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206A -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206A
KR20180036206A KR1020160126499A KR20160126499A KR20180036206A KR 20180036206 A KR20180036206 A KR 20180036206A KR 1020160126499 A KR1020160126499 A KR 1020160126499A KR 20160126499 A KR20160126499 A KR 20160126499A KR 20180036206 A KR20180036206 A KR 20180036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iquid composition
preserv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760B1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김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열 filed Critical 김광열
Priority to KR102016012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7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4Oxygen or sulfur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절화의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조성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METHOD FOR PRESERVATION OF PEST REPELLENT CUT FLOWERS AND LIQUID AGENT USED THEREOF}
본 발명은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개꽃 등의 생화를 보존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드라이플라워(Dried Flower)와 보존화 처리방법(Preserved Flower) 등이 있다.
드라이플라워는 절화된 꽃을 수분을 차단하고 공기중 혹은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방법이다. 처리가 쉽고 가격이 저렴하여 간편하게 제작되고 있으나, 건조 중에 수축이 발생하여 원래의 꽃이 갖는 형태가 변형되어 외관이 저하되며, 건조 후에는 접촉에 의해 쉽게 부스러지므로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보존화 처리방법은 시들기 쉬운 생화의 색상이나 형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꽃이 갖는 아름다움을 오랫동안 감상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도입되었다. 보존화의 원리는 생화가 갖는 수분을 단시간 내에 배출시키고 보존용액으로 대체함으로써, 꽃의 형태와 질감은 그대로 유지하고 여기에 필요한 색을 물들이는 것이다. 보존화 처리 방법으로는 절화된 꽃을 용액에 침지하여 탈수·탈색을 하고 염색을 실시하는 방법과, 절화된 꽃이 물올림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물 대신 보존용액을 물올림하여 꽃이 보존화가 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보존용액에는 절화된 꽃의 수명유지를 위하여 용액의 조성 단계에서 보존을 위한 성분이 첨가된다. 이러한 성분은 꽃의 증산작용시 꽃의 각 부분, 예를 들어, 꽃잎, 잎, 줄기 등으로 이동하여 보존성을 발현시킨다. 이때 보존 성분의 일부는 수분과 함께 배출되며 꽃과 잎의 표면에 남게 된다. 그 결과, 보존성분의 향을 맡고 진딧물, 초파리, 화랑곡나방 등이 모여든다. 이러한 해충은 보존화의 상품성 및 보존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보존화에 유입된 외부의 해충에 의해 꽃과 줄기가 갉아 먹히기도 하며, 화랑곡나방 등이 보존화에 알을 낳게 되면 알의 부화와 함께 보존화의 수명은 끝나게 된다. 도 1은 해충기피성이 적은 액상조성물에 의하여 처리된 보존화의 일 예를 보인 사진으로서, 보존화(F)에 붙은 화랑곡나방이 낳은 알에서 부화된 애벌레(P) 및 배설물(E)에 의해 상품성이 떨어진 상태가 되었다. 또한, 여름철과 같은 높은 습도 하에서의 보존화는 곰팡이 발생에 취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드라이플라워는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해충으로부터 안전하나, 보존화는 흡습 특성과 보존성분으로 인해 부드러움과 향을 유지하므로 해충으로부터 지속적인 공격을 받는다. 또한, 완성후 건조과정이나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곰팡이 발생이 가속된다. 이에 따라 보존화의 장기적인 보관성에 문제가 생기고, 특히 완성된 보존화의 상품성과 경제적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절화된 꽃의 조직 내에 보존성분을 도입하는 제작과정이나 완성된 보존화에 해충이 모여들어 보존성 및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을 최소화하며, 건조과정에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보존화 처리를 위한 기존의 성분은 유지하되 인체에 무해한 해충 기피물질을 첨가함으로써 보존성과 인체 안전성을 모두 확보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절화의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조성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시나믹알데히드는 시나몬바크(Cinnamon Bark) 또는 시나몬리프(Cinnamon Leaf)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디에틸렌글리콜 5 ~ 20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1 ~ 5 중량부;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수성 염료 0.3 ~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에탄올 1 ~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은, 상기 절화의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 이후에, 물올림이 완료된 상기 절화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절화의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조성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가 물올림을 통해 보존처리될 수 있게 조성되는 액상조성물로서, 상기 액상조상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절화의 보존처리용 액상 조성물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가 물올림을 통해 보존처리될 수 있게 조성되는 액상조성물로서, 상기 액상조상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절화의 보존처리용 액상 조성물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30 ~ 90 중량부; 및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0.00001 ~ 10 중량부 또는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조성물에 의하여 보존화에 분사하여 해충기피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에 의하면, 글리세린과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또는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절화를 보존화로 만들기 위해 물올림하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조성물로부터 배어 나오는 은은한 향에 의해 초파리와 진딧물 그리고,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모여드는 것을 기피하게 된다. 나아가, 여름철과 같은 고온 다습한 계절에서의 건조시 발생할 수 있는 곰팡이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건조가 완료되어 보관 및 상품화된 보존화는 줄기 및 꽃 내부로부터 미세한 향을 배출하게 되어 지속적인 방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관련된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에 의하면, 별도의 방충작업이나 방충제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해충퇴치기, 나방유도트랩, 분무살충제 등과 같은 작업이나 약품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 공간과 경비도 절약될 수 있다. 그리고, 해충으로부터 손상된 보존화의 폐기가능성을 줄이므로, 경제적 손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충기피성이 적은 액상조성물에 의하여 처리된 보존화의 일 예를 보인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보존처리용 액상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의 보존화(대상화2)를 해충 기피성이 없는 액상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의 보존화(대상화1)와 비교하여 보인 도표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와,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절화의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물올림이 어려운 마른 부분이나 꺽인 부분, 잎맥이나 줄기의 관다발이 손상된 부위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올림이 완료된 이후 물올림이 되지 않은 부위를 선별하여 정리하는 과정도 포함될 수 있다.
자른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에서는 미리 준비된 액상조성물에 물올림이 가능한 정도로 줄기를 담근다. 균일한 깊이로 담기거나 여러 화초들을 한꺼번에 물올림을 할 수 있도록 부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부수장치는 화초를 고정하는 수단이나, 하나의 화초라도 줄기마다 서로 다른 색을 갖는 보존화를 제작하거나 여러 화초간에 색을 달리하기 위해 액상조성물이 담기는 용기들을 구별하여 거치하거나, 화초들을 고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용기에 고인 형태 외에도 펌프류에 의해 흐르거나 자동으로 공급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물올림의 실시는 자동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자동화 장치는, 보존용 액상조성물의 공급부와 연결된 물올림조와, 절화를 일정한 양만큼 잡아 정렬시키는 정렬 홀더와, 정렬 홀더를 이동시켜 물올림조에 줄기 부분이 담글 수 있도록 하고, 물올림이 완료된 절화의 정렬 홀더를 건조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이송제어부와, 자연공기의 통풍이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송풍할 수 있게 구성된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제어부는, 경우에 따라 물올림이 완료된 절화를 일정한 각도(비스듬하거나, 세우거나, 거꾸로 뒤집는 것 등)로 자세를 유지시키는 제어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액상조성물은, 물 30 ~ 90 중량부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염료를 녹이는 용제로서 기능하며, 액상조성물의 수분증발을 억제하는 작용도 보유한다. 즉, 물올림시 액상조성물은 대기에 노출되는데, 액상조성물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올림에 의한 소비보다 증발에 의한 소비가 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시나믹알데히드는 글리세린과 같이 생화를 보존화로 만드는데 있어 필요한 성분이 가질 수 있는 해충의 유인효과를 차단한다. 배합의 일 형태로서 시나믹알데히드는 계피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시나믹알데히드는 식용 또는 약재로 사용되며 인체에 해가 없어 절화를 직접 만지며 작업해야 하는 보존화의 처리작업에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뛰어난 해충기피효과를 수반한다. 나아가, 물올림 이후 시나믹알데히드의 미량이 발향하게 되므로 진딧물, 초파리, 화랑곡나방 등이 꽃을 기피하게 하면서도 방향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나믹알데히드가 함유된 계피 오일을 이용하는 방법은 몇 가지일 수 있다. 그 첫 번째 방법은, 적정량의 계피오일을 위의 설명과 같이 글리세린이 포함된 보존용 액상조성물에 첨가하여 희석하여 물올림하면, 보존화 작업시 용액으로부터 나오는 향으로 인하여 해충이 꽃을 기피하게 되고, 완성된 꽃에도 소량의 성분이 남아 미세하게 발향을 하므로 지속적으로 곤충으로부터 꽃을 기피하게 만든다. 해충의 애벌레가 부화하더라도 계피오일 성분으로 먹이활동을 기피하게 만든다.
두 번째 방법으로, 장기 보존된 보존화의 해충기피 기능회복을 위하여 적정비율로 희석 후 분무기 혹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보존화에 후처리하는 것이다. 고른 확산은 용이하지 않으나 기능이 회복되며, 전자에 비하여 강하게 향을 발할 수 있다.
시나믹알데히드 대신 또는 시나믹알데히드에 추가하여,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시나믹 알데히드와 함께 유게놀은 시나몬바크(Cinnamon Bark) 또는 시나몬리프(Cinnamon Leaf)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시나몬바크에는 시나믹알데히드가 다량이고 유게놀이 미량인 반면, 시나몬리프의 경우 시나믹알데히드가 소량이고 유게놀이 다량인 경우이다. 어느 경우이든 해충 기피성을 얻을 수 있는 추출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상조성물은, 디에틸렌글리콜 5 ~ 20 중량부와, 아크릴 공중합체 1 ~ 5 중량부와,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 5 중량부와, 수성 염료 0.3 ~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에틸렌글리콜은 염료를 녹이기도 하지만, 흡습성이 있어 보습 및 수분증발을 억제하기도 한다. 또한, 저온에서 액상조성물이 얼지 않도록 한다.
액상조성물은 또한, 에탄올 1 ~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에탄올은 물올림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상조성물은 또한,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글리콜은 글리세린과 유사한 보습능력을 보유하면서도 물에 잘 용해되고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며 발효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염료가 줄기나 꽃잎으로부터 배어 나오는 이염현상이 거의 없어 착색된 절화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물올림이 완료된 후에는 절화를 그대로 생화처럼 사용하거나, 절화를 건조매트 등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 건조된 후에도 착색된 절화의 색상은 변하지 않는다. 건조된 절화는 압화용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착색이 완료된 절화를 생화처럼 사용하는 경우, 절화를 물에 계속 담근 상태로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절화의 물 흡수에 의해 줄기에 있던 염료가 꽃으로 이동하므로 착색된 상태보다 진한 색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보존처리용 액상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의 보존화(대상화2)를 해충 기피성이 없는 액상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의 보존화(대상화1)와 비교하여 보인 도표이다.
대상화1은 안개꽃을 대상으로 하여 물과 글리세린 및 분홍색 염료를 성분으로 하는 액상조성물로 보존처리한 다음 보존화와 함께 화랑곡나방을 투명용기에 넣고 이들의 거동을 관찰한 결과이며, 대상화2는 물과 글리세린 및 염료 외에 시나믹알데히드가 포함된 액상조성물로 안개꽃을 보존처리한 다음 화랑곡나방을 넣고 관찰한 것이다. 보존화를 용기에 넣은 직후에(최초) 대상화2의 경우 이미 화랑곡나방의 움직임은 약하며, 2~3 마리는 용기의 바닥에 붙어 있다. 2일 후, 대상화1의 용기 내의 화랑곡나방은 보존화에 붙어 있으며 별다른 이상이 관찰되지 않는 반면, 대상화2의 경우 바닥에 떨어진 개체들은 움직임이 없다. 3일 후, 대상화1의 용기 내의 바닥에는 화랑곡나방이 없으나, 대상화2에는 투입된 화랑곡나방 대부분이 바닥에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시나믹알데히드가 함유된 액상조성물에 의한 물올림 보존화의 경우(대상화2) 해충의 기피 또는 퇴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80㎖의 물에 글리세린 5㎖, 시나믹알데히드 0.01㎖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80중량부, 글리세린 5중량부, 시나믹알데히드 0.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실시예 2]
80㎖의 물에 글리세린 10㎖, 시나믹알데히드 0.1㎖ 및 0.1㎖의 염료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관찰되지 않았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8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시나믹알데히드 0.1중량부, 염료 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실시예 3]
80㎖의 물에 글리세린 10㎖, 시나믹알데히드 0.1㎖, 유게놀 0.1㎖ 및 0.1㎖의 염료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관찰되지 않았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8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시나믹알데히드 0.1중량부, 유게놀 0.1중량부, 염료 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실시예 4]
30㎖의 물에 글리세린 30㎖, 시나믹알데히드 1㎖ 및 0.1㎖의 염료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30중량부, 글리세린 30중량부, 시나믹알데히드 1중량부, 염료 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실시예 5]
50㎖의 물에 글리세린 10㎖, 프로필렌글리콜 10㎖, 시나믹알데히드 0.1㎖ 및 0.1㎖의 염료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경우에 비해 물올림 및 보존완료 기간은 50% 정도로 단축되었다.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관찰되지 않았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8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시나믹알데히드 0.1중량부, 염료 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실시예 6]
80㎖의 물에 글리세린 10㎖, 유게놀 0.1㎖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1마리가 관찰되었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8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유게놀 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실시예 7]
80㎖의 물에 글리세린 10㎖, 프로필렌글리콜 10㎖, 디에틸렌글리콜 5㎖, 아크릴 공중합체 1㎖,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시나믹알데히드 0.1㎖ 및 0.1㎖의 염료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경우에 비해 물올림 및 보존완료 기간은 50% 정도로 단축되었다.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관찰되지 않았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8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1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0.1중량부, 시나믹알데히드 0.1중량부, 염료 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실시예 7]
80㎖의 물에 글리세린 10㎖, 프로필렌글리콜 10㎖, 디에틸렌글리콜 5㎖, 아크릴 공중합체 1㎖,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에탄올 3㎖, 시나믹알데히드 0.1㎖, 유게놀 0.1㎖ 및 0.1㎖의 염료를 혼합하여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안개꽃을 대상화로 하여 물올림을 실시하였으며,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경우에 비해 물올림 및 보존완료 기간은 50% 정도로 단축되었다. 보존화 처리완료 일주일 후 관찰결과 화랑곡나방 등 해충이 관찰되지 않았다(보존처리 및 관찰 계절: 여름 중 7월).
물 8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1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0.1중량부, 에탄올 3중량부, 시나믹알데히드 0.1중량부, 유게놀 0.1중량부, 염료 0.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조성물.
상기와 같이 설명된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절화의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조성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믹알데히드는 시나몬바크(Cinnamon Bark) 또는 시나몬리프(Cinnamon Leaf)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것인,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디에틸렌글리콜 5 ~ 20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1 ~ 5 중량부;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수성 염료 0.3 ~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조성물은 에탄올 1 ~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화의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 이후에,
    물올림이 완료된 상기 절화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9.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절화의 줄기를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조성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10. 줄기를 절단한 절화가 물올림을 통해 보존처리될 수 있게 조성되는 액상조성물로서, 상기 액상조상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시나믹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절화의 보존처리용 액상 조성물.
  11. 줄기를 절단한 절화가 물올림을 통해 보존처리될 수 있게 조성되는 액상조성물로서, 상기 액상조상물은,
    물 30 ~ 90 중량부;
    글리세린 5 ~ 70 중량부; 및
    계피추출 유게놀(eugenol) 0.00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절화의 보존처리용 액상 조성물.
KR1020160126499A 2016-09-30 2016-09-30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KR10186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499A KR101865760B1 (ko) 2016-09-30 2016-09-30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499A KR101865760B1 (ko) 2016-09-30 2016-09-30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06A true KR20180036206A (ko) 2018-04-09
KR101865760B1 KR101865760B1 (ko) 2018-06-08

Family

ID=6197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499A KR101865760B1 (ko) 2016-09-30 2016-09-30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47A (ko) * 2019-10-08 2021-04-16 최규호 절화 보존화 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처리 방법
KR20220111370A (ko) * 2021-02-02 2022-08-09 이은희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08A (ko) * 2003-10-17 2005-04-21 고광용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KR100916984B1 (ko) * 2008-10-14 2009-09-14 이진희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및 식물의 처리방법
JP5201678B2 (ja) * 2008-12-09 2013-06-05 パネフリ工業株式会社 切花延命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08A (ko) * 2003-10-17 2005-04-21 고광용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KR100916984B1 (ko) * 2008-10-14 2009-09-14 이진희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및 식물의 처리방법
JP5201678B2 (ja) * 2008-12-09 2013-06-05 パネフリ工業株式会社 切花延命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47A (ko) * 2019-10-08 2021-04-16 최규호 절화 보존화 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처리 방법
KR20220111370A (ko) * 2021-02-02 2022-08-09 이은희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760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9324A1 (en) A method for treating a plant material
US2203274A (en) Elastic coating
CN106719448A (zh) 一种室内大量饲养茶小绿叶蝉的方法
KR101865760B1 (ko)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Massee The Life-history of the Black Currant Gall Mite, Eriophyes ribis (Westw.) Nal.
CN109526977B (zh) 一种具有强内吸传导特性和触杀作用的防治天牛的高效膏剂及其使用方法
Daane et al. Arthropod pests of olive
Muzik et al. Studies on the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action of CMU
Dodd Phenology and seed production of variegated thistle, Silybum marianum (L.) Gaertn., in Australia in relation to mechanical and biological control
Mahendiran et al. Pests and Their Management on Temperate Fruits: (Apple, Pear, Peach, Apricot, Cherry, Persimmon, Walnut, Olive, Kiwifruit and Strawberry)
Singh Current status of pests of bamboos in India
Lewis Simulated cattle injury to planted slash pine: girdling.
US2314928A (en) Promoting restoration of transplanted plants
JP2506013B2 (ja) 害虫の忌避方法
KR101288494B1 (ko) 꽃매미 방제를 위한 트랩식물 제조 방법
Tilford Diseases of ornamental plants
Cook et al. The native anthocorid bug (Orius armatus) as a field predator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Western Australia
KR102488343B1 (ko) 님 종자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0427894A1 (en) Expellent for land and aquatic shells
Jo et 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strategies of 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in Korea
Marlatt REPoRT oF THE cHIEF oF THE BUREAU oF ENTooLocy
Solijonovna et al. BEHAVIOR AND VIABILITY OF TERMITES ANACANTHOTERMES AHNGERIANUS JACOBS IN THEIR ACTIVE AND INACTIVE PHASES OF LIFE CYCLE
Kumar et al. Litchi stink bug in Bihar: Status, threats and management strategy
Spuler The orchard leaf-roller
Hubbard Rust of the o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