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114A - 리프트 시스템의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할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시스템의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할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114A
KR20220101114A KR1020227018126A KR20227018126A KR20220101114A KR 20220101114 A KR20220101114 A KR 20220101114A KR 1020227018126 A KR1020227018126 A KR 1020227018126A KR 20227018126 A KR20227018126 A KR 20227018126A KR 20220101114 A KR20220101114 A KR 2022010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ing
braking
guide track
holder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가이쓰휘슬러
파룩 오스만바직
아드리안 슈타이너
율리안 슈텔리
폴커 차프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0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 트랙 (7) 을 따라 이동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행 본체 (2) 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9) 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장치는 홀더 (19), 안내 디바이스 (21), 및 제동 디바이스 (41) 를 포함한다. 홀더 (21) 는, 주행 본체 (2) 에 체결되고, 안내 트랙 (7) 상에서 안내되는 안내 디바이스 (21) 및 주행 본체 (2) 사이에 안내력들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상기 안내 트랙 (7) 의 종방향 (35) 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31, 32, 33) 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상기 홀더 (19) 상에 유지 및 장착되어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가 적어도 사전결정된 허용오차 거리 (39) 만큼 상기 안내 트랙 (7) 의 상기 종방향 (35) 에 횡단하는 방향 (37, 59) 으로 상기 홀더 (19) 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홀더 (19) 로 상기 안내력들을 전달한다.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는 캐리어 (43) 및 제동 요소 (45) 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 요소 (45) 의 제동 표면 (47) 이 상기 안내 트랙 (7) 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비활성화된 구성과, 상기 제동 요소 (45) 의 상기 제동 표면 (47) 이 상기 안내 트랙 (7) 에 맞닿는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상기 안내 트랙 (7) 에 횡방향인 방향 (37) 으로 활성화 거리 (49) 만큼 가역적인 방식으로, 상기 제동 요소 (45) 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의 캐리어 (43) 는 안내 디바이스 (21) 에 견고하게 커플링되어,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의 상기 캐리어 (43) 는 상기 홀더 (19) 에 대해 안내 디바이스 (21) 의 측방향 이동을 따른다.

Description

리프트 시스템의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할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안내 트랙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주행 본체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안내되고 제동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그것들을 측방향, 즉 실질적으로 수평의 이동들로부터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안내 트랙에 의해 안내되는 복수의 주행 본체를 포함한다. 주행 본체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이며 종종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웨이터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주행 본체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레벨들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안내 슈들의 형태의 복수의 안내 디바이스들이 주행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디바이스들은 수직으로 연장된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하고 그 위에서 횡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주행 본체의 수직 이동들을 제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또한 제동 디바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제동 디바이스는 자유 낙하와 같은 위급 상황에서 가능한 한 신뢰성 있고, 신속하며, 효율적으로 주행 본체의 수직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소위 안전 브레이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동 다비이스는 제동 디바이스가 활성화될 때 안내 트랙에 대해 가압되는 제동 요소를 갖고 따라서 그에 의해 발생된 마찰로 인해 제동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주행 본체 상에 원하는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안내 트랙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제조 및/또는 설치 허용오차들로 인해, 주행 본체의 원하는 주행 경로와 완전히 평행하게 배향되지 않는다. 즉, 안내 트랙의 적어도 국소적으로 제한된 부분들은 선형 및 완전한 수직이 아니라, 대신에 만곡되고 및/또는 각지게 배향된다. 실제로, 특히 매우 높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 수 밀리미터까지의 원하는 위치로부터 안내 트랙의 위치에서의 측방향 편차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차들은 안내 트랙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변할 수 있다. 추가의 문제점은, 특히 매우 높은 빌딩에서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비교적 높은 속도가 주행 본체를 이동시킬 때 전형적으로 요구되어, 그 원하는 위치로부터 안내 트랙의 측방향 편차들이 주행 본체의 신속하고 급격한 측방향 변위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객들의 높은 레벨의 주행 안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안내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탄성적으로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즉, 안내 디바이스들은 측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에 강한 및/또는 특히 급격한 힘들을 가하지 않고, 적어도 사전결정된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부터 소정 정도까지 안내 트랙의 편차들을 줄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동 디바이스의 설계는 또한 그의 원하는 위치로부터 안내 트랙의 가능한 측방향 편차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동 디바이스는, 그 제동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지 않는 한, 그 제동 요소가 충분히 치수화된 활성화 거리만큼 안내 트랙의 원하는 위치로부터 측방향으로 멀리 있도록 통상적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 활성화 거리는, 제동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지 않는 한, 심지어 원하는 위치로부터 안내 트랙의 최대 예상된 측방향 편차의 경우에도, 제동 요소가 안내 트랙과 접촉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동 장치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비교적 큰 작동 거리는, 제동 디바이스가 활성화되어야 할 때, 제동 요소의 표면이 안내 트랙과 접촉하고 제동 효과가 발생될 수 있을 때까지 제동 요소가 전체 활성화 거리에 걸쳐 우선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제동 요소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큰 활성화 거리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소정 양의 시간이 큰 활성화 거리에 걸쳐 제동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요구되며, 이는 제동 디바이스의 반응 시간 및 궁극적으로 제동 거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O 2004/033353 A1 은 엘리베이터 안내 및 안전 제동 시스템을 조합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안전 작동 장치를 위한 하우징 조립체는 EP 3 141 511 A1 에 설명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의 안전 기어는 EP 1 400 476 A1 에 설명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주행 본체, 특히 엘리베이터 카가 안내된 방식으로 안내 트랙을 따라 편안하게 이동될 수 있고, 주행 본체의 이동이 효율적이고, 신속하며, 신뢰성 있게 제동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필요성은 독립청구항들 중 임의의 하나의 주제물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들 종속항 및 다음의 설명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될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홀더, 안내 디바이스, 및 제동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홀더는 주행 본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트랙상에서 안내될 수 있는 상기 안내 디바이스와 상기 주행 본체 사이에서 안내력들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상기 안내 트랙의 종방향으로 상기 안내 트랙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상기 홀더 상에 유지 및 장착되어 상기 안내 디바이스가 적어도 사전결정된 허용오차 거리만큼 상기 안내 트랙의 상기 종방향에 횡방향의 방향으로 상기 홀더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홀더로 상기 안내력들을 전달한다. 상기 제동 디바이스는 캐리어 및 제동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이 상기 안내 트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비활성화된 구성과, 상기 제동 요소의 상기 제동 표면이 상기 안내 트랙에 적용될 수 있는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상기 안내 트랙에 횡방향인 방향으로 활성화 거리만큼 가역적인 방식으로, 상기 제동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는 안내 디바이스에 견고하게 커플링되어, 상기 제동 디바이스의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홀더에 대해 안내 디바이스의 측방향 이동을 따른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주행 본체, 안내 트랙, 및 본 발명의 제 1 양상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장치의 홀더는 상기 주행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장치의 안내 디바이스는 안내되는 방식으로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그중에서도 그리고 다음에 설명된 발견들 및 사상들에 기초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고려될 수 있다.
시작부에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제안된 장치의 실시예들은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 동안 하나 이상의 안내 트랙들을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행 본체를 편안하게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원하는 위치로부터 안내 트랙의 국소적 위치에서 측방향 편차들 허용할 수 있게 하여 가능한 한 적은 측방향 이동이 야기되고, 특히 가능한 한 갑작스런 측방향 이동이 주행 본체 상에 야기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안내 디바이스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안내 트랙의 편차들를 따를 수 있는 허용오차 거리는 상대적으로 커야 한다. 전체적으로, 주행 본체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고 따라서 승객들에게 보다 높은 레벨의 주행 안락함이 제공될 수 있다. 제안된 장치는 또한, 효율적으로, 신속하며 신뢰성 있게 주행 본체를 제동할 수 있게 하도록 의도된다.
제안된 장치의 설명의 범위 내에서, 주행 본체는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 양쪽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높은 레벨의 주행 안락함이 엘리베이터 카들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효율적이고, 빠르고, 신뢰성 있는 제동이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 양쪽에 대해 유리하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 언급된 2개의 목적들이 소정 정도 모순된다. 높은 레벨의 주행 안락함을 달성하기 위해, 안내 디바이스가 국소적인 측방향 편차들에서 안내 트랙을 따를 수 있는 허용오차 거리는 가능한 커야 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제동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안내 트랙에 맞닿음로써 제동 효과를 생성하도록 그 제동 요소가 측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그 활성화 거리가 안내 디바이스의 허용오차 거리보다 크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화 거리가 클수록, 주행 본체를 제동할 수 있도록 이러한 활성화 거리에 걸쳐 제동 요소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더 어렵다.
본원에 제안된 장치의 실시예들에서, 제동 디바이스의 활성화 거리가 일반적으로 안내 디바이스의 허용오차 거리보다 커야만 했던 이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딜레마가 극복될 수 있다.
특히, 제안된 장치의 실시예들에서, 활성화 거리는 허용오차 거리보다 예를 들어 10%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초과, 또는 심지어 80% 초과만큼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디바이스의 허용오차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 mm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4 mm 초과, 또는 심지어 5 mm 초과 또는 10 mm 초과일 수 있는 반면, 제동 디바이스의 활성화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 m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일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디바이스는 안내 트랙의 측방향 편차들을 따를 수 있고, 그것을 따라 디바이스가 큰 허용오차로 구동할 수 있지만, 제동 디바이스는 주행 본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동할 수 있도록 단지 짧은 활성화 거리에 걸쳐 그 제동 요소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달성하도록, 제안된 디바이스의 홀더, 안내 디바이스 및 제동 디바이스는 사전결정된 방식으로 구성 및 배열되고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홀더는 일차적으로 주행 본체에 체결되고 따라서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주행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는 안내력들을 흡수하여 그것을 주행 본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충분히 안정적이어야 한다. 안내력들은, 예를 들어, 짧은 시간 동안 수 뉴톤으로부터 수 킬로뉴톤까지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력들은, 예를 들어, 안내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안내 트랙의 국소적인 위치 편차들을 따르도록, 측방향으로 갑자기 이동되는 경우, 안내 디바이스에 의해 홀더 상에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는 그 자체로 매우 견고한 구조 및 주행 본체에 견고하게 체결되는 구조로서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는 예를 들어, 프레임, 하우징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홀더는 기계적으로 로딩가능한 재료, 특히 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더는 실질적으로 정적인 방식으로, 예를 들어,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주행 본체에 고정됨으로써 주행 본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상기 안내 트랙의 종방향을 따르는, 상기 안내 트랙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안내 디바이스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내 트랙의 표면을 따라 일부 다른 방식으로 롤링, 슬라이딩 또는 이동될 수 있는 안내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내 디바이스 및 홀더는 안내 디바이스가 홀더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협력한다. 즉, 안내 디바이스는 홀더 상에 홀딩 및 장착되어 그것이 적어도 사전결정된 허용오차 거리에 걸쳐, 홀더에 대해 안내 트랙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내 디바이스와 홀더 사이의 기계적 커플링은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탄성적으로, 즉, 이러한 커플링에 대해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의 소성 및, 비가역적인 변형 없이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안내 디바이스와 홀더 사이의 기계적 커플링은 안내력들이 안내 디바이스로부터 홀더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안내 디바이스는 따라서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적어도 특정한 허용오차 거리까지 임의의 측방향 편차들을 탄성적으로 따를 수 있다. 측방향으로 가해진 힘들은 홀더 및 따라서 주행 본체에 전달되어 그 수직 이동 동안 상기 상기 주행 본체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급격한 측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동 디바이스는, 그것이 활성화되지 않는 한, 주행 본체의 이동에 가능한 거의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제동 디바이스가 활성화될 때 주행 본체의 제동, 특히 가능하게는 긴급 제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동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및 하나의 제동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제동 요소는 캐리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제동 요소는 안내 트랙에 횡방향인 방향으로 비활성화된 구성과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비활성화된 구성에서,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은 안내 트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즉,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과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 갭의 측방향 거리 또는 폭은 실질적으로 제동 디바이스의 활성화 거리에 상응한다. 활성화된 구성에서, 즉 제동 디바이스가 제동 작동을 수행해야 할 때,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은 안내 트랙과 맞닿는다. 제동 요소는 활성화된 거리만큼 안내 트랙에 횡방향인 방향으로 상기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비활성화된 구성과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동 디바이스의 설계에 종속되어,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은, 예를 들어, 전체 제동 요소가 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순전히 선형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은, 예를 들어 피봇 축 또는 회전 축 주위로 전체 제동 요소를 편심 이동시킴으로써, 만곡된 이동, 예를 들어 피봇 이동 또는 회전 이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안된 장치에서,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 및 안내 디바이스는 서로 견고하게 커플링된다. 즉, 제동 디바이스는 안내 디바이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안내 디바이스의 이동이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에 전달된다. 즉, 제동 디바이스는 플로팅 방식으로 장착되고, 그 캐리어는 안내 디바이스의 측방향 이동을 따른다.
안내 디바이스는 안내 트랙 상에서 지지되고 홀더 및 따라서 주행 본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제동 디바이스, 특히 그 캐리어는 또한 안내 트랙으로부터 항상 일정한 횡방향 거리에서 홀딩되고 그 요구된 위치로부터 안내 트랙의 편차들을 따를 수 있도록 그리고 홀더 및 따라서 주행 본체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홀딩 및 안내된다.
제동 디바이스의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과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 사이의 측방향 거리, 즉 제동 디바이스의 활성화 거리는, 이러한 경우에 제동 디바이스가 안내 디바이스와 함께 홀더에 대해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허용오차 거리보다 상당히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액슬 주위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롤러가 측방향 표면과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의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동 디바이스의 상기 캐리어는 상기 롤러의 액슬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즉, 안내 디바이스는 액슬 주위로 회전가능한 롤러가 안내부로서 사용되는 안내 트랙의 표면을 따라 롤링하도록 사용되는 안내 슈의 타입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롤러는 그것이 심지어 원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날지라도 안내 트랙의 국소적인 위치를 따른다. 롤러의 액슬은 롤러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일정한 거리에서 안내 트랙의 표면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는 안내 디바이스의 롤러의 액슬에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캐리어는 롤러의 액슬이 장착되는 하우징 또는 프레임과 같은 중간 강성 구성요소들을 통해 롤러의 액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어서, 액슬은 회전할 수 있지만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는 안내 트랙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플로팅 방식으로 롤러에 의해 홀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액슬 주위로 각각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은, 상기 롤러들의 각각이 측방향 표면과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의 표면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롤러가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상기 제동 디바이스의 상기 캐리어는 롤러들의 적어도 하나의 액슬에 견고하게 커플링된다.
따라서, 안내 디바이스의 2개의 롤러들은 그 측방향 표면이 거리를 갖고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 및 배열될 수 있어서, 안내 트랙은 2개의 측방향 표면들 사이의 갭으로 연장될 수 있고 2개의 롤러들은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들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즉, 2개의 롤러는 그 사이에 안내 트랙을 수용할 수 있다. 롤러들의 측방향 표면들 사이의 갭의 폭은 안내 트랙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상응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두께보다 최대 약간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디바이스는 상호 반대쪽의 2개의 방향으로 2개의 롤러를 통해 안내 트랙 상에 홀딩되고 상기 안내 트랙에 의해 안내된다. 롤러와 함께,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는 또한 2개의 반대쪽 방향으로 안내 트랙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홀딩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액슬 주위로 각각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은 상기 롤러들의 각각이, 측방향 표면과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의 표면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롤러들이 롤링 방식으로 서로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안내 트랙의 표면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제동 디바이스의 상기 캐리어는 롤러들의 적어도 하나의 액슬에 견고하게 커플링된다.
이러한 경우, 롤러들은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들 상에서 롤링할 수 없지만, 오히려 서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트랙의 표면들 상에서 롤링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롤러는 안내 트랙의 측방향 표면을 따라 롤링할 수 있고, 다른 롤러는 안내 트랙의 단부 면을 따라 롤링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2개의 롤러들의 액슬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롤러들의 액슬들은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 및 배열된 2개의 액슬들에 의해, 안내 디바이스는 따라서 서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방향들로 안내 트랙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안내 디바이스에 적어도 3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호 평행한 액슬을 갖는 2개의 롤러들 및 서로 마주보는 측방향 표면들은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들 상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3 롤러는 그 액슬이 다른 2개의 액슬에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그 측방향 표면이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들을 연결하는 안내 트랙의 단부 면을 따라 롤링할 수 있도록 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 롤러들을 갖는 안내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반대쪽 방향들 및 그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전술한 2개의 실시예들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들의 액슬은 서로 견고하게 커플링된다.
즉, 안내 디바이스 상의 액슬들은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들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롤러들의 액슬들은 공통의 하우징 또는 공통의 프레임과 같이, 상기 롤러들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 상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는 또한 이러한 연결 구성요소에 견고하게 커플링될 수 있어서, 제동 디바이스는 안내 트랙과 평행하게 고정된 거리에서 안내 디바이스의 롤러들에 의해 플로팅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안내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상기 홀더에 유지 및 장착되어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서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사전결정된 허용오차 거리만큼 상기 안내 트랙의 종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방향들으로 상기 홀더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따라서 상기 2개의 방향들로의 상기 안내력들을 상기 홀더에 전달한다.
즉, 안내 디바이스는 홀더와 상호 작용할 수 있어서 2개의 구성요소들이 안내 트랙의 종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내에서 서로에 대해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안내 디바이스는 또한 제동 표면들로서 기능하는 안내 트랙의 표면들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홀더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안내 디바이스는 또한 이들 표면들을 연결하는 안내 트랙의 단부 면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홀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언급된 3개의 방향으로 안내 트랙을 따라 안내되도록, 적어도 3개의 롤러들 갖기 때문에, 따라서 안내력들은 모든 안내 방향들로 안내 디바이스와 홀더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고, 안내 디바이스는 여전히 모든 3개의 방향으로 특정된 허용오차 거리 내에서 홀더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탄성 요소들을 통해 상기 홀더 상에 유지 및 장착된다.
즉,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로 안내력을 전달하고, 안내 디바이스가 홀더에 대해 허용오차 거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히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안내 디바이스와 홀더 사이에, 탄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탄성 요소들은, 예를 들어, 스프링들, 예를 들어, 나선형 또는 헬리컬 스프링일 수 있으며, 그 일 단부는 안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고 그 반대쪽 단부는 홀더와 상호작용한다. 대안적으로, 탄성 요소들은 엘라스토머와 같은 충분한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안내 디바이스와 홀더 사이에 층 또는 시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요소들은 적어도 허용오차 거리에 걸쳐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동 요소는 웨지 형상이고, 상기 제동 요소는 상기 안내 트랙의 표면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슬라이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반대쪽 방향으로 상기 안내 트랙의 표면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동 요소는 비활성화된 구성과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상기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표면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43) 에 대해 이동 동안 재구성될 수 있다.
즉, 제동 디바이스는 주행 본체들에 대한 통상적인 안전 브레이크들과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웨지 형상의 제동 요소들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동 요소는 안내 트랙을 마주보는 측 상에서 제동 표면을 포함하고, 반대쪽 측 상에 그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표면을 갖는다. 상보적인 방식으로 상응하게 비스듬하게 경사진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이 홀더 상에 제공된다. 활성화되도록, 웨지 형상의 제동 요소는 안내 트랙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홀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웨지 형상의 제동 요소는 카운터-슬라이딩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이에 의해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이 안내 트랙의 반대쪽 표면과 맞닿을 때까지 안내 트랙을 향해 직교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제동 요소와 안내 트랙 사이의 접촉 압력은 또한, 제동 요소가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로 인해 안내 트랙에 의해 동반되고,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을 따라 추가로 당겨지고 따라서 안내 트랙에 대해 심지어 더 강하게 가압된다는 점에서 더 증가된다.
제동 디바이스가 활성화되기 전에, 웨지 형상의 제동 요소의 제동 표면은 안내 트랙의 표면과 항상 평행하게, 예를 들어 안내 트랙의 표면으로부터 수 밀리미터 떨어져 이동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제동 요소는 안내 디바이스에의 그 견고한 커플링으로 인해 제동 디바이스의 캐리어와 함께 안내 트랙의 표면으로부터 원하는 거리에 항상 홀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활성화 거리는 비교적 작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mm 미만일 수 있다. 제동 디바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러한 작동 거리는 그후 제동 디바이스의 제동 요소의 큰 이동 경로 없이 그리고 신속하게 커버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에 제안된 장치에서, 상기 제동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동 요소를 상기 비활성화된 구성과 상기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적절한 에너지 공급부의 경우에, 제동 요소를 비활성화된 구성으로부터 활성화된 구성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다시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동 디바이스는 전달하는 것이 간단한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활성화되고 및/또는 활성화 후 그 비활성화된 구성으로 복귀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히 큰 작동력들도 동시에 생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동 요소의 이동은 종종 전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비교적 느리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장치에 대해, 제동 요소는 비활성화된 구성에서도 안내 트랙의 표면에 항상 매우 가깝게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짧은 활성화 거리에 걸쳐 이동될 필요가 있는 것이 유리하다.
전기 액추에이터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스프링 및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고, 트리거는 예를 들어 자기력들에 의해 홀딩되는 홀딩 플레이트를 통해 인장된 위치에서 스프링을 홀딩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전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홀딩 플레이트, 및 따라서 스프링이 해제되고 스프링은 제동 요소를 활성화된 구성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 중 일부가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들에서 달성되도록 적절하게 조합되거나, 맞춤되거나 또는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되지만, 도면들 또는 설명이 본 발명은 제한하는 바와 같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통한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이고 축적에 적용되지 않는다.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다양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또는 등가의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5)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3) 형태의 주행 본체 (2) 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 (3) 는 구동 기계 (13) 에 의해 제어기 (15) 의 제어 하에 이동될 수 있는 서스펜션 수단 (17) 에 의해 홀딩된다. 이러한 경우, 엘리베이터 카 (3) 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5) 의 벽들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안내 트랙 (7)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 기계 (13) 는 윈치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기계 (13) 는 구동 롤러를 갖는 트랙션 시브 드라이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또한 트랙션 시브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카운터웨이트 및 가능하게는 편향 롤러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수단은 카운터웨이트를 또한 홀딩하도록 연장된다. 서스펜션 수단은 카운터웨이트로부터, 구동 롤러를 통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편향 롤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3) 로 안내된다. 구동 롤러, 카운터웨이트, 편향 롤러 및 서스펜션 수단의 연장부는 도 1 에 도시되지 않는다. 카운터웨이트는 또한 장치 (9) 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예에서, 엘리베이터 카 (3) 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9) 는 엘리베이터 카 (3) 의 플로어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장치들 (9) 은 또한 또 다른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 (3) 에 부착될 수 있다. 장치들 (9) 은 엘리베이터 카 (3) 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5) 를 통한 그 수직 이동 동안 측방향으로, 즉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 슈들와 유사하게 설계된다. 장치들 (9) 은 추가적으로 제공된 안내 슈들 (11) 에 의해 러한 작업에서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장치들 (9) 은 또한 그 수직 이동으로 엘리베이터 카 (3) 를 제동할 수 있도록 의도된다. 특히, 장치들 (9) 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3) 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긴급 제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카 (3) 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이러한 장치 (9) 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세부 사항은 수직 및 수평 단면도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다. 명확성을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 특히 제동 디바이스 (41) 의 구성요소들은 도 3 에서 점선으로만 도시된다.
장치 (9) 는 홀더 (19) 를 가지며, 이에 의해 장치 (9) 전체가 엘리베이터 카 (3) 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홀더 (19) 는 엘리베이터 카 (3) 가 안내 트랙들 (7) 을 따라 안내될 때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것과 같은 안내력들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설계된다.
장치 (9) 는 또한 안내 디바이스 (21) 를 갖는다. 안내 디바이스 (21) 는 안내 트랙 (7) 의 종방향 (35) 으로 안내 트랙 (7) 의 2개의 반대쪽 표면들 (31, 31, 33)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안내 디바이스 (21) 는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홀더 (19) 에 홀딩되어, 안내 디바이스 (21) 는 적어도 예를 들어 복수의 밀리미터의 허용오차 거리 (39) 만큼 안내 트랙 (7) 의 종방향 (35) 에 횡방향인 방향 (37) 으로 홀더 (19) 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따라서 안내력들을 홀더 (19) 에 전달한다.
장치 (9) 는 또한 제동 디바이스 (41) 를 갖는다. 제동 디바이스 (41) 는 캐리어 (43) 및 제동 요소 (45) 를 포함한다.
비활성화된 구성에서, 제동 요소 (45) 는 이러한 경우에 제동 요소 (45) 의 제동 표면 (47) 이 안내 트랙 (7) 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안내 트랙 (7) 의 대향 표면들 (31, 33) 과 제동 표면 (47) 사이의 거리는 여기서 활성화 거리 (49) 로서 지칭된다. 그러나, 활성화된 구성에서, 제동 요소 (45) 는 제동 표면 (47) 이 안내 트랙 (7) 과 맞닿도록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카 (3) 가 제동되지 않고 이동되어야 하는 한, 제동 디바이스 (41) 는 그 비활성화된 구성을 유지한다. 엘리베이터 카 (3) 가 제동되는 경우, 전기 액추에이터 (57) 는 안내 트랙 (7) 을 향해 활성화 거리 (49) 에 걸쳐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 (53) 을 따라 제동 요소 (45) 를 이동시킬 수 있어서, 요소의 제동 표면 (47) 은 안내 트랙 (7) 의 반대쪽 표면 (31, 33) 에 대해 안착되고 제동력이 마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 (53) 을 따라 브레이크 패드 (45) 에 의해 주행되는 거리는 활성화 거리 (49) 보다 크다.
제동 디바이스 (41) 의 캐리어 (43) 는 안내 디바이스 (21) 에 견고하게 커플링된다. 따라서, 캐리어 (43) 는 안내 디바이스 (21) 가 안내되는 방식으로 안내 트랙 (7) 을 따라 이동할 때 홀더 (19) 에 대해 안내 디바이스 (21) 의 측방향 이동을 따른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9) 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한 세부사항들은 예로서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더 (19) 는 도시된 예에서 수평 단면에서 U 형상인 프레임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에, 홀더 (19) 는 3개의 측들으로부터, 즉, 안내 트랙 (7) 의 종방향 (35) 에 횡방향으로 수평 방향 (37) 을 따르는 반대쪽 측들 상에서, 그리고 추가의 수평 방향 (59) 으로 안내 트랙 (7) 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안내 디바이스 (21) 의 측 상에서 안내 디바이스 (21) 를 둘러싼다. 이러한 경우에, 홀더 (19) 의 프레임은, 예를 들어 두꺼운 금속 시트와 함께 기계적으로 안정적이도록 설계된다. 또한, 홀더 (19) 는 예를 들면 나사 연결에 의해 기계적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주행 본체 (2) 에 체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안내 디바이스 (21) 는 복수의 롤러들 (23) 이 액슬들 (25) 주위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캐리어 프레임 (55) 을 갖는다. 캐리어 프레임 (55) 은 차례로 U 형상이다. 액슬들 (25', 25") 은 각각의 경우에 이러한 U 형상의 캐리어 프레임 (55) 의 2개의 상호 평행한 아암들의 단부 면들에 장착되어, 그에 부착된 롤러들 (23', 23") 은 방향 (37) 으로 서로 거리를 두어 액슬들 (25', 25") 중 하나 주위로 각각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전규정된 폭을 갖는 갭이 이들 롤러들 (23', 23") 의 측방향 표면 (24', 24") 사이에 발생한다. 안내 트랙 (7) 은 이러한 갭에서 연장된다. 갭의 폭은 안내 트랙 (7) 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치수설정된다. 따라서, 2개의 롤러들 (23', 23") 의 측방향 표면들 (24', 24") 은 각각 안내 트랙 (7) 의 대향 표면들 (31, 33) 을 따라 롤링될 수 있다. 제 3 롤러 (23"') 는 U 형상의 캐리어 프레임 (55) 의 내부 영역에서 그 액슬과 (25"') 과 배열된다. 이러한 롤러 (23"') 의 액슬 (25"') 은 다른 2개의 롤러 (23', 23") 의 액슬 (25', 25") 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 3 롤러 (23"') 는 그 측방향 표면 (24"') 이 안내 트랙 (7) 의 단부 면 (32) 을 따라 롤링할 수 있도록 배향되고 위치설정된다.
안내 디바이스 (21) 의 캐리어 프레임 (55) 은, 예를 들어 스프링 (27) 의 형태의 탄성 요소 (29) 를 통해 홀더 (19) 에 커플링된다. 탄성 요소 (29) 는 안내 디바이스 (21) 가 그 캐리어 프레임 (55) 과 수평 방향 (37) 및 그에 수직인 수평 방향 (59) 양쪽으로, 적어도 각각의 경우에 허용오차 거리 (39) 내에서 홀더 (19) 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배향된다.
따라서, 안내 디바이스 (21) 의 캐리어 프레임 (55) 은 적어도 허용오차 거리 (39) 만큼 모든 방향으로 수평 평면 내에서 이동될 수 있어서, 이에 부착된 롤러들 (23) 은 심지어 가이드 트랙 (7) 이 항상 그 원하는 위치에서 국소적으로 연장되지 않지만 상기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도 가이드 트랙 (7) 의 표면들 (31, 32, 33) 을 따라 항상 롤링될 수 있다.
제동 디바이스 (41) 의 캐리어 (43) 는 도시된 예에서 안내 디바이스 (21) 의 캐리어 프레임 (55) 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동 디바이스 (41) 의 제동 요소 (45) 는 항상 플로팅 방식으로 안내 디바이스 (21) 의 이동과 함께 캐리되고, 항상 각각 연관된 안내 트랙 (7) 의 표면들 (31, 32, 33) 로부터 사전결정된 측방향 거리에 위치된다. 이러한 측방향 거리는 제동 디바이스 (41) 의 활성화된 구성에서 반대쪽 표면 (31, 32, 33) 과 맞닿고 이로써 원하는 제동 효과를 생성하도록 제동 요소 (45) 가 이동되어야 하는 활성 거리 (49) 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동 디바이스 (41) 는 2개의 웨지 형상의 제동 요소 (45) 를 구비한다. 각각의 웨지 형상의 제동 요소 (45) 는, 제동 표면 (47) 의 반대쪽 측 상에, 상기 제동 요소를 대면하는 가이드 트랙 (7) 의 표면 (31, 33) 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표면 (51) 을 포함한다. 상응하는 카운터-슬라이딩 표면 (53) 은 제동 디바이스 (41) 의 캐리어 (43) 상에 형성되고, 카운터-슬라이딩 표면 (53) 은 가이드 트랙 (7) 의 관련된 표면 (31, 33) 에 대해 반대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제동 요소 (45) 는 전기 액추에이터 (57)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됨) 에 의해 비활성화된 구성으로부터 활성화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캐리어 (43) 는 카운터-슬라이딩 표면 (53) 을 포함하고 WO 2015/07118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43) 의 나머지로부터 멀리 접힐 수 있는 베어링 트랙을 가질 수 있다. 베어링 트랙은 캐리어 (43) 의 나머지 상의 단부들 중 하나에 힌지식으로 장착되어, 힌지에서의 이동은 방향 (37) 으로의 베어링 트랙의 이동을 초래한다. 전기 액추에이터 (57) 는 베어링 트랙을 측방향으로, 즉 가이드 트랙 (7) 의 종방향 (35) 에 횡방향인 방향 (37) 으로 가이드 트랙 (7) 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추에이터 (57) 는 슬라이딩면 (51) 을 카운터-슬라이딩 표면 (53) 으로부터 잠시 리프팅함으로써 제동 요소를 안내 트랙 (7) 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동 요소 (45) 는 액추에이터 (57) 를 향해 제동 요소 (45) 를 개방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 (57) 는 제동 요소 (45) 의 홈의 베이스에 대해 측방향으로 가압한다. 홈은 전기 액추에이터 (57) 가 연장된 상태에서 제동 요소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할 때 제동 요소 (45) 가 종방향 (35) 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도록 제동 요소 (45) 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추에이터 (57) 는 안내 트랙 (7) 의 종방향 (35) 으로 제동 요소 (45) 를 이동시킬 수 있고, 제동 요소의 슬라이딩 표면 (51) 은 캐리어 (43) 의 카운터-슬라이딩 표면 (53) 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따라서 안내 트랙 (7) 을 향해 측방향으로 또한 이동된다.
제동 요소 (45) 의 제동 표면 (47) 이 가이드 트랙 (7) 에 대해 안착되자마자, 제동 요소는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가이드 트랙 (7) 의 종방향 (35) 으로 더 이동된다. 제동요소 (45) 의 웨지 형상에 의해 제동요소 (45) 와 가이드 트랙 (7) 의 접촉 압력이 더욱 증가된다.
전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주행 본체 (2) 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9) 는 허용오차 거리에 걸쳐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안내 디바이스 (21) 에 의해 안내 트랙 (7) 을 따라 그 수직 이동 동안 엘리베이터 카 (3) 를 안락하게 안내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비활성화된 구성으로 제동 요소 (45) 또는 그 제동 요소들 (45) 을 갖는, 장치 (9) 의 제동 디바이스 (41) 는, 또한 제동 디바이스 (41) 가 안내 디바이스 (21) 에 견고하게 커플링되기 때문에, 매우 적은 측방향 유격을로 안내 트랙 (7) 을 지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디바이스 (41) 는 제동 요소 (45) 또는 제동 요소 (45) 들이 허용오차 거리 (39) 보다 작은 안내 트랙 (7) 에 대해 활성화 거리 (49) 에 걸쳐 맞물리게 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갖는", "포함하는" 등과 같은 용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하지 않고, 단수형의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실시형태들의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또한 상기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들의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청구항들에서 도면 부호들은 제한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3)

  1. 안내 트랙 (7) 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 (2) 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9) 로서,
    홀더 (19),
    안내 디바이스 (21), 및
    제동 디바이스 (41)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19) 는 상기 주행 본체 (2) 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안내 트랙 (7) 상에서 안내될 수 있는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와 상기 주행 본체 (2) 사이에서 안내력들이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상기 안내 트랙 (7) 의 종방향 (35) 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31, 32, 33) 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상기 홀더 (19) 상에 유지 및 장착되어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가 적어도 사전결정된 허용오차 거리 (39) 만큼 상기 안내 트랙 (7) 의 상기 종방향 (35) 에 횡방향인 방향 (37, 59) 으로 상기 홀더 (19) 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홀더 (19) 로 상기 안내력들을 전달하고,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는, 캐리어 (43) 및 제동 요소 (45) 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 요소 (45) 의 제동 표면 (47) 이 상기 안내 트랙 (7) 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비활성화된 구성과, 상기 제동 요소 (45) 의 상기 제동 표면 (47) 이 상기 안내 트랙 (7) 에 적용될 수 있는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상기 안내 트랙 (7) 에 횡방향인 방향 (37) 으로 활성화 거리 (49) 만큼 가역적인 방식으로, 상기 제동 요소 (45) 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의 상기 캐리어 (43) 는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에 견고하게 커플링되어,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의 상기 캐리어 (43) 는 상기 홀더 (19) 에 대해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의 측방향 이동을 따르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액슬 (25) 주위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 (23)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롤러 (23) 가 측방향 표면 (24) 과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의 표면 (31, 32, 33) 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의 상기 캐리어 (43) 는 상기 롤러 (23) 의 액슬 (25) 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액슬 (25', 25") 주위로 각각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 (23', 23")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은, 상기 롤러들 (23', 23") 의 각각이 측방향 표면 (24', 24") 과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의 표면들 (31, 33) 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롤러들 (23', 23") 이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의 반대쪽 표면들 (31, 33) 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의 상기 캐리어 (43) 는 상기 롤러들 (23', 23") 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상기 액슬 (25',25") 에 견고하게 커플링되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상기 액슬 (25', 25"') 주위로 각각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 (23', 23"')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적어도 2개의 롤러들은, 상기 롤러들 (23', 23"') 의 각각이 측방향 표면 (24', 24"') 과 롤링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의 표면들 (31, 32) 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롤러들 (23', 23"') 이 롤링 방식으로 서로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안내 트랙 (7) 의 표면들 (31, 32) 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의 상기 캐리어 (43) 는 상기 롤러들 (23', 23"') 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액슬들 (25', 25"') 에 견고하게 커플링되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들 (23) 의 액슬들 (25) 은 서로 견고하게 커플링되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상기 홀더 (19) 에 유지 및 장착되어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서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사전결정된 허용오차 거리 (39) 만큼 상기 안내 트랙 (7) 의 종방향 (35) 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방향들 (37, 59) 로 상기 홀더 (19) 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따라서 안내 디바이스는 상기 2개의 방향들 (37, 59) 로의 상기 안내력들을 상기 홀더 (19) 에 전달하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디바이스 (21) 는 탄성 요소들 (29) 을 통해 상기 홀더 (19) 상에 유지 및 장착되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 (45) 는 웨지 형상이고, 상기 제동 요소 (51) 는 상기 안내 트랙 (7) 의 표면 (31, 33) 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슬라이딩 표면 (51) 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43) 는 반대쪽 방향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의 표면 (31, 33) 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 (53) 을 포함하여, 상기 제동 요소 (45) 는 상기 비활성화된 구성과 상기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상기 카운터 슬라이딩 표면 (53) 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표면 (51) 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43) 에 대해 이동 동안 재구성될 수 있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디바이스 (41) 는 상기 제동 요소 (45) 를 상기 비활성화된 구성과 상기 활성화된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 액추에이터 (57) 를 더 포함하는,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거리 (49) 는 상기 허용오차 거리 (39) 보다 작은,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오차 거리 (39) 는 3mm 보다 큰,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거리 (49) 는 3mm 미만인,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13.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으로서,
    주행 본체 (2),
    안내 트랙 (7),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9)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9) 의 홀더 (19) 는 상기 주행 본체 (2) 에 체결되고, 상기 장치 (9) 의 안내 디바이스 (21) 는 안내되는 방식으로 상기 안내 트랙 (7) 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227018126A 2019-12-02 2020-12-02 리프트 시스템의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할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KR20220101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2903.9A EP3831759A1 (de) 2019-12-02 2019-12-02 Vorrichtung zum führen und bremsen eines entlang einer führungsschiene zu verlagernden fahrkörpers einer aufzuganlage
EP19212903.9 2019-12-02
PCT/EP2020/084231 WO2021110726A1 (de) 2019-12-02 2020-12-02 Vorrichtung zum führen und bremsen eines entlang einer führungsschiene zu verlagernden fahrkörpers einer aufzug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114A true KR20220101114A (ko) 2022-07-19

Family

ID=6876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126A KR20220101114A (ko) 2019-12-02 2020-12-02 리프트 시스템의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할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49908A1 (ko)
EP (2) EP3831759A1 (ko)
KR (1) KR20220101114A (ko)
CN (1) CN114787063A (ko)
AU (1) AU2020396188A1 (ko)
WO (1) WO20211107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1459A (en) * 1924-07-11 1926-04-20 Otis Elevator Co Elevator safety appliance
FI85129C (fi) * 1989-12-14 1992-03-10 Kone Oy Faongapparat.
FI84253C (fi) * 1989-12-18 1991-11-11 Kone Oy Faongsapparat foer en hiss.
JP3381350B2 (ja) * 1993-02-03 2003-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FI105091B (fi) * 1997-01-30 2000-06-15 Kone Corp Johdejarru
JPH11199159A (ja) * 1997-11-06 1999-07-27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安全制動機
KR200278377Y1 (ko) * 2002-02-22 2002-06-20 정인숙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EP1400476B1 (de) 2002-09-23 2009-10-21 Inventio Ag Fangvorrichtung für Aufzüge
ES2395817T3 (es) 2002-10-09 2013-02-15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 combinado de guiado y freno de seguridad para ascensor
AU2003300127A1 (en) * 2003-12-31 2005-08-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device
ES2473323T3 (es) * 2005-11-08 2014-07-04 Dynatech, Dynamics & Technology, S. L. Sistema de acu�amiento para dispositivo de seguridad progresivo bidireccional
FI118124B (fi) * 2006-01-17 2007-07-13 Kone Corp Johdejarru
ATE504532T1 (de) * 2006-11-08 2011-04-15 Otis Elevator Co Aufzugbremsvorrichtung
MY143851A (en) * 2006-12-05 2011-07-15 Inventio Ag Braking device for holding and braking a lift cabin in a lift facility
EP2760777B1 (de) * 2011-09-30 2015-06-17 Inventio AG Bremseinrichtung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seinrichtung
BR112015012174B1 (pt) * 2012-11-27 2022-06-14 Inventio Ag Freio de segurança para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pelo menos um corpo móvel e método para frear e fixar um corpo móvel de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por meio de um freio de segurança
CN103010900A (zh) * 2012-12-19 2013-04-03 北京升华电梯有限公司 直行电梯轮式导靴
MY185622A (en) 2013-11-15 2021-05-26 Inventio Ag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EP3141511B1 (en) 2015-09-08 2019-01-02 Otis Elevator Company Housing assembly for a safety actuation device
US10889468B2 (en) * 2016-12-13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s safety actuator
CN108285081B (zh) * 2017-01-10 2021-08-03 奥的斯电梯公司 升降机轿厢的稳定装置及其控制方法、升降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9908A1 (en) 2023-02-16
CN114787063A (zh) 2022-07-22
EP3831759A1 (de) 2021-06-09
EP4069619A1 (de) 2022-10-12
EP4069619B1 (de) 2023-10-04
AU2020396188A1 (en) 2022-06-23
WO2021110726A1 (de)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9149C (en) Actuation of an intercepting apparatus
CN108473279B (zh) 用于升降系统的轿厢的制动装置
CN111483901B (zh) 电梯安全装置
EP2763927B1 (en) Elevator braking system
JP4690689B2 (ja) エレベータ用制動装置
JP2008143707A (ja)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レール、エレベータ装置のブレーキ装置、ならびに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保持、および制動のための方法
US10501287B2 (en) Damper unit for an elevator
EP2516308B1 (en) Elevator braking device
JP201553551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移動体のための安全止め具
CN114787062A (zh) 用于作动电梯制动装置的触发单元
AU2013265155A1 (en) Damping unit for a lift
EP3854742A1 (en) Climbing elevator with load-based traction force
KR20190049412A (ko) 리니어 모터 방식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CN117550462A (zh) 无缆电梯
US7374021B2 (en) Combined elevator guiding and safety braking device
CN114829283A (zh) 用于电梯的防坠装置
KR20220101114A (ko) 리프트 시스템의 안내 트랙을 따라 이동할 주행 본체를 안내하고 제동하기 위한 장치
WO2021121084A1 (en)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US20220348439A1 (en) Brake device
CA2874369A1 (en) Damping unit for a lift
CN113581976A (zh) 用于电梯轿厢的导向装置和电梯系统
KR100968706B1 (ko)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JP2013121856A (ja) エレベータ案内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