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734A - 전기 커넥터 쌍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734A
KR20220101734A KR1020227022254A KR20227022254A KR20220101734A KR 20220101734 A KR20220101734 A KR 20220101734A KR 1020227022254 A KR1020227022254 A KR 1020227022254A KR 20227022254 A KR20227022254 A KR 20227022254A KR 20220101734 A KR20220101734 A KR 20220101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partition wall
wal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288B1 (ko
Inventor
유키 미야자키
다다미치 야요시
다카시 마스나가
Original Assignee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8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through openings for individu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쌍(1)은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a)는 제 1 구획벽(12a)을 구비하고, 플러그 커넥터(1b)는 제 2 구획벽(12b)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2 콘택트 및 제 4 콘택트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b)가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12b)이 형성되지 않은 제 3 보지부와 제 4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제 1 구획벽(12a)이 구획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쌍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쌍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노이즈 대책을 행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그 외주면을 덮는 금속제의 도전성 부재(실드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노이즈를 저감하고 있다.
국제 공개 제 2015/045623 호
그러나, 최근의 신호의 통신 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더 나은 노이즈 대책이 필요해지고 있다. 신호의 통신 속도가 고속화하면, 신호를 전송하는 일방의 전송선로에서 나온 노이즈가, 신호를 전송하는 타방의 전송선로에 혼입되어, 양자의 전기적인 결합이 증대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신호의 전송선로에 혼입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쌍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은,
제 1 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쌍으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1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2 콘택트와,
상기 제 1 기판의 주면(主面)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2 콘택트를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1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保持)하는 제 1 보지부와, 상기 제 2 콘택트와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하는 제 2 보지부를 갖는 절연성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2 콘택트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상기 제 1 보지부와 상기 제 2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에 보지되며 상기 제 1 기판에 접지되는 도전성의 제 1 구획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嵌合)되면 상기 제 1 콘택트와 접촉하는 도전성의 제 3 콘택트와,
상기 제 2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2 콘택트와 접촉하는 도전성의 제 4 콘택트와,
상기 제 2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3 콘택트 및 상기 제 4 콘택트를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2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3 콘택트와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하는 제 3 보지부와, 상기 제 4 콘택트와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하는 제 4 보지부를 갖는 절연성의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3 콘택트 및 상기 제 4 콘택트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상기 제 3 보지부와 상기 제 4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보지되며 상기 제 2 기판에 접지되는 도전성의 제 2 구획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2 콘택트 및 상기 제 4 콘택트로부터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3 콘택트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2 구획벽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 3 보지부와 상기 제 4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상기 제 1 구획벽이 구획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구획벽은 상기 제 1 기판에 접하는 제 1 단부를 갖고,
상기 제 1 단부에는, 상기 제 1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그라운드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2 구획벽은 상기 제 2 기판에 접하는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제 2 단부에는, 상기 제 2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그라운드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콘택트로부터 상기 제 1 콘택트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1 구획벽이 배설(配設)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4 콘택트로부터 상기 제 3 콘택트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2 구획벽이 배설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2 구획벽이 접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2 구획벽이 맞물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2 구획벽은,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3 콘택트에서 보아, 상기 제 1 구획벽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콘택트가 이중으로 포위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이 맞물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1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 2 구획벽과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2 연결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기판의 주면의 법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이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기판의 주면의 법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인,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구획벽,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콘택트를 포위하는 환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획벽,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2 콘택트를 포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될 때 상기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보지부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상기 제 1 보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4 보지부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상기 제 3 보지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에서는, 제 1 커넥터가 제 1 콘택트와 제 2 콘택트를 구획하는 도전성의 제 1 구획벽을 구비하고, 제 2 커넥터가 제 3 콘택트와 제 4 콘택트를 구획하는 도전성의 제 2 구획벽을 구비한다.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제 2 콘택트 및 제 4 콘택트로부터 제 1 콘택트 및 제 3 콘택트가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이 형성되지 않은 제 3 보지부와 제 4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제 1 구획벽이 구획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구획벽과 제 2 구획벽으로 상보하도록 하여, 제 2, 제 4 콘택트 또는 제 1, 제 3 콘택트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신호의 전송선로에 혼입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2b는 도 1a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3a는 제 1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 1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그 1이다.
도 3c는 제 1 콘택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d는 제 1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그 2이다.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 중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는 부분을 발출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기판에 있어서의 신호 전극 및 그라운드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7b는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8a는 제 3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제 3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그 1이다.
도 8c는 제 3 콘택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d는 제 3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그 2이다.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 중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는 부분을 발출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기판에 있어서의 신호 전극 및 그라운드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하기 직전의 A-A선, B-B선 사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하기 직전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5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콘택트와 제 3 콘택트가 감합된 경우의 그 주변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플러그 커넥터 중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는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했을 때의 도 1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에 있어서의 제 1 구획벽 및 제 2 구획벽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a는 제 1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b는 제 2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a는 리셉터클 커넥터 중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는 부분을 발출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b는 플러그 커넥터 중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는 부분을 발출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a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마주보게 한 상태의 도 21a의 D-D선 단면도 및 도 21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4b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의 도 21a의 D-D선 단면도 및 도 21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a는 도 25a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26b는 도 25a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27a는 도 25b의 플러그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27b는 도 25b의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28은 도 25a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도 25b의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은, 도 1a에 도시된 제 1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a)와, 도 1b에 도시된 제 2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b)를 구비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b)는 제 2 기판(2b)의 주면에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주면이란, 제 1 기판(2a), 제 2 기판(2b)에 있어서, 회로 패턴이 형성되며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면으로서, 기판 표면 중 면적이 가장 큰 한 쌍의 면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면내 방향을 x1축 방향 및 y1축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z1축 방향으로 하는 3축 직교 좌표계를 규정한다. 여기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a)의 길이 방향을 x1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면내 방향을 x2축 방향 및 y2축 방향으로 하고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z2축 방향으로 하는 3축 직교 좌표계를 규정한다. 여기서는, 플러그 커넥터(1b)의 길이 방향을 x2축 방향으로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 커넥터 쌍(1)이 구성되고, 제 1 기판(2a)의 전자 회로와 제 2 기판(2b)의 전자 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a)는 도전성 부재인 제 1 콘택트(10a)와, 도전성 부재인 제 2 콘택트(10b)와, 절연성 부재인 제 1 하우징(11a)과, 도전성 부재인 제 1 구획벽(12a)과, 도전성 부재인 제 1 외벽(13a)과, 도전성 부재인 제 3 외벽(13c)을 구비한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10a)는, 예컨대 금속 부재이고,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판 형상이며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제 1 콘택트(10a)의 일단에는 기판 접속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21a)는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에 납땜된다.
제 1 콘택트(10a)의 상승부(22a)는 기판 접속부(21a)로부터 90도 구부러져 +z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승부(22a)의 중간은 확폭되어 있고, 그 부분에서 제 1 하우징(11a)에 걸림 고정된다. 상승부(22a)는 그 +z 단에서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그 앞에 +z 측을 향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U자 형상의 쌍 콘택트 접촉부(2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쌍 콘택트 접촉부(23a)에, 플러그 커넥터(1b)의 제 3 콘택트(10c)의 쌍 콘택트 접촉부(23b)(도 8a 참조)가 끼워진다. 쌍 콘택트 접촉부(23a)에는, 제 2 콘택트(10b)의 오목부(24b)(도 8a 참조)에 끼워지는 볼록부(24a)가 마련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10a)는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길이 방향(장변)이 y1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서 보았을 때」 또는 「~에서 보아」라고 하는 표현은, 대상 물체에 대한 시선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대상 물체의 겉보기 구조를 설명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a)에는, 제 1 콘택트(10a)로서, 한 쌍의 콘택트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콘택트(10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을 따라 x1축 방향의 양단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제 2 콘택트(10b)의 형상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제 1 콘택트(10a)의 형상과 동일하다. 제 2 콘택트(10b)에서도, 제 1 콘택트(10a)와 마찬가지로, 기판 접속부(21a)가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에 납땜된다. 제 2 콘택트(10b)는, z1축 방향에서 보아, 그 길이 방향이 y1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 제 2 콘택트(10b)는 x1축 방향의 중앙부에 4개 배열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제 2 콘택트(10b)는 x1축 방향으로 2개 나열되고 y1축 방향으로 2개 나열되어 2×2의 행렬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콘택트(10b)끼리의 간격이 제 2 콘택트(10b)와 제 1 콘택트(10a)의 간격보다 짧아지도록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의 각각의 위치 관계가 규정되어 있다.
제 1 하우징(11a)은, 리셉터클 커넥터(1a)의 모체가 되는 x1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부재이다. 제 1 하우징(11a)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수지가 사용된다. 제 1 하우징(11a)에는, 제 1 기판(2a)에 면하는 배면과, 감합 시에 플러그 커넥터(1b)에 면하는 전면을 갖는다.
제 1 하우징(11a)은 제 1 기판(2a)의 면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각 영역에 각각 콘택트의 보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11a)은 제 1 콘택트(10a)를 보지하는 제 1 보지부(20a)와, 제 2 콘택트(10b)를 보지하는 제 2 보지부(20b)를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x1축 방향을 따라, 제 2 보지부(20b)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제 1 보지부(20a)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보지부(20b)는 x1축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그 x1축 방향의 양단에 제 1 보지부(20a)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하우징(11a)에는, 제 1 콘택트(10a), 제 2 콘택트(10b) 및 제 1 구획벽(12a)을 압입하여 보지하기 위한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a)에는, 플러그 커넥터(1b)와 감합했을 때 플러그 커넥터(1b)의 구성요소가 파고 들어가기 위한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나아가, 제 1 하우징(11a)에는, 제 1 콘택트(10a), 제 2 콘택트(10b)와 신호 전극(40)과의 접속을 확인하기 위한 공극도 마련되어 있다.
제 1 구획벽(12a)은, 예컨대 금속의 부재이며,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를 구획하도록 제 1 하우징(11a)에 보지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획벽(12a)은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도록 제 1 하우징(11a)에 보지된다. 제 2 보지부(20b)의 x1축 방향의 양단에 제 1 보지부(20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구획벽(12a)은 제 2 보지부(20b)의 x1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 1 구획벽(12a)은 각각 y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를 구획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획벽(12a)은 제 1 기판(2a)에 접하는 제 1 단부(30a)를 갖는다. 제 1 단부(30a)에는, 제 1 기판(2a)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되는 제 1 그라운드 접속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즉, 제 1 구획벽(12a)은 제 1 기판(2a)에 접지된다.
제 1 구획벽(12a)에는 걸림 고정부(15a)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5a)는, 제 1 구획벽(12a)의 y1축 방향의 중앙부에서, 벽으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하우징(11a),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를 사방에서 포위하도록 배치된 제 1 쉘(50a)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쉘(50a)은, 예컨대 금속의 부재이며, 제 1 외벽(13a)과 제 3 외벽(13c)은 제 1 쉘(50a)의 일부이다. 제 1 쉘(50a)은 제 1 콘택트(10a)와 절연된 상태로 제 1 보지부(20a)에 의해 보지되고, 제 2 콘택트(10b)와 절연된 상태로 제 2 보지부(20b)에 의해 보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쉘(50a)이 제 1 외주 포위벽에 대응한다.
제 1 외벽(13a)은, 제 1 쉘(50a) 중에서,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a)과 함께 제 1 보지부(20a)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외벽(13a)은, 제 1 구획벽(12a)에 대향하는 대향벽과, 그 대향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 3 외벽(13c)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한다. 이 대향벽 및 측벽, 그리고 제 1 구획벽(12a)에 의해, 제 1 콘택트(10a)가 포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은 제 1 기판(2a)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된다. 즉, 제 1 외벽(13a)은 제 1 기판(2a)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은,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콘택트(10a)의 기판 접속부(21a)의 단부를 포함한 외형보다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콘택트(10a) 전체가 접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2a)에는 신호 전극(40)과 그라운드 전극(41)이 마련되어 있다. 신호 전극(40)의 배설 장소가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의 배설 장소(도 2b 참조)에 대응하고, 그라운드 전극(41)의 배설 장소가 제 1 구획벽(12a) 및 제 1 외벽(13a)의 배설 장소에 대응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쉘(50a)은 제 1 구획벽(12a)과 제 1 외벽(13a)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1 연결부(14a)를 갖는다. 제 1 연결부(14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법선(z1축 방향의 직선)과 교차하는 판상의 부재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14a)는 제 1 기판(2a)으로부터 먼 쪽에서 제 1 구획벽(12a)과 제 1 외벽(13a)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 1 구획벽(12a),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에 의해, 제 1 콘택트(10a)를 포위하는 환상(프레임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 환상의 볼록부는 제 1 콘택트(10a)와 외부 사이의 전자파 차폐재로서 기능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외벽(13c)은 z1축 방향에서 보아 제 1 외벽(13a)과 일체화되어 제 1 하우징(11a)을 사방에서 둘러싸고 있다. 제 3 외벽(13c)은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a)과 함께 제 1 하우징(11a)의 제 2 보지부(20b)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3 외벽(13c)은 한 쌍의 제 1 외벽(13a)끼리를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에는 걸림 고정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6a)는, 그 벽 본체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대향벽의 2개소, 측벽에 1개소씩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3 외벽(13c)에 걸림 고정부(16a)가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 1 외벽(13a)에는 탄성 접촉부(18c)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8c)는 제 1 구획벽(12a)의 벽 본체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외벽(13c)에는, 탄성 접촉부(18d)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8d)는, 제 3 외벽(13c)의 벽 본체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x1축 방향의 중앙에 1개소씩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제 1 콘택트(10a)와 제 2 콘택트(10b) 사이가 제 1 구획벽(12a)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1 콘택트(10a)가 제 1 외벽(13a) 및 제 1 구획벽(12a)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이고, 제 2 콘택트(10b)가 제 3 외벽(13c) 및 제 1 구획벽(12a)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여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제 2 콘택트(10b)로부터 제 1 콘택트(10a)의 대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제 1 구획벽(12a)이 배설되어 있다. 특히, 제 1 구획벽(12a)은 제 2 콘택트(10b)의 기판 접속부(21a)로부터 제 1 콘택트(10a)의 기판 접속부(21a)가 보이지 않도록 배설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1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b)는 도전성 부재인 제 3 콘택트(10c)와, 도전성 부재인 제 4 콘택트(10d)와, 절연성 부재인 제 2 하우징(11b)과, 도전성 부재인 제 2 구획벽(12b)과, 도전성 부재인 제 2 외벽(13b)과, 도전성 부재인 제 4 외벽(13d)을 구비한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콘택트(10c)는, 예컨대 금속 부재이며,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판 형상이며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제 3 콘택트(10c)의 일단에는 기판 접속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접속부(21b)는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에 납땜된다.
제 3 콘택트(10c)의 상승부(22b)는 기판 접속부(21b)로부터 90도 구부러져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3 콘택트(10c)의 타단은 해당 상승부(22b)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서, 기판 접속부(21b)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부분에, 쌍 콘택트 접촉부(23b)가 마련되어 있다. 쌍 콘택트 접촉부(23b)에는, 제 1 콘택트(10a)의 볼록부(24a)(도 3b 참조)에 끼워지는 오목부(24b)가 마련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콘택트(10c)는 z2축 방향에서 보아 그 길이 방향이 y2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b)에는, 제 3 콘택트(10c)로서, 한 쌍의 콘택트가 마련되어 있다. 제 3 콘택트(10c)는 제 2 기판(2b)의 주면을 따라 x2축 방향의 양단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제 4 콘택트(10d)의 형상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제 3 콘택트(10c)의 형상과 동일하다. 제 4 콘택트(10d)에서도, 제 3 콘택트(10c)와 마찬가지로, 기판 접속부(21b)가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에 납땜된다. 제 4 콘택트(10d)는, z2축 방향에서 보아, 그 길이 방향이 y2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b)에서, 제 4 콘택트(10d)는 x2축 방향의 중앙부에 4개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제 4 콘택트(10d)는, x2축 방향으로 2개씩 나열되고 y2축 방향으로 2개씩 나열되어 2×2의 행렬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하우징(11b)은 플러그 커넥터(1b)의 모체가 되는 x1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부재이다. 제 2 하우징(11b)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수지가 사용된다. 제 2 하우징(11b)은 제 2 기판(2b)에 면하는 배면과, 감합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a)에 면하는 전면을 갖는다.
제 2 하우징(11b)은 제 2 기판(2b)의 면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각 영역에 각각 콘택트의 보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11b)은 제 3 콘택트(10c)를 보지하는 제 3 보지부(20c)와, 제 4 콘택트(10d)를 보지하는 제 4 보지부(20d)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x2축 방향을 따라, 제 4 보지부(20d)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제 3 보지부(20c)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4 보지부(20d)가 x2축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그 x2축 방향의 양단에 제 3 보지부(20c)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하우징(11b)에는, 제 3 콘택트(10c), 제 4 콘택트(10d) 및 제 2 구획벽(12b)을 압입하여 보지하기 위한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1b)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a)와 감합할 때 리셉터클 커넥터(1a)의 구성요소가 파고 들어가기 위한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나아가, 제 2 하우징(11b)에는, 제 3 콘택트(10c), 제 4 콘택트(10d)와 신호 전극(40)과의 접속을 확인하기 위한 공극도 마련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구획벽(12b)은, 예컨대 금속의 부재이며,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를 구획하도록 제 2 하우징(11b)에 보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획벽(12b)은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도록 제 2 하우징(11b)에 보지된다(도 10 참조). 제 4 보지부(20d)의 x2축 방향의 양단에 제 3 보지부(20c)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구획벽(12b)은 제 4 보지부(20d)의 x2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 2 구획벽(12b)은 각각 y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를 구획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구획벽(12b)에는 걸림 고정부(15b)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5b)는 제 2 구획벽(12b)의 y2축 방향의 중앙부에서 벽면에 대해 움푹 들어간 부분이다.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z2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하우징(11b),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를 사방에서 포위하도록 배치된 제 2 쉘(50b)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쉘(50b)은, 예컨대 금속의 부재이며, 제 2 외벽(13b)과 제 4 외벽(13d)은 제 2 쉘(50b)의 일부이다. 제 2 쉘(50b)은 리셉터클 커넥터(1a)의 제 1 쉘(50a)의 외주 부분과 접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 2 쉘(50b)은 제 3 콘택트(10c)와 절연된 상태로 제 3 보지부(20c)에 의해 보지되고, 제 4 콘택트(10d)와 절연된 상태로 제 4 보지부(20d)에 의해 보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쉘(50b)이 제 2 외주 포위벽에 대응한다.
제 2 외벽(13b)은, 제 2 쉘(50b) 중에서,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구획벽(12b)과 함께 제 3 보지부(20c)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은 제 2 구획벽(12b)에 대향하는 대향벽과, 그 대향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 2 구획벽(12d)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한다. 이 대향벽 및 측벽, 그리고 제 2 구획벽(12b)에 의해, 제 3 콘택트(10c)가 포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은 제 2 기판(2b)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된다. 즉, 제 2 외벽(13b)은 제 2 기판(2b)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은, z2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3 콘택트(10c)의 기판 접속부(21a)의 단부를 포함한 외형보다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콘택트(10c) 전체가 접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쉘(50b)은 제 2 구획벽(12b)과 제 2 외벽(13b)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2 연결부(14b)를 갖는다. 제 2 연결부(14b)는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z2축 방향)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이다. 제 2 연결부(14b)는 제 2 기판(2b)에 접해 있기 때문에, 제 2 구획벽(12b), 제 2 외벽(13b) 및 제 2 연결부(14b)에 의해, 제 3 콘택트(10c)를 포위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b)와 리셉터클 커넥터(1a)가 감합되면, 이 오목부에, 리셉터클 커넥터(1a)의 제 1 구획벽(12a),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볼록부가 끼워진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외벽(13d)은 z2축 방향에서 보아 제 2 외벽(13b)과 일체화되어 제 2 하우징(11b)을 사방에서 둘러싸고 있다. 제 4 외벽(13d)은 z2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구획벽(12b)과 함께 제 2 하우징(11b)의 제 4 보지부(20d)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4 외벽(13d)은 한 쌍의 제 2 외벽(13b)끼리를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에는, 걸림 고정부(16b)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6b)는 그 벽 본체에 대해 움푹 들어가 있으며, 대향벽의 2개소, 측벽에 1개소씩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4 외벽(13d)에 걸림 고정부(16b)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판(2b)에는 신호 전극(40) 및 그라운드 전극(41)이 마련되어 있다. 신호 전극(40)의 배설 장소가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의 배설 장소에 대응하고, 그라운드 전극(41)의 배설 장소가 제 2 구획벽(12b) 및 제 2 외벽(13b) 및 제 4 외벽(13d)의 배설 장소에 대응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제 3 콘택트(10c)와 제 4 콘택트(10d) 사이가 제 2 구획벽(12b)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3 콘택트(10c)가 제 2 외벽(13b) 및 제 2 구획벽(12b)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이고, 제 4 콘택트(10d)가 제 4 외벽(13d) 및 제 2 구획벽(12b)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여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3 콘택트(10c)가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12b)이 배설되어 있다. 특히, 제 2 구획벽(12b)은 제 4 콘택트(10d)의 기판 접속부(21a)로부터 제 3 콘택트(10c)의 기판 접속부(21a)가 보이지 않도록 배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동작을 나타내는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제 1 기판(2a) 및 제 2 기판(2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축 방향과 +z2축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를 마주보게 한다. 또한, 제 2 쉘(50b)의 내주에 제 1 쉘(50a)이 들어가게 하면, 제 1 구획벽(12a),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로 형성되는 환상(프레임 형상)의 볼록부와, 제 2 외벽(13b) 및 제 2 연결부(14b)로 형성되는 오목부와의 위치가 맞춰진다. 이 볼록부와 오목부의 안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b)와 리셉터클 커넥터(1a)를 감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걸림 고정부(16a)와 걸림 고정부(16b)가 맞물린다. 또한, 탄성 접촉부(18c)가 제 2 외벽(13b)에 가압되어 접촉하고, 탄성 접촉부(18d)가 제 4 외벽(13d)에 가압되어 접촉한다.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콘택트(10a)와 제 3 콘택트(10c)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 → 제 1 콘택트(10a) → 제 3 콘택트(10c) →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이라는 신호의 전송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 마찬가지로, 제 2 콘택트(10b)와 제 4 콘택트(10d)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 → 제 2 콘택트(10b) → 제 4 콘택트(10d) →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이라는 신호의 전송선로가 형성된다.
나아가,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획벽(12a)과 제 2 구획벽(12b)은 x1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와,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의 사이는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는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가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12b)이 형성되지 않은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와의 경계의 일부를, 제 1 구획벽(12a)이 구획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 혼입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의 전자파 노이즈의 누출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구획벽(12b)은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에서 보아 제 1 구획벽(12a)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에서 보아, 제 1 외벽(13a)과 제 2 외벽(13b)이 이중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의 혼입되는 전자파 노이즈의 성분을 더욱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에 혼입되는 전자파 노이즈의 성분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구획벽(12a)의 걸림 고정부(15a)와 제 2 구획벽(12b)의 걸림 고정부(15b)가 맞물리고, 제 1 외벽(13a)의 걸림 고정부(16a)와 제 2 외벽(13b)의 걸림 고정부(16b)가 맞물린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의 감합력(嵌合力)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제 1 외벽(13a)과 제 2 외벽(13b)이 도통하기 때문에, 이들이 전자파 노이즈를 붙잡기 쉬워진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에서 보아, 제 3 외벽(13c)과 제 4 외벽(13d)이 이중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 혼입되는 전자파 노이즈의 성분을 더욱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의 성분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은,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를 구비하는 점은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과 동일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b')는 제 2 구획벽(12b) 대신에 도전성 부재인 제 2 구획벽(12b')을 구비한다.
제 2 구획벽(12b')은, 제 2 구획벽(12b)과 마찬가지로,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를 구획하도록 제 2 하우징(11b)에 보지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구획벽(12b')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구획벽(12b')은 제 2 외벽(13b) 또는 제 4 외벽(13d)에 연결될 필요는 없다. 즉, 제 2 구획벽(12b')은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도록 제 2 하우징(11b)에 보지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구획벽(12b')은 제 2 기판(2b)에 접하는 제 2 단부(30b)를 갖는다. 제 2 단부(30b)에는, 제 2 기판(2b)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되는 제 2 그라운드 접속부(31b)가 마련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는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가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12b')이 형성되지 않은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와의 경계의 일부를 제 1 구획벽(12a)이 구획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 혼입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의 전자파 노이즈의 누출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은, 리셉터클 커넥터(1a) 및 플러그 커넥터(1b)를 구비하는 점은 상기 실시형태 1,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과 동일하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a)가 제 1 구획벽(12a) 대신에 제 1 구획벽(12c)을 구비하고, 플러그 커넥터(1b)가 제 2 구획벽(12b) 대신에 제 2 구획벽(12d)을 구비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제 1 구획벽(12c)은, x1축 측에서 보아, y1축 방향의 중앙 부분이 절결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제 2 구획벽(12d)은 x2축 측에서 보아, y2축 방향의 중앙 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구획벽(12c)과 제 2 구획벽(12d)도 감합되어, y1, y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1장의 구획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 1 구획벽(12c) 및 제 2 구획벽(12d)은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가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구획벽(12c)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구획벽(12a)과 마찬가지로 제 1 외벽(13a)과 연결될 수도 있고,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 2 구획벽(12d)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구획벽(12b)과 마찬가지로 제 2 외벽(13b)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 2 구획벽(12b') 마찬가지로 제 2 외벽(13b)과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 1 구획벽(12c)은, 제 2 콘택트(10b)로부터 제 1 콘택트(10a)가 보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제 2 구획벽(12d)은,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3 콘택트(10c)가 보이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1 구획벽(12c)과 제 2 구획벽(12d)이 감합되면, 1장의 구획벽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은 제 1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c)와, 제 2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d)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c)는 제 1 기판(2a)의 주면에 실장되고, 플러그 커넥터(1d)는 제 2 기판(2b)의 주면에 실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c)는 도전성 부재인 제 1 콘택트(10a')와, 도전성 부재인 제 2 콘택트(10b')와, 절연성 부재인 제 1 하우징(11a')과, 도전성 부재인 제 1 구획벽(12e)과, 도전성 부재인 제 1 외벽(13a')과, 도전성 부재인 제 3 외벽(13c')을 구비한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10a')는, 기판 접속부(21a), 상승부(22a), 쌍 콘택트 접촉부(23a), 및 볼록부(24a)를 구비하는 점은 제 1 콘택트(10a)(도 3a)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제 1 콘택트(10a')에서는, 상승부(22a)를 기준으로 하여, 기판 접속부(21a)가 연장되는 방향이 제 1 콘택트(10a)와 역방향이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10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을 따라 x1축 방향의 양단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제 2 콘택트(10b')의 구성은 제 1 콘택트(10a')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2 콘택트(10b')는 z1축 방향에서 보아 그 길이 방향이 y1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콘택트(10b')의 배치는 전술한 제 2 콘택트(10b)의 배치(도 4 참조)와 동일하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a')은 제 1 콘택트(10a)를 보지하는 제 1 보지부(20a)와, 제 2 콘택트(10b)를 보지하는 제 2 보지부(20b)를 갖는다. 제 2 보지부(20b)가 x1축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그 x1축 방향의 양단에 제 1 보지부(20a)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획벽(12e)은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를 구획하도록 제 1 하우징(11a')에 보지되어 있다. 제 2 보지부(20b)의 x1축 방향의 양단에 제 1 보지부(20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구획벽(12e)은 제 2 보지부(20b)의 x1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 1 구획벽(12e)은 각각 y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를 구획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획벽(12e)에는 탄성 접촉부(18a)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8a)는 판상 부재로서, 제 1 구획벽(12e)에서, 본체로부터 굴곡하여 돌출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c)에서는, z1축 방향에서 보아 제 1 하우징(11a')을 사방에서 둘러싸는 제 1 쉘(50a')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쉘(50a')은, 예컨대 금속의 부재이며, 제 1 외벽(13a')과 제 3 외벽(13c')은 제 1 쉘(50a')의 일부이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은, 제 1 쉘(50a') 중에서,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e)과 함께 제 1 보지부(20a)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외벽(13a')은 제 1 구획벽(12e)에 대향하는 대향벽과, 그 대향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 3 외벽(13c')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한다. 이 대향벽 및 측벽, 그리고 제 1 구획벽(12e)에 의해, 제 1 콘택트(10a)가 포위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은 제 1 기판(2a)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되는 제 1 그라운드 접속부(31a')를 갖는다. 즉, 제 1 외벽(13a')은 제 1 기판(2a)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쉘(50a')은 제 1 구획벽(12e)과 제 1 외벽(13a')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1 연결부(14a)를 갖는다. 제 1 연결부(14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법선(z1축 방향의 직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이다. 제 1 연결부(14a)는 제 1 기판(2a)으로부터 먼 쪽에서 제 1 구획벽(12e)과 제 1 외벽(13a')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 1 구획벽(12e),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에 의해, 제 1 콘택트(10a')를 포위하는 환상(프레임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 환상의 볼록부는 제 1 콘택트(10a')와 외부 사이의 전자파 차폐재로서 기능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외벽(13c')은 z1축 방향에서 보아 제 1 외벽(13a')과 일체화되어 제 1 하우징(11a')을 사방에서 둘러싸고 있다. 제 3 외벽(13c')은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e)과 함께 제 1 하우징(11a)의 제 2 보지부(20b)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3 외벽(13c')은 한 쌍의 제 1 외벽(13a')끼리를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 21a 및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에는 걸림 고정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6a)는, 그 벽 본체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측벽에 1개소씩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3 외벽(13c')에는 걸림 고정부(16a)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외벽(13a')에는 탄성 접촉부(18b)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8b)는 판상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제 1 외벽(13a)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c)에서는, 제 1 콘택트(10a')와 제 2 콘택트(10b') 사이가 제 1 구획벽(12e)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1 콘택트(10a')가 제 1 외벽(13a') 및 제 1 구획벽(12e)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이고, 제 2 콘택트(10b')가 제 3 외벽(13c') 및 제 1 구획벽(12e)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여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c)에서는, 제 2 콘택트(10b')로부터 제 1 콘택트(10a')의 대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제 1 구획벽(12e)이 배설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1d)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d)는 도전성 부재인 제 3 콘택트(10c')와, 도전성 부재인 제 4 콘택트(10d')와, 절연성 부재인 제 2 하우징(11b')과, 도전성 부재인 제 2 구획벽(12f)과, 도전성 부재인 제 2 외벽(13b')을 구비한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콘택트(10c')는, 기판 접속부(21b), 상승부(22b), 쌍 콘택트 접촉부(23b) 및 오목부(24b)를 구비하는 점은 제 3 콘택트(10c)(도 8b)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콘택트(10c')는 제 2 기판(2b)(도 21b 참조)의 주면을 따라 x2축 방향의 양단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제 4 콘택트(10d')의 구성은 제 3 콘택트(10c')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4 콘택트(10d')는, z2축 방향에서 보아, 그 길이 방향이 y2축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4 콘택트(10d')의 배치는 전술한 제 4 콘택트(10d)의 배치(도 9 참조)와 동일하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1b')은 제 3 콘택트(10c')를 보지하는 제 3 보지부(20c)와, 제 4 콘택트(10d')를 보지하는 제 4 보지부(20d)를 갖는다. 제 4 보지부(20d)가 x2축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그 x2축 방향의 양단에 제 3 보지부(20c)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획벽(12f)은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를 구획하도록 제 2 하우징(11b')에 보지되어 있다. 제 4 보지부(20d)의 x2축 방향의 양단에 제 3 보지부(20c)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구획벽(12f)은 제 4 보지부(20d)의 x2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 2 구획벽(12f)은 각각 y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를 구획한다.
플러그 커넥터(1d)에서는, z2축 방향에서 보아 제 2 하우징(11b)을 사방에서 둘러싸는 예컨대 금속의 부재인 제 2 쉘(50b')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외벽(13b')은 제 2 쉘(50b')의 일부이다. 제 2 쉘(50b')은 리셉터클 커넥터(1c)의 제 1 쉘(50a')의 외주 부분과 접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 2 외벽(13b')은, 제 2 쉘(50b') 중에서,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구획벽(12f)과 함께 제 3 보지부(20c)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은 제 2 구획벽(12f)에 대향하는 대향벽과, 그 대향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 2 구획벽(12f)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한다. 이 대향벽 및 측벽, 그리고 제 2 구획벽(12f)에 의해, 제 3 콘택트(10c')가 포위된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은 제 2 기판(2b)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된다. 즉, 제 2 외벽(13b')은 제 2 기판(2b)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제 2 외벽(13b')은 z2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3 콘택트(10c')의 기판 접속부(21a)의 단부를 포함한 외형보다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콘택트(10c') 전체가 접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쉘(50b')에서는 제 2 구획벽(12f)과 제 2 외벽(13b')이 연결되어 있다. 제 2 구획벽(12f) 및 제 2 외벽(13b')에 의해, 제 3 콘택트(10c')를 포위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d)와 리셉터클 커넥터(1c)가 감합되면, 이 오목부에, 리셉터클 커넥터(1c)의 제 1 구획벽(12e),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볼록부가 끼워진다.
제 2 외벽(13b')에는 걸림 고정부(16b)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6b)는 그 벽 본체에 대해 움푹 들어간 부분이며, 측벽에 1 개소씩 마련되어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d)에서는, 제 3 콘택트(10c')와 제 4 콘택트(10d') 사이가 제 2 구획벽(12f)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3 콘택트(10c')가 제 2 외벽(13b') 및 제 2 구획벽(12f)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여 있다. 플러그 커넥터(1d)에서는,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3 콘택트(10c')의 대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12f)이 배설되어 있다. 특히, 제 2 구획벽(12f)은 제 4 콘택트(10d')의 기판 접속부(21a)로부터 제 3 콘택트(10c')의 기판 접속부(21a)가 보이지 않도록 배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축 방향과 +z2축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c)와 플러그 커넥터(1d)를 마주보게 한다. 또한, 제 2 쉘(50b')의 내주에 제 1 쉘(50a')이 들어가게 하면, 제 1 구획벽(12e),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로 형성되는 환상(프레임 형상)의 볼록부와, 제 2 구획벽(12f) 및 제 2 외벽(13b')으로 형성되는 오목부의 위치가 맞춰진다. 이 볼록부와 오목부의 안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d)와 리셉터클 커넥터(1c)를 감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 고정부(16a)(도 23a 참조)와 걸림 고정부(16b)(도 23b 참조)가 맞물린다. 또한, 제 1 구획벽(12e)의 탄성 접촉부(18a)가 제 2 구획벽(12f)에 가압되어 접촉하고, 제 1 외벽(13a')의 탄성 접촉부(18b)가 제 2 외벽(13b')에 가압되어 접촉한다.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c)와 플러그 커넥터(1d)가 감합되면, 제 1 콘택트(10a')와 제 3 콘택트(10c')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 → 제 1 콘택트(10a') → 제 3 콘택트(10c') →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이라는 신호의 전송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c)와 플러그 커넥터(1d)가 감합되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 마찬가지로, 제 2 콘택트(10b')와 제 4 콘택트(10d')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 → 제 2 콘택트(10b') → 제 4 콘택트(10d') →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이라는 신호의 전송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c)와 플러그 커넥터(1d)가 감합되면, 제 1 구획벽(12e)과 제 2 구획벽(12f)은 x1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와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의 사이는 제 1 구획벽(12e) 및 제 2 구획벽(12f)에 의해 이중으로 구획된다. 제 1 구획벽(12e) 및 제 2 구획벽(12f)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는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 혼입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의 전자파 노이즈의 누출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은 제 1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e)와, 제 2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f)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e)는 제 1 기판(2a)의 주면에 실장되고, 플러그 커넥터(1f)는 제 2 기판(2b)의 주면에 실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e)는 도전성 부재인 제 1 콘택트(10a)와, 도전성 부재인 제 2 콘택트(10b)와, 절연성 부재인 제 1 하우징(11a")과, 도전성 부재인 제 1 구획벽(12g)과, 도전성 부재인 제 1 외벽(13a")과, 도전성 부재인 제 3 외벽(13c")을 구비한다.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의 구성, 형상 및 배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a)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의 구성, 형상 및 배치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의 크기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1 콘택트(10a) 및 제 2 콘택트(10b)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콘택트(10a)는 제 2 콘택트(10b)보다 x1축 방향의 폭이 작게 되어 있다.
제 1 구획벽(12g)은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를 구획하도록 제 1 하우징(11a")에 보지되어 있다. 제 2 보지부(20b)의 x1축 방향의 양단에 제 1 보지부(20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구획벽(12g)은 제 2 보지부(20b)의 x1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 1 구획벽(12g)은 각각 y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를 구획한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획벽(12g)에는 탄성 접촉부(18c)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8c)는 제 1 구획벽(12g)의 벽 본체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e)에서는, z1축 방향에서 보아 제 1 하우징(11a")을 사방에서 둘러싸는 제 1 쉘(50a")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쉘(50a")은, 예컨대 금속의 부재이며, 제 1 외벽(13a")과 제 3 외벽(13c")은 제 1 쉘(50a")의 일부이다.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은, 제 1 쉘(50a") 중에서, z1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g)과 함께 제 1 보지부(20a)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외벽(13a")은 제 1 구획벽(12g)에 대향하는 대향벽과, 그 대향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 3 외벽(13c")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한다. 이 대향벽 및 측벽, 그리고 제 1 구획벽(12g)에 의해, 제 1 콘택트(10a)가 포위된다.
제 1 외벽(13a")은 제 1 기판(2a)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된다. 즉, 제 1 외벽(13a")은 제 1 기판(2a)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쉘(50a")은 제 1 구획벽(12g)과 제 1 외벽(13a")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1 연결부(14a)를 갖는다. 제 1 연결부(14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법선(z1축 방향의 직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이다. 제 1 연결부(14a)는 제 1 기판(2a)으로부터 먼 쪽에서 제 1 구획벽(12g)과 제 1 외벽(13a")을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구획벽(12g),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에 의해, 제 1 콘택트(10a)를 포위하는 환상(프레임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 환상의 볼록부는 제 1 콘택트(10a)와 외부 사이의 전자파 차폐재로서 기능한다.
제 3 외벽(13c")은 z1축 방향에서 보아 제 1 외벽(13a")과 일체화되어 제 1 하우징(11a")을 사방에서 둘러싸고 있다. 제 3 외벽(13c")은 z1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g)과 함께 제 1 하우징(11a)의 제 2 보지부(20b)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 3 외벽(13c")은 한 쌍의 제 1 외벽(13a")끼리를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제 1 구획벽(12g) 및 제 1 외벽(13a")에는 탄성 접촉부(18d)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8d)는 그 벽 본체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y1축 방향의 중앙에 1개소씩 마련되어 있다.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벽(13a")에는, 걸림 고정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6a)는 그 벽 본체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e)에서는, 제 1 콘택트(10a)와 제 2 콘택트(10b) 사이가 제 1 구획벽(12g)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1 콘택트(10a)가 제 1 외벽(13a") 및 제 1 구획벽(12g)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이고, 제 2 콘택트(10b)가 제 3 외벽(13c") 및 제 1 구획벽(12g)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여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e)에서는, 제 2 콘택트(10b)로부터 제 1 콘택트(10a)가 보이지 않도록 제 1 구획벽(12g)이 배설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1f)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f)는 도전성 부재인 제 3 콘택트(10c)와, 도전성 부재인 제 4 콘택트(10d)와, 절연성 부재인 제 2 하우징(11b")과, 도전성 부재인 제 2 구획벽(12h)과, 도전성 부재인 제 2 외벽(13b")과, 도전성 부재인 제 4 외벽(13d")을 구비한다.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의 구성, 형상 및 배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a)의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의 구성, 형상 및 배치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의 크기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콘택트(10c)는 제 4 콘택트(10d)보다 x1축 방향의 폭이 작게 되어 있다.
제 2 하우징(11b")은 제 3 콘택트(10c)를 보지하는 제 3 보지부(20c)와, 제 4 콘택트(10d)를 보지하는 제 4 보지부(20d)를 갖는다. 제 4 보지부(20d)가 x2축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그 x2축 방향의 양단에 제 3 보지부(20c)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획벽(12h)은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를 구획하도록 제 2 하우징(11b')에 보지되어 있다. 제 4 보지부(20d)의 x2축 방향의 양단에 제 3 보지부(20c)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구획벽(12h)은 제 4 보지부(20d)의 x2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 2 구획벽(12h)은 각각 y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를 구획한다.
플러그 커넥터(1f)에서는, z2축 방향에서 보아 제 2 하우징(11b")을 사방에서 둘러싸는 예컨대 금속의 부재인 제 2 쉘(50b")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외벽(13b") 및 제 4 외벽(13d")은 제 2 쉘(50b")의 일부이다. 제 2 쉘(50b")은 리셉터클 커넥터(1a)의 제 1 쉘(50a")의 외주 부분과 접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벽(13b")은, 제 2 쉘(50b") 중에서,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구획벽(12h)과 함께 제 3 보지부(20c)를 포위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외벽(13b")은 제 2 구획벽(12h)에 대향하는 대향벽과, 그 대향벽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 2 구획벽(12h)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한다. 이 대향벽 및 측벽, 그리고 제 2 구획벽(12h)에 의해, 제 3 콘택트(10c)가 포위된다.
제 2 외벽(13b")은 제 2 기판(2b)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된다. 즉, 제 2 외벽(13b")은 제 2 기판(2b)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제 2 외벽(13b")은, z2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3 콘택트(10c)의 기판 접속부(21a)의 단부를 포함한 외형보다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콘택트(10c) 전체가 접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 2 쉘(50b")에서는, 제 2 구획벽(12h)과 제 2 외벽(13b")이 연결되어 있다. 제 2 구획벽(12h) 및 제 2 외벽(13b')으로, 제 3 콘택트(10c)를 포위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f)와 리셉터클 커넥터(1e)가 감합되면, 이 오목부에, 리셉터클 커넥터(1e)의 제 1 구획벽(12g),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로 형성되는 환상의 볼록부가 끼워진다.
제 2 외벽(13b")에는 걸림 고정부(16b)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6b)는, 그 벽 본체에 대해 움푹 들어가 있으며, 측벽에 1개소, 대향벽에 2개소 마련되어 있다.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f)에서는, 제 3 콘택트(10c)와 제 4 콘택트(10d) 사이가, 제 2 구획벽(12h)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제 3 콘택트(10c)가 제 2 외벽(13b") 및 제 2 구획벽(12h)으로 사방에서 둘러싸여 있다. 플러그 커넥터(1f)에서는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3 콘택트(10c)가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12h)이 배설되어 있다. 특히, 제 2 구획벽(12h)은 제 4 콘택트(10d)의 기판 접속부(21a)로부터 제 3 콘택트(10c)의 기판 접속부(21a)가 보이지 않도록 배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z1축 방향과 +z2축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e)와 플러그 커넥터(1f)를 마주보게 한다. 또한, 제 2 쉘(50b")의 내주에 제 1 쉘(50a")이 들어가게 하면, 제 1 구획벽(12g),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로 형성되는 환상(프레임 형상)의 볼록부와, 제 2 구획벽(12h) 및 제 2 외벽(13b")으로 형성되는 오목부와의 위치가 맞춰진다. 이 볼록부와 오목부의 안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f)와 리셉터클 커넥터(1e)를 감합시킬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e)와 플러그 커넥터(1f)가 감합되면, 걸림 고정부(16a)와 걸림 고정부(16b)가 맞물린다. 또한, 탄성 접촉부(18c)가 제 2 구획벽(12h) 및 제 3 외벽(13c")에 가압되어 접촉하고, 탄성 접촉부(18d)가 제 4 외벽(13d")에 가압되어 접촉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e)와 플러그 커넥터(1f)의 감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e)와 플러그 커넥터(1f)가 감합되면, 제 1 콘택트(10a)와 제 3 콘택트(10c)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 → 제 1 콘택트(10a) → 제 3 콘택트(10c) →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이라는 신호의 전송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e)와 플러그 커넥터(1f)가 감합되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 마찬가지로, 제 2 콘택트(10b)와 제 4 콘택트(10d)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2a)의 신호 전극(40) → 제 2 콘택트(10b) → 제 4 콘택트(10d) → 제 2 기판(2b)의 신호 전극(40)이라는 신호의 전송선로가 형성된다.
나아가, 리셉터클 커넥터(1e)와 플러그 커넥터(1f)가 감합되면, 제 1 구획벽(12g)과 제 2 구획벽(12h)은 x1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와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의 사이는 제 1 구획벽(12g) 및 제 2 구획벽(12h)에 의해 이중으로 구획된다. 제 1 구획벽(12g) 및 제 2 구획벽(12h)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는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 혼입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의 전자파 노이즈의 누출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는 제 1 콘택트(10a)와 제 2 콘택트(10b)를 구획하는 도전성의 제 1 구획벽(12a)을 구비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b)는 제 3 콘택트(10c)와 제 4 콘택트(10d)를 구획하는 도전성의 제 2 구획벽(12b)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구획벽(12a)과 제 2 구획벽(12b)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와의 사이를 구획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발생한 전자파 노이즈를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에서 반사하여, 그 전자파 노이즈가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 전송되는 전기 신호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호의 전송선로에 혼입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발생한 전자파 노이즈를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에서 반사하여, 그 전자파 노이즈가 제 3 콘택트(10c) 및 제 4 콘택트(10d)로 전송되는 전기 신호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제 1 콘택트(10a)와 제 2 콘택트(10b)는 제 1 구획벽(12a)으로 구획되어 있어서, 제 2 콘택트(10b)로부터 제 1 콘택트(10a)로의 전자파 노이즈의 혼입이 제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b)에서도, 제 3 콘택트(10c)와 제 4 콘택트(10d) 사이를 구획하는 제 2 구획벽(12b)을 구비하고, 제 1 구획벽(12a)으로는 막을 수 없는 부분을 제 2 구획벽(12b)으로 막음으로써, 전자파 노이즈의 통로를 막을 수 있어서, 전자파 노이즈의 혼입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가 보이지 않도록, 제 2 구획벽(12b)이 형성되지 않은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와의 경계의 일부를 제 1 구획벽(12a)이 구획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구획벽(12a)과 제 2 구획벽(12b)으로 상보하도록 하여, 제 2, 제 4 콘택트(10b, 10d) 또는 제 1, 제 3 콘택트(10a, 10c)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은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 제 3 보지부(20c)와 제 4 보지부(20d)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기만 하면 되므로,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제 2 구획벽(12b)이 제 2 쉘(50b)과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쉘(50b)로부터 전해지는 응력으로, 제 2 구획벽(12b)이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서는, 제 1 구획벽(12a)으로는 차폐가 곤란한 부분을 제 2 구획벽(12b)으로 차폐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파의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1~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제 1 구획벽(12a)과 제 2 구획벽(12b)이 감합 시에 접촉하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하면, 전자파의 차폐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 1 구획벽(12a)과 제 2 구획벽(12b)은 감합 시에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구획벽(12a)과 제 2 구획벽(12b)이 걸림 고정부(15a, 15b)에 의해 맞물린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의 감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양자가 탄성 접촉부(18c, 18d)에 의해 가압되어 접촉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의 감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2 구획벽(12b)은,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에서 보아, 제 1 구획벽(12a)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체의 벽을 이중으로 하여, 전자파 노이즈의 차폐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 의하면, 제 1 구획벽(12a)은 제 1 기판(2a)에 접하는 제 1 단부(30a)를 갖고, 제 1 단부(30a)에는, 제 1 기판(2a)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되는 제 1 그라운드 접속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구획벽(12a)에서 반사된 전자파 노이즈의 성분을 제 1 그라운드 접속부(31a)로부터 신속하게 빼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제 2 구획벽(12b)은 제 2 기판(2b)과 접하는 제 2 단부(30b)를 갖고, 제 2 단부(30b)에는 제 2 기판(2b)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되는 제 2 그라운드 접속부(31b)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구획벽(12a)에서 반사된 전자파 노이즈의 성분을 제 1 그라운드 접속부(31a)로부터 신속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a)과 함께 제 1 보지부(20a)를 포위하고, 제 1 기판(2a)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1 외벽(13a)을 갖는다. 나아가, 플러그 커넥터(1b)는,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구획벽(12b)과 함께 제 3 보지부(20c)를 포위하고, 제 2 기판(2b)의 그라운드 전극(41)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2 외벽(13b)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외부로부터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 전자파 노이즈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외부로 전자파 노이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에서 보아, 제 1 외벽(13a)과 제 2 외벽(13b)이 이중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체의 벽을 이중으로 하여, 전자파 노이즈의 차폐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1 외벽(13a)과 제 2 외벽(13b)이 맞물린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의 감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구획벽(12a)과 제 1 외벽(13a)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1 연결부(14a)를 갖는다. 또한, 제 2 구획벽(12b)과 제 2 외벽(13b)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2 연결부(14b)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획벽과 외벽을 연결하면, 전자파 노이즈의 차폐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연결부(14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법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이며, 제 2 연결부(14b)는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연결부(14a) 및 제 2 연결부(14b)를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의 전자파 차폐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구획벽(12a)과 제 3 외벽(13c)을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구획벽(12b)과 제 2 외벽(13b) 또는 제 4 외벽(13d)을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서는, 제 1 구획벽(12a), 제 1 외벽(13a) 및 제 1 연결부(14a)로, 제 1 콘택트(10a)를 포위하는 환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제 2 구획벽(12b), 제 2 외벽(13b) 및 제 2 연결부(14b)로, 제 2 콘택트(10b)를 포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될 때,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볼록부 및 오목부를,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를 감합했을 때의 가이드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한 쌍의 제 1 외벽(13a)끼리가 도전성 부재인 제 3 외벽(13c)에 의해 접속되고,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한 쌍의 제 2 외벽(13b)끼리가 도전성 부재인 제 4 외벽(13d)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한 쌍의 제 1 외벽(13a)끼리의 전위를 동일하게 하여, 한 쌍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를 흐르는 신호의 주위의 전계 및 자계의 환경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a)는, 제 1 기판(2a)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구획벽(12a)과 함께 제 2 보지부(20b)를 포위하는 도전성의 제 3 외벽(13c)을 갖는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b)는, 제 2 기판(2b)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구획벽(12b)과 함께 제 4 보지부(20d)를 포위하는 도전성의 제 4 외벽(13d)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외부로부터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 전자파 노이즈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로부터 외부로 전자파 노이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에서 보아, 제 3 외벽(13c)과 제 4 외벽(13d)이 이중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체의 벽을 이중으로 하여, 전자파 노이즈의 차폐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가 감합되면, 제 3 외벽(13c)과 제 4 외벽(13d)이 걸림 고정부(16a, 16b)에 의해 맞물린다. 이와 같이 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와 플러그 커넥터(1b)의 감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제 1 외벽(13a)과 제 3 외벽(13c)이 일체화되고, 제 2 외벽(13b)과 제 4 외벽(13d)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외벽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전자파 노이즈의 차폐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a)에서는, 제 2 보지부(20b)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제 1 보지부(20a)가 배치되어 있고,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제 4 보지부(20d)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제 3 보지부(20c)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일방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타방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의 전자파 노이즈를 이중의 제 1 구획벽(12a) 및 제 2 구획벽(12b)에 의해,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 타방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 사이를 넓히고, 사이에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를 배치함으로써, 일방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부터 발생하여, 타방의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 전해지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파 노이즈를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a, 1c, 1e) 및 플러그 커넥터(1b, 1b', 1d, 1f)의 형상을, x1축 방향 및 x2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y1축 방향 및 y2축 방향이 길이 방향일 수도 있고,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일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a) 및 플러그 커넥터(1b)의 형상은 사각형이 아닐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3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a) 및 플러그 커넥터(1b)에서는,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로서는 한 쌍의 콘택트가 마련되고,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에 대해서는 4개 마련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들의 수는 1개 이상이면 된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 4, 5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z1축, z2축 방향에서 보아 x1축, x2축 방향이 길이 방향인 방향으로,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와,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가 배치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의 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이 점은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도 마찬가지이다.
제 1 콘택트(10a) 및 제 3 콘택트(10c), 제 2 콘택트(10b) 및 제 4 콘택트(10d)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형상 이외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콘택트(10a)와 제 2 콘택트(10b)의 형상은 상이할 수도 있다. 이 점은 제 3 콘택트(10c)와 제 4 콘택트(10d)의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제 1 콘택트(10a, 10a') 및 제 3 콘택트(10c, 10c')와 제 2 콘택트(10b, 10b') 및 제 4 콘택트(10d, 10d')는 전송 대상으로 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전류, 전압, 용도(신호 전송용 또는 접지용) 등이 상이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콘택트(10a, 10a') 및 제 3 콘택트(10c, 10c')가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고, 제 2 콘택트(10b, 10b') 및 제 4 콘택트(10d, 10d')가 저주파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콘택트(10a, 10a') 및 제 3 콘택트(10c, 10c'), 제 2 콘택트(10b, 10b') 및 제 4 콘택트(10d, 10d')는 금속 박판으로 된 1장의 판재를 펀칭하고,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접속부(21a, 21b)의 형상은, 신호 전극(40)에 접속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고, 외방을 향해 돌출되지 않는 형상일 수도 있다.
제 1 하우징(11a, 11a') 및 제 2 하우징(11b, 11b')은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 프린터 등의 성형 기술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하우징(11a, 11a')이 한 쌍의 제 1 보지부(20a)와 하나의 제 2 보지부(20b)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보지부(20a)와 제 2 보지부(20b)가 하나씩만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보지부(20a)의 수 및 배치와, 제 2 보지부(20b)의 수 및 배치에 제한은 없다. 예컨대, 한 쌍의 제 2 보지부(20b)가 제 1 보지부(20a)를 사이에 두도록 할 수도 있다. 어떻든지, 이 전기 커넥터 쌍(1)에서는, 제 1 보지부(20a)에 제 3 보지부(20c)가 대향하고, 제 2 보지부(20b)에 제 4 보지부(20d)가 대향하게 된다.
제 1 쉘(50a, 50a', 50a") 및 제 2 쉘(50b, 50b', 50b")은, 예컨대, 금속 박판으로 된 1장의 판재를 펀칭하고, 이것에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장 이상의 판재를 조합함으로써, 제 1 쉘(50a, 50a', 50a") 및 제 2 쉘(50b, 50b', 50b")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쉘(50a, 50a', 50a") 및 제 2 쉘(50b, 50b', 50b")은 압입에 의해 제 1 하우징(11a) 및 제 2 하우징(11b)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 내 및 그와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또한, 본 출원에 대해서는, 2019년 12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9-222381 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본 명세서 중에 일본 특허 출원 제 2019-222381 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 간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에서 회로 기판끼리의 접속에 사용되는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구체예로서는, 휴대전화, 스마트폰, 랩탑형 컴퓨터, 또는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휴대형 통신 단말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전기 커넥터 쌍 1a, 1c, 1e: 리셉터클 커넥터
1b, 1b', 1d, 1f: 플러그 커넥터 2a: 제 1 기판
2b: 제 2 기판 10a, 10a': 제 1 콘택트
10b, 10b': 제 2 콘택트 10c, 10c': 제 3 콘택트
10d, 10d': 제 4 콘택트 11a, 11a', 11a": 제 1 하우징
11b, 11b', 11b": 제 2 하우징 12a, 12a', 12c, 12e, 12g: 제 1 구획벽
12b, 12b', 12d, 12f, 12h: 제 2 구획벽 13a, 13a', 13a": 제 1 외벽
13b, 13b', 13b": 제 2 외벽 13c, 13c', 13c": 제 3 외벽
13d, 13d": 제 4 외벽 14a: 제 1 연결부
14b: 제 2 연결부 15a, 15b, 15c, 15d: 걸림 고정부
16a, 16b: 걸림 고정부 17a, 17b: 걸림 고정부
18a, 18b, 18c, 18d: 탄성 접촉부 20a: 제 1 보지부
20b: 제 2 보지부 20c: 제 3 보지부
20d: 제 4 보지부 21a, 21b: 기판 접속부
22a, 22b: 상승부 23a, 23b: 쌍 콘택트 접촉부
24a: 볼록부 24b: 오목부
30a: 제 1 단부 30b: 제 2 단부
31a, 31a': 제 1 그라운드 접속부 31b: 제 2 그라운드 접속부
40: 신호 전극 41: 그라운드 전극
50a, 50a', 50a": 제 1 쉘 50b, 50b', 50b": 제 2 쉘

Claims (13)

  1. 제 1 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실장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쌍으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1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2 콘택트와,
    상기 제 1 기판의 주면(主面)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2 콘택트를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1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保持)하는 제 1 보지부와, 상기 제 2 콘택트와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하는 제 2 보지부를 갖는 절연성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2 콘택트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상기 제 1 보지부와 상기 제 2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에 보지되며 상기 제 1 기판에 접지되는 도전성의 제 1 구획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嵌合)되면 상기 제 1 콘택트와 접촉하는 도전성의 제 3 콘택트와,
    상기 제 2 기판의 신호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2 콘택트와 접촉하는 도전성의 제 4 콘택트와,
    상기 제 2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3 콘택트 및 상기 제 4 콘택트를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제 2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3 콘택트와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하는 제 3 보지부와, 상기 제 4 콘택트와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을 절연하면서 보지하는 제 4 보지부를 갖는 절연성의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3 콘택트 및 상기 제 4 콘택트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상기 제 3 보지부와 상기 제 4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에 보지되며 상기 제 2 기판에 접지되는 도전성의 제 2 구획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2 콘택트 및 상기 제 4 콘택트로부터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3 콘택트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2 구획벽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 3 보지부와 상기 제 4 보지부와의 경계의 일부를 상기 제 1 구획벽이 구획하는
    전기 커넥터 쌍.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획벽은 상기 제 1 기판에 접하는 제 1 단부를 갖고,
    상기 제 1 단부에는 상기 제 1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그라운드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쌍.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획벽은 상기 제 2 기판에 접하는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제 2 단부에는 상기 제 2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그라운드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쌍.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콘택트로부터 상기 제 1 콘택트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1 구획벽이 배설(配設)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4 콘택트로부터 상기 제 3 콘택트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2 구획벽이 배설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쌍.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2 구획벽이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 쌍.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2 구획벽이 맞물리는
    전기 커넥터 쌍.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2 구획벽은,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제 3 콘택트에서 보아, 상기 제 1 구획벽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쌍.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콘택트가 이중으로 포위되는
    전기 커넥터 쌍.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되면,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과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이 맞물리는
    전기 커넥터 쌍.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1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 2 구획벽과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제 2 연결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쌍.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기판의 주면의 법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이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기판의 주면의 법선과 교차하는 판상 부재인
    전기 커넥터 쌍.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획벽, 상기 제 1 외주 포위벽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콘택트를 포위하는 환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획벽, 상기 제 2 외주 포위벽 및 상기 제 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2 콘택트를 포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감합될 때 상기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쌍.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2 보지부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상기 제 1 보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4 보지부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상기 제 3 보지부가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쌍.
KR1020227022254A 2019-12-09 2020-12-01 전기 커넥터 쌍 KR102643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22381 2019-12-09
JP2019222381 2019-12-09
PCT/JP2020/044603 WO2021117539A1 (ja) 2019-12-09 2020-12-01 電気コネクタ対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734A true KR20220101734A (ko) 2022-07-19
KR102643288B1 KR102643288B1 (ko) 2024-03-04

Family

ID=7633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254A KR102643288B1 (ko) 2019-12-09 2020-12-01 전기 커넥터 쌍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06378A1 (ko)
JP (1) JP7272464B2 (ko)
KR (1) KR102643288B1 (ko)
CN (1) CN114788096B (ko)
WO (1) WO2021117539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3871A (en) * 1996-07-31 1998-09-29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39799A (ko) * 1999-10-25 2001-05-15 나가토시 다쯔미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JP2011249297A (ja) * 2010-04-27 2011-12-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WO2015045623A1 (ja) 2013-09-27 2015-04-0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70004840A (ko) * 2015-07-01 2017-01-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커넥터
KR20170015126A (ko) * 2015-07-29 2017-02-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JP2019192656A (ja) * 2017-11-06 2019-10-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500A (en) * 1986-12-04 1988-08-09 Amp Incorporated Impedance matched electrical connector
JP2528234B2 (ja) * 1991-05-13 1996-08-28 富士通株式会社 インピ―ダンス整合型電気コネクタ
JP2594565Y2 (ja) * 1993-08-17 1999-04-26 ケル株式会社 グランド板付コネクタ
JP3361645B2 (ja) * 1995-03-03 2003-01-07 富士通株式会社 ジャックコネクタ及びジャックコネクタを含むコネクタ
JP5135826B2 (ja) 2006-02-24 2013-02-0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および金属箔張り積層板
JP2008016212A (ja) * 2006-07-03 2008-0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6188638B2 (ja) * 2014-06-10 2017-08-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回路基板付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JP2017050235A (ja) * 2015-09-04 2017-03-09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コネクタ
CN107658592B (zh) * 2016-07-26 2020-05-12 株式会社藤仓 插座连接器以及插座连接器的制造方法
KR20200088637A (ko) * 2019-01-15 2020-07-23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3871A (en) * 1996-07-31 1998-09-29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39799A (ko) * 1999-10-25 2001-05-15 나가토시 다쯔미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JP2011249297A (ja) * 2010-04-27 2011-12-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WO2015045623A1 (ja) 2013-09-27 2015-04-0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70004840A (ko) * 2015-07-01 2017-01-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커넥터
KR20170015126A (ko) * 2015-07-29 2017-02-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JP2019192656A (ja) * 2017-11-06 2019-10-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6378A1 (en) 2023-01-05
JPWO2021117539A1 (ko) 2021-06-17
KR102643288B1 (ko) 2024-03-04
WO2021117539A1 (ja) 2021-06-17
CN114788096A (zh) 2022-07-22
CN114788096B (zh) 2022-12-13
JP7272464B2 (ja)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89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US20220123508A1 (en) Connector device
KR102525442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580251B1 (ko) 커넥터
TWM484822U (zh) 高密度纜線終端連接器
CN113924700B (zh) 阴型多极连接器以及具备该阴型多极连接器的多极连接器组
CN113950777B (zh) 连接器组以及电子电路装置
JP2020047425A (ja) コネクタ
JP7095122B2 (ja) コネクタ、配線構造及び基板間接続方法
CN116075990A (zh) 连接器及连接器对
US20230246359A1 (en) Connector, conne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JP2019009037A (ja) コネクタ
JP2022532528A (ja) 基板コネクタ
JP6575677B2 (ja) 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高周波モジュール
KR20220101734A (ko) 전기 커넥터 쌍
CN102484506B (zh) 通信系统
US20120135615A1 (en) Electronic connector
JP7358852B2 (ja) 電気コネクタ
JP735885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KR20220127724A (ko) 커넥터
CN113169485A (zh) 连接器部件以及连接器组
JP4731546B2 (ja) アンテナ装置
US20230411911A1 (en) Board connector
JP6812402B2 (ja) 電子機器及び収納ユニット
KR20220134441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