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742A -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742A
KR20220167742A KR1020220032762A KR20220032762A KR20220167742A KR 20220167742 A KR20220167742 A KR 20220167742A KR 1020220032762 A KR1020220032762 A KR 1020220032762A KR 20220032762 A KR20220032762 A KR 20220032762A KR 20220167742 A KR20220167742 A KR 20220167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liding
boss
rotation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캉 풍
윅 후이 찬
모드 히샤무딘 빈 캄니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23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90644A/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22016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Abstract

[과제]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1)은, 릴 본체(3)와 핸들축(6)과 스풀축(9)과 오실레이팅 기구(30)와 접동(摺動) 부재(40)를 구비한다. 오실레이팅 기구(30)는, 접동용 기어(31)와 캠 기어(33)와 슬라이더(35)를 가진다. 접동용 기어(31)는, 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한다. 캠 기어(33)는, 제1 회전 방향(R1)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한다. 캠 기어(33)는, 접동용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38)와, 기어 본체(38)로부터 돌출하는 보스부(39)를 포함한다. 슬라이더(35)는, 스풀축(9)에 장착되고, 보스부(39)가 계합(係合)하는 계합 홈(37)을 포함한다. 접동 부재(40)는, 릴 본체(3) 및 캠 기어(33)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회전 방향(R1)에 있어서의 캠 기어(33)의 회전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닝 릴에는, 왕복 이동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종래의 왕복 이동 기구는,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접동(摺動)용 기어와, 접동용 기어에 맞물리는 캠 기어와, 슬라이더를 가진다. 캠 기어는, 접동용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와, 기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보스부를 가진다. 보스부는, 슬라이더의 계합(係合) 홈에 계합한다. 보스부가 계합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이 스풀축을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65119호
종래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스풀이 스풀축을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풀에 작용하는 스풀축 방향의 힘에 의하여, 접동용 기어 및 캠 기어의 맞물림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접동용 기어 및 캠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릴 본체와 핸들축과 스풀축과 왕복 이동 기구와 회전 제한 부재를 구비한다. 핸들축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왕복 이동 기구는, 제1 기어와 제2 기어와 슬라이더를 가진다. 제1 기어는,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는,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는, 제1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와, 기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제1 보스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스풀 축에 장착되고, 제1 보스부가 계합하는 계합 홈을 포함한다. 회전 제한 부재는, 릴 본체 및 제2 기어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 제한 부재는,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기어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스피닝 릴에서는, 제1 기어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기어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 회전 제한 부재는,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회전 제한 부재는, 제2 기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릴 본체와 접동하는 접동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동 부재는 릴 본체와 접동하기 때문에, 접동 부재 및 릴 본체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생긴다. 즉, 마찰력은 접동 부재를 통하여 제2 기어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가, 제2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보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동 부재는, 제2 기어 및 제2 보스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보스부에 대하여 접동한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접동 부재가 릴 본체의 제2 보스부에 대하여 접동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접동 부재를 통하여 제2 기어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제2 기어가, 기어 본체에 설치되는 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동 부재는, 홈부에 계합하는 계합부와, 계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보스부의 외면(外面)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보스부의 외면과 접동하는 접동부를 가진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접동 부재의 계합부를 제2 기어의 홈부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접동 부재는 제2 기어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동 부재의 접동부가 제2 보스부의 외면과 접동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접동 부재를 통하여 제2 기어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접동부는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된다. 접동부는, 계합부로부터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보스부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핸들축 및 제1 기어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제2 기어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호상의 접동부가 제2 보스부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은, 제2 기어가 회전하는 제2 회전 방향과 같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감길 때에는, 원호상의 접동부의 내경(內徑)이 넓어지기 때문에, 접동 부재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줄 감기 시에 핸들축을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제2 기어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였을 경우, 원호상의 접동부의 내경이 조여지기 때문에, 접동 부재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제2 보스부는, 보스 본체와, 보스 본체의 외주(外周)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상(筒狀) 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동 부재는, 제2 기어 및 통상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통상 부재에 대하여 접동한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통상 부재가 보스 본체의 외주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동 부재가 통상 부재에 대하여 접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마찰력은 접동 부재를 통하여 제2 기어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통상 부재가 마모하였을 경우에, 통상 부재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가, 제2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보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회전 제한 부재는, 제2 기어 및 제2 보스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원웨이 클러치이다. 원웨이 클러치는,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기어의 회전을 허가하고,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기어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핸들축 및 제1 기어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제2 기어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원웨이 클러치는,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기어의 회전을 허가하기 때문에, 줄 감기 시에 핸들축을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원웨이 클러치는,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기어의 회전을 규제하기 때문에,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스피닝 릴로부터 측 커버 및 구동체를 떼어낸 측면도.
도 3은 오실레이팅 기구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는 접동 부재 및 통상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접동 부재 및 통상 부재의 장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의 캠 기어의 홈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접동 부재의 장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원웨이 클러치의 장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채용된 스피닝 릴(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와 핸들(5)과 로터(7)와 스풀(11)과 구동체(13)(도 2를 참조)와 오실레이팅 기구(30)(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 도 2를 참조)와 접동 부재(40)(회전 제한 부재의 일례; 도 4를 참조)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5)이 릴 본체(3)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진다. 핸들(5)은 릴 본체(3)의 우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의 내부 공간에는, 스풀(1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30)가 배치된다.
로터(7)는, 스풀(11)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7)는, 릴 본체(3)의 전부(前部)에 배치된다. 로터(7)는,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7)는, 피니언 기어(1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니언 기어(17)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7)는, 피니언 기어(1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스풀(11)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11)은, 스풀축(9)과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1)은, 스풀축(9)의 선단부(先端部)에 장착된다.
스풀축(9)은, 릴 본체(3)에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축(9)은, 릴 본체(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9)은, 통상의 피니언 기어(17)의 내주부(內周部)에 삽통(揷通)된다. 스풀축(9)은, 오실레이팅 기구(30)의 작동에 의하여, 릴 본체(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전후 방향은, 스풀축(9)의 스풀 축심(X1)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체(13)는, 구동축(21)과 구동 기어(23)와 접동용 기어(31)(제1 기어의 일례)를 가진다. 구동축(21)은, 핸들(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예를 들어, 구동축(21)에는, 핸들(5)의 핸들축(6)이 장착된다.
구동축(21)은, 구동 축심(X2)을 가진다. 예를 들어, 구동축(21)은 통상으로 형성된다. 구동축(21)의 내주부에는, 핸들축(6)이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축(6)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축(6)의 축심은, 구동 축심(X2)과 동심(同心)이다.
구동 기어(23)는, 로터(7)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구동 기어(23)는, 구동축(21)에 설치된다. 구동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7)에 맞물린다.
접동용 기어(31)는, 스풀축(9)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접동용 기어(31)는, 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한다. 접동용 기어(31)는, 구동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구동 기어(23)와 간격을 두고 구동축(21)에 설치된다.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의 사이에는, 스풀축(9) 및 가이드축(34)(후술한다)이 배치된다. 접동용 기어(31)는, 후술하는 캠 기어(33)(제2 기어의 일례)에 맞물린다.
구동축(21),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는, 일체로 형성된다. 구동축(21),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는, 서로 별체(別體)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구동축(21),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는, 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7) 및 캠 기어(33)가 회전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핸들축(6), 구동축(21),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가 회전하는 회전 방향이, 제1 회전 방향(R1)이라고 정의된다. 제1 회전 방향(R1)과는 반대의 회전 방향이, 제2 회전 방향(R2)이라고 정의된다. 덧붙여, 구동 축심(X2) 및 축심(X3) 각각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 및 제2 회전 방향(R2)이 정의된다.
핸들축(6), 구동축(21), 구동 기어(23), 및 접동용 기어(31)가 구동 축심(X2)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경우, 캠 기어(33)는 축심(X3)을 기준으로 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한다.
오실레이팅 기구(30)는, 핸들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9)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30)는, 접동용 기어(31)와 캠 기어(33)와 가이드축(34)과 슬라이더(35)를 가진다. 덧붙여, 도 3에서는, 접동용 기어(31)의 톱니부 및 캠 기어(33)의 톱니부는, 간략화하여 도시되어 있다.
접동용 기어(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체(13)를 구성한다. 캠 기어(33)는, 슬라이더(3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캠 기어(33)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캠 기어(33)는, 릴 본체(3)의 보스부(3b)(제2 보스부의 일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 기어(33)는, 릴 본체(3) 및 슬라이더(35)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3b)는 릴 본체(3)에 포함된다. 즉, 릴 본체(3)는, 본체부(3a)와 보스부(3b)와 측 커버(3e)(도 1을 참조)를 가진다. 본체부(3a) 및 측 커버(3e)에 의하여, 오실레이팅 기구(3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보스부(3b)는, 보스 본체(32)와 통상 부재(41)를 가진다. 보스 본체(32)는, 본체부(3a)로부터 돌출한다. 상세하게는, 보스 본체(32)는, 구동 축심(X2)과 평행한 축심(X3)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3a)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41)는, 캠 기어(33) 및 릴 본체(3)의 사이에 배치된다. 통상 부재(41)는, 보스 본체(32)의 외주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통상 부재(41)는,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徑)방향에 있어서, 보스 본체(32)의 외주면과 캠 기어(33)의 단차부(段差部)(38b)(후술한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41)는, 축심(X3)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캠 기어(33)의 단차부(38b)의 저면(底面)과 본체부(3a)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41)는, 통부(筒部)(41a)와 환상(環狀) 홈부(41b)와 돌출부(41c)를 가진다. 통부(41a)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41a)의 내부에는 보스 본체(32)가 배치된다.
통부(41a)는, 제1 단면(端面)(41a1)과 제2 단면(41a2)을 가진다. 제1 단면(41a1)은, 단차부(38b)의 저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단면(41a2)은, 본체부(3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홈부(41b)는, 통부(41a)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환상 홈부(41b)는, 축심(X3)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통부(41a)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홈부(41b)에는, 접동 부재(40)의 접동부(40b)(후술한다)가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41c)는 통부(41a)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41c)는, 통부(41a)의 제2 단면(41a2)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41c)는, 릴 본체(3)에 설치되는 오목부(3c)에 감합(嵌合)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3c)는, 릴 본체(3)의 본체부(3a)의 측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41c)를 오목부(3c)에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통상 부재(41)는, 보스 본체(32)의 외주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부(3a)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기어(33)는, 기어 본체(38)와 보스부(39)(제1 보스부의 일례)를 가진다. 기어 본체(38)는, 축심(X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3)에 지지된다. 기어 본체(38)의 톱니부는, 접동용 기어(31)의 톱니부에 맞물린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본체(38)는, 구멍부(38a)와 단차부(38b)와 홈부(38c)를 가진다. 구멍부(38a)에는, 릴 본체(3)의 보스 본체(32)가 배치된다. 축심(X3)은 구멍부(38a)의 중심을 통과한다. 단차부(38b)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단차부(38b)에는, 상술한 통상 부재(41)가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38c)는, 기어 본체(38)에 있어서 보스부(39)가 형성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있어서, 기어 본체(38)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홈부(38c)는,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단차부(38b)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38c)에는, 접동 부재(40)의 계합부(40a)(후술한다)가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39)는, 기어 본체(38)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보스부(39)는, 구동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으로 기어 본체(38)로부터 돌출한다. 보스부(39)는, 후술하는 슬라이더(35)의 계합 홈(37)에 계합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39)는, 계합 홈(37)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어 본체(38)의 회전에 연동하여 계합 홈(37)을 따라 이동한다. 보스부(39)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스부(39)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지지만, 보스부(39)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34)은, 슬라이더(35)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가이드축(34)은, 스풀축(9)의 상방(上方)에 배치된다. 가이드축(34)은, 스풀축(9)(스풀 축심(X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릴 본체(3)(본체부(3a))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5)는, 스풀축(9)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슬라이더(35)는, 스풀축(9)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35)는, 슬라이더 본체(36)와 계합 홈(37)을 가진다. 슬라이더 본체(36)는, 스풀축(9)의 후단(後端)에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36)에는, 가이드축(34)이 삽통된다. 슬라이더 본체(36)는, 가이드축(3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홈(37)에는, 보스부(39)가 배치된다. 계합 홈(37)은, 슬라이더 본체(36)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본체(36)가 스풀축(9) 및 가이드축(34)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계합 홈(37)은 스풀축(9)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구동 축심(X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 홈(37)을 핸들(5) 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도 3의 경우), 계합 홈(37)은 만곡(彎曲)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 경우, 계합 홈(37)은 S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계합 홈(37)에는, 보스부(39)가 계합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접동 부재(40)는, 캠 기어(33)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접동 부재(40)는, 제1 회전 방향(R1)에 있어서의 캠 기어(33)의 회전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접동 부재(40)는, 릴 본체(3)와 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접동 부재(40)는, 릴 본체(3)에 포함되는 통상 부재(41)에 대하여 접동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 부재(40)는, 축심(X3)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캠 기어(33) 및 릴 본체(3)(본체부(3a))의 사이에 배치된다. 접동 부재(40)는,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캠 기어(33) 및 통상 부재(41)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 부재(40)는, 계합부(40a)와 접동부(40b)를 가진다. 계합부(40a)는, 캠 기어(33)의 홈부(38c)에 계합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부(40b)는 계합부(40a)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부(40b)는 통상 부재(41)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부(40b)는, 계합부(40a)로부터 제2 회전 방향(R2)으로 통상 부재(41)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다. 접동부(40b)는 통상 부재(41)의 외면과 접동한다. 상세하게는, 접동부(40b)는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접동부(40b)는, 계합부(40a)로부터 제2 회전 방향(R2)으로 환상 홈부(41b)를 따라 연장된다. 접동부(40b)는, 환상 홈부(41b)와 접동한다.
상술한 스피닝 릴(1)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본 스피닝 릴(1)에서는, 접동용 기어(31)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캠 기어(33)가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 접동 부재(40)는, 제1 회전 방향(R1)에 있어서의 캠 기어(33)의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접동용 기어(31) 및 캠 기어(33)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동용 기어(31)의 회전에 연동하여 캠 기어(33)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접동 부재(40)가 캠 기어(33)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 접동 부재(40)는, 릴 본체 예를 들어 통상 부재(41)와 접동하기 때문에, 접동 부재(40) 및 릴 본체(3)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생긴다. 즉, 이 마찰력은 접동 부재(40)를 통하여 캠 기어(33)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접동용 기어(31) 및 캠 기어(33)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통상 부재(41)가 릴 본체(3)의 본체부(3a)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부재(41)의 돌출부(41c)가, 릴 본체(3)(본체부(3a))의 오목부(3c)에 감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통상 부재(41)가 마모하였을 경우에, 통상 부재(41)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스피닝 릴(1)에서는, 접동 부재(40)의 계합부(40a)를 캠 기어(33)의 홈부(38c)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접동 부재(40)는 캠 기어(33)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동 부재(40)의 접동부(40b)가 통상 부재(41)의 외면과 접동하기 때문에, 상기의 마찰력이 접동 부재(40)를 통하여 캠 기어(33)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접동용 기어(31) 및 캠 기어(33)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호적(好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스피닝 릴(1)에서는, 원호상의 접동부(40b)가 통상 부재(41)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은, 캠 기어(33)가 회전하는 제2 회전 방향(R2)과 같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감길 때에는, 원호상의 접동부(40b)의 내경이 넓어지기 때문에, 접동 부재(40)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줄 감기 시에 핸들축(6)을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캠 기어(33)는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려고 하였을 경우, 원호상의 접동부(40b)가 조여지고 원호상의 접동부(40b)의 내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접동 부재(40)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접동용 기어(31) 및 캠 기어(33)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부재(41)가 본체부(3a)에 장착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통상 부재(41)는 보스 본체(32)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통상 부재(41)의 통부(41a)의 내주면이, 보스 본체(32)의 외주면에 압입(壓入)된다. 또한, 이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돌출부(41c)는, 통상 부재(41)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접동 부재(40) 및 통상 부재(41)의 접동에 의하여 생기는 마찰력은, 접동 부재(40)를 통하여 캠 기어(33)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동용 기어(31) 및 캠 기어(33)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상 부재(41)가 마모하였을 경우에, 통상 부재(41)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접동 부재(40)의 계합부(40a)가 캠 기어(33)의 홈부(38c)에 배치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기어(33)의 홈부(138c)는, 제1 당접부(當接部)(138c1)와 제2 당접부(138c2)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 당접부(138c1)에는, 접동 부재(40)에 있어서의 계합부(40a)의 기단부(基端部)가 당접한다. 제2 당접부(138c2)에는, 접동 부재(40)에 있어서의 계합부(40a)의 선단부가 당접한다.
이 구성에서는, 접동 부재(40)의 계합부(40a)는 제1 당접부(138c1) 및 제2 당접부(138c2)에 의하여 보지(保持)된다. 이것에 의하여, 접동 부재(40) 및 통상 부재(41)의 접동에 의하여 생기는 마찰력을, 접동 부재(40)를 통하여 캠 기어(33)에 호적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접동 부재(40)가 통상 부재(41)와 접동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41)를 이용하는 일 없이, 접동 부재(40)는 보스 본체(32)와 접동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접동 부재(40)는,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캠 기어(33) 및 보스부(3b)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스 본체(32)는, 환상 홈부(3d)를 가진다. 환상 홈부(3d)는, 보스 본체(32)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환상 홈부(3d)는, 축심(X3)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보스 본체(32)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접동 부재(40)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계합부(40a)와 접동부(40b)를 가진다. 계합부(40a) 및 접동부(40b)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같다. 접동부(40b)는, 보스 본체(32)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접동부(40b)는,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접동부(40b)는, 계합부(40a)로부터 제2 회전 방향(R2)으로 보스 본체(32)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다. 접동부(40b)는 보스 본체(32)의 외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접동부(40b)는 보스 본체(32)의 환상 홈부(3d)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동부(40b)는 보스 본체(32)의 환상 홈부(3d)와 접동한다.
이 구성에서는, 접동 부재(40)가 릴 본체(3)의 보스 본체(32)에 대하여 접동하기 때문에, 접동 부재(40) 및 보스 본체(32)의 접동에 의하여 생기는 마찰력이, 접동 부재(40)를 통하여 캠 기어(33)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접동용 기어(31) 및 캠 기어(33)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이 감길 때에는, 원호상의 접동부(40b)의 내경이 넓어지기 때문에, 접동 부재(40)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줄 감기 시에 핸들축(6)을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 1 및 2에서는, 접동 부재(40)를 통상 부재(41)의 외주면에 접동시키기 위하여 통상 부재(41)의 외주면에 환상 홈부(41b)가 형성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접동 부재(40)를 통상 부재(41)의 외주면과 접동시킬 수 있으면, 접동 부재(40)가 통상 부재(41)와 접동하는 부분의 형상은, 어떻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환상 홈부(41b) 대신에, 통상 부재(41)의 외주면에 환상의 단차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피닝 릴(10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와 핸들(5)과 로터(7)와 스풀(11)과 구동체(13)(도 2를 참조)와 오실레이팅 기구(30)(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 도 2를 참조)와 원웨이 클러치(140)(회전 제한 부재의 일례; 도 8을 참조)를 구비한다.
스피닝 릴(101)의 구성은, 원웨이 클러치(140)를 제외하여,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여기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같은 구성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140)는, 캠 기어(33) 및 보스부(3b)(제2 보스부의 일례)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원웨이 클러치(140)는,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기어 본체(38) 및 보스 본체(32)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스부(3b)의 보스 본체(32)는, 원웨이 클러치(140)를 통하여, 캠 기어(33)의 기어 본체(3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140)는, 제2 회전 방향(R2)에 있어서의 캠 기어(33)의 회전을 허가하고, 제1 회전 방향(R1)에 있어서의 캠 기어(33)의 회전을 규제한다.
원웨이 클러치(140)는, 전동체(140a)와 외륜(外輪)(140b)을 가진다. 전동체(140a)는, 보스 본체(32)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전동체(140a)는,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보스 본체(32)의 외주면 및 외륜(140b)의 사이에 배치된다.
덧붙여, 원웨이 클러치(140)는, 내륜(內輪)을 더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내륜은, 보스 본체(32)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전동체(140a)는,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내륜 및 외륜(140b)의 사이에 배치된다.
외륜(140b)은,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전동체(140a)의 외측에 배치된다. 외륜(140b)은, 기어 본체(38)의 단차부(38b)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외륜(140b)은, 기어 본체(38)의 단차부(38b)의 내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외륜(140b)은, 기어 본체(38)의 단차부(38b)의 내주면에 압입된다.
상술한 스피닝 릴(1)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본 스피닝 릴(1)에서는, 접동용 기어(31)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캠 기어(33)가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 원웨이 클러치(140)는, 제1 회전 방향(R1)에 있어서의 캠 기어(33)의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접동용 기어(31) 및 캠 기어(33)의 맞물림의 불안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 이용할 수 있다.
1: 스피닝 릴
3: 릴 본체
3b: 보스부
3c: 오목부
6: 핸들축
9: 스풀축
11: 스풀
13: 구동체
21: 구동축
23: 구동 기어
30: 오실레이팅 기구
31: 접동용 기어
32: 보스 본체
33: 캠 기어
38: 기어 본체
39: 보스부
38c: 홈부
35: 슬라이더
37: 계합 홈
40: 접동 부재
40a: 계합부
40b: 접동부
41: 통상 부재
140: 원웨이 클러치
R1: 제1 회전 방향
R2: 제2 회전 방향

Claims (7)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과,
    상기 핸들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 본체와 상기 기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제1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보스부가 계합(係合)하는 계합 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더를 가지는 왕복 이동 기구와,
    상기 릴 본체 및 상기 제2 기어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부재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기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릴 본체와 접동(摺動)하는 접동 부재인,
    스피닝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제2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접동 부재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2 보스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스부에 대하여 접동하는,
    스피닝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기어 본체에 설치되는 홈부를 가지고,
    상기 접동 부재는, 상기 홈부에 계합하는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스부의 외면(外面)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보스부의 외면과 접동하는 접동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는,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합부로부터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2 보스부의 외면에 따라 연장되는,
    스피닝 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스부는, 보스 본체와, 상기 보스 본체의 외주(外周)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상(筒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접동 부재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통상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통상 부재에 대하여 접동하는,
    스피닝 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상기 제2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2 보스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원웨이 클러치이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을 허가하고,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피닝 릴.
KR1020220032762A 2021-06-14 2022-03-16 스피닝 릴 KR20220167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8830 2021-06-14
JP2021098830 2021-06-14
JPJP-P-2021-123205 2021-07-28
JP2021123205A JP2022190644A (ja) 2021-06-14 2021-07-28 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742A true KR20220167742A (ko) 2022-12-21

Family

ID=8419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762A KR20220167742A (ko) 2021-06-14 2022-03-16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96574B2 (ko)
KR (1) KR20220167742A (ko)
CN (1) CN115530135A (ko)
DE (1) DE102022205638A1 (ko)
TW (1) TW2023000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119A (ja) 2002-08-07 2004-03-04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4923A (en) * 1981-05-25 1985-06-25 Ryobi Limited Fishing spinning reels
JP2002017213A (ja) * 2000-07-06 2002-01-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SG112961A1 (en) * 2003-12-09 2005-07-28 Shimano Kk Spinning-reel oscillating device
US20070029425A1 (en) * 2005-07-25 2007-02-08 Young John N Fishing reel oscillation
JP6558957B2 (ja) * 2015-05-29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7032225B2 (ja) * 2018-04-26 2022-03-0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119A (ja) 2002-08-07 2004-03-04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4967A1 (en) 2022-12-15
CN115530135A (zh) 2022-12-30
US11696574B2 (en) 2023-07-11
DE102022205638A1 (de) 2022-12-15
TW202300012A (zh) 202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2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9063052A (ja) ローラクラッチ
JP2021182937A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US5984220A (en) Spinning reel having a narrow reel body housing
EP1425966B1 (en) Fishing reel component
JP2010000042A (ja) 魚釣用リール
JP427696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20167742A (ko) 스피닝 릴
US11102967B2 (en)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11395482B2 (en) Spinning reel
JP201016683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
JP4504900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21906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010427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10477847B2 (en) Roller clutch for fishing reel
JP3958266B2 (ja) 魚釣用リール
JP697978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35506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20230165233A1 (en) Fishing spinning reel
US10561130B2 (en) Roller clutch for fishing reel
JP2019115284A (ja) ドラグつまみ、及び釣り用リール
WO2023074406A1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20230345925A1 (en) Oscillat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with oscillating mechanism
JP389813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728905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