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072A -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072A
KR20220128072A KR1020210032676A KR20210032676A KR20220128072A KR 20220128072 A KR20220128072 A KR 20220128072A KR 1020210032676 A KR1020210032676 A KR 1020210032676A KR 20210032676 A KR20210032676 A KR 20210032676A KR 20220128072 A KR20220128072 A KR 2022012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opening
vehicle
yoke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규
김태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8072A/ko
Priority to US17/524,604 priority patent/US11820420B2/en
Publication of KR2022012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46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duct, cable or rod passages, e.g. between engine and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46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duct, cable or rod passages, e.g. between engine and passenger compartments
    • B60R13/0853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duct, cable or rod passages, e.g. between engine and passenger compartments specially adapted for movable parts, e.g. gears le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요크에 의해 연결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임시 거치 구조에 있어서, 챠량 내부의 대쉬 판넬 및 하우징 면에 걸쳐 장착되고 엔진룸을 감싸며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의 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입 통로를 형성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요크의 단부가 거치되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STEERING SHAFT TEMPORARY SUPPORT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 조립시 엔진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간섭 회피를 위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조립 과정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3)는 차체에 조립된 격벽(4)의 개구를 통해 더스트 커버(5)에 삽입된 후, 엔진 조립 공정이 진행된다.
엔진 조립 공정에서는 스티어링 샤프트(3)가 더스트 커버(5)에 삽입된 임시 거치 상태에서 엔진(1)이 엔진룸(2)에 장착된다. 엔진(1)은 엔진룸(2) 아래 방향에서 상방으로 올려지게 되는데, 이 엔진(1) 진입 경로 상에 스티어링 샤프트(3)가 간섭되지 않도록 스티어링 샤프트(3)가 더스트 커버(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티어링 샤프트(3)는 고정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이를 위해, 사이드 멤버(6)에 용접된 철 클립(7)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샤프트(3)를 임시 고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임시 고정을 위해서 별도의 고정부재가 필요하고 고정부재를 조작하여 사이드 멤버(6)에 스티어링 샤프트(3)를 고정하는 작업과 해제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이에 대한 비용이 발생되고 차량 중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적용하지 않고 자중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샤프트를 임시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조립 공수 및 원가/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요크에 의해 연결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임시 거치 구조에 있어서, 챠량 내부의 대쉬 판넬 및 하우징 면에 걸쳐 장착되고 엔진룸을 감싸며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의 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입 통로를 형성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요크의 단부가 거치되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받침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격벽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요크 상면을 지지하는 받침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1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면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격벽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기 격벽 내의 삽입시 자중에 의해 상기 요크의 상면이 상기 받침면의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받침점은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된 상기 더스트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기 격벽 내의 삽입시 자중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부가 상기 받침점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격벽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중심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2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요크에 의해 연결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임시 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요크의 단부가 거치되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 및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받침점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더스트 커버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요크 상면을 지지하는 받침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3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면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기 더스트 커버 내의 삽입시 자중에 의해 상기 요크의 상면이 상기 받침면의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4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4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중심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4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부재를 적용하지 않고 자중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샤프트를 임시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에 의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고정 및 해제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조립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차량 엔진 조립 공정에서 엔진 조립시 스티어링 샤프트를 임시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요크(12)에 의해 연결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10)를 차량 격벽(20)에 삽입하여 임시 거치하기 위한 구조로서, 격벽(20), 및 더스트 커버(30)를 포함한다.
격벽(20)은 차량 내부의 대쉬 판넬(8) 및 하우징(9) 면에 걸쳐 장착되고 엔진룸을 감싸며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되는 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1)는 차체의 하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엔진룸에 엔진이 장착되기 전에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된다.
격벽(20)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된 후 요크(12)의 단부가 거치되어 차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4)은 개구로부터 격벽(2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격벽(20)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요크(12) 상면을 지지하는 받침면(22)을 더 포함한다. 받침면(22)은 개구(21)로부터 격벽(2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요크(12) 상면은 받침면(22)의 하면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30)는 격벽(2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격벽(20)의 개구(21)에 대응되도록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삽입 통로를 형성한다. 더스트 커버(30)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 삽입시 스티어링 샤프트(10)를 지지하는 받침점(32)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점(32)은 개구(2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더스트 커버(3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스티어링 샤프트(10)의 하부가 받침점(32)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격벽(20)의 개구(21)를 통해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되면 격벽(20)과 더스트 커버(30)의 내부에 삽입되면 중력에 의해 요크(12)는 상부로 이동하려고 하고, 삽입된 쪽의 스티어링 샤프트(10)는 하부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때,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요크(12)는 상면이 받침면(22)의 하면에 지지되고 요크(12)의 단부가 걸림턱(24)에 지지되며, 스티어링 샤프트(10)의 하부가 더스트 커버(30)의 하부측에 형성된 받침점(32) 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21) 내 삽입 후 차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격벽(20)의 개구(21)의 상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된 후 축 중심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요크(12)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격벽(20)의 개구(21)의 상부의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26) 사이에, 개구(2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요크(12)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1 좌우 고정 가이드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21) 내 삽입 후, 회전 및 좌우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격벽(40) 및 더스트 커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더스트 커버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더스트 커버와 동일하므로, 이하 더스트 커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격벽(40)에 형성된 걸림턱(44)은 격벽(4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샤프트(1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삽입 방향에 대해 약 90°회전된 상태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스티어링 샤프트(10)가 격벽(40) 내에 삽입된 후 요크(12)의 단부가 걸림턱(44)에 거치되어 차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41) 내 삽입 후 차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격벽(40)의 개구(41)의 상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요크(12)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회전 방지 가이드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격벽(40)의 개구(41)의 상부의 제2 회전 방지 가이드부(46) 사이에, 개구(41)의 중심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요크(12)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2 좌우 고정 가이드부(4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41) 내 삽입 후, 회전 및 좌우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가 격벽(20)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24),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26), 및 제1 좌우 고정 가이드부(28)를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걸림턱(44)이 격벽(40) 내부로 돌출되어 있고, 제2 회전 방지 가이드부(46), 및 제2 좌우 고정 가이드부(48)가 격벽(40)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격벽(40)의 개구(41) 형태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되는 개구(51)가 형성된 더스트 커버(50)를 포함하며, 더스트 커버(50)에 걸림턱(54), 및 받침점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격벽을 포함하지 않고, 더스트 커버(50)에 걸림턱(54), 및 받침점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걸림턱(54)은 더스트 커버(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걸림턱(54)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요크(12)의 단부가 거치되어 스티어링 샤프트(10)가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받침점에는 더스트 커버(50)의 내부에서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요크(12) 상면을 지지하는 받침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51) 내 삽입 후 차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50)의 개구(51)의 상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된 후 축 중심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요크(12)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더스트 커버(50)의 개구(51)의 상부의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56) 사이에, 개구(5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요크(12)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3 좌우 고정 가이드부(5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51) 내 삽입 후, 회전 및 좌우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의 더스트 커버(50)의 개구(51)에 형성된 걸림턱(54),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56), 및 제3 좌우 고정 가이드부(58)의 형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의 격벽(20)의 개구(21)에 형성된 걸림턱(24),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26), 및 제1 좌우 고정 가이드부(2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스티어링 샤프트(10)가 삽입되는 개구(61)가 형성된 더스트 커버(60)를 포함하며, 더스트 커버(60)에 걸림턱(64), 및 받침점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64)은 개구(61)로부터 더스트 커버(6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티어링 샤프트(10)가 더스트 커버(60) 내에 삽입된 후 요크(12)의 단부가 걸림턱(64)에 거치되어 차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61) 내 삽입 후 차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60)의 개구(61)의 상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요크(12)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4 회전 방지 가이드부(66)가 형성되며,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제4 회전 방지 가이드부(66) 사이에 개구(61)의 중심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요크(12)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4 좌우 고정 가이드부(68)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샤프트(10)의 개구(61) 내 삽입 후, 회전 및 좌우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격벽을 포함하지 않고, 더스트 커버(60)에 걸림턱(64), 및 받침점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가 더스트 커버(50)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54),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56), 및 제3 좌우 고정 가이드부(58)를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걸림턱(64)이 더스트 커버(60) 내부로 돌출되어 있고, 제4 회전 방지 가이드부(66), 및 제4 좌우 고정 가이드부(68)가 더스트 커버(60)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더스트 커버(60)의 개구(61) 형태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부재를 적용하지 않고 자중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샤프트를 임시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에 의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고정 및 해제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조립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8: 대쉬 판넬 9: 하우징
10: 스티어링 샤프트 12: 요크
20, 40: 격벽 21, 41, 51, 61: 개구
22: 받침면 24, 44, 54, 64: 걸림턱
30, 50, 60: 더스트 커버 32: 받침점
26, 46, 56, 66: 회전 방지 가이드부
28, 48, 58, 68: 좌우 고정 가이드부

Claims (20)

  1. 요크에 의해 연결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임시 거치 구조에 있어서,
    챠량 내부의 대쉬 판넬 및 하우징 면에 걸쳐 장착되고 엔진룸을 감싸며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의 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입 통로를 형성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요크의 단부가 거치되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2. 제 1 항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받침점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3. 제 1 항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격벽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4. 제 1 항에서,
    상기 격벽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요크 상면을 지지하는 받침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5. 제 4 항에서,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6. 제 5 항에서,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1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7. 제 4 항에서,
    상기 받침면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격벽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기 격벽 내의 삽입시 자중에 의해 상기 요크의 상면이 상기 받침면의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8. 제 2 항에서,
    상기 받침점은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된 상기 더스트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기 격벽 내의 삽입시 자중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부가 상기 받침점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9. 제 1 항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격벽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0. 제 9 항에서,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2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1. 제 10 항에서,
    상기 격벽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중심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2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2. 요크에 의해 연결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임시 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요크의 단부가 거치되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 및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하는 받침점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3. 제 12 항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더스트 커버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4. 제 13 항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요크 상면을 지지하는 받침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5. 제 14 항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6. 제 15 항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3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7. 제 14 항에서,
    상기 받침면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기 더스트 커버 내의 삽입시 자중에 의해 상기 요크의 상면이 상기 받침면의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8. 제 12 항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19. 제 18 항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중심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4 회전 방지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20. 제 19 항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의 상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4 회전 방지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개구의 중심측을 향해 돌출된 높이로 상기 요크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4 좌우 고정 가이드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KR1020210032676A 2021-03-12 2021-03-12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KR20220128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76A KR20220128072A (ko) 2021-03-12 2021-03-12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US17/524,604 US11820420B2 (en) 2021-03-12 2021-11-11 Steering shaft temporary support structur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676A KR20220128072A (ko) 2021-03-12 2021-03-12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072A true KR20220128072A (ko) 2022-09-20

Family

ID=8319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676A KR20220128072A (ko) 2021-03-12 2021-03-12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20420B2 (ko)
KR (1) KR20220128072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102A (ja) * 1994-03-31 1995-10-17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DE10010722A1 (de) * 2000-03-04 2001-09-06 Opel Adam Ag Dichtvorrichtung
JP2002053017A (ja) * 2000-08-11 2002-02-1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WO2004020879A1 (ja) * 2002-08-27 2005-12-15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用ダストカバー
JP4389591B2 (ja) * 2004-01-20 2009-12-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4389592B2 (ja) * 2004-01-21 2009-12-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2005206104A (ja) * 2004-01-26 2005-08-0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DE102010012875B4 (de) * 2010-03-26 2013-07-11 Volkswagen Ag Anordnung zum akustischen Abdecken einer von einer Lenkwelle durchsetzten Öffnung
US9108671B2 (en) * 2012-08-01 2015-08-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l assembly
JP6459423B2 (ja) * 2014-11-17 2019-01-30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FR3061881B1 (fr) * 2017-01-17 2020-01-31 Renault S.A.S Element de centrage d'un isolant de tablier relativement a une colonne de direction d'un ve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89266A1 (en) 2022-09-15
US11820420B2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7845A1 (ja) 防振装置
CN110356215B (zh) 驱动源的支承构造
US11677291B2 (en) Motor including sealing structure between a cover and a housing
KR100286199B1 (ko) 엔진 및 변속기 조립체의 지지 방법 및 지지구조물
KR20220128072A (ko)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 임시 거치 구조
JP6410577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および防振装置
JP2007120672A (ja) 防振マウント
JP7165883B2 (ja) 表示装置
WO2017002191A1 (ja) Ecuブラケット及び車両
US10827654B2 (en) Vehicle electric power control cooling device mounting
WO2018173547A1 (ja) 車載機器用の筐体および車載機器
JP2002211326A (ja) 車載機器の取付構造
JP7447313B2 (ja) 撮像モジュール構造
CN109552046A (zh) 汽车仪表板与汽车
JP2559990Y2 (ja) フェンダープロテクターの取付構造
US11856734B2 (en) Electronic package comprising a component to be cooled and associated mounting method
JP7334667B2 (ja) 超音波センサおよびセンサ取付具
JPH0122950Y2 (ko)
JP2006183693A (ja) 防振装置及びエンジン架装方法
JP6572140B2 (ja) ワイパ装置
JP2671795B2 (ja) 防振ブラケット
WO2020044616A1 (ja) 電子機器用取付部材および電子機器ユニット
JPH0542681Y2 (ko)
WO2018198520A1 (ja) ケース及び電子装置
JPH09240374A (ja) 自動車用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