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706B1 -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706B1
KR100968706B1 KR1020090030581A KR20090030581A KR100968706B1 KR 100968706 B1 KR100968706 B1 KR 100968706B1 KR 1020090030581 A KR1020090030581 A KR 1020090030581A KR 20090030581 A KR20090030581 A KR 20090030581A KR 100968706 B1 KR100968706 B1 KR 10096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friction
guide rail
elevator ca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혁
진현호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9003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내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하는 마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반복되는 사용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점차 약화됨으로 인해 마찰력이 감쇠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마찰부재의 마찰면을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초기 면접촉되는 중심면과, 상기 중심면의 좌우에 배치되는 양측 사이드면으로 구획하고, 상기 중심면이 위치된 마찰부재 부분의 두께를 양측 사이드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레일과 마찰부재와의 지속적인 마찰시 마찰부재가 마모됨에 따라 마찰력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성능을 높이고 승객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Friction elements for safety apparatus attatched elevator car, and safet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성능을 높이고 승객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시스템으로, 건물 내에 형성된 승강통로와, 상기 승강통로를 이동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통로에 일정 길이를 갖는 안내레일(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10)는 안내레일(1)을 따라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측부에 엘리베이터 카(10)의 운행속도를 제어하는 조속기(20) 및 조속기 풀리(21) 그리고 조속기(20)와 조속기 풀리(21)에 감겨진 조속기 로프(22)가 엘리베이터 카(10)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하부에 엘리베이터의 이상작동이나 낙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속도가 과속되어 일정 속도에 도달하였을 때 엘리베이터 카(10)를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장치(B)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정지장치(B)는 상기 조속기(20) 및 조속기 로프(22)와 연결되는 링크연결수단(23)에 의해 연결되어 조속기(20)의 작동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비상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를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장치(B)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비상정지장치(B)의 정면, 평면 및 측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정지장치(B)는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1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안내레일(1)이 삽입되는 개구홈이 형성된 몸체(30)와, 상기 몸체(30) 내에 설치되며 안내레일(1)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3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30) 내부의 일측에는 고정식 마찰부재(3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식 마찰부재(34)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식 마찰부재(34)는 몸체(30) 내부에 형성된 쐐기 형태의 경사면(33)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면서 안내레일(1)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식 마찰부재(32)와 함께 안내레일(1) 면을 압축하여 마찰되도록 하고 있다.
고정식 마찰부재(34)는 몸체(30) 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볼 트(32) 및 와셔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동식 마찰부재(34) 내부에는 접시스프링(36)이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34)가 안내레일(1)에 닿아 압축될 때 접시스프링(36)도 함께 압축되면서 수직력을 받아 그 수직력을 레일면에 전달하고, 상기 고정식 마찰부재(32)는 움직이는 이동식 마찰부재(34)의 수직 반력이 작용하여 이동식 마찰부재(34)와 함께 레일을 압착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마찰부재(34)가 몸체(30) 내의 경사면(33)을 따라 상부로 올라갈 때 원활한 상승을 위하여 몸체(30) 내부와 움직이는 이동식 마찰부재(34) 사이에 롤러(35)가 설치된다. 그리고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때 레일면과 마찰부재들(32)(34) 사이의 수직 반력을 지지하고 움직이는 이동식 마찰재(34)의 상승을 설정된 제한 높이에 멈추도록 하는 멈춤 볼트(42)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멈춤 볼트(42)는 이동식 마찰부재(34)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마찰부재(34) 내의 접시스프링(36)이 과도하게 압축되고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0)를 급정지시키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0)는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안내레일(1)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11)에 장착된 비상정지장치(B)는 엘리베이터 카(10)와 함께 움직이게 되며 이때 마찰부재(32)(34)와 안내레일(1)은 비접촉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작동이나 낙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속도가 과속되어 일정 과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조속기(20)가 작동되어 조속기로프(22) 를 파지하고 조속기 로프에 연결된 링크연결수단(23)이 멈춤으로 엘리베이터 카(10)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10)와 같은 속도로 하강하는 비상정지장치의 이동식 마찰부재(34)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조속기 풀리(21)는 조속기 로프(22)에 장력을 가한다. 한편 상기 이동식 마찰부재(34)가 롤러(35)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30) 내의 경사면(33)을 따라 상승하면서 두 마찰부재(32)(3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안내레일(1)의 양측면에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을 발생시켜 엘리베이터 카(10)를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도 4는 상기 비상정지장치(B) 내부에 장착되어 안내레일(1)과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32)(34)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32)(34)의 일측에는 안내레일(1)의 레일면과 직접 접촉되며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마찰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마찰면은 일반적으로 안내레일(1)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마찰부재(32)(34)는 비상정지시 안내레일(1)의 레일면을 압착하면서 미끄러질 때 수직력이 발생하면서 마찰부재(32)(34)의 마찰면(F)과 레일(1)이 마모가 되면서 엘리베이터 카(10)를 정지시키게 되는데, 한번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되면 마찰부재(32)(34)의 마찰면(F) 표면이 마모가 되어서 마모되기 전의 표면보다 마찰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평판형 마찰부재는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되면서 마찰부재의 마모형태가 "ㄴ" 또는 "ㄷ" 자 형태 등으로 마모가 진행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시 성능을 급격하게 떨어뜨리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마찰재의 형상구조를 변경하여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시 마찰재의 편마모와,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로 인해 마찰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성능을 높이고, 승객의 안정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내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마찰부재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초기 면접촉되는 중심면과; 상기 중심면의 좌우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면의 마모시 상기 레일면과 면접촉되는 사이드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찰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양측 사이드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접촉되는 상기 중심면의 폭은 상기 마찰면의 총면적 대비 1/8 ~ 1/2 범위 내에 놓이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의 중심면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을 경사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찰부재의 중심면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을 곡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마찰부재의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삽입된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마찰부재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과속으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초기 면접촉되는 중심면과; 상기 중심면의 좌우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면의 마모시 상기 레일면과 면접촉되는 사이드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찰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양측 사이드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접촉되는 상기 중심면의 폭은 상기 마찰면의 총면적 대비 1/8 ~ 1/2 범위 내에 놓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의 중심면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을 경사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심면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형성하 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을 곡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부재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초기 접촉되는 중심부 두께를 양측 사이드부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레일과 마찰부재와의 지속적인 마찰시 마찰부재가 마모될수록 마찰면적이 점점 늘어나서 마찰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성능을 최대한 높여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마찰부재는 종래의 평면 형태의 마찰면을 갖는 마찰부재에 비하여 마찰력을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명이 길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회수가 늘어날수록 마찰부재를 밀어 압박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점차 약화됨으로써 마찰력이 감쇠되는 현상을 보완 극복하여 항상 일정하고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접촉되는 마찰부재의 중심면 폭을 마찰면의 총면적 대비 1/8 ~ 1/2 범위 내에 놓이도록 형성함으로써, 마찰부재에 의한 마 찰효율을 높이고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안전장치에 있어서 마찰부재의 형상구조에 대해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상기 마찰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안전장치 내의 구성들은 전술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채용되는바, 상기 마찰부재의 주변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에는 비상시 과속으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카를 마찰력을 통해 정지시키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는 승강통로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 내에 삽입된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접촉되는 2개의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내에 설치되는 마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마찰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에 구비되는 마찰부재(100)는 안전장치의 몸체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양측에서 압박하게 되는 고정식 마찰부재 또는 이동식 마찰부재에 적용되는 마찰부재를 말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찰부재(100)는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마찰면(1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종래처럼 평면형태가 아닌 굴곡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찰부재(100)의 전체 마찰면(110)은 마찰부재(100)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중심면(112)과, 상기 중심면(112)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2개의 사이드면(114)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중심면(112)은 마찰부재(100)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시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초기 면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중심면(112)의 좌우에 위치한 양측 사이드면(114)는 상기 중심면(112)의 좌우로부터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며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양측 사이드면(114)과 중심면(112)이 합쳐져 형성되는 마찰면(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다리꼴 형태의 평면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마찰부재(100)에 있어서 중심면(112)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T1)를 양측 사이드면(114)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시 마찰부재(100)가 가이드레일의 레일면에 밀착하여 마찰되는 경우, 상기 레일면과 초기 접촉되는 평면형태의 중심 면(112)이 우선적으로 마모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중심면(112)의 마모가 점차 진행될수록 가이드레일과 양측 사이드면(114)이 접촉됨으로써, 가이드레일과 마찰되는 마찰면적이 점차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를 위해 안전장치를 작동하여 제동을 하게 되는 경우 작동 회수가 늘어남에 따라 마찰부재의 마모가 발생되어 마찰부재의 두께가 점차 줄어들면서 상기 마찰부재를 미는 스프링력도 비례하여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회수가 늘어날수록 마찰부재를 밀어 압박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점차 약화됨으로써 마찰력이 감쇠되어 제동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장치가 처음 작동할 때 마찰부재(100)의 중심면(112)이 일정량 마모가 되지만 마찰면적은 오히려 증가하면서 마찰부재(100)의 두께방향으로 마모가 진행되어 마찰부재(100)를 압박하도록 밀어주는 스프링의 힘이 줄어들더라도 마찰면적은 오히려 증가되기 때문에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작동될 때 마찰력이 현격히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찰부재(100)가 마모가 되면 될수록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면적이 증가하여 마모가 되면서 발생하는 마찰부재(100)의 표면 손상에 의한 마찰력 저감 현상을 최소화하고, 항상 일정하고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접촉되는 중심면(112)의 폭은 상기 중심면(112)과 양측 사이드면(114)을 포함하는 마찰면(110)의 총면적 대비 1/8 ~ 1/2 범위 내에 놓이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중심면(112)의 폭을 마찰면(110) 총면적의 1/8 정도가 좋은 실험값을 나타낸다. 예컨대, 마찰면(110)의 전 체 총면적이 32mm일 경우 가이드레일과 초기 접촉되는 중심면(112)의 폭을 4mm 정도로 설정하게 되면 마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재(1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의 마찰면(110) 구조를 갖는 마찰부재(100)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7은 마찰부재(100)의 중심면(112)이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를 가지고 양측 사이드면(114)은 완만하게 경사진 곡면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것이고, 도 8은 마찰부재(100)의 중심면(112)과 양측 사이드면(114)이 모두 평면형태로 형성된 구조이며, 도 9는 마찰부재(100)의 중심면(112)과 양측 사이드면(114)이 모두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형성되지만, 상기 중심면(112)과 양측 사이드면(114) 사이에 긴 홈(1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심면(112)과 사이드면(114)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찰부재(100)의 마찰면(110) 형상을 평면, 경사면, 곡면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마찰부재(100)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면적 조절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 사양에 따라 마찰면(110)의 형상변경을 통해 마찰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 회수가 늘어날수록 마찰부재를 밀어 압박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점차 약화됨으로써 마찰력이 감쇠되는 현상을 보완 극복하여 항상 일정하고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찰부재(100)는 마찰면의 형상구조에 의해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부재(100)의 마모가 천천히 발생되어 마찰부재(100)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고, 종래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시 마찰력이 처음부터 일정한 정도로 가해져 정지됨으로써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어 승객의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정지장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비상정지장치의 정면, 평면 및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상정지장치에 설치되는 마찰부재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마찰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찰부재 110 : 마찰면
112 : 중심면 114 사이드면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내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마찰부재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초기 면접촉되는 중심면과;
    상기 중심면의 좌우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면의 마모시 상기 레일면과 면접촉되는 사이드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찰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양측 사이드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접촉되는 상기 중심면의 폭은 상기 마찰면의 총면적 대비 1/8 ~ 1/2 범위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중심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은 경사면 형태로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 사이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6. 가이드레일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삽입된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마찰부재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과속으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초기 면접촉되는 중심면과;
    상기 중심면의 좌우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면의 마모시 상기 레일면과 면접촉 되는 사이드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찰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양측 사이드면이 위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접촉되는 상기 중심면의 폭은 상기 마찰면의 총면적 대비 1/8 ~ 1/2 범위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중심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은 경사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사이드면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면과 평행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면과 양측 사이드면 사이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KR1020090030581A 2009-04-08 2009-04-08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KR10096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581A KR100968706B1 (ko) 2009-04-08 2009-04-08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581A KR100968706B1 (ko) 2009-04-08 2009-04-08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706B1 true KR100968706B1 (ko) 2010-07-06

Family

ID=4264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581A KR100968706B1 (ko) 2009-04-08 2009-04-08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21007A1 (es) * 2019-09-06 2021-04-23 Orona S Coop Dispositivo paracaídas electromecánico de aparatos elevado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5891A (ja) * 1989-04-05 1990-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0351274B1 (ko) 1998-12-12 2002-12-26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비상정지장치
KR20030044952A (ko) * 2003-04-25 2003-06-09 주식회사 비티비테크놀로지 무선 영상 도어 키 시스템
KR200344952Y1 (ko) 2003-11-06 2004-03-11 주식회사 세이펠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용 브레이크 패드
JP2008143707A (ja) 2006-12-07 2008-06-26 Inventio Ag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レール、エレベータ装置のブレーキ装置、ならびに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保持、および制動の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5891A (ja) * 1989-04-05 1990-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0351274B1 (ko) 1998-12-12 2002-12-26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비상정지장치
KR20030044952A (ko) * 2003-04-25 2003-06-09 주식회사 비티비테크놀로지 무선 영상 도어 키 시스템
KR200344952Y1 (ko) 2003-11-06 2004-03-11 주식회사 세이펠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용 브레이크 패드
JP2008143707A (ja) 2006-12-07 2008-06-26 Inventio Ag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レール、エレベータ装置のブレーキ装置、ならびに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保持、および制動のため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21007A1 (es) * 2019-09-06 2021-04-23 Orona S Coop Dispositivo paracaídas electromecánico de aparatos elevado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1696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EP2695842B1 (en) Elevator device
JP4966740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110194402B (zh) 电梯安全装置
JP2014065591A (ja) 非常止め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JP5345041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CN102712448A (zh) 电梯制动装置
US20180044136A1 (en)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ystem
US11472670B2 (en) Safety gear for an elevator
KR100279363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JP3611543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JP628633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これに備えられる非常止め装置
KR100968706B1 (ko) 엘리베이터 카 안전장치용 마찰부재 및 이 마찰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장치
JPWO2014033846A1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WO2013186869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101233068A (zh) 用于暂时的电梯安全空间防护等的制动装置或安全钳
JP2016064893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JP5081137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4176554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JP51890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KR100351274B1 (ko) 엘리베이터의비상정지장치
JP2021181369A (ja)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
JP4854954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5186771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114104902B (zh) 非对称安全钳及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