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428B1 -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428B1
KR101705428B1 KR1020150017576A KR20150017576A KR101705428B1 KR 101705428 B1 KR101705428 B1 KR 101705428B1 KR 1020150017576 A KR1020150017576 A KR 1020150017576A KR 20150017576 A KR20150017576 A KR 20150017576A KR 101705428 B1 KR101705428 B1 KR 101705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weight
ester compound
isophthal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603A (ko
Inventor
김현규
이미연
문정주
김주호
정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S15746629T priority Critical patent/ES2788702T3/es
Priority to RU2016126233A priority patent/RU2670764C2/ru
Priority to US15/038,989 priority patent/US10208185B2/en
Priority to EP15746629.3A priority patent/EP3103788B1/en
Priority to CN201580006359.2A priority patent/CN105939991B/zh
Priority to TW104104011A priority patent/TWI669289B/zh
Priority to JP2016545859A priority patent/JP6481984B2/ja
Priority to PCT/KR2015/001202 priority patent/WO2015119442A1/ko
Publication of KR2015009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80Phtha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소제용 하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2187111-pat00019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 화합물은 가소제용 신규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우수한 가소화 효율 및 인장강도와 신율 뿐만 아니라, 내이행성 및 내휘발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ISO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ND PLASTICIZ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PINIP),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수지들은 각각 특성에 맞게 생활 및 가전용품, 의류, 자동차, 건설 자재 또는 포장재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현재까지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P),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플라스틱 수지들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PVC 수지는 경질, 연질 특성 및 다양한 성형이 가능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여 범용적인 효용성을 갖추어 생활용품부터 산업자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PVC 수지는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물성 구현을 위하여 가소제를 첨가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가소제는 PVC 수지의 유연성을 부여하여 가공성 및 응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산업이 발전하면서 가소제의 역할도 다양화되어 유연성뿐만 아니라, 내휘발성, 내이행성, 내노화성, 내한성, 내유성, 내수성, 내열성 등 그 적용 분야에 따라 요구하는 특성이 다양화 되었다.
현재 가소제로 사용되는 에스테르 화합물로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EHP),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 디-2-프로필헵틸 프탈레이트(DPHP) 또는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DP)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은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는 환경 호르몬으로 인체에 유해하고,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수지와의 가공성, 흡수 속도, 휘발 손실, 이행 손실 및 열적 안정성 등에서 제품 물성을 개선 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친환경 혹은 비프탈레이트계이며, 수지의 가공성, 흡수 속도, 경도, 인장강도, 신율 뿐만 아니라, 휘발 손실, 이행 손실 및 열적 안정성 등의 다양한 물성 면에서 기존 제품의 물성을 충분히 개선시킬 수 있는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가소제용 신규 화합물로서,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우수한 가소화 효율 및 인장강도와 신율 뿐만 아니라, 내이행성 및 내휘발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소제용 신규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기술적 과제는 상기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4 기술적 과제는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을 하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또는 상기 2-프로필헵타놀과 이의 1종 이상의 알코올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하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또는 상기 이소노닐 알코올과 이의 1종 이상의 알코올 이성질체의 혼합물과 촉매의 존재 하에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2
<화학식 5>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3

<화학식 6>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4
.
아울러,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 화합물은 가소제용 신규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우수한 가소화 효율 및 인장강도와 신율 뿐만 아니라, 내이행성 및 내휘발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가소제용 신규 화합물로서,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기존 제품 대비 높은 가소화 효율 및 우수한 인장강도 및 신율, 내이행성과 가열감량이 우수한 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 화합물은 벤젠 고리에서 1,3 위치, 즉, 메타(Meta)-위치에 에스테르(-COO-)기가 있는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에스테르(-COO-)기가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오르소(Ortho)-위치(벤젠 고리에서 1,2 위치) 또는 파라(Para)-위치(벤젠 고리에서 1,4 위치)에 에스테르기가 있는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에 비해 친환경적이면서 인장강도와 신율 뿐만 아니라, 내이행성 및 내휘발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오르소-위치에 에스테르기가 있는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원료 물질로 사용되는 오르소(Ortho)-위치의 벤젠디카르복실산은 프탈레이트 이슈, 구체적으로 환경 오염의 문제 및 인체에 대한 유해성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파라(Para)-위치에 에스테르기가 있는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은 직선형 구조로 인한 수지와의 상용성 및 결합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이는 제품의 가공성 및 작업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수지 조성물의 가소제로 사용할 경우, 종래에 가소제로 주로 사용된 프탈레이트계 화합물에 비해 동등수준의 인장강도와 신율을 확보한다. 특히, 이행 손실(%) 및 가열 감량(%)은 DIDP에 비해 현저히 우수하며, 이러한 특성은 시편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가소제)과 수지의 상용성이 기존 제품 대비 우수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물성이 종래의 프탈레이트계와 대비하여 동등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하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하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7
.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 상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및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을 포함하며, 에스테르 화합물 총 중량에 대해 각각 10 내지 90 중량%, 5 내지 80 중량% 및 5 내지 80 중량%의 양,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화합물 총 중량에 대해 각각 2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0 중량% 및 15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소제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에 대한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의 중량비는 0.1 내지 20일 수 있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중량부 범위 내에서 짧은 흡수속도 및 용융 시간 등의 수지와의 가공성뿐만 아니라, 경도(hardnes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신율(elongation rate)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이행 손실(migration loss) 및 시트 가열 감량(volatiles loss)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상기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가소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을 하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또는 상기 2-프로필헵타놀과 이의 1종 이상의 알코올 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하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또는 상기 이소노닐 알코올과 이의 1종 이상의 알코올 이성질체의 혼합물과 촉매의 존재 하에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8
<화학식 5>
Figure 112015012187111-pat00009

<화학식 6>
Figure 112015012187111-pat00010
상기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6의 화합물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에스테르 화합물은, 페닐기의 1, 3 위치에 치환된 알킬기가 동일하고, 상기 알킬기는 1종 이상의 분지쇄를 포함하는 구조인 비혼성 분지타입(상기 화학식 2 또는 하기 화학식 3); 페닐기의 1, 3 위치에 치환된 알킬기가 서로 다르고, 상기 알킬기는 각각 1종 이상의 분지쇄를 포함하는 구조인 혼성 분지타입(상기 화학식 1); 또는 상기 비혼성 분지타입 및 혼성 분지타입의 조합(상기 화학식 1, 2 및 3)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 중 페닐기에 치환된 카르복시기(-COOH)와 2종의 서로 다른 알코올, 즉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및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중의 히드록시기(OH)가 탈수 축합 반응하여 에스테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중의 히드록시기(OH) 및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중의 히드록시기(OH)가 각각 상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 중 페닐기에 치환되는 한 개의 카르복시기(-COOH)와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룰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중의 히드록시기(OH)가 상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 중의 페닐기에 치환되는 두 개의 카르복시기(-COOH)와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룰 경우, 상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중의 히드록시기(OH)가 상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 중 페닐기에 치환되는 두 개의 카르복기기(-COOH)와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룰 경우,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80℃ 내지 270℃ 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시간은 반응물을 승온 후 반응 온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또는 2-프로필헵타놀과 이의 1종 이상의 알코올 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또는 이소노닐 알코올과 이의 1종 이상의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1 : 0.1 내지 4.9 : 0.1 내지 4.9 몰비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소프탈산과 상기 2-프로필헵타놀 및 상기 이소노닐 알코올의 몰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순도, 수율 및 공정 효율이 높으며, 가공성 개선 효과가 뛰어난 가소제용 에스테르 화합물을 수득하는 효과가 있다.
에스테르화 반응 온도는 원료와 촉매 투입 후, 최대 270℃까지 승온하여 1시간 내지 15시간 정도를 유지시키며, 반응 중에 증발되는 알코올은 콘덴서를 이용해 응축시킨 후, 팩킹이 들어있는 컬럼을 통하거나, 반응기 내부에 직접 재투입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반응액 및 반응 원료를 재순환 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 진행중에 생성되는 반응 생성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공비제로써, 헥산, 헵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물과 공비를 이루어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각종 솔벤트 및 불활성 기체인 질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환율 99% 이상의 반응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반응 완료 후, 진공 조건에서 약 0.5 시간 내지 6 시간 정도 유지시켜 미반응 원료를 제고하고, 정제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의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반응에 투입되는 촉매는 Sn계 또는 Ti계 등의 유기금속 촉매, 술폰산계 또는 황산계 등의 산촉매, 또는 이들의 혼합 촉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금속 촉매는 일례로, 테트라이소부틸 티타네이트 및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와 같은 티타늄 테트라알콕사이드[Ti(OR)4], 디부틸 틴옥사이드와 같은 틴 디알콕사이드[Sn(OR)2]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 촉매는 일례로 파라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판술폰산 및 황산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촉매는 반응 원료인 이소프탈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부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촉매가 상기 범위 미만에서 사용될 경우 반응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범위 초과시 제품이 변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은 이의 1종 이상의 이성질체와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 이의 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7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 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내지 97 중량부 : 3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의 경우 이의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BASF사의 CAS No.10042-59-8, 66256-62-0, 159848-27-8 등의 시판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이성질체는 하기 화학식 5-1의 4-메틸-2-프로필-헥사놀 또는 하기 화학식 5-2의 5-메틸-2-프로필-헥사놀을 포함할 수 있다 .
<화학식 5-1>
Figure 112015012187111-pat00011
<화학식 5-2>
Figure 112015012187111-pat0001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은 이의 1종 이상의 이성질체와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 이의 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 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 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인 경우 이의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EXXONMOBILE 사의 CAS No.68526-84-1, KYOWA사의 CAS No.27458-94-2(68515-81-1)등의 시판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VT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가소제로서 첨가된다.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부 범위 내에서, 경도(hardnes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신율(elongation rate)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이행 손실(migration loss) 및 시트 가열 감량(volatiles loss)율을 최소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VC 수지 조성물 외에도,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및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는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 초산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스타이렌,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유산, 및 SBR, NBR, BR 등을 포함하는 합성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제는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리카,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경탄, 탈크, 수산화 마그네슘, 티타늄 디옥사이드, 마그네슘 옥사이드, 수산화 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및 황산바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 등의 기타 첨가제는 일례로 각각 상기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칼슘-아연의 복합 스테아린산 염 등의 칼슘-아연계(Ca-Zn계) 안정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디옥틸테레프텔레이트(DOT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디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DPHP),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TOTM), 디-(2-에틸헥실) 테레프탈레이트(DEHTP), 디옥틸 아디페이트(DOA), 부틸옥틸테레프탈레이트(BOTP), 디옥틸숙시네이트(DOSx), 네오펜틸글리콜계, 트리메틸올프로판계, 디에틸렌글리콜계, 트리에틸렌글리콜계 제품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가소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0 내지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중량부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의 흡수속도가 3분 내지 15분, 3분 내지 12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4분 내지 10분이고, 이 범위 내에서 작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흡수속도는 77℃, 60rpm의 조건 하에서, 믹서기(제품명: Brabender, P600)를 사용하여 수지와 에스테르 화합물이 서로 혼합되어 믹서의 토크가 안정화되는 상태가 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 화합물은 수지에 대한 흡수속도와 짧은 용융 시간을 가져 수지의 가공성을 개선시키고, 전선, 자동차 내장재, 필름, 시트, 튜브, 벽지, 완구, 바닥재 등의 시트 처방 및 컴파운드 처방시 우수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냉각기, 워터스트리퍼, 콘덴서, 디캔터, 환류 펌프, 온도 컨트롤러, 교반기 등을 갖춘 4구의 3 리터 반응기에 정제 이소프탈산(purified isophthalic acid; PIA) 498.0 g, 2-프로필 헵타놀(2-PH) 712.5 g (BASF사, 2-PH 85 ~100 중량%, 4-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및 5-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포함) 및 이소노닐 알코올(INA) 649.4 g (PIA: 2-PH : INA의 몰비 1.0: 1.5 : 1.5), 촉매로써 티타늄계 촉매 (TIPT, tetra isopropyl titanate)를 1.54 g(PIA 100 중량부에 대해 0.31 중량부)을 투입하고, 약 170℃ 까지 서서히 승온시켰다. 약 170℃ 근처에서 생성수 발생이 시작되었으며, 반응 온도 약 220℃, 상압 조건에서 질소 가스를 계속 투입하면서 약 4.5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고 산가가 0.01에 도달하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액 중의 미반응 알코올을 증류하여 제거하고, 반응액을 중화/수세,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 42 중량%,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31 중량%, 및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 27 중량%를 포함하는 이소프탈계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알코올을 2-프로필 헵타놀(2-PH) 427.4 g (BASF사, 2-PH 85 ~100 중량%, 4-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및 5-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포함) 및 이소노닐 알코올(INA) 909.1 g (PIA: 2-PH : INA의 몰비 1.0: 0.9 : 2.1)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고,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 42 중량%,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21 중량%, 및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 37 중량%를 포함하는 이소프탈계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알코올을 2-프로필 헵타놀(2-PH) 142.5 g (BASF사, 2-PH 85 ~100 중량%, 4-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및 5-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포함) 및 이소노닐 알코올(INA) 1168.8 g (PIA: 2-PH : INA의 몰비 1.0: 0.3 : 2.7)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고,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 23 중량%,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10 중량%, 및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 67 중량%를 포함하는 이소프탈계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알코올을 2-프로필 헵타놀(2-PH) 997.3 g (BASF사, 2-PH 85 ~100 중량%, 4-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및 5-메틸-2-프로필-헥사놀 0~15 중량% 포함) 및 이소노닐 알코올(INA) 389.6 g (PIA: 2-PH : INA의 몰비 1.0: 2.1 : 0.9)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고,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 37 중량%,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55 중량%, 및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 8 중량%를 포함하는 이소프탈계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DIDP(Diisodecyl phthalate, Exxonmobil)을 이용하였다.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 제작(시트) >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2
폴리염화비닐 수지(PVC(LS 130s))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가소제 조성물 또는 화합물을 각각 50 중량부, 첨가제로 RUP 안정화제(RUP 144, 아데카코리아)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Omya 1T, BSH) 40 중량부, 안정제로 스테아린산(ST/A; stearic acid)을 0.3 phr을 배합하고, 롤밀(Roll mill)을 이용하여 160℃에서 4분 동안 작업하였고, 프레스(press)를 이용하여 180℃에서 2.5분(저압) 및 2분(고압)로 작업하여 1mm, 3mm의 두께로 시트를 제작하였다. 상시 실시예 1 내지 4의 가소제 조성물을 각각 이용하여 제작한 시트를 순차적으로 실시예 5 내지 8, 비교예 1의 가소제를 이용한 시트를 비교예 2로 한다.
실험예 1 :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시트에 대해 경도(hardnes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신율(elongation rate), 이행 손실(migration loss), 시트 가열 감량(volatile loss) 및 가소제 흡수속도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 표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성능 평가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경도(hardness) 측정
ASTM D2240을 이용하여, 25℃에서의 쇼어(shore)경도, 3T 10s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측정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테스트 기기인 U.T.M (제조사; Instron, 모델명; 4466)을 이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200 ㎜/min(1T)으로 당긴 후,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인장 강도(kgf/cm2) = 로드 (load)값(kgf) / 두께(cm)×폭(cm)
신율 (elongation rate) 측정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상기 U.T.M을 이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200 ㎜/min(1T)으로 당긴 후,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을 측정한 후, 신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신율 (%) = 신장 후 길이 / 초기 길이 ×100으로 계산하였다.
이행 손실(migration loss) 측정
KSM-3156에 따라 두께 2 mm 이상의 시험편을 얻었고, 시험편 양면에 PS Plate를 붙인 후 1kgf/cm2 의 하중을 가하였다. 시험편을 열풍 순환식 오븐(80℃)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서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그런 후 시험편의 양면에 부착된 PS를 제거한 후 오븐에 방치하기 전과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행손실량을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이행손실량(%) = {(상온에서의 시험편의 초기 중량 - 오븐 방치후 시험편의 중량) / 상온에서의 시험편의 초기 중량} × 100
시트 가열 감량(volatile loss) 측정
상기 제작된 시편을 100℃ 에서 168시간 동안 작업한 후,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가열 감량 (중량%) = 초기 시편 무게 - (100℃, 168시간 작업 후 시편 무게) / 초기 시편 무게 × 100으로 계산하였다.
흡수 속도(absorption time) 측정
77℃, 60 rpm, PVC(제품명: LS 100s) 및 에스테르 화합물(가소제)의 믹싱 조건 하에서 믹서기(제품명: Brabender)를 사용하여 수지와 에스테르 화합물(가소제)이 서로 혼합되어 믹서의 토크가 안정화되는 상태가 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토크의 안정화는 흡수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지를 먼저 투입하고, 에스테르 화합물을 투입하면, 초기에 토크 피크가 올랐다가 점차 토크 피크가 점점 내려오면서 거의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모니터상에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2
경도(Shore "A") 91 91.5 90 91.5 91
인장강도(kgf/cm2) 194.1 189.4 173.8 198.9 193.3
신율(%) 293.8 295.2 289.8 300.2 278.2
이행손실(%) 0.04 0.08 0.07 0.02 0.10
가열감량(%) 1.03 1.06 1.08 0.97 1.2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듯이 기존의 제품인 비교예 1의 가소제(DIDP)를 이용한 비교예 2의 시트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소제를 이용한 실시예 5 내지 8의 시트의 물성을 비교하여 보면, 경도는 동등 또는 그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가소화 효율이 기존 제품 대비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인장강도는 실시예 5 내지 8의 시트가 비교예 2의 시트 보다 동등 수준이거나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실시예 5 내지 8에서 이행손실의 경우 비교예 2 대비 최대 5배 수준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가열감량의 경우 실시예 5 내지 8의 경우 비교예 1의 가소제를 이용한 비교예2의 시트 대비 감소하여 모두 우수한 수준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가소제를 이용한 실시예 5 내지 8의 시트가 기존 가소제인 비교예 1을 이용한 비교예 2의 시트보다 우수한 물성적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및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87487588-pat00013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하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6087487588-pa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16087487588-pat00015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 상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및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을 포함하며, 에스테르 화합물 총 중량에 대해 각각 10 내지 90 중량%, 5 내지 80 중량% 및 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 상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 및 상기 화학식 3의 디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DINIP)는 에스테르 화합물 총 중량에 대해 각각 2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0 중량% 및 15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디-2-프로필헵틸 이소프탈레이트(DPIP)에 대한 화학식 1의 2-프로필헵틸 이소노닐 이소프탈레이트(PINIP)의 중량비는 0.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을 하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및 하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또는 이소노닐 알코올과 이의 1종 이상의 알코올 이성질체의 혼합물과 촉매의 존재 하에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소제 조성물을 수지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청구항 1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16087487588-pat00016

    <화학식 5>
    Figure 112016087487588-pat00017


    <화학식 6>
    Figure 112016087487588-pat00018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80℃ 내지 27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Sn계 또는 Ti계를 포함하는 유기금속 촉매, 술폰산계 또는 황산계를 포함하는 산 촉매, 또는 이들의 혼합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이소프탈산, 상기 화학식 5의 2-프로필헵타놀, 및 상기 화학식 6의 이소노닐 알코올 또는 이소노닐 알코올과 이의 1종 이상의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1 : 0.1 내지 4.9 : 0.1 내지 4.9 몰비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에틸렌 초산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스타이렌,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유산, SBR, NBR, BR 등의 합성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조성물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KR1020150017576A 2014-02-07 2015-02-04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05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5746629T ES2788702T3 (es) 2014-02-07 2015-02-05 Composición plastificante,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a composición plastificante y composición de resina que comprende una composición plastificante
RU2016126233A RU2670764C2 (ru) 2014-02-07 2015-02-05 Соединение на основе сложного эфира, пластифиц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это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и смо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пластифицирующую композицию
US15/038,989 US10208185B2 (en) 2014-02-07 2015-02-05 Ester-based compound, plasticizer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preparation method of the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plasticizer composition
EP15746629.3A EP3103788B1 (en) 2014-02-07 2015-02-05 Plasticizer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lasticizer composition
CN201580006359.2A CN105939991B (zh) 2014-02-07 2015-02-05 酯化合物,包含其的增塑剂组合物,该组合物的制备方法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TW104104011A TWI669289B (zh) 2014-02-07 2015-02-05 基於酯之化合物、包括該酯化合物之塑化劑組成物、製備該組成物之方法及包括該塑化劑組成物之樹脂組成物
JP2016545859A JP6481984B2 (ja) 2014-02-07 2015-02-05 エステル系化合物、これを含む可塑剤組成物、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
PCT/KR2015/001202 WO2015119442A1 (ko) 2014-02-07 2015-02-05 에스테르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4203 2014-02-07
KR1020140014203 2014-02-07
KR1020140021409 2014-02-24
KR20140021409 2014-02-24
KR20140021597 2014-02-24
KR1020140021597 2014-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603A KR20150093603A (ko) 2015-08-18
KR101705428B1 true KR101705428B1 (ko) 2017-02-09

Family

ID=5405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576A KR101705428B1 (ko) 2014-02-07 2015-02-04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4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9287A (ja) * 2010-10-18 2012-05-10 Yamazol Co Ltd 電線・ケーブル被覆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614A (ja) * 1993-12-10 1995-06-20 Mitsubishi Chem Corp 可塑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9287A (ja) * 2010-10-18 2012-05-10 Yamazol Co Ltd 電線・ケーブル被覆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603A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52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CN107709429B (zh)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TWI669289B (zh) 基於酯之化合物、包括該酯化合物之塑化劑組成物、製備該組成物之方法及包括該塑化劑組成物之樹脂組成物
TWI733984B (zh) 塑化劑組成物及包含彼之樹脂組成物
JP5860977B2 (ja) 可塑剤、可塑剤組成物、耐熱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8350216B (zh) 增塑剂组合物、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58447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20180004903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784100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294862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569560B1 (ko) 가소제 조성물, 제조 방법 및 내열 수지 조성물
KR101705428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05427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20150093607A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846066B1 (ko)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783520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84099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712718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737194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60119616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80133827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60119615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60119617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