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348A -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348A
KR20220092348A KR1020210110718A KR20210110718A KR20220092348A KR 20220092348 A KR20220092348 A KR 20220092348A KR 1020210110718 A KR1020210110718 A KR 1020210110718A KR 20210110718 A KR20210110718 A KR 20210110718A KR 20220092348 A KR20220092348 A KR 20220092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ngaging groove
spinning reel
boss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윅 후이 찬
엠디 샤히드 빈 소와르니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22009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06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 B65H54/2809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rotating grooved cam
    • B65H54/2812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rotating grooved cam with a traversing guide running in the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1Reciprocating mechanisms including eccentric cams reciprocating the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제2 기어의 보스부 및 슬라이더의 계합(係合) 홈의 사이에 생기는 충돌을 억제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제2 기어의 보스부 및 슬라이더의 계합 홈의 사이에 개재하는 환상(環狀) 탄성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1)의 오실레이팅 기구(30)는, 접동(摺動)용 기어(31)와 캠 기어(33)와 슬라이더(35)와 O링(40)을 구비한다. 접동용 기어(31)는, 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캠 기어(33)는, 접동용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33a)와, 기어 본체(33a)로부터 돌출하는 보스부(33b)를 가진다. 슬라이더(35)는, 보스부(33b)가 계합하는 계합 홈(37)을 가진다. 슬라이더(35)는, 보스부(33b)가 계합 홈(37)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9)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O링(40)은, 계합 홈(37)의 폭광부(幅廣部)(39)에 접촉하도록, 보스부(33b)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OSCILLATION MECHANISM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HAVING THE OSCILLATION MECHANISM}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닝 릴에는, 왕복 이동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왕복 이동 기구는,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접동(摺動)용 기어와, 접동용 기어에 맞물리는 캠 기어를 가진다. 캠 기어는, 접동용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와, 기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보스부를 가진다. 보스부는, 슬라이더의 계합(係合) 홈에 계합한다. 보스부가 계합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종래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캠 기어의 보스부를 슬라이더의 계합 홈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보스부의 외주면(外周面) 및 계합 홈의 벽면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설치된다. 이 클리어런스에 의하여, 보스부가 계합 홈을 따라 이동할 때에, 보스부의 외주면이 계합 홈의 벽면에 충돌하고, 충돌음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1의 스피닝 릴에서는 보스부와 계합 홈의 사이에 환상(環狀) 탄성체를 개재시키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065119호
특허 문헌 1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이동 시에 환상 탄성체가 하중을 받아 변형하면서 접접(摺接)하기 때문에, 환상 탄성체의 내구성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보스부에 설치한 환상 보지(保持) 홈에 환상 탄성체를 보지시켰을 경우, 환상 보지 홈에 의하여 환상 탄성체의 변형 정도가 억제된 상태로 환상 탄성체는 계합 홈과 접접하기 때문에, 환상 탄성체의 표면이 손상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제2 기어의 보스부 및 슬라이더의 계합 홈의 사이에 생기는 충돌을 억제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스피닝 릴에 있어서, 환상 탄성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제1 기어와 제2 기어와 슬라이더와 환상 탄성체를 구비한다. 제1 기어는,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2 기어는, 제1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와, 기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보스부를 가진다. 슬라이더는, 보스부가 계합하는 계합 홈을 가진다. 슬라이더는, 보스부가 계합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환상 탄성체는, 계합 홈의 개구(開口) 단부(端部)에 접촉하도록, 보스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제2 기어의 보스부에 장착된 환상 탄성체가, 슬라이더의 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스부는 계합 홈을 따라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2 기어의 보스부 및 슬라이더의 계합 홈의 사이에 생기는 충돌을 억제할 수 있고, 보스부가 하중을 받기 때문에, 환상 탄성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환상 탄성체가, 계합 홈의 개구 단부 및 기어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상 탄성체는, 보스부의 외주면, 기어 본체, 및 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보스부가 계합 홈을 따라 이동할 때에, 환상 탄성체는, 보스부의 외주면 및 기어 본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의하여 압축된다. 이것에 의하여, 환상 탄성체를 안정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최대 거리가, 계합 홈의 보스부의 선단부(先端部)가 존재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벽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계합 홈의 개구 단부의 최대 거리가, 상기의 계합 홈의 벽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환상 탄성체를 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호적(好適)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계합 홈이, 보스부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계합 오목부와, 계합 오목부보다 폭넓게 형성되고 환상 탄성체가 접촉하는 폭광부(幅廣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계합 홈이 폭광부를 가지기 때문에, 환상 탄성체를 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호적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보스부가, 원주상(圓柱狀)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스부를 계합 홈의 내부에 있어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과,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과, 상기의 왕복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왕복 이동 기구는,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스피닝 릴에서는, 상술한 왕복 이동 기구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2 기어의 보스부 및 슬라이더의 계합 홈의 사이에 생기는 충돌을 억제하면서, 양자의 사이에 개재하는 환상 탄성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스피닝 릴로부터 측 커버 및 구동체를 떼어낸 측면도.
도 3은 오실레이팅 기구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a는 슬라이더의 측면도.
도 4b는 슬라이더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5는 오실레이팅 기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오실레이팅 기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채용된 스피닝 릴(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와 핸들(5)과 로터(7)와 스풀(11)과 구동체(13)(도 2를 참조)와 오실레이팅 기구(30)(도 2를 참조)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5)이 릴 본체(3)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지만, 핸들(5)은 릴 본체(3)의 우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의 내부 공간에는, 스풀(1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30)가 배치된다.
로터(7)는, 스풀(11)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7)는, 릴 본체(3)의 전부(前部)에 배치된다. 로터(7)는,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7)는, 피니언 기어(17)에 일체(一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니언 기어(17)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7)는, 피니언 기어(1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스풀(11)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11)은, 스풀축(9)과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풀(11)은, 스풀축(9)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9)은, 릴 본체(3)에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풀축(9)은, 릴 본체(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스풀축(9)은, 통상(筒狀)의 피니언 기어(17)의 내주부(內周部)에 삽통(揷通)된다. 스풀축(9)은, 오실레이팅 기구(30)의 작동에 의하여, 릴 본체(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전후 방향은, 스풀축(9)의 스풀축심(X1)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체(13)는, 구동축(21)과 구동 기어(23)와 접동용 기어(31)(제1 기어의 일례)를 가진다. 구동축(21)은, 핸들(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예를 들어, 구동축(21)에는, 핸들(5)의 핸들축(6)이 장착된다.
구동축(21)은, 구동축심(X2)을 가진다. 예를 들어, 구동축(21)은 통상으로 형성된다. 구동축(21)의 내주부에는, 핸들축(6)이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축(6)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기어(23)는, 로터(7)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구동 기어(23)는, 구동축(21)에 설치된다. 구동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7)에 맞물린다. 접동용 기어(31)는, 스풀축(9)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접동용 기어(31)는, 구동 기어(23)와 간격을 두고, 구동축(21)에 설치된다.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의 사이에는, 스풀축(9) 및 가이드축(34)(후술한다)이 배치된다. 접동용 기어(31)는, 후술하는 캠 기어(33)(제2 기어의 일례)에 맞물린다.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는, 핸들(5)(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7) 및 캠 기어(33)가 회전한다.
오실레이팅 기구(30)는, 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9)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30)는, 접동용 기어(31)와 캠 기어(33)와 가이드축(34)과 슬라이더(35)와 O링(40)(환상 탄성체의 일례)을 가진다. 덧붙여, 도 3에서는, 접동용 기어(31)의 톱니부 및 캠 기어(33)의 톱니부는, 간략화하여 도시되어 있다.
접동용 기어(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체(13)를 구성한다. 캠 기어(33)는, 슬라이더(3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캠 기어(33)는, 기어 본체(33a)와 보스부(33b)를 가진다. 기어 본체(33a)는, 구동축심(X2)과 평행한 축심(X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3)에 지지된다. 기어 본체(33a)는, 접동용 기어(31)에 맞물린다.
보스부(33b)는, 기어 본체(33a)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보스부(33b)는, 구동축심(X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기어 본체(33a)로부터 돌출한다. 보스부(33b)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5)의 계합 홈(37)에 계합한다.
보스부(33b)는, 계합 홈(37)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어 본체(33a)의 회전에 연동하여 계합 홈(37)을 따라 이동한다. 보스부(33b)는, 원주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스부(33b)가 원주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지지만, 보스부(33b)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가이드축(34)은, 슬라이더(35)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가이드축(34)은, 스풀축(9)의 상방(上方)에 배치된다. 가이드축(34)은, 스풀축(9)(스풀축심(X1))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릴 본체(3)에 고정된다.
슬라이더(35)는,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슬라이더(35)는, 슬라이더 본체(36)와 계합 홈(37)를 가진다. 슬라이더 본체(36)는, 스풀축(9)의 후단(後端)에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36)에는, 가이드축(34)이 삽통된다. 슬라이더 본체(36)는, 가이드축(3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계합 홈(37)은, 슬라이더 본체(36)에 설치된다. 계합 홈(37)에는, 보스부(33b)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본체(36)가 스풀축(9) 및 가이드축(34)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계합 홈(37)은, 스풀축(9)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구동축심(X2)에 관한 구동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 홈(37)을 핸들(5) 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도 3의 경우), 계합 홈(37)은 만곡(彎曲)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홈(37)은, 계합 오목부(38)와 폭광부(39)(계합 홈의 개구 단부의 일례)를 가진다. 계합 오목부(38)에는, 보스부(33b)의 선단부 및 중간부가 배치된다. 계합 오목부(38)는, 구동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 홈(37)을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계합 오목부(38)는 역(逆)S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계합 오목부(38)는, 저면(底面)(38a)과, 저면(38a)을 둘러싸는 벽면(38b)에 의하여 형성된다. 계합 오목부(38)는, 제1 단부(38c1)와, 제2 단부(38c2)와, 제1 단부(38c1) 및 제2 단부(38c2)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38c3)를 가진다. 제1 단부(38c1) 및 제2 단부(38c2)에서는, 벽면(38b)은 저면(38a)을 둘러싼다. 중간부(38c3)에서는, 한 쌍의 벽면(38b)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폭광부(39)는, 계합 홈(37)의 개구 단부를 형성한다. 폭광부(39)에는, 보스부(33b)의 기단부(基端部)가 배치된다. 폭광부(39)에는, O링(40)이 접촉한다. 폭광부(39)는, 계합 오목부(38)보다 폭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광부(39)는, 계합 오목부(38)와의 경계(38d)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면이다(도 5를 참조). 또한, 폭광부(39)는, 계합 오목부(38)와의 경계(38d)를 둘러싸는 경사면이다(도 4a를 참조).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광부(39)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최대 간격 D1("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최대 거리"의 일례)은, 계합 오목부(38)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벽면 간격 D2("계합 홈의 보스부의 선단부가 존재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벽면 사이의 거리"의 일례)보다 크다.
여기에서는, 최대 간격 D1 및 벽면 간격 D2는, 저면(38a)에 직교하고 또한 스풀축심(X1)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정의된다. 이 평면은, 계합 홈(37)의 중간부(38c3)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간격 D1은, 폭광부(39)(경사면) 상에 있어서 캠 기어(33)의 기어 본체(33a)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벽면 간격 D2는, 계합 오목부(38)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면(38b)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벽면 간격 D2는, 계합 오목부(38)에 있어서의 최대 벽면 간격이라고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O링(40)은, 보스부(33b) 및 계합 홈(37)의 사이에 생기는 충돌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40)은, 보스부(33b)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O링(40)은, 보스부(33b)의 기단부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O링(40)은 계합 홈(37)의 폭광부(39)에 접촉한다.
덧붙여, 도 5는, 접동용 기어(31), 캠 기어(33), 및 슬라이더(35)를, 구동축(21)의 구동축심(X2) 및 캠 기어(33)의 축심(X3)을 통과하는 평면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의 단면도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구성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40)은, 보스부(33b)의 기단부에 있어서, 보스부(33b)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O링(40)은, 기어 본체(33a) 및 계합 홈(37)의 폭광부(39)(경사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O링(40)은, 기어 본체(33a) 및 보스부(33b)에 접촉한 상태에서, 계합 홈(37)의 폭광부(39)(경사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O링(40)은, 기어 본체(33a) 및 보스부(33b)와, 계합 홈(37)의 폭광부(39)(경사면)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오실레이팅 기구(30)에서는, 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접동용 기어(31)가 회전하면, 캠 기어(33)가 회전한다. 캠 기어(33)의 회전에 의하여, 캠 기어(33)의 보스부(33b)가 슬라이더(35)의 계합 오목부(38)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에는, O링(40)은, 슬라이더(35)의 폭광부(39)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더(35)의 폭광부(39)와 접동한다. 이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3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35)가, 가이드축(34)으로 안내되면서, 스풀축(9)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스피닝 릴(1)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스피닝 릴(1)의 오실레이팅 기구(30)에서는, 캠 기어(33)의 보스부(33b)에 장착된 O링(40)이, 슬라이더(35)에 있어서의 계합 홈(37)의 폭광부(39)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스부(33b)는 계합 홈(37)(계합 오목부(38))을 따라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캠 기어(33)의 보스부(33b) 및 슬라이더(35)의 계합 홈(37)의 사이에 생기는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피닝 릴(1)의 오실레이팅 기구(30)에서는, O링(40)은, 보스부(33b)의 외주면, 기어 본체(33a), 및 계합 홈(37)의 폭광부(39)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보스부(33b)가 계합 홈(37)(계합 오목부(38))을 따라 이동할 때에, O링(40)은, 보스부(33b)의 외주면 및 기어 본체(33a)에 지지된 상태에서, 계합 홈(37)의 폭광부(39)에 의하여 압축된다. 이것에 의하여, O링(40)을 안정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스피닝 릴(1)의 오실레이팅 기구(30)에서는, 폭광부(39)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최대 간격 D1이, 계합 오목부(38)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벽면 간격 D2보다 크기 때문에, O링(40)을 계합 홈(37)의 폭광부(39)에 호적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닝 릴(1)의 오실레이팅 기구(30)에서는, 계합 홈(37)이 폭광부(39)를 가지기 때문에, O링(40)을 계합 홈(37)의 폭광부(39)에 호적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스피닝 릴(1)의 오실레이팅 기구(30)에서는, 보스부(33b)가, 원주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스부(33b)를 계합 홈(37)의 내부에 있어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홈(37)의 폭광부(39)가 경사면인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홈(37)의 폭광부(139)는 단차부(段差部)여도 무방하다. 도 6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같은 부호의 구성에 관하여는,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에 준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광부(139)(단차부)는, 계합 오목부(38)와의 경계(38d)를 둘러싼다. 폭광부(139)(단차부)에는, O링(40)이 접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이용할 수 있다.
1: 스피닝 릴
3: 릴 본체
7: 로터
9: 스풀축
13: 구동체
21: 구동축
23: 구동 기어
31: 접동용 기어
33: 캠 기어
33a: 기어 본체
33b: 보스부
35: 슬라이더
37: 계합 홈
38: 계합 오목부
39, 139: 폭광부
40: O링
D1: 최대 간격
D2: 벽면 간격

Claims (6)

  1.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와, 상기 기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보스부를 가지는 제2 기어와,
    상기 보스부가 계합(係合)하는 계합 홈을 가지고, 상기 보스부가 상기 계합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계합 홈의 개구(開口) 단부(端部)에 접촉하도록 상기 보스부에 장착되는 환상(環狀) 탄성체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탄성체는, 상기 계합 홈의 개구 단부 및 상기 기어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홈의 개구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최대 거리는, 상기 계합 홈의 상기 보스부의 선단부(先端部)가 존재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벽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홈은, 상기 보스부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계합 오목부와, 상기 계합 오목부보다 폭넓게 형성되고 상기 환상 탄성체가 접촉하는 폭광부(幅廣部)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원주상(圓柱狀)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6.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과,
    상기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
KR1020210110718A 2020-12-24 2021-08-23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KR20220092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5828A JP2022101312A (ja) 2020-12-24 2020-12-24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この往復移動機構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20-215828 2020-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348A true KR20220092348A (ko) 2022-07-01

Family

ID=8197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718A KR20220092348A (ko) 2020-12-24 2021-08-23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97568B2 (ko)
JP (1) JP2022101312A (ko)
KR (1) KR20220092348A (ko)
CN (1) CN114667977A (ko)
DE (1) DE102021213569A1 (ko)
TW (1) TW2022285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119A (ja) 2002-08-07 2004-03-04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650A (en) * 1996-01-31 2000-07-04 Ryobi Limited Spinning fishing reel having a uniform longitudinal spool movement
US6000653A (en) * 1996-01-31 1999-12-14 Ryobi Limited Spinning reel
EP1508274A1 (en) * 2003-08-22 2005-02-23 Eugene Hong Fishing spinning reel
JP6558957B2 (ja) * 2015-05-29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6836377B2 (ja) * 2016-11-28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スピニングリール
JP7032225B2 (ja) * 2018-04-26 2022-03-0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119A (ja) 2002-08-07 2004-03-04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67977A (zh) 2022-06-28
US11697568B2 (en) 2023-07-11
JP2022101312A (ja) 2022-07-06
DE102021213569A1 (de) 2022-06-30
TW202228513A (zh) 2022-08-01
US20220204308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200B2 (en) Electric toothbrush
TWI558315B (zh) Diaoyu for 紡車 type winding device
KR20220092348A (ko)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JP4187911B2 (ja) 魚釣用リール
US6932292B2 (en) Fishing reel
US10390525B2 (en) Reciprocat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comprising the same
JP43141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ィング機構
KR930003732B1 (ko) 스피닝 리일
JP4033879B2 (ja) ズームレンズ装置
US20230165233A1 (en) Fishing spinning reel
JP4375805B2 (ja) 魚釣用リール
JPH09192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660647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89191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20230165232A1 (en) Fishing spinning reel
JP20221906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5927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09247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20167742A (ko) 스피닝 릴
JP200619789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20088290A (ko) 스피닝 릴
JP423766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07313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34648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KR20230042618A (ko) 스피닝 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