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933A -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933A
KR20220093933A KR1020200185120A KR20200185120A KR20220093933A KR 20220093933 A KR20220093933 A KR 20220093933A KR 1020200185120 A KR1020200185120 A KR 1020200185120A KR 20200185120 A KR20200185120 A KR 20200185120A KR 20220093933 A KR20220093933 A KR 20220093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leansing cosmetic
density foam
type cleans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935B1 (ko
Inventor
박태민
정태화
이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코스
Priority to KR102020018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9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력한 함수 특성이 있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지방산 비누와 보습제를 함유한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함으로써, 세정 시 거품 간 계면에 탄성체가 형성되어 모공 속 노폐물, 각질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해 우수한 제거 능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보습제의 잔류성을 향상시켜 세안 후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APONIFICATION TYPE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FORMING HIGH DENSITY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지방산 비누와 보습제를 함유한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함으로써, 세정 시 거품 간 계면에 탄성체가 형성되어 모공 속 노폐물, 각질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해 우수한 제거 능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보습제의 잔류성을 향상시켜 세안 후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렌징 제품은 화장품의 첫 단계에서 사용되는 화장품으로서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 먼지, 각질 및 메이크업 잔여물 등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노폐물들과 메이크업 잔여물들이 피부에 오랜 시간 머물게 되면 모공을 막아 피부의 신진대사를 저해하고, 산패하거나 부패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초래하기도 하며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상태를 나쁘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클렌징 폼이라 불리는 검화 타입 클렌저는 지방산을 알칼리 중화하여 얻어낸 지방산 비누에 보습제를 배합하며, 유성성분도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비누를 사용했을 때보다 피부 당김이 적으며 촉촉한 감촉을 유지시켜준다. 상기 클렌징 폼의 제형은 크림 상태로 되어 있어, 단단한 화장비누(soap bar)에 비해 풍부한 거품을 얻기 쉬운 장점을 갖고 있어, 화장품의 중요한 세안제로 많은 발전을 해왔고, 현재는 크림 타입 외 젤, 거품 타입 등 제형의 변화가 다양해지고 있다.
클렌징 폼의 처방은 세정력이 높다고 알려진 탄소수 12개 내지 18개의 지방산(스테아릭에시드, 팔미틱에시드, 미리스틱에시드, 라우릭에시드 등)의 혼합물, 중화제로 수산화칼륨, 다가알코올(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혼합비와 검화율에 따라 거품의 상태(거품량 및 크기, 탄성, 지속성, 세정력 등), 물성 및 안정성이 달라진다.
최근 소비자들이 화장품을 고르는 기준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새로운 텍스처 사용방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이셜 클렌저 역시 이러한 소비자 요구를 따라서 팩과 클렌저 역할을 겸비한 팩투폼, 불소를 함유하여 미세한 거품을 발생시키는 버블폼 등 새로운 제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지방산을 중화시켜 얻는 검화 타입 클렌저는 새로운 텍스처를 얻기 까다로운 제형 중 하나이다. 화학반응을 통하여 얻게 되는 제형 특성상, 반응조건과 공정의 제약사항 등에 의하여 텍스처를 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단가가 낮아야 한다는 제약사항은 새로운 제형을 만들기 위해 값비싼 고분자 혹은 점증제 등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부분도 새로운 텍스처를 만드는데 한계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피부가 공해 및 유해환경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더욱 강한 세정력을 가진 클렌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개발자들은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방산 비누를 기초로 하는 세정제에 함수 특성이 있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밀도 폼을 형성해 새로운 텍스처를 발현하면서, 세정력과 세정 후, 보습제 잔류성이 향상된 검화 타입 클렌징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2717호(2011.06.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1629호(2018.11.19)
본 발명의 목적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지방산 비누와 보습제를 함유한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함으로써, 세정 시 거품 간 계면에 탄성체가 형성되어 모공 속 노폐물, 각질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해 우수한 제거 능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보습제의 잔류성을 향상시켜 세안 후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되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및 스타치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고흡수성 폴리머 0.05 내지 1 중량%, 지방산 10 내지 30 중량% 및 보습제 5 내지 40 중량%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타치계 폴리머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및 디스타치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산, 보습제, 용해보조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 정제수, 알칼리성 중화제 및 킬레이트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알칼리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지방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알칼리성 혼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비누화단계, 상기 비누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비누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계면활성제혼합단계,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를 통해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비누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는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 및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를 통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비누를 냉각하여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는 상기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지방산 10 내지 30 중량%, 보습제 5 내지 40 중량%, 용해보조제 1 내지 5 중량% 및 산화방지제 0.01 내지 0.2 중량%가 함유되도록 혼합하고 75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는 상기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정제수 17 내지 40 중량%, 알칼리성 중화제 3 내지 10 중량% 및 킬레이트제 0.01 내지 0.1 중량%가 함유되도록 혼합하고 75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는 계면활성제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는 고흡수성 폴리머 0.05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및 스타치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단계는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를 통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비누를 30 내지 40℃의 온도로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지방산 비누와 보습제를 함유한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함으로써, 세정 시 거품 간 계면에 탄성체가 형성되어 모공 속 노폐물, 각질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해 우수한 제거 능력을 나타내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물로 세안하기 전에 피부에 탄성막을 형성하여 세안 후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서 발생된 거품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을 통해 제조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고흡수성 폴리머, 지방산 및 보습제가 포함되며, 고흡수성 폴리머 0.05 내지 1.0 중량%, 지방산 10 내지 30 중량% 및 보습제 5 내지 4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수용성 고분자를 부분적으로 가교 시킴으로써 친수성과 수불용성을 겸비하는데, 자체적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여 주위로부터 수분을 끌어들여 스스로 부풀어 탄성체를 형성하는데, 상기와 같이 스스로 부풀어 탄성체를 형성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이 고밀도 폼을 형성해 새로운 텍스처를 발현하면서, 세정력과 세정 후 보습제 잔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1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석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및 스타치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타치계 폴리머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및 디스타치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은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기포력 및 세정력의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지방산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누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상기 지방산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거품의 경도가 낮아지고, 거품발생이 어렵고 액상화가 진행되며, 상기 지방산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지방산이 석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보습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보습제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누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보습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딱딱한 비누의 성상을 갖게되며 지방산이 석출되고,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보습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폼의 경도가 낮아져 고밀도 폼의 형성이 어렵고, 액상화가 진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에 나열된 고흡수성 폴리머, 지방산 및 보습제 외에, 용해보조제, 산화방지제, 용제, 알칼리제, 킬레이트제 및 계면활성제 등이 함유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용해보조제로는 PEG-40 스테아레이트,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상기 용제로는 정제수, 상기 알칼리제로는 수산화칼륨,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DTA),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이온성계면활제 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나열된 성분 외에도, 임의적으로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오일, 향료, 방부제, 비타민 및 색소 등과 같이 피부 세정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지방산, 보습제, 용해보조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S101), 정제수, 알칼리성 중화제 및 킬레이트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알칼리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S101-1),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지방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알칼리성 혼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비누화단계(S103), 상기 비누화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비누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계면활성제혼합단계(S105),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S105)를 통해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비누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는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S107) 및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S107)를 통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비누를 냉각하여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S101)는 지방산, 보습제, 용해보조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지방산 10 내지 30 중량%, 보습제 5 내지 40 중량%, 용해보조제 1 내지 5 중량% 및 산화방지제 0.01 내지 0.2 중량%가 함유되도록 혼합하고 75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해보조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PEG-40 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S101-1)는 정제수, 알칼리성 중화제 및 킬레이트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알칼리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정제수 17 내지 40 중량%, 알칼리성 중화제 3 내지 10 중량% 및 킬레이트제 0.01 내지 0.1 중량%가 함유되도록 혼합하고 75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대, 상기 알칼리성 중화제는 질량농도가 85%인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DT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누화단계(S103)는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지방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알칼리성 혼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지방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알칼리성 혼합물을 8 내지 12분에 걸쳐 교반과 동시에 투입한 후에, 알칼리성 혼합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4 내지 6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S105)는 상기 비누화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비누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비누화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비누를 75 내지 80℃로 유지한 상태에서 계면활성제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이온성계면활제 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S107)는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S105)를 통해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비누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를 통해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비누에 고흡수성 폴리머 0.05 내지 1 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역할, 성분 및 함량에 따른 임계적 의의는 상기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정화단계(S109)는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S107)를 통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비누를 냉각하여 안정화하는 단계로,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S107)를 통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비누를 30 내지 40℃의 온도로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35℃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지방산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함과 동시에 알칼리성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지방산 혼합물의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Disper mixer를 이용해 교반 하면서 알칼리성 혼합물을 10분간 천천히 투입 후, 5분간 추가로 교반해 비누화하고, 비누화를 통해 제조된 비누의 온도를 78℃로 유지하면서 계면활성제를 투입해 5분간 교반 후, 고흡수성 폴리머를 투입해 5분간 교반한 뒤, 35℃로 냉각하는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지방산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함과 동시에 알칼리성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지방산 혼합물의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Disper mixer를 이용해 교반 하면서 알칼리성 혼합물을 10분간 천천히 투입 후, 5분간 추가로 교반해 비누화하고, 비누화를 통해 제조된 비누의 온도를 78℃로 유지하면서 계면활성제를 투입해 5분간 교반 후, 고흡수성 폴리머를 투입해 5분간 교반한 뒤, 35℃로 냉각하는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9>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지방산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함과 동시에 알칼리성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지방산 혼합물의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Disper mixer를 이용해 교반하면서 알칼리성 혼합물을 10분간 천천히 투입 후, 5분간 추가로 교반해 비누화하고, 비누화를 통해 제조된 비누의 온도를 78℃로 유지하면서 계면활성제를 투입해 5분간 교반하고 90℃로 가온 후, 고흡수성 폴리머를 투입해 5분간 교반한 뒤, 35℃로 냉각하는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즉, 지방산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함과 동시에 알칼리성 혼합물을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지방산 혼합물의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Disper mixer를 이용해 교반하면서 알칼리성 혼합물을 10분간 천천히 투입 후, 5분간 추가로 교반해 비누화하고, 비누화를 통해 제조된 비누의 온도를 78℃로 유지하면서 계면활성제를 투입해 5분간 교반하고 40℃ 냉각 후, 고흡수성 폴리머를 투입해 5분간 교반한 뒤, 35℃까지 냉각하는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세정력, 거품탄력성 및 피부수분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단, 안정성은 5℃, 25℃ 및 38℃에서 크림 성상을 유지하는 정도로 판정하였는데, 5℃에서의 안정성은 저온 안정성, 25℃에서의 안정성은 상온 안정성, 38℃에서의 안정성을 고온 안정성으로 정의하였고, 온도 Cycling test도 진행하였다.
상기 각각의 안정성 테스트에서 크림상을 유지하는 수준 및 석출정도와 경도 하락이 발생하는 수준을 평가하였고, 크림상을 유지하는 수준에 따라 유지력이 우수하면 ◎를, 경도변화가 심하나 제형이 유지되면 ○로, 액상이 되거나 석출이 발생하면 X로 표시하였다.
또한, 세정력과 거품탄력성은 20대 미혼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측정하였으며, 점수는 각각 1~10점(높을수록 긍정적인 평가)로, 각 항목당 10명의 평가자 점수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수분도는 세정 후 보습감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 전, 시험 부위(하박내측)를 미온수로 세정하였고, 10분 후 시험부위의 무도포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시험 부위에 물을 묻힌 후 상기에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0.3g을 시험 부위에 적용하여 물 1g을 적시고 20회 롤링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고, 5분 후 시험 부위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는 Corneometer(CK electronic, Germany)로 하였다. 무도포시 피부 수분도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후 측정한 피부 수분도 값으로부터 피부수분도의 변화율을 산출한 뒤, 사용 전과 비교 평가하여 상기 조성물의 피부 보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1 내지 5,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한 함량 범위보다 적게 함유된 비교예 1 내지 3은 저온안정성, 상온안정성, 고온안정성, Cycling Test에서 안정성은 모두 양호하였다. 반면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한 함량 범위를 초과한 비교예 4 내지 6은 저온을 제외한 안정성 Test에서 석출이 발생하였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 내로 함유했을지라도 보습제가 바람직한 함량 범위보다 적게 함유된 비교예 7은 경도가 급격하게 상승해 경화비누 성상을 보였고, 보습제가 바람직한 함량 범위를 초과한 비교예 8은 액상화가 진행되고, 석출이 발생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는 대부분의 평가자들은 새로운 거품의 성상 및 촉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거품의 탄력성 평가에서 비교예 1 내지 3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특히, 실시예 3의 거품은 아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타래처럼 늘어지는 독특한 성상의 탄력성을 보였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한 함량 범위를 초과한 비교예 4 내지 6과 보습제의 양이 바람직한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일 경우에도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바람직한 함량범위 내인 비교예 7 내지 8도 거품의 탄력성 평가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한 함량보다 적게 함유된 비교예 1 내지 3은거품의 탄력성이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미흡해 일반적인 검화 타입 클렌징폼 제형과 차이를 느끼지 못하였다.
추가로,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조성물에 대해 세정 후 사진촬영을 통한 육안평가를 통해 세정효과를 평가하여 아래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 부위(하박내측)에 미세먼지 모사체를 도포한 후, 물을 묻힌 후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을 통해 제조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0.3g을 시험 부위에 적용하여 물 1g을 적시고 20회 롤링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었다.
아래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비교예 3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세정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 후 수분 손실보다 보습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한 함량 범위를 초과한 비교예 4 내지 6의 조성물에서도 세정 후 수분 손실보다 보습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피부에서의 보습제 습윤 효과로 인한 것으로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보습효과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한 함량보다 적게 함유된 비교예 1 내지 3은 세정 후 보습효과보다 수분 손실이 더 나타났다.
또한, 보습제가 바람직한 함량보다 적게 함유된 비교예 7의 조성물에서도 세정 후 보습효과보다 수분 손실이 더 나타났다.
또한,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9 내지 10을 통해 제조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고, 관능평가하여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단, 물성 측정은 벌크 상태로 제조 직후, 익일 각각 1회씩 측정하였으며, 일반적인 폼클렌저의 용기로 사용되는 튜브 충진 공정을 가정하여 익일 벌크 상태의 조성물을 50ml 주사기에 주입 후 토출시켜 스트레스를 가한 직후와 익일 각각 1회씩 측정하였다.}
<표 5>
Figure pat0000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온도범위 내에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분산한 실시예 3은 튜브 충진 후, 사용시 튜브 토출구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크림 타입의 물성으로 확인되었다. 바람직한 온도범위를 초과해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분산한 비교예 9의 조성물에서도 튜브 충진 후, 사용시 튜브 토출구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물성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거품의 탄력성을 비교해본 결과, 비교예 9의 조성물에서는 세정시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한 거품 간 탄성체를 형성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바람직한 온도범위를 초과해서 분산시 고흡수성 폴리머가 수계에서 모두 풀어지면서 세정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면 습윤 되어야할 고흡수성 폴리머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바람직한 범위에 못 미치는 온도에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분산한 비교예 10은 튜브 충진 후, 사용시 튜브 토출구에서 흘러내리는 로션 타입의 물성으로 확인됐다. 또한, 외관 확인 결과 석출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지방산 비누와 보습제를 함유한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함으로써, 세정 시 거품 간 계면에 탄성체가 형성되어 모공 속 노폐물, 각질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해 우수한 제거 능력을 나타내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물로 세안하기 전에 피부에 탄성막을 형성하여 세안 후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S101 ;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 S101-1 ;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
S103 ; 비누화단계
S105 ; 계면활성제혼합단계
S107 ;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
S109 ; 안정화단계

Claims (12)

  1.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되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및 스타치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고흡수성 폴리머 0.05 내지 1.0 중량%, 지방산 10 내지 30 중량% 및 보습제 5 내지 4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타치계 폴리머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 및 디스타치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6. 지방산, 보습제, 용해보조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지방산혼합물을 제조하는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
    정제수, 알칼리성 중화제 및 킬레이트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알칼리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지방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알칼리성 혼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비누화단계;
    상기 비누화단계를 통해 제조된 비누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계면활성제혼합단계;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를 통해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비누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는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 및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를 통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비누를 냉각하여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혼합물제조단계는 상기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지방산 10 내지 30 중량%, 보습제 5 내지 40 중량%, 용해보조제 1 내지 5 중량% 및 산화방지제 0.01 내지 0.2 중량%가 함유되도록 혼합하고 75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혼합물제조단계는 상기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정제수 17 내지 40 중량%, 알칼리성 중화제 3 내지 10 중량% 및 킬레이트제 0.01 내지 0.1 중량%가 함유되도록 혼합하고 75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는 계면활성제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는 고흡수성 폴리머 0.05 내지 1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및 스타치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단계는 상기 고흡수성폴리머혼합단계를 통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비누를 30 내지 40℃의 온도로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185120A 2020-12-28 2020-12-28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120A KR102624935B1 (ko) 2020-12-28 2020-12-28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120A KR102624935B1 (ko) 2020-12-28 2020-12-28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933A true KR20220093933A (ko) 2022-07-05
KR102624935B1 KR102624935B1 (ko) 2024-01-15

Family

ID=8240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120A KR102624935B1 (ko) 2020-12-28 2020-12-28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9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17B1 (ko) 2003-12-1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 조성물
KR101645437B1 (ko) * 2014-03-20 2016-08-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필링 겸용 클렌징용 조성물
JP2017110139A (ja) * 2015-12-17 2017-06-22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枠練り透明固形石鹸
KR101921629B1 (ko) 2011-11-16 2018-11-26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조성물
JP2019069921A (ja) * 2017-10-11 2019-05-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洗浄料用組成物
WO2019177925A1 (en) * 2018-03-16 2019-09-19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Foaming cleanser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polar oil and amphiphilic polymer
KR20200052180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고탄성 거품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17B1 (ko) 2003-12-1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 조성물
KR101921629B1 (ko) 2011-11-16 2018-11-26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조성물
KR101645437B1 (ko) * 2014-03-20 2016-08-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필링 겸용 클렌징용 조성물
JP2017110139A (ja) * 2015-12-17 2017-06-22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枠練り透明固形石鹸
JP2019069921A (ja) * 2017-10-11 2019-05-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洗浄料用組成物
WO2019177925A1 (en) * 2018-03-16 2019-09-19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Foaming cleanser compositions containing a non-polar oil and amphiphilic polymer
KR20200052180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고탄성 거품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935B1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2497B (zh) 包含至少一种甘氨酸盐型表面活性剂的发泡组合物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CN102046143A (zh) 起泡性皮肤清洁剂
JP596869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CN104694304B (zh) 液体去污剂组合物
JP2018177780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H09183996A (ja) 洗浄剤組成物
JP2018177779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20220093933A (ko)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8384A (ko) 몽글몽글한 성상을 갖는 지방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02173694A (ja) 透明洗浄料
CN114921296A (zh) 皂基型自增稠的清洁组合物
KR102351914B1 (ko) 고마주 필링용 피부 세정 화장료 조성물
JPH11189788A (ja) 透明ゲル状洗浄剤組成物
JP2001226697A (ja) 固形せっけん
JP2005239616A (ja) 油性皮膚洗浄料
JP5192871B2 (ja) 洗浄剤組成物
JP2010047541A (ja) 起泡可能なクレンジングオイル、及びそれを用いるスキンケア方法
KR100981600B1 (ko) 세안제 조성물
JP3375687B2 (ja) 皮膚洗浄料
JP4550234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H11106331A (ja) 皮膚洗浄料
JP3486445B2 (ja) メイク洗浄料
KR20220094710A (ko)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206666A (ja) 皮膚洗浄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