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265A -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265A
KR20220111265A KR1020227018337A KR20227018337A KR20220111265A KR 20220111265 A KR20220111265 A KR 20220111265A KR 1020227018337 A KR1020227018337 A KR 1020227018337A KR 20227018337 A KR20227018337 A KR 20227018337A KR 20220111265 A KR20220111265 A KR 2022011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air
triangular
liner
trapezo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 사이토
겐타로 하타
Original Assignee
쇼와 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팍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팍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 B65D88/6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of internal walls
    • B65D88/62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of internal walls the walls being de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4Linings
    • B65D2590/043Flexible liners
    • B65D2590/046B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하는 에어백. 삼각형의 저변부 또는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부에는, 합성 수지제 필름을 내측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생성된 거싯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백의 편면 및 타면에는, 각각, 백의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에 대응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가요성 보강 커버가 적층되어 있다. 백의 삼각형의 편측변부 또는 사다리꼴의 편레그변부에는 에어 주입 튜브와 함께 짧은 에어 배기 튜브가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본 발명은,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 (즉 분체 및/또는 입체) 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및 2 에는,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은,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한다. 이러한 에어백은, 예를 들어, 편단벽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라이너 내의 소정 위치, 즉 라이너의 편단벽에 삼각형의 저변 또는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을 정합시켜 라이너의 편측벽의 내면 및 저벽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 형성되거나, 혹은 라이너와 라이너가 장비되어 있는 화물 컨테이너 사이의 소정 위치, 즉 라이너의 편단벽에 삼각형의 저변 또는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을 정합시켜 라이너의 편측벽의 외면 및 저벽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 형성된다. 화물 컨테이너를 경사지게 하여 라이너의 상기 편단벽을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출구를 개방하여 라이너로부터 분립체의 대략 전체를 배출한 후에, 에어백 내에 에어를 주입하여 백을 부풀리고, 이로써 라이너의 편단벽의 편측 하부에 잔류하고 있는 분립체를 배출구를 향하여 강제하여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920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02968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에는, (1) 백이 부풀려졌을 때에 삼각형의 저변 또는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이 삼각형의 정점 또는 사다리꼴의 상측 저변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상으로 변형되어 소위 포켓 공간이 생성되고, 그 때문에 라이너의 편단벽의 편측 하부에 잔류하고 있는 분립체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배출구를 향하여 강제할 수 없어, 상기 포켓 공간에 상당량의 분립체가 계속 잔류하고 (상기 특허문헌 1 에는, 포켓 공간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에어백에 연장부를 부설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연장부를 부설하면, 라이너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배출구 중 1 개 또는 복수개에 연장부가 간섭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2) 백을 부풀렸을 때에, 백, 특히 그 가열 용착된 변부 (삼각형의 양사변부 또는 사다리꼴의 양레그변부) 가 파손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3) 에어백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없고, 1 회의 사용에 의해 파기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에어백에 존재하는 상기와 같은 문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신규 그리고 개량된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의하면, 종래의 에어백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 (1) 을 해결하는 에어백으로서,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하는 에어백에 있어서,
그 삼각형의 저변부 또는 그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부에는, 합성 수지제 필름을 내측에 접어 넣음으로써 생성된 거싯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의하면, 종래의 에어백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 (2) 를 해결하는 에어백으로서,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하는 에어백에 있어서,
그 백의 편면 및 타면에는, 각각, 그 백의 형상에 대응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가요성 보강 커버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의하면, 종래의 에어백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 (3) 을 해결하는 에어백으로서,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하는 에어백에 있어서,
그 백의 그 삼각형의 편측변부 또는 그 사다리꼴의 편레그변부에는 에어 주입 튜브와 함께 짧은 에어 배기 튜브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제공된다.
그 백은 그 삼각형의 양사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양레그변을 따라 그 편면 및 그 타면이 서로 용착되어 있고, 그 보강 커버는 그 백의 그 삼각형의 그 양사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그 양레그변을 따라 그 백의 그 편면 및 그 타면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에어 주입 튜브 및 그 에어 배기 튜브는 합성 수지 필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라이너의 배출구가 형성된 편단벽에 그 백의 그 삼각형의 그 저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그 하측 저변을 정합시켜, 그 컨테이너의 편측벽 내면 및 저벽 상면과 그 컨테이너의 그 편측벽 내면 및 그 저벽 상면에 대향하는 그 라이너의 편측벽 외면 및 저벽 외면 사이에 배치 형성되는 것이 형편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있어서 제공되는 에어백에 의하면, 삼각형의 저변부 또는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부에는, 합성 수지제 필름을 편면측과 타면측의 쌍방으로부터 양면의 내측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생성된 거싯이 배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백이 부풀려 졌을 때에 삼각형의 저변 또는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에는 대략 평탄한 저면이 생성되고, 따라서 삼각형의 정점 또는 사다리꼴의 상측 저변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상으로 변형되어 소위 포켓 공간이 생성되는 것이 회피되고, 이렇게 하여 라이너의 편단벽의 편측 하부에 잔류하고 있는 분립체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배출구를 향하여 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있어서 제공되는 에어백에 의하면, 백의 편면 및 타면에는, 각각, 백의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에 대응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가요성 보강 커버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백을 부풀렸을 때에, 백, 특히 그 가열 용착된 변부 (삼각형의 양사변부 또는 사다리꼴의 양레그변부) 가 파손되어 버리는 것이 가급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있어서 제공되는 에어백에 의하면, 백의 삼각형의 편측변부 또는 사다리꼴의 편레그변부에는 에어 주입 튜브에 더하여 에어 배기 튜브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에어 배기 튜브를 이용하여 백 내에 주입된 에어를 충분히 용이하게 배기할 수 있고, 에어백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어 분립체가 충전되는 라이너의 전형예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선 III-III 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는 백의 제작 양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이다.
도 5 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는 백의 양면에 보강 커버를 배치 형성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하는 에어백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선 VII-VII 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하는 에어백의 백에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에어백 (거싯이 배치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보강 커버 및 에어 배기 튜브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에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는,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이 적용되는 라이너의 전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체를 번호 2 로 나타내는 라이너는, 가늘고 긴 중공 직방체형이고, 편단벽 (4), 타단벽 (6), 상벽 (8), 저벽 (10) 그리고 양측벽 (12 및 14) 을 갖는다. 편단벽 (4) 에는 1 개의 주입구 (16) 와 2 개의 배출구 (18a 및 18b) 가 부설되어 있다. 주입구 (16) 는, 편단벽 (4) 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튜브의 기단 가장자리를 용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배출구 (18a 및 18b) 는, 편단벽 (4) 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2 개의 개구의 각각에, 튜브의 기단 가장자리를 용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편단벽 (4), 타단벽 (6), 상벽 (8), 저벽 (10) 그리고 양측벽 (12 및 14) 을 갖는 라이너 (2) 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이 적절한 합성 수지 필름에 적절한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튜브도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이 적절한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 (2) 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4 모서리부에는, 각각, 라이너 (2) 에 용착되는 연결편 (24) 을 개재하여 연결끈 (26) 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 (24) 및 연결끈 (26) 도 폴리에틸렌과 같이 적절한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너 (2) 는, 상단부에 있어서의 4 모서리부에 배치 형성된 연결끈 (26) 을 화물 컨테이너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의 라싱 링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 결속함으로써, 화물 컨테이너 내에 수납된다. 화물 컨테이너는 라이너 (2) 의 편단벽 (4) 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1 쌍의 문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갖는다. 이러한 1 쌍의 문은, 통상적으로, 연직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개폐 이동되는 소위 양문형 여닫이문이며, 먼저 마주보아 우측의 문이 개방되고, 그 이후에 마주보아 좌측의 문이 개방된다. 화물 컨테이너에는, 추가로, 라이너 (2) 의 편단벽 (4) 의 일부 (주입구 (16) 그리고 배출구 (18a 및 18b) 의 영역을 제외한 부분) 의 전면 및 라이너 (2) 의 저벽 (10) 의 하면에 맞닿음되어 라이너 (2) 를 지지하는 벌크 헤드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장비된다. 화물 컨테이너 내에 수납된 상기와 같은 라이너 (2) 에는, 그 2 개의 배출구 (18a 및 18b) 를 구성하고 있는 튜브를 예를 들어 결속 끈을 묶어 폐색한 상태에서, 그 주입구 (16) 를 통하여 분립체가 충전된다. 분립체를 소요되는 만큼 충전한 후에는, 주입구 (16) 를 구성하고 있는 튜브도 예를 들어 결속 끈을 묶어 폐색한다. 라이너 (2) 로부터 분립체를 배출하는 양식에 대하여 후술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서술한 라이너 (2), 화물 컨테이너 및 벌크 헤드 자체는 주지의 형태이며,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그 때문에 이것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생략한다.
도 2 및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체를 번호 30 으로 나타내는 에어백은,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이 적절한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는 합성 수지제 백 (32)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백 (32) 은, 에어가 충전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되어 있는 상태, 즉 도 2 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측 저변 (34), 하측 저변 (36) 그리고 양레그변 (38a 및 38b) 을 갖는 사다리꼴이고, 양레그변 (38a 및 38b) 의 경사 각도는 동일하다. 백 (32) 의 형태는, 도 2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양레그변의 경사 각도가 상이한 사다리꼴 혹은 적절한 삼각형 (예를 들어 이등변 삼각형) 이어도 된다.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부 (즉 하측 저변 (36) 으로부터 그 약간 상방의 부위까지의 영역) 에는, 필름을 편면 (상면) 측과 타면 (하면) 측의 쌍방으로부터 양면의 내측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생성된 거싯 (40) 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의 백 (32) 을 제작하는 바람직한 양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필름제 대직경 튜브 (42) 를 준비한다. 그리고, 평탄화한 튜브 (42) 의 편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편면 (상면) 측과 타면 (하면) 측의 쌍방으로부터 필름을 양면 사이에 접어 넣어 거싯 (40) 을 형성한다. 그리고, 튜브 (42) 를 2 개의 절단선 (44a 및 44b) 을 따라 절단하고, 용착선 (46a 및 46b) 을 따라 용착하고, 이렇게 하여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백 (32) 을 완성한다. 도 2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싯 (40) 에는, 그 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거싯 (40) 의 외측 양면에 걸쳐서 접착 테이프 (48) 가 첩착되어 있는 것이 형편상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 (48) 는, 백 (32) 내에 에어가 주입될 때에 거싯 (40) 의 열림을 억제하고, 백 (32) 의 양레그변 (38a 및 38b) 근방에 있어서 백 (32) 이 파손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사다리꼴의 백 (32) 에는, 그 편레그변 (38a) 에 에어 주입 튜브 (50) 및 에어 배기 튜브 (52) 가 접속되어 있다. 에어 주입 튜브 (50) 는 비교적 길고, 에어 배기 튜브 (52) 는 비교적 짧은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후술한다). 백 (32) 내에 연통되어 있을 필요가 있는 에어 주입 튜브 (50) 및 에어 배출 튜브 (52) 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이 적절한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튜브를 소요 길이로 절단하고, 이러한 튜브의 편단부를, 상기 용착선 (46a) 을 따른 용착에 앞서 튜브 (42) 의 양면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용착선 (46a) 을 따라 튜브 (42) 의 양면을 용착하는 것에 의해, 백 (32) 에 접속할 수 있다. 튜브 (42) 의 양면을 용착할 때에, 에어 주입 튜브 (50) 및 에어 배기 튜브 (52) 자체도 용착되어 폐색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어 주입 튜브 (50) 및 에어 배기 튜브 (52) 의 상기 편단부 내에, 종이 시트편과 같이 비용착성 시트재편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삽입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상기 백 (32) 의 양면에는, 각각, 보강 커버 (54a 및 54b) 가 적층되어 있다. 보강 커버 (54a 및 54b) 는 백 (32) 의 형상 및 치수와 실질상 동일해도 되고, 따라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백 (32) 에 에어가 충전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측 저변 (56), 하측 저변 (58) 그리고 양레그변 (60a 및 60b) 을 갖는 사다리꼴이고, 양레그변 (60a 및 60b) 의 경사 각도는 동일하다. 이러한 보강 커버 (54a 및 54b) 는, 가요성을 갖는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블루 시트라고 칭해지고 있는 적층 합성 수지제 시트, 혹은 미표백 크라프트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이 합성 수지제 크로스 (망) 를 적층한 PE 크로스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 (32) 의 양면에 대한 보강 커버 (54a 및 54b) 의 적층은, 백 (32) 의 용착선 (46a 및 46b) 을 따라 보강 커버 (54a 및 54b) 의 대응 부위를, 양면 접착 테이프와 같이 적절한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형편상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에 있어서는, 백 (32) 과 보강 시트 (54a 및 54b) 의 접착 부위 (62) 를 다수의 점을 부여하여 표시하고 있다. 상기 에어 주입 튜브 (50) 및 에어 배기 튜브 (52) 가 접속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는, 에어를 주입 또는 배출할 때에 에어 주입 튜브 (50) 및 에어 배기 튜브 (52) 의 부풀기가 저해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백 (32) 과 보강 시트 (54a 및 54b) 는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백 (32) 의 타면 (도 2 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면) 에 적층된 보강 시트 (54b) 에는, 도 6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저변 (56) 근방의 폭 방향 중앙부, 상측 저변 (56) 의 편단부 (도 6 에 있어서 우단부), 하측 저변 (58) 근방의 폭 방향 중간부, 하측 저변 (58) 의 폭 방향 양단부에, 보강 시트 (54b) 에 접합되는 적절한 연결편 (63) 에 의해 적절한 결속 끈 (64) 이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에어백 (30) 의 전형적 사용 양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백 (30) 은, 그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접혀 2 개의 절반부가 서로 실질상 90 도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가 되어, 화물 컨테이너 (도시하고 있지 않다) 와 라이너 (2) 사이에 개재되고, 에어백 (30) 의 각 절반부가, 각각, 라이너 (2) 의 편측벽 (12) 및 저벽 (10) 의 외면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에어백 (30) 은, 화물 컨테이너에 라이너 (2) 를 장비하기 전에 화물 컨테이너의 소요 위치에 배치하고, 보강 시트 (54b) 에 부설된 결속 끈 (64) 을 화물 컨테이너의 라싱 링 등에 결속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에어백 (30) 에 있어서의 백 (32) 하측 저변 (36) 그리고 보강 시트 (54a 및 54b) 하측 저변 (58) 은, 라이너 (2) 의 편단벽 (4) 과 실질상 정합되어 있다.
라이너 (2) 로부터 분립체를 배출할 때에는, 화물 컨테이너를 경동시켜 라이너 (2) 를 그 타단벽 (6) 으로부터 편단벽 (4) 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한다. 화물 컨테이너의 경동에 앞서, 화물 컨테이너의 일방의 문, 즉 마주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문을 열고, 이렇게 하면 라이너 (2) 의 일방의 배출구 (18b) 가 노출된다. 이렇게 한 후에, 배출구 (18b) 를 구성하는 튜브에 묶여 있는 결속 끈을 풀어 배출구 (18b) 를 개구하고, 배출구 (18b) 에 적절한 배출 안내 파이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를 접속하고, 배출구 (18b) 및 배출 안내 파이프를 통하여 라이너 (2) 로부터 분립체를 배출한다. 라이너 (2) 내의 분립체의 대부분이 배출된 후에 있어서도, 라이너 (2) 의 편단벽 (4) 의 하부에 있어서의 우측부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 (18b) 를 통하여 분립체를 배출하는 것에서 기인하여, 라이너 (2) 의 편단벽 (4) 과 편측벽 (12) 의 모서리부의 하부에는 상당량의 분립체가 잔류한다. 이러한 잔류한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해서, 에어백 (30) 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비교적 긴 에어 주입 튜브 (50) 를 화물 컨테이너로부터 인출하고, 에어 주입 튜브 (50) 를 통하여 백 (32) 내에 에어를 주입한다. 이렇게 하면, 도 8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32) 이 부풀어 올라, 이로써 라이너 (2) 의 편단벽 (4) 과 편측벽 (12) 의 모서리부의 하부에 잔류하고 있던 분립체가 배출구 (18b) 를 향하여 강제적으로 이동되고, 배출구 (18b) 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8 에 있어서는, 도면의 명료화를 위해서 보강 커버 (54a 및 54b)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때에는, 에어 배출 튜브 (52) 는 백 (32) 이 부풀어 오르는 것에서 기인하여 백 (32) 의 편레그변 (38a) 근방에서 백 (32) 의 양면 사이에서 압박되어 실질상 폐색되기 때문에, 결속 끈을 연결시키는 등에 의해 에어 배출 튜브 (52) 를 적극적으로 폐색할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 (30) 에 있어서의 백 (32) 에는, 그 하측 저변부에 거싯 (40) 이 배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 에 명확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32) 의 하측 저변 (36) 에는 대략 평탄한 저면이 생성되고, 백 (32) 의 하측 저변 (36) 이 라이너 (2) 의 편단벽 (4) 으로부터 내측에 실질상 변위하는 경우가 없고, 소위 포켓 공간의 발생이 회피되고, 그 때문에 라이너 (2) 의 편단벽 (4) 과 편측벽 (12) 의 모서리부의 하부에 잔류하고 있던 분립체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배출구 (18b) 를 향하여 강제적으로 이동하여 배출구 (18b) 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거싯이 배치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백 (32') 의 경우, 도 9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32') 의 하측 저변 (36') 이 내측으로 볼록한 원호상으로 변형되어 소위 포켓이 생성되고, 이러한 포켓에서 기인하여 상당량의 분립체가 잔류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 (30) 에 있어서는, 에어백 (32) 의 양면에 보강 커버 (54a 및 54b) 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 (32) 내에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예를 들어 에어백 (32) 의 양레그변 (38a 및 38b) 혹은 그 근방에서 에어백 (32) 이 파단되어 버리는 것이 가급적으로 방지된다.
에어백 (30) 의 작용에 의해 라이너 (2) 내의 분립체가 충분히 배출된 후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라이너 (2) 는 화물 컨테이너로부터 취출되어 파기된다. 이러한 후에는,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작업원이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물 컨테이너 내에 진입한 작업원은, 화물 컨테이너 밖으로부터 반입한 에어 흡인기의 흡인 노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에어백 (30) 의 에어 배기 튜브 (52) 를 통하여 에어백 (32) 에 삽입하고, 에어 흡인기를 작동시켜, 에어백 (32) 으로부터 에어를 배기한다 (에어 배기 튜브 (52) 의 외측단에 단순히 에어 흡인기의 흡인 노즐을 접속하여 에어백 (32) 내의 에어를 배기하려고 한 경우에는, 에어의 흡인에서 기인하여 에어 배기 튜브 (52) 가 폐색되어 버려 에어의 배기가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에어백 (30) 에 있어서는, 화물 컨테이너 내에 라이너 (2) 가 장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는 에어 주입 튜브 (50) 는 화물 컨테이너로부터 외부로 인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길지만, 라이너 (2) 가 화물 컨테이너로부터 취출된 후에 작업인이 화물 컨테이너 내로 진입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에어 배출 튜브 (52) 는 비교적 짧고, 따라서 충분히 용이하게 에어 배기 튜브 (52) 를 통하여 에어 흡인기의 흡인 노즐을 에어백 (32)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백 (32) 으로부터 에어가 배출된 에어백 (30) 은,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어 분립체가 충전되는 다음 라이너에 대하여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라이너 (2) 로부터 분립체를 배출할 때에, 화물 컨테이너의 2 개의 문을 열림 이동하여, 편방의 배출구 (18b) 만이 아니라 타방의 배출구 (18a) 도 이용하는 경우에는, 라이너 (2) 내에 잔류하는 분립체의 양은 미소하고, 따라서 에어백 (30) 을 반드시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다른 한편, 편단벽에는 그 폭 방향 중앙에 1 개의 배출구만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라이너인 경우에는, 라이너의 양측부에 있어서 분립체가 잔류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에는, 라이너의 편측만이 아니라 라이너의 양측의 각각에 관련시켜 2 개의 에어 백 (30) 을 배치 형성할 수 있다.
2 : 라이너
4 : 라이너의 편단벽
6 : 라이너의 타단벽
8 : 라이너 상벽
10 : 라이너의 저벽
12 : 라이너의 측벽
14 : 라이너의 측벽
16 : 라이너의 주입구
18a : 라이너의 배출구
18b : 라이너의 배출구
30 : 에어백
32 : 백
34 : 백의 상측 저변
36 : 백의 하측 저변
38a : 백의 레그변
38b : 백의 레그변
40 : 거싯
50 : 에어 주입 튜브
52 : 에어 배출 튜브
54a : 보강 커버
54b : 보강 커버

Claims (12)

  1.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하는 에어백에 있어서,
    그 삼각형의 저변부 또는 그 사다리꼴의 하측 저변부에는, 합성 수지제 필름을 내측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생성된 거싯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백의 편면 및 타면에는, 각각, 그 백의 형상에 대응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가요성 보강 커버가 적층되어 있는, 에어백.
  3. 제 2 항에 있어서,
    그 백은 그 삼각형의 양사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양레그변을 따라 그 편면 및 그 타면이 서로 용착되어 있고, 그 보강 커버는 그 백의 그 삼각형의 그 양사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그 양레그변을 따라 그 백의 그 편면 및 그 타면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에어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백의 그 삼각형의 편사변부 또는 그 사다리꼴의 그 편레그변부에는 에어 주입 튜브와 함께 짧은 에어 배기 튜브가 접속되어 있는, 에어백.
  5. 제 4 항에 있어서,
    그 에어 주입 튜브 및 그 에어 배기 튜브는 합성 수지 필름제인, 에어백.
  6.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하는 에어백에 있어서,
    그 백의 편면 및 타면에는, 각각, 그 백의 형상에 대응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가요성 보강 커버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7. 제 6 항에 있어서,
    그 백은 그 삼각형의 양사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양레그변을 따라 그 편면 및 그 타면이 서로 용착되어 있고, 그 보강 커버는 그 백의 그 삼각형의 양사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양레그변을 따라 그 백의 그 편면 및 그 타면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에어백.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그 백의 그 삼각형상의 편사변부 또는 그 사다리꼴의 편레그변부에는 에어 주입 튜브와 함께 짧은 에어 배기 튜브가 접속되어 있는, 에어백.
  9. 제 8 항에 있어서,
    그 에어 주입 튜브 및 그 에어 배기 튜브는 합성 수지 필름제인, 에어백.
  10. 화물 컨테이너 내에 장비되고 또한 분립체가 충전된 라이너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을 조장하기 위한, 에어가 주입되어 있지 않아 평탄한 형태로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 필름제 백을 구비하는 에어백에 있어서,
    그 백의 그 삼각형의 편측변부 또는 그 사다리꼴의 편레그변부에는 에어 주입 튜브와 함께 짧은 에어 배기 튜브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11. 제 10 항에 있어서,
    그 에어 주입 튜브 및 그 에어 배기 튜브는 합성 수지 필름제인, 에어백.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라이너의 배출구가 형성된 편단벽에 그 백의 그 삼각형의 그 저변 또는 그 사다리꼴의 그 하측 저변을 정합시켜, 그 컨테이너의 편측벽 내면 및 저벽 상면과 그 컨테이너의 그 편측벽 내면 및 그 저벽 상면에 대향하는 그 라이너의 편측벽 외면 및 저벽 외면 사이에 배치 형성되는, 에어백.
KR1020227018337A 2019-12-11 2020-11-06 에어백 KR20220111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23416 2019-12-11
JP2019223416A JP7365216B2 (ja) 2019-12-11 2019-12-11 エアーバッグ
PCT/JP2020/041579 WO2021117387A1 (ja) 2019-12-11 2020-11-06 エアーバッ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265A true KR20220111265A (ko) 2022-08-09

Family

ID=7631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337A KR20220111265A (ko) 2019-12-11 2020-11-06 에어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08189A1 (ko)
JP (1) JP7365216B2 (ko)
KR (1) KR20220111265A (ko)
CN (1) CN114746347A (ko)
WO (1) WO202111738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89A (ja) 1999-11-18 2001-07-17 Caretex As コンテナ・ライナーの中味の排出を助長する変位手段を備えたコンテナ・ライナー
JP2008302968A (ja) 2007-06-11 2008-12-18 Morishita Chemical Industry Co Ltd コンテナライナー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56A (ja) * 1994-06-29 1996-01-16 Achilles Corp 車輌用エアバッグ
US20070102428A1 (en) 2005-11-07 2007-05-10 Sunun Eamcharoenying Flexible liner for packaging powdered or granular cargo for cargo container transportation
EP2308723A1 (en) * 2009-10-12 2011-04-1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nd method of producing
CN102514851A (zh) * 2011-12-30 2012-06-27 上海尚进实业有限公司 集装箱的内衬袋
DK2812493T3 (en) * 2012-02-09 2016-11-28 Flexibox Container Gmbh BULK MATERIAL CONTAINER with the connector
US8887639B2 (en) * 2012-06-21 2014-11-18 Curtis E. Graber Inflatable bag with burst control envelope and gas generator
KR102006704B1 (ko) * 2019-01-07 2019-08-02 주식회사 남강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89A (ja) 1999-11-18 2001-07-17 Caretex As コンテナ・ライナーの中味の排出を助長する変位手段を備えたコンテナ・ライナー
JP2008302968A (ja) 2007-06-11 2008-12-18 Morishita Chemical Industry Co Ltd コンテナライナー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8189A1 (en) 2023-01-12
CN114746347A (zh) 2022-07-12
JP7365216B2 (ja) 2023-10-19
WO2021117387A1 (ja) 2021-06-17
JP2021091446A (ja)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1633B2 (ja) コンテナ・ライナーの中味の排出を助長する変位手段を備えたコンテナ・ライナー
KR100556718B1 (ko) 공기완충기능을 가진 플라스틱필름 포장대
AU656622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exible containers
KR20030023882A (ko) 용기
WO2007008021A1 (en) Structure of packing material inflated with air
KR20160113162A (ko) 공기 완충 기능을 갖춘 포장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CA2202122C (en) Inflatable combination cargo packing bag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US5505557A (en) Geotextile container
KR100936160B1 (ko) 바이패스가 형성된 공기주입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1265A (ko) 에어백
WO2001025101A1 (en) Bulk container suitable for dangerous goods
GB2050298A (en) Collapsible receptacle with integral sling
EP1181224B1 (fr) Enveloppe interieure pour container
US4387749A (en) Filler sleev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bag adapted to contain a granular product
JP2005289464A (ja) 液体コンテナ用内袋
KR20170003910U (ko) 드론 이동 및 보관용 가방
KR100741380B1 (ko) 포장박스 잠금 방법 및 포장박스
KR102151927B1 (ko) 콘테이너 백
CN206265554U (zh) 双排气口粉料包装袋
JP3123542U (ja) 輸送コンテナ
JPH06191590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A1170587A (en) Collapsible receptacle with integral sling
KR950003764Y1 (ko) 화물운송 보호용 에어백
KR20100011809U (ko) 포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