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419A -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419A
KR20160012419A KR1020140093812A KR20140093812A KR20160012419A KR 20160012419 A KR20160012419 A KR 20160012419A KR 1020140093812 A KR1020140093812 A KR 1020140093812A KR 20140093812 A KR20140093812 A KR 20140093812A KR 20160012419 A KR20160012419 A KR 2016001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hase
oil
wat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150B1 (ko
Inventor
김은하
정민우
오주영
최승만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9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1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다량의 향을 포집하고, 투명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다량의 향을 포집하고, 투명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롱, 향수 등이 포함되는 인체용 향료제품은 인체에 직접 또는 옷에 사용하여 향취를 지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로, 방향족 화합물인 향료를 고농도로 함유하기 위해 대개 50중량% 이상의 알코올을 사용하고 있으며, 향료 등은 알코올에 용해시키거나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가용화시킨 투명한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형태의 화장료는, 몸에 향취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휘발성이 있는 저급 알코올에 의해 시원한 사용감을 부여해 준다. 그러나, 저급 알코올의 증발에 의해 피부를 자극시키고 피부를 건조하게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보습 지속력을 부여하는 에탄올 등 저급 알코올을 함유하거나 최소화하는 인체용 향료 제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에탄올 등 저급 알코올을 함유하거나 최소화하는 수계 가용화 제형은 다량의 향을 투명하게 안정화시키기 위해 다량의 가용화제가 필요하며 이는 피부 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인 향료와 용해성이 좋은 유상의 향료 제품은 보습력이 뛰어나고 피부 자극 발생의 우려가 적으나 피부 이외에 옷과 머리카락 등에 오염을 유발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향 고함유 향료 제품 조성물 중 수중유형 에멀전의 경우는 위에서 언급된 사항을 만족하지만 향료를 안정하게 함유하기 위해서는 에멀전 및 크림과 같이 고점도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코롱, 향수 제형과 같이 분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투명상의 가용화 제형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분사가능 하면서도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보습효과와 사용감이 우수하면서도 투명한 수계 향 고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연구가 필요하다.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30, N°2, June 1969, 258-263
본 명세서의 목적은 분사의 가능, 우수한 보습 효과, 우수한 경시 안정성 및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는 향 고함유 수계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유상 성분; 수상 성분; 및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을 혼합하여 혼합상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혼합상에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향을 포집하면서도 투명성을 유지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저급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거나, 소량을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향 지속력, 보습 및 유연효과를 지니고, 자극이 없다.
이하, 본 명세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유상 성분; 수상 성분; 및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상 성분"이란, 지용성으로 오일에 녹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상 성분"이란, 수용성으로 물에 녹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미니(GEMINI)형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분자 내에 2개의 소수사슬과 2개의 친수사슬을 가지고, 친수기 또는 그 근방을 연결기로 연결된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레시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라이신, 소듐 디라우르마이도글루타마이드라이신 및 소듐 디코코일에틸렌디아민 피이지-15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화장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내지 20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화장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여기에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향을 포함한 유상성분의 함량을 고려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상 성분은 0.5 중량% 내지 50 중량% 이고, 상기 수상 성분은 0.5 중량% 내지 50 중량%이며, 상기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0.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 및 상기 수상 성분은 서로 바이컨티뉴어스한 균일한 혼합상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제미니형 계면 활성제를 추가하여, 상기 제미니형 계면활성제의 2 개의 소수사슬과 균형을 이루는 2 개의 친수사슬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도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벌키한 구조의 향을 포집하도록 저온 및/또는 고온에서 장기 안정성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상성분은 오일; 향; 및 폴리 에틸렌 글리콜계 비이온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오일은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유성성분일 수 있으며,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합성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향은 당업계에 통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및 탄화수소 타입의 화합물, 혹은 식물 유래 천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향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5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연속상 내에 비연속상을 분산 또는 현탁시키는 것을 돕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폴리 에틸렌 글리콜계 비이온 유화제는 선택된 제제가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조성물의 필수 성분들과 혼화성이고, 원하는 분산 특성을 제공한다면 공지되거나 통상적인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상성분은 코스모트로픽 물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코스모트로픽한 물질은 호프마이스터 시리즈(Hofmeister series)의 정의에 따라 음이온, 양이온, 염, 및/또는 친수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음이온은 SO4 2 -, PO4 3 -, 시트레이트 및 아세테이트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양이온은 Al3 , Mg2 , Ca2 , Ba2 , Li, Na 및 K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염은 구연산 나트륨, Na2SO4, (NH4)2SO4, NaCl 및 NH4SCN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친수기는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실산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원자가 하나 또는 다가알코올(부탄올,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트리글리세롤 등), 당, 당 알코올, 당산 및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유산, 말레산, 주석산,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코스모트로픽한 물질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 보습제, 폴리올,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희석제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상기 화장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98.5 중량% 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상 성분은 0.5 중량%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수상 성분은 0.5 중량% 내지 50 중량%이며, 상기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0.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희석제는 20 중량% 내지 98.5 중량%이다.
상기 희석제는 당업계에 통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상온도 유화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전상온도 유화법은 물, 오일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3 성분계로 구성되는 조성물 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친수기인 에틸렌옥사이드와 물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친수성 성질이 줄어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유화법이다. 이 때, 3 성분계로 구성되는 조성물은 어떤 온도 이하에서는 O/W (oil-in-water) 형 에멀전을, 어떤 온도 이상에서는 W/O(water-in- oil)형 에멀전을 형성하게 된다. 이 온도를 전상온도 (PIT: Phase Inversion Temperature)라 부른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라, 전상온도 유화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마이크로 에멀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이란, 유화(emulsification)를 통한 수 백 nm 정도의 입자를 가지는 블루이쉬한(bluish) 조성물 뿐만 아니라 용화(solubilization)를 통한 10 nm 내지 20 nm 정도의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상온도 유화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가 미세하여, 분사가 가능하고,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사용감이 우수하다. 다만, 고온 및 저온에서의 장기 안정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분사가 가능하고,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사용감이 우수한 마이크로 에멀젼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고온 및 저온에서의 장기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향을 안정하게 포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거나, 적게 사용하여 보습력이 뛰어나고, 피부 자극이 적은 우수한 사용감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또한,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을 혼합하여 혼합상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혼합상에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 및 상기 수상 성분을 혼합하는 제1 단계에서 바이컨티뉴어스 (bicontinuous)한 균일 혼합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상에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유화할 때 장기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물, 보습제, 폴리올,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희석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상성분, 수상성분, 제미니형 계면활성제 및 희석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전상온도 유화법을 이용한다. 전상 온도 유화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실험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 실험예 1-6>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험예 1은 표 1에서, 원료 1에 원료 2 내지 6을 비커에 용해하였다. 원료 7 및 8을 온도 40 ℃로 가온한 후, 원료 8을 투명하게 용해하여 미리 균일하게 용해시켜놓은 원료 1 내지 6의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여 교반기로 10 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코롱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는 표 2에서, 원료 9에 원료 10 내지 12를 넣고, 용해시킨 후 70 ℃ 내지 75 ℃로 가온하였다. 원료 1 내지 8의 혼합물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0 ℃ 내지 75 ℃로 가온 및 균일하게 용해하여 수상에 서서히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10 분간 균일하게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실험예 3은 표 3에서, 원료 1에 원료 2를 용해한 후 온도 70 ℃ 이상으로 가온하였다. 원료 3 내지 10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온도 70 ℃ 이상으로 가온 용해한 후, 용해된 원료 1 및 2를 섞어 70 ℃ 이상으로 가온 한 후 서서히 온도를 내려 바이컨티뉴어스한 지점에서 미리 균일하게 용해 시켜놓은 원료 11 내지 18의 혼합물을 빠르게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계 코롱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내지 6은 실험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험예 1
1 정제수 To 100
2 글리세린 5
3 DPG 5
4 방부제 적량
5 킬레이트제 적량
6 베타인 1
7 에탄올 60
8 PEG-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9 향료 2
(단위: 중량%) 실험예 2
1 스테아레스-20 0.3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3 PEG-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4 세테아릴알코올 0.2
5 세테스-20 0.3
6 레시친 0.3
7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5
8 향료 2
9 정제수 To 100
10 글리세린 5
11 방부제 적량
12 킬레이트제 적량
(단위: 중량%)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실험예 6
1 정제수 1 5 5 5 5
2 글리세린 5 5 5 5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5 5 5 5
4 스테아레스-20 0.3 0.3 0.3 0.3
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6 PEG-40하이드로 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0.2 0.2 0.2
7 세테아릴알코올 0.2 0.2 0.2 0.2
8 세테스-20 0.3 0.3 0.3 0.3
9 향료 2 2 2 2
10 레시친 - 0.3 _ _
11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_ _ 0.3 _
12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라이신 _ _ _ 0.1
13 정제수2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4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5 킬레이트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경시 안정성 평가>
상기 실험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 직 후, 25 ℃에서 4주, 5 ℃에서 4주, 50 ℃에서 4주 동안 보관하면서 상(phase)의 분리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이상 없음 : O, 현탁 : △, 분리 : X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 4 실험예5 실험예6
제조직후 O X O O O O
25℃ (4주) O X O O O O
50℃ (4주) O X X O O O
저온(4주) O X O O O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급알코올이 50 %이상 함유된 실험예 1의 경우 매우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와 실험예 3을 비교하면 같은 조성물을 갖더라도 조성물의 입자사이즈에 따라 확연히 다른 안정성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유화법으로 제조한 실험예 2는 제조 직후 분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전상온도 유화법을 통해 마이크로에멀전을 제조한 실험예 3은 제조 직 후와 25℃ 4주 경과시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4에서 실험예 3 내지 6을 비교하면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추가 사용시 장기안정성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제조 시,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추가 사용하지 않은 실험예 3의 경우 50℃ 4 주 경과시 크리미하게 분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저온 및 25℃에서 4 주 경과시 투명성이 짙어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는 제조 직 후로부터 일정기간 경과 후 50 nm 내지 200nm의 입자사이즈를 지닌 투명성이 높은 제형이 입자사이즈가 커져 현탁 또는 분리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추가 사용한 실험예 4 내지 6의 경우 고온 및 저온에서 안정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로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전상온도 유화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외관 및 사용감 평가>
상기 실험예 1 및 6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인 향 고함유 코롱 제품인 실험예 1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실험예 6을 20 내지 39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외관 및 사용감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5점 : 매우 좋다, 4점 : 좋다, 3점 : 보통, 2점 : 좋지 않다, 1점 : 매우 좋지 않다.
평가 항목 실험예 1 실험예 6
외관이 매력적이다 3.10 4.27
사용 후 매끄럽다 2.43 4.23
사용 후 촉촉하다 2.77 4.57
사용 후 피부가 붉어진다 3.13 4.87
사용 후 자극이 느껴진다 2.90 4.83
향취가 오래 지속된다 3.37 3.93
상기 표 5에 같이 본 발명의 제품인 실험예 6은 기존의 저급알코올이 50 % 이상 함유된 실험예 1에 비하여 외관상 선호도 및 사용감, 자극, 향취의 지속성 등에서 우위의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향취의 지속성 이외에도 피부에 보습 및 유연효과를 주며, 사용감이 우수하고, 향을 고함유로 포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유상 성분;
    수상 성분; 및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는 화장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내지 20 중량% 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상성분은 오일; 향; 및 폴리 에틸렌 글리콜계 비이온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향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10 중량% 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상성분은 코스모트로픽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 보습제, 폴리올,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전상온도 유화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을 혼합하여 혼합상을 제조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혼합상에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후, 물, 보습제, 폴리올,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희석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 또는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상온도 유화법을 이용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93812A 2014-07-24 2014-07-24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8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812A KR102282150B1 (ko) 2014-07-24 2014-07-24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812A KR102282150B1 (ko) 2014-07-24 2014-07-24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419A true KR20160012419A (ko) 2016-02-03
KR102282150B1 KR102282150B1 (ko) 2021-07-27

Family

ID=5535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812A KR102282150B1 (ko) 2014-07-24 2014-07-24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502A (ko) * 2016-12-30 2018-07-11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표적지향형 리포좀
KR20220094710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57A (ko) * 1988-10-29 1990-05-09 주식회사 금성사 시스템 메모리 및 외부캐시메모리의 내용일치 유지장치
KR20060089903A (ko) * 2005-02-03 2006-08-10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안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는제미니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상부 액정 조성물 및이로부터 미백 화장료의 제조방법
US20080004357A1 (en) * 2006-07-01 2008-01-03 Goldschmidt Gmbh Method of producing finely divided oil-in-water emulsions
KR20090115178A (ko) * 2007-01-31 2009-11-04 바스프 에스이 양이온성 컨디셔닝제
KR20110078630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수중유형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41563A (ko)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57A (ko) * 1988-10-29 1990-05-09 주식회사 금성사 시스템 메모리 및 외부캐시메모리의 내용일치 유지장치
KR20060089903A (ko) * 2005-02-03 2006-08-10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안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는제미니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상부 액정 조성물 및이로부터 미백 화장료의 제조방법
US20080004357A1 (en) * 2006-07-01 2008-01-03 Goldschmidt Gmbh Method of producing finely divided oil-in-water emulsions
KR20090115178A (ko) * 2007-01-31 2009-11-04 바스프 에스이 양이온성 컨디셔닝제
KR20110078630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수중유형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41563A (ko)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30, N°2, June 1969, 258-26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502A (ko) * 2016-12-30 2018-07-11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표적지향형 리포좀
KR20220094710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150B1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99466A (ja) リコピン含有組成物
JP5148127B2 (ja) 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含む化粧用および皮膚用組成物
CN106102708A (zh) 神经酰胺分散组合物的制造方法
KR20160117111A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758A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060716A (ja) 白濁化粧料
DE102010063585A1 (de) W/O-Emulsionen
KR102266174B1 (ko) 나노셀룰로오스를 함유한 나노에멀젼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5066B1 (ko) 액체 구강용 조성물 및 그 동결 복원성 향상 방법
KR10228215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4672B1 (ko) 화장료용 조성물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5227B1 (ko)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KR101777622B1 (ko)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JP2014156453A (ja) 化粧料及びグリチルレチン酸誘導体含有乳化組成物
KR101663775B1 (ko)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JP6092039B2 (ja) 乳化組成物
JP2011213679A (ja) 透明又は半透明の外用組成物
JP2001303020A (ja) 透明液状組成物
KR101852249B1 (ko) 화장품용 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24870B1 (ko) 난용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6181A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345950B2 (ja) 水中油型化粧料
JP7041500B2 (ja) 皮膚化粧料
KR20150012426A (ko) 계면활성제 없이 오일상을 함유한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