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334A -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334A
KR20220110334A KR1020227025818A KR20227025818A KR20220110334A KR 20220110334 A KR20220110334 A KR 20220110334A KR 1020227025818 A KR1020227025818 A KR 1020227025818A KR 20227025818 A KR20227025818 A KR 20227025818A KR 20220110334 A KR20220110334 A KR 2022011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exhaust passage
hole
abutmen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409B1 (ko
Inventor
진저우 리
샤오충 쩡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419905.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116134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2502114.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1911292U/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11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조리 기구는 뚜껑(1), 기구 본체 및 내부 캡(3)을 포함하고, 뚜껑(1)은 기구 본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구 본체 상에 배열되고, 기구 본체는 가열 구조체를 포함하고, 뚜껑(1)은 뚜껑 본체(4); 뚜껑 본체(4) 아래에 배열된 베이킹 조립체(5)로서, 조리 기구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 통로(6)가 뚜껑 본체(4)에 제공되고, 내부 캡(3)은 뚜껑 본체(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킹 조립체(5) 아래에 위치되고, 배기 통로(6)의 측벽에는 배기 구멍이 제공되는, 베이킹 조립체(5); 및 배기 통로(6)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 차단 부재(27)로서, 차단 부재(27)는 내부 캡(3)이 탈착될 때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하고, 차단 부재(27)는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상부 또는 저부에 위치될 때 배기 구멍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27)를 포함한다. 조리 기구는 종래 기술의 조리 기구의 뚜껑(1) 내부의 전기 부품이 습기에 취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구
본 발명은 가정용 전기 기구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압력 베이킹 쿠커(baking cooker)는 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공유 배기 통로(shared venting passage)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이한 요리 모드에 대해, 배기 통로에 대한 요구는 상이하다.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할 때, 외부 공기는 베이킹 조립체의 내부에 진입할 필요가 있는 반면, 정규 조리 모드(regular cooking mode)의 경우, 필요할 때 내부 공기가 배출(배기)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규 조리 모드 동안 배기되는 공기는 많은 양의 수분을 가지며, 베이킹 조립체로 진입하는 습한 공기는 베이킹 조립체 내부의 전기 부품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기 매우 쉽다. 하나의 배기 통로를 공유함으로써 쉽게 증기가 미사용 관통 구멍에 진입하게 하고 뚜껑 내의 전기 부품을 습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 조리 기구의 뚜껑 내부의 전기 부품은 쉽게 습하게 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종래 기술의 조리 기구의 뚜껑 내부의 전기 부품이 습기에 취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뚜껑, 기구 본체 및 내부 캡을 포함하는 조리 기구를 제공하며, 뚜껑은 기구 본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구 본체 상에 배열되고, 기구 본체는 가열 구조체를 포함하며, 뚜껑은 뚜껑 본체; 뚜껑 본체 아래에 배열된 베이킹 조립체로서, 조리 기구의 내부를 외부에 연통시키는 배기 통로가 뚜껑 본체에 제공되고, 내부 캡은 뚜껑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킹 조립체 아래에 위치되며, 배기 통로의 측벽에는 배기 구멍이 제공되는, 베이킹 조립체, 배기 통로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 차단 부재로서, 차단 부재는 내부 캡이 탈착될 때 배기 통로의 저부로 하향 활주하고, 차단 부재는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의 상부 또는 저부에 위치될 때 배기 구멍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조리 기구 상에 베이킹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조리 기구는 베이킹 모드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내부 캡을 제공함으로써, 조리 기구는 정규 조리를 수행할 수 있어, 조리 기구의 다용도를 향상시키고, 2가지 목적을 위해 하나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조리 기구의 다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킹 조립체 및 내부 캡은 모두 배기 통로를 통해 배기된다. 배기 통로의 측벽에 배기 구멍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하고 상이한 조리 모드 하에서의 조리 기구의 배기 요구가 충족될 수 있다. 차단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미사용 배기 구멍이 차단될 수 있고, 따라서 뚜껑 내로의 공기 흡입을 감소시키고, 뚜껑 내의 전기 부품이 습기에 취약한 문제를 방지하고, 뚜껑 내부의 전기 부품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뚜껑의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그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내부 캡에는, 내부 캡이 장착될 때 차단 부재에 맞접하고 차단 부재를 상승시키는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내부 캡은 내부 캡이 장착될 때 배기 통로 내로 연장되고 차단 부재를 상승시키는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를 갖는다. 내부 캡이 뚜껑 아래에 장착된 후,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는 배기를 수행하기 위해 배기 통로 내로 연장된다.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는 차단 부재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조리 기구는 정규 조리를 수행한다. 내부 캡이 탈착된 후에, 차단 부재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배기 통로의 저부로 다시 낙하되고, 그에 따라 조리 기구는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를 수행한다.
또한,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는 밸브 본체 및 밸브 본체보다 높고 밸브 본체의 외주 둘레에서 이격 방식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 풋을 더 포함한다. 지지 풋은 차단 부재의 저부에 맞접하여 이를 민다. 내부 캡이 탈착된 후에, 차단 부재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배기 통로의 저부로 다시 낙하하여, 제2 관통 구멍을 차단함으로써, 고온 공기가 푸시 바아를 위한 밀봉 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제1 관통 구멍을 개방 상태로 남겨두어, 베이킹 조립체 내부에서 공기 순환을 형성한다.
또한, 배기 구멍은 배기 통로의 상위 부분에 위치되고 베이킹 조립체와 연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차단 부재는 배기 통로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제1 관통 구멍을 피하고, 배기 통로의 상부로 상승할 때 제1 관통 구멍을 차단한다.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조리 기구는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를 수행하고, 차단 부재는 제1 관통 구멍을 개방 상태로 남겨둠으로써, 베이킹 조립체가 배기 통로와 연통하여, 베이킹 조립체가 작동할 때 베이킹 조립체 내부에 공기 순환을 형성한다.
또한, 배기 구멍은 배기 통로의 하위 부분에 위치된 제2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차단 부재는 배기 통로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제2 관통 구멍을 차단하고, 배기 통로의 상부로 상승할 때 제2 관통 구멍을 피한다.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조리 기구는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를 수행하고, 차단 부재는 제2 관통 구멍을 차단하며, 이는 베이킹 모드에서의 조리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이 제2 관통 구멍 내부의 구조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은 제2 관통 구멍 외부로 연장할 수 있는 푸시 바아를 포함한다. 조리 기구가 정규 조리 과정 동안 배기를 필요로 할 때, 푸시 바아는 제2 관통 구멍 외부로 연장되어,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를 밀어 상승시킴으로써,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가 배기를 달성한다.
또한, 배기 통로의 측벽에는 배기 통로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맞접 구조체가 추가로 제공된다.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의 저부 또는 상부 단부에 있을 때, 차단 부재의 상부 또는 저부는 위치 제한 방식으로 맞접 구조체와 각각 협력한다. 맞접 구조체는 차단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여,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단 부재의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맞접 구조체는 링 형상이며, 배기 통로의 원주 둘레에 배열된다. 차단 부재의 상부는 맞접 구조체와 협력하는 제1 맞접 플랜지를 갖는다. 차단 부재의 저부는 맞접 구조체와 협력하는 제2 맞접 플랜지를 갖는다.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의 저부에 위치될 때, 제1 맞접 플랜지는 차단 부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맞접 구조체의 상부 표면과 협력한다.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의 상부에 위치될 때, 제2 맞접 플랜지는 맞접 구조체의 저부 표면과 협력하여,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가 배기 통로 외부로 차단 부재를 미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단 부재는 제2 맞접 플랜지 상에 배열되고; 및/또는 제1 맞접 플랜지 상에 배열되는 밀봉 링을 더 포함한다. 밀봉 링을 제공함으로써, 배기 통로와 차단 부재 사이의 갭이 밀봉될 수 있어서, 배기 통로와 차단 부재 사이의 공기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차단 부재가 제1 관통 구멍 또는 제2 관통 구멍을 신뢰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차단 부재는: 상부가 외향 연장되는 제1 맞접 플랜지를 갖는 상부 컵; 상부 컵 아래에 장착되고 저부가 외향 연장되는 제2 맞접 플랜지를 갖는 저부 컵을 포함한다. 차단 부재에 분리된 부분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기 통로 내의 차단 부재의 장착이 용이해지고, 조립의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부 컵의 저부는 상부 컵의 내벽 둘레에서 이격되고 내향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부재를 갖고, 저부 컵의 상부는 제1 연결 부재와 협력하는 제2 연결 부재를 갖고, 차단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체결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상부 컵과 저부 컵은 서로 탈착 가능하여, 배기 통로와 차단 부재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차단 부재는, 차단 부재 내부에 배열되고 배기 구멍 위에 위치된 메시 구조체를 갖는다. 메시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공기의 유량이 감소될 수 있어, 급속하게 탈출하는 공기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은 것을 방지하고, 조리 기구의 이용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메시 구조체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이물질이 조리 기구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뚜껑 본체는 배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동축으로 배열되는 연결 실린더 및 맞접 실린더를 포함한다. 연결 실린더는 맞접 실린더 위에 위치되고, 연결 실린더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맞접 실린더는 제2 관통 구멍을 갖는다. 연결 실린더를 제공함으로써, 제1 관통 구멍을 실현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동시에 연결 실린더는 고온에 저항성이 있고 신뢰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맞접 실린더의 내벽은 맞접 실린더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맞접 구조체를 갖는다. 맞접 실린더의 실린더 벽은 맞접 실린더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맞접 섹션을 가지며, 또한 맞접 섹션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맞접 구조체를 가지며, 연결 실린더는 맞접 섹션에 맞접하고 맞접 구조체 외부에 위치된다. 맞접 실린더는 내부 라이너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또한, 차단 부재는 차단 부재와 배기 통로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배기 통로의 내벽에 맞접하는 밀봉 링을 더 포함한다. 밀봉 링은 차단 부재의 외벽에 슬리브 연결되고, 배기 통로의 내벽에 맞접하여, 차단 부재와 배기 통로 사이의 갭을 밀봉함으로써, 배기 구멍이 작동할 필요가 없을 때 공기가 배기 구멍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단 부재는 제2 맞접 플랜지를 포함하고, 베이킹 조립체는 뚜껑 본체 아래에 배열되고 배기 통로와 연통하는 통과 구멍을 갖는 반사 쉘을 더 포함한다. 통과 구멍의 영역은 배기 통로의 개방 영역보다 작다. 차단 부재는 배기 통로 내에 배열되고, 제2 맞접 플랜지의 저부 표면은 반사 쉘에 맞접하여 밀봉될 수 있다.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의 저부에 있을 때, 제2 맞접 플랜지는 반사 쉘과 접촉하고 밀봉되어, 공기가 제2 관통 구멍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 부재의 상부에서, 제1 맞접 플랜지가 맞접 구조체와 접촉하고 밀봉되어, 제2 관통 구멍이 제1 맞접 플랜지와 제2 맞접 플랜지 사이에서 차단된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 아래에 위치될 때) 본 발명의 선택적 실시예의 조리 기구의 뚜껑을 소정 각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차단 부재가 배기 통로 위에 위치될 때) 도 1의 뚜껑을 다른 각도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뚜껑을 소정 각도로부터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내부 캡이 조립된 후의 도 1의 뚜껑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와 푸시 바아 사이의 위치 관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차단 부재와 푸시 바아 사이의 위치 관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내부 캡의 개략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위치(N)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뚜껑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뚜껑 본체의 전체적인 개략적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의 차단 부재의 개략적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3의 위치(M)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4의 위치(P)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전술된 도면은 다음의 참조 부호를 포함한다:
1. 뚜껑; 3. 내부 캡; 4. 뚜껑 본체; 5. 베이킹 조립체; 6. 배기 통로; 8. 제1 관통 구멍; 9. 흡입 전도 구조; 11. 푸시 바아(pushing bar); 12. 제2 관통 구멍; 13.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 17. 반사 쉘; 27. 차단 부재; 28. 맞접 구조체; 29. 제1 맞접 플랜지; 30. 제2 맞접 플랜지; 31. 상부 컵; 32. 저부 컵; 33. 밀봉 링; 34. 제1 연결 부재; 35. 제2 연결 부재; 36. 메시 구조체; 37. 밸브 본체; 38. 지지 풋(supporting foot); 39. 연결 실린더; 40. 맞접 실린더; 41. 면 덮개(face cover); 42. 장착 오리피스; 43. 내부 라이너; 120. 맞접 섹션; 134. 제1 슬립 구조체; 135. 제2 슬립 구조체; 136. 구동 리브; 137. 노치; 138. 덮개 플레이트(covering plate); 139. 안내 경사 표면; 140. 통과 구멍; 141. 밀봉 실리콘.
충돌이 없다면, 본 출원의 실시예 및 그 특징부는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그리고 실시예와 관련하여 후술될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 의해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위", "하위", "상부" 및 "저부"와 같은 사용된 방향 용어는 일반적으로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지칭하거나, 부분 자체의 수직 또는 직교 방향 또는 중력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이해 및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는 각각의 부분 자체의 윤곽의 내부 및 외부를 지칭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조리 기구의 뚜껑 내부의 전기 부품이 습기에 취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기구는 뚜껑(1), 기구 본체 및 내부 캡(3)을 포함한다. 뚜껑(1)은 개방 및 폐쇄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본체를 덮도록 본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는 가열 구조를 포함한다. 뚜껑(1)은 뚜껑 본체(4), 베이킹 조립체(5) 및 차단 부재(27)를 포함한다. 베이킹 조립체(5)는 뚜껑 본체(4) 아래에 배열되고, 뚜껑 본체(4)에는 조리 기구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 통로(6)가 제공된다. 내부 캡(3)은 뚜껑 본체(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킹 조립체(5) 아래에 위치되고, 배기 통로(6)의 측벽은 배기 구멍을 갖는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다. 내부 캡(3)이 탈착된 후에, 차단 부재(27)는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하고,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상부 또는 저부에 위치될 때, 이는 배기 구멍을 차단한다.
조리 기구 상에 베이킹 조립체(5)를 제공함으로써, 조리 기구는 베이킹에 의해 조리를 수행할 수 있고, 내부 캡(3)을 제공함으로써, 조리 기구는 정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리 기구의 다용도를 개선하여, 2가지 목적에 대해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리 기구의 다용도를 크게 향상한다. 베이킹 조립체(5) 및 내부 캡(3) 양자 모두는 배기 통로(6)를 통해 배기된다. 배기 통로(6)의 측벽에 배기 구멍이 제공됨으로써, 다양하고 상이한 조리 모드 하에서의 조리 기구의 배기 요구가 충족될 수 있다. 차단 부재(27)를 제공함으로써, 배기 구멍은 필요하지 않을 때 차단될 수 있고, 따라서 뚜껑 내로의 공기 흡입을 감소시키고, 뚜껑(1) 내의 전기 부품 내의 습기의 문제를 방지하고, 뚜껑(1) 내의 전기 부품에 대한 효과를 감소시키고, 뚜껑(1)의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그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구체적으로, 배기 구멍은 배기 통로(6)의 상위 부분에 위치되고 베이킹 조립체(5)와 연통하는 제1 관통 구멍(8)을 포함한다. 차단 부재(27)는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제1 관통 구멍(8)을 개방 상태로 남겨두고, 배기 통로(6)의 상부로 상승할 때 제1 관통 구멍(8)을 차단한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조리 기구는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를 수행하고, 차단 부재(27)는 제1 관통 구멍(8)을 개방 상태로 남겨둠으로써, 베이킹 조립체(5)가 배기 통로(6)와 연통하여, 베이킹 조립체(5)가 작동할 때 베이킹 조립체(5) 내부에 공기 순환을 형성한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상부로 상승할 때, 조리 기구는 정규 조리를 수행하고, 차단 부재(27)는 제1 관통 구멍(8)을 차단하여, 정규 조리에 의해 생성된 고온 및 습한 가스가 베이킹 조립체(5)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킹 조립체(5)의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구멍은 배기 통로(6)의 하위 부분에 위치된 제2 관통 구멍(12)을 포함한다. 차단 부재(27)는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제2 관통 구멍(12)을 차단하고, 배기 통로(6)의 상부로 상승할 때 제2 관통 구멍(12) 개방 상태로 남겨둔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조리 기구는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를 수행하고, 차단 부재(27)는 제2 관통 구멍(12)을 차단하며, 이는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하는 동안 생성되는 고온이 제2 관통 구멍(12) 내부의 구조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상부로 상승할 때, 조리 기구는 정규 조리를 수행하고, 차단 부재(27)는 제2 관통 구멍을 개방 상태로 남겨두어, 제2 관통 구멍(12) 내의 구조적 요소가 작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캡(3)은 일단 내부 캡(3)이 장착되면 배기 통로(6) 내로 연장하여 차단 부재(27)를 상승시키는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를 갖는다. 내부 캡(3)이 뚜껑(1) 아래에 장착된 후에,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는 배기 통로(6) 내로 연장되어, 배기를 수행한다.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는 차단 부재(27)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조리 기구는 정규 조리를 수행한다. 내부 캡(3)이 탈착된 후에, 차단 부재(27)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배기 통로(6)의 저부로 다시 낙하하고, 그에 따라 조리 기구는 베이킹 모드로 조리를 수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은 제2 관통 구멍(12) 외부로 연장할 수 있는 푸시 바아(11)를 포함한다. 조리 기구가 정규 조리 과정 동안 배기를 필요로 할 때, 푸시 바아(11)는 제2 관통 구멍(12) 외부로 연장되어,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를 밀어 상승시킴으로써,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가 배기를 달성한다. 뚜껑(1)은 푸시 바아(11)와 제2 관통 구멍(12) 사이의 갭을 밀봉하도록, 푸시 바아(11)에 슬리브 연결되고 제2 관통 구멍(12)에 맞접하는, 푸시 바아를 위한 밀봉 링을 더 포함하여, 조리 기구가 정규 조리를 수행할 때 고온 및 습한 가스가 뚜껑 본체(4)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 본체(4) 내의 전기 부품에 대한 고온 및 습한 가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뚜껑 본체(4)의 이용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베이킹 모드에서 조리하는 동안, 베이킹 온도는 매우 높고, 푸시 바아를 위한 밀봉 링은 장기간 베이킹 온도의 환경에서 노화되기 매우 쉬운데, 이는 푸시 바아(11)와 제2 관통 구멍(12) 사이의 공기 누설을 야기하며, 이는 큰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갖는다. 차단 부재(27)는 제2 관통 구멍(12)을 차단하여, 푸시 바를 위한 밀봉 링을 격리시킴으로써, 푸시 바를 위한 밀봉 링에 대한 베이킹 온도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푸시 바를 위한 밀봉 링의 기능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푸시 바를 위한 밀봉 링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캡(3)이 장착된 후,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는 차단 부재(27)를 상승시켜서 제2 관통 구멍(12)을 개방 상태로 남겨두고, 그에 따라 푸시 바아(11)는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와 협력할 수 있고, 동시에 차단 부재(27)는 제1 관통 구멍(8)을 차단한다. 내부 캡(3)이 탈착된 후에, 차단 부재(27)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배기 통로(6)의 저부로 다시 낙하하여, 제2 관통 구멍(12)을 차단함으로써, 고온 공기가 푸시 바아를 위한 밀봉 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제1 관통 구멍(8)을 개방 상태로 남겨두어, 베이킹 조립체(5) 내부에서 공기 순환을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는 밸브 본체(37) 및 밸브 본체(37)보다 높은 복수의 지지 풋(38)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지지 풋(38)은 밸브 본체(37)의 외주 둘레에서 이격된다. 지지 풋(38)은 차단 부재(27)의 저부와 맞접한다. 밸브 본체(37)는 배기를 위해 사용되고, 푸시 바아(11)는 밸브 본체(37)를 밀어서 상승시킨다. 지지 풋(38)이 밸브 본체(37)보다 높게 구성되는 이유는, 푸시 바아(11)가 밸브 본체(37)를 밀어서 상승시키도록, 차단 부재(27)가 밸브 본체(37)에 대해 직접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통로(6)의 측벽은 배기 통로(6)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 맞접 구조체(28)를 더 구비한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의 저부 또는 상부에 있을 때, 차단 부재(27)의 상부 단부 또는 저부 단부는 위치 제한 방식으로 맞접 구조체(28)와 각각 협력한다. 맞접 구조체(28)는 차단 부재(27)의 이동을 제한하여,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단 부재(27)의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접 구조체(28)는 링 형상이고 배기 통로(6)의 원주 주위에 배열된다. 차단 부재(27)의 상부는 맞접 구조체(28)와 협력하는 제1 맞접 플랜지(29)를 갖는다. 차단 부재(27)의 저부는 맞접 구조체(28)와 협력하는 제2 맞접 플랜지(30)를 갖는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저부에 위치될 때, 제1 맞접 플랜지(29)는 차단 부재(27)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맞접 구조체(28)의 상부 면과 협력한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상부에 위치될 때에, 제2 맞접 플랜지(30)는 맞접 구조체(28)의 저부 면과 협력하여,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가 배기 통로(6) 외부로 차단 부재(27)를 미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도 4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27)는 제2 맞접 플랜지(30) 상에 배열되고; 및/또는 제1 맞접 플랜지(29) 상에 배열되는 밀봉 링(33)을 더 포함한다. 밀봉 링(33)을 제공함으로써, 배기 통로(6)와 차단 부재(27) 사이의 갭이 밀봉될 수 있어, 배기 통로(6)와 차단 부재(27) 사이의 공기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차단 부재(27)가 제1 관통 구멍(8) 또는 제2 관통 구멍(12)을 신뢰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27)는 상부 컵(31) 및 저부 컵(32)을 포함한다. 상부 컵(31)의 상부에는 외향 연장되는 제1 맞접 플랜지(29)가 제공된다. 저부 컵은 상부 컵(31) 아래에 장착되고, 저부 컵(32)의 저부에는 외향 연장되는 제2 맞접 플랜지(30)가 제공된다. 차단 부재(27)를 분리된 부분의 구조로 구성하는 것은 차단 부재(27)를 배기 통로(6)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조립의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컵(31)의 저부는 상부 컵(31)의 내벽 둘레에서 이격 방식으로 배열되고 내향 연장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부재(34)를 갖고, 저부 컵(32)의 상부는 제1 연결 부재(34)와 협력하는 제2 연결 부재(35)를 갖고, 차단 부재(27)는 제1 연결 부재(34)와 제2 연결 부재(35)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체결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상부 컵(31) 및 저부 컵(32)은 서로 탈착 가능하여, 배기 통로(6)와 차단 부재(27)의 조립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차단 부재(27)를 배기 통로(6)에 조립할 때, 상부 컵(31)이 먼저 배기 통로(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맞접 플랜지(29) 및 맞접 구조체(28)는 맞접 방식으로 서로 협력한다. 이어서, 저부 컵(32)이 배기 통로(6) 내로 삽입된다. 제1 연결 부재(34)와 제2 연결 부재(35)가 정렬된 후에, 체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34)와 제2 연결 부재(35)를 함께 연결하여, 차단 부재(27)의 조립을 달성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27)는 차단 부재(27) 내부에 제공되고 배기 구멍 위에 위치된 메시 구조체(36)를 갖는다. 메시 구조체(36)를 제공함으로써, 공기의 유량이 감소될 수 있어, 급속하게 탈출하는 공기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 기구의 이용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메시 구조체(36)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이물질이 조리 기구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구조체(36)는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를 피하기 위해 제1 연결 부재(34) 위에 위치되어,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와 메시 구조체(36)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본체(4)는 배기 통로(6)를 형성하도록 동축으로 배열되는 연결 실린더(39) 및 맞접 실린더(40)를 포함한다. 연결 실린더(39)는 맞접 실린더(40) 위에 위치되고, 연결 실린더(39)는 제1 관통 구멍(8)을 갖고, 맞접 실린더(40)는 제2 관통 구멍(12)을 갖는다. 연결 실린더(39)를 제공함으로써, 제1 관통 구멍(8)을 실현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동시에 연결 실린더(39)는 고온에 저항성이 있고 신뢰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본체(4)는 연결 실린더(39)가 내부에 장착되는 장착 오리피스(42)를 갖는 면 덮개(41)를 포함한다. 연결 실린더(39)를 제공함으로써, 제1 관통 구멍(8)을 실현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동시에 연결 실린더(39) 및 면 덮개(41)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연결 실린더(39)는 연결 실린더(39)의 기능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온에 대한 양호한 저항성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접 실린더(40)의 내벽에는 맞접 실린더(4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맞접 구조체(28)가 제공된다. 맞접 실린더(40)의 실린더 벽에는 맞접 실린더(4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맞접 섹션(120)이 제공되고, 또한 맞접 섹션(120)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맞접 구조체(28)가 제공된다. 연결 실린더(39)는 맞접 섹션(120)에 맞접하고, 맞접 구조체(28) 외부에 위치된다. 맞접 실린더(40)는 내부 라이너(43)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27)는 차단 부재(27)와 맞접 실린더(40)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맞접 실린더(40)의 내벽에 맞접하는 밀봉 링(33)을 더 포함한다. 밀봉 링(33)은 차단 부재(27)의 외벽에 슬리브 연결되고, 맞접 실린더(40)의 내벽에 맞접하여, 차단 부재(27)와 맞접 실린더(40) 사이의 갭을 밀봉함으로써, 공기가 작동할 필요가 없는 배기 구멍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27)는 제2 맞접 플랜지(30)를 포함하고, 베이킹 조립체(5)는 뚜껑 본체(4) 아래에 배열된 반사 쉘(17)을 더 포함한다. 반사 쉘(17)은 배기 통로(6)와 연통하는 통과 구멍(140)을 갖는다. 통과 구멍(140)의 영역은 배기 통로(6)의 개방 영역 보다 작다. 차단 부재(27)는 배기 통로(6) 내부에 배열되고, 제2 맞접 플랜지(30)의 저부 면은 반사 쉘(17)에 맞접하여 밀봉될 수 있다.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저부에 있을 때, 제2 맞접 플랜지(30)는 반사 쉘(17)과 접촉하고 밀봉되어, 공기가 제2 관통 구멍(12)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에, 차단 부재(27)의 상부에서, 제1 맞접 플랜지(29)는 맞접 구조체(28)와 접촉하고 밀봉되어, 제2 관통 구멍(12)은 제1 맞접 플랜지(29)와 제2 맞접 플랜지(30) 사이의 영역에서 차단된다. 통과 구멍(140)은 원형 형상이어서, 불규칙한 배기 공동을 덮고, 동시에 차단 부재(27)가 반사 쉘(17)에 맞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차단 부재(27)가 제1 관통 구멍(8) 또는 제2 관통 구멍(12)을 차단하는 다수의 방식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로서 제1 관통 구멍(8)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27)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1 상황에서, 차단 부재(27)는 밀봉 구조체에 의해 제1 관통 구멍(8)에서 차단되어, 제1 관통 구멍(8)을 밀봉한다.
제2 상황에서, 차단 부재(27)의 외벽이 제1 관통 구멍(8)과 직접 접촉하여, 제1 관통 구멍(8)을 밀봉한다.
제3 상황에서, 차단 부재(27)는 제1 관통 구멍(8)으로부터 이격되고, 밀봉 링(33)은 제2 맞접 플랜지(30)와 맞접 구조체(28) 사이에서 스냅-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리고, 제1 관통 구멍(8)은 외부와 연통한다. 기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제1 관통 구멍(8) 내로 유동하지 않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제4 상황에서, 차단 부재(27)는 제1 관통 구멍(8)으로부터 이격되고, 차단 부재(27)의 상부는 제1 맞접 플랜지(29)에 의해 면 덮개(41)와 접촉-밀봉되고, 밀봉 링(33)은 제2 맞접 플랜지(30)와 맞접 구조체(28) 사이에서 스냅-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린다. 제1 맞접 플랜지(29)와 제2 맞접 플랜지(30) 사이에서 제1 관통 구멍(8)을 제한하기에 충분하다.
제2 관통 구멍(12)이 제1 관통 구멍(8) 아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3 상황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27)의 외부 원주 표면은 제1 슬립 구조체(134)를 갖고, 배기 통로(6)의 내벽은 제1 슬립 구조체(134)와 협력하는 제2 슬립 구조체(135)를 갖는다. 제1 슬립 구조체(134)는 부조부(embossment)이고, 제2 슬립 구조체(135)는 슬롯이다. 또는, 제1 슬립 구조체(134)는 슬롯이고, 제2 슬립 구조체(135)는 부조부이다. 제1 슬립 구조체(134)와 제2 슬립 구조체(135) 사이의 협력에 의해, 차단 부재(27)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차단 부재(27)의 기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제1 슬립 구조체(134)는 차단 부재(27)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이격된 방식으로 차단 부재(27)의 원주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제1 슬립 구조체(134)가 존재한다.
제1 슬립 구조체(134)는 상부 컵(31) 상에만 제공될 수 있거나, 제1 슬립 구조체(134)는 저부 컵(32) 상에만 제공될 수 있거나, 제1 슬립 구조체(134)는 상부 컵(31) 및 저부 컵(32) 양자 모두에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구동 리브(136)를 갖고, 반사 쉘(17)은 구동 리브(136)가 통과하는 노치(137)를 갖고, 푸시 바아(11)는 구동 리브(136)를 밀어서, 배기를 위해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를 상승시킨다. 차단 부재(27)의 저부는 푸시 바아(11)가 위치되는 영역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노치(137)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플레이트(138)를 갖는다. 노치(137)는 통과 구멍(140)과 연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리브(136)의 상부는 구동 리브(136)가 노치(137) 내로 연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내 경사 표면(139)을 가지며, 그에 의해 내부 캡(3)이 뚜껑(1)에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은, 공기가 배기 통로(6)를 통해서 뚜껑 본체(4)와 반사 쉘(17) 사이의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 본체(4)와 반사 쉘(17) 사이에 제공되고 배기 통로(6)에 위치되는 밀봉 실리콘(141)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차단 부재(27)에 대해 미는 구조가 상이하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 캡(3)에는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내부 캡(3)이 장착된 후, 지지 부재는 차단 부재(27)에 맞접하고, 차단 부재(27)를 상승시킨다. 내부 캡(3)이 뚜껑(1)에 장착된 후, 지지 부재는 배기 통로(6) 내로 연장되고 차단 부재(27)를 상승시킨다. 이는 실시예 1의 기능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가 차단 부재(27)를 미는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는 밸브 본체(37) 및 밸브 본체(37)보다 높고 밸브 본체(37)의 외주 둘레에서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 풋(38)을 더 포함한다. 지지 풋(38)은 제2 연결 부재(35)에 맞접하여 제2 연결 부재를 민다. 지지 풋(38)은 제2 연결 부재(35)를 밀어서, 지지 풋(38)이 차단 부재(27)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단 부재(27)는 안정적으로 상승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풋(38)의 상부 면과 밸브 본체(37)의 상부 표면 사이의 거리는 제2 연결 부재(35)와 저부 컵(32)의 저부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이 구성에서, 밸브 본체(37)는 특정 이동 공간을 가지며, 그에 따라 푸시 바아(11)가 배기를 위해 밸브 본체(37)를 상승시킬 수 있다. 명백하게,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단지 일부이다. 창의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구현의 특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달리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단수 형태는 또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포함하다" 및/또는 "구비하다"와 같은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이는 특징부, 단계, 기능, 부품, 조립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유사한 대상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특정 순서 또는 시퀀스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정보는 적절한 상황에서 교환 가능할 수 있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예시되거나 설명되는 것과 다른 순서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의 대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등가의 대체,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Claims (17)

  1. 조리 기구에 있어서,
    뚜껑(1), 기구 본체 및 내부 캡(3)을 포함하고, 뚜껑(1)은 기구 본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구 본체 상에 배열되고, 기구 본체는 가열 구조체를 포함하고, 뚜껑(1)은:
    뚜껑 본체(4);
    뚜껑 본체(4) 아래에 배열된 베이킹 조립체(5)로서, 조리 기구의 내부를 외부에 연통시키는 배기 통로(6)가 뚜껑 본체(4)에 제공되고, 내부 캡(3)은 뚜껑 본체(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킹 조립체(5) 아래에 위치되며, 배기 통로(6)의 측벽에는 배기 구멍이 제공되는, 베이킹 조립체;
    배기 통로(6)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 차단 부재(27)로서, 차단 부재(27)는 내부 캡(3)이 탈착될 때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하고, 차단 부재(27)는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상부 또는 저부에 위치될 때 배기 구멍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캡(3)에는 내부 캡(3)이 장착될 때 차단 부재(27)에 맞접하고 차단 부재(27)를 상승시키는 지지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캡(3)은 내부 캡(3)이 장착될 때 배기 통로(6) 내로 연장되고 차단 부재(27)를 상승시키는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압력 제한 밸브 조립체(13)는 밸브 본체(37) 및 밸브 본체(37)보다 높고 밸브 본체(37)의 외주 둘레에서 이격된 방식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 풋(38)을 더 포함하고, 지지 풋(38)은 차단 부재(27)의 저부에 맞접하고 이를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배기 구멍은 배기 통로(6)의 상위 부분에 위치되고 베이킹 조립체와 연통하는 제1 관통 구멍(8)을 포함하고,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차단 부재(27)는 제1 관통 구멍(8)을 피하고;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6)의 상부로 상승할 때 차단 부재(27)는 제1 관통 구멍(8)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배기 구멍은 배기 통로(6)의 하위 부분에 위치되는 제2 관통 구멍(12)을 포함하고,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의 저부로 하향 활주할 때 차단 부재(27)는 제2 관통 구멍(12)을 차단하고;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의 상부로 상승할 때 차단 부재(27)는 제2 관통 구멍(12)을 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뚜껑(1)은 제2 관통 구멍(12) 외부로 연장할 수 있는 푸시 바아(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배기 통로(6)의 측벽에는 배기 통로(6)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 맞접 구조체(28)가 더 제공되고, 차단 부재(27)가 배기 통로의 저부 또는 상부에 있을 때, 차단 부재(27)의 상부 또는 저부는 위치 제한 방식으로 맞접 구조체(28)와 각각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맞접 구조체(28)는 링 형상이고 배기 통로(6)의 원주 둘레에 배열되고, 차단 부재(27)의 상부는 맞접 구조체(28)와 협력하는 제1 맞접 플랜지(29)를 갖고, 차단 부재(27)의 저부는 맞접 구조체(28)와 협력하는 제2 맞접 플랜지(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27)는 밀봉 링(33)을 더 포함하고,
    밀봉 링(33)은 제2 맞접 플랜지(30) 상에 배열되고; 및/또는
    밀봉 링(33)은 제1 맞접 플랜지(29)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27)는,
    상부가 외향 연장되는 제1 맞접 플랜지(29)를 갖는 상부 컵(31);
    상부 컵(31) 아래에 장착되고 저부가 외향 연장되는 제2 맞접 플랜지(30)를 갖는 저부 컵(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부 컵(31)의 저부가 상부 컵(31)의 내벽 주위에서 이격되고 내향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부재(34)를 갖고, 저부 컵(32)의 상부가 제1 연결 부재(34)와 협력하는 제2 연결 부재(35)를 갖고, 차단 부재(27)는 제1 연결 부재(34)와 제2 연결 부재(35)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27)는 차단 부재(27) 내부에 배열되고 배기 구멍 위에 위치되는 메시 구조체(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4. 제6항에 있어서,
    뚜껑 본체(4)는 배기 통로(6)를 형성하도록 동축으로 배열된 연결 실린더(39) 및 맞접 실린더(40)를 포함하고, 연결 실린더(39)는 맞접 실린더(40) 위에 위치되고, 연결 실린더(39)는 제1 관통 구멍(8)을 갖고, 맞접 실린더(40)는 제2 관통 구멍(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맞접 실린더(40)의 내벽이 맞접 실린더(4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맞접 구조체(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27)는 차단 부재(27)와 배기 통로(6)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배기 통로(6)의 내벽에 맞접하는 밀봉 링(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27)는 제2 맞접 플랜지(30)를 포함하고, 베이킹 조립체(5)는 뚜껑 본체(4) 아래에 배열되고 배기 통로(6)와 연통하는 통과 구멍(140)을 갖는 반사 쉘(17)을 더 포함하고, 통과 구멍(140)의 영역은 배기 통로(6)의 개방 영역보다 작고, 차단 부재(27)는 배기 통로(6) 내에 배열되고, 제2 맞접 플랜지(30)의 저부 표면은 반사 쉘(17)에 맞접하여 밀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KR1020227025818A 2019-12-31 2020-04-20 조리 기구 KR102443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419905.1A CN113116134A (zh) 2019-12-31 2019-12-31 烹饪器具
CN201922502114.7U CN211911292U (zh) 2019-12-31 2019-12-31 烹饪器具
CN201922502114.7 2019-12-31
CN201911419905.1 2019-12-31
PCT/CN2020/085519 WO2021134980A1 (en) 2019-12-31 2020-04-20 A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334A true KR20220110334A (ko) 2022-08-05
KR102443409B1 KR102443409B1 (ko) 2022-09-16

Family

ID=7668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818A KR102443409B1 (ko) 2019-12-31 2020-04-20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66172B2 (ko)
EP (1) EP4064945B1 (ko)
JP (1) JP7278494B2 (ko)
KR (1) KR102443409B1 (ko)
AU (1) AU2020415832B2 (ko)
CA (1) CA3162524C (ko)
WO (1) WO202113498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152A (ja) * 2013-04-30 2014-11-1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炊飯器
CN209285276U (zh) * 2018-08-21 2019-08-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烹饪器具
CN110477762A (zh) * 2019-08-01 2019-11-22 佛山市顺德区兆之泓电器有限公司 具有空气加热与高压密封功能的锅盖及具有该锅盖的锅具
CN110613323A (zh) * 2018-06-20 2019-12-2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锅盖及一种具有该锅盖的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016A (ja) * 1981-07-30 1983-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
JPS60149336U (ja) * 1984-03-15 1985-10-03 ツアン ホン ツワン 多用途電気釜
JP2003088463A (ja) 2001-09-19 2003-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101541482B1 (ko) * 2013-12-17 2015-08-06 오재탁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CN105686678B (zh) * 2014-11-24 2018-06-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上盖
JP6818647B2 (ja) 2017-07-11 2021-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1278151B2 (en) * 2017-08-09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208510703U (zh) * 2017-11-30 2019-0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电压力锅
CN110507176B (zh) * 2018-05-21 2021-08-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上盖
CN109393957A (zh) * 2018-06-12 2019-03-01 广东顺德欧宁科技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锅
CN209090836U (zh) * 2018-07-27 2019-07-1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空气炸锅
CN209826277U (zh) * 2019-03-27 2019-12-24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锅盖组件以及烹饪器具
CN210408079U (zh) * 2019-06-20 2020-04-28 湖南炊功夫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智能锅
CN210408158U (zh) * 2019-07-04 2020-04-28 杭州为家美小家电有限公司 多功能空气炸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152A (ja) * 2013-04-30 2014-11-1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炊飯器
CN110613323A (zh) * 2018-06-20 2019-12-2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锅盖及一种具有该锅盖的烹饪器具
CN209285276U (zh) * 2018-08-21 2019-08-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烹饪器具
CN110477762A (zh) * 2019-08-01 2019-11-22 佛山市顺德区兆之泓电器有限公司 具有空气加热与高压密封功能的锅盖及具有该锅盖的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78494B2 (ja) 2023-05-19
US11666172B2 (en) 2023-06-06
AU2020415832A1 (en) 2022-07-14
AU2020415832B2 (en) 2023-03-16
EP4064945A1 (en) 2022-10-05
CA3162524A1 (en) 2021-07-08
EP4064945C0 (en) 2024-03-27
WO2021134980A1 (en) 2021-07-08
JP2022553442A (ja) 2022-12-22
EP4064945B1 (en) 2024-03-27
KR102443409B1 (ko) 2022-09-16
EP4064945A4 (en) 2023-01-18
US20230050886A1 (en) 2023-02-16
CA3162524C (en)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49188A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KR102443409B1 (ko) 조리 기구
CN109276148B (zh) 蒸汽阀、保温盖板组件、盖体结构以及烹饪器具
RU27899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CN113116134A (zh) 烹饪器具
EP4064944B1 (en) Cooking appliance
CN211582636U (zh) 具有至少两个排气通道的烹饪器具
CN211911292U (zh) 烹饪器具
CN211673744U (zh) 具有自密封功能的烹饪器具
CN216797363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1511405U (zh) 具有烘烤组件的烹饪器具
CN212066444U (zh) 烹饪器具
CN213371345U (zh) 陶锅组件及电炖锅
CN211911272U (zh) 用于烹饪器具的排气罩和烹饪器具
CN211911379U (zh) 烹饪器具
CN211534075U (zh) 烘烤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9125976U (zh) 一种锅盖组件及压力烹饪器具
CN216822898U (zh) 烹饪器具及其锅盖
CN219069921U (zh) 一种微压阀与容器盖
CN211534077U (zh) 具有烘烤功能的烹饪器具
CN216675513U (zh) 微压阀和烹饪器具
KR102069540B1 (ko) 압력솥용 비복귀식 안전밸브
CN212037166U (zh) 烹饪器具
CN209966104U (zh) 烹饪器具
CN113116136A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