 피부를 지지하는 적합한 제제로서 조작된 인간 TGF β 변이체, 즉 TGF β3 T57K L68H S102E 를 개시한다. 이 구조체는 재조합적으로, 예를 들어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CHO 세포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Figure pct00015
단백질 안정성은 단백질 기반 제품에 대한 빈번한 문제점이다. 화학적 반응, 언폴딩 및 응집을 포함하는 많은 분해 경로는 활성의 손실, 및 올리고머 및 고차 조립체와 같은 면역원성 종류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부산물의 생성에 기여한다. 화장품과 같은 생화학적으로 복잡한 혼합물에서 단백질의 의도된 사용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훨씬 더 큰 도전과제를 제기한다. 지질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종류는 소수성 표면을 노출시키는 언폴딩된 단백질 상태를 열역학적으로 선호한다. 더욱이, 화장품은 단백질 응집을 위한 종자가 풍부하다. 실제로, 포유동물 발현 숙주로부터의 재조합 TGF β3 T57K L68H S012E 는 상업적으로 양립가능한 시간 동안 표준 화장 제형에서 안정하지 않다. 재조합 단백질은 종종 부형제에 의해 안정화된다 (Kamerzell, Esfandiary, Joshi, Middaugh, & Volkin, 2011,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3(13), 1118-1159). 그러나, 이들 부형제 중 다수는 효과적인 단백질-안정화 농도에서 화장 제형을 방해하거나 다른 화장 성분과 부정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단백질 안정화에 대한 또 다른 명쾌한 접근방식은 발현-관련 단백질 글리코실화에 독립적이거나 부가적인 정제후 당중합체-접합이다 (Mancini, Lee, & Maynard, 2012,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34(20), 8474-8479).
그러나, 티올-반응성 접합은 시스테인 부위-비특이적이어서, 표지화 다형성 및 또한 표지화-유도된 비-기능성 TGF 베타 종류 및 로트-대-로트 가변성의 높은 위험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비특이적 표지화는 단백질 태그-기반 효소-촉매화된 접합을 이용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Falck & Muller, 2018, Antibodies, 7(1), 4.). 예를 들어, 소르타아제 A-기반 전략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전략에서, 펩티드 모티프 LPXTG (X 는 예를 들어 K 또는 E 임) 는 TGF 베타 3 또는 임의의 TGF 베타 3 변이체에 c-말단 융합되고, 하기 서열을 갖는다:
[TGF β3 변이체]-LPXTGGG, 또는 TGF β3 T57K L68H S102E 에 특이적임:
Figure pct00016
이러한 융합 단백질은 재조합적으로 생성되어 정제될 수 있다. 단백질 안정성은 당중합체, 예를 들어 4,6-O-(4-비닐벤질리덴)-α,α-D-트레할로오스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에 기여하는 18 개 이상의 단량체) 로 만들어진 폴리비닐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한 합성 전략에서, 하나의 당중합체 말단은 예를 들어 중합체 말단을 아미노 기로 화학적으로 작용화시키고 C-말단 글리신의 카르복시 말단과 아미드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GGG 펩티드에 화학적으로 커플링된다. 이러한 융합 구축물 GGG-당중합체는 부위-특이적 (LPXTG-특이적) 방식으로 소르타아제 A 에 의한 재조합 TGF 베타 3 또는 TGF 베타 3 변이체의 LPXTG 모티프에 대한 공유 결합을 통해 효소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는 하기의 융합 분자를 초래한다:
[TGF 베타 3 변이체]-LPXTGGG-당중합체, 또는 TGF 베타 3 T57K L68H S102E 에 특이적임:
Figure pct00017
여기서, X 는 K 또는 E 이고, Z3 은 당중합체, 예컨대 C-말단에 부착된 트레할로오스 올리고머이다.
TGF 베타 3 T57K L68H S102E 에 대한 4,6-O-(4-비닐벤질리덴)-α,α-D-트레할로오스의 n 단량체로 만들어진 폴리비닐 당중합체의 특정한 경우, 서열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18
또한, 트레할로오스 모이어티에 접합된 아미노산 단량체로부터 고체상 펩티드 합성에 의해 (폴리-)펩티드로서 당중합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De Bona et al., 2009, Journal of Peptide Science, 15(3), 220-228.). 고체상 펩티드 합성(SPPS) 은 아미노산 연장의 단계적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4,6-O-(4-비닐벤질리덴)-α,α-D-트레할로오스의 중합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화학적 중합보다 최종 생성물 길이에 대해 훨씬 더 많은 제어를 제공한다. 그 결과, 생성물 이질성은 화학 중합-기반 전략에서보다 SPPS-기반 전략에서 훨씬 더 작다. 이러한 SPPS-기반 전략을 구현하기 위해, SPPS-양립성 (예를 들어, fmoc/Boc-보호된) 트레할로오스-접합된 아미노산이 이용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시약을 생성하는 많은 방법이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나의 가능성은 화학적 아미드화를 통해 아미노-작용화된 트레할로오스를 fmoc-보호된 아미노산의 측쇄 카르복실 작용기에 공유 결합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6-아미노 6-데옥시 트레할로오스 (Dutta et al., 2019, ACS Central Science, acscentsci.8b00962) 사용하여, 알파 카르복시-보호된 알파 아미노-보호된 글루탐산의 감마 카르복실 작용기를 특이적으로 아미드화할 수 있다. 생성 6-데옥시 트레할로오스-작용화된 아미드, 글루타민-유도체, (Q-6doTh) 모이어티를 SPPS 에 대한 빌딩 블록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그의 알파 카르복시 보호기의 제거, 그러나 그의 알파 아미노 보호기의 유지를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GGG-(Q-6doTh)n 폴리펩티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3 개의 N-말단 글리신 잔기는 6-데옥시-트레할로오스-작용화된 글루타민의 n 단위에 공유 결합한다. SPPS 는 이들 6-데옥시-트레할로오스-작용화된 글루타민의 수 n 에 대한 큰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TGF 베타 3 유도체의 안정화를 위해, 18 이상의 수 n 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레할로오스-작용화된 펩티드는 소르타아제 A 에 의해 TGF 베타 3 변이체 - LPXTG 융합물에 공유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TGF 베타 3 변이체 - LPXTG 융합 단백질은 재조합적으로 생성되고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소르타아제-매개 접합은 하기의 융합 분자를 초래한다:
[TGF 베타 3 변이체]-LPXTGGG-[Q-6doTh]n, 또는 TGF 베타 3 T57K L68H S102E 에 특이적임:
Figure pct00019
,
여기서 n 은 15 내지 50 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18 개 이상의 트레할로오스 변이체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상기 언급된 구조에 접합된 TGF 베타 3 변이체는 에멀젼을 포함하는 표준 화장 제형에서 30℃ 에서 적어도 6 개월 동안 안정하다 (예를 들어 언폴딩-저항성 및 응집-저항성). 이러한 맥락에서, 언폴딩-저항성은 원편광 이색성 (CD) 분광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폴딩된 상태의 >95% 보유로서 정의된다. 응집-저항성은 동적 광 산란 (DLS)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단량체의 분자량의 4 배 이상을 갖는 올리고머 종류의 낮은 (<1%) 상대 존재비로서 정의된다. 정제된 단백질에 대해 CD 분광법 및 DLS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TGF 베타 3 변이체를 광범위한 유동 챔버 투석에 의해 화장 제형으로부터 추출하였다. 투석 막 기공은 TGF 베타 3 변이체 막 트랜스-투과를 허용하기에 충분히 컸다. TGF 베타 3 변이체 단백질을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희석 용액으로부터 동시에 농축하였다.
최종 화장품에서 이러한 안정화된 TGF 베타 3 변이체 접합체의 바람직한 농도는 80pM 내지 500nM 범위이다.
줄기 세포 항상성 모듈
줄기 세포는 조직 발생, 항상성, 재개 및 공격시 재생의 핵심 매개체이다. 차례로, 이들은 신호전달 분자, 세포 접촉 및 세포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 인자에 의해 조절된다. 피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직에서의 하나의 중추적인 줄기 세포 조절제는 Wnt 신호전달이다 (Clevers, Loh, & Nusse, 2014, Science, 346(6205), 1248012). Wnt 신호전달은 부분적으로 별개의 역할을 갖는 별개의 틈새의 다양한 줄기 세포 집단, 예를 들어, IFE 줄기 세포 및 HF 줄기 세포에 작용한다 (Choi et al., 2013, Cell Stem Cell, 13(6), 720-733). 또한, 이는 줄기 세포의 항상성 증식에 중요하지만, 염증 동안 다른 과증식 유도제에 의해 우회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nt 신호전달은 일반적으로 줄기 세포 및 전구체 구획의 확장을 촉진한다. 예를 들어, 자가분비 Wnt 신호전달은 모낭간 표피 (Lim et al., 2013, Science, 342(6163), 1226-1230) 및 모낭 벌지 (bulge) (Jaks et al., 2008, Nature Genetics, 40(11), 1291-1299; Lim, Tan, Yu, Lim, & Nusse, 2016,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3(11), E1498-505) 에서 Axin2-양성 기저층의 자가 재생을 자극한다. 더욱이, 지속적인 표피 Wnt 신호전달은 심지어 줄기 세포가 풍부한 이소성 모낭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피 Wnt/β-카테닌 신호전달은 진피 구획에 영향을 주며 청소년, 신생아 상태를 향한 진피의 재프로그래밍을 촉진한다 (Collins, Kretzschmar, & Watt, 2011, Development, 138(23), 5189-5199; Lichtenberger, Mastrogiannaki, & Watt, 2016, Nature Communications, 7, 1-13). 진피 효과는 증가된 섬유아세포 증식, ECM 리모델링, 성숙 및 변경된 지방생성이다. 특히, 표피 Wnt/β-카테닌 신호전달은 '재생-촉진' 유두 섬유아세포 계통의 확장을 유도한다 (Driskell et al., 2013, Nature, 504(7479), 277-281).
그럼에도 불구하고, Wnt 신호전달은 맥락과 관련되며 병리학적 조직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Wnt/β-카테닌은 피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직에서 섬유증의 주요 요인이다 (Burgy & Konigshoff, 2018, Matrix Biology, 68-69, 67-80). Wnt/β-카테닌의 구성적 활성화는 다양한 모델에서 섬유증을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Burgy & Konigshoff, 2018, Matrix Biology, 68-69, 67-80). 이는 과거 미용 목적을 위한 Wnt 신호전달의 단순한 외부 자극을 배제하였다. 특히, 섬유증은 섬유아세포의 근섬유아세포 전이로의 진피-관련 교란, 일탈적 ECM 침착 및 미해결 염증으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표피에서의 Wnt 신호전달의 자극 및 진피에서의 자극의 부재를 수반하는 Wnt 경로 자극의 공간적 분리는 섬유증 유도의 문제를 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간 제어는 Wnt 경로-자극 단백질의 세포 유형-특이적 유전자 발현을 허용하는 실험 모델 시스템에서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 Lichtenberger et al., 2016). 그러나, 숙주 게놈의 변경에 의한 이러한 유형의 조정은 의료 제품 또는 화장품에서의 일상적인 적용에는 가능하지 않다. 대조적으로, Wnt 신호전달의 약리학적 자극제는 작은 분자로서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국소 투여시 피부 내에서의 이들의 효율적인 확산 및 생체이용률은 활성의 효율적인 공간적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의 작은 분자 Wnt 자극제는 표피에서 이들의 활성을 발휘할 수 있지만, 또한 효율적인 농도로 진피에 축적되어 그곳에서 그의 활성을 발휘할 것이다. 천연 수용체 작용제 또는 그의 유도체의 사용은 탐구되지 않은 가설 옵션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는 적어도 10 개의 Fzd 수용체 및 Lrp5/6 공동 수용체에 대해 교차작용하는 19 개의 인간 Wnt 단백질을 포함하는 Wnt 작용제의 복잡성에 의해 복잡해진다 (Janda et al., 2017, Nature, 545(7653), 234-237; Katoh, 2008, Current Drug Targets, 9(7), 565-570; Nusse & Clevers, 2017, Cell, 169(6), 985-999). 더욱이, 신규한 인공 융합-구조체 대리 작용제에서 방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Wnt 단백질은 활성에 대한 부위-특이적 팔미토일화를 전통적으로 필요로 한다 (상기 Janda et al., 2017).
본 발명은 Wnt/β-카테닌 신호전달을 자극하고 미용 용도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는 신규한 개체를 개시한다. 이들 분자는 통상적인 화장 제형에서 그의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제자리에서 단거리 활성, 즉 진피가 아닌 표피에서 활성 변이체의 충분한 이용가능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개체는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20
또한, 이들 펩티드는 운반체 분자 Z1 을 융합시킴으로써 N-말단 상에서 변형될 수 있고, 이로써 이들의 조직 침투 및 기저막 투과를 제한한다. 이는 기저막을 넘어서 효과적인 농도에 도달하지 않고 더 높은 농도의 분자를 국소 적용할 수 있게 한다.
Figure pct00021
임의 크기의 운반체는 펩티드의 조직 침투 및 기저막 투과를 감소시켜, 이득을 제공한다. 하나의 특히 적합한 운반체 (Z1) 는 8-60kDa 범위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이는 NHS-작용화된 PEG 를 사용하여 펩티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운반체 유형에 관계없이, Wnt-자극 개체 수행은 표피 투과 반감기가 740 시간보다 더 높아서, 이러한 개체의 더 높은 용량의 적용을 허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개체의 표피 투과 반감기는 농도 시간 곡선을 생성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표피 및 진피 내의 이러한 개체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연구될 수 있다. 측정은 시간에 따라 피부 펀치 생검을 샘플링하고, 외과적 절개에 의해 표피 및 진피를 분리하고, 조직 표본을 균질화 및 용해시키고, 항체-기반 친화성 강화 수단에 의해 샘플 내의 관심 개체를 풍부화하고, 풍부화된 샘플을 절대 정량화를 위해 질량 분광 분석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최종 화장품에서 740 시간보다 더 높은 표피 투과 반감기를 갖는 이러한 운반체-접합된 Wnt 작용제의 바람직한 농도는 150nM 내지 500μM 범위이다.
매트리킨 모듈
매트리킨은 조직 리모델링 동안 세포외 매트릭스의 분해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에서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자연 발생 분자이다. 세포외 매트릭스의 역할은 상처 치유 및 흉터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Lo, Zimmermann, Nauta, Longaker, & Lorenz, 2012, Reviews, 96(3), 237-247 ; Marshall et al., 2016, Advances in Wound Care, 7(2), 29-45; Xue & Jackson, 2015, Advances in Wound Care, 4(3), 119-136). 매트리킨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MMP) 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염증, 면역 세포 화학주성, 장기 발생, 상처 치유, ECM 합성 및 혈관형성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할 수 있다 (Bonnans, Chou, & Werb, 2014,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15(12), 786-801; Bunney, P. E., Zink, A. N., Holm, A. A., Billington, C. J., & Kotz, 2017, Physiology & Behavior, 176(205), 139-148).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과 함께, 매트리킨은 화장품에서 피부 컨디셔닝을 위한 활성 생물제제의 제 3 의 기둥이 되었다 (Aldag, Teixeira, & Leventhal, 2016, Cosmetic and Investigational Dermatology, 9, 411-419). 예를 들어, 상업적 매트리킨은 펩티드 GHK, GEKG, KTTKS 및 이의 아실화된 버전을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인 ECM 합성, 또는 피브로넥틴 또는 콜라겐 단백질과 같은 특정 ECM 단백질의 합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양한 ECM 단백질의 더 큰 단편을 포함하는 더 많은 매트리킨이 기재되었고, 어느 정도 상처 치유에서도 연구되었다 (Ricard-Blum & Salza, 2014, Experimental Dermatology, 23(7), 457-463). 이들은 아그레칸 코어 단백질,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피브로넥션, 라미닌, 테나신, 신데칸, 퍼레칸, 엘라스틴, 트로포엘라스틴, 및 콜라겐 IV 알파 사슬, 콜라겐 XIII 알파 사슬, 콜라겐 XII 알파 사슬, 콜라겐 XXIII 알파 사슬, 콜라겐 XIX 알파 사슬 및 콜라겐 XXV 알파 사슬을 포함하는 다양한 콜라겐으로부터의 단편을 포함한다. 콜라겐 단백질은 가장 풍부한 ECM 단백질 중 일부이며,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과정에서 ECM 상태의 중요한 조절자 및 특징 둘 모두이다. 예를 들어, 신생아 피부와 비-흉터 상처 치유 피부 둘 모두는 높은 콜라겐 III 대 콜라겐 I 존재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한편, 노화된 피부 및 흉터 상처의 피부는 낮은 콜라겐 III 대 콜라겐 I 존재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rshall et al., 2016, Advances in Wound Care, 7(2), 29-45). 또한, 감소된 양의 콜라겐 III 은 근섬유아세포 분화 및 섬유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olk, Wang, Mauldin, Liechty, & Adams, 2011, Cells Tissues Organs, 194(1), 25-37). 콜라겐 III 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1,2,3,8,10,13,14,16 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Sternlicht & Werb, 2001, Annual Review of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463-516).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절단 모티프는 다양한 MMP 에 대해 확인되었고, 대부분 PXXL, PXXI, PXXV 또는 PXXM 모티프를 대략적으로 구성한다 (Eckhard et al., 2016, Matrix Biology, 49(2016), 37-60).
본 발명은 콜라겐 유형 3 알파 사슬 1 (콜라겐 유형 3 알파 사슬 1 서열에서 양 말단의 MMP-절단 부위와 일치하는) 에서 유래한 하기 펩티드가 매트리킨 활성을 가지며 피부 상처 치유 및 미용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한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이들 펩티드는 고체 상태 펩티드 합성과 같은 화학적 수단에 의해 또는 재조합 콜라겐 유형 3 알파 1 단백질을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로 분해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이들 특정 관심 펩티드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모세관 전기영동과 같은 전기영동에 의해 가수분해물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정제 가수분해물은 화장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언급된 펩티드는 N-말단 상에서 아실화되어 조직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24
아실은 지방산의 카르복실 작용기와 펩티드 N-말단의 아미노 작용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 예를 들어 펩티드 N-말단의 미리스토일화를 통해 펩티드에 부착된 5-4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비분지형 지방산을 지칭할 수 있다.
최종 화장품에서 이러한 아실화된 콜라겐 유형 3 알파 사슬 1-유래 펩티드의 바람직한 농도는 50pM 내지 500nM 범위이다.
EPOR-CD131 이종수용체 작용제 모듈
EPOR/CD131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수용체의 작용제는 조직-보호제이다 (Leist, 2004, Science, 305(5681), 239-242). 이 수용체는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수용체 및 CD131 단백질 (분화 클러스터 131, 사이토카인 수용체 공통 서브유닛 베타의 명칭 또는 유전자 명칭 CSF2RB 으로도 알려져 있음) 을 포함하는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로서 발생한다. 그러나, 이 잠재력을 이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되었다. 천연 수용체 작용제, 에리트로포이에틴은 부작용 및 다른 문제로 인해 치료제로서 조기에 중단되었다. 또한, EPOR-CD131 작용제 펩티드-지질 복합체 및 접합체는 혈관이완제와 함께 사용될 때 초기에 명쾌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Bader, 2017, PCT/EP2017/001289). 이들 제제는 단기간에서 화장 제형에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장기간 투여 동안 유해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크게 재생 능력의 만성적 과자극에 따라, 이러한 능력의 고갈을 초래하기 때문일 수 있다.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이는 부분적 줄기 세포 고갈, 후생적 변화, 성숙 세포로의 전구 세포의 손상된 분화, 및 '재생 자극'-불응성 표현형으로의 줄기 세포의 이동과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제제의 사용은 유해한 2 차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엄격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첫번째, 이들 제제에 대한 반응성은 집단 내의 효과기 신호전달 경로의 다수 단백질의 유전자형 가변성의 기저를 이룬다. 두번째, 원치 않는 장기간 효과에 대한 기여 및 이의 표출은 기존 조직 상태에 따라 좌우된다. 세번째, 자가-투여/소비의 개인 순응도 및 감소 효과에 대한 잠재적 보상 반응이 주요 쟁점을 제시하고 있다. 제품 시험 연구에서, 일부 시험 개인은 더 많은 제품을 적용하거나 더 높은 적용 빈도로 적용함으로써 제품 성능 저하를 보상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락을 더 악화시켰다. 결국, 초기에 제품에 만족한 시험 개인의 58.4% 가 9 개월 내에 개인 시점에서 유익한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더욱이, 시험 개인의 13.3% 는 심지어 시험을 시작하기 전에 비해 역효과, 즉 피부 상태의 명백한 악화를 보고하였다.
본 발명은 EPOR/CD131 이종이량체/이종올리고머 수용체에 대한 작용제로서 작용하고 동일한 부류의 이전의 촉발제에서 관찰되는 원치 않는 장기간 효과를 유도하지 않는 신규한 촉발제를 개시한다. 이는 이전 제제에 비해 두 가지 개선을 기반으로 한다.
첫 번째 개선은 신속한 불활성화 메커니즘의 통합이며, 이는 제자리에서, 즉 피부에 적용될 때 활성제를 신속히 불활성화시킨다. 이는 새로운 생성물이 적용될 때 촉발제 활성의 짧은 스파이크로 이어지며, 이는 즉시 붕괴된다. 활성의 이러한 시간적 제한은 촉발제의 즉각적인 성능의 단지 경미한 감소 뿐만 아니라 원치 않는 장기간 효과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한다.
이러한 분해 메커니즘을 구현하지만 생성물의 저장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단 제제가 적용되면 분해가 급격하게 시작되거나 가속되어야 한다. 통상 적용 시점은 저장 용기를 떠나는 시점과 일치한다. 이는 저장 용기에 존재하는 조건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피부 상의 적용 지점 사이의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조건의 차이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다음 전략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합한 방식으로 공기로부터 분자 산소를 포함하는 환경 산화제에 의한 산화에 민감하여, 적용시 화합물의 적절하게 빠른 산화-유도된 불활성화를 수반하는 신규한 EPOR/CD131 수용체 작용제를 개시한다. 저장 용기 내 산화제의 부족으로 인해, 저장 용기 내에서 산화-유도 불활성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펩티드의 서열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25
이러한 펩티드는 그의 N-말단에서 아실화되어 조직 투과성이 증가하여, 하기 구조를 발생시킨다:
Figure pct00026
아실은 지방산의 카르복실 작용기와 펩티드 N-말단의 아미노 작용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 예를 들어 펩티드 N-말단의 미리스토일화를 통해 펩티드에 부착된 5-4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비분지형 지방산을 지칭할 수 있다. 생성물과 산소가 접촉하고 이후 산화방지제가 고갈되면, 펩티드 메티오닌은 메티오닌 술폭시드로 산화되어 펩티드를 불활성화시킨다.
두 번째 개선은 길항제의 혼입이며, 이는 또한 동등한 분해를 거친다. 길항제 부재 하에, 더 많은 생성물의 적용은 더 많은 활성제의 적용을 수반하고, 이에 따라 더 강하고 더 긴 자극을 이끌어낸다. 길항제 존재 하에, 더 많은 생성물의 적용은 일정한 비율에서 더 많은 활성제 (즉, 작용제) 및 더 많은 길항제 둘 모두의 적용을 수반한다. 그 결과, 수용체 활성화 및 이의 다운스트림 신호전달은 제약될 수 있고 적용된 생성물의 양에 덜 의존하게 된다. 작용제와 길항제의 절대량보다는, 그들의 수용체 친화성 및 수용체를 활성화 또는 억제하는 그들의 잠재력이 총 수용체 활성화 강도를 통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항제는 작용제의 경우와 유사한 불활성화를 거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길항제는 작용제의 불활성화시 지배적이 될 것이다. 이는 기저 내인성 신호전달을 또한 억제하기 때문에, 원치 않는 것이다. 또한, 길항제는 반복된 생성물 적용을 통해 축적될 것이고, 이에 따라 작용제에 대한 활성 길항제의 비율 (즉, 이 경우 불균형) 을 더 증가시킨다.
적합한 길항제 화합물의 서열은 하기의 것이다:
Figure pct00027
이러한 펩티드는 그의 N-말단에서 아실화되어 조직 투과성이 증가하여, 하기 구조를 발생시킨다:
Figure pct00028
아실은 지방산의 카르복실 작용기와 펩티드 N-말단의 아미노 작용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 예를 들어 펩티드 N-말단의 미리스토일화를 통해 펩티드에 부착된 5-4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비분지형 지방산을 지칭할 수 있다.
최종 화장품에서 이러한 EPOR/CD131 작용제 및 길항제 펩티드의 바람직한 농도는 30pM 내지 250nM 범위이다.
CD26/DPP4 억제에 의한 섬유증 ECM 리모델링 제한
전섬유성 EPF 계통은 CD26 발현을 특징으로 하고, CD26 의 억제는 손상시 흉터를 제한할 수 있다 (Rinkevich et al., 2015, Science, 348(6232)).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이는 감소된 섬유증-관련 ECM 변경 및 감소된 근섬유아세포 분화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CD26 억제 상처에 의한 자연적 흉터 과정을 손상시킨 결과로서, 상처를 닫고 치유하는 데 더 오래 걸린다. CD26 프로테아제에 대한 느리게 가수분해가능한 기질인 디프로틴 A 와 같은 이전의 저효능 CD26 억제제가 사용되었다 (Rinkevich et al., 2015). 높은 효능의 경구로 이용가능한 소분자 CD26/Dpp4 억제제는 글립틴으로서 존재하지만, 글립틴은 심각한 역효과와 연관된다 (Attaway, Mersfelder, Vaishnav, & Baker, 2014, Journal of Dermatological Case Reports, 8(1), 24-28; Fisman & Tenenbaum, 2015, Sep 29, Cardiovascular Diabetology. BioMed Central Ltd.; Nakatani et al., 2012, Diabetes Therapy, 3(1), 1-5).
본 발명은 미용 적용에 적합한 신규한 CD26/Dpp4 억제제를 개시한다.
이들은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29
G 와 K 사이의 대시는 G 의 카르복시 작용기와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 작용기 사이의 이소-펩티드 결합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신은 유리 알파-아미노 작용기를 갖는다.
더욱이, 펩티드는 아실화되어 조직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30
K[아실] 는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 작용기와 지방산의 카르복시 작용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나타낸다. 아실은 5-4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비분지형 지방산,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을 지칭할 수 있다.
최종 화장품에서 이러한 CD26/Dpp4 억제제 펩티드의 바람직한 농도는 500nM 내지 1mM 범위이다.
촉발 인자 복합체에 신호전달 모듈 조합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단일 피부 재생 향상 모듈 또는 이의 특정 분자는 피부 상태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에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모듈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듈을 하나의 생성물에 조합함으로써 피부 상태에 대한 상승적인 긍정적 효과를 드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분자와 종래의 화장 성분의 조합
화장 제형에, 본 발명에 따른 분자의 기재된 효과를 넓히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의 보조제 및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예를 들어, 피크노게놀, 보조효소 Q10, 인삼 추출물, 쿼세틴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두콩 추출물, 조류 추출물, 탄닌, 차 추출물, 특히 녹차 추출물, 겨자 추출물, 카옌 페퍼로부터의 알칼로이드 추출물, 오메가-3 및 오메가-6 지방산, 펩티드, 아미노산, 비타민, 특히 비타민 E 아세테이트, 스핑고지질, 세라마이드,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매트리킨, 혈관완화제이다.
화장 제형 및 분자 전달
이러한 혁신의 제형은 임의의 화장 제형, 예를 들어 임의의 크림, 로션, 세럼 등과 조합될 수 있다.
효능 시험 데이터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인간 피부 맥락에서 본 발명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1 개월 제어 화장품 피부 개선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어세이에서, 본 발명의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 제형의 적용시 화장 안면 피부 외관을 모니터링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시판 최신 얼굴 피부 이미징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 Canfield Bio VisiaTM 를 사용하였다 (https://www.canfieldsci.com/imaging-systems/visia-complexion-analysis/). 이 플랫폼은 (i) 고도로 표준화된, (ii) 고도로 재현가능한, (iii) 정량적인, (iv) 비-침습적인, 및 (vi) 대상체 또는 검사자 무편견 피부 품질 분석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는 상이한 각도에서 얼굴의 여러 사진을 기록하고 흡수/반사 스펙트럼을 기록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플랫폼은 '반점', '주름', '구멍', '매끄러움', 'UV 반점' 및 '갈색 반점'을 포함하는 피부 품질의 여러 매개변수를 정량화한다. 내장 소프트웨어는 피부 특성 규범의 큰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모든 매개변수를 표준화하고, 대상체 간 비교를 허용하기 위해 백분율 값을 반환한다. 건강한 대상체는 맹검 방식으로 촉발 인자 복합체가 있거나 없는 표준 화장 베이스 제형을 받았고, 즉 대상체는 받은 화장 크림의 정체를 알지 못하였다. 화장 베이스 제형은 물,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펜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수소화 포스파티딜콜린, 세라마이드,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혈관완화제, 매트리킨, 아미노산, 에탄올 및 글리세린을 함유하였다. 대상체는 1 일 2 회 크림을 적용하고 얼마나 적용할지를 지시받았다. 대상체 피부 품질은 적용 시작 전 및 1 개월 후 (30±3 일)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서, 계절과 생활 방식 변화 관련된 피부 품질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손 외부 표면의 품질도 모니터링하였다. 외부 손 표면 피부 품질은 분석에 포함된 임의의 대상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이에 의해 어세이 시간선이 전체 피부 품질에서 임의의 생활 방식 또는 계절 관련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데이터 1: 단기 연구' 섹션에 기재된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얼굴 피부에 대한 촉발 인자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장기간 효과를 2 가지 장기간 9 개월 연구에서 연구하였으며, 여기서 제품 투약량 및 적용 빈도는 상업적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시험 대상체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되었다. 화장 베이스 제형은 1 개월 연구에서 사용된 제형과 동일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그리고 변화를 감지했을 때 연구 동안 임의 시점에서 피부 상태, 제품의 효과 및 부작용의 주관적 느낌을 보고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연구 과정에 걸쳐 화장품의 성능이 어떻게 변함없이 유지되거나 변화하는지에 대한 느낌을 보고하였다. 두 연구는 사용한 정확한 촉발 인자 복합체가 상이하였으며 이를 연구 결과와 함께 하기 '데이터 2: 장기간 연구 1' 및 '데이터 3: 장기간 연구 2'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어된 1 개월 연구에서 수득한 4 가지 촉발 인자 복합체 (TFC8-A, TFC8-B, TFC8-C, TFC8-D) 에 대한 화장 성능 정보가 개시된다. 이들 촉발 인자 복합체에 포함된 분자를 표 1 - 4 에 열거한다. TFC8-A 및 TFC8-C 는 줄기 세포 항상성 모듈의 분자만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TFC8-B 및 TFC8-D 는 줄기 세포 항상성 모듈의 분자만 상이하다.
실시예 1: 하기 촉발 인자 복합체 1 (TFC8-A) 이 구성되었다:
Figure pct00031
실시예 2 : 하기 촉발 인자 복합체 2 (TFC8-B) 가 구성되었다: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실시예 3 : 하기 촉발 인자 복합체 3 (TFC8-C) 이 구성되었다:
Figure pct00034
실시예 4 : 하기 촉발 인자 복합체 4 (TFC8-D) 가 구성되었다:
Figure pct00035
연구 결과 (도 1 및 2 에서 명시됨):
단기간 연구 (도 1)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은 촉발 인자 복합체 TFC8-A, TFC8-B, TFC8-C 및 TFC8-D 를 제어된 1 개월 화장품 투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조건 및 실행은 상기 '효능 시험 데이터' 에서 기재된다.
제어된 1 개월 연구의 결과를, 7 가지 유형의 피부 외관 (x 축) (반점 (1), 주름 (2), UV 반점 (3), 갈색 반점 (4), 구멍 (5), 적색 혈관신생 (6) 및 매끄러움 (7)) 에 관한 정규화된 "Visia" 스코어의 백분율 변화 (y 축) 를 도시하는 도 1 에 나타낸다. 피부 외관을 명시된 바와 같은 모든 4 가지 촉발 복합체에 대해 나타낸다 ("Visia" 스코어 시험은 효능 시험 데이터 섹션에서 상기에 기재됨). 변화는 값의 정규화된 차이와 관련된다 (적용 1 개월 후 정규화된 값 - 적용 시작 전 정규화된 값). 막대는 평균 정규화된 변화를 나타내고, 오차 막대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모든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0 과 상이하다 (p-값 < 5%). 더욱이, 모든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어떠한 촉발 인자 복합체도 없이 비히클 대조군 화장 베이스 제형을 받은 대상체에서 관찰된 변화와 상이하다 (p-값 < 5%). 촉발 인자 복합체를 함유하는 모든 화장 제형은 30±3 일의 시험 기간에 걸쳐 Canfield Bio Visia 장치에 의해 보고된 피부 매개변수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피부 외관의 개선을 초래한다.
장기간 연구
연구 1: '실시예' 섹션에서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은 촉발 인자 복합체 TFC8-A, TFC8-B, TFC8-C 및 TFC8-D 를 또한 9 개월 화장품 투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조건 및 실행은 상기 '효능 시험 데이터' 에서 기재된다. 상기 촉발 인자 복합체는 또한 광범위한 고객 제품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는 시험 대상체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된 제품 투약량 및 적용 빈도로 첫 번째 9 개월 장기간 투여 연구에서 잘 수행되었다. 4 가지 촉발 인자 복합체 모두는 낮은 위험성의 줄기 세포 재생 과자극 및 후속 고갈과 관련되었다. 전체적으로, 시험 대상체의 7.2% 만이 제품 성능 저하를 보고하였고 시험 대상체의 1.6% 만이 시험 기간 내에 주관적으로 인지된 피부 상태의 명백한 악화를 보고하였다. 유의한 역효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 2 (도 2): 피부 상태에 장기간 제품 투여의 효과에 대한 촉발 인자 복합체의 줄기 세포 항상성 모듈의 분자의 역할을 더 조사하기 위해, 추가의 9 개월 장기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건 및 실행은 상기 '효능 시험 데이터' 섹션에 기재된다. 비교가능성을 보장하고 줄기 세포 항상성 모듈의 4 개 펩티드 (SEQ ID NO: 1, SEQ ID NO: 2, SEQ ID NO: 3, SEQ ID NO: 4) 를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이들 4 개 펩티드를 '실시예' 섹션에서 상기 촉발 인자 복합체 TFC8-D 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은 다른 모듈의 동일 분자 세트와 함께 시험하였다. 전과 같이, 펩티드 유도체 SEQ ID NO: 3 및 SEQ ID NO: 4 에서 운반체는 분자량이 35kDa 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었다. 이러한 두 번째 장기간 연구는 줄기 세포 항상성 모듈 분자가 연구 과정에 걸쳐 제품 성능의 저하와 차등적으로 관련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 개 펩티드 각각에 대해 관련되는 보고된 제품 성능 저하의 빈도를 도 2 에 나타낸다. 오차 막대는 관찰된 빈도의 95% 신뢰 구간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SEQ ID NO: 4 에도 함유된 SEQ ID NO: 2 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 3 에도 함유된 SEQ ID NO: 1 의 서열보다 연구 기간 동안 제품 성능 저하와 더 강력하게 관련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값 < 5%). 둘째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운반체는 아미노산 서열 둘 모두의 경우에 제품 성능 저하 빈도를 적당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빈도는 SEQ ID NO: 1 보다 SEQ ID NO: 3 에 대해 더 낮았고, SEQ ID NO: 2 보다 SEQ ID NO: 4 에 대해 더 낮았다.
SEQUENCE LISTING <110> ASC REGENITY LTD. <120> Cosmetic formula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comprising novel peptides that improve appearance and regeneration of skin <130> ASC-TFC-WO21 <140> PCT/EP2021/025016 <141> 2021-01-18 <150> EP 20 000 033.9 <151> 2020-01-21 <160> 19 <170> BiSSAP 1.3.6 <210> 1 <211> 3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stimulates the Wnt ß-catenin signaling pathway <400> 1 Leu Asn Pro Ser Glu Cys Pro Lys Thr Val Leu Gly Ala Glu Tyr Gly 1 5 10 15 Lys Thr Leu Asp Ala Ser Tyr Ser Thr Ala Glu Ala Glu Asn His Val 20 25 30 Arg Leu <210> 2 <211> 3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stimulates the Wnt ß-catenin signaling pathway <400> 2 Leu Asn Pro Ser Glu Cys Pro Lys Thr Val Leu Gly Ala Ser Thr Ser 1 5 10 15 Thr Leu Asp Ala Ser Tyr Ser Thr Ala Glu Ala Glu Asn His Val Arg 20 25 30 Leu <210> 3 <211> 3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stimulates the Wnt ß catenin signaling pathway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any carrier moiety covalently attached to the N-terminus of said peptide that reduces skin penetration, such as polyethyleneglycol (PEG) <400> 3 Xaa Leu Asn Pro Ser Glu Cys Pro Lys Thr Val Leu Gly Ala Glu Tyr 1 5 10 15 Gly Lys Thr Leu Asp Ala Ser Tyr Ser Thr Ala Glu Ala Glu Asn His 20 25 30 Val Arg Leu 35 <210> 4 <211> 3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stimulates the Wnt ß-catenin signaling pathway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any carrier moiety covalently attached to the N-terminus of said peptide that reduces skin penetration, such as polyethyleneglycol (PEG) <400> 4 Xaa Leu Asn Pro Ser Glu Cys Pro Lys Thr Val Leu Gly Ala Ser Thr 1 5 10 15 Ser Thr Leu Asp Ala Ser Tyr Ser Thr Ala Glu Ala Glu Asn His Val 20 25 30 Arg Leu <210> 5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agonist of tissue-protective heterodimeric or heterooligomeric EPOR/CD131 (erythropoietin receptor/cluster of differentiation 131) receptor <400> 5 Gly Gly Gly Gly Glu Thr Thr Asn Met Trp Ala Arg Glu Trp Met Gly 1 5 10 15 Leu Pro Cys Gln Asp Gln 20 <210> 6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agonist of tissue-protective heterodimeric or heterooligomeric EPOR/CD131 (erythropoietin receptor/cluster of differentiation 131) receptor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an acyl group of a branched or unbranched fatty acid of 5 - 42 carbon atoms covalently attached to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400> 6 Xaa Gly Gly Gly Gly Glu Thr Thr Asn Met Trp Ala Arg Glu Trp Met 1 5 10 15 Gly Leu Pro Cys Gln Asp Gln 20 <210> 7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of human TGF-ß <400> 7 Ala Leu Asp Thr Asn Tyr Cys Phe Arg Asn Leu Glu Glu Asn Cys Cys 1 5 10 15 Val Arg Pro Leu Tyr Ile Asp Phe Arg Gln Asp Leu Gly Trp Lys Trp 20 25 30 Val His Glu Pro Lys Gly Tyr Tyr Ala Asn Phe Cys Ser Gly Pro Cys 35 40 45 Pro Tyr Leu Arg Ser Ala Asp Thr Lys His Ser Thr Val Leu Gly Leu 50 55 60 Tyr Asn Thr His Asn Pro Glu Ala Ser Ala Ser Pro Cys Cys Val Pro 65 70 75 80 Gln Asp Leu Glu Pro Leu Thr Ile Leu Tyr Tyr Val Gly Arg Thr Pro 85 90 95 Lys Val Glu Gln Leu Glu Asn Met Val Val Lys Ser Cys Lys Cys Ser 100 105 110 <210> 8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of human TGF-ß <220> <221> VARIANT <222> 115 <223> Xaa = Lys or Glu <400> 8 Ala Leu Asp Thr Asn Tyr Cys Phe Arg Asn Leu Glu Glu Asn Cys Cys 1 5 10 15 Val Arg Pro Leu Tyr Ile Asp Phe Arg Gln Asp Leu Gly Trp Lys Trp 20 25 30 Val His Glu Pro Lys Gly Tyr Tyr Ala Asn Phe Cys Ser Gly Pro Cys 35 40 45 Pro Tyr Leu Arg Ser Ala Asp Thr Lys His Ser Thr Val Leu Gly Leu 50 55 60 Tyr Asn Thr His Asn Pro Glu Ala Ser Ala Ser Pro Cys Cys Val Pro 65 70 75 80 Gln Asp Leu Glu Pro Leu Thr Ile Leu Tyr Tyr Val Gly Arg Thr Pro 85 90 95 Lys Val Glu Gln Leu Glu Asn Met Val Val Lys Ser Cys Lys Cys Ser 100 105 110 Leu Pro Xaa Thr Gly Gly Gly 115 <210> 9 <211> 1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of human TGF-ß <220> <221> VARIANT <222> 115 <223> Xaa = Lys or Glu <220> <221> VARIANT <222> 120 <223> Xaa is a glycopolymer of 15 - 50 monomeric units attached to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400> 9 Ala Leu Asp Thr Asn Tyr Cys Phe Arg Asn Leu Glu Glu Asn Cys Cys 1 5 10 15 Val Arg Pro Leu Tyr Ile Asp Phe Arg Gln Asp Leu Gly Trp Lys Trp 20 25 30 Val His Glu Pro Lys Gly Tyr Tyr Ala Asn Phe Cys Ser Gly Pro Cys 35 40 45 Pro Tyr Leu Arg Ser Ala Asp Thr Lys His Ser Thr Val Leu Gly Leu 50 55 60 Tyr Asn Thr His Asn Pro Glu Ala Ser Ala Ser Pro Cys Cys Val Pro 65 70 75 80 Gln Asp Leu Glu Pro Leu Thr Ile Leu Tyr Tyr Val Gly Arg Thr Pro 85 90 95 Lys Val Glu Gln Leu Glu Asn Met Val Val Lys Ser Cys Lys Cys Ser 100 105 110 Leu Pro Xaa Thr Gly Gly Gly Xaa 115 120 <210> 10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agonist of the tissue-protective heterodimeric or heterooligomeric EPOR/CD131 (erythropoietin receptor/cluster of differentiation 131) receptor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an acyl group of a branched or an unbranched fatty acid of 5 ? 42 carbon atoms attached to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400> 10 Xaa Gly Gly Gly Gly Glu Thr Thr Asn Met Trp Ala His Asp Trp Met 1 5 10 15 Gly Leu Pro Arg Ala Asp Gln 20 <210> 11 <211> 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elicits collagen type 3-derived matrikine activity <400> 11 Leu Gln Gly Leu Pro Gly Thr Gly Gly Pro Pro Gly Glu Asn Gly Lys 1 5 10 15 Pro Gly Glu Pro Gly Pro Lys Gly Asp Ala Gly Ala Pro Gly Ala Pro 20 25 30 Gly Gly Lys Gly Asp Ala Gly Ala Pro Gly Glu Arg Gly Pro Pro Gly 35 40 45 <210> 12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elicits collagen type 3-derived matrikine activity <400> 12 Val Lys Gly Glu Ser Gly Lys Pro Gly Ala Asn Gly Leu Ser Gly Glu 1 5 10 15 Arg Gly Pro Pro Gly Pro Gln Gly 20 <210> 13 <211> 4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or peptide that elicits collagen type 3-derived matrikine activity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an acyl group of an unbranched or branched fatty acid of 5 ? 42 carbon atoms <400> 13 Xaa Leu Gln Gly Leu Pro Gly Thr Gly Gly Pro Pro Gly Glu Asn Gly 1 5 10 15 Lys Pro Gly Glu Pro Gly Pro Lys Gly Asp Ala Gly Ala Pro Gly Ala 20 25 30 Pro Gly Gly Lys Gly Asp Ala Gly Ala Pro Gly Glu Arg Gly Pro Pro 35 40 45 Gly <210> 14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or peptide that elicits collagen type 3-derived matrikine activity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an acyl group of an unbranched or branched faty acid of 5 - 42 carbon atoms <400> 14 Xaa Val Lys Gly Glu Ser Gly Lys Pro Gly Ala Asn Gly Leu Ser Gly 1 5 10 15 Glu Arg Gly Pro Pro Gly Pro Gln Gly 20 25 <210> 15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elicits CD26/Dpp4 inhibition <220> <221> VARIANT <222> 16 <223> Xaa is Gly and has an isopeptide bond via its carboxy group to the epsilon amino group of the neigbboured Lys on the C-terminal side <220> <221> VARIANT <222> 17 <223> Xaa is Lys and has an isopeptide bond via its epsilon amino group to the carboxy group of neigbboured Gly on the N-terminal side <400> 15 Glu Ile His Gln Glu Glu Pro Ile Gly Gly Gln Ser Gly Ser Gly Xaa 1 5 10 15 Xaa Pro Ile <210> 16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that elicits CD26/Dpp4 inhibition <220> <221> VARIANT <222> 11 <223> Xaa is Lys wherein the (free) epsilon amino group is bonded to an acyl group of an unbranched or branched fatty acid of 5 - 42 carbon atoms <220> <221> VARIANT <222> 16 <223> Xaa = Gly, wherein Gly has an isopeptide bond via its carboxy group to the epsilon amino group of neighboured Lys at the C-terminal side <220> <221> VARIANT <222> 17 <223> Xaa = Lys, wherein Lys is bonded via its epsilon amino group to the carboxy group of neighboured Gly at N-terminal side (isopeptide bond) <400> 16 Glu Ile His Gln Glu Glu Pro Ile Gly Gly Xaa Ser Gly Ser Gly Xaa 1 5 10 15 Xaa Pro Ile <210> 17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agonist of the tissue-protective heterodimeric or heterooligomeric EPOR/CD131 (erythropoietin receptor/cluster of differentiation 131) receptor <400> 17 Gly Gly Gly Gly Glu Thr Thr Asn Met Trp Ala His Asp Trp Met Gly 1 5 10 15 Leu Pro Arg Ala Asp Gln 20 <210> 18 <211> 1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sion protein bewteen a peptide variant of TGF-ß3 and one or more units of (modified) trehalose <220> <221> VARIANT <222> 115 <223> Xaa is Lys or Glu <220> <221> VARIANT <222> 120 <223> Xaa is -[4,6-O-(4-vinylbenzylidene)-α,α-D-trehalose]n, wherein n is an integer between 1 and 50, preferably 10 and 30 <400> 18 Ala Leu Asp Thr Asn Tyr Cys Phe Arg Asn Leu Glu Glu Asn Cys Cys 1 5 10 15 Val Arg Pro Leu Tyr Ile Asp Phe Arg Gln Asp Leu Gly Trp Lys Trp 20 25 30 Val His Glu Pro Lys Gly Tyr Tyr Ala Asn Phe Cys Ser Gly Pro Cys 35 40 45 Pro Tyr Leu Arg Ser Ala Asp Thr Lys His Ser Thr Val Leu Gly Leu 50 55 60 Tyr Asn Thr His Asn Pro Glu Ala Ser Ala Ser Pro Cys Cys Val Pro 65 70 75 80 Gln Asp Leu Glu Pro Leu Thr Ile Leu Tyr Tyr Val Gly Arg Thr Pro 85 90 95 Lys Val Glu Gln Leu Glu Asn Met Val Val Lys Ser Cys Lys Cys Ser 100 105 110 Leu Pro Xaa Thr Gly Gly Gly Xaa 115 120 <210> 19 <211> 1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sion protein between a peptide variant of TGF-ß3 and one or more units of (modified) trehalose <220> <221> VARIANT <222> 115 <223> Xaa is Lys or Glu <220> <221> VARIANT <222> 120 <223> Xaa is one or mor units of -Q-6-deoxy-trehalose (Q-6doTh)n, wherein n is an integer between 1 and 50, preferably 10 and 30 <400> 19 Ala Leu Asp Thr Asn Tyr Cys Phe Arg Asn Leu Glu Glu Asn Cys Cys 1 5 10 15 Val Arg Pro Leu Tyr Ile Asp Phe Arg Gln Asp Leu Gly Trp Lys Trp 20 25 30 Val His Glu Pro Lys Gly Tyr Tyr Ala Asn Phe Cys Ser Gly Pro Cys 35 40 45 Pro Tyr Leu Arg Ser Ala Asp Thr Lys His Ser Thr Val Leu Gly Leu 50 55 60 Tyr Asn Thr His Asn Pro Glu Ala Ser Ala Ser Pro Cys Cys Val Pro 65 70 75 80 Gln Asp Leu Glu Pro Leu Thr Ile Leu Tyr Tyr Val Gly Arg Thr Pro 85 90 95 Lys Val Glu Gln Leu Glu Asn Met Val Val Lys Ser Cys Lys Cys Ser 100 105 110 Leu Pro Xaa Thr Gly Gly Gly Xaa 115 120

Claims (35)

  1. 피부의 재생 또는 외관을 촉발시키거나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하기 3 개 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A)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를 자극하는 펩티드 및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36

    여기서, Z1 은 상기 펩티드의 조직 침투 및/또는 기저막 투과를 감소시키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부착된 운반체 모이어티임;
    (B)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작용제이며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및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37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부착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C)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인간 TGF-β3 의 변이체인 펩티드 및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38

    여기서, X 는 K 또는 E 이고, Z3 은 C-말단에 부착된 당중합체임.
  2. 제 1 항에 있어서, 군 (A)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1, 2, 3 또는 4 를 포함하거나 갖고, Z1 이 8 - 6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군 (B)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5 또는 6 을 포함하거나 갖고, Z2 가 5 - 42 개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의 적절한 양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SEQ ID NO: 5 또는 6 에 의해 제시되는 작용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정하거나 감쇠시키거나 억제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가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Figure pct00039
    또는
    Figure pct00040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EQ ID No: 5 또는 6 에 의해 제시되는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작용제가 적용 동안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활성화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SEQ ID No: 10 또는 17 에 의해 제시되는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가 적용 동안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활성화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불활성화가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서열 내 메티오닌 잔기의 공기 산화에 의해 유도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군 (C)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7, 8 또는 9 를 포함하거나 갖고, Z3 이 트레할로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 유도체의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적어도 15 개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다량체 또는 중합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군 (A)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B)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a) 군 (A)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1, 2, 3 또는 4 를 포함하거나 갖고 Z1 이 8 - 6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b) 군 (B)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5 또는 6 을 포함하거나 갖고 Z2 가 5 - 42 개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의 적절한 양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가 SEQ ID NO: 5 또는 6 에 의해 제시되는 작용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정하거나 감쇠시키거나 억제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길항제가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인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Figure pct00041
    또는
    Figure pct00042
    ,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 탄소 원자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17. 제 1 항에 있어서, 군 (A)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B)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C)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a) 군 (A)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1, 2, 3 또는 4 를 포함하거나 갖고 Z1 이 8 - 6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b) 군 (B)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5 또는 6 을 포함하거나 갖고 Z2 가 5 - 42 개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이고, (c) 군 (C)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7, 8 또는 9 를 포함하거나 갖고 Z3 이 트레할로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 유도체의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적어도 15 개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다량체 또는 중합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의 적절한 양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SEQ ID NO: 5 또는 6 에 의해 제시되는 작용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정하거나 감쇠시키거나 억제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길항제가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인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Figure pct00043
    또는
    Figure pct00044

    여기서, Z2 는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 탄소 원자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21. 제 1 항에 있어서, 군 (A)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C) 에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a) 군 (A)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3 또는 4 를 포함하거나 갖고 Z1 이 8 - 60 kDa 범위의 분자 크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b) 군 (C)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7, 8 또는 9 를 포함하거나 갖고 Z3 이 트레할로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 유도체의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적어도 15 개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다량체 또는 중합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23. 제 1 항에 있어서, 군 (B)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및 군 (C)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a) 군 (B)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5 또는 6 을 포함하거나 갖고 Z2 가 5 - 42 개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이고, (b) 군 (C) 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유도체가 서열/식 SEQ ID NO: 7, 8 또는 9 를 포함하거나 갖고 Z3 이 트레할로오스 또는 트레할로오스 유도체의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적어도 15 개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다량체 또는 중합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펩티드/펩티드 유도체-기반 길항제의 적절한 양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SEQ ID NO: 5 또는 6 에 의해 제시되는 작용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정하거나 감쇠시키거나 억제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길항제가 하기 서열/식을 포함하거나 갖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인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Figure pct00045
    또는
    Figure pct00046
    ,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 탄소 원자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라겐 유형 3-유래 매트리킨 활성을 이끌어내며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Figure pct00047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 탄소 원자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26/Dpp4 억제를 이끌어내며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여기서, G - K 는 G 의 카르복시 작용기와 K 의 엡실론 아미노 작용기 사이의 이소펩티드 결합을 나타내고, Z2 는 5 - 42 개 탄소 원자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K [Z2] 는 K 의 엡실론 아미노 작용기와 지방산 Z2 의 카르복시 작용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을 나타냄.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조직 전달을 개선 또는 향상시키기 위해 리포좀 또는 세라마이드 구조에 부착되거나 캡슐화되는 것인 화장 제형 또는 조성물.
  30.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을 갖거나 포함하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를 자극하는 것인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50

    여기서, Z1 은 상기 펩티드의 조직 침투 및/또는 기저막 투과를 감소시키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부착된 운반체 모이어티임.
  31. 제 30 항에 있어서, Z1 이 8 - 60 kDa 범위의 분자 크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것인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32.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작용제로서 작용하는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로서, 상기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을 갖거나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51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 탄소 원자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33. 조직-보호성 이종이량체 또는 이종올리고머 EPOR/CD131 (에리트로포이에틴 수용체/분화 클러스터 131)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로서, 상기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가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을 갖거나 포함하는 것인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52

    여기서, Z2 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에 부착된, 5 - 42 개 탄소 원자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아실 기임.
  34.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열/식을 갖는 인간 TGF-β3 의 생물학적 활성을 이끌어내는 것인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Figure pct00053

    여기서, X 는 K 또는 E 이고, Z3 은 C-말단에 부착된 당중합체이고, n 은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의 정수임.
  35. 제 30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복구, 피부 회춘, 천연 피부 광, 주름 감소, 피부의 항노화, 및 건조하고 칙칙하고 파열되기 쉬운 피부의 방지 및 개선을 포함하는, 피부의 국소 미용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임의로는 리포솜 또는 세라마이드 구조에 부착되거나 캡슐화되는, 단리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유도체.
KR1020227026362A 2020-01-21 2021-01-18 피부의 외관 및 재생을 개선시키는 신규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KR20220130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00033.9 2020-01-21
EP20000033 2020-01-21
PCT/EP2021/025016 WO2021148241A1 (en) 2020-01-21 2021-01-18 Cosmetic formula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comprising novel peptides that improve appearance and regeneration of sk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144A true KR20220130144A (ko) 2022-09-26

Family

ID=6918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362A KR20220130144A (ko) 2020-01-21 2021-01-18 피부의 외관 및 재생을 개선시키는 신규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35317A1 (ko)
EP (1) EP4093369A1 (ko)
JP (1) JP2023510381A (ko)
KR (1) KR20220130144A (ko)
CN (1) CN114929192A (ko)
AU (1) AU2021211840A1 (ko)
BR (1) BR112022013144A2 (ko)
CA (1) CA3162431A1 (ko)
WO (1) WO20211482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296676T3 (en) * 2008-05-09 2016-12-19 Regenics As cellular extracts
KR100982179B1 (ko) * 2008-06-23 2010-09-14 (주)케어젠 형질전환 성장인자의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198918B1 (ko) * 2009-09-01 2012-11-07 (주)케어젠 Wnt10?유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JP6326601B2 (ja) * 2013-03-13 2018-05-23 アンティー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皮膚更新のためのペプチド及び前記ペプチドを使用する方法
RU2687151C2 (ru) * 2013-06-14 2019-05-07 Хеликс Биомедикс Инк. Тетрапептиды, полученные из с-х-с-хемокинов человека, подходящие для лечения различных состояний кожи
US20180116951A1 (en) * 2015-04-09 2018-05-03 Neostem Oncology, Llc Stem cell compositions for cosmetic and dermatologic use
CN110234311B (zh) 2016-11-10 2022-08-12 Asc瑞珍尼特有限公司 含有促红细胞生成素衍生的分子的用于局部应用的美容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0381A (ja) 2023-03-13
CN114929192A (zh) 2022-08-19
US20230135317A1 (en) 2023-05-04
AU2021211840A1 (en) 2022-09-01
EP4093369A1 (en) 2022-11-30
BR112022013144A2 (pt) 2022-09-06
CA3162431A1 (en) 2021-07-29
WO2021148241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8364B2 (en) Peptide tyrosin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7902329B2 (en) Oligopeptide tyrosin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JP4249710B2 (ja) 皮膚代謝生理活性物質
KR101842521B1 (ko) 부화액 효소 및 그 용도
JP5896916B2 (ja) アクアポリンの発現を活性化するための活性薬剤としてイナゴマメの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および/または医薬組成物
JP3504205B2 (ja) 皮膚外用剤
US20040162232A1 (en) Elastin digest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same
CN109563132A (zh) 皮肤再生或伤口治疗用的肽及其用途
KR20240042649A (ko) 합성 펩티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사용
KR20160136342A (ko) 모발 성장의 억제를 위한 오스테오폰틴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060293227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mimics
JP2018039751A (ja) 表皮細胞間機能強化剤
US20210038729A1 (en) Polypeptides having anti-senescent effects and uses thereof
EA038745B1 (ru) Конъюгат миноксидила и пептида
KR20220130144A (ko) 피부의 외관 및 재생을 개선시키는 신규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화장 제형
KR20210093748A (ko) 흉터형성을 최소화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신경독소
US20050186168A1 (en) Skin remodeling and regenerative compositions containing elastin peptide ligands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XGXXPG)n
CN116669695A (zh) 用于皮肤病学领域中治疗性应用的肽
KR102089754B1 (ko) 피부투과성이 개선된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14259417A (zh) 强效皮肤补水系统和方法
TW202133874A (zh) 用於化妝品及醫藥之胜肽及組成物
KR20040076780A (ko) 재조합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515622A (zh) 用于皮肤状况的衍生自乙酰胆碱酯酶c-末端的多肽
WO1996016669A1 (en) Use of human recombinant epidermal growth factor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reating acne
KR20050006004A (ko) 구리-펩타이드(Copper peptide)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