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710A -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710A
KR20220094710A KR1020200186204A KR20200186204A KR20220094710A KR 20220094710 A KR20220094710 A KR 20220094710A KR 1020200186204 A KR1020200186204 A KR 1020200186204A KR 20200186204 A KR20200186204 A KR 20200186204A KR 20220094710 A KR20220094710 A KR 2022009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acid
cleaning
weight
phas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391B1 (ko
Inventor
김휘엽
정주태
서훈기
이광연
차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8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391B1/ko
Priority to CN202111642322.2A priority patent/CN114681356A/zh
Publication of KR2022009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세제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지방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포함하는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세정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크림 성상 및 이의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washing with thermostability and process of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세제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지방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포함하는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정은 얼굴과 몸 등의 먼지, 노폐물, 각질 등을 없애기 위하여 씻는 행위를 말하며, 이를 위해서 비누, 클렌징폼과 같은 세안제를 사용하고 있다.
세정용 화장료는 지방산에 알칼리를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통해 세정 기능을 갖게 한다. 이러한 세정용 화장료는 온도가 상승하면 성상을 구현하는 지방산 자체의 용융이 일어나거나, 화장료에 함유된 물의 용해도가 점차 증가하여 지방산을 용해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세정용 화장료의 성상이 분리되고 다시 온도를 낮추어도 원래의 제형성을 완전히 복원할 수 없어,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을 잃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여름철 기온이 40℃를 넘나드는 폭염이 잇따라 발생하여 제품이 고온에 노출되기 쉬워졌고 밀폐된 공간에서는 그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므로 제품을 보관하는 데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정용 화장료에 포함되는 지방산을 안정화하여 고온에서도 화장품의 성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제형 안정성 및 보관 안정성을 갖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지방산의 비누화 반응을 통해 세정 기능을 갖는 세정용 화장료의 성상과 사용감을 유지하면서 50℃ 이상의 온도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세제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지방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포함하는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지방산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이 지방산을 안정화시켜 우수한 고온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온도 상승에 따른 지방산의 용융 및 제품에 함유된 물의 용해도 상승에 의한 지방산의 용해를 억제하여 50℃ 이상의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제형 안정성 및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크림 성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비교예 1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2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3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4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5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6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7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8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9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0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1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2의 투과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험예 2>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를 50℃ 에서 1시간 보관 후의 육안 관찰 사진이다.
도 15는 <실험예 2>에서 실시예 5 내지 8를 50℃ 에서 1시간 보관 후의 육안 관찰 사진이다.
도 16은 <실험예 2> 에서 실시예 9 내지 12를 50℃ 에서 1시간 보관 후의 육안 관찰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세제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지방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포함하는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 비누화 반응을 통해 세정 기능을 갖는데, 지방산의 점성이 향상되면 고온에서 성상 분리와 세정 기능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이 지방산의 점성을 향상시키는 점증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첨가하면, 지방산의 용융으로 분자간 물리적 거리가 멀어지지 않도록 지방산의 점도를 높여 지방산이 용융되지 않고 세정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고온"이란 40℃ 이상, 45℃ 이상, 50℃ 이상의 온도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50℃ 이상 80℃ 이하, 50℃ 이상 70℃ 이하, 50℃ 이상 65℃ 이하, 50℃ 이상 60℃ 이하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10중량%, 3 내지 9.5중량%, 3.5 내지 9.5중량%, 4 내지 9중량%, 4.5 내지 9중량%, 4.5 내지 8.5중량%, 5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3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지방산의 점도를 향상시킬만큼 충분한 양이 되지 못하여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주어 고온에서 보관시 성상 분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12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의 발수성으로 인해 고온에서 상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라우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올레익애씨드, 베헤닉애씨드 및 이소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라우릭애씨드 및 팔미틱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라우릭애씨드 및 팔미틱애씨드 4개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중량%, 15 내지 45중량%, 20 내지 45중량%, 20 내지 40중량%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중량%일 수 있다. 지방산을 1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세정력 및 점도가 충분하지 않고, 지방산을 50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도 점도가 지나치게 높을 수 있고,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수상 성분은 용매, 보습제, 금속봉쇄제, 방부제 및 pH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상 성분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제상 성분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정제수(물)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Polyol)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피이지-8(PEG-8),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및 피이지-8(PEG-8)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중량%, 15 내지 50중량%, 20 내지 50중량%, 20 내지 45중량%, 25 내지 45중량%, 또는 30 내지 4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를 1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비누화 반응이 원활하지 못해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보습제를 60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제조 수분 함량이 부족할 수 있다.
상기 금속봉쇄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금속봉쇄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EDTA)일 수 있다. 금속 봉쇄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2중량%, 0.05 내지 1.8중량%, 0.05 내지 1.5중량%, 0.05 내지 1중량%, 0.1 내지 1중량%, 0.3 내지 0.8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봉쇄제를 0.05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금속 봉쇄제를 2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일 수 있다.
상기 pH조절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H조절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일 수 있다. pH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10중량%, 3.5 내지 9중량%, 3.5 내지 8중량%, 4 내지 7중량%, 4.5 내지 6중량%, 5 내지 6중량%, 바람직하게는 5.4중량%일 수 있다. 상기 pH조절제를 3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비누화 반응이 부족하여 세정력이 떨어지고, 상기 pH조절제를 10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점성을 갖는 지방산까지 비누화 반응을 하여 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및 라우레스-7(Laureth-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중량%, 0.5 내지 2.5중량%, 0.5 내지 2중량%, 1 내지 2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0.5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주어 성상 분리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3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올레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라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소듐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리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토코페릴포스페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소듐라우라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소듐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 1 내지 4.5중량%, 1 내지 4중량%, 1.5 내지 4중량%, 1.5 내지 3.5중량%, 1.5 내지 3중량%, 2 내지 3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4중량%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1중량% 미만 또는 5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주어 성상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색소,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향료 및 염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보습제, 지방산,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부텐을 6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단계; (B) pH조절제를 (A)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투입하는 단계; 및 (C) 금속봉쇄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40 내지 80℃ 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B) 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보습제, 지방산,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부텐을 7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pH조절제를 (A)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투입한 후 3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5분동안 비누화 반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용매, 방부제, 금속봉쇄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40 내지 80℃ 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B) 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매, 방부제, 금속봉쇄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B) 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A) 내지 (C) 단계에 추가로, (D) 상기 (C)의 생성물을 교반하면서 10 내지 35℃ 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용매, 방부제, 보습제, 지방산, 비이온 계면활성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부텐, pH조절제, 금속봉쇄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모두 상기 본 발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크림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정용 크림 제품은 세안제, 바디워시, 핸드워시, 폼클렌져, 입욕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성분과 함량 (중량 %)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원료 4, 원료 5, 원료 7, 원료 8, 원료 9, 원료 10, 원료 11, 원료 12를 메인 비이커에 계량 후 80℃의 온도 조건에서 아지 믹서 (AGI Mix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 원료 6을 별도의 비이커에 계량한 후 메인 비이커의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여 5분동안 비누화 반응을 시켰다. 그리고나서 수상부로써 원료 1, 원료 2, 원료 3, 원료 13을 별도 비이커에 계량 후 60℃의 온도 조건에서 아지 믹서 (AGI Mix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별도 비이커의 조성물을 메인 비이커의 혼합물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메인 비이커를 교반하면서 25℃ 까지 냉각함으로써 실시예 1 내지 12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에 원료 12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에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1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50℃ 분산 안정성 평가
50℃ 안정성 평가는 분산 안정성을 측정하는 기기를 통하여 50℃ 온도 조건 하에서 상 분리 여부를 투과율로써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기기를 통해 1시간 동안 매 25초 마다 용기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50℃ 에서 분리가 발생하면 수상은 투명하게 가라앉아 용기의 아래쪽에서 투과율이 상승하여 안정성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의 투과율 측정 결과를 각각 도 1 내지 13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결과인 도 1이 투과율이 가장 높아 불안정한 것을 알 수 있고,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의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투과율이 줄어들어 고온에서 분리가 나는 것을 막아주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50℃ 안정성 육안 평가
제형의 50℃ 안정성 육안 평가는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50℃ 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분리 여부 관찰은 용기의 하단과 상단 부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백색의 크림 성상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 14 내지 16에 나타내었다.
도 14 내지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2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보다 50℃에서 성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크림 성상을 유지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수상 성분, 유상 성분 및 세제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지방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포함하는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중량% 내지 12중량%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중량%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라우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닉애씨드, 카프로닉애씨드, 리놀레익애씨드, 및 올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용매, 보습제, 금속봉쇄제, 방부제 및 pH조절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 성분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상 성분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용 화장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올레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라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소듐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리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토코페릴포스페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소듐라우라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소듐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및 라우레스-7(Laureth-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60중량%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봉쇄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2중량%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H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10중량%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중량%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중량%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50℃ 내지 80℃ 온도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14.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상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보습제, 지방산,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부텐을 6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단계;
    (B) pH 조절제를 (A)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투입하는 단계; 및
    (C) 금속봉쇄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40 내지 80℃ 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B) 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15. 제 14 항에 있어서,
    (D) 상기 (C)의 생성물을 교반하면서 10 내지 35℃ 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라우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닉애씨드, 카프로닉애씨드, 리놀레익애씨드, 및 올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크림 제품.
KR1020200186204A 2020-12-29 2020-12-29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204A KR102575391B1 (ko) 2020-12-29 2020-12-29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111642322.2A CN114681356A (zh) 2020-12-29 2021-12-29 具有优异的高温稳定性的清洁用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204A KR102575391B1 (ko) 2020-12-29 2020-12-29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710A true KR20220094710A (ko) 2022-07-06
KR102575391B1 KR102575391B1 (ko) 2023-09-08

Family

ID=8213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204A KR102575391B1 (ko) 2020-12-29 2020-12-29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5391B1 (ko)
CN (1) CN11468135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19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43758A (ko) *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4747A (ko) *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온 또는 초고온 멸균 가능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3569A (ko) * 2019-06-13 2020-1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2924B1 (fr) * 1998-09-09 2001-10-26 Oreal Emulsion h/e/h stable et son utilisation comme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US20040136943A1 (en) * 2002-12-27 2004-07-15 Kao Corporation Skin cleansing composition
JP2010280644A (ja) * 2009-06-08 2010-12-16 Kracie Home Products Ltd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655346B1 (ko) * 2009-11-27 2016-09-08 (주)아모레퍼시픽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US9656104B2 (en) * 2011-07-08 2017-05-23 Cognis Ip Management Gmbh Use of microemulsions in cosmetic cleaning compositions
KR20170139956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제품
KR20180024463A (ko) * 2016-08-30 2018-03-08 (주)아모레퍼시픽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669509A (zh) * 2017-08-25 2018-02-09 澳宝化妆品(惠州)有限公司 一种泡沫丰富且稳定的高油脂乳霜洁面组合物
CN111494279A (zh) * 2020-05-07 2020-08-07 广东柏俐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类化妆品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19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43758A (ko) *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4747A (ko) *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온 또는 초고온 멸균 가능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3569A (ko) * 2019-06-13 2020-1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391B1 (ko) 2023-09-08
CN114681356A (zh)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9472B2 (ja) 脂肪アシルイセチオネート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安定な液体クレンジング組成物
CA2139666C (en) Liquid personal cleanser with moisturizer
KR20090089877A (ko) 지방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안정한 액상 세정제 조성물
KR20110076887A (ko) 높은 농도의 폴리올을 사용한 10 중량% 초과의 지방산/지방 비누 함량을 갖는 지방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계면활성제 생성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세정 조성물 및 그의 방법
CA2267765C (en) Mild cleansing bar compositions
MXPA98001006A (en) Liquid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laminar solu phase inductor structuring
IE913988A1 (en) Mild skin cleansing toilet bar with silicone skin¹mildness/moisturizing aid
JPH07508753A (ja) モイスチャライザーを有するパーソナルクレンザー
BR102016029249A2 (pt) Cleaning bars containing polystallerol esters
JPH09202898A (ja) 身体洗浄剤組成物
JP6334508B2 (ja) 粘性洗浄剤組成物
JP2008111015A (ja) 固形石鹸組成物
KR102575391B1 (ko)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21296A (zh) 皂基型自增稠的清洁组合物
JP2019218291A (ja) クリーム状外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401419B1 (ja) 起泡可能なクレンジングオイル、及びそれを用いるスキンケア方法
US20200345590A1 (en) Cleansing and conditioning tablet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5919578B1 (ja) 枠練りイセチオン酸系固形石鹸
JP6179184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320602B1 (ja) 洗浄剤組成物。
JP5192871B2 (ja) 洗浄剤組成物
KR102624935B1 (ko) 고밀도 폼을 형성하는 검화 타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70001234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투명 액체 세정제의 조성물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039857A (ja) 皮膚洗浄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