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800A -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800A
KR20220095800A KR1020200187681A KR20200187681A KR20220095800A KR 20220095800 A KR20220095800 A KR 20220095800A KR 1020200187681 A KR1020200187681 A KR 1020200187681A KR 20200187681 A KR20200187681 A KR 20200187681A KR 20220095800 A KR20220095800 A KR 20220095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r
weight
plasticizer composition
formul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바울
김양중
김민정
김기돈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5800A/ko
Priority to PCT/KR2021/020237 priority patent/WO2022146062A1/ko
Priority to US18/270,319 priority patent/US20240124682A1/en
Priority to EP21915859.9A priority patent/EP4273193A1/en
Priority to JP2023539869A priority patent/JP2024502800A/ja
Priority to CN202180088867.5A priority patent/CN116685632A/zh
Publication of KR2022009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80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 등의 열적 안정성 향상에 상승효과를 제공하여 성형물의 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상용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 열적 안정성은 물론 기계적 물성 또한 우수한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ESTER PLASTICIZER COMPOSITION AND USED THEREOF}
본 발명은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상 속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는 각각 특성에 맞게 생활 및 가전용품, 의류, 자동차, 건설자재 또는 포장재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염화비닐(PVC) 등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들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염화비닐은 경질, 연질 특성을 가지며, 다양한 성형방법에 유리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여 범용적인 효용성을 갖추어 생활용품부터 산업자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은 수지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물성 구현을 위하여 가소제를 첨가하여 사용된다. 가소제는 수지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가공성 및 성형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산업이 발전하면서 가소제의 역할도 유연성뿐만 아니라 내휘발성, 내이행성, 내노화성, 내한성, 내유성, 내수성, 내열성 등 그 적용분야에 따라 요구하는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화 되었다.
가소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일 예로는,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EHP),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 디-2-프로필헵틸 프탈레이트(DPHP) 또는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DP)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프탈레이트 가소제로 환경호르몬 문제가 있어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이다. 또한,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대표되는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DOTP)는 이행성, 휘발성(가열감량) 등의 열적 안정성에서 제품 물성을 개선 시키는데 한계가 따랐다.
이에, 종래 가소제로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가공성은 물론 다양한 물성 면에서 기존 제품의 물성을 충분히 개선시킬 수 있는 가소제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하다.
KR 10-2008-0105341 A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적 안정성이 개선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 등의 열적 안정성이 개선되고 상용성이 우수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열적 안정성이 개선됨은 물론 우수한 인장강도, 연신율 및 경도의 구현과 이들 물성에 대한 내노화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하기 화학식1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15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다.]
[관계식1]
0.05 ≤ |(A0-A1~3)/An| ≤ 0.45
[상기 관계식1에서,
An은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이고;
A0은 상기 화학식1의 n=0인 화합물의 중량%이고;
A1~3은 상기 화학식1의 n=1~3인 혼합물의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하기 관계식2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2]
0 ≤ A4-10/A1-3 ≤ 0.2
[상기 관계식2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1-3은 상기 화학식1의 n=1~3인 혼합물의 중량%이고;
A4~10은 상기 화학식1의 n=4~10인 혼합물의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A0이 30 내지 80중량%범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7-13 분쇄알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6 직쇄알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5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충전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물은 전선 피복재,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필름, 시트, 벽지 또는 튜브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과 같은 내열수지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내열성 및 상용성 등의 물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2종 이상의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특정의 관계식을 만족함에 따라 가소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가소제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 등의 열적 안정성과 관련한 특성 면에서 특히 우수하다. 이와 같은 상승효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성, 즉 가소화 효율을 높이고 성형물의 물성 향상에 보다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조합으로 기계적 물성 또한 우수한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하고, 중량%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 조성물 내에서 차지하는 중량%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알킬'은 직쇄 또는 분쇄 형태의 지방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1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또한, '에틸렌'은 -CH2CH2-의 구조식을 가지며, '프로필렌'은 -CH2CH2CH2- 또는 -CH(CH3)CH2-의 구조식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가소제의 이행(migration)이란, 내열수지와 혼합된 가소제 중 일부가 내열수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종래 가소제 중, 일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경우 유출된 가소제가 체내에 유입되면 생명활동에 직접 관여하는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활동을 저해하거나 비정상적인 반응을 촉발시켜 치명적인 위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최대한 가소제의 이행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들은 체내에 유입되어 내분비계 문제점을 야기하지는 않으나, 열적 안정성이 낮아 가소제의 이행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과 같은 내열수지와의 가공성은 물론 가소제의 이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기 위한 가소제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던 중, 서로 상이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알코올을 통해 유도된 에스테르기를 갖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반복단위의 비율을 조절하여, 종래 가소제의 한계점으로 지적된 가소제 이행은 물론 가열감량과 같은 열적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하기 화학식1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1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15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다.]
[관계식1]
0.05 ≤ |(A0-A1~3)/An| ≤ 0.45
[상기 관계식1에서,
An은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이고;
A0은 상기 화학식1의 n=0인 화합물의 중량%이고;
A1~3은 상기 화학식1의 n=1~3인 혼합물의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것으로, 내이행성은 물론 가열감량 등의 특성 면에서 우수하며 동시에 이를 채용한 내열수지의 경도, 연신율,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에 불리함을 야기하지 않는다. 또한, 고분자형의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함에도 개선된 가소화 효율을 가지며,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과 같은 내열수지와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다. 반면, 상기 관계식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향상된 이행성과 가열감량을 동시에 구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1은 0.05 초과인 것일 수 있고, 좋게는 0.07이상, 보다 좋게는 0.08이상, 가장 좋게는 0.09이상~0.45미만인 것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하기 관계식2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2]
0 ≤ A4-10/A1-3 ≤ 0.2
[상기 관계식2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1-3은 상기 화학식1의 n=1~3인 혼합물의 중량%이고;
A4~10은 상기 화학식1의 n=4~10인 혼합물의 중량%이다.]
이와 같은 관계식1과 관계식2는 2가 연결기인 C2-3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사용량, 즉 이의 비율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이 상술된 관계식1과 관계식2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 내 각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목적하는 효과에 보다 시너지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된 조성으로 조성물 내 혼재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이행성과 감량감량 등의 물성에 균형을 맞출 수 있고, 인장강도와 연신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내노화성에 있어서 현저한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상술된 수식을 만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종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환경적인 이슈를 제거하면서도 이행성 및 가열감량을 더 개선한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A0가 30 내지 80중량%범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이행성에 보다 향상된 시너지를 보이는 측면에서, 상기 A0가 30초과~80미만의 중량%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31 내지 78중량%, 또한 31 내지 75중량%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에서의 상기 n이 0 내지 8을 만족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에서의 상기 n이 0 내지 6을 만족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에서의 상기 n이 0 내지 5를 만족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2개이상의 고리기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5 내지 40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7-13 분쇄알킬인 것일 수 있고, 좋게는 C8-13 분쇄알킬인 것일 수 있고, 보다 좋게는 C8-10 분쇄알킬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2-에틸헥사놀, 이소노닐알코올, 이소데실알코올, 2-프로필헵탄올 또는 이소트리데실알코올 등의 1가 지방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기의 일부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6 직쇄알킬인 것일 수 있고, 좋게는 C4-5 직쇄알킬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n-부탄올 등으로부터 유도된 치환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g/mol이상인 고분자형의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며, 이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9.5 중량%이하, 또는 0 내지 9.5 중량%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g/mol미만인 저분자형의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포함하며, 이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소제 중 하나인,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대비 이행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값을 가져, 그 적용분야에 한계가 따랐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내이행성은 물론 가열감량 등의 열적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 이와 같은 효과는 단일 화합물 또는 상술된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대비 현저함을 보인다는 점에서 괄목할만 하다.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C2-3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촉매 존재 하에서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15 알킬이다.]
상기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은 C2-3 폴리알킬렌글리콜과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반응하여 치환체가 서로 상호교환되는 반응을 의미한다. 상기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이 이루어지면 상기 C2-3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알콕사이드가 2분자의 상기 화학식2의 에스테르기의 탄소를 각각 공격하게 되어,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또한,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반응 부분으로 상기 화학식2의 화합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Sn계 또는 Ti계를 포함하는 유기금속 촉매, 술폰산계 또는 황산계를 포함하는 산촉매, 또는 이들의 혼합 촉매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촉매 사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Zn계를 포함하는 유기금속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낮은 반응효율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관계식을 만족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았다.
일 예로, 상기 유기금속 촉매에 있어서, Ti계 유기금속 촉매는 테트라메틸 티타네이트,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펜틸 티타네이트, 테트라헥실 티타네이트, 테트라-옥틸 티타네이트, 테트라노닐 티타네이트, 테트라도데실 티타네이트, 테트라헥사데실 티타네이트, 테트라-옥타데실 티타네이트, 테트라데실 티타네이트 및 테트라헵틸 티타네이트 등의 테트라알킬 티타네이트; 및 테트라페닐 티타네이트 등의 테트라아릴 티타네이트;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산촉매는 황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판술폰산 및 부탄술폰산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촉매는 통상의 사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총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 또는 0.01 내지 0.5 중량부, 또는 0.02 내지 0.1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은 산-알코올간 에스테르화 반응과 비교하여 폐수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무촉매 하에서도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내이행성과 내휘발성 등에 놀랍도록 향상된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승효과는, 상기 화학식1의 에스터기와 상기 화학식2의 에스터기 사이의 수소 결합 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가소제가 염화비닐 수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른 것으로 예상하나, 이와 같은 특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상승효과가 의존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술된 관계식을 만족함에 따라 내이행성에 탁월함을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80℃이상의 반응온도 하에서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의 반응온도는 135℃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의 반응온도는 150℃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의 반응온도는 170 내지 270℃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는 상술된 반응온도 하에서 10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반응시간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응시간은 하기 식1에 의해 얻어진 산가를 통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산가는 낮을수록 좋으나, 5이하의 값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산가가 높다는 것은 미반응 방향족 화합물이 가소제 내 남아있음을 의미하므로 가소제의 순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할 수 있다.
[식1]
산가(acid value) = (적정량×5.6×factor)/시료량
[상기 식1에서,
적정에 사용된 알칼리 용액이 0.1N KOH 수용액의 경우는 상기 factor가 1이다.]
또한, 상기 단계는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 및 아르곤 등에서 선택되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이후 미반응 알코올, 반응 부산물 또는 이들을 회수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정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제단계를 통해 회수된 미반응 알코올은 재사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반응단계에 사용되어 보다 경제적인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이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미반응 알코올은 C2-3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화하는 단계는, 통상의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반응 알코올을 회수하는 단계는, 미반응으로 존재하는 알코올은 물론 반응 부산물인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는 증류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증류단계를 통하는 경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들의 끓는점의 차이가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의 차이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증류는 다단증류 또는 혼합증류일 수 있다. 상기 다단증류의 경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들 각각의 끓는점의 차이에 따라 따로 분리하는 방법일 수 있고, 상기 혼합증류의 경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들을 동시에 증류하는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을 기준으로, 상기 C2-3 폴리알킬렌글리콜은 0.1 내지 5몰로 포함할 수 있고, 또는 0.3 내지 3몰, 또는 0.5 내지 1.5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가소제의 분자량이 향상되며, 수지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관능기, 즉 에스테르기의 수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가소제는 분자량, 구조적 특징 등에 따라 내노화 물성 등이 좌우되며, 가소제의 분자량이 클수록 내노화 물성은 우수하지만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노화 물성은 물론 수지와의 상용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의 경향을 따르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상기 관계식1 및 관계식2를 만족하도록 각 반복단위의 비율을 조절하여, 목적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각 조성의 비율 조절은 물론, 각 조성의 투입조건 등을 조절하여 이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일 양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테레프탈레이트를 기본 구조로 하는 하기 화학식3의 화합물을 수소화 반응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3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15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다.]
상기 수소화 반응은 금속촉매의 존재 하에서 수소화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이의 반응은 일종의 환원반응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촉매는 수소화 반응이 가능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Rh/C 촉매, Pt 촉매, Pd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가소제 조성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열수지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관능기, 즉 에스테르기의 수가 증가된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조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소제는 분자량, 구조적 특징 등에 따라 내노화 물성 등이 좌우되며, 가소제의 분자량이 클수록 내노화 물성은 우수하지만 내열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 내 이들의 상호 작용으로 내노화 물성은 물론 내열수지와의 상용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차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상기 화학식1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적어도 둘이상의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혼합된 양태이다. 이와 같은 조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내이행성과 내휘발성에 탁월한 상승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의 n=0인 화합물을 30 내지 7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좋게는 30 중량%초과, 보다 좋게는 31 내지 65 중량%범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1의 n=0인 화합물을 31 내지 60 중량%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현저하게 감소된 이행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n=0인 화합물을 55 중량%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가열전 연신율에 보다 이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종래 가소제, 즉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 (DEHCH) 등과 같은 가소제를 포함하며, 보다 향상된 이행성, 휘발성(가열감량)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휘발성에 탁월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가소제로서의 우수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어 좋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술한 저분자형의 가소제 문제점은 물론 기존 고분자형의 가소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까지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1000이상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고분자형의 에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향상된 가소화 효율로 상술한 저분자형의 가소제와 동등 수준의 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과 같은 내열수지와의 가공성에 불리함을 제공하지 않으며, 높은 가소화 효율로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의 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이 개선되면서도 인장강도, 연신율 및 내노화성(예, 가열후 인장강도 변화율, 연신율 변화율 등)이 우수한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가 공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외에 현탁제, 완충제, 및 중합 개시제 등을 혼합하여 현탁 중합, 미세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또는 미니에멀전 중합 등의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술한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다른 단량체는 통상의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및 프로피온산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는 비닐 에스터계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 비닐에테르, 및 할로겐화 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단량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단량체; 무수말레산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스티렌 단량체; 및 할로겐화 폴리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염화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단량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 요구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물성이나 용도 등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염화비닐 단량체와 중합반응을 통해 공중합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단량체는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 300 내지 3,000인 것일 수 있고, 좋게는 500 내지 2,000, 보다 좋게는 700 내지 1,2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5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8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및 충전제 등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열안정제는 Ca, Zn, Al, Mg 등에서 선택되는 둘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열안정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2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함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열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상용성 및 상승적 효과가 우수하여 다른 안정제보다 월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벤조페놀, 트리아졸 및 아크릴로니트릴 등에서 선택되는 비금속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충전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생산성, 건조상태의 감촉(Dry touch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전제는 탄산칼슘, 클레이, 탈크(Talc) 및 규조토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충전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5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상기 충전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 초과의 사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대한 흡수속도와 짧은 용융 시간을 가져,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가공성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비롯하여, 아크릴 수지, ABS 수지, 우레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내열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양태의 처방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컴파운드 처방, 시트 처방 및 플라스티졸 처방 등을 들 수 있다.
상술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은 용도 및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양태로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물은 전선 피복재 등일 수 있다. 또한,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필름, 시트, 벽지 또는 튜브 등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낮은 가열감량 및 내이행성을 갖는 성형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의 측정은 하기 평가방법에 따른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내이행성이 0.2%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내이행성이 0.15%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내이행성이 0.01~0.1%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내이행성이 0.03~0.08%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가열감량(W1)이 1.0%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가열감량(W1)이 0.9%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가열감량(W1)이 0.1~0.8%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물은 상술된 열적 안정성을 만족함은 물론 우수한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만족한다. 이때, 상기 인장강도 및 연신율의 측정은 하기 평가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물은 ASTM D638에 의거한 인장강도가 100~300 kg/㎠ 이고, 연신율이 300~600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장강도가 120~250 kg/㎠ 이고, 연신율이 350~580 %,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강도가 150~200 kg/㎠ 이고, 연신율이 400~560 %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상온에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물은 내노화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물은 내열 노화시험에서도 향상된 효과를 구현한다. 이에 대해, 상기 성형물은 ASTM D638 시험방법에 따라 수행되는 가열전·후에 따른 인장강도 및 연신율에 대한 변화율이 적다. 또한, 상기 성형물은 우수한 경도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이점인 가열감량 및 내이행성에 있어서 역시 내열 노화시험에서도 변화율이 거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물은 바닥재, 벽지, 타포린, 인조피혁, 장난감, 또는 자동차 하부 코팅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DEHCH를 사용한 친환경 가소제 조성 대비하여 가소제의 이행성 및 휘발성 등의 물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온도는 모두 ℃ 단위를 의미하며, 상온은 25 ℃를 의미한다.
(평가방법)
1) 내이행성:
각각의 시편을 지름 3 ㎝ 원형으로 자른 후, 소수점 4자리까지 초기무게(Wi) 및 흡유 전 기름종이의 무게(Wq1)를 측정하였다. 초기무게가 측정된 3M 기름종이(55 ㎜×85 ㎜) 사이에 시편을 넣은 후 5 kg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70 ℃의 오븐에서 4 일동안 방치 후, 시편을 꺼내 시편의 무게 및 흡유 후 기름종이의 무게(Wq2)를 측정하고, 내이행성을 확인하였다. 이행성의 계산은 (Wq2-Wq1)/Wi × 100으로 하였다. 여기서, 상기 이행성은 가소제 유출량(%)을 의미한다.
2) 가열감량: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소수점 4자리까지 초기무게(Wi)를 측정하였다. 120 ℃의 오븐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시편을 고정시키고, 72 시간 후 시편을 꺼내 항온조(상온, 25 ℃)에서 4 시간 이상 보관 후, 시편의 무게(Wo)를 측정하고, 가열감량의 비율(%, W1)을 확인하였다. 가열감량 비율의 계산은 (Wi-Wo)/Wi × 100으로 하였다.
3) 경도(ASTM D2240):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ASTM D2240 방법에 의해 경도계(ASKER CL-150, 단위 Shore A)를 사용하여 경도 시험기("A" type)침을 완전히 내린 후 10 초 후에 나타난 상온에서의 경도 값을 읽었다. 경도는 각각의 시편에 대해 5곳을 시험한 다음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4) 인장강도, 연신율 [ASTM D638]: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테스트 기기인 U.T.M을 이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200 ㎜/min으로 당긴 후,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kgf/㎠)의 계산은 load 값(kgf)/두께(㎝) × 폭(㎝)로 계산하였고, 연신율(%)은 익스텐션(estension)/초기길이 × 100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은 가열전(상온) 및 가열후(120 ℃, 100hr)에서 각각 수행되었다.
인장강도의 변화율은 (가열후 인장강도-가열전 인장강도)/가열전 인장강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연신율의 변화율은 (가열후 연신율-가열전 연신율)/가열전 연신율 × 100으로 계산하였다.
(실시예1)
온도 센서, 기계식 교반기, 응축기, 데칸터(Decantor) 및 질소 주입장치가 설치된 2 L 반응기에, 디에틸헥실 사이클로헥산(Diethyl hexyl cyclohexane, DEHCH) 1400 g 및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146.2 g을 투입하였다. 투입 후, 질소조건 하에 교반시키며 230 ℃까지 승온시켰다. 승온 후, TNBT(Tetra N-butyl Titanate) 0.5 g을 투입하여 동일조건 하에서 트랜스 에스터화(trans-esterification) 반응을 진행하였다(반응시간: 8 시간). 반응이 완료되면, 90 ℃까지 냉각 후 알칼리용액(1M NaOH solution)을 투입한 후 규조토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엿다. 이후,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미반응 알코올, 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최종 생성물인 가소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가소제 조성물을 GPC 분석을 통해, 총 중량을 기준으로 DEHCH 함량(중량%) 등 조성물 내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량(중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PVC(중합도 1000) 400 g에 가소제 200 g, 복합 열안정제(RUP-110) 32g 및 탄산칼슘 80g을 배합하여 롤 밀을 170℃에서 3분간 작업하여 1mm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후, 프레스 작업은 180℃에서 예열 3분, 가열 10분, 냉각 3분간 작업 후, 3mm 두께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시편을 사용하여,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성 결과를 하기 표1 및 표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과 유사하게 수행하되, 디에틸렌 글리콜을 182.8g으로 증량하여, 최종 생성물인 에스테르 가소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에스테르 가소제 조성물을 GPC 분석을 통해, 총 중량을 기준으로 DEHCH 함량(중량%) 등 조성물 내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량(중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성 결과를 하기 표1 및 표2에 도시하였다.
(비교예1)
상용의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 (DEHCH, 한화케미칼)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성 결과를 하기 표1 및 표2에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상기 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채용하는 경우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서 0.08%이하의 이행성 및 0.80%이하의 가열감량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서는 상용의 가소제인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 (DEHCH, 비교예1) 대비 동등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채용하는 경우, 상용의 가소제인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 (DEHCH, 비교예1) 대비 동등이상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인장강도 변화율 및 연신율 변화율에서도 상승효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내열 노화시험에서도 그 변화율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관계식을 만족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효과에 있어서 DEHCH 의 함량이 줄어들수록 시너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EHCH 의 함량을 줄이기 위해, 반응조건(온도, 압력, 시간 등)을 가혹하게 조절하는 경우, 조성물 내 DEHCH 의 함량을 줄이기보다 에스테르계 가소제의 고분자화를 유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계식을 만족시킬 수 없고 이에 따른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기 관계식1을 만족하는 하기 화학식1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화학식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1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15 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다;
    [관계식1]
    0.05 ≤ |(A0-A1~3)/An| ≤ 0.45
    상기 관계식1에서,
    An은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이고;
    A0은 상기 화학식1의 n=0인 화합물의 중량%이고;
    A1~3은 상기 화학식1의 n=1~3인 혼합물의 중량%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관계식2를 만족하는 것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관계식2]
    0 ≤ A4-10/A1-3 ≤ 0.2
    상기 관계식2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1-3은 상기 화학식1의 n=1~3인 혼합물의 중량%이고;
    A4~10은 상기 화학식1의 n=4~10인 혼합물의 중량%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A0은 30 내지 80중량%범위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7-13 분쇄알킬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4-6 직쇄알킬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5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열안정제, 충전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전선 피복재,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필름, 시트, 벽지 또는 튜브인, 성형물.
KR1020200187681A 2020-12-30 2020-12-30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95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681A KR20220095800A (ko) 2020-12-30 2020-12-30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CT/KR2021/020237 WO2022146062A1 (ko) 2020-12-30 2021-12-30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8/270,319 US20240124682A1 (en) 2020-12-30 2021-12-30 Ester-base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EP21915859.9A EP4273193A1 (en) 2020-12-30 2021-12-30 Ester-base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2023539869A JP2024502800A (ja) 2020-12-30 2021-12-30 エステル系可塑剤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N202180088867.5A CN116685632A (zh) 2020-12-30 2021-12-30 酯系增塑剂组合物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681A KR20220095800A (ko) 2020-12-30 2020-12-30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800A true KR20220095800A (ko) 2022-07-07

Family

ID=8225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681A KR20220095800A (ko) 2020-12-30 2020-12-30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24682A1 (ko)
EP (1) EP4273193A1 (ko)
JP (1) JP2024502800A (ko)
KR (1) KR20220095800A (ko)
CN (1) CN116685632A (ko)
WO (1) WO202214606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341A (ko) 2007-05-30 2008-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지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436A (ja) * 1982-07-19 1984-01-26 Satoru Matsumoto ジエチレングリコ−ルビスアルキルフタレ−ト可塑剤
CN101775125B (zh) * 2010-02-04 2011-07-27 江南大学 一种无芳香环结构聚六氢苯酐二元醇酯增塑剂及其制备方法
CN104926648A (zh) * 2015-06-06 2015-09-23 山东岩海建设资源有限公司 一种多酯增塑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973123B1 (ko) * 2016-04-22 2019-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5197A (ko) * 2018-08-03 2020-02-12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자외선 안정성이 우수한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2246868B1 (ko) * 2019-12-30 2021-05-0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341A (ko) 2007-05-30 2008-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지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4682A1 (en) 2024-04-18
JP2024502800A (ja) 2024-01-23
EP4273193A1 (en) 2023-11-08
WO2022146062A1 (ko) 2022-07-07
CN116685632A (zh)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0621C2 (ru) Сложноэфи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пластифиц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это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ластифицирующей композиции и смо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пластифицирующую композицию
CN108699287B (zh)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RU2670764C2 (ru) Соединение на основе сложного эфира, пластифиц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это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и смо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пластифицирующую композицию
KR102122466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246868B1 (ko)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742434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758447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20200060091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20160134098A (ko) 에스테르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255008B1 (ko)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95800A (ko)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95816A (ko)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05427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20150093607A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37194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705428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83520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12718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210119209A (ko)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20220019634A (ko)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