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519A - 비드 유지 부재 - Google Patents

비드 유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519A
KR20220110519A KR1020227022186A KR20227022186A KR20220110519A KR 20220110519 A KR20220110519 A KR 20220110519A KR 1020227022186 A KR1020227022186 A KR 1020227022186A KR 20227022186 A KR20227022186 A KR 20227022186A KR 20220110519 A KR20220110519 A KR 2022011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retaining
holding
curve
concav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037B1 (ko
Inventor
안토니 슬로츠
에페르트 도펜베르그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44Handling tyre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and supplying to the toroidal support or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07Positioning the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7Forming devices for manufacturing the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목한 제1 오목 엣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반경의 제1 유지 곡선을 따라 제1 크기의 제1 비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유지 반경보다 큰 제2 유지 반경의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제2 크기의 제2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목 엣지를 따라 상기 본체 위에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제1 교차점 및 제2 교차점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비원형이고 상기 제1 교차점과 상기 제2 교차점 사이에서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1 측면 영역 및 제2 측면 영역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비드 유지 부재
본 발명은 비드(bead) 유지 부재,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장치 및 상기 비드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비드 처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US 5,858,165 A는 충전재를 갖는 비드를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메커니즘은: 링 본체; 링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링 본체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신장/수축 수단 및 복수의 신장/수축 수단 각각에 제공되고 충전재를 갖는 비드를 유지할 수 있는 호형 유지 본체를 포함한다. 유지 본체는 충전재를 갖는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신장/수축 수단은, 링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 단부 부분이 링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스윙 링크; 및 한 쌍의 스윙 링크의 원위 단부 부분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링크를 더 포함한다. 유지 본체는 신장/수축 수단이 구동될 때 복수의 유지 본체 모두가 링 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원 상에 위치되도록 연결 링크의 내측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모든 유지 본체가 링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소정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 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약간 이동하는 경우에도, 연결 링크를 통한 라인은 실질적으로 링 본체의 중심축과 교차한다. 따라서, 약간 다른 반경의 충전재를 갖는 비드는 그에 따라 동일한 유지 본체로 유지될 수 있다. 충전재를 갖는 유지 비드의 반경이 크게 변경된 경우, 유지 본체는 유지될 비드의 반경에 더 가까운 곡률 반경을 갖는 다른 유지 본체로 대체된다.
비드를 유지하기 위한 공지된 메커니즘의 단점은 유지 본체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유지될 비드의 반경이 약간만 다른 경우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편차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곡률 반경이 더 이상 유지하려는 비드의 곡률에 대응하지 않는다. 유지 본체의 곡률 반경이 비드를 유지하기에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때, 유지 본체는 비드의 내측 윤곽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드럼에 비드를 배치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도 7a, 7b 및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표면을 따라 비드를 부분적으로만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약간 다른 반경의 비드만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드 유지 부재,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장치 및 상기 비드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비드 처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이한 반경을 갖는 비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지 평면에 비드를 유지하는 비드 유지 부재를 제공하며,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평면에서 연장되는 오목한 제1 오목 엣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반경의 제1 유지 곡선을 따라 제1 크기의 비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유지 반경보다 큰 제2 유지 반경의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제2 크기의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목 엣지를 따라 상기 본체 위에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제1 교차점 및 해당 제1 교차점으로부터 이격된 제2 교차점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비원형이고 상기 제1 교차점과 상기 제2 교차점 사이에서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교차점에 대해 상기 중앙 영역 반대측의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제1 측면 영역 및 상기 제2 교차점에 대해 상기 중앙 영역 반대측의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제2 측면 영역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복수의 유사하거나 동일한 비드 유지 부재와 함께, 유지될 비드에 대응하는 반경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오목 엣지의 비원형성은 비드 유지 부재가 상이한 반경의 비드를 보유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비드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곡선을 따라 제1 비드 반경의 제1 비드를 유지하고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제1 비드 반경보다 큰 제2 비드 반경의 제2 비드를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제1 및 제2 비드, 그리고 제1 비드 반경과 제2 비드 반경 사이의 반경을 갖는 임의의 비드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다른 비드 유지 부재로 교체할 필요 없이 동일한 비드 유지 부재로 보유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비드 유지 부재의 본체는 각 비드의 윤곽 또는 내부 반경 내에서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드 처리 어셈블리의 타이어 성형 드럼 또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오목 엣지는 측면 영역에서 제1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그리고 중앙 영역에서 제2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 오목 엣지는 제1 비드 또는 제2 비드의 내부로 또는 제1 비드 또는 제2 비드의 내부 엣지 너머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어 성형 드럼 또는 그 위에 지지된 타이어 구성요소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심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제1 측면 영역 및/또는 상기 제2 측면 영역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심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유지 곡선은 중앙 영역 및/또는 측면 영역에서 제1 오목 엣지에 가능한 한 가깝거나 일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제1 오목 엣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제1 또는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비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1 오목 엣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지 반경은 상기 제1 유지 반경보다 적어도 5% 더 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 크다. 반경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비드 유지 부재에 유지될 수 있는 비드의 범위가 더 커진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제1 유지 곡선으로부터 3 m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을 따라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측면 영역 및/또는 상기 제2 측면 영역의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제2 유지 곡선으로부터 3 m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연장된다. 다시,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유지 곡선은 중앙 영역 및/또는 측면 영역에서 제1 오목 엣지에 가능한 한 가깝거나 일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제1 오목 엣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제1 또는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비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제1 오목 엣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중앙 영역의 대칭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측면 영역과 상기 제2 측면 영역에서 대칭이다. 대칭으로 인해, 비드는 비드 유지 부재의 폭에 걸쳐 안정적으로 및/또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제1 중간 세로좌표를 가지고, 상기 제2 유지 곡선은 제1 중간 세로좌표와 일직선인 제2 중간 세로좌표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중간 세로좌표는 상기 제1 중간 세로좌표와 부분적으로만 겹친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유지 곡선이 서로에 대해 정렬 및/또는 중심에 맞춰진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유지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2 오목 엣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제1 오목 엣지와 제2 오목 엣지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유지 평면에 수직인 반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 오목 엣지는 상이한 비드 반경을 갖는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상이한 반경의 유지 곡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지 곡선의 반경이 올바르게 선택되면, 동일한 비드 유지 부재에 유지될 수 있는 비드의 범위가 크게 증가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자석, 바람직하게는 영구 자석이다. 비드는 일반적으로 강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자석은 비드를 비드 유지 부재에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반전축을 도입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비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유지 평면에 수직인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반전축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배향으로 프레임에서 비드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반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비드 유지 부재의 배향이 장착 부재에 대해 고정된 고정 상태와 비드 유지 부재가 장착 부재에 대해 반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부분적으로 느슨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패스너를 완전히 풀지 않음으로써, 비드 유지 부재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장착 부재 및/또는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으로부터 비드 유지 부재가 우발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평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유지 평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어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비드 유지 부재가 장애물에 부딪힐 때, 예를 들어 비드 유지 부재가 타이어 성형 드럼에 대해 오정렬될 때,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프레임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 또는 장해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위 센서가 바이어싱 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에 대한 비드 유지 부재 중 하나의 과도한 동작이 검출될 수 있고,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비드 유지 장치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장착 부재에 대해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고정하고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하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패스너는 볼트이다. 따라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패스너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즉 볼트를 부분적으로 푸는 것에 의해 부분적으로 느슨해진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것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고정 상태와 상기 부분적으로 느슨해진 상태 사이에서 패스너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상기 고정 상태로 가압하는 바이어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스너는 볼트이고 및/또는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스프링이다. 작업자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의 재배향을 허용하도록 상기 바이어싱 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장착 부재에 대해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단 상기 비드 유지 부재가 정확하게 위치되면, 작업자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가 상기 고정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놓아줄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비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유지 평면에 수직인 중심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타이어 성형 드럼을 수용하는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 엣지를 가지며,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개구에 또는 상기 프레임 개구 내부에 있는 제1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의 제2 반경방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상기 비드 유지 부재의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 중 하나의 반경방향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과 동심이며, 상기 제2 유지 곡선은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반경방향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과 동심이다.
따라서, 상기 유지 곡선은 제1 비드 반경의 제1 비드, 제2 비드 반경의 제2 비드 및 제1 비드 반경과 제2 비드 반경 사이의 비드 반경을 갖는 임의의 비드를 유지하기 위한 특정 반경방향 위치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복수의 비드 유지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반경방향으로 각각의 비드 유지 부재의 이동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선형 액츄에이터는 상기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비드 유지 부재 사이에 장착된 피니언 및 랙의 세트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각각 하나의 피니언과 연관된 복수의 플레닛(planet) 기어, 및 상기 플레닛 기어를 구동시키는 링 기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레닛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의 상호 작용은 상기 비드 유지 부재의 반경방향 이동이 동기화되게 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비드 유지 장치 및 외경을 갖는 타이어 성형 드럼을 포함하는 비드 처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 및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는 모두 상기 내부 프레임 엣지 내부와 상기 외경 외부의 상기 프레임 개구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내부 엣지로부터 상기 외경까지 범위에서 비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 처리 어셈블리는 비드를 비드 유지 장치에 공급하는 비드 로더(loader)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드 로더는 상류 비드-정점(bead-apex) 제조 스테이션으로부터 비드 및/또는 비드-정점을 효과적으로 픽업하고 해당 픽업된 비드 또는 비드-정점을 상기 비드 유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은 가능한 한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 양태, 특히 첨부된 종속항에 기재된 양태 및 특징은 분할 특허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드 로더, 제1 비드 세터(bead setter) 및 제2 비드 세터를 포함하는 비드 처리 어셈블리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제1 비드 세터의 등각 투영도를 보여주며;
도 3은 제1 작동 위치에 위치되는 복수의 비드 유지 부재를 갖는 제1 비드 세터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4는 비드 유지 부재가 제2 작동 위치로 이동된, 도 3에 따른 제1 비드 유지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5는 각각 도 3의 원(V)과 도 4의 원(VI)에 따른 제1 비드 유지 장치의 상세도를 보여주며;
도 6은 제1 비드 유지 장치의 배면도를 보여주며;
도 7a-7c는 상이한 반경의 비드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드 유지 부재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며;
도 8 및 도 9a-9c는 도 5에 따른 비드 유지 부재 중 하나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양면적인(reversible) 비드 유지 부재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대안적인 비드 유지 부재의 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른 대안적인 비드 유지 부재의 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13 은 도 1의 XIII-XIII 라인에 따른 비드 로더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14는 도 1의 XIV-XIV 라인에 따른 비드 로더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반경 또는 직경의 비드 또는 비드-정점(91-93)을 처리하기 위한 비드 처리 어셈블리(1)를 도시한다.
비드 처리 어셈블리(1)는 비드(91-93)를 유지하기 위한 제1 비드 세터(setter) 또는 비드 유지 장치(10) 및 제2 비드 세터 또는 비드 유지 장치(11)를 포함한다. 비드 처리 어셈블리(1)는 비드-정점 제조 스테이션(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비드(91-93)를 수용하고 비드(91-93)를 비드 유지 장치(10, 11)에 공급하기 위한 비드 로더(loader) 또는 비드 전달 장치(12)를 더 포함한다.
비드(91-93)가 비드 유지 장치(10, 11)에 유지되면, 상기 비드 유지 장치(10, 11)는 유지된 비드(91-93)가 타이어 형성 드럼 또는 타이어 성형 드럼(15) 위에 동심으로 위치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타이어 성형 드럼(15)은 외경(D)을 가진다.
도 2-6에서, 제1 비드 유지 장치(10)가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2 비드 유지 장치(11)는 제1 비드 유지 장치(10)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이후에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2,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드 유지 장치(10)는 중심축(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 및/또는 동심으로 연장되는 환형 또는 링형 프레임(2) 및 공장 바닥에 대해 프레임(2)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베이스(21)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20)는 중심축(A)을 향하는 내부 프레임 엣지(22)를 포함한다. 내부 프레임 엣지(22)는 타이어 성형 드럼(15)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프레임 개구(23)를 형성한다.
제1 비드 유지 장치(10)는 상기 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비드 유지 부재(6)를 더 포함한다. 비드 유지 부재(6)는 중심축(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포된다. 각각의 비드 유지 부재(6)는 비드(91-93) 중 하나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표면(S)을 포함한다. 복수의 비드 유지 부재(6)의 유지 표면(S)은 모두 공통 평면, 즉 유지 평면(P)에서 연장된다. 유지 평면(P)은 중심축(A)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비드 유지 부재(6)는 중심축(A)에 수직인 반경방향(R)으로 상기 유지 평면(P)에서 프레임(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비드 유지 부재(6)는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반경방향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반경방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경방향(R)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에서, 비드 유지 부재(6)는 내부 프레임 엣지(22)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에서, 비드 유지 부재(6)는 타이어 성형 드럼(15)의 직경(D)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된다.
도 2,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유지 장치(10)는 프레임(2)에 대한 비드 유지 부재(6)의 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3)를 더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3)는 반경방향(R)으로 각각의 비드 유지 부재(6)의 이동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선형 액츄에이터(3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선형 액츄에이터는 프레임(2)과 각각 하나의 비드 유지 부재(6) 사이에 장착된 피니언(31) 및 랙(32)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어셈블리(3)는 프레임(2)의 전방에 있는 각각 하나의 피니언(31)과 각각 연관된 프레임(2)의 후방에 있는 복수의 플래닛 기어(34) 및 해당 플레닛 기어(34)를 구동시키기 위한 링 기어(35)를 더 포함한다. 링 기어(35)는 환형 프레임(2)과 연관된 지지 롤러(36)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어셈블리(3)에는 링 기어(35)의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4)가 추가로 제공된다. 따라서, 모든 플래닛 기어(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반경방향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반경방향 위치 사이에서 비드 유지 부재(6)의 이동을 작동시키도록 동기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드 유지 부재(6)는 각각 바이어싱 부재(38)를 통해 각각의 구동 어셈블리(3)에 장착된다. 상기 바이어싱 부재(38)는 유지 평면(P)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구동 어셈블리(3)로부터 멀리 비드 유지 부재(6)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비드 유지 부재(6) 중 하나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시된 비드 유지 부재(6)는 다른 유지 부재(6)를 대표한다. 비드 유지 부재(6)는 본체(60)를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요소(61)는 자석, 바람직하게는 영구 자석이다. 본체(60)는 판형 또는 실질적으로 판형인 본체이다. 본체(60)는 비드 유지 부재(6)의 유지 표면(S)을 정의한다. 본체(60)는 유지 평면(P)에서 연장되는 제1 오목 엣지(67)를 포함한다. 제1 오목 엣지(67)는 반경방향 내측, 즉 중심축(A) 측의 반경방향(R)으로 대향하고 있다.
비드 유지 부재(6)는 본체(60) 위에 분포되고 제1 오목 엣지(67)에 가능한 한 가깝게 비드(9)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오목 엣지(67)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 요소(61)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비드 유지 부재(6)는 단일 유지 요소, 즉, 상기 제1 오목 엣지(67)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피스 재료로 제조된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유지 요소(61)는 원형이다. 대안적으로, 유지 요소(61)는 비원형, 즉 직사각형 또는 제1 오목 엣지(67)에 가능한 한 가깝게 비드(91-93)를 유지하도록 최적화된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도 5를 자세히 보면, 제1 오목 엣지(67)가 비원형임을 관찰할 수 있다. 비원형성은 비드 유지 부재(6)가 다른 반경을 갖는 비드(91-93)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과장된 비원형을 갖는 비드 유지 부재(6)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제1 유지 곡선(S1) 및 제2 유지 곡선(S2)을 따라 연장되고 및/또는 이들에 의해 정의되는 중앙 영역(670)과 2개의 측면 영역(671, 672)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제1 유지 곡선(S1)과 제2 유지 곡선(S2) 사이의 반경의 차이는 매우 과장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비드 유지 부재(6)의 치수를 나타내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a-9c의 개략도는 임의의 치수 또는 비율을 유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비원형의 제1 오목 엣지(67)의 기본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지 곡선(S1)은 복수의 유지 요소(61)의 적어도 일부, 특히 중앙 영역(670)에 위치된 유지 요소(61)에 의해 정의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유지 곡선(S1)은 중앙 영역(670)에서 원형 유지 요소(61)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다시 말해, 제2 유지 곡선(S2)은 제1 유지 곡선(S1)의 반경과 유사한 반경을 갖는 비드(91-93)가 각각의 유지 요소(61)를 따라 유지될 수 있는 곡률을 나타낸다. 제1 유지 곡선(S1)은 제1 유지 반경(C1)을 가진다. 제1 유지 반경(C1)은 일정한 반경이다.
제2 유지 곡선(S2)은 복수의 유지 요소(61)의 적어도 일부, 특히 중앙 영역(670) 외부의 2개의 측면 영역(671, 672)에 위치된 유지 요소(61)에 의해 정의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유지 곡선(S2)은 측면 영역(671, 672)에서 원형 유지 요소(61)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다시 말해, 제2 유지 곡선(S2)은 제2 유지 곡선(S2)의 반경과 유사한 반경을 갖는 비드(91-93)가 각각의 유지 요소(61)를 따라 유지될 수 있는 곡률을 나타낸다. 제2 유지 곡선(S2)은 제2 유지 반경(C2)을 가진다. 제2 유지 반경(C2)은 일정한 반경이다.
비원형 유지 요소(도시되지 않음)의 경우, 제1 유지 곡선(S1) 및 제2 유지 곡선(S2)은 제1 오목 엣지(67)의 적어도 일부, 즉, 상기 제1 오목 엣지(67)가 제1 오목 엣지(67)에 동심 배치되고 및/또는 이와 접하는 부분에 더 가깝게 위치되거나 심지어 일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오목 엣지(67)가 프로파일링되고, 톱니형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유지 요소(61)의 윤곽, 즉 유지 요소(61) 사이의 컷아웃부 또는 리세스를 갖는 윤곽 - 이 경우에 제1 유지 곡선(S1) 및 제2 유지 곡선(S2)은 제1 오목 엣지(67)로부터 이격될 수 있음 - 을 밀접하게 따르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구상할 수 있다.
어쨌든, 제1 유지 곡선(S1) 및 제2 유지 곡선(S2)는 다음 요건을 충족하는 가상 곡률이다:
1) 제1 유지 곡선(S1) 및 제2 유지 곡선(S2)은 제1 교차점(X1)과 제1 교차점(X1)으로부터 이격된 제2 교차점(X2)에서 교차하며, 여기서 제1 오목 엣지(67)의 제1 중앙 영역(670)은 상기 제1 교차점(X1)과 상기 제2 교차점(X2)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측면 영역(671)은 제1 교차점(X1)을 기준으로 제1 중앙 영역(670)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제2 측면 영역(672)은 제2 교차점(X2)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670)의 반대편에 위치되며;
2) 제1 오목 엣지(67)는 제1 중앙 영역(670)에서 제2 유지 곡선(S2)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며;
3) 제1 엣지는 제1 측면 영역(671) 및 제2 측면 영역(672)에서 제1 유지 곡선(S1)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오목 엣지(67)는 제1 중앙 영역(670)에서 대칭 평면(K)에 대해 제1 측면 영역(671)과 제2 측면 영역(672)에서 대칭이다.
제1 측면 영역(671), 제1 중앙 영역(670) 및 제2 측면 영역(672)은 제1 오목 엣지(67)의 별개의 영역이며, 즉 영역(670, 671, 672) 사이의 전이부에서 제1 오목 엣지(67)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대안적으로, 2개의 인접한 영역(670, 671, 672) 사이의 전이부 또는 전이부들은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목 엣지(67)는 포물선 또는 쌍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오목 엣지(67)는 제1 중앙 영역(670)에서 제1 유지 곡선(S1)과 동심이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심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중앙 영역(670)에서, 제1 오목 엣지(67)는 상기 제1 유지 곡선(S1)으로부터 3 m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제1 유지 곡선(S1)을 따라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1 오목 엣지(67)는 상기 제1 측면 영역(671) 및/또는 상기 제2 측면 영역(672)에서 제2 유지 곡선과 동심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영역(671) 및/또는 제2 측면 영역(672)에서, 제1 오목 엣지(67)는 상기 제2 유지 곡선(S2)으로부터 3 m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제2 유지 곡선(S2)을 따라 연장된다.
도 8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0) 내에서 연장되는 제1 유지 곡선(S1)의 부분은 제1 중간 세로축(M1)을 정의한다. 본체(60) 내에서 연장되는 제2 유지 곡선(S2)의 부분은 제2 중간 세로축(M2)을 정의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중간 세로축(M1) 및 상기 제2 중간 세로축(M2)은 일직선 상에 있다. 도 8에서, 제2 중간 세로축(M2)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중간 세로축(M2)은 제1 중간 세로축(M1)과 부분적으로만 겹친다.
교차점(X1, X2)와 무관한 유지 곡선(S1, S2)의 대안적인 형성례에서, 제1 유지 곡선(S1)은 제1 중심(B1)의 원의 일부이고, 제2 유지 곡선(S2)은 제2 중심(B2)의 원의 일부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 중심(B1)은 2개 중심(B1, B2)을 통해 반경방향(R)으로 고려시 제2 중심(B2)보다 제1 오목 엣지(67)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제 유지 부재(6)에서, 제2 유지 반경(C2)은 제1 유지 반경(C1)보다 적어도 5% 더 크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유지 부재(106)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영역(1671) 및 제2 측면 영역(1672)은 대안적으로 직선 섹션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측면 영역(1671) 및 제2 측면 영역(1672)에서 제1 오목 엣지(167)는 만곡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유지 요소(161)는 실질적으로 선형 어레이로 나란히 배열된다. 그러나, 선형성에도 불구하고, 제1 측면 영역(1671) 및 제2 측면 영역(1672)의 유지 요소(161)를 통해 위에서 언급된 요건을 충족하는 제2 유지 곡선(S2)이 작성될 수 있다. 상기 대안적인 유지 부재(106)는 제1 오목 엣지(167)에 대해 본체(160)의 대향 단부에 제2 오목 엣지(168)를 더 포함한다. 제2 오목 엣지(168)는 반경이 다른 비드(91-93)를 유지할 때 훨씬 더 큰 유연성 및/또는 훨씬 더 큰 범위를 허용하도록 제1 유지 곡선(S1) 및 제2 유지 곡선(S2)과 상이한 반경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유지 곡선(미도시)을 정의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비드 유지 부재의 본체는 3면 또는 4면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전에 논의된 2개의 오목 엣지(167, 168)와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3개 이상의 오목 엣지를 가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유지 부재(106)는 2개의 배향, 즉 제1 오목 엣지(167)가 중심축(A)을 향하는 제1 배향 및 제2 엣지(168)가 중심축(A)을 향하는 제2 배향으로 장착 부재(33)에 장착 가능하게 배열된다. 특히, 비드 유지 부재(106)는 상기 2개의 배향 사이에서 유지 평면(P)에 수직인 반전축(I)을 중심으로 반전, 역전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장착 부재(33) 및/또는 비드 유지 부재(106)의 본체(160)는 이들이 상기 2개의 배향으로만 끼워지고 및/또는 맞물리도록 적절하게 형상화될 수 있다. 엣지 및/또는 측면의 수에 따라, 장착 부재(33)는 2개 이상의 배향으로 비드 유지 부재(106)를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드 유지 장치(10)는 비드 처리 장치(10)로부터 상기 유지 부재(106)를 제거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드 유지 부재(106)의 배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각각의 유지 부재(106)는 패스너(108), 특히 부분적으로 풀릴 수 있는 볼트로 장착 부재(33)에 장착되어 비드 유지 부재(106)가 고정 상태 - 장착 부재(33) 및/또는 프레임(2)에 대한 비드 유지 부재(106)의 배향이 고정된 상태 - 와 느슨한 상태 - 패스너(108)가 부분적으로 느슨해지고 및/또는 해제되는 느슨한 상태 - 사이에서 이동이 허용된다. 볼트는 비드 유지 부재(106)가 장착 부재(33)에 대해 다른 배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비드 유지 부재(106)에 대한 볼트에 의한 클램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몇 개의 권선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비드 유지 부재(206)의 본체(260)가 패스너(208)에 대해 부분적으로 느슨한 상태로 장착 부재(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비드 유지 부재(206)가 패스너(208)에 대해 본체(260)를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207) 또는 다른 적절한 바이어싱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이전에 논의된 대안적인 유지 부재(106)와는 다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대안적인 유지 부재(206)를 도시한다. 따라서, 비드 유지 부재(206)는 장착 부재(33)와의 결합으로부터 본체(26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하기 위해 스프링(207)의 편향에 대항하여 느슨한 상태로 수동으로 푸싱되고, 그 후에 비드 유지 부재(206)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대안적인 유지 부재(106, 206)가 반전축(I)을 중심으로 반전, 역전 또는 회전될 수 있는 능력은 제1 오목 엣지(167) 및 제2 오목 엣지(168)의 특성과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특히, 오목 엣지는 대안적으로 단순하고, 통상적인 단일 반경 및/또는 원형의 엣지일 수 있다.
비드 전달 장치(1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비드 전달 장치(12)는 베이스(129) 및 중심축(A)을 횡단하거나 이에 수직인 평면에서 베이스(129)에 대해 이동 가능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특히, 프레임(120)은 중심축(A)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전달 장치 회전축(G)을 중심으로 베이스(129)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전달 장치(12)는 프레임(120)의 제1 측면에 비드(91-93)를 지지하고 상기 비드(91-93)를 제1 비드 유지 장치(10)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지지 부재(122)를 포함한다. 비드 전달 장치(12)는 비드(91-93)를 지지하고 상기 비드(91-93)를 제2 비드 유지 장치(11)로 전달하기 위해 프레임(120)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복수의 제2 지지 부재(123)를 더 포함한다. 특히, 지지 부재(122, 123)는 상기 비드(91-93)의 반경방향 내측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비드(91-93)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은 프레임 축(H)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축(H)이 중심축(A)과 일직선 상에 있는 작동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제1 지지 부재(122) 및 제2 지지 부재(123)는 프레임 축(H)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지지 부재(122, 123)는 서로 다른 크기의 비드(91-93)를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 축(H)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 및/또는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다.
도 14는 비드 전달 장치(12)의 프레임(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비드 전달 장치(12)는 기어 링(127) 및 프레임 축(H)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플래닛 기어(125, 126)를 포함한다. 플래닛 기어는 상기 제1 지지 부재(122)의 반경방향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지지 부재(122)와 연관된 제1 플래닛 기어(125)와, 상기 제2 지지 부재(123)의 반경방향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지지 부재(123)와 연관된 제2 플래닛 기어(126)를 포함한다. 제1 플래닛 기어(125) 및 제2 플래닛 기어(126)는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제1 플레닛 기어(125) 및 제2 플레닛 기어(126)는 기어 링(127)과 맞물려 유성 기어 시스템을 형성한다. 제1 플레닛 기어(125)는 기어 링(127)과 맞물려 제1 유성 기어 시스템을 형성하는 반면, 제2 플래닛 기어(126)는 추가의 기어 링(미도시)과 맞물려 제2 유성 기어 시스템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122)와 제2 지지 부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기어 링(127)은 액츄에이터(124)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24)는 예를 들어 서보모터 또는 스텝 모터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122)는 상기 제1 플레닛 기어(125)가 기어 링(127)에 의해 회전될 때 제1 플레닛 기어(125)를 중심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회전 아암(121)을 통해 제1 플레닛 기어(125)에 편심 연결되어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지지 부재(123)는 제2 플레닛 기어(126)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부재(122, 123)는 도 2-5에 예시된 비드 유지 장치(10)의 구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어 랙을 통해 관련 플레닛 기어(125, 126)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기 위해 포함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논의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많은 변형이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오목한 제1 오목 엣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반경의 제1 유지 곡선을 따라 제1 크기의 제1 비드를 유지하고, 그리고 제1 유지 반경보다 큰 제2 유지 반경의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제2 크기의 제2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목 엣지를 따라 상기 본체 위에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제1 교차점 및 제2 교차점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비원형이고 제1 교차점과 제2 교차점 사이에서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중앙 영역에서 제2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1 측면 영역 및 제2 측면 영역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된다.
1 비드 처리 어셈블리
10 제1 비드 유지 장치
11 제2 비드 유지 장치
12 비드 전달 장치
15 타이어 성형 드럼
2 프레임
20 프레임 본체
21 프레임 베이스
22 프레임 내부 엣지
23 프레임 개구
3 구동 어셈블리
30 선형 액츄에이터
31 피니언
32 랙
33 장착 부재
34 플래닛 기어
35 링 기어
36 지지 롤러
4 모터
40 모터
41 환형 기어
6 유지 부재
60 부재 본체
61 유지 요소
67 제1 오목 엣지
68 제2 오목 엣지
91 제1 비드
92 제2 비드
93 제3 비드
106 대체 비드 유지 부재
160 본체
108 패스너
206 추가의 대체 비드 유지 부재
260 본체
207 바이어싱 요소
208 패스너
A 중심축
B1 제1 중심
B2 제2 중심
C1 제1 곡률 반경
C2 제2 곡률 반경
D 외경
I 반전축
K 대칭 평면
M1 제1 중간 세로좌표
M2 제2 중간 세로좌표
P 유지 평면
R 반경방향
R1 제1 비드 반경
R2 제2 비드 반경
R3 제3 비드 반경
S1 제1 유지 곡선
S2 제2 유지 곡선

Claims (26)

  1. 유지 평면에 비드를 유지하기 위한 비드 유지 부재로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평면에서 연장되는 오목한 제1 오목 엣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반경의 제1 유지 곡선을 따라 제1 크기의 제1 비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유지 반경보다 큰 제2 유지 반경의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제2 크기의 제2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목 엣지를 따라 상기 본체 위에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제1 교차점 및 이 제1 교차점으로부터 이격된 제2 교차점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비원형이고, 상기 제1 교차점과 상기 제2 교차점 사이에서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교차점에 대해 상기 중앙 영역 반대측의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제1 측면 영역 및 상기 제2 교차점에 대해 상기 중앙 영역 반대측의 상기 제1 오목 엣지의 제2 측면 영역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비드 유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심인 것인, 비드 유지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제1 측면 영역 및/또는 상기 제2 측면 영역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심인 것인, 비드 유지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 반경은 상기 제1 유지 반경보다 적어도 5% 더 큰 것인, 비드 유지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제1 유지 곡선으로부터 3 m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비드 유지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영역 및/또는 상기 제2 측면 영역의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제2 유지 곡선으로부터 3 m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유지 곡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비드 유지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엣지는 상기 중앙 영역의 대칭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측면 영역과 상기 제2 측면 영역에서 대칭인 것인, 비드 유지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제1 중간 세로좌표(ordinate)를 가지고, 상기 제2 유지 곡선은 상기 제1 중간 세로좌표와 일직선인 제2 중간 세로좌표를 가지는 것인, 비드 유지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 세로좌표는 상기 제1 중간 세로좌표와 부분적으로만 겹치는 것인, 비드 유지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유지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2 오목 엣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드 유지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오목 엣지와 제2 오목 엣지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유지 평면에 수직인 반전축(inverting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인, 비드 유지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자석인 것인, 비드 유지 부재.
  13. 제11항에 따른 비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장치로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유지 평면에 수직인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반전축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배향으로 상기 환형 프레임에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반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의 배향이 상기 장착 부재에 대해 고정된 고정 상태와, 상기 비드 유지 부재가 상기 장착 부재에 대해 상기 반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부분적으로 느슨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비드 유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평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환형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유지 평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환형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어싱 부재(bias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드 유지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장착 부재에 대해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고정하고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 유지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고정 상태와 상기 부분적으로 느슨해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패스너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비드 유지 부재를 상기 고정 상태로 가압하는 바이어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드 유지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스프링인 것인, 비드 유지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볼트인 것인, 비드 유지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비드 유지 부재
    를 포함하는, 비드 유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상기 유지 평면에 수직인 중심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환형 프레임은 타이어 성형 드럼을 수용하는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 엣지를 가지며, 상기 비드 유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개구에 또는 상기 프레임 개구 내부에 있는 제1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의 제2 반경방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유지 곡선은, 상기 비드 유지 부재의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 중 하나의 반경방향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과 동심이며, 상기 제2 유지 곡선은,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 중 다른 하나의 반경방향 위치에서 상기 중심축과 동심인 것인, 비드 유지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유지 장치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환형 프레임에 대해 상기 복수의 비드 유지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드 유지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반경방향으로 각각의 비드 유지 부재의 이동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 유지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선형 액츄에이터는 상기 환형 프레임과 해당 비드 유지 부재 사이에 장착된 피니언 및 랙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인, 비드 유지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복수의 플레닛 기어(planet gear), 및 이 플레닛 기어를 구동시키는 링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플래닛 기어는 각각 해당하는 하나의 피니언과 연관되는 것인, 비드 유지 장치.
  25.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드 유지 장치 및 외경을 갖는 타이어 성형 드럼을 포함하는 비드 처리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반경방향 위치 및 상기 제2 반경방향 위치는 모두 상기 내부 프레임 엣지 내부와 상기 외경 외부의 상기 프레임 개구 내에 위치되는 것인, 비드 처리 어셈블리.
  26. 제25항에 있어서,
    비드를 상기 비드 유지 장치에 공급하는 비드 로더(bead loader)
    를 더 포함하는, 비드 처리 어셈블리.
KR1020227022186A 2019-12-02 2020-11-09 비드 유지 부재 KR102508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4349 2019-12-02
NL2024349A NL2024349B1 (en) 2019-12-02 2019-12-02 Bead retaining member, bead retaining device and bead handling assembly
PCT/EP2020/081461 WO2021110364A1 (en) 2019-12-02 2020-11-09 Bead retain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519A true KR20220110519A (ko) 2022-08-08
KR102508037B1 KR102508037B1 (ko) 2023-03-08

Family

ID=6917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186A KR102508037B1 (ko) 2019-12-02 2020-11-09 비드 유지 부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752718B2 (ko)
EP (1) EP4069503A1 (ko)
JP (1) JP7150986B2 (ko)
KR (1) KR102508037B1 (ko)
CN (5) CN217373566U (ko)
BR (1) BR112022010346A2 (ko)
MX (1) MX2022006612A (ko)
NL (1) NL2024349B1 (ko)
TW (1) TW202126475A (ko)
WO (1) WO2021110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4349B1 (en) 2019-12-02 2021-08-31 Vmi Holland Bv Bead retaining member, bead retaining device and bead handling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883A (ja) * 1996-01-25 1997-08-05 Bridgestone Corp フィラー付きビードの保持機構
JP2003145644A (ja) * 2001-11-14 2003-05-2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ビード自動挿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48498A (ja) * 2008-04-09 2009-10-29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形装置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装置
JP2014213484A (ja) * 2013-04-23 2014-11-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円筒搬送装置、未加硫タイヤの製造装置及び未加硫タイヤの製造方法
US20170348933A1 (en) * 2016-06-03 2017-12-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ead sett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7219C2 (de) * 1979-04-27 1984-07-19 Naučno-issledovatel'skij konstruktorsko-technologičeskij institut šinnoj promyšlennosti, Omsk Einrichtung zum Setzen von Wulstringen auf die Spreizaufbautrommel in einer Anlage zum Aufbau von Luftreifen
US4689106A (en) * 1985-04-10 1987-08-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ransfer ring spacer segment
US5735995A (en) * 1996-02-13 1998-04-07 The Steelastic Company, L.L.C. Apparatus for applying an apex filler to a bead ring
JP3808603B2 (ja) * 1997-09-17 2006-08-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ビードフィラー付きビードの自動供給装置
JP4311619B2 (ja) * 2003-05-21 2009-08-1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自動供給設備
KR100594847B1 (ko) 2004-09-21 2006-06-3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비드 포머의 나비드 분리장치
US8214964B1 (en) * 2008-01-11 2012-07-10 Coleman Randy B Cleaning tool for removing undesirable marine growth from a support surface and associated method
US8499943B1 (en) * 2009-04-20 2013-08-06 Jaqueline P. Neldner Decorative magnetic tool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holding scissors
US20190070812A1 (en) 2017-09-01 2019-03-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building a tire
US20190070811A1 (en) 2017-09-01 2019-03-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drum
NL2024349B1 (en) 2019-12-02 2021-08-31 Vmi Holland Bv Bead retaining member, bead retaining device and bead hand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883A (ja) * 1996-01-25 1997-08-05 Bridgestone Corp フィラー付きビードの保持機構
JP2003145644A (ja) * 2001-11-14 2003-05-2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ビード自動挿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48498A (ja) * 2008-04-09 2009-10-29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形装置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装置
JP2014213484A (ja) * 2013-04-23 2014-11-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円筒搬送装置、未加硫タイヤの製造装置及び未加硫タイヤの製造方法
US20170348933A1 (en) * 2016-06-03 2017-12-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ead sett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037B1 (ko) 2023-03-08
WO2021110364A1 (en) 2021-06-10
MX2022006612A (es) 2022-09-27
NL2024349B1 (en) 2021-08-31
CN216941905U (zh) 2022-07-12
JP2022515586A (ja) 2022-02-21
JP7150986B2 (ja) 2022-10-11
CN112976628B (zh) 2023-06-27
EP4069503A1 (en) 2022-10-12
CN112976628A (zh) 2021-06-18
TW202126475A (zh) 2021-07-16
CN214354344U (zh) 2021-10-08
CN216832352U (zh) 2022-06-28
CN217373566U (zh) 2022-09-06
US11752718B2 (en) 2023-09-12
US20230001659A1 (en) 2023-01-05
BR112022010346A2 (pt)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70953B (zh) 移动载置装置以及工件载置装置
US8043042B2 (en) Industrial robot
KR101107351B1 (ko) 컨베이어 벨트에 지지 크레이들을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
JP4411025B2 (ja) 2アーム式搬送ロボット
KR101919263B1 (ko) 볼 베어링의 볼 배열 방법 및 볼 배열 장치, 그리고 그 볼 배열 방법으로 제조한 볼 베어링
WO2014066838A1 (en) Transmission having variable output orientation
US10269613B2 (en) Substrate conveying robo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08037B1 (ko) 비드 유지 부재
KR20130031335A (ko) 산업용 로보트, 산업용 로보트의 제어방법 및 산업용 로보트의 교시방법
KR102399871B1 (ko) 로봇 암 연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JPH10329059A (ja) 2アーム方式の搬送用ロボット装置
US4784562A (en) Apparatus for carrying work to and out of press
US8308151B2 (en) Elevator assembly for robotic positioning of a workpiece
US20040085038A1 (en) Robot arm mechanism
JPH0839463A (ja) 搬送装置
JP6865562B2 (ja) 物品移載装置
WO2009027660A2 (en) Pivot joint assembly
CN208992133U (zh) 一种用于零件插装作业的设备
JP2008036785A (ja) 組立装置、及び組立製造方法、並びに組立ライン
DE202020004206U1 (de) Flexibler adaptiver Greifer von Bauteilen und Komponenten jeder Art
ES2834464T3 (es)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y procedimiento para transferir un componente neumático
US7934592B2 (en) Conveying system which conveys an object from a first building to a second building
CN113167370A (zh) 传动机构
JP2006088254A (ja) ワーク保持装置
FR2896178A1 (fr) Procede de reagencement d'une ligne de production et ensemble de production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