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306A -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306A
KR20220110306A KR1020227024252A KR20227024252A KR20220110306A KR 20220110306 A KR20220110306 A KR 20220110306A KR 1020227024252 A KR1020227024252 A KR 1020227024252A KR 20227024252 A KR20227024252 A KR 20227024252A KR 20220110306 A KR20220110306 A KR 2022011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ece
cover
rim
steering wheel
divi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우타로 하다
슌이치로 신멘
šœ이치로 신멘
마사지 하세가와
아도니스 에그데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11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Abstract

조타부의 비원형 부분에 커버를 설치해도 조타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한다.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축에 연결되는 보스(4)와, 상기 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조타부(1, 7)를 구비하고, 상기 조타부는 모서리 부분 또는 단부를 포함하는 비원형 부분을 가지고, 상기 비원형 부분을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81, 82)에 의해 덮는다. 적합하게는, 상기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은 상기 비원형 부분에 있어서의 승차인에 대향하는 정면(3a, 7a), 승차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3b, 7b) 및, 상기 정면 및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면(3d, 7c)을 덮는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형의 림과 스포크를 커버에 의해 덮은 스티어링 휠이 제안되고 있다. 커버는 여러 개의 커버 편을 구비하고, 여러 개의 커버 편은 봉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커버를 림에 설치하는 경우, 림의 내주에 대응하는 커버의 부분을 열린 상태에서 림의 외주로부터 커버를 설치하고 열린 부분을 봉제한다. 커버의 설치에 의해 조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최근 비원형의 림을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이 제안되고 있다. 비원형의 림은 예를 들어 예각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가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15-39900호 공보 특허문헌1 : 프랑스특허출원공개 제3057532호 명세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 비원형의 림에 커버를 설치한 경우, 구부러진 림의 부분에 있어서 커버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커버가 느슨해질 우려가 있다. 주름의 발생 및 느슨해짐에 의해 조타 시에 커버가 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 경우, 조작자의 조타가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본 개시는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타부의 비원형 부분에 커버를 설치해도 조타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축에 연결되는 보스와, 상기 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조타부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조타부는 모서리 부분 또는 단부를 포함하는 비원형 부분을 가지고 상기 비원형 부분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에 의해 덮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비원형 부분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면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에 의해 덮고, 비원형 부분에서 커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은 상기 비원형 부분에 있어서의 승차인에 대향하는 정면, 승차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 및 상기 정면 및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면을 덮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비원형 부분의 정면, 배면 및 상면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에 의해 덮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하나의 커버 편은 상기 정면 및 배면을 덮는 제1 커버 편과, 상기 제1 커버의 가장자리부에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덮는 제2 커버 편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1 커버 편에 의해 정면 및 배면을 덮고 제2 커버 편에 의해 상면을 덮는다.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은 연결되어 있으며 커버의 설치를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여러 개의 커버 편은 상기 정면 및 배면을 덮는 제1 커버 편과 상기 상면을 덮는 제2 커버 편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1 커버 편에 의해 정면 및 배면을 덮고 제2 커버 편에 의해 상면을 덮는다.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은 분리되어 있으며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 중 적어도 일방이 여러 개의 커버부로 분할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 중 적어도 일방을 더욱 분할하여 한층 더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조타부는 상기 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림과, 상기 림으로부터 상기 보스를 향하여 돌출하는 스포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버 편은 상기 림 및 스포크에 있어서의 승차인과 대향하는 정면 및 승차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을 덮고, 상기 제2 커버 편은 상기 정면 및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정면 및 배면과 이어지는 상기 림의 단면, 및 상기 림의 단면 및 보스 사이에 걸쳐 상기 정면 및 배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스포크의 표면을 덮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1 커버 편에 의해 림 및 스포크에 있어서의 정면 및 배면이 덮이고 제2 커버 편에 의해 림의 단면과 림의 단면 및 보스 사이에 걸친 스포크의 표면이 덮인다. 정면 및 배면과, 상기 단면 및 표면은 상이한 커버 편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림과 스포크의 연결 부분에서 커버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림 및 스포크는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림 및 스포크는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조작자는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기 쉽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제2 커버 편에 있어서의 상기 림의 단면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연부는 완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2 커버 편의 형상은 림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제2 커버 편은 틈새 없이 제1 커버 편에 결합하여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디자인성도 저해받지 않는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제2 커버 편은 직사각 형상의 띠 형상을 이룬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2 커버 편은 사각 형상을 이루는 조타부의 면을 덮는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조타부는 상기 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림의 외경(外徑)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불연속점의 단부를 상기 커버 편이 덮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커버 편은 불연속한 림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의 일부를 잘라낸 듯한 원호 형상을 이루는 림의 단부를 덮는다. 그 때문에 림의 단부에서 커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커버 편의 가장자리부는 봉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여러 개의 커버 편은 봉제에 의해 결합되고 림 및 스포크로부터 벗겨지기 어렵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커버 편은 피혁제 또는 직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피혁제의 커버는 미끄러지기 어렵고 또한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직물제의 커버는 착색하기 쉽고 커버의 바리에이션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스티어링 휠로서는, 비원형 부분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면은 상이한 커버 편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비원형 부분에서 커버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커버는 느슨해지기 어렵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보스, 림 및 스포크의 약시적(略示的)  정면도이다.
도 2는 보스, 림 및 스포크의 약시적 상면도이다.
도 3은 림 및 스포크에 대한 커버의 설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커버를 설치한 스티어링 휠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도 5는 구성을 일부 변경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6은 구성을 일부 변경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7은 구성을 일부 변경한 스티어링 휠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관한 보스, 림 및 스포크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도 9는 커버를 설치한 스티어링 휠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3에 관한 보스, 림 및 스포크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도 11은 커버를 설치한 스티어링 휠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6에 관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7에 관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8에 관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9에 관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10에 관한 보스, 림 및 스포크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10에 관한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보스(4), 림(1) 및 스포크(7)의 약시적 정면도, 도 2는 보스(4), 림(1) 및 스포크(7)의 약시적 상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정면은 승차인과 대향하는 면을 나타내고 배면은 승차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나타낸다.
스티어링 휠은 보스(4), 림(1), 스포크(7) 및 커버(8)(도 4 참조)를 구비한다. 림(1) 및 스포크(7)는 조타부에 대응한다. 보스(4)는 스티어링 축(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4)는 스티어링 축에 설치되는 블록 형상의 중앙부(5)와 상기 중앙부(5)의 양측 면 각각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6)를 구비한다. 돌출부(6)는 스티어링 축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림(1)은 정면에서 보아 U형상을 이루고 보스(4)의 주위를 둘러싼다. 스포크(7)는 림(1)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림(1)의 각 양단부로부터 보스(4)를 향하여 스포크(7)는 돌출하여 돌출부(6)를 개재하여 보스(4)의 중앙부(5)에 연결되어 있다. 림(1) 및 스포크(7)의 연결 부분은 정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을 이루고 림(rim,1) 및 스포크(7)의 내각은 예각을 이룬다. 보스(4)의 돌출부(6)는 스포크(7)의 정면(7a)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6)를 삭제하고 스포크(7)와 보스(4)가 직접 연결되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1) 및 스포크(7)는 제1 영역(10), 제2 영역(20) 및 제3 영역(30)을 구비한다. U자 형상을 이루는 림(1)은 바닥부(2)와 상기 바닥부(2)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한 두 개의 돌출부(3)를 구비한다. 바닥부(2)의 표면은 제3 영역(30)을 형성한다. 림(1)의 돌출부(3)의 정면(3a), 배면(3b) 및 측면(3c)과 스포크(7)의 정면(7a) 및 배면(7b)은 제1 영역(10)을 형성한다. 리브(rib)의 단면(3d)과 상기 단면(3d)과 보스(4) 사이에 위치하는 스포크(7)의 표면(이하, 상면(7c)이라고 칭함)은 제2 영역(20)을 형성한다. 스포크(7)의 상면(7c)은 정면(7a) 및 배면(7b) 사이에 위치하고 리브의 단면(3d)에 연결된다. 리브의 단면(3d)은 상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을 이룬다.
도 3은 림(1) 및 스포크(7)에 대한 커버(8)의 설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커버(8)를 설치한 스티어링 휠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커버(8)는 피혁제로서 두 개의 제1 커버 편(81)과, 두 개의 제2 커버 편(82)과, 한 개의 제3 커버 편(83)을 구비한다. 또한 커버(8)는 직물제여도 된다.
제1 커버 편(81)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림(1)의 돌출부(3)의 정면(3a), 배면(3b) 및 측면(3c)의 형상과 스포크(7)의 정면(7a) 및 배면(7b)의 형상과 대응한다. 제1 커버 편(81)은 정면부(81a), 측면부(81c) 및 배면부(81b)를 구비한다. 측면부(81c)의 양측에 각각 정면부(81a) 및 배면부(81b)가 연결된다. 도 3에 있어서 제1 커버 편(81)의 파선은 정면부(81a) 및 측면부(81c)의 경계와 배면부(81b) 및 측면부(81c)의 경계를 나타낸다. 정면부(81a)는 제1 영역(10)의 정면(3a, 7a)에 설치되고, 측면부(81c)는 제1 영역(10)의 측면(3c)에 설치되며 배면부(81b)는 제1 영역(10)의 배면(3b, 7b)에 설치된다.
또한 측면부(81c)의 정면측 부분을 정면부(81a)의 일부로 하고 측면부(81c)의 배면측 부분을 배면부(81b)의 일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측면부(81c)의 중앙에 정면부(81a) 및 배면부(81b)의 경계가 위치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편(81)은 림(1)의 외주측으로부터 제1 영역(10)을 덮고, 림(1)의 내주측에서 제1 커버 편(81)의 두 개의 가장자리는 봉제로 결합되어 솔기(41)가 형성된다.
제2 커버 편(82)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리브의 단면(3d)의 형상과 스포크(7)의 상면(7c)의 형상에 대응한다. 제2 커버 편(82)의 상기 단면(3d)에 설치되는 부분은 원형 형상을 이루고 단면(3d)의 형상에 대응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커버 편(82)은 제2 영역(20)에 설치되고, 제2 커버 편(82)의 가장자리부와 제1 커버 편(81)의 가장자리부는 봉제에 의해 연결되어 솔기(42)가 형성된다.
제3 커버 편(83)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바닥부(2)의 형상에 대응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커버 편(83)은 림(1)의 외주측으로부터 제3 영역(30)을 덮고, 림(1)의 내주측에서 제3 커버 편(83)의 두 개의 가장자리는 봉제로 결합되어 솔기(43)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림(1) 및 스포크(7)에 커버(8)를 설치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은 제조된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스티어링 휠로서는 제1 커버 편(81)에 의해 림(1)의 단부 및 스포크(7)에 있어서의 정면(3a, 7a) 및 배면(3b, 7b)이 덮이고, 제2 커버 편(82)에 의해 림(1)의 단면(3d)과 스포크(7)의 상면(7c)이 덮인다. 정면(3a, 7a) 및 배면(3b, 7b)과 상기 단면(3d) 및 상면(7c)은 상이한 커버 편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림(1)과 스포크(7)의 연결 부분(모서리 부분)에서 커버(8)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커버(8)는 느슨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은 봉제에 의해 결합되고 림(1) 및 스포크(7)로부터 벗겨지기 어렵다.
또한 림(1) 및 스포크(7)는 L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조작자는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기 쉽다. 림(1) 및 스포크(7)는 예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는 스티어링 휠의 모서리 부근을 잡기 쉽고 힘을 스티어링 휠에 전달하기 쉽다.
또한 제2 커버 편(82)의 형상은 림(1)의 단면(3d) 형상에 대응하고 제2 커버 편(82)은 틈새 없이 제1 커버 편(81)에 결합하여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디자인성도 저해받지 않는다.
또한 피혁제의 커버(8)는 미끄러지기 어렵고 또한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제의 커버(8)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물제의 커버(8)는 착색하기 쉽고 커버(8)의 바리에이션의 디자인성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림(1)의 두 개의 단부로부터 두 개의 스포크(7)가 돌출하고 있는데 림(1)의 두 개의 단부는 보스(4)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완곡한 한 개의 스포크(7)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림(1) 및 스포크(7)는 초승달 형상을 이루고 예를 들어 스포크(7)의 중앙 부분은 보스(4)에 연결한다.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은 아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제1 커버 편(81)은 돌출부(3)의 정면(3a) 및 측면(3c)의 형상과 스포크(7)의 정면(7a) 의 형상에 대응하고, 제2 커버 편(82)은 돌출부(3)의 배면(3b)의 형상과 스포크(7)의 배면(7b)의 형상과, 리브의 단면(3d)의 형상과, 스포크(7)의 상면(7c)의 형상에 대응해도 된다.
또한 제1 커버 편(81)은 측면(3c)의 형상에 대응하고 제2 커버 편(82)은 돌출부(3)의 정면(3a), 배면(3b) 및 단면(3d)의 형상과 스포크(7)의 정면(7a), 배면(7b) 및 상면(7c)의 형상에 대응해도 된다.
즉, 돌출부(3) 및 스포크(7) 전체의 정면, 배면,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네 개의 면 중 한 개 내지 세 개의 면을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의 일방이 덮고 잔여의 면을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의 타방이 덮도록 스티어링 휠을 구성하면 된다.
도 5 및 도 6은 구성을 일부 변경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편(81)의 측면부(81c)와 제2 커버 편(82)은 연결부(8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편(81)의 배면부(81b)와 제2 커버 편(82)은 연결부(8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커버 편(81)과 제2 커버 편(82)이 연결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작업자는 연결부(84)를 내측으로 접어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을 봉제함으로써 림(1) 및 스포크(7)를 덮을 수 있다.
도 7은 구성을 일부 변경한 스티어링 휠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봉제 대신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결합시켜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포크(7) 및 림(1)에는 홈(70)이 형성되어 있다. 홈(70)의 위치는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의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을 홈(70)에 삽입시키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 가장자리 부분을 홈(70)에 고정해도 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2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보스(4), 림(1) 및 스포크(7)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13)가 상면(7c)보다도 상측에 각 돌출부(3)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단부(13)의 상단면은 단면(3d)을 형성한다. 측면(3c)의 반대측에 있어서 단부(13)는 제1 측면(3e)을 구비한다. 제1 측면(3e)은 단면(3d) 및 상면(7c)에 연결된다. 제1 측면(3e)의 반대측에 있어서 단부(13)는 제2 측면(3f)을 구비한다. 제2 측면(3f)은 단면(3d) 및 측면(3c)에 연결된다. 제1 측면(3e) 및 제2 측면(3f)은 정면(3a) 및 배면(3b) 사이에 위치한다.
돌출부(3)의 정면(3a), 배면(3b) 및 측면(3c)과, 단부(13)의 정면, 배면 및 제2 측면(3f)과, 스포크(7)의 정면(7a) 및 배면(7b)은 제1 영역(10a)을 형성한다. 단면(3d)과 상면(7c)과 제1 측면(3e)은 제2 영역(20a)을 형성한다. 또한 정면도에 있어서 림(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3d)의 위치는 불연속점에 대응한다.
도 9는 커버(8)를 설치한 스티어링 휠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제1 커버 편(181)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돌출부(3)의 정면(3a), 배면(3b) 및 측면(3c)의 형상과 단부(13)의 정면, 배면 및 제2 측면(3f), 스포크(7)의 정면(7a) 및 배면(7b)의 형상에 대응한다. 제2 커버 편(182)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단면(3d)의 형상과, 제1 측면(3e)의 형상과, 스포크(7)의 상면(7c)의 형상에 대응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편(181)은 제1 영역(10a)을 덮고 제2 커버 편(182)은 제2 영역(20a)을 덮는다. 제2 커버 편(182)의 가장자리부와 제1 커버 편(181)의 가장자리부는 봉제에 의해 결합되어 솔기(42)가 형성된다.
제1 영역(10a) 및 제2 영역(20a)은 상이한 커버 편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림(1)과 스포크(7)의 연결 부분(모서리 부분) 및 단부(13)에서 커버(8)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고 커버(8)는 쉽게 느슨해지지 않는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3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또는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보스(4), 림(1) 및 스포크(7)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림(1)은 실시형태 1 및 2와는 상이하고 바닥부(2)를 구비하지 않는다. 림(1)은 보스(4)의 주위를 따라 배치된 원호 형상의 림부(3k)를 구비한다.
림부(3k)는 정면(3a), 배면(3b), 외주면(13c), 내주면(13d) 및 단면(3d)을 구비한다. 내주면(13d)의 중도부로부터 스포크(7)는 돌출하고 있다. 림부(3k)의 상면(7c)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한 부분은 단부(13a)를 형성한다. 단부(13a)의 상단면은 단면(3d)을 형성한다.
정면(3a), 배면(3b), 외주면(13c), 스포크(7)의 정면(7a) 및 배면(7b)은 제1 영역(10b)을 형성한다. 단면(3d), 상면(7c) 및 상면(7c)보다도 상측에 있어서의 내주면(13d)은 제2 영역(20b)을 형성한다.
도 11은 커버(8)를 설치한 스티어링 휠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제1 커버 편(181a)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정면(3a), 배면(3b), 외주면(13c), 스포크(7)의 정면(7a) 및 배면(7b)의 형상에 대응한다. 제2 커버 편(182a)은 시트 형상을 이루고 단면(3d), 상면(7c) 및 상면(7c)보다도 상측에 있어서의 내주면(13d)의 형상에 대응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편(181a)은 제1 영역(10b)을 덮고 제2 커버 편(182a)은 제2 영역(20b)을 덮는다. 제2 커버 편(182a)의 가장자리부와 제1 커버 편(181a)의 가장자리부는 봉제에 의해 결합되어 솔기(42)가 형성된다.
제1 영역(10b) 및 제2 영역(20b)은 상이한 커버 편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림부(3k)와 스포크(7)의 연결 부분(모서리 부분) 및 단부(13a)에서 커버(8)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커버(8)는 쉽게 느슨해지지 않는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4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4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내지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커버(8)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분리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구비한다. 도 12는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좌측에 배치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에 대응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편(81)은 제1 분할 선(21), 제2 분할 선(22), 제3 분할 선(23) 및 제4 분할 선(24) 중 적어도 한 개의 분할 선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 편(82)은 제5 분할 선(25)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제1 분할 선(21)은 정면부(81a)의 영역 내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면부(81a)는 돌출부(3)의 정면(3a) 및 스포크(7)의 정면(7a)에 대응한다. 제1 분할 선(21)은 정면부(81a)에 있어서의 정면(3a)에 대응하는 부분(81a1) 및 정면(7a)에 대응하는 부분(81a2)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2 분할 선(22)은 정면부(81a) 및 측면부(81c)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3 분할 선(23)은 측면부(81c) 및 배면부(81b)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4 분할 선(24)은 배면부(81b)의 영역 내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부(81b)는 돌출부(3)의 배면(3b) 및 스포크(7)의 배면(7b)에 대응한다. 제4 분할 선(24)은 배면부(81b)에 있어서의 배면(3b)에 대응하는 부분(81b1) 및 배면(7b)에 대응하는 부분(81b2)의 경계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 편(82)은 리브의 단면(3d) 및 스포크(7)의 상면(7c)에 대응한다. 제5 분할 선(25)은 제2 커버 편(82)에 있어서의 단면(3d)에 대응하는 부분(82a) 및 상면(7c)에 대응하는 부분(82b)의 경계에 위치한다.
실시형태 4에 있어는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의 적어도 한 개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분할하고 3 ~ 7개의 커버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인접하는 커버부 사이는 봉제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제1 커버 편(81) 또는 제2 커버 편(82)은 더 분할함으로써 한층 더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다.
(실시형태 5)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5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5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내지 4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보스(4), 림(1) 및 스포크(7)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5에 있어서 커버(8)는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분리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구비하고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3은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커버 편(81)은 제6 분할 선(26) 또는 제7 분할 선(27)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분할 선(26)은 정면(3a)에 대응하는 부분(81a1) 및 정면(7a)에 대응하는 부분(81a2)의 영역 내에 형성된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중앙부(5)측을 내측으로 하고 중앙부(5)의 반대측을 외측으로 한다(도 1 참조). 제6 분할 선(26)은 부분(81a1)에 있어서의 정면(3a)의 내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a11) 및 정면(3a)의 외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a12)의 경계에 위치하고, 나아가 부분(81a2)에 있어서의 정면(7a)의 내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a21) 및 정면(7a)의 외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a22)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7 분할 선(27)은 부분(81b1)에 있어서의 배면(3b)의 내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b11) 및 배면(3b)의 외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b12)의 경계에 위치하고, 나아가 부분(81b2)에 있어서의 배면(7b)의 내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b21) 및 배면(7b)의 외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81b22)의 경계에 위치한다.
실시형태 5에 있어서는 제1 분할 선(21) ~ 제7 분할 선(27)의 적어도 한 개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분할하고 3 ~ 11개의 커버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인접하는 커버부 사이는 봉제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실시형태 6)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6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6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내지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6에 있어서 커버(8)는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분리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구비하고 제1 분할 선(21), 제4 분할 선(24) 또는 제5 분할 선(25)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4는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커버 편(81)은 제8 분할 선(28)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 분할 선(28)은 돌출부(3)의 측면(3c)의 중앙에 위치한다. 제1 커버 편(81)에 있어서의 제1 분할 선(21) 및 제8 분할 선(28) 사이의 부분(81f)은 돌출부의 정면(3a) 및 측면(3c)의 정면측 부분에 대응한다. 제1 커버 편(81)에 있어서의 제4 분할 선(24) 및 제8 분할 선(28) 사이의 부분(81g)은 돌출부의 배면(3b) 및 측면(3c)의 배면측 부분에 대응한다.
측면(3c)의 정면측 부분은 정면(3a)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고 측면(3c)의 배면측 부분은 배면(3b)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부분(81f)은 돌출부(3)의 정면에 대응하고, 부분(81g)은 돌출부(3)의 배면에 대응한다.
실시형태 6에 있어서는 제1 분할 선(21), 제4 분할 선(24), 제5 분할 선(25) 및 제8 분할 선(28)의 적어도 한 개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분할하고 3 ~ 6개의 커버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인접하는 커버부 사이는 봉제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실시형태 7)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7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7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내지 6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커버(8)는 실시형태 6과 마찬가지로 분리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구비하고 제1 분할 선(21), 제4 분할 선(24), 제5 분할 선(25) 또는 제8 분할 선(28)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5는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커버 편(81)은 실시형태 5와 마찬가지로 제6 분할 선(26) 또는 제7 분할 선(27)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분할 선(26)은 부분(81a21) 및 부분(81a22)의 경계에 위치하고, 나아가 부분(81f)의 내측 부분(81f1) 및 부분(81f)의 외측 부분(81f2)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7 분할 선(27)은 부분(81b21) 및 부분(81b22)의 경계에 위치하고 나아가 부분(81g)의 내측 부분(81g1) 및 부분(81g)의 외측 부분(81g2)의 경계에 위치한다.
또한 제6 분할 선(26)은 부분(81a2) 및 부분(81f)을 분할하는 선의 일례에 불과하며 부분(81a2) 및 부분(81f)을 분할하는 선은 제6 분할 선(26)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7 분할 선(27)은 부분(81b2) 및 부분(81g)을 분할하는 선의 일례에 불과하며 부분(81b2) 및 부분(81g)을 분할하는 선은 제7 분할 선(27)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7에 있어는 제1 분할 선(21) 및 제4 분할 선(24) ~ 제8 분할 선(28)의 적어도 한 개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을 분할하고 3 ~ 10개의 커버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인접하는 커버부 사이는 봉제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실시형태 8)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8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8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내지 7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8에 있어서 커버(8)는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분리한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구비하고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6은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커버(8)는 실시형태 2의 보스(4), 림(1) 및 스포크(7)(도 8 참조)를 덮는다. 그 때문에 커버(8)는 돌출부(3)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단부(13)를 덮는 커버 편(810)을 구비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편(810)은 정면부(81a), 배면부(81b) 및 측면부(81c)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8)는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제2 분할 선(22) ~ 제4 분할 선(24)은 커버 편(810)까지 연장한다.
제1 커버 편(181)은 제10 분할 선(210)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제10 분할 선(210)은 커버 편(810)과 정면부(81a), 배면부(81b) 및 측면부(81c)의 경계에 위치한다. 커버 편(810)은 제10 분할 선(210) 및 제2 분할 선(22)에 의해 구획된 부분(810a)과, 제10 분할 선(210), 제2 분할 선(22) 및 제3 분할 선(23)에 의해 구획된 부분(810b)과, 제10 분할 선(210) 및 제3 분할 선(23)에 의해 구획된 부분(810c)을 구비한다. 부분(810a)은 단부(13)의 정면을 덮고 부분(810b)은 단부(13)의 배면을 덮고 부분(810c)은 단부(13)의 측면을 덮는다.
제2 커버 편(82)은 제5 분할 선(25) 및 제9 분할 선(29)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제5 분할 선(25)은 단면(3d)에 대응하는 부분(82a) 및 제1 측면(3e)에 대응하는 부분(82b1)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9 분할 선(29)은 부분(82b1) 및 상면(7c)에 대응하는 부분(82b2)의 경계에 위치한다.
실시형태 8에 있어서는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 제9 분할 선(29) 및 제10 분할 선(210)의 적어도 한 개로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분할하고 3 ~ 11개의 커버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인접하는 커버부 사이는 봉제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실시형태 9)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9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9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 8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9에 있어서 커버(8)는 실시형태 8과 마찬가지로 분리한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구비하고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 제9 분할 선(29) 또는 제10 분할 선(210)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7은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편(181)은 나아가 제11 분할 선(211) 또는 제12 분할 선(212)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제11 분할 선(211)은 정면부(81a) 및 부분(810a)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정면부(81a)를 분할하고 부분(810a)을 분할할 수 있다.
제12 분할 선(212)은 배면부(81b) 및 부분(810b)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배면부(81b)를 분할하며 부분(810b)을 분할할 수 있다.
실시형태 9로서는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 제9 분할 선(29) ~ 제12 분할 선(212)의 적어도 한 개로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분할하고 3 ~ 15개의 커버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인접하는 커버부 사이는 봉제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실시형태 10)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10에 관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0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 9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보스(4), 림(1) 및 스포크(7)의 약시적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10에 관한 보스(4), 림(1) 및 스포크(7)는 상면(7c1), 제1 측면(3e1) 및 단면(3d1)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2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상면(7c1), 제1 측면(3e1) 및 단면(3d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면(7c1), 제1 측면(3e1) 및 단면(3d1)은 각각 평탄한 사각 형상을 이룬다. 제1 측면(3e1)은 상면(7c1) 및 단면(3d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7c1) 및 단면(3d1)은 대략 평행하며 제1 측면(3e1)과, 상면(7c1) 및 단면(3d1)은 직선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커버(8)는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분리한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구비하고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9는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커버(8)는 돌출부(3)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단부(13)를 덮는 커버 편(810)을 구비한다. 제2 분할 선(22) ~ 제4 분할 선(24)은 커버 편(810)까지 연장한다.
커버 편(810)은 제10 분할 선(210) 및 제2 분할 선(22)에 의해 구획된 부분(811a)과, 제10 분할 선(210), 제2 분할 선(22) 및 제3 분할 선(23)에 의해 구획된 부분(811b)과, 제10 분할 선(210) 및 제3 분할 선(23)에 의해 구획된 부분(811c)을 구비한다. 부분(811a)은 단부(13)의 정면을 덮고 부분(811b)은 단부(13)의 배면을 덮으며 부분(811c)은 단부(13)의 측면을 덮는다.
제2 커버 편(82)은 직사각 형상의 띠 형상을 이루고 제5 분할 선(25) 및 제9 분할 선(29)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제5 분할 선(25)은 단면(3d1)에 대응하는 부분(82a1) 및 제1 측면(3e1)에 대응하는 부분(82b3)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9 분할 선(29)은 부분(82b3) 및 상면(7c1)에 대응하는 부분(82b4)의 경계에 위치한다.
실시형태 10에 있어서는 제1 분할 선(21) ~ 제5 분할 선(25), 제9 분할 선(29) 및 제10 분할 선(210)의 적어도 한 개로 제1 커버 편(181) 및 제2 커버 편(182)을 분할하고 3 ~ 11개의 커버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인접하는 커버부 사이는 봉제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의 곡선 형상을 이루는 외연 형상은 대략 직선적으로 나타내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 편(81) 및 제2 커버 편(82)의 곡면은 대략 평면으로 나타내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에 부호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부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부호에 대응시켜 참고로서 붙인 것에 불과하며 청구 범위를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번에 개시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각 실시예에서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은 서로 조합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및 청구 범위와 균등한 범위가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림
3 돌출부
3a 정면
3b 배면
3d 단면
4 보스
7 스포크
7a 정면
7b 배면
7c 상면
8 커버
81 제1 커버 편
82 제2 커버 편
83 제3 커버 편

Claims (12)

  1. 스티어링 축에 연결되는 보스와, 상기 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조타부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조타부는 모서리 부분 또는 단부를 포함하는 비원형 부분을 가지고,
    상기 비원형 부분을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에 의해 덮는 스티어링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커버 편은 상기 비원형 부분에 있어서의 승차인에 대향하는 정면, 승차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 및 상기 정면 및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면을 덮는 스티어링 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커버 편은,
    상기 정면 및 배면을 덮는 제1 커버 편과,
    상기 제1 커버 편의 가장자리부에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덮는 제2 커버 편을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커버 편은,
    상기 정면 및 배면을 덮는 제1 커버 편과,
    상기 상면을 덮는 제2 커버 편을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편 및 제2 커버 편의 적어도 일방이 여러 개의 커버부로 분할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부는 상기 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림과, 상기 림으로부터 상기 보스를 향하여 돌출하는 스포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버 편은 상기 림 및 스포크에 있어서의 승차인에 대향하는 정면 및 승차인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을 덮고,
    상기 제2 커버 편은 상기 정면 및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정면 및 배면에 연결되는 상기 림의 단면, 및 상기 림의 단면 및 보스 사이에 걸쳐 상기 정면 및 배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스포크의 표면을 덮는 스티어링 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림 및 스포크는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편에 있어서의 상기 림의 단면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연은 완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편은 직사각 형상의 띠 형상을 이루는 스티어링 휠.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부는 상기 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림의 외경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불연속한 점의 단부를 상기 커버 편이 덮는 스티어링 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편의 가장자리부는 봉제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편은 피혁제 또는 직물제인 스티어링 휠.
KR1020227024252A 2019-12-19 2020-10-23 스티어링 휠 KR20220110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9288 2019-12-19
JPJP-P-2019-229288 2019-12-19
PCT/JP2020/039922 WO2021124678A1 (ja) 2019-12-19 2020-10-23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306A true KR20220110306A (ko) 2022-08-05

Family

ID=7647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252A KR20220110306A (ko) 2019-12-19 2020-10-23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8995B2 (ko)
EP (1) EP4079604A4 (ko)
JP (1) JP7303331B2 (ko)
KR (1) KR20220110306A (ko)
CN (1) CN114728667B (ko)
WO (1) WO2021124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5033B1 (ja) 2023-01-31 2024-03-06 丸山 徹 ステアリングの操向部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532U (ja) 1998-08-31 1999-06-02 道三 大山 T字型歯ブラシ
KR20150039900A (ko)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폐기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9755B (en) 1986-05-01 1989-11-29 Moto Lita Ltd An improved vehicle steering-wheel
JPH01159434A (ja) 1987-12-16 1989-06-22 Mazda Motor Corp 燃料噴射式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716542Y2 (ja) * 1989-06-08 1995-04-19 豊田合成株式会社 表皮巻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A2200820C (en) 1996-03-25 2000-04-11 Grant Products Steering wheel overlay
JP3197005B2 (ja) * 1997-08-27 2001-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
JP3518996B2 (ja) 1998-07-29 2004-04-12 ミドリ安全株式会社 皮革を被覆し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842096B2 (ja) * 2001-10-10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
US6997281B2 (en) * 2002-11-26 2006-0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Driver control input device for drive-by-wire vehicle
JP3726820B2 (ja) 2003-04-04 2005-12-14 スズキ株式会社 小型電動車両のハンドル構造
US7441799B2 (en) * 2003-12-08 2008-10-28 Autoliv Asp, Inc. Non-circular steering wheel assembly and airbag module
JP2005312728A (ja) 2004-04-30 2005-11-10 Midori Anzen Co Ltd 皮革、シフトノブおよ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MX2007013387A (es) * 2005-04-27 2008-03-14 Midori Anzen Co Ltd Cuero y proceso para producir cuero.
DE102006010155A1 (de) 2006-02-27 2007-09-13 Takata-Petri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nkrades und durch das Verfahren hergestelltes Lenkrad
JP4241799B2 (ja) * 2006-10-16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10167953A1 (en) * 2010-01-14 2011-07-14 Takamori Enterprise Co., Ltd. Automobile steering wheel
DE102010063440A1 (de) 2010-12-17 2012-06-21 Takata-Petri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enkrades sowie Umhüllung zum Umhüllen eines Lenkradkranzes eines Lenkrades
JP6117046B2 (ja) * 2013-07-30 2017-04-1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JP6064835B2 (ja) 2013-08-20 2017-01-2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皮革巻き把持部構造
CN203651868U (zh) * 2013-11-04 2014-06-18 欧阳晓民 方向盘握把的改进结构
JP6032188B2 (ja) * 2013-11-29 2016-11-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クリア層を有した加飾品とその成形方法
JP6123686B2 (ja) * 2014-01-10 2017-05-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356509B2 (ja) * 2014-07-09 2018-07-1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CN204415497U (zh) * 2015-01-26 2015-06-24 重庆义唐贸易有限公司 安全保健的立体成形汽车方向盘套
FR3057532B1 (fr) 2016-10-17 2019-04-12 Renault S.A.S Volant pour vehicule automobile autonome.
EP3335915B1 (en) * 2016-12-13 2019-12-04 AeroMobil R&D, s. r. o. Stability control for operation of a convertible air - road vehicle
US20180229752A1 (en) * 2017-02-16 2018-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steering wheel system
JP6990611B2 (ja) 2018-03-23 2022-01-1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用被覆部材、ハンドル、及びハンドルの製造方法
JP7014039B2 (ja) 2018-05-10 202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10836420B2 (en) * 2018-10-03 2020-11-17 Po-Jen Lai Steering wheel sheath with composite structure
JP7060494B2 (ja) * 2018-11-21 2022-04-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209290476U (zh) * 2018-12-31 2019-08-23 青岛龙翔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新型传动系统的高级汽车配件
JP7316364B2 (ja) * 2019-09-17 2023-07-2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532U (ja) 1998-08-31 1999-06-02 道三 大山 T字型歯ブラシ
KR20150039900A (ko)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폐기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24678A1 (ko) 2021-06-24
US11938995B2 (en) 2024-03-26
CN114728667A (zh) 2022-07-08
WO2021124678A1 (ja) 2021-06-24
JP7303331B2 (ja) 2023-07-04
CN114728667B (zh) 2023-12-29
US20230082806A1 (en) 2023-03-16
EP4079604A1 (en) 2022-10-26
EP4079604A4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4370B (zh) 方向盘
US9302535B2 (en) Automobile wheel
US4199097A (en) Blank for cup-shaped container of cardboard or the like
EP2792586B1 (en) Motorcycle
JP2006117230A (ja) 鞍乗型車両
KR20220110306A (ko) 스티어링 휠
US884497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US200600566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ver and structural body thereof
EP1736325B1 (en) Hubcap or wheel cover unit
JP7019528B2 (ja) 燃料タンク用ダム
WO2015137030A1 (ja) 車両用ウィンドウモール
JP6368731B2 (ja) 車両用ホイール
US7086527B2 (en)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pencil
JP4718958B2 (ja) フロントバンパー
JP6422722B2 (ja) タイヤとホイールとの組立体
JP6362955B2 (ja) 車両用ドア
WO2019176351A1 (ja) ヘルメット
JP2013043494A (ja) ハンドルカバー
JP414200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736877Y2 (ja) 自転車の衣類巻込み防止カバー
KR200237165Y1 (ko) 차량용 조향휠 커버
JP6314817B2 (ja) 車両用ルーフ構造
CN207333723U (zh) 一种汽车选换挡防尘罩的固定结构
JP3208202U (ja) シフトレバーブーツの取付構造
JP3114782B2 (ja) アッパモールディングとロアモールディングとの嵌合部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