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370A -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370A
KR20220111370A KR1020210014530A KR20210014530A KR20220111370A KR 20220111370 A KR20220111370 A KR 20220111370A KR 1020210014530 A KR1020210014530 A KR 1020210014530A KR 20210014530 A KR20210014530 A KR 20210014530A KR 20220111370 A KR20220111370 A KR 2022011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tep
solution
glycerin
polyethylene glycol
preservat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577B1 (ko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희 filed Critical 이은희
Priority to KR102021001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에 있어서, 생화 느낌을 오래도록 보존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보습제로 하고 글리세린을 보조 보습제로 하는 보습제 성분과; 염료의 물올림 작용을 위해 증류수를 주용제로 하고 이소프로필알콜을 보조 용제로 하는 용제 성분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이 상기 증류수에 혼합되도록 촉진하는 촉진제로서 계면활성제와; 살균을 위한 황규산 용액과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곰팡이제거제로서 안식향산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UT FLOWERS PRESERVATION COMPOSITE AND PRODUCING METHOD }
본 발명은 절화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등을 생화처럼 부드럽고 생생하게 오랜 동안 보존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유지와 용제 및 계면활성촉진제, 증류수, 무기질 재료의 곰팡이제거제, 천연염료 등의 전체 합성량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실험 및 분석을 통하여 합성한 최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화(生花, fresh flower)는 아름답고 신선하나 그 아름다움을 유지하는 지속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 가공화는 생화의 아름다움을 지속 및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속성이 짧은 생화의 아름다움을 보완하여 가공기술을 개발한 건조화와 보존화 등이 생산되고 있다.
가공화 중에서 보존화(preserved flower)는 생화의 수분을 글리세린과 같은 유연제로 대체하여 만드는 가공 꽃으로 일반 건조소재와 달리 부서지지 않고 유연성을 지니고 있으며, 프랑스의 Vermont사에 의해 최초개발(1991)되어 현재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대중적 소비가 일어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처음에 상류층 대상의 귀한 소재로서 인식되었으나, 점차적으로 대중화되어 유럽에서 최고급 플라워 소재로서 인식되어졌으며, 또한 보존화 이용의 대중화에 성공한 일본이 전 세계 보존화 시장의 약60%를 석권하면서, 보존화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는 보존화가 2004년에 도입되었고, 2008년 이후 인터넷을 통한 보존화 종사업체가 증가 추세에 있으나, 중국 등에서의 수입 활성화에 따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생화와 달리 아직 매장에서 판매하는 곳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화이트 및 발렌타인 데이, 어버이 날, 스승의 날 등 행사 시기에만 백화점 등 시중에서 판매하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외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구체적으로는 보존화(preserved flower)는 꽃의 내부 수분을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탈수 시키고, 생화와 같은 형태와 질감을 갖게 하는 용액으로 치환시킨 가공화의 일종이며, 1987년 벨기에에서 처음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비슷한 시기에 콜롬비아에서 보존화의 가공기술이 개발되어 잎과 작은 꽃을 대상으로 보존화가 만들어 졌다. 1991년 프랑스에서 장미꽃의 보존처리법이 일반인에게 공개된 후 보존화가 널리 알려졌다. 1998년에는 콜롬비아산 보존화가 일본에 들어오면서 화훼장식의 소재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고, 2010년부터는 보존화의 인기가 높아져 큰 시장을 형성하였다. 우리나라에는 2004년에 보존화가 도입되었고, 2008년 이후 보존화 업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화훼농가의 영세성 및 서양에 비한 낮은 관심도와 경제성 등의 이유에 의해서 체계적 연구와 독창적인 발명은 미비한 실정이었다. 국내외 논문 내용도 다양해지고 특허의 독창적 방법 등이 발표되고 있임을 확인하였으며, 몇 년 전부터는 일반인의 보존화에 대한 관심의 폭이 대폭 확대됨에 따라 많은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온라인 에서는 시중보다 활성화 되어 있지만 일반 소비자들은 보존화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소재의 품종이 다양하지 않으며, 생화 상품과 차별화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아직은 대중화가 되기에는 취약한 부분이 많으며, 보존화 상품의 고가 형성으로 대중적 인지도 확대 및 소비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향상시키고, 대중화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화훼업계 종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인식이 필요하고 다양한 상품디자인개발, 전문가 양성, 보존화의 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함은 물론, 국내 화훼가공소재 생산에 시발점을 마련하는 기술개발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되어야하며, 보존화는 2-3년 장기간 관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양한 생활용품, 팬시용품 등의 적용이 가능하고 타산업과의 융복합이 가능하여 새로운 시장창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내수시장 창출 및 안정적 수출시장 확보를 통한 농가 고수익 창출 필요한 이 시점에 가공소재에 적합한 전문적인 상품디자인 발굴 및 홍보*마케팅 기술 개발이 절실한 입장이다.
본 발명은, 생화의 느낌은 최대한 살리면서, 질감 및 무게감 그리고 존치기간을 늘린 보존화의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인도 여러 절화 등에 폭 넓고 손쉽게 사용 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정량화된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은, 생화 느낌을 오래도록 보존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보습제로 하고 글리세린을 보조 보습제로 하는 보습제 성분과; 염료의 물올림 작용을 위해 증류수를 주용제로 하고 이소프로필알콜을 보조 용제로 하는 용제 성분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이 상기 증류수에 혼합되도록 촉진하는 촉진제로서 계면활성제와; 살균을 위한 황규산 용액과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은, 곰팡이제거제로서 안식향산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은, 보존용액 10kg 중에, 폴리에틸렌글리콜 2 ~ 3kg과, 글리세린 0.3 ~ 0.7 kg 과, 증류수 6.32 ~ 7.32 kg과, 이소프로필알콜 50 ~ 100 g (0.05 ~ 0.1 kg)과, 계면활성제 3 ~ 7 g (0.003 ~ 0.007 kg)과, 황규산 용액 25 ~ 75 g (0.025 ~ 0.075kg)과, 수용성 염료 25 ~ 75 g (0.025 ~ 0.075k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존용액 10kg 중에, 안식향산나트륨 0.1 ~ 2g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을 사용하면 절화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개꽃, 소국, 유칼립투스, 파블로, 천일홍, 보리 등의 꽃이나 잎사귀, 줄기 등에 특히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정량 개량하여 줄기부분의 일부(약 10cm)를 용액에 침지시켜 물올림 방법으로 1일~3일 존치하였다가 사용하면 항상 일정한 효과를 낸다. 일반인도 손쉽게 사용 할 수 있는 합성 용액 제품으로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이용하였으며, 절화되는 꽃의 수명을 장기간 늘렸기 때문에 폐기되거나 변질되지 않으면서 꽃등 식물의 아름다움을 언제든지 감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제조방법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을 사용한 보존 절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을 사용한 보존 절화 사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을 사용한 보존 절화 사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제조방법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을 사용한 보존 절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을 사용한 보존 절화 사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을 사용한 보존 절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은, 보습제 성분과 용제 성분과 계면활성제와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습제 성분은 생화 느낌을 오래도록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보습제로 하고 글리세린을 보조 보습제로 한다. 용제 성분은 염료의 물올림 작용을 위해 사용되고 증류수를 주용제로 하고 이소프로필알콜을 보조 용제로 한다.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이 상기 증류수에 혼합되도록 촉진한다. 첨가제는 살균을 위한 황규산 용액과 수용성 염료를 포함한다. 곰팡이제거제로서 안식향산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은, 보존용액 10kg 중에, 폴리에틸렌글리콜 2 ~ 3kg과, 글리세린 0.3 ~ 0.7 kg 과, 증류수 6.32 ~ 7.32 kg과, 이소프로필알콜 50 ~ 100 g (0.05 ~ 0.1 kg) 과, 계면활성제 3 ~ 7 g (0.003 ~ 0.007 kg)과, 황규산 용액 25 ~ 75 g (0.025 ~ 0.075kg)과, 수용성 염료 25 ~ 75 g (0.025 ~ 0.075kg)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존용액 10kg 당, 안식향산나트륨 0.1 ~ 2g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보존용액 10kg을 기준으로, 생화 느낌을 오래도록 보존하는 주보습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2.5kg, 생화 느낌을 오래도록 보존하는 보조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0.5kg, 염료를 물 올림 시켜주는 주용제로서 증류수 6.82kg, 주용제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보조 용제로서 이소프로필알콜 75g,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증류수에 완전히 혼합되도록 하는 촉진제로서 계면활성제[트윈 (Tween) 20] 5g, 규산염(영양 성분)과 황(살균 성분)을 용액으로 만들어 놓은 물질인 황규산 용액 50g, 수용성 염료 50g, 곰팡이제거제(안식향산나트륨) 1g을 혼합하여 절화 보존 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제조방법은, 보존용액 10kg 제조를 기준으로 할 때, 증류수와 글리세린 혼합 단계(S10)와 폴리에틸렌글리콜 투입 단계(S20)와 계면활성제 투입 단계(S30)와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와 안식향산나트륨 투입하는 단계(S50)와 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와 염료 투입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 글리세린 혼합 단계(S10)에서 증류수 6.32 ~ 7.32 kg과 글리세린 0.3 ~ 0.7 kg를 혼합한다. 증류수는 염료를 물 올림 시켜주는 주용제로서 기능을 한다. 보습제 성분은 생화 느낌을 오래도록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고 글리세린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보조하는 보조 보습제 역할을한다.
(나) 폴리에틸렌글리콜 투입 단계(S20)에서 글리세린 혼합 단계(S10)에서 제조된 용액에 폴리에틸렌글리콜 2 ~ 3kg을 투입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보습제로 사용된다. 보습제 성분이 너무 많으면 절화식물의 꽃잎 및 잎사귀 등이 무게를 견뎌내지 못하고 쳐져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고, 너무 적으면 절화식물의 보존기간을 최대화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생화와 같은 무게감이 부족하고 형상이 비틀리는 문제점이 발생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주보습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보조 보습제인 글리세린의 상대적 비율도 여러 비율로 실험하였는데 글리세린이 너무 많으면 점성의 강해져서 보존용액의 물올림 효과를 저해시키는 단점이 생겼으며, 주보습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만 첨가하면 촉촉함은 증대되었으나 꽃 및 줄기, 잎사귀 등의 형상유지가 오랜기간 지속되지 못하고 6개월 정도 후부터는 변형됨을 확인하였다.
(다) 계면활성제 투입 단계(S30)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투입 단계(S20)에서 제조된 용액에 계면활성제 3 ~ 7 g (0.003 ~ 0.007 kg)를 투입한다. 계면활성제는 보습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이 상기 증류수에 혼합되도록 촉진한다.
(라)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에서 계면활성제 투입 단계(S30)를 거친 용액에 이소프로필알콜 50 ~ 100 g (0.05 ~ 0.1 kg)을 투입한다. 주용제인 증류수의 활동(물 올림)을 촉진시키는 보조 용제로 기능을 한다. 이소프로필알콜은 증류수와 잘 혼합되어 증발력을 향상시켜 절화식물의 모세관현상을 통한 물올림 상태를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하였지만 일정 양의 범위를 넘어선 실험에서는 재료의 소모 및 휘발성만 늘어나고 품질향상에는 효과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마) 안식향산나트륨 투입 단계(S50)에서 곰팡이 제거 효과를 위하여 안식향산나트륨 0.1 ~ 2g을 투입한다.
(바)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에서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를 거친 용액에 황규산 용액 25 ~ 75 g (0.025 ~ 0.075kg)을 투입한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유황규산 용액은 1L(1kg)을 수용액에 100배~1000배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하도록 되어있는데 절화식물의 크기 및 영양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최적화임을 확인하였다.
(사) 염료 투입 단계(S70)에서 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를 거친 용액에 수용성 염료 25 ~ 75 g (0.025 ~ 0.075kg)를 투입한다. 이때 염료 각각의 색깔에 따라서 정량의 무게를 달아 일정하게 투입하여야 하는데 항상 일정한 아름다운 색깔을 보존할 수 있어야하며 염료가 적으면 원하는 아름다운 색을 표현하지 못하고 너무 과하면 습기가 많은 날에는 표면으로 베어 나오는 단점이 발생 한다 .
글리세린 혼합 단계(S10)와 폴리에틸렌글리콜 투입 단계(S20)와 계면활성제 투입 단계(S30)와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와 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와 염료 투입 단계(S70)에서 상기 용액의 온도는 4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낮으면 모든 용액들의 혼합 단계에서 완전히 녹아들고 섞이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절화식물 물올림 최적화에는 온도가 높을수록 좋으나 너무 높으면 잎사귀, 줄기, 꽃 등에 변형이 생겨서 많은 실험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40℃가 적당함을 찾아내었다.
염료 투입 단계(S70) 이후에 용액 전체를 10분 간격으로 5분씩 3회에 걸쳐서 저어 교반하는 교반 단계와, 교반 단계 이후에 24시간 동안 보존용액의 품질 상태를 보존하며 40℃의 온도를 유지하여 숙성 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 충분한 교반이 보존 용액을 오랫동안 보관하여도 층분리 되지 않고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숙성기간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한 실험에서는 절화식물의 염색 및 촉촉함 및 생화 같은 질감 등에서 편차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24시간 및 48시간, 72시간 등으로 숙성 시험을 진행한 결과 24시간 보다 더 좋은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보존 용액은 안개꽃, 소국, 유칼립투스, 파블로, 천일홍, 보리의 꽃 잎사귀 줄기를 포함하는 절화된 식물의 줄기부분의 일부를 상기 보존 용액에 침지시켜 물올림 방법으로 1일~3일 존치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절화식물의 잎, 줄기, 꽃, 열매 등을 생화처럼 부드럽고 생생하게 오랜 동안 보존하기 위하여 유연성 및 보습성 그리고 생화 같은 무게감을 유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원활한 물올림 효과를 위하여 용제(증류수 및 이소프로필알콜) 및 그 효과를 촉진시키는데 필요한 수용성 계면활성제(Tween20)를 첨가하였다.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면서, 곰팡이방지 및 살균 및 영양 등을 최적화 시켜 그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하여 곰팡이제거제(안식향산나트륨) 및 황규산용액을 첨가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의 비율은 존치기간의 연장에 임계적 효과가 있음을 알수 있었고, 보조용제인 이소프로필알콜(IPA) 및 주용제인 증류수의 혼합 및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색상을 줄기를 통하여 앞사귀 및 꽃 등에 염색되도록 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 과 글리세린 등이 증류수 및 용제에 잘 혼합되고, 줄기에 원활하게 스며들어 잎사귀를 거쳐 꽃에까지 원활하게 올라가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친수성 계면활성제(Tween20)를 첨가하였다.
또한, 규산과 황의 영양 및 살균의 성질을 살린 황규산 용액을 첨가하여 잎, 줄기, 꽃, 열매 등의 영향 상태를 최적화 시켜 모세관현상을 통한 물올림 상태를 향상 시켰다. 합성 온도 및 합성 순서에 따라서 생화의 재배장소, 절화시기, 건강영향상태, 보존상황, 보존화 제조 시점 등에 따라서 합성 온도 및 순서 그리고 배합속도 등도 조절해주어야 최적의 보존화를 얻을 수 있기에, 합성용액의 각각의 특성과 함께 용량비율 및 순서도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중요한 요소들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넓은 대중성과 함께 합리적인 품질 경쟁력 및 신제품을 출시하여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의 여러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입을 위한, 일반인도 여러 절화의 줄기부분(약10cm)을 1일~3일간 보존용액에 침지시켰다가 꺼내서, 줄기 겉부분의 용액이 마르면 바로 상품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정량화된 보존용액의 합성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에 있어서,
    생화 느낌을 오래도록 보존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보습제로 하고 글리세린을 보조 보습제로 하는 보습제 성분과;

    염료의 물올림 작용을 위해 증류수를 주용제로 하고 이소프로필알콜을 보조 용제로 하는 용제 성분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이 상기 증류수에 혼합되도록 촉진하는 촉진제로서 계면활성제와;
    살균을 위한 황규산 용액과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곰팡이제거제로서 안식향산나트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보존용액 10kg 중에,
    폴리에틸렌글리콜 2 ~ 3kg과,
    글리세린 0.3 ~ 0.7 kg 과,
    증류수 6.32 ~ 7.32 kg과,
    이소프로필알콜 50 ~ 100 g (0.05 ~ 0.1 kg) 과,
    계면활성제 3 ~ 7 g (0.003 ~ 0.007 kg) 과;
    황규산 용액 25 ~ 75 g (0.025 ~ 0.075kg)과,
    수용성 염료 25 ~ 75 g (0.025 ~ 0.075kg),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용액 10kg 당,
    상기 안식향산나트륨 0.1 ~ 2g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5. 절화식물 보존용액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보존용액 10kg 제조를 기준으로 할 때,
    (가) 증류수 6.32 ~ 7.32 kg과 글리세린 0.3 ~ 0.7 kg 를 혼합하는 글리세린 혼합 단계(S10)와;
    (나) 상기 글리세린 혼합 단계(S10)에서 제조된 용액에 폴리에틸렌글리콜 2 ~ 3kg을 투입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투입 단계(S20)와;
    (다) 폴리에틸렌글리콜 투입 단계(S20)에서 제조된 용액에 계면활성제 3 ~ 7 g (0.003 ~ 0.007 kg)를 투입하는 계면활성제 투입 단계(S30)와;
    (라) 계면활성제 투입 단계(S30)를 거친 용액에 이소프로필알콜 50 ~ 100 g (0.05 ~ 0.1 kg)을 투입하는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와;
    (바) 상기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를 거친 용액에 황규산 용액 25 ~ 75 g (0.025 ~ 0.075kg)을 투입하는 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와;
    (사) 상기 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를 거친 용액에 수용성 염료 25 ~ 75 g (0.025 ~ 0.075kg)를 투입하는 염료 투입 단계(S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와 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 사이에 (마) 안식향산나트륨 0.1 ~ 2g을 투입하는 안식향산나트륨 투입 단계(S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안개꽃, 소국, 유칼립투스, 파블로, 천일홍, 보리의 꽃 잎사귀 줄기를 포함하는 절화된 식물의
    줄기부분의 일부를 상기 보존 용액에 침지시켜 물올림 방법으로 1일~3일 존치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혼합 단계(S10)와 폴리에틸렌글리콜 투입 단계(S20)와 계면활성제 투입 단계(S30)와 이소프로필알콜 투입 단계(S40)와 황규산 용액 투입 단계(S60)와 염료 투입 단계(S70)에서 상기 용액의 온도는 40℃를 유지하고;

    상기 염료 투입 단계(S70) 이후에 용액 전체를 10분 간격으로 5분씩 3회에 걸쳐서 저어 교반하는 교반 단계와; 상기 교반 단계 이후에 24시간 동안 숙성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10014530A 2021-02-02 2021-02-02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7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30A KR102571577B1 (ko) 2021-02-02 2021-02-02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30A KR102571577B1 (ko) 2021-02-02 2021-02-02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70A true KR20220111370A (ko) 2022-08-09
KR102571577B1 KR102571577B1 (ko) 2023-08-25

Family

ID=8284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30A KR102571577B1 (ko) 2021-02-02 2021-02-02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04A1 (ko)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401A (ja) * 1994-08-24 1996-03-05 Fuji Mach Kk 鑑賞用植物の保存剤および保存方法、および該保存方法により作製された鑑賞用植物
KR100392886B1 (ko) * 2000-09-09 2003-07-28 박경삼 잔디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병해방제방법
WO2003105878A1 (ja) * 2002-01-20 2003-12-24 株式会社鳳凰堂 抗菌剤及び抗菌性組成物
JP2004099605A (ja) * 2002-08-19 2004-04-02 Yoshihisa Sakamoto 切花の保存方法
KR20110038902A (ko) * 2009-10-09 2011-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KR20170053869A (ko) * 2015-11-08 2017-05-17 김종진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7648A (ko) * 2016-01-21 2017-07-31 김광열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착색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KR20170133894A (ko) * 2016-05-27 2017-12-06 김수진 건조화(dry flower) 제조용 유연제 수용액 및 당해 유연제 수용액의 처리에 의한 건조화 제조 방법
KR20180036206A (ko) * 2016-09-30 2018-04-09 김광열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KR20180081862A (ko) * 2017-01-09 2018-07-18 송재용 절화 신선도 유지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401A (ja) * 1994-08-24 1996-03-05 Fuji Mach Kk 鑑賞用植物の保存剤および保存方法、および該保存方法により作製された鑑賞用植物
KR100392886B1 (ko) * 2000-09-09 2003-07-28 박경삼 잔디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잔디 병해방제방법
WO2003105878A1 (ja) * 2002-01-20 2003-12-24 株式会社鳳凰堂 抗菌剤及び抗菌性組成物
JP2004099605A (ja) * 2002-08-19 2004-04-02 Yoshihisa Sakamoto 切花の保存方法
KR20110038902A (ko) * 2009-10-09 2011-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KR20170053869A (ko) * 2015-11-08 2017-05-17 김종진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7648A (ko) * 2016-01-21 2017-07-31 김광열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착색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KR20170133894A (ko) * 2016-05-27 2017-12-06 김수진 건조화(dry flower) 제조용 유연제 수용액 및 당해 유연제 수용액의 처리에 의한 건조화 제조 방법
KR20180036206A (ko) * 2016-09-30 2018-04-09 김광열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KR20180081862A (ko) * 2017-01-09 2018-07-18 송재용 절화 신선도 유지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04A1 (ko)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577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0514B (zh) 一种水蜜桃保鲜乳液的制备方法及应用
CN104139436A (zh) 一种紫苏叶染色的秸秆编织材料用固色浸泡液及其使用方法
CN107912427B (zh) 一种化妆品用花朵及其保色方法
CN104430339A (zh) 一种用于葡萄着色的脱落酸组合物
US4287222A (en) Method for preserving plant material
CN103735457B (zh) 一种含有草本成分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20220111370A (ko)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1211B1 (ko) 절화를 원형 그대로 장기간 시들지 않게 보존처리하는방법과 과정
CN105285088B (zh) 一种含有漆树蜡成分的保鲜果蜡及制备方法和应用
KR20170053869A (ko)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방법
KR101836173B1 (ko) 꽃잎의 떨어짐이 방지되는 국화 보존화 제조 방법
CN106614704A (zh) 一种果树伤口愈合剂及生产方法
JP4736069B2 (ja) 水中花の製造方法とこの方法で製造した水中花
CN106278630A (zh) 一种冬枣树育苗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
KR20190097414A (ko) 보존화 제조방법, 레진 공예품 제조방법 및 레진 공예품 제조용 키트
De et al. 4. Drying Technologies in Orchids
CN105380821B (zh)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结冷胶片状微胶囊
JP2005162725A (ja) 育毛剤の製造方法
KR101730178B1 (ko)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RU2698058C1 (ru) Метод консервации и/или окрашивания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ключая срезанные цветы
JP2946305B2 (ja) 装飾用天然植物の処理剤及び処理法
JP2010168291A (ja)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の製造方法
RU2786496C2 (ru) Способ консервации и окрашивания мхов и лишайников с приданием свечения в темноте
JP2787233B2 (ja) 化粧料
KR101904475B1 (ko) 보존화 제조용 보존액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