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240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240A
KR20220124240A KR1020227027352A KR20227027352A KR20220124240A KR 20220124240 A KR20220124240 A KR 20220124240A KR 1020227027352 A KR1020227027352 A KR 1020227027352A KR 20227027352 A KR20227027352 A KR 20227027352A KR 20220124240 A KR20220124240 A KR 20220124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xis
frame
body frame
rotation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성 마
핑종 시
Original Assignee
굿베이비 차일드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베이비 차일드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굿베이비 차일드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sliding a bushing along a rod, e.g. like folding means of an umbrell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유모차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을 포함한다. 차체 프레임은 좌측 지지대(2b) 및 우측 지지대(2a)를 포함한다. 좌측 지지대(2b) 및 우측 지지대(2a)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4); 제2 바닥 프레임 -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5a) 및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5b)를 포함함 - ; 사이드 로드(6) - 제1 바닥 프레임(4)의 상단부, 상부 로드(5a)의 상단부, 및 사이드 로드(6)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가 회전 연결되며, 세 번째 부재와 두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7) - 지지 로드(7)와 상부 로드(5a)는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사이드 로드(6)의 상단부 및 지지 로드(7)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9) - 연결 로드(9)의 일단부와 제1 바닥 프레임(4)의 하부가 회전 연결되며, 연결 로드(9)는 지지 로드(7)의 하단부와 더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신축 가능 지지대를 통해 절첩된 후 유모차의 부피를 줄인다.

Description

유모차
본 발명은 아동용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유모차는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차체를 종종 절첩할 수 있다. 종래의 유모차는 종류가 다양하며 차체 프레임의 로드 부재의 수가 상이하고 각 로드 부재 사이의 연결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절첩 원리와 절첩 방식이 각기 다르며 절첩 후의 효과도 다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유모차를 절첩한 후의 전방 지지대 또는 후방 지지대 길이가 너무 길어 유모차 전체의 부피가 비교적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유모차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결함을 극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유모차의 전방 프레임 또는 후방 프레임은 신축 가능하며, 절첩된 후의 유모차 부피가 비교적 작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을 채택한다.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은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임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가 상기 하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거나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임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함 - 를 포함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이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 -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 하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을 채택한다.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은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임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임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함 - 를 포함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다.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 로드는 제6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연결 로드는 제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상기 제3축은 상기 제2축과 상기 제4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로드 상에는 상기 상부 로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개설된다. 상기 제6축은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 -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 하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을 채택한다.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은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임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임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함 - 를 포함한다.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다.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 로드는 제6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지지 로드는 제5축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5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 로드 상에는 상기 상부 로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개설되고, 상기 제6축은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 -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 하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을 채택한다.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됨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됨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의 이들 둘 중 하나는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제1 바닥 프레임이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제2 바닥 프레임이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면,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이고,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이다. 사용자는 제2 휠 어셈블리에 가까운 측에 서며, 뒤에서 앞으로 해당 유모차를 민다. 물론 제2 바닥 프레임이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제1 바닥 프레임이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며, 제2 휠 어셈블리가 전륜이고, 제1 휠 어셈블리가 후륜이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휠 어셈블리에 가까운 측에 서며, 뒤에서 앞으로 해당 유모차를 민다.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이다.
또한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고, 또는/및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로드가 상기 하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거나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이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다.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로드와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 로드와 제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상기 제3축은 상기 제2축과 상기 제4축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다.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로드와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5축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5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구동 로드는 제6축을 통해 상기 하부 로드와 회전 연결된다. 상기 상부 로드 상에는 상기 상부 로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개설된다. 상기 제6축은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2 바닥 프레임은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2 바닥 프레임은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된다.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된다.
또한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 하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과 상기 1-3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과 상기 2-3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다. 또는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과 상기 1-3축의 축심선이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과 상기 2-3축의 축심선이 겹친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이 서로 평행하거나 겹친다. 상응하는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이 서로 평행하거나 겹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술한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함에 따른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유모차는 절첩과 전개 조작이 편리하여 소비자가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2 바닥 프레임을 신축 로드 어셈블리로 설치함으로써, 절첩된 후의 구조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측면도(실시예 1)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1)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와 제1 절첩 상태 전환 과정에 있을 때의 측면도(실시예 1)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와 제1 절첩 상태 전환 과정에 있을 때의 사시도(실시예 1)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1)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일 때 다른 시각에 도시한 사시도(실시예 1)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제2 절첩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1)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제2 절첩 상태일 때 다른 시각에 도시한 사시도(실시예 1)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측면도(실시예 2)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2)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와 제1 절첩 상태 전환 과정에 있을 때의 측면도(실시예 2)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2)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제2 절첩 상태일 때의 정면도(실시예 2)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측면도(실시예 3)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3)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측면도(실시예 4)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4)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와 제1 절첩 상태 전환 과정에 있을 때의 측면도(실시예 4)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와 제1 절첩 상태 전환 과정에 있을 때의 사시도(실시예 4)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측면도(실시예 5)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일 때의 사시도(실시예 5)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1a), 제2 휠 어셈블리(1b), 차체 프레임을 전개 상태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미도시),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13)를 포함한다.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2b),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2a), 및 좌측 지지대(2b)와 우측 지지대(2a)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좌측 지지대(2b) 및 우측 지지대(2a)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4) - 제1 바닥 프레임(4)의 하단부는 제1 휠 어셈블리(1a)와 연결됨 - ;
제2 바닥 프레임 -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5a) 및 상부 로드(5a) 하방에 설치되며 상부 로드(5a)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5b)를 포함하고, 상부 로드(5a)가 하부 로드(5b)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거나 하부 로드(5b)가 상부 로드(5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하부 로드(5b)의 하단부는 제2 휠 어셈블리(1b)와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닥 프레임(4)은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제2 바닥 프레임은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제1 휠 어셈블리(1a)는 전륜 어셈블리이고, 제2 휠 어셈블리(1b)는 후륜 어셈블리임 - ;
사이드 로드(6) - 제1 바닥 프레임(4)의 상단부, 상부 로드(5a)의 상단부, 및 사이드 로드(6)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닥 프레임(4)의 상단부가 상부 로드(5a)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되고, 사이드 로드(6)의 하단부가 상부 로드(5a)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되고, 상부 로드(5a)는 구체적으로 상부 로드 본체(5aa) 및 상부 로드 본체 상단부에 고정 연결된 연장 로드(5ab)를 포함하고, 연장 로드(5ab)의 양단은 각각 제1 바닥 프레임(4)의 상단부와 사이드 로드(6)의 하단부와 회전 연결되고, 차체 프레임의 제1 절첩 상태 하에서 연장 로드(5ab)는 대체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됨 - ;
지지 로드(7) - 지지 로드(7)와 상부 로드(5a)는 제1축(41)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사이드 로드(6)의 상단부 및 지지 로드(7)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 푸시 로드는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구체적으로 상부 푸시 로드 및 상부 푸시 로드의 하부와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푸시 로드(8b)를 포함하고, 상부 푸시 로드는 상부 푸시 로드 본체(8aa) 및 상부 푸시 로드 본체(8aa)에 고정 설치된 그립 로드(8ab)를 포함하고, 그립 로드(8ab)의 일단부에는 잠금해제 버튼(14)이 설치되어, 상부 푸시 로드와 하부 푸시 로드(8b)의 상대적 슬라이딩 관계를 잠금해제하는 데 사용됨 - ; 및
연결 로드(9) - 연결 로드(9)는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 로드(9)의 전단부와 제1 바닥 프레임(4)의 하부는 제2축(42)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연결 로드(9)의 후단부는 지지 로드(7)의 하단부와 제3축(43)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제3축(43)은 제1축(41)의 하방에 위치함 - 를 포함한다.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에서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하부 로드(5b)가 상부 로드(5a)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고, 또는/및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하부 로드(5b)가 상부 로드(5a)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메커니즘은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11)이다. 탄성 부재(11)는 하부 로드(5b)가 상부 로드(5a)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할 때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제2 바닥 프레임의 길이는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 있을 때의 제2 바닥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다. 구체적으로,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 사이에는 잠금 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 사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잠그는 데 사용된다. 즉, 상기 잠금 장치는 제2 바닥 프레임을 각각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의 연장 상태 및 차체 프레임의 제1 절첩 상태 하에서의 수축 상태로 잠그는 데 사용된다.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3a) - 제1 횡방향 로드(3a)의 일단부와 좌측 지지대(2b)의 제1 바닥 프레임(4)은 1-1축(61)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제1 횡방향 로드(3a)의 타단부와 우측 지지대(2a)의 제1 바닥 프레임(4)은 2-1축(51)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3b) - 제2 횡방향 로드(3b)의 일단부와 좌측 지지대(2b)의 상부 로드(5a)는 1-2축(62)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제2 횡방향 로드(3b)의 타단부와 우측 지지대(2a) 제2 바닥 프레임의 상부 로드(5a)는 2-2축(52)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상부 횡방향 로드(3c) - 상부 횡방향 로드(3c)의 일단부와 좌측 지지대(2b)의 푸시 로드는 1-3축(63)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부 횡방향 로드(3c)의 타단부와 우측 지지대(2a)의 푸시 로드는 2-3축(53)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한다.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좌측 지지대(2b)는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1-1축(61), 1-2축(62) 및 1-3축(63)을 중심으로 절첩되며 오버턴된다. 우측 지지대(2a)는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2-1축(51), 2-2축(52) 및 2-3축(53)을 중심으로 절첩되며 오버턴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이 제2 절첩 상태에 있을 때, 1-1축(61)의 축심선, 1-2축(62)의 축심선과 1-3축(63)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다. 2-1축(51)의 축심선, 2-2축(52)의 축심선과 2-3축(53)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1-1축(61)의 축심선, 1-2축(62)의 축심선과 1-3축(63)의 축심선은 서로 겹친다. 2-1축(51)의 축심선, 2-2축(52)의 축심선과 2-3축(53)의 축심선은 서로 겹친다. 이처럼 차체 프레임의 제2 절첩 상태 하에서 좌측 지지대(2b)와 우측 지지대(2a)는 연결 프레임에 대해 더욱 잘 접근할 수 있다.
전개 상태 하에서 차체 프레임의 안정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연결 프레임은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3d)를 더 포함한다.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3d)의 일단부와 좌측 지지대(2b)의 지지 로드(7)는 1-4축(64)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3d)의 타단부와 우측 지지대(2a)의 지지 로드(7)는 2-4축(54)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이 제2 절첩 상태 상태에 있을 때, 1-1축(61)의 축심선, 1-2축(62)의 축심선, 1-3축(63)의 축심선과 1-4축(64)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친다. 상응하는 2-1축(51)의 축심선, 2-2축(52)의 축심선, 2-3축(53)의 축심선과 2-4축(54)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친다.
제1 바닥 프레임(4)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서, 제2 바닥 프레임을 신축 로드 어셈블리로 설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제2 바닥 프레임 길이가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 바닥부에 물건 거치용 바구니를 넓게 설치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차체 프레임 상의 시트 로드(13)에서 유모차가 거치된 수평면까지의 높이도 이에 상응하도록 증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프레임(4)과 사이드 로드(6) 사이는 협각(α)을 형성하며, 협각(α)의 각도 범위는 135 내지 180도이고, 바람직한 협각(α)의 각도는 160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제1 휠 어셈블리(1a) 좌우 방향의 폭은 제2 휠 어셈블리(1b)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다. 또한 제1 휠 어셈블리(1a)와 제2 휠 어셈블리(1b)는 모두 단일 휠로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의 제1 절첩 상태일 때, 제1 휠 어셈블리(1a)는 제2 휠 어셈블리(1b)의 내측에 모아진다. 제1 휠 어셈블리(1a)와 제2 휠 어셈블리(1b)가 모두 이중 휠로 설치되면, 제1 절첩 상태 하에서 유모차의 절첩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단일 휠의 설치는 제1 절첩 상태 하에서 유모차의 절첩 부피를 줄이며 제2 절첩 상태로 더 절첩시키는 데에도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 메커니즘은 상부 푸시 로드와 하부 푸시 로드(8b)를 상대적으로 잠그는 데 사용되는 잠금 장치, 푸시 로드와 지지 로드(7)를 상대적으로 잠그는 데 사용되는 잠금 장치, 및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를 상대적으로 잠그는 데 사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에서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그립 로드(8ab) 상의 잠금해제 버튼(14)을 누르고, 상부 푸시 로드와 하부 푸시 로드(8b) 사이의 상대적 잠금 관계를 해제한다. 그 후 상부 푸시 로드를 하부 푸시 로드(8b)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시키며, 상부 푸시 로드는 푸시 로드와 지지 로드(7) 사이에 설치된 잠금해제 버튼에 충격을 가하여, 푸시 로드와 지지 로드(7)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관계를 잠금해제한다. 푸시 로드는 사이드 로드(6)가 상부 로드(5a) 상단부와의 회전 연결점을 중심으로 뒤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푸시 로드는 지지 로드(7)가 제1축(41)을 중심으로 뒤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키고,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 지지 로드(7)는 연결 로드(9)를 구동시키며, 연결 로드(9)의 작용 하에서 제1 바닥 프레임(4)은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 다시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 사이의 잠금 장치를 잠금해제한다(미도시). 하부 로드(5b)를 밀어 하부 로드(5b)를 상부 로드(5a)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시킨다. 다시 제2 바닥 프레임을 수축 상태로 잠그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첩 상태에 도달한다. 이때 제1 휠 어셈블리(1a)는 좌우 양측의 제2 휠 어셈블리(1b) 사이에 모이고, 제2 휠 어셈블리(1b) 휠축의 출심선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지지대(2b)와 우측 지지대(2a)의 그립 로드(8ab)는 각각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전체 차체 프레임의 좌우 최외측에 모인다. 그립 로드(8ab)의 최전단은 연장 로드(5ab)의 최전단을 넘어서지 않는다. 제1 횡방향 로드(3a), 제2 횡방향 로드(3b), 상부 횡방향 로드(3c)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3d)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동일하다. 전후 방향으로 전체 차체 프레임의 길이의 2배가 제1 횡방향 로드(3a), 제2 횡방향 로드(3b), 상부 횡방향 로드(3c) 또는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3d)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다시 좌측 지지대(2b)와 우측 지지대(2a)를 연결 프레임에 대해 안으로 90도의 오버턴을 수행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첩 상태에 도달한다.이때 제2 휠 어셈블리(1b) 휠축의 축심선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휠 어셈블리(1a)의 최후단은 제1 횡방향 로드(3a), 제2 횡방향 로드(3b), 상부 횡방향 로드(3c)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3d)의 네 가지 로드의 최후단을 넘어서지 않는다. 제2 휠 어셈블리(1b)의 최전단은 이때 그립 로드(8ab)의 최전단을 넘어서지 않는다.
반대로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를 잠그는 잠금 장치를 잠금해제한다. 탄성 부재(11)는 하부 로드(5b)를 상부 로드(5a)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시켜, 제2 바닥 프레임의 길이가 제2 바닥 프레임의 연장 상태에 도달하도록 연장시킨 후, 제2 바닥 프레임을 연장 상태로 잠근다.
실시예 2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주로 구동 메커니즘이 다르다는 데에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에도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를 상대적으로 잠그는 잠금 장치가 포함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10)이다. 구동 로드(10)는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앞에서 뒤로,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구동 로드(10)의 후단부는 하부 로드(5b)와 회전 연결되고, 구동 로드의 전단부와 지지 로드(7)는 제5축(45)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제5축(45)은 제1축(41)의 하방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로드(10) 후단부와 하부 로드(5b) 회전 연결점의 축심선과 제2 휠 어셈블리(1b)의 축심선은 동축이다. 지지 로드(7)는 본체 로드 및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로드를 포함한다. 연장 로드의 상단부는 본체 로드와 고정 연결된다. 연장 로드의 하단부와 구동 로드(10)는 제5축(45)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제5축(45)은 제3축(43)의 하부 후방에 위치한다.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에서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푸시 로드를 아래로 가압한다. 푸시 로드는 사이드 로드(6)가 상부 로드(5a) 상단부와의 회전 연결점을 중심으로 뒤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푸시 로드는 지지 로드(7)가 제1축(41)을 중심으로 뒤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키고,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 지지 로드(7)는 연결 로드(9)와 구동 로드(10)를 구동시키며, 연결 로드(9)의 작용 하에서 제1 바닥 프레임(4)이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 구동 로드(10)가 하부 로드(5b)를 상부 로드(5a)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시켜, 제2 바닥 프레임의 길이를 수축 상태로 수축시킴으로써, 제1 절첩 상태에 도달한다.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다시 좌측 지지대(2b)와 우측 지지대(2a)를 연결 프레임에 대해 안으로 90도의 오버턴하여 제2 절첩 상태에 도달한다.
반대로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구동 로드(10)는 하부 로드(5b)를 상부 로드(5a)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시켜, 제2 바닥 프레임의 길이가 제2 바닥 프레임의 연장 상태에 도달하도록 연장시킨다.
실시예 3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주로 구동 메커니즘이 상이하다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10)이다. 구동 로드(10)는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왼다. 구동 로드(10)의 후단부는 하부 로드(5b)와 회전 연결되고, 구동 로드(10)의 전단부와 연결 로드(9)는 제4축(44)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또한 제3축(43)은 제2축(42)과 제4축(44) 사이에 위치한다.구체적으로 구동 로드(10)는 제6축(46)을 통해 하부 로드(5b)의 상부와 회전 연결된다. 상부 로드(5a) 상에는 상부 로드(5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12)이 개설된다. 제6축(46)은 가이드 홈(12)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에서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푸시 로드를 아래로 가압한다. 푸시 로드는 사이드 로드(6)가 상부 로드(5a) 상단부와의 회전 연결점을 중심으로 뒤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푸시 로드는 지지 로드(7)가 제1축(41)을 중심으로 뒤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키고,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 지지 로드(7)는 연결 로드(9)를 구동시키며, 연결 로드(9)의 작용 하에서 제1 바닥 프레임(4)은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연결 로드(9)가 구동 로드(10)를 구동시키며, 제6축(46)은 상부 로드(5a)의 가이드 홈(12)에서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딩하여, 하부 로드(5b)를 상부 로드(5a)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를 통해 제2 바닥 프레임의 길이가 수축 상태에 도달하도록 수축시켜 제1 절첩 상태를 구현한다.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다시 좌측 지지대(2b)와 우측 지지대(2a)를 연결 프레임에 대해 안으로 90도의 오버턴하여 제2 절첩 상태에 도달한다.
반대로 차체 프레임이 제1 절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구동 로드(10)는 제6축(46)을 가이드 홈(12)에서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시켜, 하부 로드(5b)를 상부 로드(5a)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를 통해 제2 바닥 프레임의 길이가 제2 바닥 프레임의 연장 상태에 도달하도록 연장시킨다.
실시예 4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에 1의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1 바닥 프레임은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는 데에 있다. 제2 바닥 프레임은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제1 휠 어셈블리(1a)는 후륜 어셈블리이고, 제2 휠 어셈블리(1b)는 전륜 어셈블리이다. 구체적으로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푸시 로드는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이에 상응하여, 연결 로드(9)의 후단부와 제1 바닥 프레임(4)의 하부는 제2축(42)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연결 로드(9)의 전단부와 지지 로드(7)의 하단부는 제3축(43)을 통해 회전 연결된다.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전개 상태에서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푸시 로드를 아래로 가압한다. 푸시 로드는 사이드 로드(6)가 상부 로드(5a) 상단부와의 회전 연결점을 중심으로 앞으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푸시 로드는 지지 로드(7)가 제1축(41)을 중심으로 앞으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시키고,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 지지 로드(7)는 연결 로드(9)를 구동시키며, 연결 로드(9)의 작용 하에서 제1 바닥 프레임(4)은 제2 바닥 프레임에 접근한다. 또한 상부 로드(5a)와 하부 로드(5b) 사이의 잠금 장치를 잠금해제하고, 하부 로드(5b)를 밀어 하부 로드(5b)를 상부 로드(5a)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시키며, 다시 제2 바닥 프레임을 수축 상태로 잠그어 제1 절첩 상태를 구현한다.
실시예 5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2의 주요 차이점은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연결 로드(9)와 지지 로드(7)의 회전 연결점 제3축(43)이 지지 로드(7)와 상부 로드(5a)의 회전 연결점 제1축(41)의 상방에 설치된다는 데에 있다. 물론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제3축(43)을 제1축(41)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 로드(9)를 시트 로드(13)로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 별도로 설치된 시트 로드(13)를 생략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결 로드(9)의 상부는 뒤로 구부러져 시트 로드(13)에 해당하는 기능부를 형성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이루어진 모든 균등한 변경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a는 제1 휠 어셈블리, 1b는 제2 휠 어셈블리, 2a는 우측 지지대, 2b는 좌측 지지대, 3a는 제1 횡방향 로드, 3b는 제2 횡방향 로드, 3c는 상부 횡방향 로드, 3d는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 4는 제1 바닥 프레임, 5a는 상부 로드, 5aa는 상부 로드 본체, 5ab는 연장 로드, 5b는 하부 로드, 6은 사이드 로드, 7은 지지 로드, 8aa는 상부 푸시 로드 본체, 8ab는 그립 로드, 8b는 하부 푸시 로드, 9는 연결 로드, 10은 구동 로드, 11은 탄성 부재, 12는 가이드 홈, 13은 시트 로드, 14는 잠금해제 버튼, 41은 제1축, 42는 제2축, 43은 제3축, 44는 제4축, 45는 제5축, 46은 제6축, 51은 2-1축, 52는 2-2축, 53은 2-3축, 54는 2-4축, 61은 1-1축, 62는 1-2축, 63은 1-3축, 64는 1-4축이다.

Claims (16)

  1.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은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임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드가 상기 하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거나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임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 -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 하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은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임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임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고,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 로드는 제6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연결 로드는 제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3축은 상기 제2축과 상기 제4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로드 상에는 상기 상부 로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개설되고, 상기 제6축은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 -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 하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은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임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임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고,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 로드는 제6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지지 로드는 제5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5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로드 상에는 상기 상부 로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개설되고, 상기 제6축은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 -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 하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유모차에 있어서,
    전개 상태 및 제1 절첩 상태를 구비한 차체 프레임, 제1 휠 어셈블리, 제2 휠 어셈블리,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전개 상태로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차체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트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좌측부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 우측부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 및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모두,
    제1 바닥 프레임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휠 어셈블리와 연결됨 - ;
    제2 바닥 프레임 -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신축 로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은 상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로드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 하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휠 어셈블리와 연결됨 - ;
    사이드 로드 -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로드의 하단부의 세 부재 중 두 부재는 회전 연결되고, 세 번째 부재는 전술한 두 부재 중 하나와 회전 연결됨 - ;
    지지 로드 -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는 제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푸시 로드 - 상기 푸시 로드의 하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로드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부와 회전 연결됨 - ; 및
    연결 로드 -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바닥 프레임의 하부는 제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3축을 통해 더 회전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의 이들 둘 중 하나가 앞에서 뒤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다른 하나가 뒤에서 앞으로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3축은 상기 제1축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어셈블리는 전륜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휠 어셈블리는 후륜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거나, 또는/및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가 상기 하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거나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부 로드가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고,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로드와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 로드와 제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3축은 상기 제2축과 상기 제4축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로드이고, 상기 구동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로드와 회전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로드와 제5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개 상태 하에서, 상기 제5축은 상기 제1축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는 제6축을 통해 상기 하부 로드와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로드 상에는 상기 상부 로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개설되고, 상기 제6축은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제1 횡방향 로드 -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1-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1 바닥 프레임은 2-1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제2 횡방향 로드 -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제2 바닥 프레임은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제2 바닥 프레임은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및
    상부 횡방향 로드 -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1-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푸시 로드는 2-3축을 통해 회전 연결됨 - ; 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제2 절첩 상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1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좌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1-1축, 상기 1-2축, 상기 1-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고, 상기 우측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상기 2-1축, 상기 2-2축, 상기 2-3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오버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1-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 로드는 2-2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과 상기 1-3축의 축심선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과 상기 2-3축의 축심선이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과 상기 1-3축의 축심선이 겹치고,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과 상기 2-3축의 축심선이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일단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1-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 횡방향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지지 로드는 2-4축을 통해 회전 연결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제2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1-1축의 축심선, 상기 1-2축의 축심선, 상기 1-3축의 축심선과 상기 1-4축의 축심선이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고, 상응하는 상기 2-1축의 축심선, 상기 2-2축의 축심선, 상기 2-3축의 축심선과 상기 2-4축의 축심선이 서로 평행하거나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227027352A 2020-01-22 2020-04-08 유모차 KR20220124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73238.2 2020-01-22
CN202010073238 2020-01-22
CN202010263191.6 2020-04-07
CN202010263191.6A CN111391908B (zh) 2020-01-22 2020-04-07 一种儿童推车
PCT/CN2020/083674 WO2021147178A1 (zh) 2020-01-22 2020-04-08 一种儿童推车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240A true KR20220124240A (ko) 2022-09-13

Family

ID=7142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352A KR20220124240A (ko) 2020-01-22 2020-04-08 유모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48248A1 (ko)
EP (1) EP4095014B1 (ko)
JP (1) JP2023512977A (ko)
KR (1) KR20220124240A (ko)
CN (2) CN113753115B (ko)
WO (1) WO20211471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8248A1 (en) * 2020-01-22 2022-11-03 Goodbaby Child Products Co., Ltd. Child strol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9796B2 (en) * 2020-01-22 2023-06-20 Jacob Morrise Foldable baby stroller
TWD218760S (zh) * 2020-12-15 2022-05-11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嬰兒推車車架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28379Y (es) * 1994-06-17 1995-06-16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s-silla infantiles.
JP3764515B2 (ja) * 1994-11-25 2006-04-12 コンビ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の着座装置
JP3980349B2 (ja) * 2001-12-25 2007-09-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DE202005001882U1 (de) * 2005-02-07 2005-04-14 Kappner, Kurt, Dipl.-Ing. (FH) Stockkarre
JP4936207B2 (ja) * 2005-12-06 2012-05-23 卓 加藤 階段昇降補助機構付き台車
EP2007614A1 (en) * 2006-04-03 2008-12-3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Handle for collapsible stroller
CN101284542B (zh) * 2008-02-05 2010-06-1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CN201272388Y (zh) * 2008-09-17 2009-07-1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可折叠的儿童推车
CN202518294U (zh) * 2012-02-01 2012-11-0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幼儿推车
CN103507846B (zh) * 2013-09-05 2016-04-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203681623U (zh) * 2014-01-16 2014-07-0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推车骨架
WO2015180466A1 (zh) * 2014-05-30 2015-12-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可折叠的儿童推车
CN204472864U (zh) * 2015-03-17 2015-07-15 昆山浩天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联动式折叠童车
CN204527263U (zh) * 2015-03-17 2015-08-05 昆山浩天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三向折叠童车
CN205273564U (zh) * 2015-11-10 2016-06-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05539557B (zh) * 2016-02-03 2018-08-10 广东乐美达集团有限公司 一种可联动折叠的童车
CN106080734B (zh) * 2016-07-11 2018-11-30 中山盛加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座位旋转换向式手推车
CN107792153B (zh) * 2016-09-06 2020-05-1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架收折结构
KR200485911Y1 (ko) * 2017-03-30 2018-03-09 동 관 지아 리엔 키즈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접이식 유모차의 구조물
CN107264600A (zh) * 2017-06-01 2017-10-2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07697142B (zh) * 2017-08-29 2024-06-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08313113B (zh) * 2018-03-19 2023-10-20 深圳市秀宝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可二次折叠收车的婴儿推车
CN108773408B (zh) * 2018-07-02 2024-08-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0271594B (zh) * 2018-08-14 2023-10-27 东莞金旺儿童用品有限公司 手推车
CN109178077A (zh) * 2018-09-29 2019-01-1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折叠婴儿推车
CN109720394A (zh) * 2019-01-07 2019-05-07 嘉兴星创科技有限公司 童车中的连杆组件
CN110758528A (zh) * 2019-10-14 2020-02-0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3753115B (zh) * 2020-01-22 2023-01-3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211995810U (zh) * 2020-01-22 2020-11-2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1152826A (zh) * 2020-01-22 2020-05-1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211995809U (zh) * 2020-01-22 2020-11-2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211995808U (zh) * 2020-01-22 2020-11-2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1152827A (zh) * 2020-01-22 2020-05-1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1252132A (zh) * 2020-02-19 2020-06-0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212637611U (zh) * 2020-04-15 2021-03-0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折叠推车
CN113799865A (zh) * 2020-06-13 2021-12-17 昆山菲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推把可换向折叠推车车架
CN112009550A (zh) * 2020-08-13 2020-12-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2009552A (zh) * 2020-08-17 2020-12-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1891205A (zh) * 2020-08-27 2020-11-06 江苏小小恐龙儿童用品集团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N114104070B (zh) * 2021-11-08 2023-03-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双人儿童推车
CN114104071B (zh) * 2021-11-30 2023-03-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双人儿童推车
CN216861568U (zh) * 2021-12-13 2022-07-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CN115303353B (zh) * 2022-08-19 2023-12-2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8248A1 (en) * 2020-01-22 2022-11-03 Goodbaby Child Products Co., Ltd. Child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91908A (zh) 2020-07-10
CN113753115A (zh) 2021-12-07
JP2023512977A (ja) 2023-03-30
US20220348248A1 (en) 2022-11-03
CN113753115B (zh) 2023-01-31
EP4095014A1 (en) 2022-11-30
WO2021147178A1 (zh) 2021-07-29
CN111391908B (zh) 2021-09-28
EP4095014A4 (en) 2024-02-07
EP4095014B1 (en) 202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80883U (zh) 折叠儿童推车
KR20220124240A (ko) 유모차
CN107985378B (zh) 儿童推车
CN106515832B (zh) 儿童推车
CN106347444A (zh) 一种折叠后便于收纳的童车车架
CN110949483A (zh) 一种儿童推车
CN206067843U (zh) 一种儿童推车
CN110723191A (zh) 折叠儿童推车
CN211995806U (zh) 一种儿童推车
CN104149835B (zh) 儿童推车
CN108945076A (zh) 婴儿推车
CN214296094U (zh) 儿童推车
CN106828580B (zh) 儿童推车
CN215398871U (zh) 可折叠的手推车
CN106741094B (zh) 儿童推车
CN210502825U (zh) 一种儿童推车
CN212243510U (zh) 儿童推车
CN104192189B (zh) 儿童推车
CN213534816U (zh) 儿童推车
CN106218695A (zh) 一种折叠后体积较小的童车车架
CN208915233U (zh) 婴儿推车
CN210133169U (zh) 一种可折叠的童车
CN208344303U (zh) 双向折叠推车
CN207790804U (zh) 一种儿童推车
CN206067841U (zh) 儿童推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