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005A - 부품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005A
KR20220130005A KR1020220022262A KR20220022262A KR20220130005A KR 20220130005 A KR20220130005 A KR 20220130005A KR 1020220022262 A KR1020220022262 A KR 1020220022262A KR 20220022262 A KR20220022262 A KR 20220022262A KR 20220130005 A KR20220130005 A KR 2022013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onent
case
electronic component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이치 오쿠누키
신이치 타마무라
코이치 이와모토
아츠시 쿠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3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005A/ko
Priority to KR102024011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34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9Feeding axial lead components, e.g. using vibrating bowl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6Supply management, e.g. supply of components or of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한다.
배출구(개구)(6)를 가지는 케이스(1) 내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200)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하나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와,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되도록, 케이스(1)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240)와, 배출부(230)로부터 전자부품(50)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압하 핀(낙하 촉진부)(236)과,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하는 부품 검지부(2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품 수용장치{COMPONENT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칩 부품 등의 전자부품을 케이스 안에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칩 부품 등의 소형 전자부품을 다수개 합쳐서 운반함에 있어서는, 전자부품을 분리된 상태로 합쳐서 수용하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95618호
다수개의 부품을 분리된 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는 일정 용적 내에 다수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효율의 점에서 캐리어 테이프 등보다도 효율적이다. 효율화를 촉진시킴에 있어, 그와 같은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는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내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부품을 하나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이 상기 개구에 낙하되도록, 상기 케이스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부품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낙하 촉진부와, 상기 반송부로부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까지의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부품을 검지하는 부품 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비스듬히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비스듬히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대응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 및 케이스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관한 도면이다. 부품 수용장치(200)는 케이스(1) 내에 복수개의 부품을 자동적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먼저, 케이스(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케이스(1)를 비스듬히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는 그 내부에 부품으로서의 전자부품(50)(도 2에 도시)을 분리한 상태로 수용한다. 케이스(1)는 피더(1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세팅된다. 한편, 피더(100)는 진동함으로써 케이스(1) 내로부터 전자부품(50)을 배출하고, 그 전자부품(50)을 도시하지 않은 실장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부품(50)은 예를 들면 길이방향의 길이가 1.2㎜ 이하인 미소(微小)의 직방체 형상의 전자부품이다. 그와 같은 전자부품으로는 콘덴서나 인덕터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후술할 제2 부재(22)를 떼어낸 케이스(1)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부품(50)을 배출하는 배출구(6)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배출구(6)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배출구(6)는 개구의 일례이다. 도 4는 케이스(1)를 비스듬히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와, 셔터 부재(3)와, 셔터 부재(3)와 일체인 슬라이더(4)와, RFID 태그(5)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2)는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를 가진다. 케이스(1)는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합체되어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수용 공간(S)이 형성되는 용기이다. 케이스 본체(2)는 천판부(天板部)(2U)와, 저판부(底板部)(2D)와 앞쪽 벽부(2F)와 뒤쪽 벽부(2B)와, 제1 부재(21) 측의 오른쪽 벽부(2R)와, 제2 부재(22) 측의 왼쪽 벽부(2L)를 포함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한 상태에서 연직방향의 상하가 되는 방향을 케이스(1)의 상하방향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1)에서의, 배출구(6)가 마련되어 있는 쪽을 전방, 그 반대 쪽을 후방으로 한다. 좌측 및 우측과 같은 좌우방향은 케이스(1)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방향으로 한다. 제1 부재(21)는 우측에 있고, 제2 부재(22)는 좌측에 있다.
앞쪽 벽부(2F), 뒤쪽 벽부(2B), 오른쪽 벽부(2R) 및 왼쪽 벽부(2L) 각각은 연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이다. 천판부(2U) 및 저판부(2D)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부(板部)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가 합체되고, 서로 접합되어 구성된다. 즉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 각각은 좌우로 분할되는 반할체(半割體)이다.
케이스 본체(2)는 앞쪽 벽부(2F)의 하측에 배출구(6)를 가진다. 배출구(6)는,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의 개구부이다. 한편, 배출구(6)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 형상 등의 윤곽을 가진 개구부이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S) 내에서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 사이에 판 부재(7)가 연장되어 있다. 판 부재(7)의 윗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의 배출구(6)의 아래 가장자리부(6a)를 향해 연장되고, 아래 가장자리부(6a) 측이 가장 하측이 되도록 경사진 경사면(7a)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7a)의 경사 각도(θ)는 케이스(1)가 피더(100)에 세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3°~10°가 바람직하고, 5°~7°이면 더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6)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가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셔터 부재(3)는 자신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배출구(6)를 개폐한다. 셔터 부재(3)는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셔터 부재(3)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필름 부재이다. 셔터 부재(3)는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면서 만곡이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셔터 부재(3)의 폭은 배출구(6)의 폭보다 약간 크고, 배출구(6)를 빈틈 없이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셔터 부재(3)는 그 전단부(前端部)에 배출구(6)와 대략 동일 형태의 개구부(3a)를 가진다. 개구부(3a)와 배출구(6)가 합치하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셔터 부재(3)가 배출구(6)를 덮으면, 배출구(6)는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된다. 한편,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동일 형태일 필요는 없고, 배출구(6)를 개구시키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면 된다.
케이스 본체(2)의 앞쪽 벽부(2F)에서의 배출구(6)의 상측에는 케이스 본체(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오목부(61)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6) 및 오목부(61)가 마련된 부분의, 앞쪽 벽부(2F)의 두께방향 즉 좌우방향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62)이 좌우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셔터 부재(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 각각이 좌우의 안내 홈(62)에 삽입된다. 셔터 부재(3)는 안내 홈(62)에 안내되어 앞쪽 벽부(2F)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3)의 후단부에는 원형의 구멍(3b)이 마련되어 있다. 구멍(3b)을 이용하여 슬라이더(4)가 셔터 부재(3)와 일체가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4)는 직방체 형상의 부재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하측 개구부(4c)를 가짐과 함께 전단 판부(4d) 및 후단 판부(4e)를 각각 가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는 그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플랜지부(4a)를 가진다. 슬라이더(4)가 그 윗면에 볼록부(4b)를 가진다. 볼록부(4b)는 셔터 부재(3)의 구멍(3b)에 감합(嵌合)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로써 슬라이더(4)는 셔터 부재(3)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저판부(2D)에는 상방을 향해 움푹 패인 전후방향으로 긴 오목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23)의 앞면에는 슬릿(24)이 마련되어 있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삽입통과한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통해 오목부(23)의 아랫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오목부(23)의 아랫면에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가 전후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4)의 볼록부(4b)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 각각에 감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23)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의, 저판부(2D)의 좌우방향 양측의 면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홈부(2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홈부(25) 각각에 슬라이더(4)의 좌우 플랜지부(4a)가 각각 삽입통과된다. 플랜지부(4a)가 홈부(25)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슬라이더(4)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슬라이더(4)의 슬라이딩 범위는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와 뒤쪽의 구덩이(26b)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 사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감합되어 있을 때,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오목부(61) 내에 위치하여 배출구(6)와 합치되지 않는다. 이때, 배출구(6)의 전체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되고, 전자부품(50)은 배출구(6)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셔터 부재(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뒤쪽의 구덩이(26b)에 감합되면,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합치된다. 이때, 배출구(6)는 개구되고, 전자부품(50)이 배출구(6)로부터 배출이 가능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는 상측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를 가진다. 상측 파지부(10A)는 케이스 본체(2) 상측의 전후 양단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구덩이이다. 뒤쪽 파지부(10B)는 케이스 본체(2) 뒤쪽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상하 한 쌍의 구덩이이다. 상측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 각각은 예를 들면 로봇 핸드에 의해 케이스(1)를 운반할 때 등에서 그 로봇 핸드에 파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에서의 하부로서 상기 오목부(23)에 대체로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로 관통하는 관통구멍(9)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9)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구멍이다. 관통구멍(9) 내부의 윗면에 전후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RFID 태그(5)가 점착되어 있다. RFID 태그(5)는 송수신부, 메모리 및 안테나 등을 가지는 공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100)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105)가 배치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케이스 본체(2)는 저판부(2D)의 외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갈고리부(8) 및 T자 슬롯부(13)를 가진다.
갈고리부(8)는 앞쪽 갈고리부(8A)와 뒤쪽 갈고리부(8B)를 포함한다. 앞쪽 갈고리부(8A) 및 뒤쪽 갈고리부(8B)는 동일 형상이며,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하단이 약 90° 후방으로 굴곡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板片)이다. 한편, 앞쪽 갈고리부(8A)와 뒤쪽 갈고리부(8B)는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T자 슬롯부(13)는 앞쪽 T자 슬롯부(13A)와 뒤쪽 T자 슬롯부(13B)를 포함한다. 앞쪽 T자 슬롯부(13A) 및 뒤쪽 T자 슬롯부(13B)는 모두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역T자 형상의 돌기이다. 앞쪽 T자 슬롯부(13A)는 전단부에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피더(100)는 갈고리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탈착이 가능하게 걸어 맞춰져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할 수 있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부를 가진다. 상기 걸어맞춤부에 갈고리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걸어맞춰져서 피더(100)에 케이스(1)가 탈착이 가능하게 세팅된다. 이와 같이 피더(100)에 세팅된 케이스(1)에서는 배출구(6)가 개구된 상태로 피더(100)가 진동함으로써, 전자부품(50)이 경사면(7a)을 내려서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전자부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장치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5~도 1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부품 수용장치(200)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대응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부품 수용장치(200)는 상술한 케이스(1) 내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를 통해 수용 공간(S)에 자동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전자부품(50)을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로부터 전자부품(50)을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배출부(230)와, 상술한 케이스(1)가 설치되는 설치부(240)와, 부품 검지부(270)를 포함한다.
반송부(210)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부(230)까지 연속적으로 반송한다. 실시형태의 반송부(210)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211)와, 리니어 피더(211)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하나씩 받고, 회전 동작에 의해 전자부품(50)을 회전시켜서 간헐 반송하는 턴테이블(212)을 가진다.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리니어 피더(211)에 의해,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턴테이블(212)을 향해 반송된다. 리니어 피더(21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진동기에 의해 진동하고, 그 진동에 의해 전자부품(50)을 턴테이블(212)을 향해 화살표(F) 방향으로 순차 반송한다. 전자부품(50)은 후속의 전자부품(50)에 밀리면서 리니어 피더(211) 위를 반송되어 간다. 리니어 피더(211)는 턴테이블(212)의 회전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그 종단부는 턴테이블(21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 근방에 도달한다.
턴테이블(212)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반 형상의 회전 부재이다. 턴테이블(212)의 재질은 세라믹, 유리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턴테이블(212)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3)을 통해 기대(基臺)(214) 상에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턴테이블(212)은 회전축(213)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217)에 의해,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하여 도 5 중의 화살표(R)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턴테이블(21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바깥둘레 측으로 개구하는 복수개의 컷아웃(215)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컷아웃(215)의 내부에 하나의 전자부품(50)이 수용된다. 한편, 턴테이블(212)의 회전방향은 도 5 중의 R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이 R방향의 역방향이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212)은 기대(214)의 윗면(216)에 배치되어 있다. 컷아웃(215)은 턴테이블(212)의 외주면(外周面) 측 및 상하의 면에 개구되어 있다. 턴테이블(212)은 그 내부에 각 컷아웃(215)으로 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통로를 포함한다. 이 공기 흡인 통로는 각 컷아웃(215)의 안쪽의 면에 개구되어 있다. 공기 흡인 통로는 버큠펌프 등의 흡인원에 연통되어 있고, 이 흡인원이 작동함으로써, 컷아웃(215) 내의 공기가 안쪽의 면에 흡인되어 부압(負壓) 상태가 된다. 이로써, 컷아웃(215)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은 안쪽의 면에 부압 작용으로 흡착되고, 컷아웃(215) 내에 유지된다.
리니어 피더(211)에 의해 턴테이블(212) 근방으로 반송된 전자부품(50)은 간헐 회전하는 턴테이블(212)의 복수개의 컷아웃(215) 각각에 측방으로부터 하나씩 수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안쪽의 면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컷아웃(215)에 수용 및 유지된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R) 방향으로 배출부(230)까지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컷아웃(215)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은 기대(214)의 윗면(216) 위를 이동한다.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반송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부(230)는 리니어 피더(211)로부터 턴테이블(212)로 옮겨가는 부분에 대하여 대체로 270°의 회전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에 하나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부분이다.
한편,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리니어 피더(211)에서 보아 가장 안쪽 위치, 즉 리니어 피더(211)로부터 턴테이블(212)로 옮겨가는 부분에 대하여 180°의 회전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230)는 원통 부재(231)와 압하 핀(236)을 포함한다. 원통 부재(231)는 가이드부의 일례이다. 배출부(230)에서, 턴테이블(212)의 바로 아래 부분에는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에 대응하는 통과 구멍(218)이 마련되어 있다. 통과 구멍(218)은 전자부품(50)이 통과하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배출부(230)에는 컷아웃(215) 내로의 공기 흡인에 의한 전자부품(50)의 흡착 유지를 해제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해제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흡인 해제 기구로는 예를 들면 공기를 분출시켜, 흡인된 공기의 흐름을 멈추거나 약화시키는 기구를 들 수 있다. 턴테이블(212)이 회전하여 컷아웃(215)이 통과 구멍(218)에 합치되면, 상기 흡인 해제 기구에 의해 컷아웃(215) 내에서의 전자부품(50)의 유지가 해제되고, 그때까지 기대(214)의 윗면(216) 위를 이동해 온 전자부품(50)이 컷아웃(215)으로부터 통과 구멍(218)으로 낙하하며, 추가로 통과 구멍(218)을 통해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낙하한다
통과 구멍(218)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전자부품(50)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원통 부재(231)의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케이스(1)의 배출구(6)로 인도된다. 원통 부재(231)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지름 확대되는 역원추 형상의 상측 통부(233)와, 상측 통부(233)의 하단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통부(234)를 가진다. 상측 통부(233)와 하측 통부(234)는 일체이다. 통과 구멍(218)을 통과하는 전자부품(50)은 상측 통부(233)의 내측으로 낙하하여 하측 통부(234)의 내부에 이르고, 하측 통부(234)의 내부를 통해 낙하한다. 전자부품(50)은 원통 부재(231)의 내면(232)에 접촉하면서 미끄러져 떨어져 가는 경우가 있다. 원통 부재(231)의 내면(232)은 활락면(滑落面)의 일례이다.
한편, 상측 통부(233)의 내경은 전자부품(50)의 길이방향 치수보다 크고, 또한 하측 통부(234)의 내경은 전자부품(50)의 길이방향 치수보다 크면서 상측 통부(233)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에 의해 생기는 정전기에 의해 전자부품(50)이 전기적인 파손을 받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원통 부재(231)의 적어도 내면(232)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부품(50)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원통 부재(231)의 내면(232)은 평활한 저(低)마찰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의 수지로 표면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230)에는 컷아웃(215)으로부터 전자부품(50)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압하 핀(236)이 마련되어 있다. 압하 핀(236)은 낙하 촉진부가 되는 압하 부재의 일례이다. 압하 핀(236)은 통과 구멍(218)과 합치되는 컷아웃(21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압하 핀(23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압하 핀(236)이 하방으로 구동되면, 컷아웃(215) 내의 전자부품(50)이 하방으로 밀리고, 통과 구멍(218)을 통해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낙하된다. 압하 핀(236)으로 밀림으로써, 전자부품(50)은 컷아웃(215) 내에 걸리지 않고 확실하게 컷아웃(215)으로부터 벗어나서 낙하한다.
한편, 압하 핀(236)을 대신하는 낙하 촉진부, 또는 추가하는 낙하 촉진부로서, 공기의 흐름으로 전자부품(50)을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시키는 공기류 발생부(237)를 배출부(230)에 마련해도 된다. 그와 같은 공기류 발생부(237)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에 상방으로부터 공기를 내뿜어서 낙하시키거나, 혹은 측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전자부품(50)을 낙하시키는 기능을 포함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배출부(230)에는 상기 배출부(230)를 지나는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청정부(238)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청정부(238)는 압하 핀(236)의 상방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기구로 구성된다. 청정부(238)에 의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컷아웃(215), 통과 구멍(218) 및 원통 부재(231)의 내부인 전자부품(50)의 경로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로써,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파편이나 먼지 등이 청정부(238)에 흡입되어 청정화된다.
한편, 청정부(238)는 공기를 분출시켜 파편이나 먼지 등을 날려버림으로써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케이스(1) 내에 파편이나 먼지 등이 파고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셔터 부재(3)에 의해 배출구(6)를 닫은 상태로 작동시키면 된다.
도 8은 설치부(240)에 케이스(1)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케이스(1)는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케이스(1)는 케이스(1)의 전후방향을 연직방향을 따른 상태, 즉 버티컬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설치부(240)는 벽부(241)와, 벽부(241)에 케이스(1)를 버티컬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250)와,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260)를 가진다.
벽부(241)는 대략 연직방향을 따른 면인 벽면(241a)을 가진다.
유지부(250)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된 상하 한 쌍의 후크부, 즉 상측 후크부(251)와 하측 후크부(252)를 포함한다. 상측 후크부(251) 및 하측 후크부(252)는 동일한 형상이며, 선단이 대략 90° 상방으로 굴곡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후크부(251)에 케이스(1)의 앞쪽 갈고리부(8A)가 상방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고, 하측 후크부(252)에 케이스(1)의 뒤쪽 갈고리부(8B)가 상방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걸어 맞춰진다. 이로써, 케이스(1)는 유지부(250)에 탈착이 가능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측 후크부(251)와 하측 후크부(252)는 동일한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벽부(24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벽면(241a)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한 부분(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부분(242) 내에 셔터 부재(3)를 슬라이딩시키는 개폐 기구(260)가 배치되어 있다. 개폐 기구(260)는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 핀(261)을 가진다. 구동 핀(261)의 선단부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구동 핀(261)은 예를 들면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에 마련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된다. 벽부(241)의 오목한 부분(242)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비접속이며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리더 라이터(243)가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250)에 유지된 케이스(1)의 슬라이더(4)에 구동 핀(261)이 걸어 맞춰진다.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는 전방(도 9에서는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감합되어 있고, 배출구(6)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한편, 구동 핀(261)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구동 핀(261)이 상방에 위치할 때에 배출구(6)가 셔터 부재(3)로 폐색되어 있는 케이스(1)를 유지부(250)에 유지하면, 구동 핀(261)은 도 4에 나타낸 슬라이더(4)의 하측 개구부(4c)에 삽입되고, 전단 판부(4d)와 후단 판부(4e) 사이에 위치 지어진다.
이 상태로부터 도 9에서 구동 핀(26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후단 판부(4e)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하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뒤쪽의 구덩이(26b)에 감합되고,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가 케이스(1)의 배출구(6)에 합치되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핀(261)이 상방으로 되돌아오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전단 판부(4d)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상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감합되며, 개구부(3a)가 셔터 부재(3)로 닫힌다.
부품 검지부(270)는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전자부품(50)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한다. 실시형태의 부품 검지부(270)는 도 5에 나타내는 리니어 피더(211)의 측방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제1 부품 검지부(271)와, 턴테이블(212)에 배치된 제2 부품 검지부(272) 및 제3 부품 검지부(273)와, 도 7에 나타내는 배출부(230)에 마련된 제4 부품 검지부(274)를 포함한다.
제1 부품 검지부(271)는 리니어 피더(211)로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을 정위치에서 검지한다. 제2 부품 검지부(272)는 턴테이블(212)의 반송 경로에서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부품 검지부(273)는 턴테이블(212)의 반송 경로에서의 제2 부품 검지부(272)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품 검지부(271), 제2 부품 검지부(272) 및 제3 부품 검지부(273) 각각은 전자부품(50)에 관한 임의의 사항에 대해 검지한다. 제1 부품 검지부(271)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통과된 것을 검지하고,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 검지부로서의 카운터 기능을 가진다. 제2 부품 검지부(272)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형상 검지부로서의 이미지 센서이다. 제3 부품 검지부(273)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 검지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성능 검지부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콘덴서인 경우, 기능으로서의 정전 용량이 규정 값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 센서 등이 적용된다.
제4 부품 검지부(274)는 원통 부재(231)의 상류 측과 하류 측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 상류 측 통과 검지부(275)와 하류 측 통과 검지부(276)를 포함한다. 상류 측 통과 검지부(275)는 원통 부재(231)의 상류 측으로, 통과 구멍(218)을 통과하여 원통 부재(231)로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 검지부로서의 카운터 기능을 가진다. 상류 측 통과 검지부(275)는 발광소자(275a) 및 수광소자(275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하류 측 통과 검지부(276)는 원통 부재(231)의 하류 측으로, 원통 부재(231)를 통과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로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 검지부로서의 카운터 기능을 가진다. 하류 측 통과 검지부(276)도 상류 측 통과 검지부(275)와 마찬가지이며, 발광소자(276a) 및 수광소자(276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한편, 광 센서로는 발광한 광의 반사를 대상물로부터 수광하는 형식으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된 것이어도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전자부품(50)이 케이스(1)에 수용된다.
전자부품(50)은 리니어 피더(211)에 의해 하나씩 턴테이블(212)에 반송된다. 제1 부품 검지부(271)에 의해 전자부품(50)은 검지된다. 제1 부품 검지부(271)에서는 예를 들면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리니어 피더(211)로부터 하나의 전자부품(50)이 간헐 회전 중인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에 수용된다. 턴테이블(212)의 간헐 회전 중에, 컷아웃(215) 중의 전자부품(50)은 제2 부품 검지부(272) 및 제3 부품 검지부(273)에 의해 검지된다.
제2 부품 검지부(272)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 결함이 있는지 여부가 검지된다. 제3 부품 검지부(273)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이 검지된다. 제2 부품 검지부(272) 및 제3 부품 검지부(273)에서 검지에 의해 불량품이라고 판단되면, 그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로부터 배제된다.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에 의해 하나씩 배출부(230)에 반송된다. 배출부(230)에서는 컷아웃(215)이 통과 구멍(218)에 합치됨과 동시에 압하 핀(236)이 하강하여 전자부품(50)을 하방으로 민다. 전자부품(50)은 컷아웃(215)으로부터 통과 구멍(218)으로 낙하하고, 또한 통과 구멍(218)을 통해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들어가며, 원통 부재(231) 내를 낙하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로부터 케이스(1) 내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이때, 제4 부품 검지부(274)의 상류 측 통과 검지부(275)에 의해,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된 전자부품(50)이 원통 부재(231)로 들어가는 것이 검지되고, 하류 측 통과 검지부(276)에 의해, 원통 부재(231)로부터 낙하된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내로 들어가는 것이 검지된다.
이상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실시되어,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내에 수용된다. 리니어 피더(211)가 전자부품(50)을 반송하는 중에 제1 부품 검지부(271)에 의해 전자부품(50)의 반송 수가 카운트된다. 또한, 상류 측 통과 검지부(275) 및 하류 측 통과 검지부(276)를 포함하는 제4 부품 검지부(274)에 의해,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된 전자부품(50)이 최종적으로 케이스(1) 내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케이스(1) 내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소정 수에 도달하면 반송부(210)에 의한 전자부품(50)의 반송이 중단되고, 설치부(240)에 새로운 빈 케이스(1)가 갈아 끼워진 후, 케이스(1)로의 전자부품(50)의 수용이 재개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1)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개구로서의 배출구(6)를 가지는 케이스(1) 내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하나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와,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되도록, 케이스(1)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240)와, 배출부(230)로부터 전자부품(50)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낙하 촉진부로서의 압하 핀(236)과,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하는 부품 검지부(270)를 포함한다.
이로써, 케이스(1) 안에 다수개의 전자부품(50)을 자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배출부(230)에서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으로부터 압하 핀(236)에 의해 강제적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컷아웃(215)에서 전자부품(50)이 걸려 원활하게 낙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부품 검지부(270)에 의해 전자부품(50)을 검지하여, 예를 들면 수용하는 전자부품(50)을 카운트하거나 불량품을 검지하여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1) 내에 원하는 수의 전자부품(50)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불량품의 수용을 회피할 수 있다.
(2)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반송부(210)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211)와, 리니어 피더(211)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하나씩 받고, 회전 동작에 의해 전자부품(50)을 반송하는 턴테이블(212)을 포함하며,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부품 검지부(270)는 리니어 피더(211) 및 턴테이블(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부품 검지부(270)에 의해 전자부품(50)에 대하여 임의의 검지를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수를 카운트하여 원하는 수의 전자부품(50)을 케이스(1) 내에 수용할 수 있거나, 케이스(1) 내에 수용하기 전 단계에서 불량품을 검지할 수 있다.
(3)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부품 검지부(270)는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는 형상 검지부, 전자부품(50)의 통과 유무를 검지하는 통과 검지부, 전자부품(50)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 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케이스(1) 내에 수용하는 전자부품(50)의 형상이나 성능을 검지하여 불량품의 수용을 회피할 수 있거나, 전자부품(50)의 수를 검지하여 원하는 수의 전자부품(50)을 케이스(1)에 적확하게 수용할 수 있다.
(4)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배출부(230)는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에 전자부품(50)을 인도하는 가이드부로서 원통 부재(23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을 케이스(1)에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다.
(5)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배출부(230)는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에 전자부품(50)을 인도하는 가이드부로서 원통 부재(231)를 가지며, 원통 부재(231)의 상류 측과 하류 측 각각의 위치에, 통과 검지부로서의 상류 측 통과 검지부(275) 및 하류 측 통과 검지부(276)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원통 부재(231)를 전자부품(50)이 통과했는지 여부가 검지되고, 케이스(1) 내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의 수를 확실하게 카운트할 수 있다.
(6)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가이드부로서의 원통 부재(231)는 전자부품(50)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활락면으로서의 내면(232)을 가지며, 상기 내면(232)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저마찰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원통 부재(231)를 통과할 때에 마찰에 의해 생기는 정전기에 의해 전자부품(50)이 전기적인 파손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전자부품(50)을 신속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7)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낙하 촉진부는 전자부품(50)을 밀어서 낙하시키는 압하 부재로서의 압하 핀(236), 또는 전자부품(50)을 공기의 흐름으로 낙하시키는 공기류 발생부(237)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 내에서 전자부품(50)이 걸려 원활하게 낙하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방지하고, 전자부품(50)을 확실하게 배출부(230)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다.
(8)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배출부(230)는 상기 배출부(230)를 지나는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청정부(23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출부(230)를 지나는 전자부품(50)의 경로가 청정화되고, 원활하게 전자부품(50)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배출부(230)에서 전자부품(50)을 케이스(1)의 배출구(6)에 인도하는 가이드부로는 실시형태의 깔때기 형상의 원통 부재(231)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부품(50)을 케이스(1)의 배출구(6)에 원활하게 도달시키는 바와 같은 형태이면 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의 상측 통부(233)와 같은 역원추 형상의 부분은 가지지 않는 단순한 원통 형상의 부재나 각통 형상 등의 통 형상의 부재 외에, 경사진 홈통 형상 부재나 판부재 등이어도 된다.
1: 케이스
6: 배출구(개구)
50: 전자부품(부품)
200: 부품 수용장치
210: 반송부
211: 리니어 피더(반송부)
212: 턴테이블(반송부)
230: 배출부
231: 원통 부재(가이드부)
232: 내면(활락면)
236: 압하 핀(압하 부재, 낙하 촉진부)
237: 공기류 발생부(낙하 촉진부)
238: 청정부
240: 설치부
270: 부품 검지부
271: 제1 부품 검지부(통과 검지부)
272: 제2 부품 검지부(형상 검지부)
273: 제3 부품 검지부(성능 검지부)
274: 통과 검지부

Claims (9)

  1.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내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부품을 하나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이 상기 개구에 낙하하도록, 상기 케이스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부품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낙하 촉진부와,
    상기 반송부로부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까지의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부품을 검지하는 부품 검지부를 포함하는 부품 수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복수개의 부품을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와, 상기 리니어 피더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하나씩 받고 회전 동작에 의해 부품을 반송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턴테이블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부품 검지부는 상기 리니어 피더 및 상기 턴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부품 수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검지부는 부품의 형상을 검지하는 형상 검지부, 부품의 통과 유무를 검지하는 통과 검지부, 부품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 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부품 수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부품을 인도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부품 수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부품을 인도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류 측과 하류 측 각각의 위치에 상기 통과 검지부가 배치되는, 부품 수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부품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활락면(滑落面)을 가지며, 상기 활락면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저(低)마찰면인, 부품 수용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촉진부는 상기 부품을 밀어서 낙하시키는 압하 부재, 또는 상기 부품을 공기의 흐름으로 낙하시키는 공기류 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인, 부품 수용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부를 지나는 부품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청정부를 가지는, 부품 수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부를 지나는 부품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청정부를 가지는, 부품 수용장치.
KR1020220022262A 2021-03-17 2022-02-21 부품 수용장치 KR20220130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5108A KR20240134794A (ko) 2021-03-17 2024-08-27 부품 수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3893 2021-03-17
JP2021043893A JP7435515B2 (ja) 2021-03-17 2021-03-17 部品収容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5108A Division KR20240134794A (ko) 2021-03-17 2024-08-27 부품 수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005A true KR20220130005A (ko) 2022-09-26

Family

ID=833246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262A KR20220130005A (ko) 2021-03-17 2022-02-21 부품 수용장치
KR1020240115108A KR20240134794A (ko) 2021-03-17 2024-08-27 부품 수용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5108A KR20240134794A (ko) 2021-03-17 2024-08-27 부품 수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35515B2 (ko)
KR (2) KR20220130005A (ko)
CN (1) CN115119493A (ko)
TW (1) TWI809759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ja)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929A (ja) * 1986-07-25 1988-02-10 Toshiba Corp 部品の間歇供給装置
JPH0736904Y2 (ja) * 1988-03-04 1995-08-23 鐘紡株式会社 回収装置
GB2250496B (en) * 1990-12-04 1994-07-27 Nitto Kogyo Kk Automatic chip separating and feeding apparatus
JP3114692B2 (ja) * 1998-04-10 2000-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被処理物取扱方法及び被処理物取扱装置
JP3539618B2 (ja) * 1998-07-03 2004-07-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部品搬送装置
JP3702668B2 (ja) * 1998-09-28 2005-10-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チップ供給装置
JP4275258B2 (ja) * 1999-07-23 2009-06-1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物品供給装置
JP2002187612A (ja) * 2000-12-22 2002-07-02 Murata Mfg Co Ltd チップ部品の供給装置
JP2002308444A (ja) * 2001-04-12 2002-10-23 Unitec:Kk 供給装置
ES2228286B1 (es) * 2004-10-25 2006-02-16 Jaime Marti Sala Posicionador de articulos.
JP3928654B1 (ja) * 2005-12-01 2007-06-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測定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A100120C2 (en) * 2007-04-03 2012-11-26 Анадис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5,6-dihydro-1h-pyridin-2-one compounds
JP6648681B2 (ja) * 2016-12-16 2020-0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搬送装置
CN209834799U (zh) * 2019-04-24 2019-12-24 中山雅特生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元件循环供料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ja)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9759B (zh) 2023-07-21
CN115119493A (zh) 2022-09-27
KR20240134794A (ko) 2024-09-10
TW202237504A (zh) 2022-10-01
TW202348513A (zh) 2023-12-16
JP2022143407A (ja) 2022-10-03
JP7435515B2 (ja)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0586A (ko) 부품 수용장치
JP7405111B2 (ja) 部品収容装置及び生産管理システム
KR20220130005A (ko) 부품 수용장치
JP7415996B2 (ja) 部品収容装置
TWI853662B (zh) 零件收容裝置
KR102721777B1 (ko) 부품 수용장치
KR20220132419A (ko) 부품 수용장치
CN118907802A (zh) 部件收纳装置
WO2023281927A1 (ja) 部品収容装置
KR20240153295A (ko) 부품 수용장치
TWI853551B (zh) 零件收容裝置
CN118139800A (zh) 部件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