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274A - 감온성 미립자 - Google Patents

감온성 미립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274A
KR20220117274A KR1020227023926A KR20227023926A KR20220117274A KR 20220117274 A KR20220117274 A KR 20220117274A KR 1020227023926 A KR1020227023926 A KR 1020227023926A KR 20227023926 A KR20227023926 A KR 20227023926A KR 20220117274 A KR20220117274 A KR 2022011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itive
fine particles
particles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스케 마루타니
사토시 야마구치
타카시 메구미
히카루 이토
타쿠미 카토
코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08J3/21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08J3/21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and sol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62Monocarboxylic acids having ten or more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6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감온성 미립자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결정화되고, 또한, 상기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유동성을 나타내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해도 좋다. 상기 감온성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0.1∼50㎛이어도 좋다. 상기 감온성 미립자는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Description

감온성 미립자
본 발명은 감온성 미립자에 관한 것이다.
온도변화에 대응해서 결정 상태와 유동 상태를 가역적으로 일으키는 감온성을 갖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유기 용제계로 합성되는 일이 많고, 테이프 등의 형태로 가공되어서 점착용도로 사용되는 일이 많다.
일본 특허공개 평 9-25192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여러가지 수지재료에 첨가할 수 있고, 또한, 감온성을 부여할 수 있는 감온성 미립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감온성 미립자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결정화되고, 또한, 상기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유동성을 나타내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가지 수지재료에 첨가할 수 있고, 또한, 감온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감온성 미립자>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온성 미립자(이하, 「미립자」라고 하는 일이 있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미립자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결정화되고, 또한,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유동성을 나타내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여러가지 수지재료에 첨가할 수 있고, 또한, 감온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융점을 갖는 폴리머이다. 융점이란 어떤 평형 프로세스에 의해, 처음에는 질서 있는 배열로 정합되어 있던 중합체의 특정 부분이 무질서 상태가 되는 온도이며, 시차 열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해서 10℃/분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상술한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결정화되고, 또한,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상전이해서 유동성을 나타낸다.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온도변화에 대응해서 결정 상태와 유동 상태를 가역적으로 일으키는 감온성을 갖는다. 미립자는 이러한 측쇄 결정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므로,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유래하는 감온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미립자의 형상으로 하면, 베이스가 되는 수지(이하, 「베이스 수지」라고 하는 일이 있다.)의 종류나 비율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베이스 수지 중에 있어서의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분산 상태가 변화되기 어려워지므로, 여러가지 수지재료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유래하는 감온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립자를 수지재료에 첨가하면, 베이스 수지에 있어서의 탄성률 제어, 광학특성 제어, 기체 투과성 제어, 표면개질, 축열/방열 기능 등의 물성을 온도에 의해 제어하고,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20∼100℃이다. 융점은 예를 들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 등을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있어서의 측쇄의 길이를 바꾸면 융점을 조정할 수 있다. 측쇄의 길이를 길게 하면, 융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그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가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있어서의 측쇄 결정성 부위로서 기능한다.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측쇄에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빗형의 폴리머이며, 이 측쇄가 분자간력 등에 의해 질서 있는 배열로 정합됨으로써 결정화한다. 또, 상술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다. 탄소수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는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가 포함되어도 좋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단관능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단관능 모노머 또는 다관능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해도 좋다.
단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의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단관능 모노머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 감온성에 추가해서 무엇인가 기능을 더하고 싶을 때에,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하며, 그 기능을 갖는 모노머이면 자유롭게 공중합시킬 수 있다.
다관능 모노머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가교시키는 성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시의 분산 상태나 변형 억제, 기능의 반복성 유지의 관점으로부터 다관능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다관능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 모노머는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2중결합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4개 갖는다. 다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4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0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다관능 모노머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다관능 모노머는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좋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조성은 예를 들면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20∼100중량부, 단관능 모노머가 0∼40중량부, 다관능 모노머가 0∼10중량부이어도 좋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수지 중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분산 상태를 제어하기 쉽다. 평균 입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을 화상 처리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EM을 이용하여 미립자의 SEM 사진을 촬영하고, 얻어진 SEM 사진을 화상 처리해서 30개의 미립자를 무작위로 추출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미립자의 형상은 구상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수지 중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분산 상태가 안정되기 쉽다. 미립자는 0.7 이상의 진구도를 갖는 입자를 수 평균으로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00%의 비율로 함유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 수지 중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분산 상태가 안정된다. 진구도는 단경과 장경의 비이다. 진구도 및 진구도 분포는 SEM 사진을 화상 처리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진구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99 이하이어도 좋다.
비[(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는 바람직하게는 1×1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2∼1×107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융점을 경계로 결정 상태로부터 유동 상태로 급준하게 변화되므로, 베이스 수지에 있어서의 탄성률 제어, 광학특성 제어, 기체 투과성 제어, 표면개질, 축열/방열 기능 등의 물성을 온도에 의해 제어하고, 발현시키기 쉽다.
또, 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은 바람직하게는 1×106∼1×109Pa이다. 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은 바람직하게는 1×102∼1×105Pa이다. 저장 탄성률(G')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로 측정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저장 탄성률(G')은 예를 들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 등을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미립자는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의 영향이 없고, 베이스 수지 중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분산 상태가 안정되기 쉽다. 또한 내용제성이 향상되고, 블리드 아웃하기 어렵다.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키면, 미립자가 유기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미립자는 모노머 성분을 수계 중합시켜서 얻은 것이어도 좋다. 또한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킬 때에는 계면활성제(유화제)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얻어지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해도 좋다.
미립자는 감온성 부여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지재료에 미립자를 첨가한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수지재료에 감온성을 부여할 수 있다. 베이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EVA),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베이스 수지는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미립자는 잉크 등에도 첨가할 수 있다.
미립자는 다양한 용도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미립자는 예를 들면 점착용, 조광용, 가소제용, 이형용, 표면개질용, 휘발성 가스 투과용 등이어도 좋다. 또, 미립자의 용도는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광용)
다음에 미립자가 조광용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립자는 조광 필름의 투명 및 비투명, 즉 조광 필름에 있어서의 조광 기능(탁도 변화)의 발현을 위해서 조광 필름의 베이스 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조광 필름의 베이스 수지에 미립자를 첨가하면, 조광 필름의 투명 및 비투명을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부터 베이스 수지와 첨가제의 굴절률의 온도 의존성의 차이를 이용한 조광 혼합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 51-132241호 공보를 참조). 이 조광 혼합물은 굴절률차가 작으면 투명, 굴절률차가 크면 백탁 등으로 변화되어서 비투명해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실온에서는 투명, 고온에서는 비투명으로 변화된다. 그러나, 상술한 조광 혼합물은 변곡점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변화가 둔하고, 큰 온도차가 없으면 변화를 알기 어렵다. 또한 변화 온도를 제어하기 어렵고, 제어할 수 있었다고 해도 베이스 수지의 특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미립자는 그 굴절률이 융점 부근에서 급격(급준)하게 변화(저하)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융점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굴절률을 베이스 수지의 굴절률과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면,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는 양자의 굴절률이 가까운 값으로 되어,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양자의 굴절률의 차가 커진다. 그 때문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조광 필름(이하, 「감온성 조광 필름」이라고 하는 일이 있다.)은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는 투명해지며,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백탁 등으로 변화되어서 비투명해진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미립자에 의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감온성에 추가해서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광학특성(굴절률)의 변화도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조광 필름의 투명 및 비투명을 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투명 및 비투명의 변화가 조광 혼합물과 같은 종래의 것보다 급준하게 변화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립자에 의하면, 베이스 수지의 특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미립자에 의하면, 공중합하는 재료에 의해 굴절률을 조정할 수 있고, 임의의 굴절률을 갖는 베이스 수지에 대해서 투명 및 비투명을 제어 가능해진다.
감온성 조광 필름에 있어서의 투명으로부터 비투명으로의 변화 온도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백탁 등의 비투명의 정도(탁도)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조성, 베이스 수지와 미립자의 배합비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감온성 조광 필름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온도변화에 대응해서 결정 상태와 유동 상태를 가역적으로 일으키는 것에 기인하여 투명 및 비투명을 반복할 수 있다. 감온성 조광 필름에 있어서의 투명 및 비투명(조광 기능)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면 좋다.
미립자의 굴절률로서는 예를 들면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1.480∼1.520,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1.440∼1.495이다. 굴절률은 자동 굴절계로 측정되는 값이다. 또, 미립자의 굴절률은 예시한 수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립자의 굴절률은 베이스 수지의 굴절률에 따라 설정하면 좋다.
미립자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융점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차(절대값)가 0.010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0∼0.070이다. 이 경우에는 감온성 조광 필름이 투명으로부터 비투명으로 크게 변화되기 쉽다.
미립자가 조광용인 경우에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 굴절률 조정 모노머가 포함되어도 좋다. 굴절률 조정 모노머는 1.300∼1.600의 굴절률을 갖는 모노머이어도 좋다. 굴절률 조정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O-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굴절률:1.577), 2-프로펜산(3-페녹시페닐)메틸에스테르(굴절률:1.566), 1-나프틸아크릴레이트(굴절률:1.595), 아크릴아미드(굴절률:1.515), 히드록시아크릴아미드(굴절률:1.515), EO 변성 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굴절률:1.537), 아크릴아미드(굴절률:1.515),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굴절률:1.348), 메타크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굴절률:1.408)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굴절률 조정 모노머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굴절률 조정 모노머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에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중량%의 비율로 포함된다.
미립자가 조광용인 경우에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조성은 예를 들면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20∼100중량부, 단관능 모노머가 0∼40중량부, 다관능 모노머가 0∼10중량부, 굴절률 조정 모노머가 0∼30중량부이어도 좋다.
미립자는 감온성 조광 필름이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유래하는 감온성을 나타내게 되는 비율로 첨가하면 좋다. 바꿔 말하면, 감온성 조광 필름은 미립자에 의한 조광 기능이 얻어지는 비율로 미립자를 함유하면 좋다. 미립자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5∼45중량%이다. 또한 베이스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55∼95중량%이다. 또, 감온성 조광 필름에 있어서, 베이스 수지가 미립자보다 중량비로 많이 포함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수지와 미립자의 비율이 중량비로 베이스 수지:미립자=95:5∼55:45이어도 좋다. 미립자 및 베이스 수지의 각각의 함유량은 예시한 수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융점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 미립자의 굴절률과 베이스 수지의 굴절률의 차(절대값)가 0.020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0.020 미만이어도 좋다. 또한 융점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미립자의 굴절률과 베이스 수지의 굴절률의 차(절대값)가 0.020 이상, 바람직하게는 0.020∼0.050이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는 감온성 조광 필름이 투명으로부터 비투명으로 크게 변화된다. 또, 베이스 수지의 굴절률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한 경우,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1.480∼1.520,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1.450∼1.500이다.
감온성 조광 필름의 베이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EVA),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는 예를 들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등이어도 좋다. 베이스 수지는 2종류 이상을 섞어서 사용해도 좋다. 베이스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감온성 조광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50㎛이다. 또, 감온성 조광 필름은 필름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필름상 내지 시트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감온성 조광 필름은 감온성 조광 시트라고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감온성 조광 필름이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투명하고,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비투명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감온성 조광 필름의 투명 및 비투명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감온성 조광 필름은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비투명하며,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투명해도 좋다. 이러한 감온성 조광 필름을 구성할 때에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굴절률을 베이스 수지의 굴절률과 먼 값으로 설정하고, 융점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굴절률을 베이스 수지의 굴절률과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면 좋다.
(가소제용)
다음에 미립자가 가소제용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지재료의 고온에서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인 가소제를 첨가하면, 상온역(예를 들면 -20∼40℃의 온도역)에서의 특성도 저하되어 버린다.
본 실시형태의 미립자에 의하면, 수지재료의 고온에서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해도, 상온역에서의 특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또한 융점을 조정함으로써, 임의의 온도에서 가역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수지재료의 상온역에서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압출기의 토크 저감 등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 수지와 미립자의 비율은 중량비로 베이스 수지:미립자=9:1∼1:9이어도 좋다. 또, 미립자 단체를 가소제로서 사용해도 좋고,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범용수지에 미립자를 첨가한 것을 가소제로서 사용해도 좋다.
<감온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온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서 미립자를 얻는다. 모노머 성분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미니에멀젼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시에는 예를 들면 수성 매체, 계면활성제, 중합개시제 등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성 매체 및 계면활성제를 모노머 성분에 첨가해서 혼합액을 조제하고, 교반 수단에 의해 혼합액을 교반해서 모노머 성분을 입자상으로 한 후, 중합개시제를 더 첨가해서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도 좋다.
교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모지나이저 등을 들 수 있다. 교반 조건은 예를 들면 회전수가 5000∼20000rpm, 교반 시간이 1∼20분, 액온이 40∼90℃이어도 좋다.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킬 때의 액온은 예를 들면 40∼90℃이어도 좋다.
수성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매체의 첨가량은 모노머 성분 및 수성 매체의 합계 100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0∼90중량%이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반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0.5∼7중량부이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염류, 아조계 화합물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과황산 칼륨, 2,2'-Azobis[N-(2-carboxyethyl)-2-methylpropionamidine]tetrahydrate,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dihydrochloride, Lauroyl peroxide 등을 들 수 있다. 중합개시제의 첨가량으로서는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5∼2중량부이다.
이하, 합성예 및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합성예 및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예 1∼7:감온성 미립자)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모노머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반응 용기에 첨가했다. 표 1에 나타내는 모노머는 이하와 같다.
C18A: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C16A:세틸아크릴레이트
C12A:라우릴아크릴레이트
AA:아크릴산
다관능 모노머(A):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모노머(B):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HRD-01:닛쇼쿠 테크노파인케미칼사제의 굴절률 조정 모노머인 2-(O-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다음에 수성 매체 및 계면활성제를 반응 용기에 첨가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수성 매체로서는 물을 사용했다. 또한 첨가한 계면활성제는 이하와 같다.
합성예 1:ADEKA사제의 반응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아데카리아소푸 SR-10」
합성예 2∼7:다이이치 고교 세아야쿠사제의 반응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아쿠아론 AR-10」
수성 매체의 첨가량은 모노머 성분 및 수성 매체의 합계 100중량%에 대해서, 80중량%로 했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환산으로 1중량부로 했다.
다음에 교반 수단에 의해 혼합액을 교반하고, 모노머 성분을 입자상으로 했다. 교반 조건은 이하와 같다.
교반 수단:아즈원사제의 호모지나이저(본체:AHG-160D, 로터:HT1025)
합성예 1∼2의 회전수:15000rpm
합성예 3∼7의 회전수:7500rpm
교반 시간:5분
액온:40℃
마지막으로 중합개시제를 반응 용기에 첨가하여,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켜서 감온성 미립자를 얻었다. 그리고, 흡인 여과해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수성 매체를 제거했다. 또, 첨가한 중합개시제는 이하와 같다.
합성예 1:2,2'-Azobis[N-(2-carboxyethyl)-2-methylpropionamidine]tetrahydrate
합성예 2∼7:Lauroyl peroxide
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1중량부로 했다.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킬 때의 액온은 이하와 같다.
합성예 1:65℃
합성예 2∼7:67℃
합성예 1∼7에서 얻어진 감온성 미립자에 대해서, 평균 입경 및 융점을 측정했다. 합성예 1에 대해서는 저장 탄성률(G')도 측정했다. 각 측정 방법을 이하에 나타냄과 아울러, 그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평균 입경)
SEM을 이용하여 미립자의 SEM 사진(배율:1000배)을 촬영하고, 얻어진 SEM 사진을 화상 처리해서 30개의 미립자를 무작위로 추출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해서 얻었다.
(융점)
DSC를 이용하여 10℃/분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했다.
(저장 탄성률(G'))
서모 사이엔티픽(Thermo Scientific)사제의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HAAKE MARSIII」를 사용하고, 주파수를 1Hz, 하중을 3.00N, 가열 속도를 5℃/분으로 설정하고, 60℃에서 0℃로 온도를 내린 후의 0∼100℃의 승온과정에 있어서, 융점-10℃ 및 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을 측정했다. 또한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비[(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를 산출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시험편의 제작>
우선, 폴리에틸렌 수지와,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미립자를 중량비로 폴리에틸렌 수지:미립자=7:3의 비율로 혼합했다.
다음에 혼련하고, 두께 1mm의 시트상으로 성형해서 시험편을 얻었다. 또, 혼련은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사제의 라보프라스트밀을 이용하여 150℃×15분의 조건으로 행했다.
<평가>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저장 탄성률(G')을 측정했다. 저장 탄성률(G')은 상술한 합성예와 동일하게 해서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 수지 단체를 두께 1mm의 시트상으로 성형해서 시험편을 얻었다. 그리고, 이 시험편의 저장 탄성률(G')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로부터 명백하듯이, 실시예 1은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저장 탄성률(G')을 갖고 있고,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비교예 1보다 저장 탄성률(G')이 낮게 되어 연화 기능이 발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감온성 미립자에 의하면, 베이스 수지에 있어서의 탄성률 제어 등의 물성을 온도에 의해 제어하고,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감온성 미립자가 가소제 등에도 사용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7]
<감온성 조광 필름의 제작>
우선, 베이스 수지와, 합성예 2∼7에서 얻어진 미립자를 표 2에 나타내는 조합으로 혼합했다. 베이스 수지와 미립자의 비율은 중량비로 베이스 수지:미립자=90:10으로 했다.
사용한 베이스 수지는 이하와 같다.
EVA:토소사제의 「울트라센630」
LLDPE:토소사제의 「니포론L T240F」
다음에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사제의 라보프라스트밀을 이용하여 150℃×15분의 조건으로 혼련하고, 혼련물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혼련물을 140℃로 설정한 프레스기로 성형 가공하고, 두께 100㎛의 조광 필름을 얻었다.
<평가>
실시예 2∼7에서 얻어진 조광 필름에 대해서, 조광 기능을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조광 필름을 실온(20℃)에서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조광 필름은 투명했다. 다음에 조광 필름을 드라이어로 융점 이상의 온도(융점+5℃)로 가온해서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조광 필름은 백탁했다. 그리고, 조광 필름을 다시 실온으로까지 냉각해서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조광 필름은 투명하게 변화되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실시예 2∼7은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투명하며,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비투명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7은 투명 및 비투명을 반복하는 것도 알 수 있다.
헤이즈를 표 2에 나타낸다. 헤이즈 15% 미만에서 투명, 헤이즈 15% 이상에서 백탁이었다. 헤이즈는 코니카 미놀타사제의 분광 측색계 「CM3600」으로 측정한 값이다.
베이스 수지 및 미립자의 20℃ 및 융점+5℃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표 2에 나타낸다. 또, 굴절률은 Anton Paar사제의 자동굴절계 「Abbemat 350」으로 측정한 값이다.
Figure pct00002

Claims (7)

  1.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결정화되고, 또한, 상기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유동성을 나타내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감온성 미립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탄소수 14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감온성 미립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이 0.1∼50㎛인 감온성 미립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융점+1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가 1×102 이상인 감온성 미립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감온성 미립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온성 부여제인 감온성 미립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광용인 감온성 미립자.
KR1020227023926A 2020-01-16 2021-01-15 감온성 미립자 KR20220117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05073 2020-01-16
JPJP-P-2020-005073 2020-01-16
PCT/JP2021/001232 WO2021145422A1 (ja) 2020-01-16 2021-01-15 感温性微粒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274A true KR20220117274A (ko) 2022-08-23

Family

ID=7686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926A KR20220117274A (ko) 2020-01-16 2021-01-15 감온성 미립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45920B2 (ko)
EP (1) EP4092057A4 (ko)
JP (1) JP2021113310A (ko)
KR (1) KR20220117274A (ko)
CN (1) CN115003710B (ko)
TW (1) TW202135928A (ko)
WO (1) WO2021145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48438A (zh) * 2022-03-24 2023-12-16 日商霓塔股份有限公司 窗材及透光性屋頂材
WO2023182499A1 (ja) * 2022-03-24 2023-09-28 ニッタ株式会社 窓材及び透光性屋根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923A (ja) 1996-03-15 1997-09-22 Nitta Ind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積層工程用の仮止め粘着テープ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2241A (en) 1975-05-07 1976-11-17 Asahi Chem Ind Co Ltd Heat-sensitive plastic article
JP2007178912A (ja) * 2005-12-28 2007-07-1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3106A (ja) * 2008-01-09 2009-07-23 Idemitsu Kosan Co Ltd 透過率可変電子デバイス
WO2010068279A1 (en) * 2008-12-11 2010-06-17 Landec Corporation Thermochromic indicator
JP5408774B2 (ja) * 2009-04-24 2014-02-05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剤および感温性粘着テープ
JP2011037944A (ja) * 2009-08-07 2011-02-24 Nitta Corp 感温性粘着剤および感温性粘着テープ
JP5697089B2 (ja) * 2011-02-22 2015-04-08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長鎖(メタ)アクリレート系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
JP5908337B2 (ja) 2011-06-13 2016-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冷却剥離粘着シート
JP5817443B2 (ja) 2011-11-04 2015-11-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6108782B2 (ja) * 2012-11-19 2017-04-05 アイ‐コンポロジー株式会社 添加剤マスターバッチ
TWI635591B (zh) * 2013-11-05 2018-09-11 千住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焊料轉印薄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923A (ja) 1996-03-15 1997-09-22 Nitta Ind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積層工程用の仮止め粘着テープ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5920B2 (en) 2024-04-02
US20230074903A1 (en) 2023-03-09
TW202135928A (zh) 2021-10-01
EP4092057A4 (en) 2024-02-28
JP2021113310A (ja) 2021-08-05
CN115003710A (zh) 2022-09-02
EP4092057A1 (en) 2022-11-23
CN115003710B (zh) 2024-04-12
WO2021145422A1 (ja)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glin et al. Thermoreversible swelling behaviour of hydrogels based on N-isopropylacrylamide with acidic comonomers
KR20220117274A (ko) 감온성 미립자
Alam et al. Thermosensitive hybrid hydrogels with silica nanoparticle-cross-linked polymer networks
Chaiyasat et al. Innovative synthesis of high performance poly (methyl methacrylate) microcapsules with encapsulated heat storage material by microsuspension iodine transfer polymerization (ms ITP)
Song et al. Temperature‐and pH‐Sensitive Nanocomposite Gels with Semi‐Interpenetrating Organic/Inorganic Networks
KR102151956B1 (ko) 형광 수지 입자 및 그 용도
JP2014105217A (ja) 複合樹脂組成物及び複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6002587A1 (ja) ナノ粒子含有液及びその用途
KR101958719B1 (ko) 중합용 분산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교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확산 성형체
JP2010095598A (ja) 重合体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119843A (ja) 中空ポリマー粒子、ポリマー粒子懸濁液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JP4566870B2 (ja) 内部に複数の空孔を有するポリマー粒子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と前記ポリマー粒子が含有されてなる樹脂組成物
Lin et al. Studies on swelling behaviors, mechanical properties, network parameters and thermodynamic interaction of water sorption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novolac epoxy vinyl ester resin copolymeric hydrogels
JP5850290B2 (ja)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6888917B2 (ja) (メタ)アクリル系乾燥粒子
JP2013040311A (ja) 組成物
Saeed et al. Solution thermal properties of a family of thermo-responsive N-isopropyl acrylamide-co-N-hydroxymethyl acrylamide copolymers–Aspects intrinsic to the polymers
JPH10182987A (ja) 摺動性樹脂組成物
EP4039719A1 (en) Additive for light control films, and thermosensitive light control film
JP2021195521A (ja) 成形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6040262B2 (ja) 組成物および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710168B1 (ko) 고굴절율 폴리머 비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2151694A (ja) 複合樹脂組成物、複合樹脂シート及び成形体
JP6993775B2 (ja) 有機重合体微粒子
JP6363376B2 (ja) 疎水性樹脂−ポリリン酸アンモニウム複合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