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482A -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482A
KR20220111482A KR1020210014784A KR20210014784A KR20220111482A KR 20220111482 A KR20220111482 A KR 20220111482A KR 1020210014784 A KR1020210014784 A KR 1020210014784A KR 20210014784 A KR20210014784 A KR 20210014784A KR 20220111482 A KR20220111482 A KR 2022011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coupling
mount assembly
coup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종석
Original Assignee
현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종석 filed Critical 현종석
Priority to KR102021001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482A/ko
Publication of KR2022011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2Instruments for setting out fixed angles, e.g. right ang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벽체에 레이저 수평계를 쉽게 장착할 수 있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벽체 장착을 위한 결합수단이 일측에 마련되며 타측에는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이 마련되는 제1 브라켓과, 제1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며 레이저 수평계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이 마련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Wall mount assembly for laser leveler}
본 발명은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고 벽체에 레이저 수평계를 쉽게 장착할 수 있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신축 또는 인테리어 공사에 있어서 수평과 수직의 기준 설정하는 작업은 전체 공사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작업에 해당한다.
예컨대, 창호나 타일 등의 자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수평과 수직이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벽면에 창틀이나 타일 등의 자재를 시공할 때, 지면에 대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레이저 수평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수평계를 삼각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삼각대가 공간을 많이 차지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실내작업시 실수로 삼각대를 건드리게 되면 조정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작업장 이동시 레이저 수평계와 삼각대의 휴대 및 설치가 불편하고, 주변의 구조물로 인한 간섭 때문에 벽체에 라인이 뚜렷하게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공간을 절감할 수 있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에 설치 후,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해 레이저 수평계의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한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장착을 위한 결합수단이 일측에 마련되며, 타측에는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이 마련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며, 레이저 수평계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이 마련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브라켓은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브라켓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 일측에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 전면의 삽입홀 일측에 마련되는 제1 결합블록과, 상기 삽입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결합블록과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블록과, 상기 제2 결합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제1 결합블록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체결구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결합블록의 상기 제1 결합블록 대향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측 전면에 결합되는 제3 결합블록과, 상기 제3 결합블록과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후면에 상기 삽입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브라켓은,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며 전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결합홈에 후단이 결합되고 전단이 상기 제1 브라켓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면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일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면에 레이저 수평계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레일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분리 및 재설치가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벽체에 설치되므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 후에도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해 레이저 수평계를 전후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이하, '월마운트 어셈블리(100)')는, 벽체(1, 도 4 참조)에 장착되는 제1 브라켓(200)과, 제1 브라켓(200)의 일면에 결합되며 레이저 수평계(10, 도 4 참조)가 장착되는 제2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200)은 금속 재질로서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210)를 포함하며, 몸체(210)의 길이 방향 일측 예컨대, 도면상 몸체(210)의 하단부 중앙에 삽입홀(22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제1 브라켓(200)에는 벽체(1) 장착을 위한 결합수단이 하단부에 마련된다. 예컨대, 결합수단은 몸체(210) 전면에 삽입홀(220)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블록과, 한 쌍의 결합블록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몸체(210) 전면의 삽입홀(220) 일측에 제1 결합블록(23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결합블록(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제2 결합블록(230,2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제2 결합블록(230,2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몸체(210) 전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 융착,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결합블록(230)과 제2 결합블록(240)은 삽입홀(220)을 사이에 두고 몸체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호 대향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블록(230)과 제2 결합블록(240) 사이에는 삽입홀(220)과 연통하는 공간부(250)가 형성된다.
제2 결합블록(240)을 관통하여 제1 체결구(260)가 결합된다. 예컨대, 제2 결합블록(240)의 외측에 공간부(250)와 연통하도록 제1 체결홀(241)이 관통 형성되고, 제1 체결홀(241)에 나비볼트 등의 제1 체결구(260)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체결구(260)의 단부는 제2 결합블록(240)을 관통하여 공간부(250)로 돌출될 수 있다.
벽체(1)에 제1 브라켓(200) 장착시, 벽체(1)에 설치되어 실내로 돌출된 단열재 고정핀(2, 도 4 참조)을 몸체(210)의 삽입홀(220)에 삽입한다. 이때, 단열재 고정핀(2)의 단부는 삽입홀(220)을 관통하여 제1,제2 결합블록(230,240) 사이의 공간부(250)로 돌출되며, 제1 체결구(260)를 조여서 단열재 고정핀(2)이 제1 결합블록(230)과 제1 체결구(260) 사이에 가압 지지되게끔 한다. 이를 위해, 제1 결합블록(230)은 내측면이 삽입홀(220)의 일측 모서리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거나, 삽입홀(220)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체결구(260)에 의한 단열재 고정핀(2)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단열재 고정핀(2)과 제1 체결구(260)의 체결력 향상을 위해, 제1 체결구(260)의 끝단에 제1 체결구(260)의 끝단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제1 지지부재(261)가 결합된다.
일 예로서, 제1 지지부재(261)는 제1 체결구(260)의 끝단에 회전 및 소정 각도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61)는 제1 결합블록(230)과 제2 결합블록(240) 사이의 공간부(250)에서 제1 결합블록(230)의 내측면과 대향하며, 제1 체결구(260)를 조일 때 단열재 고정핀(2)의 단부를 제1 결합블록(230)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벽체(1)에 제1 브라켓(200) 장착시, 삽입홀(220)을 관통하는 단열재 고정핀(2)이 제1 지지부재(261)에 걸리지 않도록, 제2 결합블록(240)의 내측면에는 제1 지지부재(261)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242)이 형성된다. 즉, 제1 브라켓(200)의 삽입홀(220)에 단열재 고정핀(2)을 삽입할 때에는 제1 체결구(260)를 풀어서 제1 지지부재(261)가 수용홈(242)에 수용되도록 하고, 이후 제1 체결구(260)를 조여 제1 지지부재(261)를 공간부(250)로 전진시킴으로써, 단열재 고정핀(2)을 제1 결합블록(230)의 내측면에 가압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브라켓(200)의 상단부에는 몸체(210)의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을 위한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이 마련된다. 예컨대,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은 몸체(2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제2 체결홀(271)이 관통 형성되는 제3 결합블록(270)과, 제2 체결홀(271)에 나사 결합되며 제3 결합블록(270)과 몸체(210)를 차례로 관통하여 그 단부가 몸체(2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나비볼트 등의 제2 체결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결합블록(27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3 결합블록(27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몸체(210)의 전면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 융착,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210)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 체결구(280)를 조여 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단열재 고정핀(2)과 제1 지지부재(261)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몸체(210)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앞쪽으로 기울일 수 있다. 반대로, 제2 체결구(280)를 풀면 몸체(210)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뒤쪽으로 기울일 수 있다. 몸체(210)의 기울기 조절시, 사용자는 후술하는 레이저 수평계(10)나 홀더(20, 도 4 참조)에 마련되는 수평계(21, 도 4 참조)의 눈금을 확인하면서 수직,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몸체(210)의 기울기 조절시 유동 방지를 위해, 제2 체결구(280)의 끝단에 제2 체결구(280)의 끝단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제2 지지부재(281)가 결합된다. 일 예로서, 제2 지지부재(281)는 제2 체결구(280)의 끝단에 회전 및 소정 각도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브라켓(200)은 몸체(210)의 후면에 삽입홀(220)을 사이에 두고 몸체(2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2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지지블록(29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각각의 지지블록(290)은 몸체(210)를 사이에 두고 제1,제2 결합블록(230,240)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며, 지지블록(290)과 몸체(2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제1,제2 결합블록(230,240)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몸체(210)의 전면과 후면에 제1,제2 결합블록(230,240)과 한 쌍의 지지블록(290)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지지블록(290)이 몸체(210)의 후면 하단부에 제1,제2 결합블록(230,240)과는 별개로 결합되거나, 용접, 융착,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지지블록(290)이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월마운트 어셈블리(100)의 벽체(1) 장착시 한 쌍의 지지블록(290)은 벽면에 밀착되며, 사용자는 전술한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을 통해 몸체(2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브라켓(200)의 일면에 레이저 수평계(10)가 장착되는 제2 브라켓(300)이 결합된다. 이때, 제2 브라켓(300)은 자력에 의해 제1 브라켓(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브라켓(200)과 제2 브라켓(300)의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월마운트 어셈블리(100)의 휴대와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일 예로서, 제2 브라켓(300)은 제1 브라켓(200)의 몸체(210) 전면에 결합되는 장착부(310)와, 장착부(310)의 전면에 후단이 결합되고 전단이 제1 브라켓(200)의 몸체(210) 전방으로 연장되는 레일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착부(310)는 자력에 의해 몸체(210) 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장착부(310)는 자성을 갖는 소재, 예컨대 고무자석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장착부(310)의 표면에 자석층이 코팅되거나, 고무자석 시트 또는 영구자석이 장착부(310)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착부(310)의 전면에 결합홈(311)이 형성되며, 이 결합홈(311)에 레일부(320)의 후단이 삽입 결합된다. 레일부(320)의 전단은 몸체(21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측면에는 레일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레일(321)이 길게 연장 형성된다.
레일부(320)는 슬라이드 레일(3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322)를 포함하며, 이동부재(322)의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레이저 수평계(10)의 장착을 위한 체결홈(323)이 형성된다.
한편, 제2 브라켓(300)은 장착부(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330)와, 레일부(32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부(330)에 결합되어 레일부(320)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일부(320)와 지지부(330) 및 지지 브라켓(3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20)의 슬라이드 레일(321)을 따라 몸체(210)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레이저 수평계(10)가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레이저 수평계(10) 하단에 홀더(20)를 결합하고, 이 홀더(20)를 다시 이동부재(322)에 결합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홀더(20) 없이 레이저 수평계(10)를 이동부재(322)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홀더(20)에 원형 수평계(21)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레이저 수평계(10)에 원형 또는 직선형 수평계(21)가 구비되거나, 제1 브라켓(200) 또는 제2 브라켓(300)에 수평계(21)가 구비될 수도 있다.
레이저 수평계(10)는 전방과 좌우 측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벽체(1)에 수직선과 수평선 등의 기준선을 표시한다. 이때, 레이저 수평계(10)의 측방에 장애물이 놓여진 경우, 장애물에 간섭되어 측방의 벽면에 수평선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월마운트 어셈블리(100)를 해체하고 장애물을 피해 다른 위치에 다시 설치할 필요없이, 레일부(320)의 슬라이드 레일(321)을 따라 레이저 수평계(10)를 이동시킴으로써, 장애물에 의한 간섭 없이 수평선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월마운트 어셈블리(100)를 벽체(1)에 장착한 후, 원형 수평계(21)를 통해 몸체(210)의 기울기를 확인하고,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을 통해 이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레일부(320)의 중심선과 벽면 사이 각도가 예각(α)을 이루는 경우, 수평계(21)의 물방울(22)이 기준선(23) 앞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때, 제2 체결구(280)를 조임으로써, 수평계(21)의 물방울(22)이 기준선(23)의 중앙에 위치할 때까지 몸체(210)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20)의 중심선에 대하여 몸체(210)를 수직하게 세우고, 레이저 수평계(10)에서 조사되는 기준선이 수직 및 수평을 정확히 표시하게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월마운트 어셈블리 200 : 제1 브라켓
210 : 몸체 220 : 삽입홀
230 : 제1 결합블록 240 : 제2 결합블록
242 : 수용홈 250 : 공간부
260 : 제1 체결구 261 : 제1 지지부재
270 : 제3 결합블록 280 : 제2 체결구
281 : 제2 지지부재 290 : 지지블록
300 : 제2 브라켓 310 : 장착부
311 : 결합홈 320 : 레일부
321 : 슬라이드 레일 322 : 이동부재
330 : 지지부 340 : 지지 브라켓

Claims (9)

  1. 벽체 장착을 위한 결합수단이 일측에 마련되며, 타측에는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이 마련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며, 레이저 수평계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이 마련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 일측에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 전면의 삽입홀 일측에 마련되는 제1 결합블록과, 상기 삽입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결합블록과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블록과, 상기 제2 결합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제1 결합블록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체결구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블록의 상기 제1 결합블록 대향면에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기울기 조절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측 전면에 결합되는 제3 결합블록과, 상기 제3 결합블록과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후면에 상기 삽입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며 전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결합홈에 후단이 결합되고 전단이 상기 제1 브라켓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면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면에 레이저 수평계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레일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KR1020210014784A 2021-02-02 2021-02-02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KR20220111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784A KR20220111482A (ko) 2021-02-02 2021-02-02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784A KR20220111482A (ko) 2021-02-02 2021-02-02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482A true KR20220111482A (ko) 2022-08-09

Family

ID=8284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784A KR20220111482A (ko) 2021-02-02 2021-02-02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4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1482A (ko) 레이저 수평계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JP4436847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固定金具
US7793472B2 (en) Mounting assembly for adjustably mounting frame parts onto wall or into wall opening, enabling positional adjustment of frame part in multiple directions
JP2018074854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フレームの支持脚構造
KR20040051556A (ko) 건물에 있어서의 빔의 연결 구조
JP2002349908A (ja) エアコン据え付け架台
JP3183211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金具
CN211396130U (zh) 侧封边件及隔墙系统
JP3238376U (ja) 野縁取付装置
US20230374792A1 (en) Panel connection system
KR102227724B1 (ko) 단열 브라켓, 이를 이용한 하지틀 구조 및 시공방법
JP3262942B2 (ja) 金属製ドア枠の取付方法
JPH0842105A (ja) 壁装材取付用金具並びに壁装材取付構造
JPH0579151A (ja) 板状建材の施工法
JPH03158566A (ja) コーナパネル取付け構造
JPH10212784A (ja) 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及びパネルの支持部材
JPH06346537A (ja) 壁パネルの位置調整・固定装置
JP2023079482A (ja) ドア枠の固定構造
JP2023124220A (ja) 位置決め治具
JPH074261Y2 (ja) 壁面施工用金具
JP2000087476A (ja) コーナーパネルおよびその取付け構造
JP2022054624A (ja) ドア枠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取り付け方法
JPH0728296Y2 (ja) 取付金具
CN117308468A (zh) 一种定位组件及冰箱
CN115075506A (zh) 连接机构及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