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925A - 도공 헤드 - Google Patents

도공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925A
KR20220128925A KR1020210113634A KR20210113634A KR20220128925A KR 20220128925 A KR20220128925 A KR 20220128925A KR 1020210113634 A KR1020210113634 A KR 1020210113634A KR 20210113634 A KR20210113634 A KR 20210113634A KR 20220128925 A KR20220128925 A KR 20220128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manifold
coating head
block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다시로
히데아키 모리시마
히로노리 다카츠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22012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도공 헤드에 관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폭 방향에 대하여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토출구 및 그 근방에 있어서 헤드 본체의 변형이 억제되는 도공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공 헤드는, 헤드 본체, 제1 매니폴드, 제1 슬릿, 제2 매니폴드 및 제2 슬릿을 구비한다. 헤드 본체의 내부에서는, 제1 슬릿은, 제1 매니폴드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매니폴드는, 제1 슬릿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2 슬릿은, 제2 매니폴드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매니폴드로부터 도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한다.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는 높이 방향을 따른 제2 슬릿의 치수는, 높이 방향을 따른 제1 슬릿의 치수에 비해 크다.

Description

도공 헤드{COATING HEAD}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도공 헤드에 관한 것이다.
기재의 표면에 도액이 도포된 도공체의 형성에, 슬롯다이 등의 도공 헤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공 헤드에서는, 매니폴드가, 헤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슬릿이, 매니폴드에 대하여 도공 헤드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슬릿은, 매니폴드로부터 도액을 전방측을 향해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한다. 도공체의 형성에 있어서는, 슬릿으로부터 토출된 도액이, 기재의 표면에 도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공 헤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에 대하여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폭 방향에 대한 위치에 관계없이 토출구로부터의 도액의 토출량이 균일해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액의 토출구 및 그 근방에 있어서, 헤드 본체의 변형이 억제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폭 방향에 대하여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토출구 및 그 근방에 있어서 헤드 본체의 변형이 억제되는 도공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공 헤드는, 헤드 본체, 제1 매니폴드, 제1 슬릿, 제2 매니폴드 및 제2 슬릿을 구비한다. 제1 매니폴드는, 헤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1 슬릿은, 헤드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제1 매니폴드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2 매니폴드는, 헤드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슬릿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매니폴드에는, 제1 매니폴드로부터 제1 슬릿을 통해 도액이 유입된다. 제2 슬릿은, 헤드 본체에 있어서 제2 매니폴드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매니폴드로부터 도액을 전방측을 향해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한다.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는 높이 방향을 따른 제2 슬릿의 치수는, 높이 방향을 따른 제1 슬릿의 치수에 비해 크다.
상기 도공 헤드에 의하면, 폭 방향에 대하여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토출구 및 그 근방에 있어서 헤드 본체의 변형이 억제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공 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공 헤드를, 2개의 블록 및 심판을 서로에 대하여 분리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공 헤드를, 2개의 블록의 한쪽 및 심판으로부터 2개의 블록의 다른 쪽을 분리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공 헤드의 2개의 블록의 한쪽 및 심판을, 일부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어느 변형예에 관한 도공 헤드의 2개의 블록의 한쪽 및 심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도공 헤드(1)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공 헤드(1)는, 예를 들어 슬롯다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공 헤드(1)는 헤드 본체(2)를 구비하고, 헤드 본체(2)는 2개의 블록(5, 6)을 구비한다. 또한, 도공 헤드(1)는 심판(7)을 구비한다. 블록(5, 6) 및 심판(7)의 각각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블록(제1 블록)(5), 블록(제2 블록)(6) 및 심판(7)을 서로에 대하여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다. 또한, 도 3에서는, 블록(6)을 블록(5) 및 심판(7)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공 헤드(1)에서는, 전후 방향(화살표 X1 및 화살표 X2로 나타내는 방향),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화살표 Y1 및 화살표 Y2로 나타내는 방향) 및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높이 방향(화살표 Z1 및 화살표 Z2로 나타내는 방향)이 규정된다. 도공 헤드(1)(헤드 본체(2))에서는, 폭 방향을 따른 치수는, 전후 방향을 따른 치수 및 높이 방향을 따른 치수의 각각에 비해 크다. 또한, 도 4는, 블록(5) 및 심판(7)의 일부를 나타내고, 도 4의 일부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절단면으로 블록(5) 및 심판(7)을 절단한 단면이 나타난다.
도 1 내지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5, 6)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연장 설치되고,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전방단으로부터 후방단에 걸쳐서 연장 설치된다. 이 때문에, 블록(5, 6)의 각각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른 치수는, 도공 헤드(1) 전후 방향을 따른 치수 및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치수의 각각에 비해 크다.
블록(제2 블록)(6)은, 높이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블록(제1 블록)(5)에 설치된다. 어느 일예에서는, 도공 헤드(1)(헤드 본체(2))의 높이 방향이 연직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고, 블록(6)은, 연직 상측으로부터 블록(5)에 설치된다. 심판(7)은,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블록(5, 6) 사이에 끼워진다. 심판(7)에서는, 판 두께 방향이 규정된다. 심판(7)은, 판 두께 방향이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블록(5, 6) 사이에 배치된다.
블록(5)은,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블록(6)이 위치하는 측을 향하는 면(제1 면)(11)을 구비하고, 블록(6)은,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블록(5)이 위치하는 측을 향하는 면(제2 면)(12)을 구비한다. 헤드 본체(2)의 내부에는 매니폴드(13, 15)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13, 15)는 블록(5)의 면(11)에 형성된다. 매니폴드(13, 15)의 각각은, 면(11)에 있어서, 높이 방향에 대하여 블록(6)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오목해진다.
매니폴드(13, 15)의 각각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른 치수가,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을 따른 치수에 비해 크다. 이 때문에, 매니폴드(13, 15)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른 치수가 큰 긴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블록(5)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매니폴드(13, 15)의 각각이 연장 설치된다.
블록(5)의 면(11)에서는, 매니폴드(13, 15)는,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제1 매니폴드)(13)는, 매니폴드(제2 매니폴드)(15)에 대하여 후방측(화살표 X2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매니폴드(15)의 오목량은, 매니폴드(13)의 오목량에 비해 작고,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매니폴드(15)의 치수(깊이)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매니폴드(13)의 치수(깊이)에 비해 작다.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을 따른 매니폴드(15)의 치수(홈 폭)는,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을 따른 매니폴드(13)의 치수(홈 폭)에 비해 작다. 도 2 내지 도 4 등의 일례에서는, 매니폴드(13, 15)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반원 형상 또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된다. 단, 매니폴드(13, 15)의 각각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저면이 원호 형상 또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고, 저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블록(제1 블록)(5)의 내부에는, 유입로(16)가 형성된다. 유입로(16)의 일단은, 매니폴드(13)와 연통한다. 유입로(16)의 타단은, 도공 헤드(1)의 외부에 대하여 개구되고, 후방측을 향해 개구된다. 도공 헤드(1)에서는, 유입로(16)의 매니폴드(13)에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이, 외부로부터 도공 헤드(1)로의 도액의 유입구로 된다.
심판(7)은, 판 두께부(17, 18)를 구비한다. 판 두께부(제1 판 두께부)(17)는, 판 두께 방향(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제1 판 두께로 된다.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는, 판 두께 방향(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제1 판 두께보다 얇은 제2 판 두께로 된다. 심판(7)에서는, 블록(5)이 위치하는 측을 향하는 표면은,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평면 위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심판(7)에서는, 블록(6)이 위치하는 측을 향하는 표면은, 판 두께부(18)가 판 두께부(17)에 대하여 블록(5)이 위치하는 측으로 오목해지는 상태로 형성된다. 도공 헤드(1)에서는, 블록(5, 6)의 각각과 판 두께부(1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블록(5)과 판 두께부(18)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단, 블록(6)과 판 두께부(18)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심판(7)의 판 두께부(제1 판 두께부)(17)는, 연장 설치판부(21) 및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돌출판부(22)를 구비한다. 연장 설치판부(21)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연장 설치된다. 또한, 도공 헤드(1)에서는, 연장 설치판부(21)는, 매니폴드(13)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하고, 연장 설치판부(21)는, 도공 헤드(1)의 후방단을 형성한다. 돌출판부(22)의 각각은, 연장 설치판부(21)로부터 도공 헤드(1)의 전방측을 향해 돌출된다. 돌출판부(22)의 각각의 돌출단은, 도공 헤드(1)의 전방단을 형성한다.
돌출판부(22)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공 헤드(1)에서는, 돌출판부(22)의 하나인 돌출판부(22A)는, 폭 방향의 일방측의 단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에서는, 돌출판부(22)의 돌출판부(22A)와는 다른 하나인 돌출판부(22B)는, 폭 방향에 대하여 돌출판부(22A)와는 반대측의 단을 형성한다. 또한, 돌출판부(22A, 22B) 이외의 돌출판부(22)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돌출판부(22A, 22B) 사이에 배치된다.
심판(7)의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중계판부(23)를 구비한다.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돌출판부(22) 사이는, 중계판부(23)가 대응하는 1개에 의해 중계된다. 따라서, 중계판부(23)의 각각은, 돌출판부(22)가 대응하는 2개의 사이에,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또한, 중계판부(23)의 각각은, 연장 설치판부(21)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전방측(화살표 X1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돌출판부(22)의 각각의 돌출단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중계판부(2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매니폴드(13, 15)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중계판부(23)의 각각은, 매니폴드(제1 매니폴드)(13)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전방측에 인접하고, 매니폴드(제2 매니폴드)(15)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후방측에 인접한다. 또한, 중계판부(23)의 각각은, 판 두께부(18)의 일부이다. 이 때문에, 중계판부(23)의 각각과 블록(5)의 면(1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중계판부(23)의 각각과 블록(6)의 면(1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심판(7)에는, 중계판부(23)의 각각과 연장 설치판부(21) 사이에 구멍(25)이 형성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구멍(25)이 형성된다. 구멍(25)의 각각은, 판 두께 방향(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심판(7)을 관통한다. 구멍(25)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판부(21), 돌출판부(22)의 대응하는 2개 및 중계판부(23)의 대응하는 1개에 의해 테두리가 형성된다. 도공 헤드(1)에서는, 구멍(25)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매니폴드(13)에 대하여 어긋나 있지 않거나, 또는 거의 어긋나 있지 않다.
또한, 심판(7)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절결부(26)가 형성되고, 절결부(26)의 각각은, 중계판부(23)의 대응하는 1개에 대하여 구멍(25)과는 반대측에 인접한다. 절결부의 각각은, 판 두께 방향(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심판(7)을 관통한다. 절결부(26)의 각각에서는, 돌출판부(22)의 대응하는 2개 및 중계판부(23)의 대응하는 1개에 의해 테두리가 형성된다. 도공 헤드에서(1)에서는, 절결부(26)의 각각은, 돌출판부(22)의 대응하는 2개의 돌출단 사이에 있어서, 전방측을 향해 개구된다.
심판(7)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헤드 본체(2)의 내부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매니폴드(13, 15)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슬릿(제1 슬릿)(31)이 형성된다. 도공 헤드(1)에서는, 슬릿(31)의 각각은, 매니폴드(제1 매니폴드)(13)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매니폴드(15)는, 슬릿(31)의 각각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헤드 본체(2)의 내부에서는, 매니폴드(15)는, 슬릿(31)을 사이에 두고, 매니폴드(13)와 연통한다.
슬릿(31)의 각각은, 중계판부(23)의 대응하는 1개와 블록(6)의 면(12)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슬릿(31)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의 판 두께부(18)가 연장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슬릿(31)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태로 마련된다. 단, 3개의 슬릿(31)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슬릿(31) 사이는, 판 두께부(17)의 돌출판부(22)의 대응하는 1개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심판(7)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헤드 본체(2)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매니폴드(13, 15) 및 슬릿(31)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슬릿(제2 슬릿)(32)이 형성된다. 도공 헤드(1)에서는, 슬릿(32)의 각각은, 매니폴드(제2 매니폴드)(15)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슬릿(32)의 각각에 있어서 매니폴드(15)에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은, 도공 헤드(1)의 외부에 대하여 개구되고, 전방측을 향해 개구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에서는, 슬릿(32)의 각각에 있어서 매니폴드(15)에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이, 도공 헤드(1)로부터 외부로 도액을 토출하는 토출구로 된다.
슬릿(32)의 각각은, 블록(5)의 면(11)과 블록(6)의 면(12)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슬릿(32)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슬릿(32)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태로 마련된다. 단, 3개의 슬릿(32)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슬릿(32) 사이는, 판 두께부(17)의 돌출판부(22)의 대응하는 1개에 의해 구획된다.
여기서, 슬릿(31)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의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가 연장 설치되는 것에 비해, 슬릿(32)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이 배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제2 슬릿)(32)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제1 슬릿)(31)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크다. 즉,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2)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작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른 슬릿(제1 슬릿)(31)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른 슬릿(제2 슬릿)(32)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체결 부재(도시 생략)를 통해 블록(6)을 블록(5)과 체결함으로써, 블록(6)이 블록(5)에 설치된다. 헤드 본체(2)에는, 매니폴드(13, 15) 사이에, 1개 이상의 체결부(33)가 형성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결부(33)가 복수 형성된다. 체결부(33)의 각각은, 블록(5, 6)이 체결되는 체결 위치의 하나이다. 체결부(33)의 각각에서는, 심판(7)의 돌출판부(22)의 대응하는 1개가, 블록(5, 6) 사이에 끼워진다. 체결부(3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매니폴드(13, 15)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체결부(3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슬릿(제1 슬릿)(31)에 대하여 어긋나 있지 않거나, 또는 거의 어긋나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결부(3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슬릿(31)이 대응하는 1개 이상에 대하여 인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33) 중에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양단에 2개 이외를 체결부(33A)라고 한다. 체결부(33A)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슬릿(31)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33)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의 판 두께부(제1 판 두께부)(17)가 연장 설치된다. 이 때문에, 체결부(33)의 각각에서는, 블록(5, 6)의 각각과 심판(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공 헤드(1)가 형성되기 때문에, 매니폴드(13, 15), 유입로(16) 및 슬릿(31, 32)에 의해, 도액의 유로가 형성된다. 도공 헤드(1)에 형성되는 도액의 유로에서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유입로(16), 매니폴드(제1 매니폴드)(13), 슬릿(31)(제1 슬릿), 매니폴드(제2 매니폴드)(15) 및 슬릿(제2 슬릿)(32)의 순으로 배치된다. 도액은, 유입로(16)를 통해 매니폴드(13)로 유입되고, 매니폴드(13)로부터 슬릿(31)의 어느 것을 통해 매니폴드(15)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액은, 매니폴드(15)로부터 슬릿(32)의 어느 토출구를 통해, 전방측을 향해 도공 헤드(1)의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도공 헤드(1)에서는, 전방측이, 토출구로부터의 도액의 토출 방향으로 된다.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공 헤드(1)는, 도공체(50)의 형성에 사용된다. 도공체(50)의 형성에 있어서는, 도공 헤드(1)를 사용하여, 기재(51)의 표면에 도액(52)을 도포한다. 이때, 기재(51) 및 도액(52)이 기재(51)에 도포된 도공체(50)는, 가이드 롤러(53) 등으로 형성되는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다. 도공 헤드(1)는, 슬릿(제2 슬릿)(32)의 각각의 토출구로부터 기재(51)를 향해 도액(52)을 토출하고, 기재(51)의 표면에 도액(52)을 도포한다.
어느 일예에서는, 도공체(50)로서, 전지의 전극(정극 또는 부극)이 되는 전극 시트가 형성된다. 이 경우,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합금박 등의 집전체가, 기재(51)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활물질을 현탁한 슬러리가, 도액(52)으로서, 기재(51)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에 의해, 집전체의 표면에, 활물질 함유층이 형성된다. 또한, 도 1 등의 일예에서는, 1개의 슬릿(32)마다, 도액(52)을 도포하는 대상이 되는 기재가 다르다. 이 때문에, 슬릿(32)과 동일한 수의 기재(51)로 동시에 도액(52)을 도포 가능하고, 도 1 등의 일예에서는, 3개의 기재(51)로 동시에 도액(52)을 도포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헤드(1)에서는, 헤드 본체(2)의 내부에 2개의 매니폴드(13, 15)가 마련되고, 매니폴드(13)로부터 슬릿(31)의 어느 것을 통해, 도액이 매니폴드(15)로 유입된다. 2개의 매니폴드(13, 15) 및 매니폴드(13, 15) 사이의 슬릿(31)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도공 헤드(1)에 형성되는 도액의 유로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전체에 걸쳐서 도액이 도달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2)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작다.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매니폴드(13)에 있어서, 도액이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져, 도공 헤드(1)에 형성되는 도액의 유로에 있어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전체에 걸쳐서 도액이 더 도달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13, 15) 및 슬릿(31, 32) 등으로 형성되는 유로에 있어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된다.
유로에 있어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으로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됨으로써, 도공 헤드(1)에서는, 폭 방향에 대한 위치에 관계없이, 토출구로부터의 도액의 토출량이 균일해진다. 즉, 복수의 슬릿(32)의 토출구 사이에서의 토출량의 변동이 저감되어, 복수의 슬릿(32)의 토출구에서는, 토출량이 서로에 대하여 균일해진다. 이에 의해, 도 1 등과 같이 복수의 기재(51)로 동시에 도액(52)이 도포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기재(51) 사이에서, 도포되는 도액(52)의 양이 균일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 시트를 도공체(50)로서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 등에는, 도포된 도액에 의해 형성되는 활물질 함유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복수의 전극 시트 사이에서 균일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2)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크다.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2)의 각각의 치수가 커지는 것에 의해, 슬릿(32)의 각각에 형성되는 토출구 및 그들의 근방에 있어서, 도액으로부터 헤드 본체(2)로 작용하는 압력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토출구 및 그들 근방에 있어서, 헤드 본체(2)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결부(3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매니폴드(13, 15)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슬릿(31)에 대하여 어긋나 있지 않거나, 또는 거의 어긋나 있지 않은 위치에, 블록(5, 6)을 체결하는 체결부(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는 작기 때문에, 슬릿(31)의 각각 및 그들의 근방에서는, 도액으로부터 헤드 본체(2)에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결부(33)가 전술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액으로부터 헤드 본체(2)에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지는 영역 또는 그 근방에서 블록(5, 6)이 체결된다. 이에 의해, 슬릿(31)의 각각 및 그들의 근방에서는, 도액으로부터 헤드 본체(2)에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져도, 헤드 본체(2)의 변형이 적절하게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결부(3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슬릿(31)의 대응하는 1개 이상에 대하여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33A)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슬릿(31)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슬릿(31)의 각각의 근방에 체결부(33)가 형성되고, 도액으로부터 헤드 본체(2)에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지는 영역 또는 그 근방에서, 블록(5, 6)이 적절하게 체결된다.
또한,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을 따른 매니폴드(제2 매니폴드)(15)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을 따른 매니폴드(제1 매니폴드)(13)의 치수에 비해 작다. 이 때문에, 체결부(33)로부터 슬릿(32)의 토출구까지의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을 따른 거리가 작아진다. 체결부(33)로부터 토출구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토출구 및 그들 근방에서의 헤드 본체(2)의 변형이, 더 적절하게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른 슬릿(제1 슬릿)(31)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을 따른 슬릿(제2 슬릿)(32)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작다. 폭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매니폴드(13, 15) 사이에 체결부(33)를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폭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매니폴드(13)에 있어서, 도액이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으로 더 흐르기 쉬워져, 도공 헤드(1)에 형성되는 도액의 유로에 있어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전체에 걸쳐서 도액이 더 도달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판(7)에, 판 두께부(제1 판 두께부)(17) 및 판 두께부(17)보다 판 두께가 얇은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릿(31)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판 두께부(18)가 연장 설치되고, 슬릿(32)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이 배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체결부(33)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판 두께부(17)가 연장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블록(5, 6) 사이에, 전술한 슬릿(31, 32)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어느 변형예에서도, 심판(7)은, 제1 판 두께가 되는 판 두께부(제1 판 두께부)(17) 및 제1 판 두께보다 얇은 제2 판 두께가 되는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를 구비한다. 그리고, 판 두께부(17)는, 연장 설치판부(21) 및 4개의 돌출판부(22)를 구비하고, 헤드 본체(2)에는, 3개의 슬릿(제2 슬릿)(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슬릿(32) 사이는, 판 두께부(17)의 돌출판부(22)의 대응하는 1개에 의해 구획된다. 단, 본 변형예에서는, 심판(7)의 판 두께부(17)는, 복수의 볼록판부(41)를 구비한다. 볼록판부(41)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 4개씩 배치되고, 도 5의 일례에서는, 심판(7)에 12개의 볼록판부(41)가 형성된다.
볼록판부(41)의 각각은, 연장 설치판부(21)로부터 도공 헤드(1)의 전방측을 향해 돌출된다. 단, 볼록판부(41)의 각각의 연장 설치판부(21)로부터의 돌출량은, 돌출판부(22)의 각각의 연장 설치판부(21)로부터의 돌출량에 비해 작다. 그리고, 볼록판부(41)의 각각의 돌출단의 위치는,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매니폴드(15)의 매니폴드(13)에 가까운 측의 테두리에 대하여 어긋나 있지 않거나, 또는 거의 어긋나 있지 않다.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서는, 4개의 볼록판부(41)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서는, 볼록판부(41)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돌출판부(2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심판(7)의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는, 중계판부(23) 대신에 중계판부(42)를 구비한다.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볼록판부(41) 사이는, 중계판부(42)의 대응하는 1개에 의해 중계된다. 또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서는, 돌출판부(22)의 각각과 볼록판부(41)의 대응하는 1개와의 사이가, 중계판부(42)의 대응하는 1개에 의해 중계된다. 이 때문에,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는 5개의 중계판부(42)가 형성되고, 심판(7)에는 15개의 중계판부(42)가 형성된다.
중계판부(42)의 각각은, 중계판부(23)와 마찬가지로, 연장 설치판부(21)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전방측(화살표 X1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돌출판부(22)의 각각의 돌출단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중계판부(42)의 각각은, 매니폴드(제1 매니폴드)(13)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전방측에 인접하고, 매니폴드(제2 매니폴드)(15)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후방측에 인접한다. 또한, 중계판부(42)의 각각은, 판 두께부(18)의 일부이다. 이 때문에, 중계판부(42)의 각각과 블록(5)의 면(1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중계판부(42)의 각각과 블록(6)의 면(1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중계판부(42)의 각각과 블록(6)의 면(12) 사이의 간극에 의해, 슬릿(제1 슬릿)(31)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는 5개의 슬릿(31)이 형성되고, 헤드 본체(2)에는 15개의 슬릿(31)이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슬릿(31)의 각각은, 매니폴드(제1 매니폴드)(13)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매니폴드(15)는, 슬릿(31)의 각각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헤드 본체(2)의 내부에서는, 매니폴드(15)는, 슬릿(31)을 사이에 두고, 매니폴드(13)와 연통한다. 또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돌출판부(22) 사이에서는,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슬릿(31) 사이는, 판 두께부(17)의 볼록판부(41)가 대응하는 1개에 의해 구획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슬릿(31)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의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가 연장 설치되는 것에 비해, 슬릿(32)의 각각에서는,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이 배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제2 슬릿)(32)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제1 슬릿)(31)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크다. 즉,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각각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2)의 각각의 치수에 비해 작다.
본 변형예의 헤드 본체(2)에서는, 매니폴드(13, 15) 사이에, 체결부(33) 대신에 1개 이상의 체결부(43)가 형성되고, 도 5의 일례 등에서는, 체결부(43)가 복수 형성된다. 체결부(43)의 각각은, 블록(5, 6)이 체결되는 체결 위치의 하나이다. 체결부(43)의 각각에서는, 심판(7)의 볼록판부(41)의 대응하는 1개가, 블록(5, 6) 사이에 끼워진다. 체결부(4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매니폴드(13, 15)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체결부(43)의 각각은, 도공 헤드(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슬릿(제1 슬릿)(31)에 대하여 어긋나 있지 않거나, 또는 거의 어긋나 있지 않다. 또한, 체결부(43)의 각각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등의 체결부(33)와 마찬가지로, 블록(5, 6) 사이에, 심판(7)의 판 두께부(제1 판 두께부)(17)가 연장 설치된다. 이 때문에, 체결부(33)의 각각에서는, 블록(5, 6)의 각각과 심판(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서도, 헤드 본체(2)에, 2개의 매니폴드(13, 15)가 마련되고, 슬릿(31)은, 매니폴드(13)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에서는, 매니폴드(15)는, 슬릿(31)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슬릿(32)은, 매니폴드(15)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2)의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치수에 비해 크다. 그리고, 매니폴드(13, 15) 사이에, 1개 이상의 체결부(43)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등에서는, 매니폴드(13, 15)는, 블록(제1 블록)(5)에 형성되지만, 어느 변형예에서는, 매니폴드(13, 15)의 적어도 한쪽이, 블록(제2 블록)(6)에 형성되어도 된다. 즉, 매니폴드(13, 15)의 양쪽이 블록(6)에 형성되어도 되고, 매니폴드(13, 15)의 한쪽이 블록(5)에 형성되고, 또한 매니폴드(13, 15)의 다른 쪽이 블록(6)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등에서는, 심판(7)의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와 블록(6)의 면(12) 사이의 간극에 의해 슬릿(제1 슬릿)(31)이 형성되지만, 어느 변형예에서는, 심판(7)의 판 두께부(제2 판 두께부)(18)와 블록(5)의 면(11) 사이의 간극에 의해, 슬릿(제1 슬릿)(31)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심판(7)에서는, 블록(6)이 위치하는 측을 향하는 표면은,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평면 위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심판(7)에서는, 블록(5)이 위치하는 측을 향하는 표면은, 판 두께부(18)가 판 두께부(17)에 대하여 블록(6)이 위치하는 측으로 오목해지는 상태로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블록(5, 6)의 각각과 판 두께부(1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단, 본 변형예에서는, 블록(6)과 판 두께부(18)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형성되지 않지만, 블록(5)과 판 두께부(1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슬릿(31)의 수는, 1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슬릿(32)의 수는, 1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변형예에서는, 심판(7)이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블록(5)의 면(11) 및 블록(6)의 면(12)의 어느 것에 매니폴드(13, 15)와는 다른 홈을 형성하거나 하여, 블록(5, 6) 사이에 슬릿(31, 32)을 형성한다. 슬릿(제1 슬릿)(31)을 형성하는 홈 및 슬릿(제2 슬릿)(32)을 형성하는 홈은, 매니폴드(13, 15)에 비해, 얕게 형성된다. 그리고, 슬릿(31)을 형성하는 홈은, 슬릿(32)을 형성하는 홈에 비해, 얕게 형성된다.
단, 어느 변형예든, 2개의 매니폴드(13, 15)가 마련되고, 슬릿(31)은, 매니폴드(13)에 대하여 도공 헤드(1)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에서는, 매니폴드(15)는, 슬릿(31)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슬릿(32)은, 매니폴드(15)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2) 치수는, 도공 헤드(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릿(31)의 치수에 비해 크다. 이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도공 헤드(1)의 폭 방향에 대하여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토출구 및 그 근방에 있어서 헤드 본체(2)의 변형이 억제된다.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슬릿은, 제1 매니폴드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매니폴드는, 제1 슬릿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슬릿은, 헤드 본체에 있어서 제2 매니폴드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매니폴드로부터 도액을 전방측을 향해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높이 방향을 따른 제2 슬릿의 치수는, 높이 방향을 따른 제1 슬릿의 치수에 비해 크다. 이에 의해, 폭 방향에 대하여 도액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토출구 및 그 근방에 있어서 헤드 본체의 변형이 억제되는 도공 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기타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매니폴드와,
    상기 헤드 본체의 상기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폴드에 대하여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슬릿과,
    상기 헤드 본체의 상기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에 대하여 상기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1 슬릿을 통해 도액이 유입되는 제2 매니폴드와,
    상기 헤드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매니폴드에 대하여 상기 전방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도액을 상기 전방측을 향해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2 슬릿이며,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는 높이 방향을 따른 치수가 상기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슬릿의 치수에 비해 큰 제2 슬릿을 구비하는, 도공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제1 블록과, 상기 높이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제1 블록에 설치되는 제2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매니폴드, 상기 제1 슬릿, 상기 제2 매니폴드 및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 본체는, 상기 제1 매니폴드와 상기 제2 매니폴드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도공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매니폴드의 치수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매니폴드의 치수에 비해 작은, 도공 헤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의 양쪽으로 교차하는 폭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슬릿에 대하여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슬릿의 치수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슬릿의 치수에 비해 작은, 도공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나열된 상태로 복수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폭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 제1 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도공 헤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서 끼워지는 심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심판은, 제1 판 두께가 되는 제1 판 두께부와, 상기 제1 판 두께보다 얇은 제2 판 두께가 되는 제2 판 두께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에서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상기 제1 판 두께부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1 슬릿에서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상기 제2 판 두께부가 연장 설치되는, 도공 헤드.
KR1020210113634A 2021-03-15 2021-08-27 도공 헤드 KR202201289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1475A JP2022141255A (ja) 2021-03-15 2021-03-15 塗工ヘッド
JPJP-P-2021-041475 2021-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25A true KR20220128925A (ko) 2022-09-22

Family

ID=8300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34A KR20220128925A (ko) 2021-03-15 2021-08-27 도공 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8623A1 (ko)
JP (1) JP2022141255A (ko)
KR (1) KR20220128925A (ko)
CN (1) CN115069487A (ko)
DE (1) DE1020212100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0367B (de) 1960-03-25 1965-04-01 Robert Buerkle & Co Maschinenf Giesskopf fuer Lackauftrags-Giessmaschinen
US4735169A (en) 1986-09-03 1988-04-05 Nordson Corporation Adhesive applicator assembly
JP4826320B2 (ja) * 2006-04-07 2011-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ダイヘッド
HUE032065T2 (en) * 2010-02-08 2017-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extruder tool and method for making extruded products using it
US8752501B2 (en) 2010-07-29 2014-06-17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 fluid
JP6094145B2 (ja) * 2012-10-26 2017-03-1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塗布工具
US9333524B2 (en) * 2013-03-15 2016-05-10 Ricoh Company, Ltd. Slot curtain coating apparatus and slot curtain coating method
JP6068271B2 (ja) * 2013-06-10 2017-01-25 東レ株式会社 塗布器、及び塗布装置
JP6422711B2 (ja) * 2013-10-11 2018-11-14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池用極板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92992A (ja) * 2014-03-20 2015-11-05 東レ株式会社 ノズル及び塗液の排出方法
JP2015182019A (ja) * 2014-03-25 2015-10-2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塗布工具
US11453026B2 (en) 2016-07-14 2022-09-27 Illinois Tool Works Inc. Laminated slot die assembly
EP3578272A4 (en) * 2017-02-03 2021-01-06 Vehicle Energy Japan Inc. COATING NOZZLE, COATING DEVICE, COAT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CELL
CN208173722U (zh) * 2017-08-24 2018-11-30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二次电池
CN209334084U (zh) * 2018-12-19 2019-09-03 苏州苏瑞膜纳米科技有限公司 狭缝式涂布头及涂布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1255A (ja) 2022-09-29
DE102021210070A1 (de) 2022-09-15
CN115069487A (zh) 2022-09-20
US20220288623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136B1 (ko) 유기물 선형 증착 장치
WO2018107739A1 (zh) 掩膜框架、掩膜框架的制造方法以及掩膜板
EP2261393A3 (en) Plasma uniformity control by gas diffuser hole design
JP6781967B1 (ja) ダイヘッド
JP6671095B2 (ja) 真空蒸着装置用マニホールド
TW201814771A (zh) 真空蒸鍍裝置
JP4771419B2 (ja) クリーニングヘッド
KR20220128925A (ko) 도공 헤드
JPH0430715B2 (ko)
US20180347050A1 (en) Film forming device
TWI801528B (zh) 塗布器及塗布器之空氣排出方法
JP4606157B2 (ja) ダイヘッド
JP4606156B2 (ja) ダイヘッド
JPWO2019202723A1 (ja) ノズルプレート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TW202039897A (zh) 蒸鍍源以及蒸鍍裝置
JP2642282B2 (ja) 液体供給装置
JP6924421B2 (ja) 塗工装置
JP6421870B1 (ja) ダイコーター
CN115354257B (zh) 一种气刀
KR100638060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공정챔버에 구비된 가스이동로조절식 배플
CN215277991U (zh) 用于高粘度流体的层流薄膜喷涂喷嘴
EP3922938B1 (en) Vaporization device
US20180264498A1 (en) Film forming device
JP2023148939A (ja) スリットダイ
JP2023147625A (ja) ダイ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