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868B1 -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868B1
KR102246868B1 KR1020190178674A KR20190178674A KR102246868B1 KR 102246868 B1 KR102246868 B1 KR 102246868B1 KR 1020190178674 A KR1020190178674 A KR 1020190178674A KR 20190178674 A KR20190178674 A KR 20190178674A KR 102246868 B1 KR102246868 B1 KR 10224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resent
ester plasticizer
ester
plasticiz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강바울
김기돈
김양중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868B1/ko
Priority to PCT/KR2020/009373 priority patent/WO2021137375A1/ko
Priority to JP2022540307A priority patent/JP7381763B2/ja
Priority to CN202080091154.XA priority patent/CN114929662A/zh
Priority to US17/789,803 priority patent/US20230054496A1/en
Priority to EP20910486.8A priority patent/EP4071133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08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and having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in the acid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acids with a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interreacting ester groups, i.e. trans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 및 상용성이 개선을 위한 신규한 에스테르계 화합물에 대한 가소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내열 수지 조성물의 가소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 등의 물성 향상에 상승효과를 제공하여 성형물의 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빠른 흡수 속도와 짧은 용융 시간을 가져 내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ESTER COMPOUNDS AND THEIR APPLICATION AS PLASTICISER}
본 발명은 신규한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상 속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는 각각 특성에 맞게 생활 및 가전용품, 의류, 자동차, 건설자재 또는 포장재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염화비닐(PVC) 등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들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염화비닐은 경질, 연질 특성을 가지며, 다양한 성형방법에 유리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여 범용적인 효용성을 갖추어 생활용품부터 산업자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폴리염화비닐은 수지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다양한 물성 구현을 위하여 가소제를 첨가하여 사용된다. 가소제는 수지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가공성 및 성형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산업이 발전하면서 가소제의 역할도 다양화되어 유연성 뿐만 아니라 내휘발성, 내이행성, 내노화성, 내한성, 내유성, 내수성, 내열성 등 그 적용 분야에 따라 요구하는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화 되었다.
가소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일 예로는,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DOTP),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EHP),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 디-2-프로필헵틸 프탈레이트(DPHP) 또는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DP)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품 각각은 가소화 효율 또는 이행성 등의 품질 열세를 보인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수지와의 가공성, 흡수 속도, 휘발 손실, 이행 손실 및 열적 안정성 등에서 제품 물성을 개선 시키는데 한계가 따랐다. 또한, 국내외 규제를 고려하여, 종래 가소제를 대체 할 수 있는 안전한 가소제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PVC에 적용 가능한 가소제 조성물의 일 예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가소제로 적용할 경우 경도와 졸 점도가 높고 가소제의 흡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며, 이행성 및 스트레스 이행성도 양호하지 않다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테레프탈레이트를 수소화 하는 방법을 통해 가소제의 품질특성의 향상을 도모하였으나, 테레프탈레이트의 기본 구조에 의한 품질을 개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친환경 또는 비프탈레이트계이며, 수지와의 가공성, 흡수 속도, 휘발 손실, 이행 손실 및 열적 안정성 등의 다양한 물성 면에서 기존 제품의 물성을 충분히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가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상용성이 개선된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가열감량 및 내이행성이 우수한 가소제로서의 용도를 갖는 에스테르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술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즉 신규한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1]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고;
L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O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은 C2-C6알킬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은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구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A]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2
[상기 화학식A에서,
L2 및 L3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고;
Y는 O이고;
a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분쇄알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다가 알코올을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2]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3
[상기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잔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4
[상기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및 충전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120℃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에서 측정한 초기 시편의 무게에 대하여 측정한 가열감량의 비율이 2.0%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화비닐계 수지 등과 같은 내열 수지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내열성 및 상용성 등의 물성 향상을 위한 가소제로서 유용한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이는 가소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문제점이었던 가공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 등의 특성 면에서 특히 우수한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매우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르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내열 수지 조성물의 가소제로서 사용시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 등의 물성 향상에 상승효과를 제공하여 상용성, 즉 가소화 효율을 높이고 성형물의 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빠른 흡수 속도와 짧은 용융 시간을 가져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내열 수지의 물성저하를 야기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하고, 중량%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 조성물 내에서 차지하는 중량%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용어, '알킬'은 직쇄 또는 분쇄 형태의 지방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1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또한, '알킬렌'은 직쇄 또는 분쇄 형태의 지방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하며, 에틸렌은 -CH2CH2-의 구조식을 가지며, 프로필렌은 -CH2CH2CH2- 또는 -CH(CH3)CH2-의 구조식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즉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가소제로서의 용도를 갖는 것으로,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등가의 의미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염화비닐계 수지 등과 같은 내열 수지와의 가공성은 물론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소제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던 중, 서로 상이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알코올의 조합을 통해 신규한 에스테르계 화합물, 즉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고안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서로 상이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1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치환체를 동시에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상술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특히 내이행성과 내휘발성 등에 놀랍도록 향상된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치환체, 즉 1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치환체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을 기본 구조로 하기 때문에 친환경 가소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즉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내열 수지 등의 가소제로서의 용도로 사용시 자체의 이탈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 대비 높은 분자량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동등 수준의 경도 특성을 구현함에 따라 가공성, 작업성 등의 상용성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하여 가소화 효율이 높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열성 및 상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된 물성 구현이 가능한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매우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5
[상기 화학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고;
L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O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상기 L1의 양말단에 직접결합으로 연결된 산소원자와 인접한 -CH2-를 제외한 알킬렌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상술된 구조적 특징을 갖는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에스테르계 화합물인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DEHCH) 등이 갖는 품질 열세를 개선한다.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 는 상온(25℃) 및 저온점도가 낮아 우수한 코팅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염화비닐계 수지의 가소제로서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행성에 문제가 있어 왔다.
이와 같은 효과에 보다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측면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구조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은 C2-C6알킬렌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은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구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A]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6
[상기 화학식A에서,
L2 및 L3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고;
Y는 O이고;
a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분쇄알킬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5-C10분쇄알킬이고, 상기 L1은 C2-C6직쇄알킬렌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부틸, 에틸부틸, 디메틸부틸, 메틸펜틸, 에틸펜틸, 디메틸펜틸, 메틸헥실, 에틸헥실 및 디메틸헥실 등에서 선택되고, 상기 L1은 직쇄알킬렌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또는 헥실렌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R1 및 R2는 서로 동시에 1-에틸헥실 또는 2-에틸헥실이고, 상기 L1은 직쇄알킬렌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또는 헥실렌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5-C10분쇄알킬이고, 상기 L1은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구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식A에서, 상기 L2 및 L3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고, 상기 Y는 O이고, 상기 a는 1 또는 2의 정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내이행성, 가열감량 등의 특성 면에서 우수하며, 동시에 이를 채용한 내열 수지의 경도, 신율, 인장강도 등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개선된 가소화 효율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가소제로서의 용도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에스테르계 가소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잔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7
[상기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다.]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제조시 사용되는 출발물질일 수 있으며, 이들이 조합됨에 따라 가소화 효율, 이행성 등에 극적으로 향상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시험방법에 따른 가열감량에 탁월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가소제로서의 우수한 물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가열감량은 2.0%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가열감량은 1.5%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가열감량은 0.01 내지 1.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에테르 프리 가소제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테르 프리는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내에 포함된 에테르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거나 1,000ppm이하, 100ppm이하, 10ppm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일 양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다가 알코올을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8
[상기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다.]
상기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은 다가 알코올과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반응하여 치환체가 서로 상호교환되는 반응을 의미한다. 상기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이 이루어지면 상기 다가 알코올의 알콕사이드가 2분자의 상기 화학식2의 에스테르기의 탄소를 각각 공격하게 되어,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또한,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반응 부분으로 상기 화학식2의 화합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은 산-알코올간 에스테르화 반응과 비교하여 폐수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무촉매 하에서도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서로 상이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알코올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 치환체를 가짐에 따라 이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가 내이행성과 내휘발성 등에 놀랍도록 향상된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승효과는, 상기 화학식1의 에스터기와 상기 화학식2의 에스터기 사이의 수소 결합 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가소제가 염화비닐 수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른 것으로 예상하나, 이와 같은 특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상승효과가 의존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테레프탈레이트를 기본 구조로 하는 하기 화학식3의 화합물을 수소화 반응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3]
Figure 112019135843244-pat00009
[상기 화학식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고;
L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O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수소화 반응은 금속촉매의 존재 하에서 수소화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이의 반응은 일종의 환원반응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촉매는 수소화 반응이 가능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Rh/C 촉매, Pt 촉매, Pd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가소제의 분자량이 향상되며, 수지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관능기, 즉 에스테르기의 수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가소제는 분자량, 구조적 특징 등에 따라 내노화 물성 등이 좌우되며, 가소제의 분자량이 클수록 내노화 물성은 우수하지만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노화 물성은 물론 수지와의 상용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의 경향을 따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화합물이 혼합된 양태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는, 내이행성과 내휘발성에 탁월한 상승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혼합된 양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DEHCH) 단일 화합물 대비 최대 50%이하 수준의 가열감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감량은 120℃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에서 측정한 초기 시편의 무게에 대하여 측정한 가열감량의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가열감량은 2.0%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가열감량은 1.5%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가열감량은 0.01 내지 1.4%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DEHCH) 단일 화합물 대비 현저하게 낮은 이행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행량은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무게를 측정하고, (Wq2-Wq1)/Wi × 100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가열감량 및 이행량이 개선되면서도 인장강도, 신율 및 내열 노화성(예, 가열후 인장잔율, 신장잔율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 0.1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5 내지 30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량비를 만족하는 경우, 수지 내 이행량이 현저하게 저하된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좋다. 또한, 미반응으로 존재하는 알코올 또는 부산물로 생성되는 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을 줄여, 공정효율을 높인다. 또한, 공정효율이 높고 가공성 및 흡수속도가 우수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사용량에 따라 목적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조성 및 물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분쇄알킬일 수 있으며, 적합한 경도를 구현하고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측면에서 좋게는, 1-에틸헥실, 2-에틸헥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글리세롤, 네오펜틸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3-펜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3-메틸렌펜탄-1,5-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및 2-메틸옥탄-1,8-디올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Sn계 또는 Ti계를 포함하는 유기금속 촉매, 술폰산계 또는 황산계를 포함하는 산촉매, 또는 이들의 혼합 촉매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촉매 사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기금속 촉매에 있어서, Ti계 유기금속 촉매는 테트라메틸 티타네이트,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펜틸 티타네이트, 테트라헥실 티타네이트, 테트라-옥틸 티타네이트, 테트라노닐 티타네이트, 테트라도데실 티타네이트, 테트라헥사데실 티타네이트, 테트라-옥타데실 티타네이트, 테트라데실 티타네이트 및 테트라헵틸 티타네이트 등의 테트라알킬 티타네이트; 및 테트라페닐 티타네이트 등의 테트라아릴 티타네이트;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산촉매는 황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판술폰산 및 부탄술폰산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촉매는 통상의 사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구체적으로는 테레프탈산, 1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총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무촉매 하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다가 알코올을 일괄사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연속사입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80℃이상의 반응온도 하에서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의 반응온도는 135℃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의 반응온도는 150℃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의 반응온도는 170 내지 270℃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는 서로 상이한 반응온도 하에서 다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70 내지 200℃의 반응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제1단계; 및 210 내지 250℃의 반응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계는 상술된 반응온도 하에서 10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반응시간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계는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 아르곤 등에서 선택되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이후 미반응 알코올, 반응 부산물 또는 이들을 회수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정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제단계를 통해 회수된 미반응 알코올은 재사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반응단계에 사용되어 보다 경제적인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미반응 알코올을 회수하는 단계는, 미반응으로 존재하는 다가 알코올은 물론 반응 부산물인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는 증류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증류단계를 통하는 경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들의 끓는점의 차이가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의 차이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증류는 다단증류 또는 혼합증류일 수 있다. 상기 다단증류의 경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들 각각의 끓는점의 차이에 따라 따로 분리하는 방법일 수 있고, 상기 혼합증류의 경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들을 동시에 증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1 및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30중량%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0
[화학식2]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1
[상기 화학식1 및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고;
L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O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 및 화학식2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1은 C2-C6알킬렌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 및 화학식2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1은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구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A]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2
[상기 화학식A에서,
L2 및 L3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고;
Y는 O이고;
a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 및 화학식2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분쇄알킬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1 및 화학식2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5-C10분쇄알킬이고, 상기 L1은 C2-C6직쇄알킬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에테르 프리 가소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테르 프리는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내에 포함된 에테르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거나 1,000ppm이하, 100ppm이하, 10ppm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종래 가소제, 즉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DEHCH) 등과 같은 가소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가소화 효율, 이행성 등의 품질 열세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가열감량에 탁월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가소제로서의 우수한 물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현재 환경적인 이슈를 낳고 있는 종래 가소제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인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상술한 저분자 가소제의 문제점은 물론 기존의 고분자 가소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까지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약 600이상의 분자량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저분자 가소제와 동등 수준의 경도를 구현한다. 이에, 염화비닐계 수지 등과 같은 내열 수지와의 가공성에 불리함을 제공하지 않으며, 높은 가소화 효율을 구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0중량%이하로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8중량%이하로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5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10 내지 8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30 내지 6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및 충전제 등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Ca, Zn, Al, Mg 등에서 선택되는 둘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열안정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2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함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열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염화비닐계 수지와 특히 상용성 및 상승적 효과가 우수하여 다른 안정제보다 월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벤조페놀, 트리아졸 및 아크릴로니트릴 등에서 선택되는 비금속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생산성, 건조 상태의 감촉(Dry touch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전제는 탄산칼슘, 클레이, 탈크(Talc) 및 규조토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충전제는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상기 충전제는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 초과의 사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에 대한 흡수속도와 짧은 용융 시간을 가져 수지의 가공성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를 비롯하여, 아크릴 수지, ABS 수지, 우레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내열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전선 피복재로 제작될 때, 특히 낮은 가열감량 및 내이행성을 구현한다. 또한, 우수한 가열 후 신장잔율 및 인장잔율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 시험방법에 따라 120℃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측정한 길이와 상온에서 측정한 초기길이를 기초로 계산한 초기길이에 대한 가열 후 신장잔율이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까지도 달성 가능하다. 또한 120℃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에서 측정한 초기 무게에 대하여 측정한 가열감량의 비율이 2.0%이하, 구체적으로는 1.5%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1.4%이하까지 달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양태의 처방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컴파운드 처방, 시트 처방 및 플라스티졸 처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이 제공된다. 상기 성형물은 목적에 따른 용도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양태로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물은 전선 피복재 등일 수 있다. 또한, 바닥재, 벽지, 타포린, 인조피혁, 장난감 또는 자동차 하부 코팅재 등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소제의 이행성이 개선되어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아 매우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온도는 모두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3
단위를 의미하며, 상온은 25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4
를 의미한다.
(평가방법)
1) 경도(ASTM D2240):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ASTM D2240 방법에 의해 경도계(ASKER CL-150, 단위 Shore A)를 사용하여 경도 시험기("A" type)침을 완전히 내린 후 10 초 후에 나타난 상온에서의 경도 값을 읽었다. 경도는 각각의 시편에 대해 5곳을 시험한 다음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2) 인장강도, 신율 [ASTM D638]: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테르스 기기인 U.T.M을 이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200 mm/min으로 당긴 후,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의 인장강도와 신율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kgf/cm2)의 계산은 load 값(kgf)/두께(cm)x폭(cm)로 계산하였고, 신율(%)은 익스텐션(estension)/초기길이 × 100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은 상온에서 수행된다.
또한, 기어 오븐을 이용하여 120℃에서 72시간 동안 방치 후 신율과 인장강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온에서의 ASTM D638방법의 결과를 가열 후 결과로 나누어 % 값을 수득하고, 이를 인장잔율 및 신장잔율로 나타내었다.
3) 내이행성:
각각의 시편을 지름 3㎝ 원형으로 자른 후, 소수점 4자리까지 초기무게(Wi)를 측정하였다. 초기무게(Wq1)가 측정된 3M 기름종이(55㎜×85㎜) 사이에 시편을 넣은 후 5kg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70℃의 오븐에서 4일동안 방치 후, 시편을 꺼내 시편의 무게 및 기름종이의 무게(Wq2)를 측정하고, 이행량 계산은 (Wq2-Wq1)/Wi × 100으로 하였다. 이때, 상기 이행량은 가소제 유출량(%)을 의미한다.
4) 가열감량: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소수점 4자리까지 초기무게(Wi)를 측정하였다. 120℃의 오븐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시편을 고정시키고, 72시간 후 시편을 꺼내 항온조(25℃)에서 4시간 이상 보관 후, 시편의 무게(Wo)를 측정하고, 가열감량 계산은 (Wi-Wo)/Wi × 100으로 하였다.
(실시예1)
온도 센서, 기계식 교반기, 응축기, 데칸터(Decantor) 및 질소 주입장치가 설치된 1L 반응기에,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한화케미칼 Eco-DEHCH) 500g 및 1,4-부탄디올(1,4-Butanediol) 55.4g를 투입 후, 질소 조건 하에 교반시키며 220도까지 승온시켰다. 승온 후, TNBT(Tetra N-butyl Titanate)를 0.2g을 투입하여 220도로 가온하여 8시간 동안 트랜스 에스터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90도까지 냉각 후 알칼리용액(1M NaOH solution)을 투입한 후 규조토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엿다. 이후,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미반응 알코올, 물, 불순물을 제거하고, 최종 생성물인 에스테르 가소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에스테르 가소제 조성물을 GPC 분석을 통해, 총 중량을 기준으로 DEHCH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PVC(중합도 1000) 400 g에 가소제 200 g, 복합 열안정제(RUP-110) 32g 및 탄산칼슘 80g을 배합하여 롤 밀을 170℃에서 3분간 작업하여 1mm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후, 프레스 작업은 180℃에서 예열 3분, 가열 9분, 냉각 3분간 작업 후, 3mm 두께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시편을 사용하여,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성 결과를 하기 표1 및 표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과 유사하게 수행하되, 다가 알코올의 투입량을 하기 표1에서와 같이 변경하여, 최종 생성물인 에스테르 가소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에스테르 가소제 조성물을 GPC 분석을 통해, 총 중량을 기준으로 DEHCH 함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성 결과를 하기 표1 및 표2에 도시하였다.
(비교예1)
상용의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한화케미칼 Eco-DEHCH)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고,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성 결과를 하기 표1 및 표2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5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6
상기 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을 채용하는 경우 내이행성 및 가열감량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예1 대비 28.6%이하의 이행량(실시예1)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행량이 실질적으로 거의 확인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1 대비 53.1%이하의 가열감량(실시예1)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8.6%수준의 현저하게 낮은 가열감량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예1에서 사용한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한화케미칼 Eco-DEHCH)와 동등 이상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구현할 수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표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을 채용하는 경우, 사이클로헥산 디에스터(한화케미칼 Eco-DEHCH)와 동등 이상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인장잔율 및 신장잔율에서도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1]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7

    상기 화학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고;
    L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O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1은 C2-C6알킬렌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알킬이고, 상기 L1은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구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A]
    Figure 112021501154047-pat00018

    상기 화학식A에서,
    L2 및 L3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고;
    Y는 O이고;
    a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3-C10분쇄알킬인, 화합물.
  5.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화학식1]
    Figure 112019135843244-pat00019

    상기 화학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고;
    L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O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7.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1]
    Figure 112021013258275-pat00020

    [화학식2]
    Figure 112021013258275-pat00021

    상기 화학식1 및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고;
    L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비인접 -CH2-는 O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중량%이상 포함하는 것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잔량으로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2]
    Figure 112019135843244-pat00022

    상기 화학식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이다.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열안정제, 충전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ASTM D638 시험방법에 따라 120℃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에서 측정한 초기 시편의 무게에 대하여 측정한 가열감량의 비율이 2.0%이하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15. 제11항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
KR1020190178674A 2019-12-30 2019-12-30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24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674A KR102246868B1 (ko) 2019-12-30 2019-12-30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CT/KR2020/009373 WO2021137375A1 (ko) 2019-12-30 2020-07-16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JP2022540307A JP7381763B2 (ja) 2019-12-30 2020-07-16 エステル系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CN202080091154.XA CN114929662A (zh) 2019-12-30 2020-07-16 基于酯的化合物及其用途
US17/789,803 US20230054496A1 (en) 2019-12-30 2020-07-16 Ester-based compound and use thereof
EP20910486.8A EP4071133A4 (en) 2019-12-30 2020-07-16 ESTER BASED COMPOUND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674A KR102246868B1 (ko) 2019-12-30 2019-12-30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868B1 true KR102246868B1 (ko) 2021-05-03

Family

ID=7591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674A KR102246868B1 (ko) 2019-12-30 2019-12-30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54496A1 (ko)
EP (1) EP4071133A4 (ko)
JP (1) JP7381763B2 (ko)
KR (1) KR102246868B1 (ko)
CN (1) CN114929662A (ko)
WO (1) WO20211373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062A1 (ko) * 2020-12-30 2022-07-0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9150A1 (fr) 2022-04-26 2023-11-01 Loic Colomban Véhicule articulé à chenil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6648A (zh) * 2015-06-06 2015-09-23 山东岩海建设资源有限公司 一种多酯增塑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704B1 (ko) * 2007-10-16 2011-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용 1,4-시클로헥산디카복실레이트 조성물 및그의 제조 방법
KR101099127B1 (ko) 2008-10-16 2011-12-26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60%이상의 시스 디(c4-c20)알킬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CN102234227A (zh) * 2010-04-30 2011-11-09 佛山市茵明科技有限公司 利用废pet与一元醇进行酯交换反应制取pvc增塑剂
JP6471744B2 (ja) 2014-03-18 2019-02-2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KR101939159B1 (ko) * 2015-05-14 2019-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스테르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973123B1 (ko) 2016-04-22 2019-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859160T3 (es) 2016-06-20 2021-10-01 Lg Chemical Ltd Composición plastificante, composición de resina y procedimiento para preparación para ambas composiciones
EP3434721B1 (en) * 2016-12-12 2022-02-02 LG Chem, Lt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same
CN112166146B (zh) 2018-12-14 2022-07-26 株式会社Lg化学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6648A (zh) * 2015-06-06 2015-09-23 山东岩海建设资源有限公司 一种多酯增塑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ft Kimyasi va Neft E`mali Proseslari, pp.82-91, 200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062A1 (ko) * 2020-12-30 2022-07-0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1133A1 (en) 2022-10-12
EP4071133A4 (en) 2024-01-31
CN114929662A (zh) 2022-08-19
JP7381763B2 (ja) 2023-11-16
JP2023508511A (ja) 2023-03-02
WO2021137375A1 (ko) 2021-07-08
US20230054496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52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20381B1 (ko) 압출 또는 사출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RU2670764C2 (ru) Соединение на основе сложного эфира, пластифиц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это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и смо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пластифицирующую композицию
KR100957134B1 (ko) 새로운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열전선용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CN108779058B (zh) 增塑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201815934A (zh) 塑化劑組成物及包括彼之樹脂組成物
KR101881646B1 (ko)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소제 조성물
KR102246868B1 (ko)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758447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42434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255008B1 (ko)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N113646373B (zh)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CN114316474B (zh) 增塑剂组合物、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37194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220095800A (ko)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50093607A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12718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705427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101783520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20220095816A (ko)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05428B1 (ko) 이소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
KR20160119615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