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732B1 - 스피닝 리일 - Google Patents

스피닝 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732B1
KR930003732B1 KR1019900008900A KR900008900A KR930003732B1 KR 930003732 B1 KR930003732 B1 KR 930003732B1 KR 1019900008900 A KR1019900008900 A KR 1019900008900A KR 900008900 A KR900008900 A KR 900008900A KR 930003732 B1 KR930003732 B1 KR 93000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lider
traverse
spool shaft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014A (ko
Inventor
야스히로 히또미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피닝 리일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피닝리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주요부의 부분측면도이고,
제 3 도는 전 리일본체의 부분절개된 측면이고,
제 4 도는 제 3 도의 부분확대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일본체 2 : 핸들축
6 : 스풀축 7 : 트래버스축
8 : 슬라이더 9 : 가이드부
81 : 가이드부재
본 발명은 스피닝리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리일본체, 전, 후방향으로 운동가능하도록 리일본체에 의해 지지된 스풀축, 상기 리일본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축의 회전으로 맞물리는 트래버스축, 상기 스풀축과 트래버스축사이에 연장하며 트래버스축에 형성된 트래버스홈을 결합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와 스풀축의 운동방향에서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리일본체에 형성된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스피닝리일(spinning reel)에 대한 것이다.
스풀축과 트래버스축 사이에 연장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트래버스축에 형성된 트래버스홈을 결합하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상술한 타입의 스피닝리일의 공지실례는 가이드부재를 통한 트래버스축에 관하여 핸들축에서 트래버스축으로 전달된 회전구동을 축상구동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되어 슬라이더를 통하여 스풀푹을 왕복하게 된다. 슬라이더는 스풀축에 그의 한 선단이 고착되며 그의 타단에는 그곳을 통해 트래버스축이 연장하는 천공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는 트래버스축의 외주에 형성된 트래버스홈과 결합하여서 트래버스축의 회전은 스풀축이 슬라이더를 통하여 트래버스축에 관하여 축상으로 운동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호 평행하는 스풀축과 트래버스축을 조립하는 것이 어려워서 통상구조에서는 다음 문제점을 유발한다. 즉 트래버스축이 조립에러로 인해 스풀축에 관하여 비스듬하게 지지되면 트래버스축은 슬라이더에 형성된 천공과 무리하게 접촉하게되어 트래버스축에 관한 슬라이더의 축상운동을 방해한다.
이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더의 천공의 내부주위와 트래버스축의 외부주위에 통상적으로 공간이 구비되어서 스풀축과 트래버스축사이의 에러를 흡수하게된다. 그러나, 이구조도 트래버스홈과 가이드부재 사이의 결합깊이에서의 변동은 슬라이더의 완만한 운동과 그로인한 스풀축의 느린운동 및 심하게 덜거덕거리는 소음을 일으킨다. 또 불균일한 깊이는 가이드부재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이드부재의 여러부분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축이 트래버스축에 정확하게 평행하지는 않더라도 트래버스축의 트래버스홈과 가이드부재 사이의 불균일한 결합 깊이가 없도록 하여, 스풀축이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운동하도록 하는 스피닝리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스피닝리일은 스풀축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제 1 슬라이더 본체와 가이드부재는 갖춘 제 2 슬라이더 본체로 구분되며, 제 1 슬라이더 본체가 스풀축의 운동방향으로만 단지 제 2 슬라이더와 맞물리게되는 슬라이더에 특색이 있다.
상술한 바의 특징적인 구조로 제 1 슬라이더 본체가 스풀축의 운동방향으로 단지 제 2 슬라이더 본체와 맞물리기 때문에 스풀축은 제 2 슬라이더 본체의 운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운동가능하다. 또 스풀축에 설치된 제 1 슬라이더 본체와 트래버스축에 의해 지지된 제 2 슬라이더 본체는 스풀축과 트래버스축이 배치되는 방향에서 서로에 관한 운동을 억제하지 않는다. 그래서, 트래버스축과 스풀축이 서로에 관해 비스듬히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왕복운동으로 그들 사이의 거리가 변하더라도 제 1 슬라이더 본체는 트래버스축에 관한 제 2 슬라이더 본체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풀축은 전, 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운동가능하다. 게다가, 트래버스홈과 가이드부재 사이의 결합상태가 스풀축과 트래버스축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서 그들사이의 일정한 결합깊이를 유지하게되어 가이드부재가 불균일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개량된 구조로 인해, 제 2 슬라이더 본체의 운동동안에 어떠한 덜거덕거리는 소리도 나지않는 가이드부재와 트래버스축 사이의 최적결합상태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풀축이 트래버스축에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어서 리일디자인에 대한 자유도도 증가될 수 있어서, 예컨대 리일본체의 콤팩트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기타목적 및 장점은 바람직한 구체예의 다음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후, 본 발명의 구체예를 수반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제 3 도는 리일본체(1), 이 리일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어핸들을 작동함으로써 회전된 핸들축(2), 핸들축(2)상에 설치된 마스터기어(21)와 슬리이브축(3)상에 설치된 피니언기어(31)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프레임(4), 피니언기어(31), 인터록기어(72), 트래버스축(7), 가이드부재(81) 및 슬라이더(8)를 통해 축상으로 왕복되는 스풀축(6)과 그위의 낚시선을 감기위한 스풀축(6)상에 설치된 스풀(5)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닝리일을 나타낸다.
리일본체(1)는 내부가 공동이며 그의 양 옆의 측벽사이에 마스터기어(21)를 구비하는 핸들축(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핸들축(2)은 리일본체(1)의 외부선단에 인접한 제어핸들(도시안됨)을 지지한다. 마스터기어(21)를 결합하는 피니언기어(31)가 구비된 슬리이브축(3)은 핸들축(2)에 수직하여 연장하며 리일본체(1)의 정면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가능한 프레임(4)은 슬리이브축(3)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그의 맨끝선단에 스풀(5)을 지지하는 스풀축(6)은 전, 후방향으로 왕복가능하도록 슬리이브축(3)내에 지지된다.
제 1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외부주위에 왕복하는 나선상 트래버스홈(71)을 형성하는 트래버스축(7)은 리일본체(1)의 앞뒤벽사이의 스풀축(6)에 평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트래버스축(7)의 전방선단에 설치된 인터록기어(72)는 피니언기어(31)와 결합하여 핸들축(2)의 회전에 의해 트래버스축(7)을 회전시키게 된다. 스풀축(6)과 트래버스축(7)은 이 트래버스축(7)의 회전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스풀축(6)을 운동시키기위해 트래버스홈(71)을 결합하는 가이드부재(81)를 구비하는 슬라이더(8)을 통하여 작동 가능하게 상호연결된다. 리일본체(1)는 스풀축(6)의 축상으로 슬라이더(8)를 안내하기 위해 그의 측벽중 하나의 내부표면에 리세스된 가이드부(9)를 형성한다. 슬라이더(8)는 스풀축(6)상에 설치된 제 1 슬라이더 본체(8a)와 가이드부재(81)를 구비하며 트래버스축(7)에 의해 지지된 제 2 슬라이더 본체(8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 2 슬라이더 본체(8a) (8b)는 스풀축(8)의 운동방향으로만 상호 맞물린다.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더 본체(8a)는 스풀축(6)을 고착시키기 위해 그의 측면중 하나에 리세스(82)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에 부착된 인터록 플레이트(83)의 외부로부터 나사결합된 플러쉬볼트(84)를 통해 스풀축(6)의 뒷선단에 강고하게 설치된다.
제 1 슬라이더 본체(8a)는 또 가이드부(9)를 결합시키기위해 그의 맞은편 측면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가이드부(9)를 따른 스풀축(6)의 운동방향으로 제 1 슬라이더 본체(8a)를 안내하게 된다.
참조번호(90)는 제 1 슬라이더 본체(8a)에 형성된 결합부와 가이드부(9) 사이의 결합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압플레이트를 나타내며, 이 가압플레이트는 볼트(89)를 통해 리일본체(1)의 측벽중 하나의 내부표면에 고착하게 된다.
제 2 슬라이더 본체(8b)는 트래버스축(7)이 연장하는 천공(85)과 이 천공(85)과 연통하는 측면중 하나에 보유공(86)을 형성한다. 보유공(86)은 가이드부재의 맨끝 선단이 언제든지 트래버스축(7)에 형성된 왕복가능한 나선상 트래버스홈(71)을 결합하도록 가이드 부재(81)를 수용한다.
천공(85)의 내부직경은 트래버스축(7)의 외부직경과 대략 동일하여 제2슬라이더 본체(8b)는 가이드부재(81)와 트래버스홈(71)사이에 일정한 결합깊이를 유지하면서 트래버스축(7)에 관하여 축상으로 운동가능하게된다. 제 2 슬라이더 본체(8b)의 보유공(86)에는 트래버스축(7)에 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맞물리는 돌출부(87), (88)가 그의 양측면에 갖추어져 있다. 제 1 슬라이더 본체(8a)에 부착된 플레이트(83)는 그들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맞물리는 돌출부(87), (88)와 단단하게 접촉하며 그 사이에 연장하는 하부부분을 구비하여서 제 1 슬라이더 본체(8a)가 제 2 슬라이더 본체(8b)의 축상운동과 연결된다. 제 2 슬라이더 본체(8b)는 제 1 슬라이더 본체(8a)의 저면과 접촉하는 상면을 갖추어 제 2 슬라이더 본체(8b)가 트래버스축(7)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맞물리는 돌출부(87) (88)는 브리지를 통해 그의 맨끝선단에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8)는 보유공(88)의 직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기부와 트래버스홈(71)에 결합하는 기부의 선단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결합돌출부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81)는 보유공(86)을 폐쇄하는 인터록플레이트(83)에 의해 보유공(86)으로부터의 결합해제가 저지된다.
상술구조로 핸들축(2)은 트래버스축(7)을 회전하면서 회전구동은 핸들축(2)으로부터 트래버스축(7)으로 전달되고 그다음 가이드부재(81)와 트래버스홈(71)사이의 결합으로 제 2 슬라이더 본체(8b), 인터록 플레이트(83) 및 제 1 슬라이더 본체(8a)로 전달된다. 그다음 구동은 리일본체(1)의 전, 후방향으로 스풀축(6)을 왕복시키도록 축상 구동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작동시에 가이드부재(81)와 인터록 플레이트(83)는 와셔에 의해 삽입될 수 있어서 가이드부재와 트래버스홈(71) 사이의 결합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예를 아래에 기술한다. 스풀축의 축방향으로만 제1 및 제 2 슬라이더 본체(8a),(8b)를 맞물리게하기 위하여 상기 구체예는 제 1 슬라이더 본체(8a)에 그의 상부부분이 고착되며 제 2 슬라이더 본체(8b)에 설치된 한쌍의 맞물리는 돌출부(87), (88)사이에서 그의 하부부분에 보유된 인터록 플레이트(83)를 사용한다. 인터록 플레이트 구조는 전도될 수 있다. 제1 및 제 2 슬라이더본체(8a), (8b)중 하나는 맞물리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제1 및 제 1 슬라이더 본체중 다른 하나는 맞물리는 돌출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인터록킹 수단의 구조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풀축(6) 및 트래버스축(7)은 서로 실제 평행하여 배열되는 상기 구체예와는 다른 비-평행관계로도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배치는 리일디자인에 대한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스풀축(6) 및 트래버스축(7)은 축들사이의 거리가 리일본체(1)의 뒷쪽부분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좁게되어 그 부분의 구조가 사이즈를 줄어들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2 슬라이더 본체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슬라이더본체는 돌출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여 두 슬라이더 본체사이에 맞물림을 형성한다.

Claims (3)

  1. 리일본체(1), 전, 후방향으로 운동가능하도록 리일본체(1) 의해 지지된 스풀축(6), 리일본체(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2)의 회전으로 맞물리는 트래버스축(7), 스풀축(6)과 트래버스축(7)사이에 연장하며 트래버스축(7)에 형성된 트래버스홈을 결합하는 가이드부재(81)를 포함하는 슬라이더(8)와 스풀축(6)의 운동방향으로 슬라이더(8)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리일본체(1)에 형성된 가이드부(9)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더가 가이드부(9)에 의해 안내되며 스풀축(6)상에 설치된 제 1 슬라이더 본체(8a)와 가이드부재(81)를 구비한 제 2 슬라이더 본체(8b)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더 본체(8a)가 스풀축(6)의 운동방향으로만 제 2 슬라이더 본체(8)와 맞물리게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피닝리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더 본체(8a)와 제 2 슬라이더 본체(8)가 스풀축(6)의 운동방향에 관하여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피닝리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더 본체(8b)가 제 1 슬라이더 본체(8a)에 형성된 돌출부사이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리일.
KR1019900008900A 1989-06-16 1990-06-16 스피닝 리일 KR930003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0967 1989-06-16
JP1989070967U JPH0751898Y2 (ja) 1989-06-16 1989-06-16 スピニングリール
JP?1-70967 1989-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014A KR910000014A (ko) 1991-01-29
KR930003732B1 true KR930003732B1 (ko) 1993-05-10

Family

ID=1344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900A KR930003732B1 (ko) 1989-06-16 1990-06-16 스피닝 리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51898Y2 (ko)
KR (1) KR930003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4994B2 (ja) * 2013-10-01 2018-04-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014A (ko) 1991-01-29
JPH0751898Y2 (ja) 1995-11-29
JPH0310766U (ko) 199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173B1 (ko)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US5784743A (en) Electric toothbrushes
KR930003732B1 (ko) 스피닝 리일
US5273234A (en) Spinning reel with spool shaft and slider
JP4187911B2 (ja) 魚釣用リール
JPH0547583Y2 (ko)
JP333760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996531B2 (ja) 魚釣用リ−ル
JP3003377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622303B2 (ja) 電動歯ブラシ
JP332097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4375805B2 (ja) 魚釣用リール
JP307313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86087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95580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20230165233A1 (en) Fishing spinning reel
KR20220092348A (ko)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이 왕복 이동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
CN212138993U (zh) 鱼线轮的齿杆组件装配结构
JPH09192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144797Y1 (ko) 낚시용 릴의 레버 윈드 핀 체결 장치
JPH1156451A (ja) 電動爪磨き器
KR0131520B1 (ko) 회전 방향 가역형 래칫 기구를 가지는 래칫 렌치
JP200134648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46436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819165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