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419A - 부품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419A
KR20220132419A KR1020220020575A KR20220020575A KR20220132419A KR 20220132419 A KR20220132419 A KR 20220132419A KR 1020220020575 A KR1020220020575 A KR 1020220020575A KR 20220020575 A KR20220020575 A KR 20220020575A KR 20220132419 A KR20220132419 A KR 2022013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conveying
parts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이치 오쿠누키
신이치 타마무라
코이치 이와모토
아츠시 쿠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3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6Devices for loading or unloading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rollers, convey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4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reciprocating conveyors, e.g. jigging convey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6Supply management, e.g. supply of components or of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4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한다.
복수개의 케이스(1) 각각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부(240)와, 복수개의 설치부(240) 각각에 대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복수개의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와 설치부(240) 사이에 배치되며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개구)(6)를 향해 전자부품(50)을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를 포함하고, 반송부(210)는 진동에 의해 전자부품(50)을 반송하는 진동 반송부(211)와, 진동 반송부(211)와 배출부(230) 사이에 배치된 무진동 반송부(220)를 포함하며, 무진동 반송부(220)에는 상기 무진동 반송부(220)로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을 검지하는 반송부품 검지부(279)가 병설된다.

Description

부품 수용장치{COMPONENT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칩 부품 등의 전자부품을 케이스 안에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칩 부품 등의 소형 전자부품을 다수개 합쳐서 운반함에 있어서는 전자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합쳐서 수용하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95618호
다수개의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는 일정 용적 내에 다수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효율의 점에서 캐리어 테이프 등보다도 효율적이다. 효율화를 촉진하는 데에는 그와 같은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는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상기 케이스 각각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부와, 상기 복수개의 설치부 각각에 대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복수개의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부로부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를 향해 부품을 1개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부는 진동에 의해 부품을 반송하는 진동 반송부와, 상기 진동 반송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된 무진동 반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진동 반송부에는 상기 무진동 반송부로 반송되는 부품을 검지하는 반송부품 검지부가 병설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대각선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대각선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의 반송부에서의 진동 반송부로부터 무진동 반송부에 이르는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 및 케이스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관한 도면이다. 부품 수용장치(200)는 케이스(1)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우선, 케이스(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케이스(1)를 대각선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는 그 내부에 부품으로서의 전자부품(50)(도 2에 도시함)을 분리시킨 상태로 수용한다. 케이스(1)는 피더(1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세팅된다. 한편, 피더(100)는 진동함으로써 케이스(1) 안으로부터 전자부품(50)을 배출하고, 그 전자부품(50)을 도시하지 않은 실장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부품(50)은 예를 들면 긴 쪽 방향의 길이가 1.2㎜ 이하인 미소(微小)의 직방체상의 전자부품이다. 그와 같은 전자부품으로는 콘덴서나 인덕터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후술할 제2 부재(22)를 떼어낸 케이스(1)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부품(50)을 배출하는 배출구(6)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배출구(6)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배출구(6)는 개구의 일례이다. 도 4는 케이스(1)를 대각선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와 셔터 부재(3)와 셔터 부재(3)와 일체인 슬라이더(4)와 RFID 태그(5)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2)는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를 가진다. 케이스(1)는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합체되어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수용 공간(S)이 형성되는 용기이다. 케이스 본체(2)는 천판부(天板部)(2U)와 저판부(底板部)(2D)와 앞쪽 벽부(2F)와 뒤쪽 벽부(2B)와 제1 부재(21) 측의 오른쪽 벽부(2R)와 제2 부재(22) 측의 왼쪽 벽부(2L)를 포함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한 상태로 연직방향의 상하가 되는 방향을 케이스(1)의 상하방향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1)에서의 배출구(6)가 마련된 쪽을 전방,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한다. 왼쪽 및 오른쪽과 같은 좌우방향은 케이스(1)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방향으로 한다. 제1 부재(21)는 오른쪽에 있고, 제2 부재(22)는 왼쪽에 있다.
앞쪽 벽부(2F), 뒤쪽 벽부(2B), 오른쪽 벽부(2R) 및 왼쪽 벽부(2L) 각각은 연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이다. 천판부(2U) 및 저판부(2D)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부(板部)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는 좌우대칭으로 구성된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가 합체되고, 서로 접합되어 구성된다. 즉,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 각각은 좌우로 분할되는 반할체(半割體; half-split body)이다.
케이스 본체(2)는 앞쪽 벽부(2F)의 아래쪽에 배출구(6)를 가진다. 배출구(6)는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의 개구부이다. 한편, 배출구(6)는 4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상 등의 윤곽을 가진 개구부이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S) 안에서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 사이에 판 부재(7)가 연장된다. 판 부재(7)의 윗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의 배출구(6)의 아래 가장자리부(6a)를 향해 연장되고, 아래 가장자리부(6a) 측이 가장 아래쪽이 되도록 경사진 경사면(7a)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7a)의 경사각도(θ)는 케이스(1)가 피더(100)에 세팅된 상태로 수평방향에 대하여 3°~10°가 바람직하고, 5°~7°이면 더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6)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가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셔터 부재(3)는 자신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6)를 개폐한다. 셔터 부재(3)는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그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셔터 부재(3)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필름 부재이다. 셔터 부재(3)는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면서 만곡이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셔터 부재(3)의 폭은 배출구(6)의 폭보다 약간 크고, 배출구(6)를 빈틈 없이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셔터 부재(3)는 그 전단부(前端部)에 배출구(6)와 대략 동일 형상의 개구부(3a)를 가진다. 개구부(3a)와 배출구(6)가 합치되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셔터 부재(3)가 배출구(6)를 덮으면, 배출구(6)는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된다. 한편,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동일 형상일 필요는 없고, 배출구(6)를 개구시키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면 된다.
케이스 본체(2)의 앞쪽 벽부(2F)에서의 배출구(6)의 위쪽에는 케이스 본체(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오목부(61)가 마련된다. 배출구(6) 및 오목부(61)가 마련된 부분의, 앞쪽 벽부(2F)의 두께방향, 즉 좌우방향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62)이 좌우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된다. 셔터 부재(3)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 각각이 좌우의 안내 홈(62)에 삽입된다. 셔터 부재(3)는 안내 홈(62)으로 안내되어서 앞쪽 벽부(2F)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3)의 후단부(後端部)에는 원형의 구멍(3b)이 마련된다. 구멍(3b)을 이용하여 슬라이더(4)가 셔터 부재(3)와 일체가 되도록 장착된다. 슬라이더(4)는 직방체상의 부재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하는 아래쪽 개구부(4c)를 가짐과 함께, 전단 판부(4d) 및 후단 판부(4e)를 각각 가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는 그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플랜지부(4a)를 가진다. 슬라이더(4)가 그 윗면에 볼록부(4b)를 가진다. 볼록부(4b)는 셔터 부재(3)의 구멍(3b)에 끼워 맞춰져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이로써 슬라이더(4)는 셔터 부재(3)와 일체가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저판부(2D)에는 상방을 향해 움푹 패이며 전후방향으로 긴 오목부(23)가 마련된다. 오목부(23)의 앞면에는 슬릿(24)이 마련된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삽입통과한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지나 오목부(23)의 아랫면을 따라 연장된다. 오목부(23)의 아랫면에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가 전후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된다. 슬라이더(4)의 볼록부(4b)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 각각에 끼워맞출 수 있다.
오목부(23)가 마련된 부분의, 저판부(2D)의 좌우방향 양측의 면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홈부(25)가 각각 마련된다. 좌우의 홈부(25) 각각에 슬라이더(4) 좌우의 플랜지부(4a)가 각각 삽입통과된다. 플랜지부(4a)가 홈부(25)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슬라이더(4)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슬라이더(4)의 슬라이드 범위는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와 뒤쪽 구덩이(26b)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 사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질 때,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오목부(61) 안에 위치하여 배출구(6)과 합치되지 않는다. 이때, 배출구(6) 전체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되고, 전자부품(50)은 배출구(6)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셔터 부재(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뒤쪽 구덩이(26b)에 끼워 맞춰지면,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합치된다. 이때, 배출구(6)는 개구되고, 전자부품(50)이 배출구(6)로부터 배출이 가능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는 위쪽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를 가진다. 위쪽 파지부(10A)는 케이스 본체(2) 위쪽의 전후 양단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구덩이이다. 뒤쪽 파지부(10B)는 케이스 본체(2) 뒤쪽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상하 한 쌍의 구덩이이다. 위쪽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 각각은 예를 들면 로봇 핸드에 의해 케이스(1)를 운반 등을 할 때 그 로봇 핸드에 파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에서의 하부이자 상기 오목부(23)에 대강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로 관통하는 관통구멍(9)이 마련된다. 관통구멍(9)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구멍이다. 관통구멍(9) 내부의 윗면에 전후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RFID 태그(5)가 점착되어서 장착된다. RFID 태그(5)는 송수신부, 메모리 및 안테나 등을 가지는 공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100)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105)가 배치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케이스 본체(2)는 저판부(2D)의 바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를 가진다.
갈고랑이부(8)는 앞쪽 갈고랑이부(8A)와 뒤쪽 갈고랑이부(8B)를 포함한다. 앞쪽 갈고랑이부(8A) 및 뒤쪽 갈고랑이부(8B)는 동일 형상이며,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하단이 거의 90° 후방으로 굴곡지며,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板片)이다. 한편, 앞쪽 갈고랑이부(8A)와 뒤쪽 갈고랑이부(8B)는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T자 슬롯부(13)는 앞쪽 T자 슬롯부(13A)와 뒤쪽 T자 슬롯부(13B)를 포함한다. 앞쪽 T자 슬롯부(13A) 및 뒤쪽 T자 슬롯부(13B)는 모두 정면에서 봤을 때 역T자 형상의 돌기이다. 앞쪽 T자 슬롯부(13A)는 전단부에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3c)가 형성된다.
피더(100)는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탈착될 수 있게 걸어 맞춰져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할 수 있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부를 가진다. 상기 걸어맞춤부에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걸어 맞춰져서 피더(100)에 케이스(1)가 탈착될 수 있게 세팅된다. 이와 같이 피더(100)에 세팅된 케이스(1)에서는 배출구(6)가 개구된 상태로 피더(100)가 진동함으로써, 전자부품(50)이 경사면(7a)을 내려가서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전자부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장치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5~도 1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부품 수용장치(200)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부품 수용장치(200)는 상술한 케이스(1) 안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를 지나 수용 공간(S)에 자동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복수개의 케이스(1) 각각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부(240)와, 복수개의 설치부(240) 각각에 대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반송하는 복수개의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와 설치부(240) 사이에 배치되며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를 향해 전자부품(50)을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설치부(240)를 포함하고, 이들 3개의 설치부(240) 각각에 배출부(230) 및 반송부(210)가 마련된다. 설치부(240)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2개를 포함하면 되고, 4개 이상을 포함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210)로부터 케이스(1)에 이르는 전자부품(50)의 경로에 기초한 반송라인을 제1 반송라인(210A), 제2 반송라인(210B), 제3 반송라인(210C)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실시형태의 부품 수용장치(200)는 제1 반송라인(210A), 제2 반송라인(210B) 및 제3 반송라인(210C)을 포함한다.
우선 반송부(210)를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반송부(210)는 진동에 의해 부품을 반송하는 진동 반송부(211)와, 반송부(210)의 종단부에 배치된 무진동 반송부(220)를 포함한다. 진동 반송부(211)와 무진동 반송부(220)는 연속적으로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윗면이 전자부품(50)의 반송 경로가 된다.
진동 반송부(211)는 반송부(210)의 주된 부분을 차지하고, 도시하지 않은 진동기에 의해 진동한다. 진동됨으로써, 진동 반송부(211)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부(230)를 향해 화살표(F) 방향으로 순차 반송한다. 전자부품(50)은 후속의 전자부품(50)에 밀리면서 진동 반송부(211) 위를 배출부(230)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간다.
무진동 반송부(220)는 진동 반송부(211)와 배출부(230)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반송부(211) 위를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은 무진동 반송부(220) 위로 옮겨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50)이 옮겨지는 무진동 반송부(220)의 윗면에는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3개의 칸막이부(221)가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칸막이부(221) 각각은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동 또는 측방으로 왕복동함으로써, 무진동 반송부(220)의 위쪽 공간인 전자부품(50)의 통로를 차단하기도 하고 열기도 한다. 도 6은 무진동 반송부(220) 위의 통로를 차단한 각 칸막이부(221)에 의해 전자부품(50)이 정지된 상태를 나타냈다.
칸막이부(221)가 무진동 반송부(220) 위의 통로를 차단하면, 전자부품(50)은 칸막이부(221)로 반송이 정지된다. 정지된 1개의 전자부품(50)은 무진동 반송부(220)의 측방으로 병설된 반송부품 검지부(279)에 의해, 전자부품(50)이 검지된다. 반송부품 검지부(279)는 3개의 칸막이부(221)에 대응하고, 3개의 부품검지부, 즉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를 포함한다. 반송부품 검지부(279)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개의 배출부(230)는 3개의 반송부(210)에서의 각 무진동 반송부(220)의 종단부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된다. 배출부(230)는 반송부(210)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에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부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230)는 반송부(210)의 무진동 반송부(220)로부터 전자부품(50)을 받는 플레이트(212)와 원통 부재(231)와 압하 핀(236)을 포함한다. 플레이트(212)는 전자부품(50)을 하방의 원통 부재(231)에 낙하시키는 낙하 구멍(215)을 가진다. 전자부품(50)은 낙하 구멍(215)을 지나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낙하된다.
낙하 구멍(215)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전자부품(50)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원통 부재(231)의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케이스(1)의 배출구(6)로 인도된다. 원통 부재(231)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지름 확장되는 역원추 형상의 위쪽 통부(233)와, 위쪽 통부(233) 하단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통부(234)를 가진다. 위쪽 통부(233)와 아래쪽 통부(234)는 일체이다. 낙하 구멍(215)을 통과하는 전자부품(50)은 위쪽 통부(233)의 안쪽으로 낙하하여 아래쪽 통부(234)의 내부에 이르고, 아래쪽 통부(234)의 내부를 지나 낙하한다. 전자부품(50)은 원통 부재(231)의 내면(232)에 접촉하면서 미끄러져 떨어져 가는 경우가 있다.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전자부품(50)이 전기적인 파손을 받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원통 부재(231)의 적어도 내면(232)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부품(50)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원통 부재(231)의 내면(232)은 평활한 저(低)마찰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의 수지로 표면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230)에는 낙하 구멍(215)으로부터 전자부품(50)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압하 핀(236)이 마련된다. 압하 핀(236)은 통과구멍(218)과 합치되는 낙하 구멍(21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압하 핀(23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압하 핀(236)이 하방으로 구동되면, 낙하 구멍(215) 안의 전자부품(50)이 하방으로 밀리고,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낙하된다. 압하 핀(236)으로 밀림으로써, 전자부품(50)은 낙하 구멍(215) 안에 걸리지 않고 확실하게 낙하 구멍(215)으로부터 벗어나서 낙하한다.
한편, 압하 핀(236)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공기의 흐름으로 전자부품(50)을 낙하 구멍(215)으로부터 낙하시키는 공기류 발생부(237)를 배출부(230)에 마련해도 된다. 그와 같은 공기류 발생부(237)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에 상방으로부터 공기를 내뿜어서 낙하시키거나, 혹은 측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전자부품(50)을 낙하시키는 기능을 포함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배출부(230)에는 상기 배출부(230)를 지나는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청정부(238)가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청정부(238)는 압하 핀(236)의 상방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기구로 구성된다. 청정부(238)에 의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낙하 구멍(215) 및 원통 부재(231)의 내부인 전자부품(50) 경로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로써,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파편이나 먼지 등이 청정부(238)에 흡입되어서 청정화된다.
한편, 청정부(238)는 공기를 분출하여 파편이나 먼지 등을 날려버림으로써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케이스(1) 안에 파편이나 먼지 등이 파고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셔터 부재(3)에 의해 배출구(6)를 닫은 상태로 작동시키면 된다.
도 8은 설치부(240)에 케이스(1)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냈다. 케이스(1)는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케이스(1)는 케이스(1)의 전후방향을 연직방향을 따른 상태, 즉 수직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설치부(240)는 벽부(241)와, 벽부(241)에 케이스(1)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250)와,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260)를 가진다.
벽부(241)는 대략 연직방향을 따른 면인 벽면(241a)을 가진다.
유지부(250)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후크부, 즉 위쪽 후크부(251)와 아래쪽 후크부(252)를 포함한다. 위쪽 후크부(251) 및 아래쪽 후크부(252)는 동일 형상이고, 선단이 대략 90° 상방으로 굴곡지며,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 후크부(251)에 케이스(1)의 앞쪽 갈고랑이부(8A)가 상방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걸어 맞춰지고, 아래쪽 후크부(252)에 케이스(1)의 뒤쪽 갈고랑이부(8B)가 상방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걸어 맞춰진다. 이로써, 케이스(1)는 배출구(6)가 상방을 향하면서 전후방향, 즉 길이방향이 벽면(241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상태로 유지부(250)에 탈착될 수 있게 유지된다. 케이스(1)의 저판부(2D)가 극간을 두고 벽면(241a)과 평행하게 대향한다.
벽부(24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벽면(241a) 측으로 개구하는 오목한 부분(242)이 형성된다. 이 오목한 부분(242) 안에 셔터 부재(3)를 슬라이딩시키는 개폐 기구(260)가 배치된다. 개폐 기구(260)는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 핀(261)을 가진다. 구동 핀(261)의 선단부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된다. 구동 핀(261)은 예를 들면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에 마련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된다. 벽부(241)의 오목한 부분(242)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243)가 배치된다. 리더 라이터(243)는 정보 읽기쓰기부의 일례이다. 한편, 위쪽 후크부(251)와 아래쪽 후크부(252)는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250)에 유지된 케이스(1)의 슬라이더(4)에 구동 핀(261)이 걸어 맞춰진다.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는 전방(도 9에서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지고, 배출구(6)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된다. 한편, 구동 핀(261)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구동 핀(261)이 상방에 위치할 때에 배출구(6)가 셔터 부재(3)로 폐색된 케이스(1)를 유지부(250)에 유지시키면, 구동 핀(261)은 도 4에 나타낸 슬라이더(4)의 아래쪽 개구부(4c)에 삽입되고, 전단 판부(4d)와 후단 판부(4e) 사이에 위치 지어진다.
이 상태로부터 도 9에서 구동 핀(26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후단 판부(4e)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하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뒤쪽 구덩이(26b)에 끼워 맞춰지고,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가 케이스(1)의 배출구(6)에 합치되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이 상태로부터 구동 핀(261)이 상방으로 되돌아오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전단 판부(4d)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상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앞쪽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지며, 개구부(3a)가 셔터 부재(3)로 닫힌다.
실시형태의 부품 수용장치(200)는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전자부품(50)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하는 부품검지부(270)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의 부품검지부(270)는 도 5에 나타낸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를 포함하는 반송부품 검지부(279)와, 도 7에 나타낸 배출부(230)에 마련된 제4 부품검지부(274)를 포함한다.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 각각은 전자부품(50)에 관한 임의의 사항에 대해 검지한다. 제1 부품검지부(271)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통과한 것을 검지하고,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검지부로서의 카운터의 기능을 가진다. 제2 부품검지부(272)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인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형상검지부로서의 이미지 센서이다. 제3 부품검지부(273)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성능검지부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콘덴서인 경우, 기능으로서의 정전 용량이 규정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 센서 등이 적용된다.
제4 부품검지부(274)는 원통 부재(231)의 상류 측과 하류 측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와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를 포함한다.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는 원통 부재(231)의 상류 측이며, 낙하 구멍(215)을 통과하여 원통 부재(231)로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검지부로서의 카운터의 기능을 가진다.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는 발광 소자(275a) 및 수광 소자(275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는 원통 부재(231)의 하류 측이며, 원통 부재(231)를 통과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로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검지부로서의 카운터의 기능을 가진다.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도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와 마찬가지이며, 발광 소자(276a) 및 수광 소자(276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한편, 광 센서로는 발광한 광의 반사를 대상물로부터 수광하는 형식이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인 것이어도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전자부품(50)이 케이스(1)에 수용된다.
전자부품(50)은 반송부(210)에서 진동 반송부(211) 위를 진동에 의해 배출부(230)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진동 반송부(211)로부터 무진동 반송부(220)로 옮겨간 전자부품(50)은 후속의 전자부품(50)에 밀려서 배출부(230)의 방향으로 반송되지만, 반송 도중에 3개의 칸막이부(221)로 정지시켜지면서 반송된다. 각 칸막이부(221)로 정지시켜질 때마다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에 의해, 전자부품(50)은 검지된다.
제1 부품검지부(271)에서는 예를 들면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제2 부품검지부(272)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인 결함이 있는지 여부가 검지된다. 제3 부품검지부(273)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이 검지된다.
무진동 반송부(220)를 통과한 전자부품(50)은 플레이트(212) 위로 옮겨가고, 낙하 구멍(215)에 이르면, 하강하는 압하 핀(236)에 밀리면서 낙하 구멍(215)을 낙하한다. 낙하 구멍(215)을 통과한 전자부품은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낙하하고, 추가로 원통 부재(231) 안을 낙하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로부터 케이스(1) 안으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이때, 제4 부품검지부(274)의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에 의해, 낙하 구멍(215)으로부터 낙하한 전자부품(50)이 원통 부재(231)에 들어가는 것이 검지되고,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에 의해, 원통 부재(231)로부터 낙하한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검지된다.
이상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복수개(3개)의 케이스(1) 안에 수용된다. 무진동 반송부(220)로 반송하는 중에 제1 부품검지부(271)에 의해 전자부품(50)의 반송 수가 카운트된다. 또한,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 및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를 포함하는 제4 부품검지부(274)에 의해, 낙하 구멍(215)으로부터 낙하하여 최종적으로 케이스(1) 안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각 케이스(1) 안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소정 수에 도달하면 반송부(210)에 의한 전자부품(50)의 반송이 중단되고, 설치부(240)에 새로운 빈 케이스(1)를 갈아 끼운 후, 케이스(1)로 전자부품(50)의 수용이 재개된다.
한편, 복수개의 반송라인, 즉 제1 반송라인(210A), 제2 반송라인(210B) 및 제3 반송라인(210C)에서의 상기 연속 동작에서는 각 라인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수개의 반송라인의 동작을 동기하여 제어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설치부(240)에 케이스(1)가 설치되었을 때에 각종 정보를 리더 라이터(243)에 의해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하는 정보로는 예를 들면, 설치된 케이스(1)의 케이스 번호, 장치 자신의 장치번호, 설치된 반송라인의 라인번호, 해당하는 반송라인의 고장 이력, 전자부품(50)의 로트번호, 부품 수용장치(200)가 배치되는 공장번호, 제조에 관한 날짜(제조일, 케이스(1)로의 수용일 등), 벤더번호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1)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케이스(1) 각각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부(240)와, 복수개의 설치부(240) 각각에 대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복수개의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와 설치부(240) 사이에 배치되며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를 향해 전자부품(50)을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를 포함하고, 반송부(210)는 진동에 의해 전자부품(50)을 반송하는 진동 반송부(211)와, 진동 반송부(211)와 배출부(230) 사이에 배치된 무진동 반송부(220)를 포함하며, 무진동 반송부(220)에는 상기 무진동 반송부(220)로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을 검지하는 반송부품 검지부(279)가 병설된다.
이로써, 케이스(1) 안에 다수개의 전자부품(50)을 단시간에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반송부품 검지부(279)에 의한 부품검지에 의해 부품관리를 할 수 있다.
무진동 상태의 전자부품(50)을 반송부품 검지부(279)에 의해 검지하기 때문에 전자부품(50)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2)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케이스(1)는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6)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를 가지며, 설치부(240)는 배출구(6)가 상방을 향하도록 케이스(1)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250)와, 셔터 부재(3)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26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는 배출구(6)가 상방을 향한 상태로 설치부(240)의 유지부(250)에 유지되기 때문에 배출구(6)로부터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안에 원활하게 수용됨과 함께, 배출구(6)로부터 전자부품(50)이 중력에 의해 나오지 않고, 소정 수의 전자부품(50)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유지부(250)에 유지한 상태로, 개폐 기구(260)에 의해 셔터 부재(3)를 슬라이딩시켜서 케이스(1)의 배출구(6)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배출구(6)를 셔터 부재(3)로 닫은 상태로 유지부(250)로부터 케이스(1)를 떼어 내도록 함으로써, 떼어낼 때에 전자부품(50)이 배출구(6)로부터 준비되지 않은 채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반송부품 검지부(279)는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는 형상검지부, 부품 통과의 유무를 검지하는 통과검지부, 부품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케이스(1) 안에 수용하는 전자부품(50)의 형상이나 성능을 검지하여 불량품의 수용을 회피할 수도 있고, 전자부품(50)의 수를 검지하여 원하는 수의 전자부품(50)을 케이스(1)에 정확하게 수용할 수도 있다.
(4)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케이스(1)는 RFID 태그(5)를 포함하고, 설치부(240)는 상기 설치부(240)에 설치되는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정보 읽기쓰기부로서의 리더 라이터(2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케이스(1)를 설치부(240)에 설치한 상태로 RFID 태그(5)를 읽어냄으로써 케이스(1)나 케이스(1) 안의 전자부품(50)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케이스(1) 안에 전자부품(50)을 수용하면서 부품관리를 할 수 있다.
(5)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 리더 라이터(243)에 의해 반송부품 검지부(279)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RFID 태그(5)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RFID 태그(5)를 읽어냄으로써 케이스(1) 안의 전자부품(50)의 검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 케이스 3: 셔터 부품
5: RFID 태그 6: 배출구(개구)
50: 전자부품(부품) 200: 부품 수용장치
210: 반송부 211: 진동 반송부
220: 무진동 반송부 230: 배출부
240: 설치부 243: 리더 라이터(정보 읽기쓰기부)
250: 유지부 260: 개폐 기구
271: 제1 부품검지부(통과검지부) 272: 제2 부품검지부(형상검지부)
273: 제3 부품검지부(성능검지부) 274: 통과검지부
279: 반송부품 검지부

Claims (5)

  1.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상기 케이스 각각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설치부와,
    상기 복수개의 설치부 각각에 대하여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복수개의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부로부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를 향해 부품을 1개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부는 진동에 의해 부품을 반송하는 진동 반송부와, 상기 진동 반송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된 무진동 반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진동 반송부에는 상기 무진동 반송부로 반송되는 부품을 검지하는 반송부품 검지부가 병설되는, 부품 수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개구를 상방을 향해 상기 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와, 상기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가지는, 부품 수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품 검지부는 부품의 형상을 검지하는 형상검지부, 부품 통과의 유무를 검지하는 통과검지부, 부품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부품 수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RFID 태그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정보 읽기쓰기부를 포함하는, 부품 수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에 의해, 상기 반송부품 검지부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되는, 부품 수용장치.
KR1020220020575A 2021-03-23 2022-02-17 부품 수용장치 KR20220132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8934A JP7400762B2 (ja) 2021-03-23 2021-03-23 部品収容装置
JPJP-P-2021-048934 2021-03-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6900A Division KR20240135715A (ko) 2021-03-23 2024-08-29 부품 수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419A true KR20220132419A (ko) 2022-09-30

Family

ID=8332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575A KR20220132419A (ko) 2021-03-23 2022-02-17 부품 수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00762B2 (ko)
KR (1) KR20220132419A (ko)
CN (1) CN115108187A (ko)
TW (1) TWI80424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ja)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41931Y (zh) * 2004-04-30 2005-11-23 自然兴电通科技股份有限公司 振动送料机
CN2715161Y (zh) * 2004-06-01 2005-08-03 铔瑟国际有限公司 螺丝检测机
JP2006142236A (ja) * 2004-11-22 2006-06-08 Ikegami Tsushinki Co Ltd 選別装置
JP2009164381A (ja) 2008-01-08 2009-07-23 Taiyo Yuden Co Ltd バルクフィーダ
JP5133123B2 (ja) 2008-04-30 2013-01-30 太陽誘電株式会社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収納ケース
KR20150032248A (ko) * 2012-02-07 2015-03-25 이스메카 세미컨덕터 홀딩 에스.아. 부품 분류 장치
JP6816383B2 (ja) * 2016-05-26 2021-01-20 Tdk株式会社 電子部品の搬送方法、検査方法および製造方法
CN105857653A (zh) * 2016-06-13 2016-08-17 广州弥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单轨模块化数粒机及多轨道数粒机
JP6785410B2 (ja) 2016-10-28 2020-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システムならびに部品供給方法
CN206515234U (zh) * 2017-01-22 2017-09-22 深圳市绿鑫源农品有限公司 基于近红外光谱检测的农产品内部品质检测分级设备
CN207001710U (zh) * 2017-07-31 2018-02-13 苏州迈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片全自动分选机
CN208700068U (zh) * 2018-05-02 2019-04-05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分拣打包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ja)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08187A (zh) 2022-09-27
TW202332645A (zh) 2023-08-16
TW202239317A (zh) 2022-10-01
TWI804241B (zh) 2023-06-01
JP2022147614A (ja) 2022-10-06
JP7400762B2 (ja)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5111B2 (ja) 部品収容装置及び生産管理システム
JP7371654B2 (ja) 部品収容装置
KR20220132419A (ko) 부품 수용장치
JP7415996B2 (ja) 部品収容装置
JP7435515B2 (ja) 部品収容装置
TWI853551B (zh) 零件收容裝置
KR20240135715A (ko) 부품 수용장치
TWI853662B (zh) 零件收容裝置
KR20240134794A (ko) 부품 수용장치
WO2019058499A1 (ja) 部品供給装置
KR20240018599A (ko) 부품 수용장치
JP7113187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システムならびに部品装着方法
JP6482908B2 (ja) 物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